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097A - 문자 입력 장치 및 표시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장치 및 표시 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097A
KR20140030097A KR1020137011015A KR20137011015A KR20140030097A KR 20140030097 A KR20140030097 A KR 20140030097A KR 1020137011015 A KR1020137011015 A KR 1020137011015A KR 20137011015 A KR20137011015 A KR 20137011015A KR 20140030097 A KR20140030097 A KR 20140030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area
handwriting
character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1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히로 이와마
데루야스 가와마타
유타카 이케다
히로후미 다마가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30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소정의 문자 입력 에리어 내의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그 수를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게 한다. 문자 입력 장치는, 문자를 입력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가지는 소정 사이즈의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는 특정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특정 조작이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는 변경부와, 변경 후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문자 입력 장치 및 표시 변경 방법{TEXT CHARACTER INPUT DEVICE AND DISPLAY CHANGE METHOD}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을 구비한 문자 입력 장치 및 표시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서는, 문자 입력틀의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용 버튼에 의해,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문자 입력틀의 사이즈를 지정 또는 변경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5-089290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문자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어도, 그 수를 변경할 수는 없다. 또, 문자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해, 표시 화면 내에 버튼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화면 사이즈에 제약이 있는 경우에는, 버튼을 배치할 스페이스가 필요하다. 따라서, 문자 입력 에리어의 변경이 제한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문자 입력 에리어 내의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그 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및 표시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문자를 입력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가지는 소정 사이즈의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는 특정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특정 조작이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는 변경부와, 변경 후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 및 표시 변경 방법에 의하면, 소정의 문자 입력 에리어 내의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그 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100)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1)
도 2는 문자 입력 장치(100)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2)
도 3은 문자 입력 장치(100)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3)
도 4는 문자 입력 장치(100)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4)
도 5는 문자 입력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변경 입력 에리어 사이즈 유지부(115)가 유지하는 입력 에리어의 수와 그 사이즈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문자 입력 장치(100)의 플로우(1)
도 8은 문자 입력 장치(100)의 플로우(2)
도 9는 문자 입력 장치(100)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1)
도 10은 문자 입력 장치(100)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2)
도 11은 문자 입력 장치(100)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3)
도 12는 문자 입력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의 (a), (b)는, 필적 입력의 검출 방법(1)
도 14의 (a), (b)는, 필적 입력의 검출 방법(2)
도 15의 (a) 필적 입력에 대응시킨 변경 후의 입력틀의 수와 크기의 일람, (b) 규정 입력틀 유지부(113)가 유지하는 규정 입력틀
도 16은 규정된 입력틀로의 변경예(1)
도 17은 규정된 입력틀로의 변경예(2)
도 18은 분할 입력틀의 변경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19는 입력틀을 등분할하는 변경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20은 입력틀을 결합하는 변경예(1)
도 21은 입력틀을 결합하는 변경예(2)
도 22는 문자 입력 장치(100)의 동작 플로우
도 23은 닫힌 영역인 입력 에리어와 필적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a)~(c)
제1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는, 문자를 입력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가지는 소정 사이즈의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는 특정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특정 조작이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는 변경부와, 변경 후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2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제1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에리어에 한 번에 표시 가능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와 그 수의 조합을 복수 유지하는 변경 입력 에리어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경부는, 상기 특정 조작이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 상기 변경 입력 에리어 유지부가 유지하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와 그 수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그 수를 변경한다.
제3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제2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특정 조작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에리어 내를 시점으로 하는 핀치 인 조작이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와 사이즈를, 상기 변경 입력 에리어 유지부에 유지된 조합 중,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보다 적은 수의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조합으로 변경한다.
제4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제3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특정 조작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에리어 내를 시점으로 하는 핀치 아웃 조작이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와 사이즈를, 상기 변경 입력 에리어 유지부에 유지된 조합 중,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보다 많은 수의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조합으로 변경한다.
제5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제2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특정 조작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에리어 내를 시점으로 하는 핀치 아웃 조작이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와 사이즈를, 상기 변경 입력 에리어 유지부에 유지된 조합 중,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보다 많은 수의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조합으로 변경한다.
제6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제5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특정 조작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에리어 내를 시점으로 하는 핀치 인 조작이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와 사이즈를, 상기 변경 입력 에리어 유지부에 유지된 조합 중,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보다 적은 수의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조합으로 변경한다.
제7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제1~제6 중 어느 하나의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특정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입력 에리어에, 필적을 표시시키지 않는다.
제8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제1~제7 중 어느 하나의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에리어는 직사각형, 다각형, 타원 또는 원 중 어느 하나이다.
제9 관점의 표시 변경 방법은, 문자를 입력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가지는 소정 사이즈의 문자 입력 에리어와, 상기 입력 에리어에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 에리어를 포함하는 표시부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그 수를 변경하는 입력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입력 조작 중, 핀치 아웃 조작 또는 핀치 조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그 수를 변경하는 변경 단계를 가진다.
제10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제1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는 특정한 필적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변경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입력 에리어를 규정하는 닫힌 영역에 대해, 상기 닫힌 영역에 걸친 필적 입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한다.
제11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제10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닫힌 영역은 다각형, 타원 또는 원 중 어느 하나이다.
제12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제10 또는 제11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닫힌 영역을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4변 중, 하나의 변으로부터 상기 하나의 변과 대향하는 다른 변에 걸친 필적 입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입력 에리어를 2분할하고, 상기 제어부는, 2분할된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한다.
제13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제12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필적 입력을 따라, 상기 표시부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2분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2분할된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한다.
제14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제12 또는 제13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가지는 소정 사이즈의 문자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규정하는 복수의 직사각형의 4변 중, 대향하는 다른 변으로부터 하나의 변에 걸친 필적 입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입력 에리어를 결합하고, 상기 제어부는, 결합된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한다.
제15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제10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가지는 소정 사이즈의 문자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규정하는 복수의 직사각형의 4변 중, 대향하는 하나의 변으로부터 다른 변에 걸친 필적 입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입력 에리어를 결합하고, 상기 제어부는, 결합된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한다.
제16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제15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규정하는 복수의 직사각형의 4변 중, 대향하는 다른 변으로부터 하나의 변에 걸친 필적 입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입력 에리어를 2분할하고, 상기 제어부는, 2분할된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한다.
제17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제16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필적 입력을 따라, 상기 표시부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2분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2분할된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한다.
제18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제10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가지는 소정 사이즈의 문자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닫힌 영역을 규정하는 복수의 직사각형의 4변 중, 인접하는 하나의 변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변에 걸친 필적 입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결합하고, 상기 제어부는, 결합된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한다.
제19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제10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가지는 소정 사이즈의 문자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문자 입력 에리어의 특정 에리어를 규정하는 상기 닫힌 영역에 걸친 필적 입력이 검출되는 회수에 따라, 상기 문자 입력 에리어의 특정 에리어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동등하게 분할하고, 상기 제어부는, 동등하게 분할된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한다.
제20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제10~제19 중 어느 하나의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는 특정한 필적 입력의 개시점 및 종료점은, 상기 닫힌 영역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21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제10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또한, 특정한 필적 입력에 관련지어, 규정된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와 수를 유지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경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입력 에리어를 규정하는 닫힌 영역에 대해, 상기 닫힌 영역에 걸친 필적 입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기정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와 수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변경하고, 상기 제어부는, 변경된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한다.
제22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제10~제21 중 어느 하나의 관점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문자 입력 에리어가 설치된 터치 패널이다.
제23 관점의 표시 변경 방법은, 1문자를 입력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가지는 소정 사이즈의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는 특정한 필적 입력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특정한 필적 입력이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는 변경부와, 변경 후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문자 입력 장치의 표시 변경 방법으로서,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규정하는 닫힌 영역에 걸친 필적 입력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변경부에 의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는 변경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변경된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의 형태)
우선, 제1 실시의 형태에 이르는 배경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특허 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 평5-089290호 공보)의 종래 기술에서는, 문자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어도 그 수를 변경할 수 없는, 문자 입력 에리어의 변경이 제한되는, 등의 과제가 있다.
또, 참고 특허 문헌 1(일본국 특허 제3188039 공보)에는, 문자 기입틀을 포함하는 영역의 사이즈를 변경하면, 소정의 변경 모드에 기초하여, 그 사이즈에 맞추어 문자 기입틀의 사이즈 또는 그 수를 자동적으로 변경하는 문자 입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참고 특허 문헌 1의 기술에서는, 문자 입력틀의 틀사이즈의 변경 모드와, 틀수의 변경 모드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에게 있어서 조작이 번거롭다는, 과제가 있다.
또, 참고 특허 문헌 2(일본국 특허공개 평10-198668호 공보)에는, 화면 상의 「설정」버튼을 압하하면, 「틀수 설정」과 「틀사이즈 설정」의 메뉴를 표시하여, 이들의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틀수 입력/틀사이즈 입력의 화면을 표시하는 문자 입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참고 특허 문헌 2의 기술에서는, 문자 입력틀의 틀사이즈/틀수를 화면 상으로부터 입력할 필요가 있어, 사용자에게 있어서 조작이 번거롭다는, 과제가 있다.
그래서, 제1 실시의 형태에서는, 복잡한 조작 순서를 거치지 않고, 직감적으로, 소정의 문자 입력 에리어 내의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그 수를 변경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및 표시 변경 방법을 예시한다.
제1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는, 입력 에리어 변경 조작에 의해, 한정된 화면 사이즈 중에서 입력 에리어의 수 또는 그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 이 입력 에리어의 수와 그 사이즈의 구체적인 변경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입력 에리어 또는 분할 입력 에리어는, 소정의 사이즈를 가지는 입력 에리어 표시 범위 S에 포함된다. 1개의 입력 에리어 또는 1개의 분할 입력 에리어 내에 문자 입력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입력 에리어 또는 분할 입력 에리어는, 닫혀진 닫힌 영역이며, 직사각형인 것으로 한다. 이 입력 에리어에 문자 입력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입력 에리어의 분할 전후를 구별하기 위해, 분할 후의 입력 에리어를 분할 입력 에리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지만, 분할 입력 에리어도 입력 에리어의 일례이다.
[제1 실시의 형태의 기본 동작]
도 1은, 문자 입력 장치(100)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1)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화면 1-1은, 터치 패널(1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이다. 화면 1-1에서는, 입력 에리어 F1에 수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 에리어 T1에 표시한다. 입력 에리어 F1은 직사각형이며, 서로 대향하는 4개의 변으로 닫힌 영역을 구성한다. 입력 에리어 F1에는 문자 입력된다.
또, 도면 중에 나타내는 2개의 화살표는, 핀치 아웃 조작을 나타낸다. 화살표 끝은 핀치 아웃 조작의 종점 P2이며, 화살표 끝과는 반대의 종단은 핀치 아웃 조작의 시점 P1을 나타낸다.
또, 입력 에리어 표시 범위 S는, 입력 에리어를 표시할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낸다.
또, 후보 문자 입력 에리어 T2에는, 입력 에리어 F1에 입력된 문자의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후보 문자, 단어 등을 표시하는 에리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입력 에리어 F1에서의 핀치 아웃(Pinch out) 조작 A1이 검출되면(화면 1-1), 1개의 입력 에리어 F1이 분할 입력 에리어 D1, D2개로 분할된다(화면 1-2).
