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193B1 -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접합부 구조 - Google Patents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접합부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1193B1 KR102101193B1 KR1020190142284A KR20190142284A KR102101193B1 KR 102101193 B1 KR102101193 B1 KR 102101193B1 KR 1020190142284 A KR1020190142284 A KR 1020190142284A KR 20190142284 A KR20190142284 A KR 20190142284A KR 102101193 B1 KR102101193 B1 KR 1021011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ar unit
- nut
- bonding block
- block
- so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06—Connection no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21—Socket type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접합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형관으로 형성되는 기둥, 천정보 및 바닥보의 상부 접합부 및 하부 접합부에 각각 접합블럭을 구성하도록 하여 모듈러 유닛의 적층시 볼트를 이용하여 접합블럭을 통하여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하는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접합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ㄴ 형상의 각형관으로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관통구가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 각각 바닥보가 접합되며 상부에는 기둥이 접합되는 하부 접합블럭과;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양단부가 각각 하부 접합블럭의 관통구로 각각 노출되도록 하부 접합블럭의 내부에 접합되는 볼트 삽입관과; ㄴ 형상의 각형관으로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상부면에 관통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 각각 천정보가 접합되며 하부에는 기둥이 접합되는 상부 접합블럭과; 소켓과 너트부재로 이루어지고, 위치조절봉이 소켓의 가이드구에 삽입되고 안착플레이트가 상부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소켓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소켓의 플랜지부가 상부 접합블럭의 내부에서 체결공의 위치에 일치시켜 접합되는 너트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ㄴ 형상의 각형관으로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관통구가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 각각 바닥보가 접합되며 상부에는 기둥이 접합되는 하부 접합블럭과;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양단부가 각각 하부 접합블럭의 관통구로 각각 노출되도록 하부 접합블럭의 내부에 접합되는 볼트 삽입관과; ㄴ 형상의 각형관으로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상부면에 관통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 각각 천정보가 접합되며 하부에는 기둥이 접합되는 상부 접합블럭과; 소켓과 너트부재로 이루어지고, 위치조절봉이 소켓의 가이드구에 삽입되고 안착플레이트가 상부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소켓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소켓의 플랜지부가 상부 접합블럭의 내부에서 체결공의 위치에 일치시켜 접합되는 너트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접합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형관으로 형성되는 기둥, 천정보 및 바닥보의 상부 접합부 및 하부 접합부에 각각 접합블럭을 구성하도록 하여 모듈러 유닛의 적층시 볼트를 이용하여 접합블럭을 통하여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하는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접합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4개의 수직으로 형성되는 기둥과 기둥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천정보 및 바닥보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모듈러 유닛이 완성된다.
기둥은 모듈러 유닛에서 수직재로서 기능을 하며, 내부가 비어 있어 중공부를 형성한 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그의 상단과 하단에 홀이 형성되어 있는 마구리판이 구비될 수도 있다. 천정보와 바닥보는 다양한 단면으로 구성되어, 기둥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볼트,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며, 일반적으로 채널형태의 절곡형 단면을 갖는다.
이와 같은 종래의 모듈러 유닛은 천정보에서의 기둥과의 볼트 접합은 협소한 보의 춤으로 인하여 볼트 체결을 위한 공간 확보가 곤란하고, 특히 T/S 볼트와 같은 고장력 볼트 체결을 위한 전동공구의 사용을 위해서는 보의 춤을 키워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는 보의 춤이 비경제적으로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구조계산에 의한 보 춤으로는 상/하 유닛의 일체성 확보를 위한 볼트 체결부의 품질 확보가 어려웠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233559호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특허문헌 1)가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상부와 하부에 대칭을 이루며 돌출되어 구성되는 가이드핀이 형성된 사각형의 중앙부 및 중앙부의 각변에서 측면으로 연장되어 구성되는 결합부으로 이루어지는 수평결합판과, 상기 수평결합판의 결합부의 상부와 하부에 대칭을 이루며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직결합판으로 구성되는 연결보강판을, 수평결합판의 중앙부가 수직으로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의 기둥의 사이에 위치하되 가이드핀이 모듈러 유닛의 기둥의 마구리판의 홀에 끼워져 고정되고, 결합부가 수직으로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의 보의 수직 결합면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며, 수직결합판은 수평으로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의 보 간의 수평 결합면 사이에 끼워 결합되도록 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적층된 모듈러 유닛을 긴결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보부재가 ㄱ, ㄷ 등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동일 위치에서 플랜지에 1개의 볼트만으로 접합되어 접합부 강도 및 강성이 상대적으로 약할 뿐만 아니라 모듈러 유닛 간 적층시에 보 부재 합성단면이 H 자형으로 구성되어 횡좌굴 및 비틀림 저항성능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형관으로 형성되는 기둥, 천정보 및 바닥보의 상부 접합부 및 하부 접합부에 