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8700A - 발모촉진/탈모방지용 헤어토닉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모촉진/탈모방지용 헤어토닉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8700A
KR20140018700A KR1020120085241A KR20120085241A KR20140018700A KR 20140018700 A KR20140018700 A KR 20140018700A KR 1020120085241 A KR1020120085241 A KR 1020120085241A KR 20120085241 A KR20120085241 A KR 20120085241A KR 20140018700 A KR20140018700 A KR 20140018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air loss
tonic
scalp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선
Original Assignee
김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선 filed Critical 김병선
Priority to KR1020120085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8700A/ko
Publication of KR20140018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7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모촉진/탈모방지용 헤어토닉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천초 1%, 측백 3%, 흑임자 2%, 석장포 9%, 백두홍 2%, 상업 2%, 감초 2%, 고삼 7%, 반하 1%, 인삼잎 12%, 마늘 2.5%, 다시마 12.5%, 솔잎 2%, 무씨 2%, 우엉근 1.5%, 고추씨 2%, 운모 1%, 반묘 1%, 낭독 2.5%, 천오 1%, 초오 1%, 마황 2%, 백부근 2%, 타삼 8%, 당귀 8%, 홍화 2%, 정향 1%, 백선피 2%, 황백 2%, 오수유 3%의 비율로 분말화하여 혼합재료로 만드는 제1단계와; 상기 혼합재료의 5배에 해당되는 순도 95%의 알콜에 침지시켜 20-24시간 7-10회 고루저어 저온 숙성시켜 혼합용액을 만드는 제2단계와; 상기 혼합용액을 알카리수를 용해시킨 지장수와 1:1 비율로 혼합하여 완성된 헤어토닉을 생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두피에 효과가 있고, 스트레스 해소를 행할수 있는등 다양한 건강기능을 갖는 30여가지의 재료를 통해 두피 표면의 과도한 지방을 제거하고, 산성화된 지방과 땀을 분해시켜 알카리화로 하며, 두피 표면의 모세혈관을 자극하여 원활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고, 인체에 무해한 살균작용의 효과를 얻게됨으로써 발모를 촉진시킬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탈모방지를 행할 수 있게된다.

Description

발모촉진/탈모방지용 헤어토닉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hair growth promotion/hair loss prevention hair tonic.}
본 발명은 발모촉진/탈모방지용 헤어토닉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화에 의한 두피세포의 퇴화나 현대인의 스트레스 기타 두피의 지방질 과다에 의한 산소공급 부족등 다양한 원인에 의한 탈모를 방지하고 특히 발모는 촉진시킬 수 있는 발모촉진/탈모방지용 헤어토닉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모에 의한 대머리의 현상은 인종과 기후, 생활 습성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특히 한국이나 일본, 중국인을 비롯해 중동국가의 사람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러나 인종별 대머리 발생 비율이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는 없으나 기후나 식생활을 비롯한 생활 습성에 따른 요인이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외에도 스트레스나 두피 질환 또는 체온이 높은 체질을 가지고 있는 사람과 비대한 사람에게서 탈모 현상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탈모의 주원인은 특별한 병적인 원인을 제외하면 노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자연적인 현상이라고 받아 들여지고 있으며, 탈모 현상은 외관상의 문제 때문에 큰 고민거리로 등장하고 있으며 탈모로 인한 대머리를 치료, 개선하거나 이미 탈모된 상태에서 발모를 촉진시키기 위한 물질들이 특허 등록되거나 생산, 판매되고 있는 것이다.
종래 알려지고 있는 이러한 물질들은 주로 피부 노화로 인하여 쇠퇴한 모근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하거나 두피의 생체 조직에 활력을 부여하여 모세 혈관의 혈류 유통을 원활하게 만들어 발모력을 재생 및 촉진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들 물질의 주원료는 동의보감이나 기타 한의학 저서로부터 널리 알려져 있는 약재들을 이상적인 혼합이나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조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지고 있는 이들 물질들은 많은 임상 실험과 더불어 여러 가지 탈모증에 사용되어 오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만족할만한 효능을 기대할 수는 없다.
