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180A -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180A
KR20140028180A KR1020120080664A KR20120080664A KR20140028180A KR 20140028180 A KR20140028180 A KR 20140028180A KR 1020120080664 A KR1020120080664 A KR 1020120080664A KR 20120080664 A KR20120080664 A KR 20120080664A KR 20140028180 A KR20140028180 A KR 20140028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key
information request
request signal
control module
ke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민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0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8180A/ko
Publication of KR20140028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스마트키제어모듈이 차량의 시동버튼 동작 인식에 따라 운전자 인증을 위한 식별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정보요청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스마트키제어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가 기준세기 미만인 경우,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재송출을 요청하고, 상기 스마트키제어모듈이 상기 정보요청신호 재송출 요청에 따라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변경 설정하여 재송출함에 따라 통신 성공률을 높여 차량 시동 및 운전자가 요청한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OPERATION SYSTEM FOR SMART KEY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키 동작 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식별정보 획득을 위해 스마트키로 전달되는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RSSI: Received Strength Signal Indicate)가 기준세기 미만인 경우, 정보요청신호의 재송출을 통해 통신 성공률을 높이는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키는 운전자가 별도의 키 삽입이나 작동 버튼의 조작 없이도 외부에서 도어의 개폐 및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 것으로, 휴대가 용이한 포브키(Fob Key)와 스마트카드가 대표적이다.
즉, 스마트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도어에 접근하면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별도의 키 삽입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도어를 열 수 있고, 차량에 탑승한 후에도 시동키 홈에 시동키를 삽입하는 과정 없이도 시동을 걸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키를 삽입하지 않고 시동을 걸 수 있는 스마트키/버튼시동 시스템에서 엔진 ECU는 자기 포브 인증판단 기능을 하는 스마트키제어모듈과의 통신 후 시동 승인/차단 여부를 제어하여 스마트키의 삽입 없이도 시동을 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스마트키 주변에 일정 레벨 이상의 LF(Low Frequency) 노이즈가 존재하는 경우, 스마트키에서 무선신호의 분석에 방해를 받아 차량 시동 및 운전자가 요청한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키 동작 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식별정보 획득을 위해 스마트키로 전달되는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RSSI: Received Strength Signal Indicate)가 기준세기 미만인 경우, 정보요청신호의 재송출을 통해 통신 성공률을 높임으로써, 원활한 차량 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시스템은 차량의 시동버튼 동작 인식에 따라 운전자 인증을 위한 식별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정보요청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재송출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변경 설정하여 재송출하는 스마트키제어모듈; 및 상기 스마트키제어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가 기준세기 미만인 경우,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재송출을 요청하며,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가 상기 기준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스마트키제어모듈에 송출하는 스마트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마트키제어모듈은, 상기 차량의 시동버튼 동작 인식 및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송출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상기 정보요청신호를 재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방법은, 스마트키제어모듈이 차량의 시동버튼 동작 인식에 따라 운전자 인증을 위한 식별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정보요청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단계;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스마트키제어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가 기준세기 미만인 경우,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재송출을 요청하는 재송출요청단계; 상기 스마트키제어모듈이 상기 정보요청신호 재송출 요청에 따라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변경 설정하여 재송출하는 신호재송출단계; 및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스마트키제어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가 상기 기준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스마트키제어모듈에 송출하는 식별정보송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신호재송출단계는, 상기 차량의 시동버튼 동작 인식 및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송출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상기 정보요청신호를 재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차량용 스마트키 동작 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식별정보 획득을 위해 스마트키로 전달되는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RSSI: Received Strength Signal Indicate)가 기준세기 미만인 경우, 정보요청신호의 재송출을 통해 통신 성공률을 높임으로써, 차량 시동 및 운전자가 요청한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시스템은, 차량의 시동버튼 동작 인식에 따라 스마트키의 식별정보를 요청하는 스마트키제어모듈(100) 및 운전자 인증을 위한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키(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스마트키제어모듈(100)은 스마트키(200)의 인식 및 시동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스마트키(20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기능을 탑재한다.
