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468A -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 및 전자서식 작성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 및 전자서식 작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468A
KR20140034468A KR1020120100800A KR20120100800A KR20140034468A KR 20140034468 A KR20140034468 A KR 20140034468A KR 1020120100800 A KR1020120100800 A KR 1020120100800A KR 20120100800 A KR20120100800 A KR 20120100800A KR 20140034468 A KR20140034468 A KR 20140034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template
electronic
medical information
inform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4766B1 (ko
Inventor
김성열
김보영
박광섭
Original Assignee
한국후지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후지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후지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100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766B1/ko
Publication of KR20140034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 및 전자서식 작성 방법을 제공한다.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는, MR 항목을 생성하고 MR 리스트에 저장하는 MR 항목 관리부; 상기 MR 항목을 하나 이상 포함하도록 서식 템플릿을 생성하는 서식 템플릿 관리부; MR 항목 생성 메뉴 및 서식 템플릿 생성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서식 템플릿 요청이 입력되면 요청된 서식 템플릿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메뉴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진찰정보를 상기 표시된 서식 템플릿의 MR 항목에 매칭시켜 전자서식을 작성하는 서식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식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진찰정보를 상기 표시된 서식 템플릿의 MR 항목에 매칭시켜 전자서식을 작성하고, 상기 서식 템플릿 관리부는 상기 서식 템플릿에 포함된 MR 항목에 배치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Description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 및 전자서식 작성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Electron Form in Medical Information System}
본 발명은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 및 전자서식 작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정보 시스템이란 의료 기관에서 진료 행위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고, 이러한 정보를 다시 다른 진료 행위에 필요한 정보로 가공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을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용어이다. 이러한 의료정보 시스템은 진료부서, 진료지원부서, 병원행정부서 등에 규칙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여 부서간의 환자 및 자료 등의 이동을 줄여서 환자와 의료진에게 충분한 진료의 시간과 여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축적된 의료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의료정보 시스템은 과거에는 일반 병원행정의 지원을 주 목적으로 하였으나, 현재에는 의사의 진료 지원 및 간호사의 간호 지원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의료정보 시스템은 처방전달시스템(OCS, Order Communication System), 디지털 영상정보 전달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전자의무기록 시스템(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문서교환 시스템(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등을 도입하여 이러한 요구사항을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각종 의학정보 및 환자들의 진료자료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의사가 환자를 진단하는 과정에서 작성하는 의무기록을 전자화하고, 진단 후 처방전을 네트워크를 통해 각 해당 진료 부서로 전달하고, 필요한 영상정보의 전달과 컴퓨터 기반의 진료기록 보관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전자의무기록이란 병원에서 사용되는 종이 서식 대신 전자서식을 사용하여 모든 데이터를 전산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자의무기록에 사용되는 전자서식에는 기본적인 환자 정보 및 의료진의 진료 기록이 기록된다.
하지만, 종래의 전자의무기록은 기존의 종이 서식을 단순히 스캐닝하여 저장하는 단계에 불과하거나, 또는 전자서식을 구성하는 항목들이 세분화되어 있지 않아서 기록화된 의무기록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분석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자의무기록은 의사가 사전에 준비된 전자서식을 읽어서 필요한 진료 기록을 기입하는 방식이어서, 진료 중에 의사가 새로운 항목을 추가하거나 전자서식의 구성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의사가 기록하고자 하는 진료 기록의 형태에 관계없이 텍스트 형식으로 기술하여 저장할 수 있을 뿐이어서, 추후 저장된 의무기록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분석을 위해 활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38579호, "온라인 상에서의 의무기록서식 관리 방법"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서식 작성 중에 동적으로 전자서식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전자서식 작성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서식 작성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서식을 