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371A - 방진구 - Google Patents

방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371A
KR20190017371A KR1020170102145A KR20170102145A KR20190017371A KR 20190017371 A KR20190017371 A KR 20190017371A KR 1020170102145 A KR1020170102145 A KR 1020170102145A KR 20170102145 A KR20170102145 A KR 20170102145A KR 20190017371 A KR20190017371 A KR 20190017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p
spring
flang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서윤
Original Assignee
박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윤 filed Critical 박서윤
Priority to KR1020170102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7371A/ko
Publication of KR20190017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진구에 관한 것으로, 마운트에 설치된 장비의 진동을 감쇠하기 위해 스프링을 내장하는 방진구에 있어서,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마운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12)가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20)내에서 유지되도록 제공되어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스프링(20), 상기 하우징(10) 속에서 스프링(20)을 유지시키도록 하우징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마운트에 설치될 장비에 고정하기 위해 상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볼트(35)와 하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형성된 플랜지(31)를 구비하는 캡(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진동 발생시 하우징(10)에서 캡(30)에 의해 스프링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고, 상하 변위되는 캡(30)의 플랜지(31)와 그 캡 외표면에 씌워진 고무캡의 플랜지(42)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상단부(13)의 저면에 접촉되어 소음 발생도 최소화되고, 진동발생시 스프링과 캡이 하우징내에서 안정되게 거동될 수 있어서 진동 감쇠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진구{A VIBRATION DAMPER}
본 발명은 방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방진구에서 외부에 노출된 스프링의 부식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거동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개선된 구조의 방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진구(防振具)는 특히 회전운동이나 왕복운동하는 요소들을 구비하는 장치에서는 작동시 진동이 발생되며, 이러한 진동은 기계장치의 동작시 발생되어 장치의 정밀도를 저하시키고 바닥과 벽체 또는 배관등을 통해 전파되어 소음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회전운동이나 왕복동 운동이 수반되는 장치에서는 동작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도록 방진구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방진구는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하여 스프링 마운트 또는 행거에 의해 스프링이 지지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스프링 마운트 또는 행거에 인가된 기진력이 스프링의 탄성작용에 의해서만 감쇠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로는 스프링에 인가된 진동 에너지가 스프링의 압축과정에서 모두 소산되지 못하기 때문에 스프링은 진동에너지가 모두 소산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압축 및 복원되는 진동거동을 하게 되며, 이때 후속적인 진동거동들이 합성되는 경우에는 더 큰 진폭의 진동이 발생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장비나 배관에서 공진 작용이 발생될 수도 있어 큰 손실 또는 고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 방진구에서 반복적인 진동거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쇠시킴과 함께 공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과 함께 댐핑 고무를 더 장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진구의 예로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0427호(공개일자 1999년01월15일)에는 상, 하부캡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설비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스프링 방진구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S)과 상, 하부캡들간의 접촉부에 댐핑패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방진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 댐핑 패드만으로는 충분한 진동 감쇠 효과를 얻기 어렵고, 과격한 진동 발생시 스프링을 측방향에서 지지할 수 없어 스프링이 이탈되지 않게 지지로드를 추가로 더 구비해야 하며, 진동감쇠를 위한 스프링의 신축작용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0427호(공개일자 1999년01월15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방진구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진구의 진동감쇠 거동시 댐핑 효과를 향상시키고 스프링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킴과 함께 스프링의 이탈 방지를 보장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방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진구는, 마운트에 설치된 장비의 진동을 감쇠하기 위해 스프링을 내장하는 방진구에 있어서,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마운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가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서 유지되도록 제공되어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스프링,
