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0048A -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0048A
KR20140020048A KR1020120086417A KR20120086417A KR20140020048A KR 20140020048 A KR20140020048 A KR 20140020048A KR 1020120086417 A KR1020120086417 A KR 1020120086417A KR 20120086417 A KR20120086417 A KR 20120086417A KR 20140020048 A KR20140020048 A KR 20140020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tube
steering column
diameter
pair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명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20086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0048A/ko
Publication of KR20140020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0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20Connecting steering column to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 B62D7/224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acting between the steering wheel and the steering gear, e.g. on the steering colum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조향 칼럼(1)을 구성하는 두 개의 컬럼 튜브(10) 중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일측에 일정 길이 영역의 직경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직경 가변 절개홈(110)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외측 튜브(100)와, 상기 외측 튜브(100)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측 튜브(100)의 내부에 끼워져 연결되는 내측 튜브(200)와, 상기 외측 튜브(100)에 설치되어, 상기 직경 가변 절개홈(110)의 간극(E)을 조절하여 상기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하는 마찰 조절 기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마찰 조절 기구(300)의 조임 토크의 조절을 통해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함으로써, 차종 및 차량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최적의 충돌성능 특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APPARATUS FOR ABSORBING IMPACT TO STEERING COLUMN}
본 발명은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향 칼럼에 가해진 충격을 적절히 흡수해서 운전자의 상해를 줄여줄 수 있는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조향 장치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해 조향을 하는 장치로서, 운전자가 차량의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해 직접 조향 조작을 하는 조향휠과 이 조향휠에 일체로 회전되게 연결되어 상기 조향휠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향축 및 이 조향축을 차체에 장착시키기 위한 조향 컬럼 등으로 구성된 조작기구와, 상기 조향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조작력을 크게함과 동시에 조작기구의 운동방향을 바꾸어 링크기구에 전달하는 기어장치나 혹은 유압으로 작동되어 운전자의 조향휠의 조작력을 보조해주는 동력실린더 및, 이 기어장치나 동력실린더의 작동을 앞바퀴에 전달하고 또 좌우 바퀴의 관계 위치를 바르게 지지하기 위해 피트먼 아암과 드래그 아암, 너클 아암 및 타이 로드 등으로 구성된 링크기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조향 장치를 장착한 차량에 충돌이나 혹은 추돌 사고가 발생하면,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휠에 직접 부딪쳐서 심각한 상해를 입게 되는데, 이러한 운전자의 상해를 줄여주기 위해 예컨대 조향축이나 조향 컬럼에 설치되는 여러 가지의완충장치나 완충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조향 장치에는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보다 편리한 조향휠의 조작환경을 마련해 주기 위해 조향축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틸트 기능이나, 혹은 조향휠을 운전자의 신체쪽으로 가까이 당기거나 멀어지도록 아래로 밀어줄 수 있는 신축(telescopic)기능 등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틸트 기능만을 구비한 조향 장치에 있어서는 조향 컬럼을 차체에 장착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소정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차체로부터 이탈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캡슐이나, 내측 튜브가 끼워지는 외측 튜브의 소정 부위를 따내어서 내측 튜브와 밀착되게 접어 넣음으로써 튜브간의 상대이동시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충격을 흡수하는 압입 마찰구조, 혹은 조향축에 설치되어 조향축이 충격을 받아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파단 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몰딩핀과 같은 완충장치나 완충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그리고, 틸트 기능과 신축 기능을 동시에 구비한 조향 장치에 있어서는 상부 조향축과 하부 조향축간의 상대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야 하므로 상기와 같은 몰딩핀을 사용할 수 없고, 내측 튜브가 끼워지는 외측 튜브의 소정 부위에 튜브의 축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절개홈을 만들어서 내측 튜브를 끼운 다음에 고정 레버로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간의 축방향 상대이동을 제어하여 신축기능을 구현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러한 구조에서는 충격흡수장치를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상기 내측 튜브에 충격이 가해지면 내측 튜브가 외측 튜브에 밀착된 상태에서 외측 튜브의 축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과정에 마찰 저항력을 발생시켜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충격흡수구조에서는 단지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 사이의 미리 정해진 마찰력만을 이용하여 충돌하중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차종 및 차량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충돌하중에 대응될 수 있는 최적의 마찰력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 사이의 마찰력 조절이 불가하여 차종 및 차량의 특성에 따른 최적의 충돌성능 특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마찰 조절 기구의 조임 토크 조절을 통해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함으로써, 차종 및 차량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최적의 충돌성능 특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는 차량용 조향 칼럼을 구성하는 두 개의 컬럼 튜브 중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일측에 일정 길이 영역의 직경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직경 가변 절개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외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측 튜브의 내부에 끼워져 연결되는 내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에 설치되어, 상기 직경 가변 절개홈의 간극을 조절하여 상기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하는 마찰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찰 조절 기구는 상기 직경 가변 절개홈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위치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부재와, 이 한 쌍의 베이스 부재에 관통 결합되어 조임 토크의 변화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직경 가변 절개홈의 간극을 조절하는 조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부재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 부재는 상기 결합 홀에 나사 결합되는 단일의 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임 부재는 조임 볼트와, 이 조임 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조임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경 가변 절개홈은 상기 외측 튜브의 직경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마찰 조절기구는 상기 한 쌍의 직경 가변 절개홈에 대응하여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에 따르면, 마찰 조절 기구의 조임 토크 조절을 통해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함으로써, 차종 및 차량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최적의 충돌성능 특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가 설치되는 차량용 조향 칼럼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칼럼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칼럼에 적용된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칼럼에 적용된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경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칼럼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칼럼에 적용된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칼럼에 적용된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경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가 설치되는 차량용 조향 칼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칼럼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칼럼에 적용된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칼럼에 적용된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경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칼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칼럼에 적용된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칼럼에 적용된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경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는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와, 마찰 조절 기구(300)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는 차량용 조향 칼럼(1)을 구성하는 두 개의 컬럼 튜브(10)이며, 이중 상기 외측 튜브(100)는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일측에 일정 길이 영역(L)의 직경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직경 가변 절개홈(110)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내측 튜브(200)는 상기 외측 튜브(100)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측 튜브(100)의 내부에 끼워져 연결된다.
