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0784A - 이동 재배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재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0784A
KR20140020784A KR1020130094091A KR20130094091A KR20140020784A KR 20140020784 A KR20140020784 A KR 20140020784A KR 1020130094091 A KR1020130094091 A KR 1020130094091A KR 20130094091 A KR20130094091 A KR 20130094091A KR 20140020784 A KR20140020784 A KR 20140020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conveyance
bench
guide
cultivation 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노리 사카모토
이사무 미야와키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7879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403657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78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6038535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0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과제) 과채 등을 재배하는 복수의 재배 벤치(10)를 순환시키는 폐쇄 루프 형상의 이동 재배 장치(1)에 있어서 각 재배 벤치(10)의 반송용의 구조를 간소화한다.
(해결수단) 본원 발명의 이동 재배 장치(1)는 반송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하여 평행 상태로 늘어선 한 쌍의 반송 컨베이어(40A, 40B)와, 한 쪽의 반송 컨베이어(40A(40B))의 반송 하류측으로부터 다른 쪽의 반송 컨베이어(40B(40A))의 반송 상류측으로 각 재배 벤치(10)를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 장치(20A, 20B)와,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 상의 재배 벤치(10)를 반송 하류측의 안내 장치(20A(20B))를 향해 이동시키는 한 쌍의 구동 장치(21A, 21B)를 구비한다. 각 구동 장치(21A, 21B)의 구동에 의해 각 안내 장치(20A(20B)) 상에 있는 복수의 상기 재배 벤치(10)를 빌리어드 형상으로 반송한다.

Description

이동 재배 장치{MOVABLE CULTIVATION APPARATUS}
본원 발명은 야채나 화훼라고 하는 과채 등을 밀식 상태에서 재배할 수 있는 이동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가로가 긴 재배 벤치를 이용하여 과채 등을 재배하는 기술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는 각 재배 벤치를 그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행방향(횡방향)이나 또는 상기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열방향(종방향) 중 어느 한 쪽으로만 이동시키는 구성의 이동 재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각 재배 벤치를 행방향 및 열방향의 양쪽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성의 이동 재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행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이나 열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에 굴림대군을 설치하고 있다. 행방향의 프레임마다 행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의 스플라인 동력축 및 개별 벨트 전동계를 통해 행방향으로 늘어선 굴림대군에 동력 전달하는 한편 열방향의 프레임마다 열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의 스플라인 동력축 및 개별 벨트 전동계를 통해 열방향으로 늘어선 굴림대군에 동력 전달함으로써 각 재배 벤치를 행방향 및 열방향의 양쪽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 9-5625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1-7857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11-28987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이동 재배 장치에서는 각 재배 벤치를 행방향이나 열방향 중 한 쪽으로 이동시킬 수 밖에 없다. 이 때문에 다른 쪽으로 재배 벤치를 이동시키고 싶은 경우는 작업자가 손수 재배 벤치를 운반하지 않으면 안되어 작업자의 부담이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3의 이동 재배 장치에서는 각 재배 벤치를 행방향 및 열방향의 양쪽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 기구로서 행방향의 프레임의 개수분의 스플라인 동력축 및 개별 벨트 전동계와 열방향의 프레임의 개수분의 스플라인 동력축 및 개별 벨트 전동계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기구의 구조가 대규모로 되어 복잡화 뿐만 아니라 부품점수 등의 관계에도 비용이 커진다고 해석되어 비용 억제의 관점에서 보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현상황을 검토하여 개선을 도모한 이동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과채 등을 재배하는 복수의 재배 벤치를 순환 반송하는 폐쇄 루프 형상의 이동 재배 장치로서 반송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하여 평행 상태로 늘어선 한 쌍의 반송 컨베이어와, 상기 한 쪽의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하류측으로부터 상기 다른 쪽의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상류측으로 상기 각 재배 벤치를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 장치와, 상기 각 반송 컨베이어 상의 상기 재배 벤치를 반송 하류측의 상기 안내 장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한 쌍의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각 구동 장치에 의한 상기 재배 벤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각 안내 장치 상에 있는 복수의 상기 재배 벤치를 빌리어드 형상으로 반송한다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이동 재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재배 벤치는 상기 각 안내 장치 상에서의 반송방향 전후 중 어느 한 쪽의 재배 벤치에 접촉하는 접촉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 프레임과 상기 한 쪽의 상기 재배 벤치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각 안내 장치 상에 있는 복수의 상기 재배 벤치를 빌리어드 형상으로 반송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이동 재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 프레임은 상기 각 안내 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늘어선 상기 재배 벤치군의 배치 간격을 설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이동 재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안내 장치 상에서의 상기 재배 벤치군의 배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접촉 프레임을 교체 또는 길이 조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이동 재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상류측에 한 쪽의 상기 안내 장치의 최하류측으로부터 주고받는 재배 벤치의 빌리어드 반송을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를 배치하여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한 상기 재배 벤치의 이동을 상기 스토퍼 부재에 의해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이동 재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 장치는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안내 장치의 반송 상류측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이동 재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 장치는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 상의 상기 재배 벤치에 아래쪽부터 착탈가능한 결합 클로체와, 상기 결합 클로체를 상기 재배 벤치에 착탈시키는 착탈용 액츄에이터와, 상기 결합 클로체를 상기 반송 하류측의 안내 장치를 따라 왕복동시키는 왕복용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착탈용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결합 클로체를 상기 재배 벤치에 결합시킨 후 상기 왕복용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결합 클로체를 상기 반송 하류측의 안내 장치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원 발명에 의하면 과채 등을 재배하는 복수의 재배 벤치를 순환 반송하는 폐쇄 루프 형상의 이동 재배 장치로서 반송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하여 평행 상태로 늘어선 한 쌍의 반송 컨베이어와, 상기 한 쪽의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하류측으로부터 상기 다른 쪽의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상류측으로 상기 각 재배 벤치를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 장치와, 상기 각 반송 컨베이어 상의 상기 재배 벤치를 반송 하류측의 상기 안내 장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한 쌍의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각 구동 장치에 의한 상기 재배 벤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각 안내 장치 상에 있는 복수의 상기 재배 벤치를 빌리어드 형상으로 반송하기 때문에 복수의 재배 벤치를 순환시키는 폐쇄 루프 구조의 이동 재배 장치이면서 특허문헌 3과 같은 복잡한 구동 기구를 채용할 필요가 없다. 즉, 행방향의 프레임마다 및 열방향의 프레임마다 스플라인 동력축 및 개별 벨트 전동계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매우 간단한 구조로 확실하게 상기 복수의 재배 벤치를 순환 반송할 수 있어 대폭적인 비용 억제가 가능해진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각 재배 벤치는 상기 각 안내 장치 상에서의 반송방향 전후 중 어느 한 쪽의 재배 벤치에 접촉되는 접촉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 프레임과 상기 한 쪽의 상기 재배 벤치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각 안내 장치 상에 있는 복수의 상기 재배 벤치를 빌리어드 형상으로 반송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재배 벤치의 순환 반송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재배 벤치끼리 과채 등의 화경이나 과실이 샌드위칭될 우려가 없다. 따라서 상기 각 재배 벤치에서 재배되는 과채 등의 화경이나 과실을 손상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상기 각 재배 벤치를 순환 반송할 수 있다.
