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233B1 -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233B1
KR102129233B1 KR1020130090236A KR20130090236A KR102129233B1 KR 102129233 B1 KR102129233 B1 KR 102129233B1 KR 1020130090236 A KR1020130090236 A KR 1020130090236A KR 20130090236 A KR20130090236 A KR 20130090236A KR 102129233 B1 KR102129233 B1 KR 102129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ser
display unit
user terminal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4691A (ko
Inventor
유형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0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233B1/ko
Publication of KR20150014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에서 문서 작성시 테이블의 생성 및 편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수신부와, 미리 정해진 사용자의 복수의 입력 조작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와,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초기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이 상기 복수의 저장된 입력 조작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대응하는 상기 테이블의 행 또는 열의 추가, 삭제, 병합 및 분할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별도의 입력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휴대용 사용자단말기에서 보다 간단하고 빠르게 테이블을 생성 또는 편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USER'S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기에서 문서 작성시 테이블의 생성 및 편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들이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로 인하여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기본적인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문서 작성 등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들을 접할 수 있다.
특히, 시간과 장소의 구애 없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어떤 현장에서든 메일 수신 및 발신, 문서 작성 등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어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업무처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최근 모바일 단말기의 경우 대부분 터치 기반의 입력 방식을 취하고 있어 문서 작성시 테이블을 생성하여 작업을 해야 경우 테이블 생성 및 편집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사용자단말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단적인 키 입력 패턴을 이용하여 단순한 키 입력만으로 테이블을 생성 또는 편집을 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제스처 입력 패턴을 이용하여 테이블을 생성 또는 편집을 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수신부와; 미리 정해진 사용자의 복수의 입력 조작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와;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초기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이 상기 복수의 저장된 입력 조작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대응하는 상기 테이블의 행 또는 열의 추가, 삭제, 병합 및 분할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특정 키 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초기 화면과 복수의 키항목을 포함하는 자판배열의 GUI를 표시하고, 상기 키 입력은 상기 자판배열 중에서 상기 키항목에 대한 터치인 것으로 한다.
상기 키 입력은 상기 자판배열 중에서 특정 위치에 배치되는 키항목에 대한 터치인 것으로 한다.
상기 키 입력은 상기 자판배열 중에서 상기 키항목의 영역이 큰 키항목에 대한 터치인 것으로 한다.
상기 자판배열은 특수 문자 키항목을 더 포함하고, 상기 키 입력은 상기 특수 문자 키항목에 대한 터치인 것으로 한다.
상기 제스처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드래그인 것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위치에서 상기 드래그의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의 행 또는 열을 추가, 삭제, 병합 및 분할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특정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커서가 표시되는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 입력이 상기 커서의 위치에서 상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행의 삭제 및 병합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하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행의 추가 및 분할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특정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커서가 표시되는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 입력이 상기 커서의 위치에서 좌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열의 삭제 및 병합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우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열의 추가 및 분할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동작인식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스처 입력이 상기 동작인식센서에 대한 움직임의 방향인 것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입력 조작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대응하는 상기 테이블의 행 또는 열의 추가, 삭제, 병합 및 분할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특정 키 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한다.
상기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초기 화면과 복수의 키항목을 포함하는 자판배열의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 입력은 상기 자판배열 중에서 상기 키항목에 대한 터치인 것으로 한다.
상기 키 입력은 상기 자판배열 중에서 특정 위치에 배치되는 키항목에 대한 터치인 것으로 한다.
상기 키 입력은 상기 자판배열 중에서 상기 키항목의 영역이 큰 키항목에 대한 터치인 것으로 한다.
상기 자판배열은 특수 문자 키항목을 더 포함하고, 상기 키 입력은 상기 특수 문자 키항목에 대한 터치인 것으로 한다.
상기 제스처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드래그인 것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위치에서 상기 드래그의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의 행 또는 열을 추가, 삭제, 병합 및 분할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특정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커서가 표시되는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스처 입력이 상기 커서의 위치에서 상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행의 삭제 및 병합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고, 하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행의 추가 및 분할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된다.
