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988B1 - 이동 단말기 및 그 일정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일정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988B1
KR101642988B1 KR1020090091752A KR20090091752A KR101642988B1 KR 101642988 B1 KR101642988 B1 KR 101642988B1 KR 1020090091752 A KR1020090091752 A KR 1020090091752A KR 20090091752 A KR20090091752 A KR 20090091752A KR 101642988 B1 KR101642988 B1 KR 101642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time
mobile terminal
predetermined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4274A (ko
Inventor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988B1/ko
Publication of KR20110034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일정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둘 이상의 일정의 시간이 중복되지 않더라도 위치 상으로 어느 한 일정의 수행이 불가능하면, 해당 일정의 수행이 불가능함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해당 일정의 수행 가능 시간을 제안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일정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다음 일정에 대한 알람 시간을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일정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일정 관리, 신규 일정 등록, 일정 알람, 위치 정보, 이동 시간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일정 관리 방법{MOBILE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SCHEDULE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일정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입력되는 신규 일정의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일정의 수행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일정 수행을 위한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일정 알람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일정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단말기는 보다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매체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형 멀티 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가 결합된 이동 단말기나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일정을 관리하는 일정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행해야할 일정들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일정이 수행될 시간에 맞 춰 일정 알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일정의 수행을 알려줄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이동 단말기는 일정이 수행될 시간 정보만을 이용하여 일정을 관리하거나 일정 알람을 출력하였다.
예를 들어, 종래의 이동 단말기는 두 일정의 시간이 중복되는 경우, 일정 중복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해당 일정이 수행 불가능한 일정임을 알려주었다. 따라서, 위치 또는 거리 상의 문제로 실제로는 수행 불가능한 일정이라도 시간이 중복되지 않으면 수행 가능한 일정으로 관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다음 일정이 수행될 위치까지의 이동 시간을 고려하지 않은 일정 알람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다음 일정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신규 일정 및 기존 일정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신규 일정의 수행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일정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여, 다음 일정의 위치까지 이동하기 위해 소요되는 이동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다음 일정의 알람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일정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 1 일정이 수행될 시간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일정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제 2 일정이 수행될 시간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일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제 1 및 제 2 일정 데이터의 위치 정보로부터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과 상기 제 1 및 제 2 일정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 가능 여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방법은 제 1 일정이 수행될 시간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일정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제 2 일정이 수행될 시간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일정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단계; 상 기 제 1 및 제 2 일정 데이터의 위치 정보로부터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과 상기 제 1 및 제 2 일정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 가능 여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둘 이상의 일정의 시간이 중복되지 않더라도 위치 상으로 어느 한 일정의 수행이 불가능하면, 해당 일정의 수행이 불가능함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해당 일정의 수행 가능 시간을 제안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일정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다음 일정에 대한 알람 시간을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일정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제 1 일정이 수행될 시간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일정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11), 제 2 일정이 수행될 시간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일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2), 상기 제 1 및 제 2 일정 데이터의 위치 정보로부터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과 상기 제 1 및 제 2 일정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13), 및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 가능 여부를 출력하는 출력부(14)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1)는 사용자로부터 제 1 일정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제 1 일정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새로운 일정으로서, 신규 일정으로 기재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1)를 통해 등록하고자 하는 신규 일정에 대한 일정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신규 일정 데이터는 신규 일정이 수행될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신규 일정 데이터는 신규 일정이 시작되는 시작 시간, 신규 일정이 종료되는 종료 시간 및 신규 일정이 수행되는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신규 일정이 수행되는 위치는 신규 일정이 수행되는 장소의 행정 구역 또는 주소지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부(11)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에 구비되는 키패드,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정 관리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1)를 통해 신규 일정이 수행될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규 일정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도 2에서 상기 신규 일정의 시작 시간은 2009년 1월 15일 오전 10시이며, 종료 시간은 동일자 오전 11시이며, 위치는 대한민국 서울시 종로구 종로3가동으로 신규 일정이 수행될 장소의 주소지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는 제 2 일정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제 2 일정 데이터는 제 2 일정이 수행될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일정은 사용자 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되는 제 1 일정과 다른 일정으로서, 사용자가 새로 입력하는 신규 일정과 달리 이동 단말기(10)의 메모리부(12)에 기저장된 기존 일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일정은 상기 제 1 일정의 직전 일정 또는 직후 일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일정은 상기 제 1 일정의 바로 전에 수행되는 직전 일정이거나, 상기 제 1 일정의 바로 뒤에 수행되는 직후 일정이거나, 직전 일정 및 직후 일정 둘 모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신규 일정과 메모리부(12)에 기저장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존 일정들을 비교하여 상기 신규 일정의 수행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신규 일정의 수행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제 1 및 제 2 일정 데이터의 위치 정보로부터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일정 간 이동 시 간과 상기 제 1 및 제 2 일정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제 1 일정 데이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2 일정 데이터의 위치 정보로부터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한다. 즉, 상기 제어부(13)는 두 일정이 수행될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어느 한 일정에서 다른 일정으로 이동하기 위해 소요되는 이동 시간을 계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제 1 일정이 수행될 위치와 상기 제 2 일정이 수행될 위치 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거리를 기설정된 이동 속도로 나누어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3)는 각각의 일정이 수행될 위치 간의 이동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이동 거리를 이동 속도로 나누어 두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일정들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도시한 일정표이다.