구성하는 MR 항목을 계층화하여 관리하고 각각의 MR 항목에 대해 개별 코드를 설정하여, 축적된 의료정보 데이터들의 분석, 활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자서식 작성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는, MR 항목을 생성하고 MR 리스트에 저장하는 MR 항목 관리부; 상기 MR 항목을 하나 이상 포함하도록 서식 템플릿을 생성하는 서식 템플릿 관리부; MR 항목 생성 메뉴 및 서식 템플릿 생성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서식 템플릿 요청이 입력되면 요청된 서식 템플릿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메뉴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진찰정보를 상기 표시된 서식 템플릿의 MR 항목에 매칭시켜 전자서식을 작성하는 서식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식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진찰정보를 상기 표시된 서식 템플릿의 MR 항목에 매칭시켜 전자서식을 작성하고, 상기 서식 템플릿 관리부는 상기 서식 템플릿에 포함된 MR 항목에 배치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MR 항목 관리부는, 상기 MR 항목을 진료정보의 최소 단위인 MR 엔티티와, 하나 이상의 MR 엔티티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MR 아이템과, 하나 이상의 MR 아이템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그룹 MR 아이템의 세 계층으로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R 항목 관리부는 상기 MR 엔티티, 상기 MR 아이템 및 상기 그룹 MR 아이템마다 각각 고유한 엔티티 코드, 아이템 코드 및 아이템 그룹 코드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MR 엔티티 별로 설정된 고유한 엔티티 코드를 조건값으로 하는 검색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의료정보로부터 원하는 조건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분석결과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서식 작성기는 상기 작성된 전자서식에 작성자의 전자서명을 기록하는 전자서명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 방법은, MR 항목을 생성하고 MR 리스트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MR 리스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MR 항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MR 항목을 배치하여 서식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의 서식 템플릿 요청이 입력되면 요청된 서식 템플릿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진찰정보를 상기 표시된 서식 템플릿의 MR 항목에 대응되게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식 템플릿의 MR 항목은 상기 서식 템플릿에서의 배치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MR 항목은 의료정보의 최소 단위인 MR 엔티티와, 하나 이상의 MR 엔티티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MR 아이템과, 하나 이상의 MR 아이템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그룹 MR 아이템의 세 계층으로 관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식 템플릿에 포함되는 MR 항목은 텍스트형, 수치형, 날짜형, 그리드형, 이미지형, 스캔형, 콤보형, 체크박스형, 라디오박스형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며, 상기 그리드형 MR 항목은 그리드(표)의 각 셀이 독립적인 MR 엔티티인 MR 아이템 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서식 작성 방법은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표시된 서식 템플릿의 선택된 위치에 상기 MR 리스트에서 추가로 선택한 MR 항목을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서식 작성 방법은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표시된 서식 템플릿에 포함된 MR 항목을 재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동적 전자서식 작성 방법은, 사용자로부터의 서식 템플릿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된 서식 템플릿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진료기록을 수신하여 상기 서식 템플릿의 해당되는 MR 항목에 대응되게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진료기록의 입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MR 항목 추가 요청이 있는 경우, 요청된 MR 항목을 상기 서식 템플릿의 선택된 위치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MR 항목이 추가된 전자서식은 상기 서식 템플릿과 별도로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적 전자서식 작성 방법은, 저장된 전자서식에 작성자의 전자서명을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전자서식 작성 중에 동적으로 전자서식의 구성을 변경함으로써, 환자별로 맞춤 서식을 간단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전자서식을 구성하는 MR 항목을 계층화하여 관리하고 각각의 MR 항목에 대해 개별 코드를 설정함으로써, 축적된 의료정보 데이터들의 분석, 활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그리드형의 MR 항목을 각 셀 단위로 독립된 MR 항목으로 취급함으로써, 의료정보 데이터의 분석, 활용 범위를 그리드형까지 확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서버의 EMR 관리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전자서식 관리 메뉴 화면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규서식 작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적 서식 작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MR 항목의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MR 항목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메뉴 화면이다.