청구항 3이나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각 접촉 프레임은 상기 각 안내 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늘어선 상기 재배 벤치군의 배치 간격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재배하는 과채 등에 따른 상기 재배 벤치군의 배치 간격을 상기 각 접촉 프레임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이동 재배 장치의 적용 범위가 넓어져 상기 이동 재배 장치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각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상류측에 한쪽의 상기 안내 장치의 최하류측으로부터 주고받는 재배 벤치의 빌리어드 반송을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를 배치하여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한 상기 재배 벤치의 이동을 상기 스토퍼 부재에 의해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빌리어드 반송에 있어서 상기 주고받는 재배 벤치를 상기 스토퍼 부재에 닿을 때까지 이동시켜 상기 각 반송 컨베이어 상의 정위치로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다. 그 후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재배 벤치를 상기 스토퍼 부재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반송 컨베이어 상에서도 상기 재배 벤치를 바람직한 자세로 스무스하게 반송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각 구동 장치는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안내 장치의 반송 상류측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빌리어드 반송을 위한 상기 각 구동 장치를 이동 재배 장치의 내부에 수용하게 되어 상기 이동 재배 장치로부터 상기 각 구동 장치를 돌출시키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상기 이동 재배 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각 구동 장치는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 상의 상기 재배 벤치에 아래쪽부터 착탈가능한 결합 클로체와, 상기 결합 클로체를 상기 재배 벤치에 착탈시키는 착탈용 액츄에이터와, 상기 결합 클로체를 상기 반송 하류측의 안내 장치를 따라 왕복동시키는 왕복용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착탈용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결합 클로체를 상기 재배 벤치에 결합시킨 후 상기 왕복용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결합 클로체를 상기 반송 하류측의 안내 장치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반송 컨베이어 상의 상기 재배 벤치를 상기 반송 하류측의 안내 장치로 이동시킬 때는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재배 벤치의 무게 중심과 동일한 정도나 그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반송 하류측의 안내 장치를 향하는 인입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재배 벤치에 대한 인입력 기인의 회전 모멘트의 발생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재배 벤치의 전도의 우려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 재배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반송 컨베이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인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인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결합 클로체 및 착탈용 액츄에이터의 일부 잘라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재배 벤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인입 장치에 의한 결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인입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인입 장치의 인입 종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인입 장치의 결합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공기압 회로 및 컨트롤러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재배 벤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접촉 프레임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록킹 부재를 설명하는 확대 평면 단면도이다.
도 14는 공기압 회로 및 컨트롤러의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에 본원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이동 재배 벤치(1)의 개략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특정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면 「좌우」「상하」등)를 이용하는 경우는 도 1에 있어서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평면시로 하고, 지면 상하방향을 전후방향 또는 종방향(열방향이라고 해도 좋다)으로 하고, 지면 좌우방향을 좌우방향 또는 횡방향(행방향이라고 해도 좋다)으로 한다. 이들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한 것이고,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종방향 및 횡방향이 모두 수평면(지면(地面))에 대하여 평행(중력방향에 대하여 수직)이지만 본원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딸기나 시금치라고 하는 과채 등의 재배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정도로 종방향 및 횡방향이 수평면에 대하여 다소 경사져 있어도 상관없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의 이동 재배 장치(1)는 딸기나 시금치라고 하는 과채 등을 재배하는 복수의 재배 벤치(10)를 순환 반송하는 폐쇄 루프 형상이다. 이 경우의 이동 재배 장치(1)는 반송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하여 평행 상태로 늘어선 한 쌍의 반송 컨베이어(40A, 40B)와, 한 쪽의 반송 컨베이어(40A(40B))의 반송 하류측으로부터 다른 쪽의 반송 컨베이어(40B(40A))의 반송 상류측으로 각 재배 벤치(10)를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 장치(20A(20B))와, 반송 컨베이어(40A, 40B) 상의 재배 벤치(10)를 반송 하류측의 안내 장치(20A, 20B)를 향해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로서의 한 쌍의 인입 장치(21A, 21B)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반송 컨베이어(40A, 40B)와 한 쌍의 안내 장치(20A, 20B)가 복수의 재배 벤치(10)를 순환 반송하기 위해 폐쇄 루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반송 컨베이어(40A, 40B)는 전후방향(종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에서 평행 상태로 늘어서 있다. 각각 재배 벤치(10)를 서로 역방향의 반송방향(횡방향)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안내 장치(20A, 20B)는 좌우방향(횡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에서 평행 상태로 늘어서 있고, 각각 재배 벤치(10)를 서로 역방향의 방향(종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로 앞측 반송 컨베이어(40A)의 좌반부는 제 1 안내 장치(20A)의 바로 앞측에 위치하고, 바로 앞측 반송 컨베이어(40A)의 우반부는 제 2 안내 장치(20B)의 바로 앞측에 위치하고 있다. 내측 반송 컨베이어(40B)의 좌반부는 제 1 안내 장치(20A)의 내측에 위치하고, 내측 반송 컨베이어(40B)의 우반부는 제 2 안내 장치(20B)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각 반송 컨베이어(40A, 40B)는 모두 각 안내 장치(20A, 20B)와의 사이에서 재배 벤치(10)를 주고받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재배 벤치(10)는 바로 앞측 반송 컨베이어(40A)→제 1 안내 장치(20A)→내측 반송 컨베이어(40B)→제 2 안내 장치(20B)→바로 앞측 반송 컨베이어(40A)의 순서대로 도 1의 평면시 시계방향으로 순환 반송된다. 