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1224A - 차량용 동흡진기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동흡진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1224A
KR20140021224A KR1020120087289A KR20120087289A KR20140021224A KR 20140021224 A KR20140021224 A KR 20140021224A KR 1020120087289 A KR1020120087289 A KR 1020120087289A KR 20120087289 A KR20120087289 A KR 20120087289A KR 20140021224 A KR20140021224 A KR 20140021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coil
housing
cor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5413B1 (ko
Inventor
윤형진
이동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7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413B1/ko
Publication of KR20140021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 모양으로서 바닥면에 제1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끼움홀의 상측으로 둘레를 따라서 링 모양의 제1지지부재가 결합된 하측하우징;과 영구자석이 결합되어 상기 하측하우징 내에 장착되되, 하단에는 상기 제1끼움홀에 끼워져 제1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하단돌기부가 돌출되며 상단에는 상단돌기부가 돌출되고, 상단에서 둘레를 따라 삽입홈이 형성된 코어부;와 코일브라켓에 결합된 코일이 상기 삽입홈에 진입하도록 장착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브라켓을 고정시키도록 하측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단돌기부가 끼워지도록 제2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끼움홀의 하측으로 둘레를 따라서 링모양의 제2지지부재가 결합된 상측하우징;을 포함하고, 코일로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과 영구자석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따라 상기 코어부는 진동하되,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는 코어부에 밀착되어 탄성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가 종래 구조의 판스프링들 및 스토퍼들을 대신하여 진동전달 및 충돌방지 기능을 하므로 크기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부품 삭제에 따라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동흡진기의 구조{Structure of vibration absorb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동흡진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동흡진기와 동일한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크기가 축소될 수 있는 차량용 동흡진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구동에 따라 차량에는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동흡진기는 발생 진동에 대한 역위상 진동(antiphase vibration)을 고의로 일으켜 (엔진 등에서 발생한) 진동의 진폭을 감쇠시키는 장치로서, 자동차의 진동 감쇠를 위한 장치로써 널리 사용되어 왔다.
엔진의 진동은 엔진마운트(engine mount)를 통하여 섀시(chassis)로 전달되어 차체 전체를 진동시킨다. 비록 엔진마운트에서 일정 수준까지 엔진의 진동은 감쇠되나 이는 (차량 사양에 따라) 충분하지 못한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엔진에서 전달된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해 동흡진기가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차량에 장착되는 동흡진기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과 상측 하우징(1a, 1b) 내부에 코일이 감겨진 코일부(7); 및 영구자석(5)이 결합되어 코일로 전류가 인가되면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며 일정한 질량을 갖는 코어부(4);가 장착된다.
상기 코어부(4)는 소정의 위치에 영구자석(5)이 장착되되, 전자기력이 발생하도록 상단에 형성된 삽입홈으로 코일부(7)이 삽입되어 영구자석(5)과 인접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코어부(4)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힘을 받아 상하로 움직이되, 이러한 움직임이 진동으로 전환되도록 코어부(4)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는 판스프링들(3a, 3b)이 결합된다.
즉, 상기 코어부(4)는 상측 및 하측 각각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판스프링들(3a, 3b) 각각과 결합되며, 상기 판스프링들(3a, 3b)이 하측하우징(1a)과 상측하우징(1b) 각각에 체결되어 진동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코어부(4)가 상측하우징(1b)과 하측하우징(1a) 각각에 직접적으로 충돌하지 않도록 상단스토퍼(2b)와 하단스토퍼(2a)가 각각 별도로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동흡진기는 질량체(영구자석이 결합된 코어부)가 코일부(7)로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 자속과의 관계에 의한 로렌츠 힘으로 위아래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질량체의 질량이 크고, 코일부(7)이 차지하는 면적이 크며, 영구자석(5)의 자력이 쎌 수로 성능은 향상된다.
하지만, 종래의 동흡진기 구조에서는 판스프링(3a, 3b)의 진동량을 감안하여 상측 및 하측하우징(1a, 1b)의 크기를 늘려야 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 침투를 위해 상측커버(6)가 결합되었다. 그러나, 엔진룸 설계에 있어 이러한 동흡진기의 부피 증가는 설계제약 요건으로 작용하였으며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일한 성능을 유지하되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는 차량용 동흡진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코일로의 전류인가에 따라 영구자석이 결합된 코어부가 진동하는 차량용 동흡진기의 구조에 있어서, 컵 모양으로서 바닥면에 제1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끼움홀의 상측으로 둘레를 따라서 링 모양의 제1지지부재가 결합된 하측하우징;과 영구자석이 결합되어 상기 하측하우징 내에 장착되되, 하단에는 상기 제1끼움홀에 끼워져 제1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하단돌기부가 돌출되며 상단에는 상단돌기부가 돌출되고, 상단에서 둘레를 따라 삽입홈이 형성된 코어부;와 코일브라켓에 결합된 코일이 상기 삽입홈에 진입하도록 장착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브라켓을 고정시키도록 하측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단돌기부가 끼워지도록 제2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끼움홀의 하측으로 둘레를 따라서 링 모양의 제2지지부재가 결합된 상측하우징;을 포함하고, 코일로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과 영구자석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따라 상기 코어부는 상하방향로 진동하되,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는 코어부에 밀착되어 탄성변형한다.
