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769B1 -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769B1
KR101950769B1 KR1020180008334A KR20180008334A KR101950769B1 KR 101950769 B1 KR101950769 B1 KR 101950769B1 KR 1020180008334 A KR1020180008334 A KR 1020180008334A KR 20180008334 A KR20180008334 A KR 20180008334A KR 101950769 B1 KR101950769 B1 KR 101950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ification
server
information
terminal
target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식
강진호
김종무
Original Assignee
기웅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웅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웅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8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Bioet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지원자 인력정보의 입력 및 조회를 위한 웹사이트를 제공하는 제1 서버(20)와, 입력된 인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제2 서버(30)를 포함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서버(20)는 상기 지원자의 제1 단말기(10)로부터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수행이 요청되면 상기 제2 서버(30)에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 수행을 요청하며, 상기 제2 서버(30)는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타겟사이트 서버(40)로부터 스크래핑하고, 스크래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인력정보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그 검증결과를 상기 제1 서버(20)에 제공한다.

Description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UMAN RESOURCES VERIFICATION SERVICE}
본 발명은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스크래핑 기술(data scraping technology)을 이용하여 인력정보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력정보를 검증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업, 은행, 병원, 학교, 공공기관 등 각종 인력수요업체의 인력 채용 과정에서, 해당 업체의 채용 담당자는 이력서와 같은 인력정보서류 및 관련 증빙서류들을 취합하고, 인력정보서류에 기재된 인력정보의 진위 여부를 증빙서류로 검증하는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건설업종의 기업이나 IT업종의 기업(예: 금융사, 보험사, 카드사 등) 등의 주관 업체가 프로젝트 사업을 진행하면서 프로젝트 참여사를 모집하는 과정에서, 주관 업체의 프로젝트 담당자는 프로젝트 참여 신청사가 제출하는 신청서 및 관련 증빙서류들을 취합하고, 신청서에 기재된 인력정보의 진위 여부를 검증하는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서류 접수 업무나 인력정보 검증 업무는 번거롭고도 시간소모적인 경향이 크며, 대상 인력의 수가 많을수록 그 부담이 더욱 가중될 수 밖에 없다.
서류 제출 및 접수를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경우 서류 취합 업무에 대한 부담은 어느 정도 완화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인력정보 검증 업무는 관련 담당자에 의해 수동적인 방식으로 수행되므로 그에 대한 부담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력채용, 구직, 구인, 인력써칭, 프로젝트 참여사 모집 등의 목적으로 인력정보의 입력 및 조회를 지원하는 각종 웹사이트가 인력정보 검증에 대한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르면, 지원자 인력정보의 입력 및 조회를 위한 웹사이트를 제공하는 제1 서버(20)와, 입력된 인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제2 서버(30)를 포함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서버(20)는 상기 지원자의 제1 단말기(10)로부터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수행이 요청되면 상기 제2 서버(30)에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 수행을 요청하며, 상기 제2 서버(30)는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타겟사이트 서버(40)로부터 스크래핑하고, 스크래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인력정보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그 검증결과를 상기 제1 서버(20)에 제공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검증결과에는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실제 값으로 확인된 검증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서버(20)는 상기 검증데이터를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입력 값으로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50)로부터 상기 인력정보의 조회가 요청되면, 상기 제1 서버(20)는 상기 제2 단말기(50)에 상기 인력정보와 함께 검증결과 표시가 포함된 인력정보 조회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검증결과 표시는 검증대상 항목 별로 표시될 수 있다.
인력정보검증을 받은 검증대상 항목에는 인증 표시(2)가 부여될 수 있고, 인력정보검증을 받지 않은 검증대상 항목에는 미인증 표시(1)가 부여되거나 아무런 표시도 부여되지 않을 수 있다.
인력정보검증을 받은 검증대상 항목에는 증명서요청마크(3)가 추가로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50)를 통해 상기 증명서요청마크(3)가 클릭되면, 상기 제2 서버(30)가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검증내역이 포함된 증명서를 작성하여 상기 제2 단말기(5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증명서에는 인증마크(4) 및 위변조방지마크(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50)로부터 소정의 검색조건을 충족하는 지원자 리스트의 제공이 요청되면, 상기 제1 서버(20)는 상기 검색조건을 충족하는 인력정보를 가진 지원자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기(5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검색조건에 인력정보검증을 받은 지원자만을 포함시킨다는 조건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서버(20)는 상기 검증결과에 기초하여 인력정보검증을 받지 않은 지원자들을 제외하고 상기 지원자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 지원자 인력정보의 입력 및 조회를 위한 웹사이트를 제공하는 제1 서버(20)와, 입력된 인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제2 서버(30)를 포함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10) 제1 단말기(10)가 제1 서버(20)에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 (a20) 상기 제1 서버(20)가 제2 서버(30)에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 수행을 요청하는 단계; (a30) 제2 서버(30)가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타겟사이트 서버(40)로부터 스크래핑하고, 스크래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그 검증결과를 상기 제1 서버(20)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검증결과에는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실제 값으로 확인된 검증데이터가 포함되며, 상기 방법은 (a40) 상기 제1 서버(20)가 상기 검증데이터를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입력 값으로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a50) 제2 단말기(50)가 상기 제1 서버(20)에 인력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a60) 상기 제1 서버(20)가 상기 제2 단말기(50)에 상기 인력정보와 함께 검증결과 표시가 포함된 인력정보 조회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60) 단계에서, 상기 검증결과 표시는 검증대상 항목 별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a60) 단계에서, 인력정보검증을 받은 검증대상 항목에는 인증 표시(2)가 부여될 수 있고, 인력정보검증을 받지 않은 검증대상 항목에는 미인증 표시(1)가 부여되거나 아무런 표시도 부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a60) 단계에서, 인력정보검증을 받은 검증대상 항목에는 증명서요청마크(3)가 추가로 부여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a70) 상기 제2 단말기(50)를 통해 상기 증명서요청마크(3)가 클릭되는 단계; (a80) 상기 제2 