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541A -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 Google Patents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541A
KR20140023541A KR1020120089517A KR20120089517A KR20140023541A KR 20140023541 A KR20140023541 A KR 20140023541A KR 1020120089517 A KR1020120089517 A KR 1020120089517A KR 20120089517 A KR20120089517 A KR 20120089517A KR 20140023541 A KR20140023541 A KR 20140023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mobile terminal
expected
sche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3901B1 (ko
Inventor
고재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9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901B1/ko
Priority to US13/960,156 priority patent/US10643134B2/en
Priority to EP13879355.9A priority patent/EP2885933A4/en
Priority to PCT/KR2013/007080 priority patent/WO2014027785A1/en
Priority to CN201380043459.3A priority patent/CN104584591A/zh
Publication of KR20140023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2Knowledge representation; Symbolic repres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일정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발생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SCHEDULE AND MOBILE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일정을 관리해주는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더욱이 스마트 폰의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도 개발되고 있다.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일례로 사용자가 수첩이나 달력을 확인하지 않아 일정을 놓치기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정 관리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일정 관리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사용자가 등록한 일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단순히 표시해주기만 한다. 즉, 사용자의 현재 상황이나 위치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일정과 관련된 안내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사용자의 현재 상황이나 위치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일정을 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일정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기초로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집되는 이벤트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일정을 관리하고, 사용자의 일정에 따른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일정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일정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발생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이벤트 정보는, 예상 이벤트의 속성, 예상 발생 시간, 및 예상 발생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일정 관리 방법은,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일정 관리 방법은,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일정 관리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발생되는 이벤트 정보가 수집된 위치를 기초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따라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일정 관리 방법은, 소정 주기로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일정 관리 방법은, 이동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일정 관리 방법은, 갱신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일정 관리 방법은,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생성된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선택 받는 단계; 및 선택된 예상 경로 정보를 기초로,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일정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교통 정보, 숙박 정보, 및 음식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약 요청 정보를 예약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예약 서버로부터 예약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일정 관리 방법은, 일정 정보를 기초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근거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일정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선호도를 더 고려하여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일정 관리 방법은,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가장 처음으로 발생될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정보는, 출발지 정보, 경유지 정보, 목적지 정보, 교통 예약 정보, 숙박 예약 정보, 및 음식점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일정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안내 정보의 공개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공개 범위 안에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일정 관리 방법은,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팝업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일정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일정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이동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집된 이벤트 정보를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일정 관리 방법은,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일정 관리 방법은, 수신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일정 관리 방법은, 수신된 이벤트 정보가 수집된 위치를 기초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따라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일정 관리 방법은, 갱신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일정 관리 방법은,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예상 경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예상 경로 정보를 기초로,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일정 관리 방법은, 이동 단말로부터 교통 정보, 숙박 정보, 및 음식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약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일정 관리 방법은, 일정 정보를 기초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근거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일정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선호도를 더 고려하여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일정 관리 방법은,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가장 처음으로 발생될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일정 관리 방법은, 안내 정보의 공개 범위 설정 정보를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공개 범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안내 정보를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은,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획득하는 일정 정보 관리부; 일정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발생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는 무선 통신부;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부; 및 일정 정보 관리부, 추출부, 무선 통신부, 비교부 및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출력부는,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제어부는,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제어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발생되는 이벤트 정보가 수집된 위치를 기초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따라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제어부는, 소정 주기로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제어부는, 이동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출력부는, 갱신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제어부는,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표시하고,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선택 받고, 선택된 예상 경로 정보를 기초로,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일정 정보 관리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교통 정보, 숙박 정보, 및 음식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약 요청 정보를 예약 서버로 송신하고, 예약 서버로부터 예약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추출부는, 일정 정보를 기초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하고, 결정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근거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추출부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더 고려하여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출력부는,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가장 처음으로 발생될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안내 정보의 공개 범위를 설정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출력부는, 설정된 공개 범위 안에서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출력부는,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팝업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획득하는 일정 정보 관리부; 일정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이동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집된 이벤트 정보를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송신부; 및 일정 정보 관리부, 추출부, 수신부, 비교부, 및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송신부는,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이동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제어부는, 수신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제어부는, 수신된 이벤트 정보가 수집된 위치를 기초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따라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송신부는, 갱신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이동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제어부는,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송신부는, 생성된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이동 단말에 제공하고, 수신부는,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예상 경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수신부는, 이동 단말로부터 교통 정보, 숙박 정보, 및 음식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약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추출부는, 일정 정보를 기초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하고, 결정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근거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추출부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더 고려하여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송신부는,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가장 처음으로 발생될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이동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수신부는, 안내 정보의 공개 범위 설정 정보를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의 송신부는, 공개 범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안내 정보를 이동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일정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의 일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획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예약 정보를 획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자동 예약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일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일정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및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일정 관리 서버의 일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출장 일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병원 진료 일정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일정 관리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일정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시스템은 이동 단말(100) 및 근거리 무선 통신(NFC) 디바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위한 NFC 칩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NFC)이란 전자태그(RFID)의 일종으로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10cm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기기 간 통신(P2P) 모드, Reader/writer (R/W) 모드, 카드 에뮬레이션(Card Emulation)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NFC 칩은 이동 단말(100)의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고, 동글(dongle) 또는 액세서리(accessory) 형태로 이동 단말(100)의 외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은 보안 영역에 모바일 카드를 저장할 수 있다. 모바일 카드란 이동 단말(100)에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는 카드를 의미한다.
