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084B1 - 인슐레이터 스트러트 - Google Patents

인슐레이터 스트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084B1
KR101300084B1 KR1020110119999A KR20110119999A KR101300084B1 KR 101300084 B1 KR101300084 B1 KR 101300084B1 KR 1020110119999 A KR1020110119999 A KR 1020110119999A KR 20110119999 A KR20110119999 A KR 20110119999A KR 101300084 B1 KR101300084 B1 KR 101300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insulator
rubber
plate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4556A (ko
Inventor
조남일
우문만
신현정
이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브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브코
Priority to KR1020110119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084B1/ko
Publication of KR20130054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우 플레이트와 범퍼컵을 하나의 로우컵으로 대체하고, 베어링 플레이트를 상기 로우 컵과 어퍼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인슐레이터 러버에 외접시키고, 상기 인슐레이터러버와 로드를 결합시키는 금속재의 코어를 컵형상으로 만들어서 상기 코어의 일부가 인슐레이터러버 밖으로 돌출되게 하고, 그 코어의 돌출된 부분에 댐퍼러버의 기단이 접착되어 기립되게 하고, 그 기립된 댐퍼러버의 돌기부분에 매스를 장착함으로써, 문제시될 수 있는 주파수대의 진동을 상기 매스로 하여금 감쇠(댐핑)시켜 차체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슐레이터 스트러트{insulator strut}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 스트러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적감쇠기능을 구비한 인슐레이터 스트러트에 관한 것이다.
인슐레이터 스트러트는 차체과 차륜(쇽업저버) 사이에 개재되어 차륜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절연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인슐레이터 스트러트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어퍼플레이트(1)가 장착되며, 상기 어퍼플레이트(1) 하부에 베어링케이스(4)로부터의 충격을 전달하는 로우플레이트(2)가 설치된다. 상기 어퍼플레이트(1)와 상기 로우플레이트(2) 사이에는 진동과 충격을 절연하는 인슐레이터러버(3)가 배치된다. 상기 인슐레이터러버(3) 중앙부에는 금속재의 코어를 개재하여 피스톤로드(5)가 장착되어 있고, 베어링케이스(4)는 상기 피스톤로드(5)가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로우플레이트(2) 하부에 배치된다. 베어링(11)은 상기 베어링케이스(4) 내부에 장착되어 차륜의 조향시 피스톤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11) 하부에 스프링(7)을 지지하는 스프링시트(8)가 장착되며, 범퍼 컵(9)은 상기 피스톤로드(5)가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케이스(4) 하부에 장착된다. 더스트 커버(6)는 상기 피스톤로드(5)가 상입된 상태에서, 상기 범퍼 컵(9) 내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을 차단하여 내부 구성물을 보호한다. 상기 더스트커버(6) 내부에 범퍼 스토퍼(10)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인슐레이터 스트러트는 인슐레이터러버(3)에 의해서만, 차륜과 쇽업저버의 로드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진동을 절연하고 있어서, 문제시될 수 있는 주파수대의 진동이 차체에 여전히 전달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로우 플레이트와 범퍼컵을 하나의 로우컵으로 대체하고, 베어링 플레이트를 상기 로우 컵과 어퍼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인슐레이터 러버에 외접시키고, 상기 인슐레이터러버와 로드를 결합시키는 금속재의 코어를 컵형상으로 만들어서 상기 코어의 일부가 인슐레이터러버 밖으로 돌출되게 하고, 그 코어의 돌출된 부분에 댐퍼러버의 기단이 접착되어 기립되게 하고, 그 기립된 댐퍼러버의 돌기부분에 매스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부가함으로써, 문제시될 수 있는 주파수대의 진동을 상기 매스로 하여금 감쇠(댐핑)시켜 차체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슐레이터 스트러트에 대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인슐레이터 스트러트에 대한 개념도,
도 3은 도 2의 매스와 어퍼컵 간의 결합을 도시한 확대도, 및
