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924A -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이 형성된 캔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이 형성된 캔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924A
KR20140023924A KR1020137026680A KR20137026680A KR20140023924A KR 20140023924 A KR20140023924 A KR 20140023924A KR 1020137026680 A KR1020137026680 A KR 1020137026680A KR 20137026680 A KR20137026680 A KR 20137026680A KR 20140023924 A KR20140023924 A KR 20140023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image
ink
conveying
form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3815B1 (ko
Inventor
야스시 다시로
신이치 오지마
가즈노리 이케다
겐유 무라오카
데츠오 가시와자키
아스미 슈와
Original Assignee
쇼와 알루미늄 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96991A external-priority patent/JP57757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96996A external-priority patent/JP56479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93850A external-priority patent/JP5921304B2/ja
Application filed by 쇼와 알루미늄 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알루미늄 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3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rking or coding completed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8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 B41F17/14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8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 B41F17/14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 B41F17/2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on articles of uniform cross-section, e.g. pencils, rulers, resistors
    • B41F17/22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on articles of uniform cross-section, e.g. pencils, rulers, resistors by rolling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41J11/0021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using irradiation
    • B41J11/00214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using ir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41J11/0021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using irradiation
    • B41J11/00216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using irradiation using infrared [IR] radiation or micro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B41J3/40733Printing on cylindrical or rotationally symmetrical objects, e. g. on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07Coatings
    • B65D23/0814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
    • B65D23/0828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 consisting mainly of paints or lacqu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4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k Jet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인쇄기(1)에는 캔체(10)를 순차 반송하는 캔체 반송 기구(100), 캔체 반송 기구(100)에 의해 반송되어 온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한 화상의 형성을 행하면서 이 캔체(10)를 이동시키는 캔체 이동 기구(200)가 설치되어 있다. 캔체 이동 기구(200)에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도 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21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캔체 이동 기구(200)에는 이 회전 부재(210)에 설치되어 캔체(10)와 함께 이동함과 아울러,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220)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유닛(220)에는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해서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 토출 장치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단위 시간당에 화상을 형성할 수가 있는 캔체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가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이 형성된 캔체의 제조 방법{IMAGE FORM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N BODY ON WHICH IMAGE IS FORMED}
본 발명은 캔체(can body)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이 형성된 캔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치의 본체측에 고정되고 캔체에 대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디지털 프린트 헤드(head)와, 캔체의 반송을 행함과 아울러 디지털 프린트 헤드의 대향 위치에서 캔체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한 인쇄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007/0089619호
현재, 캔체에의 화상의 형성은, 오프셋 인쇄(offset printing)로 불리는 인쇄 방식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그 한편으로 최근에 잉크젯(inkjet) 등을 이용한 디지털 인쇄가 보급되어 있다. 그런데, 잉크젯 등을 이용하는 경우, 오프셋 인쇄에 비해, 화상의 형성 속도가 늦어져, 단위 시간당에 화상을 형성할 수가 있는 캔체의 개수가 적게 되어 버린다.
또, 캔체에의 화상의 형성은, 예를 들면 캔체를 이동시킴과 아울러 이 캔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캔체와 함께 이동시키고, 캔체를 이동시키고 있는 한중간에 행할 수가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화상 형성부를 이동시키는 경우, 화상 형성부에 대해서 외력이 작용하게 되어, 화상 형성이 안정되지 않고, 형성되는 화상의 질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 시간당에 화상을 형성할 수가 있는 캔체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가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 형성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생길 수 있는 화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가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는, 캔체를 순차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캔체와 함께 이동함과 아울러, 당해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당해 캔체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복수 설치되고, 당해 캔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 형성 기구의 각각에는, 서로 다른 색의 화상을 상기 캔체에 대해서 동시에 형성 가능한 복수의 화상 형성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화상 형성 기구의 각각은, 통상으로 형성된 상기 캔체의 외주면에 대해서 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반송 수단은, 상기 캔체를 주방향(周方向)으로 회전시키면서 당해 캔체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화상 형성 기구의 각각은, 일정한 자세를 유지할 수가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의 각각은, 상기 캔체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화상 형성 기구의 각각에는,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에 의해 상기 캔체에 형성된 화상을 경화시키는 경화 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의 각각은, 잉크 토출 헤드로부터 상기 캔체를 향해 잉크를 토출시킴으로써 당해 캔체에 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의 각각은, 상기 잉크 토출 헤드가 상방 이외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 미리 정해진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 상기 화상 형성 기구의 각각은, 상기 회전 부재에 설치됨과 아울러 당해 회전 부재의 주방향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화상 형성 기구의 각각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의,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회전 중심에 대한 자세가, 복수 설치된 당해 화상 형성 기구의 각각에 있어서 동일하게 되도록 당해 화상 형성 기구의 각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의 각각은, 잉크 토출 헤드로부터 상기 캔체를 향해 잉크를 토출시킴으로써 당해 캔체에 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잉크 토출 헤드가 잉크를 토출할 때의 토출력을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다른 관점으로부터 파악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는, 캔체를 순차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캔체와 함께 이동함과 아울러, 당해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당해 캔체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복수 설치되고, 당해 캔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 형성 기구의 각각에는, 상기 캔체가 설치되어 있는 개소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상 형성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 의해 상기 캔체에 화상이 형성된 후, 당해 화상을 경화시키는 경화 수단과, 상기 경화 수단에 의한 화상의 경화를 한 후, 당해 화상의 위에 도료를 도포하는 도포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순환 이동을 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상기 캔체를 상기 반송 수단으로부터 수취하고 당해 캔체를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 부재와, 순환 이동을 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반송 부재로부터 상기 캔체를 수취하고, 당해 캔체를 반송하는 복수의 수취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반송 부재가 상기 순환 이동을 행할 때의 중심축과, 상기 복수의 수취 부재가 상기 순환 이동을 행할 때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당해 복수의 반송 부재 및 당해 복수의 수취 부재는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화상이 형성된 캔체의 제조 방법으로 파악한 경우,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이 형성된 캔체의 제조 방법은, 캔체, 및 복수의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고 당해 캔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기구를 순차 반송하고, 상기 캔체가 반송되고 있는 한중간에,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를 동시에 동작시키고, 당해 캔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이 형성된 캔체의 제조 방법이다.
다른 관점으로부터 파악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캔체를 보유하는 캔체 보유부와, 당해 캔체 보유부에 의해 보유되는 당해 복수의 캔체에 대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기구를 구비하는 유닛과, 상기 유닛을 복수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유닛에 설치된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는, 상기 캔체 보유부에 보유되는 복수의 캔체 중의 개개의 캔체에 대치하는 화상 형성부가 복수 설치되고,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복수의 상기 유닛이 반송되고 있는 한중간에, 개개의 당해 유닛에서, 상기 캔체 보유부의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 대한 상태가 변화하고, 당해 화상 형성 기구에 설치된 상기 화상 형성부에 대치하는 캔체가 절체(切替)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유닛의 반송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상기 화상 형성 기구는,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당해 이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 복수의 상기 화상 형성부의 각각은 잉크 토출 헤드로부터 캔체를 향해 잉크를 토출시킴으로써 당해 캔체에 화상을 형성하고, 복수의 상기 화상 형성부의 각각은 상기 잉크 토출 헤드가 상방 이외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캔체 보유부는, 환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화상 형성 기구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캔체 보유부의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 대한 상태의 상기 변화는, 당해 캔체 보유부가 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 복수의 상기 화상 형성부의 각각은 대치하는 캔체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는,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캔체에 형성된 화상을 경화시키는 경화 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는,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캔체에 형성된 화상의 위에 도료를 도포하는 도포 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순환 이동을 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캔체를 상기 캔체 보유부로부터 수취하고 당해 캔체를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 부재와, 순환 이동을 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반송 부재로부터 캔체를 수취하고, 당해 캔체를 반송하는 복수의 수취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반송 부재가 상기 순환 이동을 행할 때의 중심축과, 상기 복수의 수취 부재가 상기 순환 이동을 행할 때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당해 복수의 반송 부재 및 당해 복수의 수취 부재는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 미리 정해진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를 더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화상 형성부를 가지는 상기 화상 형성 기구를 구비한 상기 유닛의 각각은, 상기 회전 부재에 설치됨과 아울러 당해 회전 부재의 주방향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유닛의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화상 형성부의,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회전 중심에 대한 자세가, 복수 설치된 당해 유닛의 각각에 있어서 동일하게 되도록 당해 유닛의 각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화상 형성부의 각각은 잉크 토출 헤드로부터 상기 캔체를 향해 잉크를 토출시킴으로써 당해 캔체에 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잉크 토출 헤드가 잉크를 토출할 때의 토출력을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을 화상이 형성된 캔체의 제조 방법으로 파악한 경우,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이 형성된 캔체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캔체에 의해 구성되는 캔체군과, 복수의 화상 형성부를 이용하여 당해 캔체군에 대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기구에 의해 적어도 구성되는 유닛을 복수 반송하고, 복수의 상기 유닛이 반송되고 있는 한중간에, 개개의 당해 유닛에서,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 대한 상기 캔체군 상태를 변화시키고, 당해 화상 형성 기구가 가지는 상기 화상 형성부에 대치하는 캔체를 절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이 형성된 캔체의 제조 방법이다.
다른 관점으로부터 파악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는, 캔체를 보유함과 아울러 캔체의 외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기구와, 캔체를 보유한 화상 형성 기구를 미리 정해진 개소를 중심으로 하여 주회(周回) 이동시키고 미리 정해진 환상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화상 형성 기구에는, 한 방향으로 뻗도록 설치되고 캔체의 외면을 향해 잉크를 토출하여 외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가 설치되고, 이동 수단은, 화상 형성부의 한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를 선두로 하고 화상 형성부의 한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를 후단으로 하여 화상 형성부가 환상(環狀)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화상 형성 기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여기서, 화상 형성 기구는, 복수 설치되고, 이동 수단은, 복수의 화상 형성 기구를 환상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 화상 형성부는, 캔체보다도 상방에 배치되고, 하방에 위치하는 캔체의 외면을 향해 잉크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화상 형성 기구는, 단부를 가진 삽입 부재를 캔체의 내부에 단부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캔체의 보유를 행하고, 삽입 부재는, 화상 형성부에 의한 캔체에의 화상 형성이 이루어질 때, 누운 상태로 배치되고, 캔체의 보유를 행할 때, 상방 및 하방의 어느 일방을 단부가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다른 관점으로부터 파악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는, 미리 정해진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 부재와, 회전 부재에 장착되어 회전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주회 이동을 행함과 아울러 캔체를 보유하고, 캔체의 외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기구를 구비하고, 화상 형성 기구에는, 한 방향으로 뻗도록 설치되고 캔체의 외면을 향해 잉크를 토출하여 외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가 설치되고, 회전 부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회전 부재에 장착된 화상 형성 기구를 향하는 직선이 뻗는 방향과 화상 형성부가 뻗는 방향인 한 방향이 교차하도록, 화상 형성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여기서, 회전 중심으로부터 화상 형성 기구를 향하는 직선이 뻗는 방향과 한 방향이 직교하도록, 화상 형성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또, 화상 형성부는, 수평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 시간당에 화상을 형성할 수가 있는 캔체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가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등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형성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생길 수 있는 화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가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캔체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캔체 이동 기구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화상 형성 유닛(unit)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인쇄기의 비교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인쇄기의 다른 한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인쇄기의 다른 한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인쇄기의 다른 한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인쇄기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캔체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캔체 이동 기구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화상 형성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2는 화상 형성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3은 보유 부재를 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4는 인쇄기의 비교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15는 인쇄기의 다른 한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6은 인쇄기의 다른 한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7은 인쇄기의 다른 한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8은 회전 부재에 대해서 화상 형성 유닛이 고정된 캔체 이동 기구를 나타낸 도이다.
도 19는 캔체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기를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경우의 도이다.
도 20은 캔체 이동 기구를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경우의 도이다.
도 21은 화상 형성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2는 회전 기구에 의해 접속 부재가 회전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23은 캔체 반송 기구를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경우의 도이다.
도 24는 캔체 반송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5는 도 19의 화살표 XXV방향으로부터 인쇄기를 바라본 경우의 도이다.
도 26은 보유 부재의 주변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제1의 실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캔체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기(1)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이 인쇄기(1)는 디지털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캔체(10)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기이다. 여기서, 인쇄기(1)에는 미도시의 캔체 제조 공정에서 제조된 캔체(10)를 순차 반송하는 캔체 반송 기구(100), 캔체 반송 기구(100)에 의해 반송되어 온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한 화상의 형성을 행하면서 이 캔체(10)를 이동시키는 캔체 이동 기구(200), 캔체 이동 기구(200)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캔체(10)를 반송하는 제1반송 장치(30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인쇄기(1)에는 제1반송 장치(300)에 의해 순차 반송되어 오는 캔체(10)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400), 가열 장치(400)에 의해 가열된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해서(캔체(10)에 형성된 화상의 위에) 미리 정해진 도료를 도포하는 도포 수단의 일례로서의 도포 장치(500)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가열 장치(400)에 의해 가열되고 또한 도포 장치(500)에 의해 도료가 도포된 캔체(10)를 더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제2반송 장치(600), 제2반송 장치(600)에 의해 반송되어 온 캔체(10)를 더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제3반송 장치(70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인쇄기(1)에는 이 인쇄기(1)에 설치된 각 장치, 각 기구부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9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3반송 장치(700)보다도 캔체(10)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에는 캔체(10)에 형성된 화상 및 캔체(10)에 도포된 도료를 이 캔체(10)에 인화하는 인화 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캔체 반송 기구(100)는 캔체(10)의 무게를 이용함으로써, 하방에 위치하는 캔체 이동 기구(200)에 대해서 캔체(10)를 반송한다. 또, 캔체 반송 기구(10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됨과 아울러 캔체(10)의 이동 경로의 양쪽 측방(側方)에 설치된 안내 부재(110)를 구비하고, 이 안내 부재(110)를 이용함으로써, 캔체 이동 기구(200)에 대해 캔체(10)를 반송한다.
캔체 이동 기구(200)에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도 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21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캔체 이동 기구(200)에는 이 회전 부재(210)의 외주연(outer circumferential edge)에 설치되고, 캔체 반송 기구(100)에 의해 순차 반송되어 오는 캔체(10)를 보유하고, 이 캔체(10)와 함께 이동함과 아울러, 보유한 이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22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반송 수단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회전 부재(210)는 그 회전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부언하면, 화상 형성 유닛(220)이 장착된 장착면이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부재(210)의 배치 태양은 이러한 태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회전축이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회전 부재(21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회전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회전 부재(210)를 배치한 쪽이 공정의 복잡화를 초래하기 어렵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도포 장치(500)에 있어서, 공급 롤(furnisher roll)(520)이 잠길 정도로 트레이(tray)(530)에 도료가 공급되어 있다. 공급 롤(520)이 회전함으로써, 일정한 점성을 가지는 도료는 트레이(530) 내에서 교반된다. 또, 공급 롤(520)이 회전함으로써, 공급 롤(520)의 롤면(roll surface)에는, 트레이(530) 내의 도료가 부착된다. 공급 롤(520)에 부착된 도료는, 롤 형상 부재(510)에 전사되고, 또한 캔체(10)에 전사된다. 이것은 캔체(10)가 횡방향으로(누운 상태로) 도료가 캔체(10)에 도포되는 것이 전제로서 성립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회전 부재(210)의 회전축이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회전 부재(210)를 설치해 버리면, 도포 장치(500)의 구조 혹은 배치를 바꿀 필요가 생겨 공정의 복잡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여기서, 화상 형성 기구의 일례로서의 화상 형성 유닛(220)은 상기와 같이 회전 부재(210)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있다. 또, 화상 형성 유닛(220)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0개) 설치됨과 아울러, 회전 부재(210)의 외주연을 따라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 설치된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은 회전 부재(210)의 주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캔체 이동 기구(200)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이다.
이 도에 나타내듯이, 또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의 캔체 이동 기구(200)에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도 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210)가 설치되어 있다. 또, 회전 부재(210)의 외주연에 캔체(10)를 보유함과 아울러 이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22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화상 형성 유닛(22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유닛(220)은, 원반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중심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 테이블(221)이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테이블(221)의 중심부에, 회전 테이블(221)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고(도중 앞쪽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캔체(10)를 보유하는 보유 부재(맨드럴(mandrel))(22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 부재(222)에, 통상(筒狀)으로 형성된 캔체(10)의 일방단(一方端)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캔체(10)가 삽입된다. 또, 보유 부재(222)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보유 부재(222)의 내부 공간에는 통기구가 형성되고, 통기구를 통해 캔체(10) 내측을 진공흡인함으로써 보유 부재(222)는 캔체(10)를 보유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캔체(10)의 보유 부재(222)에 대한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인에 의해 캔체(10)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지만, 미도시의 부재를 캔체(10)에 대해 꽉 누르는 등, 기계적인 구성에 의해 캔체(10)의 이동을 규제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유닛(220)에서는, 보유 부재(222)의 주위에, 보유 부재(222)에 의해 보유되어 있는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해서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부언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 부재(222)의 주위에, 이른바 잉크젯 방식에 의해 캔체(10)에 대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화상 형성 유닛(220)에 6개의 잉크 토출 장치(223)가 설치되어 있고, 최대로 6색의 잉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화상 형성부의 일례로서의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각에는 서로 다른 색의 잉크가 수용되어 있다. 또,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각은 보유 부재(222)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각은 장척(長尺)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장척 형상으로 형성된 잉크 토출 장치(223)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 테이블(221)의 중심부로부터 외주연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각은 회전 테이블(221)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부언하면, 보유 부재(222)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 토출 장치(223)가 보유 부재(222)보다도 하방에 배치되지 않게 되어 있다. 부언하면, 잉크 토출 장치(223)는, 보유 부재(222)의 상방 혹은 보유 부재(222)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유 부재(222)의 상방 혹은 측방에 잉크 토출 장치(223)가 설치되는 경우, 잉크 토출 장치(223)의 잉크 토출 헤드(미도시)가, 하방 혹은 횡방향(수평 방향)을 향하게 되어, 잉크 토출 헤드에 티끌 등이 부착하기 어렵게 된다. 부언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잉크 토출 장치(223)의 잉크 토출 헤드가, 상방 이외의 방향을 향하게 되어 있어 잉크 토출 헤드에 티끌 등이 부착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부재(210)에 대해서 회전 테이블(221)이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듯이, 회전 부재(210)의 회전에 수반하여 화상 형성 유닛(220)이 이동하였다고 해도, 회전 테이블(221)이 도 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화상 형성 유닛(220)의 자세에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모터 M 등으로 회전 테이블(22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화상 형성 유닛(220)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지만, 회전 테이블(221)의 하방에 미도시의 추를 부착하는 등에 의해, 회전 테이블(221)의 중심의 위치를 편심시키고, 이 중심의 편심에 의해 화상 형성 유닛(220)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화상 형성 유닛(220)의 자세의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모터 M을 1개밖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모터 M은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복수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화상 형성 유닛(220)의 자세가 변화하는 경우는, 잉크 토출 장치(223)의 잉크 토출 헤드가 상방을 향하게 되어 버린다. 그리고, 이 경우, 잉크 토출 헤드에 티끌 등이 부착하기 쉬워진다. 또, 화상 형성 유닛(220)의 자세가 변화하는 경우, 잉크 토출 장치(223)의 자세도 변화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캔체(10)에 부착하는 잉크의 양이 변동하거나 잉크의 부착 위치가 어긋나게 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유닛(220)의 자세를 일정한 자세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3(화상 형성 유닛(22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을 참조하여 화상 형성 유닛(220)에 대해 더 설명한다. 또한, 동 도 (A)는 화상 형성 유닛(220)의 정면도이다. 또, 동 도 (B)는 동 도 (A)에 있어서의 화살표 IIIB 방향으로부터 화상 형성 유닛(220)을 바라본 경우의 도이며, 동 도 (C)는 동 도 (A)에 있어서의 화살표 IIIC 방향으로부터 화상 형성 유닛(220)을 바라본 경우의 도이다.
