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255A - 화상 처리장치 및 화상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장치 및 화상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255A
KR20140029255A KR1020130102148A KR20130102148A KR20140029255A KR 20140029255 A KR20140029255 A KR 20140029255A KR 1020130102148 A KR1020130102148 A KR 1020130102148A KR 20130102148 A KR20130102148 A KR 20130102148A KR 20140029255 A KR20140029255 A KR 20140029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omographic
sector
displa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2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1310B1 (ko
Inventor
시게아키 오노
유키오 사카가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9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41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 A61B3/0058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for multiple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3Reconstruction from projections, e.g. tom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41Eye; Retina; Ophthalmic

Abstract

불수의 안구 운동에 무관하게 단시간에 단층상 및 층 두께 맵을 적합하게 얻기 위해, 특정한 주사 패턴으로 단층 화상을 얻는 경우에, 먼저 3D 스캔에 의해 3D 단층상을 얻고, 그후 이 화상으로부터 특정한 주사 패턴에 따라 원하는 부위의 단층상을 추출한다. 또한, 얻어진 3D 단층상에 근거하여, 안저상 위에 표시된, 층 두께 맵 표시를 위한 섹터와, 주 주사선과, 부 주사선을 이동 가능하게 설정하고, 이동후의 양쪽 주사선을 따라 취득한 단층상을 얻는다. 이들 주사선의 교점에 대응하는 중심을 갖는 섹터와 층 두께 맵을 재계산하고, 교점에 추종하도록 이것들을 표시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장치 및 화상 처리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피검안을 관찰, 촬영, 측정하도록 구성된 안과장치에서 얻어진 화상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광학기기를 사용한 다양한 종류의 안과용 기기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눈을 관찰하는 광학기기로서, 전안부 촬영기, 안저 카메라, 공초점 레이저 주사 검안경(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SLO) 등 여러가지 기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중에서도, 다파장 광의 간섭현상을 이용하여 광 코히런스 토모그래피(OC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를 행하는 광 단층상 촬상장치는, 시료의 단층상을 고해상도로 얻을 수 있는 장치이다. 이 때문에, 광 단층상 촬상장치는 외래분야의 망막 전문가에 대한 안과용 기기로서 필요불가결한 장치가 되고 있다. 이하, 이 광 단층상 촬상장치는 OCT 장치로 기재한다.
OCT 장치는, 저코히런트 광인 측정광을 참조광과 측정광으로 나누어, 측정광으로 피검사물을 조사하여, 그 피검사물으로의 귀환광과 참조광을 간섭시킴으로써 피검사물의 단층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OCT 장치는 측정광으로 샘플 위를 스캔함으로써 고해상도의 단층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피검안의 안저에 있어서의 망막의 단층상이 취득되어, 망막의 안과진단 등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본국 특개 2008-209166호 공보에는, 검사자가 지정한 주사 패턴에 근거하여 갈바노미러를 움직여 OCT가 안저를 주사하는 일반적인 안과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피검안의 진단 중에는, 예를 들면, 의도한 부위 및 그 근방에 대해서 부수 정보로서 망막층 등의 단면상에 근거한 각 층의 두께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안저상 중에 복수의 영역을 규정하는 섹터를 배치하고, 섹터 내의 각 영역에서의 평균 층 두께를 표시함으로써, 해당 요구에 대응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섹터의 이동에 따라, 섹터가 위치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단층상을 적응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아, 섹터를 임의의 위치로 이동했을 때, 섹터가 배치된 영역에 있어서의 층 두께와 섹터가 배치된 위치에 있어서의 단층상을 비교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상의 상황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섹터를 임의의 위치로 이동했을 때, 섹터가 배치된 영역에 있어서의 층 두께와 섹터가 배치된 위치에 있어서의 단층상을 용이하게 비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화상 처리장치로서, 피검안의 안저상을 취득하는 안저상 취득 수단과, 상기 안저상 위의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안의 안저의 소정의 층의 두께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일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안저의 단층상을 취득하는 단층상 취득 수단과, 상기 안저상과 상기 일부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 형태와 상기 단층상을 표시 수단에게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 처리장치는,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된 상기 일부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 형태의 위치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단층상 취득 수단은, 상기 일부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 형태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 위치 변경후의 상기 일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안의 안저의 단층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위치 변경 이전의 상기 일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단층상 대신에 위치 변경후의 상기 일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단층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게 표시하게 하도록 구성된, 화상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피검사물의 다른 위치에서 취득된 복수의 단층상을 포함하는 단층상 군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단층상 군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단층상의 적어도 한개와 교차하도록 배치된 피생성 화상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단층상 군에 근거하여, 상기 피생성 화상을 구획하는 섹터를 생성하고, 상기 섹터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물의 소정의 층의 두께를 맵으로서 표시하는 섹터 생성 수단과, 상기 피생성 화상과 상기 섹터를 표시 수단에게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피생성 화상의 중심 위치를 지정하는 중심 위치 지정 수단과, 상기 피생성 화상 중심 위치와 상기 피생성 화상을 구획하는 섹터의 중심 위치를 위치 맞춤하는 위치맞춤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섹터 생성 수단은, 상기 섹터의 중심 위치의 위치맞춤에 따라 맵으로서 표시할 상기 소정의 층의 두께를 재계산해서, 상기 표시 수단에게 맵을 표시하게 하도록 구성된, 화상 처리장치가 더 제공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피검사물의 다른 위치에서 취득된 복수의 단층상을 포함하는 단층상 군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단층상 군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단층상의 적어도 한개와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피생성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피생성 화상을 구획하는 섹터를 생성하고, 상기 단층상 군에 근거하여, 상기 섹터에 의해 구획된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물의 소정의 층의 두께를 맵으로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피생성 화상과 상기 섹터를 표시 수단에게 표시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피생성 화상의 지정된 중심 위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피생성 화상 중심 위치와 상기 피생성 화상을 구획하는 섹터의 중심 위치를 위치 맞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섹터 생성단계는, 상기 섹터의 중심 위치의 위치맞춤에 따라 맵으로서 표시할 상기 소정의 층의 두께를 재계산해서, 상기 표시수단에게 맵을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방법이 더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시간에 일부 단층상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층 두께 분포를 적절히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OCT 장치의 구성도다.