한편, 보안 영역의 일례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있을 수 있다.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란 가입자 정보를 탑재한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와 UICC(universal IC card)가 결합된 형태로써 사용자 인증과 글로벌 로밍,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기능을 1장의 카드에 구현한 것이다. USIM은 소형 CPU와 메모리로 구성되는데, CPU는 암복호화 기능으로 사용자를 식별하고, 메모리는 부가서비스를 위한 저장공간으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이벤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100)을 NFC 디바이스(200)에 터치하는 터치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100)을 NFC 디바이스(200)에 터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고, NFC 디바이스(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100)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북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있을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NFC) 디바이스(200)는 이동 단말(100)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NFC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디바이스(200)에는 위치 정보, 식별 정보, 링크 정보(예컨대,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디바이스(200)는 결제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 단말은 결제를 제공하는 단말로서, CAT(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POS (Point Of Sales) 단말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단말은 휴대 단말 형태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의 일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210에서,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정보는, 사용자가 등록하거나 예약한 현재 또는 미래의 스케줄에 관한 정보로서, 일정 종류, 출발지 정보, 경유지 정보, 목적지 정보, 예약 정보(예컨대, 교통 예약 정보, 숙박 예약 정보, 음식점 예약 정보, 진료 예약 정보), 지인과의 약속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에는, 여행 일정, 출장 일정, 지인 방문 일정, 병원 진료 일정, 답사 일정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일정 정보를 직접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의 일정 정보가 저장된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100)은 외부 서버와 연동하여, 소정 주기로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 220에서,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이벤트 정보는 예상 이벤트의 속성, 예상 발생 시간, 및 예상 발생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상 이벤트 속성은 예상 이벤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결제 이벤트, 게이트 통과 이벤트, 소정 위치에 기 설치된 NFC 디바이스 터치 이벤트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기초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상기 결정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근거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12.3.5 오후 3시에 XX 병원에 진료를 예약하여 이동 단말(100)에 사용자의 일정으로 등록되어 있고, 현재 시간이 2012.3.5 오후 2시인 경우,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의 병원 진료 예약 일정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인 집에서부터 목적지인 XX 병원까지의 최적의(예컨대, 최단 거리 또는 최소 비용)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검색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이동 경로가 첫 번째로 버스를 타고 두 번째로 지하철을 타고 세 번째로 택시를 타는 경로인 경우, 이동 단말(100)은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NFC 디바이스 터치 이벤트, 버스 요금 결제 이벤트, 지하철역 게이트 통과 이벤트(지하철 환승 이벤트), 택시 결제 이벤트 등을 예상 이벤트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NFC 디바이스 터치 이벤트, 버스 요금 결제 이벤트, 지하철역 게이트 통과 이벤트(지하철 환승 이벤트), 택시 결제 이벤트 각각의 예상 발생 시간, 예상 발생 위치 등에 관한 예상 이벤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의 선호도(선호 교통 수단, 선호 이동 경로 등)를 고려하여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버스 멀미가 심해 버스 이용을 기피하고, 지하철 이용을 선호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버스를 이용하는 경로를 최소화하고, 지하철을 이용하는 경로를 최대화하여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100)은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체적인 예상 이벤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예상 이벤트 정보에 따라 이동 경로 상의 NFC 터치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단계 230에서, 이동 단말(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발생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벤트 정보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발생된 이벤트의 속성, 이벤트 발생 시간(이벤트 수집 시간), 이벤트 발생 위치(이벤트 수집 위치), NFC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에 저장된 모바일 카드를 통해 결제를 하는 결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이동 단말(100)은 결제 이벤트의 발생 시간, 발생 위치, 결제 내용(예컨대, 결제 금액, 결제 단말 코드, 가맹점 식별 정보) 등을 이벤트 정보로 수집할 수 있는 것이다. 결제 내용은 결제 단말(예컨대, POS 단말) 또는 결제 서버(예컨대,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통과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게이트 통과 이벤트의 발생 시간, 발생 위치, 게이트 명, 게이트에 부착된 NFC 태그의 식별 정보 등을 이벤트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
단계 240에서, 이동 단말(100)은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100)은 실제로 발생한 이벤트와 예상 이벤트를 비교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발생된 이벤트의 속성, 발생 위치(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 또는 NFC 디바이스의 식별 코드), 발생 시간 등을 예상 이벤트의 속성, 예상 발생 시간, 예상 발생 위치와 비교할 수 있다.
단계 250에서, 이동 단말(100)은,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100)은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속성과 예상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예상 이벤트의 속성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상 이벤트 정보가 A 이벤트 -> B 이벤트 -> C 이벤트 순이고, 이번에 발생이 예상되는 이벤트가 B 이벤트이었으나, 실제 수집된 이벤트 정보가 D 이벤트인 경우, 이동 단말(100)은 실제로 수집된 D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D 이벤트 -> E 이벤트로 갱신할 수 있다. 즉, 예상 이벤트 정보는 택시 요금 결제 이벤트이나, 실제로 수집된 이벤트 정보가 버스 요금 결제 이벤트인 경우, 이동 단말(100)은 실제로 수집된 버스 요금 결제 이벤트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100)은, NFC를 통해 실제로 이벤트가 수집된 시간과 예상 이벤트의 예상 발생 시간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로 이벤트가 수집된 시간과 예상 발생 시간의 차이가 소정 시간(예컨대, 5분 이상) 이상인 경우, 이동 단말(100)은 예상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예상 발생 시간을 갱신(예컨대, 5분 후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100)은 실제로 이벤트 정보가 수집된 위치와 예상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예상 발생 위치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이벤트의 예상 발생 위치가 ‘a’ 지역이었으나, 실제 A 이벤트가 수집된 위치가 ‘b’ 지역인 경우, 이동 단말(100)은 실제 A 이벤트가 수집된 ‘b’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앞으로 발생될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100)은 실제 이벤트 정보가 수집된 위치를 기초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검색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따라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100)은 소정 주기로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은, 10 단위로 이동 단말의 위치(GPS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동 단말(100)은 이동 단말(100)의 위치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도 있다. 즉, 이동 단말(100)은 기 설정된 위치에 도달할 때마다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100)은 갱신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 260에서, 이동 단말(100)은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안내 정보에는 교통 수단에 관한 정보, 결제 정보, 비용 정보, 예약 정보, 다음에 발생될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버스 승차 시 요금을 지불하기 위해 버스 요금 결제 단말에 이동 단말(100)을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100)은 버스 요금을 결제하는 이벤트를 수집하게 된다. 만일 버스 요금 결제 이벤트가 예상 이벤트와 일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버스 요금 결제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로서, 하차 시까지 남은 정류장 수, 하차해야 하는 정류장 정보, 하차 시까지 소요 시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안내 정보의 공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100)은 설정된 공개 범위 안에서 안내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결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결제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로서, 결제 여부, 결제 이벤트 발생 위치, 결제 이벤트 발생 시간만을 제공하고, 구체적인 결제 내역 정보는 제공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100)은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팝업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단계 270에서, 이동 단말(100)은 예상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수집된 이벤트 정보가 마지막 이벤트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280에서, 수집된 이벤트 정보가 마지막 이벤트 정보가 아닌 경우, 이동 단말(100)은 다음 이벤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수집된 다음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를 다시 비교하여, 차이가 소정 범위 이상인 경우,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고, 차이가 소정 범위 미만인 경우, 수집된 다음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발생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GPS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보다 사용자의 행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획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직접 출발지, 목적지, 경유지 등에 관한 일정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발지(예컨대, ABC 학교 정문 10시), 목적지(예컨대, OO 프라자), 경유지 등을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100)은 GPS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출발지로 자동 입력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예약 정보를 획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출발지 및 목적지를 입력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출발지 및 목적지를 기초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100)은 검색된 교통 수단을 예약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교통 수단 예약 화면을 확인하고, 각각의 교통 수단에 대해 예약 요청을 입력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예약 요청 정보를 예약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예약 서버로부터 교통 수단에 대한 예약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예약 결과 정보를 사용자의 일정 정보로 저장하게 된다.