서버(30)가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검증내역이 포함된 증명서를 작성하여 상기 제2 단말기(50)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명서에는 인증마크(4) 및 위변조방지마크(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a90) 상기 제2 단말기(50)가 소정의 검색조건을 충족하는 지원자 리스트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및 (a95) 상기 제1 서버(20)가 상기 검색조건을 충족하는 인력정보를 가진 지원자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기(50)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90) 단계에서 상기 검색조건에 인력정보검증을 받은 지원자만을 포함시킨다는 조건이 포함된 경우, 상기 (a95) 단계에서 상기 제1 서버(20)는 상기 검증결과에 기초하여 인력정보검증을 받지 않은 지원자들을 제외하고 상기 지원자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르면, 프로젝트 참여신청사 인력정보의 입력 및 조회를 위한 웹사이트를 제공하는 제1 서버(130)와, 입력된 인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제2 서버(140)를 포함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서버(130)로부터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수행을 요청받으면, 상기 제2 서버(140)는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타겟사이트 서버(160)로부터 스크래핑하고, 스크래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그 검증결과를 상기 제1 서버(130)에 제공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2 서버(140)는 상기 스크래핑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프로젝트 참여신청사의 참여인력의 제2 단말기(120)에 상기 타겟사이트 서버(160)의 접속에 필요한 액세스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상기 제2 단말기(120)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서버(140)에 상기 액세스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버(130)는 상기 제1 단말기(110)에 의해 프로젝트 신청서 제출이 완료된 시점에 또는 프로젝트 주관기업 담당자의 제3 단말기(150)로부터 상기 신청서에 대한 조회 요청을 받은 시점에 상기 제2 서버(140)에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말기(150)로부터 상기 신청서에 대한 조회를 요청받으면, 상기 제1 서버(130)는 상기 인력정보에 대한 요약리포트가 포함된 신청서 조회 화면을 상기 제3 단말기(15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버(140)에 의해 검증되는 검증대상 항목에는 참여인력의 기술등급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요약리포트에는 상기 제2 서버(140)에 의해 검증된 기술등급이 기 설정된 등급별로 참여인력마다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르면, 프로젝트 참여신청사 인력정보의 입력 및 조회를 위한 웹사이트를 제공하는 제1 서버(130)와, 입력된 인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제2 서버(140)를 포함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b10) 프로젝트 참여신청사 담당자의 제1 단말기(110)에 의해 참여인력에 대한 인력정보가 상기 제1 서버(130)에 입력되는 단계; (b20) 상기 제1 서버(130)가 상기 제2 서버(140)에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수행을 요청하는 단계; 및 (b30) 상기 제2 서버(140)가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타겟사이트 서버(160)로부터 스크래핑하고, 스크래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그 검증결과를 상기 제1 서버(130)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b15-1) 상기 제2 서버(140)가 상기 참여인력의 제2 단말기(120)에 상기 타겟사이트 서버(160)의 접속에 필요한 액세스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b15-2) 상기 제2 단말기(120)에 의해 상기 액세스정보가 상기 제2 서버(140)에 등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버(130)는 상기 제1 단말기(110)에 의해 프로젝트 신청서 제출이 완료되는 시점에 또는 프로젝트 주관기업 담당자의 제3 단말기(150)로부터 상기 신청서에 대한 조회 요청을 받은 시점에 상기 (b2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b40) 상기 제3 단말기(150)가 상기 제1 서버(130)에 상기 신청서의 조회를 요청하는 단계; 및 (b50) 상기 제1 서버(130)가 상기 인력정보에 대한 요약리포트가 포함된 신청서 조회 화면을 상기 제3 단말기(150)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버(140)에 의해 검증된 검증대상 항목에는 참여인력의 기술등급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요약리포트에는 상기 제2 서버(140)에 의해 검증된 기술등급이 기 설정된 등급별로 참여인력마다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따르면, 프로젝트 참여신청사 인력정보의 입력 및 조회를 위한 웹사이트를 제공하며, 입력된 인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서버(170)를 포함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170)는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타겟사이트 서버(160)로부터 스크래핑하고, 스크래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서버(170)는 상기 스크래핑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프로젝트 참여신청사의 참여인력의 제2 단말기(120)에 상기 타겟사이트 서버(160)의 접속에 필요한 액세스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제2 단말기(120)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140)에 상기 액세스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따르면, 프로젝트 참여신청사 인력정보의 입력 및 조회를 위한 웹사이트를 제공하며, 입력된 인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서버(170)를 포함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c10) 프로젝트 참여신청사 담당자의 제1 단말기(110)에 의해 참여인력에 대한 인력정보가 상기 서버(170)에 입력되는 단계; 및 (c20) 상기 서버(170)가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타겟사이트 서버(160)로부터 스크래핑하고, 스크래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c15-1) 상기 서버(170)가 상기 참여인력의 제2 단말기(120)에 상기 타겟사이트 서버(160)의 접속에 필요한 액세스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c15-2) 상기 제2 단말기(120)에 의해 상기 액세스정보가 상기 서버(170)에 등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력정보의 입력 및 조회를 지원하는 각종 웹사이트에 인력정보 검증에 대한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웹사이트를 통해 인력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자 측에서는 인력정보의 증명을 위해 별도의 증빙서류를 제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고, 해당 웹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인력정보를 활용하는 조회자 측에서는 증빙서류를 통해 인력정보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력정보의 입력 및 조회를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라면 취업사이트, 헤드헌팅사이트 등의 구인/구직 전문 사이트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기업, 은행, 병원, 학교, 공공기관 등 각종 인력수요업체의 자체적인 업무에 활용되는 각종 웹사이트에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개요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액세스정보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인력정보 조회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인력정보 조회 화면(상측) 및 증명서(하측)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인력정보 조회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검색화면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참여인력정보 요약리포트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안적인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안적인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1-1). 제1 실시예의 개요
도 1을 참조한다.
구직 내지 채용을 희망하는 지원자는 웹사이트에서 인력정보서류(예: 이력서) 및 관련 증빙서류를 제출하며, 기업 등의 인력수요업체의 담당자는 웹사이트를 통해 제출서류를 조회 내지 접수한다.