도 2a 및 도 2b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 3D 화상 취득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영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영후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포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포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안저 화상에 관한 설명도다.
도 8a 및 도 8b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안저 화상에 관한 설명도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영 및 리포트 작성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을 도 1a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장치의 개략 구성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저 검사장치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안과장치의 측면도이다. 안과장치(200)는, 전안 화상 및 안저의 2차원 상 및 단층상을 촬상하기 위한 측정 광학계인 광학 헤드(900)와, 광학 헤드를 도 1a에서 xyz 방향으로 모터(미도시)를 사용해서 이동 가능하게 이동부인 스테이지부(950)를 구비한다. 베이스부(951)는 분광기(후술한다)를 포함한다.
스테이지부의 제어부를 겸하는 퍼스널컴퓨터(925)는 스테이지부를 제어하고 단층 화상을 구성한다. 기억부(926)는 피검사자 정보 기억부를 겸하고, 단층 촬영용의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모니터(928)는 표시부로서의 역할을 하며, 입력부(929)는 퍼스널컴퓨터에 지시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입력부(929)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포함한다. 턱 지지대(323)는 피검사자의 턱과 이마를 고정함으로써 피검사자의 눈(피검안)의 고정을 촉진한다. 외부 고시등(324)은 피검사자의 눈을 고시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측정 광학계 및 분광기의 구성에 대해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광학 헤드(900)부의 내부에 대해 설명한다. 피검안(107)에 대향하도록 대물렌즈(135-1)가 설치되고, 그것의 광축상의 광로가 제1다이클로익 미러(132-1) 및 제2다이클로익 미러(132-2)에 의해 파장대역에 의존하여 OCT 광학계의 광로 351, 안저관찰과 고시등용의 광로 352 및 전안 관찰용의 광로 353으로 분기된다. 렌즈들 135-3 및 135-4 중에서, 렌즈 135-3은 고시등(191) 및 안저 관찰용의 CCD(172)에 대한 초점맞춤 조정을 위해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렌즈 135-4와 제3다이클로익 미러(132-3) 사이에는, 구멍 뚫린 미러(303)가 배치되고, 광로 352는 광로 352와 광로 354로 분기된다.
광로 354는 피검안(107)의 안저를 조명하는 조명 광학계를 형성하고 있다. 광로 354 상에는, 피검안(107)의 위치맞춤에 사용되는 안저 관찰용 조명 광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LED 광원(316)과, 피검안(107)의 안저의 촬영에 사용되는 스트로보 관(314)이 배치된다. 광로 354 상에는 콘덴서 렌즈 313 및 315와 미러 317이 더 배치된다. LED 광원(316)과 스트로보 관(314)으로부터의 조명광은 링 슬릿(312)에 의해 링 형상의 광속으로 정형되고, 구멍 뚫린 미터(303)에 의해 반사되어, 피검안(107)의 망막(127)을 조명한다. 광로 354 상에는 렌즈 309 및 311이 더 배치된다. LED 광원(316)은 예를 들면 780nm 부근을 중심 파장을 갖는다.
광로 352 상의 구멍 뚫린 미러(303) 뒤에는, 제3다이클로익 미러(132-3)에 의해 상기와 같이 파장대역에 의존하여 안저 관찰용의 CCD(172) 및 고시등(191)에의 광로로 분기된다.
CCD(172)은 안저 관찰용 조명광을 방출하는 LED 광원(316)의 중심 파장에 대응하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780nm 부근에 감도를 갖는다. CCD(172)는 CCD 제어부(102)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고시등(191)은 가시광선을 발생해서 피검사자의 고시를 촉구한다. 고시등(191)은 고시등 제어부(103)에 접속되어 있다.
CCD 제어부(102)와 고시등 제어부(103)는 연산부(104)에 접속되고 있어, 연산부(104)를 통해, 데이터가 퍼스널컴퓨터((25)에 대해 입출력된다.
광로 353에는 렌즈 135-2와 전안 관찰용의 적외선 CCD(171)가 설치된다. 이 CCD(171)는 전안 관찰용 조명광(미도시)의 파장에 대응하는, 예를 들면, 970nm 부근에 감도를 갖는다. 또한, 광로 353에는 이미지 스프릿 프리즘(미도시)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피검안(107)에 대한 광학 헤드(900)부의 z 방향의 거리를, 전안 관찰 화상중의 스플릿 상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광로 351은 전술한 것과 같이 OCT 광학계를 이루고 있고 피검안(107)의 안저의 단층상을 촬상하는데 사용된다. XY 스캐너(134)는 빛을 안저 위에서 주사한다. XY 스캐너(134)는 1매의 미러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X 및 Y 2축 방향의 주사를 행한다. 렌즈 135-5 및 135-6 중에서, 렌즈 135-5는, 광 커플러(131)에 접속되어 있는 파이버(131-2)를 통해 광원(101)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피검안(107)의 안저 위에 초점맞춤 조정을 하기 위해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이 초점맞춤 조정에 의해, 피검안(107)의 안저로부터의 빛은 동시에 파이버(131-2) 선단에 스폿 형상으로 결상되어 입사된다.
다음에, 광원(101)으로부터의 광로와, 참조 광학계와, 분광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구성은, 광원(101), 미러 132-4, 분산 보상용 글래스(115), 전술한 광 커플러(131), 광 커플러에 접속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싱글 모드의 광 파이버 131-1 내지 131-4, 렌즈 135-7과, 분광기(180)를 구비한다.
전술한 구성요소들은 마이켈슨 간섭계를 구성하고 있다. 광원(101)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광 파이버 131-1을 통해 광 커플러(131)를 거쳐 광 파이버 131-2측의 측정광과 광 파이버 131-3측의 참조광으로 분할된다.
측정광은 전술한 OCT 광학계의 광로를 통해 관찰 대상인 피검안(107)의 안저에 조사되고, 망막에 의한 반사와 산란으로 의해 동일한 광로를 거쳐 광 커플러(131)에 도달한다.