상기 마찰 조절 기구(300)는 상기 직경 가변 절개홈(110)의 간극(E)을 조절하여 상기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외측 튜브(100)에 설치되며, 이러한 상기 마찰 조절 기구(300)는 상기 직경 가변 절개홈(110)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위치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부재(310)와, 이 한 쌍의 베이스 부재(310)에 관통 결합되어 조임 토크의 변화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부재(3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직경 가변 절개홈(110)의 간극(E)을 조절하는 조임 부재(320)를 포함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부재(310)와 상기 조임 부재(320)는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부재(310)에는 나사산(311a)이 형성된 결합 홀(311)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 부재(320)는 상기 결합 홀(311)에 나사 결합되는 단일의 볼트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직경 가변 절개홈(110)은 상기 외측 튜브(100)의 직경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마찰 조절기구(300)는 상기 한 쌍의 직경 가변 절개홈(110)에 대응하여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직경 가변 절개홈(110) 및 마찰 조절기구(300)가 외측 튜브(100)의 직경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경우 하나만 설치되는 경우와 대비할 때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 사이의 마찰력이 더욱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에 적용된 마찰 조절 기구(300)를 구성하는 상기 베이스 부재(310)와 조임 부재(320)가 상호 작용함에 따라 상기 직경 가변 절개홈(110)의 간극(E)이 조절되고, 이를 통해 상기 외측 튜브(100)의 직경이 가변되면서 상기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 사이의 마찰력이 원하는 정도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에 적용된 마찰 조절 기구(300)를 통해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 사이의 마찰력이 조절되는 작동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칼럼에 적용된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일의 볼트로 구성된 조임 부재(320)를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임 부재(320)의 조임 토크를 증가시키면 마주 보는 한 쌍의 베이스 부재(310)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지면서 직경 가변 절개홈(110)의 간극(E)이 점점 작아지게 된다. 그러면 외측 튜브(100)의 내면(100a)과 내측 튜브(200)의 외면(200a)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한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칼럼에 적용된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단일의 볼트로 구성된 조임 부재(320)를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임 부재(320)의 조임 토크를 감소시키면 마주 보는 한 쌍의 베이스 부재(310)의 거리가 점점 멀어지면서 직경 가변 절개홈(110)의 간극(E)이 점점 커지게 된다. 그러면 외측 튜브(100)의 내면(100a)과 내측 튜브(200)의 외면(200a)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한다.
한편, 위와 같이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켰거나 감소시킨 경우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 축 방향으로 충격 하중(P)이 작용한다면, 마찰력을 감소시킨 경우가 마찰력을 증가시킨 경우 대비 내측 튜브(200)가 외측 튜브(100)의 내부로 더 많이 이동하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칼럼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칼럼은 전체적인 큰 구성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와, 마찰 조절 기구(30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칼럼의 경우 상기 마찰 조절 기구(300)의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위와 같은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공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칼럼에 적용된 마찰 조절 기구(300)는 외측 튜브(100)에 형성된 직경 가변 절개홈(110)의 간극(E)을 조절하여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외측 튜브(100)에 설치되며, 이러한 상기 마찰 조절 기구(300)는 상기 직경 가변 절개홈(110)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위치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부재(310)와, 이 한 쌍의 베이스 부재(310)에 관통 결합되어 조임 토크의 변화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부재(3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직경 가변 절개홈(110)의 간극(E)을 조절하는 조임 부재(320)를 포함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조임 부재(320)는 조임 볼트(321)와, 이 조임 볼트(321)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 너트(3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부재(310)에는 상기 조임 볼트(321)가 삽입되는 삽입 홀(312)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조임 볼트(321)와 조임 너트(322) 사이의 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직경 가변 절개홈(110)의 간극(E)이 조절되고, 이를 통해 상기 외측 튜브(100)의 직경이 가변되면서 상기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 사이의 마찰력이 원하는 정도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에 적용된 마찰 조절 기구(300)를 통해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 사이의 마찰력이 조절되는 작동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칼럼에 적용된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임 볼트(321)를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임 볼트(321)의 조임 토크를 증가시키면 조임 볼트(321)와 조임 너트(322) 사이의 결합 정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마주 보는 한 쌍의 베이스 부재(310)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지면서 직경 가변 절개홈(110)의 간극(E)이 점점 작아지게 된다. 그러면 외측 튜브(100)의 내면(100a)과 내측 튜브(200)의 외면(200a)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한다.
