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372A - 이동식 변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2372A
KR20140022372A KR1020137019515A KR20137019515A KR20140022372A KR 20140022372 A KR20140022372 A KR 20140022372A KR 1020137019515 A KR1020137019515 A KR 1020137019515A KR 20137019515 A KR20137019515 A KR 20137019515A KR 20140022372 A KR20140022372 A KR 20140022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ank
water supply
suppl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우이치 도쿠나가
마사미 후지카와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데크노 솔루션즈 톳토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1502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15244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150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15243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5764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16600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6632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166002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데크노 솔루션즈 톳토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1/067376 external-priority patent/WO2012101847A1/ja
Publication of KR20140022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8Devices or hand implements for cleaning the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석부에 온수 세정 변기 시트를 설치하고, 상기 온수 세정 변기 시트의 하방에 배변 회수 트레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등받이의 배면 부위에 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배치하도록 한 이동식 변기이며, 상기 온수 탱크의 상방에 급수 탱크를 배치했을 때, 상기 급수 탱크의 급수구와 온수 탱크의 수수구가 접속되어, 급수 탱크의 보급수의 정수압이 온수 탱크의 온수에 미치게 함으로써, 운반성을 구비한 이동식 변기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노즐 유닛으로부터의 온수의 분사를 담당하는 펌프 유닛을 소형화하여 소비 전력을 낮게 하고, 스페이스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급수 탱크로부터 보급수를 흡인하기 위한 급수 호스를 불필요로 하여 급수 탱크의 착탈이 용이해지도록 하여, 급수 탱크에의 보급수의 보충 작업이 간편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변기{PORTABLE TOILET}
본 발명은 급수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보급수를 온수 탱크에서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고, 이 온수를 노즐로부터 분사하여 변기 시트에 착석한 사람의 둔부의 국소를 세정하는 온수 세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 가능한 이동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와병 중인 중증 상병자, 또는 노쇠자 등에게 있어서 배변 처리는 중요한 일상 과제이므로, 와상 부근에 간이 구성의 이동식 변기를 배치하는 경향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둔부의 국소의 세정이 가능할 것이 요구되며, 온수 세정 노즐을 구비한 이동식 변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이동식 변기의 목적은, 배설물을 수용하는 버킷과 세정 장치의 노즐이나 안내판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버킷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식 변기의 경량화를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73094호 공보
그런데, 온수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식 변기에 있어서는, 배설물의 수용도 중요하지만, 온수의 공급원이 되는 급수 탱크의 개량도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즉, 일반 가정 등에 있어서, 수세식의 변기의 플랜지 상에 배치하도록 한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는, 수도수 배관에 접속된 도수관으로부터 항상 수도수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물의 보급에 대한 배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세정 노즐로부터의 온수의 분사는 수도수의 수압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온수를 분사하기 위한 특별한 모터 및 펌프를 필요로 하는 일이 없다.
그러나, 수도수 배관에 접속되지 않는 일반적인 이동식 변기에 있어서는, 물의 공급은 오로지 급수 탱크에 의한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급수 탱크의 저수량으로 이용 횟수의 상한이 정해져 버리게 되어, 급수 탱크 내의 보급수가 동나기 전에 보충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급수 탱크 내의 보급수의 잔량을 항상 파악하여 보충 시기를 의식하는 것은, 상병자와 더불어 개호자에게 있어서도 번거로운 일이다. 특히 중병자, 중상자에게 이동식 변기의 관리를 바라는 것은 매우 곤란하며,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관리가 저하되어, 깜박 잊고 급수 탱크 내의 보급수가 동나면, 온수 탱크 내의 온수도 감소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온수 탱크 내의 온수의 온도가 상승하여 열수에 의한 화상을 입을 위험성이 발생해 버리게 된다.
또한, 수도수의 수압을 이용할 수 없는 종래의 이동식 변기에서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탱크(T1)와 온수 탱크(T2)가 완전히 별체로 되어 있으므로 급수 펌프(P)를 설치하여, 이 급수 펌프의 토출측을 온수 탱크(T2)에 접속하는 한편, 흡인측을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탱크(T1) 내에 마주보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이동식 변기에서는, 세정의 개시가 지시되면 급수 펌프(P)가 작동하여 급수 탱크(T1)의 보급수를 흡인함과 아울러, 이 흡인된 보급수가 온수 탱크(T2)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온수 탱크 내의 수압이 상승하고, 온수가 세정수 전환 유닛(E)를 통하여 항문 세정 노즐(A) 또는 비데 세정 노즐(B)에 공급되며, 그 선단으로부터 온수가 분사된다.
이렇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급수 펌프(P)는 급수 탱크(T1)로부터 보급수를 흡인하는 능력 및 온수 탱크(T2) 내의 압력을 높이고, 각 노즐(A, B)로부터의 온수의 분사가 가능해지도록 하기 위한 능력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모터를 포함하는 펌프 유닛이 대형화하여 스페이스 효율이 저하되고, 소비 전력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급수 탱크(T1)에 급수 호스(H)가 접속된 상태이므로, 보급수의 보충 때문에 급수 탱크(T1)를 본체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는, 급수 호스(H)를 급수 탱크(T1)로부터 발취하고, 보급수의 보충 후, 급수 호스(H)를 급수 탱크(T1)에 장착해야 한다는 번잡한 수고가 필요해진다.
그런데, 급수 탱크를 채용하는 상기 구성에 의한 경우에는, 급수 탱크의 보급수의 정수압이 온수 탱크의 온수에 미치고, 이 정수압이 노즐로부터의 온수의 분사를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이것에 의해, 구동 능력이 작은 펌프 유닛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펌프 유닛의 소형화, 전력 절약화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펌프 유닛의 구동 능력은 급수 탱크에 보급수를 최대한 보충되었을 때 얻어지는 가장 큰 정수압을 기준으로 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펌프 유닛의 구동 능력을 정수압이 최대로 얻어지는 상태에 대응시켜, 노즐로부터의 온수의 분사가 이상적으로 되도록 했을 경우, 세정이 반복됨에 따라 정수압도 점차 저하되게 된다. 즉, 급수 탱크의 보급수의 수위가 저하되면, 노즐로부터의 온수의 분사력도 저하되게 되어, 충분한 세정을 행할 수 없게 되므로, 급수 탱크의 보급수가 동날 때까지, 노즐로부터의 온수의 분사 상태가 일정해지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착석부에 온수 세정 변기 시트를 설치하고, 상기 온수 세정 변기 시트의 하방에 배변 회수 트레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등받이의 배면측에 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배치하도록 한 이동식 변기이며, 상기 온수 탱크의 상방에 급수 탱크를 배치했을 때, 상기 급수 탱크의 급수구와 온수 탱크의 수수구(受水口)가 접속되어, 급수 탱크의 보급수의 정수압이 온수 탱크의 온수에 미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급수 탱크에 부압 파괴 밸브를 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급수 탱크를 온수 탱크로부터 이탈시켜 역전시켰을 때, 보급수의 누출을 저지할 수 있는 부압 파괴 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 탱크의 상방에 급수 탱크를 배치했을 때, 급수 탱크의 보급수가 온수 탱크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했으므로, 급수 탱크의 보급수의 정수압이 온수 탱크의 온수에 미치게 된다. 즉, 온수 탱크의 온수는 항상 토출 방향으로 가압되게 되므로, 온수를 항문 세정 노즐 또는 비데 세정 노즐로부터 분사하는 데 필요한 동력 에너지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분사를 담당하는 펌프 유닛의 소형화가 가능해져 비용 삭감이 가능해진다. 이와 동시에 펌프 유닛의 소비 전력이 낮아지고, 스페이스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급수 탱크로부터 보급수를 흡인하기 위한 급수 호스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급수 탱크의 착탈이 용이해져 운반성이 우수한 것이 되므로, 급수 탱크에의 보급수의 보충 작업이 간편해진다.
