KR20140035227A - 건축물 개방구용 탑다운/바텀업 덮개를 위한 코드 장력 제어 - Google Patents

건축물 개방구용 탑다운/바텀업 덮개를 위한 코드 장력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227A
KR20140035227A KR1020127030025A KR20127030025A KR20140035227A KR 20140035227 A KR20140035227 A KR 20140035227A KR 1020127030025 A KR1020127030025 A KR 1020127030025A KR 20127030025 A KR20127030025 A KR 20127030025A KR 20140035227 A KR20140035227 A KR 20140035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threaded shaft
shaft
cover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4840B1 (ko
Inventor
테렌스 엠. 드류
존 씨. 피어나우
수잔느 엠. 후지타
제프리 엘. 스프레이
Original Assignee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11/034239 external-priority patent/WO2011137205A1/en
Application filed by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35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1Screens joined one below the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7Cellular screens, e.g. box or honeycomb-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코드 장력 시스템은, 랩 스풀과 조화를 이루어 회전하는 나사산 형성 샤프트에 장착된 나사산 형성 너트를 병진시키는 것과 랩 스풀의 회전을 상관시키는 것에 의해 연관된 랩 스풀에 대한 리프트 코드의 얽힘을 방지함으로써, 리프트 스풀과 연관된 너트의 접합으로 스풀과 연관된 레일의 과다 이동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이와 연관된 리프트 코드의 얽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탑다운/바텀업 덮개에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물 개방구용 탑다운/바텀업 덮개를 위한 코드 장력 제어{CORD TENSION CONTROL FOR TOP DOWN/BOTTOM UP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건축물 개방구를 위한 탑다운/바텀업 덮개(top down/bottom up covering)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연장된 위치와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덮개에 있는 수평 레일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이 덮개에 사용되는 리프트 코드(lift cord)의 얽힘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개방구를 위한 수축가능한 덮개가 많은 해 동안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축가능한 덮개의 초기 형태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수직으로 이격된 복수의 슬랫(slat)이 코드 래더(cord ladder)에 지지되며 이 슬랫으로 하여금 덮개가 장착되는 건축물 개방구에 대해 수축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덮개를 이동시키도록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게 하는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는 베네치아 블라인드(Venetian blinds)라 지칭되었다. 이 슬랫은 또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덮개를 이동시키기 위해 수평 길이방향 축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다.
보다 최근에, 셀형 쉐이드(cellular shade)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횡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수평방향으로 또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셀들이 수평 또는 수직 레일 사이에 연장되고 이에 의해 이 레일을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덮개가 건축물 개방구를 가로질러 수축되거나 연장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덮개를 연장시키거나 수축시키는데 수평 레일을 사용하는 수축가능한 덮개는 일반적으로 이 레일을 상호 연결하는 접을 수 있는 쉐이드 재료를 연장시키거나 수축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레일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리프트 코어 시스템을 사용한다. 초기 수축가능한 덮개 또는 쉐이드에서, 접을 수 있는 쉐이드 재료의 하나의 에지는 덮개를 위한 제어 시스템을 또한 포함한 헤드레일(headrail)에 고정될 수 있는 반면, 쉐이드 재료의 반대쪽 에지는 덮개를 각각 수축시키거나 연장시키기 위해 제어 시스템에 의해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는 이동가능한 바텀 레일(bottom rail)에 연결되었다. 다시 말해, 헤드레일 쪽으로 하부 레일을 승상시키는 것에 의해 쉐이드 재료는 덮개가 완전히 수축될 때까지 이들 사이에서 접힐 수 있다. 바텀 레일을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쉐이드 재료는 건축물 개방구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수축가능한 쉐이드가 발전하여 탑다운/바텀업 덮개가 개발되었는데, 이 탑다운/바텀업 덮개는 일반적으로 헤드레일, 이동가능한 탑 레일(top rail) 및 이동가능한 바텀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탑 레일과 바텀 레일 사이에 쉐이드 재료가 연장한다. 이러한 덮개를 위한 제어 시스템은 덮개가 탑 레일을 바텀 레일 쪽으로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탑다운 덮개가 되게 하거나 또는 탑 레일 쪽으로 바텀 레일을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바텀업 덮개가 되게 하도록 탑 레일과 바텀 레일을 독립적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는 리프트 코드 세트를 사용한다. 나아가, 이들 레일은 건축물 개방구를 가로질러 쉐이드 재료의 위치를 다변화시키기 위해 탑 레일과 바텀 레일 사이에 임의로 선택된 간격을 가지고 건축물 개방구 내 임의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축가능한 덮개에서 나타나는 문제는 리프트 코드 그 자체가 일반적으로 헤드레일 내 스풀(spool) 둘레에 감기고 하나의 이동가능한 레일이 다른 이동가능한 레일이 점유하는 위치를 지나 이동하는 경우 리프트 코드가 종종 그 연관된 스풀에서 얽히게 되어 덮개의 오작동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이러한 얽힘을 회피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지만 이 문제를 처리하려는 노력이 여전히 이루어지고 있고 본 발명은 그 해결책으로서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은 탑다운/바텀업 유형의 수축가능한 덮개의 헤드레일 내 랩 스풀(wrap spool) 둘레에 리프트 코드의 얽힘을 회피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발명은 연관된 랩 스풀과 조화를 이루어(in unison with) 회전하도록 구성된 인접한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의 쌍을 제공하고 이 랩 스풀은 접을 수 있는 쉐이드 재료가 부착되는 특정 레일과 더 연관되는 것에 의해 이 문제를 해결한다. 레일이 연관된 리프트 코드를 통해 상승되거나 하강될 때, 이에 따라 코드 스풀이 회전하고 이에 대해 리프트 코드가 감기며 나사산 형성 샤프트(threaded shaft)가 이와 조화를 이루어 회전하고 회전하는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길이를 따라 병진하는 접합 너트를 구비한다. 각 레일과 각 쌍의 하나의 샤프트가 연관된 것인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쌍은 충분히 가까이 위치되어 있어, 각 샤프트에서 접합 너트는 너트의 미리 선택된 위치에서 서로 맞물리고 이에 하나의 레일이 다른 레일을 지나 이동하는 것이 레일의 임의의 원하는 상대적 위치에서 회피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 랩 스풀과 연관된 리프트 코드의 얽힘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 특징 및 상세사항은 청구범위로부터 그리고 도면과 연계하여 이루어진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보다 완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완전히 연장된 상태에서 도시된 탑다운/바텀업 덮개의 사시도;
도 2는 덮개의 탑 레일이 하강된 상태인 도 1과 유사한 사시도;
도 3a는 도 1 및 도 2의 덮개에 사용되는 헤드레일과 제어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3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덮개의 탑 레일과 바텀 레일 및 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접을 수 있는 패브릭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덮개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일부분이 제거된 사시도;
도 5a는 탑 레일은 헤드 레일에 인접하고 바텀 레일은 건축물 개방구의 바텀에 인접한 상태에서 도 1의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서 건축물 개방구 내에 위치된 도 1 및 도 2의 덮개의 정면도;
도 5b는 바텀 레일을 건축물 개방구의 바텀에 인접하게 유지하면서 탑 레일이 하강된 상태인 도 5a와 유사한 정면도;
도 5c는 바텀 레일이 상승되어 하강된 탑 레일과 가까이 이격되어 있는 도 5b와 유사한 정면도;
도 5d는 완전히 수축된 상태로 덮개를 배치하기 위해 바텀 레일이 완전히 상승된 도 5a와 유사한 정면도;