그 이유는 종래 물질들의 효능은 장시간 사용하였을 경우 나타나고 있으며 효능의 정도는 남아있는 머리카락이 약간 굵어지는 정도이며, 대머리 부분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솜털에 가까운 미세한 머리가 돋아나오는 것으로, 만족할 만큼의 효과를 기대할 수가 없는 것이다.
종래 물질에 의한 이와 같은 현상은 모근에 영양 공급이 원활해지면서 남아 있는 머리카락에 윤기가 생기고 굵어지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며 모근 주의의 혈액 순환 촉진으로 인하여 모공이 뚫리거나, 빈약한 상태의 머리카락의 성장 속도가 빨라지는 이유 때문인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효과는 물질의 사용을 중지하면 즉시 머리카락이 빠지게 되고 머리카락이 가늘어지게 되므로 장시간 사용을 지속해야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탈모원인에 따라 원인 제공요소를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그 상태를 완화시키는 것은 물론이며, 건강한 머리카락은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막힌 모공을 뚫어줌으로써 생존한 모근에서 건강한 머리카락이 생겨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발모촉진/탈모방지용 헤어토닉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모촉진/탈모방지용 헤어토닉 제조방법은, 천초 1%, 측백 3%, 흑임자 2%, 석장포 9%, 백두홍 2%, 상업 2%, 감초 2%, 고삼 7%, 반하 1%, 인삼잎 12%, 마늘 2.5%, 다시마 12.5%, 솔잎 2%, 무씨 2%, 우엉근 1.5%, 고추씨 2%, 운모 1%, 반묘 1%, 낭독 2.5%, 천오 1%, 초오 1%, 마황 2%, 백부근 2%, 타삼 8%, 당귀 8%, 홍화 2%, 정향 1%, 백선피 2%, 황백 2%, 오수유 3%의 비율로 분말화하여 혼합재료로 만드는 제1단계와; 상기 혼합재료의 5배에 해당되는 순도 95%의 알콜에 침지시켜 20-24시간 7-10회 고루저어 저온 숙성시켜 혼합용액을 만드는 제2단계와; 상기 혼합용액을 알카리수를 용해시킨 지장수와 1:1 비율로 혼합하여 완성된 헤어토닉을 생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제3단계상에는 용액의 10∼20% 부피비를 갖는 참숯을 침지시켜 참숯에 의한 냄새 제거와 이물질의 흡수 및 멸균 행하는 과정이 포함된 것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두피에 효과가 있고, 혈액순환촉진, 및 기타 스트레스 해소를 행할수 있는등 다양한 건강기능을 갖는 30여가지의 재료를 통해 두피 표면의 과도한 지방을 제거하고, 산성화된 지방과 땀을 분해시켜 알카리화로 하며, 두피 표면의 모세혈관을 자극하여 원활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고, 인체에 무해한 살균작용의 효과를 얻게됨으로써 발모를 촉진시킬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탈모방지를 행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모촉진/탈모방지용 헤어토닉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제조된다.
즉, 천초 1%, 측백 3%, 흑임자 2%, 석장포 9%, 백두홍 2%, 상업 2%, 감초 2%, 고삼 7%, 반하 1%, 인삼잎 12%, 마늘 2.5%, 다시마 12.5%, 솔잎 2%, 무씨 2%, 우엉근 1.5%, 고추씨 2%, 운모 1%, 반묘 1%, 낭독 2.5%, 천오 1%, 초오 1%, 마황 2%, 백부근 2%, 타삼 8%, 당귀 8%, 홍화 2%, 정향 1%, 백선피 2%, 황백 2%, 오수유 3%의 비율로 분말화하여 혼합재료로 만드는 제1단계와; 혼합재료의 5배에 해당되는 순도 95%의 알콜에 침지시켜 20-24시간 7-10회 고루저어 저온 숙성시켜 혼합용액을 만드는 제2단계와; 혼합용액을 알카리수를 용해시킨 지장수와 1:1 비율로 혼합하여 완성된 헤어토닉을 생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각 혼합재료들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천조 : 피부장벽 보호 및 모근 방어력을 증강시킨다.
측백 : 피부 제생과 피부 보호를 통한 탈모 예방과, 혈의 열을 낮추는 기능을 갖는다.
