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1597A -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 Google Patents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1597A
KR20140021597A KR1020137026826A KR20137026826A KR20140021597A KR 20140021597 A KR20140021597 A KR 20140021597A KR 1020137026826 A KR1020137026826 A KR 1020137026826A KR 20137026826 A KR20137026826 A KR 20137026826A KR 20140021597 A KR20140021597 A KR 20140021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component
male
female
component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9581B1 (ko
Inventor
마티아스 달스트롬
안데르스 할딘
Original Assignee
덴츠플라이 아이에이치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5415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2159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덴츠플라이 아이에이치 에이비 filed Critical 덴츠플라이 아이에이치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40021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Abstract

발명의 양태에 따라서, 받침대 나사들과 같은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에서, 각각의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상이한 코어 직경을 가지는 나사산형 부분을 가진다. 각각의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는, 받침대와 같은, 정합하는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나사산형 부분이 작은 직경을 가질수록, 동일한 삽입 토크가 모든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로 인가될 때에도,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그것의 정합하는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최종적으로 조여질 때, 보다 큰 마찰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A SET OF DENTAL COMPONENTS}
본원 발명은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또한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또한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하위세트(subset)와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하위세트를 포함하는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에 관한 것이다.
손상된 또는 망실된 치아를 복원하는 오늘날의 일반적인 방식은 인접한 턱뼈 조직(상악골(maxilla) 또는 하악골(mandible)) 내의 고정구(fixture)를 포함하는 치아용 임플란트를 설치하고 그리고 손상된 또는 망실된 치아를 치아용 의치(prosthesis)로 대체하는 것이다. 받침대(abutment)와 같은 상부 구조물(superstructure)을 치아용 의치와 설치된 고정구 사이의 연결부로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받침대는 의치-지지 부분과 하나의 피스로 형성되는 외부 나사산형(threaded) 부분을 가진다. 받침대는, 그 받침대의 나사산형 부분에 의해서 고정구로 나사체결되고, 상기 고정구는 상응하는 나사산형 부분을 가지는 내부 보어를 구비한다. 그에 따라, 이러한 경우에, 받침대는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이고 그리고 고정구는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된다.
분리된 받침대 나사를 가지는 받침대가 단일-피스 받침대에 대한 대안이 된다. 받침대 나사는 외부 나사산형 부분 및 나사 헤드를 가진다. 받침대를 고정구에 체결할 때, 받침대가 먼저 고정구에 정합되고(mated) 이어서 받침대 나사의 나사산형 부분이 고정구의 내부 나사와 결합되도록 그리고 나사 헤드가 받침대의 관통-홀 내의 안착부(seat) 상에 안착되도록 받침대 나사가 받침대의 관통-홀 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경우에, 받침대 나사는 받침대 형태의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내로 삽입되는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로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수형/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다른 예를 들면, 브릿지 나사들/브릿지 지지부들, 안내 핀들, 인상(impression) 부품들 및 실린더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치아용 구성요소의 제조자들은,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를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최종적으로 조일 때, 특정 토크(일반적으로 15-35 Ncm 영역)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예를 들어, 제조자들은, 받침대에 대해서 최종적으로 조여질 때, 전형적으로 나사 헤드가 받침대의 안착부에 터치될 때, 특정 받침대 나사에 대해서 25 Ncm의 토크를 권장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인가된 토크가 너무 적다면,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적절하게 조여지지 않을 것이고, 이는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느슨해짐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느슨해진다면,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는 다시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파괴를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만약 인가된 토크가 너무 크다면, 축방향의 인장 응력이 너무 커서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나사산의 제 1 치관 회전부(coronal revolution) 아래에 일반적으로 위치되는 가장 약한 지점을 파괴할 것이다.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또한 손상되기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불행하게도, 치과의사들이 항상 권장된 토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종종 보다 큰 또는 보다 작은 토크를 사용한다. 또한, 제조자들이 다른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또는 동일한 타입의 치아용 구성요소의 다른 크기들에 대해서 상이한 토크들을 권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치과의사가 의도하지 않게 권장되지 않은 토크를 인가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그에 따라, 본원 발명의 목적은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느슨해짐을 유발할 수 있고 그리고 잠재적으로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파괴를 초래할 수 있는 너무 적은 토크들을 치과의사가 인가할 수 있는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이고 그리고 또한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파괴를 유발할 수 있고 그리고 잠재적으로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를 또한 손상시킬 수 있는 너무 큰 토크들을 치과의사가 인가할 수 있는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하에서 명확해지는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발명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원 발명은,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사이의 상이한 폭들과 같은 차이들과 관계 없이, 단지 권장되는 하나의 토크 값에 의해서, 치과의사들이 권장 값들을 혼동할 위험성을 감소시킨다는 통찰을 기초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원 발명은 비교적 약한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들(features)을 개선하여, 그러한 부품이 보다 강한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로서 동일한 토크로 적절하게 텐셔닝될(tensioned) 수 있게 한다는 통찰을 기초로 한다. 특히, 본원 발명은 인가된 토크의 일부를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와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사이의 마찰이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상의 인장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해를 기초로 한다. 따라서, 만약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정합되는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최종적으로 조여질 때보다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정합되는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최종적으로 조여질 때 더 파괴되기 쉽다면,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와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사이의 보다 큰 마찰력이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비교적 큰 취약성(fragility)을 보상할 것이다.
본원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라서,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가 제공된다. 이러한 세트는:
정합되는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외부 나사산을 구비하는 코어를 가지는 나사산형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및
정합되는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외부 나사산을 구비하는 코어를 가지는 나사산형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의 코어가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의 코어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각각의 정합되는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토크로 최종적으로 조여질 때,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의해서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하여 제공되는 마찰 보다,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하여 보다 큰 마찰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구성되고 치수결정(dimensioned)된다.
제 1 및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받침대 나사들, 단일-피스 받침대들 및 브릿지 나사들일 수 있을 것이다. 제 1 및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예를 들어, 관통 홀, 치아용 고정구들 및 브릿지 지지부들을 구비한 받침대들일 수 있을 것이다.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이 일반적으로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정점(apical) 부분에 위치된다. 코어 상의 외부 나사산은 축방향으로 교번적인 나사산 상단부들 및 나사산 하단부들을 제공한다.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의 코어의 폭이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의 코어의 폭 보다 좁다. 다시 말해서,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중앙 축과 나사산 하단부 사이의 방사상 거리가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중앙 축과 나사산 하단부 사이의 방사상 거리보다 짧다. 나사산형 부분의 코어가 일반적으로 원통형이나, 약간 테이퍼링된 코어 역시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약간 테이퍼링된 코어들의 경우에, 나사산의 치관 단부의 제 1 회전부에서의 코어의 폭은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상에서 보다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상에서 더 좁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들 상의 외부 나사산들이 제 1 및 제 2 치아용 구성요소 내의 정합되는 내부 나사산들과 각각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는,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치아용 고정구에 나사 결합되도록 된 일체형 받침대 형태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들 상의 외부 나사산들이 제 1 및 제 2 부가적 치아용 구성요소 내의 정합되는 내부 나사산들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는,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각각의 관통-홀을 가지는 받침대들인 경우, 그리고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각각의 고정구들에 대해서 받침대를 체결하기 위한 독립적인 받침대 나사들인 경우이며, 상기 고정구들은 상기 부가적인 치아용 구성요소가 된다.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가 제 1 및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이상을(more than)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정합되는 제 3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3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상기 제 3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는 외부 나사산을 구비한 코어를 가지는 나사산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의 코어가 상기 제 3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의 코어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각각의 정합되는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토크로 최종적으로 조여질 때, 상기 제 3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의해서 상기 제 3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하여 제공되는 마찰 보다, 상기 제 3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하여 보다 큰 마찰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3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구성되고 치수결정된다.