상기 특정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커서가 표시되는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스처 입력이 상기 커서의 위치에서 좌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열의 삭제 및 병합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고, 우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열의 추가 및 분할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된다.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동작인식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스처 입력이 상기 동작인식센서에 대한 움직임의 방향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별도의 입력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휴대용 사용자단말기에서 보다 간단하고 빠르게 테이블을 생성 또는 편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입력 기반의 사용자단말기에서 단순한 제스처만으로 간단하고 빠르게 테이블을 생성 또는 편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에서 테이블 생성 및 편집을 위한 제어 흐름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에 있어서 테이블 생성 및 편집이 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0)의 구성을 도시해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0)는 통신부(50), 영상처리부(60), 디스플레이부(40), 입력부(20), 사용자입력부(30), 입력수신부(70), 저장부(90), 제어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0)는 스마트폰, 휴대용 단말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50)는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뿐 아니라, 사용자단말기(10)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이나 방송신호의 튜닝을 위한 튜너(미도시)와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50)는 외부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 이외에도, 영상처리장치의 정보/데이터/신호를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통신부(50)는 외부장치로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만 한정할 수 없으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interface)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50)는 블루투스(Bluetooth), IR(Infrared),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 공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선통신을 위한 공지의 통신포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60)는 통신부(50)에 의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영상처리부(60)는 영상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기 위하여 영상신호에 대하여 디모듈레이션(demodulation), A/D변환(analog-to-digital convert), 디코딩(decoding), 디멀티플렉싱 (de-multiplexing)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6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서 영상이 소정 크기로 표시될 수 있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밝기, 컬러, 콘트라스트 등과 같은 영상의 특성을 조정하거나,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이미지 인핸스먼트(image enhancement)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60)는 통신부(5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및 저장부(90)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 및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소스영상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60)는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처리된 소스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영상처리부(6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4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상기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정보를 제어부(80)에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20)는 사용자단말기(10)에 마련되는 마이크, 카메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입력부(3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정보를 제어부(80)에 전달한다. 상기 사용자입력부(30)는 사용자단말기(10)에 마련된 메뉴 키(menu-key) 또는 입력 패널(input panel) 등으로 구현된다. 상기 사용자입력부(30)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사용자단말기(10)에 연결되어 제어 커맨드 등을 제어부(80)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입력부(3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4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입력메뉴를 터치함으로써 기 설정된 커맨드를 제어부(8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입력수신부(70)는 상기 입력부(20) 및 사용자입력부(30)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정보를 제어부(80)에 전달한다.
상기 저장부(90)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서 사용자단말기(1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및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사용자단말기(1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는, 예컨대, 정보 표시, 영상의 밝기, 볼륨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참조되는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사용자단말기(10)는 상기 저장부(9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O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90)에는 문서 또는 메모장 등에서 테이블 생성 및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92)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저장부(90)에는 테이블 생성 및 편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테이블의 행 또는 열의 추가, 삭제, 병합 및 분할 명령에 대응하는 각각의 명령 키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사용자단말기(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80)는 제어프로그램과,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의 