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925A -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925A
KR20230062925A KR1020210147607A KR20210147607A KR20230062925A KR 20230062925 A KR20230062925 A KR 20230062925A KR 1020210147607 A KR1020210147607 A KR 1020210147607A KR 20210147607 A KR20210147607 A KR 20210147607A KR 20230062925 A KR20230062925 A KR 20230062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staurant
user terminal
use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5114B1 (ko
Inventor
장인봉
이제훈
김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잇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잇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잇다
Priority to KR1020210147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114B1/ko
Publication of KR20230062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8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at point-of-sale [P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1) 및 그 방법(S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단말(10)을 통하여 출발지 및 도착지 주소 입력 시 해당 출발지와 도착지 간 최적의 경로를 검색한 이후 해당 최적의 경로와의 기 설정 범위 내 음식점(들) 및 상세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디스플레이하여 픽업할 음식 주문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용이한 활용을, 점주 입장에서는 배달시스템 미활용에 의한 수익률 향상을, 서버 운영자 입장에서는 음식점과의 관계에서 수수료를 통한 수익 발생을 가능하도록 하는 픽업시스템(1) 및 그 방법(S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및 그 방법{LOCATION TRACKING BASED FOOD PICKUP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1) 및 그 방법(S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단말(10)을 통하여 출발지 및 도착지 주소 입력 시 해당 출발지와 도착지 간 최적의 경로를 검색한 이후 해당 최적의 경로와의 기 설정 범위 내 음식점(들) 및 상세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디스플레이하여 픽업할 음식 주문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용이한 활용을, 점주 입장에서는 배달시스템 미활용에 의한 수익률 향상을, 서버 운영자 입장에서는 음식점과의 관계에서 수수료를 통한 수익 발생을 가능하도록 하는 픽업시스템(1) 및 그 방법(S1)에 관한 것이다.
최근 2020년 초부터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 19의 여파로 인하여 외식시장은 갈수록 축소되고 비대면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배달에 대한 수요가 폭증함과 동시에 배달 대행업체에 대한 수요 역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배달대행 서비스는 소상공인이나 소규모 프랜차이즈 등 외식 산업의 발달로 기존 배달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았던 음식점 입장에서는 판매영역의 확대와 함께 매출 추이에 따라 음식점 소속의 배달원을 고용하는 것보다 대행업체를 이용하는 것이 필요 경비를 절감시키고 배달원의 사고 책임에서도 자유롭기 때문에 인기를 얻고 있으며, 코로나 19의 여파가 장기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일반 외식업체는 배달대행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서는 살아남기 어려운 실정이다.
배달대행 서비스는 전술한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외식업체를 운영하는 점주 입장에서는 높은 퍼센티지의 배달료 지급으로 인해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또한, 배달 음식을 주문하는 사용자 뿐만 아니라 직접 음식을 픽업하거나 업체를 직접 방문하여 외식을 즐기는 고객 역시 유인할 수 있는 신규의 시스템에 대한 니즈 역시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규의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하며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8-0127296호 '음식 주문 및 배달 방법 및 시스템'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을 통하여 출발지 및 도착지 입력 시 최적의 경로를 검색한 이후 해당 경로와의 기 설정 범위 내 음식점(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여 픽업할 음식 주문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활용의 편의를, 점주 입장에서는 배달시스템 미활용을 통한 수익률 향상을, 시스템 운영자 입장에서는 음식점과의 관계에서 수수료를 통한 수익 발생을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석정보수신모듈 및 좌석정보제공모듈을 통하여 음식점 내 테이블 수, 테이블 별 좌석 수 및 현재 잔여 테이블 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운영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가 주문 음식의 픽업 뿐만 아니라 예약 기능을 통해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해당 음식점 내 출입하도록 하여, 별도의 웨이팅 시간 낭비 없이 착석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할인정보수신모듈 및 할인정보제공모듈을 통해 점주 입장에서는 미처 모두 판매하지 못한 남은 음식에 대한 원활한 처리가 가능하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음식을 구매하도록 하는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할인정보수신모듈 및 할인정보제공모듈을 통해 점주가 메뉴 할인, 할인 기간과 할인율 등을 직접 지정함으로써 해당 점주가 운영하는 음식점에 대한 마케팅을 능동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정보수신모듈 및 드라이브스루정보제공모듈을 통해 드라이브스루 기능을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에서 내리지 않고 주문 음식을 편하게 제공받도록 하는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경로 설정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선택한 음식점을 경유하는 출발지와 목적지 간 최적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용이한 활용을 도모하도록 하는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모칼로리 연산부를 통하여, 주문 음식 픽업을 위해 보행 이동하는 사용자의 현 칼로리 소모량을 제공함으로써 운동효과 