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416A -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416A
KR20140034416A KR1020120100479A KR20120100479A KR20140034416A KR 20140034416 A KR20140034416 A KR 20140034416A KR 1020120100479 A KR1020120100479 A KR 1020120100479A KR 20120100479 A KR20120100479 A KR 20120100479A KR 20140034416 A KR20140034416 A KR 20140034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entrance examination
entranc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듀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듀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듀컴
Priority to KR1020120100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4416A/ko
Publication of KR20140034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381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dentifiers, e.g. barcodes,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0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statics or dyna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대학의 일반적인 입시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관리서버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서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일반적인 입시정보를 수험생들이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관리서버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일반적인 입시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되는 입시정보에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입시정보 저장/처리부와; 수험생이 원하는 대상의 입시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입력되는 요청정보가 저장되는 요청정보 저장부와; 입시정보 저장/처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일반적인 입시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입시정보 전송부와; 입시정보 저장/처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일반적인 입시정보와 요청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요청정보를 비교하고,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입시정보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비교 추출부와; 비교 추출부에서 추출된 식별정보를 수험생에서 알려주는 식별정보 전송부로 이루어지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일반적인 입시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수험생이 식별정보 전송부에서 알려준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식별정보 입력부와; 수험생이 입력한 식별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입시정보 요청부로 이루어져서, 입시정보 전송부는 입시정보 요청부에서 전송된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특정 입시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THE ENTRANCE EXAM INFORMATION}
본 발명은 대학진학을 원하는 수험생들에게 대학의 입시정보 등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 수많은 입시정보들 중에서 특정 수험생들에게 진학을 원하는 대학의 입시정보만을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학진학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은 입시제도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적절한 대학진학 관련 입시정보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수험생들의 입장에서, 진학을 원하는 대학의 입시정보만을 별도로 얻는 것은 어려운 상황이다. 즉, 수많은 입시정보에 묻혀서 수험생들이 진학하고자 하는 특정 대학의 입시정보를 얻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수험생들 개개인마다 필요로 하는 입시정보가 서로 상이할 수 있는데, 발표되는 입시정보들의 경우 모든 일반 수험생들을 대상으로 발표되므로, 학생들 개개인이 실제 필요로 하는 입시정보를 정확히 전달받기가 곤란하였다. 그 외 발표되는 입시정보의 표현 내용이 학생들의 이해수준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는 데, 이 경우에도 수험생들이 자신에 있어 실제 필요한 정확한 입시정보를 전달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9013호(제1특허문헌)에는 각 학과별 경쟁률 정보나 합격자 정보와 같은 각종 정보를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하는 DB서버와, 각 DB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정보를 제공받아 제공받은 정보를 포함하도록 각 대학의 고유 컨텐츠를 가공하여 생성하여 무선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모바일 페이지 제공 서버와, 상기 모바일 페이지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페이지에 접속하여 정보를 열람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경쟁률 정보나 합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하고 이를 ARS 또는 웹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각 대학 서버를 포함하는 입시 정보 제공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4272호(제2특허문헌)에는 고등학교 급식실에 디스플레이(LED, LCD, PDP) 장치와 셋탑 박스를 설치하여 고등학생에게 도움이 되는 다양한 입시정보와 고등학교의 공지사항, 교육청의 전달 정보, 학생 관련 상담정보, 대학교의 광고 영상, 각 대학의 특성화된 학과의 광고 등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영상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송출하는 운영자 서버;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송출된 영상정보를 받아 통제하고 관리하는 셋탑 박스; 고등학교 급식실에 장착되어 상기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로 이루어져서, 고등학생들에게는 다양한 대학들의 정보를 제공하고, 대학들에게는 실질적인 고객인 고등학생들에게 저렴하고 효과적으로 광고를 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70564호(제3특허문헌)에는 수험자로부터 기 작성된 제공된 수험자 신상 정보 및 진학 관련 정보, 요청 정보 등을 일정 기준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수험자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과; 서비스 제휴된 대학으로부터 제공되는 대학 정보를 저장하는 대학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과; 상기 수험자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된 수험자 정보로부터 수험자 신상 및 진학 관련 정보, 요청 정보들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정보들을 분석한 후 분석된 결과에 적합한 대학의 선정과 선정된 대학으로부터 기 제공된 대학 정보를 상기 대학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하여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수험자 신상 정보 상에 포함된 이메일 정보, 그리고 상기 독출된 대학 정보 각각을 미리 할당된 영역으로 삽입하여 구성되는 웹메일을 제작하는 웹메일 제작 과정과; 상기 제작된 웹메일을 소정 시기에 맞추어 상기 이메일 정보 상의 주소로 전송 처리하는 웹메일 전송 과정을 수행하는 대학정보 웹메일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들의 경우, 수험생 또는 학생들은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입시정보를 접하게 되며, 또한 수험생 개개인이 진학하고자 하는 특정 대학의 입시정보만을 얻기 위해서는 별도의 과정을 거처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901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427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70564호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험생들이 접근할 수 있는 공간에 설치되어서 입시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험생이 진학을 원하는 대학의 입시정보만을 별도로 보여줄 수 있는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험생이 진학을 원하는 대학의 