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868A - 시트 물품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물품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9868A
KR20140019868A KR1020147000594A KR20147000594A KR20140019868A KR 20140019868 A KR20140019868 A KR 20140019868A KR 1020147000594 A KR1020147000594 A KR 1020147000594A KR 20147000594 A KR20147000594 A KR 20147000594A KR 20140019868 A KR20140019868 A KR 20140019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heet member
particles
conveying roller
cylind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주야 마루하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19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8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17Making absorbent pads from fibres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the fibres
    • A61F13/15658Forming continuous, e.g. composite, fibrous webs, e.g.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pulverulent material on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64Transferring, feeding or handling devices;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804Plant, e.g. involving several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08Details thereof, e.g. surfa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13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1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supplied from inside the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1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only at particular parts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9/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s to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9/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s to surfaces
    • B05C19/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s to surfaces the particulate material being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to the surfac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9/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s to surfaces
    • B05C19/06Storage, supply or control of the application of particulate material; Recovery of excess particulat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고흡수성 수지의 입자들로 충진된 오목부들이 원주 방향으로 실린더부의 측부 표면 상에 배열된다. 각 오목부가 최하측부를 중심으로 지날 때, 입자들은 배출된다. 제 1 롤러는 제 1 시트 부재를 운반하여 제 1 시트 부재는 상기 최하측부 근처를 지난다. 제 2 롤러는 상기 최하측부에서 실린더부의 측부 표면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상기 최하측부 전측에 위치되고, 상기 최하측부의 부근으로 제 2 시트 부재를 운반하여 입자들과 함께 공급되어 온 제 1 시트 부재 상에서 제 2 시트 부재를 위치시킨다. 제 2 롤러에서, 환형 그루브들이 측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롤러 상에서 제 2 시트 부재와 충돌하는 입자들에 대한 충격이 흡수되고, 입자들의 스캐터링이 감소된다.

Description

시트 물품 제조 장치{SHEET ARTICL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을 위한 시트 물품을 제조하는 시트 물품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시트들은 종래에는 고흡수성 수지의 입자들을 갖는 시트 부재를 공급하고 상기 시트 부재 상에 다른 시트 부재를 위치시킴으로써 상호 간에 접합(bond)하여 제조된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5-59579호(문헌 1)의 장치에서, 상호 간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임시 수용 롤러(receiving roller) 및 이송 롤러가 제공된다. 임시 수용 롤러에서, 일정한 피치로 롤러 표면 상에 배열된 오목 그루브들의 열이 형성된다. 각 오목 그루브는 고흡수성 수지 입자들을 수용하고 층의 형태로 홀딩한다. 입자들은 이송 롤러의 롤러 표면 상에 홀딩된 베이스 시트 위에서 우측 위치로 이동되고, 입자들은 핫 멜트 접착제가 도포되는 베이스 시트의 상면 표면으로 이송된다. 게다가, 문헌 1의 장치는 압력 접합에 의해 베이스 시트 상에 커버 시트를 접합하기 위한 압력 롤러를 구비한다. 고흡수성 수지 입자층이 이송되어 온 베이스 시트가 임시 수용 롤러와 이송 롤러 사이의 갭을 통해 들어온 이후에 즉시, 베이스 시트는 커버 시트로 덮인다.
그런데, 문헌 1의 장치와 같은 경우에, 고흡수성 수지의 입자들로 각각 충진된 복수 개의 오목부들은 원주 방향으로 실린더부의 외부측 표면 상에 배열되고, 실린더부는 입자들을 제 1 시트 부재로 연속하여 배출하도록 회전된다. 상기의 경우에, 제 1 시트 부재의 각 부분이 입자들과 함께 공급된 이후에 즉시, 제 2 시트 부재는 시트 부재들 사이에 입자들을 홀딩하도록 부분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제 2 시트 부재를 운반하기 위한 시트 운반 롤러는 입자 공급 위치의 부근에 위치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실린더부로부터 배출된 입자들의 일부는 제 2 시트 부재를 통해 시트 운반 롤러의 외부측 표면과 충돌하고, 결과적으로, 일부 입자들은 주위에 스캐터링되고(scattered) 폐기된다. 따라서, 입자들의 스캐터링(scattering)을 감소시키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을 위한 시트 물품을 제조하는 시트 물품 제조 장치를 위하여 의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 부재를 향하여 배출된 입자들의 스캐터링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물품 제조 장치는: 수평 방향을 따라 회전축 주위에서 일반적으로 실린더형인 외부측 표면을 갖는 실린더부 - 여기서, 흡수성 재료 또는 탈취재의 입자들로 각각 충진되는 복수 개의 홀들은 회전축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외부측 표면에 배열되고, 외부측 표면은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축 주위에서 회전되며, 실린더부는 복수 개의 홀들의 각각이 배출 시작 위치를 지날 때 배출 시작 위치에서 거의 외부측 표면의 접선을 따라 입자들을 배출시키고, 배출 시작 위치는 회전축에 직교하는 외부측 표면의 단면에서 최하측부의 부근에서 설정된다 - ; 실린더부의 최하측부 근처에 위치되고, 회전축에 평행한 제 1 중심축 주위에서 일반적으로 실린더형인 외부측 표면을 갖는 제 1 시트 운반 롤러 - 여기서, 외부측 표면은 연속 시트인 외부측 표면을 따라 제 1 시트 부재를 운반하여 제 1 시트 부재가 실린더부의 최하측부의 부근을 지나는 것을 야기하도록 실린더부의 회전 방향에 반대하는 회전 방향으로 제 1 중심축 주위에서 회전된다 - ; 최하측부에서 외부측 표면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실린더부의 최하측부 전측에 위치되고, 입자들과 함께 공급된 제 1 시트 부재 상에 제 2 시트 부재를 위치시키도록 최하측부의 부근으로 외부측 표면을 따라 제 2 시트 부재를 운반하는, 회전축에 평행한 제 2 중심축 주위에서 일반적으로 실린더형인 외부측 표면을 갖는 제 2 시트 운반 롤러 - 제 2 시트 부재는 연속 시트이다 - ; 및 제 1 시트 부재 상에 제 2 시트 부재를 접합하는 시트 접합부를 포함하되, 제 2 시트 운반 롤러는 외부측 표면 상에 그루브 또는 흡수체를 갖고, 그루브는 제 2 중심축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외부측 표면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며 실린더부의 홀들을 향하고, 흡수체는 외부측 표면 상에서 제 2 시트 부재와 충돌하는 입자들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 2 시트 운반 롤러 상에서 제 2 시트 부재와 충돌하는 입자들에 대한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입자들의 스캐터링을 감소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라, 제 2 시트 운반 롤러는 상기 그루브로서 환형 그루브를 갖고, 환형 그루브는 제 2 중심축 주위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외부측 표면 상에 형성된다. 