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440A - 펌프 장치 - Google Patents

펌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9440A
KR20140019440A KR1020137031749A KR20137031749A KR20140019440A KR 20140019440 A KR20140019440 A KR 20140019440A KR 1020137031749 A KR1020137031749 A KR 1020137031749A KR 20137031749 A KR20137031749 A KR 20137031749A KR 20140019440 A KR20140019440 A KR 20140019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housing
rotary electric
attached
electric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1548B1 (ko
Inventor
도시오 도미타
게이 오카후지
신이치 다카하시
유키히로 후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산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60436A external-priority patent/JP550915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60444A external-priority patent/JP579254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산키시스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산키시스템
Publication of KR20140019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8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ribs or fins for improving heat transf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66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by changing the speed, e.g. of the driving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06Cooling the driv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13Cooling the control un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1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wherein gaseous cooling medium circulates between the machine casing and a surrounding mant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방열을 확실하게 행하면서, 가변속 운전 제어를 펌프 장치 단체로 행할 수 있는 공간 절약 펌프 장치를 제공한다.
펌프 케이싱 내에 설치되며 임펠러를 갖는 펌프부와, 상기 임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전기가 일체로 된 펌프 장치에 있어서, 회전 전기는, 그 외주에 복수의 냉각 핀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부착되는 고정자와, 회전 전기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복수의 영구 자석을 원통 형상으로 배치하여 구성된 회전자와,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과, 베어링이 부착되는 엔드 브래킷과, 펌프부가 부착되는 측과는 반대 측의 엔드 브래킷의 끝에 부착된 팬과, 하우징을 덮는 커버와, 하우징의 일부에 부착된 전력 변환 장치와, 하우징의 다른 부분에 부착된 제어 기판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펌프 장치{PUMP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공장의 송수(送水) 라인이나 제품의 일부로서 포함되는 펌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펌프 장치는, 주택급수나 공장 내 송수, 고객 조립 제품에의 포함과, 다양한 용도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공장 송수나 고객 조립 제품에 포함 시에는 배관의 도중에 포함되기 때문에, 펌프 장치 교환 시에는, 기설(旣設) 펌프 장치와 동등한 설치 치수, 혹은 동등한 외형 치수인 것이 요구된다. 또한, 공장 송수에 사용되는 펌프 장치의 대부분은, 상용 전원에서 최대 회전 속도의 고정속(固定速)으로 운전되고 있다. 수요 수량(水量)에 따라 펌프를 가변속(可變速) 운전하는 가변속 펌프 장치로 하면, 에너지 절약을 달성할 수 있지만, 가변속 펌프 장치로 하기 위해서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제어반의 설치 공사가 필요했다.
예를 들면, 이하의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설비 배관을 바꾸지 않고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압력 일정(一定) 제어 등의 가변속 운전 제어한 펌프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인용문헌 1의 도 1에 있어서는, 펌프 케이싱 내에 설치되며 임펠러를 갖는 펌프부와, 임펠러(11)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부가 일체로 된 펌프 장치에 있어서, 압력 센서의 신호를 받아서 펌프부를 가변속 운전하는 제어부를 모터부의 외측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전동기로서는, 특허문헌 2에 의하면, 중(中)용량 이상의 출력 기종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 일체형 구조를 가지는 전동기가 알려져 있다. 인용문헌 2의 도 1에는, 컨트롤러부의 제어 장치 케이스를 복수의 유닛 케이스로 분할하고, 유닛 케이스는, 겹쳐져서 반(反)부하측 엔드 브래킷 또는 하우징에 고정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9-41500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11-2790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배관 설치 치수에는 호환성이 있지만, 제어부를 모터부의 외측에 부착하고 있는 분(分)만큼 치수가 커지고, 제어반을 별도로 설치하고 있었던 기설 펌프 장치에 대하여, 외형 치수에 호환성이 없다. 또한, 설치 스페이스가 좁거나, 제품 내부에 포함하는, 등 설치 조건이 까다로운 환경에 있어서는 기설 펌프 장치와의 교환은 불가능하다.
