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561A - 타히보 분획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타히보 분획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561A
KR20140029561A KR1020120094153A KR20120094153A KR20140029561A KR 20140029561 A KR20140029561 A KR 20140029561A KR 1020120094153 A KR1020120094153 A KR 1020120094153A KR 20120094153 A KR20120094153 A KR 20120094153A KR 20140029561 A KR20140029561 A KR 20140029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hibo
extract
fraction
ethyl acetat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087B1 (ko
Inventor
김국현
노윤정
Original Assignee
김국현
노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현, 노윤정 filed Critical 김국현
Priority to KR1020120094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087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6Loganiaceae (Logania family), e.g. trumpetflower or pinkroo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히보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타히보 분획물은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분획한 분획물로서, 상기 타히보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타히보 물 추출물이나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 또는 다른 용매로 분획한 분획물보다 족부종 억제 효과 및 관절 통증 제거 효과가 뛰어나 관절염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타히보 분획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fraction of taheebo for preventing or treatment of arthritis}
본 발명은 타히보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관절염이란 관절에 어떤 원인에 의해서든 염증성 변화가 생긴 것을 총괄해서 지칭하는 병명이며, 뼈와 뼈 마디를 연결하여 매끈하게 움직이게 하는 물렁뼈가 소실되는 것을 말한다. 관절염의 종류로는 100가지가 넘으나 가장 흔한 관절염의 유형으로 퇴행성 관절염과 류마티스성 관절염이 있다.
퇴행성 관절염은 젊은 시절 관절을 많이 사용하거나 상처를 입어 이미 시작되었을 수도 있지만 증상은 주로 노인들에게서 보여지는 유형이다. 주로 몸무게가 실리는 무릎, 엉덩이, 척추 관절에서 발생되지만, 그 외에도 외상이나, 골절, 과도한 운동 등으로 인해 모든 관절 부위에 발생될 수 있다. 퇴행성 관절염의 경우 뼈 끝을 감싸고 있는 연골이 닳은 것이며 많은 경우에 퇴행성 관절염이 있는 관절에 골극(극돌기)이라 불리는 뼈가 발달되고 관절의 염증은 통증과 부종을 일으키며 그 관절을 계속 사용하게 되면 통증이 발생되며 휴식을 통해 통증이 약간 감소될 수는 있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은 장기 질환으로 관절을 포함하여 인체 각 부분에 영향을 주는 질병이며 관절 부분이 부으면서 주위 조직까지 침범하며, 특정 화학 물질을 분비하여 관절 표면을 공격하여 파괴시켜 버린다. 주로 손과 발의 관절에서 발생되지만 간혹 엉덩이, 무릎, 팔꿈치 등의 관절에서도 발생되기도 한다. 사용하지 않는 관절임에도 불구하고 부종, 통증, 뻣뻣한 증상이 발생되기도 하며 류마티스성 관절염은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되지만 전체 환자의 70% 이상은 30세 이상이며 많은 관절들에서 동시에 발생될 수도 있다.
관절염의 치료방법으로 약물요법은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등의 약들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통증과 염증을 감소시켜 준다. 만약 환자가 궤양, 천식, 신장 질환, 간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경구용 약물이 안전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이럴 경우에는 관절 부위에 코르티손을 직접 주사하여 증상을 완화시킨다. 그러나 같은 관절 부위에 계속적으로 주사하는 것은 오히려 관절에 손상을 주거나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연골재생, 염증, 통증 효과가 뚜렷하며 치료가 명확한 새로운 관절염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식품과 의약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타히보(taheebo)는 아마존의 일부 지역에서 자생하는 능소화과의 수목 타베뷔아 아베라네다에(Tabebuia avellanedae)의 내부 수피(나무껍질)를 원료로 한 천연 수목차 또는 이 나무 자체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타히보가 민간 요법에서 사용된 역사는 1500년 전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고대 잉카제국의 인디오들은 질병, 상처, 건강유지를 위해 타히보를 차로서 마셨다고 전해지고 있다.