여기서, 캔체(10)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존재하고 캔체(10)의 종류에 따라서는 외경이 다르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잉크 토출 장치(223)가 보유 부재(222)에 대해서 진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부언하면, 보유 부재(222)(캔체(10))에 대해서 잉크 토출 장치(223)가 접근 가능하도록, 또 보유 부재(222)로부터 잉크 토출 장치(223)가 떨어질 수가 있도록, 화상 형성 유닛(220)은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A)에 나타내듯이, 잉크 토출 장치(223)를 보유 부재(222)에 대해서 진퇴시키는 진퇴 기구(2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진퇴 기구(250)는, 예를 들면 직선적으로 움직이는 구동부를 가진, 이른바 리니어 액츄에이터(linear actuator)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리니어 액츄에이터는, 예를 들면 리니어 모터, 또는 써보모터와 볼(ball) 나사로 구성된다.
또한, 캔체(10)의 외경에 대한 정보(캔체(10)에 대한 정보)는, 미도시의 단말을 통해 조작자에 의해 입력되고, 이 단말로부터 제어부(900)(도 1 참조)에 송신된다. 그리고, 제어부(900)는 캔체(10)의 외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 정보에 기초하여 진퇴 기구(250)를 구동하고, 캔체(10)의 외경에 따른 위치에 잉크 토출 장치(223)를 배치한다. 또한,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각에 캔체(10)를 검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이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캔체(10)의 외경에 따른 위치에 잉크 토출 장치(223)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자동으로 잉크 토출 장치(223)를 캔체(10)의 외경에 따른 위치에 배치할 수가 있다. 부언하면, 캔체(10)와의 거리를 센서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자동으로 잉크 토출 장치(223)를 진퇴시키는 경우, 캔체(10)의 외주면과 잉크 토출 장치(223)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외주면에의 잉크의 토출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캔체(10)의 형상이 원형뿐만이 아니라, 예를 들면 타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캔체(10)에 대해서도 화상을 형성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캔체(10)의 형상 데이터를 미리 입력해 둠으로써, 이 형상 데이터를 기초로 자동으로 잉크 토출 장치(223)를 진퇴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도 형상이 원형 이외의 캔체(10)에의 화상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B)에 나타내듯이, 회전 테이블(221)의 뒤쪽에 장착되고, 보유 부재(222)를 회전시키는 써보모터 M1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캔체(10)를 보유한 보유 부재(222)가 이 써보모터 M1에 의해 회전된다. 이에 의해 캔체(10)가 주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한편으로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각으로부터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해서 잉크가 토출된다. 이에 의해 캔체(10)의 외주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기(1)(도 1 참조)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캔체 이동 기구(200)보다 앞쪽에, 「포켓」이라고 불리는, 캔체(10)를 일시적으로 수취하는 홀더 H가 설치되어 있다(도 1에는 표시 생략, 도 3(C) 참조). 포켓은 화상 형성 유닛(220)과 함께 캔체 이동 기구(200)의 앞쪽을 이동한다. 캔체(10)는 캔체 반송 기구(100)로부터 반출되어 일단 포켓에 실린다. 포켓의 안쪽측에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설치된 보유 부재(222)가 있다. 포켓에 놓여진 캔체(10)의 중심과 보유 부재(222)의 중심은 일치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 부재(222)의 통기구가 캔체(10)를 진공흡인함으로써, 캔체(10)는 포켓을 미끄러지듯이 보유 부재(222)측으로 이동하고, 캔체(10)는 보유 부재(222)에 삽입되고, 캔체(10)는 보유 부재(222)에 의해 진공흡착 보유된다.
여기서, 캔체 이동 기구(20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에 대해 더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캔체 이동 기구(200)에 의한 처리에 앞서, 우선 캔체(10)의 외경에 대한 정보가 제어부(900)에 의해 취득된다. 또, 캔체(10)에 형성되는 화상의 화상 정보가 PC(Personal Computer) 등의 외부의 단말로부터 취득된다. 그 후에 취득한 상기 외경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진퇴 기구(250)(도 3(A) 참조)가 구동되고, 캔체(can body)(10)의 외경에 따른 위치에 잉크 토출 장치(223)가 배치된다.
그 후에 캔체 반송 기구(100)로부터 캔체 이동 기구(200)로 캔체(10)가 순차 공급되고, 캔체(10)가 보유 부재(222)에 의해 보유된다. 또,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각으로부터 잉크가 토출된다. 부언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동시에 잉크가 토출된다. 그리고, 캔체(10)의 회전이 개시되고 나서 캔체(10)가 약 360° 회전한 상태로 되면(캔체(10)가 약 1주(周) 회전하면), 써보모터 M1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 잉크 토출 장치(223)에 의한 잉크의 토출도 정지된다. 이에 의해 캔체(10)의 외주면에 또한 전체 둘레에 걸쳐 화상이 형성된 상태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복수의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동시에 잉크를 토출시키지만, 잉크의 토출을 개시하는 타이밍이나 잉크의 토출을 종료하는 타이밍은 동시가 아니어도 좋다. 예를 들면, 각 부의 치수 공차 등에 의해,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간격이 균등이 아닌 경우에는, 각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킬 때의 개시 타이밍을 늦추는 일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캔체(10)가 캔체 이동 기구(200)에 투입되고 나서 이 캔체 이동 기구(200)로부터 배출될 때까지(제1반송 장치(300)로 캔체(10)가 받아 넘겨질 때까지)의 동안에, 캔체(10)가 약 360° 회전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 설치된 화상 형성 유닛(220)에 대해서 캔체(10)가 순차 투입되고, 하나의 화상 형성 유닛(220)이 아니라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닛(220)에 의해 캔체(10)에 대한 화상 형성을 한다.
부언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캔체(10)가 순차 반송되고 있는 한중간에, 복수의 캔체(10)에 대한 화상 형성이 동시에(병렬적으로) 행해지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기(1)에서는, 예를 들면 하나의 화상 형성 유닛(220)에 의해 캔체(10)에 대한 처리를 행하여 가는 경우에 비해, 단위 시간당에 처리가 가능한 캔체(10)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현재, 캔체(10)로의 화상의 형성은, 오프셋 인쇄(offset printing)로 불리는 인쇄 방식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잉크를 판에 일단 얹고, 그 후에 판으로부터 블랭킷(blanket)으로 불리는 고무 형상의 시트에 잉크가 전사되고, 또한 블랭킷에 전사된 잉크가 캔체(10)에 전사된다. 그 한편으로 최근에 잉크젯 인쇄로 대표되는 것 같은 디지털 인쇄에 의해, 대상물에의 인쇄를 행하는 것이 많아지고 있다.
디지털 인쇄는 오프셋 인쇄에 비해 쇄판으로 불리는 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쇄판의 제작, 쇄판과 인쇄기와의 위치 맞춤, 인쇄중에 있어서의 쇄판의 청소 작업 등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에 의해 로트를 바꾸는 경우의, 「절차」라고 불리는 작업이 간소화되어 다품종 소로트 생산 등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 캔체(10)의 제조 공정에서는, 인쇄와 관련된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일도 많아, 디지털 인쇄로 절체함으로써 인쇄와 관련된 공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을 저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디지털 인쇄로 절체함으로써 이점이 생기게 되지만, 그 한편으로 단점도 생기게 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인쇄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는 잉크젯에 의한 인쇄에서는, 인쇄 속도가 늦고, 이 인쇄 방식의 인쇄 속도는, 오프셋 인쇄의 인쇄 속도의 예를 들면 1/10로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단지, 잉크젯에 의한 인쇄로 절체하여 버리면 생산성이 저하하게 되어 버린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에서는, 잉크젯에 의한 인쇄 방식을 채용하고 있지만, 상기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캔체(10)에 대한 화상 형성 처리가 동시에 행해진다. 또, 하나의 캔체(10)에 대한 화상 형성 처리가 복수의 잉크 토출 장치(223)에 의해 행해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에서는, 잉크젯에 의한 인쇄 방식을 채용한 경우에 생길 수 있는 생산성의 저하를 억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생산성의 저하의 억제는, 예를 들면 캔체(10)의 반송 라인을 복수 설치하고, 각각의 반송 라인에 인쇄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행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반송 라인이 분기, 반송 라인이 합류를 하게 되지만, 개별의 반송 라인은 독립해 있기 때문에, 그 처리 속도에는 불균일이 발생한다. 이러한 부정기인 처리 속도의 복수의 라인을 1개로 합류시키는 것은 곤란을 수반하고, 또 반송 효율이 저하해 버린다. 또, 이 경우, 장치의 설치 면적(점유 체적)이 증가하게 되어 버린다.
그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에서는, 복수의 반송 라인을 설치하는 일 없이 하나의 반송 라인으로 인쇄를 행할 수가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에서는, 반송 라인이 복수 설치되는 것에 수반하여 생기는 생산성의 저하도 억제되게 된다. 부언하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은, 하나의 반송 라인을 이용하여 직렬로 캔체(10)를 순차 반송하면서도 복수의 캔체(10)에 대한 인쇄 처리를 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4는 인쇄기의 비교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인쇄기(30)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기(1)와 마찬가지로, 보유 부재(본 도면에서는 미도시)에 의해 캔체(10)가 보유된 상태로 캔체(10)는 이동해 간다. 또, 보유 부재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캔체(10)는 자전한다. 그런데, 이 인쇄기(30)에서는, 잉크 토출 장치(223)가 캔체(10)와 함께 이동하지 않고 인쇄기(30)의 본체측에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인쇄기(30)에서는, 간헐 내보냄에 의해, 잉크 토출 장치(223)의 대향 위치에 캔체(10)가 반송되고, 이 대향 위치에 모든 캔체(10)가 일단 정지된다. 그리고, 이 위치에서 캔체(10)의 회전이 행해지고, 또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의 잉크의 토출이 행해진다. 그 후에 간헐 내보냄이 다시 행해지고, 인접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의 대향 위치에 캔체(10)가 배치된다. 그리고, 이 위치에서 캔체(10)의 회전이 다시 행해지고, 인접하는 이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캔체(10)에 잉크가 토출된다.
그리고, 이 인쇄기(30)에서는, 이러한 동작이 반복하여 행해짐으로써, 캔체(10)에 미리 정해진 화상이 형성되게 된다. 이 인쇄기(30)의 경우, 캔체(10)를 1회전시킨 것만으로는 화상의 모두를 형성하지 못하여, 여러 차례 캔체(10)를 회전시킬 필요가 생긴다. 이 때문에, 단위 시간당에 반송 가능한 캔체(10)의 수가 적게 된다.
또한, 이 인쇄기(30)에서는, 캔체(10)의 이동 경로의 양측에 잉크 토출 장치(223)를 설치하여 화상 형성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고 있지만, 이와 같이 양측에 잉크 토출 장치(223)를 설치했다고 해도, 6색 등 다수의 색의 잉크로 화상을 형성하고 싶은 경우에는, 인접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에 캔체(10)를 옮길 필요가 생긴다. 그리고, 이 경우, 생산성이 저하해 버린다.
다음에, 도 1에서 나타낸 제1반송 장치(300), 가열 장치(400), 도포 장치(500), 제2반송 장치(600), 및 제3반송 장치(700)에 대해 설명한다.
제1반송 장치(300)는, 도 1에 나타내듯이, 복수의 흡인 부재(31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이 복수의 흡인 부재(310)는 미리 정해진 경로(원호를 그리는 경로)를 따라 순환 이동을 행하고 있다. 부언하면, 도 중 반시계방향으로의 이동을 행하고 있다. 또, 이 복수의 흡인 부재(310)는, 도 3(C)에서 나타낸 캔체 반송 기구(100)와 마찬가지로 인쇄기(1)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캔체 이동 기구(200)보다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반송 장치(300)에 있어서, 우선 캔체 이동 기구(200)에 설치된 보유 부재(222)(도 2 참조)에 형성되는 통기구로부터 진공흡착됨으로써 보유되어 있는 캔체(10)는, 이 통기구를 진공으로부터 압축 공기로 바꿈으로써, 진공이 파괴되고, 압축 공기에 의해 캔체(10)의 저부에 압력이 걸리고, 캔체(10)는,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앞쪽 방향을 향해, 흡인 부재(310)까지 이동한다. 흡인 부재(310)는 이동해 온 캔체(10)를 흡인 부재(310)에 형성되는 통기구로부터 진공흡착에 의해 보유한다. 그리고, 이대로 흡인 부재(310)를 상기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캔체 이동 기구(200)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캔체(10)가 가열 장치(400)에 반송되게 된다.
가열 장치(400)는, 캔체 이동 기구(200)에 설치된 상기 보유 부재(222)와 마찬가지의 부재(이하, 이 부재도 「보유 부재(222)」라고 칭함)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이 보유 부재(222)는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보유 부재(222)는 미리 정해진 경로(원호를 그리는 경로)를 따라 순환 이동을 행하고 있다. 부언하면, 이 보유 부재(222)는 도 중 시계방향을 향해 이동하고 있다. 또, 보유 부재(222)의 각각은 자전을 행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열 장치(400)는 인쇄기(1)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제1반송 장치(300)보다 안쪽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반송 장치(300)로부터 가열 장치(400)로의 캔체(10)의 받아 넘김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우선, 캔체(10)를 진공흡인에 의해 보유한 흡인 부재(310)는, 흡인 부재(310)에 형성된 통기구 내를 진공으로부터 압축 공기로 바꿈으로써, 진공이 파괴되고, 압축 공기에 의해 캔체(10)의 저부에 압력이 걸리고, 캔체(10)는 가열 장치(400) 내의 보유 부재(222)로 이동한다. 한편, 보유 부재(222)에서는 보유 부재(222) 내에 형성된 통기구로부터 진공흡인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캔체(10)는 보유 부재(222)에 삽입되어 흡인 보유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흡인 부재(310)의 이동하는 궤적에 관해서 흡인 부재(310)는 중심으로부터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유닛(220) 상의 보유 부재(222)로부터 캔체(10)를 수취하는 경우, 상기 이동 기능이 없는 경우, 보유 부재(222)와 흡인 부재(310)의 접점은 2개소만으로 되고, 순간적으로 2회, 보유 부재(222)와 흡인 부재(310)의 위치가 일치하게 되기 때문에, 캔체(10)의 받아 넘김은 곤란하게 된다(도 1 참조). 이에 반해 흡인 부재(310)의 궤적을 보유 부재(222)의 궤적에 일치시키는 것 같은 이동 기능을 가지는 경우, 일정시간, 보유 부재(222)와 흡인 부재(310)의 위치가 일치하게 되어, 캔체(10)의 받아 넘김이 확실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1반송 장치(300)의 흡인 부재(310)는, 도 1의 부호 1A에 나타내듯이, 제1반송 장치(300)와 가열 장치(400)가 겹치는 개소에 있어서,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된 이동 경로로부터 일단 벗어나 직선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 가열 장치(400)의 보유 부재(222)도, 부호 1A에 나타내듯이, 제1반송 장치(300)와 가열 장치(400)가 겹치는 개소에 있어서,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된 이동 경로로부터 일단 벗어나 직선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 부호 1A에 나타내는 개소에 있어서, 흡인 부재(310)와 보유 부재(222)는 서로 겹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흡인 부재(310)와 보유 부재(222)의 겹침이 생기고 있을 때, 흡인 부재(310)로부터 보유 부재(222)로 캔체(10)가 받아 넘겨진다.
또한, 흡인 부재(310)의 상기 직선적인 이동, 및 보유 부재(222)의 상기 직선적인 이동은 캠(cam) 등이 이용됨으로써 행해진다. 또, 상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도포 장치(500)에 있어서의 롤 형상 부재(510)와 보유 부재(222)의 접촉부에 관해서도, 도 1에 나타내듯이, 보유 부재(222)는 롤 형상 부재(510)의 외주를 이동하게 된다. 또한, 가열 장치(400)와 제2반송 장치(600)가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도, 외측을 향해 부풀어 오르도록 형성되고, 또한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된 이동 경로로부터 보유 부재(222)가 일단 벗어나게 된다. 이에 의해 보유 부재(222)와 제2반송 장치(600)에 설치된 흡인 부재(610)(구조, 기능 모두 제1반송 장치(300)에 있어서의 흡인 부재(310)와 같음)가 겹치게 된다. 또, 제3반송 장치(700)에 설치된 핀(720)(체인(710)에 부가된 봉상체(棒狀體)로, 이것에 캔체(10)를 걸어 반송함)도, 외측을 향해 부풀어 오르도록 형성되고, 또한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된 이동 경로로부터 일단 벗어나게 된다. 이에 의해 핀(720)과 흡인 부재(610)가 겹치게 된다.
여기서 가열 장치(4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경화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이 가열 장치(400)는, 캔체(1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되고 캔체(10)를 가열하는 가열부(410)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이 가열부(410)는 적외선 램프 등(미도시)을 구비하고 있고 이 적외선 램프 등을 이용하여 캔체(10)의 가열을 행한다. 그리고, 이 가열에 의해 캔체(10)의 외주면에 도포된 잉크가 경화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열 장치(400)에 설치된 보유 부재(222)가 자전을 행하고 있고, 캔체(10)에 가열 얼룩짐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캔체(10)의 이동 경로의 양측에 가열부(410)가 설치되어 있고, 이동 경로의 편측에만 가열부(41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보다 짧은 시간에 잉크를 경화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포 장치(500)에 의해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해서 도료가 도포되지만, 이 때에 캔체(10) 상의 화상을 구성하고 있는 잉크의 유동성이 높은 그대로라면 이 화상이 흐트러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포 장치(500)에 의한 도료의 도포를 하기 전에 캔체(10)를 가열하여 캔체(10) 상의 잉크를 경화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열함으로써 잉크를 경화시키도록 했지만, UV(ultraviolet) 경화형의 잉크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UV 램프를 조사함으로써 잉크를 경화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열부(410)의 하류측에 도포 장치(5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도포 장치(500)는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도료를 도포한다. 이에 의해 캔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화상의 위에 보호층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도포 장치(500)는 롤 형상 부재(510)를 가지고 있고, 이 롤 형상 부재(510)를 캔체(10)의 외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캔체(10)에 대한 도료의 도포를 행한다.
