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6759A - 선박용 씨체스트 - Google Patents

선박용 씨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6759A
KR20140026759A KR1020120092291A KR20120092291A KR20140026759A KR 20140026759 A KR20140026759 A KR 20140026759A KR 1020120092291 A KR1020120092291 A KR 1020120092291A KR 20120092291 A KR20120092291 A KR 20120092291A KR 20140026759 A KR20140026759 A KR 20140026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washing water
grating portion
washing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5528B1 (ko
Inventor
윤자문
구근회
유종근
이인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2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528B1/ko
Publication of KR20140026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2013/005Sea ch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선박용 씨체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외판에 관통 형성된 해수유입구를 구비하는 해수탱크; 및 상기 해수탱크 내에 마련되어, 상기 해수유입구를 통해 선체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그레이팅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씨체스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용 씨체스트 {SEA CHEST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씨체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형성된 선박용 씨체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발라스팅(ballasing), 냉각 등에는 해수가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해수는 선외로부터 씨체스트(sea chest)를 통해 선내 유입되게 된다. 씨체스트는 선외의 해수를 선내 유입시키기 위한 일종의 개구부로서, 통상적으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선저면에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씨체스트는, 선박이 항구 등에 접안되거나 수심이 낮은 해역을 운항하는 등으로 선저면이 해저면에 인접되는 경우, 해수 중의 부유물 및 이물징을 다량 선내로 유입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선저면에 형성된 씨체스트는 해저면 근처의 해수를 유입하게 되는데, 해저면에는 토사, 각종 침전물 등이 쌓여있어 해수 유입과정에서 토사, 침전물 등이 해수와 함께 선내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선내로 유입된 토사 등의 이물질은 발라스트 탱크에 적층되거나, 발라스트수 처리시스템(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BWST)의 오작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씨체스트는 선체 외판을 관통하는 일종의 개구부인 바, 선박의 운항시에는 선체 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즉, 선체 외면을 따라 흐르는 유동흐름이 씨체스트로 인해 방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선체 저항이 소정정도 증가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0817263호 (2008년 03월 20일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해저면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한편, 운항시 선체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는 선박용 씨체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외판에 관통 형성된 해수유입구를 구비하는 해수탱크; 및 상기 해수탱크 내에 마련되어, 상기 해수유입구를 통해 선체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그레이팅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씨체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레이팅부의 저면 일측에 차단판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판은, 상기 그레이팅부의 출몰시 상기 해수유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해수유입구를 폐쇄시에는 선체 외판과 동일면을 형성하고 개폐가능한 슬릿홀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용 씨체스트는, 상기 그레이팅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그레이팅부의 잔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모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노즐은, 상기 그레이팅부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상기 그레이팅부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되, 상기 그레이팅부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모듈부는, 해수를 상기 세척노즐로 공급하는 세척수공급관; 일측이 상기 세척수공급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에 상기 세척노즐이 구비되는 세척수분사관; 및 상기 세척수분사관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용 씨체스트는, 선체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그레이팅부를 구비하는 한편, 그레이팅부의 저면 일측에 차단판을 형성함으로써, 해저면의 토사, 침전물과 같은 이물질이 선내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용 씨체스트는, 미사용시에는 차단판이 해수유입구를 폐쇄시키게 되므로, 운항시 선체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추진 효율 증대나 연료비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씨체스트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씨체스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그레이팅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단판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세척모듈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세척모듈부의 변형예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씨체스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씨체스트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씨체스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는 선체 정면 측에서 바라본 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며, 도 2에서는 해수탱크(110)의 일부를 단면 처리하여 도시하였음을 알려둔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씨체스트(100)는 발라스팅(ballasting), 냉각 등에 사용되는 해수를 선내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선체 외판(S)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씨체스트(100)는 통상적으로 선박용 씨체스트가 배치되는 선저면 인근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씨체스트(100)는, 선내에 마련되는 해수탱크(110)와, 선체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그레이팅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통상적인 선박용 씨체스트의 경우 단순히 선체 외판에 관통 형성된 개구부 등을 통해 해수를 선내 유입시키게 되는데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씨체스트(100)는 필요에 따라 선체 외측으로 출몰되는 그레이팅부(120)를 통해 해수를 선내 유입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해수탱크(110)는 선내 측에 마련된 일종의 저장공간으로, 해수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해수를 일시 저장하게 된다. 이때, 해수유입구(111)는 선체 외판(S)에 관통 형성된 개구부로, 선저면 등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해수탱크(110)에는 해수공급라인(112)이 연결되어 발라스트 탱크, 엔진룸 등으로 해수를 공급하게 된다.
