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3223A - 차량의 부품들 및 실내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공기 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부품들 및 실내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공기 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3223A
KR20140033223A KR1020147002906A KR20147002906A KR20140033223A KR 20140033223 A KR20140033223 A KR 20140033223A KR 1020147002906 A KR1020147002906 A KR 1020147002906A KR 20147002906 A KR20147002906 A KR 20147002906A KR 20140033223 A KR20140033223 A KR 20140033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heat exchanger
air
coolan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8823B1 (ko
Inventor
그레고르 호만
마티아스 푸를
스테판 슈미트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033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25B29/003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of the compression typ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78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the bat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9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 B60H1/00907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where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changes and an evaporator becomes cond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1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 B60H1/14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cooling an electric component, e.g. electric motors, electric circuits, fue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21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arrangements of electric heaters for heating an intermediat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3Control means theref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in a vehicle heat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uxiliary or multiple systems, e.g. plurality of evaporators, or by involving auxiliary coo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냉각수 회로(100)를 구동하기 위한 제1 워터 펌프(C3), 제2 냉각수 회로(200)를 구동하기 위한 제2 워터 펌프(C.4), 고압 측과 저압 측을 구비하며 냉매 회로(300)를 구동하기 위한 압축기(A.1), 물 측으로 제1 냉각수 회로(100)에 접속되고 공기 측으로 실내의 상류에 접속되는 공기-물-열 교환기(C.5), 냉매 측으로 냉매 회로(300)에 접속되고 물 측으로 공기-물-열 교환기(C.5)의 상류에 접속되는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 및, 냉매 측으로 냉매 회로(300)에 접속되고 물 측으로 잠재적 열 공급원들의 하류에 접속되는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를 구비하는, 차량의 부품들 및 실내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공기 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부품들 및 실내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공기 조화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COMPONENTS AND OF AN INTERIOR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의 공기 조화 및 차량의 부품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이러한 장치 및 방법과 관련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실내의 부품들의 공기 조화 및 온도 조절이 공지되어 있다. 이를 위해 냉각수로 작동되는 냉각수 회로와 냉매로 작동되는 냉매 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냉각수는 특히 물 또는 부동액과 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냉매는 고압 측과 저압 측을 가진 냉매 회로의 작동을 위한 증발 매질일 수 있다. 차량의 부품 및/또는 실내의 가열을 위해 히트 펌프 모드에서 냉매 회로를 사용하는 것이 공개되어 있다. 차량의 부품은 특히 전기 트랙션(electric traction) 부품 및 차량의 전기 트랙션의 작동을 위한 전력원의 부품일 수 있다. 출원번호 DE 10 2010 044 416호를 갖는 동일한 출원인의 공개되지 않은 출원에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은, 냉매가 관통하여 흐를 수 있는 히트 펌프 및 냉각 시스템 회로로서 형성되는 냉매 회로, 이와 관련된 압축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열 교환기 및 내부 가열 응축기가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열 교환기, 내부 열 교환기 및 내부 가열 응축기에 열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공기 유동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열적으로 결합된 공기 유동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적 흐름을 구비하는 내부 가열 응축기를 관통하는 유동에 의해 계량될 수 있는 주입 디바이스(dosing device)를 포함한다.
이 경우, 히트 펌프 모드에서, 압축기의 고압 측으로부터의 냉매는 내부 가열 응축기 내부로 이송되고, 내부 가열 응축기로부터 이송되는 냉매는 팽창 밸브를 관통하여 내부 열교환기로 이송되며, 내부 열교환기로부터의 냉매는 양 측으로 유동되는 팽창 밸브를 통해 외부 열교환기로 이송되고, 외부 열교환기로부터의 냉매는 압축기의 저압 측으로 이송되도록, 그리고 냉각 시스템 작동에서, 압축기의 고압 측으로부터의 냉매는 내부 가열 응축기 내부로 직접적으로 이송되고, 내부 가열 응축기로부터 이송되는 냉매는 팽창 밸브를 우회하는 가운데 외부 열 교환기로 이송되며, 외부 열 교환기로부터 이송되는 냉매는 팽창 밸브를 관통하여 내부 열 교환기의 양 측으로 유동할 수 있고, 내부 열 교환기로부터의 냉매는 압축기의 저압 측으로 이송되도록 제공된다.
DE 10 2005 048 241 A1호는, 스위칭 디바이스를 통해 제어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열역학적 일차 회로 및, 일차 회로의 스위칭 디바이스의 신호에 응답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포함하는 전기 유닛의, 예를 들어 배터리의 냉각을 위한, 일차 회로에 열역학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이차 냉각 회로를 구비하는, 차량 공기 조화 시스템을 개시한다. US 2003 018296 A1호는 격실용 공기 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 시스템은 압축기, 외부 열 교환기 및 내부 열 교환기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 조화 시스템은 냉각 열 교환기 및, 냉각 열 교환기 상류에 배치되고 냉각 작동시 개방되는 감압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DE 103 01 006 A1호는 차량용 가열 회로/냉각 회로에 관한 것으로, 공급될 실내 공기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 공급될 실내 공기의 가열을 위한 가열 열 교환기, 외부 열 교환기, 냉매의 이송을 위한 압축기, 증발기에 연관되는 제1 팽창 디바이스, 외부 열 교환기에 연관되는 제2 팽창 디바이스 및, 상기 부품들을 서로 연결하는 냉매 라인을 구비하며, 이 경우 회로의 제상 회로는 압축기, 외부 열 교환기 및 제2 팽창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한 소수의 열 교환기로 차량의 가능한 한 다수의 온도 및 작동 상태들이 충족될 수 있도록, 차량의 부품들 및 실내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공기 조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제1 냉각수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제1 워터 펌프, 제2 냉각수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제2 워터 펌프, 고압 측과 저압 측을 구비하는 냉매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압축기, 물 측으로 제1 냉각수 회로에 접속되고 공기 측으로 실내의 상류에 접속되는 공기-물-열 교환기, 냉매 측으로 냉매 회로에 접속되고 물 측으로 공기-물-열 교환기의 상류에 접속되는 제1 냉매-냉각수 열 교환기를 포함하는, 차량의 부품 및 실내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공기 조화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유익하게, 열은 냉매 회로의 냉매-냉각수-열 교환기로부터 제1 냉각수 회로에 전달될 수 있다. 유익하게, 제1 냉각수 회로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공기 조화기 내에 배치되고,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가열 및/또는 냉각을 위해 이용된다. 유익하게,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는 공기 조화기의 외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공기 조화기는 자체에 제공되는 공기-물-열 교환기를 제외하고 열원을 포함하지 않는다. 유익하게, 공기 조화기 내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가열은 제1 냉각수 회로의 공기-물-열 교환기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공기-물-열 교환기에 열이 공급되지 않는다면, 공기 조화기는 유익하게 열원을 포함하지 않는다. 유익하게 이로 인해 효율적인 실내의 가열 및/또는 실내의 냉각이 가능해질 수 있다.
공기 조화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는 냉매 회로의 고압 측에 접속된다. 유익하게 냉매 회로의 고압 측에 안내된 열은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를 통해 방출될 수 있다.
공기 조화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 조화 시스템은 밸브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장치에 의해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는 냉매 측으로 냉매 회로로부터 접속 차단될 수 있다. 유익하게 밸브 장치에 의해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밸브 장치는 중앙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제어유닛은 특히 측정 신호 및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밸브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로 변환한다. 유익하게, 밸브 장치에 의해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는 냉매 측으로 냉매 회로로부터 접속 차단될 수 있으므로, 상기 냉매-냉각수-열 교환기는 냉매 회로로부터 열을 공급받지 않고, 즉 제1 냉각수 회로로부터의 상당한 열전달 없이 관통하여 흐를 수 있다.