도 6은 도 4의 라인 6-6을 따라 취한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의 상부가 개방된 구성 요소의 일부분이 제거된 것의 상부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라인 8-8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는 도 6의 라인 9-9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은 도 6의 라인 10-10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도 6의 라인 11-11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코드 장력 시스템에 사용되는 접합 너트를 하부방향으로 본 것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코드 장력 시스템의 접합 너트를 하부방향으로 본 것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14는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의 나사산 형성 샤프트 구성 요소의 확대된 단부를 하부방향으로 본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의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작은 단부를 하부방향으로 본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6a는 덮개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때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접합 너트를 도시한 본 발명의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을 하부방향으로 본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16b는 덮개가 도 5b의 상태에 있을 때 취할 수 있는 위치에 접합 너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16c는 덮개가 도 5c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있을 수 있는 위치를 취하는 접합 너트를 구비하는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의 평면도;
도 16d는 덮개가 도 5d에 도시된 상태에 있을 때 있을 수 있는 위치를 취하는 접합 너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17a는 본 발명의 코드 장력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포함하고 완전히 연장된 상태에서 도시된 수축가능한 덮개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17b는 도 17a의 덮개를 도시한 일부분이 제거된 확대 사시도;
도 18은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 덮개를 배치하기 위해 탑 레일이 완전히 상승되고 중간 레일이 완전히 하강된 상태인 도 17a와 유사한 사시도;
도 19a는 도 17a에 도시된 덮개를 위한 헤드레일과 이 헤드레일 내에 한정된 제어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19b는 도 17a의 덮개의 상부 쉐이드 패널과 중간 레일을 도시한 일부분이 제거된 분해 사시도;
도 19c는 도 17a의 덮개의 중간 레일, 하부 쉐이드 패널, 및 바텀 레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0은 덮개의 탑 레일, 중간 레일 및 바텀 레일과 함께 도 17a의 덮개를 위한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일부분이 제거된 사시도;
도 21a는 도 17a의 덮개가 완전히 연장되고 건축물 개방구에 있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21b는 탑 레일이 부분적으로 상승되고 중간 레일이 부분적으로 하강된 것을 도시한 도 21a와 유사한 정면도;
도 21c는 탑 레일이 완전히 상승되고 중간 레일이 탑 레일과 인접하게 상승된 것을 도시한 도 17a의 덮개의 정면도;
도 21d는 중간 레일이 완전히 하강되고 탑 레일이 중간 레일과 인접하게 하강된 것을 도시한 도 17a의 덮개의 정면도;
도 21e는 탑 레일이 완전히 상승되고 중간 레일이 완전히 하강된 것을 도시한 도 17a의 덮개의 정면도;
도 22는 도 20의 라인 22-22를 따라 취한 부분 확대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코드 장력 제어 유닛의 정면도;
도 24는 도 22의 라인 24-24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5는 도 22의 라인 25-25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6은 도 22의 라인 26-26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7은 도 22에 도시된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을 위한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의 일부분이 제거된 상부 사시도;
도 28은 도 22에 도시된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확대 단부를 하부방향으로 본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샤프트의 작은 단부를 하부방향으로 본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30a는 덮개가 도 21a의 위치에 있을 때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접합 너트가 위치된 도 22에 도시된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의 평면도;
도 30b는 덮개가 도 21b의 위치에 있을 때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접합 너트가 위치된 도 22의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의 평면도;
도 30c는 덮개가 도 21c의 위치에 있을 때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접합 너트가 위치된 도 22에 도시된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의 평면도;
도 30d는 덮개가 도 21d의 위치에 있을 때 취할 수 있는 위치에 접합 너트가 위치된 도 22의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의 평면도;
도 30e는 덮개가 도 21e의 위치에 있을 때 취할 수 있는 위치에 접합 너트가 위치된 도 22에 도시된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의 평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의 제3실시예에 대한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을 도시하는 일부분이 제거된 사시도;
도 32는 제3실시예의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확대 단부를 하부방향으로 본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3은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대향하는 단부를 하부방향으로 본 것을 도시하는 도 32와 유사한 사시도;
도 34는 내부에 나사산 형성 샤프트 쌍이 안착된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을 하부방향으로 본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제어 시스템의 정면도;
도 36은 접한 상태에 있는 접합 너트를 도시한 도 34와 유사한 평면도;
도 37은 서로 분리된 접합 너트를 도시한 도 36과 유사한 평면도;
도 38은 도 37에 도시된 하부 샤프트의 접합 너트를 대시 라인으로 도시한 도 37의 라인 38-38을 따라 취한 부분 수직 단면도;
도 39는 도 36에 도시된 바텀 샤프트의 접합 너트를 대시 라인으로 도시한 도 36의 라인 39-39를 따라 취한 부분 수직 단면도;
도 40은 도 39의 라인 40-40을 따라 취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 내지 도 16d는, 건축물 개방구(42)(도 5a 내지 도 5d)에 사용하기 위한 탑다운/바텀업 덮개(40)의 배열을 도시한 것으로, 해당 덮개는 본 발명에 따른 코드 장력 시스템의 제1실시예(64)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탑다운/바텀업 덮개는 헤드레일(46), 탑 레일(48), 바텀 레일(50), 상기 탑 레일과 상기 바텀 레일 사이에 위치되고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접을 수 있는 쉐이드 재료(52) 및 상기 탑 레일과 상기 바텀 레일을 독립적으로 상승시키고 하강시키기 위한 제어 시스템(54)을 구비한다. 쉐이드 재료는 임의의 횡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재료일 수 있으나, 이 쉐이드 재료는 본 발명의 개시를 위하여 패널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연장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수축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복수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셀(56)로 구성된 패널로 예시된다. 패널이나 쉐이드 재료의 상부 에지(58)는 최상위 셀 내에 위치되고 탑 레일의 하부면에 제공된 채널(미도시) 내에 포획된 앵커 스트립(60)(도 3b)의 사용과 같은 임의의 종래의 방식으로 탑 레일의 바텀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된다. 이와 유사하게 패널의 최하위 셀은 최하위 셀을 통해 삽입가능하고 바텀 레일의 상부면에 채널 내에 포획된 앵커 스트립(62)을 가지는 바텀 레일의 상부면에 부착된다. 이런 방식으로 탑 레일과 바텀 레일을 서로 멀어지게 또는 서로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쉐이드 재료의 패널이 각각 연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제어 시스템(54)에 의하여 서로 평행하고 수평으로 배치되게 유지되면서 덮개의 탑 레일(48)과 바텀 레일(50)이 상승되고 하강된다.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은 헤드레일 내에서 서로 역전되어 있는 2개의 동일한 구성 요소(54A, 54B)를 포함하며, 하나의 구성 요소(54B)는 탑 레일(48)을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며 다른 구성 요소(54A)는 바텀 레일(50)을 상승시키고 하강시킨다. 간략화를 위하여 이들 구성 요소 중 단 하나만(54A)이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장력 제어 시스템(64)은 제어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의 일부를 형성하는 리프트 코드(90)의 얽힘을 방지하는 억지 제어 시스템(positive control system)을 제공하도록 이후 설명되는 방식으로 제어 시스템의 2개의 구성 요소(54A, 54B)를 통합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다른 구성 요소의 좌측 또는 상부에 도시된 제어 시스템 구성 요소(54A)가 기술되며, 이 구성 요소는 하나의 단부 캡(70)으로부터 반대쪽 단부 캡(72)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비원형 단면의 세장형(enlogated)의 수평으로 배치된 구동 샤프트(68)를 구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좌측 단부 캡(70)에는 구동 풀리(74)가 제공되며, 이 구동 풀리는 채널 내에 위치된 무한 제어 코드(78)가 하나의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제어 코드를 순환시키는 것에 의해 어느 방향으로 구동 풀리를 회전시키도록 복수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파지 톱니(76)에 의해 한정된 외주 채널을 구비한다. 제어 코드는 시스템의 조작자(operator)에 의해 제어 코드의 순환을 용이하게 하도록 여기에 통합된 태슬(tassel)(80)을 구비한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제어 시스템 구성 요소(54A)는 헤드레일(46)의 좌측 단부에 순화하는 제어 코드(78)를 구비하는 반면, 다른 제어 시스템(54B)은 헤드레일의 우측 단부에 제어 코드를 구비한다.
