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491B1 -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491B1
KR101929491B1 KR1020180045884A KR20180045884A KR101929491B1 KR 101929491 B1 KR101929491 B1 KR 101929491B1 KR 1020180045884 A KR1020180045884 A KR 1020180045884A KR 20180045884 A KR20180045884 A KR 20180045884A KR 101929491 B1 KR101929491 B1 KR 101929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urier
pick
pickup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김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민 filed Critical 김영민
Priority to KR1020180045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2017/0048
    • G06K2017/006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메신저 서버를 통하여 요청 단말로부터 수집된 택배 접수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택배 접수 요청에 포함된 주소지를 기준으로 픽업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픽업 단말로 택배 픽업 요청을 전송하고, 픽업 단말의 픽업 지역, 픽업 단말의 정보 및 택배 접수 요청을 택배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택배사 서버로부터 생성되어 발송된 운송장 정보를 요청 단말 및 픽업 단말로 전송하고, 픽업 단말로 픽업 이동 경로 및 현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요청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픽업 지역 내의 택배 물품을 수거 및 보관하는 주유소의 주유소 단말에서 픽업된 택배에 부착된 식별코드를 리딩 또는 스캔하는 경우, 운송장 정보에 픽업 완료 로그를 부가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요청 단말로 적어도 하나의 메신저 서버를 경유하여 택배의 주유소 도착 이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AI-BASED QUICK PICKUP SERVICE FOR DELIVERY USING FILLING STATION}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유소를 거점으로 구역 내에 위치하는 택배물품을 픽업하여 집하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택배를 수거 및 배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고속 성장을 이어오던 국내 택배시장이 최근 성숙기에 진입하게 되면서, 택배업체 간 시장 지위 및 물량확보를 위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국내 택배 업체들은 물량 및 시장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해결책의 일환으로 저단가 고물량 경영정책을 도입하면서 배송단가의 하락으로 택배 업체들의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한편 경쟁력을 갖춘 택배 전문기업만이 경쟁적 상황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경영환경이 조성되었다. 치열한 경쟁이 이뤄지는 서비스 시장에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란 쉽지 않고, 국내 택배 서비스 기업들은 극심한 출혈 경쟁을 겪으면서 시장이 재편되고 있다.
이때, 택배는 아파트 경비실을 이용하거나 전철의 무인화물 사물함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진화해왔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669126호(2016년10월25일 공고) 및 한국등록특허 제10-0773389호(2007년11월05일 공고)에는,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과 같은 공동주택 내의 관리사무소 또는 경비실의 유선 또는 무선 단말기를 통해 택배 주문의 접수, 비용 결제, 및 운송장의 출력을 처리하면서 배송 처리하는 구성, 지하철 및 전철을 통한 화물중계에 있어서 발송인과 수취인이 시각에 구애 받지 않고 화물을 주고 받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택배를 신청하는 방법이 간단하지 않아 주소 하나를 기재하는데에도 인터넷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주소를 기재하다가 결국에는 인터넷 택배신청을 포기하고, 우체국이나 택배회사로 직접 찾아가 무거운 택배물품을 직접 기다려서 접수하는 경우가 아직도 존재하고 있으며, 접수를 하고자 한다해도 대기시간이 많은 경우에는 자신의 순서까지 기다려야 하고, 택배 수거를 신청한다고 할지라도 택배 수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택배를 빨리 접수하고자 하는 고객은 다시 택배대리점으로 찾아가 기다리고 접수를 하는 과정을 겪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음성 또는 메신저로 주문을 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주유소의 거점을 제공함으로써 픽업 시간을 최소화하여 물류 시간을 단축시키며 고객은 택배 수거를 요청한 후 수일동안 기다리지 않아도 되고 픽업 시간이 단축되므로 익일 배송일지라도 화물 이송 시간이 촉박하지 않아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메신저 서버를 통하여 요청 단말로부터 수집된 택배 접수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택배 접수 요청에 포함된 주소지를 기준으로 픽업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픽업 단말로 택배 픽업 요청을 전송하고, 픽업 단말의 픽업 지역, 픽업 단말의 정보 및 택배 접수 요청을 택배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택배사 