도 3에 도시된 신규 일정은 사용자가 새로 입력하는 제 1 일정이며, 직전 일정 및 직후 일정은 메모리부(12)에 저장된 제 2 일정이다.
즉, 사용자는 오전 8시부터 오전 9시까지 역삼동에서 직전 일정을 수행하기로 되어 있고, 오전 12시부터 오후 13시까지 이촌동에서 직후 일정을 수행하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오전 10시부터 오전 11시까지 종로 3가동에서 수행되는 신규 일정을 이동 단말기(10)에 등록하고자 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제 1 일정, 즉 신규 일정이 수행될 위치와 상기 제 2 일정, 즉 직전 일정 또는 직후 일정이 수행될 위치 간의 거리를 계산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계산된 거리를 기설정된 이동 속도로 나누어 각각의 일정들 간의 이동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직전 일정과 신규 일정 간의 이동 시간은 1시간 20분이며, 신규 일정과 직후 일정 간의 이동 시간은 30분이라고 가정한다.
상기 제어부(13)는 위와 같은 각각의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할 수 있으며, 상기 계산된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각각의 일정의 시간 정보와 비교하여 제 1 일정, 즉 신규 일정의 수행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일정이 수행될 시간과 상기 제 2 일정이 수행될 시간 간의 시간 간격을 계산하고,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이 불가능함을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일정 간 시간 간격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이 가능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전 일정과 신규 일정 간의 이동 시간은 1시간 20분이지만, 직전 일정의 종료 시간으로부터 신규 일정의 시작 시간까지는 1시간의 시간 간격이 있으므로, 두 일정 간 시간 간격인 1시간은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인 1시간 20분보다 짧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직전 일정으로 인해 상기 신규 일정의 수행 이 불가능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 일정과 직후 일정 간의 이동 시간은 30분이며, 신규 일정의 종료 시간으로부터 직후 일정의 시작 시간까지는 1시간의 시간 간격이 있으므로, 두 일정 간 시간 간격인 1시간은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인 30분보다 길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직후 일정과 비교하여 상기 신규 일정의 수행이 가능함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4)는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 가능 여부를 출력한다. 즉, 상기 출력부(14)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신규 일정의 수행 가능함 또는 수행 불가능함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일정 입력에 대해 피드백 정보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출력부(14)는 소정의 영상,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141) 및 소정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14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정 관리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41)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규 일정이 메모리부(12)에 저장된 기존 일정인 직전 일정으로 인해 수행 불가능하다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41)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규 일정에 의하면, 직전 일정의 위치로부터 신규 일정의 위치로 이동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표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시지는 스피커부(142)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출력부(14)는 상기 신규 일정이 수행 불가능함을 알리고, 상기 신규 일정의 등록 여부를 확인받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신규 일정은 등록될 것이며, '취소' 버튼을 누르면 상기 신규 일정의 등록은 취소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11)는 일정 간 이동 수단을 사용자로부터 더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일정 간 이동 수단에 따라 서로 다른 이동 속도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11)는 기존 일정과 신규 일정 간의 이동 수단을 사용자로부터 더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에서 사용자는 '승용차'를 선택하였으며, 이는 상기 직전 일정에서 신규 일정으로 승용차를 이용하여 이동하거나 신규 일정에서 직후 일정으로 승용차를 이용하여 이동함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정 간 이동 수단은 도보, 승용차, 버스, 지하철, 기차, 선박 및 비행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통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입력된 일정 간 이동 수단에 따라 서로 다른 이동 속도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정 간 이동 수단으로 '승용차'를 선택한 경우, '도 보'를 선택한 경우보다 더 빠른 이동 속도를 적용하여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동 속도는 상기 다수의 일정 간 이동 수단에 따라 서로 다른 값으로 메모리부(12)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출력부(14)는 상기 제 2 일정이 수행될 시간으로부터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시간만큼 