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460A -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460A
KR20140023460A KR1020120088590A KR20120088590A KR20140023460A KR 20140023460 A KR20140023460 A KR 20140023460A KR 1020120088590 A KR1020120088590 A KR 1020120088590A KR 20120088590 A KR20120088590 A KR 20120088590A KR 20140023460 A KR20140023460 A KR 20140023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ata
screen
block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7740B1 (ko
Inventor
김홍철
김철세
송인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8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740B1/ko
Priority to TW101144370A priority patent/TWI488162B/zh
Priority to US13/686,919 priority patent/US9285933B2/en
Priority to CN201210536228.3A priority patent/CN103593098B/zh
Publication of KR20140023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4Synchronisation with the driving of the display or the backlighting unit to avoid interferences generated intern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 변화에 따른 터치 오류를 감소시켜 터치 센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화소들에 프레임 단위의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고, 일정 개수의 화소들로 구성된 터치 블록들의 평균 휘도를 산출하는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 및 상기 터치 블록들에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화면 변화에 따른 화소들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보상하여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IC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면 변화에 따른 터치 오류를 감소시켜 터치 센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이에 적용할 수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flat panel display apparatus)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apparatus),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pparatus),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EPD: Electrophoretic Display apparatus) 등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양산 기술의 발전, 구동수단의 용이성, 저전력 소비, 고화질 및 대화면 구현의 장점으로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력 장치로서 종래에 적용되었던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대체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직접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은 네비게이션(navigation), 산업용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금융 자동화기기, 게임기 등과 같은 모니터; 휴대전화기, MP3, PDA, PMP, PSP, 휴대용 게임기, DMB 수신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및 냉장고, 전자 레인지, 세탁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누구나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감지 방식에 따라서 저항 방식, 정전 용량 방식 및 적외선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제조 방식의 편의성 및 센싱 성능이 우수한 정전 용량 방식이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은 구조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셀 내에 내화되는 인셀 방식, 디스플레이 패널 상부에 형성되는 온셀 방식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에 별도로 터치 스크린이 결합되는 애드온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에 들어 디자인 미감 및 슬림화의 장점이 있는 인셀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화면 변화에 의해서 오토 터치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드라이버 IC(20, Driver Integrated Circuit) 및 터치 IC(30, Touch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에는 복수의 화소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 개수의 화소들(예로서, 가로64×세로64)을 터치 그룹(12)으로 구성하여 터치 스크린을 형성한다. 이때, 터치 그룹마다 화소에 공통전압(Vcom)을 공급하는 공통 전극을 형성한다. 각 터치 그룹(12)들의 공통 전극은 별도의 터치 라인(미도시)을 통해 터치 IC(30)와 접속되고, 공통 전극을 터치 전극으로 구동시켜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 한다.
인셀 터치(in-cell touch) 방식은 디스플레이를 위한 화소와 터치 검출은 위한 터치 스크린이 함께 형성되어 있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와 터치 센싱을 시간적으로 분할하여 구동한다. 터치 센싱 기간(비 표시 기간)에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가 이루어진 터치 블록(12)은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되고, 터치 IC(30)가 터치 블록(12) 별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터치 유무 및 위치를 센싱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구간 완료 시(gate off 상태) 디스플레이 패널(10) 내의 화소 전극(pixel electrode)는 플로팅(floating) 상태가 된다. 그러나, 게이트화 화소 간 오버랩 커패시턴스(overlap capacitance) 및 커플링(coupling)으로 인해 화소 전극이 완전환 플로팅 상태가 되지 않아 공통 전극과 화소 전극 사이에 커패시턴스가 형성된다.