또한 순환 반송방향은 도 1의 평면시 반시계방향으로 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6을 참조하면서 재배 벤치(10)의 상세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재배 벤치(10)는 상향 개구 가로가 긴 상자 형상의 용기인 플랜터(2)와, 플랜터(2)가 수용되는 가로가 긴 상자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 워크(11)를 구비하고 있다. 플랜터(2)는 재배용의 흙을 수용하는 것이고, 그 저면에는 여분의 물 및 약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터(2) 상면의 전후 가장자리부에는 프레임 워크(11)의 상면측을 구성하는 좌우 가로가 긴 어퍼 프레임(12)에 결합되는 록킹편부(2a)가 형성되어 있다. 록킹편부(2a)를 어퍼 프레임(12)에 걸어 결합시킴으로서 플랜터(2)가 재배 벤치(10)에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 워크(11)의 하면측을 구성하는 좌우 가로가 긴 로우 프레임(18)에는 재배 벤치(10)를 각 안내 장치(20A, 20B)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이동체로서의 차륜(13)이 2개 1세트 총 4세트 부착되어 있다. 총 4세트의 차륜(13)은 각 안내 장치(20A(20B))의 안내 레일(35)(상세는 후술한다)의 배치폭에 맞춘 간격으로 재배 벤치(10)의 횡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 이동체는 각 안내 장치(20A(20B))측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슬라이딩 이동체는 차륜(13)에 한정되지 않고 굴림대, 슬라이더 또는 롤러라고 하는 다른 구조이어도 좋다. 로우 프레임(18)의 상면측에는 플랜터(2) 하면의 배출 구멍으로부터 배출되는 여분의 물 및 약액을 회수하는 리시빙 홈통(14)이 부착되어 있다. 각 재배 벤치(10)의 리시빙 홈통(14)에 모아진 물 및 약액은 안내 장치(20A, 20B)의 길이방향(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수 홈통(30A ,30B)(도 1 참조)에 모여 회수된다.
각 재배 벤치(10)에 있어서의 한 쪽의 어퍼 프레임(12)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한 쌍의 선재 고정 암(15)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양쪽의 선재 고정 암(15)이 바로 앞측 반송 컨베이어(40A)를 향해 돌출되도록 재배 벤치(10)가 이동 재배 장치(1) 상에 배치된다. 상기 한 쪽의 어퍼 프레임(12)에 있어서 양 선재 고정 암(15) 사이에는 양 선재 고정 암(15)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 암(16)이 설치되어 있다. 상세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양 선재 고정 암(15)에 형성된 고정 구멍에 선재를 결부시키고, 상기 선재의 중도부를 각 지지 암(16) 상면에 형성된 안내 홈에 위쪽부터 걸어 이들 위에 예를 들면 네트를 덮어씌운다. 상기 네트 부분은 양 선재 고정 암(15), 복수의 지지 암(16) 및 선재로 아래쪽부터 지지되어 재배 중의 과채 등에 있어서 플랜터(2)의 밖까지 신장된 부분을 보호한다.
또한 프레임 워크(11)의 하부 중앙측에는 재배 벤치(10)에서 재배되는 과채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IC 태그(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IC 태그의 사용에 의해, 과채 등의 트레이서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각 재배 벤치(10)에 있어서 선재 고정 암(15) 및 지지 암(16)과 동일한 쪽에 있는 로우 프레임(18)의 길이 중도부에는 평면시 コ자형으로 형성된 접촉 프레임(19)이 설치되어 있다. 접촉 프레임(19)의 좌우 양 수직 파이프부(19b)가 로우 프레임(18)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접촉 프레임(19)의 수평 파이프부(19a)가 각 안내 장치(20A, 20B) 상에서 반송방향 전후 중 어느 한 쪽에 있는 재배 벤치(10)의 로우 프레임(18)에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촉 프레임(19)의 수평 파이프부(19a)를 이웃한 재배 벤치(10)에 접촉시킨 상태에서는 이웃하는 재배 벤치(10) 사이에 각 안내 장치(20A, 20B)의 길이방향(종방향)을 따라 적당 간격(실시형태에서는 500mm 정도)이 벌어지게 된다.
또한 접촉 프레임(19)을 착탈가능(교체가능)하게 구성되거나 길이 조절가능하게 구성하거나 하면 이웃하는 재배 벤치(10) 사이의 배치 간격을 변경하여 재배 벤치(10)를 증설하거나 삭감하거나 할 수 있고, 과채 등의 종류나 품종에 따라 재배 벤치(10)의 증감을 도모할 수 있어 편리하다. 접촉 프레임(19)은 도시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웃한 재배 벤치(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재배 벤치(10) 사이에 각 안내 장치(20A, 20B)의 길이방향(종방향)을 따라 적당 간격을 둘 수 있도록 각 재배 벤치(10)로부터 돌출된 구조이면 좋다.
이어서 도 1~도 5를 참조하면서 반송 컨베이어(40A, 40B) 및 안내 장치(20A, 20B)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대로 한 쌍의 반송 컨베이어(40A, 40B)와 한 쌍의 안내 장치(20A, 20B)는 복수의 재배 벤치(10)를 순환 반송하기 위해 폐쇄 루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 반송 컨베이어(40A, 40B)의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다.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는 복수개의 다리로 지지되는 좌우 가로가 긴 2개의 컨베이어 프레임(47)을 구비하고 있다. 양 컨베이어 프레임(47)의 좌우 양단부 사이에 구동 스프로킷(42) 쌍과 종동 스프로킷(43) 쌍이 회전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양 컨베이어 프레임(47) 사이에는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42,43)을 통해 2개의 대략 평행한 컨베이어 체인(41)이 배치되어 있다. 컨베이어 체인(41)은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42, 43)에 걸어 회전되고 있다. 체인 및 스프로킷 전동계를 통해 구동 스프로킷(42)의 구동축에 반송 모터(45A(45B))를 동력 전달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반송 모터(45A(45B))에 의해 2개의 대략 평행한 컨베이어 체인(41)을 동기시켜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양 컨베이어 체인(41)에는 각 안내 장치(20A(20B))로부터 주고받은 재배 벤치(10)의 차륜(13)을 싣는 적재판(46)이 적당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다. 재배 벤치(10)의 각 차륜(13)이 대응되는 적재판(46)에 실린 상태로 반송 모터(45)로 한 쌍의 컨베이어 체인(41)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가 재배 벤치(10)를 횡방향으로 반송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바로 앞측 반송 컨베이어(40A)의 바로 앞측 스페이스 (특히 제 2 안내 장치(20B) 근처의 바로 앞측 스페이스)가 작업자의 작업 스페이스로서 설정된다. 작업자는 작업 스페이스에 있어서 여러가지 작업(예를 들면 수확 작업, 풀 베기 작업, 가지치기 작업 및 플랜터(2) 교환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양 반송 컨베이어(40A, 40B)의 길이 중도부에는 각 반송 컨베이어(40A (40B))에서 횡방향 반송되는 재배 벤치(10)를 향해 물을 산포하는 관수 장치(3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동 재배 장치(1)에 있어서 작업 스페이스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 즉 내측 반송 컨베이어(40B)측에는 방제 장치(32)(약액 분무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방제 장치(32)는 내측 반송 컨베이어(40B)에서 횡방향 반송되는 재배 벤치(10)를 향해 방제제나 약액을 산포하는 것이다. 제 1 실시형태의 방제 장치(32)는 내측 반송 컨베이어(40B)의 길이 중도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 스페이스에 있는 작업자에게 방제제나 약액이 부착될 우려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하다.