각각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 삽입관이 구성되는 상부 접합블럭과 너트조립체가 구성되는 하부 접합블럭을 구성하도록 하여, 모듈러 유닛의 적층시 상부에 적층된 모듈어 유닛의 접합블럭을 통하여 단순하게 볼트를 체결하는 것만으로도 상부와 하부에 적층된 모듈러 유닛을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할 수 있으며, 너트조립체를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와 너트가 유격이 있도록 안착되는 소켓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소켓과의 유격을 통하여 시공오차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접합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각형관으로 형성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천정보 및 바닥보로 이루어지는 모듈러 유닛에 있어서, ㄴ 형상의 각형관으로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관통구가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 각각 바닥보가 접합되며 상부에는 기둥이 접합되는 하부 접합블럭과;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양단부가 각각 하부 접합블럭의 관통구로 각각 노출되도록 하부 접합블럭의 내부에 접합되는 볼트 삽입관과; ㄴ 형상의 각형관으로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상부면에 관통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 각각 천정보가 접합되며 하부에는 기둥이 접합되는 상부 접합블럭과;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관체 형상의 너트 안착부와, 너트 안착부의 상단부에서 너트 안착부의 단면보다 일정 크기 큰 단면의 관체 형상으로 너트 안착부와 단턱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상부 안착부와, 상부 안착부의 상단부에서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와, 상부 안착부 및 플랜지부의 단면 중심의 양측에 평행하게 절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구로 이루어지는 소켓과, 너트와,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판형상으로 너트 보다 일정크기 큰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져 너트의 상단부에 접합되는 안착플레이트와, 일정 길이의 선재로 이루어지며 너트의 양측에서 평행하게 안착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접합되어 구성되는 위치조절봉으로 이루어지는 너트부재가, 위치조절봉이 소켓의 가이드구에 삽입되고 안착플레이트가 상부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소켓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소켓의 플랜지부가 상부 접합블럭의 내부에서 체결공의 위치에 일치시켜 접합되는 너트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볼트 삽입관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의 몸체 관통부와 몸체 관통부의 상부에 몸체 관통부의 단면보다 일정 크기 큰 단면의 관체 형상으로 몸체 관통부와 단턱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헤드 안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너트조립체의 위치조절봉의 크기보다 가이드구의 크기가 일정 크기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수직으로 적층되는 모듈러 유닛에서 하부 모듈러 유닛의 상부 접합블럭과 상부 모듈러 유닛의 하부 접합블럭을 일치시킨 후, 볼트를 상부 모듈러 유닛의 하부 접합블럭의 내부에 접합된 볼트 삽입관을 관통하여 하부 모듈러 유닛의 상부 접합블럭의 내부에 접합된 너트조립체의 너트에 체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접합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부 모듈러 유닛의 하부 접합블럭과 하부 모듈러 유닛의 상부 접합블럭의 사이에는 판형상으로 볼트 삽입관의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필러 플레이트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접합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접합부 구조는 각형관으로 형성되는 기둥, 천정보 및 바닥보의 상부 접합부 및 하부 접합부에 각각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 삽입관이 구성되는 상부 접합블럭과 너트조립체가 구성되는 하부 접합블럭을 구성하도록 하여, 모듈러 유닛의 적층시 상부에 적층된 모듈어 유닛의 접합블럭을 통하여 단순하게 볼트를 체결하는 것만으로도 상부와 하부에 적층된 모듈러 유닛을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할 수 있으며, 너트조립체를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와 너트가 유격이 있도록 안착되는 소켓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소켓과의 유격을 통하여 시공오차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서 하부 접합블럭 부분의 확대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서 상부 접합블럭 부분의 확대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너트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조립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너트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너트조립체의 볼트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을 적층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에서의 접합부 구조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8의 일부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서 하부 접합블럭 부분의 확대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서 상부 접합블럭 부분의 확대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너트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조립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너트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너트조립체의 볼트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을 적층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에서의 접합부 구조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8의 일부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서 하부 접합블럭 부분의 확대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에서 상부 접합블럭 부분의 확대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1)은 기둥(20)과, 상기 기둥(2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천정보(10) 및 바닥보(30)로 이루어지며, 기둥(20), 천정보(10) 및 바닥보(30)의 상부 접합부 및 하부 접합부에 각각 상부 접합블럭(60)과 하부 접합블럭(40)을 구성하도록 하여 기둥(20), 천정보(10) 및 바닥보(30)를 접합하도록 한다.