그레이팅부(120)는 해수탱크(110) 내에 장착되어, 선체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그레이팅부(120)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선체 외측으로 노출되거나, 상측으로 이동되어 해수탱크(110)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이때, 그레이팅부(120)는 레일이나 랙 피니언 구조 등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그레이팅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에서는 그레이팅부(120)의 이동을 위해 랙 피니언 구조가 사용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도 3을 참고하면, 그레이팅부(120)에는 상하방향으로 랙기어(122)가 마련될 수 있으며, 해수탱크(110)의 일측에는 구동피니언기어(123)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피니언기어(123)는 랙기어(122)와 치합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미도시)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그레이팅부(120)는 구동피니언기어(123)의 구동에 따라 상하방향 또는 선내외측으로 소정정도 이동되게 된다.
다만, 그레이팅부(120)은 도 3에서 예시된 랙 피니언 구조 이외에도 레일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그레이팅부(120)는 메쉬(mesh)나 망 등의 형태로 형성되어 외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해수 유입시 상기와 같은 다수의 홀을 통해 해수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수의 홀을 통해 해수 유입시 이물질 유입이 일차적으로 차단되게 된다.
한편, 그레이팅부(120)의 저면 일측에는 차단판(121)이 마련될 수 있다. 차단판(121)은 그레이팅부(120)의 저면 일부 또는 전부를 차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단판(121)은 그레이팅부(120)의 출몰에 따라 해수유입구(111)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즉,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그레이팅부(120)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차단판(121)은 해수유입구(111)를 개방하게 되며, 그레이팅부(120)가 상측으로 소정정도 이동되는 경우, 차단판(121)은 해수유입구(111)를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차단판(121)은 해수 유입시 해저면의 이물질이 선내 유입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한편, 선박용 씨체스트(100)의 미사용시 해수유입구(111)를 폐쇄시켜 해수유입구(111)로 인한 선체 저항을 저감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레이팅부(120)가 선체 외측으로 노출되는 경우(즉, 도 1과 같은 상태), 차단판(121)은 해수유입구(111)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해수는 그레이팅부(120)에 형성된 다수의 홀 및 해수유입구(111)를 통해 해수탱크(11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그레이팅부(120)의 저면은 차단판(121)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므로, 해수는 그레이팅부(120)의 측면부를 통해 유입되게 되며, 토사 등 해저면의 이물질은 차단판(121)에 의해 해수탱크(110) 내 유입이 소정정도 차단되게 된다.