웹사이트에는 취업사이트나 헤드헌팅사이트와 같이 온라인 구직/구인 서비스를 대행하는 웹사이트, 기업, 은행, 병원, 학교, 공공기관 등 각종 인력수요업체의 사내 웹사이트로서 인력 채용 업무를 지원하는 웹사이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웹사이트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를 제공한다. 인력정보 검증서비스는 지원자 인력정보에 포함된 세부 항목들에 대해 검증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인력정보에는 성명, 나이, 주소, 성별, 학력, 경력, 직전 연봉, 토익점수, 자격증 등 다양한 항목들이 포함되는데, 상기 웹사이트는 이 항목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해 검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웹사이트는 경력, 연봉, 토익점수 세 가지 항목에 대해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웹사이트는 경력, 토익점수 두 가지 항목에 대해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웹사이트는 토익점수 한 가지 항목에 대해서만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력정보 검증은 데이터 스크래핑 기술(data scraping technology)을 기반으로 구현된다. 데이터 스크래핑은 공공기관이나 사설기관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지원자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는 IT 기술이다.
타겟사이트(target site)는 지원자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공공기관이나 사설기관이 운영하는 홈페이지(웹사이트)를 가리킨다.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국민연금관리공단 홈페이지, 국세청 홈페이지(홈택스), YBM 홈페이지 등이 그에 해당될 수 있다.
(1-2).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 서버(20) 및 제2 서버(30)를 포함한다.
제1 서버(20)는 인력정보의 제출 및 조회를 위한 웹사이트를 제공한다. 지원자는 제1 단말기(10)를 통해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자신의 인력정보를 제1 서버(20)에 입력할 수 있다. 인력수요업체 측의 담당자나 헤드헌터는 제2 단말기(50)를 통해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제1 서버(20)에 입력된 인력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 및 제2 단말기(50)로는 디스플레이 가능한 화면과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기기가 적용된다. 예로써, 지원자 제1 단말기(10) 및 제2 단말기(50)는 스마트폰, 퍼스널 컴퓨터 또는 랩탑 컴퓨터일 수 있다.
제1 서버(20)는 인터페이스 모듈(21), 데이터베이스(22), 인력정보검증 관리모듈(23) 및 필터링 모듈(24)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모듈(21)은 다른 기기들과의 전자통신을 담당하며, 제1 단말기(10) 및 제2 단말기(50)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22)는 제1 서버(20)의 운용에 필요한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예로써 데이터베이스(22)에는 제1 단말기(10)를 통해 입력된 지원자 인력정보, 제2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검증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인력정보검증 관리모듈(23)은 제1 단말기(10)로부터 검증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2 서버(30)에 인력정보검증 수행을 요청하며, 제2 서버(30)로부터 검증결과가 수신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한다.
필터링 처리모듈(24)은 제2 단말기(50)로부터 입력되는 지원자 검색조건(필터링 조건)에 따라 지원자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2 단말기(50)에 제공하는 모듈이다.
제2 서버(30)는 인터페이스 모듈(31), 데이터베이스(32), 액세스정보 관리모듈(33), 스크래핑 수행모듈(34) 및 인력정보검증 수행모듈(35)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모듈(31)은 다른 기기들과의 전자통신을 담당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 모듈(31)은 제1 서버(20)와의 통신을 위한 제1 서버 액세스 인터페이스 및 타겟사이트 서버(40)와의 통신을 위한 타겟사이트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32)는 제2 서버(30)가 스크래핑 및 인력정보검증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32)에는 제1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지원자 인력정보, 제1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타겟사이트 액세스정보, 타겟사이트로부터 얻은 스크래핑 데이터, 타겟사이트들의 주소정보 등이 저장된다.
액세스정보 관리모듈(33)은 제1 서버(20)로부터 인력정보검증의 수행을 요청받은 경우 제1 단말기(10)에 타겟사이트 스크래핑을 위한 액세스정보를 요청하고 제1 단말기(10)로부터 액세스정보를 등록받는 것을 담당하는 모듈이다.
스크래핑 수행모듈(34)은 제1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액세스정보를 가지고 타겟사이트에 접속하여 인력정보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스크래핑한다.
인력정보검증 수행모듈(35)은 스크래핑 수행모듈(34)에 의해 수집된 스크래핑 데이터를 토대로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제1 서버(20)에 제공한다.
(1-3).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방법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도 2의 시스템을 이용한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1 단말기(10)를 통해 제1 서버(20)에 지원자의 인력정보가 입력된다(S110).
인력정보의 세부 항목에는 성명, 성별, 나이, 주소, 학력, 경력, 연봉, 토익점수, 자격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입력된 인력정보는 제1 서버(20)의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된다.
지원자는 웹사이트가 지원하는 검증대상 항목에 대해 직접입력 방식 또는 검증입력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검증입력 방식이 선택된 항목은 후술하는 검증 프로세스를 통해 얻어진 검증데이터가 대신 입력된다. 지원자는 해당정보가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 항목이나, 지원목적이나 채용요건에 따라 검증이 필요한 항목에 대해 검증입력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로써 웹사이트가 경력, 연봉, 토익점수 세 가지 항목에 대해 검증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지원자는 세 가지 항목 모두에 대해 직접입력을 선택할 수도 있고, 세 가지 항목 모두에 대해 검증입력을 선택할 수도 있고, 일부 항목은 직접입력을 선택하고 나머지 항목은 검증입력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지원자에 의해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해 검증입력 방식이 선택된 경우, 제1 단말기(10)는 제1 서버(20)에 해당 항목에 대한 검증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그에 따라 제1 서버(20)의 인력정보검증 관리모듈(23)은 제2 서버(30)에 검증수행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20).
다음으로, 제2 서버(30)의 액세스정보 관리모듈(33)이 제1 단말기(10)에 액세스정보 등록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30).
여기서 액세스정보는 데이터 스크래핑을 위해 타겟사이트 접속에 필요한 로그인 정보이다. 액세스정보는 지원자의 공인인증서 또는 아이디/비밀번호이다.
다음으로, 제1 단말기(10)를 통해 인력정보검증에 필요한 액세스정보가 입력되어 등록된다(S140).
액세스정보가 공인인증서인 경우 제1 단말기(10)에는 도 4에 예시된 등록요청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 화면에서 지원자는 인증서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등록탭을 실행함으로써 액세스정보 등록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액세스정보가 아이디/비밀번호인 경우 등록요청 화면에서 아이디/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등록탭을 실행함으로써 액세스정보 등록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를 통해 등록된 액세스정보는 제2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32)에 암호화되어 저장된다. 저장된 액세스정보는 일회적으로 사용된 후 삭제될 수도 있고, 설정된 소정의 기간(예: 6개월) 동안 삭제되지 않고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예전에 등록했던 지원자의 액세스정보가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되어 있으면 액세스정보 요청 단계(S130) 및 액세스정보 등록 단계(S140)가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서버(30)의 스크래핑 수행모듈(34)이 타겟사이트 서버(40)로부터 검증대상 항목의 검증에 필요한 지원자 관련 데이터를 스크래핑하며(S150), 제2 서버(30)의 인력정보검증 수행모듈(35)이 스크래핑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S160).
