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5604A - 방수 커넥터용 단자 - Google Patents

방수 커넥터용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5604A
KR20140025604A KR1020147002019A KR20147002019A KR20140025604A KR 20140025604 A KR20140025604 A KR 20140025604A KR 1020147002019 A KR1020147002019 A KR 1020147002019A KR 20147002019 A KR20147002019 A KR 20147002019A KR 20140025604 A KR20140025604 A KR 20140025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terminal
waterproof connector
waterproof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지 쿠츠나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5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4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square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방수 플러그를 통해 삽입되는 방수 커넥터용 단자가 제공된다. 단자의 감합관부는 사각관 형상을 구비하고 제 1 내지 제 3 벽을 포함한다. 제 1 벽은 단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구비한다. 제 2 벽은 제 1 벽에 직교하여 상기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제 1 벽에 대해 대향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에지를 구비한다. 제 3 벽은 제 1 벽에 대향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2 벽의 측면 에지와 접촉하는 측면 에지를 구비한다. 결합편은 제 3 벽에 직교하여 제 3 벽의 측면 에지로부터 연장되어 제 2 벽을 포갠다. 제 2 벽은 결합편을 수용하는 오목편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방수 커넥터용 단자{TERMINAL FOR WATERPROOF CONNECTOR}
본 발명은 방수 커넥터용 단자에 관한 것으로, 방수 커넥터에 부착된 방수 플러그에 삽입된다.
도 5는 이하 기재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방수 커넥터(110)를 도시한다.
방수 커넥터(110)는 수지 하우징(111)에 형성된 단자 삽입 구멍(112)의 기단측에 제공된되는 방수 플러그(120)를 구비한다.
방수 플러그(120)는 감합관부(131) 측으로부터 단자 삽입 구멍(112)에 삽입되어 부착되는 방수 커넥터용 단자(130)에 감합되어, 방수 커넥터용 단자(130)에 접속된 전선(140)을 통해 수지 하우징(111)으로 빗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방수용 커넥터 단자(130)는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되는 암형 단자이며, 상대 수형 단자가 감합되는 감합관부(131)와 감합관부(131)의 후단과 통합적으로 형성되고 전선(140)이 접속되는 전선 접속부(132)를 포함한다.
감합관부(131)는 금속판의 굽힘 가공에 의해 상대 단자 금구가 감합되는 사각관 구조로 형성된다.
감합관부(113)가 형성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관구조를 형성하는 우, 좌, 상 및 하면의 네 개의 측벽(341,342,143,144) 중 전개 상태에서 양 단부가 되는 측벽(341,144)의 측면 에지가 서로 맞대어 있다.
도 6에서, 측면 에지가 서로 맞대어 있는 측벽(341,144) 한 쌍 중 일 측벽(321)은 감합관부(131)에서 우측벽이고 타측벽(144)은 감합관부(131)에서 상측벽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방수 커넥터용 단자(130)의 경우, 측면 에지를 서로 맞대는 측벽(341, 144)이 측벽(341,144)의 스프링 백(spring back)으로 인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맞대고 있는 한 쌍의 측벽(341, 144) 중 일 측벽(341)에 형성된 결합편(145)이 타 측벽(144) 위에 접힌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방수 커넥터용 단자(130)의 경우, 결합편(145)이 타측벽(144)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도 7 및 도 8은 이하 기재되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방수 커넥터용 단자(230)를 도시한다.
방수 커넥터용 단자(230)는 또한 도 5에 도시된 방수 커넥터용 단자(130)와 유사하게 금속판의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사각관 구조를 구비하는 감합관부(231) 측으로부터 방수 플러그로 삽입되는 암형 단자이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감합관부(231)에서, 우측벽(241), 하측벽(242), 좌측벽(243) 및 상측벽(244)은 사각관 구조의 네 개의 측벽을 형성한다. 감합관부(231)의 경우, 우측벽(241)에서, 우측벽(244)의 하면에 적층된 결합판부(245)가 연장된다.
결합판부(245)에서, 좌측벽(243)의 측면 에지에서 돌출하는 결합편(246)이 좌측벽(243)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결합구멍(251)으로 감합되어, 결합판부(245)는 좌측벽(243)에 연결된다. 그리고, 결합편(246)은 결합구멍(251)에 감합되어 결합판부(245)를 좌측벽(243)에 연결시킨다. 따라서, 감합관부(231) 개방은 방지된다.