이격된 시간을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 가능 시간으로 더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41)는 상기 제 2 일정, 즉 직전 일정의 종료 시간인 오전 9시로부터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 즉 1시간 20분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시간만큼 이격된 시간, 예컨대 오전 10시 20분 또는 그보다 늦은 시간을 상기 신규 일정의 수행 가능 시간으로 더 출력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신규 일정이 상기 직후 일정으로 인해 수행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는 상기 직후 일정의 시작 시간인 오전 12시로부터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 즉 30분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시각만큼 이격된 시간, 예컨대 오전 11시 30분 또는 그보다 이른 시간을 상기 신규 일정의 수행 가능 시간으로 더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신규 일정이 실행 불가능한 경우, 상기 계산된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신규 일정의 수행 가능 시간을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일정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14)는 상기 제 1 일정이 수행될 위치와 상기 제 2 일정이 수행될 위치 간의 다수의 이동 경로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11)는 상기 다수의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의 이동 경로를 선택받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선택된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정 관리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41)는 상기 제 1 일정, 즉 상기 신규 일정이 수행될 위치(61)와 상기 제 2 일정, 즉 직전 일정이 수행될 위치(62) 간의 다수의 이동 경로들(63,64,65)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된 다수의 이동 경로들(63,64,65)은 모두 시작점 및 종착점이 신규 일정이 수행될 위치 및 직전 일정이 수행될 위치인 서로 다른 이동 경로이다.
그리고 나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11)는 상기 다수의 이동 경로들(63,64,65) 중 어느 하나의 이동 경로를 선택받는다. 즉,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1)를 통해 상기 다수의 이동 경로들(63,64,65) 중 일정 간 이동을 위해 이용할 이동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선택된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는 보다 정확하게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할 수 있으며, 신규 일정의 수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다수의 이동 경로들(63,64,65) 중 다른 이동 경로를 선택하여 신규 일정의 수행 가능 여부를 다시 판단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상기 제 1 및 제 2 일정이 수행될 위치 정보를 외부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을 수신하는 통신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가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하지 않고, 제 1 일정 및 제 2 일정이 수행될 위치 정보를 외부 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외부 서버가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통신부(15)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15)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일정 및 제 2 일정이 수행될 위치 간의 이동 경로의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수신된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경로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보다 정확하게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신규 일정의 수행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일정 알람을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2 일정 데이터의 위치 정보로부터 이동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제 2 일정이 수행될 시간으로부터 상기 이동 시간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시간만큼 빠른 시간을 상기 제 2 일정의 알람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4)는 상기 알람 시간에 상기 제 2 일정에 대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의 현재 상태 정보와 다음 일정의 정보를 도시한 일정표이다.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16)는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16)가 획득한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현재 위치 정보는 '양재동'으로 행정구역의 주소지로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2 일정 데이터의 위치 정보로부터 이동 시간을 계산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일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부(12)에 저장된 기존 일정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바로 다음에 수행될 다음 일정을 의미한다.