스크래핑 수행모듈(34)은 앞서 등록받은 액세스정보를 가지고 타겟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으며, 수집된 스크래핑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된다.
예로써 검증대상 항목이 “경력”인 경우 건강보험관리공단 홈페이지가 타겟사이트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래핑 수행모듈(34)이 건강보험관리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지원자의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상의 데이터를 스크래핑하고,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력정보검증 수행모듈(35)이 지원자 경력을 검증한다.
예로써 검증대상 항목이 “연봉”인 경우, 마찬가지로 건강보험관리공단 홈페이지가 타겟사이트일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래핑 수행모듈(34)이 건강보험관리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지원자의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상의 데이터와 지원자의 건강보험 직장보험료 데이터를 스크래핑하고, 그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인력정보검증 수행모듈(35)이 지원자 연봉을 검증한다.
예로써 검증대상 항목이 “토익점수”인 경우, 타겟사이트는 YBM 홈페이지일 수 있다. 이때 스크래핑 수행모듈(34)이 YBM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지원자의 토익 성적 데이터를 스크래핑하고,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력정보검증 수행모듈(35)이 지원자 토익점수를 검증한다.
다음으로, 제2 서버(30)의 인력정보검증 수행모듈(35)이 제1 서버(20)의 인력정보검증 관리모듈(23)에 인력정보검증 결과를 전송한다(S170).
인력정보검증 관리모듈(23)은 상술한 검증 프로세스로 얻어진 검증데이터의 값으로 지원자가 선택한 검증입력 항목에 입력한다.
예를 들어, 지원자가 자신의 토익점수를 검증받고자 S110 단계에서 해당 항목에 대해 검증입력을 선택한 경우, 검증 프로세스에 의해 지원자 토익점수에 대한 검증데이터가 얻어져 토익점수 항목으로서 입력된다.
다음으로, 제2 단말기(50)로부터 지원자 인력정보 제공이 요청되면(S180), 제1 서버(20)의 인터페이스 모듈(21)은 제2 단말기(50)에 지원자 인력정보와 함께 검증결과 표시가 포함된 화면을 제공한다(S190).
도 5의 상측에는 인력정보 조회 화면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력정보 조회 화면에는 지원자의 인력정보와 검증결과 표시로서 인증 표시 또는 미인증 표시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표시는 인력정보가 검증 프로세스에 의해 검증된 것인 경우 부여되는 표시이고, 미인증 표시는 인력정보가 검증 없이 직접 입력된 것인 경우 부여되는 표시이다.
중개사이트가 지원하는 검증대상 항목이 둘 이상인 경우 인력정보 조회 화면에는 각 항목별로 인증 표시 또는 미인증 표시가 표시될 수 있다.
예로써 제1 서버(20)의 웹사이트가 경력, 연봉, 토익점수 세 가지 항목에 대해 인력정보 검증서비스를 제공한다고 가정할 때, 경력 항목 및 연봉 항목은 직접입력 방식에 의해 입력되고 토익점수 항목은 검증입력 방식으로 처리된 경우, 경력 항목 및 연봉 항목에는 미인증 표시가 부여되고 토익점수 항목에는 인증 표시가 부여된다.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직접입력 방식에 의해 입력되어 검증 프로세스가 진행되지 않은 항목에는 아무런 표시를 하지 않음으로써 미인증 표시를 대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인력수요업체 담당자 또는 헤드헌터가 지원자를 조회하는 중에 제2 단말기(50)를 통해 증명서를 요청하면(S200), 제2 서버(30)가 증명서를 생성하여 제2 단말기(50)에 제공한다(S210).
앞서 살펴본 인력정보 조회 화면(도 5의 상측)에는 증명서요청마크(3)가 표시될 수 있으며, 증명서요청마크(3)의 클릭을 통해 증명서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도 5의 하측에는 제2 단말기(50)에 제공되는 증명서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증명서는 경력, 연봉 및 토익점수에 대해 검증된 경우의 예시이다. 이와 같이, 증명서에는 지원자의 기초적인 프로필과 함께 검증 항목에 대한 상세 검증 내역이 기재될 수 있다. 또한 증명서에는 인증마크(4) 및 위변조방지마크(5)가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의 방법에 따르면, 조회자(인력수요업체 담당자, 헤드헌터 등)가 제2 단말기(50)에 검색조건을 입력하여 지원자를 조회하는 경우, 제1 서버(20)의 필터링 처리모듈(24)은 해당 조건을 충족하는 지원자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2 단말기(5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의 예시와 같이 지원자 검색용 화면에는 인력정보검증을 받은 지원자들에 한해서만 검색할 때 사용되는 체크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체크박스가 체크된 경우, 제1 서버(20)의 필터링 처리모듈(24)은 인력정보검증을 받지 않은 지원자들은 제외하고 인력정보검증을 받은 지원자들 중에서 리스트를 생성하여 이를 제2 단말기(50)에 제공한다.
2.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2-1).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 서버(130) 및 제2 서버(140)를 포함한다.
제1 서버(130)는 프로젝트 참여신청서의 제출 및 조회를 위한 웹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프로젝트 사업을 진행하는 주관기업의 프로젝트 참여사 모집 공고가 있을 때, 프로젝트 사업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업체 내지 개인(이하, 참여신청자) 측에서는 제1 서버(130)에 의해 제공되는 웹사이트를 통해 참여신청서를 제출하며, 주관기업 측에서는 그 제출된 참여신청서를 해당 웹사이트를 통해 조회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참여신청자는 제1 단말기(110)를 통해 제1 서버(130)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참여신청서를 제출한다. 참여신청자가 업체인 경우 제1 단말기(110)는 해당 업체의 신청서 담당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일 수 있고, 참여신청자가 개인인 경우 그 자신이 이용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한편, 참여신청서 조회 시에 주관기업의 프로젝트 담당자는 제3 단말기(150)를 이용하여 제1 서버(130)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참여신청서를 조회한다.
