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7939A -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 및 전자 의료기록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 및 전자 의료기록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939A
KR20040107939A KR1020030038631A KR20030038631A KR20040107939A KR 20040107939 A KR20040107939 A KR 20040107939A KR 1020030038631 A KR1020030038631 A KR 1020030038631A KR 20030038631 A KR20030038631 A KR 20030038631A KR 20040107939 A KR20040107939 A KR 20040107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record
record file
server
medical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훈
Original Assignee
린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8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7939A/ko
Publication of KR20040107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93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 등에서 관리하는 의료기록을 전자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탈 펜과 디지탈 페이퍼를 이용하여 의료기록을 생성하고 이를 고유의 인증 알고리즘을 통해 인증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디지탈 펜과 디지탈 페이퍼를 사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므로 작업효율을 제고할 수 있고, 특히 미리 다양한 종류의 클립아트를 마련하여 필요할 때마다 디지탈 페이퍼에 클립아트를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더욱 제고할 수 있으며, 전자 의료기록에 대해서 인증기관의 인증을 받은 후 저장함으로써 법적인 효력을 부여할 수 있고, 따라서 보관을 위해 인쇄 및 스캐닝을 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더욱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 및 전자 의료기록 관리 방법{Electronic medical recor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병원 등에서 관리하는 의료기록을 전자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탈 펜과 디지탈 페이퍼를 이용하여 의료기록을 생성하고 이를 고유의 인증 알고리즘을 통해 인증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는 환자 진료에 따른 의료기록을 통상적으로 종이문서로서 생성 및 관리하였는데, 이러한 의료기록에 대해서는 법률적으로 소정의 기간동안 보관하여야 하는 의무가 의료기관에 있다. 현재 적용되는 대한민국의 관계 법령에 따르면, 의료기관은 의료기록에 대해서는 10년간 그리고 영상정보에 대해서는 3년간 보관하여야 하는 의무를 부담하는데, 이를 위한 인적, 공간적, 비용적 부담이 상당하다.
이에, 종래로 의료기록을 일부 전자적으로 처리하고자 하는 방안이 제시되었으나, 종래의 방안에서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의사나 간호사 등이 키보드 타이핑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종래의 의료기록 챠트는 그대로는 법적으로 인정받지 못하여 일단 인쇄한 후에 의사의 서명을 받아 다시 스캐닝하여 보관하는 비효율성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병원 등에서 관리하는 의료기록을 디지탈 펜과 디지탈 페이퍼를 이용하여 전자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고, 이러한 의료기록을 인쇄 및 스캐닝 등의 중간절차 없이 그대로 전자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의료기록을 고유의 인증 알고리즘을 통해 인증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에서 의료기록 파일이 생성되고 갱신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클립아트 파일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에서 의료기록 데이터의 관리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
110 : 전자 의료기록(EMR) 서버
120 : 무정전 전원공급장치(APC)
130 : 접수대 컴퓨터
140 : 진료실 컴퓨터
150 : 액세스포인트 장치
160:1, 160:N : 이동형 컴퓨터
170 : 인터넷
180 : 인증서버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접수 컴퓨터, 복수개의 이동형 컴퓨터, 의료기록 파일서버, 및 인증서버를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운영하는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접수 컴퓨터는 신규의 내원 환자에 대해 챠트번호를 할당하면서 의료기록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의료기록 파일을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 컴퓨터는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로부터 내원 환자에 대한 상기 의료기록 파일을 로딩하여 상기 내원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가 입력된 후 상기 의료기록 파일이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 상에서 업데이트되도록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는 상기 의료기록 파일을 소정의 압축방식에 따라서 압축저장하고, 상기 챠트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의료기록 파일에 대한 검색서비스 및 조회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 컴퓨터와 통신하여 상기 의료기록 파일에 대한 