입시정보가 나타나면, 해당 입시정보에 대응하는 식별정보를 수험생에게 제공한 후, 수험생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식별정보를 입력한 후 전송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입시정보가 나타나는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대학의 입시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서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입시정보를 수험생들이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입시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입시정보 저장/처리부와; 상기 수험생이 원하는 대상의 입시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입력하는 요청정보가 저장되는 요청정보 저장부와; 상기 입시정보 저장/처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입시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입시정보 전송부와; 상기 입시정보 저장/처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입시정보와 상기 요청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요청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입시정보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비교 추출부와; 상기 비교 추출부에서 추출된 식별정보를 상기 수험생에서 알려주는 식별정보 전송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입시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수험생이 상기 식별정보 전송부에서 알려준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식별정보 입력부와; 상기 수험생이 입력한 식별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입시정보 요청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입시정보 전송부는 상기 입시정보 요청부에서 전송된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입시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관리서버에서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입시정보와 상기 수험생이 요청한 입시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동시화면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관리서버에서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입시정보와 상기 수험생이 요청한 입시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동시화면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입시정보 요청부가 상기 수험생이 입력한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고유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입시정보 전송부는 상기 수험생이 입력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입시정보를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만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일반적인 입시정보들에서 수험생이 원하는 특정 입시정보만을 수험생이 볼 수 있으므로, 입시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의 관리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일반적인'은 수험생에 의해서 특정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고, 용어 '특정'은 수험생에 의해서 특정된 상태를 의미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은 외부의 입시정보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대학의 일반적인 입시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서버(100)와, 관리서버(100)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서 관리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일반적인 입시정보를 수험생들이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이루어진다. 유·무선 통신망은 인터넷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서버(10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의 입시정보 공급부(10)로부터 수신되는 일반적인 입시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되는 일반적인 입시정보에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입시정보 저장/처리부(110)와; 수험생이 원하는 대상의 입시정보를 요청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요청정보를 저장하는 요청정보 저장부(120)와; 입시정보 저장/처리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입시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하는 입시정보 전송부(130)와; 입시정보 저장/처리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입시정보와 요청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요청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입시정보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비교 추출부(140)와; 비교 추출부(140)에서 추출된 식별정보를 상기 수험생에서 알려주는 식별정보 전송부(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식별정보는 숫자 등의 기호로 이루어져 있거나 또는 QR코드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험생이 원하는 대상은 학교명, 학과 등을 의미한다. 즉, 상기 요청정보는 수험생이 진학하고자 하는 학교명, 학과 등의 입시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한양대학교에 진학하고자 하는 수험생은 한양대학교의 입시정보를 요청할 것이고, 법대에 진학하고자 하는 수험생은 법대의 입시정보를 요청할 것이다. 이때, 한양대학교의 입시정보가 수험생의 요청정보에 해당하고 또한 법대의 입시정보가 수험생의 요청정보에 해당하게 된다.
이러한 수험생의 요청정보는 예를 들어 관리서버(100)에 설치되어 있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의 조작 또는 터치스크린의 터치방식을 통해서 입력되고 이와 같이 입력되는 요청정보는 요청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입시정보 전송부(130)는 외부의 입시정보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대학의 일반적인 입시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일방적으로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입시정보 요청부(230)로부터 전송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특정 입시정보만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입시정보 전송부(130)는 특정 입시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동안 일반적인 입시정보의 제공을 중단할 수도 있다.
식별정보 전송부(150)는 휴대폰 또는 이메일을 통해서 수험생이 진학하고자 하는 대상의 입시정보에 대한 식별번호를 수험생에게 알려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관리서버(100)의 입시정보 전송부로부터 제공되는 입시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10)와; 상기 수험생이 식별정보 전송부(150)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식별정보 입력부(220)와; 상기 수험생이 입력한 식별정보를 관리서버(100)에 전송하는 입시정보 요청부(230)로 이루어진다.
식별정보 입력부(22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설치된 키보드, 터치스크린 또는 QR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시정보 요청부(230)는 예를 들어 상기 키보드의 엔터(enter)키로 구성되거나, 터치스크린 상의 전송부로 구성될 수 있다. 식별정보 입력부(220)가 센서로 구성된 경우에, 입시정보 요청부(230)는 상기 센서가 QR코드를 인식하면 자동으로 상기 QR코드를 전송하는 전송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100)에는 입시정보 요청부(230)로부터 전송된 식별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식별정보 수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시정보 요청부(230)로부터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식별정보 수신부(160)를 수신된 식별정보를 입시정보 저장/처리부(110)에 제공한다. 이 후, 입시정보 저장/처리부(110)는 식별정보 수신수(160)로부터 제공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입시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될 수 있도록 입시정보 전송부(130)에 제공한다.