증진 및 활용에 흥미감을 느끼도록 하는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비칼로리 제공모듈을 통하여 사용자의 현 칼로리 소모량과 주문한 음식의 총 칼로리를 대비하여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 만족감을 선사하도록 하는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은 사용자가 운영 서버에 접속하도록 하는 매개체가 되는 사용자 단말; 점주가 상기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음식점을 등록하도록 하는 매개체가 되는 점주 단말; 및 사용자 및 점주의 접속을 허용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 이동 경로와 인접한 음식점 정보를 제공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에서의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점주 단말을 통해 운영 서버에 접속한 점주의 기초정보를 수신하는 점주 등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주 등록부는 상기 점주 단말을 통하여 음식점 내 테이블 수, 테이블 별 좌석 수 및 현재 잔여 테이블 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는 좌석정보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에서의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점주 단말을 통해 운영 서버에 접속한 점주의 기초정보를 수신하는 점주 등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주 등록부는 상기 점주 단말을 통하여 음식점에서 판매하는 할인 메뉴 리스트와 함께, 할인 기간 및 할인 금액/할인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는 할인정보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에서의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점주 단말을 통해 운영 서버에 접속한 점주의 기초정보를 수신하는 점주 등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주 등록부는 상기 점주 단말을 통하여 드라이브스루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허용정보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에서의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 주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 경로를 특정하는 제1 경로 설정부; 및 상기 제1 경로 설정부를 통하여 특정되는 최적 경로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각 음식점의 위치와 대비하여 상기 최적 경로와 인접한 음식점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음식점 위치정보제공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에서의 상기 음식점 위치정보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출발지 및 도착지와 기 설정된 반경 내 음식점 리스트 그리고 상기 제1 경로 설정부를 통하여 특정되는 최적 경로 라인의 남서쪽 위경도 및 북동쪽 위경도 범위 내 음식점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에서의 상기 운영 서버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음식점 위치정보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음식점 리스트 중 특정 음식점 선택 시, 상기 제1 경로 설정부를 통하여 특정된 최적 경로를 선택된 음식점을 경유하는 최적 경로로 수정하는 제2 경로 설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에서의 상기 점주 등록부는 상기 점주 단말을 통해 판매 중인 음식 리스트 별 칼로리 정보를 수신하는 칼로리정보수신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운영 서버는 주문 음식 픽업을 위해 사용자가 직접 보행 이동 시 사용자의 이동 거리 또는 시간에 따른 현 소모 칼로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소모칼로리 연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에서의 상기 소모칼로리 연산부는 사용자가 출발지로부터 출발하여 현재까지 소비한 칼로리와, 주문 음식의 총 칼로리의 대비 정보를 제공하는 대비칼로리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 주소 정보를 수신하여 일차 최적 경로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일차 최적 경로와 인접한 음식점 리스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음식점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특정 음식점 선택 시 선택한 음식점을 경유하는 수정된 최적 경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정된 최적 경로 기반 선택한 음식점을 경유하는 예상 이동시간, 음식준비 예상시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최종 선택된 음식점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음식점 리스트 정보 검색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출발지 및 도착지와 기 설정된 반경 내 음식점 리스트 그리고 상기 일차 최적 경로 라인의 남서쪽 위경도 및 북동쪽 위경도 범위 내 음식점 리스트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을 통하여 출발지 및 도착지 입력 시 최적의 경로를 검색한 이후 해당 경로와의 기 설정 범위 내 음식점(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여 픽업할 음식 주문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활용의 편의를, 점주 입장에서는 배달시스템 미활용을 통한 수익률 향상을, 시스템 운영자 입장에서는 음식점과의 관계에서 수수료를 통한 수익 발생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석정보수신모듈 및 좌석정보제공모듈을 통하여 음식점 내 테이블 수, 테이블 별 좌석 수 및 현재 잔여 테이블 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운영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가 주문 음식의 픽업 뿐만 아니라 예약 기능을 통해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해당 음식점 내 출입하도록 하여, 별도의 웨이팅 시간 낭비 없이 착석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할인정보수신모듈 및 할인정보제공모듈을 통해 점주 입장에서는 미처 모두 판매하지 못한 남은 음식에 대한 원활한 처리가 가능하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음식을 구매하도록 하는 효과를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할인정보수신모듈 및 할인정보제공모듈을 통해 점주가 메뉴 할인, 할인 기간과 할인율 등을 직접 지정함으로써 해당 점주가 운영하는 음식점에 대한 마케팅을 능동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정보수신모듈 및 드라이브스루정보제공모듈을 통해 드라이브스루 기능을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에서 내리지 않고 주문 