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818B1 -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818B1
KR102279818B1 KR1020200126592A KR20200126592A KR102279818B1 KR 102279818 B1 KR102279818 B1 KR 102279818B1 KR 1020200126592 A KR1020200126592 A KR 1020200126592A KR 20200126592 A KR20200126592 A KR 20200126592A KR 102279818 B1 KR102279818 B1 KR 102279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traffic
weak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진
박용호
Original Assignee
박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진 filed Critical 박용진
Priority to KR1020200126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818B1/ko
Priority to PCT/KR2020/016721 priority patent/WO202207162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06F40/211Syntactic parsing, e.g. based on context-free grammar [CFG] or unification gramm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교통 약자의 이동에 관한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교통 약자의 이동을 지원할 차량에 관한 예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일정 정보, 상기 예약 정보 및 상기 교통 약자에 관한 문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과 연관되어 추천될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중 상기 교통 약자에 의해 선택되는 목적지를 상기 예약 정보에 추가함으로써 상기 예약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MOBILITY SERVICE FOR TRANSPORTATION VULNERABLE}
본 발명은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교통 약자의 이동 편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교통 약자의 이동을 돕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소개되고 있다.
이에 관한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118451호에 개시된 기술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장애인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택시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장애인의 위치 조회 의뢰 정보를 위치 정보 수집 서버에 전송하며, 하기 택시 배차 서버로부터 배차가능 택시의 정보를 수신하고, 배차 가능 택시 중 장애인으로부터 최근거리에 위치한 택시를 배차하며, 배차 완료 정보를 장애인과 택시의 휴대용 단말기에 문자 메시지로 전송하는 콜 센터 단말기를 제공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은 교통 약자가 택시라는 대중 교통 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에 지나지 않아서, 교통 약자가 다양한 일정(병원 방문, 여행, 외식 등)을 큰 불편 없이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고차원적인 모빌리티 서비스(이동, 에스코트, 휠체어 대여 등)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는, 교통 약자의 이동에 관한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에 관한 예약 정보를 생성하고, 필요한 경우에 그 예약 정보를 갱신하거나 차량을 포함한 다양한 모빌리티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교통 약자가 이동을 수반하는 다양한 일정을 충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안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 약자의 이동에 관한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약자의 이동을 지원할 차량에 관한 예약 정보를 생성하고, 일정 정보, 예약 정보 및 교통 약자에 관한 문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이동과 연관되어 추천될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중 교통 약자에 의해 선택되는 목적지를 예약 정보에 추가함으로써 예약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 약자가 이동을 수반하는 다양한 일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유연하고도 충분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교통 약자의 이동에 관한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교통 약자의 이동을 지원할 차량에 관한 예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일정 정보, 상기 예약 정보 및 상기 교통 약자에 관한 문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과 연관되어 추천될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중 상기 교통 약자에 의해 선택되는 목적지를 상기 예약 정보에 추가함으로써 상기 예약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교통 약자의 이동에 관한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교통 약자의 이동을 지원할 차량에 관한 예약 정보를 생성하는 예약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일정 정보, 상기 예약 정보 및 상기 교통 약자에 관한 문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과 연관되어 추천될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중 상기 교통 약자에 의해 선택되는 목적지를 상기 예약 정보에 추가함으로써 상기 예약 정보를 갱신하는 예약 정보 갱신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통 약자의 이동에 관한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약자의 이동을 지원할 차량에 관한 예약 정보를 생성하고, 일정 정보, 예약 정보 및 교통 약자에 관한 문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이동과 연관되어 추천될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중 교통 약자에 의해 선택되는 목적지를 예약 정보에 추가함으로써 예약 정보를 갱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교통 약자가 이동을 수반하는 다양한 일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유연하고도 충분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교통 약자가 병원, 여행지, 식당 등의 목적지에 방문하는 일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이동 수단에 더하여 에스코트 인력 및 보조 이동 수단을 함께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교통 약자의 일정에 따라 특정되는 이동 경로와 연관되는 다른 목적지를 추천하고 이동 경로에 추가함으로써, 이동이 어려운 교통 약자가 한 번 외출을 할 때 여러 가지 일정을 한꺼번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애 등급 등에 기초하여 검증되는 서비스 이용 자격을 갖춘 교통 약자에게 모빌리티 서비스를 집중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모빌리티 서비스의 품질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예약 정보로부터 도출되는 패턴을 참조하여 모빌리티 자원의 배치 및 운용의 효율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 및 디바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망(100)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서, 와이파이(WiFi)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롱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통신, 5G 통신, 블루투스 통신(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 포함),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등과 같은 종래의 통신 방법을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통신망(100)은 광 통신망으로서, 라이파이(LiFi, Light Fidelity) 등과 같은 종래의 통신 방법을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교통 약자의 이동에 관한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약자의 