구동 풀리(74)는 구동 풀리와 연관된 제어 코드(78)가 하나의 방향으로 또는 다른 방향으로 순환되고 있지 않을 때 브레이크가 구동 풀리를 고정된 위치에 유지하도록 종래의 브레이크 또는 2방향 클러치(82) 내에 동작가능하게 저널링된다. 하나의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제어 코드를 이동시키는 것은 브레이크를 해제시켜 제어 코드가 순환되고 있는 한 원하는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브레이크의 일례는 본 출원과 공동 소유이고 그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 문헌으로 병합된 미국 특허 제7,571,756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브레이크(82)의 출력 단부에는 기어 감속 유닛(84)이 입력 속도에 대해 출력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다시 말해, 기어 감속 유닛으로의 입력의 최대 회전은 출력 단부에서는 1/3 또는 1/2 회전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기어 감속 유닛은 헤드레일(46)의 길이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덮개의 폭과 쉐이드 재료의 중량에 따라 필요할 수도 있고 필요치 않을 수도 있다. 이 기어 감속 유닛이 사용되는 경우, 이것은 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종래의 유형일 수 있다.
기어 감속 유닛(84)의 출력 단부는 구동 풀리(74)의 회전의 속도에 따라 미리 결정된 회전 속도로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비원형인 구동 샤프트(68)의 좌측 단부를 수용한다. 구동 샤프트의 회전은 이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샤프트 상에 장착되고 종래 방식으로 헤드레일(46) 내에 고정된 크래들(cradle)(88) 내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된 종래의 코드 랩 스풀(86C)을 회전시킨다. 일반적인 랩 스풀과 크래들은 본 출원과 공동 소유되고 그 개시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 문헌으로 병합된 전술한 미국 특허 제7,571,756호에서 찾아볼 수 있고 이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코드 랩 스풀은 리프트 코드(90C)의 일단부를 고정시키고 그 반대쪽 단부는 바텀 레일을 지지하되, 바텀 레일이 스풀의 회전에 의하여 상승되거나 하강되도록 바텀 레일(50)을 지지하며, 이와 연관된 리프트 코드는 스풀 주위에 감기고 스풀로부터 풀린다고 할 수 있다. 이 스풀은 리프트 코드 재료가 이 스풀 주위에 감길 때 축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되어 얽힘을 방지하지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풀이 과다하게 감기거나 과소하게 감기는 경우 일부 상태에서는 연관된 리프트 코드가 얽히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얽힘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설계된 것이 본 발명의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이다.
전술한 랩 스풀(86C)의 우측에는 이와 일체로 회전하기 위해 구동 샤프트(68)에는 또한 본 발명의 코드 장력 시스템(64)의 나사산 형성 샤프트 부재(92)가 장착되며 이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나사산 형성 샤프트는 구동 샤프트와 조화를 이루어 회전하도록 구동 샤프트와 동일한 비원형인 단면의 길이방향 통로(94)를 구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구동 샤프트(68)는 전술한 코드 랩 스풀(86C)과는 반대쪽 코드 장력 시스템(64) 측에 제2코드 랩 스풀(86E)을 지지하며 여기서 제2코드 랩 스풀은 제1코드 랩 스풀과 동일하고 헤드레일(46) 내에 고정된 크래들(88)에 다시 회전가능하게 안착된다. 제2랩 스풀과 연관된 리프트 코드(90E)는 제1코드 랩 스풀로부터 나오는 리프트 코드(90C)와 같이 바텀 레일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개시를 위하여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각각 랩 스풀(86C, 86E)과 연관된 리프트 코드(90C, 90E)는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바텀 레일(50)에 고정되어 구동 샤프트(68) 및 이에 따라 이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된 랩 스풀(86C, 86E)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바텀 레일을 상승시키고 하강시킨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샤프트의 우측 단부는 구동 샤프트가 이와 연관된 제어 코드(78)의 순환 방향에 따라 양방향 회전을 위해 헤드레일 내에 지지되도록 임의의 종래의 방식으로 헤드레일(46)의 우측 단부에 있는 단부 캡(72) 내에 저널링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제1 및 제2코드 랩 스풀(86C, 86E)과 각각 연관된 리프트 코드(90C, 90E)는 탑 레일(48)에 있는 그로밋(grommet)(96)을 통해 그들의 연관된 랩 스풀로부터 아래쪽으로, 이어서 바텀 레일(50)로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여기서 이들 코드는 제1그로밋(98)을 통해 연장되고, 그 후 제2그로밋(100)을 통해 위쪽으로 다시 연장되는데, 여기서 리프트 코드의 단부가 바텀 레일에 매듭지어지거나 바텀 레일에 부착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하나의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전술한 구동 샤프트(68)와 그 연관된 랩 스풀(86C, 86E)이 회전하면 탑 레일과는 독립적으로 바텀 레일이 상승되거나 하강되게 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술되지는 않았으나 도 3a에서 전술한 제어 시스템 구성 요소(54A)의 우측에 도시된 제어 시스템 구성 요소(54B)는 제2제어 시스템 구성 요소의 제1 및 제2리프트 스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리프트 코드(90B, 90D)를 지지하는 코드 랩 스풀(86B, 86D)을 구비하며, 이 리프트 코드는 탑 레일에 있는 제1그로밋(102)을 통해 연장되고 후속하여 인접한 그로밋(104)을 통해 위쪽으로 연장되는데, 여기서 리프트 코드(90B, 90D)의 단부가 탑 레일(48)에 매듭지어지거나 해당 탑 레일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구성 요소와는 독립적으로 제어 시스템의 제2구성 요소가 회전하면, 리프트 코드(90B, 90D)가 그 연관된 스풀(86B, 86D)에 감기거나 이로부터 풀리는 한, 탑 레일이 상승하거나 하강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로부터, 조작자가 탑 레일(48)을 이동시키지 않으면서 바텀 레일(50)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를 원할 경우 제어 시스템의 제1구성 요소(54A)는 연관된 제어 코드(78)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탑 레일은 연관된 제어 코드를 순환시키는 것에 의해 동일하게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쉐이드 재료(52)는 탑 레일과 바텀 레일 사이에 무한한 개수의 상태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들 상태 중 4개의 상태가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서, 쉐이드는 건축물 개방구(42)에 걸쳐 완전히 연장되고 여기서 덮개의 헤드레일(46)에 인접하게 탑 레일을 상승시키고 개방구의 바텀에까지 바텀 레일을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장착된다. 도 5b에서 바텀 레일은 건축물 개방구의 바텀에 유지되는 한편, 탑 레일은 개방구에 걸쳐 대략 절반 정도 하강되었다. 도 5c는 탑 레일이 도 5b에 도시된 위치에 남아있으나 바텀 레일은 탑 레일과 인접하게 상승된 것을 도시한다. 도 5d는 덮개가 상승된 위치로 완전히 수축되도록 탑 레일이 개방구의 상부에 위치되고 바텀 레일이 탑 레일과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것을 도시한다.