흑임자 : 모발에 영양을 공급한다.
석장포 : 진정,진경완화 해독기능.
백두홍 : 혈액순환촉진을 통해 피를 맑게한다.
상업 : 자율신경계 자극을 통한 체력증간 및 빈혈 방지.
감초 : 해독 및 항염작용을 통해 피를 정화시키는 기능.
고삼 : 두피 세정 및 두피표면에 영양공급 기능.
반하 : 해독작용과 진정제 및 이뇨기능 향상.
인삼잎 : 사포닌 함유하여 이를 두피에 공급함으로써 모근 세포를 활성화 시키는 기능.
마늘 : 혈액순환 촉진, 비타민E 보다 2000배 강한 항산화 효과.
다시마 : 모발에 영양을 공급함에 의한 탈모방지, 모발윤기 향상 및 모발 성장 촉진기능.
솔잎 : 엽록소, 칼슘, 철분, 아미노산, 비타민C 공급을 통한 발모 효과와 오장육부를 편하게 하여 스트레스 해소기능.
무씨 : 무근 혈을 활성하시키고, 빈혈치료 기능.
우엉근 : 정기와 혈의 순환 촉진에 의한 탈모 방지기능.
고추씨 : 신진 대사를 촉진시키고 지방을 분해시키는 것을 통해 모근을 확장시키는 기능.
운모 : 원 적외선 공급에 의한 혈액순환 촉진 및 모공을 튼튼하게 하는 기능.
반묘 : 항암 작용 및 지방분해 및 모근 확장 기능.
낭독 : 염증 제거와 수분 대사를 원활하게 하는 기능.
천오 : 모근 혈류 확장 및 항염 그리고 혈류증강 기능.
초오 : 혈류 증강 및 종기 방지, 해독 기능.
마황 : 열을 내리고 땀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
백부근 : 피부병 방지 및 모근확장 그리고 약리작용을 증강시키는 기능.
타삼 : 심혈관 질환방지 및 모세혈관 보호와 혈액순환 촉진.
당귀 : 혈액순환 촉진 및 피를 정화시키는 기능.
홍화 : 혈액순환 촉진 및 몸 보호
정향 : 발기부전증 치료 및 체력 증강. 항 고 지혈증 기능.
백선피 : 모공을 튼튼히하고 피부를 보호하며, 봉황삼은 모근에 탁월환 효과를 발휘함.
황백 : 모근 보호 및 피부진정기능.
오수유 : 혈액순환 촉진, 심혈관질환 방지, 항염증 작용기능.
한편, 상술한 알카리수는, 흑임자를 분말화하여 상백피를 넣고 삶은 후 흑임자와 상백피 혼합물의 약 30%에 해당하는 끓인 막걸리와 엿기름을 고루 혼합 교반하여 저장 용기에 넣고 7일간 숙성시켜 침전물을 제거하여 얻어지는 것이며, 지장수는, 황토흙에, 황토흙의 2-3배에 해당하는 정수된 자연수를 혼합하여 48시간 동안 침전시키켜 얻어지는 물이 지장수로서 지장수에는 황토흙에서 추출된 원적외선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알카리 수와 지장수를 1:2의 비율로 배합한 혼합물에 은을 용해시켜 독성을 제거한 후 원료에서 추출된 혼합용액을 혼합비가 1:1이 되도록 혼합하여 혼합된 용액에 용액의 10∼20% 부피비를 갖는 참숯을 침지시켜 참숯에 의한 냄새 제거와 이물질의 흡수 및 멸균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면, 완성된 헤어토닉을 얻게되는 것이다.