음식을 편하게 제공받도록 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경로 설정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선택한 음식점을 경유하는 출발지와 목적지 간 최적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용이한 활용을 도모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모칼로리 연산부를 통하여, 주문 음식 픽업을 위해 보행 이동하는 사용자의 현 칼로리 소모량을 제공함으로써 운동효과 증진 및 활용에 흥미감을 느끼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대비칼로리 제공모듈을 통하여 사용자의 현 칼로리 소모량과 주문한 음식의 총 칼로리를 대비하여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 만족감을 선사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운영 서버의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점주 등록부의 블럭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제1 경로 설정부에 의하여 최적 경로가 특정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음식점 위치정보제공부에 의하여 음식점 리스트를 검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6는 도 2에 따른 음식점 상세정보제공부의 블럭도이고;
도 7은 도 2에 따른 제2 경로 설정부에 의하여 변경된 최적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8은 도 2에 따른 소모칼로리 연산부의 참고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기준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참고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그리고, 다양한 요소들, 영역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등의 용어가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있어서, 특정한 진행단계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설명되는 두 단계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반대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단말(10)을 통하여 출발지 및 도착지 주소 입력 시 해당 출발지와 도착지 간 최적의 경로를 검색한 이후 해당 최적의 경로와의 기 설정 범위 내 음식점(들) 및 상세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디스플레이하여 픽업할 음식 주문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용이한 활용을, 점주 입장에서는 배달시스템 미활용에 의한 수익률 향상을, 서버 운영자 입장에서는 음식점과의 관계에서 수수료를 통한 수익 발생을 가능하도록 하는 픽업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주문음식 픽업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 점주 단말(30), 운영 서버(50) 및 데이터베이스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70)는 운영 서버(50)와 독립된 구성일 수도 또는 상기 운영 서버(50)에 포함되는 개념일 수도 있고 이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상기 픽업시스템(1)을 이용하기 위하여 운영 서버(50)에 접속하도록 하는 매개체가 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테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등 공지된 또는 공지될 다양한 구성 중 임의의 것일 수 있고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상기 픽업시스템(1) 운영 측에서 배포하는 특정 앱(Application)을 설치한 이후 이를 구동시켜 상기 운영 서버(50)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운영 서버(50)에 유선 또는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통신연결될 수 있고 이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점주 단말(30)은 점주가 운영 서버(50)에 접속하여 자신의 음식점을 등록하도록 하는 매개체가 되는 구성으로, 사용자 단말(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전술한 '점주 단말(30)'은 운영 서버(50)에 접속하기 위하여 음식점에 비치된 임의의 단말일 수도, 음식점주 개인의 휴대용 단말일 수도, 또는 음식점주로부터 접근 권한을 부여받은 종업원 개인의 휴대용 단말일 수도 있고 이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용어 '음식점'은 음식을 판매하는 식당 또는 레스토랑 뿐만 아니라, 커피 등 차를 판매하는 카페 등 음식물 및/또는 음료 판매서비스를 제공하는 임의의 장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운영 서버의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운영 서버(50)는 사용자와 점주의 접속을 허용하는 중간 매개체가 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사용자 등록부(510), 점주 등록부(520), 제1 경로 설정부(530), 음식점 위치정보제공부(540), 음식점 상세정보제공부(550), 제2 경로 설정부(560), 상태추적부(570), 소모 칼로리 연산부(580), 주문 데이터 전송부(59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등록부(510)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운영 서버(50)에 접속한 사용자의 기초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에 사용자 성명, 고유 ID, 비밀번호 등의 기초정보를 입력하도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고 입력받은 기초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70)에 사용자 별 분류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 재접속 시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입력되는 기초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70)에 저장된 기초정보와 매칭하여 사용자 접속 권한 설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점주 등록부의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점주 등록부(520)는, 사용자 등록부(510)와 마찬가지로, 점주 단말(30)을 통해 운영 서버(50)에 접속한 점주의 기초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사용자 등록부(510)와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점주 등록부(520)에서는 점주 단말(30)로부터 점주 본인이 운영하는 음식점에 대한 주소 등 위치 정보와, 음식 메뉴 리스트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70)에 음식점 별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점주 등록부(520)는 좌석정보수신모듈(521), 할인정보수신모듈(523), 차량허용정보수신모듈(525), 칼로리정보수신모듈(527)과 예상시간수신모듈(529)을 포함할 수 있다.