즉, 관리서버(100)에 있어서, 입시정보 요청부(230)로부터 식별번호를 수신하게 되면, 입시정보 전송부(130)는 입시정보 요청부(230)에서 전송된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입시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하게 되며 그 결과 수험생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되는 입시정보를 볼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210)는 관리서버(100)의 입시정보 전송부(130)로부터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일반적인 입시정보를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입시정보 요청부(230)를 통해서 수험생이 요청한 특정 입시정보를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제2디스플레이부는 일반적인 입시정보와 특정 입시정보가 동시에 표시되는 동시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개별적으로 식별될 수 있는 고유정보가 부여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유정보는 수험생이 입시정보를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A장소에 설치된 제1디스플레이 장치(200a)를 통해서 수험생이 입시정보를 보고자 하는 경우, 제1디스플레이 장치(200a)의 입시정보 요청부(230)는 수험생이 입력한 식별정보와 함께 제1디스플레이 장치(200a)의 고유정보를 관리서버(100)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수험생이 입력한 식별정보와 함께 고유정보를 수신한 관리서버(100)의 입시정보 전송부(130)는 수험생이 입력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입시정보를 제1디스플레이 장치(200a)에만 전송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는 프린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되어 있는 입시정보를 상기 프린터를 통해서 출력하기 위함이다.
상술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요지 및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인식할 수 있다.
100 : 관리서버
110 : 입시정보 저장/처리부
120 : 요청정보 저장부
130 : 입시정보 전송부
140 : 비교 추출부
150 : 식별정보 전송부
160 : 식별정보 수신부
200 : 디스플레이 장치
210 : 디스플레이부
220 : 식별정보 입력부
230 : 입시정보 요청부

Claims (4)

  1.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대학의 일반적인 입시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서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일반적인 입시정보를 수험생들이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일반적인 입시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되는 입시정보에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입시정보 저장/처리부와; 상기 수험생이 원하는 대상의 입시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입력되는 요청정보가 저장되는 요청정보 저장부와; 상기 입시정보 저장/처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일반적인 입시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입시정보 전송부와; 상기 입시정보 저장/처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일반적인 입시정보와 상기 요청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요청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입시정보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비교 추출부와; 상기 비교 추출부에서 추출된 식별정보를 상기 수험생에서 알려주는 식별정보 전송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일반적인 입시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수험생이 상기 식별정보 전송부에서 알려준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식별정보 입력부와; 상기 수험생이 입력한 식별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입시정보 요청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관리서버의 입시정보 전송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시정보 요청부에서 전송된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특정 입시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관리서버에서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일반적인 입시정보와 상기 수험생이 요청한 특정 입시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동시화면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서로 구별할 수 있는 고유정보가 부여되어 있고, 상기 입시정보 요청부는 상기 수험생이 입력한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고유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시정보 요청부가 상기 수험생이 입력한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고유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입시정보 전송부는 상기 수험생이 입력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입시정보를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만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20100479A 2012-09-11 2012-09-11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 KR20140034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479A KR20140034416A (ko) 2012-09-11 2012-09-11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479A KR20140034416A (ko) 2012-09-11 2012-09-11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416A true KR20140034416A (ko) 2014-03-20

Family

ID=50644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479A KR20140034416A (ko) 2012-09-11 2012-09-11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44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1872A (zh) * 2015-05-21 2016-06-22 周口师范学院 一种大学英语四六级考试身份识别方法和设备
KR102214748B1 (ko) * 2020-04-29 2021-02-09 정지문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1872A (zh) * 2015-05-21 2016-06-22 周口师范学院 一种大学英语四六级考试身份识别方法和设备
KR102214748B1 (ko) * 2020-04-29 2021-02-09 정지문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623B1 (ko) 박람회 및 전시장에서의 전시 안내 시스템 및 그 안내 방법
US2018036577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950769B1 (ko)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14544B1 (ko) 운동 강사 매칭 시스템
Huang Usability of tourism websites: a case study of heuristic evaluation
US2015033993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esting with test booklets and electronic devices
KR20170040065A (ko)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온라인 면접 코칭 첨삭 시스템
CN112015574A (zh) 一种远程医疗教育培训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5532014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程序
JP7111223B2 (ja) 学習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30626A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지역특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KR20140034416A (ko)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
CN111274380A (zh) 基于大数据的咨询投诉信息处理方法及相关装置
KR101305754B1 (ko) 교재코드와 위치기반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교재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커뮤니티 생성방법
JP6158617B2 (ja) 教育支援システム
KR102071133B1 (ko) 커뮤니티 기반의 운동예약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JP2014109539A (ja) 案内情報提供装置および案内情報提供方法
KR20220074812A (ko) 온라인 미술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2561272B (zh) 电子签到的数据处理方法及相关产品
KR20150112904A (ko) 학습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60092841A1 (en) Mobile job posting
KR101762633B1 (ko) 스마트 케이엔씨에스를 이용한 학사, 교육훈련 및 장비관리 시스템
KR20150116048A (ko) 해양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체험 시스템
KR101655334B1 (ko) 오프라인 투표를 위한 온라인 모의 투표 시스템과 그 방법
JP6492764B2 (ja) 議論支援プログラム、議論支援方法および議論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