또한, 검출되는 핀치 아웃 조작 A1은, 핀치 아웃 조작 A1의 시점 P1이 입력 에리어 F1 내에 있으면 되고, 핀치 아웃 조작 A1의 종점 P2가 입력 에리어 F1 안이어도 입력 에리어 F1의 밖이어도 된다. 또한, 핀치 아웃 조작 A1일 때, 문자 입력 장치(100)는, 문자 인식 처리, 필적 표시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도 2는, 문자 입력 장치(100)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2)이다. 도 2에 나타내는 화면 2-1은, 터치 패널(1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이다. 화면 2-1에서는, 분할 입력 에리어 D1, D2에 수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 에리어 T1에 표시한다. 분할 입력 에리어 D1, D2는 모두 직사각형이며, 서로 대향하는 4개의 변으로 닫힌 영역을 구성한다. 각 분할 입력 에리어 D1, D2에는 문자 입력된다.
또, 도면 중에 나타내는 2개의 화살표는, 핀치 아웃 조작을 나타낸다. 화살표 끝은 터치 패널 조작의 종점 P4이며, 화살표 끝과는 반대의 종단은 핀치 아웃 조작의 시점 P3를 나타낸다.
또, 입력 에리어 표시 범위 S는, 입력 에리어를 표시할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낸다.
또, 후보 문자 입력 에리어 T2에는, 입력 에리어 F1에 입력된 문자의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후보 문자, 단어 등을 표시하는 에리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분할 입력 에리어 D1에서 핀치 아웃 조작 A2가 검출되면(화면 2-1), 2개의 분할 입력 에리어 D1, D2가, 6개의 분할 입력 에리어 D3~D8로 분할된다(화면 2-2). 또한, 핀치 아웃 조작 A2는, 분할 입력 에리어 D2에서 검출되어도, 마찬가지로, 2개의 분할 입력 에리어 D1, D2가, 6개의 분할 입력 에리어 D3~D8로 분할된다.
또한, 분할 후의 입력 에리어의 수도 6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미리 분할 후의 입력 에리어의 수를 정해 두어도 된다. 또한, 본 도면에 있어서, 검출되는 핀치 아웃 조작 A2는, 핀치 아웃 조작 A2의 시점 P3이 어느 하나의 분할 입력 에리어 내에 있으면 되고, 핀치 아웃 조작 A2의 종점 P4가 어느 하나의 분할 입력 에리어 안이어도 그 밖이어도 된다. 또한, 핀치 아웃 조작 A2일 때, 문자 입력 장치(100)는, 문자 인식 처리, 필적 표시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는, 핀치 아웃 조작에 의해, 복잡한 조작 순서를 거치지 않고,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와 수를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는, 입력 에리어를 분리하는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상기시키는 핀치 아웃 조작에 의해, 실제의 입력 에리어를 분할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의 직관적인 이미지에 합치한 터치 패널 조작(핀치 아웃 조작)에 의해, 원하는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와 수로 변경할 수 있다.
도 3은, 문자 입력 장치(100)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3)이다. 도 3에 나타내는 화면 3-1은, 터치 패널(1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이다. 화면 3-1에서는, 분할 입력 에리어 D3~D8에 수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 에리어 T1에 표시한다. 분할 입력 에리어 D3~D8은 모두 직사각형이며, 서로 대향하는 4개의 변으로 닫힌 영역을 구성한다. 각 분할 입력 에리어 D3~D8에는 문자 입력된다.
또, 도면 중에 나타내는 2개의 화살표는, 핀치 인 조작을 나타낸다. 화살표 끝은 핀치 인 조작의 종점 P6이며, 화살표 끝과는 반대의 종단은 핀치 인 조작의 시점 P5를 나타낸다.
또, 입력 에리어 표시 범위 S는, 입력 에리어를 표시할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낸다.
또, 후보 문자 입력 에리어 T2에는, 입력 에리어 F1에 입력된 문자의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후보 문자, 단어 등을 표시하는 에리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입력 에리어 D3~D8 중 어느 하나에서 핀치 인(Pinch in) 조작 A3이 검출되면(화면 3-1), 6개의 분할 입력 에리어 D3~D8은, 2개의 분할 입력 에리어 D1~D2로 감소한다(화면 3-2).
또한, 본 도면에 있어서, 변경 후의 분할 입력 에리어의 수가 2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미리 변경 후의 분할 입력 에리어의 수를 정해 두어도 된다. 또한, 본 도면에 있어서, 검출되는 핀치 인 조작 A3은, 그 시점 P5가 어느 하나의 분할 입력 에리어 내에 있으면 되고, 그 종점 P6이 어느 하나의 분할 입력 에리어 안이어도 분할 입력 에리어 밖이어도 된다. 또한, 핀치 인 조작 A3일 때, 문자 입력 장치(100)는, 문자 인식 처리, 필적 표시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도 4는, 문자 입력 장치(100)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4)이다. 도 4에 나타내는 화면 4-1은, 터치 패널(1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이다. 화면 4-1에서는, 분할 입력 에리어 D1, D2에 수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 에리어 T1에 표시한다. 분할 입력 에리어 D1, D2는 모두 직사각형이며, 서로 대향하는 4개의 변으로 닫힌 영역을 구성한다. 각 분할 입력 에리어 D1, D2에는 문자 입력된다.
또, 도면 중에 나타내는 2개의 화살표는, 핀치 인 조작을 나타낸다. 화살표 끝은 핀치 인 조작의 종점 P8이며, 화살표 끝과는 반대의 종단은 핀치 인 조작의 시점 P7을 나타낸다.
또, 입력 에리어 표시 범위 S는, 입력 에리어를 표시할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낸다.
또, 후보 문자 입력 에리어 T2에는, 입력 에리어 F1에 입력된 문자의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후보 문자, 단어 등을 표시하는 에리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입력 에리어 D1, D2 중 어느 하나에서 핀치 인 조작 A4가 검출되면, 2개의 분할 입력 에리어 D1, D2는, 1개의 입력 에리어 F1로 감소한다.
또한, 변경 후의 분할 입력 에리어의 수가 1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미리 변경 후의 분할 입력 에리어의 수를 정해 두어도 된다. 또한, 본 도면에 있어서, 검출되는 핀치 인 조작 A4는, 그 시점 P7이 어느 하나의 분할 입력 에리어 내에 있으면 되고, 그 종점 P8이 어느 분할 입력 에리어 안이어도 분할 입력 에리어 밖이어도 된다. 또한, 핀치 인 조작 A4일 때, 문자 입력 장치(100)는, 문자 인식 처리, 필적 표시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는, 핀치 인 조작에 의해,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와 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는, 입력 에리어를 결합시키는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상기시키는 핀치 인 조작에 의해, 실제의 입력 에리어의 수를 줄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의 직관적인 이미지에 합치한 터치 패널 조작(핀치 인 조작)에 의해, 원하는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와 수로 변경할 수 있다.
[제1 실시의 형태의 구성]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문자 입력 장치(100)는, 터치 패널(101)과, 입력 에리어 변경 조작 검출부(103)와, 문자 인식부(105)와, 입력 에리어 변경부(107)와, 제어부(109)와, 필적 표시부(111)와, 입력 사이즈 기억부(113)와, 변경 입력 에리어 사이즈 유지부(115)를 구비한다.
제어부(109)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구비한다. 제어부(109)는, 문자 입력 장치(100)의 총괄적인 제어를 행함과 함께, 그 외의 다양한 연산 처리나 제어 처리 등을 행한다. 제어부(109)의 기능은 각종 프로세서(CPU, DSP 등), ASIC(게이트 어레이 등) 등의 하드웨어나,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제어부(109)는, 내장하는 정보 기록 매체에 기억되는 프로그램(데이터)에 기초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다양한 처리를 행한다.
터치 패널(101)은, 터치 패널 상의 필적 입력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입력 에리어 변경 조작 검출부(103), 필적 표시부(111)로 출력한다. 즉, 터치 패널(101)은, 문자 입력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터치 패널(101)은,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탄성 표면파 기술, 및 그 외의 근접 센서 어레이, 또는, 터치 패널(101)과 접촉점을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터치 센서티비티 기술을 이용하여, 터치 패널(101)은 위의 접촉 및 접촉에 의한 임의의 움직임 또는 그 움직임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필적 표시부(111)는, 문자 입력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필적 표시부(111)는, 출력 인터페이스로서, 시각적인 출력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이 시각적인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 비디오, 및 이들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인 출력은, 예를 들면, 유저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응한다. 또한, 필적 표시부(111)는 터치 패널(101)과 일체로 설치되어도 된다.
입력 에리어 변경 조작 검출부(103)는, 터치 패널(101)의 검출 결과(필적)를 입력으로 하여, 이 검출 결과가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와 수를 변경하기 위한 터치 패널 조작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와 수를 변경하기 위한 터치 패널 조작이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핀치 인 조작(도 1, 도 2 참조), 또는 핀치 아웃 조작(도 3, 도 4 참조)이다. 그리고, 입력 에리어 변경 조작 검출부(103)는, 이 판정 결과를 입력 에리어 변경부(107)와 필적 표시부(111)로 출력한다.
입력 에리어 변경부(107)는, 입력 에리어 변경 조작 검출부(103)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101)로부터 입력된 터치 패널 조작에 기초하여,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와 그 사이즈를 변경한다. 또한, 입력 에리어 변경부(107)는, 변경 입력 에리어 사이즈 유지부(115)에 유지되어 있는 변경 입력 에리어의 수 및 그 사이즈, 및 입력 사이즈 기억부(113)에 유지되어 있는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 및 그 사이즈를 참조한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입력 에리어 변경부(107)는, 입력 에리어 표시 범위 S 전체를 이용하여, 입력 에리어의 수를 증감시키는 것으로 하지만, 입력 에리어 표시 범위 S의 일부를 이용하여, 입력 에리어의 수를 증감시켜도 된다.
[입력 에리어 변경 동작]
<핀치 아웃 조작>
입력 에리어 변경부(107)는, 터치 패널(101)로부터 입력된 터치 패널 조작이 핀치 아웃 조작인 경우에는, 현재의 입력 에리어를 분할하고, 입력 에리어 표시 범위 S 전체를 이용하여, 그 수를 늘리도록 입력 에리어의 수와 사이즈를 변경한다. 예를 들면, 현재의 입력 에리어가 입력 에리어 F1인 경우에 핀치 아웃 조작이 검출되면, 입력 에리어 변경부(107)는 입력 에리어 F1을 분할 입력 에리어 D1, D2로 변경한다(도 1 참조). 예를 들면, 현재의 입력 에리어가 분할 입력 에리어 D1, D2인 경우에, 핀치 아웃 조작이 검출되면, 입력 에리어 변경부(107)는, 분할 입력 에리어 D1, D2를 분할 입력 에리어 D3~D8로 변경한다(도 2 참조).