이런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홀들은 회전축에 평행한 축 방향으로 복수 개의 위치들의 각각에 대하여 실린더부의 외부측 표면 상에 형성되고, 환형 그루브는 축 방향으로 복수 개의 위치들의 각각에 대하여 제 2 시트 운반 롤러의 외부측 표면 상에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시트 물품 제조 장치는 제 1 시트 부재 상에 위치한 복수 개의 스트립 모양 영역들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부를 더 포함하되, 복수 개의 스트립 모양 영역들은 축 방향으로 복수 개의 위치들에 상응한다. 결과적으로, 입자들은 흡수성 물품을 위한 시트 물품의 복수 개의 스트립 모양 영역들 상에 정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런 및 다른 목적, 특징, 양상, 장점은 첨부한 도면들과 함께 취해질 때 본 발명의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린더부의 외부측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제 1 시트 운반 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실린더부의 최하측부의 부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 2 시트 운반 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접합 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실린더부의 최하측부의 부근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8은 흡수성 시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의 비교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린더부의 최하측부의 부근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2는 입자 공급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린더부의 외부측 표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 2 시트 운반 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른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1)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1)는 흡수성 물품을 위한 시트 물품을 제조하는 하나의 시트 물품 제조 장치이고, 부직포 직물 등으로 형성된 시트 부재들 사이에 고흡수성 수지, 예컨대 SAP(초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들을 개재함으로써 흡수성 시트들을 제조한다. 흡수성 시트는 흡수성 물품 예컨대 가벼운 실금(incontinence)을 위한 흡수성 패드 또는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는 시트 물품이다.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1)는 수평 방향을 따라 소정의 축 방향(도 1에서 Y 방향)에 평행한 회전축(R1)(에 위치한 중심에 따른) 주위에서 일반적으로 원기둥 형상(columnar shape)을 갖는 실린더부(21), 축 방향에 평행한 제 1 중심축(J1) 주위에서 일반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갖는 제 1 시트 운반 롤러(31), 축 방향에 평행한 제 2 중심축(J2) 주위에서 일반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갖는 제 2 시트 운반 롤러(41), 및 축 방향에 평행한 제 3 중심축(J3) 주위에서 일반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갖는 접합 롤러(bonding roller)(51)를 갖는다. 도 1에서, 축 방향에 직교하는 다른 수평 방향은 X 방향으로서 도시되고, X 방향 및 Y 방향에 직교하는 수직 방향(즉, 중력 방향)은 Z 방향으로서 도시된다.
실린더부(21), 제 2 시트 운반 롤러(41) 및 접합 롤러(51)는 도 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1 시트 운반 롤러(31)는 도 1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 1 시트 운반 롤러(31)는 실린더부(21)의 아래((-Z) 측 상)에 위치되고, 제 1 시트 부재(91)가 실린더부(21)의 최하측부(즉, (-Z) 측에서 최외측부) 아래를 지나는 것을 야기하도록 부직포 직물 등으로 형성된 제 1 시트 부재(91)를 운반한다. 제 2 시트 운반 롤러(41)는 제 1 시트 운반 롤러(31) 및 실린더부(21)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실린더부(21)의 최하측부의 부근에 위치된다. 제 2 시트 운반 롤러(41)는 실린더부(21)의 최하측부의 부근으로 부직포 직물 등으로 형성된 제 2 시트 부재(92)를 운반한다. 접합 롤러(51)는 제 1 시트 운반 롤러(31) 옆에 제공된다.
실린더부(21)는 회전축(R1) 주위에서 일반적으로 실린더형 표면인 외부측 표면(211)을 갖는다. 외부측 표면(211)의 부분을 덮는 제 1 커버부(221) 및 외부측 표면(211)의 다른 부분을 덮는 제 2 커버부(222)는 실린더부(21) 주위에 제공된다. 도 1에서, 실린더부(21), 제 1 커버부(221), 제 2 커버부(222) 및 이후에 언급될 입자 충진부(23)는 회전축(R1)에 직교하는 단면으로서 도시된다.
도 2는 실린더부(21)의 외부측 표면(211)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에서, 회전축(R1)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관찰된 실린더부(21)의 외부측 표면(211)의 외관이 도시된다. 도 2에서, 제 1 및 제 2 커버부들(221, 222)은 생략된다. 복수 개의 오목부(212)들은 축 방향으로 복수 개의 위치들의 각각에 대하여 회전축(R1) 주위에서 원주 방향(circumferential direction)으로 실린더부(21)의 외부측 표면(211) 상(안)에 배열된다. 축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오목부(212)들이 오목부 열(concave portion row)(213)로 불릴 때, 3개의 오목부 열(213)들은 도 2에 도시된 실린더부(21)에 형성된다. 도 2에서, 홀인 오목부(212) 각각의 개구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지만, 애퍼쳐(aperture)는 다양한 형상(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흡수성 수지의 입자들을 저장하는 입자 충진부(23)는 실린더부(21) 위에 제공되고, 입자 충진부(23)는 입자들로 실린더부(21)의 복수 개의 오목부(212)들을 충진한다. 입자 충진부(23)는 입자들을 저장하는 입자 탱크(231)를 갖고, 실린더부(21)의 외부측 표면(211)을 향하는 입자 충진 개구(232)는 입자 탱크(231) 아래에 제공된다. 미도시된 레벨 센서(level sensor)는 입자 탱크(231)에 제공되고, 이에 따라 입자들은 입자 탱크(231)에 저장된 입자들의 양이 특정 레벨 이하가 될 때 입자 탱크(231) 안으로 보충된다.
실린더부(21)의 외부측 표면(211)은 미도시된 모터(motor)에 의해 도 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축(R1) 주위에서 회전되고, 입자들은 중력에 의해, 입자 충진 개구(232)를 지나면서 오목부(212) 각각 안에 충진된다. 제 1 커버부(221)는 실린더부(21)의 회전 방향으로 전면측(하류측)을 향하여 입자 충진부(23)부터 펼쳐진다. 오목부(212) 각각은 실린더부(21)의 최하측부의 부근에 도달할 때까지 입자 충진부(23)를 지난 후에 제 1 커버부(221)로 폐쇄(차단)된다. 오목부(212) 각각이 제 1 커버부(221)의 팁(즉, 실린더부(21)의 최하측부의 부근에서 일 종단)을 지날 때, 오목부(212)에서 입자들이 배출된다. 이후에 설명될 바와 같이, 오목부(212)로부터 배출된 입자들은 제 1 시트 부재(91)에 홀딩된다(held). 하기의 설명에서, 회전축(R1)에 직교하는 외부측 표면(211)의 단면에서 제 1 커버부(221)의 팁의 위치는 "배출 시작 위치(ejection start position)"로 불린다. 실린더부(21)로부터 입자들의 배출의 세부 사항은 이후에 논의될 것이다.