또한, 보급수의 보급에 따라 급수 탱크 내부의 부압이 커져, 온수가 받는 정수압이 점차 감소하는 문제를, 부압 파괴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급수 탱크에의 보급수의 보충 작업을 행하는 데 있어서, 급수 탱크의 위아래를 거꾸로 했을 때, 보급수가 누출되지 않도록 부압 파괴 밸브를 구성했으므로, 이 부압 파괴 밸브로부터 보급수가 방울져 떨어진다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주요부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온수 탱크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온수 탱크와 급수 탱크의 접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채용하는 노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채용하는 노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채용하는 세정수 전환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채용하는 노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채용하는 세정수 전환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채용하는 조작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채용하는 제어 회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펌프 유닛의 제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펌프 유닛의 제어의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의 수(水)회로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종래의 이동식 변기의 수회로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변기(1)은 기지의 이동식 변기와 마찬가지로 네 다리로 자리부가 지지되는 의자 형상의 형태이며, 도 1에 정면 사시도, 도 2에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동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가 개구(2a)되는 받침대(2)의 네 코너에 지지 다리(3)가 설치되어 자립 가능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받침대(2)의 저면에는, 이 받침대(2)의 개구(2a)의 전체면을 덮는 상태이며, 수용한 배변의 처리가 가능해지도록 착탈 가능한 배변 수용 트레이(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받침대(2)의 전단부의 양측부에 설치된 지지 다리(3)의 정상부에 세워 설치된 팔걸이 파이프(5)는 받침대(2)의 후방을 향하여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부러지고, 착석한 인체의 등에 상당하는 부위에 등받이(6)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받침대(2)의 후단부의 양측부에 설치된 지지 다리(3)의 정상부에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앵커 파이프(8)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받침대(2)의 상면에는 전동식으로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는 변기 시트(7)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1)의 주체 부분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지만, 세정 처리 등에 필요한 기능 요소는, 착석한 인체의 등 및 둔부의 배면에 상당하는 위치에 집약하여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11은 기능 요소의 배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온수 탱크(9)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2) 상의 좌측 코너부에 배치되고 고정되어 있다.
상기 온수 탱크(9)는 도 4의 단면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전열 히터(10), 온수 부족을 검지하기 위한 전기 신호를 얻는 플로트 스위치(11), 온수가 적온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전기 신호를 얻는 서미스터(12)가 내장된 밀폐 중공체이지만, 상부에 수수구(9A)를 구비한다. 이 수수구(9A)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되고 상단부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기초부가 온수 탱크(9)와 일체인 환상 플랜지(9a)를 가지며, 중심부에 형성된 돌출부(9c)의 기초부에 통과 구멍(9b)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과 구멍(9b)은 수수구(9A)의 중심부로부터 온수 탱크(9) 내로 수직 하강하는 원통 형상의 리드 파이프(9d)의 내부에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수수구(9A)에 공급된 보급수는 상기 통과 구멍(9b)을 통하여 리드 파이프(9d) 내로 유입되고, 이 리드 파이프(9d)의 온수 탱크(9)의 저면에 면한 개구부로부터 보급수가 공급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온수 탱크(9) 내의 상층부에 체류하고 있는 온도 조정된 온수와 낮은 온도의 보급수가 교차하지 않고 적온의 온수를 노즐 유닛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온수 탱크(9) 상부 측면에는 유출관(9e)을 구비하여, 전열 히터(10)에 의해 승온된 온수의 온수 탱크(9) 외부로의 유출이 가능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 유출관(9e)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수 탱크(9)의 중간쯤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유출관(9e)을 온수 탱크(9)의 중간쯤에 설치하여 둠으로써, 유출관(9e)보다 상층에 체류하는 온수를 세정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로우 스위치(11)가 작동하여 온수 부족을 통지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상층에 체류하는 온수를 이용하여 수회의 세정이 가능해지도록 하여, 온수 부족의 통지와 동시에 세정 기능이 정지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동식 변기(1)의 구성에서는, 온수 탱크(9) 상에 후술하는 급수 탱크(20)를 배치하는 상태로 하고, 온수 탱크(9)의 수수구(9A)의 환상 플랜지(9a)와 급수 탱크(20)의 급수구(20A)의 환상 플랜지(20a)를 끼워 맞추는 것이지만, 이때 급수 탱크(20) 내의 보급수의 정수압이 급수구(20A)에 집중되게 된다. 따라서, 이 정수압에 대처하기 위하여, 환상 플랜지(9a)의 기초부 내주에는 패킹(13)을 배치하고, 급수 탱크(20)의 캡체(22)의 환상 플랜지(22a)가 장착되었을 때, 이 환상 플랜지(22a)의 선단이 패킹(13)을 눌러 찌그러뜨려 수밀 상태가 얻어져, 보급수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온수 탱크(9)의 유출관(9e)과, 노즐 유닛(NU)에 온수를 압송하기 위하여, 펌프(기어 펌프) 및 전동 모터를 조합하여 구성된 펌프 유닛(14)의 흡인관(14a)이 가요성 튜브(15)에 의해 접속되는 한편, 토출관(14b)도 마찬가지로 가요성 튜브(16)에 의해 세정수 전환 유닛(SU)에 접속된다. 이 세정수 전환 유닛(SU)으로부터는 2개의 가요 튜브(18, 19)가 노즐 유닛(NU)에 접속된다. 또한, 가요성 튜브(18)는 노즐 유닛(NU)의 비데 세정 노즐측에 온수를 공급하고, 가요성 튜브(19)는 항문 세정 노즐측에 온수를 공급한다.
다음으로, 급수 탱크(2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급수 탱크(20)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의 블로우 성형에 의한 중공체이며, 보급수가 감소하는 데 수반하여 발생하는 부압을 해소하기 위한 부압 파괴 밸브(21)를 구비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부압 파괴 밸브(21)는 도 6a,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21a) 상에 강구(21b)가 올라타 케이싱에 수용된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그 강구(21b)의 상방의 케이싱에 통기 구멍(21c, 21e)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채용하는 부압 파괴 밸브(21)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탱크(20)를 온수 탱크(9)에 접속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21a)이 강구(21b)의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수축되어, 통기 구멍(21c)이 개방된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온수 탱크(9)의 내부와 외부의 기압이 동일해져, 부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급수 탱크(20)를 온수 탱크(9)로부터 제거하고, 압력 파괴 밸브(21)가 하방으로 되도록 위아래를 거꾸로 하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21a)의 복원력에 의해 강구(21b)가 통기 구멍(21c)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패킹(21d)에 의해 시일되어 통기 구멍(21c)은 폐쇄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급수 탱크(20)는 수밀 상태로 되고, 도 5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거꾸로 하여 갖고 다녀도 급수 탱크(20)에 들어 있는 보급수가 누출되는 일은 없다.
상기 급수 탱크(20)의 급수구(20A)의 구성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저부에 스크류 플랜지(20a)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고, 이 스크류 플랜지(20a)에 나사 장착되는 캡체(22)를 구비한다. 이 캡체(22)는 평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된 환상 플랜지(22a)를 구비하고, 이 환상 플랜지(22a)가 상기 온수 탱크(9)의 수수구(9A)의 환상 플랜지(9a)에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평탄면의 중심부에는, 주위에 통과 구멍(22b)이 형성된 베어링부(22c)를 구비하고, 상기 통과 구멍(22b)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밸브 받침 플랜지(22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부(22c)에는 스핀들(23)이 삽입 관통되어 있고, 그 선단에 상기 밸브 받침 플랜지(22d)의 개구부에 밀접하는 폐지 밸브(2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베어링부(22c)와 스핀들(23)의 단부의 플랜지(23a) 사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25)이 설치되어 있고, 밸브 받침 플랜지(22d)를 막는 방향으로 폐지 밸브(24)를 가압하고 있다.