<핀치 인 조작>
또, 입력 에리어 변경부(107)는, 터치 패널(101)로부터 입력된 터치 패널 조작이 핀치 인 조작인 경우에는, 현재의 입력 에리어를 결합시켜, 입력 에리어 표시 범위 S 전체를 이용하여, 그 수를 줄이도록 입력 에리어의 수와 사이즈를 변경한다. 예를 들면, 현재의 입력 에리어가 입력 에리어가 분할 입력 에리어 D3~D8인 경우에, 핀치 인 조작이 검출되면, 입력 에리어 변경부(107)는, 분할 입력 에리어 D3~D8를 분할 입력 에리어 D1, D2로 변경한다(도 3 참조). 예를 들면, 현재의 입력 에리어가 분할 입력 에리어 D1, D2인 경우에, 핀치 인 조작이 검출되면, 입력 에리어 변경부(107)는, 분할 입력 에리어 D1, D2를 입력 에리어 F1로 변경한다(도 4 참조).
변경 입력 에리어 사이즈 유지부(115)는, 핀치 인 또는 핀치 아웃 조작에 의해 변경되는 입력 에리어의 수와 그 사이즈를 유지한다. 도 6에 변경 입력 에리어 사이즈 유지부(115)가 유지하는 입력 에리어의 수와 그 사이즈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에리어 F1에 대해서, 그 사이즈는, 높이 H1, 폭 W1로 규정되며, 그 수는 1개이다. 즉, 입력 에리어 F1은, 입력 에리어 표시 범위 S에 1개 표시할 수 있다(도 1, 도 4 참조). 분할 입력 에리어 D1, D2에 대해서, 그 사이즈는, 높이 H2, 폭 W2로 규정되며, 그 수는 2개이다. 즉, 분할 입력 에리어 D1, D2는, 입력 에리어 표시 범위 S에 2개 표시할 수 있다(도 2, 도 3 참조). 분할 입력 에리어 D3~D8에 대해서, 그 사이즈는, 높이 H3, 폭 W3으로 규정되며, 그 수는 6개이다. 즉, 분할 입력 에리어 D3~D8은, 입력 에리어 표시 범위 S에 6개 표시할 수 있다(도 2, 도 3 참조).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변경 입력 에리어 사이즈 유지부(115)에 유지되어 있는 입력 에리어의 수와 그 사이즈는, 도 6에 나타내는 3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리 입력 에리어의 수와 그 사이즈는, 초기 설정 등에서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입력 문자의 종류에 따라, 폭보다 높이의 값이 큰 세로로 긴 입력 에리어, 높이보다 폭의 값이 큰 가로로 긴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를 유지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입력 에리어 표시 범위 S 전체를 사용하여, 입력 에리어를 표시하고 있지만, 그 일부를 사용하여, 입력 에리어를 표시해도 된다.
입력 사이즈 기억부(113)는, 현재의 터치 패널(101) 상의 입력 에리어의 수와 사이즈를 유지한다. 입력 사이즈 기억부(113)는, 입력 에리어 변경부(107)로부터 변경 후의 입력 에리어의 수와 그 사이즈가 입력되면, 현재 유지하는 터치 패널 상의 입력 에리어의 수와 그 사이즈를 변경 후의 입력 에리어의 수와 그 사이즈로 덮어쓰기한다. 그 때문에, 입력 사이즈 기억부(113)에는, 항상 터치 패널(101) 상에 표시되어 있는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와 그 사이즈가 유지되어 있다.
필적 표시부(111)는, 입력 에리어 변경 조작 검출부(103)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101)로부터 입력된 필적을 입력 에리어에 표시한다. 즉, 입력 에리어 변경 조작 검출부(103)가,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와 수를 변경하기 위한 터치 패널 조작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필적 표시부(111)는, 터치 패널(101)로부터 입력된 필적을 입력 에리어에 표시한다. 또한, 입력 에리어 변경 조작 검출부(103)가,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와 수를 변경하기 위한 터치 패널 조작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필적 표시부(111)는, 터치 패널(101)로부터 입력된 필적을 입력 에리어에 표시하지 않는다.
문자 인식부(105)는, 문자 인식 엔진을 구비하고, 필적 표시부(111)에 의해 표시된 터치 패널(101) 상의 입력 에리어의 필적 입력에 기초하여, 문자를 인식한다. 또한, 제어부(109)에 의해, 문자 인식부(105)의 문자 인식의 결과에 기초하여, 후보 문자 입력 에리어 T2에 후보 문자, 단어 등이 표시된다.
[제1 실시의 형태의 동작 플로우]
도 7에 제1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100)의 플로우(1)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플로우(1)는, 통상의 문자 인식 처리를 나타낸다.
단계 S701에서는, 터치 패널(101)의 입력 에리어에 수기 문자가 입력된다. 단계 S703에서는, 터치 패널(101)의 입력 에리어에 필적이 표시된다. 단계 S705에서는, 문자 인식부(105)가 입력 에리어의 필적 입력으로부터 문자를 인식한다.
도 8에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100)의 플로우(2)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플로우(2)는, 입력 에리어의 변경 처리를 나타낸다.
단계 S801에서는, 입력 에리어 변경 조작 검출부(103)가 입력 에리어 상의 입력 에리어 변경 조작을 검출한다. 단계 S803에서는, 입력 에리어 변경 조작이 검출되면 필적 표시부(111)는 필적을 입력 에리어에 표시시키지 않는다. 단계 S805에서는, 입력 에리어 변경부(107)가 핀치 조작에 기초하여, 입력 에리어의 수와 사이즈를 변경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는, 핀치 아웃 조작 또는 핀치 인 조작에 의해,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와 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는, 입력 에리어를 분리하는 이미지를 상기시키는 핀치 아웃 조작에 의해, 실제의 입력 에리어를 분할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의 직관적인 이미지에 합치한 터치 패널 조작(핀치 아웃 조작)에 의해, 원하는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와 수로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는, 입력 에리어를 결합시키는 이미지를 상기시키는 핀치 인 조작에 의해, 실제의 입력 에리어를 결합시켜 그 수를 줄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의 직관적인 이미지에 합치한 터치 패널 조작(핀치 인 조작)에 의해, 원하는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와 수로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는,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와 수를 변경하는 조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를 터치 패널(101) 상에 표시하지 않아도, 핀치 아웃 조작 또는 핀치 인 조작에 의해 입력 에리어를 변경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100)에서는, 터치 패널(101)의 한정된 화면 사이즈에서도,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를 최대한으로 확보하여,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그 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핀치 인 조작 또는 핀치 아웃 조작의 회수에 따라, 입력 에리어 표시 범위 S의 전부 또는 그 일부를 이용하여, 현재의 입력 에리어를 사이즈가 동등한 입력 에리어로 분할 또는 결합시켜도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1회의 핀치 인 조작 또는 핀치 아웃 조작에 의해, 현재의 입력 에리어를 변경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리 소정의 회수의 핀치 조작 또는 핀치 아웃 조작에 의해, 현재의 입력 에리어를 변경해도 된다.
또한, 입력 에리어 표시 범위 S의 전체 범위 중, 일부를 이용하여, 핀치 인 조작 또는 핀치 아웃 조작의 회수에 따라, 현재의 입력 에리어를 사이즈가 동등한 입력 에리어로 분할 또는 결합시켜도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핀치 인 조작 또는 핀치 아웃 조작은, 복수의 입력 에리어에 걸쳐도 되고, 하나의 입력 에리어에서 완결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핀치 인 조작 또는 핀치 아웃 조작의 시점이 입력 에리어 내이면, 이들 조작의 종점이 입력 에리어 안이어도, 입력 에리어의 밖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핀치 인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를 줄이고, 핀치 아웃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를 늘리도록, 입력 에리어를 변경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대로, 핀치 인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를 늘리고, 핀치 아웃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를 줄이도록, 입력 에리어를 변경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입력 에리어의 형상이 직사각형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입력 에리어는, 다각형, 원, 타원이어도 된다. 입력 에리어의 형상이 직사각형 이외여도, 핀치 조작의 시점이 입력 에리어 내이면, 핀치 조작의 종점은 입력 에리어의 내측 또는 외측 중 어느 하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변경 입력 에리어 사이즈 유지부(115)에서 유지되는 입력 에리어의 수와 그 사이즈는, 도 6에 나타내는 3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에게 미리 입력 에리어의 수와 사이즈를 자유롭게 설정하게 할 수 있다. 그 때, 입력 에리어 표시 범위 S를 최대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입력 에리어의 수와 사이즈를 설정하면, 한정된 화면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에리어 표시 범위 S의 일부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하도록, 입력 에리어의 수와 사이즈를 설정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입력 에리어의 수와 그 사이즈를 변경할 때에, 변경 전의 입력 에리어와 변경 후의 입력 에리어를 슬라이드 인·슬라이드 아웃이나 페이드 인·페이드 아웃 등 다양한 애니메이션에 의해 변경하고, 전환 조작에 대한 유저 피드백을 시각적으로 표시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 및 표시 변경 방법에 의하면, 복잡한 조작 순서를 거치지 않고 또한 직감적으로, 소정의 문자 입력 에리어 내의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그 수를 변경할 수 있다.
(제2 실시의 형태)
다음에, 제2 실시의 형태에 이르는 배경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 특허 문헌 3(일본국 특허공개 소62-015684호 공보)에는, 문자 입력 영역에 걸친 스트로크, 또는 문자 입력 영역으로부터 튀어나오는 스트로크를 검지하여, 이 검지한 스트로크를 커멘드 입력으로 간주하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참고 특허 문헌 3의 기술에서는, 문자 입력 에리어의 내부뿐만이 아니라 외부로의 스트로크 입력을 커멘드로서 이용함으로써 임의의 처리를 실행 가능하지만, 사용자는 다양한 커멘드에 대응하는 많은 스트로크를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그래서, 제2 실시의 형태에서는, 다양한 커멘드에 대응하는 조작 등, 복잡한 조작 순서를 거치지 않고, 소정의 문자 입력 에리어 내의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그 수를 변경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및 표시 변경 방법을 예시한다.
제2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200)에서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간이한 필적 입력에 의해, 한정된 화면 사이즈 중에서 입력틀의 수 또는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 이 입력틀의 수와 크기의 구체적인 변경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입력틀 또는 분할틀은, 소정의 사이즈를 가지는 문자 입력 에리어에 포함된다. 1개의 입력틀 또는 1개의 분할틀 내에 1문자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입력 에리어란, 입력틀 또는 분할틀로 닫혀진 닫힌 영역을 가리키며, 이 입력 에리어에 문자 입력된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터치 패널(201) 상에 입력하는 스트로크를 필적 입력이라고 부른다.
[제2 실시의 형태의 기본 동작]
도 9는, 문자 입력 장치(200)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1)이다. 도 9에 나타내는 화면 5-1은, 터치 패널(2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이다. 화면 5-1에서는, 입력틀 F21에 수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틀 T21에 표시한다. 입력틀 F21은 직사각형이며, 서로 대향하는 상변 S21, 하변 S22, 좌변 S23, 우변 S24로 구성된다. 입력틀 F21에는 1문자 입력된다. 또, 화살표 A21은, 필적 입력을 나타낸다. 화살표 A21의 방향이 필적 입력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 화살표 A21의 화살표 끝이 필적 입력의 종료점, 화살표 끝과는 반대측의 종단이 필적 입력의 개시점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입력틀 F21의 4변 중 서로 대향하는 2변(상변 S21, 하변 S22)에 걸친 필적 입력을 행한다. 필적 입력의 방향은, 상변 S21로부터 상변 S21과 대향하는 하변 S22로 향하는 방향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 필적 입력의 방향은 화면 5-1의 상하 방향(또는 종방향)이다. 문자 입력을 위한 필적 입력과 구별하기 위해, 입력틀 F21을 분할하는 필적 입력은, 입력틀 F21의 외측으로부터 개시되어, 입력틀 F21의 외측에서 종료된다. 화면 5-1에서는, 필적 입력을 나타내는 화살표 A21은, 상변 S21보다 입력틀 F21의 외측으로부터 개시되어, 하변 S22보다 입력틀 F21의 외측에서 종료된다.
