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005A -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005A
KR20140035005A KR1020120100870A KR20120100870A KR20140035005A KR 20140035005 A KR20140035005 A KR 20140035005A KR 1020120100870 A KR1020120100870 A KR 1020120100870A KR 20120100870 A KR20120100870 A KR 20120100870A KR 20140035005 A KR20140035005 A KR 20140035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nozzle
substrate
power transmission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규
Original Assignee
최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규 filed Critical 최철규
Priority to KR1020120100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5005A/ko
Publication of KR20140035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6Methods for cleaning the liquid crystal cells, or components thereof, during manufacture: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노즐이 컨베이어를 따라 진행하는 기판의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교차이동하도록 하여 기판의 상부와 하부에서 세척수를 분사하면서도 세척력이 우수하도록 된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1000)는,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되는 구동부(1100)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기적으로 회전하는 타원캠(1200)과, 상기 구동부와 타원캠이 설치된 본체부(1300)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단에 본체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하부 각각 한 쌍의 스윙바(1400)와, 상기 타원캠이 회전하면 타원캠팔로우를 통해 제1스윙동력전달부가 뒷쪽으로 밀려나면서 링크에 의해 제2스윙동력전달부도 타원캠과 멀어지는 쪽으로 벌어짐과 더불어 복귀탄성부재에 의해 오므려지도록 하여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스윙바가 평행하게 교차하면서 기판의 진행방향에 직각으로 이송되도록 된 스윙동력전달부(1500)와, 상기 스윙바의 양단에 각각 설치됨과 더불어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하는 기판의 상부와 하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된 세척노즐(1610)이 서로 평행하게 교차하도록 설치된 세척노즐부(1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CLEANING SUBSTRATES FOR CONVEYOR APPARATUS}
본 발명은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기판을 세척할 때 이물질의 제거가 매우 우수하도록 된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은 그 일면에 컴퓨터용 중앙처리장치 등의 반도체 칩을 부착하도록 되고, 또 다른 일면에는 중앙처리장치와 또 다른 기판 등과의 정보통신을 위한 다수의 전극 단자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판은 수지재질의 판재에 다수의 입/출력 단자가 형성된 것으로, 통상 인쇄회로기판(PCB:printed circuit board; 이하 "기판"이라 함)으로 통용되고,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개발되어 제조되고 있다.
또,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입/출력 단자의 납땜 또는 용접을 위해 산화방지층을 형성하도록 된 플럭스(flux)가 사용되는 것이 보편적이며, 상기 플럭스는 상기 기판의 단자가 형성된 일면에 도포되어 납땜과 용접 시에 기판에 형성된 단자의 용접면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기판에 단자의 형성을 위해 사용된 플럭스는 단자의 용접이 완료된 후에도 상기 단자 및 기판의 표면에 위치되어 상기 단자 및 기판을 지속적으로 산화 및 부식시키게 되어 상기 단자가 형성된 기판은 상기 플럭스 또는 다른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세척공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평판 표시 패널을 제작하는 기판처리장치의 경우에는 대형의 글래스 기판을 복수 개의 단위 기판으로 절단하는 면취 공정을 처리한다. 이와 같은 기판처리장치는 글래스 기판을 스크라이빙(scribing), 브레이킹 (breaking) 및, 연마 등 일련의 공정들을 처리한다. 스크라이빙 공정은 레이저나 스크라이빙 휠 등을 이용하여 절단 예정인 기판 표면에 스크라이브 라인(scribe line)을 형성한다. 브레이킹 공정은 스크라이빙 선이 형성된 글래스 기판에 전기적 또는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여 단위 기판으로 절단한다.
또 연마 공정은 기판의 절단면을 연마하여 라운딩 처리한다. 면취 공정이 완료되면, 글래스 기판에는 면취 공정에 의해 발생되는 유리 가루 등의 파티클이 잔존하게 되는데, 기판처리장치는 파티클을 제거하기 위하여 면취 후 세정 공정을 처리한다.