상기 하우징 속에서 스프링을 유지시키도록 하우징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마운트에 설치될 장비에 고정하기 위해 상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볼트와 하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형성된 플랜지를 구비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상으로 상단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우징 속에 스프링이 배치되고, 그 위에 캡이 배치된 다음, 상기 상단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캡의 플랜지 위에 배치되어 캡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의 외표면에는 캡과 같은 형상으로 플랜지를 구비한 고무캡이 씌워져 진동 발생시 상방향으로 변위되는 캡의 플랜지와 고무캡의 플랜지가 하우징의 절곡된 상단부의 저면에 접촉하여 진동이 감쇠되도록 된다.
상기 하우징은, 그 상단부가 캡 플랜지의 상측에서 감싸도록 절곡 성형된 다음에 하우징의 외표면을 감싸도록 씌워지는 하우징 고무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진구는, 진동 발생시 하우징(10)에서 캡(30)에 의해 스프링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고, 상하 변위되는 캡(30)의 플랜지(31)와 그 캡 외표면에 씌워진 고무캡의 플랜지(42)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상단부(13)의 저면에 접촉되어 소음 발생도 최소화되고, 진동발생시 스프링과 캡이 하우징내에서 안정되게 거동될 수 있어서 진동 감쇠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진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방진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방진구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방진구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2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방진구(1)는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마운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12)가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내에서 유지되도록 제공되어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스프링(20),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배치되어 하우징의 스프링을 제위치에 유지시킴과 함께 상기 마운트에 설치될 장비에 고정하기 위해 상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볼트(35)를 구비한 상방향으로 볼록하고 하단 둘레로 플랜지(31)가 형성된 캡(30)을 포함한다.
상기 캡(30)의 외표면에는 캡과 같은 형상의 고무캡(40)이 씌워져 방진구의 상방향, 즉 장비측으로 전달되고 그로 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도록 하며 캡의 표면에서의 부식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고무캡(40)의 하단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플랜지(42)가 형성되어 캡의 플랜지(31) 위에 배치되며, 고무캡의 상면 중심에는 홀이 형성되어 캡(30)에 형성된 고정볼트(35)가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게 하고, 상면에는 동심원 형상으로 다수의 환형 돌기(43)들이 형성되어 그 위에서 고정볼트(35)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장비가 미끄러짐 없이 일체화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 속에서 캡(30) 사이에 스프링(20)이 배치되고, 그 상단이 캡(30)의 저면에 접촉되게 배치됨과 함께 하단은 하우징의 바닥면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상단부(13)가 개방되어 있지만, 하우징 속에 스프링(20)이 배치되고, 그 위에 캡(30)이 배치되며, 이때 상기 캡(30)의 플랜지(31)가 상기 하우징 상단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우징 속에 클랜지와 캡이 배치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상단부(13)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하되 절곡된 상단부(13)의 단부에 의해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13)의 저면이 캡(30)의 플랜지(31) 위에 배치되어 캡(30)의 상방향의 이동을 저지한다(도 3의 단면도 참조).
상기 하우징의 절곡된 상단부(13)로 형성되는 개구부의 반경은 고무캡(40)이 씌워진 캡(30)이 상기 개구부에서 상하 이동가능할 정도로 상기 캡의 외표면의 반경보다 약간 더 크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우징(10)의 상단부(13)가 캡(30) 플랜지(31)의 상측에서 감싸도록 절곡 성형된 다음에는, 하우징 고무커버(50)가 하우징의 바닥면과 측면 및 상면을모두 둘러싸도록 씌워짐으로써, 장비의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이 하우징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고정볼트(12)가 고정되는 마운트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진동을 감쇠시켜 하우징과 마운트 및 장비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한다.
도 3과 4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방진구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장비에 캡(30)의 고정볼트(35)가 체결되고, 하우징(1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고정볼트(12)는 장비가 설치되는 마운트에 고정되어 하우징 속에 내장된 스프링(20)에 의해 캡(30)의 플랜지(31)와 그 상면에 배치된 고무캡(40)의 플랜지(42)가 하우징의 절곡된 상단부(13)의 저면과 접촉된 도 3의 상태에서, 장비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하우징(10) 속에 배치된 스프링(20)이 압축되면서 도 4와 같이 캡(30)이 하우징(10) 속으로 하방으로 변위된 다음, 다시 도 3의 상태로 변위되며, 이때 캡(30)의 상방향의 변위는 플랜지(31)와 고무캡(40)의 플랜지(42)가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절곡된 상단부(12)의 저면에 접촉되어 저지되면서 감쇠되는 식으로 캡(30)과 고무캡(40)이 반복적으로 상하 변위되면서 스프링(20)과 고무캡(40,50)들에 의해 진동이 효과적으로 감쇠되고, 또한 고무캡(40)의 플랜지(42)가 하우징 상단부(13)의 저면과 접촉되므로 소음 발생이 최소화된다.
이와 같이 진동발생시 스프링(20)이 하우징(10)과 캡(30) 사이에서 봉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불측의 급격한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스프링은 방진구 내에서 안정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은 장치나 배관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방진구에 이용될 수 있다.
1 : 방진구 10 : 하우징
12, 35 : 고정볼트 13 : (절곡된) 상단부
20 : 스프링 30 : 캡
31 : 플랜지 40 : 고무캡
42 : 플랜지 50 : 고무커버