터치 패널(2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은, 화면 5-1에서 입력틀 F21을 분할하는 필적 입력이 검출되면, 화면 5-2로 천이한다. 화면 5-2에서는, 입력틀 F21이 상하 방향(또는 종방향)으로 분할된 분할 입력틀 D21, D22가 표시된다. 이 입력틀 F21이 분할되는 분할 방향은, 화면 5-1에서의 필적 입력의 방향, 즉 화면 5-1의 상하 방향(또는 종방향)과 일치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200)에서는, 입력틀 F21의 4변 중 서로 대향하는 2변(상변 S21, 하변 S22)에 걸친 필적 입력의 방향을 따라, 한정된 화면 사이즈 중에서 입력틀 F21을 종방향으로 2분할할 수 있다.
또한, 변경 전후의 입력틀을 구별하기 위해, 분할 후의 입력틀을 분할 입력틀이라고 부르지만, 분할 입력틀도 입력틀의 하나이다.
도 10은, 문자 입력 장치(200)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2)이다. 화면 6-1은, 터치 패널(2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이다. 화면 6-1에서는, 입력틀 F21에 수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틀 T21에 표시한다. 입력틀 F21은 직사각형이며, 서로 대향하는 상변 S21, 하변 S22, 좌변 S23, 우변 S24로 구성된다. 입력틀 F21에는 1문자 입력된다. 또, 화살표 A22는, 필적 입력을 나타낸다. 화살표 A22의 방향이 필적 입력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 화살표 A22의 화살표 끝이 필적 입력의 종료점, 화살표 끝과는 반대측의 종단이 필적 입력의 개시점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입력틀 F21의 4변 중 서로 대향하는 2변(좌변 S23, 우변 S24)에 걸친 필적 입력을 행한다. 필적 입력의 방향은, 좌변 S23으로부터 좌변 S23과 대향하는 우변 S24로 향하는 방향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 필적 입력의 방향은 화면 6-1의 좌우 방향(또는 횡방향)이다. 또한, 문자 입력을 위한 필적 입력과 구별하기 위해, 입력틀 F21을 변경(이 화면에서는 분할)하는 필적 입력은, 입력틀 F21의 외측으로부터 개시되어, 입력틀 F21의 외측에서 종료되는 필적 입력이다. 화면 6-1에서는, 필적 입력을 나타내는 화살표 A22는, 좌변 S23보다 입력틀 F21의 외측으로부터 개시되어, 우변 S24보다 입력틀 F21의 외측에서 종료된다.
터치 패널(2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은, 화면 6-1에서 입력틀 F21을 분할하는 필적 입력이 검출되면, 화면 6-2로 천이한다. 화면 6-2에서는, 입력틀 F21이 좌우 방향(또는 횡방향)으로 분할된 분할 입력틀 D23, D24가 표시된다. 이 입력틀 F21이 분할되는 분할 방향은, 화면 6-1에서의 필적 입력의 방향과 일치한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200)에서는, 입력틀 F21의 4변 중 서로 대향하는 2변(좌변 S23, 우변 S24)에 걸친 필적 입력의 방향에 따라, 한정된 화면 사이즈 중에서, 입력틀 F21을 변경(횡방향으로 2분할)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200)에서는, 필적 입력의 방향에 따라 입력틀을 분할할 방향을 다르게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분할틀로 변경하는 필적 입력을 상기하기 쉽고, 복잡한 터치 패널 조작의 순서를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200)에서는, 입력틀을 분할하는 조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를 터치 패널(201) 상에 표시하지 않아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필적 입력에 의해 입력틀을 분할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200)에서는, 터치 패널(201)이 한정된 화면 사이즈에서도, 입력틀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확보하여, 입력틀을 분할할 수 있다.
도 11은, 문자 입력 장치(200)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3)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화면 7-1은, 터치 패널(2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이다. 화면 7-1에서는, 분할 입력틀 D21, D22에 수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틀 T21에 표시한다. 분할 입력틀 D21은 직사각형이며, 서로 대향하는 상변 S25, 하변 S26, 좌변 S27, 우변 S28로 구성된다. 분할 입력틀 D22는 직사각형이며, 서로 대향하는 상변 S29, 하변 S30, 좌변 S31, 우변 S32로 구성된다. 각 분할 입력틀 D21, D22에는 1문자 입력된다. 또, 화살표 A29는, 필적 입력을 나타낸다. 화살표 A29의 방향이 필적 입력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 화살표 A29의 화살표 끝이 필적 입력의 종료점, 화살표 끝과는 반대측의 종단이 필적 입력의 개시점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분할 입력틀 D21 또는 D22의 4변 중, 대향하는 2변(분할 입력틀 D21의 하변 S26, 분할 입력틀 D22의 상변 29)에 걸친 필적 입력을 행한다. 문자 입력을 위한 필적 입력과 구별하기 위해, 분할 입력틀 D21, D22를 결합하는 필적 입력은, 분할 입력틀 D21 또는 D22의 외측으로부터 개시되어, 분할 입력틀 D21 또는 D22의 외측에서 종료되는 필적 입력이다. 화면 7-1에서는, 필적 입력을 나타내는 화살표 A29는, 분할 입력틀 D21의 하변 S26보다 분할 입력틀 D21의 외측으로부터 개시되어, 분할 입력틀 D22의 상변 S29보다 분할 입력틀 D22의 외측에서 종료된다. 그리고, 터치 패널(2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은, 화면 7-1에서 분할 입력틀 D21, D22를 결합하는 필적 입력이 검출되면, 화면 7-2로 천이한다. 화면 7-2에서는, 분할 입력틀 D21, D22가 결합되어 입력틀 F21이 표시된다.
여기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틀을 분할하는 필적 입력의 방향은, 입력틀 F21의 상변 S21로부터 하변 S22로 향하는 방향이였던 것에 반해, 도 11에서는, 분할 입력틀을 결합하는 필적 입력의 방향은, 분할 입력틀 D21의 하변 S26로부터 분할 입력틀 D22의 상변 S29로 향하는 방향으로 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분할 입력틀을 결합하는 필적 입력의 방향은, 입력틀을 분할하는 필적 입력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이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분할 입력틀을 결합하는 조작을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어, 복잡한 조작을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11에서는, 분할 입력틀을 결합하는 필적 입력의 방향은, 분할 입력틀 D21의 하변 S26로부터 분할 입력틀 D22의 상변 S29로 향하는 방향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에서는, 분할 입력틀 D21, D22 중 어느 하나의 하변으로부터, 분할 입력틀 D21, D22 중 어느 하나의 대향하는 상변으로 향하는 필적 입력이면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200)에서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간이한 필적 입력 조작에 의해, 한정된 화면 사이즈 중에서 입력틀의 수 또는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 입력틀을 2분할하기 위한 필적 입력의 방향과, 입력틀이 2분할될 방향이 일치하므로, 사용자는 입력틀을 2분할하는 조작을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어, 복잡한 조작을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2개의 분할 입력틀을 결합하기 위한 필적 입력의 방향은, 입력틀을 2분할하기 위한 필적 입력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 2개의 분할 입력틀을 결합하기 위한 필적 입력을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어, 복잡한 조작을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
[제2 실시의 형태의 구성]
이하, 문자 입력 장치(200)의 구성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문자 입력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문자 입력 장치(200)는, 터치 패널(201)과, 입력 좌표 취득부(203)와, 입력 좌표 기억부(205)와, 입력틀 사이즈 기억부(207)와,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209)와, 입력틀 변경부(211)와, 규정 입력틀 유지부(213)와, 제어부(215)를 구비한다.
제어부(215)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구비한다. 제어부(215)는, 문자 입력 장치(200)의 총괄적인 제어를 행함과 함께, 그 외의 다양한 연산 처리나 제어 처리 등을 행한다. 제어부(215)의 기능은 각종 프로세서(CPU, DSP 등), ASIC(게이트 어레이 등) 등의 하드웨어나,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제어부(215)는, 내장하는 정보 기록 매체에 기억되는 프로그램(데이터)에 기초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다양한 처리를 행한다.
또, 제어부(215)는, 문자 인식 엔진을 구비하고, 터치 패널(201) 상의 필적 입력으로부터, 문자를 인식하여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터치 패널(201)은, 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문자 입력 장치(200)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와 입력 인터페이스 양쪽을 제공한다.
터치 패널(201)은,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는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접촉을 동시에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입력 좌표 취득부(203)로 출력한다. 여기서, 터치 패널(201)이 검출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접촉이란, 예를 들어, 터치 패널(201)을 조작하는 사용자 하나 또는 복수의 손가락의 접촉이다. 또한, 터치 패널에 직접 접촉하는 것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아니어도, 터치 펜 등의 디바이스이어도 된다.
터치 패널(201)은, 출력 인터페이스로서, 시각적인 출력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이 시각적인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 비디오, 및 이들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인 출력은, 유저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응한다. 또한, 터치 패널(201)에는, 출력 인터페이스로서의 표시틀 T21을 표시하고 있지만, 이 표시틀 T21은 터치 패널(201) 상이 아니고, 다른 표시 디바이스에 표시해도 된다.
또한, 터치 패널(201)은,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탄성 표면파 기술, 및 그 외의 근접 센서 어레이, 또는, 터치 패널(201)과 접촉점을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터치 센서티비티 기술을 이용하여, 터치 패널(201)은 위의 접촉 및 접촉에 의한 임의의 움직임 또는 그 움직임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입력 좌표 취득부(203)는, 터치 패널(201)에서의 검출 결과를 입력으로 하여, 터치 패널(201) 상의 필적 입력을, 터치 패널(201) 상의 절대 좌표로서 취득한다. 그리고, 입력 좌표 취득부(203)는, 터치 패널(201) 상의 필적 입력을, 터치 패널(201) 상의 절대 좌표로서, 입력 좌표 기억부(205)로 출력한다. 또한, 필적 입력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필적 입력과, 입력틀을 변경하기 위한 필적 입력을 포함하지만, 전자는 입력틀 안에서 필적이 개시되고, 후자는 입력틀의 밖으로부터 필적이 개시된다.
입력 좌표 기억부(205)는, 터치 패널(201) 상의 필적 입력에 대응하는 절대 좌표를 유지한다. 또한, 입력 좌표 기억부(205)에 유지되어 있는 절대 좌표 중, 입력틀 내로부터 개시된 필적 입력에 대응하는 절대 좌표는, 제어부(215)가 참조하여, 내장하는 문자 인식 엔진에 의해 문자 인식된다.