즉, 도 11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스핀들(23)이 온수 탱크(9)의 수수구(9A)의 돌출부(9c)에 접촉하여 밀어 올려지고, 이것에 의해 폐지 밸브(24)가 밸브 받침 플랜지(22d)의 개구부를 개방하여 급수 탱크(20)의 보급수의 온수 탱크(9)로의 유입이 가능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급수 탱크(20)를 온수 탱크(9)로부터 이탈시키면, 압축 코일 스프링(25)이 작용하여 스핀들(23)이 강하하고, 폐지 밸브(24)가 밸브 받침 플랜지(22d)의 개구부를 막아, 보급수의 유출이 저지된다.
또한, 급수 탱크(20)를 온수 탱크(9)로부터 이탈시킬 때, 급수 탱크(20)의 캡체(22)의 환상 플랜지(22a) 내에는 보급수가 잔류하고, 이탈과 동시에 이 보급수가 온수 탱크(9)의 환상 플랜지(9a) 내로 누출된다. 이 누출된 보급수가 또한 온수 탱크(9)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온수 탱크(9)의 환상 플랜지(9a)를 급수 탱크(20)의 캡체(22)의 환상 플랜지(22a)보다 최대한 높게 하거나, 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상 플랜지(22a) 내에 후육부(22e)를 설치하여, 환상 플랜지(22a) 내부의 공간 용량이 온수 탱크(9)의 환상 플랜지(9a) 내부의 공간 용량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하면 된다.
이상의 구성의 급수 탱크(20)에서는, 환상 플랜지(22a)의 개구부에 패킹(26), 이에 대응하는 캡체(22)의 평탄부에 패킹(27)을 부착 설치하고, 장착한 스트레이너(28)의 플랜지를 양 패킹(26, 27)으로 끼움 지지하여, 보급수의 누출을 방지한다. 또한, 급수 탱크(20)에 보급수의 보충을 행하는 경우에는, 이탈한 급수 탱크(20)의 위아래를 반전하고, 캡체(22)를 회전시켜 스크류 플랜지(20a)와의 나사 결합을 풀고, 스트레이너(28)를 취출함으로써 스크류 플랜지(20a)의 개구부로부터의 주수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 스트레이너(28)에 제균제를 봉입해 둠으로써, 보급수의 제균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온수 탱크(9) 내의 온수 부족은 플로트 스위치(11)에 의해 검지할 수 있지만, 급수 탱크(20) 내의 보급수가 부족할 때, 이를 검지하는 구성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탱크(20)의 저부에 플로팅 유닛(29)을 배치한다. 이 플로팅 유닛(29)의 내부에는, 보급수의 수면의 수위에 동조하여 승강하는 플로트(29a)가 설치되고, 또한 이 플로트(29a)에 영구 자석(29b)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온수 탱크(9)측이며, 각 기구 요소를 수용하는 케이싱(31)의 플로팅 유닛(29)에 대향하는 이면에 자기 감응 소자(30)를 설치한다.
이렇게 구성해 둠으로써, 급수 탱크(20) 내의 보급수가 소비되어, 그 수위가 강하하는 데 동조하여 플로트(29a) 및 영구 자석(29b)이 강하하면, 자기 감응 소자(30)에 끼치는 자력의 영향이 점차 커지고, 이 자기 감응 소자(30)로부터 전기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자기 감응 소자(30)로부터 얻어진 전기 신호는, 후술하는 제어부(91)에 있어서의 전기 회로 처리에 의해 임계값을 초과했을 때, 또는 리드 스위치에 의한 온/오프 신호에 의해 인디케이터를 점등하여 보급수의 부족을 통지하도록 해도 되지만, 자력의 크기에 대응하여 복수의 인디케이터를 순차 연속하여 점등시켜, 보급수가 부족한 정도를 가시화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1회의 세정에서 온수를 정량 분사(약 500㏄)하도록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세정 가능 횟수가 마지막 2회와 마지막 1회 등과 같이 인디케이터에 의해 식별 표시하는 경우에는, 2회분의 온수 잔량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자기 감응 소자(30)로부터 얻어지는 전기 신호가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했을 때, 인디케이터(LED(81))를 점등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세정이 행해지고, 1회분의 온수 잔량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자기 감응 소자(30)로부터 얻어지는 전기 신호가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했을 때, 인디케이터를 점멸시킨다. 이렇게 인디케이터를 점등, 점멸시켜 식별 표시함으로써 보급수의 부족을 적확하게 통지할 수 있으며, 이용자의 주의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에 의한 식별 표시는, 점등, 점멸에 한하지 않고, 발광색이 상이하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예는, 자기 감응 소자(30)로부터 얻어지는 전기 신호에 대하여 2단계의 임계값을 설정하도록 한 것이지만, 리드 스위치에 의한 경우에는, 플로팅 유닛(29)의 영구 자석(29b)이 세정 가능 횟수의 마지막 2회의 온수 잔량에 대응하는 위치에 달했을 때 작동하는 리드 스위치와, 영구 자석(29b)이 세정 가능 횟수의 마지막 1회의 온수 잔량에 대응하는 위치에 달했을 때 작동하는 리드 스위치에 의해 얻어진 전기 신호에 의해, 인디케이터를 점등, 점멸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온수 잔량의 검출은, 온수 탱크(9) 내의 수압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도 가능해지는 것으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수 탱크(9) 내에 압력 센서(17)를 설치하고, 이 압력 센서(17)에 의해 온수 탱크(9) 내의 수압을 검출한다. 즉, 급수 탱크(20) 내의 보급수의 감소에 따라 정수압이 저하되면, 온수 탱크(9) 내의 수압도 저하된다. 따라서, 압력 센서(17)가 세정 가능 횟수의 마지막 2회의 온수 잔량에 대응하는 수압을 검출하고, 그 전기 신호가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했을 때, 인디케이터를 점등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세정이 행해지고, 1회분의 온수 잔량에 대응하는 수압을 압력 센서(17)가 검출하고, 전기 신호가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했을 때, 인디케이터를 점멸시켜 보급수의 부족을 통지한다. 또한, 온수 탱크(9)에 설치하는 압력 센서(17)는 온수 탱크(9)의 내벽에 한하지 않으며, 리드 파이프(9d)의 통과 구멍(9b)의 근방 등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마지막 2회분과 1회분의 온수 잔량을 개별적으로 검출하도록 되어 있지만, 2회분의 온수 잔량을 검출하고 인디케이터를 점등시킨 후에 세정이 행해졌을 때, 1회분 상당의 양의 온수가 분사되도록 펌프 유닛(14)을 구동 제어하고 인디케이터를 점멸시켜, 온수 잔량이 나머지 1회분인 것을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통지 수단으로서 LED에 의한 인디케이터를 사용했지만, 액정 표시 장치를 탑재하고, 예를 들어 「나머지 1회분」이나 「나머지 2회분」과 같은 문자를 액정 표시 장치에 표시시킴으로써 유저에게 통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에 채용하는 온수 세정 유닛의 예를 설명한다. 온수 세정 유닛(40)은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문 세정 노즐(41)과, 비데 세정 노즐(42)과, 항문 세정 노즐(41)의 진퇴 동작을 행하는 항문 세정 노즐용 노즐 케이스(43)와, 비데 세정 노즐(42)의 진퇴 동작을 행하는 비데 세정 노즐용 노즐 케이스(44)를 구비한 노즐 유닛(UN)과, 펌프 유닛(14)에 의해 공급되는 온수 탱크(9)의 온수를 항문 세정 노즐(41) 또는 비데 세정 노즐(42) 중 어느 쪽에 공급할지를 선택하는 전환 밸브(46)를 구비한 세정수 전환 유닛(SU)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노즐 유닛(NU)은, 항문 세정 노즐(41)의 바로 아래에 비데 세정 노즐(42)이 대략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상하로 평행 배치된 항문 세정 노즐용 노즐 케이스(43)와 비데 세정 노즐용 노즐 케이스(44)에 수용되어 있다. 항문 세정 노즐(41) 및 비데 세정 노즐(4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펌프 유닛(14)에 의한 온수에의 가압에 의해 진출 동작을 행하고, 선단부의 노즐 구멍(41a, 42a)으로부터 온수를 분출한다. 항문 세정용 노즐 케이스(43)와 비데 세정용 노즐 케이스(44)는 합성 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항문 세정 노즐(41)은 합성 수지에 의한 원통형 등의 통 형상이며, 세정수인 온수가 유통하는 내부 통로(41t)는 선단부의 노즐 구멍(41a)을 향하여 점차 단면적(S1)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부 통로(41t)의 선단에 있어서 세정수의 압력이 가장 높아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비데 세정 노즐(42)도 항문 세정 노즐(41)과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에 의한 원통형 등의 통 형상을 이루며, 세정수인 온수가 유통하는 내부 통로(42t)는 선단의 노즐(42a)을 향하여 점차 단면적(S2)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부 통로(42t)의 선단에 있어서 세정수의 압력이 가장 높아지도록 되어 있다.
