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5014A -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 - Google Patents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5014A
KR20140025014A KR1020120090941A KR20120090941A KR20140025014A KR 20140025014 A KR20140025014 A KR 20140025014A KR 1020120090941 A KR1020120090941 A KR 1020120090941A KR 20120090941 A KR20120090941 A KR 20120090941A KR 20140025014 A KR20140025014 A KR 20140025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coupling
coupled
modular uni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3211B1 (ko
Inventor
허병욱
박금성
배규웅
임석호
이상섭
홍성엽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90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211B1/ko
Publication of KR20140025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은 기둥, 보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모듈러 유닛에 있어서, 일단부는 기둥의 상단부에서 기둥 단면의 중공부로 인입되어 결합되고 타단부는 기둥의 상단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기둥 연결구와, ㄱ자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기둥과 보의 연결부 외측면에 결합되는 외측 결합부와, 상기 외측 결합부의 내측모서리에 삼각형 형상의 가새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 플레이트가 기둥과 보의 연결부의 외측면에 결합 구성되고, 모듈러 유닛 간의 결합시에 하부 모듈러 유닛의 기둥의 기둥 연결구가 상부 모듈러 유닛의 기둥의 하부의 중공부로 인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유닛 간의 수직 결합을 함으로써, 시공 오차를 줄일 수 있어 제작정 및 안정성을 확보하고 하중 전달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기둥과 보의 결합부에 연결 플레이트를 결합 구성하여 구조물 전체의 횡력저항성을 증대시키고, 기둥과 보의 접합부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노출된 모듈러 유닛 간의 연결 플레이트를 통하여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여 초고층형 구조물에 적용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Modular unit for super high-rise structure}
본 발명은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둥과 보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모듈러 유닛에 있어서, 기둥의 상부에 기둥 연결구를 형성하여 상부 유닛의 기둥 하부의 중공부에 끼워 유닛 간의 수직 결합을 함으로써, 시공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안정성을 확보하고 하중 전달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기둥과 보의 결합부에 가새 플레이트를 결합 구성하여 구조물 전체의 횡력저항성을 증대시키고, 기둥과 보의 접합부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노출된 모듈러 유닛 간의 연결 플레이트를 통하여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여 초고층형 구조물에 적용이 가능한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에 관한 것이다.
"철골조 모듈러 유닛 주택"은 고품질의 주택을 자원의 재활용을 도모하는 한편, 일정 품질을 확보하고, 많은 고객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서는 완성도가 높은 박스형 철골조를 공장에서 생산하고, 현장에서는 최소한의 공정으로 단기간에 완성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철골조 유닛 모듈러 주택은 공장생산부재이니 만큼 손실(Loss)이 적고 재사용 및 재생사용에 가장 적합한 주택생산방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기둥 및 보를 브라켓, 용접 등의 접합방식으로 결합하였다. 이는 응력전달이 불명확할 뿐만 아니라, 강판, 볼트량 증가 및 용접량 과다로 열변형 등의 문제와 이에 따른 시공조립오차의 발생 및 조인트 부분의 성능저하로 고층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923637호 "보강형 연결구조를 갖는 건축 모듈러 유닛"(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사각형 형태로 배치된 네 개의 강재 기둥(2)과, 상기 각 기둥(2) 상부를 연결하며, 천장상부수평부(3a), 천장수직부(3b), 천장하부수평부(3c)로 구성된 다수 개의 강재 잔넬 천장보(3)와, 상기 각 기둥(2) 하부를 연결하고, 바닥상부수평부(4a), 바닥수직부(4b), 바닥하부수평부(4c)로 구성된 다수 개의 강재 잔넬 바닥보(4)로 구성된, 장방형의 건축 모듈러 유닛(1)에 있어서, 상기 각 기둥(2)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상단과 하단에 마구리판(40)이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마구리판(40)과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의 절개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마구리판(40)에는 제1볼트삽입홀(41)이 형성되어 있고, 절개홀 내측으로 "ㄷ"형태의 단면을 갖는 보강부재(10)가 삽입되어 