여기서 제1 단말기(10) 및 제3 단말기(150)로는 디스플레이 가능한 화면과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기기가 적용된다. 예로써 제1 단말기(10) 및 제3 단말기(150)는 스마트폰, 퍼스널 컴퓨터 또는 랩탑 컴퓨터일 수 있다.
제1 서버(130)는 인터페이스 모듈(131), 데이터베이스(132) 및 인력정보검증 관리모듈(133)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모듈(131)은 다른 기기들(110, 120, 140, 150)과의 전자통신을 담당하며, 제1 내지 제3 단말기(110, 120, 150)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132)는 제1 서버(130)의 운용에 필요한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예로써 데이터베이스(132)에는 제1 단말기(110)를 통해 입력된 참여인력정보, 제2 서버(140)로부터 전송되는 검증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인력정보검증 관리모듈(133)은 제1 단말기(110)를 통해 제1 서버(130)의 웹사이트에 신청서의 제출이 완료되는 시점에 또는 제3 단말기(150)를 통해 상기 웹사이트에 제출된 신청서가 조회되는 시점에 제2 서버(140)에 인력정보 검증 수행을 요청한다. 또한 인력정보검증 관리모듈(133)은 제2 서버(140)로부터 검증 결과가 접수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한다.
제2 서버(140)는 제1 서버(130)에 입력된 참여인력정보를 검증하여 그 검증결과를 제1 서버(130)에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제2 서버(140)는 제1 서버(130)에 의해 제공되는 웹사이트에서 참여인력정보에 대한 검증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인력정보에 대한 검증을 지원한다.
제2 서버(140)는 인터페이스 모듈(141), 데이터베이스(142), 액세스정보 관리모듈(133), 스크래핑 수행모듈(144) 및 인력정보검증 수행모듈(145)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모듈(141)은 다른 기기들(130, 160)과의 전자통신을 담당하는 모듈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 모듈(141)은 제1 서버(130)와의 통신을 위한 웹사이트 액세스 인터페이스, 타겟사이트 서버(160)와의 통신을 위한 타겟사이트 액세스 인터페이스, 제2 단말기(120)와의 통신을 위한 제2 단말기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2 단말기(120)는 프로젝트 참여신청자 측에서 인력정보 검증에 필요한 액세스정보(공인인증서 또는 아이디/비밀번호)를 등록할 때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전형적으로 제2 단말기(120)는 프로젝트 참여신청서에 포함된 참여인력 각자의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퍼스널 컴퓨터 또는 랩탑 컴퓨터일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110)와 제2 단말기(120)는 서로 다른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참여신청자가 개인인 경우 제1 단말기(110)와 제2 단말기(120)는 동일한 단말기일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41)은 제2 단말기(120)에 액세스정보 등록용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며, 참여인력은 제2 단말기(120)를 통해 그 인터페이스 화면에 접속하여 자신의 정보 검증에 필요한 액세스정보를 제2 서버(140)에 등록한다.
데이터베이스(142)는 제2 서버(140)가 스크래핑 및 인력정보검증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142)에는 제1 서버(130)로부터 전송된 참여인력정보, 제2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된 액세스정보, 타겟사이트로부터 얻은 스크래핑 데이터, 스크래핑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검증 데이터, 타겟사이트들의 주소 정보 등이 저장된다.
액세스정보 관리모듈(143)은 제2 단말기(120)에 액세스정보를 요청하며 제2 단말기(120)로부터 액세스정보를 등록받는 것을 담당한다. 이때 액세스정보의 요청은 전술한 액세스정보 등록용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스크래핑 모듈(144)은 제2 단말기(120)로부터 등록된 액세스정보를 통해 타겟사이트에 접속하여 참여인력의 인력정보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스크래핑한다.
인력정보검증 수행모듈(145)은 스크래핑 수행모듈(144)에 의해 수집된 스크래핑 데이터를 토대로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제1 서버(130)에 제공한다.
(2-2).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방법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도 7의 시스템을 이용한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1 단말기(110)를 통해 제1 서버(130)에 프로젝트 참여신청서에 포함된 참여인력들의 정보가 입력된다(S310).
프로젝트 참여신청자가 업체인 경우 S310 단계는 참여신청서의 제출을 담당하는 담당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프로젝트 참여신청자가 개인인 경우 S310 단계는 그 개인 자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 참여신청자가 업체인 경우 참여인력은 2인 이상일 수 있다.
참여인력정보에는 성명, 생년월일, 직위, 분야경력, 담당업무, 보유기술, 자격증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입력된 인력정보는 제1 서버(130)의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제2 서버(140)의 액세스정보 관리모듈(143)이 제2 단말기(120)에 액세스정보 등록용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며(S320), 참여인력 각자는 자신의 제2 단말기(120)를 통해 인력정보검증에 필요한 액세스정보를 등록한다.
액세스정보가 공인인증서인 경우 제2 단말기(120)에는 도 4와 같은 등록요청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 화면에서 지원자는 인증서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등록탭을 실행함으로써 액세스정보 등록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액세스정보가 아이디/비밀번호인 경우 등록요청 화면에서 아이디/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등록탭을 실행함으로써 액세스정보 등록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단말기(110)를 통해 프로젝트 참여신청서의 제출이 완료된다(S340). S340 단계는 참여신청서 제출자가 제1 서버(130)의 웹사이트에서 신청서 작성을 완료한 후 해당 웹사이트를 통해 제1 서버(130)에 작성된 신청서를 제출함으로써 수행된다.
다음으로, 제1 서버(130)의 인력정보검증 관리모듈(133)이 제2 서버(140)에 자격검증 수행을 요청하며(S350), 제2 서버(140)의 스크래핑 수행모듈(144)은 그 요청에 응답하여 참여인력의 자격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스크래핑하며(S360), 제2 서버(140)의 인력정보검증 수행모듈(145)은 스크래핑 데이터에 기초하여 참여인력의 자격을 검증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서버(130)가 제2 서버(140)에 인력정보검증을 요청하는 단계(S350)는 참여신청서 제출 단계(S340) 이후 바로 진행되는 것으로 예시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주관기업의 프로젝트 담당자가 제3 단말기(150)를 통해 참여신청서 조회 요청 단계(S390-1)를 진행한 경우 그에 후속하여 진행될 수도 있다. 즉 전자의 경우(본 실시예)는 도 8의 예에서 신청서 조회 단계로서 S390이 진행되며, 후자의 경우(대안 실시예)는 도 8의 예에서 신청서 조회 요청 단계로서 S390 대신 S390-1이 수행되는 경우이다.