한편, 타히보는 브라질 지역에서 민간요법으로서 진통제 및 염증 치료제로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온 것으로 알려져 있고, 타히보가 아데노신 대사와 관련하여 아데노신 수용체와 결합하여 항염증 효과를 갖는다고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염증반응에서의 타히보의 성분의 역할과 관련하여, 타베뷔아속 식물의 효능에 대한 연구가 수행된 바가 있는데(제36회 일본 류마티스 학회 1992년 5월), 타베뷔아속 식물을 투여한 쥐에서 체중의 증가가 있었고 임상학적으로 류머티스에 대한 유효성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또한, 본 발명자는 이미 한국공개특허 제2008-0092263호에서는 타히보 물 추출물이 염증 치료나 관절염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타히보 추출물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던 중,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상기 타히보 물 추출물보다 관절염 치료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2008-0092263호에서는 타히보 물 추출물이 염증 치료나 관절염 치료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기는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에서는 상기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물 추출물보다 효과적인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다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기에 이는 본 발명과는 기술구성이 전혀 다른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타히보 추출물을 함유하는 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09-0025497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7556호가 있으나, 이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영양식 등에 관한 것으로서 역시 본 발명과는 기술구성이 전혀 다른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8-0092263호 (COX-2 및 iNOS 단백질 발현 저해제, 2008.10.15.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09-0025497호 (타히보 추출물을 함유하며 항염증 및 피부자극완화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2009.03.11.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7556호 (타히보, 샴피니온 및 뽕잎을 주원료로 한 건강식품 조성물, 2011.02.28. 공고)
타베뷔아속 식물의 효능에 대한 연구, 제36회 일본 류마티스 학회, 1992.
본 발명의 목적은 타히보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안쓰라퀴논-2-카르복시산(anthraquinone-2-carboxylic acid, 화합물 1) 및 2-(하이드록시메틸)안쓰라퀴논(2-(hydroxymethyl)anthraquinone, 화합물 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이 포함된 타히보(Tabebuia avellanedae의 내부 수피[나무껍질]) 분획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타히보 분획물은, 타히보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상기 현탁물에 n-헥산을 가하여 추출한 뒤, 상기 추출물의 n-헥산층을 제거하고 남은 잔사(물층)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층의 농축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히보 분획물은 타히보(Tabebuia avellanedae의 내부 수피)에, 상기 타히보 중량의 2~50배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을 2~10시간 동안 가하여 제조한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을, 상기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 중량의 2~50배의 물에 현탁한 후, 상기 현탁물에 상기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 중량의 2~50배의 n-헥산을 2~10시간 동안 가하여 추출한 뒤, 상기 추출물의 n-헥산층을 제거하고 남은 잔사(물층)에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 중량의 2~50배의 에틸아세테이트를 2~10시간 동안 가하여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층의 농축물일 수 있다.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안쓰라퀴논-2-카르복시산(anthraquinone-2-carboxylic acid, 화합물 1) 및 2-(하이드록시메틸)안쓰라퀴논(2-(hydroxymethyl)anthraquinone, 화합물 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안쓰라퀴논-2-카르복시산(anthraquinone-2-carboxylic acid, 화합물 1) 및 2-(하이드록시메틸)안쓰라퀴논(2-(hydroxymethyl)anthraquinone, 화합물 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이 포함된 타히보 분획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히보 분획물은,
타히보에 상기 타히보 중량의 2~50배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을 2~10시간 동안 가한 후, 고형분을 제거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에, 상기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 중량의 2~50배의 물을 가하여 현탁한 후, 상기 현탁물에 상기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 중량의 2~50배의 n-헥산을 2~10시간 동안 가하여 추출한 뒤, 상기 추출물의 n-헥산층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n-헥산층이 제거된 잔사(물층)에, 상기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 중량의 2~50배의 에틸아세테이트를 2~10시간 동안 가하여 추출한 뒤, 상기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에틸아세테이트층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타히보 분획물은 필요에 따라, 유기용매(알코올, 에테르, 아세톤 등)에 의한 추출, 유기용매(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와 물의 분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법, 식물체 성분의 분리 추출에 이용되는 공지의 방법 등을 단독 또는 적합하게 조합하여 더욱 정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법에 따라서 더욱 정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히보 