유사하게, 상기 세트가 각각의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보다 많은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예를 들어 제 4, 제 5, 제 6, 등의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적인 조임은, 제 1 및 제 2 치아용 구성요소가 서로에 대해서 최종적으로 접촉된 후에 실시되는 조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에 의해서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내에서 인장 응력을 생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만약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를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최종적으로 조일 때 주어진 토크가 사용된다면, 이러한 제 1 성분들 사이의 마찰은,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를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최종적으로 조일 때 상기와 동일한 주어진 토크를 사용하는 경우에 제 2 수형 및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사이의 마찰 보다 더 크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그에 따라,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나사산형 부분에서 보다 얇은 코어를 가지고 그리고 일반적으로 나사산형 부분에서 더 두꺼운 코어를 가지는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보다 더 파괴되기 쉽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통상적인 경우 보다 더 큰 마찰을 제공하기 때문에, 인가되는 토크가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적은 인장 응력을 초래할 것이고, 그에 따라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파괴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각각의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상기 나사산형 부분의 치관적으로 위치된 비-나사산형 안착부-정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정합 부분은 상기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길이방향 중앙 축에 대해서 0 이외의(non-zero)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에 의해서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상응하는 정합 안착부에 대하여 제공되는 마찰보다,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정합하는 안착부에 대하여 보다 큰 마찰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이 구성되고 치수결정된다.
상기 안착부-정합 부분은, 예를 들어, 테이퍼링 부분이 될 수 있을 것이고, 여기에서 중앙 축에 대한 각도가 0-90°이다. 안착부-정합 부분이 정점 방향으로 적절하게 테이퍼링될 수 있을 것이다. 그 대신에, 안착부-정합 부분이 중앙 축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이 될 수 있을 것이고, 즉 각도가 중앙 축에 대해서 약 90°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 대신에, 안착부-정합 부분이 치관 방향으로 테이퍼링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에 상응하도록 암형 부품의 안착부가 적절하게 치수결정되고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적합하게,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와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은 중앙 축에 대해서 동일한 각도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과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정합 안착부가 중앙 축에 대해서 각도(α)를 형성할 수 있는 한편,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과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정합 안착부가 중앙 축에 대해서 각도(β)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상기 각도(α)가 상기 각도(β) 보다 작다면, 제 2 수형 및 암형 부품들 사이 보다 제 1 수형 및 암형 부품들 사이에서 보다 큰 마찰이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영되며, 그에 따라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이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 보다 작은 중앙 축에 대한 각도를 형성한다.
상기 중앙 축에 대한 각도를 인용할 때, 상기 인용된 각도가 예각 또는 90°각도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것을 예시하면, 1 부터 12까지 표준 포맷으로 숫자가 부여된 다이알(시계 편(clock face))을 상상할 수 있을 것이고, 여기에서 숫자 12는 상단부에 위치하고 그리고 숫자 6이 하단부에 위치된다. 숫자 6 및 12를 통해서 연장하는 가상 직선은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축을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시계의 바늘(hand)이 숫자 1을 가리킬 때, 이는 "축"과 30°의 각도를 형성할 것이다. 시계의 바늘이 숫자 2로 이동되면, 이는 "축"과 60°의 각도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시계의 바늘이 숫자 3으로 이동하면, 이는 "축"과 90°의 각도를 형성한다. 그에 따라, 이러한 순서는 감소되는 마찰을 제공하는 안착부-정합 부분들을 나타낸다. 각도가 클수록 마찰이 작아진다. 그러나, 시계의 바늘이 계속 진행하고 그리고 숫자 4에 도달하면, 이는 다시 "축"에 근접하게 되고 그리고 "축"과 60°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것이 120°의 각도로서 간주되지 않아야 하는데, 이는 마찰 관점에서 60°의 치관적으로 테이퍼링된 안착부-정합 부분이 60°의 정점적으로 테이퍼링된 안착부-정합 부분과 동일한 마찰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사하게, 다이알에서 참조 숫자 5로 계속 진행할 때, 각도가 30°가 될 것이다. 따라서, 축의 수직 방향을 통과하였을 때, 안착부-정합 부분은 상응하는 안착부와 정합될 때 보다 큰 마찰을 점증적으로 제공할 것이다. 예를 들어, 만약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세라믹 받침대라면,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치관적으로 테이퍼링되는 안착부-정합 부분 및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상응하는 치관적으로 테이퍼링된 안착부가 유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치관적인 테이퍼링은 세라믹 받침대의 안착부 상에서 (정점적 테이퍼링에 의해서 유발되는 외측으로 지향되는 압력과 반대로) 내측으로 지향된 압력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세라믹 받침대의 균열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상기 안착부-정합 부분은 중앙 축에 대해서 35°-45°, 예를 들어 약 40°의 각도를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은 중앙 축에 대해서 45°-55°, 예를 들어 약 50°의 각도를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그러한 안착부-정합 부분의 각도의 고려 가능한 다른 예들은: 55°-65°, 예를 들어 약 60°, 65°-65°, 예를 들어 약 70°, 75°-85°, 예를 들어 약 80°, 85°-85°, 예를 들어 약 80°이다.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가 적어도 2개의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각각의 상기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는 상기에서 예시된 각도들 중 하나의 또는 상기에서 예시된 각도들의 범위들 중 하나 이내의 안착부-정합 부분을 가진다. 물론, 세트가 상기의 범위들로부터 선택된 각각의 각도들을 가지는 안착부-정합 부분들을 가지는 셋 이상의 치아용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이,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정합 안착부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의 면적 보다 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정합 안착부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면적을 가진다. 증대된 접촉 면적은, 제 1 및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각각의 안착부-정합 부분들의 각도들이 동일한 경우에도, 보다 큰 마찰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모두가 중앙 축과 90°의 각도(즉,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와의 편평부(flat)-대-편평부 접촉)를 형성하는 접촉 표면을 가지는 안착부-정합 부분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나, 제 1 부품의 접촉 표면의 면적은 제 2 성분의 접촉 면적 보다 더 크다. 또한, 상응하는 면적 편차가 다른 각도들에서 고려될 수 있을 것이고,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모두가 중앙 축과 70°의 각도(즉, 원뿔(cone)-대-원뿔 접촉)를 형성하는 접촉 표면을 가지는 안착부-정합 부분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나, 제 1 부품의 접촉 표면의 면적은 제 2 성분의 접촉 면적 보다 더 크다.
제 1 및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상이한 마찰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방식은, 상이한 표면 성질들을 가지는 부품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각각의 하나가 그것의 각각의 정합하는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표면을 가지고, 여기에서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은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과 상이하며, 그에 따라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과 그것의 정합하는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사이의 마찰 계수가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과 그것의 정합하는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크다. 마찰 계수의 편차는, 예를 들어, 표면 개질(modification), 표면 조질화, 양극처리 또는 표면 코팅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한가지 방식으로 개질된 표면이 될 수 있는 한편,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는 전혀 개질되지 않거나(예를 들어, 매끄럽다) 또는 다른 방식으로 개질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접촉 표면은 안착부-정합 부분 상에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그 대신에, 상기 접촉 표면이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와 접촉하는 다른 부분이 될 수 있을 것이고, 그리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부분에 대비하여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 및 정합하는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적절하게는 그 안착부) 사이의 마찰 계수는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 및 정합하는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적절하게는 그 안착부) 사이의 마찰 계수 보다 크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과, 예를 들어 고정구 내의, 정합하는 내부 나사산형 부분 사이의 마찰 계수는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과, 예를 들어 고정구 내의, 정합하는 내부 나사산형 부분 사이의 마찰 계수 보다 크다.
만약 마찰 계수의 차이가 상이한 표면 조도로 인한 것이라면, 이는 예를 들어 블래스팅, 에칭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적합한 프로세스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의 표면 조도가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의 표면 조도 보다 크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의 표면 조도가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의 표면 조도 보다 크다.