입력틀 사이즈 기억부(207)는, 현재의 터치 패널(201) 상의 입력틀의 수와 크기를 유지한다. 입력틀 사이즈 기억부(207)는, 입력틀 변경부(211)로부터 변경 후의 입력틀과 크기가 입력되면, 현재 유지하는 터치 패널 상의 입력틀의 수와 크기를 변경 후의 입력틀과 크기로 덮어쓰기한다.  그 때문에, 입력틀 사이즈 기억부(207)에는, 항상 터치 패널(201) 상에 표시되어 있는 현재의 입력틀의 수와 크기가 유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입력틀은 모두 직사각형인 것으로 하고, 입력틀의 크기는, 입력틀의 종방향(또는 상하 방향)의 길이인 높이 H와 횡방향(또는 좌우 방향)의 길이인 폭 W로 규정되는 것으로 한다. 또, 입력틀 F21(도 9 등 참조)의 영역 내에서, 입력틀의 수에 따라, 그 크기가 변경(분할, 결합 등)되는 것으로 한다.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209)는, 입력 좌표 기억부(205)에 유지된 터치 패널(201) 상의 필적 입력에 대응하는 절대 좌표에 기초하여, 이 필적 입력이, 입력틀을 변경하기 위한 필적 입력인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를 입력틀 변경부(211)로 출력한다.
[입력틀 변경 동작]
(입력틀을 분할하는 필적 입력의 검출)
여기서, 도 13(a), (b)를 참조하여, 입력틀을 변경하는 필적 입력의 일례로서, 입력틀을 2분할하기 위한 필적 입력의 검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3(a), (b)에서는, 입력틀의 일례로서 입력틀 F21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어떠한 입력틀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현재의 입력틀 F21의 크기는, 그 높이 Ha와, 그 폭 Wa로 규정된다.
필적 입력을 나타내는 화살표 A31은, 입력틀의 종방향(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입력틀을 2분할하는 필적 입력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필적 입력을 나타내는 화살표 A32는, 입력틀의 횡방향(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입력틀을 2분할하는 필적 입력을 나타낸다.
파선으로 나타내는 직사각형 Q21은, 화살표 A31로 나타내는 필적 입력의 외접 직사각형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파선으로 나타내는 직사각형 Q22는, 화살표 A32로 나타내는 필적 입력의 외접 직사각형을 나타낸다.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적 입력을 나타내는 화살표 A31은, 입력틀 F21의 종방향(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입력틀 F21을 2분할하는 필적 입력이다. 이 경우, 현재의 입력틀 F21의 폭 Wa는, 외접 직사각형 Q21의 폭 Wb1보다 커지고, 현재의 입력틀 F21의 높이 Ha는, 외접 직사각형 Q21의 높이 Hb1보다 작아진다. 또한, 필적 입력의 방향은, 입력틀 F21의 상변으로부터 하변으로 향하고 있다. 즉, 필적 입력의 방향은, 그 개시점보다 아래쪽으로 향하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 13(a)에 나타내는 필적 입력이 검출되면,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209)는, 입력틀 F21의 종방향(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분할하는 필적 입력이라는 검출 결과를 입력틀 변경부(211)로 출력한다.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적 입력을 나타내는 화살표 A32는, 입력틀 F21의 횡방향(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입력틀 F21을 2분할하는 필적 입력이다. 이 경우, 현재의 입력틀 F21의 폭 Wa는, 외접 직사각형 Q21의 폭 Wb2보다 작아지고, 현재의 입력틀 F21의 높이 Ha는, 외접 직사각형 Q21의 높이 Hb2보다 커진다. 또한, 필적 입력의 방향은, 입력틀 F21의 좌변으로부터 우변으로 향하고 있다. 즉, 필적 입력의 방향은, 그 개시점보다 왼쪽으로 향하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 13(b)에 나타내는 필적 입력이 검출되면,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209)는, 입력틀 F21의 횡방향(또는 좌우 방향)을 따라 분할하는 필적 입력이라는 검출 결과를 입력틀 변경부(211)로 출력한다.
(분할 입력틀을 결합하기 위한 필적 입력의 검출)
여기서, 도 14(a), (b)를 참조하여, 입력틀을 변경하는 필적 입력의 일례로서, 분할 입력틀을 결합하기 위한 필적 입력의 검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4(a), (b)에서는, 입력틀의 일례로서 분할 입력틀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어떠한 입력틀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14(a)에서는, 현재의 2개의 분할 입력틀 D21, D22의 크기는, 그 높이 Hc1과, 그 폭 Wc1로 규정된다. 도 14(b)에서는, 현재의 2개의 분할 입력틀 D23, D24의 크기는, 그 높이 Hc2와, 그 폭 Wc2로 규정된다.
필적 입력을 나타내는 화살표 A33은, 세로로 긴 2개의 분할 입력틀 D21, D22를 결합하는 필적 입력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필적 입력을 나타내는 화살표 A34는, 가로로 긴 2개의 분할 입력틀 D23, D24를 결합하는 필적 입력을 나타낸다.
파선으로 나타내는 직사각형 Q23은, 화살표 A33으로 나타내는 필적 입력의 외접 직사각형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파선으로 나타내는 직사각형 Q24는, 화살표 A34로 나타내는 필적 입력의 외접 직사각형을 나타낸다.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적 입력을 나타내는 화살표 A33은, 세로로 긴 2개의 분할 입력틀 D21, D22를 결합하는 필적 입력이다.
이 경우, 현재의 분할 입력틀 D21, D22의 폭 Wc1은, 외접 직사각형 Q23의 폭 Wb3보다 커지고, 분할 입력틀 D21, D22의 높이 Hc1은, 외접 직사각형 Q23의 높이 Hb3보다 작아진다.
또한, 필적 입력의 방향은, 분할 입력틀 D21 또는 D22의 하변으로부터 상변으로 향하고 있다. 즉, 필적 입력의 방향은, 그 개시점보다 위쪽으로 향하고 있다. 이 필적 입력의 방향은, 도 13(a)를 참조하여 설명한 입력틀 F21을 종방향(또는 상하 방향)으로 2분할하는 필적 입력의 방향과는 반대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 14(a)에 나타내는 필적 입력이 검출되면,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209)는, 세로로 긴 2개의 분할 입력틀 D21, D22를 결합하는 필적 입력이라는 검출 결과를 입력틀 변경부(211)로 출력한다.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적 입력을 나타내는 화살표 A34는, 가로로 긴 2개의 분할 입력틀 D23, D24를 결합하는 필적 입력이다.
이 경우, 현재의 분할 입력틀 D23, D24의 폭 Wc2는, 외접 직사각형 Q24의 폭 Wb4보다 작아지고, 현재의 분할 입력틀 D23, D24의 높이 Hc2는, 외접 직사각형 Q24의 높이 Hb4보다 커진다.
또한, 필적 입력의 방향은, 분할 입력틀 D23 또는 D24의 우변으로부터 좌변으로 향하고 있다. 즉, 필적 입력의 방향은, 그 개시점보다 오른쪽으로 향하고 있다. 이 필적 입력의 방향은, 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한 입력틀 F21을 횡방향(또는 좌우 방향)으로 2분할하는 필적 입력의 방향과는 반대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 14(b)에 나타내는 필적 입력이 검출되면,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209)는, 가로로 긴 2개의 분할 입력틀 D23, D24를 결합하는 필적 입력이라는 검출 결과를 입력틀 변경부(211)로 출력한다.
입력틀 변경부(211)는,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209)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입력틀의 수와 크기를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를 제어부(215)로 출력한다. 입력틀을 변경하기 위한 필적 입력이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틀 변경부(211)는, 터치 패널(201) 상의 현재의 입력틀을, 이 필적 입력에 따른 입력틀로 변경하기 위해, 변경 후의 새로운 입력틀의 수와 크기를 산출한다. 또한, 입력틀을 변경하기 위한 필적 입력이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터치 패널(201) 상의 현재의 입력틀을 변경하지 않기 때문에, 입력틀 변경부(211)는, 새로운 입력틀의 수와 크기를 산출하지 않는다.
그리고, 입력틀 변경부(211)는, 산출한 입력틀의 수와 크기를 입력틀 사이즈 기억부(207)로 출력한다.
제어부(215)는, 입력틀 변경부(211)에서의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201) 상의 입력틀을 변경한다.
도 15(a)는, 필적 입력에 대응시킨 변경 후의 입력틀의 수와 크기의 일람이다.
도 15(a)에, 도 9~도 11에 나타내는 입력틀의 변경예에 대응하는 입력틀의 수와 크기를 나타낸다.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A21로 나타내어지는 필적 입력에 의해 변경된 변경 후의 입력틀은, 분할 입력틀 D21, D22이다. 즉, 변경 후의 입력틀의 수는 2이며, 그 크기는, 그 높이 Hc1과, 그 폭 Wc1로 규정된다. 또, 화살표 A22로 나타내어지는 필적 입력에 의해 변경된 변경 후의 입력틀은, 분할 입력틀 D23, D24이다. 즉, 변경 후의 입력틀의 수는 2이며, 그 크기는, 그 높이 Hc2와 그 폭 Wc2로 규정된다. 또한, 화살표 A29로 나타내어지는 필적 입력에 의해 변경된 변경 후의 입력틀은, 입력틀 F21이다. 즉, 변경 후의 입력틀의 수는 1이며, 그 크기는, 그 높이 Ha와 그 폭 Wa로 규정된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입력틀 F21의 변경예에서는, 현재의 입력틀 F21이, 입력틀을 변경하기 위한 필적 입력(화살표 A21)에 기초하여, 그 높이가 Hc1이며 그 폭이 Wc1인 2개의 분할 입력틀 D21, D22로 변경된다. 마찬가지로, 도 10에 나타내는 입력틀 F21의 변경예에서는, 현재의 입력틀 F21이, 입력틀을 변경하기 위한 필적 입력(화살표 A22)에 기초하여, 그 높이가 Hc2이며 그 폭이 Wc2인 2개의 분할 입력틀 D23, D24로 변경된다.
[입력틀 변경 동작의 다른 예]
<입력틀 변경: 규정 입력틀>
또, 입력틀 변경부(211)는,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209)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의 입력틀을, 규정 입력틀 유지부(213)에 기억된 규정된 입력틀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5(b), 도 16, 도 17을 참조하여, 규정된 입력틀로 변경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b)는, 규정 입력틀 유지부(213)가 유지하는 규정 입력틀의 일람을 나타내고, 도 16, 도 17은, 규정된 입력틀로 변경하는 예(1), (2)이다.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정 입력틀 유지부(213)에는, 대응하는 필적 입력에 대응하여, 규정된 입력틀의 수와 크기가 유지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화면 8-1은, 터치 패널(2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이다. 화면 8-1에서는, 입력틀 F21에 수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틀 T21에 표시한다. 입력틀 F21은 직사각형이며, 서로 대향하는 상변 S21, 하변 S22, 좌변 S23, 우변 S24로 구성된다. 입력틀 F21에는 1문자 입력된다. 또, 화살표 A23은, 필적 입력을 나타낸다. 화살표 A23의 방향이 필적 입력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 화살표 A23의 화살표 끝이 필적 입력의 종료점, 화살표 끝과는 반대측의 종단이 필적 입력의 개시점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입력틀 F21의 4변 중 서로 대향하는 2변에 걸친 필적 입력을 행한다. 필적 입력의 방향은, 좌변 S23으로부터 좌변 S23과 대향하는 우변 S24로 향하는 방향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 필적 입력의 방향은 화면 8-1의 좌우 방향(또는 횡방향)이다. 또한, 문자 입력을 위한 필적 입력과 구별하기 위해, 입력틀 F21을 변경(이 화면에서는 분할)하는 필적 입력은, 입력틀 F21의 외측으로부터 개시되어, 입력틀 F21의 외측에서 종료되는 필적 입력이다. 화면 8-1에서는, 필적 입력을 나타내는 화살표 A23은, 좌변 S23보다 입력틀 F21의 외측으로부터 개시되어, 우변 S24보다 입력틀 F21의 외측에서 종료된다.