이러한, 스마트키제어모듈(100)은 차량의 시동버튼(300) 동작을 감지하며, 또한 엔진 ECU(400)와의 연동을 통해 차량의 시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200)는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휴대용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포브키(Fob Key)와 스마트카드가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키(200)는 스마트키제어모듈(100)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기능을 탑재하며, 해당 통신기능을 통한 식별정보 전달을 통해 외부에서 도어의 개폐 및 차량의 시동 등의 차량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키제어모듈(100)과 스마트키(200)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호간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키제어모듈(100)과 스마트키(200) 상호 간에 원활한 인터페이스를 수행을 위해선 양호한 무선환경이 보장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스마트키(200) 주변에 타 전자기기가 위치할 경우, 해당 기기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로 인해 양호한 무선 환경을 보장할 수 없으며, 이러한 무선환경은 스마트키제어모듈(100)과 스마트키(200) 상호 간의 인터페이스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키(200)로 전달되는 무선신호의 수신신호세기에 따른 재송출 요청을 통해 통신 성공률을 높이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스마트키제어모듈(100)은 운전자 인증을 위한 식별정보를 스마트키(200)에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키제어모듈(100)은 차량의 시동버튼(300) 동작 인식을 통해 운전자가 차량 시동을 시도하는 것이 확인될 경우, 운전자 인증을 위한 식별정보를 스마트키(200)에 요청한다.
이때, 스마트키제어모듈(100)은 지정된 신호세기를 갖는 정보요청신호(예: LF 주파수 125KHz 또는 134KHz)를 송출하여 스마트키(200)에 식별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키(200)는 스마트키제어모듈(1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가 기준세기 미만인 경우 정보요청신호의 재송출을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키(200)는 스마트키제어모듈(100)로부터 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수신신호세기가 기준세기 미만인 경우 해당 정보요청신호의 분석이 불가한 것으로 판단하여 스마트키제어모듈(100)에 정보요청신호의 재송출을 요청하게 된다.
이때, 스마트키(200)는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가 기준세기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정보요청신호의 분석을 통해 식별정보가 요청되는 것을 확인하게 되며, 이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스마트키제어모듈(100)에 송출하게 된다.
이에, 스마트키제어모듈(100)은 재송출 요청에 따라 정보요청신호를 재송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키제어모듈(100)은 스마트키(200)로부터의 재송출 요청에 따라 무선환경이 양호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기존의 정보요청신호의 주파수 대역(예: LF 주파수 125KHz 또는 134KHz)과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예: RF 주파수 433MHz 또는 315MHz)의 정보요청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스마트키(200)에 식별정보를 재요청하게 된다.
이때, 스마트키제어모듈(100)은 차량의 시동버튼(300) 동작 인식과 정보요청신호의 송출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정보요청신호를 재송출함으로써, 정보요청신호의 송출 동작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키(200)는 스마트키제어모듈(1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가 기준세기 이상인 경우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키(200)는 스마트키제어모듈(100)로부터 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수신신호세기가 기준세기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정보요청신호의 분석을 통해 식별정보가 요청되는 것을 확인하게 되며, 이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스마트키제어모듈(100)에 송출하게 된다.
이때, 스마트키(200)는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가 기준세기 미만인 경우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스마트키제어모듈(100)에 정보요청신호의 재송출을 요청하게 된다.
이후, 스마트키제어모듈(100)은 정보요청신호의 송출에 따라 스마트키(200)로부터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식별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인증된 사용자일 경우, 엔진 ECU(400)와의 연동을 통해 차량의 시동을 요청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용 스마트키 동작 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식별정보 획득을 위해 스마트키로 전달되는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RSSI: Received Strength Signal Indicate)가 기준세기 미만인 경우, 정보요청신호의 재송출을 통해 통신 성공률을 높임으로써, 차량 시동 및 운전자가 요청한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시동버튼(300) 동작 인식과 정보요청신호의 송출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정보요청신호를 재송출함으로써 차량 및 스마트키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스마트키제어모듈(100)은 차량의 시동버튼(300) 동작 인식을 통해 운전자가 차량 시동을 시도하는 것이 확인될 경우, 운전자 인증을 위한 식별정보를 스마트키(200)에 요청한다(S110-S120).
이때, 스마트키제어모듈(100)은 지정된 신호세기를 갖는 정보요청신호(예: LF 주파수 125KHz 또는 134KHz)를 송출하여 스마트키(200)에 식별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키(200)는 스마트키제어모듈(100)로부터 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수신신호세기가 기준세기 미만인 경우 해당 정보요청신호의 분석이 불가한 것으로 판단하여 스마트키제어모듈(100)에 정보요청신호의 재송출을 요청하게 된다(S130-S150).
이에, 스마트키제어모듈(100)은 스마트키(200)로부터의 재송출 요청에 따라 무선환경이 양호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기존의 정보요청신호의 주파수 대역(예: LF 주파수 125KHz 또는 134KHz)과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예: RF 주파수 433MHz 또는 315MHz)의 정보요청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스마트키(200)에 식별정보를 재요청하게 된다(S160-S180).
이때, 스마트키제어모듈(100)은 차량의 시동버튼(300) 동작 인식과 정보요청신호의 송출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정보요청신호를 재송출함으로써, 정보요청신호의 송출 동작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키(200)는 스마트키제어모듈(100)로부터 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수신신호세기가 기준세기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정보요청신호의 분석을 통해 식별정보가 요청되는 것을 확인하게 되며, 이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스마트키제어모듈(100)에 송출하게 된다(S190-S220).
이후, 스마트키제어모듈(100)은 정보요청신호의 송출에 따라 스마트키(200)로부터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식별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인증된 사용자일 경우, 엔진 ECU(400)와의 연동을 통해 차량의 시동을 요청하게 된다(S23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방법에 의하면, 차량용 스마트키 동작 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식별정보 획득을 위해 스마트키로 전달되는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RSSI: Received Strength Signal Indicate)가 기준세기 미만인 경우, 정보요청신호의 재송출을 통해 통신 성공률을 높임으로써, 차량 시동 및 운전자가 요청한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시동버튼(300) 동작 인식과 정보요청신호의 송출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정보요청신호를 재송출함으로써 차량 및 스마트키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경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식별정보 획득을 위해 스마트키로 전달되는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RSSI: Received Strength Signal Indicate)가 기준세기 미만인 경우, 정보요청신호의 재송출을 통해 통신 성공률을 높인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스마트키제어모듈
200: 스마트키