상기 제 2 일정, 즉 다음 일정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한 제 2 일정 데이터는 메모리부(12)에 저장된다.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2 일정 데이터의 위치 정보로부터 이동 시간을 계산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제 2 일정이 수행될 위치 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거리를 기설정된 이동 속도로 나누어 상기 이동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다음 일정의 위치까지 이동하기 위해 소요되는 이동 시간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다음 일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다음 일정의 시작 시간으로부터 최소한 이동 시간만큼 이른 시간에 상기 다음 일정의 위치로 출발해야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제 2 일정이 수행될 시간으로부터 상기 이동 시간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시간만큼 빠른 시간을 상기 제 2 일정의 알람 시간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양재동이며, 사용자가 등록한 다음 일정의 위치는 서초동이라고 가정하고, 양재동에서 서초동까지의 이동 시간은 20분이라고 가정한다.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즉 양재동과 상기 제 2 일정 데이터의 위치 정보, 즉 서초동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 즉 이동 시간을 계산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 2 일정이 수행될 시간, 즉, 오후 15시로부터 상기 이동 시간, 즉 20분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시간만큼 이른 시간, 즉 오후 14시 40분 또는 그보다 이른 시간을 상기 제 2 일정의 알람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이동 시간 외에 별도의 준비 시간으로서 소정 시간을 더 계산하여 상기 제 2 일정의 알람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시간은 20분이지만, 별도의 준비 시간으로 10분을 추가하여, 상기 제 2 일정이 수행될 시간으로부터 상기 이동 시간 및 준비 시간만큼 이른 시간, 즉 14시 30분을 제 2 일정의 알람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준비 시간은 기설정된 값으로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출력부(14)는 상기 알람 시간에 상기 제 2 일정에 대한 알람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41)는 다음 일정의 시작 시간 및 위치를 메시지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다음 일정의 존재를 알리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알람은 스피커부(142)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다음 일정의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 소요되는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다음 일정의 존 재를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일정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16)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업데이트된 현재 위치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일정의 알람 시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16)는 한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이동 단말기(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13) 역시 한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 2 일정의 알람 시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 중인 경우에도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상기 제 2 일정의 알람 시간을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적합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정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S81)은 제 1 일정이 수행될 시간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일정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즉, 사용자 입력부(11)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일정이 수행될 시간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제 1 일정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일정은 사용자가 새로 입력하는 신규 일정으로서, 후술하는 메모리부(12)에 저장된 기존 일정인 제 2 일정과 다른 일정이다.
단계(S82)는 제 2 일정이 수행될 시간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일정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한다.
즉, 신규 일정과 다른 기존 일정인 제 2 일정이 수행될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가 메모리로부터 독출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2 일정은 상기 제 1 일정의 직전 일정 또는 직후 일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계(S83)은 상기 제 1 및 제 2 일정 데이터의 위치 정보로부터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 계산 단계는 상기 제 1 일정이 수행될 위치와 상기 제 2 일정이 수행될 위치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거리를 기설정된 이동 속도로 나누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일정 관리 방법은 일정 간 이동 수단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일정 간 이동 수단에 따라 서로 다른 이동 속도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S84)는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과 상기 제 1 및 제 2 일정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제 1 일정이 수행될 시간과 상기 제 2 일정이 수행될 시간 간의 시간 간격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보다 짧은 지 판단하는 단계(단계(S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보다 짧은 경우, 단계(S88)은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이 불가능함을 결정한다.
실시예에 따라, 단계(S89)는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 가능 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과 동일하거나 더 긴 경우, 단계(S86)은 상기 제 1 일정이 수행 가능한 것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S87)은 상기 제 1 일정을 일정 등록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정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S91)은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즉,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16)는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S92)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제 2 일정 데이터의 위치 정보로부터 이동 시간을 계산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일정은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바로 다음에 수행되는 다음 일정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동 시간 계산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제 2 일정이 수행될 위치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거리를 기설정된 이동 속도로 나누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93)은 상기 제 2 일정이 수행될 시간으로부터 상기 이동 시간과 동일 또는 그 이상의 시간만큼 빠른 시간을 상기 제 2 일정의 알람 시간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정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다음 일정의 위치까지 이동하기 위해 소요되는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다음 일정의 존재를 알려줄 수 있다.