공기 조화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 측으로 공기-물-열 교환기 상류에 공기-물-열 교환기를 통해 실내로 유동하는 공기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에어 플랩이 접속된다. 바람직하게, 에어 플랩에 의해 공기 유동과 공기-물-열 교환기 사이의 열 전달 및/또는 냉기 전달이 중단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유동 전체는 공기-물-열 교환기를 통해 유동할 수 있고, 이때 에어 플랩의 폐쇄에 의해 상기 공기 유동이 완전히 중단된다. 대안으로서 및/또는 추가로 공기 유동의 적어도 일부는 공기-물-열 교환기를 스쳐 지나갈 수 있으므로, 에어 플랩의 폐쇄는 공기 유동으로부터 공기-물-열 교환기의 공기 측의 접속 차단을 의미한다. 대안으로서 및/또는 추가로 또한 에어 플랩에 의해 공기-물-열 교환기의 일부만이 공기 유동으로부터 접속 차단될 수 있으므로, 열 전달 및/또는 냉기 전달이 제어될 수 있고, 특히 감소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밸브 장치에 의해 차량의 열원이 제1 냉각수 회로에 접속될 수 있고, 따라서 냉매-냉각수-열 교환기 상류에 접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냉각수 회로는,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로부터 공기 조화기의 공기-물-열 교환기로 열 전달 목적 외에, 추가로 접속될 수 있는 열원의 온도 조절, 특히 냉각 및/또는 가열도 담당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의 열원은 전기 부품, 전기 트랙션 부품, 파워 전자장치, 배터리, 내연기관, 전기 보조 히터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차량의 다양한 부품들은 온도 조절될 수 있고, 즉 가열 및/또는 냉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부품들의 폐열은 예를 들어 냉매-냉각수-열 교환기에 결합에 의해 실내를 가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냉각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냉기 및/또는 열은 다양한 전기 부품들의 냉각 및/또는 가열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공기 조화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 조화 시스템은 냉매 측으로 냉매 회로의 저압 측에 접속되고 공기 측으로 공기-물-열 교환기의 상류에 접속되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증발기에 의해 실내로 유동하는 공기 유동이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이로 인해 냉매 회로에 열이 공급될 수 있다.
공기 조화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 조화 시스템은 물 측으로 제2 냉각수 회로에 그리고 냉매 측으로 냉매 회로의 저압 측에 접속되는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에 의해 열은 냉매 회로로부터 제2 냉각수 회로에 전달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및/또는 추가로, 제2 냉각수 회로는 열원을 포함하고, 상기 열은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에 의해 냉매 회로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공기 조화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냉매 회로는 주변 공기 유동이 관통하여 흐르게 되는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는 밸브 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냉매 회로의 고압 측 또는 저압 측에 접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응축기는 밸브 장치의 제어에 의해 열의 공급을 위해 또는 대안으로서 냉매 회로로부터 열의 방출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는 특히 히트 펌프 모드에서 바람직하게 활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밸브 장치에 의해 전환될 수 있는 응축기와 증발기에 의해 공기 순환 작동 시 확대된 열 교환 표면이 이용되기 때문이다.
공기 조화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 조화 시스템은 내연기관의 별도의 냉각을 위한, 제3 워터 펌프에 의해 구동되는 제3 냉각수 회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내연기관이 나머지 회로에 의해 방출될 수 없거나 이용될 수 없는 높은 열 출력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내연기관은 제3 냉각수 회로에 의해 경우에 따라서 별도로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전술한 공기 조화 시스템에 의해 전기 트랙션을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 조화 방법에 의해 해결되고, 상기 방법은 공기 조화 시스템의 가열 작동 시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로부터 공기-물-열 교환기 내로 열 유동의 이송을 포함하며, 이 경우 열 유동은 밸브 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차량의 하기 부품들, 즉 차량의 열원, 전기 부품, 전기 트랙션 부품, 파워 전자장치, 배터리, 내연기관 및/또는 냉매 회로의 고압 측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생하고, 부품 냉각 작동 시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로부터 차량의 하기 부품들, 즉 열원, 배터리, 내연기관 및/또는 전기 보조 히터 중 적어도 하나로 냉기 유동의 이송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가열 작동 시 차량의 실내는 가열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에 의해 공기-물-열 교환기 내로 열 유동의 공급을 위한 자체의 열 교환은 공급 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하게 공기 조화기는 열원을 포함하지 않고, 즉 제1 냉매-냉각수 열 교환기는 공기 조화기 외부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냉매 회로의 히트 펌프 모드에서, 열은 가열 열 교환기의 제1 냉각수 회로에서 형성되고, 공기 유동에 의해 실내로 이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부품 냉각 작동 시, 냉각수 회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냉기는 차량의 부품을 냉각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및/또는 추가로 가열 작동 및 부품 냉각 작동은 서로 무관하게 제어될 수 있으므로, 순수 부품 냉각 작동, 순수 가열 작동 및, 조합된 가열 작동 및 부품 냉각 작동은 밸브 장치에 의해 바람직하게 제어될 수 있다.
방법의 실시예에서, 실내 냉각 작동 시 또는 실내 재가열 작동 시 증발기로부터 차량의 실내로 냉기 유동의 이송이 이루어진다. 실내 냉각 작동이란, 차량의 실내가 공기 유동에 의해 냉각되는 것이다. 가열 작동이란, 차량의 실내가 공기 유동에 의해 가열되는 것이다. 실내 재가열 작동이란,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유동이 제습되는 것이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실내의 냉방 및/또는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를 위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유동이 먼저 냉각되고 이어서 제습된 후에 다시 가열되기 때문이다. 열 유동 및 냉기 유동의 제어에 따라 냉각된 또는 가열된 그리고 제습된 공기 유동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방법의 실시를 위해 설계되고, 형성되고, 구성되고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및/또는 전술한 공기 조화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에서 해결된다. 이로써 전술한 장점들이 제공된다.
다른 장점들, 특징들 및 세부사항은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가 상세히 기술된 이하의 설명에 제시된다. 동일한, 유사한 및/또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1은 전기 보조 히터를 포함하는, 차량의 부품 및 실내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공기 조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 시스템과 유사하지만, 이와 달리 보조 히터 대신에 내연기관이 제공되는 다른 공기 조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 시스템의 다양한 작동 방식의 개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 조화 시스템의 다양한 작동 방식의 개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은 공기 조화기(5)에 의한 차량(1)의 실내(3)의 공기 조화를 위한 공기 조화 시스템(7)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 시스템(7)은, 제1 워터 펌프(C.3)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냉각수 회로(100)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 조화 시스템(7)은, 제2 워터 펌프(C.4)에 의해 구동되는, 제2 냉각수 회로(200)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 조화 시스템(7)은, 압축기(A.1)에 의해 구동되는, 냉매 회로(300)를 포함한다. 냉매 회로(300)는 냉매와 더불어 작동되고, 공기 조화 모드 및 히트 펌프 모드에서 작동할 수 있다.
냉각수 회로(100, 200)는 냉각재, 예를 들어 냉각수, 특히 냉각수-부동액-혼합물에 의해 작동된다. 공기 조화 시스템(7)의 제어 및/또는 조절을 위해 차량(1)은,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제어 유닛, 예를 들어 공기 조화 제어부 및/또는 중앙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밸브 장치(400)를 제어하고, 상기 밸브 장치는 회로(100, 200, 300)에 작용한다. 적절한 제어 신호 및/또는 조절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압력-온도 센서들로부터, 즉 제1 압력-온도 센서(A.5), 제2 압력-온도 센서(A.8) 및 제3 압력-온도 센서(A.11)로부터 측정 신호를 수신한다.
압력-온도 센서들(A.5, A.8, A.11)의 신호에 따라 특히 전기 팽창 밸브들이, 즉 냉매 회로(300)의 제1 전기 팽창 밸브(A.3), 제2 전기 팽창 밸브(A.6) 및 제3 전기 팽창 밸브(A.9)가 제어된다. 전기 팽창 밸브들(A.3, A.6 및 A.9)의 하류에 증발기로서 설계되고 또는 증발기로서 작동될 수 있는 개별적인 열 교환기, 즉 증발기(A.4), 응축기(A.7) 및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가 접속된다.
또한, 제1 냉각수 회로(100)와 냉매 회로(300)는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를 포함하고, 상기 열 교환기는 냉매 측으로 제1 전기 팽창 밸브(A.3)의 상류에 접속되고, 냉각수 측으로 공기 조화기(5)의 공기-물-열 교환기(C.5)의 상류에 접속된다.
냉매 회로(300)는 압축기(A.1)의 상류에 접속되는 컬렉터(A.12)를 포함한다.
밸브 장치(400)는 회로들(100-300)에 접속되는 2/2-분배 밸브와 3/2-분배 밸브를 포함한다. 세부적으로, 제1 2/2-분배 밸브(B.1), 제2 2/2-분배 밸브(B.2), 제3 2/2-분배 밸브(B.3), 제4 2/2-분배 밸브(B.5). 제5 2/2-분배 밸브(B.6), 제6 2/2-분배 밸브(B.7) 및 제7 2/2-분배 밸브(B.8), 제1 3/2-분배 밸브(D.1), 제2 3/2-분배 밸브(D.2) 및 제3 3/2-분배 밸브(D.3)이다. 또한, 밸브 장치(400)는 제3 2/2-분배 밸브(B.3) 하류에 접속되는 체크 밸브(B.4)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 밸브는 제3 2/2-분배 밸브(B.3)의 방향으로 차단한다.