여러 가지 마찰 증가 및/또는 감소 수단들을 조합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의해서 제공되는 마찰을 더욱 차별화하는 것을 또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은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 보다 작은 중앙 축에 대한 각도를 형성하고 그리고, 부가적으로,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의 표면을 (예를 들어, 코팅, 폴리싱 등에 의해서) 개질하여 비-개질된 나사산형 부분 보다 작은 마찰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하의 상황이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약한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이 중앙 축과 90°미만의 0 이외의 각도, 예를 들어 70°각도를 형성할 수 있는 한편, 보다 강한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은 90°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비록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보다 큰 마찰을 제공할 것이고 그에 따라 그들 양자 모두가 동일한 권장 토크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지만,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그 최종 설치 상태에 있을 때 적절하게 예비-응력인가되지(pre-stressed) 않도록 하는 것이 하나의 선택사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과, 예를 들어 고정구 내부의, 정합하는 나사산형 부분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써, 예비-응력인가를 증가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찰 감소는, 예를 들어 적합하게 코팅, 폴리싱 등에 의해서,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들의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라서,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가 제공된다. 그러한 세트는:
정합되는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외부 나사산을 구비하는 코어를 가지는 나사산형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및
정합되는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외부 나사산을 구비하는 코어를 가지는 나사산형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의 코어가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의 코어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각각의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토크로 최종적으로 조여질 때,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의해서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하여 제공되는 마찰보다,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하여 보다 큰 마찰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구성되고 치수결정된다.
발명의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또한 발명의 제 2 양태에서, 제 1 및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받침대 나사들, 단일-피스 받침대들 및 브릿지 나사들일 수 있을 것이다. 제 1 및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예를 들어, 관통 홀, 치아용 고정구들 및 브릿지 지지부들을 구비한 받침대들일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각각의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각각의 정합하는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길이방향 중앙 축에 대해서 0 이외의 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에 의해서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상응하는 안착부-정합 부분에 대하여 제공되는 마찰보다,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상응하는 안착부-정합 부분에 대하여 보다 큰 마찰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가 구성되고 치수결정된다.
발명의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들과 유사하게, 상기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가, 예를 들어, 테이퍼링 부분이 될 수 있을 것이고, 여기에서 중앙 축에 대한 각도가 0-90°이다. 그 대신에, 안착부-정합 부분이 중앙 축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이 될 수 있을 것이고, 즉 각도가 중앙 축에 대해서 약 90°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적합하게, 상기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와 상기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이 중앙 축에 대해서 동일한 각도를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가 중앙 축에 대해서,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 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한다. 그러한 각도는, 발명의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앞서서 설명한,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들에 대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된다. 또한, 발명의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예시한 각도들 및 각도들의 범위들이 또한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들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가,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상응하는 안착부-정합 부분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의 면적 보다 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상응하는 안착부-정합 부분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면적을 가진다. 발명의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증대된 접촉 면적은, 제 1 및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각각의 안착부-정합 부분들의 각도들이 동일한 경우에도, 보다 큰 마찰을 의미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각각의 하나가 각각의 정합되는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와 접촉하는 접촉 표면을 가지고,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은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과 상이하며, 그에 따라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과 상기 정합하는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사이의 마찰 계수가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과 상기 정합하는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사이의 마찰 계수 보다 크다.
발명의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특징부들은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세트에서의 특징부들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라서,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가 제공된다. 그러한 세트는: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및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하위세트, 및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및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하위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는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는 외부 나사산을 구비하는 코어를 가지는 나사산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는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는 외부 나사산을 구비하는 코어를 가지는 나사산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의 코어가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의 코어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그들의 각각의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토크로 최종적으로 조여질 때,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와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사이의 마찰이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와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사이의 마찰 보다 크다.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세트에서,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하위세트가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세트에서 포함되는 것과 동일한 상응하는 특징부들 및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세트에서,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하위세트가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세트에서 포함되는 것과 동일한 상응하는 특징부들 및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각각의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상기 나사산형 부분의 치관적으로 위치된 비-나사산형 안착부-정합 부분을 포함하고, 그리고 각각의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각각의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상기 안착부-정합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정합 부분 및 상기 안착부 각각이 각각의 치아용 구성요소의 길이방향 중앙 축에 대해서 0 이외의 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그들의 각각의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토크로 최종적으로 조여질 때,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과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 사이의 마찰이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과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 사이의 마찰 보다 크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 및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정합하는 안착부는 상기 중앙 축에 대해서,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과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정합하는 안착부 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 및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정합하는 안착부 사이의 접촉 면적은,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과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정합하는 안착부 사이의 접촉 면적 보다 크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각각의 하나가 각각의 정합하는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과 그것의 정합하는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사이의 마찰 계수는,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과 그것의 정합하는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사이의 마찰 계수 보다 크다.
발명의 제 1 및 제 2 양태들에 따른 세트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특징부들이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세트 내의 특징부들로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제 1, 제 2, 및 제 3 양태들 중 임의의 하나의 양태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포함하고, 그러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턱뼈 내로 삽입가능한 각각의 치아용 고정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받침대들이 되고, 상기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는 각각의 정합하는 받침대를 각각의 치아용 고정구에 체결하기 위한 받침대 나사들이 된다.
발명의 제 1, 제 2, 및 제 3 양태들 중 임의의 하나의 양태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포함하고, 그러한 실시예에 따라서 각각의 받침대 나사가 상기 받침대 나사의 중앙 축에 대해서 0 이외의 각도를 형성하는 정점 부분을 가지는 나사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제 1 받침대 나사이고 그리고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제 2 받침대 나사이며,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제 1 받침대이고 그리고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제 2 받침대이며,
상기 제 1 받침대 나사의 나사 헤드의 정점 부분은 상기 제 2 받침대 나사의 나사 헤드의 정점 부분 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고, 및/또는 상기 제 1 받침대 나사의 나사 헤드의 정점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제 1 받침대의 안착부는 상기 제 2 받침대 나사의 나사 헤드의 정점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받침대의 안착부 보다 작은 중앙 축에 대한 각도를 형성한다.
그에 따라, 보다 얇은 코어를 가지고 그에 따라 보다 취약한 제 1 받침대 나사는, 상기 제 1 받침대에 연결될 때, 보다 넓은 제 2 받침대가 제 2 받침대에 연결될 때 보다 더 큰 마찰을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제 1 받침대 나사가 보다 강한 제 2 받침대 나사와 동일한 토크로 적절하게 텐셔닝될 수 있을 것인데, 이는, 인가된 토크의 일부를 제 1 받침대와 제 1 받침대 나사들 사이의 마찰이 가져갈 수 있기 때문이고, 그에 따라 제 1 받침대 나사 상의 인장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적용예에서, 치아용 구성요소가 치아용 고정구 및 받침대와 같은 상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치아용 고정구는 치아용 의치의 고정 부재로서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치아용 의치가 요구되는 장소에서 턱뼈(상악골 또는 하악골)의 뼈 조직 내에 미리-준비된 보어 홀 내로 치아용 고정구가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치아용 고정구는 일반적으로 보어 홀 내로 회전된다.
나사-타입 치아용 고정구들의 경우에, 보어 홀이 미리 내부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고 또는, 예를 들어 고정구 나사산 내에 하나 이상의 축방향-연장 컷팅 리세스들, 엣지들 또는 노치들 등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자체-탭핑가공(tapping) 능력을 가지는 치아용 고정구의 경우에 탭핑가공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고정구의 정점 단부 부분이, 3개의 컷팅 리세스들과 같은, 2-4개의 컷팅 리세스들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수의 컷팅 리세스들이 용이하게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의치 부분을 고정구에 연결하기 위한 상부 구조물은, 상악골 또는 하악골 위의 잇몸(gingiva)을 가교연결(bridge)하기 위해서 치아용 고정구에 결합되는 받침대, 이격부재 또는 다른 점막관통(transmucosal) 부품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의치 부분, 예를 들어 크라운(crown), 브릿지 또는 틀니(denture)가 받침대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부 구조물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들을 가질 수 있다.
"치관"이라는 용어는, 여기에서 그리고 본원의 전체를 통해서, 치아용 임플란트의 헤드 단부 또는 후단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받침대가 치아용 고정구에 연결되는 상황에서, 받침대의 치관 방향은 고정구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지향된 받침대의 부분을 향하는 방향일 것이다. 반대로, "정점"이라는 용어는 부품의 삽입 또는 선단(leading)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그에 따라, 정점 및 치관은 반대되는 방향들이다. 또한, "축", "축방향", 또는 "축방향으로"라는 용어들은 치관 단부로부터 정점 단부까지, 또는 그 반대로 취해진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서 본원 전체에서 사용되었다. "방사상", "방사상 방향", 또는 "방사상 방향으로"라는 용어들은 축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을 나타낸다.