이때, 기둥(20), 천정보(10) 및 바닥보(30)는 모두 각형강관으로 이루어지며, 단면 크기 및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달리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접합블럭(40)은 바닥보(30)의 단면 크기와 동일한 단면의 ㄴ 형상의 각형관으로 이루어져 하부 접합블럭(4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기둥(20)의 직각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바닥보(30)가 접합되어 연결하도록 하며, 상부면에는 기둥(20)이 접합되록 한다.
하부 접합블럭(40)과 바닥보(30)의 접합은 용접 접합이나 이음판을 덧대어 이음하는 방법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접합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하부 접합블럭(40)에 볼트의 관통 및 결합을 위하여 볼트 삽입관(50)이 내재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하부 접합블럭(40)은 직각방향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관통구(41)가 형성되도록 한다.
볼트 삽입관(5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단부가 각각 하부 접합블럭(40)의 관통구(41)의 상하부로 각각 노출되도록 하부 접합블럭(40)의 내부에 접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볼트 삽입관(50)은 모듈러 유닛(1)의 수직 적층시에 볼트가 하부 접합블럭(40)을 관통하여 하부에 적층된 모듈러 유닛(1)의 상부 접합블럭(60)에 체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볼트 삽입관(5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의 몸체 관통부(51)와 몸체 관통부(51)의 상부에 몸체 관통부(51)의 단면보다 일정 크기 큰 단면의 관체 형상으로 몸체 관통부(51)와 단턱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헤드 안착부(52)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볼트를 삽입할 때 볼트 머리가 헤드 안착부(52)에 안착되도록 하여 볼트의 머리가 상부 접합블럭(6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볼트 체결시에는 볼트의 머리가 헤드 안착부(52)에 안착된 상태에서 헤드 안착부(52)의 규격에 맞는 육각렌치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체결하도록 할 수 있다.
상부 접합블럭(60)은 천정보(10)의 단면 크기와 동일한 단면의 ㄴ 형상의 각형관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접합블럭(60)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기둥(20)의 직각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천정보(10)가 접합되어 연결하도록 하며, 하부면에는 기둥(20)이 접합되도록 한다.
상부 접합블럭(60)과 천정보(10)의 접합은 용접 접합이나 이음판을 덧대어 이음하는 방법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접합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부 접합블럭(60)에 볼트와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너트조립체(70)가 내부에 구성되도록 한다.
상부 접합블럭(60)에는 상부면에 하부 접합블럭(40)Dml 관통구(41)와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공(61)이 형성되도록 하고, 너트조립체(70)는 체결공(61)에 일치하도록 상부 접합블럭(60)의 내부에 접합하도록 하여 볼트의 조립을 용이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너트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조립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너트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너트조립체(70)는 소켓(71)과 소켓(71)에 안착되어 구성되는 너트부재(72)로 이루어지는데, 볼트 체결시 너트부재(72)가 헛돌지 않도록 너트부재(72)에는 별도의 위치조절봉(723)이 형성되도록 한다.
소켓(71)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관체 형상으로 너트 안착부(711)가 구성된다. 이 너트 안착부(711)는 너트부재(72)의 너트(721)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너트(721)의 단면 크기와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지며 단면 형상은 원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너트와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은 너트 안착부(711)의 상단부에는 너트 안착부(711)의 단면보다 일정 크기 큰 단면의 관체 형상으로 너트 안착부(711)와 단턱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상부 안착부(712)가 너트 안착부(71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 안착부(712)에는 너트부재(72)의 안착플레이트(722)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하여, 너트(721)가 고정되는 위치를 형성한다.
또한, 상부 안착부(712)의 상단부에서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713)가 형성되며, 플랜지부(713)는 상부 접합블럭(60)의 내부에 접합시에 상부 접합블럭(60)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하여 용접 등 접합을 위한 접합면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너트조립체(70)가 소켓(71)과 소켓(71)에 안착되는 너트부재(72)로 이루어지는데 소켓(71)과 너트부재(72)는 접합되지 않고 단순히 안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볼트 결합시에 너트부재(72)가 헛돌지 않도록 소켓(71)에는 가이드구(714)를 형성하고 너트부재(72)에는 가이드구(714)에 안착하도록 위치조절봉(723)이 구성되도록 한다.
