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3682A -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3682A
KR20140033682A KR1020120099801A KR20120099801A KR20140033682A KR 20140033682 A KR20140033682 A KR 20140033682A KR 1020120099801 A KR1020120099801 A KR 1020120099801A KR 20120099801 A KR20120099801 A KR 20120099801A KR 20140033682 A KR20140033682 A KR 20140033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leakage current
electric field
polymer insulator
operatio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2170B1 (ko
Inventor
임윤석
신구용
임재섭
김영홍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20099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170B1/ko
Publication of KR20140033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01R19/1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애자의 국부 전계 측정 기능과 누설 전류 측정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경량화 및 일체형으로 구현함으로써, 고전계 및 강자계 내의 활선 상태에서도 오동작 없이 간편하고 정확하게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 검출장치를 제공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단에 손잡이가 마련된 일정 길이를 갖는 절연봉의 타단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 측에 설치된 조작 핸들의 조작에 따라 클램프 형으로 개폐 동작하여 고분자 애자의 누설 전류를 센싱하는 누설 전류 센서, 상기 일정 길이를 갖는 절연봉의 타단 타측에 설치되어, 조작 핸들의 조작에 따라 클램프 형으로 개폐 동작하여 상기 고분자 애자의 국부 전계를 센싱하는 국부 전계 센서 및, 상기 누설 전류 센서 및 국부 전계 센서와 각각 상기 절연봉 내부를 통해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누설 전류 센서와, 상기 국부 전계 센서를 동시에 클램프 형으로 개폐 동작시키기 위한 작업자 조작을 수행하는 조작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Faulty Polymer Composite Insulator Detection Device at Live Line}
본 발명은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용 고분자 애자의 국부 전계 및 애자의 오손도 확인을 위한 누설전류 측정을 일체형 측정 기능을 적용하여 간편하게 동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용 고분자 애자의 성능 및 수명은 전계, 인장 하중 및 오손도 등 여러가지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결정되는데, 고분자 애자의 전기적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국부 전계 및 애자의 오손도 측정이 필수적이다.
고분자 애자에 대한 국부 전계는 고분자 애자의 표면(주로 실리콘고무 계열의 재질)에 발생하는 코로나의 발생과 연관이 있으며, 국부전계가 높아지면 지속적인 코로나 방전으로 인하여 외피가 손상되고 내부의 FRP가 산에 의해 침식되면서 파단사고에 이를 수 있다.
또한, 고분자 애자에 대한 오손도는 애자의 누설거리(Leakage Distance)에 영향을 주며 오손이 심하게 되면, 유효 누설거리를 확보하지 못하여 섬락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활선상태에서 국부 전계를 측정하고 오손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고분자 애자의 전기적 특성을 고유하게 평가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이 필요하지만, 현재까지는 통상의 자기 애자에 적용되는 기술을 일부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고분자 애자와 자기재 애자는 구조가 매우 상이하고, 전기적 특성도 달라서 자기재 애자의 측정법을 고분자 애자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관련 기술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0892679호(촬영수단을 구비한 배전선로용 불량 애자 검출장비)(2009.01.15)가 있다.
현재까지 개발되어 현장에 적용중인 대표적인 자기재 애자 및 고분자 애자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전계 및 오손도 측정기기와 그 방법은 직접 전류 또는 전계를 측정하는 방식과, 자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측정 방식, 누설전류 측정 방식이 있다.
직접적인 전류 또는 전계를 측정하는 방식은 주로 자기재 애자를 대상으로 측정 효과가 큰 것으로서 자기애자에 적합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지만, 습도가 높거나 오손이 심한 지역의 애자련 측정시 오차가 큰 단점이 있어서 고분자 애자에 직접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자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측정 방식은 코로나에 의해 방사되는 전자파 대역중 UV(자외선) 대역의 일부를 영상처리하여 검출하는 간접적인 측정 방식으로서, 직접적인 전류 또는 전계를 측정하는 방식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활선상태에서의 검출 방식으로서 유효하기는 하지만, 불량 여부를 판단할 정량적인 기준이 없어 방전 양상을 검토하여 불량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전문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즉각적인 판단을 제공하기 곤란하다.