가열 장치(400)에 의해 가열되고, 또 도포 장치(500)에 의해 도료가 도포된 캔체(10)는 제2반송 장치(600)에 의해 더 반송된다. 이 제2반송 장치(600)는 제1반송 장치(30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흡인 부재(61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이 복수의 흡인 부재(610)는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순환 이동을 행하고 있다.
또, 제2반송 장치(600)는 인쇄기(1)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가열 장치(400)보다도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 제2반송 장치(600)는 제1반송 장치(300)와 마찬가지로, 가열 장치(400)의 보유 부재(222)에 의해 보유되어 있는 캔체(10)의 저부에 대해서 흡인 부재(610)를 대향시킴으로써 캔체(10)를 흡인한다. 이에 의해 캔체(10)가 제3반송 장치(700)로 반송되어 간다.
제3반송 장치(700)는 인쇄기(1)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제2반송 장치(600)보다 안쪽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3반송 장치(700)는, 시계방향으로 주회(周回) 이동을 행하는 체인(710)과 이 체인(710)에 장착된 복수의 핀(7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반송 장치(600)로부터 제3반송 장치(700)로의 캔체(10)의 받아 넘김은 캔체(10)의 내부에 핀(720)이 삽입됨으로써 행해진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이 제3반송 장치(700)에 의해 캔체(10)는 미도시의 인화 장치(공정)로 반송된다.
도 5는 인쇄기(1)의 다른 한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인쇄기(1)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캔체(10)를 하방으로 반송하는 캔체 반송 기구(100), 캔체 반송 기구(100)에 의해 반송되어 온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한 화상의 형성을 행하면서 이 캔체(10)를 이동시키는 캔체 이동 기구(200)가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캔체(10)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캔체 이동 기구(200)의 바로 하류측에 가열 장치(4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기(1)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제1반송 장치(850)의 흡인 부재(851)와 겹치도록 가열 장치(400)가 설치되어 있다. 부언하면, 인쇄기(1)를 앞쪽으로부터 바라본 경우에, 가열 장치(400)와 제1반송 장치(850)가 겹치도록 가열 장치(400) 및 제1반송 장치(85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1반송 장치(850)의 흡인 부재(851)는 깊이 방향에 대해 캔체 이동 기구(200)의 보유 부재(222)와 같은 위치에 있다. 또한, 인쇄기(1)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제1반송 장치(850)의 안쪽측에는 상기 제3반송 장치(700)(도 1 참조)와 마찬가지로 구성된 제2반송 장치(86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반송 장치(850)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된 경로를 따라 순환 이동을 행하는 복수의 흡인 부재(85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캔체 이동 기구(200)의 보유 부재(222)에 의해 보유되어 있는 캔체(10)에 대해서 흡인 부재(851)가 대향하고, 이 흡인 부재(851)에 의해 캔체(10)가 보유된다. 부언하면, 보유 부재(222)에 의해 반송되어 온 캔체(10)를 흡인 부재(851)가 수취한다.
그 후에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이 흡인 부재(851)에 의해 캔체(10)가 더 반송된다. 그 후에 흡인 부재(851)에 의해 보유되어 있는 캔체(10)는, 도 5의 부호 5A에 나타내는 개소에서 안쪽측에 위치하고,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된 경로를 따라 순환 이동을 행하고 있는 보유 부재(222)(가열 장치(400)의 보유 부재(222))에 의해 수취되고, 수취 부재의 일례로서의 이 보유 부재(222)에 의해 보유되게 된다.
그 후에 이 캔체(10)는 보유 부재(222)에 의해 더 반송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가열부(410)를 통과하고, 또 도포 장치(500)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캔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잉크가 경화하고, 또 잉크 위에 보호층이 형성된다. 또한, 가열 장치(400)의 보유 부재(222)에 캔체(10)를 받아 넘긴 후의 흡인 부재(851)는, 이 도의 부호 5B에 나타내듯이, 가열부(410)보다도 내측을 통과해 간다.
캔체(10)에 보호층이 형성된 후, 동 도의 부호 5C에 나타내듯이, 캔체(10)를 보유하고 있는 보유 부재(222)가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캔체(10)가 내측으로 이동하고, 또 흡인 부재(851)는 외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부호 5C에 나타내는 개소에서, 보유 부재(222)와 흡인 부재(851)가 겹치게 된다. 그리고, 이 개소에서 안쪽측에 위치하는 보유 부재(222)로부터 앞쪽에 위치하는 흡인 부재(851)로 캔체(10)가 받아 넘겨진다. 또한, 부호 5C에 나타내는 개소를 통과한 보유 부재(222)는, 캔체 이동 기구(200)에 설치된 보유 부재(222)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부호 5D에 나타내듯이 내측으로 이동한다. 그 후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인 부재(851)로부터 제2반송 장치(860)로 캔체(10)가 받아 넘겨지고, 캔체(10)는 인화 장치로 반송된다.
여기서 도 1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캔체 이동 기구(200)와 가열 장치(400)의 사이에 제1반송 장치(300)가 설치되고, 가열 장치(400)와 제3반송 장치(700)의 사이에 제2반송 장치(600)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제1반송 장치(300) 및 제2반송 장치(600)가 생략되어 있다. 그 대신에 제1반송 장치(85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인쇄기(1)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인쇄기(1)를 앞쪽으로부터 바라본 경우에, 가열 장치(400)와 제1반송 장치(850)가 겹치도록 가열 장치(400) 및 제1반송 장치(850)가 설치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흡인 부재(851)가 순환 이동을 행할 때의 중심축(회전축)(859)과 복수의 보유 부재(222)가 순환 이동을 행할 때의 중심축(회전축)(229)이 일치하게 되어 있다. 또한, 흡인 부재(851)와 보유 부재(222)가 캔체(10)의 받아 넘김을 할 때, 흡인 부재(851)의 이동 궤적과 보유 부재(222)의 이동 궤적이 일치하게 되어 있다. 또, 이러한 흡인 부재(851)와 화상 형성 유닛(220) 상의 보유 부재(222)는 캠 등에 의해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화상 형성 유닛(220) 상의 보유 부재(222)와의 궤적을 일치시키게 되어 있다. 또, 도포 장치(500)에 있어서의 롤 형상 부재(510)와 보유 부재(222)의 접촉부에 관해서도, 보유 부재(222)는 롤 형상 부재(510)의 외주를 이동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는 인쇄기(1)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인쇄기(1)의 다른 한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또한, 도 6은 인쇄기(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이며, 도 7은 화상 형성 유닛(220)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캔체 이동 기구(200)와는 다른 개소에 설치된 가열 장치(400)에 의해 캔체(10)가 가열되는 구성이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듯이, 화상 형성 유닛(220)의 일부에 캔체(10)를 가열하는 가열 유닛(224)이 조립되고, 이 가열 유닛(224)에 의해 캔체(10)가 가열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 가열 유닛(224)은, 보유 부재(222)(캔체(10))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잉크 토출 장치(223)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류측에서 캔체(10)에 부착한 잉크를 경화시킨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의 경우, 잉크가 도포되고 나서 곧바로 잉크가 경화되기 때문에 잉크 내에 이물질이 들어가기 어렵게 된다.
여기서, 가열 유닛(224)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미도시의 적외선 램프 등을 구비하고 있고, 이 적외선 램프 등을 이용하여 캔체(10)의 가열을 행한다. 또한, 가열이 불충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캔체(10)에의 화상 형성이 개시되고 나서 캔체 이동 기구(200)로부터 캔체(10)가 배출될 때까지, 캔체(10)의 가열을 행한다. 또, 가열 얼룩짐을 방지하기 위해, 캔체(10)를 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가열 유닛(224)이 설치되기 때문에, 도 1 등에서 나타낸 가열 장치(400)는 생략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잉크가 UV(ultraviolet) 경화형의 잉크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가열 유닛(224)으로 바꾸어 UV 램프를 탑재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듯이, 흡인 부재(871)를 복수 구비한 제1반송 장치(870)가 캔체 이동 기구(200)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체인(881) 및 핀(882)을 구비한 제2반송 장치(880)가 제1반송 장치(870)의 안쪽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핀(882)에 걸린 캔체(10)와 캔체 이동 기구(200)의 캔체(10)와의 깊이 방향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체인(881)은 필요에 따라 캔체 이동 기구(200)와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서로의 간섭을 피하도록 설치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캔체 이동 기구(200)에 인접하도록 도포 장치(500)가 설치되어 있고, 화상 형성 유닛(220)에 의해 캔체(10)가 보유되어 있는 한중간에, 캔체(10)로의 도료의 도포를 하게 되어 있다. 또, 화상 형성 유닛(220)은 회전 중심 방향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캠 등에 의해 회전 부재(210)의 회전에 맞추어 화상 형성 유닛(220)을 이동시켜서 제1반송 장치(870)의 흡인 부재(871)의 궤적과 캔체(10)의 궤적을 일치시키게 되어 있다. 또, 캔체(10)는 도포 장치(500)에 있어서의 롤 형상 부재(510)의 외주를 이동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유닛(220)에 의해 캔체(10)가 보유됨과 아울러, 이 캔체(10)의 주위에 배치된 잉크 토출 장치(223)에 의해 캔체(10)에 대해서 화상이 형성된다. 또, 이 캔체(10)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설치된 가열 유닛(224)에 의해 가열되고, 캔체 이동 기구(200)로부터 캔체(10)가 배출 될 때까지 캔체(10) 상의 잉크가 경화된다.
그 후에 캔체(10)는 제1반송 장치(870)에 의해 보유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흡인 부재(871)에 의해 캔체(10)가 흡인되어 보유된다. 그 후에 이 캔체(10)에 대해서 제2반송 장치(880)의 체인(881)에 설치된 핀(882)이 삽입되고, 제2반송 장치(880)에 의해 캔체(10)가 반송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에서는 도 1, 5에 나타낸 가열 장치(400)가 생략되어 인쇄기(1)의 더욱더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 캔체 이동 기구(200)로부터 가열 장치(400)로 캔체(10)를 반송하는 제1반송 장치(300)(도 1 참조), 캔체 이동 기구(200)로부터 가열 장치(400)로 캔체(10)를 반송하는 제1반송 장치(850)(도 5 참조) 등도 생략 가능하게 되어 인쇄기(1)를 더 작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유닛(220)(도 1 참조)이 회전하고 화상 형성 유닛(220)의 자세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회전 부재(210)에 대해서 화상 형성 유닛(220)을 고정할 수도 있다.
도 8은 인쇄기(1)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이다. 또한, 기본적인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인쇄기(1)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다른 점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8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잉크 토출 장치(223)는, 회전 부재(210)의 회전 중심과 각 보유 부재(222)의 중심을 이은 축선에 대해, 각각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장착되어 있다. 부언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잉크 토출 장치(223)의, 회전 부재(210)의 회전 중심에 대한 자세가, 복수 설치된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에 있어서, 동일(일정)하게 되도록,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회전 부재(210)의 회전에 수반하여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에 설치된 잉크 토출 장치(223)의 자세는 변화하게 된다. 부언하면, 회전 부재(210)의 회전 중심에 대한 자세는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다른 부분에 대한 자세는 변화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8에 있어서, 회전 부재(210)의 최상부에 있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있어서의 잉크 토출 장치(223)는, 캔체(1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지만, 회전 부재(210)의 최하부에 있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있어서의 잉크 토출 장치(223)는, 캔체(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부재(210)가 회전하고 있을 때에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잉크가 토출되지만, 토출된 이 잉크에는 원심력, 중력, 및 토출력(잉크 토출 장치(223)에 의한 토출력)의 3개의 힘이 작용한다. 여기서, 회전 부재(210)가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 잉크에 원심력이 작용할 때의 작용 방향은 변화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중력에 대해서는 연직 방향 하향으로 항상 작용하기 때문에, 잉크 토출 장치(223)의 위치에 의해 잉크에 작용하는 중력의 방향이 다르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잉크 토출 장치(223)의 위치에 의해 중력의 작용 방향이 다르게 되면, 캔체(10)에 도달하는 잉크의 양이 증감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도 8과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유닛(220)의 자세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잉크가 토출될 때의 토출력을 잉크 토출 장치(223)(화상 형성 유닛(220))의 자세(위치)에 따라 보정(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언하면,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잉크 토출 장치(223)의 잉크 토출 헤드와 캔체(10)의 중심을 이은 축선방향으로 잉크의 토출력은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각 잉크 토출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에 걸리는 중력을 상기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분력과 이 축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분력으로 하고, 이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분력을 이용하여 잉크의 토출력을 보정(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에 작용하는 중력의 방향은, 각 잉크 토출 장치(223)의 위치에 기초하여 파악할 수가 있다. 여기서, 각 잉크 토출 장치(223)의 위치는, 예를 들면 회전 부재(210)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파악할 수가 있다. 여기서, 회전 부재(210)의 회전 각도는, 예를 들면 회전 부재(210)에 대해서, 예를 들면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 등의 회전 각도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파악할 수가 있다.
또, 회전 부재(210)의 회전이 개시되고 나서 회전 부재(210)가 일정한 속도로 될 때까지의 동안, 회전 부재(210) 상의 각 화상 형성 유닛(220)에 걸리는 원심력은 점차 증가한다. 또, 회전 부재(210)가 정지하거나 감속될 때에는, 회전 부재(210) 상의 각 화상 형성 유닛(220)에 걸리는 원심력은 점차 저하한다. 이러한 경우도 잉크의 토출력을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로터리 엔코더 등을 이용하여 회전 부재(210)의 각속도 및 회전 부재(210)의 각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이 각속도와 기존 데이터인 회전 중심으로부터 각 잉크 토출 장치(223)까지의 거리 및 잉크의 질량에 기초하여, 각 잉크 토출 장치(223)(각 잉크 토출 헤드)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한 이 원심력과 검출한 회전 부재(210)의 각도로부터 산출되는 각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도 등을 이용하여 잉크 토출 헤드로부터 잉크가 토출될 때의 잉크 토출력에 보정을 가한다.
도 8에서 나타내는 인쇄기(1)에 대해 더 설명하면, 본 도면에 나타내는 인쇄기(1)에서는, 회전 부재(21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복수 설치된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을 본 경우에, 각 화상 형성 유닛(220)에 있어서의 복수의 잉크 토출 장치(223)의 배치 태양이 같은 상태로 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유닛(220)의 회전 부재(210)에 대한 상태가, 회전 부재(210)가 회전했다고 해도 변화하지 않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회전 부재(2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대해서는 도 중 상방을 향하는 원심력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잉크가 토출되기 어렵게 된다. 그 한편으로 회전 부재(210)의 하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대해서는, 도 중 하방을 향하는 원심력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잉크가 토출되기 쉬워진다. 그리고, 이 경우, 화상 형성 유닛(220)의 위치에 따라 잉크의 토출량이 변동해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도 8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에 대해서 작용하는 원심력의 방향이 일정하게 되어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바뀜으로써 생길 수 있는 잉크 토출량의 변동이 억제되게 된다.
또한, 잉크의 토출력의 변경(보정)은 화상 형성 유닛(220)마다(화상 형성 유닛(220) 단위로) 행할 수도 있고, 잉크 토출 장치(223)마다(1개의 잉크 토출 장치(223)마다)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8의 회전 부재(210)에 복수 설치된 화상 형성 유닛(220) 중의 도 중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서는, 캔체(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에 대해서는, 이 잉크의 토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한다. 그 한편으로 캔체(10)의 하방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에 대해서는, 이 잉크의 토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캔체(10)의 하방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잉크가 토출될 때의 토출력을 높이고, 캔체(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잉크가 토출될 때의 토출력을 약하게 할 수가 있다.
여기서, 도 8에서는 도 1에 있어서의 캔체 이동 기구(200)를 변경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도 5에 나타낸 캔체 이동 기구(200), 및 도 6에 나타낸 캔체 이동 기구(200)도, 도 8에 나타낸 캔체 이동 기구(200)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도 1, 도 5, 도 6에서 나타낸 캔체 이동 기구(200)(화상 형성 유닛(220)의 자세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캔체 이동 기구(200))에 있어서도, 잉크가 토출될 때의 토출력을 변경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캔체 이동 기구(200)에서는, 잉크에 작용하는 중력의 작용 방향은 일정하게 되지만, 화상 형성 유닛(220)의 위치에 따라 잉크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작용 방향이 다르게 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 복수 설치된 화상 형성 유닛(220) 중의 도 중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대해서는 도 중 우방향으로 향하는 원심력이 작용하게 되지만, 도 중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대해서는 도 중 좌방향으로 향하는 원심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화상 형성 유닛(220)의 위치에 따라 잉크의 토출량이 변동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이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유닛(220)의 위치에 따라 잉크가 토출될 때의 토출력을 변경할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유닛(220)이 도 중 가장 우측에 위치할 때에는 이 화상 형성 유닛(220) 내의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잉크가 토출될 때의 토출력을 강하게 하고, 이 화상 형성 유닛(220) 내의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잉크가 토출될 때의 토출력을 약하게 한다. 또, 이 화상 형성 유닛(220)이 회전 부재(210)의 회전에 수반하여 도 중 가장 좌측까지 이동하였을 때에는, 이 화상 형성 유닛(220) 내의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잉크가 토출될 때의 토출력을 약하게 하고,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잉크가 토출될 때의 토출력을 강하게 한다.
<제2의 실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캔체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기(1)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이 인쇄기(1)는 디지털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캔체(10)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기이다. 여기서, 인쇄기(1)에는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미도시의 캔체 제조 공정에서 제조된 캔체(10)를 순차 반송하는 캔체 반송 기구(100), 캔체 반송 기구(100)에 의해 반송되어 온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한 화상의 형성을 행하면서 이 캔체(10)를 이동시키는 캔체 이동 기구(200), 캔체 이동 기구(200)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캔체(10)를 반송하는 제1반송 장치(30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인쇄기(1)에는 제1반송 장치(300)에 의해 순차 반송되어 오는 캔체(10)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400), 가열 장치(400)에 의해 가열된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해서(캔체(10)에 형성된 화상의 위에) 미리 정해진 도료를 도포하는 도포 장치(500)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가열 장치(400)에 의해 가열되고 또한 도포 장치(500)에 의해 도료가 도포된 캔체(10)를 더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제2반송 장치(600), 제2반송 장치(600)에 의해 반송되어 온 캔체(10)를 더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제3반송 장치(70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인쇄기(1)에는 이 인쇄기(1)에 설치된 각 장치, 각 기구부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9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3반송 장치(700)보다도 캔체(10)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에는 캔체(10)에 형성된 화상 및 캔체(10)에 도포된 도료를 이 캔체(10)에 인화하는 인화 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캔체 반송 기구(100)는 캔체(10)의 무게를 이용함으로써, 하방에 위치하는 캔체 이동 기구(200)에 대해서 캔체(10)를 반송한다. 또, 캔체 반송 기구(10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됨과 아울러 캔체(10)의 이동 경로의 양쪽 측방에 설치된 안내 부재(110)를 구비하고, 이 안내 부재(110)를 이용함으로써, 캔체 이동 기구(200)에 대해 캔체(10)를 반송한다.