공통 전극과 화소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는 스토리지 커패시턴스(Cst)와 프린지 필드(fringe field)에 의해 형성되는 액정 커패시턴스(Clc)로 구분된다. 이때, 화면 변화에 따라서 액정 커패시턴스가 변화되어 초기 커패시턴스(initial capacitance)의 변화가 크게 발생된다. 이로 인해, 터치 센싱에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이 변화하면, 예로서, 블랙 화면에서 화이트 화면으로 전환 또는 화이트 화면에서 블랙 화면으로 전환되면 액정층의 정전용량이 변화되어 초기 커패시턴스(initial capacitance)가 변화된다. 예로서, 디스플레이 화면이 풀 블랙(full black)에서 풀 화이트(full white)로 전환 시, 터치 로우 데이터(touch raw data) 변화량은 평균적으로 150~200이 된다.
화면 변화에 의해서 화소들의 초기 커패시턴스의 변화가 심하게 변하는데,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에 따른 커패시턴스의 변화보다 더 큰 커패시턴스의 변화가 유발된다. 따라서, 화면의 휘도가 크게 변화될 때마다 액정층의 정전용량이 변화되어 터치 오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터치 IC(30)는 터치 블록(12)의 터치 로우 데이터의 변화가 120을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데, 즉, 실제 터치가 없어도 터치가 된 것으로 오동작 되는 오토 터치(auto touch) 오류가 발생되어 화면이 변화될 때 터치 센싱의 신뢰성에 심각한 장애 요인이 발생한다.
한편, 화상의 휘도 별 터치 로우 데이터의 변화량(?data)은 대체적으로 2.2 감마 커브화 유사한 추세를 보이고, 터치 민감도(touch sensitivity)가 증가하면 화면 전환에 따른 터치 로우 데이터의 변화량도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터치 센싱 성능을 높이는 것에 제약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가 완료된 이후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상 편차에 따른 불량 대응 및 재가공(rework)이 불가능하므로 화면 변화에 따른 터치 오류를 개선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면 변화에 따른 터치 오류 특히, 오토 터치(auto touch)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 센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산 시 디스플레이 패널의 편차에 따른 터치 불량율 및 재가공(rework)을 감소시킬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 민감도의 증가에 따른 터치 에러 데이터의 증가량을 보상하여, 터치 민감도를 높이면서도 오토 터치로 인한 터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화소들에 프레임 단위의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고, 일정 개수의 화소들로 구성된 터치 블록들의 평균 휘도를 산출하는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 및 상기 터치 블록들에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화면 변화에 따른 화소들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보상하여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I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은, 프레임 단위의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터치 블록을 구성하는 서브 화소들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화소들의 터치 에러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화소들의 터치 에러 데이터에 기초하여 터치 블록 별 터치 에러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 블록 별 터치 에러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면 변화에 따른 상기 터치 블록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블록 별 터치 에러 데이터를 센싱 된 터치 로우 데이터에 반영하여 터치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화면 변화에 따른 터치 오류 특히, 오토 터치(auto touch)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터치 센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산 편차에 따른 터치 불량율 및 재가공(rework)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터치 민감도의 증가에 따른 터치 에러 데이터의 증가량을 보상함으로써 터치 민감도를 높이면서도 오토 터치로 인한 터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산성을 높이고, 터치 불량률을 저감하여 제품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화면 변화에 의해서 오토 터치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브 IC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터치 데이터의 보상을 통해 터치 오류가 개선 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핵심 구성과 관련이 없는 경우 및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구성과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층의 배열을 조절하는 방식에 따라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그 중에서, IPS 모드와 FFS 모드는, 하부 기판(TFT 어레이 기판) 상에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을 형성하고,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전계에 의해 액정층의 배열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특히, IPS 모드는,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을 평행하게 교대로 배열함으로써 양 전극 사이에서 수평전계를 일으켜 액정층의 배열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FFS 모드는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이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하나의 전극은 판(plate) 형상 또는 패턴으로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전극은 핑거(finger)형상으로 형성한다.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발생되는 프린지 필드(Fringe Field)를 통해 액정층의 배열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TN 모드, VA 모드, IPS 모드 및 FFS 모드의 액정 패널이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에서는 FFS 모드의 액정 패널에 터치 스크린이 일체화되어 화상의 디스플레이 및 터치 센싱이 이루어지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브 IC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드라이버 IC(200, Driver Integrated Circuit), 터치 IC(300, Touch Integrated Circuit), 룩업 테이블(310, LUT: look-up table),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빛을 공급하는 미도시 된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및 미도시 된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상부 기판(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하부 기판(TFT 어레이 기판) 및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의해 복수의 화소가 정의된다.