도 4에서는 교통 수단 예약에 관해서만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숙박 시설 예약, 음식점 예약, 관광지 입장 예약, 진료 예약 등에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자동 예약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의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교통 수단, 숙박 시설, 음식점 등을 예약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가 기 설정한 예약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교통 수단 등을 예약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100)을 통해 자동 예약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자동 예약 조건에는 최단 거리, 선호 교통 수단, 최소 비용, 일정 종류 등이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최단 거리를 자동 예약 조건으로 선택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가 목적지에 가장 빨리 도착할 수 있는 이동 경로를 검색하고, 검색한 이동 경로에 따른 교통 수단을 자동으로 예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최소 비용을 자동 예약 조건으로 선택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최소 비용으로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이동 경로를 검색하고, 검색된 이동 경로에 따른 교통 수단을 자동으로 예약할 수 있다.
한편,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특정 교통 수단에 대해서만 자동 예약 설정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택시를 제외한 기차, 비행기, 버스를 자동 예약 조건으로 선택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이동 경로에 따른 교통 수단 중 기차, 비행기, 버스만을 자동으로 예약할 수 있다.
또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특정 일정에 대해서만 자동 예약 설정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여행에 대해서만 자동 예약 설정을 한 경우,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의 일정 중 여행에 대해서만 교통 수단, 숙박, 음식점 등을 자동으로 예약하고, 업무(출장) 일정에 대해서는 교통 수단, 숙박, 음식점 등을 자동으로 예약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출발지로 ‘ABC 학교 정문 10시’를 입력하고, 목적지로 ‘OO 프라자’를 입력한 경우를 가정하자. 이동 단말(100)은 ABC 학교 정문에서 OO 프라자까지의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검색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검색된 이동 경로가 ABC 학교 정문(출발지) -> XX역 -> YY역 -> OO 프라자(목적지)이고, 검색된 교통 수단이 일반 택시(ABC 학교 -> XX역), 기차(XX역 -> YY역), 시내버스(YY역 -> OO 프라자)일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100)은 예상 이벤트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택시 요금 결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기차역 입구 게이트 통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버스 요금 결제 등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예상 이벤트 각각의 예상 발생 시간, 예상 발생 위치도 예상 이벤트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100)은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가장 처음으로 발생될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시 요금 결제가 가장 처음 발생될 이벤트인 경우, 이동 단말(100)은 이벤트 발생 전에 택시와 관련된 안내 정보(710)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100)은 예약된 택시의 식별 정보(예컨대, 차량 번호), 도착 예정 시간 정보 등을 화면에 표시해 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100)은 실제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발생되는 이벤트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은 첫째로, 사용자가 택시 NFC 디바이스(200-1)에 이동 단말(100)을 터치함으로써 발생되는 결제 이벤트 정보(예컨대, 택시 번호, 결제 금액, 결제 이벤트 발생 위치, 결제 이벤트 발생 시간 등)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가 택시 NFC 디바이스(200-1)에 이동 단말(100)을 터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모바일 카드 정보를 NFC를 통해 택시 NFC 디바이스(200-1)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택시 NFC 디바이스(200-1)는 모바일 카드 정보 및 결제 정보(결제 금액, 결제 단말 식별 코드 등)를 결제 서버에 전송하면서 결제를 요청하게 되고, 결제 서버에서 결제가 승인된 경우, 이동 단말(100)은 택시 NFC 디바이스(200-1) 또는 결제 서버(예컨대, 카드사 서버)로부터 결제 승인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둘째로,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가 기차 NFC 디바이스(200-2)에 이동 단말(100)을 터치함으로써 발생되는 게이트 통과 이벤트 정보(예컨대, 게이트 명, 통과 시간, 게이트 위치, 게이트 식별 코드 등)를 수집할 수 있다.
셋째로,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가 버스 NFC 디바이스(200-3)에 이동 단말(100)을 터치함으로써 발생되는 터치 이벤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스 NFC 디바이스(200-3)에 이동 단말(100)을 터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특정 버스의 식별 정보를 버스 NFC 디바이스(200-3)에 전송하고, 버스 NFC 디바이스(200-3)로부터 특정 버스에 대한 노선 안내 URL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100)은, 버스 노선 안내 URL에 기초하여, 특정 버스의 현재 위치, 도착 예정 시간 등을 사용자에게 안내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은 순차적으로 수집되는 이벤트 정보를 각각 예상 이벤트 정보와 비교하고,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되는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에 관하여는 도 9를 참고하여 자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기차역 입구에 설치된 기차 NFC 디바이스에 이동 단말(100)을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100)은 기차역 게이트 통과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이벤트 정보를 예상 이벤트 정보와 비교하게 된다. 예컨대, 예상 이벤트 정보에 XX역 입구의 aaa NFC 디바이스를 사용자가 오후 2시에 터치하는 터치 이벤트가 포함되어 있고, 사용자가 실제적으로 aaa NFC 디바이스에 이동 단말(100)을 오후 2시에 터치하는 경우,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는 일치하게 된다.
이 경우,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100)은 기차 NFC 디바이스를 터치함으로써 발생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로서 기차 탑승 위치(예컨대, XX역 4번 게이트), 기차 정보(예컨대, KTX 101호), 도착 예정 시간 정보(예컨대, 10시 50분)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예상 이벤트 정보에 XX역 입구의 aaa NFC 디바이스를 사용자가 오후 2시에 터치하는 터치 이벤트가 포함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실제적으로 BBB역 입구에 설치된 bbb NFC 디바이스에 이동 단말(100)을 오후 1시 50분에 터치하는 경우,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는 불일치하게 된다.