업데이트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는 상기 저장된 의료기록 파일을 소정의 스케쥴에 따라서 상기 인증서버로 전달하여 인증 후 전달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의료기록의 입력 및 생성은 이동형 컴퓨터(160:1 ~ 160:N)에서 이루어지거나 진료실 컴퓨터(140)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시스템(100)에 있어서, 의료기록을 입력하는 수단은 진료실 컴퓨터(140)와 같은 고정형의 컴퓨팅 단말기일 수도 있고 이동형 컴퓨터(160:1 ~ 160:N)와 같은 이동형의 컴퓨팅 단말기일 수도 있는데, 업무환경을 고려하면 이동형의 컴퓨팅 단말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동형 컴퓨팅 단말기를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 내에 연동시키기 위해서 무선 네트워크가 제공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IEEE 802.11로 대표되는 무선랜(wireless LAN)이 가장 적절하다. 도시된 액세스포인트(150)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 간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성형태는 공지기술의 범위 내애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단순히 진료실 컴퓨터(140)를 중심으로 하나이상의 이동형 컴퓨터(160:1 ~ 160:N)를 중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액세스포인트(150)가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에 제공되어 의료기관 내에서 동작하는 모든 이동형 컴퓨터(160:1 ~ 160:N)를 중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의 액세스포인트(150)가 의료기관 내의 곳곳에 배치되어 예컨대 소위 인터-액세스포인트 프로토콜(inter-AP protocol)에 기초하여 이동형 컴퓨터(160:1 ~ 160:N)가 이동할 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구성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접수대 컴퓨터(130)는 내원 환자에 대해서 기존의 의료기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원 환자에 대한 의료기록 파일을 신규로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의료기록 파일을 생성할 때, 상기 내원 환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추가하고 또한 향후 관리를 위해서 챠트번호도 할당하는데, 의료기록 파일의 관리상의 편이를 위해서 파일명을 챠트번호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진료실의 의사는 진료실 컴퓨터(140)와 같은 고정형의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이동형 컴퓨터(160:1 ~ 160:N)과 같은 이동형의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회진 등과 같은 병원 내의 업무환경을 고려할 때 이동형의 컴퓨팅 단말기가 보다 바람직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의사는 환자진료를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기생성된 의료기록 파일을 로딩하는데, 검색방식은 내원 환자의 성명 또는 챠트번호가 바람직하다.
또한, EMR 서버(110)는 내원 환자들에 대한 의료기록 파일을 저장하고 관리하는데, 일 실시예로서 챠트번호에 기초하여 의료기록 파일을 관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의사 등은 내원 환자의 진료를 위해서 의료기록 파일을 검색하고 조회하는데, 검색방식은 성명 또는 챠트번호가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EMR 서버(110)는 내원 환자의 성명에 기초한 검색서비스와 챠트번호에 기초한 검색서비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EMR 서버(110)는 의사 등의 원거리 조작에 대응하여 의료기록 파일을 진료실 컴퓨터(140) 혹은 이동형 컴퓨터(160:1 ~ 160:N)로 제공하는데, 이 때 진료실 컴퓨터(140) 혹은 이동형 컴퓨터(160:1 ~ 160:N) 상에서 입력되어진 의료기록이 적절히 업데이트되도록 역시 의사 등의 원거리 조작에 대응하여 의료정보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EMR 서버(1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EMR 서버(110)는 저장용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소정의 압축기술에 따라서 의료정보 파일을 압축하여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고유의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하거나 비밀번호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장용량의 극대화와 더불어 자료의 보안성도 제고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 안정성을 위해서 EMR 서버(110)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의료기록 파일이 법적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인증서버(180)와 연동하여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인증서버(180)는 외부의 공인인증기관에서 관리하는 인증서버가 보다 바람직하며, 이러한 경우 EMR 서버(110)는 인터넷(170)을 통해 인증서버(180)와 연결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 가정하는 인증서버(180)는 공인인증기관에서 관리하는인증서버에 한정되지는 않고, 기타 사설인증기관에서 관리하는 인증서버라도 사용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해석되며, 또한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100)을 운영하는 업체가 자격을 갖춘 경우에는 내부적으로 운영하는 인증서버(180)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해석된다.