한편, 참조광은 광 파이버 131-3, 렌즈 135-7, 측정광의 분산을 참조광의 분산과 맞추기 위해 삽입된 분산 보상 글래스(115)를 통해 미러 132-4에 도달하고, 미러 132-4로부터 반사된다. 그후, 참조광은 동일한 광로를 통해 귀환하여 광 커플러(131)에 도달한다.
광 커플러(131)는, 측정광과 참조광을 합파하여 간섭광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측정광의 광로 길이와 참조광의 광로 길이가 거의 동일하게 되었을 때에 간섭을 일으킨다. 미러 132-4는 모터 및 구동기구(미도시)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유지되고, 피검안(107)에 의존하여 변하는 측정광의 광로 길이에 참조광의 광로 길이를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간섭광은 광 파이버 131-4를 통해 분광기(180)로 이끌어진다.
더구나, 광 파이버 131-2 내부의 측정광에 대해 편광 조정부 139-1이 설치된다. 광 파이버 131-3 내부의 참조광에 대해 편광 조정부 139-2가 설치된다. 이들 편광 조정부는 각각 광 파이버를 루프 형상으로 다수회 둘러친 부분을 갖는다. 이 루프 형상의 부분이 파이버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되어 파이버에 비틀림을 가한다. 이에 따라, 측정광과 참조광 각각의 편광 상태를 조정해서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이 장치에서는, 미리 측정광과 참조광의 편광 상태가 조정되어 고정되어 있다.
분광기(180)는 렌즈 135-8 및 135-9, 회절격자(181)와, 라인 센서(182)로 구성된다.
광 파이버 131-4로부터 출사된 간섭광은 렌즈 135-8을 거쳐 대략 평행광으로 된 후, 회절격자(181)에서 분광되어, 렌즈 135-9에 의해 라인 센서(182)에 결상된다.
다음에, 광원(101)의 주변에 대해 설명한다. 광원(101)은 대표적인 저코히런트 광원인 SLD(Super Luminescent Diode)이다. 광원(101)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중심 파장 855nm 및 파장 대역폭은 약 100nm를 갖는다. 이 경우, 대역폭은, 얻어진 단층상의 광축 방향의 분해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한 파라미터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SLD를 선택했지만, 광원의 종류는 광원이 저코히런트 광을 출사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ASE)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눈을 측정하는 것을 감안하면, 근적외광은 중심 파장에 적합하다. 또한, 중심 파장은 얻어진 단층상의 횡방향의 분해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심 파장이 가능한한 단파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두가지 이유에서. 일례로서 중심 파장을 855nm로 설정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간섭계로서 마이켈슨 간섭계를 사용했지만, 마하젠더 간섭계를 사용해도 된다. 측정광과 참조광의 광량차가 큰 경우에는 마하젠더 간섭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량차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마이켈슨 간섭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저 검사장치(200)를 사용한 단층상의 촬상방법에 대해 도 10에 나타낸 기능 블록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퍼스널컴퓨터(925)의 기능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퍼스널컴퓨터(925)(구체적으로는 퍼스널컴퓨터(925)에 포함된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기억부(926)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화상 취득부(401), 주사 제어부(402), 화상 생성부(403), 3D 화상 생성부(404), 3D 화상 추출부(405) 및 표시 제어부(406)로서 기능한다.
안저 검사장치(200)는 XY 스캐너(134)를 제어함으로써, 피검안(107)의 안저에 있어서의 소망 부위의 단층상을 촬상한다. 구체적으로는, 주사 제어부(402)가 XY 스캐너(134)를 제어한다.
안저 검사장치(200)를 사용한 화상 처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입력부(929)를 통해 주사 패턴이 선택되면, 선택된 주사 패턴에 상관없이, 주사 제어부(402)는 래스터 스캔을 행하도록 XY 스캐너(134)를 제어한다. 그리고, 라인 센서(182)에서 수광한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 취득부(401)는 단층상을 취득한다. 즉, 단층 화상군을 취득하는 취득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화상 취득부(401)는 3D 단층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을 취득한다. 이때, XY 스캐너(134)는 도 2a의 x 방향으로 측정광의 스캔을 행하고, 안저에 있어서의 x 방향의 촬상 범위로부터 소정 회수의 정보를 라인 센서(182)가 촬상한다.
x 방향의 어떤 위치에서 라인 센서(182) 위에서 얻어진 휘도 분포에 대해 패스트 푸리에 변환(FFT)을 행하고, FFT에 의해 얻어진 선형의 휘도 분포가 농도 혹은 컬러 정보로 변환된다. 이 변환된 정보를 A 스캔 화상으로 부른다. 1개의 B 스캔 화상을 구축하기 위해 복수의 A 스캔 화상을 촬상한 후, y 방향의 스캔 위치를 이동시켜, 다시 x 방향의 스캔을 행함으로써, 복수의 B 스캔 화상을 얻는다. 즉, 피검안 위의 다른 위치에서 취득되어 각각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단층 화상 T1 내지 Tn을 단층 화상군으로서 취득한다. 화상 취득부(401)에 의해 취득한 화상에 근거하여, 3D 화상 생성부(404)가 도 2b에 나타낸 3D 화상을 생성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3D 화상 생성에 적합한 n개의 단층 화상이 얻어지지만, 예를 들면, 이 취득하는 단층 화상 수는 후술하는 추출할 화상의 해상도에 따라 증감시켜도 된다.