또, 누설전류 측정방식의 경우에는 비교적 복잡한 회로 구성을 갖는 고가격대의 누설전류 측정용 센서를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고가의 측정 장비를 임의로 사용하거나 관리하기에 부담이 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고분자 애자의 국부 전계 측정 기능과 누설 전류 측정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경량화 및 일체형으로 구현함으로써, 고전계 및 강자계 내의 활선 상태에서도 오동작 없이 간편하고 정확하게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 검출장치는, 일단에 손잡이가 마련된 일정 길이를 갖는 절연봉의 타단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 측에 설치된 조작 핸들의 조작에 따라 클램프 형으로 개폐 동작하여 고분자 애자의 누설 전류를 센싱하는 누설 전류 센서, 상기 일정 길이를 갖는 절연봉의 타단 타측에 설치되어, 조작 핸들의 조작에 따라 클램프 형으로 개폐 동작하여 상기 고분자 애자의 국부 전계를 센싱하는 국부 전계 센서 및, 상기 누설 전류 센서 및 국부 전계 센서와 각각 상기 절연봉 내부를 통해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누설 전류 센서와, 상기 국부 전계 센서를 동시에 클램프 형으로 개폐 동작시키기 위한 작업자 조작을 수행하는 조작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누설 전류 센서는 상기 절연봉과 결합된 인출로드에 고정핀을 통해서 고정 결합된 고정 센서 부재와, 상기 인출로드에 회동핀을 통해 결합되어 일정 범위까지 클램프 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 센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센서 부재와 회동 센서 부재는 상호 결합시에 상기 고분자 애자의 원통형 표면에 내측이 밀착될 수 있도록 원형상의 각각 만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설 전류 센서의 회동 센서 부재는 하부에 상기 조작 핸들과 연결된 와이어의 종단과 결합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인출로드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절연봉의 내부를 통해서 상기 조작 핸들과 조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국부 전계 센서는 상기 절연봉과 결합된 인출로드에 고정핀을 통해서 고정 결합된 고정 센서 부재와, 상기 인출로드에 회동핀을 통해 결합되어 일정 범위까지 클램프 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 센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센서 부재와 회동 센서 부재는 상호 결합시에 상기 고분자 애자의 원통형 표면에 내측이 밀착될 수 있도록 원형상의 각각 만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국부 전계 센서의 각 고정 센서 부재 및 회동 센서 부재의 몸체는 비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센서 부재 및 회동 센서 부재의 표면에는 국부 전계의 측정을 위한 전극판이 각각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국부 전계 센서의 회동 센서 부재는 하부에 상기 조작 핸들과 연결된 와이어의 종단과 결합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인출로드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절연봉의 내부를 통해서 상기 조작 핸들과 조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조작 핸들은 조작부의 전/후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절연봉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회동축이 끼워지고, 상기 조작 핸들의 상부에는 상기 누설 전류 센서와 연결된 와이어와, 상기 국부 전계 센서와 연결된 와이어를 각각 고정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 핸들의 조작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복귀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 탄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 핸들의 전/후 조작에 따라 연동하여 해당 조작 핸들의 조작 범위를 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범위 설정봉이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누설 전류 센서로부터 센싱된 누설 전류 센싱 신호와, 상기 국부 전계 센서로부터 센싱된 국부 전계 센싱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신호 증폭하는 신호 증폭기와, 상기 신호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각 누설 전류 센싱 신호와 국부 전계 센싱 신호를 로우패스 필터링하는 로우 패스 필터, 상기 로우 패스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각각의 측정 신호를 확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측정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누설전류 센서를 정밀한 CT센서로 구현하고, 국부전계 센서를 소형 평판 전극으로 적용하여 기기의 중량을 감소시킴에 의해, 휴대가 간편하도록 경량화된 기기 형태를 갖고서, 고분자 애자의 전계와 누설전류를 동시에 측정하여 측정 표시부를 통해 현장에서 불량 여부를 즉시 판단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현장에서 고분자 애자의 불량 여부를 즉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서, 전계 및 누설전류를 동시 측정하여 비용절감 및 정확도의 향상이 가능하고, 고오손 지역에서 자기재 애자용 전계식 측정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오차율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으며, 기기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산악 지역과 같은 험준한 지형에 설치된 철탑 등의 고분자 애자 설치 시설물의 점검시 유효하게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에 대한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에서 누설전류 센서와 국부 전계 센서의 클램프형 작동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에서 클램프형의 누설전류 센서 및 국부 전계 센서를 동시에 클램프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 핸들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가 조작 핸들의 작동에 따라 클램프 조작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가 고분자 애자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에서 누설전류 신호와 국부 전계 신호의 측정 구성 및 측정 결과의 표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에서 고분자 애자의 정상적 측정 상태에서의 전계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에 대한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에서 누설전류 센서와 국부 전계 센서의 클램프형 작동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에서 클램프형의 누설전류 센서 및 국부 전계 센서를 동시에 클램프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 핸들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는, 일정 길이를 갖고서 합성 수지 등과 같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 절연봉(10)은 그 내부가 중공 형태로 이루어져서 양측 종단이 서로 통기되어 있다.