한편, 선박용 씨체스트(100)의 미사용시에는 그레이팅부(120)가 도 1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해수탱크(110) 내측에 수납되게 되며, 이와 같은 경우, 차단판(121)은 해수유입구(111)를 폐쇄시키게 된다. 해수유입구(111)는 선체 외판(S)에 형성된 일종의 개구부인 바, 선박의 운항시에는 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차단판(121)이 해수유입구(111)를 폐쇄시키는 경우에는 해수유입구(111)로 인한 선체 저항이 소정정도 저감될 수 있으며, 나아가, 추진 효율 향상이나 연료 절감 등의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저항 저감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차단판(121)은 선체 외판(S)과 동일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차단판(121)이 해수유입구(111)를 폐쇄시 차단판(121)이 돌출되거나, 유선형의 선체에 단차 등이 형성되지 않도록, 차단판(121)과 인접한 선체 외판(S)이 서로 동일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단판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필요에 따라, 차단판(121)에는 개폐 가능한 슬릿홀(121a)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차단판(121)에는 복수개의 슬릿홀(121a)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슬릿홀(121a)은 커버부재(121b)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121b)는 힌지 결합이나 슬라이드 결합 등을 통해 차단판(121)에 체결되어, 슬릿홀(121a)을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개폐 가능한 슬릿홀(121a)은, 그레이팅부(120)가 선체 외측으로 이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해수의 선내 유입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와 같은 경우, 그레이팅부(120)가 해수탱크(110)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도, 슬릿홀(121a)이 개방되면, 해수가 선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의 운항시나 적은 양의 해수를 유입시에는, 간편하게 슬릿홀(121a)만을 개방하여, 해수를 선내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씨체스트(100)는 세척모듈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모듈부(130)는 그레이팅부(120)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그레이팅부(120)에 적층되거나 끼인 잔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즉, 그레이팅부(120)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그레이팅부(120)에 이물질이 끼이거나 적층될 수 있는 바, 세척모듈부(130)는 상기와 같이 그레이팅부(120)에 잔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세척모듈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세척모듈부(130)는, 세척수의 공급을 위한 세척수공급관(131),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세척수분사관(132),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33), 세척수분사관(132)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공급관(131)은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를 공급한다. 이때, 세척수공급관(131)은 해수탱크(110) 내 해수를 흡입하여 공급할 수 있다. 즉, 세척수공급관(131)은 해수탱크(110) 내의 해수를 세척수분사관(132)이나 분사노즐(133)로 공급하여 필요한 세척수를 설비 내에서 충당할 수 있다.
세척수분사관(132)은 세척수공급관(131)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세척수분사관(132)은 세척수공급관(13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세척수분사관(132)은 도 4에 도시된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세척수분사관(132)은 회전 반경 방향으로 절곡되어 수평관부(132a)와 수직관부(132b)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분사관(132)이 도 4의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시, 분사노즐(133)이 배치된 수직관부(132b)는 소정정도의 회전 반경을 가지고 회전하게 된다.
한편, 세척수분사관(132)은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세척수분사관(132)은 복수개의 세척수분사관유닛(132c)이 안테나나 망원경과 같은 형태로 상호 겹침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세척수분사관(132)의 미사용시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분사노즐(133)은 세척수분사관(132)에 마련되어, 그레이팅부(120)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사노즐(133)은 세척수분사관(132)의 수직관부(132b)에 배치될 수 있으며, 수직관부(132b)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분사노즐(133)은 그레이팅부(1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레이팅부(12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그레이팅부(120)의 외면에 끼인 이물질 등은 세척수의 분사에 의해 그레이팅부(120)에서 제거되게 된다.
한편, 분사노즐(133)은 그레이팅부(12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분사노즐(133)이 세척수분사관(132)의 수직관부(132b)에 배치되어, 세척수분사관(132)의 회전에 의해 그레이팅부(12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세척수분사관(132)의 회전을 통해, 분사노즐(133)은 그레이팅부(120)의 각 부위에 고르게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게 된다.
