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1396A - 임상 컨텐츠 모델을 이용한 전자의무기록 입력시스템 및 전자의무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임상 컨텐츠 모델을 이용한 전자의무기록 입력시스템 및 전자의무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1396A
KR20100101396A KR1020090019863A KR20090019863A KR20100101396A KR 20100101396 A KR20100101396 A KR 20100101396A KR 1020090019863 A KR1020090019863 A KR 1020090019863A KR 20090019863 A KR20090019863 A KR 20090019863A KR 20100101396 A KR20100101396 A KR 20100101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
user
list set
category
te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희
김성우
김승수
류상희
김윤
이재일
안선주
최덕주
곽미숙
조선희
장주현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19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1396A/ko
Publication of KR20100101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의무기록을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자차트에 기록하기 위한 의무기록의 입력을 위하여 상위 카테고리를 선택받은 후, 상기 상위 카테고리에 포함된 하위 카테고리의 항목을 선택하여, 기록하고자 하는 용어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구조화된 입력을 지원하는 전자의무기록 입력시스템에 있어서, 카테고리별로 하위 카테고리에 포함된 항목을 나타내는 용어들의 집합인 목록세트를 저장하는 목록세트 저장부; 전자차트에 의무기록 입력용 용어를 선택하기 위한 제1카테고리를 선택받으면, 목록세트 저장부에 저장된 목록세트 중 상기 선택된 제1카테고리에 포함된 하부 카테고리인 제2카테고리에 속하는 항목들이 표현된 용어들의 집합인 제1목록세트를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제1목록세트에 포함된 용어들 중의 하나를 선택받고, 사용자가 제1목록세트가 아닌 다른 목록세트의 제공을 선택하는 경우 제1목록세트에 포함된 항목들과 동일한 항목을 나타내는 용어들의 집합인 제2목록세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용어를 선택받는 용어입력부; 및 용어입력부를 통하여 선택된 용어가 전자차트에 기록되고 저장되도록 하는 기록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화된 전자의무기록 입력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임상 컨텐츠 모델을 이용한 전자의무기록 입력시스템 및 전자의무기록 방법{Electric medical record input system using clinical contents mode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건산업진흥원 및 서울대학교 산학협력재단의 바이오산업화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관리번호: A050909, 과제명: 전자건강기록 아키텍쳐 및 통합의료용어체계, 임상의사결정 지원시스템 연구]
본 발명은 전자의무기록을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입력할 때 임상컨텐츠 모델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는 환자를 진료한 후 병명, 증상, 체온, 혈압 등 의무기록을 기록하고 보관해둔다.
이렇게 보관된 의무기록은 동일한 환자가 다시 왔을 때 그 환자의 병력, 체질, 투약되었던 약의 종류, 투약된 약에 따른 효과 등을 참고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연구 등을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새로운 기술의 발전 및 보급으로 인하여 각종 서류 작업이 전산화, 자동화되고 있으며, 많은 병원에서도 의무기록을 전산화하여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는 전자의무기록시스템(Electric Medical Record System)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도입되고 있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은 단순히 수기로 기재하던 내용을 컴퓨터에 직접 타이핑하여 입력, 저장함으로써, 종이로 된 서류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줄였다는 장점 정도의 효과만 거둘 수 있을 뿐, 전산화로 인한 모든 효과를 기대하기는 힘든 상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임상컨텐츠 모델의 표준 용어체계에 기반하여 구조화된 입력을 지원하는 전자의무기록 입력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임상컨텐츠 모델의 표준 용어체계에 기반하여 구조화된 입력을 받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자차트에 기록하기 위한 의무기록의 입력을 위하여 상위 카테고리를 선택받은 후, 상기 상위 카테고리에 포함된 하위 카테고리의 항목을 선택하여, 기록하고자 하는 용어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구조화된 입력을 지원하는 의무기록 입력시스템에 있어서, 카테고리별로 하위 카테고리에 포함된 항목을 나타내는 용어들의 집합인 목록세트를 저장하는 목록세트 저장부; 전자차트에 