이 경우, 이동 단말(100)은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 예컨대, BBB역에서도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BBB역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새로운 이동 경로를 검색하고, 검색된 새로운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만일, BBB역에 목적지까지 가는 기차 노선이 없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BBB역에서 XX역으로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추가하고,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예컨대, 이벤트 예상 발생 시간을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bbb NFC 디바이스를 터치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로서 XX역으로 이동하는 경로 정보(예컨대, BBB역에는 YY역으로 가는 기차 노선이 없습니다. XX역으로 이동하세요. 이용 가능 버스: 111 번, 123번, 소요 시간: 20분 등)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YY역 근처의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NFC 디바이스에 이동 단말(100)을 터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터치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고,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로서, OO 프라자(목적지)로 갈 수 있는 특정 버스의 식별 정보(예컨대, 버스 123번), 특정 버스의 현재 위치, 특정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예컨대, 13:30 도착 예정)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OO 프라자 앞 정류장에 하차하면서 버스 NFC 디바이스에 이동 단말(100)을 터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하차 위치, 하차 정류장 식별 정보, 하차 시간 등의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이벤트 정보가 예상 이벤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로서 목적지 도착 알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상 이벤트 정보에 123번 버스의 NFC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터치 이벤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123번 버스에 대한 정보(예컨대, 도착 예정 시간, 123번 버스의 현재 위치 등)를 안내 정보로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런데,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된 이벤트 정보가 100번 버스의 NFC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이벤트 정보인 경우, 수집된 이벤트 정보(100번 버스의 NFC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123번 버스의 NFC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이벤트 정보)는 불일치하게 된다. 이때, 이동 단말(100)은 ‘예상 경로 이탈, 새로운 경로 탐색 중’ 등의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100)은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100)은, ‘△△ 정류장에서 하차한 후, 123번 버스로 환승하는 경로’, ‘□□ 정류장에서 하차한 후, 택시로 이동하는 경로’, ‘○○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로 15분 이동하는 경로’등의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특정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 정류장에서 하차한 후, 택시로 이동하는 경로’를 선택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선택된 경로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갱신된 예상 이벤트 정보에는 ‘3시 □□ 정류장에서 하차 시, 버스 100번의 NFC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이벤트’, ‘3시 40분, 근거리 무선 통신(NFC)으로 택시 요금을 결제하는 이벤트’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일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7월 5일에 지인과 BB 타운에서 만나기로 일정이 잡혀있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약속 일정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에 도착할 때가지 소요 예상 시간을 산출하고, 소요 예상 시간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약속 일정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지까지 50분이 소요되고, 약속 일정이 15시에 잡혀있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14시에 “10분 뒤 약속 장소(BB 타운 XX 커피숍)로 출발해야 합니다.” 라는 알림 메시지를 약속 일정 정보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의 약속 일정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은 AA역에서 지하철을 타고 BB역까지 이동한 뒤 버스 123번을 타고 목적지에 도착하는 이동 경로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이동 단말(100)은 목적지까지 발생이 예상되는 예상 이벤트 정보(예컨대, 14시20분 AA역 입구 통과, 14시40분 BB역 출구 통과, 14시 50분 버스 123번 승차, 14시 57분 버스 123 번 하차 등)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AA역 입구에 설치된 NFC 디바이스에 이동 단말(100)을 터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AA역 입구 통과 이벤트를 수집하고,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를 비교하게 된다. 수집된 이벤트 정보가 예상 이벤트 정보와 일치하므로, 이동 단말(100)은 AA역 입구 통과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로서 ‘AA역->BB역, 소요 시간: 20분, BB역 도착 예정 시간: 14시 40분, BB역 4번 출구 이용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BB역에서 내려야 함에도 실수로 BB역을 지나쳐 세 정거장을 더 간 CC역에서 하차한 경우, 이동 단말(100)은 14시 46분에 CC역 출구 통과 이벤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하지만, CC역 출구 통과 이벤트 정보는 예상 이벤트 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동 단말(100)은 새로운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검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100)은, CC역에서 버스 111번을 타고 BB타운 XX 커피숍으로 가는 이동 경로를 검색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14시 50분 버스 123번 승차, 14시 57분 버스 123 번 하차’에서 ‘14시 50분 버스 111번 승차, 15시 10분 버스 111번 하차’로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CC역 출구 통과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로서, ‘CC역 -> BB 타운 XX 커피숍, 버스 111번, 버스 도착 예정 시간: 14시 50분, 소요 시간: 20분, 목적지 도착 예정 시간: 15시 10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가 약속 시간까지 목적지에 도착할 수 없는 경우, 만나기로 약속된 지인의 핸드폰으로 약속 지연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BB역이 아닌 CC역에 내려 약속 시간보다 10분 정도 늦을 것이 예상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15시에 BB 타운 XXX 커피숍에서 사용자와 만나기로 약속한 지인의 핸드폰으로 ‘△△님의 현재 위치: CC역, △△님의 BB 타운 XX 커피숍 도착 예정 시간: 15시 10분’ 등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일정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시스템은 이동 단말(100), 근거리 무선 통신(NFC) 디바이스(200) 및 일정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100)은 일정 관리 서버(300)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은 일정 관리 서버(300)에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전송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집된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100)은, 일정 관리 서버(300)로부터 예상 이벤트 정보 또는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정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100)과 무선 통신을 함으로써, 사용자의 일정을 관리해주는 서버를 의미한다. 일정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분석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일정 관리 서버(300)가 사용자의 일정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일정 관리 서버의 일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1410에서, 일정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정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외부 서버(예컨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정 정보는 출발지 정보, 경유지 정보, 목적지 정보, 교통 예약 정보, 숙박 예약 정보, 음식점 예약 정보, 진료 예약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단계 1420에서, 일정 관리 서버(300)는, 일정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상 이벤트 정보는, 예상 이벤트의 속성, 예상 발생 시간, 및 예상 발생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상 이벤트 속성은 예상 이벤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결제 이벤트, 게이트 통과 이벤트, 소정 위치에 기 설치된 NFC 디바이스 터치 이벤트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기초로, 경유지 또는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하고, 결정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근거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 관리 서버(300)는, 최단 거리, 최소 비용, 사요자의 선호도(선호 교통 수단, 선호 이동 경로 등) 등을 고려하여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1430에서, 일정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100)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집된 이벤트 정보를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일정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100)을 통해 실제 발생되는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벤트 정보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발생된 이벤트의 속성, 이벤트 발생 시간(이벤트 수집 시간), 이벤트 발생 위치(이벤트 수집 위치), NFC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예컨대, NFC 디바이스 식별 코드, URL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1440에서, 일정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즉, 일정 관리 서버(100)는 이동 단말(100)에서 실제로 발생한 이벤트와 예상 이벤트를 비교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 관리 서버(300)는 실제로 발생한 이벤트의 속성, 발생 시간, 발생 위치와 예상 이벤트의 속성, 예상 발생 시간, 예상 발생 위치 등을 각각 비교할 수 있다.