한편 양 안내 장치(20A, 20B)의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다. 각 안내 장치(20A, 20B)는 다수의 지주나 횡 프레임에 의해 그 골조를 구성하고 있고, 재배 벤치(10)의 차륜(13)이 주행하는 복수개의 안내 레일(35)(실시형태에서는 4개)을 구비하고 있다. 안내 레일(35)군은 좌우방향(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늘어서고, 다수의 지주나 횡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골조로 지지되어 있다. 각 안내 레일(35)은 전후방향(종방향)으로 긴 금속판을 구부려 종방향에서 보아 대략 위쪽으로 개구되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면 V자 형상의 안내 레일(35)에 의해 차륜(13)을 탈륜시키는 일 없이 복수의 재배 벤치(10)를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까지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각 안내 장치(20A(20B))의 반송 상류측의 하부에는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의 반송 하류측으로 이동한 재배 벤치(10)를 이것에 대치되는 안내 장치(20A(20B))를 향해 종방향으로 반송하는 수단으로서 인입 장치(21A(21B))를 설치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재배 벤치(10)를 도 1의 평면시 시계방향으로 순환 반송시키기 위해 제 1 안내 장치(20A)의 바로 앞측의 하부에 센딩측 인입 장치(21A)를, 제 2 안내 장치(20B)의 내측의 하부에 리터닝측 인입 장치(21B)를 각각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도 1의 평면시 반시계 방향의 순환 반송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제 1 안내 장치(20A)의 내측의 하부에 리터닝측 인입 장치(21B)를, 제 2 안내 장치(20B)의 바로 앞측의 하부에 센딩측 인입 장치(21A)를 각각 배치하고 있다. 즉 순환 반송방향에 맞춰 도 1의 평면시에서 서로 대각선 상의 위치 관계에 있는 인입 장치(21A, 21B)를 가동시킨다.
이하에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의 평면시 시계방향의 순환 반송에 대응하는 각 인입 장치(21A(21B))를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이들 각 인입 장치(21A(21B))의 기본적인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인입 장치(21A(21B))는 대응하는 반송 컨베이어(40A(40B)) 상의 재배 벤치(10)에 아래쪽부터 착탈가능한 한 쌍의 결합 클로체(51)와, 각 결합 클로체(51)를 재배 벤치(10)에 착탈시키는 착탈용 액츄에이터로서의 승강 전자 솔레노이드(52)와, 양 결합 클로체(51)를 안내 장치(20A(20B))를 따라 종방향으로 왕복동시키는 왕복용 액츄에이터로서의 에어실린더(53)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각 안내 장치(20A(20B))의 골조인 한 쌍의 횡 프레임(54)의 반송 상류측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한 쌍의 빔 프레임(55)이 볼트 체결되어 있다. 양 빔 프레임(55)에는 실린더 가대(56)가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실린더 가대(56) 상에는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의 반송 하류측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에 피스톤 로드(57)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에어실린더(5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횡 프레임(54)은 4개의 안내 레일(35) 중 내측 2개의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다.
에어실린더(53)를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환봉 형상의 슬라이드 바(58)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실린더 가대(56)의 전후 양측 단부에 좌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수평 레일 브래킷(59)(제 1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기단측이 고정되어 있다. 각 수평 레일 브래킷(59)의 선단측에 바 지지판(60)이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에어실린더(53)를 사이에 두고 좌우 한 쪽측에 있는 한 쌍의 바 지지판(60)에 좌우 한 쪽의 슬라이드 바(58)의 전후 각 단부가 고정되고, 좌우 다른 쪽 측에 있는 한 쌍의 바 지지판(60)에 좌우 다른 쪽의 슬라이드 바(58)의 전후 각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양 슬라이드 바(58)는 종방향으로 평행 상태로 늘어서 있다.
각 슬라이드 바(58)에는 슬라이더(61)(도 7~도 10 참조)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양 슬라이더(61)의 상면측에 평판 형상의 이동 플레이트(62)가 부착되어 있다. 이동 플레이트(62)의 하면측 중 양 슬라이더(61) 사이의 개소는 연결 로드(63)를 통해 에어실린더(53)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57)의 선단측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 플레이트(62)는 에어실린더(53)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57)의 신축운동에 의해 양 슬라이드 바(58)를 따른 종방향으로 왕복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동 플레이트(62) 상면의 좌우 양단측에 결합 클로체(51)가 각각 상하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동 플레이트(62) 상면 중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의 반송 하류측으로부터 먼 쪽의 좌우 코너부에 축 지지 금구(64)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 클로체(51)에 있어서의 본체 암(65)의 기단측이 피봇 지지 핀축(66)을 통해 축 지지 금구(64)에 회전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결합 클로체(51)의 본체 암(65)은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의 반송 하류측에 근접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본체 암(65)의 선단측에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 상에 있는 재배 벤치(10)의 로우 프레임(18)에 착탈가능한 클로부(67)가 설치되어 있다.