이제 제어 코드(78)의 작동시 리프트 코드(90)의 얽힘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코드 장력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설명으로부터 각각의 제어 시스템 구성 요소(54A 및 54B)는 일체 회전을 위해 연관된 구동 샤프트(68)에 장착된 동일한 나사산 형성 샤프트(92)의 형태로 코드 장력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각 나사산 형성 샤프트는 도 14 및 도 15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데 나사산의 일 단부에 감소된 직경의 작은 단부(108)를 구비하고 나사산의 반대쪽 단부에 확대된 단부(110)를 가지는 나사산이 형성된 메인 바디(106)를 포함한다. 길이방향 통로(94)는 비원형인 단면의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전체 길이를 관통하게 도시되며 이는 그 위에 장착된 구동 샤프트와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일체 회전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동 샤프트의 단면과 상관된다. 각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확대된 단부는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연관된 단부로부터 짧은 간격으로 그 위에 일체로 형성된 큰 링(112)을 구비하고, 이 큰 링으로부터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반대쪽 작은 단부 쪽으로 이격된 거리에는 일체형 중간 또는 중간 링(114)이 있다.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반대쪽 작은 단부 쪽으로 다시 중간 링으로부터 이격되어 중간 링과 동일한 직경의 일체형 내부 링(116)이 있으며, 이 내부 링의 면은 후술되는 목적을 위하여 그 위에 형성된 방사방향 테이퍼진 톱니 또는 캐치(catch)(118)를 가지는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작은 단부에 가장 가까이 있다. 도 3a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확대된 단부(1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우측 단부에 있도록 연관된 구동 샤프트(68) 상에 위치된다.
각 나사산 형성 샤프트(92)는 그 위에 나사산이 형성된 동일한 접합 너트(120)를 구비하며, 여기서 접합 너트는 나사산 형성 샤프트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용부를 위해 관통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통로(122)와 확대된 상부 단부(124)와 하부 단부(126)를 구비한다. 길이방향 그루브(128)는 이후 설명되는 목적을 위하여 하부 단부의 하부면에 제공되고, 캐치 블록(130)은 그 위에 형성된 캐치(118)를 가지는 내부 링(116)의 대향하는 면과 직면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된 통로(122) 위 확대된 단부(110)와 마주보는 접합 너트의 면에 고정된다. 이런 방식으로, 접합 너트가 일 방향으로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추가적인 회전을 억지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 링에 인접하게 위치될 때 캐치는 블록에 접할 수 있다.
도 3a,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각 나사산 형성 샤프트(92)는 하우징에 대해 이동하지 않도록 헤드레일(46)에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132)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될 수 있다.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은 그 대향하는 단부에서 하우징과 내부에 형성된 크래들(134)을 통해 그 대향하는 단부에서 각 나사산 형성 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나사산 형성 샤프트는 도 6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가장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작은 거리로 서로 길이방향으로 변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위 샤프트(92A) 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샤프트를 제일 먼저 참조하면,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큰 링(112)과 중간 링(114) 사이에 한정된 스페이스 또는 외주 그루브(136)는 나사산 형성 샤프트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길이방향으로 상당히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 핑거(finger)(138)를 수용한다. 유사한 핑거(140)가 특히 나사산 형성 샤프트가 회전하는 동안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길이방향 병진을 방지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내부 링(116)과 중간 링 사이에 한정된 외주 스페이스(142)로 돌출하도록 하우징의 벽에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92B), 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 나사산 형성 샤프트를 참조하면, 큰 링(112)이 하우징의 내부면에 제공된 그루브(144) 내에서 가이드되고 다른 핑거(146)가 연관된 나사산 형성 샤프트가 특히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회전 동안 길이방향으로 또는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간 링(114)과 내부 링(116) 사이 환형 스페이스(142)로 돌출하게 하우징의 인접한 벽에 형성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큰 링은 상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내부 링과 중간 링 사이의 갭(142)으로 돌출하여 상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와 하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가 미리 결정된 원하는 위치에서 서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항상 억지 위치되도록 2개의 나사산 형성 샤프트들 사이에 억지 축방향 관계를 더 보장한다는 것을 도 6에서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각 접합 너트(120)는 연관된 나사산 형성 샤프트(92)와 나사산을 통해 장착되고 하우징의 바텀 면을 따라 내부쪽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 리브(148)에 의해 하우징(132) 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가이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접합 너트는 연관된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회전 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오히려, 너트는 샤프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길이를 따라 병진이동된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접합 너트는 연관된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길이를 따라 서로 스쳐 지나갈 수 없도록 서로 측방향으로 중첩(overlap)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접합 너트가 다른 접합 너트와 맞물릴 때, 나사산 형성 샤프트는 접합을 일으키는 방향으로 더 회전하는 것이 억지 방지된다. 이와 유사하게 각 접합 너트는 접합 너트의 면의 블록(130)이 내부 링(116)의 면에 캐치 또는 톱니(118)와 맞물리면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확대된 단부(110) 쪽으로 더 회전하는 것이 억지 방지된다. 톱니 및 블록 사이에 동작 맞물림은, 너트와 샤프트가 만들어지는 재료가 원하는 회전을 넘어 약간의 회전을 가능하게 허용할 수 있는 내부 링으로 너트의 약간의 압축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만큼 소프트할 수 있는 경우에도,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추가적인 회전을 즉시 방지하는 억지 수단(positive means)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력 제어 디바이스(64)는 나사산 형성 샤프트(92)와 구동 샤프트(68)의 회전 및 리프트 코드와 그 연관된 레일의 상승 및 하강을 매우 정확하고 억지 제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연관된 랩 스풀 주위에 리프트 코드가 감기거나 이로부터 풀릴 때 리프트 코드에 대한 제어를 개선하며 이 억지 제어가 없다면 리프트 코드의 얽힘이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서 문제를 야기한다. 이 얽힘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이동가능한 레일이 다른 이동가능한 레일 쪽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이 지속되는 것에 의해 제2이동가능한 레일이 제2레일과 연관된 리프트 코드에 느슨함을 생성하는 위치로 구동하여, 이에 의해 종종 연관된 리프트 코드가 그 연관된 코드 랩 스풀 주위에 감기는 얽힘을 야기할 때 발생하게 된다.
접합 너트(120)의 중첩으로 인해, 이 제어 시스템 구성 요소는 동작가능하게 상호 관련되고, 덮개의 조립 동안 원하는대로 그리고 적절히 접합 너트를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얽힘을 방지하도록 리프트 코드에 원하는 제어를 하는 것은 하나의 레일이 다른 레일과 맞물려 이 다른 레일을 제 위치에서 벗어나게 구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을 때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시스템의 동작을 최상으로 기술하기 위해 도 5a 내지 도 5d는 도 5a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레일(48)과 바텀 레일(50)의 상대적 및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접합 너트(120)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해 도 16a 내지 도 16d와 각각 상관된다. 명백히, 탑 레일과 바텀 레일의 상대적 위치는 무한 개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건축 덮개(40)의 위치들 중 단 4개의 위치와 조건만이 예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6a 내지 도 16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92A)는 그 회전이 바텀 레일이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게 바텀 레일(50)과 연관된다. 도 16a 및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92B)는 탑 레일(48)과 연관되고 그 회전은 탑 레일의 이동과 상관된다. 먼저 도 5a 및 도 16a를 참조하면, 탑 레일은 헤드레일(46)에 인접한 최고 극단 위치에 위치되고, 연관된 접합 너트의 위치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관된 나사산 형성 샤프트(92B) 또는 하부 샤프트의 좌측 단부에 가까이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바텀 레일은 건축물 개방구의 하부에 인접한 최저 극단 위치에 위치되고, 그 연관된 접합 너트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관된 나사산 형성 샤프트(92A)의 우측 단부 또는 상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에 위치된다. 따라서, 하부 접합 너트는 도 16a에서 보이는 것보다 더 좌측으로 위치될 수 없는데 이는 탑 레일이 올라갈 수 있을 만큼 높이 있고, 바텀 레일이 내려갈 수 있을 만큼 낮게 있을 때에 바텀 레일과 연관된 접합 너트가 갈 수 있을 만큼 우측으로 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도 5b 및 도 16b를 참조하면, 바텀 레일(50)은 여전히 최저 극단 위치에 있어서 이 위치와 연관된 접합 너트(120)(도 16b에 도시된 상부 너트)는 이동되지 않고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 형성 샤프트(92A) 또는 상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우측 단부에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부 레일(48)은 하강될 수 있고 이것이 하강될 때 이와 연관된 접합 너트(도 16b에 도시된 하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 상에 있는 너트)는 우측으로 병진이동된다.