캔체 이동 기구(200)에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도 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21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캔체 이동 기구(200)에는 이 회전 부재(210)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캔체 반송 기구(100)에 의해 순차 반송되어 오는 캔체(10)를 복수 보유하고, 이 캔체(10)와 함께 이동함과 아울러, 보유한 이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220)이 설치되어 있다. 부언하면, 캔체 이동 기구(200)에는 복수의 캔체(10)에 의해 구성되는 캔체군을 보유하고, 이 캔체군과 함께 이동함과 아울러, 보유한 이 캔체군에 대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22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반송 수단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회전 부재(210)는 그 회전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부언하면, 화상 형성 유닛(220)이 장착된 장착면이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부재(210)의 배치 태양은 이러한 태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회전축이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회전 부재(21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회전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회전 부재(210)를 배치한 쪽이 공정의 복잡화를 초래하기 어렵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도포 장치(500)에 있어서, 공급 롤(520)이 잠길 정도로 트레이(530)에 도료가 공급되어 있다. 공급 롤(520)이 회전함으로써, 일정한 점성을 가지는 도료는 트레이(530) 내에서 교반된다. 또, 공급 롤(520)이 회전함으로써, 공급 롤(520)의 롤면(roll surface)에는, 트레이(530) 내의 도료가 부착된다. 공급 롤(520)에 부착된 도료는, 롤 형상 부재(510)에 전사되고, 또한 캔체(10)에 전사된다. 이것은 캔체(10)가 횡방향으로(누운 상태로) 도료가 캔체(10)에 도포되는 것이 전제로서 성립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회전 부재(210)의 회전축이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회전 부재(210)를 설치해 버리면, 도포 장치(500)의 구조 혹은 배치를 바꿀 필요가 생겨 공정의 복잡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여기서, 화상 형성 유닛(220)은 상기와 같이 회전 부재(210)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있다. 또, 화상 형성 유닛(220)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4개) 설치됨과 아울러, 회전 부재(210)의 외주연을 따라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 설치된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은 회전 부재(210)의 주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0은 캔체 이동 기구(200)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이다. 또, 도 11, 도 12는 화상 형성 유닛(22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또한, 도 11(A)는 화상 형성 유닛(220)의 정면도이다. 또, 동 도 (B)는 화상 형성 유닛(220)을 구성하는 지지 테이블(221)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또, 동 도 (C)는 화상 형성 유닛(220)을 구성하는 회전판(226)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또, 도 12(A)는 도 11(B)의 XIIA-XII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또, 도 12(B)는 도 11(C)의 화살표 XIIB 방향으로부터 회전판(226) 등을 바라본 경우의 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또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의 캔체 이동 기구(200)에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도 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210)가 설치되어 있다. 또, 회전 부재(210)의 외주연에 캔체(10)를 보유함과 아울러 이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22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11을 참조하여 화상 형성 유닛(22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유닛(220)에는, 동 도 (A)에 나타내듯이,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캔체(10)에 대해서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를 지지하는 지지 테이블(221)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지지 테이블(221)과 함께 이동함과 아울러, 이 지지 테이블(221)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환상으로 형성되고, 이 지지 테이블(221)에 대한 회전이 가능한 회전판(22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220) 중의 잉크 토출 장치(223)가 설치되어 있는 개소는, 캔체(10)(캔체군)에 대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기구로서 파악할 수가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지지 테이블(221)에 의해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해서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가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화상 형성부의 일례로서의 이 잉크 토출 장치(223)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각은 이른바 잉크젯 방식에 의해 캔체(10)에 대해서 화상을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화상 형성 유닛(220)에 7개의 잉크 토출 장치(223)가 설치되어 있고, 최대로 7색의 잉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각에는 서로 다른 색의 잉크가 수용되어 있다. 또,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각은 장척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장척 형상으로 형성된 잉크 토출 장치(223)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 테이블(221)의 중심부로부터 외주연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각은 지지 테이블(221)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평선으로 지지 테이블(221)의 중심부를 지나는 수평선 HL(도 11(A) 참조)보다도 상방에 잉크 토출 장치(223)가 배치되지 않게 되어 있다. 부언하면, 잉크 토출 장치(223)는 지지 테이블(221)의 하반분측(下半分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 태양으로 한 경우, 도 11(B)에 나타내듯이, 잉크 토출 장치(223)의 잉크 토출 헤드 HD가, 하방 혹은 횡방향(수평 방향)을 향하게 되어, 잉크 토출 헤드 HD에 티끌 등이 부착하기 어렵게 된다. 부언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잉크 토출 장치(223)의 잉크 토출 헤드 HD가, 상방 이외의 방향을 향하게 되어 있어 잉크 토출 헤드 HD에 티끌 등이 부착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부재(210)(도 10 참조)에 대해서 화상 형성 유닛(220)이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듯이, 회전 부재(210)의 회전에 수반하여 화상 형성 유닛(220)이 이동하였다고 해도, 화상 형성 유닛(220)이 도 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화상 형성 유닛(220)의 자세에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220)의 이 회전은, 회전 부재(210)의 뒤쪽에 장착된 모터 M에 의해 행해진다. 여기서, 이 모터 M은 복수 설치된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모터 M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유닛(220)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했지만, 예를 들면 지지 테이블(221)(도 11(A) 참조)의 하방에 미도시의 추를 부착함으로써 화상 형성 유닛(220)의 중심의 위치를 편심시키고, 이 중심의 편심에 의해 화상 형성 유닛(220)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화상 형성 유닛(220)의 자세가 변화하는 경우는, 잉크 토출 장치(223)의 잉크 토출 헤드 HD가 상방을 향하게 되어 버린다. 그리고, 이 경우, 잉크 토출 헤드 HD에 티끌 등이 부착하기 쉬워진다. 또, 화상 형성 유닛(220)의 자세가 변화하는 경우, 잉크 토출 장치(223)의 자세도 변화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캔체(10)에 부착하는 잉크의 양이 변동하거나 잉크의 부착 위치가 어긋나게 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유닛(220)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1(A), (C)에 나타내듯이, 캔체 보유부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회전판(226)에, 회전판(226)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고(도중 앞쪽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캔체(10)를 보유하는 보유 부재(맨드럴(mandrel))(222)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 부재(222)에, 통상으로 형성된 캔체(10)의 일방단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캔체(10)가 삽입된다. 또, 보유 부재(222)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보유 부재(222)의 내부 공간에는 통기구가 형성되고, 통기구를 통해 캔체(10) 내측을 진공흡인함으로써 보유 부재(222)는 캔체(10)를 보유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캔체(10)의 보유 부재(222)에 대한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인에 의해 캔체(10)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지만, 미도시의 부재를 캔체(10)에 대해 꽉 누르는 등, 기계적인 구성에 의해 캔체(10)의 이동을 규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캔체(10)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존재하고 캔체(10)의 종류에 따라서는 외경이 다르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잉크 토출 장치(223)가 보유 부재(222)에 대해서 진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부언하면, 보유 부재(222)(캔체(10))에 대해서 잉크 토출 장치(223)가 접근 가능하도록, 또 보유 부재(222)로부터 잉크 토출 장치(223)가 떨어질 수가 있도록, 화상 형성 유닛(220)은 구성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잉크 토출 장치(223)는 지지 테이블(221)의 직경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1(B), 도 12(A)에 나타내듯이, 잉크 토출 장치(223)를 보유 부재(222)에 대해서 진퇴시키는 진퇴 기구(2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진퇴 기구(250)는, 예를 들면 직선적으로 움직이는 구동부를 가진, 이른바 리니어 액츄에이터(linear actuator)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리니어 액츄에이터는, 예를 들면 리니어 모터, 또는 써보모터와 볼(ball) 나사로 구성된다.
또한,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캔체(10)의 외경에 대한 정보(캔체(10)에 대한 정보)는, 미도시의 단말을 통해 조작자(operator)에 의해 입력되고, 이 단말로부터 제어부(900)(도 9 참조)에 송신된다. 그리고, 제어부(900)는 캔체(10)의 외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 정보에 기초하여 진퇴 기구(250)를 구동하고, 캔체(10)의 외경에 따른 위치에 잉크 토출 장치(223)를 배치한다. 또한,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각에 캔체(10)를 검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이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캔체(10)의 외경에 따른 위치에 잉크 토출 장치(223)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자동으로 잉크 토출 장치(223)를 캔체(10)의 외경에 따른 위치에 배치할 수가 있다. 부언하면, 캔체(10)와의 거리를 센서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자동으로 잉크 토출 장치(223)를 진퇴시키는 경우, 캔체(10)의 외주면과 잉크 토출 장치(223)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외주면에의 잉크의 토출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캔체(10)의 형상이 원형뿐만이 아니라, 예를 들면 타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캔체(10)에 대해서도 화상을 형성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캔체(10)의 형상 데이터를 미리 입력해 둠으로써, 이 형상 데이터를 기초로 자동으로 잉크 토출 장치(223)를 진퇴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도 형상이 원형 이외의 캔체(10)에의 화상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기(1)(도 9 참조)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캔체 이동 기구(200)보다 앞쪽에, 「포켓」이라고 불리는, 캔체(10)를 일시적으로 수취하는 홀더 H가 설치되어 있다(도 9에는 표시 생략, 도 12(B) 참조). 포켓은 화상 형성 유닛(220)과 함께 캔체 이동 기구(200)의 앞쪽을 이동한다. 캔체(10)는 캔체 반송 기구(100)로부터 반출되어 일단 포켓에 실린다. 포켓의 안쪽측에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설치된 보유 부재(222)가 있다. 포켓에 놓여진 캔체(10)의 중심과 보유 부재(222)의 중심은 일치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 부재(222)의 통기구가 캔체(10)를 진공흡인함으로써, 캔체(10)는 포켓을 미끄러지듯이 보유 부재(222)측으로 이동하고, 캔체(10)는 보유 부재(222)에 삽입되고, 캔체(10)는 보유 부재(222)에 의해 진공흡착 보유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캔체 반송 기구(100)로부터 화상 형성 유닛(220)으로 이동한 캔체(10)(보유 부재(222)에 의해 보유된 캔체(10))는 자전한다(주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캔체(10)의 이 회전은 화상 형성 유닛(220)에 설치된 회전 기구에 의해 행해진다.
도 13은 보유 부재(222)(캔체(10))를 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상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회전판(226)(도 11(A) 참조)의 뒤쪽에는, 도 13(A)에 나타내는 링(ring) 형상의 기어(227)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 기어(227)는, 내주면(227A)에 복수의 내치(內齒)(미도시)를 가지고 있고, 또 외주면(227B)에 복수의 외치(外齒)(미도시)를 가지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주면(227B)에 형성된 외치에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기어(227)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어 G1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구동 기어 G1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M11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판(226)(도 11(C) 참조)의 뒤쪽에, 도 13(A)에 나타내듯이, 보유 부재(222)의 일단부(222A)가 돌출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일단부(222A)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teeth)(미도시)와, 기어(227)의 내주면(227A)에 형성된 내치가 서로 맞물리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모터 M11에 의해 구동 기어 G1 및 기어(227)가 회전 구동하고, 그리고 회전 구동하는 이 기어(227)에 의해 보유 부재(222)의 일단부(222A)가 회전된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 부재(222)의 각각이 회전하고, 이에 수반하여 캔체(10)도 회전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3(B)에 나타내듯이, 기어(227)와 마찬가지로 링 형상으로 형성된 기어(231)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 기어(231)는 복수의 외치(미도시)를 외주면(231A)에 가지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주면(231A)에 형성된 외치에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기어(231)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어 G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구동 기어 G2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M1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기어(231)에 의해, 상술의 회전판(226)(도 11(C) 참조), 및 기어(227)(도 13(A) 참조)가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 모터 M12에 의해 구동 기어 G2가 회전하면 기어(231)가 회전한다. 그리고, 기어(231)가 회전하면, 회전판(226)이 회전하고, 회전판(226)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보유 부재(222)가 이동한다. 부언하면, 잉크 토출 장치(223)에 대한 회전판(226) 상태가 변화하고, 보유 부재(222)의 위치가 다르게 된다. 이에 의해 하나의 잉크 토출 장치(223)에 대치하는 캔체(10)가 다른 캔체(10)로 절체된다.
부언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 부재(222)의 이동에 의해, 하나의 잉크 토출 장치(223)에 대치하고 있던 캔체(10)가 이 하나의 잉크 토출 장치(223)에 인접하는 다른 잉크 토출 장치(223)에 대치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판(226)을 회전시킴으로써, 잉크 토출 장치(223)에 대치하는 캔체(10)를 절체하도록 했지만, 지지 테이블(221)측을 회전시킴으로써, 잉크 토출 장치(223)에 대치하는 캔체(10)를 절체할 수도 있다. 부언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판(226)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판(226)의 잉크 토출 장치(223)에 대한 상태를 변화시켰지만, 지지 테이블(221)측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판(226)의 잉크 토출 장치(223)에 대한 상태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회전판(226) 및 지지 테이블(221)의 양자를 회전시키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캔체 이동 기구(20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에 대해 더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캔체 이동 기구(200)에 의한 처리에 앞서, 우선 캔체(10)의 외경에 대한 정보가 제어부(900)에 의해 취득된다. 또, 캔체(10)에 형성되는 화상의 화상 정보가 PC(Personal Computer) 등의 외부의 단말로부터 취득된다. 그 후에 취득한 상기 외경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진퇴 기구(250)(도 11(B) 참조)가 구동되고, 캔체(10)의 외경에 따른 위치에 잉크 토출 장치(223)가 배치된다.
그 후에 캔체 반송 기구(100)로부터 캔체 이동 기구(200)로 캔체(10)가 순차 공급되고, 캔체(10)가 보유 부재(222)에 의해 보유된다. 또, 구동 모터 M11(도 13(A) 참조)의 회전에 의해 캔체(10)의 주방향으로의 회전이 행해짐과 아울러,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각으로부터 잉크가 토출된다. 부언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동시에 잉크가 토출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부재(210)(도 10 참조)가 1회전 할 때마다, 구동 모터 M12(도 13(B) 참조)가 구동되어 기어(231)가 회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판(226)(도 11(A) 참조)의 주방향에 있어서, 30° 간격으로 보유 부재(222)가 설치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부재(210)가 1회전 할 때마다, 기어(231)는 30° 회전된다.
이 결과,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색을 잉크 토출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어 있던 캔체(10)는, 이 잉크 토출 장치(223)에 인접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에 대치하게 된다. 이에 의해 캔체(10)에 대해서 다른 색의 잉크가 토출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캔체(10)로의 1색째의 잉크의 토출이 개시되고 나서 회전 부재(210)가 7주(周) 회전하면, 이 캔체(10)로의 7색의 잉크의 토출이 종료된다. 그 후에 이 캔체(10)는 캔체 이동 기구(200)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1색째의 잉크가 잉크 토출 장치(223)(회전판(226)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가장 상류측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이하, 「제1잉크 토출 장치(223)」라고 칭하는 일이 있음)로부터 토출될 때에, 제어부(900)(도 9 참조)에 의해, 미도시의 로터리 엔코더로부터의 출력이 파악되고, 제1잉크 토출 장치(223)에 의한 잉크의 토출이 이루어질 때의 캔체(10)의 회전 각도가 파악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이하, 파악된 이 회전 각도를 「기준 각도」라고 칭한다.
그 후에 페이지 메모리(미도시)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독출됨과 아울러 이 화상 데이터가 제1잉크 토출 장치(223)에 의해 공급된다. 그리고, 이 제1잉크 토출 장치(223)에 의해, 1색째의 잉크에 의한 화상이 캔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그 후에 회전판(226)의 회전이 다시 행해지고, 제1잉크 토출 장치(223)에 의한 화상 형성이 이루어진 캔체(10)는, 2색째의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회전판(226)의 회전 방향에 대해 상류측으로부터 2번째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이하, 「제2잉크 토출 장치(223)」라고 칭하는 일이 있음)에 도달한다.
그리고, 이 제2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해서 잉크가 토출된다. 이에 의해 2색째의 잉크에 의한 화상이 캔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잉크의 토출이 개시될 때에도, 로터리 엔코더로부터의 출력이 파악되고 캔체(10)의 회전 각도가 파악된다. 그리고, 제어부(900)는 파악한 이 회전 각도로부터 상기 기준 각도를 줄여 각도차를 취득한다. 그 후에 제어부(900)는, 미도시의 페이지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중, 이 각도차에 따른 화상 데이터로부터 독출을 개시하고, 독출한 화상 데이터를 제2잉크 토출 장치(223)에 순차 공급한다.
그리고, 제2잉크 토출 장치(223)는, 이 각도차에 따른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화상을 캔체(10)에 우선 형성하고, 그 후에 이 화상 데이터에 이어 공급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화상을 캔체(10)에 순차 형성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제2잉크 토출 장치(223)에 의한 화상 형성이 개시됨에 즈음하여, 캔체(10)의 회전 각도를 상기 기준 각도로 하고 캔체(10)를 원점 위치에 배치한 후에, 캔체(10)에의 화상 형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이 경우, 원점 위치에 캔체(10)를 배치하는데 시간을 필요로 하여 단위 시간당에 화상을 형성할 수가 있는 캔체의 개수가 감소하기 쉬워진다.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각도차에 따른 화상 데이터로부터 독출을 개시하는 경우, 단위 시간당에 화상을 형성할 수가 있는 캔체(10)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1잉크 토출 장치(223), 제2잉크 토출 장치(223)에 의한 화상 형성이 이루어질 때의 처리를 설명하였지만, 제2잉크 토출 장치(223)보다도 더 하류측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에 의한 화상 형성이 이루어질 때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캔체(10)의 회전 각도가 파악되고, 그 다음에, 상기 각도차가 취득된다. 그리고, 이 각도차에 대응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화상이 캔체(10)에 우선 형성되고, 그 다음에, 이 화상 데이터에 이어 페이지 메모리로부터 독출되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화상이 캔체(10)에 형성된다.
또한, 캔체 이동 기구(200)로부터 1개의 캔체(10)가 배출되면, 도 9의 부호 1B에 있어서의 흰 동그라미로 나타내듯이, 캔체(10)의 보유를 행하지 않은 보유 부재(222)가 생긴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경우, 구동 모터 M12(도 13(B) 참조)에 의해 회전판(226)이 30° 회전된다. 이에 의해 캔체(10)의 공급부(캔체 반송 기구(100)에 의한 캔체(10)의 공급부)에 있어서, 캔체(10)의 보유를 행하지 않은 이 보유 부재(222)에 대해서 새로운 캔체(10)가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 설치된 화상 형성 유닛(220)에 대해서 캔체(10)가 순차 투입되고, 하나의 화상 형성 유닛(220)이 아니라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닛(220)에 의해 캔체(10)에 대한 화상 형성을 한다. 부언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캔체(10)가 순차 반송되고 있는 한중간에, 복수의 캔체(10)에 대한 화상 형성이 동시에(병렬적으로) 행해지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기(1)에서는, 예를 들면 하나의 화상 형성 유닛(220)에 의해 캔체(10)에 대한 처리를 행하여 가는 경우에 비해, 단위 시간당에 처리가 가능한 캔체(10)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현재, 캔체(10)로의 화상의 형성은, 오프셋 인쇄(offset printing)로 불리는 인쇄 방식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잉크를 판에 일단 얹고, 그 후에 판으로부터 블랭킷(blanket)으로 불리는 고무 형상의 시트에 잉크가 전사되고, 또한 블랭킷에 전사된 잉크가 캔체(10)에 전사된다. 그 한편으로 최근에 잉크젯 인쇄로 대표되는 것 같은 디지털 인쇄에 의해, 대상물에의 인쇄를 행하는 것이 많아지고 있다.