한편, EMR 서버(110)는 소정의 스케쥴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관리 파일을 인증서버(180)로 전달하여 인증 후 되돌려받아 저장하게 되며, 이 때 소정의 스케쥴이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100)을 설계하면서 인증스케쥴 방식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의미이다. 즉, 이러한 인증과정을 매일 소정의 시각에 하거나, 혹은 매월 소정의 날짜, 소정의 시각에 하거나, 아니면 관리자가 지정하는 시각에 하거나, 혹은 관리자가 메뉴를 조작하여 하는 등, 어떠한 정해진 방식의 스케쥴을 통해서 인증과정이 수행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널리 해석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100)에서 의료기록 파일이 생성되고 갱신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환자(270)가 내원하면 일반적으로 접수대 컴퓨터(230)에서 상기 내원 환자(270)에 대한 의료기록 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점검하게 되며, 신규 환자인 경우에는 의료기록 파일을 생성하면서 상기 의료기록 파일에 대한 챠트번호를 할당한다. 이러한 의료기록 파일은 병원에서 운영하는 병원지료 정보서버(220)에 전달되며, 통상적으로 이러한 의료기록 파일에는 상기 내원 환자(270)에 대한 각종 기초정보가 입력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원 환자(270)에 대한 기초정보가 입력되는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의료기록 파일이 생성된 이후에 간호사 컴퓨터(240)에서 로딩 후 입력될 수도 있으며, 혹은 접수 대 컴퓨터(230)에서 의료기록 파일을 신규 생성할 때 동시에 입력할 수도 있다.
이렇게 마련된 의료기록 파일은 병원진료 정보서버(220)와 의료기록 파일서버(210)에 존재하게 되는데, 상기 내원 환자(270)의 담당의사가 해당 환자(270)를 진료하기 위해서 의료기록 파일을 검색하면 해당하는 의료기록 파일이 의료기록 파일서버(210)로부터 담당의사의 컴퓨터(260)로 로딩되고, 담당의사는 상기 의료기록 파일 상에 상기 내원 환자(270)에 대한 각종 의료기록 정보를 추가한 후 적절히 업데이트 시킨다. 상기 업데이트 과정은 자동 업데이트 방식도 가능하고, 혹은 담당의사가 특정의 메뉴 버튼, 예컨대 "자료전송" 버튼을 누를 때 업데이트 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다만, 도 2에서는 담당의사의 컴퓨터(260)가 이동형의 컴퓨터 시스템이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의료기록 파일서버(210)와 연결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수불가결한 사항은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고정형의 컴퓨터 시스템일 수도 있으며, 이동형의 컴퓨터 시스템이라고 하더라도 추가된 의료기록을 내부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있다가 나중에 도킹 스테이션이나 베이 등을 통해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될 때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210)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의료기록 파일서버(210)와는 별도로 백업장치(250)가 운용되는 것이보다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자료보관의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다. 의료기록 파일서버(210)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의료기록 파일을 모두 백업장치(250)에 이중저장할 수도 있고, 또는 전술한 바 인증서버(180)를 통해 인증과정을 받은 의료기록 파일만을 백업장치(250)로 이중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관한 위의 설명에서, 병원지료 정보서버(220)는 본 발명에서 다루고자 하는 전자적 의료기록 관리의 목적 이외에 일반적인 병원 진료기록 관리를 위해 운영되는 서버로서,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100)이 기존의 병원관리 시스템과 무리없이 연동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진료 정보서버(220)와 의료기록 파일서버(210)와 백업장치(250)에서 사용 및 관리되는 의료기록 데이터는 롱텀(long-term)에서의 동일성이 유지되어야 하고, 이러한 동기설정을 위해 이들 서버(210, 220, 250)는 상호 협조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클립아트 파일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의료기록의 생성 및 관리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클립아트 파일을 마련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제공하는데, 도 3에 도시된 클립아트 파일은 치과 병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실시예이다. 이러한 클립아트 파일은 의료기록 파일서버(210)가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100)에서 의료기록 데이터의 관리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록 파일은 의료기록 파일서버(410)의 내부, 즉 도시된 서버 디스크(420)에 먼저 저장되게 되며, 이후에 담당의사가 예컨대 내원 환자를 진찰하거나 회진 등의 목적을 위해 필요한 의료기록 파일을 검색 및 요구하게 되면, 이에 대응하는 의료기록 파일이 의료기록 파일서버(410)로부터 담당의사 컴퓨터(460)로 로딩된다. 담당의사는 내원 환자를 진찰하면서 의료기록 파일을 변경하게 되는데, 이렇게 변경된 의료기록 파일은 일단은 로컬 디스크(470) 내에 저장되고, 소정의 스케쥴에 따라서 의료기록 파일서버(410)로 업데이트된다. 여기서, 소정의 스케쥴에 따라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것에는 소정의 주기를 따라서 업데이트가 수행되거나, 혹은 도 4의 경우 담당의사가 "전송" 등의 메뉴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것 등이 포함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의료기록 파일서버(410)는 외부 컴퓨터 시스템(460)과의 동작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컴퓨터 시스템(460)을 조작하는 사람의 권한을 체크한다. 이는 사용자의 권한을 조회만 가능한 사용자와 변경까지 가능한 사용자로 구분하여 관리함으로써 의료기록 파일서버(410)에서 저장 및 관리하는 의료기록 파일의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즉, 의료기록 파일을 요구하는 사용자가 조회만 가능한 권한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는 전달된 의료기록 파일을 변경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봉쇄되는데, 구체적인 구현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460) 상에서 의료기록 파일을 변경하고자 할 때 에러가 발생하도록 하거나, 혹은 컴퓨터 시스템(460) 상에서의 변경은 허용하되 의료기록 파일서버(410)로의 업데이트만 불가능하도록 하는 등이 가능하다.