제 2 커버부(222)는 실린더부(21)의 회전 방향으로 후면측(상류측)을 향하여 입자 충진부(23)부터 펼쳐진다. 입자들을 배출하여 온 오목부(212) 각각은 입자 충진부(23)에 도달하기 이전에 즉시 제 2 커버부(222)로 폐쇄된다.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1)에서, 실린더부(21), 제 1 커버부(221), 제 2 커버부(222) 및 입자 충진부(23)는 제 1 시트 부재(91)로 고흡수성 수지의 입자들을 공급하는 입자 공급부(2)를 구성한다.
도 3은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단면도이고,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제 1 중심축(J1) 및 도 1에서의 실린더부(21)의 회전축(R1)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 취해진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제 1 시트 운반 롤러(31)는 실린더부(21)의 최하측부의 부근에 위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시트 운반 롤러(31)는 제 1 중심축(J1) 주위에서 일반적으로 실린더형 표면인 외부측 표면(311)을 갖고, 제 1 중심축(J1) 주위에서 원주 방향을 따른 환형 그루브(annular groove)(312)는 축 방향으로 복수 개의 위치들의 각각에 대하여 외부측 표면(311) 상(안)에 형성된다. 복수 개의 환형 그루브(312)들은 각각, 실린더부(21)의 복수 개의 오목부 열(213)들을 향한다(즉, 환형 그루브(312)들은 오목부 열(213)들의 위치와 축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된다). 환형 컷아웃부(annular cutout portion)(313)들은 도 3에서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외부측 표면(311) 상에서 축 방향으로 양 종단부들에 형성된다. 컷아웃부(313)들은 반드시 제공되지 않는다.
도 4는 도 1에서 실린더부(21)의 최하측부의 부근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4에서, 실린더부(21), 제 1 시트 운반 롤러(31) 및 접합 롤러(51)의 회전 방향은 참조 표시(B1)에 의해 나타난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다(동일한 것이 이후에 언급된 도 10에 적용된다).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외부측 표면(311)은 실린더부(21)의 외부측 표면(211)으로부터 약간 이격되고, 외부측 표면(311)은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21)의 회전 방향에 반대하는 회전 방향(도 4에서 시계 방향)으로 제 1 중심축(J1) 주위에서 회전된다. 연속 시트인 제 1 시트 부재(91)는 복수 개의 보조 롤러(32)들을 통해 제 1 시트 운반 롤러(31)로 안내되어(도 1을 참조),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외부측 표면(311)을 따라 연속적으로 운반된다. 동시에, 제 1 시트 부재(91)는 실린더부(21)의 최하측부의 부근을 지나고, 실린더부(21)로부터 배출된 입자들은 하나의 주 표면(main surface) 상에 홀딩된다. 실린더부(21)의 최하측부에서 외부측 표면(211)의 이동 속도는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최상측부에서 외부측 표면(311)의 이동 속도와 상이하다(또는 동일할 수 있다).
도 5는 제 2 시트 운반 롤러(41)의 단면도이고, 도 4에서 제 2 시트 운반 롤러(41)의 제 2 중심축(J2)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 취해진 제 2 시트 운반 롤러(41)의 단면을 도시한다. 최하측부에서 실린더부(21)의 외부측 표면(211)의 이동 방향(도 1에서 X 방향)에 대하여, 도 4에 도시된 제 2 시트 운반 롤러(41)는 최하측부 전측에 위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시트 운반 롤러(41)는 제 2 중심축(J2) 주위에서 일반적으로 실린더형 표면인 외부측 표면(411)을 갖고, 제 2 중심축(J2) 주위에서 원주 방향을 따른 환형 그루브(412)는 축 방향으로 복수 개의 위치들의 각각에 대하여 외부측 표면(411) 상에 형성된다. 복수 개의 환형 그루브(412)들은 각각,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복수 개의 환형 그루브(312)들 및)실린더부(21)의 복수 개의 오목부 열(213)들을 향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도 4에서 제 2 시트 운반 롤러(41)의 직경이 제 1 시트 운반 롤러(31) 및 실린더부(21)의 직경에 비해서 현저하게 작기에, 제 2 시트 운반 롤러(41)는 실린더부(21)의 최하측부의 부근에 손쉽게 위치된다. 게다가, 제 2 시트 운반 롤러(41)의 외부측 표면(411)은 도 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제 2 중심축(J2) 주위에서 회전된다. 연속 시트인 제 2 시트 부재(92)는 복수 개의 보조 롤러(42)들을 통해 제 2 시트 운반 롤러(41)로 안내되어(도 1을 참조), 제 2 시트 운반 롤러(41)의 외부측 표면(411)을 따라 연속적으로 운반된다. 이어서, 제 2 시트 부재(92)는 실린더부(21)의 최하측부 아래를 지나온 제 1 시트 부재(91) 상에 위치(적층)된다. 제 2 시트 운반 롤러(41)는 도 4에서 2점 쇄선에 의해 도시된 전진/후진 이동 메커니즘(43)에 의해 실린더부(21)의 (+X)측 상의 위치와 도 4에 도시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 6은 접합 롤러(51)의 단면도이고 도 4에서 접합 롤러(51)의 제 3 중심축(J3)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 취해진 접합 롤러(51)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롤러(51)는 제 3 중심축(J3) 주위에서 실린더형 표면인 외부측 표면(511)을 갖고, 외부측 표면(511)은 매끄러운 표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간에 덮어씌워진 제 1 시트 부재(91) 및 제 2 시트 부재(92)는 접합 롤러(51)의 외부측 표면(511)과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외부측 표면(311) 사이에 위치(개재)된다. 접합 롤러(51) 및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모두(또는 이들 중 하나)는 히터(heater)들을 구비하고,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외부측 표면(311)과 접촉하는 제 1 시트 부재(91) 및 제 2 시트 부재(92)의 영역들(즉, 컷아웃부(313)들 및 환형 그루브(312)들을 제외한 외부측 표면의 부분들)은 상호 간에 가열 밀봉되어, 제 1 시트 부재(91) 및 제 2 시트 부재(92)는 상호 간에 접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1)는 접착제(본 구체예에서, 핫 멜트 접착제(hot melt adhesive))를 제 1 시트 부재(91)에 도포하는 제 1 도포부(applying part)(61) 및 동일한 접착제를 제 2 시트 부재(92)에 도포하는 제 2 도포부(62)를 더 갖는다. 제 1 도포부(61)는 제 1 시트 부재(91)의 운반 경로에서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상류에 위치된다. 제 1 도포부(61)에서, 접착제는 위치가 축 방향에 대하여 (복수 개의 환형 그루브(312)들 및) 복수 개의 오목부 열(213)들의 위치와 동일한 제 1 시트 부재(91) 상의 복수 개의 스트립(strip) 모양 영역들에만 도포된다. 제 2 도포부(62)는 제 2 시트 부재(92)의 운반 경로에서 제 2 시트 운반 롤러(41)의 상류에 위치된다. 제 2 도포부(62)에서, 접착제는 위치가 축 방향에 대하여 복수 개의 오목부 열(213)들의 위치와 동일한 제 2 시트 부재(92) 상의 복수 개의 스트립 모양 영역들에만 도포된다.