서버로부터 생성되어 발송된 운송장 정보를 요청 단말 및 픽업 단말로 전송하고, 픽업 단말로 픽업 이동 경로 및 현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요청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픽업 지역 내의 택배 물품을 수거 및 보관하는 주유소의 주유소 단말에서 픽업된 택배에 부착된 식별코드를 리딩 또는 스캔하는 경우, 운송장 정보에 픽업 완료 로그를 부가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요청 단말로 적어도 하나의 메신저 서버를 경유하여 택배의 주유소 도착 이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음성 또는 메신저로 주문을 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주유소의 거점을 제공함으로써 픽업 시간을 최소화하여 물류 시간을 단축시키며 고객은 택배 수거를 요청한 후 수일동안 기다리지 않아도 되고 픽업 시간이 단축되므로 익일 배송일지라도 화물 이송 시간이 촉박하지 않아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요청 단말(100),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 메신저 서버(400), 택배사 서버(500), 픽업 단말(600), 주유소 단말(700) 및 음성인식기반 AI 장치(8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 메신저 서버(400) 및 음성인식기반 AI 장치(8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요청 단말(100), 메신저 서버(400), 택배사 서버(500), 픽업 단말(600) 및 주유소 단말(700)과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신저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 요청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택배사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픽업 단말(6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고, 주유소 단말(7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택배사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요청 단말(100)은,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택배 픽업 요청하는 요청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요청 단말(100)은, 메신저 서버(400)나 음성인식기반 AI 장치(800)를 통하여 택배를 접수하고, 택배 픽업자가 언제 올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요청 단말(100)은 음성인식기반 AI 장치(800)와 연동되어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픽업 단말(600)이 도착했다는 메세지를 수신하거나, 픽업 단말(600)로부터 요청 단말(100)로의 호(Call) 수신이 되는 경우, 현관문 비밀번호를 픽업 단말(600)로 전송하거나 현관문을 개방하도록 제어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요청 단말(100)은 택배가 수거되어 거점인 주유소에 도착한 경우와, 각 거점을 이동할 때마다의 이벤트를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요청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요청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요청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메신저 서버(400)를 경유하여 요청 단말(100)로부터 택배 픽업 요청이 수신된 경우, 택배사 서버(500)로 이를 전송하여 송장번호를 포함한 송장 데이터를 수신하고, 픽업 단말(600)로 전송하여 주소지로 픽업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요청 단말(100)로 픽업 단말(600)의 위치를 알려주는 것 뿐만 아니라, 픽업 단말(600)의 요청 단말(100)로의 호 발신이 감지되는 경우, 요청 단말(100)과 음성인식기반 AI 장치(800)가 연동되었으면, 이를 이용하여 현관문을 열도록 제어하거나, 픽업 단말(600)로 현관 비밀번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유소 단말(700)에서 택배 물품이 스캔 또는 리딩된 경우에는, 택배 물품이 주유소에 집하되었음을 메신저 서버(400)를 통해 또는 요청 단말(100)로 직접 전송하고, 택배사 서버(500)에서 발생하는 화물 추적 프로세스를 푸시 알람하거나 조회요청이 온 경우 조회한 결과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챗봇 또는 음성인식기반 AI를 이용하여 요청자의 질문이나 요청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신저 서버(400)는, 요청 단말(100)에서 택배 접수를 하는 플랫폼일 수 있고, 메신저라고 명명하였지만 음성 또는 메세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플랫폼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이때, 메신저 서버(400)는, 택배 접수 요청을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요청 단말(100)에서 입력되는 문의, 요청 등의 메세지를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 채널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메신저 서버(400)는,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메신저를 제공하는 경우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이의 구성은 삭제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신저 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택배사 서버(500)는,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요청 단말(100)의 택배를 접수하여 송장을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주유소 단말(700)에서 택배 물품이 스캔 또는 리딩되는 경우, 화물 추적 히스토리를 업데이트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택배사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픽업 단말(600)은, 주유소를 거점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의 지역에서 발생하는 택배 픽업 요청을 접수하고, 접수된 요청 내에 포함된 주소지로 택배 물품을 픽업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픽업 단말(600)은, 픽업을 담당하는 사무소의 단말일 수도 있고, 직접 픽업을 하는 택배기사 등의 단말일 수도 있다. 