좌석정보수신모듈(521)은 점주 단말(30)을 통하여 음식점 내 테이블 수, 테이블 별 좌석 수, 현재 잔여 테이블 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따라서, 점주는 점주 단말(30)을 통하여 음식점 내 테이블 수(수용 인원) 및 현 상태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70)에 실시간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좌석정보수신모듈(521)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서버(50)에 접속하는 사용자는 주문 음식의 픽업 뿐만 아니라 예약 기능을 통해 웨이팅 없이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해당 음식점 내에 출입함으로써 외식을 즐길 수도 있다.
할인정보수신모듈(523)은 점주 단말(30)을 통하여 음식점에서 판매하는 할인 메뉴 리스트, 할인 기간, 할인 금액/할인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수신한 할인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7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음식점주는 미처 전부 판매하지 못한 실시간 남은 음식에 대한 처리를 점주가 원하는 시간대에 원하는 금액으로 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음식을 구매할 수 있다. 수신한 할인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7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할인정보수신모듈(523)을 통해 점주가 메뉴 할인, 할인 기간과 할인율 등을 직접 지정함으로써 해당 점주가 운영하는 음식점에 대한 마케팅을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을 통하여 능동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차랑허용정보수신모듈(525)은 점주 단말(30)을 통하여 드라이브스루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이와 같이 드라이브스루 가능 음식점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차량 운행 이동 시 사용자는 해당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 주문 음식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수신한 드라이브 스루 가능 여부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70)에 저장될 수 있다.
칼로리정보수신모듈(527)은 점주 단말(30)을 통해 판매 중인 음식 메뉴 리스트 별 칼로리 정보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수신한 칼로리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70)에 저장될 수 있다.
예상시간수신모듈(529)은 음식 제공까지의 예상시간을 점주 단말(3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하는 구성이다. 즉, 예상시간수신모듈(529)은 사용자가 음식 주문 및 결제 전 해당 음식이 제공될 때까지의 개략적인 예상시간을 먼저 제공하여 사용자 주문 및 결제 전 선택권을 주는 것에 그 이점이 있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제1 경로 설정부에 의하여 최적 경로가 특정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제1 경로 설정부(5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 주소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일차 최적 경로를 특정하는 구성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에 탑재된 GPS 수신기를 통하여 출발지 정보가 상기 단말(10)에 자동 입력되어 제1 경로 설정부(530) 측으로 출발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전술한 '최적 경로'란 예를 들어 출발지와 도착지를 연결하는 경로 중 최단 거리 경로일 수도,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도달하는데 최단 시간이 소요되는 경로일 수도, 또는 가장 적은 수의 횡단보도를 가로지르는 경로일 수도 있고 이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최적 경로가 최단 시간에 대한 경로일 경우, 제1 경로 설정부(530)는 예를 들어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등 공지된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대응 경로를 특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출발지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으로, 도착지를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으로 입력 시 대응되는 일차 최적 경로가 특정된다. 