복수의 화소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각 화소에는 스위칭 소자인 TFT, 스토리지 커패시터,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화소는 RGB 3개의 서브 화소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TN(Twisted Nematic) 모드 및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이 수직 전계를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공통 전극이 상부 기판에 형성된다. 한편,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또는 FFS(Fringe Field Switching)와 같이 수평 전계 또는 프린지 필드를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공통 전극이 하부 기판에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의 화소는 화소 전극에 공급된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극에 공급된 공통 전압(Vcom)에 의해 형성된 전계에 따라 액정의 배열을 조절하고, 액정의 배열을 조절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에서 조사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일정 개수의 화소들(예로서, 가로64×세로64)을 하나의 터치 그룹(120)으로 구성하고, 복수의 터치 그룹(120)으로 터치 스크린을 형성한다. 이때, 터치 그룹(120)마다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각 터치 그룹(120)들의 공통 전극은 별도의 터치 라인(미도시)을 통해 터치 IC(300)와 접속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인셀 터치(in-cell touch)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를 위한 화소와 터치 검출은 위한 터치 스크린이 터치 스크린이 일체화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와 터치 센싱을 시간적으로 분할하여 구동한다.
표시 기간에는 각 화소의 화소 전극에 영상 데이터에 따른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고, 터치 블록(120) 단위로 형성된 공통 전극에 공통전압을 공급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한편, 비 표시 기간에는 터치 블록(120)의 공통 전극을 터치 전극으로 구동시켜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드라이버 IC(200)는 타이밍 컨트롤러(210, timing controller), 게이트 드라이버(220, gate driver), 데이터 드라이버(230, data driver) 및 터치 데이터 보정부(240, touch data compensator)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백라이트 유닛에 구성된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동시키기 위한 LED 드라이버 및 구동 회로들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소형 사이즈로 제조되어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210), 게이트 드라이버(220), 데이터 드라이버(230) 및 터치 데이터 보정부(240)는 하나의 칩(single chip)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터치 데이터 보정부(240)를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하지 않고, 데이터 드라이버(230) 내부에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중형 사이즈 이상으로 제조되어 모니터 또는 TV에 적용되는 경우, 게이트 드라이버(220)는 ASG(Amorphous Silicon Gate) 방식 또는 GIP(Gate In Panel) 방식으로 액정 패널의 기판 위에 직접화 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210), 데이터 드라이버(230) 및 터치 데이터 보정부(240)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부 구성들이 하나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1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DATA)를 정렬하여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형태의 RGB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230)에 공급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210)는 입력되는 타이밍 신호(TS)를 이용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20)의 제어를 위한 게이트 제어 신호(GCS) 및 데이터 드라이버(230)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생성한다. 타이밍 신호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및 클럭신호(CLK)를 포함한다.
게이트 제어 신호(GCS)를 게이트 드라이버(220)에 공급하고,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데이터 드라이버(230)에 공급한다.
데이터 제어 신호(DCS)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 Source Start Pulse), 소스 샘플링 클럭(SSC: Source Sampling Clock), 소스 출력 인에이블(SOE: Source Output Enable) 및 극성 제어(POL: Polarity)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제어 신호(GCS)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Gate Start Pulse),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 Gate Shift Clock) 및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GOE: Gate Output Enable)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220)는 타이밍 컨트롤러(210)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GCS)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소들에 형성된 TFT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캔 신호(게이트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스캔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화소들의 TFT를 구동시킨다.