도 1에 도시된 차량(1)은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전기 트랙션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트랙션은 배터리(C.1)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배터리(C.1)는 밸브 장치에 의해 제2 냉각수 회로(200)에 접속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배터리는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다.
배터리가 가열되어야 하는 경우에, 차량(1)은 열원을, 이 경우 제2 냉각수 회로(200)에 열을 공급할 수 있는 전기 보조 히터(C.2)를 포함한다. 그러나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를 통해 냉각수 회로(100) 내부로의 냉매 회로(300)에 의한 열 유입에 의해서도 배터리는 가열될 수 있다.
하기에서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 시스템의 다양한 작동 상태들 또는 작동 방식이 설명된다. 이러한 작동 상태 또는 작동 방식은 밸브 장치(400)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야기되고, 이 경우 공기 조화 시스템(7)의 회로들(100, 200, 300)은 상응하게 변경된다. 작동 상태 또는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하기에서 각각 구동원, 즉 압축기(A.1)와 워터 펌프들(C.3, C.4)부터 시작해서 하류의 개별 부품들이 열거된다. 이러한 열거에 의해 3/2-분배 밸브의 각각의 스위칭 상태도 제시된다. 따라서 스위칭 밸브로서 구현된 언급되지 않은 2/2-분배 밸브는 각각의 설명된 스위칭 상태에서 폐쇄된다.
제1 경우에, 제1 냉각수 회로(100)의 경로는 제1 워터 펌프(C.3)로부터 제2 3/2-분배 밸브(D.2)로,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 및 공기-물-열 교환기(C.5)를 지나, 다시 제1 워터 펌프(C.3)로 복귀하게 된다.
제2 냉각수 회로(200)의 경로는 제2 워터 펌프(C.4)로부터 제1 3/2-분배 밸브(D.1)로, 제3 2/2-분배 밸브(D.3), 전기 보조 히터(C.2) 및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를 지나, 다시 제2 워터 펌프(C.4)로 복귀하게 된다.
냉매 회로(300)의 경로는 압축기(A.1)로부터 제1 2/2-분배 밸브(B.1),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 제1 전기 팽창 밸브(A.3), 증발기(A.4), 제1 압력-온도 센서(A.5), 제7 2/2-분배 밸브(B.8),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 제3 압력-온도 센서(A.11) 및 컬렉터(A.12)를 지나, 다시 압축기(A.1)로 복귀하게 된다.
제7 2/2-분배 밸브(B.8)는 제3 전기 팽창 밸브(A.9)에 대해 병렬 접속되고, 이 경우 제1 작동 방식의 제1 경우에서 제7 2/2-분배 밸브(B.8)는 개방된다.
제1 작동 방식의 제1 경우는, 특히 차량(1)의 주변 온도가 -10℃ 미만일 때 차량(1)의 실내(7)를 가열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때 열원으로서 전기 보조 히터(C.2)가 이용된다. 마찬가지로 실내(7)를 가열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1 작동 방식의 제2 경우에, 주변으로부터 발생하는 주변 공기 유동(9)으로부터 응축기(A.7)에 의해 냉매 회로(300)에 열이 공급될 수 있으므로, 상기 주변 공기 유동은 히트 펌프 모드에서 추가로 열원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그에 반해서 냉매 회로(300)는 추가로 제1 압력-온도 센서(A.5)의 하류에서 병렬 분기를 지나 연장되고, 상기 병렬 분기는 제3 2/2-분배 밸브(B.3), 체크 밸브(B.4), 응축기(A.7), 제2 압력-온도 센서(A.8), 제5 2/2-분배 밸브(B.6) 및 컬렉터(A.12)를 지나 압축기(A.1)로 복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작동 방식에서, 냉매 회로(300)의 응축기(A.7)는 증발기로서 차량(1)의 주변 또는 주변 공기 유동(9)에 포함된 열을 흡수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2 작동 방식의 제1 경우에, 공기 조화 시스템(7)은 -10℃ 까지의 온도에서 실내(3)를 가열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다. 제2 작동 방식의 제1 경우에 제1 냉각수 회로(100)는 제1 작동 방식과 유사하게 접속된다. 제2 냉각수 회로(200)는 차단되고, 이 경우 제2 워터 펌프(C.4)는 펌프 출력을 갖지 않는다. 냉매 회로(300)의 경로는 압축기(A.1)로부터 제1 2/2-분배 밸브(B.1),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 제1 전기 팽창 밸브(A.3), 증발기(A.4), 제1 압력-온도 센서(A.5), 제2 전기 팽창 밸브(A.6), 제3 2/2 분배 밸브(B.3), 체크 밸브(B.4), 증발기로서 작동되는 응축기(A.7), 제2 압력-온도 센서(A.8), 제5 2/2-분배 밸브(B.6) 및 컬렉터(A.12)를 지나, 압축기(A.1)로 복귀하게 된다.
제2 작동 방식의 제2 경우에서, 마찬가지로 제2 냉각수 회로(200)는 차단된다.
제2 작동 방식의 이러한 제2 경우에, 배터리(C.1)는 차량(1)의 정지 상태에서 가열될 수 있다. 이는 제1 냉각수 회로(1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냉각수 회로의 경로는 제1 워터 펌프(C.3)로부터 제2 3/2-분배 밸브(D.2), 제1 3/2-분배 밸브(D.1), 배터리(C.1), 제3 3/2-분배 밸브(D.3), 제1 냉매-냉각수 열 교환기(A.2) 및 공기-물-열 교환기(C.5)를 지나, 제1 워터 펌프(C.3)로 복귀하게 된다.
제2 작동 방식의 제2 경우의 특징으로서, 공기 측으로 공기-물-열 교환기(C.5) 상류에 접속되는 플랩(11)은 폐쇄된다. 플랩(11)은 도 1에서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로 도시된다.
증발기(A.4)와 공기-물-열 교환기(C.5)는 실내(3)로 유동하는 공기 유동(500)이 관통하게 된다. 공기 유동(500)은 실내(3)의 온도 조절을 위해 이용된다.
제2 작동 방식의 제2 경우에, 상기 공기 유동(500)은 플랩(11)에 의해 공기-물-열 교환기(C.5)로부터 차단된다.
제2 작동 방식의 제3 경우에, 차량(1)의 정지 상태 동안 배터리(C.1)의 냉각은 냉각수 회로(2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냉각수 회로(100)의 경로는, 제1 워터 펌프(C.3)로부터 제2 3/2-분배 밸브(D.2),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 및 공기-물-열 교환기(C.5)를 지나, 제1 워터 펌프(C.3)로 복귀하게 된다.
제2 냉각수 회로(200)의 경로는, 제2 워터 펌프(C.4)로부터 제1 3/2-분배 밸브(D.1), 배터리(C.1), 제3 3/2-분배 밸브(D.3), 전기 보조 히터(C.2),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를 지나, 제2 워터 펌프(C.4)로 복귀하게 된다.
냉매 회로(300)의 경로는, 압축기(A.1)로부터 제1 2/2-분배 밸브(B.1),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 제1 전기 팽창 밸브(A.3), 증발기(A.4), 제1 압력-온도 센서(A.5)를 지나, 제1 병렬 분기를 거쳐, 제3 전기 팽창 밸브(A.9), 제7 2/2-분배 밸브(B.8),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 제3 압력-온도 센서(A.11)를 지나서, 그리고 제2 전기 팽창 밸브(A.6)를 포함하는 제2 병렬 분기를 거쳐, 응축기(A.7), 제2 압력-온도 센서(A.8), 제5 2/2-분배 밸브(B.6)를 지나서, 그리고 병렬 분기들의 하류의 컬렉터(A.12)를 지나, 압축기(A.1)로 복귀하게 된다.
제3 작동 방식의 제1 경우에, 공기 조화 시스템(7)은 공기 조화 모드에서의 배터리의 냉각과 재가열 작동 시 실내(3)의 제습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공기 유동(500)은 먼저 냉각된 후에, 실내(3)로 유입되기 전에 다시 가열된다. 제1 냉각수 회로(100)는 예를 들어 제1 작동 방식의 제1 경우와 동일하게 접속된다.
제2 냉각수 회로(200)는 예를 들어 제2 작동 방식의 제3 경우와 동일하게 접속된다.