상기 절연봉(10)의 일측에는 클램프 형으로 이루어진 CT센서 즉, 누설전류 센서(14)가 제1인출로드(12)을 매개하여 해당 절연봉(10)과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클램프 형으로 이루어진 국부 전계 센서(18)가 제2인출로드(16)을 매개하여 해당 절연봉(10)과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절연봉(10)의 타측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휴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손잡이(2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20) 결합 위치의 전측에는 회동축(24)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작동이 가능한 조작 핸들(22)이 조작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20) 결합 위치의 후단에는 센서 신호 측정부(26)가 해당 절연봉(10)의 종단 내부에 내장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센서 신호 측정부(26) 설치 위치의 상부에는 누설 전류 및 국부 전계의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측정 표시부(2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20)의 결합 위치에 대향하는 절연봉(10)의 상부에는 상기 조작 핸들(22)의 조작 범위를 정하기 위해 연동되는 범위 설정봉(80)(도 3 참조)의 상위로의 이동 한계점을 저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만곡 돌기부(3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누설 전류 센서(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인출로드(12)에 고정핀(40)을 통해서 고정적으로 결합된 고정 센서 부재(14a)와, 상기 제1인출로드(12)에 회동핀(42)을 통해서 일정 범위까지 클램프 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 센서 부재(14b)를 포함한다.
상기 누설 전류 센서(14)의 고정 센서 부재(14a)와 회동 센서 부재(14b)는 각 부재의 상호 결합시에, 고분자 애자의 원통형 표면에 내측이 밀착될 수 있도록 원형상을 갖는 각각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누설 전류 센서(14)의 회동 센서 부재(14b) 하부에는 제1와이어(48)의 종단과 결합된 결합 고리(46)를 고정하는 고정부(4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와이어(48)는 상기 제1인출로드(12)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절연봉(10)의 내부를 통해서 상기 조작 핸들(22)과 조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제1인출로드(12) 내부에 마련된 선회축(50)을 통해서 해당 제1와이어(48)의 연장 방향이 바뀌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국부 전계 센서(1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인출로드(16)에 고정핀(52)을 통해서 고정적으로 결합된 고정 센서 부재(18a)와, 상기 제2인출로드(16)에 회동핀(54)을 통해서 일정 범위까지 클램프 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 센서 부재(18b)를 포함한다.
상기 국부 전계 센서(18)의 고정 센서 부재(18a)와 회동 센서 부재(18b)는 각 부재의 상호 결합시에, 고분자 애자의 원통형 표면에 내측이 밀착될 수 있도록 원형상을 갖는 각각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국부 전계 센서(18)를 구성하는 각 고정 센서 부재(18a) 및 회동 센서 부재(18b)의 몸체는 실리콘 재질과 같은 비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한편, 해당 고정 센서 부재(18a) 및 회동 센서 부재(18b)의 표면에는 국부 전계의 측정을 위한 전극판(18c)이 각각 배설되어 있다.