Claims (4)

  1. 마운트에 설치된 장비의 진동을 감쇠하기 위해 스프링을 내장하는 방진구에 있어서,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마운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12)가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20)내에서 유지되도록 제공되어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스프링(20),
    상기 하우징(10) 속에서 스프링(20)을 유지시키도록 하우징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마운트에 설치될 장비에 고정하기 위해 상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볼트(35)와 하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형성된 플랜지(31)를 구비하는 캡(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원통형상으로 상단부(13)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우징 속에 스프링(20)이 배치되고, 그 위에 캡(30)이 배치된 다음, 상기 상단부(13)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캡(30)의 플랜지(31) 위에 배치되어 캡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캡(30)의 외표면에는 캡과 같은 형상으로 플랜지(42)를 구비한 고무캡(40)이 씌워져 진동 발생시 상방향으로 변위되는 캡(30)의 플랜지(31)와 고무캡(40)의 플랜지(42)가 하우징(10)의 절곡된 상단부(13)의 저면에 접촉하여 진동이 감쇠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그 상단부(13)가 캡(30) 플랜지(31)의 상측에서 감싸도록 절곡 성형된 다음에 하우징의 외표면을 감싸도록 씌워지는 하우징 고무커버(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구.
KR1020170102145A 2017-08-11 2017-08-11 방진구 KR20190017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145A KR20190017371A (ko) 2017-08-11 2017-08-11 방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145A KR20190017371A (ko) 2017-08-11 2017-08-11 방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371A true KR20190017371A (ko) 2019-02-20

Family

ID=65561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145A KR20190017371A (ko) 2017-08-11 2017-08-11 방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73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809A (ko) * 2020-06-04 2021-12-13 박지윤 방진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427A (ko) 1997-06-05 1999-01-15 박광소 자동 금융 서비스기의 횡 방향 카드 입력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427A (ko) 1997-06-05 1999-01-15 박광소 자동 금융 서비스기의 횡 방향 카드 입력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809A (ko) * 2020-06-04 2021-12-13 박지윤 방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88388C1 (ru) Виброизолятор шайбовый сетчатый
KR100927954B1 (ko) 내진용 스프링 댐퍼 마운트
KR101303562B1 (ko) 에어 댐핑 마운트
KR101096158B1 (ko) 콤프레서 마운팅 구조
JP2011196441A (ja) 防振装置
KR101312958B1 (ko) 중량물의 진동감쇄장치
KR20190017371A (ko) 방진구
JP5317660B2 (ja) 背負い式作業機
JPH07139589A (ja) 防振架台
KR200382899Y1 (ko) 방진 마운트
KR101722070B1 (ko) 제진용 마운트
JPH1026180A (ja) 防振ゴ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縮機
KR20150038867A (ko) 전자동 세탁기용 진동흡수댐퍼
RU2357137C1 (ru) Виброизолятор кочетова
CN111421377A (zh) 一种机床降噪隔音装置
KR101832624B1 (ko) 방진 장치
RU2305808C1 (ru) Резиновый виброизолятор дл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RU215545U1 (ru) Демпфирующая опора
KR20140021224A (ko) 차량용 동흡진기의 구조
KR20080065433A (ko) 압축기의 지지장치
KR20190132162A (ko) 건물 천장 판넬 설치용 내진 장치
KR200345403Y1 (ko) 방진 스프링 마운트
KR101402030B1 (ko) 매달기형 방진장치
KR102374374B1 (ko) 면진용 볼과 스프링을 이용한 3축형 방진 마운트
JP4767091B2 (ja) 液体封入式防振マウ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