이러한 각각의 기판과 같이 카메라모듈이 다수개 구비된 세라믹 기판을 세척하기 위한 컨베이어는 기판을 이송시키면서 상부와 하부를 세척하게 되는바, 종래에는 세척장치의 세척을 위한 용액분사노즐이 상부에 고정되어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기판으로 분사하면서 기판을 세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세척장치는 엘씨디 기판의 보드상의 틈새에 끼어 있는 이물질이 물에 의해 타격을 받아 떨어지게 되는데 한 쪽 방향으로 만 분사되는 세척액에 의해 잘 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척수가 상하에서 분사되는 분사노즐은 분사노즐이 고정식으로 되어 있어서 상술한 문제점이 있으며, 세척수가 기판의 진행방향으로 스윙하는 세척노즐은 하부에는 설치하기가 곤란함은 물론, 기판의 보드상의 틈새에 끼어 있는 이물질의 제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참조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0571호 액정표시장치용 기판 세척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노즐이 컨베이어를 따라 진행하는 기판의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교차이동하도록 하여 기판의 상부와 하부에서 세척수를 분사하면서도 세척력이 우수하도록 된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는,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기적으로 회전하는 타원캠과, 상기 구동부와 타원캠이 설치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단에 본체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하부 각각 한 쌍의 스윙바와, 상기 타원캠이 회전하면 타원캠팔로우를 통해 제1스윙동력전달부가 뒷쪽으로 밀려나면서 링크에 의해 제2스윙동력전달부도 타원캠과 멀어지는 쪽으로 벌어짐과 더불어 복귀탄성부재에 의해 오므려지도록 하여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스윙바가 평행하게 교차하면서 기판의 진행방향에 직각으로 이송되도록 된 스윙동력전달부와, 상기 스윙바의 양단에 각각 설치됨과 더불어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하는 기판의 상부와 하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된 세척노즐이 서로 평행하게 교차하도록 설치된 세척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윙동력전달부는, 각각의 상기 스윙바중에서 내측에 있는 스윙바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타원캠(1200)과 밀착되어 회전하는 타원캠팔로우 및 타원캠의 외력이 제거되면 타원캠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 복귀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제1스윙동력전달부와, 각각의 상기 스윙바중에서 외측에 있는 스윙바에 양단이 고정된 제2스윙동력전달부 및,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양단이 각각 제1스윙동력전단부와 제2스윙동력전달부에 고정된 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윙바는, 상기 본체부와 세척노즐부로 각각 끼워져 일렬로 연결된 제1,2,3스윙바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상기 세척노즐부는, 한쌍의 상기 스윙바중에서 양단부로 끼워지는 스윙바중 어느 하나와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스윙바고정판과, 한쌍의 상기 스윙바고정판의 일면에 고정됨과 더불어 일정한 간격으로 노즐결합홈이 형성되고, 이 노즐결합홈과 노즐결합홈의 사이에 노즐도피홈이 형성된 한 쌍의 노즐고정판과, 상기 노즐고정판의 노즐결합홈에 끼워진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의 단부에 체결되어 분사노즐을 노즐고정판에 고정하도록 된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에 의하면,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노즐이 컨베이어를 따라 진행하는 기판의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교차이동하도록 하여 기판의 상부와 하부에서 세척수를 분사하면서도 세척력이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에 의하면, 제1,2,3스윙바부재에 의해 스윙바가 이루어져 본체부와 세척노즐부가 조립되므로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상부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C - C선 단면사시도,
도 7은 도 3의 C - C선 단면도,
도 8은 도 3의 D - D선 단면사시도,
도 9는 도 3의 D - D선 단면도,
도 10은 도 3의 E - E선 단면도,
도 11은 도 3의 F - F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기판세척장치를 구성하는 노즐부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상부노즐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1000)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부(1100)와, 캠(1200), 본체부(1300), 스윙바(1400), 스윙동력전달부(1500) 및, 세척노즐부(160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1100)는,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되는 모터이며,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연결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캠(1200)은, 상기 구동부(11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기적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풀리로 전달한 축에 캠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1100)에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하면 도 7에서와 같이 풀리와 축으로 연결된 캠(1200;타원캠)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300)는, 상기 스윙바(1400)가 양단에 각각 한 쌍이 평행하게 상하부로 끼워지는 좌,우측판(1310,1320)과, 이 