구동부(134)는 세척수분사관(132)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부(134)는 세척수공급관(131)에 장착되는 구동모터(134a), 구동모터(134a)의 스핀들에 마련되는 제 1 기어(134b), 세척수분사관(132)에 마련되어 제 1 기어(134b)와 치합되는 제 2 기어(134c)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구동모터(134a)의 회전 구동력은 제 1, 2 기어(134b, 134c)를 통해 세척수분사관(132)으로 전달되어 세척수분사관(132)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세척모듈부(130)는 해수탱크(110) 내 해수를 분사노즐(133)을 통해 그레이팅부(120)로 분사함으로써 그레이팅부(120)에 끼인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하도록 한다. 따라서 그레이팅부(120)는 일정기간 사용 후에는 세척모듈부(130)에 의해 정기적으로 세척될 수 있으며, 그레이팅부(120)에 끼인 이물질 등이 해수탱크(110) 내로 유입되거나, 이물질 등으로 인해 해수의 유입이 방해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세척모듈부의 변형예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의 (a)를 참고하면, 세척모듈부(130)는 세척수공급관(131)이 복수개로 분지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분지된 각각의 세척수공급관(131)에 분사노즐(133)이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를 참고하면, 세척모듈부(130)는 세척브러쉬(135)를 구비할 수 있다. 세척브러쉬(135)는 분사노즐(133) 대신에 구비되거나, 필요에 따라, 분사노즐(133)과 함께 구비될 수 있으며, 세척수공급관(131)의 회전시 그레이팅부(120)의 내주면을 스위핑(sweeping)하여, 그레이팅부(120)에 끼이거나 점착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씨체스트(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씨체스트(100)는 해수 유입 여부에 따라, 그레이팅부(120)가 선체 외측으로 노출되거나, 그레이팅부(120)가 해수탱크(110) 내 수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발라스팅이나 냉각 등을 위하여 해수를 선내 유입시킬 경우, 그레이팅부(120)는 선체 외측으로 노출되며, 차단판(121)이 해수유입구(111)를 개방하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상태). 해수유입구(111)가 개방됨에 따라 해수는 해수탱크(110) 내로 유입되게 되며, 유입 과정에서 그레이팅부(120)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되게 된다. 이때, 그레이팅부(120)의 저면에는 차단판(121)이 구비되므로, 해저면의 토사나 침전물 등이 직접 해수유입구(111)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해수 유입이 필요 없는 경우, 그레이팅부(120)는 선내 측으로 이동되어 해수탱크(110) 내에 수납되게 되며, 차단판(121)은 해수유입구(111)를 폐쇄하게 된다 (즉, 도 1에서 그레이팅부(120)가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 이때, 차단판(121)은 해수유입구(111)를 폐쇄하는 한편, 선체 외판(S)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해수유입구(111)로 인한 저항을 저감시키게 된다.
또한, 그레이팅부(120)는 일정기간 사용 후에는 세척모듈부(13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세척모듈부(130)는 분사노즐(133)을 통해 그레이팅부(120)로 세척수를 분사하거나, 세척브러쉬(135)를 통해 그레이팅부(120)의 내측면을 스위핑하여, 그레이팅부(120)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씨체스트(100)는 그레이팅부(120) 및 차단판(121)을 통해 해수 유입시 이물질의 선내 유입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그레이팅부(120)는 해수 유입시에만 선택적으로 선체 외측으로 이동되어 해수유입구(111)를 개방하게 되며, 저면이 차단판(121)에 의해 차폐되어 측면부로만 해수를 유입시키게 되므로, 해저면의 토사나 침전물 등이 직접 선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씨체스트(100)는 미사용시에는 그레이팅부(120)가 선내 측으로 이동되어 해수탱크(110) 내 수납되며, 차단판(121)이 해수유입구(111)를 폐쇄하게 되므로, 해수유입구(111)로 인한 선체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추진 효율 증대나 연료 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선박용 씨체스트 110: 해수탱크
120: 그레이팅부 130: 세척모듈부

Claims (5)

  1. 선체 외판에 관통 형성된 해수유입구를 구비하는 해수탱크; 및
    상기 해수탱크 내에 마련되어, 상기 해수유입구를 통해 선체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그레이팅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씨체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부의 저면 일측에 차단판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판은,
    상기 그레이팅부의 출몰시 상기 해수유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해수유입구를 폐쇄시에는 선체 외판과 동일면을 형성하고, 개폐가능한 슬릿홀이 마련되는 선박용 씨체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그레이팅부의 잔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모듈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씨체스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세척노즐은,
    상기 그레이팅부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상기 그레이팅부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되, 상기 그레이팅부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선박용 씨체스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세척모듈부는,
    해수를 상기 세척노즐로 공급하는 세척수공급관;
    일측이 상기 세척수공급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에 상기 세척노즐이 구비되는 세척수분사관; 및
    상기 세척수분사관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씨체스트.
