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101A -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흰머리 억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흰머리 억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101A
KR20220010101A KR1020200088591A KR20200088591A KR20220010101A KR 20220010101 A KR20220010101 A KR 20220010101A KR 1020200088591 A KR1020200088591 A KR 1020200088591A KR 20200088591 A KR20200088591 A KR 20200088591A KR 20220010101 A KR20220010101 A KR 20220010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lex extract
hair
extract
fruit
coleus forskohli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4089B1 (ko
Inventor
양승원
Original Assignee
양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원 filed Critical 양승원
Priority to KR1020200088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089B1/ko
Publication of KR20220010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유열매(Evodia Rutaecarpa Fruit)와 콜레우스 포스콜리(Coleus Forskohlii)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복합 추출물은 탈모를 방지하고 흰머리 발생을 억제한다.

Description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흰머리 억제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Evodia Rutaecarpa Fruit and Coleus Forskohlii}
본 발명은 오수유열매(Evodia Rutaecarpa Fruit)와 콜레우스 포스콜리(Coleus Forskohlii)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 및 흰머리의 모발 상태는 외모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므로 사회적·심리적 측면에서 해결해야 하는 시급한 과제이다.
탈모의 원인이 노화에서 비롯되는 것은 사실이나 최근에는 스트레스, 불규칙한 식생활습관, 다이어트나 인스턴트 식품 섭취에서 비롯된 영양 불균형과 질병, 출산, 호르몬 불균형 등이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난다.
남성형 탈모증(androgen alopecia)은 안드로겐 호르몬인 testosterone과 dihydrotestosterone 중 dihydrotestosterone 이 많이 나타나는 경우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estosterone은 5α -reductase에 의해 dihydrotestosterone으로 전환 되므로 5α-reductase가 많은 경우 탈모증이 발생할 수 있다(Park et al., 2003; Park et al., 2006; Liu et al., 2006).
탈모증의 개선과 치료를 위해 Food and Drug Administration(FDA, USA)로부터 공인 받은 모발 성장 촉진제로는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와 마이녹실(minoxidil) 두 종류뿐이다.
피나스테라이드의 작용기전은 5α -reductase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탈모증상이 개선되는 것으로 보고된 반면, 마이녹실의 작용 기전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지만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의 발현 유도 및 혈관확장을 통해 영양 공급 및 혈관내피세포와 평활근세포 활성화하여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발모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mamoto et al., 1989)
그러나 탈모 치료제를 장기간 복용할 경우 피부염증, 가려움증(pruritus), 홍반(erythema), 표피 벗겨짐(scaling)과 건성화(dryness), 남성 성기능 장애, 기형아 출산 등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어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천연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Mackay et al., 1981; Hageman et al., 2005).
한편, 산화적 스트레스는 멜라닌이 합성될 때 멜라닌 세포의 핵과 미토콘드리아 DNA에 돌연변이를 생성하여 흰머리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한편으로는 정상적인 모발의 모구에서 멜라닌 세포가 감소 함으로써 흰머리가 발생되는데 일반적으로 측두부에서 후두부로 진행되며 특히, 흑색 모발을 지진 동양인에게 흰머리는 더욱 도드라져 보이므로 심리적으로나 미용적으로 문제가 될 소지가 매우 크다.