한편, 의료기록 파일서버(410)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서버(480)에 대해서 의료기록 파일을 전달하여 인증 후 되돌려받아 저장하게 되는데, 이러한 인증과정은 소정의 스케쥴에 따라서 수행됨은 역시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고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의료기록 파일서버(410)와는 별도로 백업장치(450)가 운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함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으며, 이러한 백업장치(450)에 의료기록 파일을 이중저장 혹은 장기저장 함으로써 자료보관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의료기록 파일서버(410)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의료기록 파일을 모두 백업장치(450)에 저장할 수도 있고, 혹은 인증서버(480)를 통해 인증과정을 받은 의료기록 파일만을 백업장치(450)로 저장할 수도 있는데, 백업장치(450)의 효율성을 보다 제고하기 위해서는 인증서버(480)를 통해 인증과정을 받은 의료기록 파일만을 백업장치(450)로 저장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디지탈 펜과 디지탈 페이퍼를 사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므로 작업효율을 제고할 수 있고, 특히 미리 다양한 종류의 클립아트를 마련하여 필요할 때마다 디지탈 페이퍼에 클립아트를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더욱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전자 의료기록에 대해서 인증기관의 인증을 받은 후 저장함으로써 법적인 효력을 부여할 수 있고, 따라서 보관을 위해 인쇄 및 스캐닝을 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더욱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접수 컴퓨터, 복수개의 의료기록 입력컴퓨터, 의료기록 관리서버, 및 인증서버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운영하는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접수 컴퓨터에서는 내원 환자에 대해서 상기 의료기록 관리서버와 통신하여 기존에 의료기록 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점검하여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내원 환자에 대한 의료기록 파일이 신규로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개의 의료기록 입력컴퓨터에서는 상기 의료기록 관리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내원 환자에 대한 상기 의료기록 파일을 로딩하여 상기 내원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가 반영되어 상기 의료기록 파일이 업데이트되도록 하고, 상기 의료기록 입력컴퓨터에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 상으로 상기 의료기록 파일에 대해 의료정보를 입력하면 그 이후에 상기 의료기록 파일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의료기록 관리서버로 업데이트되도록 하며, 상기 의료기록 관리서버는 상기 접수 컴퓨터와 통신하여 상기 내원 환자에 대한 의료기록 파일의 생성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개의 의료기록 입력컴퓨터와 통신하여 상기 의료기록 파일에 대한 업데이트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생성 및 업데이트된 의료기록 파일을 소정의 압축방식에 따라서 압축저장하며, 상기 인증서버는 소정의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의료기록 관리서버는 상기 의료기록 파일을 소정의 스케쥴에 따라서 상기 인증서버로 전달하여 인증 후 전달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의료기록 입력컴퓨터는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의료기록 관리서버와 연결되는 하나이상의 이동형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은 복수개의 액세스포인트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형 컴퓨터가 이동하는 경우에 소정의 인터-액세스포인트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액세스포인트 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형 컴퓨터에 대해서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 컴퓨터에서는 상기 의료기록 파일을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의료기록 파일에 대한 차트번호를 할당하고, 상기 의료기록 관리서버는 상기 챠트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기록 파일을 관리하며, 상기 의료기록 관리서버는 상기 관리하는 의료기록 파일에 대하여 상기 차트번호에 기초한 검색서비스 및 조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록 관리서버는 병원진료 정보서버 및 의료기록 파일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병원진료 정보서버는 상기 접수 컴퓨터와 통신하여 상기 내원 환자에 대한 의료기록 파일의 생성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는 상기 복수개의 의료기록 입력컴퓨터와 통신하여 상기 의료기록 파일에 대한 업데이트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는 상기 인증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의료기록 파일을 소정의 스케쥴에 따라서 상기 인증서버로 전달하여 인증 후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병원진료 정보서버와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는 상기 의료기록 파일의 동기를 맞추도록 협조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