양 결합 클로체(51)의 클로부(67)는 에어실린더(53)의 피스톤 로드(57)를 단축시킨 상태로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의 반송 하류측의 위쪽에 위치하여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와 재배 벤치(10)의 로우 프레임(18) 사이에 들어간다. 에어실린더(53)의 피스톤 로드(57)를 신장시킨 상태에서는 양 결합 클로체(51)의 클로부(67)가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의 반송 하류측으로부터 멀어진다. 각 인입 장치(21A(21B))는 재배 벤치(10)를 종방향으로 반송하지 않는 대기 상태(초기 상태라고 해도 좋다)에 있어서 에어실린더(53)의 피스톤 로드(57)를 신장시킨 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은 양 결합 클로체(51)의 클로부(67)를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 상에서 반송 도중에 있는 재배 벤치(10)에 간섭하지 않도록(걸리지 않도록)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의 반송 하류측으로부터 멀리떼어 두기 위해서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62) 하면 중 각 반송 컨베이어(40A (40B))의 반송 하류측에 가까운 쪽의 좌우 코너부에 승강 전자 솔레노이드(52)가 설치되어 있다. 각 승강 전자 솔레노이드(52)의 승강 로드(68)는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이동 플레이트(62)를 관통하고 있다. 각 승강 로드(68)의 선단측이 대응하는 결합 클로체(51)에 있어서의 본체 암(65)의 길이 중도부에 연결되어 있다. 각 결합 클로체(51)는 대응하는 승강 전자 솔레노이드(52)에 있어서의 승강 로드(68)의 승강운동에 의해 피봇 지지 핀축(66) 방향으로 상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양 결합 클로체(51)의 상하 회전에 의해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 상에 있는 재배 벤치(10)의 로우 프레임(18)에 클로부(67)를 결합시키거나 로우 프레임(18)과 클로부(67)의 결합을 해제시키거나 한다.
한 쪽의 반송 컨베이어(40A(40B))의 반송 하류측으로 이동한 재배 벤치(10)를 이것에 대치되는 안내 장치(20A(20B))에 주고받을 때는 한 쪽의 인입 장치(21A(21B))에 있어서의 에어실린더(53)의 피스톤 로드(57)를 단축시켜 양 결합 클로체(51)의 클로부(67)를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와 재배 벤치(10)의 로우 프레임(18) 사이에 들어가게 한다(도 7 참조). 이어서 양 승강 전자 솔레노이드(52)의 승강 로드(68)를 상승운동시켜 양 결합 클로체(51)를 위를 향해 회전시키고, 재배 벤치(10)의 한 쪽의 로우 프레임(18)에 양 결합 클로체(51)의 클로부(67)를 아래쪽부터 결합시킨다(도 8 참조).
그것으로부터 로우 프레임(18)과 양 클로부의 결합을 유지한 상태에서 각 에어실린더(53)의 피스톤 로드(57)를 신장시켜 한 쪽의 반송 컨베이어(40A(40B)) 상의 재배 벤치(10)를 안내 장치(20A(20B))를 향해 인입하고, 한 쪽의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측에 있던 재배 벤치(10)의 로우 프레임(18)을 안내 장치(20A(20B))측에 있는 재배 벤치(10)의 접촉 프레임(19)(수평 파이프부(19a))에 접촉시킨다(도 9 참조). 그 결과 안내 장치(20A(20B)) 상에 있는 복수의 재배 벤치(10)가 차례로 빌리어드 형상으로 돌출되어 안내 장치(20A(20B))의 최하류측에 있는 재배 벤치(10)가 다른 쪽의 반송 컨베이어(40B(40A))의 반송 상류측으로 압출된다. 즉 양 승강 전자 솔레노이드(52)의 구동에 의해 양 결합 클로체(51)를 재배 벤치(10)에 결합시킨 후 에어실린더(53)의 구동에 의해 양 결합 클로체(51)를 반송 하류측의 안내 장치(20A(20B))를 향해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안내 장치(20A(20B)) 상에 있는 복수의 재배 벤치(10)을 빌리어드 형상으로 반송하는 것이다.
그 후 양 승강 전자 솔레노이드(52)의 승강 로드(68)를 하강운동 시켜 양 결합 클로체(51)를 하향 회동시키고, 재배 벤치(10)의 한 쪽의 로우 프레임(18)과 양 결합 클로체(51)의 클로부(67)의 결합을 해제한다(도 10 참조).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이웃하는 재배 벤치(10)가 빌리어드 형상으로 반송될 때 제 1 안내 장치(20A) 상에서는 반송 상류측의 재배 벤치(10)의 로우 프레임(18) 내측면이 반송 하류측의 재배 벤치(10)의 접촉 프레임(19)(수평 파이프부(19a))에 접촉된다. 제 2 안내 장치(20B) 상에서는 반송 상류측의 재배 벤치(10)의 접촉 프레임(19)(수평 파이프부(19a))이 반송 하류측의 재배 벤치(10)의 로우 프레임(18) 내측면에 접촉된다.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의 반송 상류측에는 각 안내 장치(20A(20B))의 최하류측으로부터 주고받는 재배 벤치(10)의 종방향 반송(빌리어드 반송)을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23)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접촉 프레임(19)이 바로 앞측 반송 컨베이어(40A)를 향하는 자세로 각 재배 벤치(10)를 이동 재배 장치(1)(각 반송 컨베이어(40A(40B)) 및 각 안내 장치(20A(20B))) 상에 배치한다. 이 때문에 바로 앞측 반송 컨베이어(40A)의 스토퍼 부재(23)는 접촉 프레임(19)과 접촉하는 관계 상 평면시에서 바로 앞측으로 돌출된 자세로 부착되어 있다. 내측 반송 컨베이어(40B)의 스토퍼 부재(23)는 접촉 프레임(19)이 아니라 재배 벤치(10)의 로우 프레임(18)과 접촉하는 관계 상 평면시에서 내측 반송 컨베이어(40B)와 겹치는 자세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평면시 시계방향 및 반시계?향의 양쪽 순환 반송에 대응할 목적으로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의 반송 상류측 뿐만 아니라 반송 하류측에도 스토퍼 부재(23)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의 반송 상류측에 2개, 반송 하류측에 2개의 총 4개의 스토퍼 부재(23)가 배치되어 있다.