한쪽이 막힌 보어 또는 소켓은, 상부 구조물이 고정구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 고정구 본체의 정점 단부와 치관 단부 사이에서 치관 단부로부터 단부 표면까지 고정구 본체 내에서 정점적으로 연장할 수 있을 것이다. 소켓은 상부 구조물을 고정구에 나사 연결하기 위해서 내부-나사산형 섹션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부 구조물에 대한 회전방향 록(rotational lock)이, 내부의 다각형의, 예를 들어 육각형의 측벽과 같이, 소켓 내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고, 또는 그 대신에 소켓의 벽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 또는 소켓의 벽 내의 요홈부(indentation)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치관 섹션과 같은 소켓의 섹션이 정점 단부를 향해서 테이퍼링될 수 있을 것이다. 테이퍼링된 섹션은 내부-나사산형 섹션에서 치관적으로 적합하게 정렬된다.
고정구가 하나의 스테이지 공정 또는 2 스테이지 공정에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스테이지 공정에서, 치료용(healing) 또는 임시용 받침대가 고정구에 연결되어 잇몸 조직을 형성하고, 그리고 치료 기간 후에 치료용 또는 임시용 받침대를 영구적인 받침대로 대체한다. 2 스테이지 공정의 경우에, 고정구가 커버 나사를 구비하고 그리고 잇몸 조직이 고정구 및 커버 나사 위로 봉합되고(suture), 그리고 치료 기간 후에 커버 나사를 제거한 후 조직을 개방하고 받침대를 고정구에 연결한다.
고정구는 치관 단부를 향해서 테이퍼링되는 원뿔형 테이퍼링 단부 부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치관 단부 부분의 축방향 범위는 고정구의 전체 길이에 대비하여 작고, 예로서 전체 길이의 4% 이하, 예를 들어 1.5%-3.7% 범위이다. 치관 단부 부분은 적합하게 나사산형 표면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고, 예를 들어 매끄러운 또는 조질화된(예를 들어, 블래스팅된) 표면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고정구는 그러한 고정구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실질적으로 편평한 치관 단부 표면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 대신에, 치관 단부 표면이, 예를 들어, 고정구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경사진 윤곽을 가질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턱뼈 내에 배치될 때, 고정구의 길이가 그러한 고정구의 혀쪽 측부(lingual side)에서 보다 길고 그리고 볼쪽 측부(buccal side)에서 보다 짧다. 다른 대안은 안장-형상 또는 파동-유사 치관 단부 표면이다.
도 1a-b, 2a-b, 및 3a-b는 적어도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하위세트 및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하위세트를 포함하는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를 도시한다.
도 4a-4c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를 도시한다.
도 5a-5c는 적어도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를 도시한다.
도 6은 희망하는 마찰-영향 성질들을 획득하기 위한 치아용 구성요소의 표면 개질을 도시한다.
도 7a-b, 8a-b, 및 9a-b는 적어도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하위세트 및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하위세트를 포함하는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를 도시한다.
도 10a-10b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에 포함될 수 있는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및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1a-b, 2a-b, 및 3a-b는 적어도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하위세트 및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하위세트를 포함하는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를 도시한다.
도 1a-1b로 시작하면, 받침대를 고정구(6a)에 체결하기 위해서, 여기에서 받침대 나사(2a) 형태인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여기에서 받침대(4a) 형태인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고정구(6a)는 여기에서 해면골(cancellous bone) 조직과 결합하도록 의도된 비교적 큰 나사산들(8)을 구비한 외부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고정구의 치관 부분은 피질골(cortical bone) 조직에 결합하도록 의도된 작은 피크-대-피크 거리를 가지는 비교적 작은 나사산들(10)을 구비한다. 도시된 고정구(6a)는 단지 예이고, 그리고 고정구의 골유착능(osseointegration)을 위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고정구 외부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개방 단부를 가지는 소켓(12)이 고정구(6a)의 치관 단부 내에 제공된다. 소켓(12)은 고정구(6a) 내로 정점적으로 연장한다. 소켓(12)은, 관통-홀 위의 잇몸을 가교 연결하고 의치 부분을 지지/제공하는 도시된 받침대(4a)와 같은 치아용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소켓이 받침대 모형(replica), 드라이버, 치료용 캡 또는 치형 픽-업 요소와 같은 다른 치아용 구성요소를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여러 가지 대안적인 구성들이 고려될 수 있지만, 여기에서 소켓(12)은 원뿔형 치관 섹션(14) 및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중간 벽 섹션(16)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4개의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리세스들(18)이 중간 벽 섹션(16) 내에 제공된다. 여기에서 리세스들(18)은 원뿔형 치관 섹션(14)의 연속부들로서 도시되어 있고 그에 따라 정점적으로 테이퍼링된다. 대안으로서, 리세스들(18)은 비-테이퍼링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대안으로서, 중간 벽 섹션(16)이 실질적으로 원뿔형일 수 있을 것이다.
소켓(12)은 내부 나사산형 정점 섹션(20)을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받침대(4a)는, 여기에서 전반적으로 원통형의 봉입(enveloping) 표면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결합 부분(22)을 포함하나, 테이퍼링과 같은 다른 봉입 표면들이 그 대신에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받침대(4a)는, 잇몸의 위로 고정구(6a)의 치관적으로 연정하는 치아용 크라운-수용 또는 의치-수용 부분(24)을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쇼울더(28)까지 치관적으로 위쪽으로 펼쳐지는(flaring up) 것으로 도시된 연장 부분(26)은 잇몸을 통해서 연장하도록 의도된 것이고 그리고 결합 부분(22)과 의치-수용 부분(24) 사이에 제공된다.
4개의 방사상 돌출부들(30)이 결합 부분(22)의 원통형 봉입 표면 주위에서 이격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른 수들로 존재할 수 있는 4개의 돌출부들(30)이 여기에서 쐐기-유사한 그리고 정점적으로 테이퍼링된 즉, 그들의 방사상 연장부가 그들의 치근 단부에서 가장 큰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받침대(4a)는 관통-홀(32)을 구비하고, 여기에서 받침대 나사(2a)가 상기 관통-홀(32)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고정구(6a)의 내부 나사산(20)과 결합되어 받침대(4a)를 고정구(6a)에 고정한다.
도시된 예에서, 받침대(4a)의 의치-수용 부분(24)이 관통-홀(32)의 축에 대해서 각을 이룬다. 치과의사와 같은 사용자는, 4개의 색인(indexing) 위치들 중에서 각도형 의치-수용 부분(24)에 대한 최적의 배향을 제공하는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만약 의치-수용 부분(24)이 고객-맞춤형(custom-fit)으로 디자인되고 환자-특정 구성을 가진다면, 사용자는 받침대(4a)를 고정구(6a)에 대한 희망 색인 위치에서 배열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소켓(12) 내의 4개의 리세스들(18)이 많은 수술 적용예들에서 매우 충분할 수 있지만, 추가적인 색인 위치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보다 많은 리세스들을 가지는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받침대(4a)가 고정구(6a)에 대한 희망 회전 색인 위치에 배열된 후에, 그리고 돌출부/리세스 인터페이스들이 회전 록을 제공한 후에, 받침대 나사(2a)가 받침대(4a)의 관통-홀(32)을 통해서 그리고 고정구(6a)의 내부 나사산형 정점 섹션(20) 내로 삽입되고 그리고 조여진다. 마지막으로, 의치(미도시)가 받침대(4a)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되는 받침대 나사(2a)는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가진다. 이는, 받침대 나사(2a)가 받침대(4a)를 고정하도록 의도된 고정구(6a)가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가지기 때문이고, 그리고 소켓(12) 주위로 재료의 특정 두께를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2a-b 및 3a-b의 고정구들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a-b에서, 받침대(4b)를 고정구(6b)에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다소 넓은 받침대 나사(2b)를 허용하는 다소 넓은 고정구(6b)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b에서, 받침대(4c)를 고정구(6c)에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보다 넓은 받침대 나사(2c)를 허용하는 보다 넓은 고정구(6c)가 도시되어 있다.