노즐 유닛(NU)의 후단부에는, 세정수 전환 유닛(SU)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항문 세정 노즐용 노즐 케이스(43)로 유도하는 온수 도입부(43b)와, 비데 세정 노즐용 노즐 케이스(44)로 유도하는 온수 도입부(44b)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온수 도입부(43b, 44b)가 도입부 커버(46)에 형성되어 있고, 이 도입부 커버(46)를 덮도록 설치 부재(67)가 나사(68)에 의해 노즐 유닛(NU)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항문 세정 노즐용 노즐 케이스(43)의 후단부의 입구 개구가, 온수 도입부(43b)와 연통 상태로 되고, 또한, 비데 세정 노즐용 노즐 케이스(44)의 후단부의 입구 개구가, 온수 도입부(44b)와 연통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상하로 배치한 항문 세정 노즐(41)과 비데 세정 노즐(42)은 받침대(2)의 공간 내에 있어서, 모두 전방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여 진퇴하도록 배치되고, 받침대(2)의 좌우간의 중심선이며 전후 방향의 중심선 상의 배치로 된다. 이로 인해, 변기 시트(7)에 착석한 사람의 항문이나 비데 등의 피(被)세정 국소에 대하여 바로 아래 또는 바로 아래 후방부로부터의 온수 분사가 얻어진다.
이로 인해, 펌프 유닛(14)에 의한 온수에의 가압이 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항문 세정 노즐(41)은 코일 스프링(45a)에 의해, 항문 세정 노즐용 노즐 케이스(43) 내로 후퇴한 상태로 유지되고, 온수에의 가압이 되었을 때는, 그 가압을 항문 세정 노즐(41)의 후단부에 형성한 환상 플랜지의 물 수용부(41b)가 받아, 코일 스프링(45a)을 압축하면서 항문 세정 노즐(41)이 진출하고, 물 수용부(41b)에 설치한 패킹(41p)이 항문 세정 노즐용 노즐 케이스(43) 내의 스토퍼(43a)에 접촉하여, 소정의 진출 위치에서 정지한다.
한편, 비데 세정 노즐(42)에 있어서의 경우에 있어서도, 펌프 유닛(14)에 의한 온수에의 가압이 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비데 세정 노즐(42)은 코일 스프링(45b)에 의해 비데 세정 노즐용 노즐 케이스(44) 내로 후퇴한 상태로 유지되고, 온수에의 가압이 되었을 때는, 그 가압을 비데 세정 노즐(42)의 후단부에 형성한 환상 플랜지의 물 수용부(42b)가 받아, 코일 스프링(45b)을 압축하면서 비데 세정 노즐(42)이 진출하고, 물 수용부(42b)에 설치한 패킹(42p)이 비데 세정용 노즐 케이스(44) 내의 스토퍼(44a)에 접촉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한다.
다음으로, 세정수 전환 유닛(SU)은 도 14,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밸브(46)를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47)와, 전환 밸브(46)를 수용하는 밸브실(49)을 형성한 밸브실 부재(50)와, 전환 밸브(46)에 의해 전환되는 항문 세정수 통로(51)와 비데 세정수 통로(52)를 형성한 전환 통로 부재(53)가 나사(54)에 의해 결합되어 일체화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밸브실(49)의 수밀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전환 밸브(46)는 수평축선 상에서 정회전 및 역회전하도록, 전동 모터(47)의 구동 축(48)에 지지되어 밸브실(49)에 수용되어 있다. 밸브실 부재(50)는 그 상벽에 형성한 온수 도입구(49b)에 가요성 튜브(16)가 접속되고, 이 가요성 튜브(16)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밸브실(49)로 유입된다.
전동 모터(47)의 구동 축(48)은 전동 모터(47)의 회전자로부터 연장된 축(48a)만으로 구성해도 되지만, 전동 모터(47)의 회전자로부터 연장된 축(48a)과, 이것에 끼워 맞추어 일체화된 보조축(48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모터(47)의 구동 축(48)은 온수가 누설되지 않도록 시일 패킹(56)에 의해 시일 상태에서 전환 통로 부재(53)를 관통하고, 그 선단에 전환 밸브(46)를 설치하고 있다. 전동 모터(47)는 후술하는 제어 회로의 펄스 출력에 의해 스테핑 동작을 하는 것이며, 스테핑 모터라고도 칭한다.
조립 및 교환 수리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전환 밸브(46)는 전동 모터(47)의 구동 축(48)의 선단에, 도 14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끼워 맞추어 설치되어 있다. 전환 밸브(46)에 의해 전환되는 온수의 흐름이, 전환 밸브(46)에 관통 형성된 밸브 통로(46a)가 항문 세정 통로(51)와 연통한 상태와, 밸브 통로(46a)가 비데 세정수 통로(52)와 연통한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전환 밸브(46)가 전환 통로 부재에 가압되어 보유 지지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전환 밸브(46)가 회전 가능하며 그 지지가 안정화되기 위하여, 전환 밸브(46)를 구동 축(48)측을 향하여 코일 스프링(59)의 가압으로 보유 지지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환 밸브(46)의 구동 축(48)과 반대측은, 밸브실(49)의 측벽(도 14에 있어서 좌측벽)으로부터 구동 축(48)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 축(57)과, 전환 밸브(46)로부터 돌출된 지지 축(58)에 헐겁게 끼워진 코일 스프링(59)에 의해, 전환 밸브(46)측을 향하여 가압되어 보유 지지되어 있고, 전동 모터(47)에 의한 정회전 및 역회전의 회전이 원활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정수 전환 유닛(SU)은, 전동 모터(47)와, 밸브실 부재(50)와, 전환 통로 부재(53)가 나사(54)에 의해 일체화된 구성이다. 이 일체화된 상태에서, 세정수 전환 유닛(SU)은, 온수 탱크(9)의 측면에 나사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가요성 튜브의 단부가 밸브실(49)의 온수 도입구(49b)에 접속된다. 또한, 이 접속부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일 패킹(6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일체화함으로써, 밸브실 부재(50)와 전환 통로 부재(53)의 접합부로부터 온수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 접합부가 고무제의 시일 패킹(62)에 의해 시일되어 있다. 또한, 전환 밸브(46)에 의해 온수의 흐름이, 항문 세정수 통로(51)로 전환된 상태에서, 비데 세정수 통로(52)로 온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온수의 흐름이 비데 세정수 통로(52)로 전환된 상태에서, 항문 세정수 통로(51)로 온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항문 세정수 통로(51)와비데 세정수 통로(52)의 입구 주연에, 고무제의 시일 패킹(63a, 63b)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환 밸브(46)는 코일 스프링(59)에 의해 전환 통로 부재(53)를 향하여 가압될 때, 전환 밸브(46)의 한쪽 면이 시일 패킹(63a, 63b)에 압접되고, 이 압접 상태에 있어서 전환 밸브(46)는 온수의 흐름을 항문 세정수 통로(51)와 비데 세정수 통로(52)로 전환한다.