가이드구(7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안착부(712) 및 플랜지부(713)의 단면 중심의 양측에 평행하게 절개되어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이, 상부 안착부(712)와 플랜지부(713)에 동시에 가이드구(714)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위치조절봉(723)의 두께를 고려하여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소켓(71)에는 너트부재(72)가 삽입되어 안착된다.
너트부재(72)는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721)와,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판형상으로 너트(721) 보다 일정크기 큰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져 너트(721)의 상단부에 접합되는 안착플레이트(72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소켓(71)에 너트부재(72)가 삽입될때에는 너트(721)가 소켓(71)의 너트 안착부(711)에 삽입되고, 안착플레이트(722)는 상부 안착부(712)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너트(721)의 양측에서 평행하게 안착플레이트(722)의 하부면에 접합되어 위치조절봉(723)이 구성되는데, 위치조절봉(723)은 철선 등 일정길이의 선재로 이루어지며, 쌍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위치조절봉(723)이 소켓(71)의 가이드구(714)에 삽입되도록 하여, 볼트 체결시 너트부재(72)가 소켓(71)의 내부에서 헛돌지 않고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너트조립체(70)는 소켓(71)의 내부에 너트부재(72)를 안착시킨 후 소켓(71)의 플랜지부(713)가 상부 접합블럭(60)의 내부에서 체결공(61)의 위치에 일치시켜 용접등의 방법으로 접합되어 내장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너트조립체의 볼트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특히, 도 6에서와 같이, 너트조립체(70)의 위치조절봉(723)이 가이드구(714)에 안착되는데, 위치조절봉(723)의 크기보다 가이드구(714)의 크기가 일정 크기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부재(72)가 소켓(71)에 안착되었을때 위치조절봉(723)과 가이드구(714) 간에 일정정도의 유격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평면상에서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구(714)의 내부에서 유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공오차 등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을 적층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도 7에서의 접합부 구조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9는 상기 도 8의 일부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접합부 구조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러 유닛(1)을 수직으로 적층할때 상부 모듈러 유닛(1)의 하부 접합블럭(40)과 하부 모듈러 유닛(1)의 상부 접합블럭(60)을 볼트(80)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체결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수직으로 적층되는 모듈러 유닛(1)에서 하부 모듈러 유닛(1)의 상부 접합블럭(60)과 상부 모듈러 유닛(1)의 하부 접합블럭(40)을 일치시킨 후, 볼트(80)를 상부 모듈러 유닛(1)의 하부 접합블럭(40)의 내부에 접합된 볼트 삽입관(50)을 관통하여 하부 모듈러 유닛(1)의 상부 접합블럭(40)의 내부에 접합된 너트조립체(70)의 너트(721)에 체결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볼트(80)를 상부에 적층된 모듈러 유닛(1)의 하부 접합블럭(40)을 관통하여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결합 플레이트나 용접작업이 필요 없이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부 모듈러 유닛(1)의 하부 접합블럭(40)과 하부 모듈러 유닛(1)의 상부 접합블럭(60)의 사이에는 판형상으로 볼트 삽입관(50)의 위치에 관통공(91)이 형성되는 필러 플레이트(90)가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접합부를 보강하도록 하며 ㄴ형상이나 T형상, +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다른 모듈러 유잇과 연결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접합부 구조는 각형관으로 형성되는 기둥, 천정보 및 바닥보의 상부 접합부 및 하부 접합부에 각각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 삽입관이 구성되는 하부 접합블럭과 너트조립체가 구성되는 상부 접합블럭을 구성하도록 하여, 모듈러 유닛의 적층시 상부에 적층된 모듈어 유닛의 접합블럭을 통하여 단순하게 볼트를 체결하는 것만으로도 상부와 하부에 적층된 모듈러 유닛을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할 수 있으며, 너트조립체를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와 너트가 유격이 있도록 안착되는 소켓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소켓과의 유격을 통하여 시공오차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모듈러 유닛
10 : 천정보