분획물을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이용하여 더욱 정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상기 타히보 분획물로부터 컬럼크로마토그래피, 이온흡착수지 등을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크로마토그래피에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엘에이취-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ion exchange resin chromatography),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중압크로마토그래피(MPLC, 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및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타히보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타히보 분획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0.01~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타히보 분획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타히보 분획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타히보 분획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타히보 분획물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0.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타히보 분획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히보 분획물은 천연물 유래의 조성물이기 때문에,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안쓰라퀴논-2-카르복시산(anthraquinone-2-carboxylic acid, 화합물 1) 및 2-(하이드록시메틸)안쓰라퀴논(2-(hydroxymethyl)anthraquinone, 화합물 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이 포함된 타히보 분획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타히보 분획물은 전체 건강기능식품 중량에 0.01~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건강기능식품으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을 포함한 낙농제품, 스프, 이온음료를 포함한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를 포함한 영양 공급용 제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타히보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타히보 분획물은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분획한 분획물로서, 상기 타히보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타히보 물 추출물이나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 또는 다른 용매로 분획한 분획물보다 족부종 억제 효과 및 관절 통증 제거 효과가 뛰어나 관절염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타히보 분획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 실시예 1. 타히보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제조>
타히보 1.5㎏을 에탄올 10ℓ를 사용하여 4시간 동안 3회에 걸쳐 초음파 추출하고 고형분을 제거한 액상을 감압 농축하여 타히보 에탄올 추출물 70g을 제조하였고, 이 추출물을 물 2ℓ에 현탁한 후 2ℓ의 n-헥산을 가하여 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후, n-헥산층을 분리했다. 이 후, 상기 n-헥산층을 분리하고 남은 물층(잔사)에 에틸아세테이트 2ℓ를 가하여 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층만을 분리하고, 상기 에틸아세테이트층을 감압 농축하여 타히보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g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조건의 온도는 40℃에서 하였다.
< 실시예 2. 타히보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획물을 제조하되, 에탄올 대신 메탄올을 사용하여 타히보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g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타히보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활성 화합물의 분리>
타히보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활성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해서 HPLC를 이용하였다. HPLC를 위한 장비로는 Model 2249 liquid chromatograph(LKB Pharmacia, Bromma, Sweden)를 사용하였고, 이는 LKB 2141 UV-Vis detector, Rheodyne injection valve(20㎕ loop), LKB 2221 integrator 등이 장착되거나 연결되어 있었다.
이 때, 상기 타히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HPLC 분석은 Spherisorb ODS-2 컬럼(250×4mm I.D.; 5μm particle size)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동상은 물-메탄올-MTBE(water - methanol - methyl -tert-butyl ether)를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물은 인산을 사용하여 산 상태로 사용하였고, 결과값은 254nm에서 측정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은 HPLC를 이용하여, 타히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g을 이용하여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안쓰라퀴논-2-카르복실산(anthraquinone-2-carboxylic acid) 15㎎과 2-하이드록시메틸-안쓰라퀴논(2-hydroxymethyl-anthraquinone) 21㎎을 분리하였다.
< 실시예 4. 활성 화합물의 물리화학적 성질 확인>
실시예 4-1. 안쓰라퀴논-2-카르복시산 (화합물 1)
anthraquinone-2-carboxylic acid
1H-NMR (400 MHz, in DMSO-d6) : 7.93(m, H-6,7), 8.18(m, H-5,8), 8.24(m, H-4), 8.34(m, H-3), 8.60(d, H-1)
IR : 2851, 2922, 1727, 1680, 1594, 1268, 1244 ㎝-1
실시예 4-2. 2-(하이드록시메틸)안쓰라퀴논 (화합물 2)
2-(hydroxymethyl)anthraquinone
1H-NMR (400 MHz, in CD2Cl3) : 4.90 (s, CH2), 7.79 (m, H-6,7), 7.81 (m, H-3), 8.28 (m, H-1), 8.30 (m, H-4), 8.31 (m, H-5,8)
IR : νmax (Nujol) 3527 (OH), 1675 (C=O), 1589 (aromatic rings) ㎝-1