기둥(2)에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천장상부수평부(3a)에는 고정구하부삽입홀(51)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하부수평부(4c)에는 고정구하부삽입홀(51)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구상부삽입홀(50)이 고정구하부삽입홀(51)과 수직선상에서 일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제1볼트삽입홀(41)과 수직선상에서 일치되도록 제2볼트삽입홀(2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고정구하부 삽입홀(51) 중심과 일치되며, 고정구상부삽입홀(50) 내경에 대응되는 고정구삽입홀(22)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판(20)이 마구리판(40)에 접하여 설치되어 제1볼트삽입홀(41)과 제2볼트삽입홀(21)을 고정력볼트가 관통하여 체결되고, 원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원뿔부(31)와, 상부원뿔부(31) 하부에 형성되어 고정구상부삽입홀(50)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상부원통부(32)와, 상부원통부(32) 하부에 형성되되 고정구하부삽입홀(51)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하부원통부(33)와, 하부원통부(33) 하부에 원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원뿔부(34)로 구성된 위치고정구(30)가, 고정구하부삽입홀(51)에 하부원통부(33)가 삽입되고, 연결판(20)의 고정구삽입홀(22)에 상부 원통부(32)가 순서대로 삽입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형 연결구조를 갖는 건축 모듈러 유닛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구조가 복잡하고, 수직결합 및 수평결합이 매우 어려웠으며, 보 및 기둥의 결합이 긴결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일체화되지 않기 때문에 모듈러 유닛끼리의 결합시에도 모듈러 유닛의 하중의 원활한 전달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횡력저항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0923637호 "보강형 연결구조를 갖는 건축 모듈러 유닛"
본 발명은 기둥과 보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모듈러 유닛에 있어서, 기둥의 상부에 기둥 연결구를 형성하여 상부 유닛의 기둥 하부의 중공부에 끼워 유닛 간의 수직 결합을 함으로써, 시공 오차를 줄일 수 있어 제작정 및 안정성을 확보하고 하중 전달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기둥과 보의 결합부에 가새 플레이트를 결합 구성하여 구조물 전체의 횡력저항성을 증대시키고, 기둥과 보의 접합부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노출된 모듈러 유닛 간의 연결 플레이트를 통하여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여 초고층형 구조물에 적용이 가능한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기둥, 보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모듈러 유닛(100)에 있어서, 일단부는 기둥의 상단부에서 기둥 단면의 중공부로 인입되어 결합되고 타단부는 기둥의 상단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기둥 연결구와, ㄱ자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기둥과 보의 연결부 외측면에 결합되는 외측 결합부와, 상기 외측 결합부의 내측모서리에 삼각형 형상의 가새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가새 플레이트가 기둥과 보의 연결부의 외측면에 결합 구성되고, 모듈러 유닛 간의 결합시에 하부 모듈러 유닛의 기둥의 기둥 연결구가 상부 모듈러 유닛의 기둥의 하부의 중공부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가새 플레이트는 전체적으로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내측 결합부가 형성되어 기둥과 보의 연결부의 내면에 결합 구성되는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기둥과 기둥 연결구의 결합은 기둥의 상단부에는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고, 볼트를 상기 결합공과 기둥 연결구를 관통하여 결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공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결합공은 상부로 개구된 장공의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둥 연결구의 측면에 한번 절곡된 판재 형상의 걸림편이 하부가 개구되도록 결합되어, 기둥 연결구가 기둥의 중공부에 인입시에 기둥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구성하거나, 기둥 연결구의 걸림편과 결합되는 기둥의 상단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걸림편이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듈러 유닛 간의 측면 결합시에는 인접한 모듈러 유닛의 가새 플레이트의 사이에 연결 플레이트가 구성되어 가새 플레이트를 결합하도록 하는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은 기둥과 보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모듈러 유닛에 있어서, 기둥의 상부에 기둥 연결구를 형성하여 상부 유닛의 기둥 하부의 중공부에 끼워 유닛 간의 수직 결합을 함으로써, 시공 오차를 줄일 수 있어 제작정 및 안정성을 확보하고 하중 전달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기둥과 보의 결합부에 가새 플레이트를 