디지털 인쇄는 오프셋 인쇄에 비해 쇄판으로 불리는 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쇄판의 제작, 쇄판과 인쇄기와의 위치 맞춤, 인쇄중에 있어서의 쇄판의 청소 작업 등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에 의해 로트를 바꾸는 경우의, 「절차」라고 불리는 작업이 간소화되어 다품종 소로트 생산 등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 캔체(10)의 제조 공정에서는, 인쇄와 관련된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일도 많아, 디지털 인쇄로 절체함으로써 인쇄와 관련된 공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을 저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디지털 인쇄로 절체함으로써 이점이 생기게 되지만, 그 한편으로 단점도 생기게 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인쇄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는 잉크젯에 의한 인쇄에서는, 인쇄 속도가 늦고, 이 인쇄 방식의 인쇄 속도는, 오프셋 인쇄의 인쇄 속도의 예를 들면 1/10로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단지, 잉크젯에 의한 인쇄로 절체하여 버리면 생산성이 저하하게 되어 버린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에서는, 잉크젯에 의한 인쇄 방식을 채용하고 있지만, 상기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캔체(10)에 대한 화상 형성 처리가 동시에 행해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에서는, 잉크젯에 의한 인쇄 방식을 채용한 경우에 생길 수 있는 생성성의 저하를 억제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 14는 인쇄기의 비교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인쇄기(30)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기(1)와 마찬가지로, 보유 부재(본 도면에서는 미도시)에 의해 캔체(10)가 보유된 상태로 캔체(10)는 이동해 간다. 또, 보유 부재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캔체(10)는 자전한다.
그런데, 이 인쇄기(30)에서는,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캔체(10)의 간헐 내보냄 및 화상 형성을 여러 차례 반복함으로써, 6색의 잉크에 의해 형성된 화상을 캔체(10)에 형성한다. 그런데, 이 인쇄기(30)에서는, 일색의 잉크는 하나의 캔체(10)만에 토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한편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잉크 토출 장치(223)가 복수조 설치되어 있는 결과, 이 일색의 잉크는 하나의 캔체(10)는 아니고 복수의 캔체(10)에 토출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은, 도 14에서 나타내는 구성보다 생성성이 높아지게 된다.
다음에, 도 9에서 나타낸 제1반송 장치(300), 가열 장치(400), 도포 장치(500), 제2반송 장치(600), 및 제3반송 장치(700)에 대해 설명한다.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반송 장치(300)는, 도 9에 나타내듯이, 복수의 흡인 부재(31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이 복수의 흡인 부재(310)는 미리 정해진 경로(원호를 그리는 경로)를 따라 순환 이동을 행하고 있다. 부언하면, 도 중 반시계방향으로의 이동을 행하고 있다. 또, 이 복수의 흡인 부재(310)는, 도 12(B)에서 나타낸 캔체 반송 기구(100)와 마찬가지로 인쇄기(1)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캔체 이동 기구(200)보다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반송 장치(300)에 있어서, 우선 캔체 이동 기구(200)에 설치된 보유 부재(222)(도 11 참조)에 형성되는 통기구로부터 진공흡착됨으로써 보유되어 있는 캔체(10)는, 이 통기구를 진공으로부터 압축 공기로 바꿈으로써, 진공이 파괴되고, 압축 공기에 의해 캔체(10)의 저부에 압력이 걸리고, 캔체(10)는, 도 9에 있어서의 지면의 앞쪽 방향을 향해, 흡인 부재(310)까지 이동한다. 흡인 부재(310)는 이동해 온 캔체(10)를 흡인 부재(310)에 형성되는 통기구로부터 진공흡착에 의해 보유한다. 그리고, 이대로 흡인 부재(310)를 상기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캔체 이동 기구(200)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캔체(10)가 가열 장치(400)에 반송되게 된다.
가열 장치(400)는, 캔체 이동 기구(200)에 설치된 상기 보유 부재(222)와 마찬가지의 부재(이하, 이 부재도 「보유 부재(222)」라고 칭함)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이 보유 부재(222)는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보유 부재(222)는 미리 정해진 경로(원호를 그리는 경로)를 따라 순환 이동을 행하고 있다. 부언하면, 이 보유 부재(222)는 도 중 시계방향을 향해 이동하고 있다. 또, 보유 부재(222)의 각각은 자전을 행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열 장치(400)는 인쇄기(1)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제1반송 장치(300)보다 안쪽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반송 장치(300)로부터 가열 장치(400)로의 캔체(10)의 받아 넘김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우선, 캔체(10)를 진공흡인에 의해 보유한 흡인 부재(310)는, 흡인 부재(310)에 형성된 통기구(通氣口) 내를 진공으로부터 압축 공기로 바꿈으로써, 진공이 파괴되고, 압축 공기에 의해 캔체(10)의 저부에 압력이 걸리고, 캔체(10)는 가열 장치(400) 내의 보유 부재(222)로 이동한다. 한편, 보유 부재(222)에서는 보유 부재(222) 내에 형성된 통기구로부터 진공흡인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캔체(10)는 보유 부재(222)에 삽입되어 흡인 보유된다.
또한,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흡인 부재(310)가 이동하는 궤적에 관해서 흡인 부재(310)는 중심으로부터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유닛(220) 상의 보유 부재(222)로부터 캔체(10)를 수취하는 경우, 상기 이동 기능이 없는 경우, 보유 부재(222)와 흡인 부재(310)의 접점은 2개소만으로 되고, 순간적으로 2회, 보유 부재(222)와 흡인 부재(310)의 위치가 일치하게 되기 때문에, 캔체(10)의 받아 넘김은 곤란하게 된다(도 9 참조). 이에 반해 흡인 부재(310)의 궤적을 보유 부재(222)의 궤적에 일치시키는 것 같은 이동 기능을 가지는 경우, 일정시간, 보유 부재(222)와 흡인 부재(310)의 위치가 일치하게 되어, 캔체(10)의 받아 넘김이 확실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1반송 장치(300)의 흡인 부재(310)는, 도 9의 부호 1A에 나타내듯이, 제1반송 장치(300)와 가열 장치(400)가 겹치는 개소에 있어서,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되고 또한 외측을 향해 부풀어 오르도록 형성된 이동 경로로부터 일단 벗어나 보유 부재(222)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 부호 1A에 나타내는 개소에 있어서, 흡인 부재(310)와 보유 부재(222)는 서로 겹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흡인 부재(310)와 보유 부재(222)의 겹침이 생기고 있을 때, 흡인 부재(310)로부터 보유 부재(222)로 캔체(10)가 받아 넘겨진다.
또한, 부호 1A에 나타내는 개소에 있어서의 흡인 부재(310)의 상기 이동은 캠 등이 이용됨으로써 행해진다. 또, 상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도포 장치(500)에 있어서의 롤 형상 부재(510)와 보유 부재(222)의 접촉부에 관해서도, 도 9에 나타내듯이, 보유 부재(222)는 롤 형상 부재(510)의 외주를 이동하게 된다. 또한, 가열 장치(400)와 제2반송 장치(600)가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도, 외측을 향해 부풀어 오르도록 형성되고, 또한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된 이동 경로로부터, 제2반송 장치(600)에 설치된 흡인 부재(610)가 일단 벗어나게 된다. 이에 의해 가열 장치(400)에 설치된 보유 부재(222)와 제2반송 장치(600)에 설치된 흡인 부재(610)(구조, 기능 모두 제1반송 장치(300)에 있어서의 흡인 부재(310)와 같음)가 겹치게 된다. 또, 제3반송 장치(700)에 설치된 핀(720)(체인(710)에 부가된 봉상체로, 이것에 캔체(10)를 걸어 반송함)도, 외측을 향해 부풀어 오르도록 형성되고, 또한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된 이동 경로로부터 일단 벗어나게 된다. 이에 의해 핀(720)과 흡인 부재(610)가 겹치게 된다.
여기서 가열 장치(4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열 장치(400)는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캔체(1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되고 캔체(10)를 가열하는 가열부(410)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이 가열부(410)는 적외선 램프 등(미도시)을 구비하고 있고 이 적외선 램프 등을 이용하여 캔체(10)의 가열을 행한다. 그리고, 이 가열에 의해 캔체(10)의 외주면에 도포된 잉크가 경화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열 장치(400)에 설치된 보유 부재(222)가 자전을 행하고 있고, 캔체(10)에 가열 얼룩짐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캔체(10)의 이동 경로의 양측에 가열부(410)가 설치되어 있고, 이동 경로의 편측에만 가열부(41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보다 짧은 시간에 잉크를 경화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포 장치(500)에 의해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해서 도료가 도포되지만, 이 때에 캔체(10) 상의 화상을 구성하고 있는 잉크의 유동성이 높은 그대로라면 이 화상이 흐트러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포 장치(500)에 의한 도료의 도포를 하기 전에 캔체(10)를 가열하여 캔체(10) 상의 잉크를 경화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열함으로써 잉크를 경화시키도록 했지만, UV(ultraviolet) 경화형의 잉크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UV 램프를 조사함으로써 잉크를 경화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가열부(410)의 하류측에 도포 장치(5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도포 장치(500)는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도료를 도포한다. 이에 의해 캔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화상의 위에 보호층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도포 장치(500)는 롤 형상 부재(510)를 가지고 있고, 이 롤 형상 부재(510)를 캔체(10)의 외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캔체(10)에 대한 도료의 도포를 행한다.
가열 장치(400)에 의해 가열되고, 또 도포 장치(500)에 의해 도료가 도포된 캔체(10)는 제2반송 장치(600)에 의해 더 반송된다. 이 제2반송 장치(600)는 제1반송 장치(30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흡인 부재(61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이 복수의 흡인 부재(610)는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순환 이동을 행하고 있다.
또, 제2반송 장치(600)는 인쇄기(1)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가열 장치(400)보다도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 제2반송 장치(600)는 제1반송 장치(300)와 마찬가지로, 가열 장치(400)의 보유 부재(222)에 의해 보유되어 있는 캔체(10)의 저부에 대해서 흡인 부재(610)를 대향시킴으로써 캔체(10)를 흡인한다. 이에 의해 캔체(10)가 제3반송 장치(700)로 반송되어 간다.
제3반송 장치(700)는 인쇄기(1)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제2반송 장치(600)보다 안쪽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3반송 장치(700)는 시계방향으로 주회 이동을 행하는 체인(710)과 이 체인(710)에 장착된 복수의 핀(7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반송 장치(600)로부터 제3반송 장치(700)로의 캔체(10)의 받아 넘김은 캔체(10)의 내부에 핀(720)이 삽입됨으로써 행해진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이 제3반송 장치(700)에 의해 캔체(10)는 미도시의 인화 장치(공정)로 반송된다.
도 15는 인쇄기(1)의 다른 한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인쇄기(1)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캔체(10)를 하방으로 반송하는 캔체 반송 기구(100), 캔체 반송 기구(100)에 의해 반송되어 온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한 화상의 형성을 행하면서 이 캔체(10)를 이동시키는 캔체 이동 기구(200)가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캔체(10)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캔체 이동 기구(200)의 바로 하류측에 가열 장치(4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인쇄기(1)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제1반송 장치(850)의 흡인 부재(851)와 겹치도록 가열 장치(400)가 설치되어 있다. 부언하면, 인쇄기(1)를 앞쪽으로부터 바라본 경우에, 가열 장치(400)와 제1반송 장치(850)가 겹치도록 가열 장치(400) 및 제1반송 장치(85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1반송 장치(850)의 흡인 부재(851)는 깊이 방향에 대해 캔체 이동 기구(200)의 보유 부재(222)와 같은 위치에 있다. 또한, 인쇄기(1)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제1반송 장치(850)의 안쪽측에는 상기 제3반송 장치(700)(도 9 참조)와 마찬가지로 구성된 제2반송 장치(86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반송 장치(850)는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된 경로를 따라 순환 이동을 행하는 복수의 흡인 부재(85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캔체 이동 기구(200)의 보유 부재(222)에 의해 보유되어 있는 캔체(10)에 대해서 흡인 부재(851)가 대향하고, 이 흡인 부재(851)에 의해 캔체(10)가 보유된다. 부언하면, 보유 부재(222)에 의해 반송되어 온 캔체(10)를 흡인 부재(851)가 수취한다.
그 후에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이 흡인 부재(851)에 의해 캔체(10)가 더 반송된다. 그 후에 흡인 부재(851)에 의해 보유되어 있는 캔체(10)는, 도 15의 부호 5A에 나타내는 개소에서 안쪽측에 위치하고,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된 경로를 따라 순환 이동을 행하고 있는 보유 부재(222)(가열 장치(400)의 보유 부재(222))에 의해 수취되고, 수취 부재의 일례로서의 이 보유 부재(222)에 의해 보유되게 된다.
그 후에 이 캔체(10)는 보유 부재(222)에 의해 더 반송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가열부(410)를 통과하고, 또 도포 장치(500)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캔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잉크가 경화하고, 또 잉크 위에 보호층이 형성된다. 또한, 가열 장치(400)의 보유 부재(222)에 캔체(10)를 받아 넘긴 후의 흡인 부재(851)는, 동 도의 부호 5B에 나타내듯이, 가열부(410)보다도 내측을 통과해 간다.
캔체(10)에 보호층이 형성된 후, 동 도의 부호 5C에 나타내는 개소에서, 캔체(10)를 보유하고 있는 보유 부재(222)가 내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캔체(10)도 내측으로 이동한다. 그 한편으로 부호 5C에 나타내는 개소에서는, 흡인 부재(851)가 외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부호 5C에 나타내는 개소에서, 보유 부재(222)와 흡인 부재(851)가 겹치게 된다. 그리고, 이 개소에서 안쪽측에 위치하는 보유 부재(222)로부터 앞쪽에 위치하는 흡인 부재(851)로 캔체(10)가 받아 넘겨진다. 그 후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인 부재(851)로부터 제2반송 장치(860)로 캔체(10)가 받아 넘겨지고, 캔체(10)는 인화 장치로 반송된다.
여기서 도 9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캔체 이동 기구(200)와 가열 장치(400)의 사이에 제1반송 장치(300)가 설치되고, 가열 장치(400)와 제3반송 장치(700)의 사이에 제2반송 장치(600)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제1반송 장치(300) 및 제2반송 장치(600)가 생략되어 있다. 그 대신에 제1반송 장치(85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인쇄기(1)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인쇄기(1)를 앞쪽으로부터 바라본 경우에, 가열 장치(400)와 제1반송 장치(850)가 겹치도록 가열 장치(400) 및 제1반송 장치(850)가 설치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흡인 부재(851)가 순환 이동을 행할 때의 중심축(회전축)(859)과 복수의 보유 부재(222)가 순환 이동을 행할 때의 중심축(회전축)(229)이 일치하게 되어 있다. 또한, 흡인 부재(851)와 보유 부재(222)가 캔체(10)의 받아 넘김을 할 때, 흡인 부재(851)의 이동 궤적과 보유 부재(222)의 이동 궤적이 일치하게 되어 있다. 또, 이러한 흡인 부재(851)와 화상 형성 유닛(220) 상의 보유 부재(222)는 캠 등에 의해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화상 형성 유닛(220) 상의 보유 부재(222)와의 궤적을 일치시키게 되어 있다. 또, 도포 장치(500)에 있어서의 롤 형상 부재(510)와 보유 부재(222)의 접촉부에 관해서도, 보유 부재(222)는 롤 형상 부재(510)의 외주를 이동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는 인쇄기(1)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6은 인쇄기(1)의 다른 한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캔체 이동 기구(200)와는 다른 개소에 설치된 가열 장치(400)에 의해 캔체(10)가 가열되는 구성이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6에 나타내듯이, 화상 형성 유닛(220)의 일부에 캔체(10)를 가열하는 가열 유닛(224)이 조립되고, 이 가열 유닛(224)에 의해 캔체(10)가 가열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잉크 토출 장치(223)가 7개 설치되었을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잉크 토출 장치(223)를 1개 떼어내고 대신에 가열 유닛(224)을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경화 수단의 일례로서의 이 가열 유닛(224)은, 회전판(226)의 회전 방향(도중 시계방향)에 있어서, 잉크 토출 장치(223)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류측에서 캔체(10)에 부착한 잉크를 경화시킨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의 경우, 도 9에 나타낸 구성에 비해, 잉크가 도포되고 나서 곧바로 잉크가 경화되기 때문에 잉크 내에 이물질이 들어가기 어렵게 된다.
여기서, 가열 유닛(224)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미도시의 적외선 램프 등을 구비하고 있고, 이 적외선 램프 등을 이용하여 캔체(10)의 가열을 행한다. 또한, 가열 유닛(224)에 의한 가열을 할 때, 캔체(10)는 구동 모터 M11(도 13(A) 참조)에 의해 주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어 캔체(10)의 가열 얼룩짐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가열 유닛(224)이 설치되기 때문에, 도 9등에서 나타낸 가열 장치(400)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잉크가 UV(ultraviolet) 경화형의 잉크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가열 유닛(224)으로 바꾸어 UV 램프를 탑재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6에 나타내듯이, 흡인 부재(871)를 복수 구비한 제1반송 장치(870)가 캔체 이동 기구(200)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체인(881) 및 핀(882)을 구비한 제2반송 장치(880)가 제1반송 장치(870)의 안쪽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핀(882)에 걸린 캔체(10)와 캔체 이동 기구(200)의 캔체(10)와의 깊이 방향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체인(881)은 필요에 따라 캔체 이동 기구(200)와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서로의 간섭을 피하도록 설치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캔체 이동 기구(200)에 인접하도록 도포 장치(500)가 설치되어 있고, 화상 형성 유닛(220)에 의해 캔체(10)가 보유되어 있는 한중간에, 캔체(10)로의 도료의 도포를 하게 되어 있다. 또, 화상 형성 유닛(220)은 회전 중심 방향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캠 등에 의해 회전 부재(210)의 회전에 맞추어 화상 형성 유닛(220)을 이동시켜서 제1반송 장치(870)의 흡인 부재(871)의 궤적과 캔체(10)의 궤적을 일치시키게 되어 있다. 또, 캔체(10)는 도포 장치(500)에 있어서의 롤 형상 부재(510)의 외주를 이동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유닛(220)에 의해 복수의 캔체(10)가 보유됨과 아울러, 이 캔체(10)의 안쪽에 배치된 복수의 잉크 토출 장치(223)에 의해 캔체(10)에 대해서 화상이 형성된다. 또, 이 캔체(10)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설치된 가열 유닛(224)에 의해 가열되고, 캔체 이동 기구(200)로부터 캔체(10)가 배출 될 때까지 캔체(10) 상의 잉크가 경화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캔체 이동 기구(200)로부터 캔체(10)가 배출 될 때까지, 도포 장치(500)에 의해 캔체(10)에 도료가 도포된다.