도 8은 MR 항목의 속성에 따른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료정보 시스템은 병원에서 환자를 중심으로 발생되는 처리 과정을 전산화하여, 병원의 진료 업무, 간호 업무, 진료지원 업무 및 외부 서버와의 연동을 유기적으로 처리하는 의료정보 서버(100)와, 간호사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의료정보 서버(100)에 접속하여 환자들에 대한 정보를 열람하고 예진 정보를 시스템에 입력하는 간호사용 단말기(200)와, 의사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의료정보 서버(100)에 접속하여 환자들에 대한 각종 정보를 조회하고 진료 및 처방 데이터를 입력하는 의사용 단말기(300)와, 병원의 일반 업무를 담당하는 일반 직원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시스템에 접속하여 병원 업무와 관련된 정보를 조회하고 입력하기 위한 원무용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정보 시스템에서, 의료정보 서버(100)는 병원에서 진료 지원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의료 장비(500)로부터 검사 결과를 전달받거나, 다수의 외부 서버(600)와의 연동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외부 서버(600)에는, 축적된 병원 데이터를 가공,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웨어하우스(DWH) 시스템, 인터넷을 통한 원격 진료와 관련된 u-헬스케어 시스템, 병원 환자들에 대한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관리에 활용하는 고객 관계 관리(CRM) 시스템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설명에서는 간호사용 단말기(200), 의사용 단말기(300) 및 원무용 단말기(400)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의료정보 시스템의 규모 또는 구축 환경에 따라서 단일의 단말기에서 간호사용 메뉴, 의사용 메뉴 및 일반 원무용 메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으며, 간호사용 단말기(20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간호사용 단말기(200), 의사용 단말기(300) 및 원무용 단말기(400)는 하드웨어적으로 구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기를 통해 의료정보 서버(100)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해당 역할에 관한 메뉴가 표시되거나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들이 의료정보 서버(100)와 연결되는 네트워크는 병원 내부의 인트라넷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료정보 서버(10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간호사용 단말기(200), 의사용 단말기(300) 및 원무용 단말기(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10)와,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적절한 시스템 사용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인증부(120)와, 의료정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간호, 원무, 처방 등의 다양한 업무 서비스를 처리하며, 의사가 작성한 처방전을 전산화하여 병원 내의 각 부서로 전달하는 OCS 처리부(130)와, 전자의무기록을 생성 및 관리하는 EMR 관리부(140)와, 의료정보 시스템 상에서 생성 또는 취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인증부(120)는 의료정보 서버(100)에 접속하여 의료정보 시스템을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접속이 허용된 사용자인지에 대한 인증 작업을 수행하며, 해당 사용자의 직무에 해당하는 권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증부(120)는 의료정보 서버(100)의 내부에 구성된 내부 인증 모듈일 수 있으며, 구축 환경에 따라서는 별도의 외부 인증 서버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의료정보 서버(100)의 내부에 장착된 데이터 저장매체 상에 구현될 수 있으며, 처리 데이터의 규모 또는 요구되는 운용 속도 등의 환경에 따라 별도의 외부 저장매체 상에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의료정보 서버(100)는 외부의 의료 장비(500)와 연결되어 의료 장비(500)로 검사 명령을 보내거나 검사 결과를 전달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의료장비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600)들과의 연동을 위한 외부서버 인터페이스(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의료정보서버(100)에서 사용되는 전자의무기록을 생성 및 관리하는 EMR 관리부(140)의 세부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R 관리부(14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EMR 관리부(140)는 MR 항목 관리부(141), 서식 템플릿 관리부(142), 메뉴 처리부(143), 서식 처리부(144), 전자서명 처리부(145) 및 데이터 분석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MR 항목 관리부(141)는 전자서식에서 사용되는 의무기록(Medical Record, MR) 항목을 생성하고 이를 MR 리스트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MR 항목 관리부(141)는 MR 항목을 생성하고 생성된 MR 항목을 계층화하여 관리한다. 이때, MR 항목은 전자서식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며, 하나의 전자서식에는 하나 이상의 MR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전자서식은 해당 용도에서 맞게 필요한 MR 항목으로 구성되며, 의사는 진찰 과정에서 해당 MR 항목에 진료 기록을 기재하게 된다.
또한, MR 항목 관리부(141)는 MR 항목을 MR 엔티티, MR 아이템, 그룹 MR 아이템의 세 계층으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MR 엔티티는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로서, 예를 들어, 환자의 이름, 전화번호, 입원 일자 등이 해당될 수 있다. MR 아이템은 의료 기록의 의미를 갖는 기본 단위로서, 예를 들어, 환자의 인적 사항이나 입원 정보, 퇴원 정보 등이 해당된다. 또한, 여러 개의 MR 엔티티가 모여서 하나의 MR 아이템을 구성할 수 있고 MR 엔티티 자체로서 단일의 MR 아이템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MR 아이템이 모여서 하나의 그룹 MR 아이템을 구성할 수 있다.