  5. 접수 컴퓨터, 복수개의 이동형 컴퓨터, 의료기록 파일서버, 및 인증서버를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운영하는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접수 컴퓨터는 신규의 내원 환자에 대해 챠트번호를 할당하면서 의료기록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의료기록 파일을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 컴퓨터는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로부터 내원 환자에 대한 상기 의료기록 파일을 로딩하여 상기 내원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가 입력된 후 상기 의료기록 파일이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 상에서 업데이트되도록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는 상기 의료기록 파일을 소정의 압축방식에 따라서 압축저장하고, 상기 챠트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의료기록 파일에 대한 검색서비스 및 조회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 컴퓨터와 통신하여 상기 의료기록 파일에 대한 업데이트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는 상기 저장된 의료기록 파일을 소정의 스케쥴에 따라서 상기 인증서버로 전달하여 인증 후 전달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은 병원진료 정보서버를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로 더 연결하여 운영하며, 상기 병원진료 정보서버는 상기 접수 컴퓨터와 통신하여 상기 신규의 내원 환자에 대한 의료기록 파일의 생성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병원진료 정보서버와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는 상기 의료기록 파일의 동기를 맞추도록 협조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은 백업장치를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로 더 연결하여 운영하며,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는 상기 인증서버를 통해 인증절차를 수행한 의료기록 파일을 소정의 제2 스케쥴로 상기 백업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
  8. 제4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는 상기 의료정보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복수개의 템플릿 파일을 미리 마련하여 상기 이동형 컴퓨터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요구된 템플릿 파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
  9. 접수 컴퓨터, 복수개의 이동형 컴퓨터, 의료기록 파일서버, 및 인증서버를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운영하는 전자 의료기록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수 컴퓨터는 신규의 내원 환자에 대해 챠트번호를 할당하면서 의료기록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의료기록 파일을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 컴퓨터는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로부터 내원 환자에 대한 상기 의료기록 파일을 로딩하여 상기 내원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가 입력된 후 상기 의료기록 파일이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 상에서 업데이트되도록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는 상기 의료기록 파일을 소정의 압축방식에 따라서 압축저장하고, 상기 챠트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의료기록 파일에 대한 검색서비스 및 조회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 컴퓨터와 통신하여 상기 의료기록 파일에 대한 업데이트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는 상기 저장된 의료기록 파일을 소정의 스케쥴에 따라서 상기 인증서버로 전달하여 인증 후 전달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의료기록 관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의료기록 관리방법은 병원진료 정보서버를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로 더 연결하여 운영하며, 상기 병원진료 정보서버는 상기 접수 컴퓨터와 통신하여 상기 신규의 내원 환자에 대한 의료기록 파일의 생성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병원진료 정보서버와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는 상기 의료기록 파일의 동기를 맞추도록 협조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의료기록 관리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의료기록 관리방법은 백업장치를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로 더 연결하여 운영하며,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는 상기 인증서버를 통해 인증절차를 수행한 의료기록 파일을 소정의 제2 스케쥴로 상기 백업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의료기록 관리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록 파일서버는 상기 의료정보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복수개의 템플릿 파일을 미리 마련하여 상기 이동형 컴퓨터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요구된 템플릿 파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의료기록 관리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전자 의료기록 관리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정보기록매체.