그리고, 픽업 단말(600)은 자신의 실시간 위치를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공유하고,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현관 비밀번호 등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픽업 단말(6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픽업 단말(6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픽업 단말(6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주유소 단말(700)은, 주유소에 구비되어 기 설정된 반경 내의 택배 물품이 픽업되어 도착하면, 택배 물품에 부착된 송장 식별코드 등을 스캔 또는 리딩하여 택배가 거점(주유소)에 도착했다는 알림을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주유소 단말(700)은,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거점 제공에 대한 수수료를 정산받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주유소 단말(7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주유소 단말(7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주유소 단말(7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검색부(310), 전달부(320), 전송부(330), 업데이트부(340), 알림부(350) 및 동기화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요청 단말(100), 택배사 서버(500), 픽업 단말(600) 및 주유소 단말(700)로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요청 단말(100), 택배사 서버(500), 픽업 단말(600) 및 주유소 단말(700)은,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요청 단말(100), 택배사 서버(500), 픽업 단말(600) 및 주유소 단말(7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검색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메신저 서버(400)를 통하여 요청 단말(100)로부터 수집된 택배 접수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택배 접수 요청에 포함된 주소지를 기준으로 픽업 단말(600)을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메신저 서버(400)는, 요청 단말(100)의 택배 접수 요청을 음성인식 기반 AI 장치(800) 또는 메신저 내에 삽입된 챗봇 엔진을 통하여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지역은 B 주유소가 임시 거점이고, C,D,E 등의 픽업 업체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A-B-(C,D,E)로 매핑되어 관리되는데, C,D,E로 모두 요청을 보내고 이 중 픽업 승인이 오는 업체로 의뢰를 할 수 있다. 그리고, C,D,E에서 수거한 택배물품은 B 주유소로 모이게 되고, B 주유소에 집하된 택배 물품들은 택배사를 통하여 수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달부(320)는, 검색된 픽업 단말(600)로 택배 픽업 요청을 전송하고, 픽업 단말(600)의 픽업 지역, 픽업 단말(600)의 정보 및 택배 접수 요청을 택배사 서버(5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송장번호 등을 부여 및 발급받기 위하여 택배사 서버(500)로 정보를 보내는 것인데, 만약 송장도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생성하고 택배사 서버(500)로 전달하는 실시예라면, 택배사 서버(500)로 송장생성을 요청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주유소 단말(700)은 기 구획된 지역 내의 택배 물품을 보관하도록 기 구획된 지역과 일대일 매칭되고,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주유소 단말(700)을 식별하도록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기 구획된 지역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챗봇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인데,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를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단순 검색이나 조건부 명령 실행과 달리 사용자의 습관과 행동 패턴을 학습함으로써 텍스트 형식의 대화를 통해 사용자의 언어를 이해하고 마치 개인비서처럼 지시를 수행하는 앱 서비스 또는 일상적인 문자 대화로 사용자의 질문에 필요한 답변 또는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공지능기반의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이때, 챗봇은 물리적으로 서버에서 인공지능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질의를 분석하고 사용자는 앱 또는 웹으로 정보를 제공받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메신저 서버(400) 또는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사용자의 질의에 적절한 답변을 제공하기 위해 자연어처리(NLP), 상황인식, 빅데이터 분석 등의 기술과 서버와 사용자 사이에는 대규모 메시지 트래픽을 처리하는 하둡(hadoop)과 같은 분산 컴퓨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지능적인 챗봇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단순 규칙(pattern match, rule-based)기반이 아닌 온톨로지(Ontology)기반 지식베이스를 적용한 시스템을 적용할 수도 있다. 