도 3(a)에는 전자서식의 일례로서 입퇴원 요약지가 도시되어 있다. 입퇴원 요약지는 환자의 입퇴원 관련 정보를 기재하는 전자서식으로서, 도 3(a)에 도시된 입퇴원 요약지에는 인적정보(T10), 입원정보(T20), 퇴원정보(T30), 최종진단명(T40) 및 주 호소(T50) 등의 MR 아이템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인적정보(T10) MR 아이템은 주민등록번호(T11), 연령(T12), 성별(T13), 보험구분(T14), 주소(T15), 전화번호(T16) 및 휴대전화번호(T17)의 MR 엔티티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MR 항목은 다양한 형식의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식에는 텍스트형, 수치형, 날짜형, 그리드형, 이미지형, 스캔형, 콤보형, 체크박스형, 라디오박스형 등이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텍스트형은 "환자성명" MR 엔티티와 같이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수치형은 "등록번호" MR 엔티티와 같이 수치값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날짜형은 "생년월일" MR 엔티티와 같이 날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라디오 박스는 "의뢰병원" MR 엔티티와 같이 라디오 박스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그리드형은 도 8(b)과 같이 그리드(표) 형식의 MR 아이템으로서, 그리드의 각 셀은 서로 개별적인 MR 엔티티 또는 MR 아이템으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데이터 분석부(149)를 통한 축적 데이터의 분석 과정에서 그리드의 각 셀에 기록된 진료 기록들을 분석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 더욱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밖에, MR 항목은 도 8(c)의 이미지형이나 도 8(d)의 스캔형의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MR 항목 관리부(141)는 MR 엔티티, MR 아이템 및 그룹 MR 아이템마다 각각 고유한 엔티티 코드, 아이템 코드 및 아이템 그룹 코드를 할당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할 데이터 분석부(146)가 상기 코드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의 검색식을 구성할 수 있어서, 축적된 데이터로부터 원하는 조건의 데이터를 훨씬 용이하게 추출, 가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데이터 분석이 더욱 용이하다.
서식 템플릿 관리부(142)는 전자서식 작성을 위한 서식 템플릿을 생성하고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서식 템플릿 관리부(142)는 MR 항목 관리부(141)에서 관리중인 MR 항목이나 신규 생성한 MR 항목을 이용하여 서식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서식 템플릿에 사용되는 MR 항목은 전자서식의 용도에 맞게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서식 템플릿 관리부(142)는 서식 템플릿에 포함된 MR 항목에 대해 각각의 위치 정보를 함께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정보에는 서식 템플릿에서의 수직 좌표, 수평 좌표, 높이값, 넓이값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서식에 포함된 MR 항목의 위치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서식에 포함된 MR 항목을 용이하게 재배치할 수 있다.
메뉴 처리부(143)는 MR 항목의 생성/관리 및 서식 템플릿의 생성/관리를 위한 각종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서식 템플릿 요청이 입력되면 요청된 서식 템플릿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b)에는 메뉴 처리부(143)에서 제공하는 서식 관리 메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3(b)의 서식 관리 메뉴를 이용하여 서식 템플릿을 신규 생성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M10). 또한, 검색 조건을 입력하고(M20) "검색" 버튼을 클릭하여(M10) 저장된 서식 템플릿을 조회할 수 있다. 이 경우, 화면의 좌측 하단에 검색된 서식 목록이 표시된다(M30). 또한, 화면의 우측 하단에는 서식 목록에서 선택된 서식의 구성이 표시된다(M40).
서식 처리부(144)는 의사용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된 의사의 진찰 정보를 화면에 표시된 서식 템플릿의 MR 항목에 매칭시켜 전자서식을 작성한다.