그에 따라, 도 1a-b, 2a-b, 및 3a-b를 참조하면, 받침대 나사들 형태의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가 개시되고, 그리고 받침대들 형태의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가 개시된다. 이하에서, 제 1 받침대 나사(2a) 및 제 1 받침대(4a)를 도시하는 도 1a-b를 참조하고, 그리고 제 2 받침대 나사(2b) 및 제 2 받침대(4b)를 도시하는 도 2a-b를 참조하고, 그리고 제 3 받침대 나사(2c) 및 제 3 받침대(4c)를 도시하는 도 3a-b를 참조할 것이다.
제 1 받침대 나사(2a)는 코어 및 외부 나사산을 가지는 나사산형 부분(40a)을 포함한다. 제 2 받침대 나사(2b)는 코어 및 외부 나사산을 가지는 나사산형 부분(40b)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받침대 나사(2a)의 나사산형 부분(40a)의 코어가 제 2 받침대 나사(2b)의 나사산형 부분(40b)의 코어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제 3 받침대 나사(2c)는 코어 및 외부 나사산을 가지는 나사산형 부분(40c)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받침대 나사(2b)의 나사산형 부분(40b)의 코어가 제 3 받침대 나사(2c)의 나사산형 부분(40c)의 코어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각각의 받침대 나사(2a, 2b, 2c)가 헤드 및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산형 부분(40a, 40b, 40c)은 샤프트의 정점 부분에 위치된다. 도 3b에서, 제 3 받침대 나사(2c)의 헤드(44c)의 정점 단부(42c)가 샤프트의 인접한 비-나사산형 부분(46c)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정점 단부(42c)는 나사산형 부분(40c)의 치관적으로 위치되고 제 3 받침대 나사(2c)의 길이방향 중앙 축(C)에 대해서 약 90°의 각도(γ)를 형성하는 안착부-정합 부분이다. 제 3 받침대(4c)는 제 3 받침대 나사(2c)의 안착부-정합 부분(42c)(이러한 경우에, 정점 단부 또는 헤드의 하부)을 수용하기 위한 상응하는 받침대 안착부(48c)를 구비한다. 제 3 받침대(4c)의 안착부(48c)는 제 3 받침대의 길이방향 중앙 축(C)에 대해서 약 90°의 각도(γ)를 형성한다. 그에 따라, 제 3 받침대를 제 3 고정구(6c)에 고정하기 위해서 제 3 받침대 나사(2c)가 제 3 받침대(4c) 내로 삽입될 때, 그 안착부-정합 부분(42c)은 최종적으로 제 3 받침대(4c)의 안착부(48c)와 접촉할 것이다. 이러한 것이 편평부-대-편평부 접촉을 초래할 것이기 때문에, 제 3 받침대 나사(2c)의 임의의 추가적인 그리고 최종적인 조임은 제 3 받침대 나사(2c)의 안착부-정합 부분(42c)과 받침대(4c)의 안착부(48c) 사이에 비교적 적은 마찰을 초래할 것이다.
제 2 받침대 나사(2b)는, 제 3 받침대 나사(2c)에 대비하여, 나사산형 부분(40b)에서 작은 코어 직경을 가지고 그에 따라 그 코어가 보다 취약하다. 그러나, 보다 작은 치수를 보상하기 위해서, 제 2 받침대 나사(2b)의 헤드(44b)의 정점 단부에서 안착부-정합 부분(40b)이, 상기 제 2 받침대 나사(2c)의 상기 각도(γ)에 대비하여 보다 작은 중심 축에 대한 각도(β)를 형성한다. 유사하게, 제 2 받침대(4b)의 정합 안착부(48b)가 중앙 축에 대한 상응하는 보다 작은 각도(β)를 형성한다. 그에 따라, 제 2 받침대 나사(2b)의 안착부-정합 부분(40b)이 제 2 받침대(4b)의 정합 안착부(48b)와 원뿔-대-원뿔 접촉할 때, 최종적인 조임은, 앞서서 설명한 제 3 받침대(4c)와 제 3 받침대 나사(2c) 사이의 마찰 보다 큰, 제 2 받침대 나사(2b)의 안착부-정합 부분(40b)과 제 2 받침대(4b)의 안착부(48b) 사이의 마찰을 초래할 것이다. 삽입 토크의 힘들이 큰 마찰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소모되기 때문에, 안착부-정합 부분(40b) 및 안착부(48b)가 제 3 받침대(4c)와 제 3 받침대 나사(2c)에서와 같은 90°각도를 형성하는 경우 보다, 제 2 받침대 나사(2b)의 나사산형 부분(40b) 상에 적은 인장 변형(tensile strain)이 존재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받침대 나사(2b)와 제 2 받침대(4b)의 안착부-정합 부분(40b) 및 안착부(48b)의 적절한 기울기에서, 너무 큰 삽입 토크로 인한 제 2 받침대 나사(2b)의 파괴 위험이 없이, 치과의사가 제 3 받침대 나사(2c)에 대해서 인가되는 것과 같은 삽입 토크를 제 2 받침대 나사(2b)에 대해서 인가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나사산형 부분(40a)에서 보다 더 좁은 코어를 가지는 제 1 받침대 나사(2a)는 중앙 축에 대해서 보다 더 작은 예각 각도(α)를 가지는 안착부-정합 부분(40a)을 가지고 그에 따라 제 1 받침대 나사(2a)가 제 1 받침대(4a)에 대해서 최종적으로 조여질 때 (동일하게 인가된 삽입 토크에서) 보다 큰 마찰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받침대(4a)는 제 1 받침대 나사(2a)의 안착부-정합 부분(40a)과 동일한 각도(α)를 가지는 정합되는 안착부(48a)를 가진다. 그에 따라, 상기 각도들 사이의 관계가 α<β<γ 가 된다.
만약 상이한 받침대 나사들(2a, 2b, 2c)의 각도들이 적절하고, 그리고 또한 받침대 나사들 중 하나 이상이 권장 토크로 최종적으로 설치된 후에도 충분히 예비-응력인가되지 않았다는 것이 발견되면, 예비-응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나사산형 부분을 감소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만약 보다 견고한 고정을 획득하기 위해서 제 3 받침대 나사(2c)가 보다 예비-응력인가되기를 원한다면, 고정구(6c)에 대한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 나사산형 부분(40c)이 마찰-감소 코팅을 구비하거나 달리 개질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a-4c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받침대 나사들(또는 브릿지 나사들)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제 1 받침대 나사(52a)를 도시하는 도 4a를 참조할 것이고, 제 2 받침대 나사(52b)를 도시하는 도 4b를 참조하고, 그리고 제 3 받침대 나사(52c)를 도시하는 도 4c를 참조할 것이다.
도 4c의 제 3 받침대 나사(52c)는, 예를 들어, 앞서서 설명된 도 3c의 제 3 받침대 나사(2c)에 상응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도 4c의 제 3 받침대 나사(52c)가 헤드(54c) 및 샤프트(55c)를 가진다. 샤프트(55c)는 치관적인 비-나사산형 부분(56c) 및 정점적인 나사산형 부분(58c)을 구비한다. 헤드(54c)의 정점 단부 또는 하부측(60c)은 샤프트(55c)에 수직이 되고 그에 따라 제 3 받침대 나사(52c)의 중앙 축에 대해서 90°의 각도를 형성한다(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안착부-정합 부분으로서 작용할 것이다). 상기 헤드(54c)의 하부측(60c)은, 받침대와 같이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와 정합하게 될 접촉 표면으로서 작용할 것이다. 그에 따라, 헤드(54c)의 하부측(60c)에 의해서 제공되는 최대 접촉 면적은 헤드(54c)의 하부측(60c)의 직경에서 샤프트(55c)의 치관적인 비-나사산형 부분(56c)의 직경을 차감한 것이 될 것이다.