우선, 패턴에 따른 반응을 표현하는 방식으로미리 설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가 요청할만한 대화의 패턴을 저장한 후, 대화 요청이 왔을 때 어떤 대답을 해야 하는지 챗봇 엔진이 인식하고 처리하는 방법과, 자연어 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와 온톨로지(Ontology) 기반 검색 기술을 활용하여 명령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또한, 메신저와 같은 텍스트기반 챗봇은 패턴 인식(Pattern Recognition), 시멘틱 웹(Symantic Web),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 상황인지 컴퓨팅(Context Aware Computing)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주유소 단말(700)은, 수거 지역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대리점 식별번호가 부여될 수 있고, 택배 접수, 결제 영수증과 운송장의 출력을 위한 프린터, 운송장 판독을 위한 리더기와 연동될 수 있다. 그리고, 주유소 단말(700)은, 택배 주문의 접수 및 집하 관련정보를 수집하고, 택배 발송자와 수령자의 주소, 이름, 전화번호 정보, 내용물 상세정보, 택배 접수번호, 택배비용의 결제정보, 및 운송장 정보, 택배 접수된 주유소의 식별번호를 수집하여 택배사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330)는, 택배사 서버(500)로부터 생성되어 발송된 운송장 정보를 요청 단말(100) 및 픽업 단말(600)로 전송하고, 픽업 단말(600)로 픽업 이동 경로 및 현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요청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픽업 단말(600)에서 이동하는 도중에 또 다른 픽업 요청이 온 경우에는 경로를 수정하여 픽업 단말(600)로 최적의 경로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네비게이션을 통하여 픽업 단말(600)이 최적의 경로를 생성하지만, 네비게이션의 길이 최적의 경로가 아닌 경우도 종종 존재한다. 예를 들어, 동네에서 공사를 한다던지, 다른 길로 가면 더 빠르다던지 하는 지역 주민만의 노하우가 있는데,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더 빠르게 픽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전송부(330)에서 택배사 서버(500)로부터 생성되어 발송된 운송장 정보를 요청 단말(100) 및 픽업 단말(600)로 전송하고, 픽업 단말(600)로 픽업 이동 경로 및 현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요청 단말(100)로 전송할 때, 요청 단말(100)과 픽업 단말(600)의 위치를 파악하고 각 단말 간의 거리를 확인하고, 확인된 거리와 픽업 단말(600)의 이동 속도에 기반하여 이동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이동 시간이 기 설정된 대기시간 미만인 경우, 요청 단말(100)로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메세지는 요청 단말(100)에서 설정된 무음 또는 진동 모드를 무시하고 요청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 수단을 구동제어하여 출력되고, 메세지는 이동 시간이 감소함에 따라 빈도를 증가시켜 출력되도록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배를 포함한 물류 서비스가 디지털화 및 인공지능화되어 가고는 있지만, 여전히 택배기사가 집 앞에 도착했을 때에는 수취인 또는 택배를 수거하는 경우 수거요청인과 통화를 해서 집에 있는지를 확인하거나, 없는 경우에는 수거함 비밀번호를 확인하기 위해 통화나 메세지를 주고받고 있다. 특히, 택배가 오는지 모르고 있다가 전화까지 받지 못한 경우에는 택배기사는 택배를 배송지에 왔지만 배송완료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화를 못받아서 택배를 수거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화기의 설정을 모두 무시하고 모든 출력 기능을 활성화시켜 알려줌으로써 수거 요청인과 택배기사 모두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메세지는, 요청 단말(100)과 연동된 음성인식기반 AI 장치(50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택배기사님이 현관앞에 있습니다. 문을 열까요?"와 같을 수 있고, 픽업자의 단말인 픽업 단말(600)로부터 호 발신이 있는 경우에 상술한 현관문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이는, 대부분 택배기사 또는 픽업자가 전화를 하는 경우에는 집 앞에 있으니 문을 열어달라고 하거나 비밀번호를 묻기 위한 것이기 때문인데, 그렇지 않은 경우도 존재할 수 있으므로 항상 현관문 제어를 실시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업데이트부(340)는, 픽업 지역 내의 택배 물품을 수거 및 보관하는 주유소의 주유소 단말(700)에서 픽업된 택배에 부착된 식별코드를 리딩 또는 스캔하는 경우, 운송장 정보에 픽업 완료 로그를 부가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주유소에서는 송장 바코드, QR 코드 등을 스캔하는 단말을 더 포함할수 있으며, 스캔과 더불어 바로 송장에는 트래킹 정보(Tracking info)가 생성되어 요청 단말(100)에서 검색할 수 있다.
알림부(350)는, 요청 단말(100)로 적어도 하나의 메신저 서버(400)를 경유하여 택배의 주유소 도착 이벤트를 전송할 수 있다.