데이터 드라이버(230)는 타이밍 컨트롤러(210)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R, G, B)를 감마 전압(GMA)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데이터 신호)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데이터 드라이버(230)는 타이밍 컨트롤러(210)로부터의 데이터 제어 신호(DCS)에 기초하여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을 패널(100)의 데이터 라인들을 통해 복수의 화소에 공급한다. 또한, 데이터 드라이버(230)는 공통 전압(Vcom)을 생성하여 복수의 터치 블록(120)에 공급하여 화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면 변화에 따른 화소의 정전용량 변화로 인해 터치 센싱에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화면 변화에 따른 화소들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보상하여 오토 터치 불량의 발생을 방지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결부하여 터치 데이터 보정부(240) 및 터치 IC(300)에 대한 설명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데이터 보정부(240)는 데이터 드라이버(230)로부터 입력된 1프레임 단위의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서브 화소들의 휘도를 산출한다. 이후, 서브 화소들의 휘도 변화에 따라서 터치 데이터가 변화될 수 있음으로, 상기 서브 화소들의 휘도에 기초하여 서브 화소들의 터치 데이터의 보정 값 즉, 터치 데이터 에러 값을 산출한다.
개별 터치 블록(120)을 구성하는 서브 화소들의 터치 데이터 에러 값의 총 합을 서브 화소들의 개수로 나누어 터치 블록 별 평균 터치 데이터 보정 값(터치 데이터 에러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터치 블록 별 평균 터치 데이터 보정 값을 터치 IC(300)에 공급한다.
하나의 터치 블록(120)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들은 하나의 공통 전극을 공유하여 화상을 표시함과 아울러, 비 표시 기간에 각 터치 블록(120)의 공통 전극을 터치 전극으로 기능시켜 터치를 센싱 함으로 터치 데이터 보정부(240)는 터치 블록 별로 평균 터치 데이터 보정 값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터치 데이터 보정부(240)는 데이터 드라이버(230)로부터 입력된 1프레임 단위의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터치 블록(120) 별로 평균 휘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터치 블록 별 평균 휘도 정보를 터치 IC(300)에 공급한다. 이때, 개별 터치 블록(120)을 구성하는 서브 화소들의 휘도 값을 더한 후, 서브 화소들의 개수로 나누어 각 터치 블록(120)의 평균 휘도를 산출한다. 이후, 터치 블록 별 평균 휘도에 기초하여 터치 블록 별 평균 터치 데이터 보정 값(터치 데이터 에러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터치 블록 별 평균 터치 데이터 보정 값을 터치 IC(300)에 공급한다.
하나의 터치 블록(120)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들은 하나의 공통 전극을 공유하여 화상을 표시함과 아울러, 비 표시 기간에 각 터치 블록(120)의 공통 전극을 터치 전극으로 기능시켜 터치를 센싱 함으로 터치 데이터 보정부(240)는 터치 블록(120) 별로 평균 휘도를 산출한다.
터치 IC(300)는 미 도시된 터치 라인을 통해 복수의 공통 전극 각각에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각 터치 블록(120)에 형성된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한다. 비 표시 기간(터치 센싱 기간)에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가 이루어진 터치 블록(120)은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되고, 터치 IC(300)가 터치 블록(120) 별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터치 유무 및 위치를 센싱 한다.
여기서,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기간과 터치를 센싱하는 비 표시 기간 사이에 터치 블록(120) 별로 산출된 평균 휘도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치 블록(120) 별로 산출된 평균 휘도 정보의 송수신 화면의 표시를 위한 데이터의 전송과 터치 검출은 위한 터치 신호들의 전송에 저해되지 않도록 유연하게 조절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데이터 보정부(240)에서 이미지 데이터의 분석에 따른 터치 블록 별 평균 터치 데이터 보정 값(터치 데이터 에러 값)은 터치 IC(300)에 입력되고, 터치 IC(300)는 터치 블록 별 평균 터치 데이터 보정 값(터치 데이터 에러 값)에 기초하여 화면 변화에 따른 터치 블록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보상한다. 이때, 센싱 된 터치 로우 데이터(touch raw data)에서 터치 블록 별 평균 터치 데이터 보정 값(터치 데이터 에러 값)을 차감하여 화면 변화에 따른 터치 에러 값을 보상한다.