또한, 펌프 장치를 공장 송수나 고객 조립 제품에 포함 시에는 배관의 도중에 포함되기 때문에, 펌프 장치의 무게중심(重心)이 치우쳐 있을 경우, 배관에 부하를 가하게 된다. 또한 펌프 장치 교환 시에는, 일시적으로 펌프 장치를 단체(單體)로 두게 되어,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제어부를 모터부의 외측에 부착하고 있는 분만큼 무게중심이 치우친다. 펌프부, 회전 전기(電機)부의 중량이 제어부에 비하여 충분히 큰 경우에는 자립은 가능하지만, 제어 부분도 펌프부, 회전 전기부에 대하여 상당한 중량을 가지므로 안정적으로 자립하고 있다고는 말할 수 없고 이 점에 대해서는 고려되고 있지 않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전동기에서는, 회전 전기 본체와 함께 탑재되는 각종의 부품 중, 특히, 전력 변환 장치에서는, 인버터를 구성하는 파워 스위칭 소자(예를 들면, IGBT 등), 그 발열이 크다. 그 때문에,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회전 전기의 한쪽의 단부에, 그 회전축 상에 겹쳐져서 배치된 원통 형상의 케이스의 내부에 탑재했을 경우, 당해 인버터(즉, 그 파워 스위칭 소자)의 발열을 확실하게 외부로 방열하는 것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술의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방열을 확실하게 행하면서, 설비 배관이나 제품 구조를 바꾸지 않고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압력 일정 제어 등의 가변속 운전 제어 등을 펌프 장치 단체로 행할 수 있는 공간 절약의 구동부 제어 장치 일체형 펌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설비 배관이나 제품 구조에 부하를 가하지 않고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압력 일정 제어 등의 가변속 운전 제어 등을 펌프 장치 단체로 행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자립 가능한 펌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펌프 케이싱 내에 설치되며 임펠러를 갖는 펌프부와, 상기 임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전기가 일체로 된 펌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기는, 그 외주에 복수의 냉각 핀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고정자와, 상기 회전 전기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복수의 영구 자석을 원통 형상으로 배치하여 구성된 회전자와,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과, 베어링이 부착되는 엔드 브래킷과, 상기 펌프부가 부착되는 측과는 반대 측의 엔드 브래킷의 끝에 부착된 팬과, 상기 하우징을 덮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 부착된 당해 회전 전기의 전기자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전력 변환 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다른 부분에 부착되고, 외부와의 입출력을 행함과 함께 상기 전력 변환 장치를 통하여 상기 회전 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펌프 케이싱 내에 설치되며 임펠러를 갖는 펌프부와, 상기 임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전기부가 일체로 된 펌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기부는 하우징을 갖고, 당해 하우징의 주위에, 상기 회전 전기부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 본체와, 상기 회전 전기의 운전 제어를 행하는 제어 기판과, 인버터의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콘덴서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인버터와, 상기 제어 기판과, 상기 콘덴서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인버터 본체와 상기 콘덴서는,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열에 뛰어나며, 기설품 교환에 적합한 공간 절약의 구동부 제어 장치 일체형 펌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회전 전기부 및 제어 부분을 일체화한 펌프 장치에 있어서, 자립성 및 밸런스성이 뛰어난 펌프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펌프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펌프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펌프 장치의 구동용의 회전 전기 조립체의 전체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4는 상기 펌프 장치의 구동용의 회전 전기 조립체의 커버 내에 내장되는 회전 전기 부분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전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회전 전기를 커버 내에 수납할 때의 각 부를 나타낸 전개 사시도.
도 6은 상기 회전 전기 조립체에 있어서, 하우징에 부착하는 전력 변환 장치와 스테이터(전기자)의 위치 관계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일부 절단 사시도.
도 7은 상기 회전 전기 조립체에 있어서, 스테이터(전기자)를 구성하는 코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펌프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낸 펌프 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전력 변환 장치를 모터부의 외측에 배치한 일체형 펌프 장치의 무게중심의 설명도.
도 11은 도 10의 펌프 장치의 쓰러지기 쉬움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펌프 장치의 무게중심의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펌프 장치의 쓰러지기 쉬움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펌프 장치의 바람직한 무게중심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펌프를 복수대 사용할 때의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16은 본 발명의 펌프 장치와 펌프 감시장(監視場) 또는 동종의 펌프 장치의 마스터기 등과의 통신의 설명도.
도 17은 복수대의 펌프 장치의 접속 관계를 나타낸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예를 들면 옥외 설치 펌프 장치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펌프 케이싱을 나타내고, 부호 (10)은, 회전 전기 조립체의 외주를 덮는 커버를 나타내고 있다. 부호 (20)은 냉각 커버를 나타낸다. 부호 (40)은, 노이즈 필터 내장 단자 상자를 나타내고, 이들 펌프 케이싱, 커버, 노이즈 필터 내장 단자 상자, 및 전력 변환 장치를 수납한 케이스의 외형 치수가, 기설 펌프 장치인 유도 전동기 탑재의 펌프 장치의 외형 치수와 동등 이하가 되도록 제한하고, 구성되어 있다.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기는, 그 냉각 구조 구성 및 제어 부분의 부품의 배치 구조에 특징을 갖고 있으며, 방열 효과가 높고, 또한, 기설 펌프 장치를 제어반을 별도 갖는 유도 전동기 탑재의 펌프 장치로 했을 경우, 이 펌프 부분의 외형 치수와 동등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송수관이나 제품에 영향을 주지 않고, 구동부 제어 장치 일체형 펌프 장치로 치환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펌프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후술하는, 원심 팬이 회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취입하고, 커버를 통해, 하우징의 외주 표면에 다수 형성된 냉각 핀 사이를 흘러서, 공기의 흐름을 고려한 엔드 브래킷과 일체로 한 케이싱 커버, 또는 엔드 브래킷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커버(10)의 내부에는 회전 전기 본체가 수납되어 있으며, 회전 전기의 회전축(샤프트)(56)은, 펌프 케이싱 내에 배치된 임펠러를 회전시키도록 접속되어 있다. 펌프부에 있어서의 임펠러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 전기부의 회전축은 일치하고 있다.
도 3에는, 상기 도 1, 도 2에서 사용되는 회전 전기 조립체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즉, 이 도면에 있어서, 부호 (10)은, 회전 전기 본체의 외주를 덮는 커버를 나타내고 있으며, 대략 원통 형상의 외형을 구비하고 있다. 이 커버(10)는, 판 형상의 공진 억제 재료를, 예를 들면, 가압 가공 등을 행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버의 내측에 흡음재, 방음재, 제진재, 방진재 등을 부착함으로써, 소음이나 진동의 억제가 가능해진다.