도 4는 도 2의 어퍼컵의 플랜지부와 매스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에는 본 실시예의 인슐레이터 스트러트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 스트러트(100)는 도시되지 않은 차체에 체결수단(112)에 의해 장착되게 되는 어퍼플레이트(110);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111)을 구획형성하는 관형부(110a)를 관통하되 상기 관형부(110a)의 내주면에서 방사방향 안쪽으로 이격 배치된 어퍼컵(120); 상기 어퍼컵(120)의 상단 플랜지부(122)의 윗면에 가류공정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 왕관형상의 댐퍼러버(190);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의 관형부(110a)에 대하여 방사방향 바깥쪽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의 수평부에 대하여 수직방향 아래쪽으로 이격 배치된 베어링 플레이트(140); 상기 어퍼플레이트(110)를 전체적으로 에워싸고 있고, 상기 베어링 프레이트(140)에 내접된 상태에서, 가류공정에 의해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와 베어링플레이트(14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상단 플랜지부(122)를 제외한 상기 어퍼컵(120)에 외접되어 있는 인슐레이터러버(130);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140)에 베어링(141)을 개재하여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외접된 스프링패드(150); 상기 어퍼컵(120)의 바닥에 형성된 중앙 관통구멍(O1)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가진 관통구멍(O2)이 형성된 상태에서 용접 또는 컬링 등에 의해 상기 어퍼컵(120)에 고정되는 로우컵(125); 및 상기 로우컵(125) 내에 범퍼 스토퍼(160)와 더스트커버(170)를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멍(O1, 02)들을 관통하는 체결수단(113)에 의해 상기 로우컵(125)에 고정되고 상기 범퍼 스토퍼(160)을 관통하는 쇽업저버의 로드(18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 러버(130)의 하단은 상기 로우컵(125)의 윗면에 접촉되어 있고, 상기 인슐레이터 러버(130)의 상단은 상기 어퍼컵(120)의 상단 플랜지부(122)의 밑면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어퍼컵(120)의 내부 수용부가 위로 노출되어 있고, 로우컵(125)의 내부 수용부가 아래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댐퍼러버(190)는 상기 어퍼컵(120)의 상단 플랜지부(122)에 대하여 상향으로 이격시켜 매스(180)를 탑재시키기 위해, 상기 어퍼컵(120)의 상단 플랜지부(122)에 가류공정에 의해 고정되는 링형상부(191), 상기 링형상부(191)의 윗면에서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193), 및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193)의 중간에 형성된 축경부(194)와 확경부(19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매스(180)는 링형상으로 되어 있고,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관통구멍(18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81)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출부(193)를 관통시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81)이 상기 돌출부(193)와 형상적으로 끼워맞춤되기 위해, 상기 돌출부(193)의 상기 축경부(194) 및 확경부(195)와 형상적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는 축경부(182)와 확경부(183)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매스(180)는 상기 돌출부(193)와 형상적으로 끼워맞춤되어서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슐레이터 스트러트(100)는 기존의 로우 플레이트와 기존의 범퍼컵을 하나의 로우컵으로 대체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종래보다 낮추었고, 종래에 로드 유동시 로우컵이 고정되어 범퍼의 변형, 쓸림에 의해 노이즈가 발생되었던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로드 유동시 로우컵이 함께 유동되게 하여 범퍼의 변형 및 쓸림을 억제하여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특정 주파수대의 진동을 상기 매스와 상기 돌출부에 의해 감쇠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단 플랜지부(122)를 제외한 상기 어퍼컵(120)이 상기 인슐레이터러버(130)에 바로 내접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내부파이프(197)를 개재하여 상기 인슐레이터러버(130)에 내접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내부파이프(197)는 가류공정에 의해 상기 베어링플레이트(140) 및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와 함께 상기 인슐레이터러버(1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내부파이프(197)는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에 상기 어퍼컵(120)을 조립할 시에 상기 어퍼컵(120)이 억지끼워맞춤되어서, 인슐레이터러버(130)와 상기 어퍼컵(120) 간의 결합시에 인슐레이터러버(130)의 손상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100; 인슐레이터 스트러트, 110; 어퍼플레이트, 120;어퍼컵, 125; 로우컵, 130; 인슐레이터러버, 140; 베어링 플레이트, 150; 스프링패드, 160; 범퍼 스토퍼, 170; 더스트커버, 180; 로드, 190; 댐퍼러버