결합 구성하여 구조물 전체의 횡력저항성을 증대시키고, 기둥과 보의 접합부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노출된 모듈러 유닛 간의 연결 플레이트를 통하여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여 초고층형 구조물에 적용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유닛 간 용이한 결합을 하면서도 고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유닛간 결합시 일체거동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모듈러 유닛의 전체골조에 대한 구조 안전성이 증대되는 부가적인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의 가새 플레이트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의 가새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의 기둥 연결구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 간의 수평 결합상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 간의 수평 결합상세의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보강형 연결구조를 갖는 건축 모듈러 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유닛(100)은 기둥(120)과 보(13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기둥(120)과 보(130)의 결합부에 가새 플레이트(110)를 결합구성하며, 기둥(120)의 상단부에는 기둥 연결구(140)를 돌출하도록 결합시켜 하나의 모듈러 유닛(100)이 완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20)은 내부가 비어 있어 중공부(121)를 형성한 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모듈러 유닛(100)에서 수직재로서 기능을 한다.
보(130)는 다양한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절곡형 단면을 갖고, 기둥(12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볼트,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된다.
가새 플레이트(110)는 기둥(120)과 보(130)의 연결부를 직접 결합하거나, 결합된 기둥(120)과 보(130)의 결합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의 가새 플레이트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새 플레이트(110)는 기둥(120)과 보(130)의 외측단부를 연결하는 외측 결합부(111)와 상기 외측 결합부(111)의 내측모서리에 삼각형 형상의 가새부(112)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전체적으로 ㄱ 자 형상의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기둥(120)과 보(130)의 연결부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모듈러 유닛(100) 간의 결합시에는 가새 플레이트(110)의 외측결합부(111)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지만, 가새부(112)는 외부로 노출이 되어 모듈러 유닛(100) 간의 결합시 인접한 가새부(112) 끼리 결합하면 되기 때문에 유닛간의 결합이 매우 용이하다.
외측 결합부(111)는 모듈러 유닛(100)의 기둥(120)과 보(130)의 외측단부를 추가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고, 가새부(112)는 모듈러 유닛(100)의 기둥(120)과 보(130)의 외측단부를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도록 하여 수직 및 수평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횡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며, 단부 모멘트 성능 증대로 최적단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경제성을 높여준다.
모듈러 유닛(10) 내의 기둥(120)과 보(130)의 결합은 기둥(120)의 측면에 보(130)를 볼트,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고, 추가로 기둥(120)과 보(130)의 결합부의 외측면을 가새 플레이트(110)로 결합하는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의 가새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새 플레이트(110)는 전체적으로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내측 결합부(113)가 형성되어 기둥(120)과 보(130)의 연결부의 내면에 결합 구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외측 결합부(111)는 모듈러 유닛(100) 내의 기둥(120)과 보(130)의 외측 결합면에 결합되며, 내측 결합부(113)는 모듈러 유닛(100) 내의 기둥(120)과 보(130)의 내측 결합면에 결합되는 것이다. 내측 결합부(113)는 외측 결합부(111)가 확장되어 절곡된 형상이기 때문에, 가새부(112)도 확장되어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내측 결합부(113)에서도 가새부(114)가 형성되게 된다.
가새부(114)는 가새 플레이트(110)의 좌굴 강성을 증대시키고, 부재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며, 브레이스 역할을 하기 때문에 모듈러 유닛(100) 골조의 횡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기둥(120)의 상단부에는 기둥 연결구(140)가 구성되는데, 기둥 연결구(140)의 하단부는 기둥(120) 상단부의 중공부(121)에 인입되어 결합되고, 기둥 연결구(140)의 상단부는 기둥(120) 상단부에서 돌출되어 구성된다.