다음으로, 실린더부(21)로부터 입자들의 배출의 세부 사항이 논의될 것이다. 도 7은 도 4에서 실린더부(21)의 최하측부의 부근을 도시하는 추가적인 확대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방향에 직교하는 실린더부(21)의 외부측 표면(211)의 단면에서, 실린더부(21)의 최하측부의 부근에서 배출 시작 위치(P1)는 회전 방향으로 최하측부(의 상류) 후측에 위치한 위치에서 설정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21)는 고속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오목부(212)들의 각각이 배출 시작 위치(P1)를 지날 때(실제로, 통과하는 동안 및 통과 이후에 즉시), 입자들은 배출 시작 위치(P1)에서 거의 외부측 표면(211)의 접선을 따라 오목부(212)로부터 배출된다(접선은 참조 표시(L1)에 의해 나타난 2점 쇄선에 의해 도 7에서 도시된다). 다시 말해서, 실린더부(21)의 회전 속도, 오목부(212)의 형상 등은 입자들이 거의 접선(L1)을 따라 오목부(212)로부터 배출되도록 결정된다(예를 들어, 입자들은 접선(L1)에 대하여 (+15)도부터 (-15)도까지(바람직하게는, (+10)도부터 (-10)도까지) 각도 범위에 포함된 방향을 향하여 간다). 예를 들어, 접선(L1)의 방향으로 외부측 표면(211)의 이동 속도는 분당 200미터이다.
동시에, 접선(L1)은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외부측 표면(311)과 교차하고,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환형 그루브(312)들의 위치는 축 방향에 대하여 복수 개의 오목부 열(213)들의 위치와 동일하다(도 2를 참조). 따라서 각 오목부(212)로부터 배출된 대부분 입자들은 상응하는 환형 그루브(312)를 향하여 간다. 외부측 표면(311)과 접선(L1) 사이의 교차 지점에서, 제 1 시트 부재(91)는 외부측 표면(311)과 접촉한다.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에서, 외부측 표면(311)의 직경은 비교적 크고, 또한 제 1 시트 부재(91)는 특정한 장력으로 외부측 표면(311)을 따라 늘어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그루브(312)에 상응하는 제 1 시트 부재(91)의 각 부분(911)은 환형 그루브(312)의 바닥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이 된다. 다시 말해서, 환형 그루브(312)에 상응하는 그루브 부분(911)은 제 1 시트 부재(91)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환형 그루브(312)의 내부를 향하여 실린더부(21)의 오목부(212)로부터 배출된 입자들은 그루브 부분(911) 안에 수용(포획)된다. 동시에, 입자들이 그루브 부분(911)에서 제 1 시트 부재(91)로부터 바운싱(bounce)하더라도, 그루브 부분(911)의 외부로 입자들의 스캐터링(scattering)은 그루브(911)의 측벽들에 의해 억제(감소)된다. 게다가, 접착제가 위치가 축 방향에 대하여 복수 개의 환형 그루브(312)들의 위치와 동일한 제 1 시트 부재(91) 상의 복수 개의 스트립 모양 영역들에 도포되기에, 입자들은 그루브 부분(911)들에 손쉽게 포획된다.
일부 입자들은 도 7에 도시된 제 2 시트 운반 롤러(41)를 향하여 가도록 그루브 부분(911)에서 제 1 시트 부재(91)로부터 바운싱하고(사실상, 비행 속도는 제 1 시트 부재(91)에 의한 충격 흡수에 의해 감소된다), 나머지들은 실린더부(21)의 오목부(212)로부터 제 2 시트 운반 롤러(41)로 직접 간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제 2 시트 운반 롤러(41)에서, 위치가 축 방향에 대하여 복수 개의 오목부 열(213)들의 위치와 동일한 복수 개의 환형 그루브(412)들이 형성되고, 제 2 시트 운반 롤러(41)로 향하는 입자들은 환형 그루브(412)들 바로 위에 위치한 제 2 시트 부재들의 부분(즉, 후측 표면이 어떠한 물질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과 충돌하여, 충격이 흡수된다. 결과적으로, 일부 입자들은 제 1 시트 부재(91)의 그루브 부분(911) 안으로 낙하하여 그 안에서 수집되고, 나머지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제 2 시트 부재(92)의 표면에 부착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 시트 부재(91) 상의 부분들이 입자들과 함께 공급된 이후에 즉시, 제 2 시트 부재(92)는 실린더부(21)의 최하측부의 부근에서 제 2 시트 운반 롤러(41)에 의해 부분 상에 위치된다. 이어서, 제 1 시트 부재(91) 및 제 2 시트 부재(92)는 흡수성 시트(95)를 완성하도록, 시트 접합부인 도 4에서의 접합 롤러(51)에 의해 상호 간에 접합된다. 상기와 같이, 운반 및 접합부로서 기능하는, 제 2 시트 운반 롤러(41) 및 접합 롤러(51)는,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와 조화롭게 작동함으로써, 제 2 시트 부재(92)를 제 1 시트 부재(91) 상에 위치시키고 접합한다.
도 8은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1)에 의해 제조된 흡수성 시트(95)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흡수성 시트(95)에서, 복수 개의 입자 존재 영역(951)들 및 복수 개의 입자 부존재 영역(952)들은 폭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다. 복수 개의 입자 존재 영역(951)들은 고흡수성 수지의 입자들이 홀딩된 스트립 모양(또는 선형) 영역들(도 8에서, 해칭선들이 영역들에 그려진다)이고, 복수 개의 입자 부존재 영역(952)들은 입자들이 본질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제 1 시트 부재(91) 및 제 2 시트 부재(92)가 상호 간에 접합되는 스트립 모양 영역들이다. 다시 말해서, 복수 개의 입자 존재 영역(951)들은 흡수성 시트(95)에서 줄무늬 상태로 제공된다. 사실상, 길이 방향에 대하여 흡수성 시트(95)를 동일한 길이 조각들로 절단함으로써 획득된 부재들이 흡수성 물품을 위한 흡수성 부분으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흡수성 부분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서, 접착제가 입자 부존재 영역(952)들에 도포되지 않기에, 공기 투과성(통기성)은 향상된다. 입자 존재 영역(951)들의 양종단을 폐쇄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부재의 종단부 각각에서, 필요하면, 모든 시트 부재들은 폭 방향으로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상호 간에 접합된다.