빌리어드 반송에 의해 각 안내 장치(20A(20B))의 최하류측의 재배 벤치(10)가 다른 쪽의 반송 컨베이어(40B(40A))로 옮겨탈 때는 상기 최하류측의 재배 벤치(10)의 로우 프레임(18) 내측면 또는 접촉 프레임(19)(수평 파이프부(19a))이 스토퍼 부재에 접촉되고, 상기 최하류측의 재배 벤치(10)의 차륜(13)이 적재판(46)에 실린 상태에서 다른 쪽의 반송 컨베이어(40B(40A))의 반송 상류측에 있어서 정지한다. 즉 각 반송 컨베이어(40B(40A)) 상의 정위치로 확실하게 옮겨탈 수 있다.
그 후는 각 반송 컨베이어(40B(40A))의 구동에 의해 재배 벤치(10)를 반송 하류측으로 이동시키지만 그 때에 반송 상류측 및 반송 하류측의 스토퍼 부재(23)의 존재에 의해 재배 벤치(40)에 있어서 각 반송 컨베이어(40B(40A))와 직교하는 종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면서 재배 벤치(10)를 스토퍼 부재(23)를 따라 반송 하류측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각 반송 컨베이어(40B(40A)) 상에서도 재배 벤치(10)를 바람직한 자세로 스무스하게 횡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면서 이동 재배 장치(1)의 공기압 회로(70) 구조를 설명한다. 이동 재배 장치(1)의 공기압 회로(70)는 에어실린더(53)에 고압 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71)와 각 인입 장치(21A(21B))의 에어실린더(5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도 1의 평면시 반시계방향의 순환 반송에 대한 각 인입 장치(21A(21B))의 에어실린더(5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컴프레서(71)와 각 에어실린더(53)는 5포트 3위치 스위칭형의 방향 스위칭 전자 밸브(72)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방향 스위칭 전자 밸브(72)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컨트롤러(7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한 쌍의 전자 솔레노이드(73)를 갖고 있다. 방향 스위칭 전자 밸브(73)는 컨트롤러(75)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각 전자 솔레노이드(73)의 여자(勵磁)에 의해 에어실린더(53)의 피스톤 로드(57)를 신장운동시키는 신장 위치와, 피스톤 로드(57)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정지 위치와, 피스톤 로드(57)를 단축운동시키는 단축 위치로 스위칭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 수단으로서의 컨트롤러(75)는 재배 벤치(10)군의 순환 반송에 관한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 및 각 인입 장치(21A(21B))의 구동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다. 컨트롤러(75)에는 착탈용 액츄에이터로서의 좌우 한 쌍의 승강 전자 솔레노이드(52), 바로 앞측 반송 컨베이어(40A)의 제 1 반송 모터(45A)에 대한 제 1 모터 드라이버(74A), 내측 반송 컨베이어(40B)의 제 2 반송 모터(45B)에 대한 제 2 모터 드라이버(74B), 및 상술한 각 방향 스위칭 전자 밸브(72)의 한 쌍의 전자 솔레노이드(73) 등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설명 및 도 4, 도 5 및 도 7~도 10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과채 등을 재배하는 복수의 재배 벤치(10)를 순환시키는 폐쇄 루프 형상의 이동 재배 장치(1)로서 반송방향을 역방향으로 하여 평행 상태로 늘어서는 한 쌍의 반송 컨베이어(40A, 40B)와, 상기 한 쪽의 반송 컨베이어(40A(40B))의 반송 하류측으로부터 상기 다른 쪽의 반송 컨베이어(40B(40A))의 반송 상류측으로 상기 각 재배 벤치(10)를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 장치(20A, 20B)와, 상기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 상의 상기 재배 벤치(10)를 반송 하류측의 상기 안내 장치(20A(20B))를 향해 이동시키는 한 쌍의 인입 장치(21A, 21B)를 구비하고, 상기 각 인입 장치(21A(21B))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각 안내 장치(20A(20B)) 상에 있는 복수의 상기 재배 벤치(10)를 빌리어드 형상으로 반송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각 인입 장치(21A(21B))를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안내 장치(20A(20B))의 반송 상류측의 하부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재배 벤치(10)를 순환시키는 폐쇄 루프 구조의 이동 재배 장치(1)이면서 특허문헌 3과 같은 복잡한 구동기구를 채용할 필요가 없다. 즉 행방향의 프레임마다 및 열방향의 프레임마다 스플라인 동력축 및 개별 벨트 전동계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대폭적인 비용 억제가 가능해진다. 또한 빌리어드 반송을 위한 상기 각 인입 장치(21A(21B))를 이동 재배 장치(1)의 내부에 수용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이동 재배 장치(1)로부터 상기 각 인입 장치(21A(21B))를 돌출시키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상기 이동 재배 장치(1)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인입 장치(21A(21B))는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40A(40B)) 상의 상기 재배 벤치(10)에 아래쪽부터 착탈가능한 결합 클로체(51)와, 상기 결합 클로체(51)를 상기 재배 벤치(10)에 착탈시키는 착탈용 액츄에이터(52)와, 상기 결합 클로체(51)를 상기 반송 하류측의 안내 장치(20A(20B))를 따라 왕복동시키는 왕복용 액츄에이터(53)를 구비하고, 상기 착탈용 액츄에이터(52)의 구동에 의해 상기 결합 클로체(51)를 상기 재배 벤치(10)에 아래쪽부터 결합시킨 후 상기 왕복용 액츄에이터(53)의 구동에 의해 상기 결합 클로체(51)를 상기 반송 하류측의 안내 장치(20A(20B))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 상의 상기 재배 벤치(10)를 상기 반송 하류측의 안내 장치(20A(20B))로 이동시킬 때는 상기 인입 장치(21A(21B))에 의해 상기 재배 벤치(10)의 무게 중심과 동일한 정도나 그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반송 하류측의 안내 장치(20A(20B))를 향하는 인입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재배 벤치(10)에 대한 인입력 기인의 회전 모멘트의 발생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재배 벤치(10)의 전도의 우려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재배 벤치(10)는 상기 각 안내 장치(20A(20B)) 상에서의 반송 방향 전후 중 어느 한 쪽의 재배 벤치(10)에 접촉하는 접촉 프레임(19)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 프레임(19)과 상기 한 쪽의 상기 재배 벤치(10)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각 안내 장치(20A(20B)) 상에 있는 복수의 상기 재배 벤치(10)를 빌리어드 형상으로 반송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각 재배 벤치(10)의 순환 반송 시에 이웃하는 상기 재배 벤치(10)끼리 과채 등의 화경이나 과실이 샌드위칭될 우려가 없다. 따라서 상기 각 재배 벤치(10)에서 재배되는 과채 등의 화경이나 과실을 손상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상기 각 재배 벤치(10)를 순환 반송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각 접촉 프레임(19)은 상기 각 안내 장치(20A(20B))의 길이방향으로 늘어서는 상기 재배 벤치(10)군의 배치 간격을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재배하는 과채 등에 따른 재배 벤치(10)군의 배치 간격을 상기 각 접촉 프레임(19)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이동 재배 장치(1)의 적용 범위가 넓어져 상기 이동 재배 장치(1)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의 반송 상류측에 한 쪽의 상기 안내 장치(20A(20B))의 최하류측으로부터 주고받는 재배 벤치(10)의 빌리어드 반송을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23)를 배치하여 상기 반송 컨베이어(40A(40B))에 의한 상기 재배 벤치(10)의 이동을 상기 스토퍼 부재(23)에 의해 안내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빌리어드 반송할 때 상기 주고받는 재배 벤치(10)를 상기 스토퍼 부재(23)에 닿을 때까지 이동시켜 상기 각 반송 컨베이어(40A(40B)) 상의 정위치로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다. 그 후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40A(40B))에 의해 상기 재배 벤치(10)를 상기 스토퍼 부재(23)를 따라 이동시키게 되어 상기 반송 컨베이어(40A(40B)) 상에서도 상기 재배 벤치(10)를 바람직한 자세로 스무스하게 반송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2~도 14를 참조하면서 이동 재배 장치(1)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각 안내 장치(20A(20B)) 상에서의 재배 벤치(10)군의 배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도록 각 접촉 프레임(19) 및 스토퍼 부재(23)를 교체 또는 길이 조절가능하게 구성함과 아울러 각 에어실린더(53)를 복수단 스트로크 사양(구체적으로는 2단 스트로크 사양)으로 하고 있는 점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크게 차이난다.