기둥 연결구(140)는 기둥(120)의 중공부(121)에 인입될 수 있는 크기의 단면을 갖고, 각형강관, H형강, 채널의 결합 등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단면을 이용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기둥 연결구(140)는 기둥(120)의 중공부(121)에 인입되었을 때, 기둥(120)의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에 동시에 맞닿도록 최소한 2개 이상의 결합면을 갖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모듈러 유닛(100)의 수직결합시에는 상부 모듈러 유닛(100) 기둥(120)의 하단부의 중공부(121)에 하부 모듈러 유닛(100) 기둥(120)의 상단부에 구성된 기둥 연결구(140)를 인입시켜 결합하여, 결합이 매우 용이하고 결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기둥(120)과 기둥 연결구(140)의 결합은 용접, 볼트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의 기둥 연결구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20)의 기둥 연결구(140)와 결합되는 상단부에는 내측의 일측면에 관통되어 나사산(123)이 형성된 결합공(122)을 형성하고, 기둥 연결구(140)는 기둥(120)의 결합공(122)과 접하는 일측면에 결합공(142)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일측면과 마주보는 타측면의 내측면에 원형홈을 갖는 부싱(143)이 고정구성되도록 하여, 조임 볼트(150)를 상기 기둥(120)의 결합공(122)과 기둥 연결구(140)의 결합공(142)을 관통하여 단부가 부싱(143)에 안착되도록 하여 기둥(120)에 기둥 연결구(140)를 결합한다.
볼트(150)는 상기 부싱(151)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거나 안착이 되어 볼트(150)의 회전시 볼트(150)의 단부는 부싱(151)의 홈에서 헛돌게 된다.
기둥(120)의 중공부(121)에 기둥 연결구(140)를 인입시키면서, 기둥(120)의 결합공(122)과 기둥 연결구(140)의 결합공(142)를 일치시킨 후, 볼트(150)를 결합공(122)(142) 들을 관통하여 부싱(151)의 홈에 안착시킨다. 이때, 볼트(150)는 결합공(122)에 나사산(12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싱(131)에 안착이 되면 볼트(150)를 계속 회전하여 결합공(122)이 형성된 기둥(120)의 측면에서 최대한 기둥 결합구(140)를 결합공(122)이 형성된 기둥(120)의 측면의 마주보는 측면의 내벽으로 밀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기둥 연결구(140)는 상기 기둥(120)의 결합공(122)이 형성된 측면에서 볼트(150)를 조이거나 풀어서 기둥(120) 중공부(121)와 기둥 연결구(140)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기둥(120)의 중공부(121)와 기둥 연결구(140)간의 이격되는 간격을 조절하여 모듈러 유닛(100) 간의 수직결합시 시공오차를 줄일 수 있어,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122)은 기둥(120)의 상단부로 개구되도록 장공의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개구부를 형성하면, 미리 볼트(150)를 기둥 연결구(140)에 가결합하고, 볼트(150)의 머리를 결합공(122)의 개구부로 인입시켜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연결구(140)의 결합공(142)이 형성된 측면에 한번 절곡된 판재 형상의 걸림편(141)이 하부가 개구되도록 결합되어, 기둥 연결구(140)가 기둥(120)의 중공부에 인입시에 기둥(120)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하여, 기둥 결합구(140)가 기둥(120)에 인입되는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면서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걸림편(141)은 중앙부에 관통공(144)을 통공하여 볼트(150)가 관통공(144)와 기둥(120)의 결합공(122) 및 기둥 연결구(140)의 결합공(142)을 관통하도록 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연결구(140)의 걸림편(141)과 결합되는 기둥(120)의 상단부에는 결합홈(124)을 형성하도록 하여, 기둥 연결구(140)의 걸림편(141)이 결합홈(124)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여, 기둥 연결구(140)의 기둥(120)의 결합시 유격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 간의 수평 결합상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 간의 수평 결합상세의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러 유닛(10) 간의 수평결합은 인접한 모듈러 유닛(10)의 접하는 가새 플레이트(110)를 상호 볼트,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인접한 모듈러 유닛(100)의 가새 플레이트(110)의 사이에 연결 플레이트(160)를 구성하여 결합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160)는 기둥(120)과 보(130)의 결합부에 구성된 가새 플레이트(110)의 외측면에 맞닿아 결합되는 것이므로, 다양한 모듈러 유닛(10)의 조합에 의하여 결합되는 가새부(112)에 따라 연결 플레이트(160)의 형상도 변할 수 있다.