여기서,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의 비교 실시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것이다. 도 9는 비교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8)의 부분들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7에 상응한다. 비교 실시예의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8)에서, 어떠한 환형 그루브도 제 1 시트 운반 롤러(81) 및 제 2 시트 운반 롤러(82) 상에 형성되지 않는다. 게다가, 배출 시작 위치(832)에서 실린더부(83)의 외부측 표면(831)의 (참조 표시(833)에 의해 나타난 2점 쇄선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접선은 제 1 시트 운반 롤러(81)의 외부측 표면(811)과 교차하지 않는다. 비교 실시예의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8)에서, 입자들은 거의 접선(833)을 따라 실린더부(83)의 오목부(834)로부터 배출되고, 일부 입자들은 제 2 시트 운반 롤러(82)를 향하여 간다. 이런 입자들은 주위에 넓게 스캐터링되도록, 제 2 시트 부재(92)를 통해 제 2 시트 운반 롤러(82)의 외부측 표면(821)과 충돌한다(즉, 제 2 시트 운반 롤러(82)상에 홀딩된 제 2 시트 부재(92)와 충돌한다). 또한 제 1 시트 운반 롤러(81)로 향하는 입자들은 주위에 넓게 스캐터링되도록, 제 1 시트 부재(91)를 통해 제 1 시트 운반 롤러(81)의 외부측 표면(811)과 충돌한다. 상기와 같이, 비교 실시예의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8)에서, 스캐터링된 입자들은 폐기되고 흡수성 시트들의 제조 비용은 증가된다. 게다가, 실린더부(83)의 오목부 열들에 상응하는 흡수성 시트들의 영역들에 입자들을 정확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어렵다.
이에 대하여, 도 7의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1)에서의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외부측 표면(311) 상에서, 복수 개의 환형 그루브(312)들은 각각, 축 방향에 대하여 실린더부(21)의 복수 개의 오목부 열(213)들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게다가, 실린더부(21)에서의 배출 시작 위치(P1)에서 외부측 표면(211)의 접선(L1)은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외부측 표면(311)과 교차한다. 따라서 실린더부(21)로부터 제 1 시트 부재(91)의 그루브 부분(911) 안으로 입자들을 배출하고 입자들의 스캐터링을 감소(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입자들은 환형 그루브(312)들에 상응하는 흡수성 시트(95)의 스트립 모양 영역들(입자 존재 영역(951)들)에 정확하게 고정(정착)될 수 있다.
제 2 시트 운반 롤러(41)는 제 2 중심축(J2)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외부측 표면(411)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실린더부(21)의 오목부(212)들을 향하는 환형 그루브(412)를 갖는다. 이는 제 2 시트 운반 롤러(41) 상에서 제 2 시트 부재(92)와 충돌하는 입자들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입자들의 스캐터링을 감소시킨다(동일한 것이 이후에 언급된 도 10 내지 도 13의 실시예에 적용된다). 입자들의 폐기물이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1)에서 감소될 수 있기에, 흡수성 시트의 제조 비용은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접착제는 제 1 시트 부재(91) 상의 복수 개의 스트립 모양 영역들에만 도포된다. 이는 입자들이 흡수성 시트(95)의 복수 개의 스트립 모양 영역들(입자 존재 영역(951)들) 상에 더 정확하게 고정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10은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4에 상응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1)에서, 최하측부에서 실린더부(21)의 외부측 표면(211)의 이동 방향(도 10에서 X 방향)에 대하여,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제 1 중심축(J1)은 실린더부(21)의 회전축(R1)(의 (+X) 측 상) 전측에 위치한다. 사실상, 도 1에 도시된 입자 공급부(2)의 위치는 다른 부재들에 대하여 도 1에서 약간 좌측 및 하측으로((-X) 측 및 (-Z) 측을 향하여) 이동되고, 이어서 제 2 시트 운반 롤러(41)의 위치는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제 1 중심축(J1) 및 실린더부(21)의 회전축(R1)에 대한 제 2 시트 운반 롤러(41)의 제 2 중심축(J2)의 상대 위치가 도 1에서와 동일하도록 조정된다. 따라서, 실린더부(21), 제 1 시트 운반 롤러(31) 및 제 2 시트 운반 롤러(41)는 도 10에 도시된 위치들에 위치된다. 도 10에서의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1)에서, 입자 충진 개구(232)(도 1을 참조)가 수평 평면에 평행한 상태가 유지된다. 게다가, 필요하면, 복수 개의 보조 롤러(32)들의 위치(도 1을 참조)는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제 1 중심축(J1) 및 실린더부(21)의 회전축(R1)을 연결하는 (2점 쇄선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선분(line segment)(L2)이 제 1 시트 부재(91)에 거의 직교하도록 조정된다.
도 11은 도 10에서 실린더부(21)의 최하측부의 부근을 도시하는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7에 상응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1)에서, 제 1 커버부(221)의 위치는 실린더부(21)에서의 배출 시작 위치(P1)에서 외부측 표면(211)의 접선(L1)이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환형 그루브(312)의 바닥 표면과 교차하는 위치가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최상측부의 (-X) 측에 위치하도록 조정된다. 따라서, 실린더부(21)로부터 직접 제 2 시트 운반 롤러(41)를 향하는 입자들은 실린더부(21)로부터 배출된 입자들에 있어 감소된다.