흰머리를 커버하기 위하여 염모제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영구적이지 않을뿐더러 암모니아 등 유해 화학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모발과 두피에 손상을 주거나 자극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흰머리 감소에 효과를 지닌 천연물 연구를 통한 멜라닌의 증가를 유도하는 방안이 요구되며, 이를 응용한 제품화는 흰머리 증가로 인한 소비자들의 고민 해결을 위해 필요하다.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2014-0018700호 (2014년 2월 13일 공개)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및 흰머리 억제 효과가 있는 오수유열매(Evodia Rutaecarpa Fruit)와 콜레우스 포스콜리(Coleus Forskohlii)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오수유열매(Evodia Rutaecarpa Fruit)와 콜레우스 포스콜리(Coleus Forskohlii)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탈모를 방지하고 흰머리 발생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2:8 내지 8:2중량비의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를 에탄올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포함 외용제로서 샴푸, 스프레이, 헤어트리트먼트, 염모제, 육모제, 양모제, 팩, 로션, 에센스, 크림, 연고, 겔, 아이 섀도, 아이 라이너, 파우더, 클렌저, 비누 및 코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수유열매(Evodia Rutaecarpa Fruit)와 콜레우스 포스콜리(Coleus Forskohlii)의 복합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2:8 내지 8:2중량비의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를 에탄올 추출하여 얻었으며, 상기 복합 추출물은 탈모를 방지하고 흰머리 발생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복합추출물은 동결건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오수유열매(Evodia Rutaecarpa Fruit)와 콜레우스 포스콜리(Coleus Forskohlii)의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2:8 내지 8:2중량비의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의 혼합 분말을 에탄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에탄올 추출은, 상기 혼합 분말 100g당 에탄올 500ml 내지 2,000m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일 내지 4일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어 수행하며, 상기 에탄올 추출 이후, 상기 추출액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층액을 여과한 다음 농축하는 단계; 농축액에 유기용매를 가하여 수지 및 섬유질 등을 용출시키고 유기 용매층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남은 층을 회수하여 60℃ 내지 80℃로 가온하고 상기 혼합 분말 100g 당 탈크 50g 내지 200g을 가하여 교반한 후 감압여과로 탈크를 제거하고 여액을 원심분리한 다음 상층액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복합추출물은 샴푸, 스프레이, 헤어트리트먼트, 염모제, 육모제, 양모제, 팩, 로션, 에센스, 크림, 연고, 겔, 아이 섀도, 아이 라이너, 파우더, 클렌저, 비누 및 코롱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 제조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모 방지 및 흰머리 억제 효과가 있는 오수유열매(Evodia Rutaecarpa Fruit)와 콜레우스 포스콜리(Coleus Forskohlii)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도 1은 실험예에서 5α-환원효소 억제 활성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실험예에서 tyrosinase 활성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실험예에서 멜라닌 합성량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실험예에서 세포생존율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실험예에서 흰머리 억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흰머리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 추출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복합추출물은 탈모를 방지하고 흰머리를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인체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오수유 열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수유 열매는 납작한 구형 또는 일부 오각형 모양을 한 납작한 구형이고, 지름 2.5∼ 5 mm, 바깥면은 어두운 갈색 ∼회갈색이며 유실에 의한 오목한 작은 점이 많다. 한방에서는 건위나 식욕항진제제로 쓰이고, 또는 체내에 남아있는 여분의 수분 때문에 일어나는 위통, 두통, 구토 등에 쓰이는 생약이다.
주성분은 evodiamine, rutaecarpine으로 대한민국 약전에 evodiamine, rutaecarpine 합으로 0.1% 이상 함량기준이 설정 되어있다. 연구된 약리작용으로는 항염증, 항알러지, 혈행개선, 간보호 등의 효과가 보고되어 있으며(식품의약품안전처, 생약연구과), 화장품의 용도로는 항산화 효과에 의한 피부컨디셔닝제로 사용되고 있다(대한화장품협회, 성분사전).
콜레우스 포스콜리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콜레우스 포스콜리는 인도지역을 중심으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온 약용식물로 뿌리부분을 주로 사용한다. 전통적으로 심장질환, 피부질환, 호흡기 및 녹내장 등 다양한 질환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어 왔다.
주요성분은 Foskolin이고 체지방 감소효과가 인정되어 해외 및 국내에서는 다이어트 소재로 판매되고 있으며(식품의약품안전처, 생리활성2등급), 피부미용과 관련하여 최근 연구로는 자외선 차단효과 등이 보고 되었다(Pigment-independent cAMP-mediated epidermal thickening protects against cutaneous UV injury by keratinocyte proliferation, Timothy L. etcs, Exp Dermatol, 2012).
복합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하에 설명은 분말 100g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건조된 오수유열매와 건조된 콜레우스 포스콜리를 분쇄기로 분쇄한다.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의 중량비는 2:8 내지 8:2일 수 있다.
제조한 분말 100g에 에탄올 500ml 내지 2,000m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일 내지 4일 추출한 후 추출액을 얻고 잔사는 제거한다.
추출액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층액을 여과한 다음 전량의 부피가 에탄올 사용부피의 30 내지 70%가 되도록 농축한다.
농축액을 분획 깔대기에 넣고 헥산 50ml 내지 300ml를 가하여 수지 및 섬유질 등을 용출시키고 유기 용매층을 분리하여 제거한다.
남은 층을 회수하여 60℃ 내지 80℃로 가온하고 탈크 50g 내지 200g을 가하여 교반한 후 감압여과로 탈크를 제거하고 여액을 원심분리한 다음 상층액을 동결건조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한다.