다른 예로서, 화면의 휘도 변화가 큰 터치 블록에 대해 평균 터치 데이터 보정 값(터치 데이터 에러 값)을 터치 판단 기준 데이터에 반영하여 화면의 휘도 변화에 의한 오토 터치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룩업 테이블(310)에는 입력 데이터 즉, 터치 블록의 서브 화소들의 휘도에 따른 터치 에러 데이터 즉, 터치 데이터 에러 값이 맵핑되어 있고, 터치 IC(300)는 터치 블록 별 평균 휘도에 대응되는 터치 데이터 에러 값을 로딩한다. 터치 IC(300)는 터치 블록 별 평균 휘도에 대응되는 터치 데이터 에러 값을 참조하여 화면 변화에 따른 터치 블록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보상한다.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의 휘도가 0gray인 경우에는 터치 데이터의 에러 값이 0되고, 화상의 휘도가 186gray인 경우에는 터치 데이터의 에러 값이 80이 되고, 화상의 휘도가 255gray인 경우에는 터치 에러 값이 200이 된다.
여기서, 터치 유무 판단의 기준 데이터가 120으로 설정된 경우에, 0gray에서 255gray(블랙에서 화이트)로 화면이 변화되면 화면 변화로 인해서 터치 에러 값이 200이 되므로 터치 유무 판단의 기준 데이터인 120보다 커져 오토 터치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터치 블록 별 서브 화소들의 휘도 정보에 기초한 분석을 통해 터치 블록 별 평균 터치 데이터 보정 값(터치 데이터 에러 값)을 산출하고, 이를 센싱 된 터치 로우 데이터에 반영하여 화면 변화에 따른 터치 오류를 보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랙 화면에서 화이트 화면으로 전환 시, 화면 변화에 영향 없이 터치 에러 데이터가 보상되어 화면 변화에 따른 오토 터치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9를 참조하면, 터치 IC(300)는 룩업 테이블(310)에 맵핑 된 터치 데이터 에러 값을 반영하여 휘도 변화가 큰 터치 블록의 터치 유무의 판단 시, 터치 기준 데이터를 조정한다. 즉, 터치 IC(300)에 입력된 터치 블록의 휘도에 대응하는 터치 보정 데이터를 룩업 테이블(310)에서 참조하여 화면 변화에 따라서 예상치 않게 변화된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보상함으로써, 터치 블록(120)들의 터치 오류 발생을 방지하여 터치 센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드라이버 IC(200)와 터치 IC(300)가 별도의 칩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드라이버 IC(200)와 터치 IC(30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별도의 통신 프로토콜을 구비한다. 한편, 드라이버 IC(200)와 터치 IC(300)가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하드웨어 설계 및 통신 프로토콜 설계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도 10은 터치 데이터의 보상을 통해 터치 오류가 개선 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여러 가지 테스트 패턴을 자동 변화하도록 실행하여 랜덤 이미지(random image)에서의 터치 블록 별 평균 터치 데이터 보정 값을 적용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터치 데이터 보정 값을 적용할 경우, 화면이 변화되더라도 터치 에러 데이터의 편차가 터치 판단 기준 이하로 형성되어 터치 오류가 발생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터치 데이터 보정 값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 화면이 변화될 때 터치 에러 데이터의 편차가 터치 판단 기준을 초과하여 터치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터치 IC(300)에 입력된 터치 블록 별 평균 터치 데이터 보정 값(터치 데이터 에러 값)에 대응하는 터치 보정 데이터를 룩업 테이블(310)에서 참조하여 화면 변화에 따라서 예상치 않게 변화된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보상함으로써, 터치 블록(120)들의 터치 오류 발생을 방지하여 터치 센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 기술은 터치 민감도가 증가할수록 화면 전환에 따른 터치 에러 데이터도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터치 민감도를 높이는 것에 제약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터치 민감도의 증가에 따른 터치 에러 데이터의 증가량을 보상함으로써 터치 민감도를 높이면서도 오토 터치로 인한 터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시, 양상 편차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터치 불량이 발생될 수 있지만 양산이 완료된 제품의 재가공(rework)은 제약 사항이 많아 터치 불량의 개선하는데 제약이 있었다. 이와 대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양산 편차에 따라 터치 에러 데이터를 보상하여, 양상 편차에 따른 터치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산성을 높이고, 터치 불량률을 저감하여 제품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패널 200: 드라이버 IC
210: 타이밍 컨트롤러 220: 게이트 드라이버
230: 데이터 드라이버 240: 터치 데이터 보정부
300: 터치 IC 310: 룩업 테이블

Claims (10)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화소들에 프레임 단위의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고, 일정 개수의 화소들로 구성된 터치 블록들의 평균 휘도를 산출하는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 및
    상기 터치 블록들에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화면 변화에 따른 화소들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보상하여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I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IC는,
    상기 터치 블록 별 터치 에러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면 변화에 따른 터치 블록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IC는,
    화면의 휘도 변화로 인한 터치 블록 별 터치 에러 데이터를 터치 판단 기준 데이터에 반영하여 터치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IC는,
    상기 터치 블록 별 터치 에러 데이터를 센싱 된 터치 로우 데이터에 반영하여 터치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블록의 서브 화소 별 휘도 데이터에 따른 터치 보정 데이터가 맵핑 된 룩업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IC는 상기 룩업 테이블에 맵핑 된 터치 보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화면 변화에 따른 터치 블록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IC는,