동기화부(360)는, 업데이트부(340)에서 픽업 지역 내의 택배 물품을 수거 및 보관하는 주유소의 주유소 단말(700)에서 픽업된 택배에 부착된 식별코드를 리딩 또는 스캔하는 경우, 운송장 정보에 픽업 완료 로그를 부가하여 업데이트한 후, 택배사 서버(500)로 주유소 단말(700)에 집하된 택배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택배 물류 프로세스에 대하여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제10-1669126호(2016년10월25일 공고)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집합건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택배 물품을 수거하기 위하여 인공지능 로봇을 이용할 수도 있다. 우선, 집합 건물 내부의 지도를 작성하고, 실제 집합건물, 예를 들어 아파트의 지형을 축소시키고, 로봇이 건물 내부 지형을 파악하도록 SLAM을 이용하여 집합건물 내부지도를 드로잉하고, 이를 로봇에게 학습시킬 수 있다. 이때, 요청 단말(100)은 로봇이 어디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픽업 요청을 한 후 실시간으로 수거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은 새로운 환경의 지도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하면서 동시에 물체의 위치를 추적하는 계산 알고리즘이다. 즉, 로봇이 미지의 환경을 탐색하면서 로봇에 장착된 센서만으로 로봇 스스로 자신의 위치를 추정하는 동시에 미지 환경의 지도를 작성하는 것이다. 이는 네비게이션의 자율 주행을 위한 핵심 기술이며 운전 차량, 무인 항공기, 유성 탐사선, 가정용 로봇, 심지어 인체 내부에서도 사용된다.
이때, 네비게이션은, 로봇에게 이동성을 준다는 의미에서 로봇의 활동 범위를 넓혀준다. 수거 알고리즘은, 로봇이 정해진 수거지까지 이동하여 물체를 수거하기 위해 필수로 갖추어야 할 기능은, 지도, 로봇 위치 계측/추정 기능, 벽, 물체 등 장애물 계측 기능, 최적 경로를 계산하고 주행하는 기능이 있다. SLAM을 이용하여 로봇이 자신의 위치 정보와 센서로부터 얻은 거리 정보에서 지도를 얻고, 이 지도와 로봇의 인코더, 관성 센서, 거리 센서 등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부터 지도상에 지정된 목적지까지 이동하게 되며, 이를 수행하는 순서는, 센싱, 위치추정, 모션 계획, 이동 및 장애물 회피이다. 센싱(Sensing)은, 지도상에서 로봇은 인코더와 관성 센서 등으로 거리 센서가 장착된 위치부터 장애물(벽, 물 체, 가구 등)과의 거리를 계측하고, 위치 추정(Localization/Pose Estimation)은, 인코더로부터 바퀴 회전량, 관성 센서로부터 관성 정보, 거리 센서로부터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 등을 기반으로 기존에 작성해 둔 지도상에 로봇이 현재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위치를 추정하게 된다. 모션 계획(Motion Planning)은, 이동 경로 계획(Path Planning)이라고도 불리며 현재 위치에서부터 지도상에 지정된 목표 지점까지 이동 궤적을 생성한다. 지도 전체의 전역 이동 경로 계획(Global Path Planning)과 로봇 중심으로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한 국부 이동 경로 계획(Local Path Planning)으로 나누어 로봇의 이동 경로를 만들 수 있다. 집합건물의 경우에는 구조가 층별로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으며, 엘레베이터를 조작하는 기능을 부가하는 경우, 모든 층의 택배를 수거할 수 있고, 픽업 단말(600)은 층마다 찾아다니지 않을지라도 로봇을 이용하여 한 동의 택배를 한 번에 수거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을 참조하면, (a)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메신저 서버(400)를 경유하여 요청 단말(100)로부터 택배 접수를 수신하고, 운송장을 발급하기 위해 택배사 서버(500)로 전송하여 요청으로 운송장을 받아 택배사에서 택배 접수에 대한 로그를 생성하도록 한다.
(b)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픽업 단말(600)로 픽업 요청을 하고, 주유소 단말(700)로 택배 정보를 전송하고, (c) 요청 단말(100)과 픽업 단말(600) 간의 거리 변화에 따라 알림 이벤트를 생성하여 요청 단말(100)로 전송하는데, (d)와 같이 음성인식기반 AI 장치(800)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통하여 현관문 제어 등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0분 거리에 있다면 10분 전임을, 5분 거리에 있다면 5 분전임을, 1분 거리에 있다면 1분 전, 또는 현관문 앞에 있다면 현관문 앞에 있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다.