이어서, 도 5c 및 도 16c를 참조하면, 상부 레일(48)은 도 5b에 있는 위치에 유지되고, 따라서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92B)에 있는 대응하는 접합 너트(120)는 도 16b에서 이것이 점유하는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있다. 그러나, 바텀 레일(50)은 상승되고 이것이 상승될 때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샤프트(92A)에 있는 연관된 접합 너트는 좌측으로 병진이동되고 사실 이 방향으로 추가적인 회전이 가능하지 않도록 하부 접합 너트에 접한다. 이것은 물론 연관된 접합 너트들이 서로를 향해 더 이동될 수 있는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회전을 매우 억지 정지시켜서 이에 연관된 코드 랩 스풀이 더 회전되지 않게 억지 정지되어 이에 레일의 추가적인 이동과 이와 연관된 리프트 코드의 가능한 얽힘을 방지한다. 연관된 나사산 형성 샤프트에 접합 너트를 적절히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 사이의 간격이 이들 레일이 건축물 개방구 그 자체 내에 위치된 것에 상관없이 제어도리 수 있고, 이들은 예를 들어,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미리 결정된 간격보다 결코 더 가까워질 수 없다.
도 5d 및 도 16d를 참조하면, 상부 레일(48)은 개방구(42)의 상부로 상승되므로, 이에 연관된 (도 16d에 도시된 하부 샤프트(92B) 상에 있는) 접합 너트(120)는 도 16a에서 이것이 점유하는 위치로 병진이동되고 동시에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접합 너트(120)와 연관된 바텀 레일(50)은 탑 레일과 바텀 레일의 원하는 최근접 간격으로 상승되고 이는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접합 너트들이 서로 맞물릴 때 발생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합 너트의 접합은 연관된 구동 샤프트의 추가적인 회전을 방지하는 매우 억지 및 신속한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에 상부 및 하부 레일 사이에 패브릭이 추가적으로 압축되는 것과, 레일이 제 위치에서 벗어나게 원치 않게 더 이동하는 것과, 이에 따라 리프트 코드의 있을 수 있는 얽힘이 회피된다.
상기로부터 무한히 가변적인 위치들 사이에 탑다운/바텀업 덮개의 상부 및 하부 레일을 상승시키고 하강시키기 위한 시스템이 사용된 것일 뿐만 아니라 이 시스템은 전술한 코드 장력 시스템의 사용을 통해 얽힘을 야기할 수 있는 레일의 원치 않는 이동과 이에 따른 덮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억지 및 신속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 도 17a 내지 도 30e를 참조하면,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의 제2실시예(152)에서 탑다운/바텀업 덮개의 제2배열(150)이 예시된다. 그러나, 이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그 코드 장력 제어 부분(152)을 제외하고는 구성 요소(154A, 154B)를 구비하는 제어 시스템(154)은 이동가능한 레일이 쉐이드 재료의 2개의 별개의 압축가능한 패널(156, 158)과 연관되어 있을지라도 덮개 내에서는 단 2개의 레일만이 이동가능하다는 점에서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7a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탑다운/바텀업 덮개의 이 배열(150)은 제1배열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헤드레일(46), 접을 수 있는 쉐이드 재료의 탑 패널(156), 및 접을 수 있는 쉐이드 재료의 바텀 패널(158)을 포함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쉐이드 물질의 탑 패널(156)은 앵커 스트립(미도시)을 구비하는 종래 방식으로 헤드레일(46)로부터 매달려 있는 최상위 셀을 구비하며, 그 바텀 에지는 탑 패널의 최하위 셀을 통해 앵커 스트립의 사용을 통해 탑 레일(160)에 연결된다. 바텀 패널(158)의 최상위 셀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시스템을 통해 또는 앵커 스트립(미도시)을 가지고 중간 레일(162)의 하부면에 연결되며, 바텀 패널의 바텀 또는 최하위 셀은 유사한 방식으로 바텀 레일(164에 연결된다. 덮개의 이 배열의 바텀 레일은 건축물 개방구(42)의 프레임워크의 임계값(166)(도 21a 내지 도 21e)에 고정되어서 전혀 이동하지 않는다. 이와 유사하게 헤드레일은 적절한 브래킷(미도시)에 장착되어서 전혀 이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탑 레일(160)과 중간 레일(162)은 코드 장력 시스템(152)이 제2실시예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6d의 제1배열과 관련하여 기술된 유형의 제어 시스템(154A 또는 154B)을 통해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7a를 참조하면, 덮개(152)는 완전히 연장되고 탑 패널(156)은 완전히 연장되며 바텀 패널(158)은 완전히 연장되며, 이 위치에서 탑 레일(160)은 중간 레일(162)에 인접하고 있다. 도 18은 탑 레일이 상부 패널을 헤드레일(46)에 인접한 접힌 위치로 수축하기 위해 상승된 것과, 중간 레일은 바텀 레일(164)에 인접한 수축된 위치에서 하부 패널을 접을 수 있도록 하강된 것을 도시한다. 도 17b는 사이즈 제한으로 인해 일부분이 제거된 도 17a의 위치에 있는 덮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다음에 도 19a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동일하지만 역전된 제어 시스템 구성 요소(154A, 154B)를 가지는 헤드레일(46)이 덮개를 동작시키는데 사용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16d의 배열과 본 배열의 제어 시스템 구성 요소의 유일한 차이는 후술히는 상이한 코드 장력 시스템(152)과, 정지해서 고정된 가이드 코드(168)(도 19a, 도 19b 및 도 20)가 헤드레일(46)의 앵커 위치로부터 바텀 레일(164)로 연장되어 덮개의 동작시 탑 레일(160)과 중간 레일(162)의 이동을 가이드한다는 것에 있다. 덮개의 이 배열에서, 도 19a에서 다른 구성 요소(154B)의 좌측과 상측에 도시된 제어 시스템 구성 요소(154A)는 랩 스풀(172C, 172F)과 각각 연관된 리프트 코드(170C, 170F)를 구비하며, 여기서 코드(170C, 170F)는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그 하부 단부는 본 발명의 제1배열에서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중간 레일(162)(도 20)에 고정된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또는 하부 제어 시스템 구성 요소(154B)와 연관된 리프트 코드(170B와 170E)는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본 발명의 제1배열에서 기술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탑 레일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또는 좌측 제어 시스템 구성 요소(154A)의 동작은 중간 레일(162)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반면,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또는 우측 구성 요소(154B)의 동작은 탑 레일(160)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킨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탑 레일과 중간 레일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직으로 각각 이동되고 그리하여 코드 장력 시스템(152)의 동작 파라미터 내 건축물 개방구 내에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덮개의 이러한 배열로, 상부 패널 세그먼트는 탑 레일의 위치에 상관없이 헤드레일로부터 탑 레일로 항상 연장되며, 하부 쉐이드 구성 요소는 중간 레일의 위치에 상관없이 바텀 레일로부터 중간 레일로 항상 연장된다.