    입력된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의 이미지 데이터로 정렬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들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들에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및
    상기 터치 블록들의 평균 터치 에러 데이터를 산출하는 터치 데이터 보정부를 포함하여 하나의 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7. 프레임 단위의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터치 블록을 구성하는 서브 화소들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화소들의 터치 에러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화소들의 터치 에러 데이터에 기초하여 터치 블록 별 터치 에러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 블록 별 터치 에러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면 변화에 따른 상기 터치 블록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블록 별 터치 에러 데이터를 센싱 된 터치 로우 데이터에 반영하여 터치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 변화에 따른 터치 에러 데이터를 터치 판단 기준 데이터에 반영하여 터치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블록의 서브 화소 별 휘도 데이터에 따른 터치 보정 데이터가 룩업 테이블에 맵핑되어 있고,
    상기 터치 보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화면 변화에 따른 터치 블록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블록의 휘도 변화에 의한 터치 블록 별 터치 에러 데이터를 터치 유무 판단에 반영하여 오토 터치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20088590A 2012-08-13 2012-08-13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447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590A KR101447740B1 (ko) 2012-08-13 2012-08-13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TW101144370A TWI488162B (zh) 2012-08-13 2012-11-27 具有整合式觸控螢幕的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US13/686,919 US9285933B2 (en) 2012-08-13 2012-11-28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201210536228.3A CN103593098B (zh) 2012-08-13 2012-12-12 具有集成触摸屏的显示装置和驱动该显示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590A KR101447740B1 (ko) 2012-08-13 2012-08-13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460A true KR20140023460A (ko) 2014-02-27
KR101447740B1 KR101447740B1 (ko) 2014-10-07

Family

ID=50065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590A KR101447740B1 (ko) 2012-08-13 2012-08-13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85933B2 (ko)
KR (1) KR101447740B1 (ko)
CN (1) CN103593098B (ko)
TW (1) TWI48816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983A (ko) * 2015-04-30 2016-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20083523A (ko) 2020-12-11 2022-06-20 이재하 스마트폰,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해 수동 제어가 가능하며 gps 기능과 모션인식 센서를 통해 자동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온도 조절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8857A1 (en) * 2014-05-06 2015-11-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apacitive touch sensor and method
US9753587B2 (en) * 2014-06-05 2017-09-05 Synaptics Incorporated Driving sensor electrodes for absolute capacitive sensing
KR101637174B1 (ko) * 2014-06-30 2016-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US9939972B2 (en) 2015-04-06 2018-04-10 Synaptics Incorporated Matrix sensor with via routing
US9671915B2 (en) 2015-06-30 2017-06-06 Synaptics Incorporated Avoidance of bending effects in a touch sensor device
US9971463B2 (en) 2015-09-29 2018-05-15 Synaptics Incorporated Row-based sensing on matrix pad sensors
KR102460375B1 (ko) * 2015-10-22 2022-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N105629597B (zh) * 2016-01-14 2019-06-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显示驱动方法、制作方法、显示装置
US10775920B2 (en) * 2016-03-23 2020-09-15 Himax Technologies Limited Driver integrated circuit applying image processing driving method and touch display system
KR102042079B1 (ko) * 2016-06-17 2019-11-07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터치 디스플레이 기판,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기판을 갖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픽셀 배열 및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CN106023926B (zh) * 2016-07-15 2019-06-1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以及改善触控显示装置的方法