냉매 회로(300)의 경로는, 압축기(A.1)로부터 제1 2/2-분배 밸브(B.1),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 제4 2-2/분배 밸브(B.5), 제2 압력-온도 센서(A.8), 응축기로서 작동되는 응축기(A.7), 제2 전기 팽창 밸브(A.6), 상기 밸브 하류에서 병렬 분기되는, 제1 병렬 분기의 제1 압력-온도 센서(A.5), 증발기(A.4), 제6 2/2-분배 밸브(B.7)를 지나서, 제2 병렬 분기의 제7 2/2-분배 밸브(B.8),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 제3 압력-온도 센서(A.11)를 지나서, 그리고 다시 일련의 컬렉터(A.12)를 지나 압축기(A.1)로 복귀하게 된다.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4 작동 방식의 제1 경우는, 냉매 회로(300)의 공기 조화 모드에서 배터리(C.1)와 실내(3)의 냉각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냉각수 회로(100)는 차단되고, 즉 제1 워터 펌프(C.3)는 이송 출력을 갖지 않는다. 제2 냉각수 회로(200)는 예를 들어 제2 작동 방식의 제3 경우와 유사하게 접속된다.
냉매 회로(300)의 경로는, 압축기(A.1)로부터 제2 2/2-분배 밸브(B.2), 제2 압력-온도 센서(A.8), 응축기(A.7), 제2 전기 팽창 밸브(A.6) 및, 거기에서부터 병렬로 분기되는, 제1 병렬 분기의 제1 압력-온도 센서(A.5), 증발기(A.4), 제6 2/2-분배 밸브(B.7), 제2 병렬 분기의 제7 2/2-분배 밸브(B.8),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 제3 압력-온도 센서(A.11)를 지나서, 다시 일련의 컬렉터(A.12)를 지나 압축기(A.1)로 복귀하게 된다.
제4 작동 방식의 제1 경우에 특징으로서, 플랩(11)은 폐쇄된다.
제4 작동 방식의 제2 경우는, 재가열 시, 즉 공기 유동(500)의 제습에 의해 배터리(C.1)와 실내(3)의 냉각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1 냉각수 회로(100)는 예를 들어 제2 작동 방식의 제2 경우와 유사하게 접속된다. 제2 냉각수 회로(200)는 차단되고, 즉 제2 워터 펌프(C.4)는 이송 출력을 갖지 않는다.
냉매 회로(300)는 제4 작동 방식의 제1 경우와 유사하게 접속된다.
도 1에 도시된 냉매 회로(300)는 각각 고압 측(700)과 저압 측(800)을 포함하고, 이 경우 저압 측(800)은 해당하는 전기 팽창 밸브(A.3, A.6, A.9)의 하류에 제공된다. 고압 측(700)은 상응하게 압축기(A.1)의 하류 및 해당하는 전기 팽창 밸브(A.3, A.6, A.9)의 상류에 배치된다.
도 2는 차량(1)의 공기 조화 시스템(7)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동일한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명시적으로 차이점이 언급된다. 또한, 하기에는 도 1에 따른 도면과 다른 회로 차이점만이 언급된다. 차이점으로서, 차량(1)은 전기 트랙션 외에 내연기관(C.2)을 포함한다. 내연기관(C.2)은 열원으로서 이용될 수 있고, 도 2의 회로 설계에 따라서 전기 보조 히터 대신에 제공된다. 다른 차이점으로서 밸브 장치(400)의 제1 2/2-분배 밸브와 제2 2/2-분배 밸브가 도면부호 D.2와 D.3으로 도시된다.
다른 차이점으로서 도 2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7)은, 제3 워터 펌프(C.6)에 의해 구동되는, 제3 냉각수 회로(600)를 포함한다. 제3 냉각수 회로(600)에 주변 공기 유동(9)이 관통하여 흐를 수 있는 냉각기(C.7)가 접속되고 및/또는 접속될 수 있다.
냉각기(C.7)는 공기 측으로 주변 공기 유동(9)과 관련해서 응축기(A.7)의 하류에 접속된다.
도 2에 도시된 공기 조화 시스템(7)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된 5개의 상이한 작동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10℃ 미만의 온도에서 실내(3)를 가열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제1 작동 방식의 제1 경우에, 제2 냉각수 회로(200), 냉매 회로(300) 및 제3 냉각수 회로(600)는 차단되고, 즉 각각의 구동원은 이송 출력을 갖지 않는다.
제1 냉각수 회로(100)의 경로는, 제1 워터 펌프(C.3)로부터 제1 3/2-분배 밸브(D.1), 제3 2/2-분배 밸브(D.2), 제5 3/2-분배 밸브(D.9), 내연기관(C.2), 제3 3/2-분배 밸브(D.7),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 및 공기-물-열 교환기(C.5)를 지나, 제1 워터 펌프(C.3)로 복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내연기관(C.2)에 의해 발생된 열은 공기-물-열 교환기(C.5)를 통해서 실내(3)로 유입되는 공기 유동(500) 내부로 실내(3)의 난방을 위해 전달될 수 있다.
제1 작동 방식의 제2 경우에서, 실내(3)와 더불어 배터리(C.1)도 가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냉각수 회로(100)의 경로는, 제1 워터 펌프(C.3)로부터 제1 3/2-분배 밸브(D.1), 배터리(C.1), 제2 2/2-분배 밸브(D.3), 제1 2/2-분배 밸브(D.2), 제5 3/2-분배 밸브(D.9), 내연기관(C.2), 제4 3/2-분배 밸브(D.8), 제3 3/2-분배 밸브(D.7), 제1 냉매-냉각수 열 교환기(A.2) 및 공기-물-열 교환기(C.5)를 지나, 제1 워터 펌프(C.3)로 복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공기-물-열 교환기(C.5) 이후에 남아있는 열에 의해서도 배터리(C.1)는 가열될 수 있다.
제2 작동 방식의 제1 경우에, -10℃ 미만의 온도에서 실내(3)가 가열될 수 있고 배터리(C.1)는 냉각될 수 있다.
제1 냉각수 회로(100)는 제1 작동 방식의 제1 경우와 유사하게 접속된다. 제2 냉각수 회로(200)의 경로는, 제2 워터 펌프(C.4)로부터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 제2 3/2-분배 밸브(D.4), 배터리(C.1), 제4 2/2-분배 밸브(D.6)를 지나, 제2 워터 펌프(C.4)로 복귀하도록 연장된다. 냉매 회로(300)는 압축기(A.1)로부터 제1 2/2-분배 밸브(B.1),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 제1 전기 팽창 밸브(A.3), 증발기(A.4), 제1 압력-온도 센서(A.5) 및, 거기에서부터 병렬로 분기되는, 제1 병렬 분기의 제2 전기 팽창 밸브(A.6), 응축기(A.7), 제2 압력-온도 센서(A.8), 제5 2/2-분배 밸브(B.6)를 지나, 그리고 제2 병렬 분기의 제3 전기 팽창 밸브(A.9),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 제3 압력-온도 센서(A.11), 그리고 공통의 컬렉터(A.12)를 지나 압축기(A.1)로 복귀하게 된다.
-10℃ 미만의 온도에서 마찬가지로 실내(3)를 가열하기 위해 접속될 수 있는 제2 작동 방식의 제2 경우에, 제1 냉각수 회로(100)의 경로는 제1 워터 펌프(C.3)로부터 제1 3/2-분배 밸브(D.1), 제3 2/2-분배 밸브(D.5),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 및 공기-물-열 교환기(C.5)를 지나 제1 워터 펌프(C.3)로 복귀하게 된다.
제2 냉각수 회로(200)의 경로는, 제2 워터 펌프(C.4)로부터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 제2 3/2-분배 밸브(D.4), 제5 3/2-분배 밸브(D.9), 내연기관(C.2), 제4 3/2-분배 밸브(D.8) 및 제3 3/2-분배 밸브(D.7)를 지나, 제2 워터 펌프(C.4)로 복귀하게 된다.
냉매 회로(300)는 제2 작동 방식의 제1 경우와 유사하게, 폐쇄된 2/2-분배 밸브들(B.3, B.8)에 의해 그리고 병렬 분기의 팽창 밸브들(A.6, A.9)을 지나 접속된다.
제2 작동 방식의 제3 경우는, -10℃ 미만의 온도에서 실내(3)의 가열을 위해 그리고 배터리(C.1)의 가열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1 냉각수 회로(100)의 경로는, 제1 워터 펌프(C.3)로부터 제1 3/2-분배 밸브(D.1), 배터리(C.1), 제2 2/2-분배 밸브(D.3), 제3 2/2-분배 밸브(D.5),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 공기-물-열 교환기(C.5)를 지나 제1 워터 펌프(C.3)로 복귀하게 된다.
제2 냉각수 회로(200)는 제2 작동 방식의 제3 경우에 제2 작동 방식의 제2 경우와 유사하게 접속된다. 냉매 회로(300)는 제2 작동 방식의 제3 경우에 제2 작동 방식의 제1 및 제2 경우와 유사하게 접속된다. 제1 및 제2 작동 방식에서 각각 제3 냉각수 회로(500)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즉 제3 워터 펌프(C.6)는 차단된다.