상기 일차 최적 경로는 후술할 음식점 위치정보제공부(540)를 통한 음식점 검색을 위하여 특정되는 것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음식점 위치정보제공부에 의하여 음식점 리스트를 검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음식점 위치정보제공부(540)는 제1 경로 설정부(530)를 통하여 특정된 일차 최적 경로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부(70)에 저장된 각 음식점들의 위치와 대비하여 상기 최적 경로와 인접한 음식점들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에 출발지 및 도착지가 표시된 맵(Map)과 함께 상기 맵에 최적 경로가 표시되고, 표시된 최적 경로와 인접한 음식점들의 리스트를 상기 맵 내 해당 음식점들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음식점 위치정보제공부(540)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부(70)로부터 음식점 리스트를 검색하는 과정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제1 경로 설정부(53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에 입력된 출발지 및 도착지와 기 설정된 반경 내 음식점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반경 5km 내 음식점 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1 경로 설정부(530)에 의하여 특정된 최적 경로 라인의 남서쪽 위경도 및 북동쪽 위경도 범위 내 모든 음식점 리스트를 검색한다. 그 이후 검색된 모든 음식점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0)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도 6는 도 2에 따른 음식점 상세정보제공부의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6을 참고하면, 음식점 상세정보제공부(550)는 음식점 위치정보제공부(540)를 통하여 제공되는 개별 음식점에 대한 상세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하는 구성이다. 음식점 상세정보제공부(550)는, 예를 들어 판매 중인 음식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식점 상세정보제공부(550)는 좌석정보제공모듈(551), 할인정보제공모듈(553), 드라이브스루정보제공모듈(555), 칼로리정보제공모듈(557)과, 예상시간제공모듈(559)을 포함할 수 있다.
좌석정보제공모듈(551)은 좌석정보수신모듈(521)을 통하여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70)에 저장한 음식점 내 테이블 수, 테이블 별 좌석 수, 현재 잔여 테이블 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하는 모듈이다. 이와 같이 음식점 내 현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한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할 테이블과 출입시간이 확정된 예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할인정보제공모듈(553)은 할인정보수신모듈(523)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부(70)에 저장한 할인 음식 리스트, 할인 기간, 할인 금액/할인률 등 할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하는 모듈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가보다 할인된 금액으로 음식을 구매할 수도 있다.
드라이브스루정보제공모듈(555)은 차랑허용정보수신모듈(525)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부(70)에 저장한 드라이브스루 가능 음식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하는 모듈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차량 운행 이동 시 해당 차량에서 직접 음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칼로리정보제공모듈(557)은 칼로리정보수신모듈(527)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부(70)에 저장한 판매 음식과 대응되는 칼로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하는 모듈이다.
예상시간제공모듈(559)은 예상시간수신모듈(529)을 통하여 주문 음식 제공까지의 예상시간을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하는 모듈이다.
도 7은 도 2에 따른 제2 경로 설정부에 의하여 변경된 최적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2 경로 설정부(560)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음식점 위치정보제공부(540)에서 제공하는 음식점 리스트 중 특정 음식점 선택 시, 제1 경로 설정부(530)를 통하여 특정된 일차 최적 경로를 수정하는 구성이다. 즉, 선택한 음식점이 경유지가 되는 수정 최적 경로를 다시 연산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되는 맵 상에 표시한다. 제2 경로 설정부(560)는 음식 주문 및 결제 전 단계인 음식점 리스트 중 특정 음식점 선택 시 구동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고하면, 상태추적부(570)는 사용자 단말(10)에 탑재된 GPS 수신기를 통하여 사용자의 현 위치를 특정하여 상기 단말(10)에 제공되는 맵 상에 사용자 현 위치를 표시하는 구성이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가 주문한 음식이 제공될 남은 예상 시간과 함께, 제2 경로 설정부(560)에서 제공하는 최적 경로에 따른 예상 이동 시간 역시 사용자 단말(1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상태추적부(570)는 사용자의 음식 주문 및 결제가 완료된 이후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2에 따른 소모칼로리 연산부의 참고도이다.