다음에, 3D 화상 추출부(405)는 입력부(929)에 의해 선택한 주사 패턴에 대응하는 화상을 추출한다. 즉, 본 발명에서, 3D 화상 추출부(405)는, B 스캔 화상으로서 얻어진 복수의 단층 화상을 포함하는 단층 화상군을 기초로, 이들 복수의 단층 화상의 적어도 한개와 교차하도록 배치된 화상을 생성하는 생성부로서 기능한다. 추출된 화상은, 표시 제어부(유닛)(406)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것 등의 소정의 모드에 따라 표시부(928)에 표시된다. 화상 생성부(403)는 B 스캔 화상에 근거하여 안저상을 생성한다. 즉, 화상 생성부(403)는 피검안의 안저상을 취득하는 안저상 취득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3D 화상 추출부(405)는, 영역(섹터)에 있어서의 안저의 단층상을 취득하는 단층상 취득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도 3은 표시부(928)에 표시되는 화면(1000)의 일례이다. 화면(1000)은 전안 관찰 상(1101), 안저 관찰 상(1201) 및 단층 관찰 상(1301)을 포함한다. 또한, 화면(1000)은 좌우 안 선택 버튼(1001)을 포함한다. 또한, 안저 관찰 상(1201) 위에는, 단층상의 촬상 범위를 표시하는 정보(1202)가 표시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특징인 OCT 장치를 사용한 단층상의 취득방법 및 처리방법에 관해 도 1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단층상 취득방법의 흐름도이다. 스텝 S1에서는, 도 3에 나타낸 측정 화면 중의 스캔 모드 버튼(1501)으로부터 스캔 모드를 선택한다. 스캔 모드는, Macula 3D, Glaucoma 3D 및 Disc3D를 포함한다. 스캔 모드를 바꾸면, 각각의 스캔 모드에 대해 최적의 주사 패턴 및 고시 위치가 설정된다. 주사 패턴은 래디얼 스캔, 크로스 스캔, 서클 스캔 및 3D 스캔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패턴은, 복수의 방사형으로 배치된 단층상 군을 포함하는 화상, 교차한 2개의 단층상 군을 포함하는 화상, 원통 형상의 단층상 군을 포함하는 화상, 및 서로 평행한 복수의 단층상 군을 포함하는 화상을 각각 얻는 조작 패턴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사 패턴이 래디얼 스캔으로 선택된 경우를 설명한다. 이때, 주사 패턴은 래디얼 스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주사 패턴이 선택되어도 된다. 스텝 S2에서, 스타트 버튼(1004)을 누름으로써, 초점맞춤 조정과 위치맞춤 조정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이에 따라, 촬영할 준비가 행해진다. 초점맞춤과 위치맞춤을 미조정하기 위해, 슬라이더 1103을 조작하여 피검안에 대한 광학 헤드(900)의 z 방향(광축 방향)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조정한다. 또한, 슬라이더 1203을 조작하여 포커스 조정을 행하고, 슬라이더 1302를 조작하여 코히런스 게이트의 위치조정을 행한다. 포커스 조정은, 안저에 대한 초점맞춤 조정을 행하기 위해, 렌즈 135-3 및 135-5를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정에 해당한다. 코히런스 게이트 조정은, 단층상을 단층상 표시 화면의 원하는 위치에서 관찰하기 위해, 미러 132-4를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정에 해당한다. 이어서, 스텝 S3에서, 캡처 버튼(1003)을 누름으로써 촬영을 행한다. 이때, 이들 버튼의 누름 조작 등은 마우스 커서 1002를 사용해서 실행된다.
스텝 S4에서는, XY 스캐너(134)가 3D 스캔을 행한다. 스텝 S5에서, 도 2a에 나타낸 B 스캔 화상에 근거하여, 도 2b에 나타낸 3D 단층상 볼륨을 작성한다. 스텝 S6에서,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촬영한 안저상 2101, 2201, 단층상 2301, 2303 및 2305를 스크린(2000) 위에 표시한다. 단층상 2303은 주사선 2102, 2202에서의 단층상이다. 스캔 범위 내에서 주사선 2102, 2202가 자동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대응하는 단층상이 표시된다. 단층상 2301은 스캔 범위의 상단에서의 단층상이고, 단층상 2305는 스캔 범위의 하단에서의 단층상이다. 또한, 화살표 2302, 2304, 2306은 안저 화상 위(단층상 촬상 범위)에서의 단층상의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안저상 2101은 SLO상, 안저상 2201은 적산 상이다. 또한, 좌우 안 선택 버튼(2001)은 도 3에 있어서의 좌우 안 선택 버튼(1001)과 유사하며, 스캔 모드 버튼(2501)은 도 3에 있어서의 스캔 모드 버튼(1501)과 유사하다.
스텝 S7에서, OK 버튼(2004) 또는 NG 버튼(2003)이 눌러지고, OK 버튼(2004)이 눌러질 때 리포트 화면(3000)이 작성된다(도 5).
리포트 화면(3000)은 안저 화상(3101)을 포함한다. 안저 화상(3101) 위에는, 입력부(929)에 의해 지정된 위치 3102를 중심으로 해서 주 주사선(3103) 및 부 주사선(3104)이 표시된다. 리포트 화면(3000)은, 주 주사선(3103)에 대응하는 단층상 3201과 부 주사선(3104)에 대응하는 단층상 3301을 더 포함한다.
또한, 단층상 3201 위에는 주 주사선(3103)의 방향을 표시하는 정보 3202가 표시되고, 단층상 301 위에는 부 주사선(3104)의 방향을 표시하는 정보 3302가 표시된다. 이때, 주 주사선(3103)의 방향을 표시하는 정보 3202 및 부 주사선(3104)의 방향을 표시하는 정보 3302는 단층상 위에 표시하지 않고, 단층상 부근에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스텝 S9에서는, 안저 화상(3101) 위에서 임의의 스캔 중심 위치(3102)를 도시하지 않은 마우스 커서로 클릭해서 지정한다. 이와 같은 지정은, 이 생성부가 생성한 피생성 화상의 중심 위치에 해당하는 피생성 화상 중심 위치를 지정하는 중심 위치 지정부로서 기능하는 표시 제어부(406)에 있어서의 모듈 영역에 의해 실행된다. 스텝 S10에서는, 스텝 S9에서 지정된 위치의 좌표 (x, y)(3102)를 취득한다. 스텝 S11에서는, 좌표 (x, y)(3102)를 중심으로 하여, 주 주사선(3103) 및 부 주사선(3104)을 따라 취한 단층상을 피생성 화상으로서, 3D 단층상을 기초로 작성한다. 이들 주 주사선(3103) 및 부 주사선(3104)은,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 피검사물의 평면 화상에 해당하는 안저 화상에 있어서 생성 화상 등의 추출 위치의 배치를 규정하는 제1 방향의 선과 상기 제1 방향의 선과 다른 제2 방향의 선에 대응한다. 주 주사선(3103)은 생성된 화상과 소정의 위치에서 교차하고 있다. 이 소정의 위치는 좌표 (x, y)(3102)에 대응한다. 또한, 이들 선의 지정은, 상기 제1 선 및 이것과 교차하는 제2 선을 규정하는 생성 화상 위치 규정부로서 기능하는 표시 제어부(406) 내부의 모듈 영역에 의해 실행된다.