제3 작동 방식의 제1 경우는, 실내(3)의 가열과 배터리(C.1)의 가열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1 냉각수 회로(100)의 경로는, 제1 워터 펌프(C.3)로부터 제1 3/2-분배 밸브(D.1), 배터리(C.1), 제2 2/2-분배 밸브(D.3), 제3 2/2-분배 밸브(D.5),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 및 공기-물-열 교환기(C.5)를 지나, 제1 워터 펌프(C.3)로 복귀하게 된다. 제2 냉각수 회로(200)는 차단된다. 제3 냉각수 회로(600)도 차단된다.
냉매 회로(300)의 경로는, 압축기(A.1)로부터 제1 2/2-분배 밸브(B.1),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 제1 전기 팽창 밸브(A.3), 증발기(A.4), 제1 압력-온도 센서(A.5), 제2 전기 팽창 밸브(A.6), 응축기(A.7), 제2 압력-온도 센서(A.8), 제5 2/2-분배 밸브(B.6) 및 컬렉터(A.12)를 지나, 압축기(A.1)로 복귀하게 된다.
제3 작동 방식의 제2 경우는 마찬가지로, -10℃ 까지의 온도에서 실내(3)의 가열과 배터리(C.1)의 냉각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1 냉각수 회로(100)는 제2 작동 방식의 제2 경우처럼 접속된다.
제2 냉각수 회로(200)는 제2 작동 방식의 제1 경우와 유사하게 접속된다.
냉매 회로(300)는 제2 작동 방식의 제1 경우와 유사하게 접속된다.
제4 작동 방식의 제1 경우는, 재가열 작동 시, 공기 유동(500)의 제습에 의해 실내(3)를 냉각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1 냉각수 회로(100)는 제3 작동 모드의 제2 경우와 유사하게 접속된다.
제2 냉각수 회로(200)와 제3 냉각수 회로(600)는 차단된다.
냉매 회로(300) 경로는, 압축기(A.1)로부터 제1 2/2-분배 밸브(B.1),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 제4 2/2-분배 밸브(B.5), 제2 압력-온도 센서(A.8), 응축기(A.7), 제2 전기 팽창 밸브(A.6), 제1 압력-온도 센서(A.5), 증발기(A.4), 제6 2/2-분배 밸브(B.7) 및 컬렉터(A.12)를 지나, 압축기(A.1)로 복귀하게 된다.
제4 작동 방식의 제2 경우에, 재가열 작동 시, 공기 유동(500)의 제습 하에 실내(3)와 배터리(C.5)가 냉각될 수 있다.
이때 냉각수 회로(100)는 제4 작동 방식의 제1 경우와 유사하게 접속된다.
제2 냉각수 회로(200)는 제3 작동 방식의 제2 경우와 유사하게 접속된다.
냉매 회로(300)의 경로는, 압축기(A.1)로부터 제1 2/2-분배 밸브(B.1),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 제4 2/2-분배 밸브(B.5), 제2 압력-온도 센서(A.8), 응축기(A.7), 제2 전기 팽창 밸브(A.6), 거기에서부터 추가로 병렬로 분기되는, 제1 병렬 분기의 제1 압력-온도 센서(A.5), 증발기(A.4), 제6 2/2-분배 밸브(B.7), 제2 병렬 분기의 제7 2/2-분배 밸브(B.8),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 제3 압력-온도 센서(A.11), 그리고 거기에서부터 일련의 컬렉터(A.12)를 지나 다시 압축기(A.1)로 복귀하게 된다.
제3 냉각수 회로(600)는 차단된다.
제5 작동 방식의 제1 경우는 실내(3)의 냉각과 배터리(C.1)의 냉각을 위해 이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재가열 작동에 의해 공기 유동(500)의 제습이 이루어진다. 제1 냉각수 회로(100)는 제3 작동 방식의 제1 경우와 유사하게 접속된다. 제2 냉각수 회로(200)와 제3 냉각수 회로(600)는 차단된다. 냉매 회로(300)의 경로는, 압축기(A.1)로부터 제2 2/2-분배 밸브(B.2), 제2 압력-온도 센서(A.8), 응축기(A.7), 제2 전기 팽창 밸브(A.6), 제1 압력-온도 센서(A.5), 증발기(A.4), 제6 2/2-분배 밸브(B.7) 및 컬렉터(A.12)를 지나, 압축기(A.1)로 복귀하게 된다.
배터리(C.1)와 실내(3)의 냉각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제5 작동 방식의 제2 경우에 제1 냉각수 회로(100)는 차단된다.
제2 냉각수 회로(200)는 제4 작동 방식의 제2 경우와 유사하게 접속된다.
냉매 회로의 경로는, 압축기(A.1)로부터 제2 2/2-분배 밸브(B.2), 제2 압력-온도 센서(A.8), 응축기(A.7), 제2 전기 팽창 밸브(A.6), 거기에서부터 병렬로 분기되는, 제1 병렬 분기의 제1 압력-온도 센서(A.5), 증발기(A.4), 제6 2/2-분배 밸브(B.7), 제2 병렬 분기의 제7 2/2-분배 밸브(B.8),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 제3 압력-온도 센서(A.11), 그리고 다시 일련의 컬렉터(A.12)를 지나 압축기(A.1)로 복귀하게 된다.
제3 냉각수 회로(600)는 차단된다.
제5 작동 방식의 제3 경우에, 추가로 내연기관(C.2)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냉각수 회로(100, 200) 및 냉매 회로(300)는 제5 작동 방식의 제2 경우와 유사하게 접속되지만, 그와 달리 제3 냉각수 회로(600)의 경로는 제3 워터 펌프(C.6)로부터 제5 3/2-분배 밸브(D.9), 내연기관(C.2), 제4 3/2-분배 밸브(D.8) 및 냉각기(C.7)를 지나, 제3 워터 펌프(C.6)로 복귀하게 된다.
제5 작동 방식의 제2 및 제3 경우에 특징으로서 플랩은 폐쇄된다. 즉, 공기 유동(500)은 공기-물-열 교환기(C.5)를 통해 안내되지 않는다.
공기 유동(500)의 구동을 위해 공기 조화기(5)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 시스템(7)의 4개의 다양한 작동 방식들의 개관을 도시한다. 제1 열(13)에 플러스 표시 및 마이너스 표시는, 각각의 작동 방식에서 배터리(C.1)의 강한 가열[++], 중간 가열[+], 선택적 가열[(+)], 선택적 냉각[(-)], 보통 냉각[-], 강한 냉각[--]을 의미한다. 제3 열(17)에 차량(1)의 주변의 온도가 섭씨온도[℃]로 기재된다. 제1 작동 방식은 도면부호 19로, 제2 작동 방식은 도면부호 21로, 제3 작동 방식은 도면부호 23으로 그리고 제4 작동 방식은 도면부호 25로 표시되고, 이 경우 작동 방식들은 각각 사각형으로 열들(13-17) 위에 도시된다.
제1 작동 방식(19)의 경우 0 내지 100%의 공기 순환 작동이 실행될 수 있다. 냉매 회로(300)는 히트 펌프 모드에서 열원으로서 전기 보조 히터(C.2) 또는 전기 트랙션의 다른 폐열-에너지원, 예를 들어 배터리(C.1)를 이용하여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실내(3)는, 선택적으로 배터리(C.1)의 냉각 및/또는 가열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고, 가열될 수 있다.
제2 작동 방식(21)에서 냉매 회로(300)는 히트 펌프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실내(3)가 가열될 수 있다. 이는 배터리(C.1)의 가열 및/또는 냉각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고 실행될 수 있다.
제3 작동 방식(23)에서 냉매 회로(300)는, 선택적으로 배터리(C.1)의 냉각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고, 공기 조화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다. 제4 작동 방식(25)에서 냉매 회로(300)는, 선택적으로 배터리(C.1)의 냉각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고, 공기 조화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다.
하기에서 온도 범위 ...℃...
Figure pct00001
15℃에서, 실내의 가열은 도 1을 참고로 설명된다.
HV-히터(C.2)는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에 열을 방출하고, 상기 열은 워터 펌프(C.4)를 지나며, 선택적으로 배터리(C.1)를 지나 HV-히터(C.2)로 되돌아 온다. 가열된 냉매는 흡인 측으로 컬렉터(A.12) 하류의 압축기(A.1)에 제공된다. 압축기(A.1)는 냉매를 압축하여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로 이송한다.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에서 냉각수는 가열되고, 워터 펌프(C.3)에 의해 공기-물-열 교환기(C.5)를 지나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500)에 방출된다.