상기 국부 전계 센서(18)의 회동 센서 부재(18b) 하부에는 제2와이어(62)의 종단과 결합된 결합 고리(58)를 고정하는 고정부(5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와이어(60)는 상기 제2인출로드(16)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절연봉(10)의 내부를 통해서 상기 조작 핸들(22)과 조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제2인출로드(16) 내부에 마련된 선회축(62)을 통해서 해당 제2와이어(60)의 연장 방향이 바뀌도록 되어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조작 핸들(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봉(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회동축(24)과 회동축 결합너트(25)가 끼워져서 조작부(22)의 전/후 조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봉(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조작 핸들(22)의 상부(70)에는, 상기 제1와이어(48) 및 제2와이어(60)를 각각 고정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와이어 연결부(72, 74)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작 핸들(22)이 조작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복귀 스프링(78)을 수용하는 스프링 탄지부(7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조작 핸들(22) 상부의 후단 즉, 상기 만곡 돌기부(30)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해당 조작 핸들(22)의 전/후 조작에 따라 연동하여 해당 조작 핸들(22)의 조작 범위를 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범위 설정봉(80)이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48, 60)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센서 신호 측정부(26)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48, 60)를 통하지 않고 상기 센서 신호 측정부(26)가 별도의 도선을 통해 상기 누설 전류 센서(14) 및 상기 국부 전계 센서(18)에 통전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에 대한 작용에 대해 도 4 및 도 5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가 조작 핸들의 작동에 따라 클램프 조작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가 고분자 애자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손잡이(20)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 핸들(22)을 후측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조작 핸들(22)이 회동축(24)을 중심으로 후단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해당 조작 핸들(22)의 후부에 결합된 범위 설정봉(80)이 연동하면서 만곡 돌기부(30)의 공간부 끝단에 걸림에 따라 상기 조작 핸들(22)이 더 이상 후측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상기 조작 핸들(22)이 후단으로 조작되면, 해당 조작 핸들(22)의 제1 및 제2와이어 연결부(72, 74)와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와이어(48, 60)가 절연봉(10) 내에서 당겨지면서 제1 및 제2인출로드(14, 16)의 내부를 통해 상기 누설 전류 센서(14) 및 상기 국부 전계 센서(18)의 각 회동 센서 부재(14b, 18b)를 후단으로 당기게 되는데, 이는 각 회동 센서 부재(14b, 18b)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부(44, 56)에 제1 및 제2와이어(48, 60)의 종단과 접속되어 있는 결합 고리(46, 58)가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조작 핸들(22)이 작업자에 의해 후단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누설 전류 센서(14) 및 상기 국부 전계 센서(18)의 각 회동 센서 부재(14b, 18b)가 각 고정 센서 부재(14a, 18a)와의 접속 상태가 해제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분자 애자(100)의 측정 대상 부위가 상기 누설 전류 센서(14) 및 상기 국부 전계 센서(18)의 각 고정 센서 부재(14a, 18a)와 각 회동 센서 부재(14b, 18b)의 개방된 내부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에 의해 상기 조작 핸들(22)의 조작을 해제하게 되어 해당 조작 핸들(22)과 결합된 복귀 스프링(78)의 복귀 작용으로 조작 핸들(22)이 후단으로부터 전단의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48, 60)도 연동 작용에 따라 상기 누설 전류 센서(14) 및 상기 국부 전계 센서(18)의 각 회동 센서 부재(14b, 18b)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클램프 닫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분자 애자(100)의 각 측정 대상 부위에 상기 누설 전류 센서(14) 및 상기 국부 전계 센서(18)가 클램프 상태로 접촉하여 누설 전류 및 국부 전계를 센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에서 누설전류 신호와 국부 전계 신호의 측정 구성 및 측정 결과의 표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신호 측정부(26)는 상기 누설 전류 센서(14)로부터 센싱된 누설 전류 센싱 신호와, 상기 국부 전계 센서(18)로부터 센싱된 국부 전계 센싱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신호 증폭하는 신호 증폭기(90)와, 상기 신호 증폭기(90)를 통해 증폭된 각 누설 전류 센싱 신호와 국부 전계 센싱 신호를 로우패스 필터링하는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92)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신호 측정부(26)의 로우 패스 필터(92)를 통해 필터링된 각각의 센싱 신호는 상기 측정 표시부(28) 상에 확인 가능하게 표시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에서 고분자 애자의 정상적 측정 상태에서의 전계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측정 표시부(28) 상에는 활선 상태에서 상기 고분자 애자(100)에 대해 측정된 누설 전류 센싱 신호와, 국부 전계 센싱 신호에 의해, 해당 고분자 애자(100)에 대한 정상적인 전계 분포 상황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분자 애자(100)가 갓의 손상 또는 로드 파괴 등의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측정 표시부(28) 상에 표시되는 전계분포 곡선이 왜곡되며, 이를 통해서 왜곡되는 지점을 불량 지점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절연봉 12, 16:인출로드