터치 패널(2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은, 화면 8-1에서 입력틀 F21을 분할하는 필적 입력이 검출되면, 화면 8-2로 천이한다. 화면 8-2에서는, 입력틀 F21이 상하 방향(또는 종방향)으로 2분할, 좌우 방향(또는 횡방향)으로 2분할된 분할 입력틀 D25~D30가 표시된다. 입력틀 F21과 마찬가지로, 각 분할 입력틀에 1문자씩 입력된다.
도 16에 나타내는 변경예에서는,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틀 F21을 변경하는 필적 입력에 기초하여, 이 입력틀 F21이 분할되는 수와 크기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화면 8-1에 나타내는 입력틀 F21을 변경하는 필적 입력(화살표 A23)이 검출되면, 입력틀 F21은, 크기(높이 Hc3, 폭 Wc3)를 가지는 6개의 분할 입력틀 D25~D30로 변경된다(화면 8-2).
도 17에 나타내는 화면 9-1은, 터치 패널(2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이다. 화면 9-1에서는, 입력틀 F21에 수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틀 T21에 표시한다. 입력틀 F21은 직사각형이며, 서로 대향하는 상변 S21, 하변 S22, 좌변 S23, 우변 S24로 구성된다. 입력틀 F21에는 1문자 입력된다. 또, 화살표 A24는, 필적 입력을 나타낸다. 화살표 A24의 방향이 필적 입력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 화살표 A24의 화살표 끝이 필적 입력의 종료점, 화살표 끝과는 반대측의 종단이 필적 입력의 개시점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입력틀 F21의 4변 중 서로 대향하는 2변에 걸친 필적 입력을 행한다. 필적 입력의 방향은, 상변 S21로부터 상변 S21과 대향하는 하변 S22로 향하는 방향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 필적 입력의 방향은 화면 9-1의 상하 방향(또는 종방향)이다. 또한, 문자 입력을 위한 필적 입력과 구별하기 위해, 입력틀 F21을 변경(이 화면에서는 분할)하는 필적 입력은, 입력틀 F21의 외측으로부터 개시되어, 입력틀 F21의 외측에서 종료되는 필적 입력이다. 화면 9-1에서는, 필적 입력을 나타내는 화살표 A24는, 상변 S21보다 입력틀 F21의 외측으로부터 개시되어, 하변 S22보다 입력틀 F21의 외측에서 종료된다.
터치 패널(2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은, 화면 9-1에서 입력틀 F21을 분할하는 필적 입력이 검출되면, 화면 9-2로 천이한다. 화면 9-2에서는, 입력틀 F21이 상하 방향(또는 종방향)으로 4분할된 분할 입력틀 D31~D34가 표시된다. 입력틀 F21과 마찬가지로, 각 분할 입력틀에 1문자씩 입력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변경예에서는,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틀 F21을 변경하는 필적 입력에 기초하여, 이 입력틀 F21이 분할되는 수와 크기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화면 9-1에 나타내는 입력틀 F21을 변경하는 필적 입력(화살표 A24)이 검출되면, 입력틀 F21은, 크기(높이 Hc4, 폭 Wc4)를 가지는 4개의 분할 입력틀 D31~D34로 변경된다(화면 9-2). 이 분할 입력틀 D31~D34는, 세로로 긴 입력틀이기 때문에, 특히 영숫자의 입력에 적절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200)에서는, 입력틀 F21의 4변 중 서로 대향하는 2변에 걸친 필적 입력에 따라, 한정된 화면 사이즈 중에서, 입력틀 F21을 규정된 입력틀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도 15(b)에 나타내는 규정된 입력틀의 수와 크기는 일례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200)에서는, 미리 사용자가 문자 입력하기 쉬운 입력틀의 수와 크기를 복수 종류 등록해 둠으로써, 사용자 취향의 입력틀의 수와 크기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규정된 조합으로 밖에 변경할 수 없게 함으로써, 입력틀이 사용자가 바라지 않는 수·크기로 변경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15(b)에 나타내는 필적 입력과, 입력틀의 대응 관계는 일례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화살표 A23으로 나타내어지는 필적 입력에 대해, 규정된 입력틀인 분할 입력틀 D31~D34를 대응시켜도 된다. 마찬가지로, 화살표 A24로 나타내어지는 필적 입력에 대해, 규정된 입력틀인 분할 입력틀 D25~D30를 대응시켜도 된다. 또한, 화살표 A23, A24로 나타내어지는 필적 입력에 다른 입력틀의 수와 크기를 대응시켜도 된다.
또한, 입력틀 변경부(211)는,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209)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의 입력틀의 수와 크기를 변경하는지, 혹은 규정 입력틀 유지부(213)에 기억된 규정된 입력틀로 변경하는지는, 문자 입력 화면 상에 규정된 입력틀로 변경하기 위한 아이콘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언제라도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변형예 1: 분할 입력틀의 분할>
상기의 예에서는, 입력틀 F21에 대한 입력틀의 변경 조작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실시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입력틀 F21이 이미 2개로 분할된 분할 입력틀에 대해서도,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동일한 입력틀의 변경 조작이 가능하다.
도 18을 참조하여, 분할 입력틀의 변경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변경 전후의 입력틀을 구별하기 위해, 분할 후의 입력틀을 분할 입력틀이라고 부르지만, 분할 입력틀도 입력틀의 하나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화면 10-1은, 터치 패널(2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이다.
화면 10-1에서는, 분할 입력틀 D21, D22에 수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틀 T21에 표시한다. 분할 입력틀 D21은 직사각형이며, 서로 대향하는 상변 S25, 하변 S26, 좌변 S27, 우변 S28로 구성된다. 분할 입력틀 D22는 직사각형이며, 서로 대향하는 상변 S29, 하변 S30, 좌변 S31, 우변 S32로 구성된다. 각 분할 입력틀 D21, D22에는 1문자 입력된다. 또, 화살표 A25는, 필적 입력을 나타낸다. 화살표 A25의 방향이 필적 입력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 화살표 A21의 화살표 끝이 필적 입력의 종료점, 화살표 끝과는 반대측의 종단이 필적 입력의 개시점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분할 입력틀 D21, D22의 4변 중 서로 대향하는 2변의 세트(좌변 S27, 우변 S28)(좌변 S31, 우변 S32)에 걸친 필적 입력을 행한다. 필적 입력의 방향은, 좌변 S27로부터 좌변 S27와 대향하는 우변 S28로 향하는 방향(또는 좌변 S31로부터 좌변 S31과 대향하는 우변 S32로 향하는 방향)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 필적 입력의 방향은 화면 10-1의 좌우 방향(또는 횡방향)이다. 또한, 문자 입력을 위한 필적 입력과 구별하기 위해, 분할 입력틀 D21, D22를 변경(이 화면에서는 분할)하는 필적 입력은, 분할 입력틀 D21의 외측으로부터 개시되어, 분할 입력틀 D22의 외측에서 종료되는 필적 입력이다. 화면 10-1에서는, 필적 입력을 나타내는 화살표 A25는, 좌변 S23보다 분할 입력틀 D21의 외측으로부터 개시되어, 우변 S32보다 분할 입력틀 D22의 외측에서 종료된다.
터치 패널(2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은, 화면 10-1에서 분할 입력틀 D21, D22를 분할하는 필적 입력이 검출되면, 화면 10-2로 천이한다. 화면 10-2에서는, 분할 입력틀 D21, D22가 좌우 방향(또는 횡방향)으로 분할된 2세트의 분할 입력틀(D35, D36), (D37, D38)이 표시된다. 이 분할 입력틀 D21, D22가 분할되는 분할 방향은, 화면 10-1에서의 필적 입력의 방향과 일치한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200)에서는, 분할 입력틀 D21, D22의 4변 중 서로 대향하는 2변(좌변 S27, 우변 S28), (좌변 S31, 우변 S32)에 걸친 필적 입력의 방향에 따라, 한정된 화면 사이즈 중에서, 분할 입력틀 D21, D22를 횡방향으로 2분할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200)에서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간이한 필적 입력 조작에 의해, 한정된 화면 사이즈 중에서 분할 입력틀의 수와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 분할 입력틀이 분할되는 분할 방향은, 필적 입력의 방향과 일치하므로, 사용자는 분할 입력틀을 분할하는 조작을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어, 복잡한 조작을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입력틀 F21을 규정된 입력틀로 변경한 바와 같이(도 16, 도 17 참조), 도 18의 화면 10-1에 나타내는 각 분할 입력틀 D21, D22를, 도 15(b)에 나타내는 규정된 입력틀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화면 10-1에서 분할 입력틀 D21, D22를 분할하는 필적 입력(A25)이 검출되면, 각 분할 입력틀 D21, D22를 또한 도 15(b)에 나타내는 기정의 입력틀의 수와 크기로 변경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15(b)에 있어서, 필적 입력 A24에 할당된 규정된 입력틀 D31~D34를, 필적 입력 A25에도 할당해 두면 된다.
또한, 도 18의 화면 10-1에 나타내는 2개의 분할 입력틀 D21, D22 중, 어느 한쪽의 분할 입력틀 만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분할 입력틀 D21 만 횡방향으로 분할하는 경우에는, 분할 입력틀 D21의 4변 중 서로 대향하는 2변(좌변 S27, 우변 S28)에 걸친 필적 입력을 행한다. 이 경우에는, 분할 입력틀 D21이 좌우 방향(또는 횡방향)으로 분할된 분할 입력틀(D35, D36)과, 분할 입력틀 D22가 터치 패널(201) 상에 표시된다.
<변형예 2: 기정 영역 내의 입력틀의 등분할>
상기의 예에서는, 입력틀 F21에 대한 입력틀의 변경 조작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실시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터치 패널(201) 상의 필적 입력 가능한 에리어 R21 내의 입력틀 F21을, 입력틀 변경을 위한 필적 입력의 방향과 회수에 따라, 필적 입력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등분할하는 입력틀의 변경 조작도 가능하다.
도 19를 참조하여, 이 입력틀의 변경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9에서는, 필적 입력 가능한 에리어 R21을 터치 패널(201) 상의 필적 입력 가능한 에리어의 전체로서 설명한다. 필적 입력 가능한 에리어 R21은, 입력틀 F21을 둘러싼다.