또한, 전환 밸브(46)의 한쪽 면이 시일 패킹(63a, 63b)에 압접 상태에 있어서, 전환 밸브(46)가 온수의 흐름을 항문 세정수 통로(51)와 비데 세정수 통로(52)로 전환 회전시키는 동작을 안정화하기 위하여, 시일 패킹(63a, 63b)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전환 통로 부재(53)의 오목부(64a, 64b)에 각각 고무제의 접촉 부재(65a, 65b)을 끼워 넣고 있다.
온수 세정 유닛(40)은 노즐 유닛(NU)과 세정수 전환 유닛(SU)의 온수 통로의 접속을 위해, 항문 세정수 통로(51)는 그 출구부(51a)가 가요성 튜브(19)에 의해 온수 도입부(43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비데 세정수 통로(52)는 그 출구부(52a)가 가요성 튜브(18)에 의해 온수 도입부(44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노즐 유닛(NU)은, 받침대(2)에 나사(68)에 의해 고정되어, 항문 세정 노즐(41)과 비데 세정 노즐(42)이 받침대(2)의 좌우간의 중심선이 되는 전후 방향의 중심선 상의 소정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1)에 부대하는 기능 요소를 설명한다. 변기 시트(7)는 전동 모터(7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개폐 가능해지도록 되어 있고, 이 이외에 탈취 유닛(72), 건조 유닛(73)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변기 시트(7)는 그 이면에 알루미늄박을 개재하여 절연 피복된 히터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히터에 의해 가온된다.
상기 각 기능 요소와 노즐 유닛(NU)를 동작하기 위한 조작부(80)는 도 17에 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조작 스위치와 LED 표시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 스위치로서, 항문 세정 개시 스위치(83), 비데 세정 개시 스위치(84), 세정 정지 스위치(82), 세정수의 수세(水勢) 증감 스위치(85a, 85b), 온수 탱크(9)의 온수 온도 조절 스위치(86), 변기 시트(7)의 온도를 변경하는 변기 시트 온도 조절 스위치(87)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LED 표시부로서는, 수세 증감 스위치(85a, 85b)에 대응하여 수세의 강중약을 3단계로 표시하는 LED(85c), 온수 온도 조절 스위치(86)에 대응하여 온수 온도를 저중고의 3단계로 표시하는 LED(86a), 변기 시트 온도 조절 스위치(87)에 대응하여 변기 시트 온도를 저중고의 3단계로 표시하는 LED(87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온수 탱크(9)의 온수 또는 급수 탱크(20)의 보급수가 부족할 때, 플로우 스위치(11) 또는 자기 감응 소자(3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점등하는 LED(81)를 구비한다. 또한, 변기 시트(7)를 상하 방향으로 개폐하는 전동 모터(71)를 온/오프하는 스위치(99a, 99b)도 조작부(80)에 설치되어 있다.
도 18은 제어 수단인 제어 회로(90)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용 교류 전원(AC)에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구성한 제어부(91)를 접속함과 아울러, 이 제어부(91)에 조작부(80)를 접속한다. 또한 이 제어부(91)에는 변기 시트(7)에의 착석을 검출하는 착석 스위치(92)와, 변기 시트(7)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93)와, 플로트 스위치(11) 또는 자기 감응 소자(30)와, 온수 탱크(9) 내의 온수의 온도를 검지하는 서미스터(12)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착석 스위치(92)는 변기 시트(7)에 사람이 착석했을 때의 중량으로 변기 시트(7)가 약간 하강함으로써 작동하는 스위치나, 변기 시트(7)에 착석한 사람을 적외선으로 검출하는 적외선 스위치 등이 채용된다.
상기 제어부(91)는 타이머, 메모리 등을 구비하고, 미리 설정한 프로그램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행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한 제어 방식이다. 또한, 상기 상용 교류 전원(AC)에는, 제어부(91)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각각이 동작하는 스위칭 소자(94a 내지 94g)에, 변기 시트 히터(95), 온수 탱크(9) 내의 물을 승온하는 온수 히터(10), 전환 밸브(46)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47), 변기 시트를 개폐하는 전동 모터(71), 탈취 유닛(72), 건조 유닛(73), 그리고 펌프 유닛(14)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어 회로(91)가 작동된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통상, 접점이 폐쇄되어 있는 온도 검지부(96)는 온수 탱크(9) 내의 이상 온도를 검지했을 때 개방되어, 온수 히터(10)에의 통전을 차단한다. 또한, 온수 탱크(9) 내의 물은, 서미스터(12)의 온도 감지에 기초하는 제어부(91)의 작동에 의해, 스위칭 소자(94b)가 온수 히터(10)에의 통전의 온/오프 동작을 행하여, 온수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 범위로 유지된다.
또한, 대기 상태에 있어서, 전환 밸브(46)는 그 밸브 통로(46a) 이외의 면이, 항문 세정수 통로(51)와 비데 세정수 통로(52)의 입구 주연의 시일 패킹(63a, 63b)에 접촉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전환 밸브(46)는 온수 탱크(9)가 항문 세정수 통로(51)와 비데 세정수 통로(52) 중 어느 쪽과도 연통하지 않도록, 항문 세정수 통로(51)와 비데 세정수 통로(52)의 입구를 막아, 밸브 통로(46a)가 항문 세정수 통로(51)와 비데 세정수 통로(52) 중 어느 쪽과도 연통하지 않고, 차단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대기 상태에 있어서, 제어부(91)는 스위칭 소자(94d)를 작동함으로써 전동 모터(71)가 작동하고, 변기 시트(7)가 상방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착석 스위치(92)에 의해 변기 시트(7)에의 사람의 착석을 검지하면, 스위칭 소자(94e)를 통전하여 탈취 유닛(72)의 작동을 개시한다. 이 착석 상태에 있어서, 항문 세정 개시 스위치(83)가 가압되어 항문 세정 명령이 발하여지거나 또는 비데 세정 개시 스위치(84)가 가압되어 비데 세정 명령이 발하여지면, 제어부(91)는 스위칭 소자(94c)를 적절히 작동하여 전동 모터(47)의 구동에 의해 전환 밸브(46)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스위칭 소자(94g)를 작동하여 펌프 유닛(14)을 구동한다. 이것에 의해, 펌프 유닛(14)은 온수 탱크(9)의 온수를, 가요성 튜브(15)을 통하여 흡인함과 아울러, 이 흡인되고 가압된 온수를, 가요성 튜브(16)를 통하여 세정수 전환 유닛(SU)에 공급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항문 세정 개시 스위치(83)가 가압되어 있을 때는, 전동 모터(47)의 작동으로 전환 밸브(46)가 시일 패킹(63a, 63b)과 접촉 부재(65a, 65b)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고, 전환 밸브(46)의 밸브 통로(46a)가 항문 세정수 통로(51)와 연통한 상태에서 전동 모터(47)가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펌프 유닛(14)에 의해 가압되어 밸브실(49)에 공급된 온수는, 밸브 통로(46a)와 항문 세정수 통로(51)를 통해, 그 출구부(51a)로부터 가요성 튜브(19)를 통해 노즐 유닛(UN)의 온수 도입부(43b)로 유입된다.