반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칼럼에 적용된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조임 볼트(321)를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임 볼트(321)의 조임 토크를 감소시키면 조임 볼트(321)와 조임 너트(322) 사이의 결합 정도가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마주 보는 한 쌍의 베이스 부재(310)의 거리가 점점 멀어지면서 직경 가변 절개홈(110)의 간극(E)이 점점 커지게 된다. 그러면 외측 튜브(100)의 내면(100a)과 내측 튜브(200)의 외면(200a)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한다.
한편, 위와 같이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켰거나 감소시킨 경우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 축 방향으로 충격 하중(P)이 작용한다면, 마찰력을 감소시킨 경우가 마찰력을 증가시킨 경우 대비 내측 튜브(200)가 외측 튜브(100)의 내부로 더 많이 이동하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에 따르면, 마찰 조절 기구의 조임 토크 조절을 통해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함으로써, 차종 및 차량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최적의 충돌성능 특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00 : 외측 튜브 110 : 직경 가변 절개홈
200 : 내측 튜브 300 : 마찰 조절 기구
310 : 베이스 부재 320 : 조임 부재
321 : 조임 볼트 322 : 조임 너트

Claims (5)

  1. 차량용 조향 칼럼(1)을 구성하는 두 개의 컬럼 튜브(10) 중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일측에 일정 길이 영역(L)의 직경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직경 가변 절개홈(110)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외측 튜브(100);
    상기 외측 튜브(100)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측 튜브(100)의 내부에 끼워져 연결되는 내측 튜브(200); 및
    상기 외측 튜브(100)에 설치되어, 상기 직경 가변 절개홈(110)의 간극(E)을 조절하여 상기 외측 튜브(100)와 내측 튜브(200)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하는 마찰 조절 기구(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찰 조절 기구(300)는 상기 직경 가변 절개홈(110)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위치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부재(310)와, 이 한 쌍의 베이스 부재(310)에 관통 결합되어 조임 토크의 변화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부재(3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직경 가변 절개홈(110)의 간극(E)을 조절하는 조임 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부재(310)에는 나사산(311a)이 형성된 결합 홀(311)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 부재(320)는 상기 결합 홀(311)에 나사 결합되는 단일의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임 부재(320)는 조임 볼트(321)와, 이 조임 볼트(321)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 너트(322)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부재(310)에는 상기 조임 볼트(321)가 삽입되는 삽입 홀(3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 가변 절개홈(110)은 상기 외측 튜브(100)의 직경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마찰 조절기구(300)는 상기 한 쌍의 직경 가변 절개홈(110)에 대응하여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
KR1020120086417A 2012-08-07 2012-08-07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 KR201400200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417A KR20140020048A (ko) 2012-08-07 2012-08-07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417A KR20140020048A (ko) 2012-08-07 2012-08-07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048A true KR20140020048A (ko) 2014-02-18

Family

ID=50267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417A KR20140020048A (ko) 2012-08-07 2012-08-07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00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3799B2 (en) Steering column for vehicle
JP5765439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WO2012173143A1 (ja) ステアリング装置
WO2013047048A1 (ja) テレスコピックステアリング装置
CN108528518B (zh) 转向装置
CN105835940A (zh) 转向管柱及汽车转向系统
JP2018144801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891876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WO2016114366A1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40020048A (ko) 조향 칼럼의 완충 장치
MX2012014960A (es) Estabilizador de longitud variable para vehiculo, y vehiculo con el estabilizador de longitud variable.
KR20080024677A (ko) 자동차용 틸트 및 텔레스코픽 혼합식 스티어링 컬럼
CN203186401U (zh) 一种转向管柱安装结构及汽车
KR101991752B1 (ko) 차량용 충격흡수식 스티어링 컬럼
JP5867320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位置調節装置
KR100610104B1 (ko) 조향 칼럼의 완충장치
JP5867321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位置調節装置
JP6313996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3035486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CN202529024U (zh) 吸能转向管柱总成
KR20070030526A (ko) 자동차의 유압 파워 스티어링장치
KR100559904B1 (ko) 조향축의 완충구조
KR100738386B1 (ko) 가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를 구비한 슬립조인트
KR100610103B1 (ko) 조향축의 완충장치
CN203186400U (zh) 一种转向管柱安装结构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