구체적으로, 의사 또는 간호사가 의사용 단말기(300) 또는 간호사용 단말기(200)를 통해 전자서식에 정보를 입력하면, 서식 처리부(144)는 입력된 데이터를 해당 MR 항목에 매칭시켜서 저장한다. 이때, 서식 처리부(144)는 사용된 서식 템플릿 데이터와 입력된 의료기록 데이터를 별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서식 처리부(144)는 동적으로 전자서식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동적 서식 기능이란 의사 또는 간호사가 서식 템플릿을 선택하여 전자서식을 작성하는 도중에 사용중인 서식 템플릿의 구성을 변경하거나 새로운 MR 항목을 추가하여 환자에 맞는 전자서식 양식으로 커스터마이징하는 기능이다.
종래의 의료정보시스템에서 지원되는 서식 작성기는 의사 또는 간호사가 사용하고자 하는 서식 템플릿을 용도에 맞게 사전에 작성하여 저장하고, 실제로 전자서식을 작성하는 때에 저장된 서식 템플릿 중에서 용도에 맞는 서식 템플릿을 읽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의사가 진료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특이 증상 또는 추가적인 기록이 필요한 경우, 사용중인 서식 템플릿에는 추가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응되는 MR 항목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추가로 기재하려는 내용을 텍스트 형식으로 서술하여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진료 기록을 텍스트 형식으로 서술하여 기록하는 경우, 진료 기록에 대해 특정 속성을 설정할 수 없고, 코드고 구분하는 것도 불가능하며, 데이터를 구조적으로 관리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의 경우 가공, 추출, 분석이 용이하지 않다.
서식 처리부(144)는 의사의 진료 과정에서 현재의 서식에 추가하고자 하는 기록 사항이 있는 경우, 해당 기록 사항에 맞는 속성의 MR 항목을 작성중인 전자서식에 동적으로 추가할 수 있다. 이를 동적 서식 작성기능이라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MR 항목 관리 메뉴에서 삽입하고자 하는 MR 항목을 선택한 후, 전자서식 작성 화면에서 선택한 MR 항목을 삽입할 위치를 선택하면, 서식 처리부(144)는 선택된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삽입되는 MR 항목과 함께 전자 서식에 추가한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서식 작성 화면에서 MR 항목을 드래그하여 배치 위치를 변경시키면, 서식 처리부(144)는 위치가 변경된 MR 항목의 위치 정보를 새로운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로 수정할 수 있다.
한편, 동적 서식 작성 기능에 의해 구성이 변경되거나 새로운 MR 항목이 추가된 전자서식은 새로운 서식 템플릿으로 저장되거나 또는 해당 환자에 대해 개별적으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서식 처리부(144)는 해당 서식이 다른 환자의 진료 시에 사용될 수 있도록 서식 재활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서명 처리부(145)는 작성된 전자서식에 작성자의 전자서명을 기록한다. 전자 서명의 기록은 전자서식 별로 개별적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미처리된 전자서식에 대해 일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데이터 분석부(146)는 축적된 진료 기록 데이터를 추출, 가공하고 이를 분석하여 원하는 형태의 분석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각의 전자서식 데이터는 MR 엔티티, MR 아이템 또는 그룹 MR 아이템에 해당하는 MR 항목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MR 항목은 고유한 엔티티 코드, 아이템 코드 및 아이템 그룹 코드가 할당되어 저장된다.