그 후에 캔체(10)는 제1반송 장치(870)에 의해 보유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흡인 부재(871)에 의해 캔체(10)가 흡인되어 보유된다. 그 후에 이 캔체(10)에 대해서 제2반송 장치(880)의 체인(881)에 설치된 핀(882)이 삽입되고, 제2반송 장치(880)에 의해 캔체(10)가 반송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에서는 도 9, 15에 나타낸 가열 장치(400)가 생략되어 인쇄기(1)의 더욱더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 캔체 이동 기구(200)로부터 가열 장치(400)로 캔체(10)를 반송하는 제1반송 장치(300)(도 9 참조), 캔체 이동 기구(200)로부터 가열 장치(400)로 캔체(10)를 반송하는 제1반송 장치(850)(도 15 참조) 등도 생략 가능하게 되어 인쇄기(1)를 더 작게 할 수가 있다.
도 17은 인쇄기(1)의 다른 한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또한, 기본적인 구성은 도 16에 나타낸 인쇄기(1)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도 16에 나타낸 인쇄기(1)와는 다른 점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7에 나타내듯이, 화상 형성 유닛(220)의 일부에 캔체(10)에 도료를 도포하는 도포 유닛(225)이 조립되고, 이 도포 유닛(225)에 의해 캔체(10)에 도료가 도포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열 유닛(224) 및 도포 유닛(225)의 2개 유닛을 조립하기 때문에, 잉크 토출 장치(223)가 5개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도포 수단의 일례로서의 도포 유닛(225)은, 회전판(226)의 회전 방향(도중 시계방향)에 있어서, 잉크 토출 장치(223)보다도 하류측에, 또 가열 유닛(224)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잉크에 의한 화상이 형성되고 가열 처리를 한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해서 도료를 도포하여 캔체(10)에 보호층을 형성한다. 여기서, 도포 유닛(225)은 미도시의 롤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롤 형상 부재를 캔체(10)의 외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캔체(10)로의 도료의 도포를 행한다. 또한, 도포 유닛(225)에 의한 도료의 도포는 잉크젯을 이용하여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유닛(220)(도 9 참조)이 회전하고 화상 형성 유닛(220)의 자세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회전 부재(210)에 대해서 화상 형성 유닛(220)을 고정할 수도 있다.
도 18은 회전 부재(210)에 대해서 화상 형성 유닛(220)이 고정된 캔체 이동 기구(200)를 나타낸 도이다. 도 9, 도 15, 도 16, 도 17에서 나타낸 캔체 이동 기구(200)로 바꾸어 본 도면에 나타내는 캔체 이동 기구(200)를 이용할 수가 있다.
여기서 도 18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잉크 토출 장치(223)는, 회전 부재(210)의 회전 중심과 각 화상 형성 유닛(220)의 중심을 이은 축선에 대해, 각각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장착되어 있다. 부언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잉크 토출 장치(223)의, 회전 부재(210)의 회전 중심에 대한 자세가, 복수 설치된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에 있어서, 동일(일정)하게 되도록,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회전 부재(210)의 회전에 수반하여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에 설치된 잉크 토출 장치(223)의 자세는 변화하게 된다. 부언하면, 회전 부재(210)의 회전 중심에 대한 자세는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다른 부분에 대한 자세는 변화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18에 대해, 회전 부재(210)의 최상부에 있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있어서의 잉크 토출 장치(223)는, 화상 형성 유닛(220)의 상부측에 위치하게 되지만, 회전 부재(210)의 최하부에 있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있어서의 잉크 토출 장치(223)는, 화상 형성 유닛(220)의 하방측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부재(210)가 회전하고 있을 때에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잉크가 토출되지만, 토출된 이 잉크에는 원심력, 중력, 및 토출력(잉크 토출 장치(223)에 의한 토출력)의 3개의 힘이 작용한다. 여기서, 회전 부재(210)가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 잉크에 원심력이 작용할 때의 작용 방향은 변화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중력에 대해서는 연직 방향 하향으로 항상 작용하기 때문에, 잉크 토출 장치(223)의 위치에 의해 잉크에 작용하는 중력의 방향이 다르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잉크 토출 장치(223)의 위치에 의해 중력의 작용 방향이 다르게 되면, 캔체(10)에 도달하는 잉크의 양이 증감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도 18과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유닛(220)(잉크 토출 장치(223))의 자세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잉크가 토출될 때의 토출력을 잉크 토출 장치(223)(화상 형성 유닛(220))의 자세(위치)에 따라 보정(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언하면,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각 잉크 토출 장치(223)의 잉크 토출 헤드 HD(도 11(B) 참조)와 캔체(10)의 중심을 이은 축선방향으로 잉크의 토출력은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각 잉크 토출 헤드 HD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에 걸리는 중력을 상기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분력과 이 축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분력으로 하고, 이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분력을 이용하여 잉크의 토출력을 보정(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에 작용하는 중력의 방향은, 각 잉크 토출 장치(223)의 위치에 기초하여 파악할 수가 있다. 여기서, 각 잉크 토출 장치(223)의 위치는, 예를 들면 회전 부재(210)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파악할 수가 있다. 여기서, 회전 부재(210)의 회전 각도는, 예를 들면 회전 부재(210)에 대해서, 예를 들면 로터리 엔코더 등의 회전 각도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파악할 수가 있다.
또, 회전 부재(210)의 회전이 개시되고 나서 회전 부재(210)가 일정한 속도로 될 때까지의 동안, 회전 부재(210) 상의 각 화상 형성 유닛(220)에 걸리는 원심력은 점차 증가한다. 또, 회전 부재(210)가 정지하거나 감속될 때에는, 회전 부재(210) 상의 각 화상 형성 유닛(220)에 걸리는 원심력은 점차 저하한다. 이러한 경우도 잉크의 토출력을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로터리 엔코더 등을 이용하여 회전 부재(210)의 각속도 및 회전 부재(210)의 각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이 각속도와 기존 데이터인 회전 중심으로부터 각 잉크 토출 헤드 HD까지의 거리 및 잉크의 질량에 기초하여, 각 화상 형성 유닛(220) 상의 각 잉크 토출 장치(223)(각 잉크 토출 헤드 HD)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한 이 원심력과 검출한 회전 부재(210)의 각도로부터 산출되는 각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도 등을 이용하여 잉크 토출 헤드 HD로부터 잉크가 토출될 때의 잉크 토출력에 보정을 가한다.
도 18에서 나타내는 캔체 이동 기구(200)에 대해 더 설명하면, 본 도면에 나타내는 캔체 이동 기구(200)에서는, 회전 부재(21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복수 설치된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을 본 경우에, 각 화상 형성 유닛(220)에 있어서의 복수의 잉크 토출 장치(223)의 배치 태양이 같은 상태로 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유닛(220)의 회전 부재(210)에 대한 상태가, 회전 부재(210)가 회전했다고 해도 변화하지 않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9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회전 부재(2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대해서는 도 중 상방을 향하는 원심력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잉크가 토출되기 어렵게 된다. 그 한편으로 회전 부재(210)의 하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대해서는, 도 중 하방을 향하는 원심력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잉크가 토출되기 쉬워진다. 그리고, 이 경우, 화상 형성 유닛(220)의 위치에 따라 잉크의 토출량이 변동해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도 18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에 대해서 작용하는 원심력의 방향이 일정하게 되어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바뀜으로써 생길 수 있는 잉크 토출량의 변동이 억제되게 된다.
또한, 잉크의 토출력의 변경(보정)은 화상 형성 유닛(220)마다(화상 형성 유닛(220) 단위로) 행할 수도 있고, 잉크 토출 장치(223)마다(1개의 잉크 토출 장치(223)마다)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8의 회전 부재(210)에 복수 설치된 화상 형성 유닛(220) 중의 도 중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서는, 지지 테이블(221)의 중심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에 대해서는, 이 잉크의 토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한다. 그 한편으로 지지 테이블(221)의 중심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에 대해서는, 이 잉크의 토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지지 테이블(221)의 중심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잉크가 토출될 때의 토출력을 약하게 하고, 지지 테이블(221)의 중심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잉크가 토출될 때의 토출력을 강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도 9, 도 15, 도 16, 도 17에서 나타낸 캔체 이동 기구(200)(화상 형성 유닛(220)의 자세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캔체 이동 기구(200))에 있어서도, 잉크가 토출될 때의 토출력을 변경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캔체 이동 기구(200)에서는, 잉크에 작용하는 중력의 작용 방향은 일정하게 되지만, 화상 형성 유닛(220)의 위치에 따라 잉크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작용 방향이 다르게 된다.
예를 들면, 도 9에 대해, 복수 설치된 화상 형성 유닛(220) 중의 도 중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대해서는 도 중 우방향으로 향하는 원심력이 작용하게 되지만, 도 중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대해서는 도 중 좌방향으로 향하는 원심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화상 형성 유닛(220)의 위치에 따라 잉크의 토출량이 변동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이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유닛(220)의 위치에 따라 잉크가 토출될 때의 토출력을 변경할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유닛(220)이 도 중 가장 우측에 위치할 때에는 이 화상 형성 유닛(220) 내의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잉크가 토출될 때의 토출력을 약하게 하고, 이 화상 형성 유닛(220) 내의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잉크가 토출될 때의 토출력을 강하게 한다. 또, 이 화상 형성 유닛(220)이 회전 부재(210)의 회전에 수반하여 도 중 가장 좌측까지 이동하였을 때에는, 이 화상 형성 유닛(220) 내의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잉크가 토출될 때의 토출력을 강하게 하고,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잉크가 토출될 때의 토출력을 약하게 한다.
<제3의 실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더 설명한다.
도 19는 캔체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기(1)를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경우의 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이 인쇄기(1)는 디지털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캔체(10)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기이다. 여기서, 인쇄기(1)에는 미도시의 캔체 제조 공정에서 제조된 캔체(10)를 순차 반송하는 캔체 반송 기구(100), 캔체 반송 기구(100)에 의해 반송되어 온 캔체(10)를 보유함과 아울러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한 화상의 형성을 행하면서 이 캔체(10)를 이동시키는 캔체 이동 기구(200), 캔체 이동 기구(200)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캔체(10)를 반송하는 제1반송 장치(91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인쇄기(1)에는 제1반송 장치(910)에 의해 반송되어 온 캔체(10)를 더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제2반송 장치(920), 제2반송 장치(920)에 의해 반송되어 온 캔체(10)를 더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제3반송 장치(930), 제3반송 장치(930)에 의해 반송되어 온 캔체(10)를 더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제4반송 장치(94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인쇄기(1)에는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인쇄기(1)에 설치된 각 장치, 각 기구부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9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4반송 장치(940)보다도 캔체(10)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에는 캔체(10)에 형성된 화상 및 캔체(10)에 도포된 도료를 이 캔체(10)에 인화하는 인화 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도 20은 캔체 이동 기구(200)를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경우의 도이다.
화상 형성 기구의 일례로서의 캔체 이동 기구(200)에는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미도시의 모터에 의해 도 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21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캔체 이동 기구(200)에는 이 회전 부재(210)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캔체 반송 기구(100)에 의해 반송되어 온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220)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은 캔체 반송 기구(100)에 의해 반송되어 온 캔체(10)를 보유하면서 이 캔체(10)와 함께 이동하고, 이동을 행하고 있는 한중간에, 캔체(10)에의 화상 형성을 행한다. 또,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은 회전 부재(210)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주회 이동을 행함과 아울러 환상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을 행하면서 캔체(10)에의 화상 형성을 행한다.
여기서, 이동 수단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회전 부재(210)는 그 회전축이 연직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부언하면, 회전 부재(210)는 화상 형성 유닛(220)이 장착된 장착면이 수평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부재(210)의 배치 태양은 이러한 태양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회전축이 수평 방향을 따르도록 회전 부재(21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회전축이 연직 방향을 따르도록 회전 부재(210)를 배치한 경우, 각 화상 형성 유닛(220)에 작용하는 중력의 작용 방향이 변화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화상 형성 유닛(220)은 상기와 같이 회전 부재(210)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있다. 또, 화상 형성 유닛(220)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 설치됨과 아울러, 회전 부재(210)의 외주연을 따라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 설치된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은 회전 부재(210)의 주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화상 형성 유닛(220)에 의한 캔체(10)에의 화상 형성이 이루어질 때에는, 우선 도 20에서 나타내는 반입 영역에서 캔체(10)의 수취를 한다. 그 후에 회전 부재(210)의 회전에 수반하여 캔체(10)가 도 중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이 이동을 행하고 있는 한중간에, 캔체(10)의 외주면에의 화상 형성을 한다. 부언하면, 도 20에 나타내는 인쇄 영역에서 캔체(10)에의 화상 형성을 한다. 그리고, 캔체(10)에의 화상 형성이 종료하면, 도 20에서 나타내는 배출 영역에 있어서 캔체(10)의 배출이 행해진다. 그 후에 이 캔체(10)는 제1반송 장치(910)(도 19 참조)에 의해 더 하류측에 반송된다.
여기서, 도 21(화상 형성 유닛(22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을 참조하여 화상 형성 유닛(22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동 도 (A)는 화상 형성 유닛(220)을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경우의 도이며, 동 도 (B)는 동 도 (A)에 있어서의 화살표 XXIB 방향으로부터 화상 형성 유닛(220)을 바라본 경우의 도이며, 동 도 (C)는 동 도 (B)에 있어서의 화살표 XXIC 방향으로부터 화상 형성 유닛(220)을 바라본 경우의 도이다.
여기서,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에는, 도 21(A)~(C)에 나타내듯이,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됨과 아울러 그 하단부가 회전 부재(210)(도 20 참조)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280)이 설치되어 있다. 또,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에는, 도 21(A), (C)에 나타내듯이,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됨과 아울러 제1고정판(280)에 대해 직교하는 관계로 배치되고, 또한 이 제1고정판(280)에 대해서 고정된 제2고정판(281)이 설치되어 있다.
또,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에는, 도 21(B)에 나타내듯이, 제2고정판(281)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또한 이 제2고정판(281)에 의해 지지된 지지 부재(28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캔체(10)에 삽입되고 캔체(10)를 보유하는 보유 부재(맨드럴(mandrel))(222)와, 보유 부재(222)와 지지 부재(282)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28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삽입 부재의 일례로서의 보유 부재(22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보유 부재(222)는, 도 21(B)에서 나타내고 있듯이, 일단부(222A) 및 타단부(222B)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캔체(10)에 보유 부재(222)가 삽입될 때, 보유 부재(222)의 일단부(222A)를 선두로 하여 캔체(10)로의 보유 부재(222)의 삽입을 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 부재(283) 및 지지 부재(282)의 양자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접속 부재(283)를 지지 부재(282)에 고정하는 샤프트(28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샤프트(284)를 중심으로 하여 접속 부재(283)가 회전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 접속 부재(283)를 샤프트(284)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유닛(220)에서는 도 21(A)에 나타내듯이 써보모터 M3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 써보모터 M3은 접속 부재(283)를 샤프트(284)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이 써보모터 M3은, 도 21(A)에 나타내듯이, 제2고정판(28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 이 써보모터 M3은 제2고정판(281)을 사이에 두고 보유 부재(222)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 기구는, 예를 들면 제2고정판(281) 배면에 부설된 써보모터 M3과, 지지 부재(282)의 내부에 넣어진 이 써보모터 M3에 의해 구동하는 웜(worm)(미도시)과, 접속 부재(283)측에 설치되고 웜과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된 웜휠(worm wheel)(미도시)에 의해 구성할 수가 있다.
도 22는 회전 기구에 의해 접속 부재(283)가 회전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제2고정판(281) 배면에 부설된 상기 써보모터 M3이 회전되면, 지지 부재(282)의 내부에 넣어진 상기 웜의 회전을 한다. 그리고, 웜이 회전하면, 접속 부재(283)측에 설치된 웜휠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동 도 (A), (B)에 나타내듯이, 샤프트(284)를 중심으로 접속 부재(283)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 회전을 하면, 이 도에 나타내듯이, 보유 부재(222)가 처지는 상태로 되어, 보유 부재(222)의 선단이 하방을 향하는 상태로 된다.
또한, 보유 부재(222)가 이와 같이 처지는 구성의 경우, 도 25(도 19의 화살표 XXV방향으로부터 인쇄기(1)를 바라본 경우의 도)에 나타내듯이, 캔체 이동 기구(200)의 하방에, 캔체 반송 기구(100) 및 제1반송 장치(910)를 설치할 수가 있게 된다. 부언하면, 캔체 이동 기구(200)와 캔체 반송 기구(100)을 겹치게 할 수가 있게 되고, 또 캔체 이동 기구(200)와 제1반송 장치(910)를 겹치게 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인쇄기(1)의 점유 면적을 작게 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반송 장치(920)에 설치된 보유 부재(922A)(도 25 참조)나, 그 선단이 하방을 향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선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반송 장치(920)와 제1반송 장치(910)를 겹치게 할 수가 있게 되고, 또 제2반송 장치(920)와 제3반송 장치(930)를 겹치게 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와 마찬가지로 인쇄기(1)의 점유 면적을 작게 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5에 나타내듯이, 화상 형성 유닛(220)에 설치된 보유 부재(222)가 하방으로만 처지고, 보유 부재(222)의 하방으로부터 캔체(10)가 공급되고, 보유 부재(222)의 하방을 향해 캔체(10)가 이동하고, 캔체(10)가 떼어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보유 부재(222)의 선단을 상방을 향해 보유 부재(222)의 상방으로부터 캔체(10)가 공급되고, 보유 부재(222)의 상방을 향해 캔체(10)를 이동시키고 캔체(10)를 떼어내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보유 부재(222)에 캔체(10)를 공급하려면 보유 부재(222)의 선단을 상방 및 하방의 어느 일방을 향해 보유 부재(222)로부터 캔체(10)가 떼어내질 때에는 이 일방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보유 부재(222)의 선단을 향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21을 재차 참조하여 화상 형성 유닛(220)에 대해 더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유닛(220)에서는, 접속 부재(283)에 써보모터(미도시)가 부설되고, 또 상기 써보모터의 회전축은 보유 부재(222)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써보모터에 의해 보유 부재(222)는 주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 부재(222)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캔체(10)의 일방단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캔체(10)가 삽입된다. 또한, 캔체(10)의 타방단은 막혀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 부재(222)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보유 부재(222)에는 통기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통기구를 통해 보유 부재(222)(캔체(10))의 내측을 진공흡인함으로써 보유 부재(222)가 캔체(10)를 보유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캔체(10)의 보유 부재(222)에 대한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인에 의해 캔체(10)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지만, 미도시의 부재를 캔체(10)에 대해 꽉 누르는 등, 기계적인 구성에 의해 캔체(10)의 이동을 규제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유닛(220)에서는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보유 부재(222)의 주위에, 보유 부재(222)에 의해 보유되어 있는 캔체(10)의 외주면에 대해서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잉크젯 헤드) 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부언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 부재(222)의 주위에, 이른바 잉크젯 방식에 의해 캔체(10)에 대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화상 형성 유닛(220)에 4개의 잉크 토출 장치(223)가 설치되어 있고, 최대로 4색의 잉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화상 형성부의 일례로서의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각에는 서로 다른 색의 잉크가 수용되어 있다. 또,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각은 보유 부재(222)의 축방향(캔체(10)의 축방향)에 따라 배치됨과 아울러, 도 21(A)에 나타내듯이 장척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각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단부가 제2고정판(281)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각은 도 21(C)에 나타내듯이, 보유 부재(222)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 토출 장치(223)가, 보유 부재(22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유 부재(222)의 상방에 잉크 토출 장치(223)가 설치되는 경우, 잉크 토출 장치(223)의 잉크 토출 헤드(223A)(잉크 토출구)(도 21(B) 참조)가 하방을 향하게 되어, 잉크 토출 헤드(223A)에 티끌 등이 부착하기 어렵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보유 부재(222)의 상방에 잉크 토출 장치(223)를 설치하고 하방을 향해 잉크를 토출시키는 경우,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토출된 잉크가 잉크 토출 장치(223)로 돌아오는 것이 억제되어 잉크 토출 장치(223)가 더러워지기 어렵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헤드 클리닝의 횟수를 줄일 수가 있게 되어 유지관리성이 향상된다.