도 12 및 도 13(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재배 벤치(10)에 있어서 선재 고정 암(15) 및 지지 암(16)과 동일한 쪽에 있는 로우 프레임(18)의 길이 중도부에는 접촉 프레임(19)의 각 수직 파이프부(19b)가 끼워지는 중공 원통 형상의 한 쌍의 홀더 파이프(81)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접촉 프레임(19)의 각 수직 파이프부(19b)는 이것에 대응하는 홀더 파이프(81)에 대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접촉 프레임의 각 수직 파이프부(19b)에는 그 기단 근처와 선단 근처 2개소에 록킹 구멍(82)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각 홀더 파이프(81)에 있어서의 개구 근처 부위에는 수직 파이프부(19b)의 록킹 구멍(82)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83)이 형성되어 있다. 각 홀더 파이프(81)의 관통 구멍(83)에는 두부(85)가 부착된 록킹핀(84)이 감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각 홀더 파이프(81)의 외측면에는 록킹핀(84)을 지지하는 통 형상의 베어링체(87)가 용접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베어링체(87)에는 좌우 내측이 대경이고 좌우 외측이 소경인 스텝핑 형상으로 형성된 스텝핑 구멍(88)이 형성되어 있다. 록킹핀(84)은 두부(85)를 좌우 내측에 위치시키고 또한 축부(86)에 코일 스프링(89)을 끼운 상태로 베어링체(87)의 스텝핑 구멍(88)에 끼워넣어져 있다. 따라서 록킹핀(84)은 코일 스프링(8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시 접촉 프레임(19)의 수직 파이프부(19b)를 향해 슬라이드되도록 바이어싱되어 있다.
록킹핀(84)의 축부(86) 중 베어링체(87)로부터 돌출된 나사 부분에는 스텝핑구멍(8)의 소경 부분보다 지름이 큰 손잡이(90)가 나사 장착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90)의 기단면이 베어링체(87)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록킹핀(84)은 베어링체(87)의 스텝핑 구멍(88)로부터 빠지지 않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록킹핀(84)에 있어서의 두부(85)의 외경은 베어링체(87)에 있어서의 스텝핑 구멍(88)의 대경 부분에 쏙 끼워지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록킹핀(84)을 좌우 바깥을 향해 후퇴시켜 록킹 구멍(82)과의 결합을 해제한 록킹 해제 상태로 홀더 파이프(81)에 대한 접촉 프레임(19)의 각 수직 파이프부(19b)의 삽입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록킹핀(84)을 어느 하나의 록킹 구멍(802)에 끼워넣은 록킹 상태에서는 접촉 프레임(19)이 빼고 꽂기 불가능하게 유지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각 수직 파이프부(19b)에 있어서의 선단 근처의 록킹 구멍(82)에 록킹핀(84)을 끼워넣어 고정한 상태로 이웃하는 재배 벤치(10)의 배열 간격이 640mm 정도로 확대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접촉 프레임(19)의 길이 변경에 따라 스토퍼 부재(23)를 부착 수평부(23a)의 길이가 긴 것으로 교체하고 있다. 물론 접촉 프레임(19)을 교체가능하게 구성하거나 스토퍼 부재(23)를 길이 조절가능하게 구성하거나 해도 좋다.
도 14에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동 재배 장치(1)의 공기압 회로(100)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4에서도 도 1의 평면시 반시계방향의 순환 반송에 대한 각 인입 장치(21A(21B))의 에어실린더(5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공기압 회로(100)에서는 각 인입 장치(21A(21B))의 에어실린더(53)가 복수단 스트로크 사양(구체적으로는 2단 스트로크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에어실린더(53)가 2단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고, 에어실린더(53)의 대경 실린더부(101)가 3포트 2위치 스위칭형의 대경용 방향 스위칭 전자 밸브 (103)를 통해 컴프레서(71)에 접속되어 있다. 에어실린더(53)의 소경 실린더부(102)는 4포트 2위치 스위칭형의 소경용 방향 스위칭 전자 밸브(104)를 통해 컴프레서(71)에 접속되어 있다.