< 비교예 1. 타히보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타히보 1.5㎏을 에탄올 10ℓ를 사용하여 4시간 동안 3회에 걸쳐 초음파 추출하고 고형분을 제거한 액상을 감압 농축하여 타히보 에탄올 추출물 64g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타히보 에탄올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의 제조>
타히보 1.5㎏을 에탄올 10ℓ를 사용하여 4시간 동안 3회에 걸쳐 초음파 추출하고 고형분을 제거한 액상을 감압 농축하여 타히보 에탄올 추출물 76g을 제조하였고, 이 추출물을 물 2ℓ에 현탁한 후 2ℓ의 n-헥산을 가하여 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후, n-헥산층을 분리하고, 상기 n-헥산층을 감압 농축하여 타히보 에탄올 추출물의 n-헥산 분획물 10g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타히보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고 남은 물층(잔사)에 부탄올 2ℓ를 가하여 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부탄올층을 분리하고, 상기 부탄올층을 감압 농축하여 타히보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 1g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4. 타히보 물 추출물의 제조>
타히보 1.5㎏을 물 10ℓ를 사용하여 3시간 동안 열중탕으로 90℃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물의 고형분을 제거한 액상을 동결건조하여 타히보 물 추출물 37g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5. 타히보 물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제조>
타히보 1.5㎏을 물 10ℓ를 사용하여 3시간 동안 90℃에서 열중탕으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물의 고형분을 제거한 액상을 동결건조하여 타히보 물 추출물 40g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타히보 물 추출물을 물 2ℓ에 현탁한 후 2ℓ의 n-헥산을 가하여 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n-헥산층을 분리했다. 이 후, 상기 n-헥산층을 분리하고 남은 물층(잔사)에 에틸아세테이트 2ℓ를 가하여 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층만을 분리하고, 상기 에틸아세테이트층을 감압 농축하여 타히보 물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7g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항염증 효능 평가 시험: 카라기난 -유도 뒷발 부종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타히보 분획물에 대한 관절염의 부종억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카라기난-유도 뒷발 부종실험(Carrageenan-induced hind paw edema)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분획물과 비교예 1~5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카라기난 투여 전에 체중 150~170g의 SD계 웅성 렛드에 14일간 하기 표 1의 농도로 경구 투여한 후, 15일째 기염제로 1% 타입 IV 람다 카라기난-생리식염수(lambda carrageenan-saline) 용액 0.1㎖를 랫트의 오른쪽 뒷발의 족저 중심부 피하에 주사하여 부종을 유발하였다(Proc. Soc. Exp. Biol. Med., 1962, 111, 544). 기염제 투여 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에 부종측정기인 플레티스모메터(plethysmometer, Ugo Basile, Italy)로 발의 용적을 측정하여, 기염제 투여 전의 발의 용적과 비교하여 부종증가율을 산출하였다(수학식1 참조). 또한 대조군의 부종 증가율과 시험물질 투여군의 부종증가율을 비교하여 부종억제율을 산출하였다(수학식2 참조). 양성대조군으로는 디클로페낙(diclofenac, 25㎎/㎏체중)과 에스케이 조인스정(200㎎/㎏체중)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2
이 때, 1% 카라기난으로 족부종을 유발시킨 랫트의 족부종 변화 중 가장 부종 억제효과가 큰 4시간 째의 관찰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의 발부피 증가율을 100% 대비하여 억제율로 표시하였다.
조성물 투여농도
(㎎/kg체중)
부종 억제율(%)
대조군 - -
실시예 1 20 52.5
실시예 2 20 62.8
화합물 1 10 52.3
화합물 2 10 43.6
비교예 1 20 14.1
비교예 2 20 10.3
비교예 3 20 16.2

비교예 4
(*)
2 4.3
20 6.2
200 16.2
비교예 5 20 19.1
디클로페낙 25 40.0
조인스 200 30.2
각 수치는 시험군당 N=10 랫트에 대한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낸 것임
* : 한국공개특허 제2008-0092263호의 타히보 물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음
상기 표 1의 결과를 확인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분획물과 화합물 1인 안쓰라퀴논-2-카르복시산(anthraquinone-2-carboxylic acid), 화합물 2인 2-(하이드록시메틸)안쓰라퀴논(2-(hydroxymethyl)anthraquinone)이 비교예 1~5의 추출물이나 분획물보다 관절염 치료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디클로페낙이나 조인스정보다 그 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 제2008-0092263호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타히보 물 추출물(비교예 4)에 비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실시예 1 및 2의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동일 농도인 20㎎/kg체중으로 투여된 군에서 현저한 효과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관절염 치료 테스트>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분획물 및 비교예 1~5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대한 관절염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2012년 1월부터 2012년 3월까지 3개월 동안, 25~50세 사이의 성인 남녀 환자 30명씩을 한 그룹으로 하여, 실시예 1 및 2의 분획물 및 비교예 1~5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각 그룹 당 1일 2회 3㎎씩을 공복에 복용하게 하였다. 투여 후 증상의 개선정도는 병원 진단을 통해 통증완화 및 관절의 운동성 증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조건 개선정도(%)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요통, 디스크 일반적인 관절통
(무릎, 손목, 허리, 어깨부위)
실시예 1 62.2 57.3 51.3 55.2
실시예 2 54.3 51.3 64.9 65.4
비교예 1 12.6 17.2 11.2 15.2
비교예 2 22.3 27.2 18.2 19.3
비교예 3 22.5 11.2 17.3 15.4