이하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1)시료의 제조
①오수유열매추출물 및 콜레우스 포스콜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오수유열매와 건조된 콜레우스 포스콜리를 각 각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 500g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분말 500g에 정제수 5,000ml를 각각 가하여 증기압 121℃, 15lb/in2 하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한 후 추출액을 얻고 잔사는 제거하였다.
추출액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층액을 여과한 다음 전량이 2,500ml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분획 깔대기에 넣고 헥산 600ml를 가하여 수지 및 섬유질 등을 용출시키고 유기 용매층을 분리하여 제거하였다.
남은 층을 회수하여 70℃로 가온하고 탈크 500g을 가하여 교반한 후 감압여과로 탈크를 제거하고 여액을 원심분리한 다음 상층액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된 오수유열매추출물과 콜레우스 포스콜리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②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 혼합물의 물 추출물 제조
건조된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를 6:4의 중량비율로 섞은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을 획득하였다.
분말 500g을 취하여 ①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수유열매추출물과 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 물추출물을 제조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③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 혼합물의 에탄올 추출물 제조
건조된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를 6:4의 중량 비율로 섞은 후 분쇄하여 분말을 획득하였다.
분말 중 500g을 취하여 에탄올 5,000m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2일 동안 추출한 후 ①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수유열매추출물과 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 물추출물을 제조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2) 시료의 평가
① 5α-환원효소 억제 활성
<실험방법>
·5α-Reductase의 조제
Sprague-Dawley계 7 주령 된 성숙한 암컷 흰쥐를 에테르로 호흡 마취하여 희생한 후 간을 절취하여 phosphate-buffered saline(PBS)로 3희 세척한 후 3 ~4배 용량의 ice-cold buffer(50 mM Na2HPO4, 0.25 M sucrose)에서 Pyrex-glass homogenizer로 간세포를 분쇄한 현탁액을 조제하였다.
이 현탁액으로부터 5α-reductase를 분리하기 위하여 현탁액을 초음파분쇄 (ultrasonication, 5 min)한 후 원심분리(15,000 rpm, 4°C, 5 min)하여 상등액을 취하였다.
얻어진 현탁액의 단백질 정량은 Bradford method로 수행되었고 ELISA reader률 사용하여 단백질 양을 산정하였다.
· 활성억제효과 평가
단백질 현탁액에 농도별로 시험물질을 첨가한 반응 용액(200ul)을 37℃ 배양조에서 10 분간 반응한 후 350ul의 반응종결시액 (70% cyclohexane, 30% ethylacetate)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반응종결된 시액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취하여 hood에서 하루 방치한 후 반응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chloroform 20ul에 녹여 이를 TLC plate(Merck silika plastic sheet kieselgel 60F254, USA)상에 점적하였다.
TLC chamber에서 30분 간 전개 (전개용매 (toluene: acetone= 1 : 4)한 후 전개 된 plate률 감광필름에 3일 동안 방치하여 감광 된 면적을 densitometer(Imagemaster, Pharmacia Biotech, England)로 측정하였다.
5α-reductase의 활성억제 활성은 아래와 같이 계산하였다.
5α-reductase 활성억제율 (%) = [(A-B)/A]x 100
A=시험물질 미첨가 시 testosterone의 dihydrotestosterone 전환율
B=시험물질 첨가 시 testosterone의 dihydrotestosterone 전환율
실험결과는 도 1과 같다.
실험결과 오수유열매추출물, 콜레우스 포스콜리추출물 및 오수열매+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추출물(물)은 5α-reductase에 대한 억제활성이 대부분 50% 미만으로 미미하였다.
반면, 오수유열매+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 추출물(에탄올)의 경우, 5α-reductase에 대해 70%이상의 억제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100ug/ml에서 피나스테라이드의 억제활성 98.8%에 거의 육박하는 97.6%의 우수한 억제활성을 보여 주었다.
② Tyrosinase 활성 측정
<실험방법>
세포내 tyrosinase 활성은 Martinez-Esparza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6 cm 배양용기에 B16F10 세포를 3x104 개씩 분주한 후, 오수유열매+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추출물(에탄올)을 25, 50, 100 ㎍/㎖씩 처리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로 2회 세척하고, 5 mM EDTA가 포함된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SPB, pH 6.8)에 1 %(V/V) triton X-100과 0.1 % (V/V) 0.1 M PMSF를 혼합한 lysis buffer를 분주하였다.