데이터 분석부(146)는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상기 코드들을 조건으로 하여 다양한 조건의 검색식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원하는 조건의 데이터의 통계를 구하거나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분석부(146)는 환자의 연령이 30대이고 성별이 남성이고 주호소가 종양(neoplasm)이고 특정 약품을 처방한지 3개월이 경과한 환자들에 대한 현재 상태 정보를 검색하여 결과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분석부(146)는 상기의 "연령", "성별", "주 호소", "처방 약품명"등의 MR 항목을 검색조건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데이터가 그리드의 셀에 기록된 경우에도, 데이터 분석부(146)에서 코드값을 기초로 검색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검색 대상을 그리드의 각 셀 단위까지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전자서식을 구성하는 모든 MR 항목에 대해 고유한 코드를 설정함으로써, 해당 코드를 조건으로 하여 축적된 데이터로부터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전자서식 작성기를 통한 신규서식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서식 등록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의료정보시스템에 로그인하면, 사용자의 권한에 해당하는 메인 메뉴가 표시된다. 이후, 신규 서식을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EMR 메뉴에서 서식 관리 메뉴를 선택한다(S100). 참고로, 도 3(b)에는 서식 관리 메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서식 템플릿의 작성시, 미리 등록된 서식을 참조로 생성하거나 신규로 서식 템플릿을 작성할 수 있다(S102). 미리 등록된 서식을 참조하는 경우, 참조하고자 하는 서식을 검색하여 선택한 후(S104), 선택된 서식에 원하는 항목을 추가, 삭제 또는 재배치하여 새로운 서식으로 등록할 수 있다(S106). 신규로 서식을 생성하는 경우, 메뉴(M10)의 서식 신규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서식 템플릿을 생성한 후(S108), MR 항목 관리 메뉴로부터 원하는 MR 항목을 선택하여 서식 템플릿에 반영시킨다(S110). 이때, 서식 템플릿에 삽입된 MR 항목은 사용자의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전자서식 상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 또는 재배치될 수 있다(S112). 이후, 작성 완료된 서식 템플릿은 저장부(150)의 서식 리스트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미리 등록된 서식 템플릿으로 전자서식을 작성하는 도중에 동적으로 전자서식의 구성을 변경하는 동적 서식 작성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적 서식 작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참고로, 동적 서식 작성은 의사 또는 간호사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의사용 단말기(300)를 통한 의사의 진료 과정에서의 동적 서식 작성 과정을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의사가 의사용 단말기(300)를 통해 의료정보 시스템에 로그인하면, 화면에 의사 권한에 해당하는 의사용 메뉴가 표시된다. 이후, 의사가 진료를 위하여 EMR 메뉴에서 원하는 서식 템플릿을 선택하고(S200), 진료 과정에서 서식 템플릿에 포함된 MR 항목들에 진료 기록을 기재하여 의무기록을 작성하게 된다(S202).
이때, 만일 서식 템플릿에 포함된 MR 항목 이외에 다른 MR 항목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S204), 의사는 MR 항목 관리 메뉴에서 추가하고자 하는 MR 항목을 검색 또는 직접 선택하고(S206), 서식 작성 메뉴에서 서식 템플릿의 원하는 위치를 선택하여 선택된 MR 항목을 추가한다(S208). 참고로, 도 7(a)에는 MR 항목의 관리 메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조건을 입력한 후 검색 버튼(M50)을 클릭하여 조건에 매칭되는 MR 항목 리스트를 취득하고, 표시된 MR 항목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MR 항목을 선택한 후(M60), 서식 적용 버튼을 눌러서 서식에 추가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은 의사의 진찰이 완료되어 전자서식 작성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S210).
이후, 동적 서식 기능에 의해 작성중인 전자서식의 구성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전자서식을 별도의 서식 템플릿으로 등록할 수 있으며(S212, S214), 또는 해당 환자에 대한 개별 전자서식으로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의사의 전자서식 작성이 완료되면, 진료기록이 기록된 전자서식을 저장부(150)에 저장한다(S216).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의사가 진료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특이 증상 또는 별도로 기록해야 하는 특별한 사항이 있는 경우, 사용중인 서식 템플릿에 추가하고자 하는 MR 항목을 동적으로 추가하거나 서식 템플릿을 재구성할 수 있어서 효과적으로 전자서식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MR 항목을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MR 항목의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관련되는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7(a)의 MR 항목 관리 메뉴에서 신규 버튼(M70)을 클릭하여 MR 항목을 생성하거나, 또는 기존의 MR 항목을 검색하고(M50), 검색된 MR 항목을 참조하여 새로운 MR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할 MR 항목의 종류는 MR 엔티티, MR 아이템 또는 그룹 MR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S300).
MR 엔티티를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7(b) 의 MR 항목 등록 메뉴의 탭 메뉴(T60)에서 MR 엔티티 탭을 선택하고 신규 버튼을 눌러서 작성한다(S302). 이때, 생성할 MR 엔티티의 형식에 따라 뉴 하단의 속성 탭(T80)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는 수치형 속성을 가지는 MR 엔티티가 도시되어 있다. 이후, 작성된 MR 엔티티를 MR 리스트에 등록한다(S304).