게다가, 도 11의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1)에서, 상기 접선(L1)이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외부측 표면(311)과 교차하는 제 1 교차 지점(A1)은 상기 선분(L2)이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외부측 표면(311)과 교차하는,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회전 방향으로 제 2 교차 지점(A2)(의 상류) 후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입자들은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외부측 표면(311)에서, 실린더부(21)의 외부측 표면(211)에 가장 근접한 부분(제 2 교차 지점(A2)의 부근에서 부분)의,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회전 방향으로, 후면측의 부근을 향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입자들이 환형 그루브(312)에서 제 1 시트 부재(91)로부터 바운싱하더라도, 입자들의 스캐터링은 제 1 시트 운반 롤러(31) 근처에 있는(에 근접한) 실린더부(21)의 외부측 표면(211)의 부분에 의해 억제될 수 있고, 입자들은 환형 그루브(312)들에 상응하는 흡수성 시트(95)의 스트립 모양 영역들 상에 더 정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4의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1)에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축(R1) 주위에서 실린더부(21)의 회전 방향으로 후측으로(시계 방향으로) 제 1 커버부(221)를 회전시킴으로써, (제 1 커버부(221)의 팁) 배출 시작 위치에서 외부측 표면(211)의 접선이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외부측 표면(311)과 교차하는 제 1 교차 지점은 제 1 중심축(J1) 및 회전축(R1)을 연결하는 선분이 외부측 표면(311)과 교차하는,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회전 방향으로 제 2 교차 지점 후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예를 들어, 만약 X 방향과 배출 시작 위치에서 외부측 표면(211)의 접선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30도 이하로 이루어진다면) 배출 시작 위치에서의 거의 수평 방향을 따라 입자들을 배출하기 위하여, 실린더부(21)의 회전축(R1)의 위치 및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제 1 중심축(J1)의 위치는 도 10에서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1)와 같이 X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비록 입자들이 도 1의 입자 공급부(2)에서 제 1 시트 부재(91)를 향하여 외부측 표면(211) 상에서 오목부(212)로부터 배출되더라도, 다른 입자 공급부는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1)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입자 공급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의 입자 공급부(2a)에서, 실린더부(21a)는 회전축(R1) 주위에서 일반적으로 실린더형 부재이고, 링 모양 측벽(214)을 갖는다. 실린더형 배기부(24)는 도 1에서 입자 충진부(23)에 대한 대체물로서 실린더부(21a) 위에 제공되고, 부직포 직물 등으로 형성된 주머니형 필터(241)는 배기부(24)의 상측부에 부착된다. 도 1에서와 유사한 제 1 커버부(221) 및 제 2 커버부(222)는 실린더부(21a) 주위에 제공된다.
도 13은 실린더부(21a)의 측벽(214)의 외부측 표면(211)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3에서, 회전축(R1)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관찰된 외부측 표면(211)의 외관이 도시된다. 도 13에서, 제 1 및 제 2 커버부들(221, 222)이 생략된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21a)는 측벽(214)을 통과하는 홀들인 복수 개의 관통홀(212a)들을 갖는다. 복수 개의 관통홀(212a)들은 축 방향으로 복수 개의 위치들의 각각에 대하여 회전축(R1)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다. 축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관통홀(212a)들이 관통홀 열(213a)로 불릴 때, 3개의 관통홀 열(213a)들은 도 13에 도시된 실린더부(21a)에 제공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21a)의 측벽(214)의 내부측 표면(215)의 부분을 덮는 격리부(isolation part)(25)는 실린더부(21a)의 내부 공간(210)에 제공된다. 격리부(25)는 도 12에서 내부 공간(210)의 우측부에 제공되고, 실린더부(21a)의 최하측부의 부근부터 최상측부의 부근까지 내부측 표면(215)의 우측부를 덮는다. 격리부(25)는 (도 1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실린더부(21a)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제 1 커버부(221)의 하측 종단부부터 제 2 커버부(222)의 상측 종단부까지 위치된 측벽(214)의 부분을 향한다. 실린더부(21a)에서, 격리부(25)가 존재하지 않는 내부 공간(210)의 부분은 고흡수성 수지의 입자들을 저장하는 입자 저장 공간(217)이다. 격리부(25)는 축 방향으로 실린더부(21a)의 내부측 표면(215)의 전체 폭을 거의 가로질러 제공되어, 격리부(25)로 덮인 내부측 표면(215)의 영역에서 관통홀(212a)들은 입자 저장 공간(217)으로부터 격리된다. 따라서, 또한 제 1 커버부(221)의 팁(즉, 배출 시작 위치(P1))부터 제 2 커버부(222)의 하측 종단부까지 있는 내부측 표면(215)의 영역에서, 관통홀(212a)들은 입자 저장 공간(217)으로부터 격리된다.
입자 공급부(2a)는 도 13에서 실린더부(21a)의 우측 종단부에 제공된 입자 보충부(23a)를 갖는다(도 12에서, 입자 보충부(23a)는 2점 쇄선에 의해 도시되고, 동일한 것이 이후에 언급된 레벨 센서(233)에 적용된다). 입자 보충부(23a)는 그 안에 스크류(screw)를 갖는 스크류 피더(screw feeder)이고, 축 방향으로 실린더부(21a)의 일종단부(도 13에서 우측 종단부)로부터 실린더부(21a)의 입자 저장 공간(217) 안으로 입자들을 보충한다. 레벨 센서(233)는 입자 저장 공간(217)에 제공된다. 입자 저장 공간(217)에 저장된 입자들의 양이 특정한 레벨 이하가 될 때, 입자들의 보충이 수행된다. 입자들이 입자 저장 공간(217) 안으로 보충될 때, 입자 저장 공간(217)에서의 공기는 주로 배기부(24)를 통해 배기된다. 입자들이 실린더부(21a)로부터 배기부(24)로 빠지더라도, 입자들은 필터(241)에 의해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1)의 외부로 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1)에서, 도 12에서 실린더부(21a)는 회전축(R1) 주위에서 고속으로 회전되어, 입자 저장 공간(217)에서 입자들은 복수 개의 관통홀(212a)들로부터, 실린더부(21a)에서의 입자 저장 공간(217)에 저장된 입자들을 향하는 관통홀(212a)들 안으로 충진된다. 입자들로 충진된 각 관통홀(212a)이 배출 시작 위치(P1)에 도달할 때까지, 관통홀(212a)의 외측 종단은 제 1 커버부(221)로 폐쇄(차단)된다. 관통홀(212a)은 격리부(25)에 대한 대향 위치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관통홀(212a) 안에서 입자들은 입자 저장 공간(217)에서 입자들로부터 격리(분리)된다. 이어서, 입자들로 충진된 각 관통홀(212a)이 배출 시작 위치(P1)(즉, 제 1 커버부(221)의 팁)를 지날 때, 관통홀(212a)에서 입자들은 제 1 시트 부재(91)를 향하여 배출된다.
또한 도 12에서 입자 공급부(2a)를 갖는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1)에서, 배출 시작 지점(P1)에서 실린더부(21a)의 외부측 표면(211)의 접선은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외부측 표면(311)과 교차한다. 게다가, 복수 개의 환형 그루브(312)들은 축 방향에 대하여 실린더부(21a)의 복수 개의 관통홀 열(213a)들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외부측 표면(311)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입자들의 스캐터링이 감소되고, 결과적으로, 입자들은 환형 그루브(312)들에 상응하는 흡수성 시트(95)의 스트립 모양 영역들 상에 정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들이 상기에 논의되어 왔더라도, 본 발명은 상기의 논의된 바람직한 구체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나, 다양한 변형들을 허용한다.