상기 원통형 커버(10)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도면의 안쪽)에는, 후에도 설명하는 원심 팬(21)을 내장하는 냉각 커버(20)가 부착되며, 또한, 다른 쪽의 단부(도면의 앞쪽)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회전 전기의 엔드 브래킷(11)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 커버(10)의 외주면에는, 후에도 설명하는 전력 변환 장치를 수납한 케이스(전력 변환 장치용 케이스)(30)나, 그 내부에 노이즈 필터를 내장한 단자 상자(노이즈 필터 내장 단자 상자)(40)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어서, 도 4에는, 상기 커버(10) 내에 내장되는 회전 전기 부분(50)의 전체 구조가, 전개도로서 나타나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부호 (51)은, 소위, 대략 원통 형상의 하우징(또는, 「프레임」이라고도 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하우징(51)은, 예를 들면, 전열성(열전도성)이 뛰어난 알루미늄 등의 재료를 압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하우징(51)은, 도면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외주 표면의 전체에는, 원통형의 회전축을 따라 병렬로 연장된 다수의 냉각 핀(52L, 52S)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하우징(51)의 외주 표면의 일부(도면에서는, 상부)에는, 상술한 전력 변환 장치(즉, 전력 변환 장치용 케이스)(30)를 부착하기 위한 비교적 큰 면적의 평면(53)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주위에는, 수평 방향으로, 비교적 큰(길게 연장된) 냉각 핀(52L)을 형성하고 있다.
또, 이 원통 형상의 하우징(51)의 내부에는, 상기 영구 자석식 회전 전기의 고정자(스테이터)(54)를 구성하는 전기자가 삽입되어 고정됨과 함께, 당해 전기자(54)의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 내에는, 복수의 영구 자석을 원통 형상으로 배치하여 구성된 회전자(로터)(55)가 삽입되고, 소정의 극간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의 부호 (56)은, 상기 회전자(로터)(55)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샤프트)이며, 회전 전기의 회전 구동력을, 당해 축을 통하여, 예를 들면, 펌프 등의 피구동 기기에 전달한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 (57)은, 상술한 엔드 브래킷(11)과는 반대 측에 있어서, 하우징(51)의 단부에 부착된 엔드 브래킷이며, 또한, 도면 중의 부호 (58)은, 당해 엔드 브래킷(57)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샤프트)(56)에 부착되는 원심 팬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에는, 상술한 회전 전기(50)를 상기 도 3에 나타낸 커버(10)의 내부에 수납할 때의 각 부가, 전개도로서 나타나 있다. 즉, 회전 전기(50)는, 그 하우징(51)의 외주 표면의 일부, 예를 들면, 도면의 예에서는, 하부 주변의 비교적 짧은 냉각 핀(52)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는, 그 외형 단면이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어&I/F 기판용 케이스(60)나 평활 콘덴서용 케이스(70)가 부착되며(또는, 고정되며), 그 후, 상기 커버(10)의 내부에 삽입된다(도면의 화살표를 참조). 또한, 하우징(51)의 평면(53)에는, 커버(10)의 일부에 설치된 개구부(511)를 통하여, 인버터를 구성하는 발열 소자인 파워 스위칭 소자(예를 들면, IGBT 등)를 일부에 구비한 전력 변환 장치(31)가, 회전 전기(50)의 하우징(51)의 일부에 형성된 평면(53)에 부착되며, 그 후, 그 보호를 위한 커버(전력 변환 장치용 커버)(30)가 외측으로부터 부착된다(도면의 화살표를 참조). 또한, 하우징(51)의 외주 표면의 일부에는, 상술한 단자 상자(노이즈 필터 내장 단자 상자)(40)가 부착된다(도면의 화살표를 참조). 그리고, 하우징(51)의 다른 단부(도면의 좌단)에는, 상술한 냉각 커버(20)가 부착된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 (21)은, 당해 냉각 커버(20)의 벽면의 대략 중앙부에, 다수의, 메시 형상으로 형성한, 외부의 공기를 취입하기 위해 작은 구멍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술한 회전 전기 본체나 그 주변 장치도 포함시킨 회전 전기 조립체에 의하면, 회전 전기의 운전도 수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샤프트)(56)에 의해, 그 선단에 부착된 원심 팬(58)이 회전하고,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커버(10)의 내부로 안내되어, 하우징(51)의 외주 표면에 다수 형성된 냉각 핀(52) 사이를 흘러서 열교환을 행하고(상기 도 4의 흰색의 화살표를 참조), 그 후, 타단의 엔드 브래킷(11)과의 사이의 극간을 통하여 외부에 유출한다. 즉, 원심 팬(58)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공기 흐름에 의해, 그 외주 표면에 냉각 핀(52)이 다수 형성된 하우징(51)이 냉각된다.
또, 전력 변환 장치(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버터를 구성하기 위해서, 그 내부에 발열 소자인 파워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므로, 그 발열량이 크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 변환 장치(31)는, 회전 전기의 발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고정자(스테이터)(54)의 외주에 일체로 설치된 하우징(51)의 일부, 즉, 그 부착용의 평면부(53)에 직접적으로 부착된다. 이에 따르면, 전력 변환 장치(31)에 있어서의 발열은, 회전 전기의 발열(특히, 그 전기자에 있어서의 발열)과 함께, 당해 하우징(51)에 전달하고, 그 외주 표면의 전체에 있어서, 전열성이 뛰어난 재료에 의해 다수가 병렬로 나열되도록 형성된 냉각 핀(52)에 의해, 외기에 효율적으로 전달되게 된다. 즉, 회전 전기의 발열과 함께, 전력 변환 장치(31)의 발열을, 효율 좋게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전력 변환 장치의 양호한 냉각 효과가 달성되게 된다.