JP-A-2008-4471 JP-8-7964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방수 커넥터용 단자(130)에서와 같이, 감합관부(131)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편(145)이, 감합관부(131)의 외면에서 돌출한 구조에서, 방수 커넥터용 단자(130)가 방수 플러그로 삽입되면, 결합편(145)은 방수 플러그의 내면을 긁어 방수 플러그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이 때, 방수 플러그에 의한 방수성은 방수 플러그 손상으로 인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방수 커넥터용 단자(230)에서와 같이, 감합관부(231)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결합편(246)이 결합구멍(251)으로 감합되는 작업을 이용하는 구조에서, 결합편(246)은 외면으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방수 플러그는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방수 커넥터용 단자(230) 구조에서, 결합편(145)이 인접측벽상에 단순히 접힌 구조와 비교하여, 고도의 가공 정밀도가 요구되므로, 가공 정밀도 향상을 위해 생산비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유리한 양태는 방수 플러그 손상을 방지하고 단자가 방수 플러그로 삽입될 때 방수성 저하를 방지하며, 가공 정밀도를 완화시켜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수 커넥터용 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유리한 양태에 따라, 방수 커넥터에 부착된 방수 플러그를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방수 커넥터용 단자가 제공되며, 상기 단자는:
사각관 형상을 구비하는 감합관부; 및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감합관부의 단부에 제공되며 전선과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전선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합관부는,
상기 단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구비하는 제 1 벽;
상기 제 1 벽에 직교하여 제 1 벽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제 1 벽의 대향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에지를 구비하는 제 2 벽: 및
제 1 벽에 대향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에지를 구비하고 제 2 벽의 측면 에지를 접촉하는 제 3 벽을 포함하며,
결합편이 제 3 벽에 직교하여 제 3 벽의 측면 에지로부터 연장되어 제 2 벽을 포개어 덮고,
제 2 벽은 결합편을 수용하는 오목부로 형성된다.
방수 커넥터용 단자는 이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제 2 벽은 외층 및 외층을 포개어 덮는 내층을 포함한다. 외층은 제 1 벽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결합편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노치부를 포함한다. 내층은 접힌 방식으로 제 2 벽의 측면 에지로부터 연장되고, 결합 편의 대응위치에 외면을 포함하여 오목부는 노치부 및 외면에 의해 정의된다.
오목부는 결합편의 두께보다 큰 깊이를 가지므로 결합편은 제 2 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감합관부 및 결합편은 판부재를 굽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수 커넥터용 단자에서, 감합관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3 벽에서 돌출하고 제 2 벽 위에 접힌 결합편들은 제 2 벽에 제공된 오목부에 수용되고, 제 2 벽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방수 커넥터용 단자가 방수 플러그로 삽입되면, 결합편은 방수 플러그를 손상시키지 않으므로, 방수성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감합관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편들이 단순 가공에 의해 단순히 인접벽 위에 접히기 때문에, 고도의 가공 정밀도는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공 정밀도를 경감하여 생산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 2 벽은 이층 구조(TWO-LAYERED STRUCTURE)를 구비하여 내층 물질이 외층 물질의 배면상에 적층된다. 따라서, 결합편에 겹쳐지는 외면을 제공하는 외층 물질 영역이 절단되면, 결합편이 수용되는 오목부가 간단하게 확보된다. 따라서, 감합관부의 형성성(formational property)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방수 커넥터 단자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수 커넥터의 단자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수 커넥터의 단자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결합편이 그 위에 접힌 오목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방수 커넥터와 방수 커넥터용 종래의 단자를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방수 커넥터용 단자에서 개방 방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방수 커넥터용 종래의 타 단자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방수 커넥터용 단자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커넥터용 단자의 실시예는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라 방수 커넥터용 단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방수 커넥터용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수 커넥터용 단자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수 커넥터용 단자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결합편이 그 위에 접힌 오목부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의 방수 커넥터용 단자(1)는 금속판(판부재)의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된 암형 단자이고, 상대 수형 단자가 감합되는 감합관부(10)와 감합관부(10)의 후단과 통합적으로 형성되고 전선이 압착되는 전선 접속부(20)를 포함한다.
감합관부(10)는 금속판의 굽힘 가공에 의해 상대 단자 금구가 감합되는 사각관 구조로 형성된다. 전선 접속부(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의 도체에 압착되는 도체 압착편(21) 및 전선을 고정하기 위해 전선의 외피 상에 압착되는 피복 압착편(22)을 포함한다.
감합관부(10)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관 구조를 형성하는 우측부, 좌측부, 상측부 및 하측부에서 4 개의 면의 측벽들(11,12,13,14)로서 판부재들은 펼쳐진 상태에서 순서대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측벽(11, 제 3 벽)은 사각관구조가 형성되면 우측부의 측벽이 된다. 또, 측벽(12)은 사각관구조가 형성되면 하측부의 측벽이 된다. 측벽(13, 제 1 벽)은 사각관구조가 형성되면 좌측부의 측벽이 된다. 측벽(14, 제 2 벽)은 사각관구조가 형성되면 상측부의 측벽이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 네 개 면의 측벽(11,12,13,14)이 굽힘 가공에 의해 사각관 구조로 형성되면, 전개 상태에서 양단부에서 측벽(11,14)의 측면 에지가 서로 맞닿게 된다.