냉매가 약간 더 낮은 에너지 레벨에서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로부터 배출된 후에, 상기 냉매는 팽창 밸브(A.3) 내로 이송되고, 거기에서 저압으로 팽창된다. 팽창된 냉매는 AC-증발기(A.4)를 지나 제2 팽창 밸브(A.6) 및 제3 팽창 밸브(A.9)로 이송된다.
AC-증발기(A.4)에서 차량 객실을 위한 흡인 공기가 제습되고, 공기-물-열 교환기(C.5)에 의해 다시 가열된다(재가열).
팽창 밸브(A.6)에서 냉매는 주변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팽창되고, 이로써 냉매는 주변에서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열 흡수는 AC-응축기(A.7)에 의해 이루어진다. 냉매가 AC-응축기에 의해 열을 흡수한 후에, 냉매는 스위칭 밸브(B.6)와 컬렉터(A.12)를 지나 압축기(A.1)의 흡인 측에 안내된다.
팽창 밸브(A.9)에서 냉매는 일정 온도로 팽창되고, 상기 온도는 예를 들어,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를 관통하도록 안내되는 배터리(C.1)의 가열된 냉각수의 유입 온도보다 낮아야 한다. 가열된 냉매는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에서 배출된 후에 컬렉터(A.12)를 지나 압축기(A.1)에 다시 공급된다.
하기에서 도 2를 참고로 재가열 기능에 의한 작동이 설명되고, 이 경우 온도 범위는
Figure pct00002
5℃...
Figure pct00003
...℃ 이다.
재가열 기능에 의해 먼저 AC-증발기(A.4)에서 냉각된 공기는 공기-물-열 교환기(C.5)에 의해 다시 가열된다. 압축기(A.1)가 작동되고, 압축된 냉매는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에 이송된다. 상기 열 교환기는 냉각수가 통과하여 흐르게 되고, 이때 상기 열 교환기는 냉매의 열을 냉각수에 방출한다. 워터 펌프(C.3)는 가열된 냉각수를 공기-물-열 교환기(C.5)를 통해 이송한다. 공기-물-열 교환기(C.5)는 냉각수의 열을 실내를 관통하여 흐르는 공기에 방출한다. 냉각된 냉각수는 스위칭 밸브(D.2 또는 D.1)에 의해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 또는 배터리(C.1)에 제공된다. 냉각수의 체적 유동은 워터 펌프(C.3)의 전기 제어장치에 의해 조절된다.
냉매는 스위칭 밸브(B.5)에 의해 AC-응축기(A.7)에 안내되는데, 그 이유는 전기 팽창 밸브(A.3)는 완전히 폐쇄되기 때문이다. 냉매가 AC-응축기(A.7)에서 액화된 후에, 상기 냉매는 팽창 밸브(A.6)에서 팽창된 후에 분배된다.
팽창된 냉매의 일부는 AC-증발기(A.4)를 관통하여 흐르고, 상기 증발기에 의해 상기 냉매의 냉기는 실내를 관통하여 흐르는 공기에 방출된다.
냉매의 나머지 부분은 전기 팽창 밸브(A.9)에서 팽창되고 및/또는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를 향해 스위칭 밸브(B.8)를 관통하여 흐르며, 상기 냉매의 냉기는 배터리(C.1)의 냉각수에 방출된다. 배터리 냉각은 워터 펌프(C.4)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워터 펌프는 체적 유동을 설정하고, 상기 체적 유동은 배터리(C.1)를 통해서 이송될 수 있다.
2개의 냉기 유동은 컬렉터(A.12) 이전에 다시 합해져서 압축기(A.1)의 흡인 측에 안내된다.
도 4는 도 3과 유사한 도면이지만, 도 2에 도시된 공기 조화 시스템의 경우이고, 추가로 제5 작동 방식(27)이 도시된다.
제1 작동 방식(19)에서 열원으로서 내연기관(C.2)은 스위치 온 될 수 있고, 이로써 실내(3)의 가열은, 선택적으로 배터리(C.1)의 가열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고, 이루어진다.
제2 작동 방식(21)에서도 내연기관(C.2)이 스위치 온 되고, 이 경우 실내(3)의 가열이 이루어진다. 또한, 냉매 회로(300)는 히트 펌프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고, 이 경우 내연기관(C.2)에 의해 이미 가열된 냉각수(100)의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에 의한 재가열 및 배터리(C.1)의 냉각 및/또는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작동 방식(23)에서 냉매 회로(300)는 히트 펌프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고, 이 경우 선택적으로 배터리(C.1)가 가열 또는 냉각될 수 있다.
제4 작동 방식(25)에서 냉매 회로(300)는 공기 조화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고, 이 경우 선택적으로 배터리(C.1)가 가열 및 냉각될 수 있다.
제5 작동 방식(27)에서 냉매 회로(300)는 공기 조화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고, 이 경우 실내(3)는 냉각될 수 있다. 이때 선택적으로 배터리(C.1)의 냉각 및/또는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고, 선택적으로 내연기관(C.2)은 스위치 온 될 수 있거나 스위치 온 되지 않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냉각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 도 2와 관련해서 내연기관(C.2)에 의한 객실의 가열이 이루어진다. 이는 압축기(A.1)가 작동하지 않고, 온도 범위
Figure pct00004
-...℃...
Figure pct00005
15℃ 에서 이루어진다.
내연기관(C.2)은 냉각수에 열을 방출하고, 상기 냉각수는 공기-물-열 교환기(C.5)에 안내되고, 거기에서 상기 냉각수는 실내를 관통하여 흐르는 공기(500)에 배출된다.
냉각수-회로(100)는 내연기관(C.2)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된 냉각수는 냉각수-회로 내의 워터 펌프(C.3)에 의해 이송된다. 냉각수는 한 측면으로만 관통하여 흐르는 스위칭 밸브(D.8, D.7)에 의해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 및 공기-물-열 교환기(C.5)를 지나 안내된다. 가열된 냉각수는 공기-물-열 교환기(C.5)에서 그 열을 관통하여 흐르는 공기(500)에 방출하고, 상기 열은 팬에 의해 객실 내로 가압된다. 공기-물-열 교환기(C.5)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는 워터 펌프(C.3)에 의해 스위칭 밸브(D.1), 스위칭 밸브(D.2) 및 차단 밸브(D.9)를 지나 다시 내연기관(C.2)으로 이송된다.
하기에서 도 2와 관련해서 내연기관-모드에서 외부 온도가 낮을 때 배터리(C.1)와 실내의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는 히트 펌프 회로가 온도 범위
Figure pct00006
-...℃...
Figure pct00007
15℃에서 설명된다. 또한, 내연기관은 스위치 오프 되고 전기적으로만 작동될 수 있고, 이 경우 배터리는 냉각되고 또는 가열될 수 있다.
외부 온도가 낮은 경우에, 배터리(C.1)는 가열되어야 하고, 이로써 배터리는 신속하게 작동 온도에 도달하므로 효율적이고 특히 긴 수명 동안 작동할 수 있다. 또한, 공기-물-열 교환기(C.5)에 의해 열은 관통하여 흐르는 공기(500)를 통해 흡수되고, 팬에 의해 객실 내로 가압된다. 이는 공기-물-열 교환기(C.5) 전방에 배치된 온도 플랩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또는 팬의 공기 유동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압축기(A.1)가 작동되고, 압축된 냉매는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에 이송된다. 압축되어 가열된 냉매는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에서 그 열의 일부를 내연기관(C.2)의 냉각수-회로에 방출한다. 열 방출은 작동 방식(19)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추가로 상기 작동 방식에 의해 배터리(C.1)가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다.
냉매가 약간 더 낮은 에너지 레벨에서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로부터 방출된 후에, 상기 냉매는 팽창 밸브(A.3)로 이송되고, 거기에서 저압으로 팽창된다. 팽창된 냉매는 AC-증발기(A.4)를 지나 제2 팽창 밸브(A.6) 및 제3 팽창 밸브(A.9)에 이송된다.
AC-증발기(A.4)에서 실내를 위한 흡인 공기가 제습되고, 공기-물-열 교환기(C.5)에 의해 다시 가열된다(재가열).
팽창 밸브(A.6)에서 냉매는 주변보다 낮은 온도로 팽창되므로, 이로써 냉매는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열 흡수는 AC-응축기(A.7)에 의해 이루어진다. AC-응축기(A.7)에 의해 냉매가 열을 흡수한 후에, 냉매는 차단 밸브(B.6) 및 컬렉터(A.12)를 지나 압축기(A.1)의 흡인 측에 안내된다.