도 4b의 제 2 받침대 나사(52b)는, 제 3 받침대 나사(52c)의 나사산형 부분(58c) 보다 작은 코어 직경을 가지는 나사산형 부분(58b)을 구비하는 샤프트(55b)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2 받침대 나사(52b)의 나사산형 부분(58b)은 제 3 받침대 나사(52c)의 나사산형 부분(58c) 보다 더 취약하다. 그러나, 제 3 받침대 나사(52c)와 동일한 삽입 토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 2 받침대 나사(52b)는, 상응하는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최종적으로 조여질 때, 보다 큰 마찰(이는 인가되는 힘의 일부를 빼앗아 갈 것이다)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디자인되고, 그에 따라 제 2 받침대 나사(52b)의 나사산형 부분(58b) 상의 인장 변형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보다 큰 마찰은, 제 2 받침대 나사(52b)의 헤드(54b)의 하부측(60b)에 의해서 제공되는 접촉 표면의 보다 큰 면적에 의해서 달성된다. 따라서, 헤드(54b)의 하부측(60b)과 인접한 샤프트(55b)의 치관적인 비-나사산형 부분(56b) 사이의 직경 차이는, 제 3 받침대 나사(52c) 보다, 제 2 받침대 나사(52b)에 대해서 더 크다.
유사하게, 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나사산형 부분(58a)을 가지는 제 2 받침대 나사(52a)는, 보다 큰 마찰을 제공하기 위한 보다 큰 접촉 표면을 헤드(54a)의 하부측(60a)에 제공함으로써 보상된다. 따라서, 헤드(54a)의 하부측(60a)과 인접한 샤프트(55a)의 치관적인 비-나사산형 부분(56a) 사이의 직경 차이는, 제 2 받침대 나사(52b) 보다, 제 1 받침대 나사(52a)에 대해서 더 크다.
따라서, 제 1, 제 2, 및 제 3 받침대 나사들(52a, 52b, 52c)의 각각의 하나가, 보다 작은 제 1 및 제 2 받침대 나사들(52a, 52b)의 나사산형 부분들(58a, 58b) 상에 너무 큰 인장 변형을 초래할 위험이 없이, 동일한 삽입 토크의 값을 이용하여, 그들의 각각의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a-5c는 적어도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는 받침대 나사들(72a, 72b, 72c)(또는 브릿지 나사들)로서 예시되어 있다. 도 4a-4c의 받침대 나사들(52a, 52b, 52c)의 헤드들(54a, 54b, 54c)의 수직 하부측들(60a, 60b, 60c)과 달리, 도 5a-5c의 받침대 나사들(72a, 72b, 72c)의 헤드들(76a, 76b, 76c)의 하부측들(74a, 74b, 74c)은 정점적으로 테이퍼링되고 그에 따라 중앙 축에 대해서 0-90°의 각도를 형성한다. 그러나, 도 4a-4c의 받침대 나사들(52a, 52b, 52c)과 유사하게, 도 5a-5c의 받침대 나사들(72a, 72b, 72c)은 달리 치수결정된 마찰-제공 접촉 표면들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도 5a의 제 1 받침대 나사(72a)는 나사산형 부분(78a)의 코어에 대해서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고, 그에 따라 가장 큰 면적을 가지는 즉, 정합되는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제 1 받침대 나사(72a)가 최종적으로 조여질 때 가장 큰 마찰력을 제공하는 테이퍼링 접촉 표면을 제시하는 하부측(74a)으로 보상된다. 도 5b의 제 2 받침대 나사(72b)는 나사산형 부분(78b)의 코어에 대해서 다소 큰 직경을 가지고, 그에 따라 다소 작은 면적을 가지는 즉, 제 1 받침대 나사(72a) 보다 작은 마찰을 제공하는 하부측(74b)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도 5c의 제 3 받침대 나사(72c)는 나사산형 부분(78c)의 코어에 대해서 가장 큰 직경을 가지고, 그에 따라 가장 작은 면적을 가지는 즉, 가장 작은 마찰을 제공하는 테이퍼링 접촉 표면을 제공하는 하부측(74c)을 가진다.
도 6은 희망하는 마찰-영향 성질들을 획득하기 위한 치아용 구성요소의 표면 개질을 도시한다.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의 코어에 대한 직경 차이들을 보상하기 위한 상이한 마찰 성질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이한 각도들 또는 상이한 접촉 표면들의 면적들을 세트 내의 수형 및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제공하는 대신에, 표면 성질들의 변동들(variations)이 다른 대안이 된다. 따라서, 도 6은, 받침대 나사(102)의 헤드(110)의 하부측(108)(안착부-정합 부분)이 표면 조도를 가지는, 그리고 유사하게 받침대(104)의 정합 안착부(112)가 표면 조도를 가지는 예를 도시한다. (받침대(104)가 고정구(106) 내로 삽입된 후에) 받침대 나사(102)가 받침대(104)에 대해서 최종적으로 조여질 때, 안착부-정합 부분(108) 및 안착부(112)가 매끄러운 표면들을 가지는 경우 보다 더 큰 마찰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보다 작은 코어 직경을 가지는 나사산형 부분을 가지는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바람직하게, 보다 큰 마찰을 제공하기 위해서 보다 큰 표면 조도의 접촉 표면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와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사이의 보다 큰 마찰을 달성하기 위해서, 양 부품들이 보다 큰 표면 조도를 반드시 가져야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부품들 중 하나, 예를 들어 도 6의 받침대 나사(102)가 조질화된 표면(108)을 구비하는 한편 받침대(104)의 안착부(112)를 매끄럽게 유지하는 것도, 양 부품들이 매끄러운 접촉 표면들을 가지는 경우 보다 더 큰 마찰을 초래할 것이다. 마찰 계수들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다른 표면 개질 대안들도 물론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표면 조질화 대신에, 표면 코팅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고, 양극화 등도 다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a-b, 8a-b, 및 9a-b는 적어도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하위세트 및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하위세트를 포함하는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받침대들(201a, 201b, 201c)로 표시되는 한편,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는 치아용 고정구들(203a, 203b, 203c)로 표시된다.
이하에서, 제 1 받침대(210a) 및 제 1 고정구(203a)를 도시하는 도 7a-b를 참조할 것이고, 제 2 받침대(210b) 및 제 2 고정구(203b)를 도시하는 도 8a-b를 참조할 것이고, 그리고 제 3 받침대(210c) 및 제 3 고정구(203c)를 도시하는 도 9a-b를 참조할 것이다.
도 7a-b로 시작하면, 제 1 고정구(203a)가, 그 치관 단부에서, 정점적인 나사산형 부분(207) 및 제 2 받침대(201a)를 위한 안착부(209a)로서 기능하는 치관 테이퍼링 부분(209a)을 가지는 소켓(205)을 구비한다. 안착부(209a)는 제 1 고정구(203a)의 길이방향 중앙 축에 대해서 각도(θ)를 형성한다. 제 1 받침대(201a)는 정점적인 나사산형 부분(211a)을 구비하고, 상기 정점적인 나사산형 부분은 받침대(201a)와 단일 피스로 형성되고 그리고 제 1 고정구(203a)의 나사산형 부분(207) 내로 나사체결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제 1 받침대의 나사산형 부분(211a)의 코어는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가진다. 제 1 받침대(201a)는 또한 제 1 고정구(203a)의 상기 안착부(209a)와 정합되기 위한 정점적으로 테이퍼링된 안착부-정합 부분(213a)을 가진다. 제 1 받침대(201a)가 제 1 고정구(203a)에 대해서 최종적으로 조여질 때, 안착부-정합 부분(213a)이 정합 안착부(209a)와 함께 비교적 큰 마찰을 제공할 것이다.
도 8a-8b는 제 1 받침대(201a)의 코어 보다 다소 넓은 코어를 가지는 나사산형 부분(211b)을 가지는 제 2 받침대(201b)를 도시한다. 따라서, 제 2 받침대(201b)의 나사산형 부분(211b)이 보다 강하고 그에 따라 제 1 받침대(201a)에서와 같은 큰 마찰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제 2 받침대의 안착부-정합 부분(213b) 및 제 2 고정구(203b)의 정합되는 안착부(209b)는, 제 1 받침대(201a) 및 제 1 고정구(203a)에 의해서 제공되는 각도(θ)에 대비하여 더 큰 중앙 축에 대한 각도(Φ)를 형성한다. 유사하게, 도 9a-9b의 제 3 받침대(201c)의 나사산형 부분(211c)이 보다 큰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제 3 받침대(201c)의 안착부-정합 부분(213c) 및 제 3 고정구(203c)의 안착부(209c)에 의해서 형성된 예각 각도(ψ)가 상기 제 2 받침대(201b) 및 제 2 고정구(203b)의 상기 각도(Φ) 보다 더 크다.