메모리와,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를 로딩하는 램과 같은 휘발성의 메모리와, 로딩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어플리케이션(92)이 실행되면, 상기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초기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수신부(70)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저장부(9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입력 조작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그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의 행 또는 열의 추가, 삭제, 병합 및 분할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0)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입력 키를 가지는 키패드(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문서 또는 메모장에서 테이블 생성 및 편집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디스플레이부(40)의 상측에 상기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화면(42)을 표시하고, 하측에는 문자 또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복수의 키항목을 포함하는 GUI인 사용자입력부(30)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입력부(30)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이 저장부(9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입력 조작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그에 대응하여 테이블의 행 또는 열의 추가, 삭제, 병합 및 분할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된다.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대한 특정 키 입력이거나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키 입력은 상기 사용자입력부(30)의 키항목 중에서 특정 위치에 배치되는 키항목, 상기 키항목의 영역이 큰 키항목 또는 특수 문자 키항목에 대한 터치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0)에서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제어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S10)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1)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테이블의 행 또는 열의 추가, 삭제, 병합 및 분할을 하는 단계(S12)를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S10)는, 문서 또는 메모장 등에서 테이블을 생성 또는 편집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1)는, 상기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하여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를 이용하여 소정의 명령을 입력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테이블의 행 또는 열의 추가, 삭제, 병합 및 분할을 하는 단계(S12)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입력 조작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과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한다. 예컨대, 저장부에 Enter 키가 행 추가하는 입력 조작으로 저장되어 있으면, 테이블 안에 커서가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를 통하여 Enter 키를 입력하면 테이블의 아래쪽에 행이 추가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0)에서 테이블 생성 및 편집을 위한 동작 흐름도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4에는 테이블 생성 또는 열 분할이 되는 일 예를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분자 키를 테이블 생성 또는 열 분할하는 입력 조작으로 설정하였다. 예를 들어, 상기 구분자를 콜론(:)으로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가 테이블 밖에서 텍스트를 입력하고 뒤에 구분자인 콜론(:)을 입력하면(예, 삼국지:) 텍스트를 포함하는 1행 2열의 테이블이 생성되고, 1행 2열의 테이블의 두 번째 열 내에서 텍스트를 입력하고 뒤에 콜론(:)을 입력하면 열이 분할되어 텍스트 뒤에 3열이 생성된다. 결론 적으로, 테이블은 1행 3열로 형성된다. 상기 구분자 키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세미 콜론(;) 등 다양한 키가 설정될 수 있다. 물론 테이블 생성 또는 열 분할하는 입력 조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스처 입력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테이블을 생성 단계는, 테이블 생성 및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S20)와, 사용자에 의하여 구분자 키가 입력되는 단계(S21)와, 커서가 테이블 밖의 텍스트 입력 창에 있는 경우(S22의 NO)에 1행 2열의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S26)와, 구분자 키 앞에 기 작성되어 있던 텍스트는 생성된 테이블 안에 삽입되는 단계(S24)와, 커서가 두 번째 열로 이동하는 단계(S25)를 포함한다.
테이블에서 행을 분할하여 열을 생성 단계는, 테이블 생성 및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S20)와, 사용자에 의하여 구분자 키가 입력되는 단계(S21)와, 커서가 테이블 안에 있는 경우(S22의 YES)에 커서가 있던 셀의 열을 두 개로 분할하는 단계(S23)와, 구분자 키 앞에 기 작성되어 있던 텍스트는 분할된 두 개의 열 중에서 첫 열에 삽입되는 단계(S24)와, 커서가 두 번째 열로 이동하는 단계(S25)를 포함한다.
도 5에는 테이블의 행 추가 또는 분할을 하는 일 예를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Enter 키를 테이블의 행 추가 하는 입력 조작으로 설정하였고, 텍스트 앞에 강조점이 있고 Enter 키를 입력하는 경우 테이블의 행을 분할하는 입력 조작으로 설정하였다. 예를 들어, 상기 강조점을 하이픈(-)으로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가 1행 2열의 테이블의 두 번째 열 안에서 텍스트 앞에 강조점인 하이픈(-)을 입력하고(예, -삼국지) 텍스트 뒤에서 Enter 키를 입력하면 행이 분할되어 텍스트의 아래에 2행이 생성된다. 결론 적으로 테이블의 첫 번째 열은 1행이고, 두 번째 열은 2행으로 마련된다. 상기 강조점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물결표(~) 등 다양한 키가 설정될 수 있다. 물론 테이블의 행 추가 또는 분할을 위한 입력 조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스처 입력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테이블에서 행을 추가하는 단계는, 테이블 생성 및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S30)와, 사용자에 의하여 Enter 키가 입력되는 단계(S31)와, 커서가 테이블 안에 있는 경우(S32의 YES)에 현재 커서가 있는 텍스트 앞에 강조점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S33)와, 상기 강조점이 없는 경우(S33의 NO)에는 현재 행과 같은 열을 가지는 행을 테이블의 아래쪽에 추가하는 단계(S34)와, 커서가 새로 생성된 행으로 이동하는 단계(S35)를 포함한다.