모듈러 유닛(100) 간의 수평 결합시에 연결 플레이트(160)를 끼워 결합함으로써, 모듈러 유닛(100) 간에 연결 플레이트(160)의 두께 만큼의 간격을 둔 공간이 생기게 되고, 이는 모듈러 유닛(100)의 기둥(120)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하여 소음 방지 등의 효과가 있기도 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0 : 모듈러 유닛
110 : 연결 플레이트
111 : 외측 결합부
112 : 가새부
113 : 내측 결합부
120 : 기둥
121 : 중공부
122 : 결합공
123 : 나사산
124 : 결합홈
130 : 보
140 : 기둥 연결구
141 : 걸림편
142 : 결합공
143 : 부싱
144 : 관통공
150 : 볼트
160 : 연결 플레이트

Claims (7)

  1. 기둥(120), 보(13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모듈러 유닛(100)에 있어서,
    일단부는 기둥(120)의 상단부에서 기둥 단면의 중공부(121)로 인입되어 결합되고 타단부는 기둥(120)의 상단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기둥 연결구(140)와,
    ㄱ자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기둥(120)과 보(130)의 연결부 외측면에 결합되는 외측 결합부(111)와, 상기 외측 결합부(111)의 내측모서리에 삼각형 형상의 가새부(112)가 일체로 형성되는 가새 플레이트(110)가 기둥(120)과 보(130)의 연결부의 외측면에 결합 구성되고,
    모듈러 유닛(100) 간의 결합시에 하부 모듈러 유닛(100)의 기둥(120)의 기둥 연결구(140)가 상부 모듈러 유닛(100)의 기둥(120)의 하부의 중공부(121)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형 모듈러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새 플레이트(110)는 전체적으로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내측 결합부(113)가 형성되어 기둥(120)과 보(130)의 연결부의 내면에 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형 모듈러 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기둥(120)의 기둥 연결구(140)와 결합되는 상단부에는 내측의 일측면에 관통되어 나사산(123)이 형성된 결합공(122)이 형성되고,
    기둥 연결구(140)는 기둥(120)의 결합공(122)과 접하는 일측면에 결합공(142)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일측면과 마주보는 타측면의 내측면에 원형홈을 갖는 부싱(143)이 고정구성되며,
    조임 볼트(150)를 상기 기둥(120)의 결합공(122)과 기둥 연결구(140)의 결합공(142)을 관통하여 단부가 부싱(143)에 안착되도록 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형 모듈러 유닛.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122)은 상부로 개구된 장공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형 모듈러 유닛.
  5. 제 3항에 있어서,
    기둥 연결구(140)의 결합공(142)이 형성된 측면에 한번 절곡된 판재 형상으로 중앙부에 관통공(144)이 형성된 걸림편(141)이 하부가 개구되도록 결합되어, 기둥 연결구(140)가 기둥(120)의 중공부에 인입시에 기둥(120)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형 모듈러 유닛.
  6. 제 5항에 있어서,
    기둥 연결구(140)의 걸림편(141)과 결합되는 기둥(120)의 상단부에는 결합홈(124)이 형성되어, 걸림편(141)이 안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형 모듈러 유닛.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듈러 유닛(100) 간의 측면 결합시에는 인접한 모듈러 유닛(100)의 가새 플레이트(110)의 사이에 연결 플레이트(160)가 구성되어 가새 플레이트(110)를 결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형 모듈러 유닛.