이동을 지원할 차량에 관한 예약 정보를 생성하고, 일정 정보, 예약 정보 및 교통 약자에 관한 문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이동과 연관되어 추천될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중 교통 약자에 의해 선택되는 목적지를 예약 정보에 추가함으로써 예약 정보를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300)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 글래스,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특히, 디바이스(300)는,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미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 또는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미도시됨)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성격은 후술할 바와 같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예약 관리부(210), 모빌리티 자원 관리부(220), 사용자 관리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와 전반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그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균등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장치나 펌웨어 장치로 치환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예약 관리부(210), 모빌리티 자원 관리부(220), 사용자 관리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예약 관리부(210)는, 예약 정보 생성부(221) 및 예약 정보 갱신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약 관리부(210), 모빌리티 자원 관리부(220), 사용자 관리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의 시스템(미도시됨)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구성요소 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디바이스(300) 또는 서버(미도시됨) 내에서 실현되거나 외부 시스템(미도시됨) 내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약 관리부(210)(구체적으로는, 예약 정보 생성부(221))는, 교통 약자의 이동에 관한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약자의 이동을 지원할 차량에 관한 예약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약자의 이동에 관한 일정 정보에는, 교통 약자가 병원 진료, 병원 입원 또는 병원 퇴원을 위해 병원에 방문하는 일정, 교통 약자가 보조 이동 수단(휠체어 등)의 유지보수 또는 수리를 위해 수리점에 방문하는 일정, 교통 약자가 여행을 위해 목적지를 방문하는 일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통 약자인 사용자가 병원 A에 진료 예약을 함에 따라 진료 예약 정보가 생성되면, 해당 진료 예약 정보가 교통 약자의 디바이스 또는 병원 A의 서버로부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으로 전송될 수 있고, 이렇게 전송되는 진료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약자의 이동을 지원할 차량에 관한 예약 정보가 자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약 정보에는, 교통 약자의 원거리 이동을 도와주는 차량에 관한 예약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교통 약자의 근거리 이동을 도와주는 보조 이동 수단(휠체어 등)에 관한 예약 정보, 교통 약자의 거동을 돕는 에스코트 인력에 관한 예약 정보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약 관리부(210)(구체적으로는, 예약 정보 갱신부(222))는, 위의 일정 정보, 위의 예약 정보 및 교통 약자에 관한 문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교통 약자의 이동과 연관되어 추천될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목적지 추천을 위해 참조되는 문맥 정보에는, 교통 약자가 보유하고 있는 보호 장비의 수리 주기, 교통 약자의 선호 정보, 예약 정보에 따라 설정되는 이동 경로의 주변에 위치하는 목적지의 방문 빈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약 관리부(210)(구체적으로는, 예약 정보 갱신부(222))는, 위의 추천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중 교통 약자에 의해 선택되는 목적지를 예약 정보에 추가함으로써 예약 정보를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약 관리부(210)는, 차량이 교통 약자인 사용자를 태우고 집과 병원을 왕복하는 예약 정보가 생성된 경우에, 사용자의 휠체어의 수리 주기가 도래했다는 취지의 문맥 정보를 참조하여 집과 병원 사이의 이동 경로의 근처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휠체어 수리점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휠체어 수리점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휠체어 수리점을 예약 정보에 추가함으로써, 차량이 사용자를 태우고 집과 병원을 왕복하는 중에 휠체어 수리점을 경유하도록 예약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약 관리부(210)는, 위와 같이 생성 및 갱신되는 예약 정보는 교통 약자 본인의 디바이스(300) 또는 교통 약자의 보호자의 디바이스(300)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약 관리부(210)는, 위와 같이 생성 및 갱신되는 예약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교통 약자에게 부과될 서비스 요금을 동적으로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자원 관리부(220)는, 위와 같이 생성 및 갱신되는 예약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도출되는 패턴에 기초하여 교통 약자의 이동에 사용되는 모빌리티 자원(차량, 보조 이동 수단 또는 에스코트 인력)의 배치 또는 운용을 효율적으로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약 정보로부터 패턴을 도출하거나 그 도출되는 패턴으로부터 모빌리티 자원을 배치시킬 위치를 결정함에 있어서 공지의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자원 관리부(220)는, 서비스 운영을 통해 수집되는 예약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서 활용하여 예약 정보로부터 의미 있는 패턴을 추정해 낼 수 있는 추정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자원 관리부(220)는, 예약 정보로부터 도출되는 패턴과 모빌리티 자원의 배치에 관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서 활용하여 모빌리티 자원의 배치를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결정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자원 관리부(220)는, 과거에 수집된 예약 정보로부터 수요일에 지역 A에 거주하는 교통 약자가 병원 B로 이동하는 취지의 예약 정보가 자주 생성된다는 취지의 패턴을 발견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수요일에는 지역 A와 병원 B 사이를 왕복하는 모빌리티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위치에 모빌리티 자원(차량, 보조 이동 수단 또는 에스코트 인력)을 미리 배치시키도록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관리부(230)는, 모빌리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교통 약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관리부(230)는, 장애인 등록증, 장애 등급 등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교통 약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고, 검증된 사용자만이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40)는 예약 관리부(210), 모빌리티 자원 관리부(220) 및 사용자 관리부(230)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예약 관리부(210), 모빌리티 자원 관리부(220), 사용자 관리부(230) 및 통신부(24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50)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예약 관리부(210), 모빌리티 자원 관리부(220), 사용자 관리부(230) 및 통신부(24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통신망
200: 서비스 제공 시스템
210: 예약 관리부
220: 모빌리티 자원 관리부
230: 사용자 관리부
240: 통신부
250: 제어부
300: 디바이스

Claims (10)