제 2 시트 운반 롤러(41)에서, (실린더부(21a)의 복수 개의 관통홀 열(213a)들 또는) 실린더부(21)의 복수 개의 오목부 열(213)들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환형 그루브(412)들은 반드시 형성되지 않고, 예를 들어, 축 방향에 대하여 모든 오목부 열(213)들에 상응하는 전체 크기를 가로지른 폭을 갖는 하나의 환형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환형 그루브의 폭은 제 2 시트 부재(92)의 폭보다 작다). 이런 경우에, 제 2 시트 운반 롤러(41) 상에서 제 2 시트 부재(92)와 충돌하는 입자들에 대한 충격은 제 2 시트 부재(92)와 환형 그루브의 바닥 표면 사이에 형성된 갭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만약 제 2 중심축(J2)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외부측 표면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 그루브가 실린더부의 홀들을 향하도록 형성된다면, 그루브는 반드시 환형이지 않고, 예를 들어, 그루브는 외부측 표면(411) 상에서 제 2 중심축(J2)을 따른 나선형 그루브일 수 있다.
제 2 시트 운반 롤러(41) 상에서 제 2 시트 부재(92)와 충돌하는 입자들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는 관점으로부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에서 제 2 시트 부재(92)와 충돌하는 입자들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된 스펀지, 탄성 러버 등인 외부측 표면(411) 상에서 흡수체(충격 흡수체)(413)를 갖는 제 2 시트 운반 롤러(41a)가 채택될 수 있다. 도 14에서 흡수체(413)는 제 2 중심축(J2) 주위에서 환형이고, 축 방향에 대하여 실린더부(21)의 모든 오목부 열(213)들에 상응하는 전체 크기를 가로질러 제공된다.
입자 공급부의 설계에 따라, 예를 들어, 제 1 커버부(221)는 도 1의 입자 공급부(2)에서 생략되고, 그 안에서 입자들을 홀딩하도록 실린더부(21)의 각 오목부(212)에서 입자들을 흡입하는 흡입 매커니즘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배출 시작 위치는 흡입 메커니즘에서 흡입을 해제하는 위치로서 설정된다.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1)에서, 제 2 시트 운반 롤러(41)의 환형 그루브(412)들(또는 흡수체(413)들)은 제 2 시트 운반 롤러(41) 상에서 입자들의 스캐터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시트 부재(91)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더라도, 입자들은 약간의 정확성으로 흡수성 시트의 복수 개의 스트립 모양 영역들에 고정될 수 있다. 흡수성 시트의 설계에 따라, 접착제는 제 1 시트 부재(91)의 전체 표면에 걸쳐 도포될 수 있다.
접합 롤러(51)에서, 제 1 시트 부재(91)와 제 2 시트 부재(92) 사이의 접합에 있어 입자들이 고정되는 스트립 모양 영역들(그루브 부분(911)들의 영역들)과 제 1 시트 운반 롤러(31) 및 접합 롤러(51) 모두의 접촉을 회피하도록,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의 것과 유사한 환형 그루브가 형성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1)의 설계에 따라, 제 1 시트 부재(91)와 제 2 시트 부재(92)가 제 1 시트 운반 롤러(31)와 제 2 시트 운반 롤러(41) 사이에서 상호 간에 접합되고 접합 롤러(51)가 생략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제 2 시트 운반 롤러(41)가 제 1 시트 부재(91) 상에 제 2 시트 부재(92)를 접합하는 시트 접합부를 실현한다.
상기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줄무늬 입자 존재 영역(951)들이 설정된 흡수성 시트(95)들의 제조(생산)에 대하여 논의가 이루어져 왔지만, 제 2 시트 운반 롤러(41)의 환형 그루브(412)들(또는 흡수체(413)들)이 입자들의 스캐터링을 감소시키는 기술은 하나의 입자 존재 영역(951)만을 각각 갖는 흡수성 시트(95)들의 제조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에서, 가교 부분 중화 폴리아크릴산, 가수분해화 전분-아크릴산 그라프트 폴리머, 비누화 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 가수분해화 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 가교 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 가수분해화 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가교 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가교 양이온 모노머 또는 가교 폴리아미노산과 같은 흡수성 재료의 입자들이 공급된다.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의 구조는 활성탄소,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이온 교환 수지, 또는 분자체(molecular sieve)와 같은 탈취재의 입자들을 제 1 시트 부재(91)로 공급함으로써, 가벼운 실금을 위한 흡수성 패드 또는 일회용 기저귀와 같은 흡수성 물품을 위한 시트 물품인 탈취 시트를 제조하는 시트 물품 제조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 논의된 바람직한 구체예들 및 변경된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상호 간에 배타적이지 아니기만 하면, 상호 간에 적절하게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도시되고 상세하게 설명되어 온 반면에, 앞선 설명은 모든 양상에서 예시적이고 한정적이지 않다. 따라서 많은 변경 및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창안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1 흡수성 시트 제조 장치
21, 21a 실린더부
31 제 1 시트 운반 롤러
41, 41a 제 2 시트 운반 롤러
51 접합 롤러
61 제 1 도포부
91 제 1 시트 부재
92 제 2 시트 부재
95 흡수성 시트
211, 311, 411 외부측 표면
212 오목부
212a 관통홀
412 환형 그루브
413 흡수체
951 입자 존재 영역
J1, J2 중심축
L1 접선
P1 배출 시작 위치
R1 회전축

Claims (4)

  1. 흡수성 물품을 위한 시트 물품을 제조하는 시트 물품 제조 장치에 있어서,
    수평 방향을 따라 회전축 주위에서 일반적으로 실린더형인 외부측 표면을 갖는 실린더부 - 여기서, 흡수성 재료 또는 탈취재의 입자들로 각각 충진되는 복수 개의 홀들은 상기 회전축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상기 외부측 표면에 배열되고, 상기 외부측 표면은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 주위에서 회전되며,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복수 개의 홀들의 각각이 배출 시작 위치를 지날 때 상기 배출 시작 위치에서 거의 상기 외부측 표면의 접선을 따라 상기 입자들을 배출시키고, 상기 배출 시작 위치는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상기 외부측 표면의 단면에서 최하측부의 부근에서 설정된다 - ;
    상기 실린더부의 상기 최하측부 근처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제 1 중심축 주위에서 일반적으로 실린더형인 외부측 표면을 갖는 제 1 시트 운반 롤러 - 여기서, 상기 외부측 표면은 연속 시트인 상기 외부측 표면을 따라 제 1 시트 부재를 운반하여 상기 제 1 시트 부재가 상기 실린더부의 상기 최하측부의 부근을 지나는 것을 야기하도록 상기 실린더부의 상기 회전 방향에 반대하는 회전 방향으로 상기 제 1 중심축 주위에서 회전된다 - ;
    상기 최하측부에서 상기 외부측 표면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상기 실린더부의 상기 최하측부 전측에 위치되고, 상기 입자들과 함께 공급된 상기 제 1 시트 부재 상에 상기 제 2 시트 부재를 위치시키도록 상기 최하측부의 부근으로 상기 외부측 표면을 따라 제 2 시트 부재를 운반하는,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제 2 중심축 주위에서 일반적으로 실린더형인 외부측 표면을 갖는 제 2 시트 운반 롤러 - 여기서, 상기 제 2 시트 부재는 연속 시트이다 - ; 및
    상기 제 1 시트 부재 상에 상기 제 2 시트 부재를 접합하는 시트 접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시트 운반 롤러는 상기 외부측 표면 상에 그루브 또는 흡수체를 갖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 2 중심축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외부측 표면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실린더부의 홀들을 향하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외부측 표면 상에서 상기 제 2 시트 부재와 충돌하는 상기 입자들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물품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트 운반 롤러는 상기 그루브로서 환형 그루브를 갖고, 상기 환형 그루브는 상기 제 2 중심축 주위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측 표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물품 제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홀들은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축 방향으로 복수 개의 위치들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실린더부의 상기 외부측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환형 그루브는 상기 축 방향으로 상기 복수 개의 위치들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 2 시트 운반 롤러의 상기 외부측 표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물품 제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물품 제조 장치는,
    상기 제 1 시트 부재 상에 위치한 복수 개의 스트립 모양 영역들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스트립 모양 영역들은 상기 축 방향으로 상기 복수 개의 위치들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물품 제조 장치.