또, 상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0에 나타내듯이,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 부재(210)의 외주연에 접하는 접선을 따르도록 보유 부재(222) 및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각이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잉크 토출 장치(223)에 설치된 복수의 잉크 토출 헤드(223A)(도 21(B) 참조)는 잉크 토출 장치(2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상기 접선이 뻗는 방향을 따라 잉크 토출 헤드(223A)가 늘어서도록 각 잉크 토출 장치(223)는 배치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부재(210)에 부수하여 화상 형성 유닛(220)이 회전할 때의 이동 궤적이 되는 원의 접선 방향을 따르도록 보유 부재(222) 및 잉크 토출 장치(223)가 배치되어 있다.
또, 화상 형성 유닛(220)에는, 도 21(A), (B)에 나타내듯이,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각에 공급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수용부(28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1(B)에 나타내듯이, 잉크 토출 장치(223)보다도 하방에 잉크 수용부(28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잉크 토출 장치(223)보다도 상방에 잉크 수용부(286)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잉크 토출 장치(223)에 공급되고 있는 잉크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지기 쉽다. 그리고, 이 경우, 잉크 토출 헤드(223A)로부터의 잉크의 누출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잉크 토출 장치(223)보다도 하방에 잉크 수용부(286)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잉크 수용부(286)보다도 용량이 큰 제2잉크 수용부를 더 설치하고, 이 제2잉크 수용부로부터 잉크 수용부(286)로 잉크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상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1(B) 등에도 나타내듯이, 잉크 토출 장치(223)가 누운 상태(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잉크 토출 장치(223)를 세운 상태로 배치한 경우, 잉크 토출 장치(223)에 설치된 복수의 잉크 토출 헤드(223A)의 각각에 대해서 잉크가 공급될 때의 압력이 잉크 토출 헤드(223A)마다 다를 수가 있다. 부언하면, 하방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헤드(223A)에 대해서 잉크가 공급될 때의 압력이 커지고, 상방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헤드(223A)에 대해서 잉크가 공급될 때의 압력이 작아지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하방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헤드(223A)에 대해, 상방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헤드(223A)에서는, 잉크가 공급되기 어려워지고, 반대로 하방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헤드(223A)에서는, 상방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헤드(223A)보다, 잉크의 공급 압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잉크가 누출될 우려가 있다. 또, 이러한 경우, 잉크의 토출량이 잉크 토출 헤드(223A)마다 다르게 된다. 한편으로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잉크 토출 장치(223)를 눕힌 상태로 배치한 경우, 이러한 불편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다음에, 캔체 반송 기구(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3은 캔체 반송 기구(100)을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경우의 도이며, 도 24는 캔체 반송 기구(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3에 나타내듯이, 캔체 반송 기구(100)는 복수개의 캔체(10)를 일렬로 늘어놓은 상태로 순차 반송하는 제1반송부(121)와, 이 제1반송부(121)에 의해 반송되어 온 캔체(10)를 개별적으로 반송하는 제2반송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1반송부(121)에서는, 캔체(10)의 이동 경로의 양쪽 측방에 안내 부재(11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안내 부재(110)에 의해 캔체(10)가 안내됨으로써 캔체(10)를 일렬로 늘어놓은 상태로 반송된다.
또, 제2반송부(122)에는 제1반송부(121)로부터 캔체(10)를 1개 수취하고 이 캔체(10)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125)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 제2반송부(122)에는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반송 부재(125)를 보유하면서 도 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12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반송 부재(125)의 각각은 회전 부재(126)의 외주면측에 위치하는 측면(외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이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25A)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반송 부재(125)의 각각은 이 돌출부(125A)의 측면에서 캔체(10)를 지지함으로써, 이 캔체(10)를 회전 부재(126)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을 향해 반송한다.
또한, 돌출부(125A) 중 캔체(10)를 지지하는 지지면(돌출부(125A) 중 캔체(10)가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돌출부(125A)의 내부측으로 패인 함몰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함몰에 캔체(10)가 인입됨으로써, 반송 부재(125)로부터의 캔체(10)의 탈락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있다. 또, 캔체(10)를 지지하는 이 지지면에는 통기공이 설치되어 있고, 반송 부재(125)에 의해 캔체(10)가 반송될 때, 이 통기공(通氣孔)을 통해서 캔체(10)가 흡인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부재(126)의 직경 방향을 따라 반송 부재(125)가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 부재(126)에는 회전 부재(126)의 외주면측으로부터 내주면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관통공(12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관통공(126A)의 내부에 반송 부재(125)가 수납됨과 아울러, 이 관통공(126A)의 내벽으로 안내되면서 반송 부재(125)가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관통공(126A)은 회전 부재(126)의 주방향에 대해 60° 간격으로 배치되어 합계로 6개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6개 설치된 이 관통공(126A)의 각각에 반송 부재(125)가 수용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환상으로 형성된 회전 부재(126)의 내측에 반송 부재(125)의 안내를 행하는 안내 부재(127)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 안내 부재(127)는 외주연이 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외주연의 일부가 내측으로 패여 있다. 이에 의해 안내 부재(127)에는 외주연의 일부에 오목부(127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 부재(127)의 외주연은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오목부(127A)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도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 부재(125)의 각각에 롤 형상의 회전 부재(125B)가 장착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미도시의 부세 부재에 의해 반송 부재(125)가 안내 부재(127)를 향해 압압되고, 회전 부재(125B)가 안내 부재(127)의 외주연에 꽉 눌린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이 회전 부재(125B)는 안내 부재(127)와 반송 부재(125)의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도 24를 참조하여 캔체 반송 기구(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동 도 (A)에 나타내듯이, 제1반송부(121)에 의해 반송되어 온 캔체(10) 중의 가장 하류측에 위치하는 1개의 캔체(10)가 반송 부재(125)의 돌출부(125A)에 의해 지지된다. 그 후에 동 도 (B), (C)에 나타내듯이, 이 캔체(10)는 회전 부재(126)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수반하여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그 후에 이 캔체(10)는 캔체 이동 기구(200)(도 19 참조)에 도달하고, 캔체 이동 기구(200)에 설치된 화상 형성 유닛(220)에 의해 보유되게 된다.
또한, 반송 부재(125)에 의한 1번째의 캔체(10)의 반송이 개시되면, 도 24(B), (C)에 나타내듯이, 2번째의 캔체(10)가 제2반송부(122)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 2번째의 캔체(10)는, 1번째의 캔체(10)의 반송을 행하고 있는 상기 반송 부재(125)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또 하나의 반송 부재(125)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그 후에 제2반송부(122)에 3번째 이후의 캔체(10)가 순차 공급되고, 이들 캔체(10)는 순차 접근해 오는 반송 부재(125)에 의해 지지되고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다음에, 도 19 및 도 25를 참조하여 도 19에서 나타낸 제1반송 장치(910)~ 제4반송 장치(940)에 대해 설명한다.
제1반송 장치(910)는, 도 25에 나타내듯이, 캔체 이동 기구(200)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1반송 장치(910)는 복수의 흡인 부재(911)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이 복수의 흡인 부재(911)는 도 19에 나타내듯이, 미리 정해진 경로(원호를 그리는 경로)를 따라 순환 이동을 행하고 있다. 부언하면, 도 중 시계방향으로의 이동을 행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설치된 보유 부재(222)(도 21 참조)에 형성되는 통기구로부터 진공흡착됨으로써 캔체(10)가 보유 부재(222)에 의해 보유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캔체(10)가 제1반송 장치(910)의 상방에 도달하면, 상기 통기구를 통해 압축 공기를 보유 부재(222)의 내부로 공급한다.
이에 의해 진공이 파괴됨과 아울러, 압축 공기에 의해 캔체(10)의 저부에 압력이 걸리고, 캔체(10)는, 도 25에 있어서의 화살표 7A에 나타내는 방향(하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그 후에 이 캔체(10)의 하방에서 대기하고 있는 흡인 부재(911)가 이 캔체(10)를 흡인함으로써 흡인 부재(911)에 의한 캔체(10)의 보유가 행해진다. 그 후에 이 흡인 부재(911)는 도 19에서 나타낸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제2반송 장치(920)까지 도달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듯이, 흡인 부재(911)가 캔체 이동 기구(200)의 하방을 이동할 때, 흡인 부재(911)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설치된 보유 부재(222)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을 행한다. 이에 의해 보유 부재(222)로부터 흡인 부재(911)로의 캔체(10)의 받아 넘김이 보다 확실하게 행해지게 된다. 여기서, 보유 부재(222)의 이동 경로를 따라 흡인 부재(911)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 보유 부재(222)로 흡인 부재(911)의 접점은 2개소만으로 되고, 캔체(10)의 받아 넘김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인 부재(911)의 이동 궤적과 보유 부재(222)의 이동 궤적이 일치하게 되어 있어 캔체(10)의 받아 넘김이 보다 확실하게 행해지게 된다.
또한,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흡인 부재(911)는 제2반송 장치(920)의 하방을 통과할 때, 제2반송 장치(920)에 설치된 보유 유닛(922)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을 행한다(도 19, 도 25 참조). 또, 도 19에 나타내듯이, 제3반송 장치(930)에 설치된 흡인 부재(932)도, 제2반송 장치(920)의 상방을 통과할 때, 제2반송 장치(920)에 설치된 보유 유닛(922)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을 행한다. 또, 제3반송 장치(930)에 설치된 흡인 부재(932)는, 제4반송 장치(940)의 상방을 통과할 때, 제4반송 장치(940)에 설치된 핀(942)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을 행한다.
또, 캔체 반송 기구(100)에 설치된 반송 부재(125)(도 19 참조)도 캔체 이동 기구(200)의 하방을 이동할 때, 화상 형성 유닛(220)에 설치된 보유 부재(222)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을 행한다. 또한, 보유 부재(222)의 이동 경로를 따른 반송 부재(125)의 이동은 안내 부재(127)(도 23 참조)에 형성된 오목부(127A) 내에 회전 부재(125B)가 인입됨으로써 실현된다.
다음에, 제2반송 장치(920)에 대해 설명한다.
제2반송 장치(920)에는, 도 19에 나타내듯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행하는 회전판(921)과, 이 회전판(921)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제1반송 장치(910)에 의해 반송되어 온 캔체(10)를 보유하는 복수의 보유 유닛(922)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보유 유닛(922)의 각각은 회전판(921)의 주방향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보유 유닛(922)의 각각에는, 도 25에 나타내듯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캔체(10)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이 캔체(10)를 보유하는 보유 부재(922A), 이 보유 부재(922A)의 일단측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 일단측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보유 부재(922A)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922B)가 설치되어 있다. 또, 보유 부재(922A)를 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써보모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기구(922B)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있어서의 접속 부재(283)(도 21(B) 참조)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와 마찬가지로, 모터(미도시)와, 이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웜(미도시)과, 보유 부재(922A)측에 설치되고 웜과 서로 맞물리는 웜휠(미도시)에 의해 구성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 부재(922A)가 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보유 부재(922A)를 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써보모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2반송 장치(920)에는, 도 19에 나타내듯이, 적외선 히터 등에 의해 구성되고 보유 유닛(922)에 의해 보유되어 있는 캔체(10)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9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판(92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가열 장치(923)의 하류측에는 캔체(10)의 외주면에 도료를 도포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도료 도포 장치(9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료 도포 장치(924)는 회전하는 롤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롤 형상 부재를 캔체(10)의 외주면에 접촉시키고 캔체(10)로의 도료의 도포를 행한다.
여기서, 캔체(10)에의 화상 형성은 열에 의해 경화하는 잉크를 이용하여 행할 수도 있고, 자외선 경화형의 잉크를 이용하여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가열 장치(923)에 대신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램프가 설치된다. 또한, 캔체(10)로의 도료의 도포(보호층의 형성)는, 화상 형성 유닛(220)에 설치된 복수의 잉크 토출 장치(223) 중, 캔체(10)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가장 하류측에 위치하는 잉크 토출 장치(223)로부터 캔체(10)에 대해서 도료를 토출하는 것도 행할 수도 있다. 또, 이 도료의 건조도 화상 형성 유닛(220)의 각각에 적외선 히터를 설치하고 각 화상 형성 유닛(220)에서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3반송 장치(930)에 대해 설명한다.
제3반송 장치(930)는, 도 25에 나타내듯이, 제2반송 장치(920)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3반송 장치(930)에는 제1반송 장치(910)와 마찬가지로 캔체(10)의 저부를 흡인하여 캔체(10)를 보유하는 흡인 부재(932)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 제3반송 장치(930)에는 흡인 부재(932)의 상방에 배치되고 이 흡인 부재(932)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931)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반송 장치(920)에 의해 반송되어 온 캔체(10)의 저부가 흡인 부재(932)에 의해 우선 지지된다. 그 후에 이 흡인 부재(932)가 제4반송 장치(940)의 상방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흡인 부재(932)에 의한 흡인이 해제됨으로써 캔체(10)가 하방으로 낙하하고 캔체(10)가 제4반송 장치(940)로 받아 넘겨진다.
다음에, 제4반송 장치(940)에 대해 설명한다.
제4반송 장치(940)는, 도 25에 나타내듯이, 제3반송 장치(93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4반송 장치(940)는, 도 19에 나타내듯이, 도 중 반시계방향으로 주회 이동을 행하는 체인(941)과 체인(941)에 장착된 복수의 핀(942)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3반송 장치(930)로부터 제4반송 장치(940)로의 캔체(10)의 받아 넘김은 제3반송 장치(930)로부터 낙하한 캔체(10)의 내부에 핀(942)이 삽입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제4반송 장치(940)에 의해 캔체(10)는 미도시의 인화 장치(공정)로 반송되고, 이 인화 장치에서는, 캔체(10)의 외주면 상의 잉크나 도료의 인화가 행해진다.
다음에, 도 25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 행해지는 화상 형성의 일련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캔체 반송 기구(100)에 의해 캔체 이동 기구(200)의 하방으로 캔체(10)가 반송된다. 여기서, 이 때, 캔체(10)의 상방에는 일단부(222A)가 하방을 향한 상태의 보유 부재(222)가 대기하고 있다. 그 후에 보유 부재(222)의 통기구를 통해서 보유 부재(222)의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고, 이에 수반하여 캔체(10)가 보유 부재(222)에 의해 흡인된다. 그리고, 이 흡인에 의해 캔체(10)의 내부에 보유 부재(222)가 삽입된 상태로 된다.
그 후에 캔체 이동 기구(200)의 화상 형성 유닛(220)에 설치된 회전 기구가 구동되어 보유 부재(222)가 누운 상태로 되고, 동 도의 부호 7B에 나타내듯이, 보유 부재(222)에 의해 보유되어 있는 캔체(10)가 수평 상태로 된다. 그 다음에, 써보모터의 구동이 개시되어 캔체(10)가 주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도 26(보유 부재(222)의 주변의 구조를 나타낸 도)에 나타내듯이, 제2고정판(281)(도 21(A) 참조)에 부설된 써보모터 M3의 축에 웜(291)이 장착되어 있고, 웜(291)의 회전에 의해 웜휠(292)이 회전하고, 웜휠(292)에 지지된 접속 부재(283)가 샤프트(284)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접속 부재(283)에는 보유 부재(222)를 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써보모터(293)가 부설되어 있다. 또, 써보모터(293)의 축(294)은 중공축으로 되고 있어, 그 일단에는 보유 부재(222)가 연결되고, 또 보유 부재(222)에는 통기구가 형성되고, 통기구로부터 흡인함으로써 보유 부재(222)가 캔체(10)를 보유하게 되어 있다. 또, 본 도면에는 기재하지 않지만, 써보모터(293)의 축(294)의 타단에는 베어링을 내장한 회전 가능한 배관이 접속되고, 전자 진공 밸브를 통해 진공 펌프 혹은 블로워(blower)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보유 부재(222)의 회전의 유무를 불문하고, 진공 펌프 등에서의 흡인 부압(負壓)은 필요에 따라 전자 진공 밸브를 통해, 써보모터(293)의 축(294)에 설치된 구멍을 통과하여 보유 부재(222)의 통기구에 통하고, 보유 부재(222)에 캔체(10)를 보유시키는 흡인 부압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또, 전자 진공 밸브를 절체할 때, 대기압 혹은 압축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즉석에서 흡인 부압을 파괴할 수가 있게 된다.
도 25를 재차 참조하여 설명을 더 계속한다.
캔체(10)가 수평 상태로 된 후,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잉크 토출 장치(223)의 각각으로부터 잉크가 토출된다. 그리고, 캔체(10)가 360° 회전하면, 잉크의 토출이 정지된다. 이에 의해 캔체(10)의 외주면에 화상이 형성된 상태로 된다.
그 후에 화상 형성 유닛(220)에 설치된 회전 기구가 다시 구동되고, 동 도의 부호 7C에 나타내듯이, 보유 부재(222)에 의해 보유되어 있는 캔체(10)가 하방을 향한 상태로 된다. 부언하면, 캔체(10)의 저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캔체(10)가 배치된다. 그 후에 통기구를 통해서 보유 부재(222)의 내부에 공기가 공급됨과 아울러, 제1반송 장치(910)에 설치된 흡인 부재(911)에 의한 흡인이 개시된다. 이에 의해 화살표 7A에 나타내듯이, 캔체(10)는 도 중 하방을 향해 이동하고 흡인 부재(911)에 의해 보유되게 된다.
그 후에 캔체(10)는 흡인 부재(911)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2반송 장치(920)의 하방에 도달한다. 여기서, 이 때, 도 25의 부호 7D에 나타내듯이, 캔체(10)의 상방에는 축심이 상하 방향을 따르는 상태의 보유 부재(922A)가 대기하고 있다. 그 후에 통기구를 통해서 보유 부재(922A)의 내부의 공기가 배출됨과 아울러, 흡인 부재(911)에 의한 캔체(10)의 흡인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보유 부재(922A)를 향해 캔체(10)가 이동하고, 캔체(10)의 내부로 보유 부재(922A)가 삽입되게 된다.