20 : 기둥
30 : 바닥보
40 : 하부 접합블럭
50 : 볼트 삽입관
51 : 몸체 관통부
52 : 헤드 안착부
60 : 상부 접합블럭
61 : 체결공
70 : 너트조립체
71 : 소켓
72 : 너트부재
80 : 볼트
90 : 필러 플레이트
10 : 천정보
20 : 기둥
30 : 바닥보
40 : 하부 접합블럭
50 : 볼트 삽입관
51 : 몸체 관통부
52 : 헤드 안착부
60 : 상부 접합블럭
61 : 체결공
70 : 너트조립체
71 : 소켓
72 : 너트부재
80 : 볼트
90 : 필러 플레이트
Claims (5)
- 각형관으로 형성되는 기둥(20)과, 상기 기둥(2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천정보(10) 및 바닥보(30)로 이루어지는 모듈러 유닛(1)에 있어서,
ㄴ 형상의 각형관으로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관통구(41)가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 각각 바닥보(30)가 접합되며 상부에는 기둥(20)이 접합되는 하부 접합블럭(40)과;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양단부가 각각 하부 접합블럭(40)의 관통구(41)로 각각 노출되도록 하부 접합블럭(40)의 내부에 접합되는 볼트 삽입관(50)과;
ㄴ 형상의 각형관으로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상부면에 관통구(41)와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공(61)이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 각각 천정보(10)가 접합되며 하부에는 기둥(20)이 접합되는 상부 접합블럭(60)과;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관체 형상의 너트 안착부(711)와, 너트 안착부(711)의 상단부에서 너트 안착부(711)의 단면보다 일정 크기 큰 단면의 관체 형상으로 너트 안착부(711)와 단턱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상부 안착부(712)와, 상부 안착부(712)의 상단부에서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713)와, 상부 안착부(712) 및 플랜지부(713)의 단면 중심의 양측에 평행하게 절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구(714)로 이루어지는 소켓(71)과, 너트(721)와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판형상으로 너트(721) 보다 일정크기 큰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져 너트(721)의 상단부에 접합되는 안착플레이트(722)와, 일정 길이의 선재로 이루어지며 너트(721)의 양측에서 평행하게 안착플레이트(722)의 하부면에 접합되어 구성되는 위치조절봉(723)으로 이루어지는 너트부재(72)가, 위치조절봉(723)이 소켓(71)의 가이드구(714)에 삽입되고 안착플레이트(722)가 상부 안착부(712)에 안착되도록 소켓(71)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소켓(71)의 플랜지부(713)가 상부 접합블럭(60)의 내부에서 체결공(61)의 위치에 일치시켜 접합되는 너트조립체(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볼트 삽입관(5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의 몸체 관통부(51)와 몸체 관통부(51)의 상부에 몸체 관통부(51)의 단면보다 일정 크기 큰 단면의 관체 형상으로 몸체 관통부(51)와 단턱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헤드 안착부(5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너트조립체(70)의 위치조절봉(723)의 크기보다 가이드구(714)의 크기가 일정 크기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의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접합부 구조에 있어서,
수직으로 적층되는 모듈러 유닛(1)에서 하부 모듈러 유닛(1)의 상부 접합블럭(60)과 상부 모듈러 유닛(1)의 하부 접합블럭(40)을 일치시킨 후,
볼트(80)를 상부 모듈러 유닛(1) 하부 접합블럭(40)의 내부에 접합된 볼트 삽입관(50)을 관통하여 하부 모듈러 유닛(1) 상부 접합블럭(60)의 내부에 접합된 너트조립체(70)의 너트(721)에 체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접합부 구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부 모듈러 유닛(1)의 하부 접합블럭(40)과 하부 모듈러 유닛(1)의 상부 접합블럭(60)의 사이에는 판형상으로 볼트 삽입관(50)의 위치에 관통공(91)이 형성되는 필러 플레이트(9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접합부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2284A KR102101193B1 (ko) | 2019-11-08 | 2019-11-08 |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접합부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2284A KR102101193B1 (ko) | 2019-11-08 | 2019-11-08 |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접합부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1193B1 true KR102101193B1 (ko) | 2020-04-16 |
Family
ID=70454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2284A KR102101193B1 (ko) | 2019-11-08 | 2019-11-08 |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접합부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119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27487A (zh) * | 2020-06-08 | 2020-10-27 | 中建集成建筑有限公司 | 一种预应力模块体系及其施工方法 |