각 방향 스위칭 전자 밸브(103, 104)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컨트롤러(7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자 솔레노이드(105, 106)를 갖고 있다. 대경용의 방향 스위칭전자 밸브(103)는 컨트롤러(75)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는 전자 솔레노이드(105)의 여자에 의해 대경 실린더부(101)의 피스톤 로드(107)를 신장운동시키는 신장 위치와 피스톤 로드(107)를 단축운동시키는 단축 위치로 스위칭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소경용 방향 스위칭 전자 밸브(104)는 컨트롤러(75)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는 전자 솔레이노이드(106)의 여자에 의해 소경 실린더부(102)의 피스톤 로드(108)를 신장운동시키는 신장 위치와 피스톤 로드((108)를 단축운동시키는 단축 위치로 스위칭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대경용 방향 스위칭 전자 밸브(103)의 스위칭 구동에 의해 에어실린더(53)에 있어서의 소경 실린더부(102)의 피스톤 로드(108)가 접촉 프레임(19)의 길이가 짧은 경우(예를 들면 500mm 정도의 경우)에 대응하여 신축운동한다. 또한 소경용 방향 스위칭 전자 밸브(104)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에어실린더(53)에 있어서의 소경 실린더부(102)의 피스톤 로드(108)가 접촉 프레임(19)의 길이가 긴 경우(예를 들면 640mm 정도의 경우)에 대응하여 신축운동하게 된다. 또한 에어실린더(53)에 있어서의 소경 실린더부(102)의 피스톤 로드(108)의 선단측이 연결 로드(63)를 통해 이동 플레이트(62)의 하면측 중 양 슬라이더(61) 사이의 개소에 연결되어 있다. 그 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상기 설명 및 도 12~도 14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각 안내 장치(20A(20B)) 상에서의 상기 재배 벤치(10)군의 배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접촉 프레임(19) 및 상기 스토퍼 부재(23)를 교체 또는 길이 조절가능하게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각 인입 장치(21A(21B))의 에어실린더(53)를 복수단 스트로크 사양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재배하는 과채 등에 따른 상기 재배 벤치(10)군의 배치 간격을 상기 각 접촉 프레임(19), 상기 스토퍼 부재(23) 및 상기 각 인입 장치(21A(21B))에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이동 재배 장치(1)의 적용 범위가 넓어져 상기 이동 재배 장치(1)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실시형태로 구체화할 수 있다. 그 외 각 부의 구성은 도시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한 「과채 등」의 문언은 딸기 등의 과채류나 시금치 등의 엽채류 등을 넓게 포함한 개념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1 이동 재배 장치 10 재배 벤치
19 접촉 프레임 20A, 20B 안내 장치
21A, 21B 인입 장치 23 스토퍼 부재
40A, 40B 반송 컨베이어 45A, 45B 반송 모터
51 결합 클로체 52 승강 전자 솔레노이드
53 에어실린더 70 공기압 회로
71 컴프레서

Claims (7)

  1. 과채 등을 재배하는 복수의 재배 벤치를 순환 반송하는 폐쇄 루프 형상의 이동 재배 장치로서,
    반송 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하여 평행 상태로 늘어선 한 쌍의 반송 컨베이어와, 상기 한 쪽의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하류측으로부터 상기 다른 쪽의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상류측으로 상기 각 재배 벤치를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 장치와, 상기 각 반송 컨베이어 상의 상기 재배 벤치를 반송 하류측의 상기 안내 장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한 쌍의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각 구동 장치에 의한 상기 재배 벤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각 안내 장치 상에 있는 복수의 상기 재배 벤치를 빌리어드 형상으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재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재배 벤치는 상기 각 안내 장치 상에서의 반송방향 전후 중 어느 한쪽의 재배 벤치에 접촉하는 접촉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 프레임과 상기 한 쪽의 상기 재배 벤치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각 안내 장치 상에 있는 복수의 상기 재배 벤치를 빌리어드 형상으로 반송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재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 프레임은 상기 각 안내 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늘어선 상기 재배 벤치군의 배치 간격을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재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안내 장치 상에서의 상기 재배 벤치군의 배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접촉 프레임을 교체 또는 길이 조절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재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상류측에 한 쪽의 상기 안내 장치의 최하류측으로부터 주고받는 재배 벤치의 빌리어드 반송을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한 상기 재배 벤치의 이동을 상기 스토퍼 부재에 의해 안내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재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 장치는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안내 장치의 반송 상류측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재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 장치는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 상의 상기 재배 벤치에 아래쪽부터 착탈가능한 결합 클로체와, 상기 결합 클로체를 상기 재배 벤치에 착탈시키는 착탈용 액츄에이터와, 상기 결합 클로체를 상기 반송 하류측의 안내 장치를 따라 왕복동시키는 왕복용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착탈용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결합 클로체를 상기 재배 벤치에 결합시킨 후 상기 왕복용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결합 클로체를 상기 반송 하류측의 안내 장치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재배 장치.
KR1020130094091A 2012-08-10 2013-08-08 이동 재배 장치 KR201400207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78797 2012-08-10
JP2012178796A JP2014036577A (ja) 2012-08-10 2012-08-10 移動栽培装置
JP2012178797A JP6038535B2 (ja) 2012-08-10 2012-08-10 移動栽培装置
JPJP-P-2012-178796 2012-08-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784A true KR20140020784A (ko) 2014-02-19

Family

ID=50267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091A KR20140020784A (ko) 2012-08-10 2013-08-08 이동 재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07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8535B2 (ja) 移動栽培装置
JP2013090614A (ja) 移動栽培装置
US20180192578A1 (en) Transplanting Device and Transplanting Method
JP7473542B2 (ja) 環境制御農業システム用の栽培タワー処理
US202000154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Cleaning, and Transplanting Growing Towers
JP2014231436A (ja) 保管物品を保管する保管棚システム
JP2015173611A (ja) 高設式栽培用作業装置
KR101514400B1 (ko) 행거식 순환형 딸기 재배시스템
JP6275663B2 (ja) 移動栽培装置
KR20140020784A (ko) 이동 재배 장치
KR20220007612A (ko) 재배 타워 정렬 장치
JP2016054689A (ja) 移動栽培装置
JP6109724B2 (ja) 高設式栽培用作業装置
JP6275604B2 (ja) 移動栽培装置
JP2015029485A (ja) 移動栽培装置
JP2014036577A (ja) 移動栽培装置
JP6216270B2 (ja) 移動栽培装置
JP2015112091A (ja) 作業用搬送台車
JP2015029486A (ja) 移動栽培装置
JP2015029487A (ja) 移動栽培装置
JP2015029488A (ja) 移動栽培装置
JP2015089354A (ja) 移動栽培装置
JP2006248748A (ja) 搬送装置の搬送物分配構造
JP2015130843A (ja) 移動栽培装置
CN115474542B (zh) 一种水培自动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