  1.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예약 정보 생성부 및 예약 정보 갱신부를 포함함 -,
    상기 예약 정보 생성부가, 교통 약자의 이동에 관한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교통 약자의 이동을 지원할 차량에 관한 예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예약 정보 갱신부가, 상기 일정 정보, 상기 예약 정보 및 상기 교통 약자에 관한 문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과 연관되어 추천될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예약 정보 갱신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중 상기 교통 약자에 의해 선택되는 목적지를 상기 예약 정보에 추가함으로써 상기 예약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약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상기 교통 약자가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가 검증되고,
    상기 이동에 필요한 모빌리티 자원의 배치는 상기 예약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도출되는 패턴을 참조하여 결정되고,
    상기 문맥 정보에는, 상기 교통 약자가 보유하고 있는 보호 장비의 수리 주기가 포함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정보에는, 병원 진료, 병원 입원 및 병원 퇴원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일정 정보가 포함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정보에는, 상기 교통 약자를 위한 보조 이동 수단 및 에스코트 인력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예약 정보가 더 포함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되는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교통 약자를 위한 이동 경로 및 요금이 동적으로 결정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교통 약자의 보호자의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0.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교통 약자의 이동에 관한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교통 약자의 이동을 지원할 차량에 관한 예약 정보를 생성하는 예약 정보 생성부,
    상기 일정 정보, 상기 예약 정보 및 상기 교통 약자에 관한 문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과 연관되어 추천될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중 상기 교통 약자에 의해 선택되는 목적지를 상기 예약 정보에 추가함으로써 상기 예약 정보를 갱신하는 예약 정보 갱신부,
    상기 예약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도출되는 패턴을 참조하여 상기 이동에 필요한 모빌리티 자원의 배치를 결정하는 모빌리티 자원 관리부, 및
    상기 교통 약자가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사용자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문맥 정보에는, 상기 교통 약자가 보유하고 있는 보호 장비의 수리 주기가 포함되는
    시스템.
KR1020200126592A 2020-09-29 2020-09-29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79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592A KR102279818B1 (ko) 2020-09-29 2020-09-29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CT/KR2020/016721 WO2022071627A1 (ko) 2020-09-29 2020-11-24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592A KR102279818B1 (ko) 2020-09-29 2020-09-29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818B1 true KR102279818B1 (ko) 2021-07-21

Family

ID=77143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592A KR102279818B1 (ko) 2020-09-29 2020-09-29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9818B1 (ko)
WO (1) WO202207162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3541A (ko) * 2012-08-16 201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KR20200102698A (ko) * 2019-02-22 2020-09-01 전수황 콜 서비스 예약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356B1 (ko) * 2017-02-20 2017-05-11 노형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41715B1 (ko) * 2018-05-25 2019-11-27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 약자를 위한 이동 지원 방법 및 그 장치
KR101924346B1 (ko) * 2018-06-22 2018-12-03 주식회사 픽업스캐너 실시간 차량 예약 관리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3541A (ko) * 2012-08-16 201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KR20200102698A (ko) * 2019-02-22 2020-09-01 전수황 콜 서비스 예약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71627A1 (ko) 202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47695B (zh) 用于基于位置的服务的移动台-服务器协议
US20180082335A1 (en) Method of creating and joining social group, user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server, and storage medium
CN108064025A (zh) 一种路线规划方法、移动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70303184A1 (en) Wireless beacon devices for use in managing transportation service terminals
US20100121563A1 (en) Real-time personal device transit information presentment
CN104615788A (zh) 一种信息通知的方法、设备及系统
US20130090964A1 (en) Time on Site and Point of Interest Tracker with Privacy Block
CN104350805A (zh) 通过受保护接入点对未受保护接入点的定位
KR102336422B1 (ko) 미래택시승객 수요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4292156B2 (ja) 位置関連コンテキストに基づく、最適化されたモビリティ管理
US10462605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shared journey
KR102279818B1 (ko) 교통 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5630292B2 (ja) 機器モード制御システム、機器モード制御装置、機器モード制御方法及び機器モード制御プログラム
US202204147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enefits for application,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60146362A (ko) IoT 기반의 방문자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099144B1 (ko) 위치기반 여행도움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91461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riving directions
JP2009187244A (ja) 移動端末用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移動端末用情報提供方法
KR101929491B1 (ko)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
Hargunani et al. Integrated bus system using QR code
JP2005056134A (ja) 配車/巡回計画作成システム及び配車/巡回計画作成方法
KR101715928B1 (ko) 일시적 위치에 기반하는 광고 제공 방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광고 제공 서버
CN104517440A (zh) 交通数据处理方法及设备
US11263716B2 (en) Rendering digitized services in a smart environment
JP2005121575A (ja) 移動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移動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及び移動スケジュール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