(e)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픽업 단말(600)의 요청 단말(100)로의 호 발신을 감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픽업을 하러온 픽업자가 전화를 하는 경우는 대부분, 집에 요청자가 있는지, 없다면 수거함의 비밀번호는 무엇인지, 집이 어디인지를 묻거나 확인하는 전화이다. 이에 따라, 이러한 과정을 자동화하기 위해 시나리오별로 자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업자가 현관에 있다면 픽업 단말(600)이 현관의 위치에 있고, 픽업 단말(600)이 픽업을 하는 사람의 단말로 인증되었다면, 현관의 문을 열어주거나 비밀번호를 알려주고, 요청 단말(100)이 수거지에 위치하나 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에는 요청 단말(100)의 모든 출력 기능을 웨이크 업시켜 알람을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시나리오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음성인식기반 AI 장치(800)와 연동하여 각종 제어를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f) 이렇게 수거된 택배 물품들은 주유소 단말(500)을 통하여 리딩 또는 스캔함으로써 임시 거점인 주유소에 도착했다는 로그를 생성하여 택배사 단말(500)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때, 주유소 단말(700)이 커버하는 지역은 도 3b와 같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메신저 서버(400)를 경유하여 요청 단말(100)로부터 택배 접수 및 결제가 수행된 것을 전달받으면(S4100, S4200), 택배사 서버(500)로 택배 접수를 전송하고(S4300), 운송장을 수신한다(S4400). 그리고, 운송장을 픽업 단말(600)로 전송하거나 운송장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전송하여 택배의 픽업을 요청한다(S4500). 이때, 운송장에 대응하는 QR 코드나 바코드는 요청 단말(100)로 전달되어, 요청자가 프린트하여 택배 물품 상에 부착할 수도 있다. 이때, QR 코드나 바코드가 아닌 운송장 자체(QR 코드 또는 바코드 포함)가 전송될 수도 있고, 요청자가 스스로 프린트하여 부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픽업 단말(600)에서 프린트하여 픽업자가 부착할 수도 있다.
이때,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픽업 단말(600)의 위치를 공유하고 정보를 요청 단말(100)로 전송하며(S4600, S4700), 요청자와 픽업자의 위치, 이동 속도에 기반하여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하고(S4800),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인 경우(S4810), 요청 단말(100)로 픽업 기사가 도착한다는 메세지를 전송한다(S4820).
한편,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유소 단말(700)로부터 택배 스캔 정보가 수신되면(S4830), 요청 단말(100)로 알림을 전송하고(S4840), 택배사 서버(500)로부터 택배 위치의 알람이 전송되면(S4850), 요청 단말(100)로 전송함으로써 요청자가 지속적으로 조회하지 않아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4860). 그리고, 배송이 완료된 경우(S4900),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를 요청 단말(100)로 전송하고 배송 프로세스를 종료시킨다(S4910).
상술한 단계들(S4100~S491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1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메신저 서버를 통하여 요청 단말로부터 수집된 택배 접수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택배 접수 요청에 포함된 주소지를 기준으로 픽업 단말을 검색한다(S5100).
그리고,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는, 검색된 픽업 단말로 택배 픽업 요청을 전송하고, 픽업 단말의 픽업 지역, 픽업 단말의 정보 및 택배 접수 요청을 택배사 서버로 전달한다(S5200). 이때,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는, 택배사 서버로부터 생성되어 발송된 운송장 정보를 요청 단말 및 픽업 단말로 전송하고, 픽업 단말로 픽업 이동 경로 및 현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요청 단말로 전송한다(S5300).
또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는, 픽업 지역 내의 택배 물품을 수거 및 보관하는 주유소의 주유소 단말에서 픽업된 택배에 부착된 식별코드를 리딩 또는 스캔하는 경우, 운송장 정보에 픽업 완료 로그를 부가하여 업데이트하고(S5400), 요청 단말로 적어도 하나의 메신저 서버를 경유하여 택배의 주유소 도착 이벤트를 전송한다(S5500).