KR1020120092291A 2012-08-23 2012-08-23 선박용 씨체스트 KR101505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291A KR101505528B1 (ko) 2012-08-23 2012-08-23 선박용 씨체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291A KR101505528B1 (ko) 2012-08-23 2012-08-23 선박용 씨체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759A true KR20140026759A (ko) 2014-03-06
KR101505528B1 KR101505528B1 (ko) 2015-03-24

Family

ID=50641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291A KR101505528B1 (ko) 2012-08-23 2012-08-23 선박용 씨체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5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9857A (zh) * 2016-04-28 2016-07-27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用高效进水装置
KR20170001504U (ko) 2015-10-20 2017-04-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차단장치를 포함하는 씨체스트
CN115158544A (zh) * 2022-06-23 2022-10-11 友联船厂(蛇口)有限公司 一种防护格栅、防鱼装置及船舶
KR20230023910A (ko) * 2021-08-11 2023-02-20 에이엘조선주식회사 유동 저감 시스템을 구비한 바지선
CN117550015A (zh) * 2023-11-02 2024-02-13 北京威浮科技有限责任公司 船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2428A (ko) 2021-06-01 2022-12-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씨체스트 환기밸브
KR20220164344A (ko) 2021-06-04 2022-12-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씨체스트 환기시스템
KR20220164318A (ko) 2021-06-04 2022-12-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씨체스트 환기밸브
KR20220169730A (ko) 2021-06-21 2022-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씨체스트 환기밸브
KR20220169720A (ko) 2021-06-21 2022-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씨체스트 환기시스템
KR20220169714A (ko) 2021-06-21 2022-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씨체스트 환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740B1 (ko) * 2009-07-03 2011-09-16 (주)동청매 선박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10033676A (ko) * 2009-09-25 2011-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수 유입 차단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504U (ko) 2015-10-20 2017-04-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차단장치를 포함하는 씨체스트
CN105799857A (zh) * 2016-04-28 2016-07-27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用高效进水装置
KR20230023910A (ko) * 2021-08-11 2023-02-20 에이엘조선주식회사 유동 저감 시스템을 구비한 바지선
CN115158544A (zh) * 2022-06-23 2022-10-11 友联船厂(蛇口)有限公司 一种防护格栅、防鱼装置及船舶
CN115158544B (zh) * 2022-06-23 2024-02-20 友联船厂(蛇口)有限公司 一种防护格栅、防鱼装置及船舶
CN117550015A (zh) * 2023-11-02 2024-02-13 北京威浮科技有限责任公司 船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528B1 (ko) 201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6759A (ko) 선박용 씨체스트
KR101686377B1 (ko) 해조류 세척장치
KR101461719B1 (ko) 자동 역세척 필터 장치
CN105799863B (zh) 船用海水供给系统
KR200186618Y1 (ko) 선박을 이용한 어류 축양장
JP5485462B1 (ja) ドラムスクリーン
FR2475925A1 (fr) Ensemble agitateur de fluides
JPH09123992A (ja) 船舶のシーチェスト内における海洋生物付着防止方法および防止構造
CN205737976U (zh) 船用海水供给系统
KR20090068950A (ko) 선박 발라스트 탱크의 침전물 제거장치
KR20170001504U (ko) 차단장치를 포함하는 씨체스트
CN107413734A (zh) 一种盆栽除尘过滤装置
KR101627716B1 (ko) 스크류 타입의 피처리수 여과장치
CN205220989U (zh) 一种船舶排水装置
CN111514638A (zh) 一种船用过滤装置
JP4714874B2 (ja) タンカー用少水量型タンク洗浄装置
KR101741831B1 (ko) 선박
CN214648957U (zh) 一种船舶喷水推进装置
KR100742645B1 (ko) 방파제의 항내수 배출장치
KR102040053B1 (ko) 스퍼드캔
CN109537665B (zh) 一种挖泥船
KR102632195B1 (ko) 선별 세척 시설이 설치된 해사 채취 운반선
RU2783541C2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аквариума
CN213921418U (zh) 泵吸式拖网打捞船
CN207307356U (zh) 固液分离机滤网清洗用水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