팽창 밸브(A.9)에서 냉매는 일정 온도로 팽창되고, 상기 온도는 예를 들어,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를 통과하여 안내되는 배터리(C.2)의 가열된 냉각수의 온도보다 낮아야 한다. 가열된 냉매는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에서 배출된 후에 컬렉터(A.12)를 지나 압축기(A.1)에 다시 제공된다.
1: 차량 3: 실내
5: 공기 조화기 7: 공기 조화 시스템
9: 주변 공기 유동 11: 플랩
13: 제1 열 15: 제2 열
17: 제3 열 19: 제1 작동 방식
21: 제2 작동 방식 23: 제3 작동 방식
25: 제4 작동 방식 27: 제5 작동 방식
A.1: 압축기 A.2: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
A.3: 제1 전기 팽창 밸브 A.4: 증발기
A.5: 제1 압력-온도 센서 A.6: 제2 전기 팽창 밸븝
A.7: 응축기 A.8: 제2 압력-온도 센서
A.9: 제3 전기 팽창 밸브 A.10: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
A.11: 제3 압력-온도 센서 A.12: 컬렉터
B.1: 제1 2/2-분배 밸브 B.2: 제2 2/2-분배 밸브
B.3: 제3 2/2-분배 밸브 B.4: 체크 밸브
B.5: 제4 2/2-분배 밸브 B.6: 제5 2/2-분배 밸브
B.7: 제6 2/2-분배 밸브 B.8: 제7 2/2-분배 밸브
C.1: 배터리 C.2: 전기 보조 히터/ 내연기관
C.3: 제1 워터 펌프 C.4: 제2 워터 펌프
C.5: 공기-물-열 교환기 C.6: 제3 워터 펌프
C.7: 냉각기
D.1: 제1 3/2-분배 밸브 또는 2/2-분배 밸브
D.2: 제2 3/2-분배 밸브 또는 2/2-분배 밸브
D.3: 제3 3/2-분배 밸브 D.4: 제2 3/2-분배 밸브
D.5: 제3 2/2-분배 밸브 D.6: 제4 2/2-분배 밸브
D.7: 제3 3/2-분배 밸브 D.8: 제4 3/2-분배 밸브
D.9: 제5 3/2-분배 밸브 100: 제1 냉각수 회로
200: 제2 냉각수 회로 300: 냉매 회로
400: 밸브 장치 500: 공기 유동
600: 제3 냉각수 회로 700: 고압 측
800: 저압 측

Claims (14)

  1. 차량의 부품 및 실내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공기 조화 시스템으로서,
    - 제1 냉각수 회로(100)를 구동하기 위한 제1 워터 펌프(C.3),
    - 제2 냉각수 회로(200)를 구동하기 위한 제2 워터 펌프(C.4),
    - 고압 측과 저압 측을 포함하는 냉매 회로(300)를 구동하기 위한 압축기(A.1),
    - 물 측으로 상기 제1 냉각수 회로(100)에 접속되고 공기 측으로 실내의 상류에 접속되는 공기-물-열 교환기(C.5),
    - 냉매 측으로 상기 냉매 회로(300)에 접속되고 물 측으로 공기-물-열 교환기(C.5)의 상류에 접속되는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를 포함하는 것인 공기 조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는 상기 냉매 회로(300)의 고압 측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은 밸브 장치(400)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는 냉매 측으로 상기 냉매 회로(300)로부터 접속 차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물-열 교환기(C.5)를 통해 실내로 유동하는 공기 유동(500)을 제어하기 위한 에어 플랩이 공기 측으로 상기 공기-물-열 교환기(C.5)의 상류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장치(400)에 의해, 차량의 열원이 제1 냉각수 회로(100)에 접속될 수 있고, 상기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의 상류에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장치(400)에 의해, 차량의 열원이 제2 냉각수 회로(200)에 접속될 수 있고,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의 상류에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차량의 열원은, 전기 부품, 전기 트랙션 부품, 파워 전자장치, 배터리, 내연기관 및 전기 보조 히터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은 상기 냉매 측으로 냉매 회로(300)의 저압 측에 접속되고 공기 측으로 상기 공기-물-열 교환기(C.5)의 상류에 접속되는 증발기(A.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은 물 측으로 상기 제2 냉각수 회로(200)에 접속되고 냉매 측으로 상기 냉매 회로(300)의 저압 측에 접속되는 상기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0. 제 3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회로(300)는 주변 공기 유동이 관통하여 흐르게 되는 응축기(A.7)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밸브 장치(4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냉매 회로(300)의 고압 측 또는 저압 측에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1. 제 7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 조화 시스템은 내연기관(C.2)의 별도의 냉각을 위한, 제3 워터 펌프(C.6)에 의해 구동되는 제3 냉각수 회로(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에 의해 전기 트랙션을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 조화 방법으로서,
    - 공기 조화 시스템의 가열 작동 시 제1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2)로부터 공기-물-열 교환기(C.5) 내로 열 유동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경우 열 유동은 밸브 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차량의 하기 부품들, 즉 차량의 열원, 전기 부품, 전기 트랙션 부품, 파워 전자장치, 배터리, 내연기관 및/또는 냉매 회로의 고압 측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생하며,
    - 공기 조화 시스템의 가열 작동 시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로부터 냉매 회로(300)의 흡인 측 압력 레벨로 열 유동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경우 열 유동은 냉매 회로의 그리고 제1 및 제2 냉각수 회로의 밸브들을 제어함에 따라 차량의 하기 부품들, 즉 차량의 열원, 전기 부품, 전기 트랙션 부품, 파워 전자장치, 배터리, 내연기관 및/또는 냉매 회로의 저압 측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생하고,
    - 공기 조화 시스템의 가열 작동 시 응축기(A.7)로부터 냉매 회로(300)의 흡인 측 압력 레벨로 열 유동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경우 열 유동은 냉매 회로와 제1 및 제2 냉각수 회로의 밸브들을 제어함에 따라 그리고 주변 공기 유동(9)에 따라, 차량의 하기 부품들, 즉 차량의 열원, 전기 부품, 전기 트랙션 부품, 파워 전자장치, 배터리, 내연기관 및/또는 냉매 회로의 저압 측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생하고,
    - 부품 냉각 작동 시 제2 냉매-냉각수-열 교환기(A.10)로부터 차량의 하기 부품들, 즉 차량의 열원, 전기 부품, 전기 트랙션 부품, 파워 전자장치, 배터리, 내연기관 및/또는 전기 보조 히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으로 냉기 유동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공기 조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실내 냉각 작동 시 또는 실내-재가열 작동시 증발기(A.4)로부터 차량의 실내로 냉기 유동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공기 조화 방법.
  14. 차량의 부품 및 실내의 온도 조절을 위한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을 포함하고 및/또는 제 12항 및 제 13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설계되고, 형성되고, 구성되고 및/또는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차량.