이와 같은 도 5의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메신저 서버를 통하여 요청 단말로부터 수집된 택배 접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택배 접수 요청에 포함된 주소지를 기준으로 픽업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픽업 단말로 상기 택배 픽업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픽업 단말의 픽업 지역, 픽업 단말의 정보 및 상기 택배 접수 요청을 택배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택배사 서버로부터 생성되어 발송된 운송장 정보를 상기 요청 단말 및 픽업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픽업 단말로 상기 픽업 이동 경로 및 현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요청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픽업 지역 내의 택배 물품을 수거 및 보관하는 주유소의 주유소 단말에서 상기 픽업된 택배에 부착된 식별코드를 리딩 또는 스캔하는 경우, 상기 운송장 정보에 픽업 완료 로그를 부가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단말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신저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택배의 주유소 도착 이벤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신저 서버는, 상기 요청 단말의 택배 접수 요청을 음성인식 기반 AI 장치 또는 상기 메신저 내에 삽입된 챗봇 엔진을 통하여 수집하고,
    상기 택배사 서버로부터 생성되어 발송된 운송장 정보를 상기 요청 단말 및 픽업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픽업 단말로 상기 픽업 이동 경로 및 현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요청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 단말과 상기 픽업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고 각 단말 간의 거리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거리와 상기 픽업 단말의 이동 속도에 기반하여 이동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이동 시간이 기 설정된 대기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요청 단말로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세지는 상기 요청 단말에서 설정된 무음 또는 진동 모드를 무시하고 상기 요청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 수단을 구동제어하여 출력되고, 상기 메세지는 상기 이동 시간이 감소함에 따라 빈도를 증가시켜 출력되도록 전송되고,
    상기 메세지는, 상기 요청 단말과 연동된 음성인식기반 AI 장치를 통하여 출력되는 것인,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소 단말은 기 구획된 지역 내의 택배 물품을 보관하도록 상기 기 구획된 지역과 일대일 매칭되고,
    상기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주유소 단말을 식별하도록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기 구획된 지역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인,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지역 내의 택배 물품을 수거 및 보관하는 주유소의 주유소 단말에서 상기 픽업된 택배에 부착된 식별코드를 리딩 또는 스캔하는 경우, 상기 운송장 정보에 픽업 완료 로그를 부가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택배사 서버로 상기 주유소 단말에 집하된 택배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45884A 2018-04-20 2018-04-20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29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884A KR101929491B1 (ko) 2018-04-20 2018-04-20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884A KR101929491B1 (ko) 2018-04-20 2018-04-20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491B1 true KR101929491B1 (ko) 2018-12-14

Family

ID=64743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884A KR101929491B1 (ko) 2018-04-20 2018-04-20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4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059B1 (ko) * 2019-08-19 2020-03-30 주식회사 성지씨엘엠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배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20125193A (ja) * 2019-02-06 2020-08-20 株式会社タツノ 物流システム及びサー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25193A (ja) * 2019-02-06 2020-08-20 株式会社タツノ 物流システム及びサーバ
KR102095059B1 (ko) * 2019-08-19 2020-03-30 주식회사 성지씨엘엠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배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0848B2 (en) Location-based pick up and delivery services
US10575136B2 (en) Secure location-based events and notifications
EP3506180A1 (en) Package delivery support system, package delivery support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and mobile unit
CN101657697B (zh) 对点地址产生参考地理编码的系统和方法
US105951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pdating directions to a container
KR101461063B1 (ko) 택배화물 배송시스템
EP1881712A1 (en) Communication device search system
KR102299328B1 (ko) Tms 기반 통합 물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1542546A (zh) 使用传感器网跟踪项目的系统和方法
CN104885110A (zh) 用于物品的递送的系统和方法
KR101955527B1 (ko) 배송기사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05002125A2 (en) Wireless control for creation of, and command response to, standard freight shipment messages
US10621842B2 (en) Auto-learning generation and use of objects checklist based on proximity control
KR101929491B1 (ko) 인공지능 기반 주유소를 이용한 단시간 택배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
CN109976325A (zh) 机器人管理物品的方法、装置及设备
CN107969167A (zh) 物理认知动作触发
CN116342009A (zh) 包裹配送方法、无人配送车及调度平台
KR101823110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대리운전 시스템 및 그에 의한 배차방법
KR20120026410A (ko) 택배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및 서버
KR101669126B1 (ko) 아파트 경비실을 이용한 택배 접수 및 배송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8479A (ko)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Laxmi et al. Automation in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CN108140163A (zh) 基于有源设备管理递送方法的通知
KR102007029B1 (ko) 물품 배송 시스템
KR20170131086A (ko) 배송 관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