KR1020147000594A 2011-07-08 2012-07-05 시트 물품 제조 장치 KR201400198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51578 2011-07-08
JP2011151578A JP5863298B2 (ja) 2011-07-08 2011-07-08 吸収性物品用シート部材製造装置
PCT/JP2012/004387 WO2013008431A1 (en) 2011-07-08 2012-07-05 Sheet article manufactur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868A true KR20140019868A (ko) 2014-02-17

Family

ID=46614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594A KR20140019868A (ko) 2011-07-08 2012-07-05 시트 물품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446570B2 (ko)
EP (1) EP2729103B1 (ko)
JP (1) JP5863298B2 (ko)
KR (1) KR20140019868A (ko)
CN (1) CN103648455B (ko)
AU (1) AU2012282002B2 (ko)
BR (1) BR112014000308A2 (ko)
CA (1) CA2840032A1 (ko)
CL (1) CL2013003756A1 (ko)
PL (1) PL2729103T3 (ko)
TW (1) TW201323309A (ko)
WO (1) WO20130084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044A (ko) * 2016-08-23 2018-03-06 박장수 광물질 충진용 주머니를 구비한 패드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4017B2 (ja) * 2011-07-08 2015-11-17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粒子供給装置および吸収性物品用シート部材製造装置
JP5814016B2 (ja) * 2011-07-08 2015-11-17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粒子供給装置および吸収性物品用シート部材製造装置
JP2014076090A (ja) 2012-10-09 2014-05-01 Livedo Corporation 粒子供給装置、粒子供給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速度決定情報の取得方法
JP6215604B2 (ja) * 2013-07-16 2017-10-18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用シート部材製造装置
JP2015048099A (ja) * 2013-08-30 2015-03-16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粒子供給装置
ITUB20154187A1 (it) 2015-10-06 2016-01-06 Fameccanica Data Spa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una struttura assorbente
PL3720264T3 (pl) * 2017-12-07 2023-10-30 Salford Group Inc. Rozsiewacz do materiału w postaci cząstek z ulepszoną kontrolą rozsiewania
CN114506091B (zh) * 2022-01-19 2024-02-23 江苏氢导智能装备有限公司 转移机构及片对卷贴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9011A (en) 1972-05-04 1973-09-18 Reed Lane Inc Packaging machine for packaging uniform articles such as pharmaceutical tablets
DE3307941A1 (de) 1983-03-05 1984-09-06 Overbeck GmbH & Co, 2800 Brem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fortlaufenden verpackungen fuer trinkhalme od. dgl. (halmgurte)
FR2550283B1 (fr) 1983-08-04 1988-03-1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Accumulateur hydropneumatique
US5494622A (en) 1994-07-12 1996-02-27 Kimberly-Clar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zoned placement of superabsorbent material
JP4911833B2 (ja) 2001-05-23 2012-04-04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の連続製造方法
JP4325994B2 (ja) * 2003-07-31 2009-09-02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シート状体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シート状体を用いた使い捨て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EP1621166B2 (en) * 2004-07-28 2018-11-2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absorbent core structures
DE602004026566D1 (de) 2004-07-28 2010-05-27 Procter & Gamble Indirekter Druck von AMG
US20060202379A1 (en) 2005-03-11 2006-09-14 Rachelle Bentley Method of making absorbent core structures with encapsulated superabsorbent material
JP4731285B2 (ja) * 2005-11-08 2011-07-20 花王株式会社 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5243305B2 (ja) 2009-03-02 2013-07-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ェブ搬送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044A (ko) * 2016-08-23 2018-03-06 박장수 광물질 충진용 주머니를 구비한 패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23309A (zh) 2013-06-16
CA2840032A1 (en) 2013-01-17
CN103648455A (zh) 2014-03-19
JP2013017563A (ja) 2013-01-31
US20140138031A1 (en) 2014-05-22
EP2729103A1 (en) 2014-05-14
CL2013003756A1 (es) 2014-05-16
BR112014000308A2 (pt) 2017-09-19
PL2729103T3 (pl) 2018-08-31
WO2013008431A1 (en) 2013-01-17
CN103648455B (zh) 2015-06-03
AU2012282002B2 (en) 2014-09-18
AU2012282002A1 (en) 2013-05-02
EP2729103B1 (en) 2018-03-07
US9446570B2 (en) 2016-09-20
JP5863298B2 (ja) 201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9868A (ko) 시트 물품 제조 장치
KR20140008458A (ko) 시트 물품 제조 장치
US10973700B2 (en) Absorbent-article sheet member manufacturing apparatus
KR20140027535A (ko) 입자 공급 장치 및 시트 물품 제조 장치
KR20140022466A (ko) 입자 공급 장치 및 시트 물품 제조 장치
KR20140024472A (ko) 시트 물품 제조 장치
JP2014076090A (ja) 粒子供給装置、粒子供給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速度決定情報の取得方法
JP6952560B2 (ja) 吸収体の製造方法
JP6227310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