14:누설 전류 센서 14a, 18a:고정 센서 부재
14b, 18b:회동 센서 부재 18:국부 전계 센서
20:손잡이 22:조작 핸들
24:회동축 26:센서신호 측정부
28:측정 표시부 30:만곡 돌기부
44, 56:고정부 46, 58:결합 고리
48, 60:와이어 50, 62:선회축
72, 74:와이어 연결부 76:스프링 탄지부
78:복귀 스프링 80:범위 설정봉
90:신호 증폭기 92:로우 패스 필터

Claims (8)

  1. 일단에 손잡이가 마련된 일정 길이를 갖는 절연봉의 타단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 측에 설치된 조작 핸들의 조작에 따라 클램프 형으로 개폐 동작하여 고분자 애자의 누설 전류를 센싱하는 누설 전류 센서;
    상기 일정 길이를 갖는 절연봉의 타단 타측에 설치되어, 조작 핸들의 조작에 따라 클램프 형으로 개폐 동작하여 상기 고분자 애자의 국부 전계를 센싱하는 국부 전계 센서; 및
    상기 누설 전류 센서 및 국부 전계 센서와 각각 상기 절연봉 내부를 통해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누설 전류 센서와, 상기 국부 전계 센서를 동시에 클램프 형으로 개폐 동작시키기 위한 작업자 조작을 수행하는 조작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 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류 센서는 상기 절연봉과 결합된 인출로드에 고정핀을 통해서 고정 결합된 고정 센서 부재와, 상기 인출로드에 회동핀을 통해 결합되어 일정 범위까지 클램프 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 센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센서 부재와 회동 센서 부재는 상호 결합시에 상기 고분자 애자의 원통형 표면에 내측이 밀착될 수 있도록 원형상의 각각 만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 검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류 센서의 회동 센서 부재는 하부에 상기 조작 핸들과 연결된 와이어의 종단과 결합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인출로드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절연봉의 내부를 통해서 상기 조작 핸들과 조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 검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전계 센서는 상기 절연봉과 결합된 인출로드에 고정핀을 통해서 고정 결합된 고정 센서 부재와, 상기 인출로드에 회동핀을 통해 결합되어 일정 범위까지 클램프 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 센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센서 부재와 회동 센서 부재는 상호 결합시에 상기 고분자 애자의 원통형 표면에 내측이 밀착될 수 있도록 원형상의 각각 만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 검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전계 센서의 각 고정 센서 부재 및 회동 센서 부재의 몸체는 비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센서 부재 및 회동 센서 부재의 표면에는 국부 전계의 측정을 위한 전극판이 각각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 검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전계 센서의 회동 센서 부재는 하부에 상기 조작 핸들과 연결된 와이어의 종단과 결합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인출로드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절연봉의 내부를 통해서 상기 조작 핸들과 조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 검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핸들은 조작부의 전/후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절연봉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회동축이 끼워지고, 상기 조작 핸들의 상부에는 상기 누설 전류 센서와 연결된 와이어와, 상기 국부 전계 센서와 연결된 와이어를 각각 고정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 핸들의 조작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복귀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 탄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 핸들의 전/후 조작에 따라 연동하여 해당 조작 핸들의 조작 범위를 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범위 설정봉이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 검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류 센서로부터 센싱된 누설 전류 센싱 신호와, 상기 국부 전계 센서로부터 센싱된 국부 전계 센싱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신호 증폭하는 신호 증폭기와, 상기 신호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각 누설 전류 센싱 신호와 국부 전계 센싱 신호를 로우패스 필터링하는 로우 패스 필터, 상기 로우 패스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각각의 측정 신호를 확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측정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 검출장치.
KR1020120099801A 2012-09-10 2012-09-10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 KR101902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801A KR101902170B1 (ko) 2012-09-10 2012-09-10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801A KR101902170B1 (ko) 2012-09-10 2012-09-10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682A true KR20140033682A (ko) 2014-03-19