단계(S94)는 현재 시간이 알람 시간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현재 시간이 상기 알람 시간과 일치하면, 단계(S95)는 상기 제 2 일정에 대한 알람을 출력한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일정 관리 방법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현재 위치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일정의 알람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16)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이동 단말기(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2 일정의 알람 시간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시간 간격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5),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1), 센싱부(140), 출력부(14), 메모리(12), 인터페이스 부(170), 제어부(13)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5)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5)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획득부(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2)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획득부(16)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4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2)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5)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1)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4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출력부(14)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41)과 스피커부(14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 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4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스피커부(14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5)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2)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스피커부(14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스피커부(14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41)이나 음성 출력 모듈(14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2)는 제어부(13)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2)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2)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3)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3)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3)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3)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3)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2)에 저장되고, 제어부(13)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위에 설명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정 관리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일정들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도시한 일정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현재 상태 정보와 다음 일정의 정보를 도시한 일정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정 관리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정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정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Claims (20)

  1. 제 1 일정이 수행될 시간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일정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제 2 일정이 수행될 시간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일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제 1 및 제 2 일정 데이터의 위치 정보와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로부터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과 상기 제 1 및 제 2 일정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 가능 시간을 계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 가능 시간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일정 간 이동 수단을 더 입력 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 간 이동 수단에 더 기초하여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 2 일정이 수행될 시간으로부터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과 동일 또는 그 이상의 시간만큼 이격된 시간을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 가능 시간으로 더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 1 일정이 수행될 위치와 상기 제 2 일정이 수행될 위치 간의 다수의 이동 경로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다수의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의 이동 경로를 선택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2 일정 데이터의 위치 정보로부터 이동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제 2 일정이 수행될 시간으로부터 상기 이동 시간과 동일 또는 그 이상의 시간만큼 빠른 시간을 상기 제 2 일정의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알람 시간에 상기 제 2 일정에 대한 알람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기 설정된 이동 속도에 더 기초하여 상기 이동 시간을 계산하는 이동 단말기.
  7.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일정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 1 일정이 수행될 시간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일정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제 2 일정이 수행될 시간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일정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일정 데이터의 위치 정보와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로부터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과 상기 제 1 및 제 2 일정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 가능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 가능 시간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일정 관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일정이 수행될 위치와 상기 제 2 일정이 수행될 위치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거리를 기 설정된 이동 속도로 나누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일정 관리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일정의 수행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일정의 수행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일정이 수행될 시간과 상기 제 2 일정이 수행될 시간 간의 시간 간격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일정 간 이동 시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 1 일정의 수행이 불가능함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일정 관리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2 일정 데이터의 위치 정보로부터 이동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 2 일정이 수행될 시간으로부터 상기 이동 시간과 동일 또는 그 이상의 시간만큼 빠른 시간을 상기 제 2 일정의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알람 시간에 상기 제 2 일정에 대한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일정 관리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90091752A 2009-09-28 2009-09-28 이동 단말기 및 그 일정 관리 방법 KR101642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752A KR101642988B1 (ko) 2009-09-28 2009-09-28 이동 단말기 및 그 일정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752A KR101642988B1 (ko) 2009-09-28 2009-09-28 이동 단말기 및 그 일정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274A KR20110034274A (ko) 2011-04-05
KR101642988B1 true KR101642988B1 (ko) 2016-07-26

Family

ID=44042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752A KR101642988B1 (ko) 2009-09-28 2009-09-28 이동 단말기 및 그 일정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9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901B1 (ko) 2012-08-16 2019-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KR102352564B1 (ko) * 2017-03-28 2022-01-19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사용자의 할일 목록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9650A (ja) * 2001-03-02 2002-09-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ケジュール調整方法、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および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
KR100619371B1 (ko) * 2005-03-03 2006-09-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05295B1 (ko) 2006-12-07 200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스케줄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703B1 (ko) * 2006-05-18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케줄 정보를 이용한 출발시각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9650A (ja) * 2001-03-02 2002-09-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ケジュール調整方法、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および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
KR100619371B1 (ko) * 2005-03-03 2006-09-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05295B1 (ko) 2006-12-07 200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스케줄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274A (ko) 201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552B1 (ko)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의 네비게이팅 방법
KR10169059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아이콘 관리 방법
US8200427B2 (en) Method for providing POI information for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122975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719653B1 (ko) 이동 단말기, 전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1495166B1 (ko) 차량 항법 방법 및 그 장치
US8457895B2 (en) Mobile vehicle navig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CN106325798A (zh) 一种实现多屏内容显示的方法及装置
KR20120137602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에서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방법
KR10164298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일정 관리 방법
KR2015001789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32370B1 (ko) 이동 단말기
KR10172679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기반한 스케쥴 알림 정보 제공 방법
KR20150027613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622847B1 (ko) 위치 정보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5346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
KR20160053466A (ko) 지도 정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2015002525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70130066A (ko) 이동 단말기를 통한 비콘 부착 원격 제어 장치 위치 알림 시스템
KR20130104133A (ko)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의 콘텐츠 송수신 방법
KR20120137727A (ko) 이동 단말기
KR10163802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KR20100024791A (ko) 이동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101562584B1 (ko) 차량 항법 방법
CN117784195A (zh) 定位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