CN106468982B (zh) * 2016-08-31 2019-03-01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触摸显示控制装置和方法
KR102618596B1 (ko) * 2016-09-30 2023-12-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 내장형 표시장치
CN106847142A (zh) * 2017-02-23 2017-06-13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栅极驱动电路的检测装置及检测方法
JP2018190095A (ja) * 2017-04-28 2018-11-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検出装置、表示装置及び検出方法
CN109710109B (zh) * 2018-12-28 2023-06-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电子装置和存储介质
US11893185B2 (en) * 2021-09-17 2024-02-06 Apple Inc. Pixel array and touch array crosstalk mitigation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7240B2 (en) 2005-05-31 2009-07-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etection of and compensation for stray capacitance in capacitive touch sensors
KR100942293B1 (ko) * 2007-07-12 2010-02-16 주식회사 토비스 광을 이용한 터치 센싱 방법 및 그에 따른 터치패널 장치와시스템
US8614690B2 (en) 2008-09-26 2013-12-24 Apple Inc. Touch sensor panel using dummy ground conductors
KR101337042B1 (ko) * 2008-10-21 2013-12-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5191452B2 (ja) 2009-06-29 2013-05-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タッチパネルの駆動方法、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および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CN102053410B (zh) 2009-10-30 2012-11-21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触控显示装置和平面显示面板
JP5424326B2 (ja) * 2009-11-05 2014-02-26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タッチ検出装置、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US8599167B2 (en) 2010-04-22 2013-12-03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dynamic range of a touchscreen controller
US9164620B2 (en) * 2010-06-07 2015-10-20 Apple Inc. Touch sensing error compensation
KR101763939B1 (ko) * 2010-12-08 2017-08-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와 그의 노이즈 보상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983A (ko) * 2015-04-30 2016-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20083523A (ko) 2020-12-11 2022-06-20 이재하 스마트폰,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해 수동 제어가 가능하며 gps 기능과 모션인식 센서를 통해 자동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온도 조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740B1 (ko) 2014-10-07
CN103593098B (zh) 2016-08-31
TWI488162B (zh) 2015-06-11
US9285933B2 (en) 2016-03-15
US20140043281A1 (en) 2014-02-13
CN103593098A (zh) 2014-02-19
TW201407577A (zh) 201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740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675256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570455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00185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EP2866125B1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KR101710407B1 (ko) 터치 스크린이 내장된 액정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US9690420B2 (en) Display device having touch sensor
US980569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400744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 인식 방법
KR20130004658A (ko) 터치스크린 내장형 액정표시장치
KR20120106214A (ko) 터치 스크린이 내장된 액정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323044B1 (ko) 터치 센싱 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2302135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77397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089317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033060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743189B1 (ko) 액정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140097886A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606709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2238324B1 (ko)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2674562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회로의 구동 방법
KR102627346B1 (ko)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KR20210082682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
KR20110102705A (ko) 터치 스크린의 내장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