다음에, 도 22 내지 29를 참조하면,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152)이 기술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의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고 전술한 것과 동일한 2개의 동일한 나사산 형성 샤프트(174)와 2개의 동일한 접합 너트(120)를 다시 포함한다. 도 28 내지 도 29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 형성 샤프트는 나사산이 형성된 세장형 바디 부분(178), 작은 직경 단부(180) 및 큰 직경 단부(182)를 구비하며, 제어 시스템 구성 요소에 대해 구동 샤프트의 것과 상관하기 위해 비원형인 단면의 관통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184)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나사산 형성 샤프트가 연관된 구동 샤프트(68)와 조화를 이루어 회전하도록 연관된다.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큰 직경 단부는 그 사이에 외주 채널(190)을 한정하기 위해 동일한 직경의 중간 링(188)으로부터 이격된 제1직경의 그 위에 형성된 외부 링(186)을 구비한다. 이어서 중간 링은 그 사이에 또 다른 외주 채널(194)을 형성하는 큰 직경 링(19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큰 직경 링은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작은 단부(180)와 직면하는 그 위에 형성된 테이퍼진 방사방향 캐치 또는 톱니(196)를 구비한다. 제1링과 중간 링은 각각 그 위에 형성된 정렬 탭(198)을 구비하며, 이는 구동 샤프트와 나사산 형성 샤프트 사이에 원하는 관계로 구동 샤프트에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 외의 동작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152)은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의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것과 동일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접합 너트를 가지는 각 나사산 형성 샤프트 상에 접합 너트(120)를 더 포함한다. 나사산 형성 샤프트는 나사산 형성 샤프트(174A, 174B)와 동작가능하게 도 27에서 가장 잘 도시되고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된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200)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러나,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 형성 샤프트는 제1기술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서로 길이방향으로 오프셋되고 하우징에 대해 나사산 형성 샤프트를 억지 위치시키는 크래들(202)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대향하는 단부를 구비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하우징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헤드레일(46) 내에 고정 위치된다.
먼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174A)를 참조할 뿐만 아니라 도 24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하우징(200)은 상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사산 형성 샤프트에 있는 외부 링(186) 및 중간 링(188) 사이 갭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바텀 벽에 형성된 직립 핑거(204)를 구비한다. 스탠션(stanchion)(206)은 상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중간 링에 바로 인접한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스텐션은 그 위에 장착된 바이어스 스프링(biasing spring)(208)을 구비하며, 이 스프링의 하나의 암(210)은 하우징의 측벽에 있는 홀(212)을 통해 연장되어 이 홀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대향하는 단부는 중간 링과 마주보는 큰 링(192)의 면과 맞물린다. 그리하여 스프링(208)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 형성 샤프트를 좌측으로 바이어스시켜서, 외부 링을 접합 핑거(204)로 홀딩하여, 하우징 및 이에 따라 헤드레일 그 자차에 대해 샤프트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을 보장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174B)를 참조할 뿐만 아니라, 도 24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다른 접합 핑거(214)가 하우징의 하부벽에 제공되고 중간 링(188)과 마주하는 큰 링(192)의 면과 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접합 핑거는 하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는 하우징의 대향하는 측벽에 있는 제2스탠션(218)에 장착된 제2스프링(216)으로 우측으로 바이어스되고, 이 제2스프링은 제1스프링과 동일하며 측벽에 있는 홀(220)을 통해 연장되어, 이에 고정된 하나의 핑거를 구비하며, 이 제2스프링의 대향하는 암(222)은 중간 링과 마주하는 외부 링(186)의 면과 맞물려 하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를 우측으로 바이어스시키고 접합 핑거(214)와 억지 접합하게 바이어스시킨다. 스프링 바이어스 시스템은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회전 동안 그리고 그 위에 장착된 접합 너트의 병진 이동 동안에도 이동이 없게 하우징에 대해 나사산 형성 샤프트를 억지 위치시키는데 바람직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다음에, 덮개의 5개의 상이한 위치를 도시한 도 21a 내지 도 21e 및 도 30a 내지 도 30e에 도시된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152)의 상관된 도면을 각각 참조하면,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은 랩 스풀과 연관된 리프트 코드(170)의 얽힘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 샤프트(68)와 랩 스풀(172)의 회전을 제어하는 억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식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1a를 먼저 참조하면, 탑 레일(160)은 건축물 개방구(42)의 중간에 대략 위치되고, 중간 레일(162)은 건축물 개방구의 대략 중심에 또한 이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3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샤프트(174A)에 있는 접합 너트(176)는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대략 길이방향 중심에 있는 하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174B)에 있는 접합 너트와 접합하게 그 연관된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대략 길이방향 중심에 있다. 조작자가 랩 스풀과 연관된 리프트 코드의 얽힘을 야기할 수 있는 원하는 것보다 더 상부 레일이나 중간 레일의 반대쪽 쪽으로 상부 레일이나 중간 레일을 이동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합 너트가 또한 접합되는 것이 요구될 때에는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60, 162)이 접해 있을 때이다. 따라서, 도 3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의 접합은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접합을 넘어 레일이 이동하는 것을 억지 방지한다.
도 21b에서, 상부 레일(160)은 짧은 거리 상승된 반면, 중간 레일(162)은 짧은 거리 하강되어서 이는 상부 접합 너트(176)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하고 하부 접합 너트는 좌측으로 별도의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도 21c를 참조하면, 상단 레일(160)은 덮개의 헤드레일(46) 부근으로 상승되었으며 이에 연관된 너트(176)(도 30c에 도시된 하부 접합 너트)는 나사산 형성 샤프트(174B)의 좌측 단부에 더 가까이 있고, 중간 레일(162)은 상부 레일에 접하게 상승되어 있어, 다시 접합 너트들이 맞물려 레일이 서로를 향해 추가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요구되게 되는데, 이는 이것이 리프트 코드의 얽힘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접합 너트의 접합은 추가적인 이동을 억지 방지하고 이에 따라 얽힘을 방지한다.
도 21d를 참조하면, 중간 레일(162)이 바텀 레일(164)로 꽤 가까이 하강되었고 탑 레일(160)은 중간 레일과 인접하게 접하게 하강되었다. 재차, 연관된 샤프트 상에 있는 너트(176)가 우측으로 이동된 동안 탑 레일과 중간 레일이 하강되었으므로, 이들은 서로를 향해 레일이 추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지 방지하도록 탑 레일과 중간 레일이 접하는 것처럼 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것은 리프트 코드가 얽힐 가능성을 방지한다.
도 21e를 참조하면, 탑 레일(160)은 헤드레일(46)에 인접하게 상승되고 중간 레일(162)은 바텀 레일(164)에 인접하게 하강되어 있어, 도 3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과 연관된 너트(176)는 탑 레일과 중간 레일의 위치에 의하여 나타난 대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152)의 이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샤프트(68)에 있는 랩 스풀과 연관된 리프트 코드의 얽힘 가능성이 특히 하나의 레일이 다른 레일 쪽으로 압축 이동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이동하는 레일이 제2이동가능한 레일을 이 제2이동가능한 레일과 연관된 리프트 코드에 느슨함을 생성시키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리프트 코드의 읽힘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요구되는 것보다 더 많이 탑 레일과 중간 레일이 서로를 향해 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 실시예에서, 나사산 형성 샤프트는, 하우징에 형성된 고정된 핑거에 나사산 형성 샤프트를 홀딩하는 스프링 바이어스 시스템에 의해 접합 너트의 접합이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억지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의 제3실시예는 도 31 내지 도 40에 도시되며,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의 이 실시예는 전술된 탑다운/바텀업 덮개 배열 중 하나와 관련하여 사용하는데 적용가능하다. 다시 말해,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의 제3실시예는 이동가능한 탑 레일과 바텀 레일 사이에 단일의 접을 수 있는 패널이 있는 배열 또는 고정된 헤드레일로부터 이동가능한 탑 레일로 연장되하는 상부의 접을 수 있는 패널과 이동가능한 중간 레일로부터 고정된 바텀 레일로 연장되는 바텀 패널을 가지는 2개의 접을 수 있는 패널이 있는 배열에서 작동할 수 있다.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의 처음 2개의 기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3실시예는 차후 상세히 설명되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240)을 포함하고 여기서 2개의 동일한 나사산 형성 샤프트(242)가 이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고 덮개에서 이동가능한 레일들 중 하나에 대해 연관된 구동 샤프트(244)에 키 고정(keyed)되고 각 나사산 형성 샤프트는 그 위에 나사산 형성 접합 또는 조정 너트(246)를 구비하며 상기 접합 또는 조정 너트는 덮개에서 이동가능한 레일 중 하나의 레일의 추가적인 이동이 요구되지 않을 때 서로 접하도록 인접한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너트와 중복한다.