스크래핑 수행모듈(144)은 앞서 등록된 참여인력의 액세스정보를 가지고 타겟사이트에 접속하여 인력정보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스크래핑하며, 그에 의해 스크래핑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한다.
검증대상 항목은 자격증, 학력, 분야경력, 기술등급 등일 수 있다.
예로써 검증대상 항목이 “자격증”인 경우 해당 자격증의 조회 내지 발급이 가능한 웹사이트가 타겟사이트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써, 각종 국가자격증 내지 민간자격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자격검정 홈페이지(Qnet), IT 관련 자격증을 확인할 수 있는 대한상공회의소의 홈페이지 등이 타겟사이트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래핑 수행모듈(144)은 관련 타겟사이트에 접속하여 해당 자격증을 스크래핑하며, 인력정보검증 수행모듈(145)은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참여인력의 자격증 보유 여부를 검증한다.
예로써 검증대상 항목이 “학력”인 경우 해당인력의 출신 학교의 홈페이지 혹은 졸업증명서 발급 대행사이트가 타겟사이트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래핑 수행모듈(144)은 그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졸업증명서를 스크래핑하며, 인력정보검증 수행모듈(145)이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참여인력의 학위를 검증한다.
예로써 검증대상 항목이 “분야경력”인 경우 건강보험관리공단 홈페이지가 타겟사이트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래핑 수행모듈(144)이 건강보험관리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지원자의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상의 데이터를 스크래핑하고,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력정보검증 수행모듈(145)이 참여인력의 경력을 검증한다.
한편 인력정보검증 수행모듈(145)은 “기술등급”의 분류기준으로서 상술한 검증항목들(자격증, 학력, 분야경력)을 이용하여 참여인력의 기술등급을 판별할 수 있다. 예로써 기술등급 판별기준이 자격증/분야경력에 의해 세부화된 경우 인력정보검증 수행모듈(145)은 자격증/분야경력에 대한 스크래핑 데이터에 기초하여 참여인력의 기술등급을 판별한다. 예로써 기술등급 판별기준이 학력/분야경력에 의해 세부화된 경우 인력정보검증 수행모듈(145)은 학력/분야경력에 대한 스크래핑 데이터에 기초하여 참여인력의 기술등급을 판별한다.
다음으로, 제2 서버(140)의 인력정보검증 수행모듈(145)이 제1 서버(130)의 자격검증 관리모듈(133)에 자격검증 결과를 전송한다(S380). 예로써 자격검증 데이터는 자격증 검증 데이터, 학력 검증 데이터, 분야경력 검증 데이터, 기술등급 검증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격검증 관리모듈(133)은 인력정보검증 수행모듈(145)로부터 받은 자격검증 결과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프로젝트 담당자의 제3 단말기(150)로부터 참가신청서 조회 요청이 접수되면(S390), 제1 서버(130)의 인터페이스 모듈(131)은 참여인력정보의 검증결과가 표시된 참가신청서 조회 화면을 제3 단말기(150)에 제공한다(S400).
예로써 참가신청서 조회 화면에는 도 9에 예시된 것과 같은 참여인력정보 요약리포트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단말기(150)에 제공되는 참여인력 정보에는 인력정보검증 수행모듈(145)에 의해 검증된 분야경력, 자격증, 기술등급 등의 검증항목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따라서 프로젝트 담당자는 참여인력들의 정보 하나하나를 직접 대조하여 확인, 분류할 필요 없이, 인력정보 검증서비스를 통해 검증된 정보임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고, 특급/고급/중급/초급 등의 기술등급 분류 항목이 제공되므로 참여인력이 해당 프로젝트에 적합한 인력인지 여부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젝트 담당자가 제3 단말기(150)를 통해 증명서를 요청하면(S410), 제2 서버(140)가 증명서 화면을 생성하여 제3 단말기(150)에 제공한다(S420).
전술한 도 9의 참여인력정보 요약리포트에는 이전 설명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증명서요청마크(3)가 표시될 수 있으며, 프로젝트 담당자는 제3 단말기(150)를 통해 그와 같은 증명서요청마크(3)를 클릭함으로써 증명서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이 접수되면 제2 서버(140)는 이전 설명한 도 5의 우측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형태의 증명서 화면을 생성하여 제3 단말기(150)에 제공한다.
(2-3). 대안적인 실시예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2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서버 즉 제1 및 제2 서버(130, 140)가 구비된다.
하지만,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서버(130, 140)가 구비되는 대신에 두 서버(130, 140)의 기능이 통합된 형태의 통합 서버(1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통합 서버(170)는 인터페이스 모듈(171), 데이터베이스(172), 액세스정보 관리모듈(173), 스크래핑 수행모듈(174) 및 인력정보검증 수행모듈(17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모듈(171)은 전술한 실시예의 인터페이스 모듈들(131, 141)이 통합된 모듈이고, 데이터베이스(172)는 전술한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들(132, 142)이 통합된 모듈이다.
이러한 대안 실시예의 경우, 두 개의 서버(130, 140)가 하나의 서버(170)로 통합되었으므로, 제1 서버(130)의 인력정보검증 관리모듈(133) 및 그에 의해 수행되는 S350 단계(도 8 참조)는 생략될 수 있다.