그 후에 보유 부재(922A)는, 제3반송 장치(930)를 향해 이동함과 아울러, 미도시의 써보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주방향으로의 회전을 행한다. 또, 보유 부재(922A)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922B)가 구동되어 보유 부재(922A)는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캔체(10)도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된다. 그 후에 가열 장치(923)(도 19 참조)에 의한 캔체(10)의 가열을 하여 캔체(10)의 외주면에 부착한 잉크가 경화한다. 그 다음에, 도료 도포 장치(924)(도 19 참조)에 의해 캔체(10)의 외주면에 도료가 도포되고 캔체(10)의 표면에 보호층이 형성된다.
그 후에 보유 부재(922A)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922B)가 다시 구동되고, 부호 7E에 나타내듯이, 캔체(10)의 저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보유 부재(922A)는 배치된다. 그 다음에, 보유 부재(922A)에 형성된 통기공을 통해서 보유 부재(922A)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고, 캔체(10)가 도 중 상방을 향해 이동한다. 그 한편으로 이 캔체(10)의 상방에는 흡인 부재(932)가 대기하고 있다.
그리고, 캔체(10)는 이 흡인 부재(932)에 의해 보유됨과 아울러, 제4반송 장치(940)를 향해 이동한다. 그리고, 제4반송 장치(940)의 상방에 캔체(10)가 도달하면, 흡인 부재(932)에 의한 캔체(10)의 흡인이 종료하고 캔체(10)는 하방으로 낙하한다. 그 후에 이 캔체(10)는 핀(942)에 의해 지지된 후에 인화 공정까지 반송된다. 또한, 핀(94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하고, 캔체(10)의 낙하가 행해질 때에 핀(942)을 캔체(10)의 보다 가까이에 배치해 둘 수도 있다. 또, 마찬가지로 제1반송 장치(910)에 설치된 흡인 부재(911), 제3반송 장치(930)에 설치된 흡인 부재(932)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할 수가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처럼,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 부재(210)의 외주연에 접하는 접선을 따르도록 보유 부재(222) 및 잉크 토출 장치(223)가 배치되어 있다. 부언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부재(210)의 회전에 수반하여 화상 형성 유닛(220)이 환상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잉크 토출 장치(22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를 선두로 하고 잉크 토출 장치(22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를 후단으로 하여 잉크 토출 장치(223)가 이동한다. 또한, 잉크 토출 장치(223)는 상기 환상의 이동 경로를 따르도록 이동을 행한다.
더 설명하면, 도 20에 나타내듯이, 회전 부재(21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화상 형성 유닛(220)을 향하는 직선 L과, 잉크 토출 장치(223)의 길이 방향(잉크 토출 장치(223)가 뻗는 방향)이 교차(직교)하도록, 각 화상 형성 유닛(220)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이 구성의 경우, 캔체(10)에 토출되는 잉크의 양이 캔체(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다른 것이 억제되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보유 부재(222) 및 잉크 토출 장치(223)가 회전 부재(210)의 직경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경우, 잉크 토출 장치(223)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잉크 토출 장치(223)의 부위마다 다르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잉크 토출 장치(223) 중의 회전 부재(210)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부위(이하, 「외측 부위」라고 칭함)에 있어서 작용하는 원심력이 커지고, 잉크 토출 장치(223) 중의 회전 부재(210)의 중심에 가까운 부위(이하, 「중심측 부위」)에서는 작용하는 원심력이 작아진다.
그런데, 이 경우, 외측 부위와 중심측 부위에서 잉크의 토출이 변하기 쉬워져, 캔체(10)에 토출되는 잉크의 양이 캔체(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다르기 쉬워진다. 그 한편으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잉크 토출 장치(223)의 부위마다 원심력이 다른 것이 생기기 어려워져, 캔체(10)에 토출되는 잉크의 양이 캔체(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다른 것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1…인쇄기 10…캔체
200…캔체 이동 기구 210…회전 부재
220…화상 형성 유닛 222…보유 부재
223…잉크 토출 장치 224…가열 유닛
225…도포 유닛 226…회전판
229…중심축
400…가열 장치 500…도포 장치
851…흡인 부재 859…중심축
HD…잉크 토출 헤드

Claims (30)

  1. 캔체를 순차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캔체와 함께 이동함과 아울러, 당해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당해 캔체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복수 설치되고, 당해 캔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 형성 기구의 각각에는, 서로 다른 색의 화상을 상기 캔체에 대해서 동시에 형성 가능한 복수의 화상 형성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기구의 각각은, 통상으로 형성된 상기 캔체의 외주면에 대해서 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반송 수단은, 상기 캔체를 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당해 캔체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기구의 각각은, 일정한 자세를 유지할 수가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의 각각은, 상기 캔체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기구의 각각에는,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에 의해 상기 캔체에 형성된 화상을 경화시키는 경화 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의 각각은, 잉크 토출 헤드로부터 상기 캔체를 향해 잉크를 토출시킴으로써 당해 캔체에 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의 각각은, 상기 잉크 토출 헤드가 상방 이외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 상기 화상 형성 기구의 각각은, 상기 회전 부재에 설치됨과 아울러 당해 회전 부재의 주방향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화상 형성 기구의 각각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의,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회전 중심에 대한 자세가, 복수 설치된 당해 화상 형성 기구의 각각에 있어서 동일하게 되도록 당해 화상 형성 기구의 각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의 각각은, 잉크 토출 헤드로부터 상기 캔체를 향해 잉크를 토출시킴으로써 당해 캔체에 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잉크 토출 헤드가 잉크를 토출할 때의 토출력을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캔체를 순차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캔체와 함께 이동함과 아울러, 당해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당해 캔체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복수 설치되고, 당해 캔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 형성 기구의 각각에는, 상기 캔체가 설치되어 있는 개소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상 형성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 의해 상기 캔체에 화상이 형성된 후, 당해 화상을 경화시키는 경화 수단과,
    상기 경화 수단에 의한 화상의 경화를 한 후, 당해 화상의 위에 도료를 도포하는 도포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순환 이동을 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상기 캔체를 상기 반송 수단으로부터 수취하고 당해 캔체를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 부재와,
    순환 이동을 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반송 부재로부터 상기 캔체를 수취하고, 당해 캔체를 반송하는 복수의 수취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반송 부재가 상기 순환 이동을 행할 때의 중심축과, 상기 복수의 수취 부재가 상기 순환 이동을 행할 때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당해 복수의 반송 부재 및 당해 복수의 수취 부재는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캔체, 및 복수의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고 당해 캔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기구를 순차 반송하고,
    상기 캔체가 반송되고 있는 한중간에,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부를 동시에 동작시키고, 당해 캔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이 형성된 캔체의 제조 방법.
  13. 복수의 캔체를 보유하는 캔체 보유부와, 당해 캔체 보유부에 의해 보유되는 당해 복수의 캔체에 대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기구를 구비하는 유닛과,
    상기 유닛을 복수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유닛에 설치된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는, 상기 캔체 보유부에 보유되는 복수의 캔체 중의 개개의 캔체에 대치하는 화상 형성부가 복수 설치되고,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복수의 상기 유닛이 반송되고 있는 한중간에, 개개의 당해 유닛에서, 상기 캔체 보유부의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 대한 상태가 변화하고, 당해 화상 형성 기구에 설치된 상기 화상 형성부에 대치하는 캔체가 절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의 반송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상기 화상 형성 기구는,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당해 이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화상 형성부의 각각은 잉크 토출 헤드로부터 캔체를 향해 잉크를 토출시킴으로써 당해 캔체에 화상을 형성하고,
    복수의 상기 화상 형성부의 각각은 상기 잉크 토출 헤드가 상방 이외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캔체 보유부는, 환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화상 형성 기구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캔체 보유부의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 대한 상태의 상기 변화는, 당해 캔체 보유부가 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화상 형성부의 각각은 대치하는 캔체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는,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캔체에 형성된 화상을 경화시키는 경화 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는,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캔체에 형성된 화상의 위에 도료를 도포하는 도포 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환 이동을 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캔체를 상기 캔체 보유부로부터 수취하고 당해 캔체를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 부재와,
    순환 이동을 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반송 부재로부터 캔체를 수취하고, 당해 캔체를 반송하는 복수의 수취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반송 부재가 상기 순환 이동을 행할 때의 중심축과, 상기 복수의 수취 부재가 상기 순환 이동을 행할 때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당해 복수의 반송 부재 및 당해 복수의 수취 부재는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를 더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화상 형성부를 가지는 상기 화상 형성 기구를 구비한 상기 유닛의 각각은, 상기 회전 부재에 설치됨과 아울러 당해 회전 부재의 주방향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유닛의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화상 형성부의,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회전 중심에 대한 자세가, 복수 설치된 당해 유닛의 각각에 있어서 동일하게 되도록 당해 유닛의 각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13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화상 형성부의 각각은 잉크 토출 헤드로부터 상기 캔체를 향해 잉크를 토출시킴으로써 당해 캔체에 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잉크 토출 헤드가 잉크를 토출할 때의 토출력을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3. 복수의 캔체에 의해 구성되는 캔체군과, 복수의 화상 형성부를 이용하여 당해 캔체군에 대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기구에 의해 적어도 구성되는 유닛을 복수 반송하고,
    복수의 상기 유닛이 반송되고 있는 한중간에, 개개의 당해 유닛에서,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 대한 상기 캔체군 상태를 변화시키고, 당해 화상 형성 기구가 가지는 상기 화상 형성부에 대치하는 캔체를 절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이 형성된 캔체의 제조 방법.
  24. 캔체를 보유함과 아울러 당해 캔체의 외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기구와,
    캔체를 보유한 상기 화상 형성 기구를 미리 정해진 개소를 중심으로 하여 주회 이동시키고 미리 정해진 환상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는, 한 방향으로 뻗도록 설치되고 상기 캔체의 외면을 향해 잉크를 토출하여 당해 외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화상 형성부의 상기 한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를 선두로 하고 당해 화상 형성부의 당해 한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를 후단으로 하여 당해 화상 형성부가 상기 환상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화상 형성 기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기구는, 복수 설치되고,
    상기 이동 수단은, 복수의 상기 화상 형성 기구를 상기 환상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는, 상기 캔체보다도 상방에 배치되고, 하방에 위치하는 당해 캔체의 외면을 향해 잉크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기구는, 단부를 가진 삽입 부재를 상기 캔체의 내부로 당해 단부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당해 캔체의 보유를 행하고,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한 상기 캔체에의 화상 형성이 이루어질 때, 누운 상태로 배치되고, 당해 캔체의 보유를 행할 때, 상방 및 하방의 어느 일방을 상기 단부가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8. 미리 정해진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에 장착되고, 당해 회전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주회 이동을 행함과 아울러 캔체를 보유하고, 당해 캔체의 외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 형성 기구에는, 한 방향으로 뻗도록 설치되고 상기 캔체의 외면을 향해 잉크를 토출하여 당해 외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당해 회전 부재에 장착된 상기 화상 형성 기구를 향하는 직선이 뻗는 방향과 상기 화상 형성부가 뻗는 방향인 상기 한 방향이 교차하도록 당해 화상 형성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기구를 향하는 상기 직선이 뻗는 방향과 상기 한 방향이 직교하도록 당해 화상 형성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는, 수평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37026680A 2011-04-25 2012-04-19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이 형성된 캔체의 제조 방법 KR101903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96991A JP5775733B2 (ja) 2011-04-25 2011-04-25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が形成された缶体の製造方法
JPJP-P-2011-096991 2011-04-25
JP2011096996A JP5647939B2 (ja) 2011-04-25 2011-04-25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が形成された缶体の製造方法
JPJP-P-2011-096996 2011-04-25
JPJP-P-2012-093850 2012-04-17
JP2012093850A JP5921304B2 (ja) 2012-04-17 2012-04-17 画像形成装置
PCT/JP2012/060590 WO2012147612A1 (ja) 2011-04-25 2012-04-19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が形成された缶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924A true KR20140023924A (ko) 2014-02-27
KR101903815B1 KR101903815B1 (ko) 2018-10-02

Family

ID=4707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680A KR101903815B1 (ko) 2011-04-25 2012-04-19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이 형성된 캔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610781B2 (ko)
EP (1) EP2703306B1 (ko)
KR (1) KR101903815B1 (ko)
CN (1) CN103502100B (ko)
WO (1) WO20121476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95810B1 (en) 2010-07-23 2018-08-22 Plastipak Packaging, Inc. Rotary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containers
EP2750895B1 (de) * 2011-09-02 2018-09-05 KHS GmbH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packmitteln sowie drucksegment zur verwendung bei einer solchen vorrichtung
WO2013099817A1 (ja) * 2011-12-27 2013-07-04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および缶体の製造方法
FR3001915B1 (fr) * 2013-02-12 2015-06-26 Dubuit Mach Machine d'impression d'objets comportant un plateau et une tourelle rotatifs
DE102013215638A1 (de) * 2013-08-08 2015-02-12 Krones Ag Vorrichtung zum Bedrucken von Behältern
JP6255212B2 (ja) * 2013-10-25 2017-12-27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缶体の製造方法、印刷装置、および、飲料用缶
DE202013105244U1 (de) * 2013-11-20 2015-02-27 Krones Ag Direktdruckmaschine zum Bedrucken von Behältern
GB201407440D0 (en) 2014-04-28 2014-06-11 Tonejet Ltd Printing on cylindrical objects
DE102014110520A1 (de) * 2014-07-25 2016-01-28 Krones Ag Direktdruckmaschine mit Tintenversorgungssystem
DE102015100334A1 (de) * 2015-01-12 2016-07-14 Khs Gmbh Erfassungseinheit sowi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druckung von Behältern
JP6402045B2 (ja) * 2015-02-13 2018-10-10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印刷装置
EP3332966B1 (en) * 2015-08-05 2021-06-23 Showa Aluminum Can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JP6647815B2 (ja) * 2015-08-05 2020-02-14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印刷装置
CN106004085A (zh) * 2016-07-04 2016-10-12 迈得医疗工业设备股份有限公司 喷码装置和喷码方法
US10076901B1 (en) * 2017-04-03 2018-09-18 Xerox Corporation Object holder for a direct-to-object printer
BR112020005260A2 (pt) 2017-09-19 2020-09-15 Ball Corporation aparelho e método de decoração de recipiente
JP7075212B2 (ja) * 2017-12-27 2022-05-25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印刷装置
JP7382130B2 (ja) * 2018-01-09 2023-11-16 アルテミラ株式会社 飲料用缶の製造方法、飲料用缶、および、飲料缶
JP7161881B2 (ja) 2018-07-24 2022-10-27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方法
JP2020033030A (ja) * 2018-08-27 2020-03-05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缶体製造システム
DE102018121542B4 (de) * 2018-09-04 2022-03-17 Koenig & Bauer Ag Vorrichtung zum Bedrucken von Hohlkörpern
JP2020152086A (ja) * 2019-03-22 2020-09-24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5451A (en) 1962-09-11 1965-07-20 Kamru Products Corp Decorating means
DE3504555A1 (de) * 1985-02-11 1986-10-30 Jagenberg AG, 4000 Düsseldorf Vorrichtung zum verteilen von gegenstaenden, insbesondere flaschen
DE3526769A1 (de) * 1985-07-26 1987-01-29 Schmalbach Lubeca Verfahren zum dekorieren von behaeltern aus metall oder kunststoff
IL113552A (en) 1995-04-30 2005-09-25 Hewlett Packard Indigo Bv Apparatus and method for centerless printing of images particularly on cylindrical objects
US6360656B2 (en) * 2000-02-28 2002-03-26 Minolta Co.,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
DE10226500B4 (de) * 2002-06-14 2010-04-22 Ball Packaging Europe Holding Gmbh & Co. Kg Vorrichtung zur Oberflächenbearbeitung von Teilen
AU2002368094A1 (en) * 2002-07-22 2004-02-09 Sealed Air Limited Printing process and apparatus
US6769357B1 (en) 2003-06-05 2004-08-03 Sequa Can Machinery, Inc. Digital can decorating apparatus
KR100688781B1 (ko) * 2004-05-28 2007-02-28 주식회사 삼양사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대상물들에 소정 패턴을 인쇄하는장치 및 방법
DE102006001223A1 (de) 2006-01-10 2007-07-12 Khs Ag Vorrichtung zum Bedrucken von Flaschen oder dergleichen Behälter
DE102006034060B4 (de) * 2006-07-20 2009-01-15 Ball Packaging Europ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ekorieren einer unebenen Fläche an einem formstabilen Objekt
ITBO20060726A1 (it) * 2006-10-23 2007-01-22 Gd Spa Unita di stampa di pacchetti.
FI119761B (fi) * 2007-03-27 2009-03-13 Stora Enso Oyj Menetelmä painettujen kartonkiastioiden valmistamiseksi
BRPI0810301B1 (pt) * 2007-08-03 2020-09-01 Khs Maschinen Und Anlagenbau Ag (Khs Ag) Dispositivo e processo de estampagem sobre recipientes
EP2207684B1 (de) 2007-10-19 2011-11-23 KHS GmbH Vorrichtung zum bedrucken von flaschen oder dergleichen behältern an der behälteraussenfläche
DE102009013477B4 (de) * 2009-03-19 2012-01-12 Khs Gmbh Druckvorrichtung zum Bedrucken von Flaschen oder dergleichen Behältern
JP5891602B2 (ja) * 2011-04-28 2016-03-23 東洋製罐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ムレス缶の印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02100B (zh) 2015-10-14
EP2703306A1 (en) 2014-03-05
US20140049585A1 (en) 2014-02-20
US20170157950A1 (en) 2017-06-08
US9610781B2 (en) 2017-04-04
EP2703306B1 (en) 2019-06-19
US9815300B2 (en) 2017-11-14
EP2703306A4 (en) 2015-02-11
KR101903815B1 (ko) 2018-10-02
WO2012147612A1 (ja) 2012-11-01
CN103502100A (zh) 201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3924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이 형성된 캔체의 제조 방법
US8926047B2 (en) Apparatuses for printing on generally cylindrical objects and related methods
JP6131297B2 (ja) 画像形成装置
WO2013099817A1 (ja)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および缶体の製造方法
JP6259612B2 (ja) 画像形成装置
JP5878782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6312453B2 (ja) 印刷装置
WO2010135673A1 (en) Apparatuses for printing on generally cylindrical objects and related methods
JP5793071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が形成された缶体の製造方法
WO2017022402A1 (ja) 印刷装置
JP6063231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CN108778750A (zh) 印刷装置
WO2017187863A1 (ja) 印刷装置
JP5775733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が形成された缶体の製造方法
JP5647939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が形成された缶体の製造方法
JP2017071059A (ja) 印刷装置
JP5921304B2 (ja) 画像形成装置
JP6530273B2 (ja) 印刷装置
JP2017200840A (ja) 印刷装置
JP2017029951A (ja) 印刷装置
JP6647815B2 (ja) 印刷装置
CN116113506A (zh) 印刷装置
JP2004230589A (ja) 板状記録媒体の印刷装置及びその印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