단계 1450에서, 일정 관리 서버(30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 관리 서버(300)는 실제 이벤트 정보가 수집된 위치를 기초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관리 서버(300)는 검색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따라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단계 1460에서, 일정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이동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 관리 서버(300)는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가장 처음으로 발생될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이동 단말(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 관리 서버(300)는 안내 정보의 공개 범위 설정 정보를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단말(100)을 통해 안내 정보의 공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는 결제 이벤트에 대해서, 결제 이벤트의 발생 위치 및 발생 시간만을 공개하고, 구체적인 결제 내역 정보는 공개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일정 관리 서버(300)는 상기 설정된 공개 범위에 따라 안내 정보를 이동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일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1510에서,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의 일정 정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100)에 포함된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자신의 일정을 이동 단말(100)에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는 출장 일정, 여행 일정, 병원 진료 일정, 답사 일정, 지인과의 약속 일정 등을 이동 단말(100)에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이동 단말(100)에 포함된 일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교통, 숙박, 음식점 등을 예약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정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교통 정보, 숙박 정보, 및 음식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약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정 관리 서버(300)는 교통 수단, 숙박 시설, 음식점 등에 대한 예약 처리를 하고, 예약 처리한 결과를 사용자의 일정 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단계 1520에서,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일정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530에서, 일정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4의 단계 1430은 도 13의 단계 1330에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1540에서 일정 관리 서버(300)는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이동 단말(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100)은 수신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단계 1550에서 이동 단말(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발생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에 저장된 모바일 카드를 통해 결제를 하는 결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이동 단말(100)은 결제 이벤트의 발생 시간, 발생 위치, 결제 내용(예컨대, 결제 금액, 결제 단말 코드, 가맹점 식별 정보) 등을 이벤트 정보로 수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게이트 통과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게이트 통과 이벤트의 발생 시간, 발생 위치, 게이트 명, 게이트에 부착된 NFC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등을 이벤트 정보로 수집할 수도 있다. 단계 1555에서, 이동 단말(100)은 수집된 이벤트 정보를 일정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 1560에서, 일정 관리 서버(300)는 수신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를 비교하게 된다. 단계 1565에서, 수신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일정 관리 서버(300)는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이동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계 1570에서, 이동 단말(100)은 일정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안내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100)은 안내 정보를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단계 1575에서, 수신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의 차이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일정 관리 서버(300)는, 수신된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 관리 서버(300)는 갱신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이동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 관리 서버(300)은 NFC 터치를 통해 실제로 발생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현 상황에 맞는 최적의 안내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일정이 간단한 경우, 이동 단말이 예상 이벤트 정보와 실제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비교하여,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일정이 복잡한 경우, 일정 관리 서버(300)가 예상 이벤트 정보와 실제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비교하여,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실시간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100) 이외의 다른 디바이스로 예상 이벤트 정보, 이동 단말(100)에서 실제 발생된 이벤트 정보, 안내 정보, 갱신된 예상 이벤트 정보 등을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회사의 공적인 업무로 해외 출장 중인 경우, 일정 관리 서버(300)는 회사의 디바이스로 사용자의 예상 이벤트 정보, 사용자의 이동 단말(100)에서 실제 발생된 이벤트 정보 등을 전송해 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출장 일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100)에 출장 일정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의 출장 일정을 일정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
일정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출장 일정에 기초하여,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하고,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울에서 미국 LA로 출장을 가는 경우, 일정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가 서울에서 공항 버스를 이용하여 인천 공항으로 이동한 뒤, 인천 공항에서 비행기를 타고 LA 공항으로 이동하고, LA 공항에서 렌터카를 이용하여 미국 LA OO 호텔로 이동하는 경로를 검색하고, 이 경로에 따라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정 관리 서버(300)는 예상 이벤트 정보와 실제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 단말(100)에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를 통해 공항 버스 요금 결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일정 관리 서버(300)는 결제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로서 ‘결제 금액: 10000원, 소요 시간: 40분, 인천 공항 도착 예정 시간: 10시’를 이동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천 공항 입구 통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일정 관리 서버(300)는 ‘항공편명: AB123, 탑승 시간: 12시, 탑승 게이트: 3번, 소요 시간: 10시간’ 등의 안내 정보를 이동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LA 공항 출구 통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일정 관리 서버(300)는 렌터카 예약 정보 또는 OO 호텔까지의 이동 경로(버스 123 이용, 버스 탑승 위치 정보, 하차 정류장 명, 소요 시간 등)를 안내 정보로 이동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후에 진행되는 출장 일정에 대해서도, 일정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100)에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일정 관리 서버(300)는 출장지의 위치를 수신하고, 출장지의 위치에 따른 로컬 시간 또는 출장지 언어로 안내 정보를 변경하여 이동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일정 관리 서버(300)가 제공해 주는 안내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낯선 출장지에서 출장 일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병원 진료 일정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정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병원 진료 예약 일정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300)은 병원 서버와 연동 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병원에 방문하면서 병원 입구에 설치된 NFC 디바이스에 이동 단말(100)을 터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발생된 병원 입구 통과 이벤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100)은 병원 입구 통과 이벤트 정보를 일정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관리 서버(300)는 병원 입구 통과 이벤트 정보를 예상 이벤트 정보와 비교한 뒤,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병원 입구 통과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로서 ‘진찰실: OO 병동 3층 305호, 담당 의사: OOO 교수님’을 이동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진찰실을 나오면서 NFC 디바이스에 이동 단말(100)을 터치하는 경우, 일정 관리 서버(300)는 진찰실 출구 통과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로서, 사용자가 다음에 들려야 하는 X-ray 검사실 정보(OO 건물 1층 3번 방)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X-ray 검사 후 검사실 앞에 있는 NFC 디바이스에 이동 단말(100)을 터치하는 경우, 일정 관리 서버(300)는 X-ray 검사 완료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로서, 수납/진료 예약을 할 수 있는 위치 정보 및 진료 비용 정보(위치: OO 건물 2층 계단 옆, 비용: 35000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은 일정 정보 관리부(110), 추출부(120), 무선 통신부(130), 비교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1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100)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일정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정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일정 정보를 입력 받을 수도 있고,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정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의 과거 일정 정보를 메모리(160)에서 삭제할 수 있다.