상기 코어부는, 원판 모양이되 하부면에 하단돌기부가 형성되고 상면에서 둘레를 따라 테두리면이 상측으로 돌출된 하측코어;와 원판 모양으로서 상기 하측코어의 상면에 장착되는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 위로 결합되며 상면에 상단돌기부가 형성된 상측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영구자석과 상측코어의 외경(外徑)들은 테두리면의 내경(內徑) 보다 작게 형성되어 그 사이에 삽입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브라켓은 하측하우징의 상단에 거치되도록 상측의 테두리가 방사형으로 확장된 모양을 가지며, 상측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하측하우징과 상측하우징은 금속재로 제조되고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는 합성고무재로 제조되되, 상기 제1지지부재는 하측하우징에 가류되어 성형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측하우징에 가류되어 성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가 종래 구조의 판스프링들 및 스토퍼들을 대신하여 진동전달 및 충돌방지 기능을 하므로 크기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부품(스토퍼 및 판스프링) 삭제에 따라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는 하단돌기부 및 상단돌기부가 밀착되도록 끼워지도록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코어부의 진동이 더 효율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차량용 동흡진기가 종방향으로 절개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동흡진기가 종방향으로 절개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동흡진기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하측하우징에 코어부 및 코일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하우징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동흡진기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동흡진기는 하측하우징(10)과 상측하우징(40) 내부에 영구자석(24)이 결합된 코어부(20)와 외부에서 전류가 인가되도록 구성된 코일부(30)가 결합되되, 상기 코어부(20)를 지지하도록 하측하우징(10)과 상측하우징(40)에는 제1지지부재(12) 및 제2지지부재(42)가 각각 결합된다.
도 3 과 도 4 를 참조하면, 하측하우징(10)은 컵 모양으로 형성되되 바닥면에 제1끼움홀(11)이 타공되고 상기 제1끼움홀(11)의 상측으로 둘레를 따라서 링 모양의 제1지지부재(12)가 결합된다. 그리고, 외주면 상단에는 상측하우징(40)에 형성된 암나사산(43)과 치합되는 숫나사산(13)이 형성된다.
상기 코어부(20)는 소정의 질량을 갖는 금속재로 제조되며 영구자석(24)이 결합된다. 상기 코어부(20)는, 원판 모양이되 하부면에 하단돌기부(21a)가 형성되고 상면에서 둘레를 따라 테두리면(23)이 상측으로 돌출된 하측코어(20a)와, 원판 모양으로서 상기 하측코어(20a)의 상면에 장착되는 영구자석(24) 및 상기 영구자석(24) 위로 결합되며 상면에 상단돌기부(21b)가 형성된 상측코어(20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영구자석(24)과 상측코어(20b)의 외경(外徑)들은 테두리면(23)의 내경(內徑) 보다 작게 형성되어 테두리면(23) 내측으로 둘레를 따라 삽입홈(2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2)으로는 코일부(30)가 진입된다. 상기 코일부(30)는 링 모양 또는 파이프 모양으로 권취된 코일(31) 및 상기 코일(3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절곡된 모양을 갖는 코일브라켓(32)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브라켓(32)은 하측하우징(10)의 상단에 거치되도록 상측의 테두리가 방사형으로 확장된 모양을 갖는다.
도 4 와 같이, 하측하우징(10)에 코어부(20) 및 코일부(30)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위로 코일브라켓(32)을 고정시키도록 상측하우징(40)이 결합된다.