측면 에지가 서로 맞닿는 측벽(11,14)의 한 쌍 중 우측벽인 일 측벽(11)에서, 결합편(151,152)은 돌출한다.
결합편(151,152)은 감합관부(10)의 전단측과 후단측에서 제공된다. 측벽(11)에서 돌출한 결합편(151,152)은 측벽(11,14)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 측벽(14) 위에서 접힌다.
측면 에지가 서로 맞닿는 측벽(11,14)의 한 쌍 중 타 측벽(1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층 물질(141)과 내층 물질(142)을 포함한다.
외층 물질(141)은 직사각 관구조가 타 측벽(14)의 외면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때 일 측벽(11)에 대향하는 좌측벽(13)의 측면 에지로부터 연장된다.
내층 물질(142)은 외층 물질(141)로부터 연장되고 외층 물질(141)의 배면 위에서 접혀 판 재료가 이층 구조로 적층되는 타 측벽(14)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층 물질(141)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편 (151,152)에 겹쳐진 영역이 절단된 절단부(노치부, 141a, 142b)가 형성된다. 네 개의 면의 측벽(11,12,13,14)이 관형 구조로 형성될 때, 절단부(141a,142a)가 형성되기 때문에, 외층 물질(141)의 배면 위에 접힌 내층 물질(142)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되고 외층 물질(141)로부터 일 단차로 우묵하게 들어간 오목부(14a,14b)가 형성된다.
네 개 면의 측벽(11,12,13,14)은 각각 관형 구조로 형성되고, 결합편(151,152)들이 타 측벽(14)위로 접힐 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측벽(14)의 외면 바깥쪽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결합편(151,152)들이 오목부(14a,14b)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오목부(14a,14b)는 결합편(151,152)의 두께보다 큰 깊이를 구비하여 결합편(151,152)은 측벽(14)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의 방수 커넥터에 대한 상기 단자(1)는 감합관부(10)측으로부터 방수 커넥터에 부착된 방수 플러그로 삽입된다.
일 실시예의 방수 커넥터용 상기 단자(1)에서, 감합관부(1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 측벽(11)에서 돌출하고 타 측벽(14)위로 접힌 결합편(151,152)이 타 측벽(14)에 제공된 오목부(14a,14b)에 수용되고 타 측벽(14)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방수 커넥터용 단자(1)가 방수 플러그로 삽입되면, 결합편(151,152)은 방수 플러그를 손상시키지 않으며, 따라서 방수성은 저하되지 않는다.
또, 감합관부(1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편(151,152)들이 간단한 가공에 의해 간단하게 인접 측벽(11,12,13,14) 위로 접히기 때문에, 고도의 가공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공 정밀도 경감으로 인해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실시예의 방수 커넥터용 단자(1)의 경우, 타 측벽(14)이 내층 물질(142)이 외층 물질(141) 배면에 적층된 이층 구조를 구비한다. 따라서, 결합편(151,152)상에 겹쳐진 외면을 제공하는 외층 물질(141)의 영역이 절단되면, 결합편(151,152)이 수용되는 오목부(14a,14b)는 간단하게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감합관부(10)의 형성성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방수 커넥터의 단자는 상기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히 개선되고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편(151,152)이 수용되는 오목부(14a,14b)는, 판재료의 일부를 사각관 구조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 경우, 타 측벽(14)은 이층 구조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상기 실시예는 단순히 본 발명의 전형적인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이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본질적 특징들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되고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1년 7월 25일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2011-162468에 기초하였으며, 그 내용은 참고적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방수 커넥터용 단자에 따르면, 단자가 방수 플러그로 삽입될 때 방수 플러그가 손상되어 방수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고 가공 정밀도 경감으로 인해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1 : 방수 커넥터용 단자
2 : 감합관부
3 : 전선 접속부
11,12,13,14 : 측벽
14a,14b : 오목부
141 : 외층물질
141a,142b : 절단부
142 : 내층물질
151,152 : 결합편

Claims (4)

  1. 방수 커넥터용 단자로서, 방수 커넥터에 부착된 방수 플러그를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자는;
    사각관 형상을 구비하는 감합관부; 및
    길이 방향으로 감합관부의 단부에 제공되며 전선과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전선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합관부는,
    상기 단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구비하는 제 1 벽;
    상기 제 1 벽에 직교하여 상기 제 1 벽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벽에 대해 대향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에지를 구비하는 제 2 벽; 및
    상기 제 1 벽에 대향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2 벽의 상기 측면 에지와 접촉하는 측면 에지를 구비하는 제 3 벽을 포함하고,
    결합편은 상기 제 3 벽에 직교하여 상기 제 3 벽의 상기 측면 에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벽을 포개며,
    상기 제 2 벽은 상기 결합편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용 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벽은 외층 및 외층을 포개는 내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층은 상기 제 1 벽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결합편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노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층은 접힌 방식으로 상기 제 2 벽의 상기 측면 에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결합편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외면을 포함하여 오목부는 상기 노치부와 상기 외면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용 단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결합편의 두께보다 큰 깊이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편은 상기 제 2 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용 단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관부 및 상기 결합편은 판부재를 굽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용 단자.