일정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교통 정보, 숙박 정보, 및 음식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약 요청 정보를 예약 서버로 송신하고, 예약 서버로부터 예약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일정 정보 관리부(110)는 예약 결과 정보를 사용자의 일정 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추출부(120)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부(120)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기초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근거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추출부(120)는 최단 거리, 최소 비용, 사용자의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는, 외부 디바이스 및 외부 디바이스가 위치한 네트워크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30)는, 근거리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이동 통신 모듈, 위치 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FD(Wi-Fi Direct),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 디바이스,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위치 정보 모듈은 이동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슨 통신부(13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발생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부(130)는 NFC 디바이스(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130)는 수집된 이벤트 정보를 일정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일정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비교부(140)는,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부(14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발생된 이벤트의 속성, 발생 위치(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 또는 NFC 디바이스의 식별 코드), 발생 시간 등을 예상 이벤트의 속성, 예상 발생 시간, 예상 발생 위치와 비교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 (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50)는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 간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출력부(150)는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출력부(150)는,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50)는 예상 이벤트 정보가 갱신된 경우, 갱신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50)는 예상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가장 처음으로 발생될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50)는 공개 범위가 설정된 경우, 설정된 공개 범위 안에서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50)는,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팝업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사용자의 일정 정보, 예상 이벤트 정보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1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70)는, 일정 정보 관리부(110), 추출부(120), 무선 통신부(130), 비교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발생되는 이벤트 정보가 수집된 위치를 기초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따라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는 것이다.
제어부(170)는,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출력부(15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고, 선택된 예상 경로 정보를 기초로,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소정 주기로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이동 단말(100)의 위치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안내 정보의 공개 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일정 관리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버(300)는, 일정 정보 관리부(310), 추출부(320), 수신부(330), 비교부(340), 송신부(350), 메모리(360),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일정 관리 서버(3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일정 관리 서버(300)는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일정 정보 관리부(310)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정보 관리부(31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외부 서버(예컨대, SNS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추출부(320)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부(320)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기초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근거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추출부(320)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할 수도 있다.
수신부(330)는, 이동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집된 이벤트 정보를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33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교통 정보, 숙박 정보, 및 음식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약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수신부(330)는, 안내 정보의 공개 범위 설정 정보를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비교부(34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즉, 비교부(340)는 실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집되는 이벤트 정보가 예상 이벤트 정보와 일치하는 지 여부를 비교할 수 있는 것이다.
송신부(35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이동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이동 단말(200)은 수신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이동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송신부(350)는, 예상 이벤트 정보를 이동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상 이벤트 정보가 갱신된 경우, 송신부(350)는 갱신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이동 단말(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송신부(350)는,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가장 처음으로 발생될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이동 단말(100)에 제공할 있다. 또한, 송신부(350)는, 안내 정보의 공개 범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설정된 공개 범위 내에서 안내 정보를 이동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360)는, 제어부(3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사용자의 일정 정보, 예상 이벤트 정보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370)는, 통상적으로 일정 관리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370)는, 일정 정보 관리부(310), 추출부(320), 수신부(330), 비교부(340), 송신부(350), 메모리(36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37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정보와 예상 이벤트 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수신된 이벤트 정보가 수집된 위치를 기초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검색하고, 검색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따라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370)는,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송신부(350)를 통해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이동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수신부(330)를 통해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예상 경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하고, 선택된 예상 경로 정보를 기초로,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100) 또는 일정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기초로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와 실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집되는 이벤트 정보를 단계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유용한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해 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60)

  1. 이동 단말의 일정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일정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발생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는,
    예상 이벤트의 속성, 예상 발생 시간, 및 예상 발생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관리 방법은,
    상기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관리 방법은,
    상기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발생되는 이벤트 정보가 수집된 위치를 기초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따라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관리 방법은,
    소정 주기로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관리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관리 방법은,
    상기 갱신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선택 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예상 경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교통 정보, 숙박 정보, 및 음식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약 요청 정보를 예약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예약 서버로부터 예약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일정 정보를 기초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근거하여,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를 더 고려하여 상기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가장 처음으로 발생될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정보는,
    출발지 정보, 경유지 정보, 목적지 정보, 교통 예약 정보, 숙박 예약 정보, 및 음식점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안내 정보의 공개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공개 범위 안에서 상기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팝업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17. 일정 관리 서버의 일정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일정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이동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집된 이벤트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벤트 정보와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는,
    예상 이벤트의 속성, 예상 발생 시간, 및 예상 발생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관리 방법은,
    상기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관리 방법은,
    상기 수신된 이벤트 정보와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이벤트 정보가 수집된 위치를 기초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따라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관리 방법은,
    상기 갱신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예상 경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예상 경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교통 정보, 숙박 정보, 및 음식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약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정보는,
    출발지 정보, 경유지 정보, 목적지 정보, 교통 예약 정보, 숙박 예약 정보, 및 음식점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2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일정 정보를 기초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근거하여,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를 더 고려하여 상기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2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가장 처음으로 발생될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2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안내 정보의 공개 범위 설정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공개 범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내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30.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획득하는 일정 정보 관리부;
    상기 일정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발생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부; 및
    상기 일정 정보 관리부, 상기 추출부, 상기 무선 통신부, 상기 비교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는,
    예상 이벤트의 속성, 예상 발생 시간, 및 예상 발생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발생되는 이벤트 정보가 수집된 위치를 기초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따라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35.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주기로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36.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갱신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38.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예상 경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39.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정보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교통 정보, 숙박 정보, 및 음식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약 요청 정보를 예약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예약 서버로부터 예약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40.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일정 정보를 기초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근거하여,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를 더 고려하여 상기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4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가장 처음으로 발생될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4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정보는,
    출발지 정보, 경유지 정보, 목적지 정보, 교통 예약 정보, 숙박 예약 정보, 및 음식점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4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안내 정보의 공개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설정된 공개 범위 안에서 상기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45.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팝업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46.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획득하는 일정 정보 관리부;
    상기 일정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이동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집된 이벤트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이벤트 정보와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송신부; 및
    상기 일정 정보 관리부, 상기 추출부, 상기 수신부, 상기 비교부, 및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버.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는,
    예상 이벤트의 속성, 예상 발생 시간, 및 예상 발생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버.
  48.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버.
  49.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이벤트 정보와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버.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이벤트 정보가 수집된 위치를 기초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따라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버.
  51.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갱신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버.
  52.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생성된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예상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예상 경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버.
  53.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교통 정보, 숙박 정보, 및 음식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약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버.
  54.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정보는,
    출발지 정보, 경유지 정보, 목적지 정보, 교통 예약 정보, 숙박 예약 정보, 및 음식점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버.
  55.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일정 정보를 기초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에 근거하여,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버.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를 더 고려하여 상기 이동 경로 및 교통 수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버.