도 2 및 도 8을 참고하면, 소모칼로리 연산부(580)는 주문 음식 픽업을 위해 사용자가 직접 보행 이동 시 사용자의 이동 거리/시간에 따른 현 소모 칼로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하는 구성이다. 소모칼로리는 예를 들어 운동강도 * 시간 * 체중으로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운동강도는 걷기 기준 기 설정된 수치인 운동강도를, 시간은 출발지로부터 출발하여 현재까지 소요된 시간을, 체중은 사용자의 체중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의 체중은 남성 평균 몸무게와 여성 평균 몸무게의 평균값인 65kg인 고정값으로 설정할 수도, 남성과 여성 평균 몸무게를 별도로 설정한 고정값일 수도, 또는 사용자 별 입력된 실제 체중일 수도 있고 이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소모칼로리 연산부(580)는 대비칼로리정보 제공모듈(581)을 포함할 수 있다.
대비칼로리 제공모듈(581)은 사용자가 출발지로부터 출발하여 현재까지 소비한 칼로리와, 주문한 음식의 총 칼로리의 대비 정보를 제공하는 모듈이다. 대비칼로리 제공모듈(580)은 예를 들어 주문 음식 총 열량과 소비 칼로리에 대한 차이값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한 음식의 총 칼로리가 800kcal이며, 사용자가 현재까지 소비한 칼로리가 420kcal인 경우, 남은 열량 정보 380kcal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한다. 또는, 상기 대비칼로리 제공모듈(580)은 주문 음식 총 열량과 소비 칼로리에 대한 정보만을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소모칼로리 연산부(580)를 통하여 이동 중인 사용자의 소모 칼로리와 주문 완료한 음식에 대한 총 칼로리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효과 증진 및 활용에 만족감을 부여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주문 데이터 전송부(590)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특정 음식점에서 음식 주문 후 결제가 완료될 시, 주문 정보에 대한 데이터에 정보를 점주 단말(30)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주문 데이터 전송부(590)은 주문 및 결제정보와 함께, 착석을 위한 예약, 드라이브스루 이용 등 부가정보를 점주 단말(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방법(S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할 픽업방법(S1)의 세부 단계는 전술한 픽업시스템(1)의 각 구성에 의하여 수행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각 단계들은 운영 서버(50)의 관점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를 참고하면, 먼저 앱을 구동하여 운영 서버(50)와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 주소 정보를 수신하여 일차 최적 경로를 특정한다(S10). 단계 S10은 제1 경로 설정부(53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발지 주소 정보는 사용자가 단말(10)을 통해 직접 입력할 수도, 상기 단말(10)에 탑재된 GPS 수신기를 통해 자동 입력될 수도 있고 이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운영 서버(50)는 수신한 주소 정보를 통하여 출발지와 도착지 간 일차 최적 경로를 특정한다. 최적 경로는 최단 거리, 최단 시간 또는 가장 적은 수의 횡단보도를 가로지르는 경로일 수도 있고 이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나서, 특정된 최적 경로와 인접한 음식점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부(70)를 통해 검색한다(S20).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S20에 의한 음식점 검색은, 음식점 위치정보제공부(54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고, 일 예로 출발지 및 도착지와 기 설정된 반경 내 그리고 최적 경로 라인의 남서쪽 위경도 및 북동쪽 위경도 범위 내 음식점이 검색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칼로리 표기 체크 여부 정보를 수신한다(S30). 단계 S30을 통하여 사용자가 칼로리 표기 체크 박스에 '예'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보행 시간에 맞추어 소모되는 열량을 실시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칼로리 표기 체크를 원하지 않거나 차량 이동 시 칼로리 표기 체크 박스에 '아니오'를 선택할 수도 있다.