이러한 헤어토닉의 사용은 1일 1-2회 정도 두피에 도포한 다음 가볍게 문질러서 사용하는 것이며, 머리를 감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하더라도 세정효과와 이물질 제거 효과가 뛰어나므로 효능에는 큰 차이가 없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천초 1%, 측백 3%, 흑임자 2%, 석장포 9%, 백두홍 2%, 상업 2%, 감초 2%, 고삼 7%, 반하 1%, 인삼잎 12%, 마늘 2.5%, 다시마 12.5%, 솔잎 2%, 무씨 2%, 우엉근 1.5%, 고추씨 2%, 운모 1%, 반묘 1%, 낭독 2.5%, 천오 1%, 초오 1%, 마황 2%, 백부근 2%, 타삼 8%, 당귀 8%, 홍화 2%, 정향 1%, 백선피 2%, 황백 2%, 오수유 3%의 비율로 분말화하여 혼합재료로 만드는 제1단계와;
    상기 혼합재료의 5배에 해당되는 순도 95%의 알콜에 침지시켜 20-24시간 7-10회 고루저어 저온 숙성시켜 혼합용액을 만드는 제2단계와;
    상기 혼합용액을 알카리수를 용해시킨 지장수와 1:1 비율로 혼합하여 완성된 헤어토닉을 생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 탈모 방지용 헤어토닉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상에는 용액의 10∼20% 부피비를 갖는 참숯을 침지시켜 참숯에 의한 냄새 제거와 이물질의 흡수 및 멸균 행하는 과정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탈모 방지용 헤어토닉 제조방법.
KR1020120085241A 2012-08-03 2012-08-03 발모촉진/탈모방지용 헤어토닉 제조방법 KR20140018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241A KR20140018700A (ko) 2012-08-03 2012-08-03 발모촉진/탈모방지용 헤어토닉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241A KR20140018700A (ko) 2012-08-03 2012-08-03 발모촉진/탈모방지용 헤어토닉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700A true KR20140018700A (ko) 2014-02-13

Family

ID=5026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241A KR20140018700A (ko) 2012-08-03 2012-08-03 발모촉진/탈모방지용 헤어토닉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87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7371A (zh) * 2014-05-12 2014-08-13 谢桂斌 一种治疗脱发的药物
KR20220010101A (ko) 2020-07-17 2022-01-25 양승원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흰머리 억제 조성물
KR20220059148A (ko) 2020-11-02 2022-05-10 양승원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a에 의한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7371A (zh) * 2014-05-12 2014-08-13 谢桂斌 一种治疗脱发的药物
KR20220010101A (ko) 2020-07-17 2022-01-25 양승원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흰머리 억제 조성물
KR20220059148A (ko) 2020-11-02 2022-05-10 양승원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a에 의한 모발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052B1 (ko) 천연 생약 발효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100870253B1 (ko) 샴푸
KR20130086682A (ko) 골장회복 하수오와 홍삼녹용과 오가피등 100가지한약재 추출물 드링크제 및제조 방법
JP5646117B2 (ja) 発毛促進剤及び製造方法
KR20020084718A (ko) 발모촉진과 탈모 예방 및 두피 세정을 목적으로 하는 헤어토닉의 제조 방법
CN105394699A (zh) 五味调味品
KR20100022137A (ko) 녹용을 포함하는 발효 한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방지용 화장품 샴푸 제조방법 및 샴푸
KR101711134B1 (ko) 발모촉진제 제조방법
KR20090012565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40024144A (ko) 발모촉진/탈모방지제 제조방법
CN105614719A (zh) 一种美白祛斑的阿胶糕及其制备方法
KR20140018700A (ko) 발모촉진/탈모방지용 헤어토닉 제조방법
KR101438392B1 (ko) 발모촉진/탈모방지용 샴프 제조방법
CN101816356A (zh) 一种美容养颜的代用茶及其制作方法
KR101715076B1 (ko) 석창포를 주재료로 하는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7155A (ko) 원적외선수가 포함되는 발효 흑한방약재 제조방법
CN105410716A (zh) 一种美白祛斑的猪肚药膳及其制备方法
CN106177192B (zh) 一种双组分用于治疗头油与头屑的复方药物及其制备方法
KR101685686B1 (ko) 천일염을 이용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CN106176477A (zh) 一种护肤霜
KR20200017106A (ko)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70686A (ko) 발모 촉진 및 탈모 예방용 외용제의 제조 방법
CN103830142A (zh) 一种滋养美白中药面膜及其制备方法
KR100729446B1 (ko) 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50130858A (ko) 탈모 방지 기능을 구비한 황칠 음료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