도 10a-10b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에 포함될 수 있는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및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는, 받침대(304a)를 고정구(306a)에 체결하기 위해서 여기에서 받침대(304a) 형태인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받침대 나사(302a) 형태이다.
도 10a-10b의 도면들은 도 1a-1b의 부품들에 대해서 설명된 것들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그에 따라, 상응하는 특징부들에 대해서 수치 값 '300'을 부가하였다. 도 1a-1b와 도 10a-10b의 실시예들 사이의 유일한 큰 차이점은, 도 1a-1b에서 안착부-정합 부분(42a) 및 정합하는 안착부(48a)가 정점 방향으로 테이퍼링되는 한편, 도 10a-10b에서 안착부-정합 부분(342a) 및 정합하는 안착부(348a)가 치관 방향으로 테이퍼링된다는 것이다. 안착부-정합 부분(342a) 및 정합하는 안착부(348a)는 중앙 축에 대해서 각도(ε)를 형성한다. 만약 도 10b의 예각 각도(ε)가 도 1b의 예각 각도(α)와 동일한 값을 가진다면, 받침대 나사(302a)와 받침대(304a) 사이의 마찰이 받침대 나사(2a)와 받침대(4a) 사이의 마찰과 같을 수 있을 것이다. (90°각도들과 달리) 고려될 수 있는 중앙 축과 안착부/안착부-정합 사이에 예각 각도(<90°)가 형성되고, 결과적으로 중앙 축에 대해서 둔각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도 1a-b 내지 3a-b에서 제시된 셋트에서의 변경들과 유사하게,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상이한 코어 두께들을 보상하기 위해서, 세트가, 도 10a-10b의 부품들에 추가하여, 치관적으로 테이퍼링된 안착부들/안착부-정합 부분들 상에서 상이한 각도들을 가지는 다른 부품 쌍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a-10b에 도시된 안착부(348a) 및 안착부-정합 부분(342a)의 치관적으로 지향된 테이퍼링은 세라믹 받침대들에 대해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인데, 이는 이러한 구성에서 안착부-정합 부분(342a)이 내측으로 지향된 압력을 안착부(348a) 상으로 제공할 것이기 때문이고 그러한 압력이 비교적 취약한 세라믹 받침대의 파괴 위험을 감소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수형/암형 부품 쌍들의 일부가 치관적으로 테이퍼링된 안착부-정합 부분들 및 안착부들을 가지는 한편, 다른 일부들(others)은 정점적으로 테이퍼링된 안착부-정합 부분들 및 안착부들을 가지는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을 것이고, 상기 중앙 축에 대한 형성 각도는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의 각각의 코어의 치수에 의존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이 연관된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정합되는 안착부와 동일한 중앙 축에 대한 각도를 가지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하였지만, 대안에 의해서, 안착부-정합 부분 및 안착부가 상이한 각도들을 가질 수 있을 것이고 여전히 상이한 부품들에 대해서 상이한 마찰 성질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로서:
    정합되는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외부 나사산이 마련된 코어를 가지는 나사산형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및
    정합되는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외부 나사산이 마련된 코어를 가지는 나사산형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의 코어가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의 코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각각의 정합되는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토크로 최종적으로 조여질 때,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의해서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하여 제공되는 마찰보다,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하여 보다 큰 마찰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구성되고 치수결정되는 것인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상기 나사산형 부분의 치관적으로 위치된 비-나사산형 안착부-정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정합 부분은 상기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길이방향 중앙 축에 대해서 0 이외의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에 의해서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상응하는 정합 안착부에 대하여 제공되는 마찰보다,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에 대하여 보다 큰 마찰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이 구성되고 치수결정되는 것인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은 중앙 축에 대해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보다 더 작은 각도를 형성하는 것인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이,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의 면적보다 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면적을 갖는 것인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각각은 그 각각의 정합하는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표면을 가지고,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은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과 상이하며, 그에 따라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과 그 정합하는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사이의 마찰 계수가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과 그 정합하는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큰 것인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6.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로서:
    정합되는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외부 나사산이 마련된 코어를 가지는 나사산형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및
    정합되는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외부 나사산이 마련된 코어를 가지는 나사산형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의 코어가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의 코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각각의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토크로 최종적으로 조여질 때,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의해서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하여 제공되는 마찰보다,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하여 보다 큰 마찰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구성되고 치수결정되는 것인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7.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각각의 정합하는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길이방향 중앙 축에 대해서 0 이외의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에 의해서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상응하는 안착부-정합 부분에 대하여 제공되는 마찰보다,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상응하는 안착부-정합 부분에 대하여 보다 큰 마찰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가 구성되고 치수결정되는 것인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는 중앙 축에 대해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보다 더 작은 각도를 형성하는 것인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가,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상응하는 안착부-정합 부분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의 면적보다 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상응하는 안착부-정합 부분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면적을 갖는 것인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각각은 그 각각의 정합하는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표면을 가지고,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은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과 상이하며, 그에 따라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과 정합하는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사이의 마찰 계수가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과 그 정합하는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큰 것인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11.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로서: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및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하위세트, 및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및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하위 세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는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는 외부 나사산이 마련된 코어를 가지는 나사산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는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는 외부 나사산이 마련된 코어를 가지는 나사산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의 코어가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나사산형 부분의 코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그들의 각각의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토크로 최종적으로 조여질 때,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와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사이의 마찰이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와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사이의 마찰보다 큰 것인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상기 나사산형 부분의 치관적으로 위치된 비-나사산형 안착부-정합 부분을 포함하고, 각각의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각각의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상기 안착부-정합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정합 부분 및 상기 안착부 각각이 각각의 치아용 구성요소의 길이방향 중앙 축에 대해서 0 이외의 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그 각각의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토크로 최종적으로 조여질 때,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과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 사이의 마찰이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과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 사이의 마찰보다 큰 것인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과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는 상기 중앙 축에 대해서,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과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는 것인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과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 사이의 접촉 면적은,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정합 부분과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안착부 사이의 접촉 면적 보다 큰 것인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 각각은 정합하는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과 그 정합하는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사이의 마찰 계수는,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의 접촉 표면과 그 정합하는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큰 것인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턱뼈 내로 삽입가능한 각각의 치아용 고정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받침대이고, 상기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는 각각의 정합하는 받침대를 각각의 치아용 고정구에 체결하기 위한 받침대 나사인 것인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17. 제 16 항에 있어서,