특히,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전력 변환 장치(31)가 배치되는 원통 형상 하우징(51)의 상부에 형성한 부착용의 평면(53)의 주변에는, 수평 방향에, 비교적 큰(길게 연장된) 냉각 핀(5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 전기의 발열과 함께 전력 변환 장치(31)의 발열도, 효율적으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I/F 기판용 케이스(60)나 콘덴서용 케이스(70)에 대해서도, 하우징(51)의 외주 표면의 일부에 부착되어(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들 케이스의 내부에 있어서의 발열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우징(51)의 외주에 형성한 냉각 핀(52)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제어&I/F 기판용 케이스(60)란, 그 내부에, 제어용의 컨트롤러(예를 들면, 제어용 마이크로컴퓨터)와 함께, 통신용의 I/F 기판을 내장하고, 그 내부에 수지재 등을 주입한 것이며, 내환경성이나 내충격성도 뛰어난 것이다. 그리고, 이 제어&I/F 기판용 케이스(60)를 회전 전기의 일부에 부착하는 것에 의하면, 옥외 설치 펌프의 구동 제어와 함께, 무선/유선에 의한 외부와의 통신 기능도 가능해진다. 또한, 이에 따르면, 예를 들면, 제어&I/F 기판에, 압력 센서, 유량 센서 등을 탑재하는 것에 의하면, 이들의 양을 피드백 신호로 하여 자동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또는, 서포트 센서에 전달(통신)함으로써, 집중 관리나 통합 에너지 절약 모니터 시스템 등도 실현 가능해진다. 즉, 이에 따라, 옥외 설치 펌프의 운전 관리나 에너지 절약 운전 등이 가능해짐과 함께, 후술과 같이, 원격 감시 제어나 집중 관리, 또는, 복수의 펌프에 의한 시스템화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콘덴서용 케이스(70)란, 그 내부에, 상기 전력 변환 장치(31)의 인버터 회로의 일부(부품)를 구성하는 평활 콘덴서를 수용한 것이며, 상기와 마찬가지로, 그 내부에 수지재 등을 주입함으로써, 내환경성이나 내충격성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인버터의 일부를 구성하는 DC 리액터는, 본 예에서는, 상기 전력 변환 장치(31)의 일부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 DC 리액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전용 케이스 내에 내장하여 하우징(51)의 외주 표면의 일부에 부착해도 된다.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실시예 대신에, 예를 들면, 도 6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 변환 장치(31)에 있어서의 발열부(도면의 메시부)(H)가, 상기 원통 형상의 하우징(51)의 평면부(53) 상에서, 그 회전 중심축 상에 있어서, 회전 전기 측의 발열부인 스테이터(전기자)(54)의 중심부(도면에 파선 B로 나타냄)의 위치로부터 벗어나서, 예를 들면, 상기 냉각 커버(20)에 내장된 원심 팬(21) 측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이에 따르면, 발열부가 집중하지 않고 분산됨으로써, 효율적인 냉각이 가능해진다.
또는, 스테이터(전기자)(54)로서, 도 7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외주의 일부, 특히, 상술한 전력 변환 장치(30)가 부착되는 하우징(51)의 평면부에 근접하는 부분을 잘라낸(커트부(541)), 소위, 커트 코어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발열부인 전력 변환 장치(30)와 스테이터(전기자)(54)를 커트 부분에서 열적으로 분리함으로써, 하우징(51)에 의한 열의 흡수를 각각 분리하여 효율적으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펌프 장치에 의하면, 상술한 설명으로부터도 명확한 바와 같이, 외주에 냉각용의 핀을 형성한 하우징을 인버터 등의 발열 부품의 냉각부로서 직접적으로 이용하고, 따라서, 인버터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 그리고 각종의 회로 기판, 또는, 노이즈 필터나 콘덴서도 포함시켜서 일체로 구성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영구 자석식 모터를 채용함으로써, 모터의 치수로서는, 유도 전동기의 치수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전력 변환 조치 및 제어 기판 등의 부품을 상술과 같이 하우징의 주위에 배치함으로써, 그 외형 치수를 동등한 출력 성능을 가지는, 제어반을 별도 갖는 유도 전동기를 탑재한 펌프 장치의 외형 치수와 동등 이하로 하는 펌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기설의 유도 전동기를 탑재한 펌프 장치와 치환이 가능함과 함께, 제어반이 불필요해져 대폭적인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외형 치수뿐만 아니라, 종래의 과제였던 방열에 대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방열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높은 방열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실용적으로도 구동 가능한 펌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구동부 제어 장치 일체형 펌프 장치이므로, 제어반을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복수대의 펌프 장치에 대하여, 휴대 단말이나 펌프 감시장 또는 동종의 펌프 장치의 마스터기 등으로부터 간단히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되는, 예를 들면 옥외 설치 펌프 장치로서, 종치(縱置) 직동형 펌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다. 사용되는 회전 전기 조립체는 도 3∼도 7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이 사용된다.
이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펌프 케이싱을 나타내고, 부호 (10)은 회전 전기 조립체의 외주를 덮는 커버를 나타내고 있다. 부호 (20)은 냉각 커버를 나타낸다. 부호 (30)은, 전력 변환 장치를 수납한 케이스, 부호 (40)은, 노이즈 필터 내장 단자 상자를 나타낸다.