Claims (4)

  1. 차체에 체결수단(112)에 의해 장착되게 되는 어퍼플레이트(110);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111)을 구획형성하는 관형부(110a)를 관통하되 상기 관형부(110a)의 내주면에서 방사방향 안쪽으로 이격 배치된 어퍼컵(120);
    상기 어퍼컵(120)의 상단 플랜지부(122)의 윗면에 가류공정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 댐퍼러버(190);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의 관형부(110a)에 대하여 방사방향 바깥쪽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의 수평부에 대하여 수직방향 아래쪽으로 이격 배치된 베어링 플레이트(140);
    상기 어퍼플레이트(110)를 전체적으로 에워싸고 있고, 상기 베어링 프레이트(140)에 내접된 상태에서, 가류공정에 의해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와 베어링플레이트(14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상단 플랜지부(122)를 제외한 상기 어퍼컵(120)에 외접되어 있는 인슐레이터러버(130);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140)에 베어링(141)을 개재하여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외접된 스프링패드(150);
    상기 어퍼컵(120)의 바닥에 형성된 중앙 관통구멍(O1)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가진 관통구멍(O2)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컵(120)에 고정되는 로우컵(125); 및
    상기 로우컵(125) 내에 범퍼 스토퍼(160)과 더스트커버(170)을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멍(O1, 02)들을 관통하는 체결수단(113)에 의해 상기 로우컵(125)에 고정되고 상기 범퍼 스토퍼(160)에 관통되는 쇽업저버의 로드(18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댐퍼러버(190)에는 매스(180)가 상기 어퍼컵(120)의 상단 플랜지부(122)에 대하여 상향으로 이격배치된 상태에서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터 스트러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 러버(130)의 하단은 상기 로우컵(125)의 윗면에 접촉되어 있고, 상기 인슐레이터 러버(130)의 상단은 상기 어퍼컵(120)의 상단 플랜지부(122)의 밑면에 접촉되어 있고,
    상기 어퍼컵(120)의 내부 수용부가 위로 노출되어 있고, 로우컵(125)의 내부 수용부가 아래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터 스트러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러버(190)는 상기 어퍼컵(120)의 상단 플랜지부(122)에 가류공정에 의해 고정되는 링형상부(191), 상기 링형상부(191)의 윗면에서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193), 및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193)의 중간에 형성된 축경부(194)와 확경부(195)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매스(180)는 링형상으로 되어 있고,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관통구멍(181)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81)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출부(193)를 관통시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81)이 상기 돌출부(193)와 형상적으로 끼워맞춤되기 위해, 상기 돌출부(193)의 상기 축경부(194) 및 확경부(195)와 형상적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는 축경부(182)와 확경부(18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터 스트러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단 플랜지부(122)를 제외한 상기 어퍼컵(120)이 상기 인슐레이터러버(130)에 내부파이프(197)를 개재하여 내접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파이프(197)은 가류공정에 의해 상기 베어링플레이트(140) 및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와 함께 상기 인슐레이터러버(13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터 스트러트.
KR1020110119999A 2011-11-17 2011-11-17 인슐레이터 스트러트 KR101300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999A KR101300084B1 (ko) 2011-11-17 2011-11-17 인슐레이터 스트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999A KR101300084B1 (ko) 2011-11-17 2011-11-17 인슐레이터 스트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556A KR20130054556A (ko) 2013-05-27
KR101300084B1 true KR101300084B1 (ko) 2013-08-23

Family

ID=48663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999A KR101300084B1 (ko) 2011-11-17 2011-11-17 인슐레이터 스트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0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1213B2 (en) 2015-01-29 2017-02-28 Hyundai Mobis Co., Ltd. Rolling bearing and suspension apparatus for automobile
KR102414245B1 (ko) * 2021-06-29 2022-06-28 평화산업주식회사 다이나믹 리바운드 스토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364B1 (ko) * 2017-06-28 2021-09-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4193A (ko) * 1995-12-29 1997-07-22 한승준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럿마운트
JP2000120769A (ja) * 1998-10-07 2000-04-25 Fuji Heavy Ind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3106366A (ja) * 2001-09-28 2003-04-09 Tokico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50085061A (ko) * 2002-12-23 2005-08-29 르노 에스.아.에스. 맥퍼슨 스트러트용 상부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4193A (ko) * 1995-12-29 1997-07-22 한승준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럿마운트
JP2000120769A (ja) * 1998-10-07 2000-04-25 Fuji Heavy Ind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3106366A (ja) * 2001-09-28 2003-04-09 Tokico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50085061A (ko) * 2002-12-23 2005-08-29 르노 에스.아.에스. 맥퍼슨 스트러트용 상부 고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1213B2 (en) 2015-01-29 2017-02-28 Hyundai Mobis Co., Ltd. Rolling bearing and suspension apparatus for automobile
KR102414245B1 (ko) * 2021-06-29 2022-06-28 평화산업주식회사 다이나믹 리바운드 스토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556A (ko) 201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3651B2 (en) Dust cover receiving structure of hydraulic shock absorber
KR101300084B1 (ko) 인슐레이터 스트러트
JP2016102506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102363420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2522291B1 (ko) 차량용 현가장치
CN206268351U (zh) 一种汽车快速减震装置
JP6434750B2 (ja) スプリングシート
US10005334B2 (en) Shock absorber
US8733745B2 (en) Load mount jounce rate cup
CN106402237B (zh) 一种汽车快速减震装置
JP4005607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H01283446A (ja) 液圧緩衝型防振マウント
KR20110046386A (ko) 자가 구속 다이내믹 댐퍼
CN112046226B (zh) 悬架推力轴承装置以及配备有这种装置的悬架支柱
CN112576681B (zh) 用于车辆的悬置
KR200406424Y1 (ko) 유체 봉입형 부시
KR102658038B1 (ko) 인슐레이터 및 이를 갖는 현가장치
KR101845413B1 (ko) 차량용 동흡진기의 구조
KR20120088160A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조립체
CN205503854U (zh) 汽车悬挂减震器减压盖装置
JP2009144844A (ja) 防振装置
RU49492U1 (ru) Верхняя опора направляющей пружинной стойки подвески автомобиля
KR20120045162A (ko) 하이드로 마운트
JP2013177935A (ja) 懸架装置およびカバー部材
KR100811722B1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