좌,우측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상하캠설치판(1330,1340)과, 상기 좌,우측판(1310,1320)과 하캠설치판(1340)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리부(1350)와, 상기 좌,우측판(1310,1320)의 상부이면서 상캠설치판(13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커버판(1360)과, 상기 상하캠설치판(1330,1340)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설치된 전후덮게판(1370,138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다리부(1350)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캠(1200)과 결합된 축은 상캠설치판(133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우측판(1310,1320)에는 스윙바(1400)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게 되며, 상기 스윙동력전달부(1500)가 상하캠설치판(1330,1340)의 상부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스윙바(1400)는, 상기 본체부(1300)의 길이방향 양단에 본체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부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윙바(1400)는, 상기 본체부(1300)와 세척노즐부(1600)로 각각 끼워져 일렬로 연결된 제1,2,3스윙바부재(1410,1420,143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3스윙바부재(1410,1420,1430)로 이루어져 조립되므로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윙동력전달부(1500)는, 상기 타원캠(1200)이 회전하면 타원캠팔로우를 통해 제1스윙동력전달부가 뒷쪽으로 밀려나면서 링크에 의해 제2스윙동력전달부도 타원캠과 멀어지는 쪽으로 벌어짐과 더불어 복귀탄성부재에 의해 오므려지도록 하여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스윙바가 평행하게 교차하면서 기판의 진행방향에 직각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스윙동력전달부(1500)는, 각각의 상기 스윙바(1400)중에서 내측에 있는 스윙바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타원캠(1200)과 밀착되어 회전하는 타원캠팔로우(1511) 및 타원캠의 외력이 제거되면 타원캠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 복귀탄성부재(1512)를 포함하는 제1스윙동력전달부(1510)와, 각각의 상기 스윙바(1400)중에서 외측에 있는 스윙바에 양단이 고정된 제2스윙동력전달부(1520) 및, 상기 본체부(13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양단이 각각 제1스윙동력전달부(1510)와 제2스윙동력전달부(1520)에 고정된 링크(153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귀탄성부재(1512)의 일단은 상캠설치판(1330)에 지지되고, 타단은 제1스윙동력전달부(1510)에 지지되어 있어서, 상기 캠(1200)의 외력이 제거되면 캠(1200)쪽으로 제1,2스윙동력전달부(1510,1520)를 모으게 되나, 상기 복귀탄성부재(1512)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 다양하게 조립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1530)는 제1스윙동력전달부(1510)의 이동을 제2스윙동력전달부(1520)에 전달하게 된다.
또 상기 세척노즐부(1600)는, 상기 스윙바(140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됨과 더불어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하는 기판의 상부와 하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된 분사노즐(1630;세척노즐)이 서로 평행하게 교차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세척노즐부(1600)는, 한쌍의 상기 스윙바(1400)중에서 양단부로 끼워지는 스윙바중 어느 하나와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스윙바고정판(1610)과, 한쌍의 상기 스윙바고정판의 일면에 고정됨과 더불어 일정한 간격으로 노즐결합홈(1621)이 형성되고, 이 노즐결합홈과 노즐결합홈의 사이에 노즐도피홈(1622)이 형성된 한 쌍의 노즐고정판(1620)과, 상기 노즐고정판의 노즐결합홈에 끼워짐과 더불어 일측으로 세척수가 유입되고 타측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노즐(1630)과, 상기 분사노즐의 단부에 체결되어 분사노즐을 노즐고정판에 고정하도록 된 체결부재(16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노즐부(1600)가 각각의 스윙바(1400)에 고정되는 위치는 필요에 따라 내측 스윙바 또는 외측 스윙바와 바꾸어서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1630)으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서로 평행하게 스쳐지나가는 스윙바(1400)에 의해 지그재그로 분사되면서 기판을 타격하게 되므로 기판에 붙어 있는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 분사노즐(1630)이 상부와 하부로 분사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기판의 세척력이 매우 우수하며, 세척효율이 높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 1100 : 구동부
1200 : 타원캠 1300 : 본체부
1400 : 스윙바 1500 : 스윙동력전달부
1600 : 세척노즐부 1610 : 스윙바고정판
1620 : 노즐고정판 1621 : 노즐결합홈
1622 : 노즐도피홈 1630 : 분사노즐
1640 : 체결부재

Claims (4)

  1.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되는 구동부(1100)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기적으로 회전하는 타원캠(1200)과,
    상기 구동부와 타원캠이 설치된 본체부(1300)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단에 본체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하부 각각 한 쌍의 스윙바(1400)와,