스텝 S12에서는, 스텝 S5에서 작성된 3D 단층상에 근거하여, 망막의 두께가 섹터 형태로서 망막 두께 맵(3701)으로서 계산되어 표시되고, 망막 신경 섬유층(RNFL)의 두께(3401), 정상 안 데이터베이스(NDB)로부터의 RNFL의 편차(3501), NDB에 근거한 RNFL의 유의차(3601)를 계산하여 맵 표시한다. 이때, 이들의 계산은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925)에 의해 행해진다. 즉, 퍼스널컴퓨터(925)는 안저상 위의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피검안의 안저의 소정의 층의 두께를 산출하는 산출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RNFL 두께(3401)는 두께가, 예를 들면, 색에 의해 두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된다. 두께에 대응하는 색은 3402로 표시된다. 더구나, 편차(3501)는 편차가, 예를 들면, 색에 의해 편차를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된다. 편차에 대응하는 색은 3502로 표시된다. 또한, 유의차 3601은, 유의차가 예를 들면 색에 의해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된다. 유의차에 대응하는 색은 3602로 표시된다. 이 경우, RNFL의 두께(3401), RNFL 편차(3501) 및 RNFL 유의차(3601)에 있어서 유두 주변의 원은 망막 두께 맵(3701)에 대응하고 있다. 이때, RNFL의 두께(3401), RNFL 편차(3501), RNFL 유의차(3601)에 있어서 유두 주변의 원은 4등분되어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망막 두께 맵(3701) 작성시에는 RNFL의 두께(3401), RNFL 편차(3501) 및 RNFL 유의차(3601)가 4분할로 계산된다. 이때, 망막 두께 맵(3701)은 4분할된 맵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5분할 이상이어도 되고, 3분할 이하이어도 된다.
스텝 S13에서는, 안저 화상(3101) 위에서 다시 임의의 위치를 마우스 커서로 클릭했을 때에, 스텝 S10, 스텝 S11, 스텝 S12의 처리가 다시 행해져, 지정한 위치의 단층상 및 망막 두께 맵을 재계산한다.
또한, 마우스 커서가 안저 화상 위에 있을 때에, 예를 들면, 마우스 휠을 회전시키면, 주 주사선(3103) 및 부 주사선(3104)이 스캔 중심 위치(3102)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고, 그것에 따라 단층상 3201 및 3301도 대응하는 단층상을 표시한다. 이때, 주 주사선(3103) 및 부 주사선(3104)이 회전하는 것에 따라, 또한, 마우스 휠의 회전 방향에 따라, 주 주사선(3103)의 방향을 표시하는 정보 3202 및 부 주사선(3104)의 방향을 표시하는 정보 3302도 마찬가지로 회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단층상의 취득 위치가 회전하였을 때, 안저 화상(3101) 위의 어느 방향에 있어서 단층 화상이 취득되는가 라는, 종래에는 파악하기 곤란하였던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주 주사선(3103) 및 부 주사선(3104)의 회전 방향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어느 것이 되어도 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의 안저 화상(3101) 위에는, 단층상의 촬상 범위가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주 주사선(3103) 및 부 주사선(3104)은 파선으로 표시된 범위 내에서 마우스 휠의 회전에 따라 이동한다. 단m 사각형의 파선으로 표시된 촬상 범위에서는, 주 주사선(3103) 혹은 부 주사선(3104)이 촬상 범위의 대각선에 위치할 때에 얻을 수 있는 단층 화상의 길이는, 주 주사선(3103) 혹은 부 주사선(3104)이 촬상 범위의 대각선과는 다른 위치에 위치할 때에 얻을 수 있는 단층 화상의 길이보다도 길어진다. 따라서, 주 주사선(3103) 및 부 주사선(3104)의 길이는 회전시에 있어서 변화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혹은, 주 주사선(3103) 및 부 주사선(3104)의 길이는 파선으로 표시된 범위에 의존하도록 설정되고, 단층 화상이 길어지는 경우에는, 단층상의 단부를 비표시로 하여 항상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단층 화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주 주사선(3103) 및 부 주사선(3104)의 길이는 파선으로 표시된 범위에 의존하도록 설정하여, 단층 화상이 길어지는 경우에는, 표시 영역에 맞춰서 단층 화상을 축소해서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표시 영역 자체를 크게 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때, 안저상 3101은 3D 단층상을 적산하여 얻어진 화상이거나 SLO 화상이어도 된다.