1 : 미인증 표시
2 : 인증 표시
3 : 증명서요청마크
4 : 인증마크
5 : 위변조방지마크
10 : 제1 단말기
20 : 제1 서버
30 : 제2 서버
40 : 타겟사이트 서버
50 : 제2 단말기

Claims (34)

  1. 지원자 인력정보의 입력 및 조회를 위한 웹사이트를 제공하는 제1 서버(20)와, 입력된 인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제2 서버(30)를 포함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서버(20)는 상기 지원자의 제1 단말기(10)로부터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수행이 요청되면 상기 제2 서버(30)에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 수행을 요청하며,
    상기 제2 서버(30)는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타겟사이트 서버(40)로부터 스크래핑 기술을 통해 추출하고, 상기 스크래핑 기술을 통해 추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그 검증결과를 상기 제1 서버(20)에 제공하며,
    상기 검증결과에는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실제 값으로 확인된 검증데이터가 포함되며, 상기 제1 서버(20)는 상기 검증데이터를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입력 값으로 부여하며,
    조회자의 제2 단말기(50)로부터 상기 인력정보의 조회가 요청되면, 상기 제1 서버(20)는 상기 제2 단말기(50)에 상기 인력정보와 함께 검증결과 표시가 포함된 인력정보 조회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검증결과 표시는 검증대상 항목 별로 표시되며,
    인력정보검증을 받은 검증대상 항목에는 인증 표시(2) 및 증명서요청마크(3)가 부여되고, 인력정보검증을 받지 않은 검증대상 항목에는 미인증 표시(1)가 부여되거나 아무런 표시도 부여되지 않으며,
    상기 제2 단말기(50)를 통해 상기 증명서요청마크(3)가 클릭되면, 상기 제2 서버(30)가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검증내역, 인증마크(4) 및 위변조방지마크(5)가 포함된 증명서를 작성하여 상기 제2 단말기(50)에 표시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50)로부터 소정의 검색조건을 충족하는 지원자 리스트의 제공이 요청되면, 상기 제1 서버(20)는 상기 검색조건을 충족하는 인력정보를 가진 지원자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기(50)에 제공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검색조건에 인력정보검증을 받은 지원자만을 포함시킨다는 조건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서버(20)는 상기 검증결과에 기초하여 인력정보검증을 받지 않은 지원자들을 제외하고 상기 지원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지원자 인력정보의 입력 및 조회를 위한 웹사이트를 제공하는 제1 서버(20)와, 입력된 인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제2 서버(30)를 포함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10) 제1 단말기(10)가 제1 서버(20)에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
    (a20) 상기 제1 서버(20)가 제2 서버(30)에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 수행을 요청하는 단계;
    (a30) 제2 서버(30)가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타겟사이트 서버(40)로부터 스크래핑 기술을 통해 추출하고, 상기 스크래핑 기술을 통해 추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그 검증결과를 상기 제1 서버(20)에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검증결과에는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실제 값으로 확인된 검증데이터가 포함되는, 단계;
    (a40) 상기 제1 서버(20)가 상기 검증데이터를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입력 값으로 부여하는 단계;
    (a50) 조회자의 제2 단말기(50)가 상기 제1 서버(20)에 인력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및
    (a60) 상기 제1 서버(20)가 상기 제2 단말기(50)에 상기 인력정보와 함께 검증결과 표시가 포함된 인력정보 조회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60) 단계에서, 상기 검증결과 표시는 검증대상 항목 별로 표시되며,
    상기 (a60) 단계에서, 인력정보검증을 받은 검증대상 항목에는 인증 표시(2) 및 증명서요청마크(3)가 부여되고, 인력정보검증을 받지 않은 검증대상 항목에는 미인증 표시(1)가 부여되거나 아무런 표시도 부여되지 않으며,
    (a70) 상기 제2 단말기(50)를 통해 상기 증명서요청마크(3)가 클릭되는 단계; 및
    (a80) 상기 증명서요청마크(3)가 클릭된 경우, 상기 제2 서버(30)가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검증내역, 인증마크(4) 및 위변조방지마크(5)가 포함된 증명서를 작성하여 상기 제2 단말기(50)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a90) 상기 제2 단말기(50)가 소정의 검색조건을 충족하는 지원자 리스트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a95) 상기 제1 서버(20)가 상기 검색조건을 충족하는 인력정보를 가진 지원자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기(50)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a90) 단계에서 상기 검색조건에 인력정보검증을 받은 지원자만을 포함시킨다는 조건이 포함된 경우,
    상기 (a95) 단계에서 상기 제1 서버(20)는 상기 검증결과에 기초하여 인력정보검증을 받지 않은 지원자들을 제외하고 상기 지원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방법.
  21. 프로젝트 참여신청사 인력정보의 입력 및 조회를 위한 웹사이트를 제공하는 제1 서버(130)와, 입력된 인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제2 서버(140)를 포함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서버(130)로부터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수행을 요청받으면, 상기 제2 서버(140)는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타겟사이트 서버(160)로부터 스크래핑 기술을 통해 추출하고, 상기 스크래핑 기술을 통해 추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그 검증결과를 상기 제1 서버(130)에 제공하며,
    프로젝트 주관기업 담당자의 단말기(150)로부터 상기 인력정보에 대한 조회를 요청받으면, 상기 제1 서버(130)는 상기 인력정보에 대한 요약리포트가 포함된 신청서 조회 화면을 상기 프로젝트 주관기업 담당자의 단말기(150)에 제공하며,
    상기 제2 서버(140)에 의해 검증되는 검증대상 항목에는 참여인력의 기술등급이 포함되고, 상기 요약리포트에는 상기 제2 서버(140)에 의해 검증된 기술등급이 기 설정된 등급별로 참여인력마다 구분되어 표시되고 또한 인력정보검증을 받은 검증대상 항목에 증명서요청마크(3)가 표시되며,
    상기 프로젝트 주관기업 담당자의 단말기(150)를 통해 상기 증명서요청마크(3)가 클릭되면, 상기 제2 서버(140)가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검증내역, 인증마크(4) 및 위변조방지마크(5)가 포함된 증명서를 작성하여 상기 프로젝트 주관기업 담당자의 단말기(150)에 표시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버(140)는 상기 스크래핑 기술을 통해 상기 타겟사이트 서버(160)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기 전에 상기 프로젝트 참여신청사의 참여인력의 단말기(120)에 상기 타겟사이트 서버(160)의 접속에 필요한 액세스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단말기(120)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서버(140)에 상기 액세스정보를 등록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버(130)는 프로젝트 참여신청자의 단말기(110)에 의해 프로젝트 신청서 제출이 완료된 시점에 또는 프로젝트 주관기업 담당자의 단말기(150)로부터 상기 신청서에 대한 조회 요청을 받은 시점에 상기 제2 서버(140)에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수행을 요청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
  24. 삭제
  25. 삭제
  26. 프로젝트 참여신청사 인력정보의 입력 및 조회를 위한 웹사이트를 제공하는 제1 서버(130)와, 입력된 인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제2 서버(140)를 포함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b10) 프로젝트 참여신청사 담당자의 제1 단말기(110)에 의해 참여인력에 대한 인력정보가 상기 제1 서버(130)에 입력되는 단계;
    (b20) 상기 제1 서버(130)가 상기 제2 서버(140)에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수행을 요청하는 단계; 및