    상기 타원캠이 회전하면 타원캠팔로우를 통해 제1스윙동력전달부가 뒷쪽으로 밀려나면서 링크에 의해 제2스윙동력전달부도 타원캠과 멀어지는 쪽으로 벌어짐과 더불어 복귀탄성부재에 의해 오므려지도록 하여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스윙바가 평행하게 교차하면서 기판의 진행방향에 직각으로 이송되도록 된 스윙동력전달부(1500)와,
    상기 스윙바의 양단에 각각 설치됨과 더불어 컨베이어(C)를 따라 이송하는 기판의 상부와 하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된 세척노즐(1610)이 서로 평행하게 교차하도록 설치된 세척노즐부(1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동력전달부(1500)는,
    각각의 상기 스윙바(1400)중에서 내측에 있는 스윙바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타원캠(1200)과 밀착되어 회전하는 타원캠팔로우(1511) 및 타원캠의 외력이 제거되면 타원캠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 복귀탄성부재(1512)를 포함하는 제1스윙동력전달부(1510)와,
    각각의 상기 스윙바(1400)중에서 외측에 있는 스윙바에 양단이 고정된 제2스윙동력전달부(1520) 및,
    상기 본체부(13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양단이 각각 제1스윙동력전단부(1510)와 제2스윙동력전달부(1520)에 고정된 링크(15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바(1400)는, 상기 본체부(1300)와 세척노즐부(1600)로 각각 끼워져 일렬로 연결된 제1,2,3스윙바부재(1410,1420,14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세척노즐부(1600)는,
    한쌍의 상기 스윙바(1400)중에서 양단부로 끼워지는 스윙바중 어느 하나와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스윙바고정판(1610)과,
    한쌍의 상기 스윙바고정판의 일면에 고정됨과 더불어 일정한 간격으로 노즐결합홈(1621)이 형성되고, 이 노즐결합홈과 노즐결합홈의 사이에 노즐도피홈(1622)이 형성된 한 쌍의 노즐고정판(1620)과,
    상기 노즐고정판의 노즐결합홈에 끼워진 분사노즐(1630)과,
    상기 분사노즐의 단부에 체결되어 분사노즐을 노즐고정판에 고정하도록 된 체결부재(16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
KR1020120100870A 2012-09-12 2012-09-12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 KR20140035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870A KR20140035005A (ko) 2012-09-12 2012-09-12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870A KR20140035005A (ko) 2012-09-12 2012-09-12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005A true KR20140035005A (ko) 2014-03-21

Family

ID=5064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870A KR20140035005A (ko) 2012-09-12 2012-09-12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50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6894A (zh) * 2018-04-26 2018-10-12 熊关兵 一种口腔科调拌刀清洗装置
CN109701980A (zh) * 2019-02-26 2019-05-03 成都慧晶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喷头转向机构以及应用喷头转向机构的胶缸清洗设备
CN113926787A (zh) * 2021-09-22 2022-01-14 深圳森博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生产用电路板清洁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6894A (zh) * 2018-04-26 2018-10-12 熊关兵 一种口腔科调拌刀清洗装置
CN108636894B (zh) * 2018-04-26 2020-10-27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口腔科调拌刀清洗装置
CN109701980A (zh) * 2019-02-26 2019-05-03 成都慧晶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喷头转向机构以及应用喷头转向机构的胶缸清洗设备
CN113926787A (zh) * 2021-09-22 2022-01-14 深圳森博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生产用电路板清洁装置
CN113926787B (zh) * 2021-09-22 2023-11-21 阳良春 一种电子产品生产用电路板清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439B1 (ko) 글라스 기판 세정 유닛 및 이를 갖는 글라스 기판 세정 시스템
KR20140035005A (ko) 컨베이어용 기판세척장치
JP6259891B2 (ja) 基板加工装置
JP4808147B2 (ja) 塗布用ダイの清掃装置
JP6126396B2 (ja) 基板加工装置
KR101750995B1 (ko) 금속시트재용 에칭장치
KR20100091036A (ko) 글라스 기판 세정 유닛 및 이를 갖는 글라스 기판 세정 시스템
KR101356032B1 (ko) 컨베이어의 기판용 반송홀더
JP2021022629A (ja) エッチング装置
KR101147653B1 (ko) 기판 처리 장치
CA1311064C (en) Orbital wave solder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KR101009047B1 (ko) 기판 세정 장치
TW201733694A (zh) 清洗裝置
KR20110103924A (ko) 기판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세정 설비
KR102520849B1 (ko) 보조용제의 세정 시스템
KR101356031B1 (ko) 기판의 반송용 컨베이어
JP6227098B2 (ja) 基板加工装置
KR100567833B1 (ko) 기판 처리 장치
CN106217664B (zh) 断开装置、断开系统及断开单元
KR101015226B1 (ko) 시프터 및 그 처리방법과 기판 이송 장치 및 그 처리방법
JP2004258368A (ja) 基板洗浄装置及び基板洗浄方法、並びに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101135080B1 (ko) 기판 세정 장치
CN210632493U (zh) 擦拭装置
KR20100119169A (ko) 글라스 기판 세정 유닛 및 이를 갖는 글라스 기판 세정 시스템
KR101004437B1 (ko) 글라스 기판 세정 유닛 및 이를 갖는 글라스 기판 세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