그 후, 단계 S20에 의하여 검색된 음식점 리스트를, 음식점 별 상세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한다(S40; S410, S430). 상기 단계 S4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10)에 출발지 및 도착지 그리고 최적 경로가 표시된 맵과 함께, 인접한 음식점 리스트 정보를 상기 맵 상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표시한다. 이 때, 드라이브스루 가능 및/또는 할인 판매 중인 메뉴가 있는 음식점의 경우 해당 정보를 함께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할인정보수신모듈(523)을 통해 점주가 데이터베이스부(70)에 할인 정보를 등록한 경우, 해당 음식점에서 현재 할인 중인 메뉴가 있음을 사용자 단말(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허용정보수신모듈(525)을 통해 점주가 드라이브스루 가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70)에 등록한 경우, 해당 음식점에서 음식 픽업 시 차량 픽업이 가능한 것을 사용자 단말(10)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40 이후 사용자가 단말(10) 상에 표시된 특정 음식점을 선택한 경우, 선택한 음식점을 경유하는 수정된 최적 경로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S50; S510, S530). 단계 S50은 제2 경로 설정부(56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50을 통하여 수정된 최적 경로가 제공된 이후, 최적 경로 기반 차량 또는 보행 등 이동수단에 따른 예상 이동시간, 음식준비 예상시간 및 음식점 내 실시간 잔여 테이블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한다(S60; S610, S630). 단계 60은 음식점 상세정보제공부(55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6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반영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최종 선택된 음식점 정보를 수신한다(S70; S710, S730). 그 후 메뉴 선택 및 결제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이후 운영 서버(50)는 점주 단말(30)로 주문 정보 및 드라이브스루 여부 등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S80; S810, S830). 단계 S80은 주문 데이터 전송부(59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선택한 음식점을 경유하는 최적 경로 상에서, 사용자의 현 위치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되는 맵 상에 표시한다(S90; S910, S930). 단계 S90은 상태추적부(57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910에서, 현재까지의 소모 칼로리 및 주문 음식의 총 칼로리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주문 음식의 총 칼로리에서 소모 칼로리를 감한 값에 대한 정보 역시 표기할 수도 있고 이는 소모칼로리 연산부(58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1 :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10 : 사용자 단말 30 : 점주 단말
50 : 운영 서버
510 : 사용자 등록부 520 : 점주 등록부
521 : 좌석정보수신모듈 523 : 할인정보수신모듈
525 : 차량허용정보수신모듈 527 : 칼로리정보수신모듈
529 : 예상시간수신모듈
530 : 제1 경로 설정부 540 : 음식점 위치정보제공부
550 : 음식점 상세정보제공부
551 : 좌석정보제공모듈 553 : 할인정보제공모듈
555 : 드라이브스루정보제공모듈 557 : 칼로리정보제공모듈
559 : 예상시간제공모듈
560 : 제2 경로 설정부 570 : 상태추적부
580 : 소모칼로리 연산부
581 : 대비칼로리 제공모듈
590 : 주문 데이터 전송부
70 : 데이터베이스부
S1 :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방법
S10 내지 S90 : 각 단계

Claims (10)

  1. 사용자가 운영 서버에 접속하도록 하는 매개체가 되는 사용자 단말;
    점주가 상기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음식점을 등록하도록 하는 매개체가 되는 점주 단말; 및
    사용자 및 점주의 접속을 허용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 이동 경로와 인접한 음식점 정보를 제공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점주 단말을 통해 운영 서버에 접속한 점주의 기초정보를 수신하는 점주 등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주 등록부는
    상기 점주 단말을 통하여 음식점 내 테이블 수, 테이블 별 좌석 수 및 현재 잔여 테이블 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는 좌석정보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점주 단말을 통해 운영 서버에 접속한 점주의 기초정보를 수신하는 점주 등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주 등록부는
    상기 점주 단말을 통하여 음식점에서 판매하는 할인 메뉴 리스트와 함께, 할인 기간 및 할인 금액/할인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는 할인정보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점주 단말을 통해 운영 서버에 접속한 점주의 기초정보를 수신하는 점주 등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주 등록부는
    상기 점주 단말을 통하여 드라이브스루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허용정보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 주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 경로를 특정하는 제1 경로 설정부; 및
    상기 제1 경로 설정부를 통하여 특정되는 최적 경로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각 음식점의 위치와 대비하여 상기 최적 경로와 인접한 음식점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음식점 위치정보제공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점 위치정보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출발지 및 도착지와 기 설정된 반경 내 음식점 리스트 그리고 상기 제1 경로 설정부를 통하여 특정되는 최적 경로 라인의 남서쪽 위경도 및 북동쪽 위경도 범위 내 음식점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음식점 위치정보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음식점 리스트 중 특정 음식점 선택 시, 상기 제1 경로 설정부를 통하여 특정된 최적 경로를 선택된 음식점을 경유하는 최적 경로로 수정하는 제2 경로 설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점주 등록부는
    상기 점주 단말을 통해 판매 중인 음식 리스트 별 칼로리 정보를 수신하는 칼로리정보수신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운영 서버는
    주문 음식 픽업을 위해 사용자가 직접 보행 이동 시 사용자의 이동 거리 또는 시간에 따른 현 소모 칼로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소모칼로리 연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칼로리 연산부는
    사용자가 출발지로부터 출발하여 현재까지 소비한 칼로리와, 주문 음식의 총 칼로리의 대비 정보를 제공하는 대비칼로리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10.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 주소 정보를 수신하여 일차 최적 경로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일차 최적 경로와 인접한 음식점 리스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음식점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특정 음식점 선택 시 선택한 음식점을 경유하는 수정된 최적 경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정된 최적 경로 기반 선택한 음식점을 경유하는 예상 이동시간, 음식준비 예상시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최종 선택된 음식점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음식점 리스트 정보 검색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출발지 및 도착지와 기 설정된 반경 내 음식점 리스트 그리고 상기 일차 최적 경로 라인의 남서쪽 위경도 및 북동쪽 위경도 범위 내 음식점 리스트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방법.