세포를 수거하여 얼음에서 30분간 용해한 다음 -4℃, 15,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한 후 얻은 상층액을 사용하여 단백질 정량을 수행하였다.
bradford 시약으로 59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동량의 단백질 양을 계산하여 0.1 M SPB (pH 6.8)의 총량이 150 ㎕이 되도록 분주한 다음 0.1 % (W/V) L-DOPA를 50 ㎕씩 분주하여 37 ℃에서 30분 반응하여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실험결과는 도 2와 같다.
오수유열매+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추출물(에탄올)은 25 ㎍/㎖에서는 102 %, 50 ㎍/ ㎖에서는 113 %, 100 ㎍/㎖ 에서는 127 %로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활성을 증가시켰다.
③멜라닌 합성량 측정
멜라닌 정량은 Hosei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10 cm 배양용기에 1x105 개씩 분주하여 2일간 배양한 후, 오수유열매+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추출물(에탄올)을 25, 50, 100 ㎍/㎖ 씩 처리한 다음 3일간 배양하였다.
각 군당 2x106 개씩 수거하여 lysis buffer(5 mM EDTA, 0.1 M SPB(pH 6.8), 1 % triton X-100)로 세포를 용해하였다.
원심분리하여 얻은 세포 침전물을 알코올로 세척한 후 10 % DMSO가 첨가된 1N NaOH 용액으로 90 ℃에서 1시간 용해 후 475 nm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실험결과는 도 3과 같다.
오수유열매+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추출물(에탄올)은 25㎍/㎖에서 110%, 50㎍/㎖에서 123%, 100㎍/㎖에서 155%로 멜라닌 합성량을 증가시켰다.
④세포 생존율 측정
<실험방법>
세포생존율은 24-well 배양 용기에 2x104 개씩 분주하고 72시 간 배양 후 오수유열매+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추출물(에탄올)을 25, 50, 100, 150 ㎍/㎖ 농도로 처리한 다음 37℃, 5 % CO2 하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100 ㎕의 MTT 용액을 넣어 4시간 반응한 다음 상층액을 제거한 후 DMSO 1 ㎖ 첨가한 다음 ELISA reader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결과는 도 4와 같다.
오수유열매+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추출물(에탄올)의 세포생존율은 25㎍/㎖, 50㎍/㎖, 100㎍/㎖, 150㎍/㎖에서 대조군에 비해 99.3%, 99.4%, 99.5%, 85.7%의 생존율을 보였다.
⑤흑모 유발에 대한 임상평가
흰머리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오수유열매+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추출물(에탄올) 함유 헤어스프레이를 제조하여, 흰머리 증상을 가지는 50대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1개월 동안 1일 2회 두피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헤어스프레이 조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성분 함량(%)
오수유열매+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 추출물 3.0
글리세린 3.5
라우릴글리코사이드 1.0
에틸헥실글리세린 0.2
헥산디올 4.5
정제수 to 100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 전후에 현저하게 흰머리가 억제되고 흑모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결과와 같이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 에탄올 복합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5-reductase 활성을 상당히 억제하였고, 세포내의 tyrosinase 활성과 멜라닌 합성을 증가하는 반면, 세포독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추출물은 두피 및 모발에 적용할 수 있는 안전한 천연소재이면서, 구성 성분들 간의 상승작용으로 효과를 극대화하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근간으로 모발의 성장 및 흰머리 개선용 제품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은 다양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은 화장품 포함 외용제로서 샴푸, 스프레이, 헤어트리트먼트, 염모제, 육모제, 양모제, 팩, 로션, 에센스, 크림, 연고, 겔, 아이 섀도, 아이 라이너, 파우더, 클렌저, 비누 및 코롱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은 식품 중에서 정제, 캡슐, 분말, 겔, 환제, 액제, 과립, 편상, 페이스트, 시럽, 젤리, 바 및 필름에 포함될 수 있다.

Claims (8)

  1. 오수유열매(Evodia Rutaecarpa Fruit)와 콜레우스 포스콜리(Coleus Forskohlii)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탈모를 방지하고 흰머리 발생을 억제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2:8 내지 8:2중량비의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를 에탄올 추출하여 얻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포함 외용제로서 샴푸, 스프레이, 헤어트리트먼트, 염모제, 육모제, 양모제, 팩, 로션, 에센스, 크림, 연고, 겔, 아이 섀도, 아이 라이너, 파우더, 클렌저, 비누 및 코롱 중 어느 하나인 조성물.