의무기록 입력용 용어를 선택하기 위한 제1카테고리를 선택받으면, 상기 목록세트 저장부에 저장된 목록세트 중 상기 선택된 제1카테고리에 포함된 하부 카테고리인 제2카테고리에 속하는 항목들이 표현된 용어들의 집합인 제1목록세트를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목록세트에 포함된 용어들 중의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목록세트가 아닌 다른 목록세트의 제공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1목록세트에 포함된 항목들과 동일한 항목을 나타내며, 상기 제1목록 세트에 포함된 용어들과 동일, 유사한 용어들의 집합인 제2목록세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용어를 선택받는 용어입력부; 및 상기 용어입력부를 통하여 선택된 용어가 전자차트에 기록되고 저장되도록 하는 기록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화된 전자의무기록 입력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목록세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목록세트 중 상기 사용자에게 제일 먼저 제공되는 목록세트에 포함되는 용어들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록저장부는 사용자별로 이용되는 용어들의 빈도수를 저장하며, 상기 목록세트 저장부는 저장된 용어들 중 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빈도수가 높은 용어들을 포함하는 대표목록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대표목록세트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일 먼저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록저장부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용어가 기록된 전자차트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용어에 대응되는 항목을 나타내는 용어들 중 대표용어로 지정된 용어가 기록된 전자차트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자차트에 기록하기 위한 의무기록의 입력을 위하여 상위 카테고리를 선택받은 후, 상기 상위 카테고리에 포함된 하위 카테고리의 항목을 선택하여, 기록하고자 하는 용어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구조화된 입력을 지원하는 의무기록 입력방법에 있어서, 전자차트에 의무기록 입력용 용어를 선택하기 위한 제1카테고리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1카테고리에 포함된 하부 카테고리인 제2카테고리에 속하는 항목들이 표현된 용어들의 집합인 제1목록세트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목록세트에 포함된 용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용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목록세트가 아닌 다른 목록세트의 제공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1목록세트에 포함된 항목들과 동일한 항목을 나타내며, 상기 제1목록세트에 포함된 용어들과 동일, 유사한 용어들의 집합인 제2목록세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목록세트에 포함된 용어가 선택되면 상기 제2목록세트에서 선택된 용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용어가 전자차트에 기록되도록 하고, 상기 용어가 기록된 전자차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화된 의무기록 입력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병원 등 의료시설에서 의무기록을 컴퓨터에 입력할 때 구조화된 입력이 지원됨으로 인하여 입력자는 보다 용이하게 입력을 할 수 있게 되고, 입력된 결과를 보다 빠르게 찾아보는 것도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구조화된 입력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분야별로 분류되어 상위 카테고리 내에 복수의 하위 카테고리가 포함되는 식으로 구조화되어 사용자가 자신이 전자차트에 입력하고자 하는 용어를 찾는 경우 넓은 범위의 카테고리부터 차츰 좁은 범위의 카테고리로 들어가서 필요한 용어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제일 상위 카테고리인 제1카테고리가 있고, 각 제1카테고리에는 그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하위 카테고리인 제2카테고리가 있고, 다시 제2카테고리에 포함되는 하위 카테고리인 제3카테고리가 있는 등 각 최상위 카테고리별로 피라미드 방식으로 구조화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제1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제1카테고리에 포함된 제2카테고리 항목들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사용자가 제공된 제1카테고리 내의 제2카테고리 항목을 선택하면 다시 제2카테고리에 포함된 제3카테고리 항목 들이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용어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몇 단계의 구조로 되는지는 그 카테고리가 어느 정도 세부화할 수 있는지에 따라 다르다.
본 발명에서 제1카테고리는 도메인, 그 하부의 제2카테고리는 엔티티, 그 하부의 제3카테고리는 퀄리파이어(Qualifier)로 칭한다.