Claims (4)

  1. 차량의 시동버튼 동작 인식에 따라 운전자 인증을 위한 식별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정보요청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재송출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변경 설정하여 재송출하는 스마트키제어모듈; 및
    상기 스마트키제어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가 기준세기 미만인 경우,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재송출을 요청하며,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가 상기 기준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스마트키제어모듈에 송출하는 스마트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제어모듈은,
    상기 차량의 시동버튼 동작 인식 및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송출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상기 정보요청신호를 재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시스템.
  3. 스마트키제어모듈이 차량의 시동버튼 동작 인식에 따라 운전자 인증을 위한 식별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정보요청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단계;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스마트키제어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가 기준세기 미만인 경우,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재송출을 요청하는 재송출요청단계;
    상기 스마트키제어모듈이 상기 정보요청신호 재송출 요청에 따라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변경 설정하여 재송출하는 신호재송출단계; 및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스마트키제어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수신신호세기가 상기 기준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스마트키제어모듈에 송출하는 식별정보송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재송출단계는,
    상기 차량의 시동버튼 동작 인식 및 상기 정보요청신호의 송출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상기 정보요청신호를 재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방법.





KR1020120080664A 2012-07-24 2012-07-24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28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664A KR20140028180A (ko) 2012-07-24 2012-07-24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664A KR20140028180A (ko) 2012-07-24 2012-07-24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180A true KR20140028180A (ko) 2014-03-10

Family

ID=5064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664A KR20140028180A (ko) 2012-07-24 2012-07-24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81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29744A1 (en) * 2020-07-27 2022-01-27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8854A1 (en) * 2005-03-18 2006-09-21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Method to report LF remote signal strength via a RF link to an electronic control unit
JP4394132B2 (ja) * 2007-03-19 2010-01-06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電子キーシステム
KR20110004088A (ko) * 2009-07-07 2011-01-13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141807B1 (ko) * 2010-03-03 2012-05-07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자동차 스마트키 리모컨의 무선주파수 신호 세기 자동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8854A1 (en) * 2005-03-18 2006-09-21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Method to report LF remote signal strength via a RF link to an electronic control unit
US7629875B2 (en) * 2005-03-18 2009-12-08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Method to report LF remote signal strength via a RF link to an electronic control unit
JP4542597B2 (ja) * 2005-03-18 2010-09-15 シーメンス・ブイディーオー・オートモーティブ・コーポレイション Lf遠隔信号強度をrfリンクを介して電子制御ユニットに報告する方法
JP4394132B2 (ja) * 2007-03-19 2010-01-06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電子キーシステム
KR20110004088A (ko) * 2009-07-07 2011-01-13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141807B1 (ko) * 2010-03-03 2012-05-07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자동차 스마트키 리모컨의 무선주파수 신호 세기 자동 조절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4394132호(2010.01.06.)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29744A1 (en) * 2020-07-27 2022-01-27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CN114125852A (zh) * 2020-07-27 2022-03-01 株式会社东海理化电机制作所 控制装置、通信装置以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992B1 (ko)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및 휴대기
US86146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n authorized vehicle driveaway
US20170259786A1 (en) Remote Control of Vehicle Functionalities by Means of a Mobile Terminal
EP3312060A1 (en) Vehicle start method
US9811956B2 (en) Passive entry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US20140203907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1102158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zing a vehicle driveaway
US7317376B2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334562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락 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
JP5249186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US9538473B2 (en) Vehicle remote control key system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JP2017014839A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車載制御装置
US20210146885A1 (en) Car sharing system
US201302971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start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smart start system
CN108068759B (zh) 防止中继攻击的系统和方法
US9244442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motor vehicle and corresponding device
CN110562195A (zh) 中继攻击的防御
CN112188431A (zh) 车辆智能进入系统及其方法
JP5135921B2 (ja) スマート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JP2018003437A (ja) 車両用認証システム
KR20140028180A (ko) 차량용 스마트키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111123A1 (ja) 車載装置
JP2012082654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17112533A (ja) 車両通信システム、車載機、携帯機
JP5462142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