상기 상측하우징(40)은 코어부(20)의 상단돌기부(21b)가 끼워지도록 제2끼움홀(41)이 형성되고 상기 제2끼움홀(41)의 하측으로 둘레를 따라서 링 모양의 제2지지부재(42)가 결합되며, 하측하우징(10)의 숫나사산(13)에 치합하는 암나사산(43)이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과 같이 코일부(30)는 고정되되 코어부(20)는 제1지지부재(12)와 제2지지부재(42)에 의해 지지되는 본 발명의 동흡진기는, 코일(31)로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31)과 영구자석(24) 사이에 발생하는 (자속변화에 기인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코어부(20)가 진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지지부재(12)와 제2지지부재(42)는 코어부(20)에 밀착되어 탄성변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측하우징(10)과 상측하우징(40)은 소정의 질량을 갖도록 스틸재로 제조되고 제1지지부재(12)와 제2지지부재(42)는 합성고무재로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재(12)와 제2지지부재(42)는 하측하우징(10) 및 상측하우징(40)에 각각에 영구접착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12)는 하측하우징(10)에 가류되어 성형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42)는 상측하우징(40)에 가류되어 성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흡진기는 코어부의 상측과 하측 각각 판스프링 및 스토퍼가 장착되어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던 종래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스토퍼 및 판스프링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므로 동일한 진동감쇠성능을 제공하되 부피는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하측하우징
11 : 제1끼움홀
12 : 제1지지부재
20 : 코어부
22 : 삽입홈
30 : 코일부
40 : 상측하우징
41 : 제2끼움홀
42 : 제2지지부재

Claims (4)

  1. 컵 모양으로서 바닥면에 제1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끼움홀의 상측으로 둘레를 따라서 링 모양의 제1지지부재가 결합된 하측하우징;과
    영구자석이 결합되어 상기 하측하우징 내에 장착되되, 하단에는 상기 제1끼움홀에 끼워져 제1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하단돌기부가 돌출되며 상단에는 상단돌기부가 돌출되고, 상단에서 둘레를 따라 삽입홈이 형성된 코어부;와
    코일브라켓에 결합된 코일이 상기 삽입홈에 진입하도록 장착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브라켓을 고정시키도록 하측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단돌기부가 끼워지도록 제2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끼움홀의 하측으로 둘레를 따라서 링모양의 제2지지부재가 결합된 상측하우징;을 포함하고,
    코일로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과 영구자석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따라 상기 코어부는 진동하되,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는 코어부에 밀착되어 탄성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동흡진기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원판 모양이되 하부면에 하단돌기부가 형성되고 상면에서 둘레를 따라 테두리면이 상측으로 돌출된 하측코어;와
    원판 모양으로서 상기 하측코어의 상면에 장착되는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 위로 결합되며 상면에 상단돌기부가 형성된 상측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영구자석과 상측코어의 외경(外徑)들은 테두리면의 내경(內徑) 보다 작게 형성되어 그 사이에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동흡진기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브라켓은 하측하우징의 상단에 거치되도록 상측의 테두리가 방사형으로 확장된 모양을 가지며, 상측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동흡진기의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하우징과 상측하우징은 금속재로 제조되고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는 합성고무재로 제조되되, 상기 제1지지부재는 하측하우징에 가류되어 성형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측하우징에 가류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동흡진기의 구조.
KR1020120087289A 2012-08-09 2012-08-09 차량용 동흡진기의 구조 KR101845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289A KR101845413B1 (ko) 2012-08-09 2012-08-09 차량용 동흡진기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289A KR101845413B1 (ko) 2012-08-09 2012-08-09 차량용 동흡진기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224A true KR20140021224A (ko) 2014-02-20
KR101845413B1 KR101845413B1 (ko) 2018-04-05

Family

ID=5026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289A KR101845413B1 (ko) 2012-08-09 2012-08-09 차량용 동흡진기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4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0479A (zh) * 2016-04-28 2017-12-01 住友理工株式会社 电磁式致动器以及能动型减振装置
CN109707979A (zh) * 2019-03-08 2019-05-03 重庆青山工业有限责任公司 汽车变速器的传感器磁铁支架装配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284B1 (ko) * 2010-06-23 2012-09-26 주식회사 파브코 차량용 능동 동흡진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0479A (zh) * 2016-04-28 2017-12-01 住友理工株式会社 电磁式致动器以及能动型减振装置
US10451134B2 (en) 2016-04-28 2019-10-22 Sumitomo Riko Company Limited Electromagnetic actuator and active vibration-damping device
CN109707979A (zh) * 2019-03-08 2019-05-03 重庆青山工业有限责任公司 汽车变速器的传感器磁铁支架装配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413B1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6536B2 (en) Active dynamic vibration absorber apparatus for vehicle
KR101547572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US6588737B2 (en) Fluid-filled active vibration damp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6305675B1 (en) Oscillating force generator and vibration damper using the generator
EP2134983A1 (en) Damper
JP6666787B2 (ja) 電磁式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能動型制振装置
KR102575424B1 (ko)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WO2016159129A1 (ja) ラバーシート及び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2026401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20140021224A (ko) 차량용 동흡진기의 구조
KR101573436B1 (ko) 자기유동탄성체를 이용한 엔진 마운트 장치
JP2009243503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CN103939522B (zh) 一种发动机悬置装置
KR101300084B1 (ko) 인슐레이터 스트러트
KR20160019584A (ko) 선형 진동자
JP2004232824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4704188B2 (ja) エキサイタの磁気回路構造
KR102105831B1 (ko) 액티브 엔진마운트
JP2017150641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13100850A (ja) 電磁式アクチュエータとそれを用いた能動型制振器
JP2011094646A (ja) マウント用キャップ及びその取付構造
KR20190017371A (ko) 방진구
KR101460108B1 (ko) 비접촉식 가동 코일형 구조의 능동 진동 감소 장치 및 능동 진도 감소 방법
KR102088873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20120045162A (ko) 하이드로 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