테이블의 셀에서 행을 분할하는 단계는, 테이블 생성 및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S30)와, 사용자에 의하여 Enter 키가 입력되는 단계(S31)와, 커서가 테이블 안에 있는 경우(S32의 YES)에 현재 커서가 있는 텍스트 앞에 강조점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S33)와, 상기 강조점이 있는 경우(S33의 YES)에는 현재 커서가 있는 셀을 두 행으로 분할하는 단계(S36)와, 셀을 분할하기 이전에 기 작성된 텍스트는 분할된 두 행 중에서 첫 번째 행에 삽입되는 단계(S37)와, 커서가 새로 생성된 행으로 이동하는 단계(S35)를 포함한다.
테이블 생성 및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S30)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Enter 키가 입력(S31)될 때 커서가 테이블 밖에 있는 경우(S32의 NO)에는 텍스트 입력 창에서 기존의 명령인 줄 바꾸기 명령이 실행된다.
도 6에는 테이블의 열 병합 또는 행 삭제를 하는 일 예를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Backspace 키를 테이블의 열 병합 또는 행 삭제하는 입력 조작으로 설정하였다. 물론 입력 조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수키, 제스처 입력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테이블에서 열을 병합하는 단계는, 테이블 생성 및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S40)와, 사용자에 의하여 Backspace(←) 키가 입력되는 단계(S41)와, 커서가 테이블 안에 있는 경우(S42의 YES)에 커서 앞에 텍스트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S43)와, 상기 커서 앞에 텍스트가 없으면(S43의 NO) 커서 앞에 셀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S44)와, 상기 커서 앞에 셀이 있는 경우(S44의 YES)에는 커서가 있는 셀과 앞 셀을 병합하는 단계(S45)와, 커서가 병합된 셀의 마지막으로 이동하는 단계(S46)를 포함한다.
테이블에서 행을 삭제하는 단계는, 테이블 생성 및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S40)와, 사용자에 의하여 Backspace(←) 키가 입력되는 단계(S41)와, 커서가 테이블 안에 있는 경우(S42의 YES)에 커서 앞에 텍스트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S43)와, 상기 커서 앞에 텍스트가 없으면(S43의 NO) 커서 앞에 셀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S44)와, 상기 커서 앞에 셀이 없는 경우(S44의 NO)에는 커서가 있는 행을 삭제하는 단계(S47)와, 커서가 이전 행의 마지막 셀로 이동하는 단계(S48)를 포함한다.
테이블 생성 및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S40)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Backspace 키가 입력(S41)될 때 커서가 테이블 밖에 있는 경우(S42의 NO)에는 텍스트 입력 창에서 기존의 명령인 삭제 명령이 실행되어 기 작성된 텍스트가 삭제된다.
테이블 생성 및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S40)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Backspace 키가 입력(S41)될 때, 커서가 테이블 안에 있고(S42의 YES), 커서 앞에 텍스트가 있는 경우(S43의 YES)에는 기존의 명령인 삭제 명령이 실행되어 커서 앞의 텍스트가 삭제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에 있어서 테이블 생성 및 편집이 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이러한 테이블 생성 및 편집 동작은 일 예를 나타낸 것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테이블의 생성 또는 열 분할하는 입력 조작으로 콜론(:) 키, 테이블의 행 추가 또는 분할하는 입력 조작으로 Enter 키, 테이블의 열 병합 또는 행 삭제하는 입력 조작으로 Backspace(←) 키, 셀 안에서 행을 분할하는 입력 조작으로 하이픈(-) 키를 설정하였다. 물론, 입력 조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수키, 제스처 입력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에는 테이블 생성 및 열을 분할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입력 창에 텍스트를 입력하고, 텍스트의 뒤쪽에 콜론 키를 입력하면 1행 2열의 테이블이 생성되고 기 작성된 텍스트는 1열의 셀에 삽입되고, 커서는 2열로 이동한다.
도 8 및 도 9에는 행 추가 및 열을 분할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에서 커서가 2열 또는 3열에 위치한 상태에서 Enter 키를 입력하면 테이블의 아래쪽에 상기 커서가 위치했던 행과 동일한 열을 가지는 행이 추가된다. 커서가 2열 또는 3열에 위치한 상태에서 Backspace 키를 입력하면 커서의 앞에 위치한 열과 하나로 병합된다. 새로 추가된 행에서 텍스트를 입력하고, 텍스트 뒤쪽에 콜론 키를 입력하여 다시 열을 분할 할 수 있다.