도메인은 가장 큰 분류가 되는 기준으로 임상소견(Clinical Finding), 검사(Measurement), 처치(Procedure), 약제(Medication) 등의 엔티티로 나눌 수 있다.
엔티티는 각 도메인에 포함되는 의미있는 임상개념(Clinical Concept)을 의미하며, 임상소견(Clinical Finding) 도메인을 구성하는 엔티티로는 증상(Symptom), 병력(과거병력, 가족력, 사회력), 진단(diagnosis) 등의 항목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검사(Measurement) 도메인을 구성하는 엔티티로는 활력증후(Vital signs), 신체검진(Physical Examination), 임상병리검사((Laborotory Test), 진단방사선 검사(Radiology Test) 등의 항목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처치(Procedure) 도메인을 구성하는 엔티티로는 취해진 처치(Procedure), 중재(Intervention), 수술(Operation) 등의 항목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약제(Medication) 도메인을 구성하는 엔티티로는 의약품 처방(Order) 및 투여(Administration), 약물의 상호작용(Medication Reaction) 등의 항목이 있을 수 있다.
엔티티 하부의 퀄리파이어 카테고리는 각 엔티티의 속성을 나타내는 카테고리로 예를 들어 발병일(DateOfOnset), 기간(Duration), 발병빈도(Frequency), 중증도(Severity), 경과(Course), 악화인자(Aggravating Factor), 완화인자(Relieving Factor), 유발인자(ProvokingFactor) 등 70여 개의 항목이 있을 수 있다.
그 외에 엔티티 하부의 카테고리로 각 엔티티별로 관리되는 각 엔티티 속성에 대한 값(Value)에 대한 카테고리가 있으며, 이러한 값 카테고리로 이용되는 항목의 예로는 중증도(Severity)라는 퀄리파이어는 가벼움(mild), 가벼움에서 보통(mild to moderate), 보통(moderate), 보통에서 심하게(moderate to severe), 심한(severe) 등의 값을 가진다.
그 외에 의무기록을 위하여 입력되는 항목으로 각 엔티티에 대한 항목이 아닌 전체적인 내용에 대한 부가설명(예를 들어, 정보제공자, 정보의 정확도, 정보의 주체, 정보의 부정 등)에 대한 보조정보 카테고리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각 카테고리 항목들은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추가, 삭제되거나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상기한 각 카테고리 항목으로 이용되는 용어가 어느 하나의 용어로 특정되지 않고, 복수의 동치의 용어들 중의 하나가 선택되어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상기한 카테고리 항목 중 엔티티 카테고리 항목으로 이용되는 [임상병리 검사]라는 용어는 [랩테스트]라는 용어로 사용하는 사용자들도 있을 것이고, 영어로 [Laboratory Test], [Lab Test] 등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예에서는 대표적인 항목을 예로 들어서 사용하였기 때문에 앞에서 예로 들은 용어 중 하나를 보면 다른 용어들과 동일한 용어인 것을 사용자가 쉽게 알아차릴 수 있지만, 보다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용어인 경우에는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용어라도 그 용어가 다른 용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지 사용자가 쉽게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하는 사용자마다 각기 다른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의무기록을 전산화하더라도 같은 증상, 같은 실험결과 등에 서로 다른 용어가 이용됨으로 인해 의무기록을 이용한 통계나 연구 등을 할 수 없어서 전산화로 인한 효과를 충분히 누릴 수 없게 되고, 단순히 하나의 용어만을 이용하여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느끼거나 경우에 따라 서는 정확한 항목을 선택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결과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용어들로 구성된 복수의 목록 세트를 저장하여 두고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용어들이 포함된 목록세트를 이용하여 용어를 선택하고 의무기록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제2카테고리의 항목들이 3개로 [A, B, C]라는 용어로 표현되고, 상기한 목록세트가 제1목록세트로 저장되어 있다면 본 발명의 시스템에는 A와 동일 유사한 용어인 a, B와 동일 유사한 용어인 b, C와 동일 유사한 용어인 c로 구성된 목록 세트인 [a, b, c]가 제2목록세트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1목록세트에 포함된 항목들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SNOMED CT(Systemized Nomenclature Of MEDicine Clinical Terms: 상표명)와 같은 표준용어로 많이 사용되는 용어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용어 외에 의사, 임상병리사, 의무기록사 등이 자주 사용하는 용어들을 묶어서 다른 목록세트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각 목록세트를 구성하는 용어들이 다른 목록세트를 구성하는 용어들과 완전히 다를 필요는 없다. 