KR1020030038631A 2003-06-16 2003-06-16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 및 전자 의료기록 관리 방법 KR20040107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631A KR20040107939A (ko) 2003-06-16 2003-06-16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 및 전자 의료기록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631A KR20040107939A (ko) 2003-06-16 2003-06-16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 및 전자 의료기록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939A true KR20040107939A (ko) 2004-12-23

Family

ID=37381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631A KR20040107939A (ko) 2003-06-16 2003-06-16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 및 전자 의료기록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793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149A (ko) * 2004-01-09 2005-07-13 (주) 한국소프트웨어개발원 모바일 emm(휴대용 전자의료정보관리) 시스템
KR100760955B1 (ko) * 2005-04-19 2007-09-21 린시스템 주식회사 전자 의무 기록 관리 시스템 및 전자 의무 기록 생성 방법
WO2011123375A2 (en) * 2010-03-31 2011-10-06 Welch Allyn, Inc. Patient matching
KR101484766B1 (ko) * 2012-09-12 2015-01-20 한국후지쯔 주식회사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 및 전자서식 작성 방법
KR20230005708A (ko) * 2021-07-01 2023-01-1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전자차트의 메모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149A (ko) * 2004-01-09 2005-07-13 (주) 한국소프트웨어개발원 모바일 emm(휴대용 전자의료정보관리) 시스템
KR100760955B1 (ko) * 2005-04-19 2007-09-21 린시스템 주식회사 전자 의무 기록 관리 시스템 및 전자 의무 기록 생성 방법
WO2011123375A2 (en) * 2010-03-31 2011-10-06 Welch Allyn, Inc. Patient matching
WO2011123375A3 (en) * 2010-03-31 2011-11-24 Welch Allyn, Inc. Patient matching
KR101484766B1 (ko) * 2012-09-12 2015-01-20 한국후지쯔 주식회사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전자서식 작성기 및 전자서식 작성 방법
KR20230005708A (ko) * 2021-07-01 2023-01-1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전자차트의 메모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9555B2 (en) Mobile device-based system for automated, real time health record exchange
CN1279473C (zh) 面向计算机的记录管理系统
US8515778B2 (en) Teleradiology image processing system
US7069227B1 (en) Healthcare information network
US20160034713A1 (en) Decentralized Systems and Methods to Securely Aggregate Unstructured Personal Data on User Controlled Devices
CN106663145B (zh) 用于个人健康记录系统的通用存取智能卡
EA002411B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администратора данных рабочей области для доступа, обработки и синхронизации сетевых данных
US201402794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secure digital repository for all customer documents, with a document inheritance facility
CN101094143A (zh) 实现跨医院电子病历的系统和方法
CN103886529A (zh) 一种健康档案信息管理服务系统及方法
EP3891690B1 (en) Intelligent meta pacs system and server
US2007012996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medical data entry system
US11962682B2 (en) Secure transmission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via blockchain
JP2007149067A (ja) 文書管理システム
US202001930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inical study management
US11170878B2 (en) Data capturing and exchange method and system
US20200374125A1 (en) Secure transmission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via blockchain
KR20210067353A (ko) 블록체인 상의 다중서명 전자계약으로 개인의 통제권을 강화하여 의료기록을 저장하고 정보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outelakis et al. PACS through web compatible with DICOM standard and WADO service: advantages and implementation
EP1619595A1 (en) Image data obtaining system, digital compound machine and system management server
KR20040107939A (ko) 전자 의료기록 관리 시스템 및 전자 의료기록 관리 방법
JP6828459B2 (ja) 文書閲覧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Ma et al. OpenID Connect as a security service in cloud-based medical imaging systems
Scorer Identity directories and databases
Okediran et al. A Framework for a Cloud-Based Electronic Health Records System for Developing Count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