도 10에는 셀 안에서 행을 분할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열에 작성된 텍스트 앞에 하이픈 키를 입력한 상태에서 Enter 키를 입력하면 2열이 2행으로 분할된다. 이때, 미리 작성되어 있던 텍스트는 첫 번째 행에 삽입되고, 커서는 새로 생성된 두 번째 행으로 이동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를 도시해 보인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이 제스처 입력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물론 제스처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서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상측에 상기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화면(112)을 표시하고, 하측에는 문자 또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복수의 키항목을 포함하는 자판배열의 GUI(114)를 표시한다. 그리고, 테이블 생성 및 편집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제스처 입력이고, 상기 제스처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특정 위치에서의 드래그이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특정 위치에서 상기 드래그의 방향에 대응하여 테이블의 행 또는 열을 추가, 삭제, 병합 및 분할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특정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상측에 형성되는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화면(112)에서 커서가 표시되는 위치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중심 또는 하측 등 다양한 위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테이블이 1행으로 마련되고 커서가 1행의 안쪽에 위치해 있는 경우, 상기 제스처 입력이 상기 커서의 위치에서 상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행이 삭제되고, 하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행이 추가된다. 또는, 테이블이 2행으로 마련되고 커서가 2행에 위치해 있는 경우, 상기 제스처 입력이 상기 커서의 위치에서 상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2행이 1행으로 병합된다.
예를 들어, 테이블의 행이 3열로 마련되고 커서가 2열에 위치해 있는 경우, 상기 제스처 입력이 상기 커서의 위치에서 좌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2열을 1열에 병합하고, 우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열을 하나 더 추가하여 4열이 된다. 또는, 커서가 2행의 1열에 위치해 있는 경우, 상기 제스처 입력이 상기 커서의 위치에서 좌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행을 삭제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20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210)와,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인식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서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부(210)의 상측에 상기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화면(212)을 표시하고, 하측에는 문자 또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복수의 키항목을 포함하는 자판배열의 GUI(214)를 표시한다. 그리고, 테이블 생성 및 편집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제스처 입력이고, 상기 제스처 입력은 상기 사용자단말기(220)의 상측에 마련된 동작인식센서(220)에 대한 움직임 방향이다. 상기 동작인식센서(22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상기 동작인식센서(220)의 상측에서 손가락의 움직이는 방향에 대응하여 테이블의 행 또는 열을 추가, 삭제, 병합 및 분할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테이블이 1행으로 마련되고 커서가 1행의 안쪽에 위치해 있는 경우, 상기 제스처 입력이 상기 동작인식센서(220)의 상측에서 손가락을 아래에서 위로 움직이는 입력이면 행이 삭제되고, 위에서 아래로 움직이는 입력이면 행이 추가된다. 또는, 테이블이 2행으로 마련되고 커서가 2행에 위치해 있는 경우, 상기 제스처 입력이 상기 동작인식센서(220)의 상측에서 손가락을 아래에서 위로 움직이는 입력이면 2행이 1행으로 병합된다.