KR101902170B1 KR101902170B1 (ko) 2018-10-01

Family

ID=5064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801A KR101902170B1 (ko) 2012-09-10 2012-09-10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17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7324A (ko) 2015-09-25 2017-04-04 한국전력공사 송전용 불량애자 검출 장치
CN106707122A (zh) * 2016-12-30 2017-05-24 武汉市欧睿科技有限公司 一种绝缘子检测仪
CN106932698A (zh) * 2017-04-26 2017-07-07 三峡大学 一种输电线路复合绝缘子缺陷检测的带电作业装置
CN110082626A (zh) * 2019-05-30 2019-08-02 国网湖南省电力有限公司 防雷防冰复合绝缘子防爆性能的试验评估方法
CN110118918A (zh) * 2019-05-30 2019-08-13 中科伟博(苏州)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光纤微电流传感器的绝缘子劣化检测装置
CN110824239A (zh) * 2019-11-28 2020-02-21 国网新疆电力有限公司物资公司 便携式负荷电流测试装置及使用方法
KR20200137117A (ko) * 2019-05-29 2020-12-09 한국전력공사 저압접속함 진단장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8761A (en) * 1980-12-26 1982-07-06 Sumitomo Metal Ind Ltd Measuring method for soil of insulator
JPS6333670A (ja) * 1986-07-28 1988-02-13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送電線汚損コロナ監視方法
JPH02263168A (ja) * 1989-04-03 1990-10-25 Sumitomo Electric Ind Ltd 碍子漏洩電流検出装置
KR20120098283A (ko) * 2011-02-28 2012-09-05 한국전력공사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
KR20140031672A (ko) * 2012-09-05 2014-03-13 최철광 휴대용 활선 고분자애자 진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8761A (en) * 1980-12-26 1982-07-06 Sumitomo Metal Ind Ltd Measuring method for soil of insulator
JPS6333670A (ja) * 1986-07-28 1988-02-13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送電線汚損コロナ監視方法
JPH02263168A (ja) * 1989-04-03 1990-10-25 Sumitomo Electric Ind Ltd 碍子漏洩電流検出装置
KR20120098283A (ko) * 2011-02-28 2012-09-05 한국전력공사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
KR20140031672A (ko) * 2012-09-05 2014-03-13 최철광 휴대용 활선 고분자애자 진단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7324A (ko) 2015-09-25 2017-04-04 한국전력공사 송전용 불량애자 검출 장치
KR20220118374A (ko) 2015-09-25 2022-08-25 한국전력공사 송전용 불량애자 검출 장치
KR20220118973A (ko) 2015-09-25 2022-08-26 한국전력공사 송전용 불량애자 검출 장치
CN106707122A (zh) * 2016-12-30 2017-05-24 武汉市欧睿科技有限公司 一种绝缘子检测仪
CN106932698A (zh) * 2017-04-26 2017-07-07 三峡大学 一种输电线路复合绝缘子缺陷检测的带电作业装置
KR20200137117A (ko) * 2019-05-29 2020-12-09 한국전력공사 저압접속함 진단장비
CN110082626A (zh) * 2019-05-30 2019-08-02 国网湖南省电力有限公司 防雷防冰复合绝缘子防爆性能的试验评估方法
CN110118918A (zh) * 2019-05-30 2019-08-13 中科伟博(苏州)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光纤微电流传感器的绝缘子劣化检测装置
CN110082626B (zh) * 2019-05-30 2021-01-08 国网湖南省电力有限公司 防雷防冰复合绝缘子防爆性能的试验评估方法
CN110118918B (zh) * 2019-05-30 2024-04-19 中科伟博(苏州)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光纤微电流传感器的绝缘子劣化检测装置
CN110824239A (zh) * 2019-11-28 2020-02-21 国网新疆电力有限公司物资公司 便携式负荷电流测试装置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170B1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3682A (ko) 활선 불량 고분자 애자의 검출장치
TWI764953B (zh) 非接觸式測量系統及其方法
Volat et al. New method for in live-line detection of small defects in composite insulator based on electro-optic E-field sensor
TWI751219B (zh) 非接觸式電流測量系統
US10132841B2 (en) Clamp meter
JP2016085216A (ja) 電流測定装置及び方法
US20100073020A1 (en) Probe of electrical measuring instrument
JP4448732B2 (ja) 回路基板検査装置
KR20180013132A (ko) 케이블 테스트 장치
CN207516448U (zh) 通信电缆的理想屏蔽系数测试系统
JP5430500B2 (ja) 回路基板検査装置
KR102549276B1 (ko) 전기 네트워크의 강화된 멀티포인트 커넥터 상의 오류를 감지하기 위한 반사측정 시스템
CN210015224U (zh) 电气连接检测装置
JP5865021B2 (ja) 回路基板検査装置
CN204479620U (zh) 消除表面电流的抗干扰专用夹钳
CN115792335A (zh) 一种电缆接地线旁路电流的磁场耦合方法与装置
US8797019B2 (en) Handheld fiber optic current and voltage monitor for high voltage applications
CN111856139B (zh) 一种具有拉紧测量线功能的阻抗匹配过渡段装置
JP2019033573A (ja) 接地短絡具
Barbosa An eddy current sensor for conductor inspection on energized power lines
KR20140041087A (ko) 애자 오손 측정장치와 애자 오손 측정방법
JPH0453581Y2 (ko)
JP5480740B2 (ja) 回路基板検査装置
CN219831139U (zh) 射频高压线束测试装置以及线束测试设备
KR20190099201A (ko) 차량 배터리 전류 감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