KR102307325B1 (ko) * | 2021-04-06 | 2021-09-29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수평부재 결합형 무용접 모듈러 구조물 |
KR102307326B1 (ko) * | 2021-04-06 | 2021-09-29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바닥판이 구비된 수평부재 결합형 무용접 모듈러 구조물 |
CN116575571A (zh) * | 2023-06-14 | 2023-08-11 | 深圳新科特智慧医疗科技有限公司 | 一种模块化的手术室龙骨拼装结构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57118A (ja) * | 2003-02-26 | 2004-09-16 | Sumitomo Forestry Co Ltd | ユニット吊上げ連結金具 |
KR100923637B1 (ko) * | 2009-07-13 | 2009-10-23 | 금강공업 주식회사 | 보강형 연결구조를 갖는 건축 모듈러 유닛 |
KR101145271B1 (ko) * | 2012-02-29 | 2012-05-21 | 이명환 | 슬라이드식 스파이더 브라켓 조정볼트 유닛 |
KR101233559B1 (ko) | 2012-09-20 | 2013-02-14 | 현대엠코 주식회사 |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 |
KR101403211B1 (ko) * | 2012-08-20 | 2014-06-0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 |
-
2019
- 2019-11-08 KR KR1020190142284A patent/KR1021011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57118A (ja) * | 2003-02-26 | 2004-09-16 | Sumitomo Forestry Co Ltd | ユニット吊上げ連結金具 |
KR100923637B1 (ko) * | 2009-07-13 | 2009-10-23 | 금강공업 주식회사 | 보강형 연결구조를 갖는 건축 모듈러 유닛 |
KR101145271B1 (ko) * | 2012-02-29 | 2012-05-21 | 이명환 | 슬라이드식 스파이더 브라켓 조정볼트 유닛 |
KR101403211B1 (ko) * | 2012-08-20 | 2014-06-0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 |
KR101233559B1 (ko) | 2012-09-20 | 2013-02-14 | 현대엠코 주식회사 |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27487A (zh) * | 2020-06-08 | 2020-10-27 | 中建集成建筑有限公司 | 一种预应力模块体系及其施工方法 |
KR102307325B1 (ko) * | 2021-04-06 | 2021-09-29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수평부재 결합형 무용접 모듈러 구조물 |
KR102307326B1 (ko) * | 2021-04-06 | 2021-09-29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바닥판이 구비된 수평부재 결합형 무용접 모듈러 구조물 |
CN116575571A (zh) * | 2023-06-14 | 2023-08-11 | 深圳新科特智慧医疗科技有限公司 | 一种模块化的手术室龙骨拼装结构 |
CN116575571B (zh) * | 2023-06-14 | 2023-11-17 | 深圳新科特智慧医疗科技有限公司 | 一种模块化的手术室龙骨拼装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01193B1 (ko) | 접합블럭이 구성된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접합부 구조 | |
ES2242649T3 (es) | Aparato de conexion. | |
US10047513B2 (en) | Beam frame assembly having joint device | |
KR101390781B1 (ko) | 약축 반강접 접합부를 활용한 철골구조물의 바닥골조 시공방법 | |
JP6863776B2 (ja) | 継手構造および建築用構造体 | |
US11654975B2 (en) | Vehicle frame rails and methods of assembling vehicle frame rails | |
KR101233537B1 (ko) |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 | |
JP6934285B2 (ja) | 木質柱梁接合構造 | |
KR102521464B1 (ko) | 습식공법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간 수직 접합구조 | |
JP6445279B2 (ja) | ソーラーカーポート用基礎構造 | |
JP6484751B1 (ja) | 接合金物及び建築用パネル | |
KR101810361B1 (ko) |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 | |
JP4326926B2 (ja) | 梁受け金物 | |
JP2009035906A (ja) | 建築用木材継合構造 | |
JP6902738B2 (ja) | 接合金物及びこれを用いた接合構造 | |
KR20160053668A (ko) | 방음벽의 매입형 지주 및 기초연결 시스템 | |
KR101289374B1 (ko) | 구조물용 조인트 | |
KR20150058855A (ko) | 기둥-기초 접합을 위한 목구조용 접합철물 | |
JP2004232440A (ja) | 鋼製構造材用接合具 | |
JPH10212761A (ja) | 木造建築物の接合金具 | |
JPH03206225A (ja) | 柱と梁の接合構造 | |
US11221031B1 (en) | Joint member for panels | |
JP6564606B2 (ja) | 木・鋼重ね梁構造 | |
JP5271738B2 (ja) | 建物ユニット及びユニット建物 | |
JP2003328437A5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