    각각의 받침대 나사가 상기 받침대 나사의 중앙 축에 대해서 0 이외의 각도를 형성하는 정점 부분을 가지는 나사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제 1 받침대 나사이고, 상기 제 2 수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제 2 받침대 나사이며,
    상기 제 1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제 1 받침대이고, 상기 제 2 암형 치아용 구성요소가 제 2 받침대이며,
    상기 제 1 받침대 나사의 나사 헤드의 정점 부분은 중앙 축에 대해 상기 제 2 받침대 나사의 나사 헤드의 정점 부분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고, 및/또는 상기 제 1 받침대 나사의 나사 헤드의 정점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제 1 받침대의 안착부는 중앙 축에 대해 상기 제 2 받침대 나사의 나사 헤드의 정점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받침대의 안착부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는 것인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KR1020137026826A 2011-04-20 2012-04-19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KR1018895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77332P 2011-04-20 2011-04-20
EP11163215.4 2011-04-20
EP11163215.4A EP2514390B1 (en) 2011-04-20 2011-04-20 A set of dental components
US61/477,332 2011-04-20
PCT/EP2012/057216 WO2012143475A1 (en) 2011-04-20 2012-04-19 A set of dental compon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597A true KR20140021597A (ko) 2014-02-20
KR101889581B1 KR101889581B1 (ko) 2018-08-17

Family

ID=44541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826A KR101889581B1 (ko) 2011-04-20 2012-04-19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248007B2 (ko)
EP (1) EP2514390B1 (ko)
JP (2) JP6410602B2 (ko)
KR (1) KR101889581B1 (ko)
CN (1) CN103501724B (ko)
AU (1) AU2012244734B2 (ko)
BR (1) BR112013026305B1 (ko)
CA (1) CA2832767C (ko)
RU (1) RU2596057C2 (ko)
WO (1) WO201214347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201A (ko) * 2019-02-26 2021-10-29 쥐티-메디컬 에스.엘. 보철 구조물을 임플란트에 가역적으로 끼워 맞추기 위한 모드를 갖는 치과용 인터페이스 및 연결 방법
KR102404199B1 (ko) * 2021-10-28 2022-05-30 김진호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7899A1 (en) * 2011-03-03 2012-09-20 Astra Tech Ab Dental implant assembly
TWI583359B (zh) * 2013-02-22 2017-05-21 巴科納 包瑞斯 Ds 預防骨質流失之骨內牙植體及基牙
EP2829250B1 (de) * 2013-07-26 2020-05-13 SIC Invent AG Dentalimplantat, Abutment, Implantatsystem und Implantationsset
CA2920441C (en) 2013-09-23 2020-10-27 Esteban Xam-Mar Mangrane Interface element for dental prostheses
AU2014366007B2 (en) * 2013-12-17 2019-09-26 Epiphanostics GmbH Enossal single tooth implant
TWM499896U (zh) * 2014-08-18 2015-05-01 jian-zhou Lin 人工植牙體組件
DE102014220217A1 (de) * 2014-10-07 2016-04-07 R + K CAD/CAM-Technologie GmbH & Co. KG Implantatstruktur
DE102014115457A1 (de) * 2014-10-23 2016-04-28 Universität Bremen Fixierungsimplantat
ES2611760B1 (es) * 2015-11-06 2018-02-13 Biotechnology Institute, I Mas D, S.L. Conjunto de implante dental y componentes protésicos, que incluye una camisa transepitelial con conexión superior antirrotacional
US20170325917A1 (en) * 2016-05-12 2017-11-16 Taiwan Shan Yin International Co., Ltd. Root assembly with position recognition
JP7008071B2 (ja) * 2016-12-01 2022-01-25 デンツプライ インプランツ 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当接ポストおよび付属キャップを含む構造体、並びに付属キャップを取り付けるための工具
RU2695772C2 (ru) * 2017-07-17 2019-07-25 Никита Сергеевич Черновол Набор имплантатов для имплантации
US10772710B2 (en) * 2017-11-03 2020-09-15 Kwang Seob Kim Tooth implant system
US11026723B2 (en) * 2019-04-10 2021-06-08 Warsaw Orthopedic, Inc. Pedicle screw assemblies with 3D printed components
DE102019111699A1 (de) * 2019-05-06 2020-11-12 TRI Dental Implants Int. AG Suprakonstruktion, Zahnimplantat und Zahnprothese
BR102020022937A2 (pt) * 2020-11-10 2022-05-24 Jjgc Indústria E Comércio De Materiais Dentários S.A. Sistema de componentes e implantes dentários contendo configurações geométricas que apenas permitem montagem entre peças correspondent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4457A (en) * 1986-05-19 1994-09-06 The University Of Toronto Innovations Foundation Porous surfaced implant
US5989026A (en) * 1995-05-25 1999-11-23 Implant Innovations, Inc. Ceramic two-piece dental abutment
JP2006343216A (ja) * 2005-06-09 2006-12-21 Osamu Tamura ねじの特性試験装置とその装置を用いた体験学習方法及び実技教育方法
KR20070119628A (ko) 2007-09-07 2007-12-20 바이오테크놀로지 인스티튜트, 아이 엠에이에스 디, 에스. 엘. 세폭형 치아용 임플란트 및 그 부속품
US20080227057A1 (en) * 2005-02-08 2008-09-18 Biotechnology Institute.I Mas D. S.L. Narrow Dental Implant and Associated Part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3721A (en) * 1993-12-23 1999-02-23 Adt Advanced Dental Technologies, Ltd. Implant abutment systems, devices, and techniques
US5527182A (en) * 1993-12-23 1996-06-18 Adt Advanced Dental Technologies, Ltd. Implant abutment systems, devices, and techniques
JP3450944B2 (ja) * 1995-08-31 2003-09-29 京セラ株式会社 人工歯根
IT1276590B1 (it) * 1995-11-03 1997-11-03 Fernando Ricci Impianto dentale osteointegrato con ancoraggio ibrido
AU6029098A (en) * 1997-01-27 1998-08-18 Implant Innovations, Inc. Abutment and coping system for use with dental implants
SE513778C2 (sv) * 1999-03-18 2000-11-06 Nobel Biocare Ab Förfarande, arrangemang och användning för applicering av distans till implantat medelst skruv.
EP1171054B1 (en) * 1999-04-15 2007-06-06 Nobel Biocare AB Diamond-like carbon coated dental retaining screws
EP1182986A1 (en) * 2000-01-24 2002-03-06 Chang, ang-Kohn Dental implant system
RU2204356C1 (ru) * 2001-12-24 2003-05-20 Абдуллаев Фикрет Мавлудинович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имплантат
US6927575B2 (en) * 2003-01-21 2005-08-09 General Electric Company Surface coil decoupling means for MRI systems
KR100539415B1 (ko) * 2004-02-17 2005-12-27 (주) 코웰메디 치과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및 그 표면의 심미적 표면처리방법
DE102005005402B4 (de) * 2005-02-05 2011-02-17 Friadent Gmbh Dentalimplantat sowie Implantatsystem
RU2344787C1 (ru) * 2007-07-25 2009-01-27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ижегород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медицинская академия Росздрава" (ГОУ ВПО "НИЖГМА РОСЗДРАВА") Винтовой внутрикостный двухэтапный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имплантат и способ имплантаци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4457A (en) * 1986-05-19 1994-09-06 The University Of Toronto Innovations Foundation Porous surfaced implant
US5989026A (en) * 1995-05-25 1999-11-23 Implant Innovations, Inc. Ceramic two-piece dental abutment
US20080227057A1 (en) * 2005-02-08 2008-09-18 Biotechnology Institute.I Mas D. S.L. Narrow Dental Implant and Associated Parts
JP2006343216A (ja) * 2005-06-09 2006-12-21 Osamu Tamura ねじの特性試験装置とその装置を用いた体験学習方法及び実技教育方法
KR20070119628A (ko) 2007-09-07 2007-12-20 바이오테크놀로지 인스티튜트, 아이 엠에이에스 디, 에스. 엘. 세폭형 치아용 임플란트 및 그 부속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201A (ko) * 2019-02-26 2021-10-29 쥐티-메디컬 에스.엘. 보철 구조물을 임플란트에 가역적으로 끼워 맞추기 위한 모드를 갖는 치과용 인터페이스 및 연결 방법
KR102404199B1 (ko) * 2021-10-28 2022-05-30 김진호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13740A1 (en) 2016-04-28
WO2012143475A1 (en) 2012-10-26
JP6410602B2 (ja) 2018-10-24
CN103501724A (zh) 2014-01-08
JP2017164534A (ja) 2017-09-21
AU2012244734A1 (en) 2013-10-17
BR112013026305A2 (pt) 2021-04-13
CA2832767A1 (en) 2012-10-26
AU2012244734B2 (en) 2016-03-24
KR101889581B1 (ko) 2018-08-17
US20120270180A1 (en) 2012-10-25
EP2514390B1 (en) 2023-12-13
CA2832767C (en) 2019-01-08
JP2014514107A (ja) 2014-06-19
AU2012244734A8 (en) 2013-11-28
BR112013026305B1 (pt) 2022-01-11
RU2013150800A (ru) 2015-05-27
CN103501724B (zh) 2016-11-09
EP2514390A1 (en) 2012-10-24
RU2596057C2 (ru) 2016-08-27
US9248007B2 (en) 201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1597A (ko) 치아용 구성요소 세트
EP1849431B1 (en) Narrow dental implant and associated pieces
US7780446B2 (en) Ceramic/metallic dental abutment
KR101240116B1 (ko) 덴탈 임플란트
EP0879580A2 (en) Non-submergible, one part, root form endosseous dental implants
US20140199658A1 (en) Dental implant with multiple thread patterns
JP5694110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JP6272827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セット
US9095398B2 (en) Two-part dental component
EP1003438A1 (en) Dental implant systems
JP2010519995A (ja) 歯科インプラント、橋脚歯構造および歯科インプラントを移植する方法
RU2676972C1 (ru)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