상기 온수 도입부(43b)로 유입된 온수의 수압은, 코일 스프링(45a)에 의해 후퇴 위치에 있는 항문 세정 노즐(41)의 물 수용부(41b)에 작용하여, 코일 스프링(45a)을 압축하면서 항문 세정 노즐(41)을 진출시키고, 패킹(41p)이 스토퍼(43a)에 접촉하여 그 진출이 정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항문 세정 노즐(41)이 진출하고 정지한 위치에서, 세정수로 되는 온수는, 물 수용부(41b)의 중심 구멍을 통과하여 항문 세정 노즐(41)의 내부 통로(41t)로 유입되고, 선단의 노즐 구멍(41a)으로부터 분출되어 항문 세정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세정 정지 스위치(82)가 가압됨으로써, 제어부(91)가 작동하고, 스위칭 소자(94c)가 작동하여 전동 모터(47)를 구동하며, 전환 밸브(46)를 대기 위치에 복귀시킴과 아울러, 스위칭 소자(94g)를 작동하여 펌프 유닛(14)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펌프 유닛(14)이 온수 탱크(9)로부터 흡인하고 있던 온수에의 가압이 없어지게 되므로, 노즐 구멍(41a)으로부터의 온수의 분출이 정지함과 아울러, 코일 스프링(45a)에 의해 항문 세정 노즐(41)이 항문 세정 노즐용 케이스(43) 내로 후퇴한 상태로 복귀한다.
한편, 비데 세정 개시 스위치(84)이 가압되고 있는 경우에는, 전동 모터(47)의 작동에서 전환 밸브(46)가 시일 패킹(63a, 63b)과 접촉 부재(65a, 65b)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고, 전환 밸브(46)의 밸브 통로(46a)가 비데 세정수 통로(52)와 연통한 상태에서 전동 모터(47)가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펌프 유닛(14)에 의해 가압되어 밸브실(49)에 공급된 온수는, 밸브 통로(46a)와 비데 세정수 통로(52)를 통해, 그 출구부(52a)로부터 가요성 튜브(18)를 통해 노즐 유닛(NU)의 온수 도입부(44b)로 유입된다.
상기 온수 도입부(44b)로 유입된 온수의 수압은, 코일 스프링(45b)에 의해 후퇴 위치에 있는 비데 세정 노즐(42)의 물 수용부(42b)에 작용하여, 코일 스프링(45b)을 압축하면서 비데 세정 노즐(42)을 진출시키고, 패킹(42p)이 스토퍼(44a)에 접촉하여 그 진출이 정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비데 세정 노즐(42)이 진출하고 정지한 위치에서, 세정수가 되는 온수는, 물 수용부(42b)의 중심 구멍을 통과하여비데 세정 노즐(42)의 내부 통로(42t)로 유입되고, 선단의 노즐 구멍(42a)으로부터 분출하여 비데 세정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세정 정지 스위치(82)가 가압됨으로써, 제어부(91)가 작동하고, 스위칭 소자(94c)가 작동하여 전동 모터(47)를 구동하고, 전환 밸브(46)를 대기 위치에 복귀시킴과 아울러, 스위칭 소자(94g)를 작동하여 펌프 유닛(14)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펌프 유닛(14)이 온수 탱크(9)로부터 흡인하고 있었던 온수에의 가압이 없어지게 되므로, 노즐 구멍(42a)으로부터의 온수의 분출이 정지함과 아울러, 코일 스프링(45b)에 의해 비데 세정 노즐(42)이 비데 세정 노즐용 케이스(44) 내로 후퇴한 상태로 복귀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1)에서는, 항문 세정 노즐(41)과 비데 세정 노즐(42)의 진출 및 온수를 노즐 구멍(41a, 42a)으로부터 분출시키기 위한 온수에의 가압을 펌프 유닛(14)에 의해 행해지도록 하고 있지만,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수 탱크(9)에 배치한 급수 탱크(20) 내의 보급수의 정수압이 온수 탱크의 온수에 미치도록 했으므로, 이 온수가 항상 가압된 상태로 되어, 펌프 유닛(14)의 능력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고, 목적으로 하는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항문 세정 노즐(41)과 비데 세정 노즐(42)의 진출을, 펌프 유닛(14)에 의한 온수에의 가압에 의해 행하도록 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이 가압은 온수의 분사에만 이용하고, 항문 세정(41)과 비데 세정 노즐(42)의 진퇴를 전동 모터에 의해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급수 탱크로부터 보급수를 퍼 올리는 종래의 방법을 채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급수 탱크에 급수 파이프를 설치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것에 의해 온수 탱크로부터의 급수 탱크의 탈착이 용이해져, 보급수의 보충 작업이 간편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변기에서는, 온수 탱크 또는 급수 탱크에 온수의 감소 또는 보급수의 감소를 검지하는 수단을 설치하였으므로, 보급수의 보충 시기를 적확하게 통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온수 잔량의 검출 및 보급수의 보충 시기의 통지를 자기 감응 소자, 리드 스위치, 압력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가능해지도록 했지만, 이 신호를 사용하여 본 발명이 과제로 하는 기능, 즉, 보급수의 정수압의 검출 및 이에 기초하는 펌프 유닛의 구동력의 변경이 가능해진다. 이하, 펌프 유닛(14)의 제어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19), 펌프 유닛의 제어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20)을 참조하여 압력 센서(17)를 채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펌프 유닛(14)에 직류 모터를 채용하고, 이 직류 모터를 인가 전압 제어 방식 또는 PWM 제어 방식 등에 의해 구동 제어한다. 이 구동 제어의 기준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탱크(20)에 보급수가 최대한 보충되었을 때의 정수압의 크기(=보급수의 잔량)가 ST1인 경우, 펌프 유닛(14)의 구동력을 SP1로 하고 이를 기준으로 정하여, 제어 개시의 기점이 되도록 한다. 즉, 도 20에 도시하는 프로그램 제어의 흐름에 있어서, 우선, 압력 센서(17)의 작동의 유무가 판단되고(Sa1), 압력 센서(17)로부터 신호가 얻어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보급수의 정수압이 온수 탱크(9)에 미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며, 급수 탱크(20)가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보급수가 최대한 보충된 급수 탱크(20)가 온수 탱크(9)에 배치되면, 보급수의 정수압이 온수 탱크(9)에 미치고, 압력 센서(17)가 정수압(ST1)을 검출(Sa2)하고 출력하므로, 이 가장 큰 정수압(ST1)의 가압력을 이용한 가장 작은 펌프 유닛(14)의 구동력(SP1)이 초기 설정된다. 그런데, 급수 탱크(20)에 보급수가 반드시 최대한으로 보충된다고만은 할 수 없으며, 최대 보충량에서 몇 할 부족하게 보충된 급수 탱크(20)가 온수 탱크(9)에 배치되는 상태를 상정할 수 있다. 그러나, 처리 Sa2에 있어서 정수압을 검출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급수 탱크(20)가 배치되면, 보충된 보급수의 양에 대응하는 정수압(ST2)이 검출되고, 이에 기초하여 펌프 유닛(14)의 구동력(SP2)이 초기 설정됨으로써, 보급수의 보충량에 수반하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초기 설정이 이루어지고, 온수의 노즐로부터의 분사를 정량 분사 방식으로 했을 경우에 있어서, 세정의 실행이 확인되면(Sa3), 펌프 유닛(14)의 구동력을 스텝 업한다(Sa4). 이와 동시에, 다시금 처리 Sa2에 있어서 정수압이 검출됨과 아울러, 압력 센서(17)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세정 횟수가 마지막 2회를 남기는 것인지를 판단하여(Sa5), 세정 횟수가 마지막 2회에 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 Sa3의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