  4. 오수유열매(Evodia Rutaecarpa Fruit)와 콜레우스 포스콜리(Coleus Forskohlii)의 복합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2:8 내지 8:2중량비의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를 에탄올 추출하여 얻었으며, 상기 복합 추출물은 탈모를 방지하고 흰머리 발생을 억제하는 복합추출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동결건조되어 있는 복합추출물.
  6. 오수유열매(Evodia Rutaecarpa Fruit)와 콜레우스 포스콜리(Coleus Forskohlii)의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2:8 내지 8:2중량비의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의 혼합 분말을 에탄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추출은, 상기 혼합 분말 100g당 에탄올 500ml 내지 2,000m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일 내지 4일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어 수행하며,
    상기 에탄올 추출 이후,
    상기 추출액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층액을 여과한 다음 농축하는 단계;
    농축액에 유기용매를 가하여 수지 및 섬유질 등을 용출시키고 유기 용매층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남은 층을 회수하여 60℃ 내지 80℃로 가온하고 상기 혼합 분말 100g 당 탈크 50g 내지 200g을 가하여 교반한 후 감압여과로 탈크를 제거하고 여액을 원심분리한 다음 상층액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의 방법에 따라 얻은 복합 추출물이며,
    샴푸, 스프레이, 헤어트리트먼트, 염모제, 육모제, 양모제, 팩, 로션, 에센스, 크림, 연고, 겔, 아이 섀도, 아이 라이너, 파우더, 클렌저, 비누 및 코롱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 제조용 복합추출물.
KR1020200088591A 2020-07-17 2020-07-17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흰머리 억제 조성물 KR102444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591A KR102444089B1 (ko) 2020-07-17 2020-07-17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흰머리 억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591A KR102444089B1 (ko) 2020-07-17 2020-07-17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흰머리 억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101A true KR20220010101A (ko) 2022-01-25
KR102444089B1 KR102444089B1 (ko) 2022-09-16

Family

ID=80049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591A KR102444089B1 (ko) 2020-07-17 2020-07-17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흰머리 억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0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19A (ja) * 1984-06-14 1986-01-07 Osaka Chem Lab 育毛養毛食品
JPH09157138A (ja) * 1995-12-07 1997-06-17 Lion Corp 養育毛剤
KR20140018700A (ko) 2012-08-03 2014-02-13 김병선 발모촉진/탈모방지용 헤어토닉 제조방법
WO2019012513A1 (en) * 2017-07-14 2019-01-17 Life Science Investments Lt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OLEUS FORSKOHLII AND WESTERN CASSIA AND / OR CASSIA ALATA, AND COMPOSITION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VITILIG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19A (ja) * 1984-06-14 1986-01-07 Osaka Chem Lab 育毛養毛食品
JPH09157138A (ja) * 1995-12-07 1997-06-17 Lion Corp 養育毛剤
KR20140018700A (ko) 2012-08-03 2014-02-13 김병선 발모촉진/탈모방지용 헤어토닉 제조방법
WO2019012513A1 (en) * 2017-07-14 2019-01-17 Life Science Investments Lt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OLEUS FORSKOHLII AND WESTERN CASSIA AND / OR CASSIA ALATA, AND COMPOSITION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VITILIG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089B1 (ko)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3963B2 (ja) エストロゲン様作用剤、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線維芽細胞増殖剤
KR101274868B1 (ko) 멍게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CA2652308A1 (en) Use of ginsenosides and extracts containing them
KR20110073570A (ko) 강심 배당체의 추출방법 및 조성물
KR101861043B1 (ko) 낙지다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24628B1 (ko)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130039145A (ko) 인삼 및 톳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220122453A (ko) 산삼배양근추출물 제조방법과 산삼배양근 추출물로부터 수득한 진세노사이드복합물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35302A (ko) 홍삼박 또는 여정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조성물
KR20160040969A (ko) 알파인 웜우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JP6338107B2 (ja) 皮膚バリア機能改善剤、細胞間接着構造の形成促進剤、タイトジャンクション形成促進剤及びtrpv4遺伝子の発現亢進剤
US20240115642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milk thistle flowe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R102444089B1 (ko) 오수유열매와 콜레우스 포스콜리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흰머리 억제 조성물
WO2016056780A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541470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111177B1 (ko) 피부노화 방지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1215882A1 (ko)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212343B1 (ko) 마리안 플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보습용 조성물
KR102047461B1 (ko)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90130543A (ko)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90124351A (ko)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6378968B2 (ja) 美白用組成物
JP2011231056A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及び保湿剤
TW202329980A (zh) 育髮促進用組合物
KR20240062623A (ko) 황벽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당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