이때, 피생성 화상에 해당하는 지정한 위치의 단층상에 대한 섹터의 생성, 및 단층상 군을 기초로 상기 섹터로 구획된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물의 소정의 층의 두께의 맵 표시는, 섹터 생성부로서 기능하는 화상 생성부(403) 내부의 모듈 영역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이 섹터 생성부는 섹터의 중심 위치의 위치맞춤에 따라 맵 표시할 망막층 등의 소정의 층의 두께를 재계산하고, 표시 제어부(406)는 이 재계산의 결과를 단층상과 함께 표시부(928)에 표시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저를 주사할 때에는 어떤 주사 패턴에서도 3D 스캔을 행하기 때문에, 3D 단층상으로부터 원하는 부위의 단층상을 추출할 수 있다. 종래, 지정한 주사선을 따라 취득한 단층상만 취득하는 주사 패턴(래디얼 스캔, 서클 스캔, 크로스 스캔 등)에서 의도한 부위의 단층상을 취득할 수 없었던 경우가 있었지만, 이들 경우에도, 용이하게 이들 단층상의 어느 한개를 피생성 화상으로서 재작성할 수 있다. 이때, 이 피생성 화상은 특정한 선을 따라 취득한 단일의 단층 화상이어도 된다. 또한, 어떤 주사 패턴을 선택해도 3D 스캔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주사선의 궤적이 일정하다. 따라서, 주사선에 의존하는 고시의 격차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어떤 주사 패턴을 선택해도, 3D 스캔을 행함으로써 3D 단층상을 취득하여, 주사 패턴의 단층상을 추출할 수 있다. 종래, 지정한 주사선을 따라 취득한 단층상만 취득되는 주사 패턴(래디얼 스캔, 서클 스캔, 크로스 스캔 등)에서 의도한 부위의 단층상을 취득할 수 없었던 경우가 있었지만, 이들 경우에도, 용이하게 원하는 부위의 단층상을 재작성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주사 패턴에서도 3D 스캔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주사선의 궤적이 일정하다. 따라서, 주사선에 의존하는 고시의 격차를 제거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제 1 실시예는 동일한 단층상 취득방법을 사용하고 리포트 화면이 다르다. 이때, 표시되는 리포트 화면은 예를 들면 도 3에 있어서 선택되는 스캔 모드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도 5는 스캔 모드 버튼(1501)에 있어서 유두 촬영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의 리포트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도 6은 스캔 모드 버튼(1501)에 있어서 황반 촬영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의 리포트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리포트 화면(4000)은 안저 화상(4101)을 포함한다. 안저 화상(4101) 위에는, 주 주사선(4103), 부 주사선(4104) 및 섹터(4105)가 표시된다. 이때, 리포트 화면(4000)을 표시하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단층상 촬상 범위의 중심(4102)에 섹터(4105)의 중심을 일치시킨다. 또한, 주 주사선(4103)과 부 주사선(4104)의 교점은 예를 들면 섹터(4105)의 중심과 일치하고 있다. 리포트 화면(4000)은 주 주사선(4103)에 대응하는 단층상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주 주사선 단층상(4301), 부 주사선(4104)에 대응하는 단층상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부 주사선 단층상(4401)과, 두께 맵(4701)을 포함한다. 이때, 섹터(4105)의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때, 실시예 2에 있어서도, 퍼스널컴퓨터의 기능은 도 10에 나타낸 것과 대략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에 있어서도, 도 9에 나타낸 단층상 취득방법의 흐름도에 따라 단층상을 취득한다. 취득된 단층상은,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리포트 화면(4000)에 표시된다. 즉, 표시 제어부(406)는, 안저상과,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 형태와 단층상을 표시부에게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피검사물의 평면 화상에 해당하는 안저 화상(4101) 위에 표시되는 주 주사선(4103), 부 주사선(4104) 및 섹터(4105)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의 초기 위치로부터 임의의 스캔 중심 위치를 마우스 커서로 클릭하면, 도 7b와 같이, 주 주사선(4103)과 부 주사선(4104)의 교점과 생성 화상을 구획하는 섹터(4105)의 중심 위치가 일치한 상태에서 섹터(4105)가 이동한다. 즉, 섹터(4105)의 이동에 따라, 리포트 화면(4000)에 표시되는 단층상이 변화된다. 또한, 마우스 커서 등의 입력부(929)는, 표시부 단에 표시된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 형태의 위치를 변경하는 변경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도 7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섹터(4105)의 이동에 따라, 주 주사선(4103) 및 부 주사선(4104)이 이동한다. 이에 따라,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 형태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 단층상 취득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3D 화상 추출부(405)는 위치가 변경된 후의 영역에 있어서의 피검안의 안저의 단층상을 취득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는 위치 변경전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층상 대신에 위치 변경후의 영역에 있어서의 단층상을 표시부에 표시하게 한다.
또한,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 주사선(4103) 및 부 주사선(4104)을 마우스 커서로 클릭 선택할 때, 섹터는 이동하지 않고 주 주사선(4103) 및 부 주사선(4104)을 이동할 수 있다. 주 주사선(4103) 및 부 주사선(4104)의 각각에 대응하는 주 주사선 단층상(4301) 및 부 주사선 단층상(4401)을 보면서, 주 주사선(4103) 및 부 주사선(4104)을 움직인다. 이에 따라, 주 주사선(4103) 및 부 주사선(4104)이 중심와가 가장 함몰되어 있는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중심와의 중심을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이때, 주 주사선과 부 주사선의 교점을 마우스 커서로 클릭하면, 섹터의 중심이 주 주사선(4103)과 부 주사선(4104)의 교점과 일치하여, 중심와의 중심으로 섹터를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와를 층 두께 맵의 중심으로 한 정확한 망막 두께 맵(4701)을 구할 수 있기 때문에, 망막의 진단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즉, 화상을 구획하는 섹터로 구분된 화상에 있어서 소정의 층, 본 실시예에서는 망막의 두께가 표시 제어부(406)에 의해 표시부(928)에 표시된다. 또한, 단층 화상을 포함하는 이와 같은 화상의 안저상 중에서의 배치의 지정은, 위치 지정부로서 기능하는 표시 제어부(406) 내부의 모듈 영역에 의해 실행된다.