비교예 4 10.9 10.2 11.0 12.3
비교예 5 16.2 16.2 15.1 29.0
상기 표 2의 결과를 확인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타히보 분획물은 비교예 1~5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비해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요통, 디스크, 일반적인 관절통에서 치료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실시예 1 및 2의 분획물은 모두 50% 이상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 실험예 3. 급성 독성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타히보 분획물에 대한 급성 독성 실험을 확인하기 위해 동물실험을 실시하였다. 6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디클로페낙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타히보 분획물 및 본 발명의 화합물 1에 대한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군의 구성은 군당 암수 각각 5마리씩의 동물에 대하여 디클로페낙,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타히보 분획물과 본 발명의 화합물 1을 각각 1g/㎏, 2g/㎏ 및 5g/㎏으로 하여 1회씩 경구투여하였다. 이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 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디클로페낙을 투여한 모든 동물은 투여 10~20분 경과 후 경련과 발작을 일으키며 사망하였으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타히보 분획물과 본 발명의 화합물 1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는 특이할만한 임상증상이 나타나거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특별한 독성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발명의 타히보 분획물 또는 화합물 1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랫트에서 5g/㎏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는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Claims (9)

  1. 타히보(Tabebuia avellanedae의 내부 수피)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상기 현탁물에 n-헥산을 가하여 추출한 뒤, 상기 추출물의 n-헥산층을 제거하고 남은 잔사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층의 농축물로서, 하기 화학식 1의 안쓰라퀴논-2-카르복시산(anthraquinone-2-carboxylic acid, 화합물 1) 및 2-(하이드록시메틸)안쓰라퀴논(2-(hydroxymethyl)anthraquinone, 화합물 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이 포함된 타히보 분획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히보 분획물은, 타히보(Tabebuia avellanedae의 내부 수피)에, 상기 타히보 중량의 2~50배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을 2~10시간 동안 가하여 제조한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을, 상기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 중량의 2~50배의 물에 현탁한 후, 상기 현탁물에 상기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 중량의 2~50배의 n-헥산을 2~10시간 동안 가하여 추출한 뒤, 상기 추출물의 n-헥산층을 제거하고 남은 잔사에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 중량의 2~50배의 에틸아세테이트를 2~10시간 동안 가하여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층의 농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히보 분획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해 0.01~100 중량%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하기 화학식 1의 안쓰라퀴논-2-카르복시산(anthraquinone-2-carboxylic acid, 화합물 1) 및 2-(하이드록시메틸)안쓰라퀴논(2-(hydroxymethyl)anthraquinone, 화합물 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4
  5. 타히보(Tabebuia avellanedae의 내부 수피)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상기 현탁물에 n-헥산을 가하여 추출한 뒤, 상기 추출물의 n-헥산층을 제거하고 남은 잔사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층의 농축물로서, 하기 화학식 1의 안쓰라퀴논-2-카르복시산(anthraquinone-2-carboxylic acid, 화합물 1) 및 2-(하이드록시메틸)안쓰라퀴논(2-(hydroxymethyl)anthraquinone, 화합물 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이 포함된 타히보 분획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pat00005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히보 분획물은, 타히보(Tabebuia avellanedae의 내부 수피)에, 상기 타히보 중량의 2~50배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을 2~10시간 동안 가하여 제조한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을, 상기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 중량의 2~50배의 물에 현탁한 후, 상기 현탁물에 상기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 중량의 2~50배의 n-헥산을 2~10시간 동안 가하여 추출한 뒤, 상기 추출물의 n-헥산층을 제거하고 남은 잔사에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 중량의 2~50배의 에틸아세테이트를 2~10시간 동안 가하여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층의 농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을 포함한 낙농제품, 스프, 이온음료를 포함한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를 포함한 영양 공급용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히보 분획물은, 전체 건강기능식품의 중량에 대해 0.01~100 중량%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9. 