  5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추출된 예상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가장 처음으로 발생될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버.
  58.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안내 정보의 공개 범위 설정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공개 범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내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버.
  59.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일정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발생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정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60.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일정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상 이벤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이동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집된 이벤트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벤트 정보와 상기 예상 이벤트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정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089517A 2012-08-16 2012-08-16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KR102053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517A KR102053901B1 (ko) 2012-08-16 2012-08-16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US13/960,156 US10643134B2 (en) 2012-08-16 2013-08-06 Schedule management method, schedule management server,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EP13879355.9A EP2885933A4 (en) 2012-08-16 2013-08-06 PLANNING ADMINISTRATIVE PROCEDURE, PLANNING MANAGEMENT SERVER AND MOBILE DEVICE WITH THE METHOD
PCT/KR2013/007080 WO2014027785A1 (en) 2012-08-16 2013-08-06 Schedule management method, schedule management server,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CN201380043459.3A CN104584591A (zh) 2012-08-16 2013-08-06 日程管理方法、日程管理服务器以及使用该方法的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517A KR102053901B1 (ko) 2012-08-16 2012-08-16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541A true KR20140023541A (ko) 2014-02-27
KR102053901B1 KR102053901B1 (ko) 2019-12-09

Family

ID=50100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517A KR102053901B1 (ko) 2012-08-16 2012-08-16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43134B2 (ko)
EP (1) EP2885933A4 (ko)
KR (1) KR102053901B1 (ko)
CN (1) CN104584591A (ko)
WO (1) WO2014027785A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908B1 (ko) * 2013-04-05 2014-10-31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해마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정보처리방법
KR20170017906A (ko) * 2014-05-06 2017-02-15 엘화 엘엘씨 적어도 하나의 수송 차량 유닛을 요구하는 여행 계획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들
KR20180063289A (ko) * 2015-11-23 2018-06-11 구글 엘엘씨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컨텍스트에 기초한 운송의 자동 예약
KR20190095735A (ko) * 2018-02-07 2019-08-16 주식회사 케이티 예약된 교통 수단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79818B1 (ko) * 2020-09-29 2021-07-21 박용진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466993B2 (en) 2014-05-06 2022-10-11 Uber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vel planning that calls for at least one transportation vehicle unit
US11551325B2 (en) 2015-12-10 2023-01-10 Uber Technologies, Inc. Travel coordination system implementing pick-up location optimization
US11582328B2 (en) 2017-08-11 2023-02-14 Uber Technologies, Inc. Dynamic scheduling system for planned service requests
KR20230062925A (ko) * 2021-11-01 2023-05-09 주식회사 연잇다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및 그 방법
US11669785B2 (en) 2014-05-06 2023-06-06 Uber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s for verifying that one or more directives that direct transport of a second end user does not conflict with one or more obligations to transport a first end user
US11674810B2 (en) 2017-11-05 2023-06-13 Uber Technologies, Inc. Network computer system to arrange pooled transport services
US11908034B2 (en) 2014-08-21 2024-02-20 Uber Technologies, Inc. Computer system arranging transport services for users based on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infor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901B1 (ko) * 2012-08-16 2019-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JP2015011431A (ja) * 2013-06-27 2015-01-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879410B1 (en) 2013-11-26 2016-07-13 GT Gettaxi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ordering a transportation vehicle using a near-field communication device
JP2015116848A (ja) * 2013-12-16 2015-06-25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50176997A1 (en) * 2013-12-22 2015-06-25 Andreas Kurt PURSCHE Adaptive transportation framework
CN103916473B (zh) * 2014-04-04 2019-09-1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行程信息处理方法及相关装置
CN106855812A (zh) * 2015-12-08 2017-06-16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配置用户终端的方法和装置
CN108093012A (zh) * 2016-11-21 2018-05-29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车辆预约方法、服务器及用户终端
CN108012241A (zh) * 2017-11-29 2018-05-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漫游服务的推送方法及移动终端
CN108601005B (zh) * 2018-04-27 2021-12-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近场通信方法、近场通信模组、终端及存储介质
JP7044002B2 (ja) * 2018-07-24 2022-03-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予約システム、車両予約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107068B2 (ja) * 2018-07-30 2022-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配車システム
JP6667863B1 (ja) * 2019-07-18 2020-03-18 株式会社MaaS Tech Japan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CN110443586B (zh) * 2019-08-12 2022-05-13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共享日程信息处理方法和装置、终端、存储介质
CN112785019A (zh) * 2019-11-11 2021-05-11 阿尔派株式会社 电子装置、信息的管理方法以及信息的管理系统
JP7161782B2 (ja) * 2020-01-04 2022-10-27 株式会社MaaS Tech Japan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7355697B2 (ja) * 2020-04-02 2023-10-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運行管理装置、運行管理方法、および交通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280A (ko) * 2004-07-19 2006-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정관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8459B2 (ja) * 1998-11-20 2004-07-28 富士通株式会社 案内情報提示装置,案内情報提示処理方法,案内情報提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案内用スクリプト生成装置,案内情報提供装置,案内情報提供方法および案内情報提供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3428935B2 (ja) * 1999-12-22 2003-07-2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AU2003236513A1 (en) * 2002-06-13 2003-12-31 Gp Ware Method and apparatus for a calendar tracking and monitoring service
US20040135902A1 (en) 2003-01-09 2004-07-15 Eventshots.Com Incorporated Image association process
WO2006060700A2 (en) * 2004-12-02 2006-06-08 Corporate Connections, Inc. Corporate introduction system and method
US7325152B2 (en) * 2005-06-30 2008-01-29 Infineon Technologies Ag Synchronous signal generator
US20070060108A1 (en) * 2005-09-14 2007-03-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of obtaining directions to scheduled events
US7583972B2 (en) * 2006-04-05 2009-09-01 Palm, Inc. Location based reminders
JP4062707B2 (ja) * 2006-05-01 2008-03-19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US8118223B2 (en) 2006-09-28 2012-02-21 Visa U.S.A. Inc. Smart sign mobile transit fare payment
JP2008123214A (ja) * 2006-11-10 2008-05-29 Nec Corp 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及び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並びに携帯端末
JP4211841B2 (ja) * 2006-11-15 2009-01-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ドライバ状態推定装置、サーバ、ドライバ情報収集装置及び運転者状態推定システム
KR101329289B1 (ko) * 2007-01-05 2013-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정 및 경로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JP4270404B2 (ja) * 2007-01-16 2009-06-03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0936254B1 (ko) 2007-03-14 2010-01-12 남종철 상황인식 기반 광고 쿠폰 발행시스템