단, 부 주사선 단층상(4401)은 주 주사선 단층상(4301)을 기초로 화상을 작성되므로, 일반적으로 부 주사선 단층상(4401)이 주 주사선 단층상(4301)에 비해 화질이 나쁘다. 이 단층상을 보고 정확한 중심와의 중심을 찾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 주 주사선 단층상(4301) 위에 표시되어 있는 보조 단층선(4302)을 사용해서 정확한 중심와의 중심을 찾을 수 있다. 보조 단층선(4302)은 부 주사선(4104)과 동일한 단층 위치에 놓이고, 보조 단층선(4302)을 움직이면 부 주사선 4104, 4502도 이와 연동해서 움직인다. 정확하게 망막 두께 맵(4701)을 구하기 위해서는, 주 주사선 단층상(4301)을 보면서 주 주사선(4103)을 움직여, 중심와가 가장 함몰된 위치를 발견하고, 다음에, 보조 단층선(4302)을 움직여, 중심와가 가장 함몰된 위치에 보조 단층선(4302)을 위치한다. 이때, 주 주사선(4103)과 부 주사선(4104)의 교점을 마우스 커서로 클릭하면, 안저 화상 또는 피생성 화상을 구분하는 섹터(4105)의 중심이 주 주사선과 부 주사선의 교점과 일치한다. 이에 따라, 중심와의 중심에 섹터(4105)를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다. 즉, 이 섹터와 주 주사선 및 부 주사선은 서로 추종하고 있다. 이때, 부 주사선 단층상(4401)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부 주사선 단층상(4401)은 비표시로 하여도 된다. 또한, 부 주사선 단층상(4401)을 비표시로 한 경우에는, 부 주사선 단층상(4401)이 표시되어 있었던 영역에, 주 주사선 단층상(4301)의 중심와 근방의 단층 화상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동시에, 보조 단층선(4302)을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더욱 정확하게 중심와의 중심을 찾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부 주사선 단층상(4401)의 비표시로의 전환용으로 리포트 화면(4000) 위에 스위치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안저상 4501은 NDB에 근거하여 RNFL의 편차 또는 유의차의 컬러 맵을 표시하고 있다. 망막 두께 전환 버튼(4605)을 누름으로써, 안저상 4601은 망막 색소 상피층(RPE), 시세포 내절·외절 접합부(IS/OS), (망막 신경 섬유층: RNFL)+(신경절 세포층: GCL)+(내부 망상층: IPL)의 두께 맵들 중에서 두께 맵을 전환하여, 대응하는 두께 맵을 컬러 맵으로서 표시한다. 이때, 보조 단층선 4402를 움직이면, 주 주사선 4103, 4503도 연동해서 움직이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 4106, 4504, 4604는 두께 등의 값에 대한 색을 표시한다.
상기한 예에서는, 보조 단층선(4302)을 움직이면, 부 주사선 4104, 4502도 연동해서 움직이는 예에 대해 서술하였다. 이와 달리, 예를 들면, 부 주사선(4104)을 움직인 경우에, 보조 단층선 4302 및 부 주사선 4502가 연동해서 움직이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보조 단층선 4302 및 부 주사선 4104, 4502는 서로 연동해서 이동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보조 단층선 4402 및 주 주사선 4103, 450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서로 연동해서 이동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더구나, 주 주사선 4603 및 부 주사선 4602도 각각 보조 단층선 4402 및 보조 단층선 4302에 연동해서 이동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주 주사선과 섹터가 일체로 되어 있고, 부 주사선은 독립해서 움직인다. 단층상을 보면서, 일체가 된 주 주사선과 섹터를 움직임으로써 중심와가 가장 함몰된 위치에 위치시킨다. 다음에, 단층상 중의 보조 단층선을 움직여, 중심와가 가장 함몰된 위치로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도, 중심와의 중심에 섹터를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실현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네트워크 또는 각종 기억매체를 거쳐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 등)가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하는 처리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피측정물이 눈인 경우에 대해 서술하고 있지만, 눈 이외의 피부나 장기 등의 피측정물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안과장치 이외의, 예를 들면 내시경 등의 의료기기로서의 태양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과장치로 예시되는 검사장치로서 파악되고, 피검안은 피검사물의 일 태양으로서 파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9)

  1. 화상 처리장치로서,
    피검안의 안저상을 취득하는 안저상 취득 수단과,
    상기 안저상 위의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안의 안저의 소정의 층의 두께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일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안저의 단층상을 취득하는 단층상 취득 수단과,
    상기 안저상과 상기 일부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 형태와 상기 단층상을 표시 수단에게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 처리장치는,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된 상기 일부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 형태의 위치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단층상 취득 수단은, 상기 일부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 형태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 위치 변경후의 상기 일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안의 안저의 단층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위치 변경 이전의 상기 일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단층상 대신에 위치 변경후의 상기 일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단층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게 표시하게 하도록 구성된, 화상 처리장치.
  2. 피검사물의 다른 위치에서 취득된 복수의 단층상을 포함하는 단층상 군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단층상 군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단층상의 적어도 한개와 교차하도록 배치된 피생성 화상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단층상 군에 근거하여, 상기 피생성 화상을 구획하는 섹터를 생성하고, 상기 섹터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물의 소정의 층의 두께를 맵으로서 표시하는 섹터 생성 수단과,
    상기 피생성 화상과 상기 섹터를 표시 수단에게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피생성 화상의 중심 위치를 지정하는 중심 위치 지정 수단과,
    상기 피생성 화상 중심 위치와 상기 피생성 화상을 구획하는 섹터의 중심 위치를 위치 맞춤하는 위치맞춤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섹터 생성 수단은, 상기 섹터의 중심 위치의 위치맞춤에 따라 맵으로서 표시할 상기 소정의 층의 두께를 재계산해서, 상기 표시 수단에게 맵을 표시하게 하도록 구성된, 화상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은,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단층상 군을 포함하는 화상, 원통 형상의 단층상 군을 포함하는 화상, 교차한 2개의 단층상 군을 포함하는 화상, 및 서로 평행한 복수의 단층상 군을 포함하는 화상들 중 어느 한 개의 화상을 피생성 화상으로서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이들 화상들 중에서 상기 어느 한 개의 화상은 상기 단층상 군이 얻어지는 영역에 배치되는, 화상 처리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생성 화상과 소정의 위치에서 교차해서 상기 피생성 화상의 배치를 규정하는 제1 방향의 선과, 상기 제1 방향의 선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선을 규정하는 생성 화상 위치 규정 수단을 더 구비한, 화상 처리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생성 화상과 소정의 위치에서 교차해서 상기 피생성 화상의 배치를 규정하는 제1 방향의 선과, 상기 제1 방향의 선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선을 규정하는 생성 화상 위치 규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위치는, 상기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단층상 군을 포함하는 화상, 상기 원통 형상의 단층상 군을 포함하는 화상, 상기 교차한 2개의 단층상 군을 포함하는 화상, 및 상기 서로 평행한 복수의 단층상 군을 포함하는 화상 중 어느 한 개의 중심 위치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피검사물의 평면 화상에 있어서 상기 피생성 화상의 배치를 지정하는 위치 지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피검사물의 평면 화상에 있어서, 제1 방향의 선과, 제1 방향의 선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선과, 상기 평면 화상을 구획하는 섹터를 표시 수단에 표시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방향의 선은 상기 피생성 화상이 얻어지는 상기 피검사물의 단층의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위치맞춤 수단은, 상기 제1 방향의 선과 상기 제2 방향의 선이 상기 평면 화상을 구획하는 상기 섹터를 추종하게 하도록 구성된, 화상 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지정수단은, 상기 피생성 화상의 중심 위치에 근거하여 피생성 화상의 배치를 지정하도록 구성된, 화상 처리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방향의 선을 따라 취득한 단층상에 상기 제2 방향의 선을 표시 수단에게 표시하게 하고,
    상기 제2 방향의 선을 따라 취득한 단층상에 상기 제1 방향의 선을 표시 수단에게 표시하게 하도록 구성된, 화상 처리장치.