타히보(Tabebuia avellanedae의 내부 수피)에 상기 타히보 중량의 2~50배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을 2~10시간 동안 가한 후, 고형분을 제거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에, 상기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 중량의 2~50배의 물을 가하여 현탁한 후, 상기 현탁물에 상기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 중량의 2~50배의 n-헥산을 2~10시간 동안 가하여 추출한 뒤, 상기 추출물의 n-헥산층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n-헥산층이 제거된 잔사에, 상기 타히보 알코올 추출물 중량의 2~50배의 에틸아세테이트를 2~10시간 동안 가하여 추출한 뒤, 상기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에틸아세테이트층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타히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20094153A 2012-08-28 2012-08-28 타히보 분획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42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153A KR101442087B1 (ko) 2012-08-28 2012-08-28 타히보 분획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153A KR101442087B1 (ko) 2012-08-28 2012-08-28 타히보 분획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561A true KR20140029561A (ko) 2014-03-11
KR101442087B1 KR101442087B1 (ko) 2014-09-19

Family

ID=5064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153A KR101442087B1 (ko) 2012-08-28 2012-08-28 타히보 분획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0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374A1 (ko) * 2017-07-14 2019-01-17 (주)뉴트리바이오텍 타히보 주정추출액 동결건조물의 제조방법
KR20190008002A (ko) * 2017-07-14 2019-01-23 (주) 뉴트리바이오텍 타히보 주정추출액 동결건조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836A (ko) * 2016-12-29 2018-07-09 (주) 뉴트리바이오텍 타히보 추출물 제조방법
KR102084227B1 (ko) * 2018-09-05 2020-03-03 (주)루젠에스씨아이 인간 형질전환 연골세포주 기반 연골질환 치료제 스크리닝 시스템
US20230107128A1 (en) * 2018-09-05 2023-04-06 Lugen Sci Co., Ltd. Screening system for human-transformed cartilage cell line-based cartilage disease treatment agen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374A1 (ko) * 2017-07-14 2019-01-17 (주)뉴트리바이오텍 타히보 주정추출액 동결건조물의 제조방법
KR20190008002A (ko) * 2017-07-14 2019-01-23 (주) 뉴트리바이오텍 타히보 주정추출액 동결건조물의 제조방법
US10722548B2 (en) 2017-07-14 2020-07-28 Cosmax Nbt, Inc. Method of preparing lyophilizate of Taheebo alcohol extr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087B1 (ko) 2014-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087B1 (ko) 타히보 분획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U2006269843B2 (en) Vegetation water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skin conditions
KR101273163B1 (ko) 오징어젓 분말, 오징어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04299B1 (ko) 담팔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KR102110040B1 (ko) 토종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15274B1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WO2006135084A1 (ja) 脂肪性肝炎または脂肪肝の予防または治療薬
KR102519649B1 (ko) 캠퍼롤 및 에피카테킨 갈레이드를 포함하는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27703B1 (ko) 타트체리추출물 및 미배아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불안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17668B1 (ko) 멀꿀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MXPA05002081A (es) Extractos mejorados de psidium huajava, metodos para su obtencion y su uso para el tratamiento de padecimientos gastrointestinales.
KR20140114950A (ko) 백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US11446347B2 (en) Antithrombotic composition comprising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WO2016011542A1 (en) Seaweed extract and composition useful against cancer cells
JP3990387B2 (ja) ヒソップ抽出物の血液流動性改善剤、血流改善剤およびその利用
JP2013545767A (ja) 有効成分として絡石藤抽出物及び牡丹皮抽出物の混合物を含む炎症性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医薬組成物及び前記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704410B1 (ko) 사파논 a를 함유하는 심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4151226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RU2780346C1 (ru)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агент против коронавируса, включающий экстракт elaeocarpus sylvestris
KR101899086B1 (ko) 간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54513B1 (ko) 황해쑥(Artemisia argyl, 품종:섬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55441B1 (ko) 참당귀 추출물, 백수오 추출물 및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102126574B1 (ko) 참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혈전 조성물
KR101961657B1 (ko) 봉독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JPWO2006135083A1 (ja) 内臓脂肪症候群の予防または治療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