물론 2개의 목록세트를 구성하는 용어들이 완전히 동일하다면 2개의 목록세트를 저장할 실익이 없겠지만, [A, B, C], [A, b, c] 등과 같이 일부 용어는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정 항목에 대해 특정 용어가 매우 많이 사용된다던가, 대체할만한 다른 용어들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부 항목은 많은 목록세트에서 동일한 용어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자차트에 의무기록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목록세트에 기재된 용어 중 2번째 항목에 해당하는 내용의 기록을 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먼저 출력된 제1목록세트에 나열된 용어들 중에서 자신이 선택하고자 하는 용어가 있는지 확인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용어가 b인 경우에는 제1목록세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용어를 찾을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목록세트를 제1목록세트에서 제2목록세트로 변경하게 되고, 제2목록세트에서 자신이 원하는 용어인 b 가 있으므로 이를 선택하여 기록하고자 하는 내용을 기록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기록을 위하여 선택한 목록세트와 상관없이 동일 유사한 용어로 기록된 내용들은 모두 동일하게 분류되어 기록된 내용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연구 등을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목록세트저장부(110), 용어입력부(120) 및 기록저장부(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목록세트저장부(110)는 카테고리별로 하위 카테고리에 포함된 항목을 나타내는 용어들의 집합인 목록세트를 저장한다.
즉, 각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하위 카테고리에는 여러 개의 항목이 있으며, 각 항목을 표현하기 위하여 복수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는데, 목록세트저장부(110)에는 하위 카테고리 항목들을 표현한 용어들의 집합인 목록세트가 저장된 다.
앞에서 예를 든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 항목들로 1번, 2번, 3번 항목이 있다고 하고, 1번 항목은 [A] 또는 [a]로 표현이 되고 2번 항목은 [B] 또는 [b]로 표현이 되고 3번 항목은 [C] 또는 [c]로 표현이 된다고 하면, 목록세트저장부(110)에는 [A, B, C], [a, b, c], [A, b, C], [a, B, C], [A, b, C], [a, b, C] … 등의 목록세트들이 저장될 수 있다.
얼마나 많은 수의 목록세트를 생성하여 저장할지 여부는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따라 하나의 항목에 대하여 자주 사용하는 용어들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용어들로 구성된 목록세트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사용자별로 대표목록세트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예를 들은 용어들 중 어떤 사용자가 1번 항목으로는 항상 A라는 용어를 이용하고, 2번 항목으로는 항상 b라는 용어를 이용하고, 3번 항목으로는 항상 C라는 용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A, b, C]로 구성된 목록세트를 생성하여 그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하여 로그인 등을 수행하면 그 목록세트가 항상 제일 먼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별로 목록세트를 생성하도록 하는 경우 그 목록세트는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도록 할 수도 있고, 기록저장부(130)에 저장된 내역을 이용하여 사영자별로 사용자가 입력한 용어들의 빈도수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용어입력부(120)는 목록세트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목록세트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그 목록세트 중에 용어를 선택받는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용어가 그 목록세트에 없는 경우에는 목록세트를 변경하여 다른 목록세트에서 자신이 원하는 용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용어입력부(120)는 먼저 사용자에게 제1카테고리 항목 중의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제1카테고리를 선택받으면 목록세트저장부(110)에 저장된 목록세트 중 선택된 제1카테고리에 포함된 하부 카테고리인 제2카테고리에 속하는 항목들이 표현된 용어들의 집합인 제1목록세트를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제1목록세트에 포함된 용어들 중의 하나를 선택받고, 사용자가 제1목록세트가 아닌 다른 목록세트의 제공을 선택하는 경우 제1목록세트에 포함된 항목들과 동일한 항목을 나타내며, 제1목록세트에 포함된 용어들과 동일, 유사한 용어들의 집합인 제2목록세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용어를 선택받는다.