도 19에 나타내는 화면 11-1은, 터치 패널(2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이다. 화면 11-1에서는, 필적 입력 가능한 에리어 R21로 둘러싸인 입력틀 F21에 수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틀 T21에 표시한다. 필적 입력 가능한 에리어 R21은, 직사각형이며, 서로 대향하는 상변 S33, 하변 S34, 좌변 S35, 우변 S36로 구성된다. 입력틀 F21에는 1문자 입력된다. 또, 화살표 A26은, 필적 입력을 나타낸다. 화살표 A26의 방향이 필적 입력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 화살표 A26의 화살표 끝이 필적 입력의 종료점, 화살표 끝과는 반대측의 종단이 필적 입력의 개시점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필적 입력 가능한 에리어 R21의 4변 중 서로 대향하는 2변(상변 S33, 하변 S34)에 걸친 필적 입력을 행한다. 필적 입력의 방향은, 상변 S33으로부터 상변 S33과 대향하는 하변 S34로 향하는 방향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 필적 입력의 방향은 화면 11-1의 상하 방향(또는 종방향)이다. 문자 입력을 위한 필적 입력과 구별하기 위해, 입력틀 F21을 분할하는 필적 입력은, 필적 입력 가능한 에리어 R21의 외측으로부터 개시되어, 필적 입력 가능한 에리어 R21의 외측에서 종료된다. 화면 11-1에서는, 필적 입력을 나타내는 화살표 A26은, 필적 입력 가능한 에리어 R21의 상변 S33보다 외측으로부터 개시되어, 필적 입력 가능한 에리어 R21의 하변 S34보다 외측에서 종료된다.
터치 패널(2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은, 화면 11-1에서 입력틀 F21을 분할하는 필적 입력이 검출되면, 화면 11-2로 천이한다. 화면 11-2에서는, 필적 입력 가능한 에리어 R21로 둘러싸인 입력틀 F21이 상하 방향(또는 종방향)으로 동등하게 2분할된 분할 입력틀 D39, D40가 표시된다. 이 입력틀 F21이 분할되는 분할 방향은, 화면 11-1에서의 필적 입력의 방향, 즉 화면 11-1의 상하 방향(또는 종방향)과 일치한다.
또한, 터치 패널(2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은, 화면 11-2에서 분할 입력틀 D39, D40를 분할하는 필적 입력, 즉, 필적 입력 가능한 에리어 R21의 4변 중 서로 대향하는 2변(상변 S33, 하변 S34)에 걸친 필적 입력이 검출되면, 화면 11-3로 천이한다. 화면 11-3에서는, 필적 입력 가능한 에리어 R21로 둘러싸인 입력틀 F21이 상하 방향(또는 종방향)으로 동등하게 3분할된 분할 입력틀 D41, D42, D43이 표시된다. 이 입력틀 F21이 분할되는 분할 방향은, 화면 11-1에서의 필적 입력의 방향, 즉 화면 11-2의 상하 방향(또는 종방향)과 일치한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200)에서는, 필적 입력 가능한 에리어 R21의 4변 중 서로 대향하는 2변(상변 S33, 하변 S34)에 걸친 필적 입력의 방향과 그 필적 입력 회수에 따라, 한정된 화면 사이즈 중에서 입력틀 F21을 변경(종방향으로 등분할)할 수 있다.
<변형예 3: 분할 입력틀의 결합 1>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200)에서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간이한 필적 입력 조작에 의해, 한정된 화면 사이즈 중에서 입력틀의 수와 크기를 분할할뿐만 아니라, 분할한 입력틀을 사용자에게 있어서 간이한 필적 입력 조작에 의해,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0에 나타내는 화면 12-1은, 터치 패널(2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이다. 화면 12-1에서는, 분할 입력틀 D21, D22에 수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틀 T21에 표시한다. 분할 입력틀 D21은 직사각형이며, 서로 대향하는 상변 S25, 하변 S26, 좌변 S27, 우변 S28로 구성된다. 분할 입력틀 D22는 직사각형이며, 서로 대향하는 상변 S29, 하변 S30, 좌변 S31, 우변 S32로 구성된다. 각 분할 입력틀 D21, D22에는 1문자 입력된다. 또, 화살표 A28은, 필적 입력을 나타낸다. 화살표 A28의 방향이 필적 입력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 화살표 A28의 화살표 끝이 필적 입력의 종료점, 화살표 끝과는 반대측의 종단이 필적 입력의 개시점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분할 입력틀 D22의 4변 중 서로 인접하는 2변(상변 S29, 우변 32)에 걸친 필적 입력을 행한다. 문자 입력을 위한 필적 입력과 구별하기 위해, 분할 입력틀 D21, D22를 변경(이 화면에서는 결합)하는 필적 입력은, 분할 입력틀 D22의 외측으로부터 개시되어, 분할 입력틀 D22의 외측에서 종료되는 필적 입력이다. 화면 12-1에서는, 필적 입력을 나타내는 화살표 A28은, 분할 입력틀 D22의 상변 S29보다 분할 입력틀 D22의 외측으로부터 개시되어, 분할 입력틀 D22의 우변 S32보다 분할 입력틀 D22의 외측에서 종료된다. 그리고, 터치 패널(2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은, 화면 12-1에서 분할 입력틀 D21, D22를 결합하는 필적 입력이 검출되면, 화면 12-2로 천이한다. 화면 12-2에서는, 분할 입력틀 D21, D22가 결합되고, 입력틀 F21이 표시된다.
여기서, 입력틀을 분할하는 필적 입력으로는, 서로 대향하는 2변에 걸친 필적 입력으로 한 것에 반해(도 9의 화면 5-1 등), 분할 입력틀을 결합하는 필적 입력으로는, 서로 이웃하는 2변에 걸친 필적 입력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분할 입력틀을 결합하는 조작을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어, 복잡한 조작을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20에서는, 분할 입력틀 D22의 인접하는 2변(상변 S29, 우변 S32)에 걸친 필적 입력을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0에서는, 분할 입력틀 D22의 인접하는 2변(상변 S29, 우변 S32)에 걸친 필적 입력 대신에, 분할 입력틀 D21의 인접하는 2변에 걸친 필적 입력이어도 된다.
<변형예 4: 분할 입력틀의 결합 2>
도 21에 나타내는 화면 13-1은, 터치 패널(2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이다. 화면 13-1에서는, 분할 입력틀 D21, D22에 수기 입력된 문자를 표시틀 T21에 표시한다. 분할 입력틀 D21은 직사각형이며, 서로 대향하는 상변 S25, 하변 S26, 좌변 S27, 우변 S28로 구성된다. 분할 입력틀 D22는 직사각형이며, 서로 대향하는 상변 S29, 하변 S30, 좌변 S31, 우변 S32로 구성된다. 각 분할 입력틀 D21, D22에는 1문자 입력된다. 또, 화살표 A30는, 필적 입력을 나타낸다. 화살표 A30의 방향이 필적 입력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 화살표 A30의 화살표 끝이 필적 입력의 종료점, 화살표 끝과는 반대측의 종단이 필적 입력의 개시점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분할 입력틀 D21, D22의 서로 대향하는 2변에 걸친 필적 입력을 행한다. 화면 13-1에서는, 분할 입력틀 D21의 좌변 S27, 우변 S28, 및 분할 입력틀 D22의 좌변 S31, 우변 S32에 걸친 필적 입력을 행한다. 문자 입력을 위한 필적 입력과 구별하기 위해, 분할 입력틀 D21, D22를 변경(이 화면에서는 결합)하는 필적 입력은, 분할 입력틀 D21 또는 D22의 외측으로부터 개시되어, 분할 입력틀 D21 또는 D22의 외측에서 종료되는 필적 입력이다.
화면 13-1에서는, 필적 입력을 나타내는 화살표 A30는, 분할 입력틀 D21의 좌변 S27보다 분할 입력틀 D21의 외측으로부터 개시되어, 분할 입력틀 D21의 우변 S28, 분할 입력틀 D22의 좌변 S31, 우변 S32, 분할 입력틀 D22의 좌변 S31, 분할 입력틀 D21의 우변 S28의 순서로 각 변에 걸쳐, 분할 입력틀 D21의 좌변 S27보다 분할 입력틀 D21의 외측에서 종료된다. 그리고, 터치 패널(201) 상의 문자 입력 화면은, 화면 13-1에서 분할 입력틀 D21, D22를 결합하는 필적 입력이 검출되면, 화면 13-2로 천이한다. 화면 13-2에서는, 분할 입력틀 D21, D22가 결합되어 입력틀 F21이 표시된다.
여기서, 분할 입력틀을 결합하는 필적 입력은, 분할 입력틀 D21, D22의 서로 대향하는 2변에 걸친 필적 입력이다. 사용자는 분할 입력틀을 결합하는 조작을 용이하게 상기할 수 있어, 복잡한 조작을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
[제2 실시의 형태의 동작 플로우]
도 22는, 제2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200)의 동작 플로우이다. 단계 S1401에서는,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209)는, 필적 입력의 외접 직사각형의 크기(폭, 높이)를 산출한다. 그리고, 단계 S1403로 천이한다.
단계 S1403에서는,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209)는, 현재의 입력틀의 크기(폭, 높이)를 취득한다. 그리고, 단계 S1405로 천이한다.
단계 S1405에서는,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209)는, 현재의 입력틀의 크기와, 필적 입력의 외접 직사각형의 크기를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 현재의 입력틀의 폭 Wa가, 필적 입력의 외접 직사각형의 폭 Wb보다 크고, 또한, 현재의 입력틀의 높이 Ha가, 필적 입력의 외접 직사각형의 높이 Hb보다 낮은 경우(YES인 경우),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209)는, 현재의 입력틀을 종방향(또는 상하 방향)으로 변경한다고 판정하여, 단계 S1407로 천이한다. NO인 경우에는, 단계 S1411로 천이한다.
그리고, 단계 S1407에서는,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209)는, 필적 입력의 방향을 판정하기 위해, 필적 입력의 종료점이 개시점보다 아래쪽인지, 혹은 개시점보다 위쪽인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단계 S1409로 천이한다.
단계 S1409에서는,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209)는, 필적 입력의 종료점이 개시점보다 아래쪽인 경우에는, 현재의 입력틀을 종방향(또는 상하 방향)으로 2분할한다고 판정하고, 필적 입력의 종료점이 개시점보다 위쪽인 경우에는, 현재의 입력틀을 결합한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단계 S1417로 천이한다.
단계 S1411에서는,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209)는, 현재의 입력틀의 크기와, 필적 입력의 외접 직사각형의 크기를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 현재의 입력틀의 폭 Wa가, 필적 입력의 외접 직사각형의 폭 Wb보다 작고, 또한, 현재의 입력틀의 높이 Ha가, 필적 입력의 외접 직사각형의 높이 Hb보다 높은 경우(YES인 경우),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209)는, 현재의 입력틀을 횡방향(또는 좌우 방향)으로 변경한다고 판정하여, 단계 S1413로 천이한다. NO인 경우에는, 단계 S1421로 천이한다.
단계 S1413에서는,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209)는, 필적 입력의 방향을 판정하기 위해, 필적 입력의 종료점이 개시점보다 오른쪽인지, 혹은 개시점보다 왼쪽인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단계 S1415로 천이한다.
단계 S1415에서는,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209)는, 필적 입력의 종료점이 개시점보다 오른쪽인 경우에는, 현재의 입력틀을 횡방향(또는 좌우 방향)으로 2분할한다고 판정하고, 필적 입력의 종료점이 개시점보다 왼쪽인 경우에는, 현재의 입력틀을 결합한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단계 S1417로 천이한다.
단계 S1417에서는, 입력틀 변경부(211)는,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209)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변경 후의 새로운 입력틀의 수와 크기를 산출한다.
단계 S1419에서는, 제어부(215)는,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201) 상에 표시되어 있는 입력틀을 변경한다.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421에서는,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209)는, 입력틀을 변경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200)는, 스마트 폰,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기 등,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모든 전자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특히, 입력 에리어가 제한되는 스마트 폰이나 휴대 전화 기기 등의 소형의 전자기기에 적합하다.