도 9는, 펌프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심 팬이 회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기가 취입하고, 커버를 통해, 하우징의 외주 표면에 다수 형성된 냉각 핀 사이를 흘러서, 엔드 브래킷과의 사이의 극간을 통하여 외부에 유출하는, 공기의 흐름을 고려하여, 부호 (2)로 나타낸 케이싱 커버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커버(10)의 내부에는 회전 전기 본체가 수납되고 있으며, 회전 전기의 회전축(샤프트)(56)은, 펌프 케이싱 내에 배치된 임펠러를 회전시키도록 접속되어 있다. 펌프부에 있어서의 임펠러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 전기부의 회전축은 일치하고 있으며, 펌프 사용 시에는, 상기 회전축은, 펌프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이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펌프 장치의 밸런스성 및 자립 안정성에 대해서 도 10∼도 14의 모식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0은 인버터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를 종래의 회전 전기 조립체(모터부)를 일체화한 펌프 장치에 설치할 경우의 무게중심의 위치에 관한 설명도(모식도)이다. 도 10에서는 펌프부와 일체화된 모터 부분에 대하여, 그 외측에 전력 변환 장치를 일괄하여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전력 변환 장치의 중량이 크고, 전력 변환 장치와 모터부를 조합시킨 무게중심의 위치는, 도 10의 하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전기(모터)의 회전축으로부터 크게 벗어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펌프 장치 전체가 약간 경사졌을 경우여도, 무게중심의 위치가 모터부의 회전축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기 때문에 곧 쓰러지게 되어, 밸런스성 및 자립 안정성이 충분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펌프 장치를 배관 도중에 포함하면 다른 배관 부위에 큰 부하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펌프 장치의 무게중심을 나타낸 설명도(모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0과는 달리, 적어도 그 일부가 회전 전기 조립체의 커버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전력 변환 장치, 제어 기판 및 평활 콘덴서를 떨어뜨려서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 변환 장치(31)를 하우징(51)의 상부에 배치하고, 콘덴서용 케이스(70)는 하우징(51)의 하부의 안쪽, 제어&I/F 기판용 케이스(60)는 하우징(51)의 하부의 앞쪽으로 배치한다. 각각의 부재는, 회전 전기의 회전축을 중심에 약 120° 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전력 변환 장치(31)와 평활 콘덴서의 중량이, 제어&I/F 기판(60)의 중량보다도 큰 것을 고려하면, 적어도 전력 변환 장치와 평활 콘덴서를 회전 전기의 회전축에 대하여 떨어진 위치(예를 들면 120°∼180°)에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노이즈 필터에 대해서는, 그 중량이 전력 변환 장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노이즈 필터용 케이스(40)는, 커버(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펌프 장치의 무게중심의 위치에의 영향은 작다.
이에 따라, 도 12의 하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부 및 각각의 전력 변환 장치, 제어 기판, 콘덴서, 펌프부의 모두를 합친 무게중심은, 모터부의 회전축의 근방이 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펌프 장치에 있어서는, 그 무게중심이 모터부의 회전축의 근방에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치우쳐도 펌프가 쓰러지지 않고, 밸런스성 및 자립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 도중에 본 발명의 펌프 장치를 설치했을 경우에 배관이나 다른 부위에 큰 부하를 가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를 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작업 시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펌프 장치는, 자립성이 뛰어나므로, 펌프가 쓰러지는 것에 의한 펌프 장치 또는 다른 부재의 손상을 막을 수 있고, 또한 작업성이 뛰어난 것이다.
도 14에는 펌프 장치 전체로서의 무게중심의 바람직한 위치의 영역을 나타낸다. 무게중심의 위치는, 중심축에 가까울수록 쓰러지기 어려워지므로, 중심축 근방이 되도록 한다. 특히, 펌프부에 있어서의 임펠러의 회전축과, 회전 전기부의 회전축은 일치하고 있으며, 모터부와 펌프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모터부의 직경의 1/2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무게중심이 낮은 쪽이 쓰러지기 어려워지므로, 도 14의 해칭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부의 하우징의 원통 부분의 상부 바닥면의 중심점을 정점으로 하여, 모터부의 하부 바닥면의 직경의 1/2의 원에 의해 규정되는 원추 내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여기에서는 모터부의 직경이란 커버에 덮힌 모터부의 최대 직경을 의미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옥외 설치 펌프의 구동용의 회전 전기 조립체를, 영구 자석식 회전 전기에 의해 구성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형식의 회전 전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어도 되며, 그것에 의해서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당업자라면 명확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커버(10)는, 회전 전기 부분(50)의 전체를 거의 덮도록 연장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커버(10)를, 회전 전기 부분(50)을 그 길이 방향의 약 절반 정도로 해도 되며, 그 경우에도, 역시, 상술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의 특징을 살린 구동부 제어 장치 일체형 펌프 장치의 제어에 대해서 도 15∼도 1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동종의 펌프를 복수대 사용할 때의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펌프 정지 중(101)에 있어서는, 수량(水量)이 소정의 기준보다도 늘어나거나 또는 압력이 소정의 기준보다도 내려갈 경우(102)에 펌프의 기동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펌프가 1대를 기동하게 된다(103). 한편, 수량이 줄어드는 경우(104)에는, 펌프의 기동은 필요 없기 때문에, 펌프 정지의 상태가 계속된다(101).
펌프 1대가 운전 중인 경우(201)에 있어서도, 수량이 소정의 기준보다도 늘어나거나 또는 압력이 소정의 기준보다도 내려갈 경우(202)에 새로운 펌프의 기동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또한 펌프 1대를 기동하게 된다(203). 한편, 수량이 줄어드는 경우(204)에는, 펌프의 기동은 필요 없기 때문에, 펌프 1대 정지를 정지시킨다(205).
또한 펌프 2대가 운전 중인 경우(301)에 있어서도, 수량이 소정의 기준보다도 늘어나거나 또는 압력이 소정의 기준보다도 내려갈 경우(302)에 새로운 펌프의 기동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펌프 1대를 더 기동하게 된다(303). 한편, 수량이 줄어드는 경우(304)에는, 펌프 1대 정지를 정지시킨다(305). 3대 이상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은 플로우에 의해 제어가 행해진다.