용어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원하는 용어를 선택할 때까지 계속하여 목록세트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목록세트들을 제공하여 준다. 다만, 모든 목록세트들을 다 제공한 후에는 그 사실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모든 용어들을 살펴봤음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록저장부(130)는 용어입력부(120)을 통하여 선택된 용어가 전자차트에 기록되도록 하고, 이렇게 기록된 전자차트를 저장한다.
한편, 기록저장부(130)는 각 전자차트를 기록된 그대로 저장하기도 하지만, 각 전자차트의 기록에 이용된 용어들을 대표 용어로 통일하여 기록된 전자차트도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앞에서 설명한 예에서 1번 항목을 나타내는 용어가 A와 a가 있고, 이중 대표 용어가 A로 지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a를 이용하여 기록을 한 경우, a가 기록된 전자차트와 A가 기록된 전자차트가 모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경우 대표 용어로 기록된 전자차트는 통계, 연구 등에 이용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기록저장부(130)는 사용자별로 각 항목에 이용한 용어들의 빈도수를 저장한다. 이 빈도수는 목록세트저장부(110)가 각 사용자별로 가장 먼저 제공하는 대표목록세트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기타, 기록저장부(130)는 용어입력부(120)를 통해 선택되는 용어 외에 사용자가 직접 키보드를 이용하여 전자차트에 입력하는 내용도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용어입력부(120)는 목록세트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제1카테고리 항목에 해당하는 목록세트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제1카테고리를 선택받는다(201).
제1카테고리의 경우에도 복수의 목록세트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목록세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제1카테고리와 같이 가장 상위의 카테고리에 이용되는 용어는 의료업계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 의미를 쉽게 알 수 있는 용어들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카테고리 항목들까지 복수의 목록세트를 생성하여 둘 필요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카테고리 항목을 나타 내는 용어들의 집합인 목록세트는 하나만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또한, 도 3에서는 전자차트에 기록되는 최종 용어가 제2카테고리 항목을 나타내는 용어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사용자가 제1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용어입력부(120)는 목록세트저장부(110)로부터 선택된 제1카테고리에 포함된 하부 카테고리인 제2카테고리에 속하는 항목들이 표현된 용어들의 집합인 제1목록세트를 추출하여 출력한다(202).
이 때, 제일 처음 출력되는 제1목록세트는 SNOMED CT(Systemized Nomenclature Of MEDicine Clinical Terms: 상표명)에 포함된 용어들과 같이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대표 용어라고 지정된 용어들이 포함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지정한 용어들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직접 지정한 용어들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기에 앞서 미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지정하거나, 사용자가 사용 중에 이용한 용어들의 빈도수를 기록저장부(130)가 기록하여 두고, 용어입력부(120)가 이 빈도수를 이용하여 가장 이용빈도수가 높은 용어들을 대표적인 용어로 제1목록세트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에는 로그인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별로 이용환경이 구분되도록 하고, 사용자별로 제1목록세트가 다르게 지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사용자가 제1목록세트에 포함된 용어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면(203), 사용자가 선택한 용어가 전자차트에 기록되고, 이렇게 기록된 전자차트가 저장되도 록 한다(204).