그리고, 세정이 반복될 때마다 상기 처리, 판단이 반복되므로, 보급수의 감소, 즉, 정수압의 저하에 따라 펌프 유닛(14)의 구동력이 점차 스텝 업되어, 보급수의 잔량의 많고 적음에 무관하게 노즐로부터의 온수의 분사 상태가 일정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세정이 계속되며, 세정 가능 횟수가 마지막 2회분이라고 판단되면(Sa5), 경고 램프를 점등하고(Sa6),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 그리고, 마지막 2회분에 의한 세정이 실행되면, 세정 가능 횟수가 마지막 1회분이라고 판단되면(Sa7), 경고 램프를 점멸하고(Sa8), 세정 기능을 정지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급수 탱크의 내부에, 급수 탱크 내의 보급수의 수면 위치에 동조하여 상하 이동하는 피검지 소자를 설치하는 한편, 이 피검지 소자의 상하 방향의 급수 탱크의 외측에 피검지 소자의 근접을 검지하는 검지 소자를 설치하거나, 또는 온수 탱크의 내부에 압력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검지 소자 또는 압력 센서가 검출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세정 가능 횟수가 마지막 2회와 마지막 1회인 것을 인디케이터에 의해 식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세정을 반복하여 급수 탱크(20)의 보급수가 감소하더라도, 노즐로부터의 온수의 분사 상태를 일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이동식 변기에 있어서의 가장 중요한 기능의 저하에 의한 문제의 발생을 피할 수 있어, 항상 쾌적한 세정 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등 본 발명 특유의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서는, 착석부에 온수 세정 변기 시트를 설치하고, 상기 온수 세정 변기 시트의 하방에 배변 회수 트레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등받이의 배면측에 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배치하도록 한 이동식 변기이며, 상기 온수 탱크의 상방에 급수 탱크를 배치했을 때, 상기 급수 탱크의 급수구와 온수 탱크의 수수구가 접속되어, 급수 탱크의 보급수의 정수압이 온수 탱크의 온수에 미치도록 한 이동식 변기이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제1 형태에 있어서, 급수 탱크에 부압 파괴 밸브를 설치하도록 하고, 급수 탱크를 온수 탱크로부터 이탈시켜 역전시켰을 때, 보급수의 누출을 저지할 수 있는 부압 파괴 밸브를 설치하였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서는, 착석부에 온수 세정 변기 시트를 설치하고, 상기 온수 세정 변기 시트의 하방에 배변 회수 트레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등받이의 배면측에 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배치하도록 한 이동식 변기이며, 상기 온수 탱크의 상방에 급수 탱크를 배치했을 때, 상기 급수 탱크의 급수구와 온수 탱크의 수수구가 접속되어, 급수 탱크의 보급수의 정수압이 온수 탱크의 온수에 미치도록 하고, 상기 온수 탱크의 온수를 흡인하는 펌프 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펌프 유닛에 의해 온수를 노즐 유닛으로 압송하도록 하며, 상기 온수 탱크의 수수구의 중심부로부터 온수 탱크의 내부를 향하여 리드 파이프를 늘어뜨려 설치하고, 상기 리드 파이프의 정상 단부로부터 유입된 급수 탱크의 보급수를 바닥 단부로부터 온수 탱크의 저면을 향하여 유출하도록 하였다.
또, 온수 탱크의 수수구의 선단부를 외측으로 확대 개방하여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급수 탱크의 급수구의 환상 플랜지의 선단부의 장착이 용이해지도록 하였다.
또한, 급수 탱크의 급수구의 환상 플랜지의 내부에 후육부를 설치하여, 상기 환상 플랜지 내부의 공간 용량이 상기 온수 탱크의 수수구의 환상 플랜지 내부의 공간 용량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하여, 급수 탱크를 온수 탱크로부터 이탈시켰을 때, 급수 탱크의 급수구의 환상 플랜지 내부에 체류하는 보급수가 온수 탱크의 수수구의 환상 플랜지를 넘어 외부에 누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제2 형태에 의하면, 상기 온수 탱크의 온수를 흡인하는 펌프 유닛을 설치하고, 이 펌프 유닛에 의해 온수를 노즐 유닛에 압송하도록 했으므로, 온수 탱크에 체류하고 있는 온수를 노즐 유닛으로부터 방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유저는, 이동식 변기에 있어서도 노즐 유닛을 사용하여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온수 탱크의 수수구의 중심부로부터 온수 탱크의 내부를 향하여 리드 파이프를 늘어뜨려 설치하고, 이 리드 파이프의 정상 단부로부터 유입된 급수 탱크의 보급수를 바닥 단부로부터 온수 탱크의 저면을 향하여 유출하도록 했기 때문에, 온수 탱크 내의 상층부에 체류하고 있는 온도 조정된 온수와 낮은 온도의 보급수가 교차하지 않고, 적온의 온수를 노즐 유닛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급수 탱크를 온수 탱크에 접속했을 때, 갑자기 대량의 보급수가 급수 탱크로부터 온수 탱크로 유입되는 일이 없다. 게다가, 리드 파이프의 직경을 조절함으로써, 급수 탱크로부터 온수 탱크로 유입된는 단위 시간당 보급수의 양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온수 탱크의 수수구의 선단부를 외측으로 확대 개방하여 테이퍼면을 형성했기 때문에, 급수 탱크의 급수구의 환상 플랜지의 선단부를 용이하게 온수 탱크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상기 급수 탱크의 급수구의 환상 플랜지의 내부에 후육부를 설치하여, 이 환상 플랜지 내부의 공간 용량이 상기 온수 탱크의 수수구의 환상 플랜지 내부의 공간 용량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했기 때문에, 급수 탱크를 온수 탱크로부터 이탈시켰을 때, 급수 탱크의 급수구의 환상 플랜지 내부에 체류하는 보급수가 온수 탱크의 수수구의 환상 플랜지를 넘어 외부에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서는, 착석부에 온수 세정 변기 시트를 설치하고, 상기 온수 세정 변기 시트의 하방에 배변 회수 트레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등받이의 배면측에 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배치하도록 한 이동식 변기이며, 상기 온수 탱크의 상방에 급수 탱크를 배치했을 때, 상기 급수 탱크의 급수구와 온수 탱크의 수수구가 접속되어, 급수 탱크의 보급수의 정수압이 온수 탱크의 온수에 미치도록 하고, 상기 온수 탱크의 내부에 플로트 스위치를 설치하여 온수의 수위를 검지 가능해지도록 한 것에 의해, 상기 급수 탱크의 보급수의 부족을 통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제3 형태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의 측면에, 상기 온수 탱크 내의 온수를 배출하기 위한 유출관이 상기 플로트 스위치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도록 하고, 또한 세정 노즐을 가지며, 상기 유출관으로부터 배출된 온수는 상기 세정 노즐로 유도되고, 상기 플로트 스위치와 상기 유출관 사이에는, 상기 세정 노즐을 사용하여 소정 횟수의 세정이 가능한 수량의 온수를 확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제3 형태에 의하면, 온수 탱크의 수위를 검지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급수 탱크의 보급수의 부족을 인디케이터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보급수의 보충 시기를 용이하게 통지할 수 있어, 번거로운 관리 및 화상의 위험성을 불식시킬 수 있다. 또한, 온수 탱크의 측면에는 온수 탱크 내의 온수를 배출하기 위한 유출관을 플로트 스위치의 하방에 배치하고, 플로트 스위치와 유출관 사이에 세정 노즐을 사용하여 세정 가능한 수량의 온수를 확보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온수가 있는 수량까지 저하된 것을 플로트 스위치가 검출한 후에도, 소정 횟수(예를 들어, 1회 또는 2회)의 세정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서는, 착석부에 온수 세정 변기 시트를 설치하고, 온수 세정 변기 시트의 하방에 배변 회수 트레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등받이의 배면측에 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배치하도록 한 이동식 변기에 있어서, 온수 탱크의 상방에 급수 탱크를 배치했을 때, 급수 탱크의 급수구와 온수 탱크의 수수구가 접속되어, 급수 탱크의 보급수의 정수압이 온수 탱크의 온수에 미치도록 하고, 급수 탱크의 내부에 급수 탱크 내의 보급수의 수면 위치에 동조하여 상하 이동하는 피검지 소자를 갖는 한편, 피검지 소자의 상하 방향의 급수 탱크의 외부에 상기 피검지 소자의 근접을 검지하는 검지 소자를 갖고, 또한, 검지 소자가 검출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급수 탱크의 보급수의 부족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갖도록 하였다.