    (b30) 상기 제2 서버(140)가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타겟사이트 서버(160)로부터 스크래핑 기술을 통해 추출하고, 상기 스크래핑 기술을 통해 추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검증대상 항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그 검증결과를 상기 제1 서버(130)에 제공하는 단계;
    (b40) 프로젝트 주관기업 담당자의 단말기(150)가 상기 제1 서버(130)에 상기 인력정보의 조회를 요청하는 단계; 및
    (b50) 상기 제1 서버(130)가 상기 인력정보에 대한 요약리포트가 포함된 신청서 조회 화면을 상기 프로젝트 주관기업 담당자의 단말기(150)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서버(140)에 의해 검증된 검증대상 항목에는 참여인력의 기술등급이 포함되고, 상기 요약리포트에는 상기 제2 서버(140)에 의해 검증된 기술등급이 기 설정된 등급별로 참여인력마다 구분되어 표시되고 또한 인력정보검증을 받은 검증대상 항목에 증명서요청마크(3)가 표시되며,
    (b60) 상기 프로젝트 주관기업 담당자의 단말기(150)를 통해 상기 증명서요청마크(3)가 클릭되는 단계; 및
    (b70) 상기 증명서요청마크(3)가 클릭된 경우, 상기 제2 서버(140)가 상기 검증대상 항목의 검증내역, 인증마크(4) 및 위변조방지마크(5)가 포함된 증명서를 작성하여 상기 프로젝트 주관기업 담당자의 단말기(150)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방법.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b15-1) 상기 제2 서버(140)가 상기 참여인력의 단말기(120)에 상기 타겟사이트 서버(160)의 접속에 필요한 액세스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b15-2) 상기 단말기(120)에 의해 상기 액세스정보가 상기 제2 서버(140)에 등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방법.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버(130)는 프로젝트 참여신청자의 단말기(110)에 의해 프로젝트 신청서 제출이 완료되는 시점에 또는 프로젝트 주관기업 담당자의 단말기(150)로부터 상기 신청서에 대한 조회 요청을 받은 시점에 상기 (b20) 단계를 수행하는,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방법.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KR1020180008334A 2018-01-23 2018-01-23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50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334A KR101950769B1 (ko) 2018-01-23 2018-01-23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334A KR101950769B1 (ko) 2018-01-23 2018-01-23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769B1 true KR101950769B1 (ko) 2019-05-03

Family

ID=6658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334A KR101950769B1 (ko) 2018-01-23 2018-01-23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76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186A (ko) * 2019-06-12 2020-12-22 이준호 위임인 및 수임인을 위한 업무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49313A (ko) * 2020-10-14 2022-04-21 백성관 인증 플랫폼, 이를 구비한 신원 인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614608B1 (ko) * 2022-10-27 2023-12-14 박동기 토큰 및 배지 기반 온라인 데이터 증명 시스템
KR20240002361A (ko) 2022-06-29 2024-01-05 주식회사 엘에이에이치 영상 유사도 분석을 통한 포트폴리오영상 소유권 검증방법
KR102635771B1 (ko) * 2023-05-09 2024-02-13 이태형 키워드 매칭을 이용한 헤드헌팅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123A (ko) * 2000-04-04 2001-10-31 김기영 네트워크를 통한 전문 인력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1671735B1 (ko) * 2015-09-09 2016-11-02 이태하 온라인 인증을 통한 개인정보 서비스 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123A (ko) * 2000-04-04 2001-10-31 김기영 네트워크를 통한 전문 인력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1671735B1 (ko) * 2015-09-09 2016-11-02 이태하 온라인 인증을 통한 개인정보 서비스 제공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186A (ko) * 2019-06-12 2020-12-22 이준호 위임인 및 수임인을 위한 업무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65321B1 (ko) * 2019-06-12 2021-06-15 이준호 위임인 및 수임인을 위한 업무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49313A (ko) * 2020-10-14 2022-04-21 백성관 인증 플랫폼, 이를 구비한 신원 인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443478B1 (ko) * 2020-10-14 2022-09-15 백성관 인증 플랫폼, 이를 구비한 신원 인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02361A (ko) 2022-06-29 2024-01-05 주식회사 엘에이에이치 영상 유사도 분석을 통한 포트폴리오영상 소유권 검증방법
KR102614608B1 (ko) * 2022-10-27 2023-12-14 박동기 토큰 및 배지 기반 온라인 데이터 증명 시스템
KR102635771B1 (ko) * 2023-05-09 2024-02-13 이태형 키워드 매칭을 이용한 헤드헌팅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769B1 (ko) 인력정보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77108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646101B1 (en) Method and system of verifying and authenticating personal history
US8838970B1 (en) Identity verification for online education
US20100198863A1 (en) Career authentication system, career authent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in to execute career authentication method
Efendi et al. How to attract health students to remote areas in Indonesia: a discrete choice experiment
CN111178705A (zh) 事项评价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170290B1 (ko) 온라인으로 입력되는 전문평가자의 평가정보를 이용한 기술개발사업 전자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091314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Garwe Qualification, award and recognition fraud in higher education in Zimbabwe
US20130275512A1 (en) Life experiences certification process
TW202034262A (zh) 借貸配對系統和方法
KR101609717B1 (ko) 장학금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학금 운영 방법
KR20200056153A (ko) 시간제 일자리 구직 인력과 구인 기업을 연결하는 매칭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Susanto Measuring e-government implementation program: A case study of Surabaya city, Indonesia
Baobeid et al. Gender equity in health research publishing in Africa
US201600048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 Identity Verification
Coicaud Evaluatio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global policy: an introduction
KR20210105067A (ko) 자격증 진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43007B1 (ko) 헤드헌팅 서비스 제공방법
KR20210105070A (ko) 자격증 검증서비스 제공 시스템
Fujo et al. Web-based admission system for advanced level, private schools: case of Kilimanjaro region, Tanzania
lqbal Kalanauri Electronic Filing System, Virtual Courts & Online Dispute Resolution-Need of the Hour for Pakistan Legal System
US20170076405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smart card reader for facilitating crowdsourced credentialing and accreditation
Kumar et al. Underpinning the relevancy of the NIRF rankings in higher education management institutions in In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