상기와 같은 펌프의 제어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부 제어 장치 일체형 펌프 장치에 대하여, 펌프 감시장 또는 동종의 펌프 장치의 마스터기 등으로부터 행해진다.
각 펌프 장치에 대하여, 펌프 감시장 또는 동종의 펌프 장치의 마스터기 등으로부터, 현재의 상태의 확인, 운전 개시의 지시, 운전 정지의 지시 등이 보내진다. 이러한 지시는, 펌프 장치의 제어&I/F 기판용으로 내장된 무선 LAN이나 Bluetooth(등록상표) 등의 무선 통신 또는 제어 신호선(유선)에 의해 행해진다.
통신에 있어서는, 각 펌프 장치에 식별 번호가 할당된다. 펌프 장치의 제어 기판은 기억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펌프 장치 고유의 식별 번호를 기억하는 영역을 가진다. 어느 결정된 숫자(예를 들면 0000∼0099) 이외의 랜덤으로 작성한 숫자를 식별 번호로 하고 사전에 정해진 통신 포맷을 따라 데이터를 송신한다. 펌프 감시장 또는 동종의 펌프 장치의 마스터기 등으로부터 펌프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했지만, 회신이 없을 경우에는, 랜덤으로 정하는 시간 후에, 통신을 재송한다. 회신이 있을 경우에는, 회신 데이터에서 지정된 식별 번호(예를 들면 0000∼0099)를 그 펌프 장치의 식별 번호로서 사용한다. 통신이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0000∼0099가 할당되어 있는 펌프 장치는, 각각이 통신을 행한 후 0000∼0099 이외의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일정 시간 통신을 삼가도록 한다.
펌프 장치 고장 시에는, 펌프 장치 측에서 고장의 취지를 통신으로 전한다. 펌프 감시장이나, 운전 대수를 관리하고 있는 펌프 장치 마스터기는 고장난 펌프 장치가 있으면, 그 펌프 장치는 정지시키고, 다른 펌프 장치를 기동한다.
또한, 펌프 장치를 감시하는 감시 장치나 펌프 장치가, 다른 펌프의 운전 상황(고장 중이면 고장의 내용)이나 고장 내역, 또한, 병설되어 있는 동종의 펌프 장치의 대수, 동종의 펌프 장치의 병렬 가능 대수, 현재 운전하고 있는 펌프 장치의 대수, 및 고장나 있는 펌프 장치의 대수를 기억하는 영역을 가진다. 휴대 단말에 이들의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1개의 감시 장치 혹은 펌프 장치와 통신함으로써 모든 펌프 장치의 상황(전체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펌프 장치의 제어 기판은, 위치 정보 검출 장치(예를 들면, GPS 장치)를 가질 경우에는, 펌프 장치의 설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펌프 장치의 위치 마다 복수대의 펌프 장치를 그룹화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17은, 복수대의 펌프 장치의 접속 관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7에 있어서, 1-1, 1-4, 2-1, 2-4, 3-1, 3-4는 게이트 밸브, 1-2는 1호기 펌프부, 2-2는 2호기 펌프 장치부, 3-2는 3호기 펌프 장치부, 1-3, 2-3, 3-3은 체크 밸브, 1-5는 1호기 모터부, 2-5는 2호기 모터부, 3-5는 3호기 모터부, 1-6은 1호기 전력 변환 장치, 2-6은 2호기 전력 변환 장치, 3-6은 3호기 전력 변환 장치, 1-7은 1호기 제어 기판, 2-7은 2호기 제어 기판, 3-7은 3호기 제어 기판, 1-8은 1호기 무선 인터페이스, 2-8은 2호기 무선 인터페이스, 3-8은 3호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도시 생략)로부터, 설정하고 싶은 데이터(데이터 항목과 데이터 내용)를 송신하면, 펌프 장치의 무선 인터페이스(1-8, 2-8, 3-8)를 통하여, 펌프 제어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 중에, 데이터가 기입된다. 이 경우, 데이터를 송신하는 대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펌프의 식별 번호를, 데이터와 함께 보낸다. 무선 인터페이스나 기억부는, 펌프 장치의 제어&I/F 기판(1-8, 2-8, 3-8) 중에 포함된다.
상기의 휴대 단말은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휴대 단말에서의 표시는, 데이터 내용 그 자체가 아닌, 그것을 변환한 것(예를 들면 0→펌프 정지, 1→펌프 운전, 등)을 표시한다. 휴대 단말에 있어서는, 운전 상황이나 고장 내역을 취득했을 때에도 예를 들면 고장 내용을 나타내는 에러 코드이면, 그 에러 코드가 지시하는 내용을 표시(예를 들면 에러 코드 「E1」이 「과전류」이면, 표시는 「과전류」)와 같이 표시를 행한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로부터, 운전 상황 취득의 지령을 주면, 펌프 장치의 무선 인터페이스(1-8, 2-8, 3-8)를 통하여, 펌프 운전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 중에서, 운전 상황 데이터가 판독되며, 판독된 데이터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휴대 단말에 보내지게 된다.