먼저 도 32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사용되는 나사산 형성 샤프트(242)가 도시되고 이 샤프트는 중공 샤프트(250)를 따라 나사산 형성 세그먼트(248)를 가지고 중공 샤프트는 구동 샤프트(244)의 것과 상관하는 비원형인 단면의 관통하는 통로(252)를 구비하여 나사산 형성 샤프트가 처음 2개의 기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동 샤프트와 조화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큰 단부에는 외부 링(254)과 내부 링(256)이 동일한 직경으로 제공되고 이들은 이들 사이에 외주 그루브(258)를 한정하게 이격되어 있다. 외부 링은 그 외부면에 내부 링과는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방사방향 톱니(260)를 구비하며, 이 톱니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 맞물림 면(262)을 한정하는 반면, 내부 링은 외부 링과는 반대쪽을 향하는 내부로 향하는 면에 동일한 접합 톱니(264)를 구비한다. 나사산 형성 샤프트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도 34, 도 36, 도 37에서 아마도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1의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240)에 안착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하나의 샤프트의 큰 단부(도 34, 도 36, 도 37에서 보았을 때 상부 샤프트)는 하우징의 우측 단부에 있고, 도 34, 도 36, 도 37에서 보았을 때 하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큰 단부는 하우징의 좌측 단부에 있다. 하우징은 나사산 형성 샤프트가 크래들 내에서 회전할 수 있게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연관된 단부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대향하는 단부에 적절한 크래들(266, 268)을 구비하고, 이들이 회전할 때 연관된 접합 너트(246)는 앞서 기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길이를 따라 병진이동된다. 하우징의 바텀 벽(272)에 있는 레일(270)은 연관된 나사산 형성 샤프트가 연관된 구동 샤프트에 의해 회전할 때 너트가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지만 이 너트가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길이를 따라 병진이동하게 한다.
도 31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나사산 형성 샤프트(242)의 큰 단부를 지지하는 크래들(266)을 구비하는 하우징(240)의 단부는 하우징의 바텀벽(272)으로부터 위쪽에 돌출하는 직사각형 단면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274)를 구비하며, 하우징의 인접한 단부 쪽으로 또는 외부쪽으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접합 탭(276)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 링(254)에 있는 방사방향 톱니(260)와 접하게 위치된다. 횡방향 리브(274) 내부로는 일반적으로 Z자 형상의 스프링 암(278)이 있고 이 암은 예를 들어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에 고정된 하부 수평 레그(280), 중간 위치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간 레그(282) 및 상기 하부 레그의 것으로부터 하우징의 대향하는 단부 쪽으로 연장되는 상부 레그(284)를 가지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상부 레그의 자유 에지(286)는 연관된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내부 링(256)과 맞물리도록 위치되어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큰 단부를 지지하는 하우징의 단부 쪽 방향으로 샤프트의 이동을 유순하게 저지한다.
도 36을 참조하면, 접합 너트(246)는 서로 접하게 도시되며 이것은 각 나사산 형성 샤프트(242)와 연관된 이동가능한 레일이 서로에 대하여 근접하게 위치될 때 그리고 서로 쪽으로 더 이동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 위치에서 그러할 수 있다. 도 34는 연관된 이동가능한 레일이 서로 분리될 때 분리된 접합 너트를 도시하며, 도 37은 접합 너트가 훨씬 더 분리되어 있고 2개의 이동가능한 레일 중 최상부 레일과 연관된 도 3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바텀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접합 너트가 연관된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내부 링(256)과 접해 있고 접합 너트에 있는 방사방향 리브(288)가 내부 링의 방사방향 톱니(264)와 맞물려서 접합 너트가 내부 링 쪽으로 이동하게 하는 방향으로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추가적인 회전이 방지된 것을 도시한다.
도 38 및 도 39를 참조하면, 스프링 암(278)과 횡방향 리브(274) 및 접합 탭(276)의 동작이 도시된다. 다시 말해, 도 38 및 도 39는 도 34, 도 36 및 도 37에서 보았을 때 상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242)의 단면이며, 이 나사산 형성 샤프트는 덮개에서 2개의 이동가능한 레일 중 최저 레일과 연관된다. 하부 이동가능한 레일에 대한 제어 코드가 상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에 있는 접합 너트(246)가 도 38 및 도 39에서 보았을 때 좌측으로 병진이동하게 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다면, 또는 덮개에서 최고 이동가능한 레일과 연관된 하부 나사산 형성 샤프트가 접합 너트가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병진이동하도록 회전되고 있다면, 너트는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궁극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이것이 일어날 때,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너트는 연관된 스프링 암(278)의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큰 단부 쪽으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관된 나사산 형성 샤프트를 초기에 푸시하는 것으로 반응하며, 이는 나사산 형성 샤프트에 있는 외부 링이 하우징 내 연관된 접합 탭(276)과 맞물리거나 실질적으로 맞물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아 외부 링에 있는 방사방향 맞물림 톱니(260)와 정렬될 때까지 큰 단부 쪽 방향으로 작은 양만큼 나사산 형성 샤프트가 이동하게 한다. 이것은 물론 연관된 접합 너트를 서로를 향해 병진이동할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어 덮개에서 연관된 레일의 이동을 종료할 수 있도록 나사산 형성 샤프트를 위치시킨다.
그리하여, 제3실시예의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은 서로를 향해 이동가능한 레일의 초기 유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지만 일단 초기 유순한 이동이 발생하면,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 내에서 연관된 접합 탭(276)에 있는 방사방향 톱니(260)의 상호 관계로 인해 하나의 레일을 다른 레일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매우 억지 차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라, 탑다운/바텀업 덮개는 리프트 코드가 랩 스풀에 얽히는 것을 방지하는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의 2개의 서로 다른 실시예와 2개의 서로 다른 배열로 도시되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얽힘은 리프트 코드의 얽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서로를 향한 레일의 과다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연관된 리프트 코드 및 랩 스풀과 나사산 형성 샤프트에 있는 접합 너트를 상관시키는 것에 의해 방지된다.