  9. 피검사물의 다른 위치에서 취득된 복수의 단층상을 포함하는 단층상 군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단층상 군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단층상의 적어도 한개와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피생성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피생성 화상을 구획하는 섹터를 생성하고, 상기 단층상 군에 근거하여, 상기 섹터에 의해 구획된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물의 소정의 층의 두께를 맵으로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피생성 화상과 상기 섹터를 표시 수단에게 표시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피생성 화상의 지정된 중심 위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피생성 화상 중심 위치와 상기 피생성 화상을 구획하는 섹터의 중심 위치를 위치 맞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섹터 생성단계는, 상기 섹터의 중심 위치의 위치맞춤에 따라 맵으로서 표시할 상기 소정의 층의 두께를 재계산해서, 상기 표시수단에게 맵을 표시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방법.
KR1020130102148A 2012-08-30 2013-08-28 화상 처리장치 및 화상 처리방법 KR101581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90592A JP6188296B2 (ja) 2012-08-30 2012-08-30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JP-P-2012-190592 2012-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255A true KR20140029255A (ko) 2014-03-10
KR101581310B1 KR101581310B1 (ko) 2015-12-31

Family

ID=49355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148A KR101581310B1 (ko) 2012-08-30 2013-08-28 화상 처리장치 및 화상 처리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25561B2 (ko)
JP (1) JP6188296B2 (ko)
KR (1) KR101581310B1 (ko)
CN (1) CN103654718B (ko)
DE (1) DE102013217112A1 (ko)
GB (1) GB25073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466B1 (ko) 2012-08-30 2016-08-0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US9677869B2 (en) 2012-12-05 2017-06-13 Perimeter Medical Imag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wide-field OCT image of a portion of a sample
JP6160809B2 (ja) * 2013-01-23 2017-07-1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撮影装置及び撮影制御プログラム
JP6464565B2 (ja) * 2014-03-31 2019-02-06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底撮影装置
US9723978B2 (en) 2014-03-31 2017-08-08 Nidek Co., Ltd. Fundus photography device
JP6635716B2 (ja) * 2015-08-27 2020-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9014767A1 (en) 2017-07-18 2019-01-24 Perimeter Medical Imaging, Inc. SAMPLE CONTAINER FOR STABILIZING AND ALIGNING EXCISED ORGANIC TISSUE SAMPLES FOR EX VIVO ANALYSIS
JP7135346B2 (ja) * 2018-03-06 2022-09-13 株式会社ニデック Oct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oct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0920A (ja) * 2009-03-02 2010-09-16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4515B2 (ja) 2006-04-07 2012-02-01 株式会社トプコン 眼底観察装置
JP4855150B2 (ja) 2006-06-09 2012-01-18 株式会社トプコン 眼底観察装置、眼科画像処理装置及び眼科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969925B2 (ja) 2006-06-28 2012-07-04 株式会社トプコン 眼底観察装置
JP5089940B2 (ja) * 2006-08-29 2012-12-05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球運動測定装置、眼球運動測定方法及び眼球運動測定プログラム
JP5007114B2 (ja) 2006-12-22 2012-08-22 株式会社トプコン 眼底観察装置、眼底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921201B2 (ja) 2007-02-23 2012-04-25 株式会社トプコン 光画像計測装置及び光画像計測装置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
JP5058627B2 (ja) 2007-02-26 2012-10-24 株式会社トプコン 眼底観察装置
JP4940070B2 (ja) 2007-09-10 2012-05-30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眼底観察装置、眼科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231802B2 (ja) * 2007-12-29 2013-07-10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撮影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0920A (ja) * 2009-03-02 2010-09-16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25561B2 (en) 2015-09-08
JP2014045901A (ja) 2014-03-17
US20140063451A1 (en) 2014-03-06
KR101581310B1 (ko) 2015-12-31
DE102013217112A1 (de) 2014-03-06
CN103654718A (zh) 2014-03-26
GB2507394A (en) 2014-04-30
GB2507394B (en) 2015-04-22
CN103654718B (zh) 2016-05-04
JP6188296B2 (ja) 2017-08-30
GB201315281D0 (en) 2013-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310B1 (ko) 화상 처리장치 및 화상 처리방법
JP613072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42330B2 (ja) 眼底光凝固レーザ装置
US8960904B2 (en) Optical tomograph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429447B2 (ja) 情報処理装置、比較方法、位置合わ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20156B2 (ja) 医療装置および医療システム
JP2013153791A (ja) 眼科装置、眼科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1503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57620B2 (ja) 光断層画像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光断層画像の表示方法
JP2014045869A (ja) 撮影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6418766B2 (ja) 断層画像処理装置、断層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99398B2 (ja) 眼科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5241878B2 (ja) 眼科システム、眼科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8839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221741A (ja)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3703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0068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2519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08723B2 (ja) 制御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701250B2 (ja) 眼科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7104319A (ja) 眼科装置
JP2016123722A (ja) 検査装置および検査装置の制御方法
JP2019115762A (ja) 検査装置および検査装置の制御方法
JP2019076445A (ja) 光干渉断層撮影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6093510A (ja) 眼底光凝固レー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