MR 아이템을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는 먼저 MR 아이템을 구성하기 위한 MR 엔티티를 선택한다(S312). 이때, MR 아이템은 단일의 MR 엔티티 또는 다수의 MR 엔티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선택된 MR 엔티티를 배치하여 MR 아이템을 생성하고(S314), 생성된 MR 아이템을 MR 리스트에 등록한다(S316).
또한, 그룹 MR 아이템을 생성하는 경우, 먼저 그룹 MR 아이템에 포함시킬 MR 아이템을 하나 이상 선택하고(S322), 선택한 MR 아이템을 적절히 배치하여 그룹 MR 아이템을 생성한다(S324). 이후, 생성된 그룹 MR 아이템을 MR 리스트에 저장한다(S326). 상기 과정은 더 이상 MR 항목을 생성하지 않을 때까지 반복된다(S330).
한편, 생성된 MR 항목에는 각 계층별로 고유한 코드가 할당된다. 예를 들어, 도 7(b)에는 생성된 MR 엔티티에 대해 엔티티 코드(T70)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의료정보 시스템은 축적된 의료정보 데이터로부터 원하는 결과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어서 데이터의 분석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의사가 진료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특이 증상 또는 별도로 기록해야 하는 특별한 사항이 있는 경우, 사용중인 서식 템플릿에 추가하고자 하는 MR 항목을 동적으로 추가하거나 서식 템플릿을 재구성할 수 있어서 효과적으로 전자서식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에 있어서,
    MR 항목을 생성하고 MR 리스트에 저장하는 MR 항목 관리부;
    상기 MR 항목을 하나 이상 포함하도록 서식 템플릿을 생성하는 서식 템플릿 관리부;
    MR 항목 생성 메뉴 및 서식 템플릿 생성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서식 템플릿 요청이 입력되면 요청된 서식 템플릿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메뉴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진찰정보를 상기 표시된 서식 템플릿의 MR 항목에 매칭시켜 전자서식을 작성하는 서식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식 템플릿 관리부는 상기 서식 템플릿에 포함된 MR 항목에 배치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R 항목 관리부는,
    상기 MR 항목을 진료정보의 최소 단위인 MR 엔티티와, 하나 이상의 MR 엔티티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MR 아이템과, 하나 이상의 MR 아이템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그룹 MR 아이템의 세 계층으로 관리하는,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MR 항목 관리부는 상기 MR 엔티티, 상기 MR 아이템 및 상기 그룹 MR 아이템마다 각각 고유한 엔티티 코드, 아이템 코드 및 아이템 그룹 코드를 설정하는,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
  4. 제 3 항에 있어서,
    MR 엔티티 별로 설정된 고유한 엔티티 코드를 조건값으로 하는 검색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의료정보로부터 원하는 조건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분석결과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된 전자서식에 작성자의 전자서명을 기록하는 전자서명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
  6.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 방법에 있어서,
    MR 항목을 생성하고 MR 리스트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MR 리스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MR 항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MR 항목을 배치하여 서식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의 서식 템플릿 요청이 입력되면 요청된 서식 템플릿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진찰정보를 상기 표시된 서식 템플릿의 MR 항목에 대응되게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식 템플릿의 MR 항목은 상기 서식 템플릿에서의 배치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MR 항목은 의료정보의 최소 단위인 MR 엔티티와, 하나 이상의 MR 엔티티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MR 아이템과, 하나 이상의 MR 아이템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그룹 MR 아이템의 세 계층으로 관리되는,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식 템플릿에 포함되는 MR 항목은 텍스트형, 수치형, 날짜형, 그리드형, 이미지형, 스캔형, 콤보형, 체크박스형, 라디오박스형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며, 상기 그리드형 MR 항목은 그리드(표)의 각 셀이 독립적인 MR 엔티티인 MR 아이템 계층으로 구성되는,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표시된 서식 템플릿의 선택된 위치에 상기 MR 리스트에서 추가로 선택한 MR 항목을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표시된 서식 템플릿에 포함된 MR 항목을 재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 방법.