또한, 휴대 단말로부터 펌프를 운전할 경우, 데이터의 설정을 행하는 것과 같이, 운전/정지의 지령을 주거나, 운전하는 주파수(모터 회전수)를 설정할 수 있다. 「운전/정지의 『지령』」이 아니라, 펌프 장치의 운전 상태에 관한 데이터 항목을 지정하고, 운전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데이터에 「운전」을 설정하고, 정지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데이터에 「정지」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펌프 장치가 3대 이상 있을 경우에, 미리 펌프 장치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펌프 장치를 마스터 펌프 장치로 할 수 있다. 혹은, 펌프 장치가 가동 상태가 되고 나서(통전하고 나서) 우선 순위를, 그 펌프 장치 중에서 정하여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펌프 장치를 마스터 펌프 장치로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와의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에 의해, 제어반을 설치하지 않고, 복수대의 구동부 제어 장치 일체형 펌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1…펌프 케이싱, 2…케이싱 커버, 3…베드(펌프 베이스), 10…커버, 20…냉각 커버, 21…원심 팬, 30…전력 변환 장치용 케이스, 31…전력 변환 장치, 40…노이즈 필터 내장 단자 상자, 50…회전 전기(부분), 51…하우징, 52L, 52S…냉각 핀, 54…고정자(스테이터, 전기자), 55…회전자(로터), 56…회전축(샤프트), 60…제어&I/F 기판용 케이스, 70…평활 콘덴서용 케이스, 541…(코어의) 커트부, H…발열부, B…전기자의 중심부

Claims (21)

  1. 펌프 케이싱 내에 설치되며 임펠러를 갖는 펌프부와,
    상기 임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전기(電機)가 일체로 된 펌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기는,
    그 외주에 복수의 냉각 핀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고정자와,
    상기 회전 전기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복수의 영구 자석을 원통 형상으로 배치하여 구성된 회전자와,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이 부착되는 엔드 브래킷과,
    상기 펌프부가 부착되는 측과는 반대 측의 엔드 브래킷의 끝에 부착된 팬과,
    상기 하우징을 덮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 부착된 당해 회전 전기의 전기자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전력 변환 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다른 부분에 부착되고, 외부와의 입출력을 행함과 함께 상기 전력 변환 장치를 통하여 상기 회전 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 장치는, 하우징에 형성된 평면부에 부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에 형성되는 냉각 핀은, 상기 평면부에 있어서의 크기가, 그 외의 부분에 형성되는 냉각 핀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으로부터의 공기는, 상기 커버의 내측에 있는 상기 하우징의 냉각 핀을 통과하고, 상기 펌프부와 상기 회전 전기와의 접속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외형이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냉각 핀은, 당해 원통의 회전축을 따라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노이즈 필터를 내장한 단자 상자를, 상기 커버의 일부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그 중심 위치를, 상기 회전 전기의 전기자의 중심 위치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평면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기의 전기자를 구성하는 코어는, 상기 전력 변환 장치가 부착되는 상기 하우징의 평면부의 근방에 커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은 기억부를 구비하고, 당해 기억부는, 펌프 장치 고유의 식별 번호를 기억하는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은 외부와 입출력을 행하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펌프 감시장(監視場) 혹은 병설되어 있는 동종의 펌프 장치와의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여 상기 펌프 장치의 식별 번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적어도 병설되어 있는 동종의 펌프 장치의 대수, 동종의 펌프 장치의 병렬 가능 대수, 현재 운전하고 있는 펌프 장치의 대수, 및 고장나 있는 펌프 장치의 대수 중 어느 하나를 기억하는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은 외부와 입출력을 행하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기억부에 기재된 정보를 단말 기기에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은, 위치 정보 검출 장치를 가지고, 펌프 장치의 설치 위치 마다 복수대의 펌프 장치가 그룹화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13. 펌프 케이싱 내에 설치되며 임펠러를 갖는 펌프부와,
    상기 임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전기부가 일체로 된 펌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기부는 하우징을 갖고,
    당해 하우징의 주위에,
    상기 회전 전기부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 본체와,
    상기 회전 전기의 운전 제어를 행하는 제어 기판과,
    인버터의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콘덴서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인버터와, 상기 제어 기판과, 상기 콘덴서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인버터 본체와 상기 콘덴서는,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에 있어서의 임펠러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 전기부의 회전축은 일치하고 있으며,
    펌프 사용 시에는, 상기 회전축은, 펌프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장치는 종치(縱置) 직동형 펌프 장치이며, 상기 펌프 장치의 무게중심(重心)은, 상기 회전 전기부의 회전축 근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주위에, 리액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주위에, 노이즈 필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케이싱 내에 압력 센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본체와, 상기 콘덴서와, 상기 제어 기판은, 상기 회전 전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20. 펌프 케이싱 내에 설치되며 임펠러를 갖는 펌프부와,
    상기 임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전기부가 일체로 된 펌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기부는,
    원통 부분으로 구성되는 하우징을 갖고,
    당해 하우징의 주위에,
    상기 회전 전기부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 본체와,
    상기 회전 전기의 운전 제어를 행하는 제어 기판과,
    인버터의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콘덴서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인버터와, 상기 제어 기판과, 상기 콘덴서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부에 있어서의 임펠러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 전기의 회전축은 일치하고 있으며, 상기 펌프 장치의 무게중심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전기부의 직경의 1/2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21. 펌프 케이싱 내에 설치되며 임펠러를 갖는 펌프부와,