본 발명은 특정 상세사항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개시내용은 예를 위해 이루어진 것이라는 것과, 이 상세사항이나 구조에서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건축물 개방구용 탑다운/바텀업 덮개(top down/bottom up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로서,
    헤드레일(headrail);
    접을 수 있는 쉐이드 재료(shade material)의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지지하는 적어도 2개의 수평으로 배치된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레일;
    각 레일에 부착된 적어도 2개의 유연한 리프트 코드(lift cord);
    각 레일과 연관된 제어 시스템 구성 요소로서, 각 구성 요소가 세장형 구동 샤프트(elongated drive shaft), 길이방향의 축에 대해 상기 구동 샤프트를 왕복가능하게 가역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상기 구동 샤프트와 함께 회전가능한 랩 스풀(wrap spool)을 구비하는 것인 제어 시스템 구성 요소; 및
    상기 리프트 코드가 상기 랩 스풀에서 얽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을 조합하여 포함하되,
    상기 랩 스풀은 상기 리프트 코드가 해당 랩 스풀 주위에 감기거나 해당 랩 스풀로부터 풀릴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 코드에 연결되고, 상기 레일의 수직 이동은 상기 스풀 주위에 상기 리프트 코드를 감고 푸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은, 각 구동 샤프트와 연관되어서 각 구동 샤프트와 조화를 이루어 회전가능한 나사산 형성 샤프트(threaded shaft), 및 연관된 샤프트를 따라 병진이동을 하기 위해 상기 나사산 형성 샤프트 각각 상에 있는 나사산 형성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산 형성 샤프트들 상에 있는 상기 너트들은 연관된 나사산 형성 샤프트를 따라 진행 경로에서 중첩됨으로써, 상기 너트들이 인접한 너트와 맞물릴 때, 상기 구동 샤프트는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의해 상기 구동 샤프트 상에 있는 상기 랩 스풀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코드 장력 제어 시스템은 상기 나사산 형성 샤프트가 회전가능하게 내부에 장착된 하우징,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의 미리 결정된 양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나사산 형성 샤프트와 맞물리는, 상기 하우징 내에 있는 고정된 접합부, 및 상기 고정된 접합부로 상기 샤프트 각각을 바이어스시키는 상기 하우징 내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측벽과 바텀벽을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바텀벽에 장착되는 것인 건축물 개방구용 탑다운/바텀업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 형성 샤프트는 상기 고정된 접합부와 맞물리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건축물 개방구용 탑다운/바텀업 덮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축방향으로 이격된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링인 것인 건축물 개방구용 탑다운/바텀업 덮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된 접합부는 상기 바텀벽에 있는 것인 건축물 개방구용 탑다운/바텀업 덮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적어도 2개인 것인 건축물 개방구용 탑다운/바텀업 덮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된 접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링 중 2개의 링 사이에 위치되는 것인 건축물 개방구용 탑다운/바텀업 덮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나사산 형성 샤프트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된 접합부와 맞물리기 위한 방사방향 톱니를 포함하는 것인 건축물 개방구용 탑다운/바텀업 덮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관된 나사산 형성 샤프트에 있는 너트와 맞물리기 위한 방사방향 톱니를 포함하는 것인 건축물 개방구용 탑다운/바텀업 덮개.
KR1020127030025A 2011-04-28 2011-05-11 건축물 개방구용 탑다운/바텀업 덮개를 위한 코드 장력 제어 KR101814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1/034239 WO2011137205A1 (en) 2010-04-30 2011-04-28 Cord tension control for top down/bottom up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PCT/US2011/034239 2011-04-28
PCT/US2011/036122 WO2012150946A2 (en) 2011-04-28 2011-05-11 Cord tension control for top down/bottom up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227A true KR20140035227A (ko) 2014-03-21
KR101814840B1 KR101814840B1 (ko) 2018-01-04

Family

ID=4710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025A KR101814840B1 (ko) 2011-04-28 2011-05-11 건축물 개방구용 탑다운/바텀업 덮개를 위한 코드 장력 제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702221A4 (ko)
KR (1) KR101814840B1 (ko)
CN (1) CN103168146A (ko)
AU (1) AU2011367216A1 (ko)
BR (1) BR112012027712B1 (ko)
CA (1) CA2797850C (ko)
WO (1) WO201215094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6449B (zh) * 2016-04-14 2017-09-19 广州市瑞翔机电有限公司 一种限位器结构
NL2020367B1 (nl) * 2018-02-01 2019-08-12 Vako B V Bedieningsinrichting voor een plisségordijn
US11448009B2 (en) 2018-07-31 2022-09-20 Nichibei Co., Ltd. Shading device
TWI700424B (zh) * 2019-07-18 2020-08-01 程田有限公司 捲控兩用雙管裝置
TWI706079B (zh) * 2019-10-02 2020-10-01 范富美 百葉窗簾及百葉窗簾之下軌
TWI747642B (zh) * 2019-12-04 2021-11-2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和其致動系統
AT524786B8 (de) * 2021-11-08 2022-10-15 Franz Topf Antriebsvorrichtung für Horizontaljalousien
WO2023137749A1 (zh) * 2022-01-24 2023-07-27 东莞市雷富溢窗饰科技有限公司 罗马帘
KR102437668B1 (ko) 2022-05-27 2022-08-26 박희진 탑다운 바텀업 블라인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22103C2 (nl) * 2002-05-06 2003-11-10 Techniku Holding B V Bedieningseenheid voor een raambedekking.
JP2004108045A (ja) 2002-09-19 2004-04-08 Okuho Sogo Kogyo Kofun Yugenkoshi 分段型ブラインド
US7143802B2 (en) * 2003-03-20 2006-12-05 Springs Window Fashions Lp Cordless blinds
KR100522357B1 (ko) * 2003-09-26 2005-11-09 주식회사 윈스피아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US7520311B2 (en) * 2005-12-22 2009-04-21 Hunter Douglas Inc. Threaded lift cord spool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7740045B2 (en) * 2006-10-25 2010-06-22 Hunter Douglas Inc. Spring motor and drag brake for drive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7686059B2 (en) * 2006-09-05 2010-03-30 Hunter Douglas Inc. Top down/bottom up control system for retractable sha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50946A2 (en) 2012-11-08
EP2702221A4 (en) 2014-12-03
AU2011367216A1 (en) 2012-12-06
BR112012027712B1 (pt) 2020-02-18
WO2012150946A3 (en) 2013-08-01
EP2702221A2 (en) 2014-03-05
KR101814840B1 (ko) 2018-01-04
CA2797850C (en) 2018-08-14
BR112012027712A2 (pt) 2016-09-06
CA2797850A1 (en) 2012-11-08
CN103168146A (zh)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863B1 (ko) 건축물 개방구용 탑다운/바텀업 덮개를 위한 코드 장력 제어
KR20140035227A (ko) 건축물 개방구용 탑다운/바텀업 덮개를 위한 코드 장력 제어
US8573281B2 (en) Cord tension control for top down/bottom up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CN106437470B (zh) 用于窗户遮盖物的偏斜调整机构
US8708023B2 (en) Cordless blind assembly
JP5548013B2 (ja) ブラインド
US20150144275A1 (en) Blind system
US11549308B2 (en) Window blind
US7100663B2 (en) Window covering and method of use
KR200469122Y1 (ko)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CA2985761A1 (en) Window covering control apparatus
KR20110085337A (ko) 슬랫의 완전차광 및 현수시 쏠림방지 기능을 갖는 베니션 블라인드
AU2014263713A1 (en) Cam unit, horizontal blind, and drive unit for sunlight blocking device
EP0935048B1 (en) Dual window covering with single operating means
JP2014221970A (ja) 日射遮蔽装置の駆動ユニット
KR20230024988A (ko) 슬랫형 블라인드용 코드 슈라우드 배열을 갖는 래더 테이프 조립체
JP6479413B2 (ja) 昇降コード支持装置及び遮蔽装置
JP2016053299A (ja) 横型ブラインド
JP2002332785A (ja) 日射遮蔽装置
KR200363365Y1 (ko) 블라인드
JP2002349160A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
JP6110083B2 (ja) 日射遮蔽装置
JP3844484B2 (ja) ローマンシェード
JP2002339670A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