이 때 전자차트가 저장되는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용어가 기록된 전자차트와 대표용어로 기록된 전자차트 2종의 전자차트가 기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록저장부(130)는 전자차트를 저장할 때 사용자별로 각 항목에 이용한 용어들의 빈도수를 저장한다. 이 빈도수는 목록세트저장부(110)가 각 사용자별로 가장 먼저 제공하는 대표목록세트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만약, 다른 기록사항이 없으면(205), 전자차트에 의무기록을 하는 절차를 종료하고, 다른 기록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전자차트에 의무기록을 하는 절차를 되풀이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원하는 용어가 제1목록세트에 없는 경우에는(203), 용어입력부(120)부는 목록세트저장부(110)에 저장된 목록세트 중 제1목록세트에 포함된 항목들과 동일한 항목을 나타내며, 제1목록세트에 포함된 용어들과 동일, 유사한 용어들의 집합인 제2목록세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준다(206).
만약, 사용자가 원하는 용어가 제2목록세트에 있는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과정을 거쳐서 기록을 종료하게 되며, 만약 제2목록세트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용어가 없는 경우에는 다시 제3목록세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등, 계속하여 목록세트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목록세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용어를 이용하여 전자차트에 의무기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화된 입력방식의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Claims (9)

  1. 전자차트에 기록하기 위한 의무기록의 입력을 위하여 상위 카테고리를 선택받은 후, 상기 상위 카테고리에 포함된 하위 카테고리의 항목을 선택하여, 기록하고자 하는 용어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구조화된 입력을 지원하는 전자의무기록 입력시스템에 있어서,
    카테고리별로 하위 카테고리에 포함된 항목을 나타내는 용어들의 집합인 목록세트를 저장하는 목록세트 저장부;
    전자차트에 의무기록 입력용 용어를 선택하기 위한 제1카테고리를 선택받으면, 상기 목록세트 저장부에 저장된 목록세트 중 상기 선택된 제1카테고리에 포함된 하부 카테고리인 제2카테고리에 속하는 항목들이 표현된 용어들의 집합인 제1목록세트를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목록세트에 포함된 용어들 중의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목록세트가 아닌 다른 목록세트의 제공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1목록세트에 포함된 항목들과 동일한 항목을 나타내며, 상기 제1목록세트에 포함된 용어들과 동일, 유사한 용어들의 집합인 제2목록세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용어를 선택받는 용어입력부; 및
    상기 용어입력부를 통하여 선택된 용어가 전자차트에 기록되고 저장되도록 하는 기록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화된 전자의무기록 입력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세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목록세트 중 상기 사용자에게 제일 먼저 제공되는 목록세트에 포함되는 용어들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화된 전자의무기록 입력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저장부는 사용자별로 이용되는 용어들의 빈도수를 저장하며,
    상기 목록세트 저장부는 저장된 용어들 중 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빈도수가 높은 용어들을 포함하는 대표목록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대표목록세트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일 먼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화된 전자의무기록 입력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저장부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용어가 기록된 전자차트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용어에 대응되는 항목을 나타내는 용어들 중 대표용어로 지정된 용어가 기록된 전자차트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화된 전자의무기록 입력시스템.