    상기 임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전기부가 일체로 된 펌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기부는,
    원통 부분으로 구성되는 하우징을 갖고, 당해 하우징의 주위에,
    상기 회전 전기부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 본체와,
    상기 회전 전기의 운전 제어를 행하는 제어 기판과,
    인버터의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콘덴서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인버터와, 상기 제어 기판과, 상기 콘덴서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부에 있어서의 임펠러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 전기의 회전축은 일치하고 있으며, 상기 펌프 장치의 무게중심은, 상기 회전 전기의 하우징의 원통 부분의 상부 바닥면의 중심점을 정점으로 하여, 상기 회전 전기부의 직경의 1/2의 원에 의하여 규정되는 원추 내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KR1020137031749A 2011-07-22 2012-04-25 펌프 장치 KR101531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60436A JP5509156B2 (ja) 2011-07-22 2011-07-22 ポンプ装置
JPJP-P-2011-160436 2011-07-22
JP2011160444A JP5792542B2 (ja) 2011-07-22 2011-07-22 ポンプ装置
JPJP-P-2011-160444 2011-07-22
PCT/JP2012/002821 WO2013014832A1 (ja) 2011-07-22 2012-04-25 ポン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440A true KR20140019440A (ko) 2014-02-14
KR101531548B1 KR101531548B1 (ko) 2015-07-06

Family

ID=4760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749A KR101531548B1 (ko) 2011-07-22 2012-04-25 펌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31548B1 (ko)
CN (2) CN103688450B (ko)
WO (1) WO20130148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839A (ko) * 2018-05-15 2019-11-25 주식회사 만도 전동 구동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0508B2 (ja) * 2012-11-14 2017-03-2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ドライバ一体型モータ
CN103671992B (zh) * 2013-12-18 2015-11-18 湖北泰和石化设备有限公司 一种复合散温盘阀盖深冷闸阀
CN105490462B (zh) * 2015-12-23 2018-06-05 卧龙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带智能控制的一体式变频电机系统
CN106122039A (zh) * 2016-07-29 2016-11-16 苏州工业园区驿力机车科技股份有限公司 无刷调速磁力水泵
CN106401987A (zh) * 2016-12-13 2017-02-15 荆门市召铭液压科技有限公司 一种流量可调节消防泵
US10300609B2 (en) * 2016-12-15 2019-05-28 Boston Dynamics, Inc. Motor and controller integration for a legged robot
CN106907312B (zh) * 2017-03-23 2018-10-26 张家港润盛科技材料有限公司 一种小型空气压缩机外壳
JP6655637B2 (ja) * 2018-02-09 2020-02-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回転電機ユニット
CN109026826B (zh) * 2018-09-18 2024-03-29 台州德基水泵科技有限公司 一种降噪自吸泵
JP7280721B2 (ja) * 2019-03-12 2023-05-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モータユニットおよびモータユニットの製造方法
CN110285063A (zh) * 2019-06-28 2019-09-27 盐城市远大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型环保排污节能水泵
JP7350625B2 (ja) * 2019-11-05 2023-09-26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ポンプケーシングおよびポンプ装置
CN111706517A (zh) * 2020-05-27 2020-09-25 湖南耐普泵业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永磁无泄漏泵
CN111828034A (zh) * 2020-07-13 2020-10-27 侯小柱 一种隧道掘进机截割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4168U (ja) * 1992-01-09 1993-10-08 株式会社明電舎 可変速装置組込回転電機
JPH09163681A (ja) * 1995-12-12 1997-06-20 Hitachi Ltd 電気車用回転電機
JP3818213B2 (ja) * 2002-05-01 2006-09-0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動圧縮機
JP3996923B2 (ja) * 2004-12-06 2007-10-24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インバータ駆動電動機、及びインバータ駆動電動機で駆動される機器
CN101341340B (zh) * 2005-12-22 2011-12-28 山本电气株式会社 扁平型无刷电动泵及使用了该电动泵的车辆用电动水泵组
JP4402057B2 (ja) * 2006-02-21 2010-01-20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一体型回転電機
JP2007306741A (ja) * 2006-05-12 2007-11-22 Toshiba Corp 制御装置一体型電動機
JP4874890B2 (ja) * 2007-08-10 2012-0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駆動装置
JP5107133B2 (ja) * 2008-05-14 2012-12-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5215728B2 (ja) * 2008-05-16 2013-06-19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モータ組立体およびポンプ装置
JP5312101B2 (ja) * 2009-03-04 2013-10-0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モータフィン付きのモ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839A (ko) * 2018-05-15 2019-11-25 주식회사 만도 전동 구동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88450A (zh) 2014-03-26
KR101531548B1 (ko) 2015-07-06
CN106953451B (zh) 2020-11-03
CN103688450B (zh) 2016-10-26
CN106953451A (zh) 2017-07-14
WO2013014832A1 (ja) 201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9440A (ko) 펌프 장치
EP3007333B1 (en) Motor apparatus for vehicle
JP5722644B2 (ja) 回転電機
EP3007334B1 (en) Motor apparatus for vehicle
JP5783830B2 (ja) 回転電機
JP5792542B2 (ja) ポンプ装置
CN202840836U (zh) 一种直流无刷电机结构
JP6636911B2 (ja) モーター
EP3806289A1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WO2015181868A1 (ja) 回転電機組立体
JP6739583B2 (ja) ポンプ装置
JP5509156B2 (ja) ポンプ装置
JP6518714B2 (ja) ポンプ装置
JP6302023B2 (ja) 回転電機
JP2021048688A (ja) モータ、電動ポンプ
JP6133941B2 (ja) ポンプ装置
JP6005771B2 (ja) 回転電機組立体
JP4712234B2 (ja) 給水装置
JP2016019399A (ja) 電力変換装置一体型電動機
CN203562888U (zh) 霍尔电路板及电机
CN211908587U (zh) 一种无刷电机结构
TWI589783B (zh) 散熱風扇及具有該散熱風扇的電子裝置
JP2021188545A (ja) 給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