KR1020147002019A 2011-07-25 2012-07-25 방수 커넥터용 단자 KR201400256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62468A JP2013026155A (ja) 2011-07-25 2011-07-25 防水コネクタ用端子
JPJP-P-2011-162468 2011-07-25
PCT/JP2012/069529 WO2013015449A1 (en) 2011-07-25 2012-07-25 Terminal for Waterproof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604A true KR20140025604A (ko) 2014-03-04

Family

ID=46750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019A KR20140025604A (ko) 2011-07-25 2012-07-25 방수 커넥터용 단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141662A1 (ko)
JP (1) JP2013026155A (ko)
KR (1) KR20140025604A (ko)
CN (1) CN103718390A (ko)
DE (1) DE112012003125T5 (ko)
WO (1) WO20130154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0709A (ja) * 2013-03-05 2014-09-18 Sumitomo Wiring Syst Ltd 雌端子金具
JP2015159094A (ja) * 2014-02-25 2015-09-03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
USD781239S1 (en) * 2014-03-25 2017-03-14 Molex, Llc Terminal fitting for electric connector
USD795199S1 (en) 2014-03-25 2017-08-22 Molex, Llc Retainer for electric connector
DE102015201635A1 (de) 2015-01-30 2016-08-04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element und Bestückungsanordnung mit selbigem
CN110073555B (zh) * 2017-01-23 2021-04-27 莫列斯有限公司 电端子以及连接器组件
JP1599728S (ko) * 2017-07-07 2018-03-19
JP6812923B2 (ja) * 2017-07-27 2021-01-13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7052665B2 (ja) * 2018-10-02 2022-04-1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雌端子
JP2024502266A (ja) * 2020-12-22 2024-01-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電気端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9418B2 (ja) * 1994-04-20 2000-12-18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用端子
ES1030213Y (es) * 1995-02-21 1996-01-16 Mecanismos Aux Ind Terminal perfeccionado.
JP3480693B2 (ja) * 1999-03-16 2003-12-22 住友電装株式会社 雌側端子金具
JP2002075519A (ja) * 2000-09-04 2002-03-15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
FR2844104A1 (fr) * 2002-08-27 2004-03-05 Framatome Connectors Int Borne de contact munie d'une lame de contact elastique
JP4379231B2 (ja) * 2004-07-07 2009-12-09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JP4482823B2 (ja) * 2005-12-26 2010-06-16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08004471A (ja) 2006-06-26 2008-01-1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防水コネクタ、コネクタアセンブリ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CN101453072A (zh) * 2007-05-08 2009-06-10 泰科电子公司 电气接触器
US7530859B2 (en) * 2007-05-08 2009-05-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JP5168129B2 (ja) * 2008-12-22 2013-03-2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4980437B2 (ja) 2010-02-08 2012-07-18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フラーレン誘導体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アレルゲン吸着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26155A (ja) 2013-02-04
DE112012003125T5 (de) 2014-04-10
CN103718390A (zh) 2014-04-09
WO2013015449A1 (en) 2013-01-31
US20140141662A1 (en) 201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5604A (ko) 방수 커넥터용 단자
JP5771094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5506439B2 (ja) コネクタ
JP6729272B2 (ja) コネクタ構造
JP4553953B2 (ja) 防水構造及び防水コネクタ
JP4030954B2 (ja) レセプタクル電気コネクタ
JP2010257759A (ja) 端子金具
JP2007287360A (ja) バネ出し雌端子
CN103563181A (zh) 端子接头
JP6372428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3745634B2 (ja) 端子金具
US9350119B2 (en) Wrong insertion preventive structure of connector
CN103403974B (zh) 连接器
EP1689032B1 (en) A terminal fitting, a plate material therefor and a method of forming it
JP6410389B2 (ja) 雌型端子
JP4379231B2 (ja) 雌端子金具
JP6352676B2 (ja) コネクタ
JP5626118B2 (ja) コネクタ
JP2009117379A (ja) 端子金具
CN111480270B (zh) 屏蔽端子
JP2014229463A (ja) コネクタ
KR101237222B1 (ko) 리셉터클의 실드 케이스
CN110800166A (zh) 基板用连接器及电路基板和基板用连接器的连接结构
JP6286385B2 (ja) コネクタ
JP5367654B2 (ja) メス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