KR1020120090941A 2012-08-20 2012-08-20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 KR101403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941A KR101403211B1 (ko) 2012-08-20 2012-08-20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941A KR101403211B1 (ko) 2012-08-20 2012-08-20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014A true KR20140025014A (ko) 2014-03-04
KR101403211B1 KR101403211B1 (ko) 2014-06-03

Family

ID=5064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941A KR101403211B1 (ko) 2012-08-20 2012-08-20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2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28839A (zh) * 2014-08-11 2015-02-04 美国国绿投资集团 柱承式集成建筑模块的连接结构
CN104963527A (zh) * 2015-06-17 2015-10-07 张家港市盛港绿色防火建材有限公司 一种瓦楞岩棉集装箱
KR20180135383A (ko) * 2017-06-12 2018-12-20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모듈러 건축물의 결합장치
KR20230116717A (ko) 2022-01-28 2023-08-04 주식회사 세진에스씨엠 테그 박스 소켓을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 및 그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193B1 (ko) * 2019-11-08 2020-04-16 한국토지주택공사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접합부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52A (ja) * 1995-06-21 1997-01-07 Sekisui Chem Co Ltd 柱頭柱脚間接合構造及び柱脚基礎間接合構造並びにユニット建物
JP4503982B2 (ja) * 2003-11-04 2010-07-14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補強梁およびその補強梁を備えたユニット式建物
JP2009024419A (ja) * 2007-07-20 2009-02-05 Nippon Container Assort Kk 箱形ユニット
KR100976934B1 (ko) * 2010-04-09 2010-08-18 노희숙 조립식 건물 구조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28839A (zh) * 2014-08-11 2015-02-04 美国国绿投资集团 柱承式集成建筑模块的连接结构
CN104328839B (zh) * 2014-08-11 2017-01-18 美国国绿投资集团 柱承式集成建筑模块的连接结构
CN104963527A (zh) * 2015-06-17 2015-10-07 张家港市盛港绿色防火建材有限公司 一种瓦楞岩棉集装箱
KR20180135383A (ko) * 2017-06-12 2018-12-20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모듈러 건축물의 결합장치
KR20230116717A (ko) 2022-01-28 2023-08-04 주식회사 세진에스씨엠 테그 박스 소켓을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 및 그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211B1 (ko) 201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211B1 (ko)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
KR101233537B1 (ko)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
JP2006152557A (ja) スチールハウスの構造形式および構築方法
KR101363739B1 (ko) 일체거동을 위한 모듈러 유닛 연결구조
WO2012149910A1 (zh) 一种檐连接件、建筑框架结构及安装方法
JP5362310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4625528B2 (ja) 建物の単位構造部材と該単位構造部材を用いた床構造
JP5749588B2 (ja) 柱と梁の接合構造
JP3934979B2 (ja) 耐力壁フレーム及びこれを用いた耐力壁構造
JP2006241938A (ja) 通し柱と梁との連結金具および木造建築物の軸組構造体
JP2009174151A (ja) 躯体構成パネル
JP2009057716A (ja) 建物ユニットの連結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JP2009209550A (ja) ユニット式建物
JP6484752B1 (ja) 耐力パネル及び木造軸組建築物
JP4853422B2 (ja) 複合梁と木製柱の接続による門型フレーム
JP6667273B2 (ja) テンションロッドの取り付け構造
JP5445791B2 (ja) パネルの接続方法
JP6406382B1 (ja) 木質二方向ラーメン構造物
JP2019065668A (ja) 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8014055A (ja) 建物ユニットと基礎との連結構造、建物ユニットと基礎との連結方法及びユニット建物
JP2020051038A (ja) 腰壁パネルの固定構造
JP2013002171A (ja) 建築用補強金物
JP5891982B2 (ja) 耐力壁の接合構造
KR101289374B1 (ko) 구조물용 조인트
KR102250243B1 (ko) 브라켓과 챤넬의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