EP2026257A1 (en) * 2007-08-01 2009-02-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apping an event location via a calendar application
JP2009176269A (ja) * 2007-09-18 2009-08-06 Fugaku-Bussan Co Ltd イベント管理システム及びイベント管理方法並びにイベント管理プログラム
WO2009050262A2 (en) * 2007-10-18 2009-04-23 Orang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ontactless smart-cards
KR20090048097A (ko) 2007-11-09 2009-05-13 홍헌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무선통신기반 대중교통정보 안내시스템
JP2009159072A (ja) * 2007-12-25 2009-07-16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US8401468B2 (en) 2008-05-28 2013-03-1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scheduling using a mobile device
KR101482120B1 (ko) 2008-08-01 2015-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케줄 관리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611829B2 (ja) * 2008-10-20 2014-10-22 株式会社キャメロット 情報処理装置の動作制御システム及び動作制御方法
JP2010191486A (ja) * 2009-02-13 2010-09-0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00274855A1 (en) * 2009-04-22 2010-10-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cheduling events with location management
KR20110000054A (ko) * 2009-06-26 2011-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이프로그 기반의 랜드마크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84466B1 (ko) * 2009-09-15 2017-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KR101642988B1 (ko) 2009-09-28 2016-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일정 관리 방법
KR101429521B1 (ko) 2009-12-08 2014-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트롤 포인트, 화상형성장치 및 이벤트 처리 방법
KR101600549B1 (ko) * 2010-02-11 201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간정보에 연계된 정보의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10205850A1 (en) * 2010-02-23 2011-08-25 Srinivas Annambhotl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alendar events using location information
EP2395462A1 (en) * 2010-06-10 2011-12-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Automated calendar reconciliation
WO2012036331A1 (ko) * 2010-09-17 2012-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스케쥴 입력 방법 및 장치
CA2914169C (en) * 2010-11-24 2018-01-23 Logrhythm, Inc. Scalable analytical processing of structured data
JP5823499B2 (ja) * 2011-04-01 2015-11-2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コンテンツ処理装置、コンテンツ処理方法、コンテンツ処理プログラム、及び集積回路
CN102413231A (zh) 2011-10-10 2012-04-1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和日程提醒方法
KR101899548B1 (ko) * 2012-04-16 2018-09-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피드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
KR102053901B1 (ko) * 2012-08-16 2019-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280A (ko) * 2004-07-19 2006-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정관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제어방법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908B1 (ko) * 2013-04-05 2014-10-31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해마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정보처리방법
KR20170017906A (ko) * 2014-05-06 2017-02-15 엘화 엘엘씨 적어도 하나의 수송 차량 유닛을 요구하는 여행 계획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들
KR20220153692A (ko) * 2014-05-06 2022-11-18 우버 테크놀로지스, 인크. 적어도 하나의 수송 차량 유닛을 요구하는 여행 계획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들
US11669785B2 (en) 2014-05-06 2023-06-06 Uber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s for verifying that one or more directives that direct transport of a second end user does not conflict with one or more obligations to transport a first end user
US11466993B2 (en) 2014-05-06 2022-10-11 Uber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vel planning that calls for at least one transportation vehicle unit
US11908034B2 (en) 2014-08-21 2024-02-20 Uber Technologies, Inc. Computer system arranging transport services for users based on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information
JP2018538618A (ja) * 2015-11-23 2018-12-27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のユーザのコンテキストに基づく輸送の自動予約
US10685297B2 (en) 2015-11-23 2020-06-16 Google Llc Automatic booking of transportation based on context of a user of a computing device
KR20180063289A (ko) * 2015-11-23 2018-06-11 구글 엘엘씨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컨텍스트에 기초한 운송의 자동 예약
US11645589B2 (en) 2015-11-23 2023-05-09 Google Llc Automatic booking of transportation based on context of a user of a computing device
US11551325B2 (en) 2015-12-10 2023-01-10 Uber Technologies, Inc. Travel coordination system implementing pick-up location optimization
US11924308B2 (en) 2017-08-11 2024-03-05 Uber Technologies, Inc. Dynamic scheduling system for planned service requests
US11582328B2 (en) 2017-08-11 2023-02-14 Uber Technologies, Inc. Dynamic scheduling system for planned service requests
US11674810B2 (en) 2017-11-05 2023-06-13 Uber Technologies, Inc. Network computer system to arrange pooled transport services
KR20190095735A (ko) * 2018-02-07 2019-08-16 주식회사 케이티 예약된 교통 수단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2071627A1 (ko) * 2020-09-29 2022-04-07 박용진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79818B1 (ko) * 2020-09-29 2021-07-21 박용진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30062925A (ko) * 2021-11-01 2023-05-09 주식회사 연잇다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84591A (zh) 2015-04-29
EP2885933A4 (en) 2016-03-23
US20140052675A1 (en) 2014-02-20
US10643134B2 (en) 2020-05-05
KR102053901B1 (ko) 2019-12-09
WO2014027785A1 (en) 2014-02-20
EP2885933A1 (en)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901B1 (ko)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US96724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location information
RU2644073C1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программа мобильного терминала,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ункта проверк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ункта проверки
US9377319B2 (en) Estimating times to leave and to travel
US9488487B2 (en) Route detection in a trip-oriented message data communications system
US8862159B2 (en) Business process oriented navigation
RU2679189C1 (ru) Дополнительный и теневой календари
EP3410378A1 (en) Provision and management of advertising via mobile entity
Fong et al. Smart city bus application with QR code: a review
KR101886966B1 (ko) 맞춤형 여행계획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US10037496B2 (en) Numbered ticket information issuing system, numbered ticket information issuing server, and numbered ticket information issuing method
US2017033007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Travel Recommendations
KR20160079761A (ko)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서비스 시스템
JP2011145834A (ja) 旅行情報提供装置
KR20200107763A (ko) 여행스케줄링 기반의 쇼퍼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13449902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信息处理系统
US20200082430A1 (en) Terminal device,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8049318A (ja) 情報処理サーバ、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160015421A (ko)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여행정보 공유/추천 서비스 방법
WO201819149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travel recommendations
KR20180099619A (ko) 식당 예약 부도를 관리할 수 있는 장치, 식당 예약 부도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JP202001709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9121209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サーバ、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85941A (ko) 식당 예약 부도를 관리할 수 있는 장치, 식당 예약 부도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WO2023233566A1 (ja) サーバ装置、システム、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