예를 들어, 테이블의 행이 3열로 마련되고 커서가 2열에 위치해 있는 경우, 상기 제스처 입력이 상기 동작인식센서(220)의 상측에서 손가락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이는 입력이면 2열을 1열에 병합하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입력이면 열을 하나 더 추가하여 4열이 된다. 또는, 커서가 2행의 1열에 위치해 있는 경우, 상기 제스처 입력이 상기 동작인식센서(220)의 상측에서 손가락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이는 입력이면 행을 삭제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사용자단말기 20 : 입력부
30 : 사용자입력부 40 : 디스플레이부
50 : 통신부 60 : 영상처리부
70 : 입력수신부 80 : 제어부
90 : 저장부

Claims (24)

  1. 사용자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수신부와;
    미리 정해진 사용자의 복수의 입력 조작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와;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초기 화면과 복수의 키항목을 포함하는 자판배열의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이 상기 복수의 저장된 입력 조작 중, 상기 자판배열의 복수의 키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의 키항목에 대한 터치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가 저장된 키 입력에 해당하면 대응하는 상기 테이블의 행 또는 열의 추가, 삭제, 병합 및 분할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특정 제스처 입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은 상기 자판배열 중에서 특정 위치에 배치되는 키항목에 대한 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은 상기 자판배열 중에서 상기 키항목의 영역이 큰 키항목에 대한 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배열은 특수 문자 키항목을 더 포함하고,
    상기 키 입력은 상기 특수 문자 키항목에 대한 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드래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위치에서 상기 드래그의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의 행 또는 열을 추가, 삭제, 병합 및 분할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커서가 표시되는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 입력이 상기 커서의 위치에서 상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행의 삭제 및 병합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하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행의 추가 및 분할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커서가 표시되는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 입력이 상기 커서의 위치에서 좌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열의 삭제 및 병합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우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열의 추가 및 분할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
  12.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동작인식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 제스처 입력이 상기 동작인식센서에 대한 움직임의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
  13.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사용자의 복수의 입력 조작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테이블의 생성 또는 편집을 위한 초기 화면과 복수의 키항목을 포함하는 자판배열의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상기 복수의 저장된 입력 조작 중, 상기 자판배열의 복수의 키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의 키항목에 대한 터치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가 저장된 키 입력에 해당하면 대응하는 상기 테이블의 행 또는 열의 추가, 삭제, 병합 및 분할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특정 제스처 입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6. 삭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은 상기 자판배열 중에서 특정 위치에 배치되는 키항목에 대한 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은 상기 자판배열 중에서 상기 키항목의 영역이 큰 키항목에 대한 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배열은 특수 문자 키항목을 더 포함하고,
    상기 키 입력은 상기 특수 문자 키항목에 대한 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드래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위치에서 상기 드래그의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의 행 또는 열을 추가, 삭제, 병합 및 분할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커서가 표시되는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스처 입력이 상기 커서의 위치에서 상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행의 삭제 및 병합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고, 하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행의 추가 및 분할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커서가 표시되는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스처 입력이 상기 커서의 위치에서 좌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열의 삭제 및 병합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고, 우측 방향의 드래그이면 열의 추가 및 분할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24.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동작인식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 제스처 입력이 상기 동작인식센서에 대한 움직임의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30090236A 2013-07-30 2013-07-30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29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236A KR102129233B1 (ko) 2013-07-30 2013-07-30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236A KR102129233B1 (ko) 2013-07-30 2013-07-30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691A KR20150014691A (ko) 2015-02-09
KR102129233B1 true KR102129233B1 (ko) 2020-07-02

Family

ID=5257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236A KR102129233B1 (ko) 2013-07-30 2013-07-30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2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822B1 (ko) * 2015-09-07 2016-10-18 박해영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문서에 표를 삽입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7425A (ja) * 1999-08-25 2001-03-16 Casio Comput Co Ltd 表データ処理装置、及び記憶媒体
US20120013540A1 (en) * 2010-07-13 2012-01-19 Hogan Edward P A Table editing systems with gesture-based insertion and deletion of columns and row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7425A (ja) * 1999-08-25 2001-03-16 Casio Comput Co Ltd 表データ処理装置、及び記憶媒体
US20120013540A1 (en) * 2010-07-13 2012-01-19 Hogan Edward P A Table editing systems with gesture-based insertion and deletion of columns and row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691A (ko) 201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708B1 (ko)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2462364B1 (ko) 스크롤바를 이용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396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07977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패턴인식을 통한 단축기능의 실행방법
CN105302784B (zh) 复制/剪切和粘贴数据的方法和系统
US2015015444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US2016006263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handwriting
US10579248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by using scroll bar
KR102169521B1 (ko)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24220A (ko) 휴대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CN103813209A (zh) 用于显示用户输入的操作状态的显示装置和控制方法
CN102722334A (zh) 触摸屏幕的控制方法及装置
KR102102663B1 (ko)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및 장치
KR102205283B1 (ko)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90171356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216127B1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N106843728A (zh) 一种操作轨迹处理方法和系统
KR10220467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접속 제어방법
KR102129233B1 (ko)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74044B1 (ko) 펜입력 디스플레이용 필기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방법
KR20160055552A (ko) 메모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102403141B1 (ko) 프리뷰 ui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113096A (ko) 사용자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251072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102057279B1 (ko) 개선된 버추얼 키보드를 포함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