또, 검지 소자는, 온수 탱크측에 배치되어도 되고, 피검지 소자는 영구 자석이며, 검지 소자가 자기 감응 소자이어도 된다. 또는, 피검지 소자는 영구 자석이며, 검지 소자가 리드 스위치이어도 된다.
또한, 검지 소자가 검출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세정 가능 횟수가 마지막 2회와 마지막 1회인 것을 인디케이터에 의해 통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4 형태에 의하면, 급수 탱크의 내부에, 급수 탱크 내의 보급수의 수면 위치에 동조하여 상하 이동하는 피검지 소자를 설치하는 한편, 이 피검지 소자의 상하 방향의 급수 탱크의 외측에 피검지 소자의 근접을 검지하는 검지 소자를 설치하고, 상기 검지 소자가 검출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세정 가능 횟수가 마지막 2회와 마지막 1회인 것을 인디케이터에 의해 식별 표시할 수 있다.
1: 이동식 변기
2: 받침대
3: 지지 다리
4: 배변 수용 트레이
5: 팔걸이 파이프
6: 등받이
7: 변기 시트
8: 앵커 파이프
9: 온수 탱크
10: 전열 히터
11: 플로트 스위치
12: 서미스터
13: 패킹
14: 펌프 유닛
15, 16: 가요성 튜브
17: 압력 센서
18, 19: 가요성 튜브
20: 급수 탱크
21: 부압 파괴 밸브
22: 캡체
23: 스핀들
24: 폐지 밸브
25: 압축 코일 스프링
26, 27: 패킹
28: 스트레이너
29: 플로팅 유닛
30: 자기 감응 소자
31: 케이싱
40: 온수 세정 유닛
NU: 노즐 유닛
SU: 세정수 전환 유닛
41: 항문 세정 노즐
42: 비데 세정 노즐
43: 항문 세정 노즐용 노즐 케이스
44: 비데 세정 노즐용 노즐 케이스
45a: 코일 스프링
45b: 코일 스프링
46: 전환 밸브
47: 전동 모터
48: 구동 축
49: 밸브실
50: 밸브실 부재
51: 항문 세정수 통로
52: 비데 세정수 통로
53: 전환 통로 부재
54: 나사
56: 시일 패킹
57, 58: 지지 축
59: 코일 스프링
71: 전동 모터
72: 탈취 유닛
73: 건조 유닛
80: 조작부
81: LED
90: 제어 회로

Claims (3)

  1. 착석부에 온수 세정 변기 시트를 설치하고, 상기 온수 세정 변기 시트의 하방에 배변 회수 트레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등받이의 배면측에 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배치하도록 한 이동식 변기이며,
    상기 온수 탱크의 상방에 급수 탱크를 배치했을 때, 상기 급수 탱크의 급수구와 온수 탱크의 수수구(受水口)가 접속되어, 급수 탱크의 보급수의 정수압이 온수 탱크의 온수에 미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탱크에 부압 파괴 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탱크를 온수 탱크로부터 이탈시켜 역전시켰을 때, 상기 급수 탱크의 보급수의 누출을 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압 파괴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변기.
KR1020137019515A 2011-01-27 2011-07-22 이동식 변기 KR201400223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15026 2011-01-27
JPJP-P-2011-015027 2011-01-27
JP2011015027A JP2012152440A (ja) 2011-01-27 2011-01-27 ポータブルトイレ
JP2011015026A JP2012152439A (ja) 2011-01-27 2011-01-27 ポータブルトイレ
JPJP-P-2011-057645 2011-03-16
JP2011057645A JP2012166001A (ja) 2011-01-27 2011-03-16 ポータブルトイレ
JP2011066329A JP2012166002A (ja) 2011-01-27 2011-03-24 ポータブルトイレ
JPJP-P-2011-066329 2011-03-24
PCT/JP2011/067376 WO2012101847A1 (ja) 2011-01-27 2011-07-22 ポータブルトイ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372A true KR20140022372A (ko) 2014-02-24

Family

ID=49196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515A KR20140022372A (ko) 2011-01-27 2011-07-22 이동식 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22372A (ko)
CN (1) CN1033278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8138A (zh) * 2017-09-21 2017-12-15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秦皇岛研究院 一种坐便椅及其操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1216B (zh) * 2014-02-17 2015-05-13 陈大才 一种设有自动冲洗座便机的多功能护理座椅
TWI616198B (zh) * 2016-05-20 2018-03-01 Portable toile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34573A (en) * 1934-10-04 1935-09-04 Ladislav Rychetsky Hygienic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for use with water closets or bidets
JP3072927U (ja) * 2000-05-01 2000-11-07 祐治 武田 洗浄シャワー付きポータブルトイレ
JP2002282164A (ja) * 2001-03-26 2002-10-02 Toto Ltd ポータブルトイレ
JP4390635B2 (ja) * 2004-06-11 2009-12-24 弘樹 山口 給水装置の負圧破壊装置
CN100443677C (zh) * 2006-02-16 2008-12-17 王宝根 灭菌烘干冲洗马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8138A (zh) * 2017-09-21 2017-12-15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秦皇岛研究院 一种坐便椅及其操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27864A (zh)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68322A1 (ja) 衛生洗浄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トイレ装置
US9463972B2 (en) Docking station for a beverage dispenser having a reservoir
US11419464B2 (en) Toilet seat assembly with cleaning system
JP2010285774A (ja) 温水洗浄便座装置の異常検知装置
TWI707078B (zh) 衛生洗淨裝置
ES2881804T3 (es) Aparato de lavado higiénico
KR20140022372A (ko) 이동식 변기
US9468332B2 (en) Docking station for a beverage dispenser having a reservoir
KR101683151B1 (ko) 자동 손 세척장치
WO2012101847A1 (ja) ポータブルトイレ
JP2011226243A (ja) 自家発電ビデ
JP2012166002A (ja) ポータブルトイレ
JP2012152439A (ja) ポータブルトイレ
JP2005083085A (ja) 水洗便器洗浄装置
JP6467633B2 (ja) 衛生洗浄装置
JP2012166001A (ja) ポータブルトイレ
JP4445227B2 (ja) 強制排水付き全身浴装置
JP2012152440A (ja) ポータブルトイレ
JP4298954B2 (ja) 衛生洗浄装置
JP2010203162A (ja) 温水洗浄便座の漏水検出装置
KR100456447B1 (ko) 포세식 변기의 제어 장치
US9560934B2 (en) Docking station for a beverage dispenser having a reservoir
CN112914367B (zh) 一种集消毒仓蒸汽热水开水为一体的智能茶吧机
JP2010196264A (ja) 温水洗浄式便座装置
KR100995822B1 (ko) 거품 목욕을 위한 부유형 기포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