KR1020210147607A 2021-11-01 2021-11-01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45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607A KR102645114B1 (ko) 2021-11-01 2021-11-01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607A KR102645114B1 (ko) 2021-11-01 2021-11-01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925A true KR20230062925A (ko) 2023-05-09
KR102645114B1 KR102645114B1 (ko) 2024-03-07

Family

ID=8640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607A KR102645114B1 (ko) 2021-11-01 2021-11-01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1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145Y1 (ko) * 2006-02-02 2006-04-17 김병록 섭취칼로리량과 소모칼로리량을 비교하여 잉여칼로리량을전시하는 휴대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23541A (ko) * 2012-08-16 201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KR20170017670A (ko) * 2015-08-06 2017-02-15 박재원 상품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판매 관리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
KR20170027502A (ko) * 2015-09-02 2017-03-10 홍교식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정보 처리장치 및 그 시스템과 방법
KR20180127296A (ko) 2018-11-21 2018-11-28 박세현 음식 주문 및 배달 방법 및 시스템
KR101975568B1 (ko) * 2018-04-02 2019-08-28 (주)이지고우 내비게이션 연계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145Y1 (ko) * 2006-02-02 2006-04-17 김병록 섭취칼로리량과 소모칼로리량을 비교하여 잉여칼로리량을전시하는 휴대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23541A (ko) * 2012-08-16 201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KR20170017670A (ko) * 2015-08-06 2017-02-15 박재원 상품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판매 관리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
KR20170027502A (ko) * 2015-09-02 2017-03-10 홍교식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정보 처리장치 및 그 시스템과 방법
KR101975568B1 (ko) * 2018-04-02 2019-08-28 (주)이지고우 내비게이션 연계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180127296A (ko) 2018-11-21 2018-11-28 박세현 음식 주문 및 배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114B1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5220B2 (en) System,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ffering products based on extrapolation of inputs
US201501425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shopping center services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505929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duct for auction of deliverable prepared food via the internet
AU2005322271B2 (en) Generating and/or serving dynamic promotional offers such as coupons and advertisements
US200700779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localized services information to a mobile device
US7092892B1 (en) System and method for grouping and selling products or services
Quelch et al. All business is local: Why place matters more than ever in a global, virtual world
US200901061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dering and delivering of meals
US200701503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meal delivery
US20090187466A1 (en) Location-Based Information-Geo Retail Notification
US20040073449A1 (en) Catering mobile pick up station
US20180053129A1 (en) Local service providing and service matchmak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400323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coupon management
WO2015094262A1 (en) Personalized shopping and routing
KR20160022986A (ko) 맞춤형 여행 정보 제공 방법
KR20200111349A (ko) 시간별 및 상품별 좌석이용료를 이용한 카페 좌석 예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50081350A1 (en) Mobile online vacation rental booking system
US201200841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 sale between a consumer and mobile supplier
KR20150083673A (ko) 여행 플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82303B1 (ko) 가정집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80025453A (ko) 사전 주문 시스템
KR20140056821A (ko) 사전 주문 시스템
KR102645114B1 (ko)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398153A1 (en) Dynamic Platform For Physical Stores Information For Interactive Map
KR101743405B1 (ko) 관광 상품 판매 촉진을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