[입력 에리어의 변형예]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200)는, 입력 에리어를 직사각형으로서 규정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각형, 타원, 원 등으로 규정되는 닫힌 영역을 입력 에리어로 해도, 이 닫힌 영역에 걸친 필적 입력을 검출함으로써, 본 실시의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3의 (a)~(c)는, 닫힌 영역인 입력 에리어와 필적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또, 화살표 A31, A32, A33, A34는, 필적 입력을 나타낸다. 각 화살표의 방향이 필적 입력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 각 화살표의 화살표 끝이 필적 입력의 종료점, 화살표 끝과는 반대측의 종단이 필적 입력의 개시점을 나타낸다.
입력 에리어가 4개의 변 S37~S40으로 형성된 직사각형이 만드는 닫힌 영역인 경우, 도 2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닫힌 영역에 걸친 필적 A31은, 한쪽의 변 S37의 외측에 있는 점을 시점으로 하고, 이 닫힌 영역 내 중 적어도 1점을 통과하며, 대향하는 다른쪽의 변 S39의 외측을 종점으로서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도 23의 (a)에 나타내는 다른 필적 A34는, 4개의 변 S37~S40으로 형성된 직사각형이 만드는 닫힌 영역의 외측에 있기 때문에, 이 닫힌 영역에 걸친 필적 입력은 아니다.
도 2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에리어가 5개의 변 S41~S45로 형성된 5각형이 만드는 닫힌 영역으로 규정되어도 된다. 이 닫힌 영역에 걸친 필적 A32는, 5각형 중 한 변 S41의 외측에 있는 점을 시점으로 하고, 이 닫힌 영역 내 중 적어도 1점을 통과하며, 변 S43의 외측을 종점으로서 포함하는 것이다.
또, 도 2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에리어가 타원 V가 만드는 닫힌 영역으로 규정되어도 된다. 이 닫힌 영역에 걸친 필적 A33은, 닫힌 영역의 외측에 있는 점을 시점으로 하고, 이 닫힌 영역 내 중 적어도 1점을 통과하며, 닫힌 영역의 외측에 있는 점을 종점으로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 및 표시 변경 방법에 의하면, 복잡한 조작 순서를 거치지 않고, 직감적인 조작에 의해, 소정의 문자 입력 에리어 내의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그 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또,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를 임의로 조합해도 된다.
본 출원은, 2011년 6월 8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일본국 특허 출원 2011-128118), 2011년 6월 13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일본국 특허 출원 2011-131435)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 및 표시 변경 방법은, 소정의 문자 입력 에리어 내의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그 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며,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등으로서 유용하다.
100, 200 문자 입력 장치 101, 201 터치 패널
103 입력 에리어 변경 조작 검출부 105 문자 인식부
107 입력 에리어 변경부 109 제어부
111 필적 표시부 113 입력 사이즈 기억부
115 변경 입력 에리어 사이즈 유지부 200 문자 입력 장치
201 터치 패널 203 입력 좌표 취득부
205 입력 좌표 기억부 207 입력틀 사이즈 기억부
209 입력틀 변경 조작 검출부 211 입력틀 변경부
213 규정 입력틀 유지부 215 제어부

Claims (22)

  1. 문자를 입력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가지는 소정 사이즈의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문자 입력 에리어에 한 번에 표시 가능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와 그 수의 조합을 복수 유지하는 변경 입력 에리어 유지부와,
    상기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에리어 내를 시점으로 하는 특정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특정 조작이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 상기 변경 입력 에리어 유지부가 유지하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와 그 수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는 변경부와,
    변경 후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문자 입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특정 조작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에리어 내를 시점으로 하는 핀치 인 조작이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와 사이즈를, 상기 변경 입력 에리어 유지부에 유지된 조합 중,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보다 적은 수의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조합으로 변경하는, 문자 입력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특정 조작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에리어 내를 시점으로 하는 핀치 아웃 조작이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와 사이즈를, 상기 변경 입력 에리어 유지부에 유지된 조합 중,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보다 많은 수의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조합으로 변경하는, 문자 입력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특정 조작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에리어 내를 시점으로 하는 핀치 아웃 조작이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와 사이즈를, 상기 변경 입력 에리어 유지부에 유지된 조합 중,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보다 많은 수의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조합으로 변경하는, 문자 입력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특정 조작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에리어 내를 시점으로 하는 핀치 인 조작이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와 사이즈를, 상기 변경 입력 에리어 유지부에 유지된 조합 중, 현재의 입력 에리어의 수보다 적은 수의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조합으로 변경하는, 문자 입력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입력 에리어에 필적을 표시시키지 않는, 문자 입력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에리어는 직사각형, 다각형, 타원 또는 원 중 어느 하나인, 문자 입력 장치.
  8. 문자를 입력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가지는 소정 사이즈의 문자 입력 에리어와, 상기 입력 에리어에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 에리어를 포함하는 표시부에 있어서,
    상기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에리어 내를 시점으로 하는 입력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입력 조작 중, 핀치 아웃 조작 또는 핀치 인 조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그 수를 변경하는 변경 단계를 가지는, 표시 변경 방법.
  9. 문자를 입력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가지는 소정 사이즈의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는 특정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특정 조작이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는 변경부와,
    변경 후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문자 입력 장치로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는 특정의 필적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변경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입력 에리어를 규정하는 닫힌 영역에 대해, 상기 닫힌 영역에 걸친 필적 입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는, 문자 입력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닫힌 영역은 다각형, 타원 또는 원 중 어느 하나인, 문자 입력 장치.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닫힌 영역을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4변 중, 하나의 변으로부터 상기 하나의 변과 대향하는 다른 변에 걸친 필적 입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입력 에리어를 2분할하고,
    상기 제어부는, 2분할된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하는, 문자 입력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필적 입력을 따라, 상기 표시부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2분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2분할된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하는, 문자 입력 장치.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가지는 소정 사이즈의 문자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규정하는 복수의 직사각형의 4변 중, 대향하는 다른 변으로부터 하나의 변에 걸친 필적 입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입력 에리어를 결합하고,
    상기 제어부는, 결합된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하는, 문자 입력 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가지는 소정 사이즈의 문자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규정하는 복수의 직사각형의 4변 중, 대향하는 하나의 변으로부터 다른 변에 걸친 필적 입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입력 에리어를 결합하고,
    상기 제어부는, 결합된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하는, 문자 입력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규정하는 복수의 직사각형의 4변 중, 대향하는 다른 변으로부터 하나의 변에 걸친 필적 입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입력 에리어를 2분할하고,
    상기 제어부는, 2분할된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하는, 문자 입력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필적 입력을 따라, 상기 표시부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2분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2분할된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하는, 문자 입력 장치.
  17.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가지는 소정 사이즈의 문자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닫힌 영역을 규정하는 복수의 직사각형의 4변 중, 인접하는 하나의 변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변에 걸친 필적 입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결합하고,
    상기 제어부는, 결합된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하는, 문자 입력 장치.
  18.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가지는 소정 사이즈의 문자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문자 입력 에리어의 특정 에리어를 규정하는 상기 닫힌 영역에 걸친 필적 입력이 검출되는 회수에 따라, 상기 문자 입력 에리어의 특정 에리어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동등하게 분할하고,
    상기 제어부는, 동등하게 분할된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하는, 문자 입력 장치.
  19.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는 특정의 필적 입력의 개시점 및 종료점은, 상기 닫힌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문자 입력 장치.
  20. 청구항 9에 있어서,
    특정의 필적 입력에 관련지어, 규정된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와 수를 유지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변경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입력 에리어를 규정하는 닫힌 영역에 대해, 상기 닫힌 영역에 걸친 필적 입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기정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와 수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변경하고,
    상기 제어부는, 변경된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하는, 문자 입력 장치.
  21.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문자 입력 에리어가 설치된 터치 패널인, 문자 입력 장치.
  22. 1 문자를 입력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가지는 소정 사이즈의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는 특정의 필적 입력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특정의 필적 입력이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는 변경부와, 변경 후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문자 입력 장치의 표시 변경 방법으로서,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규정하는 닫힌 영역에 걸친 필적 입력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변경부에 의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의 사이즈 또는 수를 변경하는 변경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변경된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에리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에리어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가지는, 표시 변경 방법.
KR1020137011015A 2011-06-08 2012-06-06 문자 입력 장치 및 표시 변경 방법 KR201400300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28118 2011-06-08
JPJP-P-2011-128118 2011-06-08
JP2011131435 2011-06-13
JPJP-P-2011-131435 2011-06-13
PCT/JP2012/003718 WO2012169190A1 (ja) 2011-06-08 2012-06-06 文字入力装置及び表示変更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097A true KR20140030097A (ko) 2014-03-11

Family

ID=4729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1015A KR20140030097A (ko) 2011-06-08 2012-06-06 문자 입력 장치 및 표시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12169190A1 (ko)
KR (1) KR20140030097A (ko)
CN (1) CN103189833A (ko)
TW (1) TW201303705A (ko)
WO (1) WO20121691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244B1 (ko) 2013-02-22 2020-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JP2014215081A (ja) * 2013-04-23 2014-11-17 日置電機株式会社 波形表示装置、測定システムおよび波形表示用プログラム
JP6171643B2 (ja) * 2013-07-11 2017-08-02 株式会社デンソー ジェスチャ入力装置
CN104063130A (zh) * 2014-06-27 2014-09-24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输入框调整方法、客户端及电子设备
JP2016066284A (ja) * 2014-09-25 2016-04-28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入力手段、情報入力手段形成方法、表計算装置、表計算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792739A1 (en) * 2019-09-13 2021-03-17 MyScript Systems and methods for macro-mode document edit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290A (ja) * 1991-09-30 1993-04-09 Sharp Corp 手書き文字認識装置
JP4683110B2 (ja) * 2008-10-17 2011-05-1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2169190A1 (ja) 2015-02-23
CN103189833A (zh) 2013-07-03
TW201303705A (zh) 2013-01-16
WO2012169190A1 (ja) 201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1237B1 (en) Portable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rogram for the same, and storage medium for the same
KR20140030097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표시 변경 방법
US90600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user interface execution
US9335896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in which an item i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items on a touchscreen display
US20120023462A1 (en) Skipping through electronic content on an electronic device
US9594432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setting method and program
EP3035186A1 (en) Object operation system, object operation control program and object operation control method
US9623329B2 (en) Operations for selecting and changing a number of selected objects
CN102902480A (zh) 用于触摸屏的控制区域
CN102947780A (zh) 信息显示装置及屏幕按钮的移动操作方法
JP2010231653A (ja)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94967A (ko)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205483A1 (en) Object operation system,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object operation control program, and object operation control method
US10684772B2 (en) Document viewing apparatus and program
US9671948B2 (en) Image-display control system, image-displa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image-display control program
EP2827237B1 (en) Zoom control of screen image in electronic device
KR102135167B1 (ko)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
KR101436585B1 (ko) 원 포인트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318132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180267687A1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CN104765556B (zh) 一种移动智能终端界面区块的方法及装置
JP201318232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593487B2 (en) Drawing support device, drawing support program, and drawing support method
KR102129233B1 (ko)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49259B1 (ko) 모션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