KR1020147002906A 2011-07-28 2012-07-18 차량의 부품들 및 실내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공기 조화 시스템 KR101558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108729A DE102011108729A1 (de) 2011-07-28 2011-07-28 Klimatisierung zum Temperieren von Komponenten sowie eines Innenraums eines Kraftfahrzeugs
DE102011108729.3 2011-07-28
PCT/EP2012/003026 WO2013013790A1 (de) 2011-07-28 2012-07-18 Klimatisierung zum temperieren von komponenten sowie eines innenraums eines kraftfahrze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223A true KR20140033223A (ko) 2014-03-17
KR101558823B1 KR101558823B1 (ko) 2015-10-19

Family

ID=46785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906A KR101558823B1 (ko) 2011-07-28 2012-07-18 차량의 부품들 및 실내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공기 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158322A1 (ko)
EP (1) EP2736741B1 (ko)
KR (1) KR101558823B1 (ko)
CN (1) CN103702848B (ko)
DE (1) DE102011108729A1 (ko)
WO (1) WO201301379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617A (ko) * 2016-08-01 2019-04-02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자동차용 에어 컨디셔닝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US10787061B2 (en) 2015-12-23 2020-09-29 Hanon Systems Heat pump system with additional heat source for evaporation of refrigera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4338B2 (en) 2014-03-06 2018-03-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EP2923867A1 (en) * 2014-03-28 2015-09-30 Tofas Turk Otomobil Fabrikasi Anonim Sirketi A cabin and battery heating system
DE102014108454B4 (de) * 2014-06-16 2021-07-01 Denso Automotive Deutschland Gmbh Kältemittelkreislauf mit einer Bypassleitung
DE102014217959A1 (de) * 2014-09-09 2016-03-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Klimatisierungseinrichtung zum Klimatisieren eines Innenraums eines elektrisch angetriebenen Fahrzeugs
DE102014217960A1 (de) 2014-09-09 2016-03-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Wärmepumpenanlage zur Klimatisierung eines Fahrzeuges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Wärmepumpenanlage
FR3027849B1 (fr) 2014-10-31 2017-02-17 Valeo Systemes Thermiques Architecture d'une pompe a chaleur
DE102014226346A1 (de) 2014-12-18 2016-06-2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Wärmesystem für ein Elektro- oder Hybridfahrzeug
FR3033035B1 (fr) * 2015-02-19 2019-04-19 Valeo Systemes Thermiques Systeme de refroidissement pour un circuit de climatisation d'un vehicule automobile et utilisation dudit systeme de refroidissement
DE102015206080A1 (de) * 2015-04-02 2016-10-0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Temperi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DE102016218484A1 (de) 2016-09-26 2018-03-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limatisier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DE102017205744A1 (de) 2017-04-04 2018-10-04 Hanon Systems Vorrichtung zur Verteilung des Kühlmittels in einem Klimatisierungssystem eines Kraftfahrzeugs
CN107453008B (zh) * 2017-09-14 2023-08-04 一汽-大众汽车有限公司 一种纯电动车用电池包加热系统及其控制方法
DE102017127697A1 (de) * 2017-11-23 2019-05-2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Temperiereinrichtung eines Innenraumes oder von Komponenten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8214679A1 (de) * 2018-08-29 2020-03-0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Steuern einer Klimatisierungsvorrichtung
DE102018217396A1 (de) * 2018-10-11 2020-04-1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limatisier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KR102533382B1 (ko) * 2019-01-09 2023-05-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관리 시스템
DE102019212503A1 (de) * 2019-08-21 2021-02-25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Kälteanlage für ein Fahrzeug mit einem für einen Kälteanlagen-Betrieb betreibbaren Kältemittelkreislauf
CN111555553A (zh) * 2020-06-03 2020-08-18 湖南联诚轨道装备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永磁牵引电机冷却装置
US11592221B2 (en) 2020-12-22 2023-02-28 Deere & Company Two-phase cooling system
JP2022128546A (ja) 2021-02-23 2022-09-02 株式会社デンソー 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9281B2 (ja) * 1991-10-14 2000-12-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US5971290A (en) * 1997-04-30 1999-10-2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Heat exchange system for electric vehicle
JPH11301254A (ja) * 1998-04-16 1999-11-02 Tgk Co Ltd 自動車用空調装置
FR2806038B1 (fr) * 2000-03-10 2002-09-06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chauffage et/ou climatisation de l'habitacle d'un vehicule a moteur
DE10029934A1 (de) * 2000-06-17 2002-01-03 Behr Gmbh & Co Klimaanlage mit Klimatisierungs- und Wärmepumpenmodus
US6370903B1 (en) * 2001-03-14 2002-04-1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Heat-pump type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system for fuel cell vehicles
JP3659213B2 (ja) * 2001-10-30 2005-06-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冷却装置
EP1467879B1 (de) 2002-01-14 2007-09-26 Behr GmbH & Co. KG Heiz-/kühlkreislauf für eine klimaanlage eines kraftfahrzeugs, klimaanlage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rselben
FR2834778B1 (fr) * 2002-01-16 2004-04-16 Renault Dispositif de gestion therm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e pile a combustible
US6640889B1 (en) * 2002-03-04 2003-11-0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ual loop heat and air conditioning system
JP3966044B2 (ja) 2002-04-02 2007-08-29 株式会社デンソー 空調装置
JP3928470B2 (ja) * 2002-04-26 2007-06-1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4232463B2 (ja) * 2003-01-09 2009-03-04 株式会社デンソー 空調装置
JP4321587B2 (ja) * 2003-04-17 2009-08-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ネルギ回収システム
US6862892B1 (en) * 2003-08-19 2005-03-08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Heat pump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US7287581B2 (en) * 2003-12-18 2007-10-30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ll function vehicle HVAC/PTC thermal system
JP2005263200A (ja) * 2004-02-18 2005-09-29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DE102004035879A1 (de) * 2004-07-23 2006-02-16 Daimlerchrysler Ag Kühlsystem,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Kühlen einer Wärmequelle
JP2006321389A (ja) 2005-05-19 2006-11-30 Denso Corp 車両用廃熱利用装置
DE102005048241A1 (de) 2005-10-07 2007-04-12 Valeo Klimasysteme Gmbh Zweikreisbatteriekühlsystem
JP2007278624A (ja) * 2006-04-07 2007-10-25 Denso Corp ヒートポンプサイクル
JP4940877B2 (ja) * 2006-10-10 2012-05-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調制御システム
JP4984808B2 (ja) * 2006-10-10 2012-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調制御システム
EP1961592B1 (de) * 2007-02-23 2010-06-16 Behr GmbH & Co. KG Klimaanlage für ein Fahrzeug
EP1961593B1 (de) * 2007-02-23 2013-04-17 Behr GmbH & Co. KG Klimaanlage für ein Fahrzeug
FR2913217B1 (fr) * 2007-03-02 2009-09-04 Renault Sas Systeme et procede de gestion d'energie d'un vehicule.
JP5136881B2 (ja) * 2007-07-17 2013-02-06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車両用空調装置
JP2010260449A (ja) * 2009-05-07 2010-11-18 Nippon Soken Inc 車両用空調装置
JP2011073536A (ja) * 2009-09-30 2011-04-14 Hitachi Ltd 移動体熱サイクルシステム
JP5396246B2 (ja) * 2009-11-18 2014-0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用空調装置
JP5422348B2 (ja) * 2009-11-18 2014-0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用空調システム
EP2524829B1 (en) * 2010-01-15 2017-09-13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and driving control method therefor
JP5488237B2 (ja) * 2010-06-16 2014-05-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US9233592B2 (en) * 2010-07-14 2016-01-12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Climate control system for the interior of an electric drive vehicle
DE102011109055A1 (de) 2010-09-04 2012-03-08 Volkswagen Ag Klimaanlage für ein Fahrzeug sowie Verfahren zum Klimatisieren eines Fahrzeugs
CN102452297B (zh) * 2010-10-29 2014-07-09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电动汽车及其热管理系统
US10391835B2 (en) * 2015-05-15 2019-08-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icing a heat pum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7061B2 (en) 2015-12-23 2020-09-29 Hanon Systems Heat pump system with additional heat source for evaporation of refrigerant
KR20190034617A (ko) * 2016-08-01 2019-04-02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자동차용 에어 컨디셔닝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US11345212B2 (en) 2016-08-01 2022-05-3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13790A1 (de) 2013-01-31
CN103702848B (zh) 2017-05-24
US20140158322A1 (en) 2014-06-12
EP2736741A1 (de) 2014-06-04
KR101558823B1 (ko) 2015-10-19
CN103702848A (zh) 2014-04-02
EP2736741B1 (de) 2017-09-06
DE102011108729A1 (de) 201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3223A (ko) 차량의 부품들 및 실내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공기 조화 시스템
US11338643B2 (en) Heat pump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277718B1 (ko) 열 흐름 관리 장치 및 열 흐름 관리 장치의 작동 방법
US10589594B2 (en) Heat distribution in a motor vehicle
US10773586B2 (en) Motor vehicle with a cooling system
CN107848368B (zh) 用于电动车或混合动力车的热系统以及用于运行这种热系统的方法
CN107074062B (zh) 用于电动车或者混合动力车的热系统
CN107020921B (zh) 车舱空调和电池冷却系统
US10322617B2 (en) System for a motor vehicle for heating and/or cooling a battery and a motor vehicle interior
US9707823B2 (en) Cool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EP230177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temperature of an electrically operated vehicle and air-conditioning system
EP2497662B1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US6662864B2 (en) Air-conditioning system with air-conditioning and heat-pump mode
US9233593B2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an automobil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ir-conditioning system of an automobile
CN111716987B (zh) 热系统、电动或混合动力车辆及用于运行热系统的方法
US20160297280A1 (en) Thermal management for an electric or hybrid vehicle and a method for air-conditioning the interior of such a motor vehicle
US10245918B2 (en) Heating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air-conditioning a vehicle
EP2409864B1 (en) Automotive air-conditioning system
US20080028768A1 (en) HVAC system
US11850915B2 (en) Method for the thermal conditioning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or of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vehicle, and vehicle
US20160001635A1 (en) Vehicular air conditioning device, and component unit thereof
CA302907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power trailer refrigeration
US20140007605A1 (en) Heat Pump Circuit for Vehicles
CN115768639A (zh) 电池供电机动车辆的具有间接电池加热的热泵布置和操作热泵布置的方法
CN221090418U (zh) 间接式热泵热管理系统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