  11.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동적 전자서식 작성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서식 템플릿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된 서식 템플릿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진료기록을 수신하여 상기 서식 템플릿의 해당되는 MR 항목에 대응되게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진료기록의 입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MR 항목 추가 요청이 있는 경우, 요청된 MR 항목을 상기 서식 템플릿의 선택된 위치에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동적 전자서식 작성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MR 항목이 추가된 전자서식은 상기 서식 템플릿과 별도로 저장되는,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동적 전자서식 작성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저장된 전자서식에 작성자의 전자서명을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동적 전자서식 작성 방법.
KR20120100800A 2012-09-12 2012-09-12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 및 전자서식 작성 방법 KR101484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0800A KR101484766B1 (ko) 2012-09-12 2012-09-12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 및 전자서식 작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0800A KR101484766B1 (ko) 2012-09-12 2012-09-12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 및 전자서식 작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468A true KR20140034468A (ko) 2014-03-20
KR101484766B1 KR101484766B1 (ko) 2015-01-20

Family

ID=50644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00800A KR101484766B1 (ko) 2012-09-12 2012-09-12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 및 전자서식 작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7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742B1 (ko) * 2015-07-01 2016-09-26 주식회사 유비케어 의료 데이터의 코드화 장치 및 코드화 방법
KR20200108538A (ko) * 2019-03-11 2020-09-21 (주)아이쿱 환자 트랜스퍼 중개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WO2022004906A1 (ko) * 2020-06-30 2022-01-06 (주)아이쿱 환자 트랜스퍼 중개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939A (ko) * 2003-06-16 2004-12-23 린시스템 주식회사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 및 전자 의료기록 관리 방법
KR20100101396A (ko) * 2009-03-09 2010-09-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임상 컨텐츠 모델을 이용한 전자의무기록 입력시스템 및 전자의무기록 방법
KR101249364B1 (ko) * 2010-07-29 2013-04-09 주식회사 평화이즈 통합의료정보 시스템의 전자서식 생성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742B1 (ko) * 2015-07-01 2016-09-26 주식회사 유비케어 의료 데이터의 코드화 장치 및 코드화 방법
KR20200108538A (ko) * 2019-03-11 2020-09-21 (주)아이쿱 환자 트랜스퍼 중개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20210067999A (ko) * 2019-03-11 2021-06-08 (주)아이쿱 환자 트랜스퍼 중개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WO2022004906A1 (ko) * 2020-06-30 2022-01-06 (주)아이쿱 환자 트랜스퍼 중개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4766B1 (ko) 201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6344071A (zh) 用于整合临床护理的信息学平台
US20060080142A1 (en) System for managing patient clinical data
JP3074536B2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の入出力制御方法
US20090248441A1 (en) Medical report system, medical report viewer, medical report program, and method of editing and displaying medical report
KR101249528B1 (ko)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
CN1839404A (zh) 将医疗信息计算机化和标准化的方法
JP5989333B2 (ja) 医用システム
CN110148440A (zh) 一种医疗信息查询方法
JP2009238038A (ja) 医用レポートシステム、医用レポート閲覧装置、医用レポートプログラム、及び医用レポート閲覧方法
US202002856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data processing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processing
US20170372012A1 (en) Patient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2005110944A (ja) 診療支援装置、診療支援方法及び診療支援プログラム
US20170097931A1 (en) Notification Methods for Non-Programmatic Integration Systems
RU2697764C1 (ru) Итерационное построение разделов истории болезни
JP2018081528A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
JP2001155100A (ja) 地域電子カル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2198846A (ja) 類似症例閲覧システム、類似症例閲覧方法
KR101484766B1 (ko)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 및 전자서식 작성 방법
JP5349950B2 (ja) 電子カルテ管理サーバ、及び電子カルテ管理システム
Arakawa et al. Construction and usabilit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database in rural north‐eastern Thailand
JP2021056641A (ja) 医療情報管理装置及び医療レポートのメタデータ付加方法
JP2014087536A (ja) 医療情報検索プログラム及び医療情報検索システム
JP5583306B1 (ja) 情報システムおよびその更新方法
JP2018081527A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
KR101507599B1 (ko)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가족력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서식 작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