  5. 전자차트에 기록하기 위한 의무기록의 입력을 위하여 상위 카테고리를 선택받은 후, 상기 상위 카테고리에 포함된 하위 카테고리의 항목을 선택하여, 기록하고자 하는 용어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구조화된 입력을 지원하는 전자의무기록 입력방법에 있어서,
    전자차트에 의무기록 입력용 용어를 선택하기 위한 제1카테고리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1카테고리에 포함된 하부 카테고리인 제2카테고리에 속하는 항목들이 표현된 용어들의 집합인 제1목록세트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목록세트에 포함된 용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용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목록세트가 아닌 다른 목록세트의 제공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1목록세트에 포함된 항목들과 동일한 항목을 나타내며, 상기 제1목록세트에 포함된 용어들과 동일, 유사한 용어들의 집합인 제2목록세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목록세트에 포함된 용어가 선택되면 상기 제2목록세트에서 선택된 용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용어가 전자차트에 기록되도록 하고, 상기 용어가 기록된 전자차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화된 전자의무기록 입력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일 먼저 제공되는 제1목록세트에 포함되는 용어들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화된 전자의무기록 입력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별로 이용되는 용어들의 빈도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에게 제일 먼저 제공되는 제1목록세트에 포함되는 용어들은 상기 사용자별로 이용되는 빈도수가 높은 용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화된 전자의무기록 입력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용어에 대응되는 항목을 나타내는 용어들 중 대표용어로 지정된 용어가 기록된 전자차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화된 전자의무기록 입력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90019863A 2009-03-09 2009-03-09 임상 컨텐츠 모델을 이용한 전자의무기록 입력시스템 및 전자의무기록 방법 KR20100101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863A KR20100101396A (ko) 2009-03-09 2009-03-09 임상 컨텐츠 모델을 이용한 전자의무기록 입력시스템 및 전자의무기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863A KR20100101396A (ko) 2009-03-09 2009-03-09 임상 컨텐츠 모델을 이용한 전자의무기록 입력시스템 및 전자의무기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396A true KR20100101396A (ko) 2010-09-17

Family

ID=43006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863A KR20100101396A (ko) 2009-03-09 2009-03-09 임상 컨텐츠 모델을 이용한 전자의무기록 입력시스템 및 전자의무기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13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766B1 (ko) * 2012-09-12 2015-01-20 한국후지쯔 주식회사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 및 전자서식 작성 방법
CN113066551A (zh) * 2021-04-13 2021-07-02 常州市第二人民医院 一种引导式电子病历录入系统及录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766B1 (ko) * 2012-09-12 2015-01-20 한국후지쯔 주식회사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 및 전자서식 작성 방법
CN113066551A (zh) * 2021-04-13 2021-07-02 常州市第二人民医院 一种引导式电子病历录入系统及录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lpern et al. Electronic medical record phenotyping using the anchor and learn framework
West et al. Innovative information visualization of electronic health record data: a systematic review
Ingui et al. Searching for clinical prediction rules in MEDLINE
Marcilly et al. Usability flaws of medication-related alerting functions: a systematic qualitative review
US10860171B2 (en) Dynamic association and documentation
US8856188B2 (en) Electronic linkage of associated data with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einen et al. Use of unstructured text in prognostic clinical prediction models: a systematic review
Willett et al. SNOMED CT concept hierarchies for sharing definitions of clinical conditions using electronic health record data
US88063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column sorting and locking
Kreuzthaler et al. Secondary use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for building cohort studies through top-down information extraction
US20160188822A1 (en) Clinical decision support rule generation and modification system and methods
Shahbazi et al. Development of a scale for data quality assessment in automated library systems
Bakken The journey to transparency, reproducibility, and replicability
Castillo et al. Electronic health records in mental health research: a framework for developing valid research methods
Liu et al. Learning to detect and understand drug discontinuation events from clinical narratives
Sahoo et al. ProvCaRe: characterizing scientific reproducibility of biomedical research studies using semantic provenance metadata
Chang et al. Using a text mining approach to explore the recording quality of a nursing record system
Liu et al. DQueST: dynamic questionnaire for search of clinical trials
US20220148692A1 (en) Method of displaying medical information and health record apparatus
Bayramli et al. Predictive structured–unstructured interactions in EHR models: A case study of suicide prediction
O'Keefe et al. Investigation of text‐mining methodologies to aid the construction of search strategies in systematic reviews of diagnostic test accuracy—a case study
MacMillan et al. eWasted time: Redundant work during hospital admission and discharge
Doan et al. PhenDisco: phenotype discovery system for the database of genotypes and phenotypes
KR20100101396A (ko) 임상 컨텐츠 모델을 이용한 전자의무기록 입력시스템 및 전자의무기록 방법
Hyun et al. Iterative evaluation of the health level 7—logical observation identifiers names and codes clinical document ontology for representing clinical document names: a case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226

Effective date: 2012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