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997A -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997A
KR20140017997A KR1020120085184A KR20120085184A KR20140017997A KR 20140017997 A KR20140017997 A KR 20140017997A KR 1020120085184 A KR1020120085184 A KR 1020120085184A KR 20120085184 A KR20120085184 A KR 20120085184A KR 20140017997 A KR20140017997 A KR 20140017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put device
path
microphon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8374B1 (ko
Inventor
차광환
이재철
윤병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5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374B1/ko
Priority to CN201310334331.4A priority patent/CN103581393B/zh
Priority to EP13179083.4A priority patent/EP2693309B1/en
Priority to US13/957,860 priority patent/US9397716B2/en
Publication of KR20140017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53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n acoustic labyrinth or a transmission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송수신모듈 및 하우징과 송수신모듈 사이에 제공되어, 송수신모듈로 소리를 전달하는 소리전달부를 포함하고, 소리전달부는 송수신모듈과 연결되어 소리를 제공하는 유입부와, 유입부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경로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 모듈을 내장한 입력장치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며, 마이크 모듈로 소리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동통신 기능, 전자수첩 기능, 인터넷 접속, 멀티미디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흔히 스마트 폰이라 불리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하나에 다양한 기능이 집약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을 주된 용도로 사용되던 휴대용 단말기가 보편화됨과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상용화되면서, 휴대용 단말기에는 다양한 입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들과 단말기의 소형 경량화 추세가 서로 맞물리면서, 휴대용 단말기에 터치 스크린을 채용함으로써 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시에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의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 예를 들면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된다. 즉,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입력장치에서 ‘팁(tip’)이라고 불리워지는 조작부재가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면, 그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가 구동되거나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입력된다. 그러나, 상기에서도 잠깐 언급하였듯이,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은 커지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휴대하면서 멀티미디어 기능을 사용하는 것은 용이하나, 통화를 위한 사용은 그 크기로 인하여 불편함을 가중하게 되었다. 이에,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통화기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무선 근거리 통신에 기반한 블루투스 등의 무선 헤드 셋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그러나, 무선 헤드 셋의 경우, 휴대용 단말기와 별도로 휴대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입력장치를 별도로 휴대해야 하기 더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고자, 입력장치와 무선 헤드 셋을 일체화하려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입력 및 통신을 함께 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되는 입력장치(10)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내측에 제공되고, 터치패널(미도시)에 입력을 구현하는 입력모듈(12)과, 입력모듈(12)에 이웃하게 형성되고, 통화를 구현하는 송수신모듈(13)이 제공된다. 입력모듈(12)은 하우징(11)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터치패널과 접촉되는 조작부재를 기점으로 하우징(11)의 내측 일부분까지 실장된다. 송수신모듈(13)은 입력모듈(12)에 이웃하여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하고, 하우징(11)의 내측에 제공된다. 또한, 송수신모듈(13)로 송, 수신을 위해 하우징에는 송수신모듈(13)의 마이크(14)와 리시버(미도시)의 위치에 맞물리게 마이크 홀(11a)과, 리시버 홀(15)이 형성된다. 특히, 마이크 홀(11a)은 송수신모듈(13)이 장착되는 위치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 구체적으로, 마이크 홀(11a)은 입력모듈(12)과 송수신모듈(13)이 대향하는 위치에 근접하여 하우징(11) 상에 형성된다. 즉, 하우징(11)의 중앙에 근접하게 마이크 홀(11a)이 형성된다. 리시버 홀(15)은 하우징(11)의 상측 단부 측에 제공된다.
그러나 입력장치(10)는 휴대용 단말기에 장치로서, 그 크기는 사용자가 잡고 사용할 수 있는 pen과 유사한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하우징(11) 내측에 입력모듈(12) 및 송수신모듈(13)이 함께 제공됨으로써, 송수신모듈(13)은 상대적으로 하우징(11)의 후면측에 제공된다. 이에, 마이크 홀(11a)과 리시버 홀(15)은 그 사이 거리가 근접하게 형성되고, 리시버 등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인접한 마이크 홀(11a)을 통해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마이크 홀(11a)은 입력장치(10)의 중앙부에 인접하게 제공됨으로써, 입력장치(10)를 통해 송수신을 하는 경우, 마이크 홀(11a)의 위치에 사용자의 손이 용이하게 잡히는 부분으로, 마이크 홀(11a)이 손에 의해 막히거나 일부 가려지게 된다. 이에, 마이크 홀(11a)을 통해 마이크 모듈로 소리가 전달되지 못하게 되며, 이에 송신 효과가 저하되며, 마이크(14)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 홀(11a)의 위치는 리시버 홀(15)이 귀에 맞물림 시 사용자의 뺨에 위치되는데, 이에, 마이크 홀(11a)이 뺨에 막히거나, 일부 가려짐으로써 사용자의 소리가 마이크 홀(11a)로 유입되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에 송신효과가 떨어지는 것은 물론 마이크(13)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마이크 모듈이 함께 내장된 입력장치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마이크 모듈로 소리가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송수신모듈;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송수신모듈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송수신모듈로 소리를 전달하는 소리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전달부는 상기 송수신모듈과 연결되어 소리를 제공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경로부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전면부분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입력을 구현하는 입력모듈이 실장되고, 상기 입력모듈의 후면에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 후면부분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하는 상기 송수신모듈이 실장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경로부들과 연결되어 소리를 상기 경로부들로 유입시키는 마이크 홀부가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로부는, 상기 유입부와 관통되며 상기 유입부에 연결되는 제1소리경로; 및 상기 제1소리경로와 이웃하며, 상기 제1소리경로와 연결됨은 물론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는 제2소리경로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 홀부는, 상기 제1소리경로의 단부에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소리경로와 연결되는 제1마이크 홀; 및 상기 제1마이크 홀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2소리경로와 맞물리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마이크 홀이 제공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 부재는 상기 송수신 모듈의 하단부 일면에 실장되고, 상기 소리전달부는 상기 송수신모듈의 하단부로 상기 마이크 부재의 후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실장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수신모듈의 단부에는 리시버 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리시버 부재와 맞물려 상기 리시버 부재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외부로 제공하는 리시버 홀이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소리경로는 상기 리시버 부재와 동일선상 또는 상기 리시버 부재의 동일선상을 기준으로 상기 리시버 부재의 동일선상의 양측 90도 이내에 위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소리경로는 상기 리시버 부재의 동일선상을 기준으로 상기 리시버 부재의 동일선상의 양측 90도 이상에 위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 홀부와 상기 리시버 홀부의 이격거리는 50mm 이내에 제공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리전달부는 러버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장치는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는,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 내측에 제공되고, 마이크 부재 및 리시버 부재가 실장되어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구현하는 송수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 부재로소리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경로부를 형성하는 소리전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리전달부는, 상기 마이크 부재에 소리를 전달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에 연결되고, 상기 유입부로 소리를 제공하게 복수개의 소리경로들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리경로들은 상기 유입부를 기점으로 서로 연결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리경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리시버 부재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거나, 상기 리시버 부재의 동일선상을 기준으로 상기 동일선상의 양측으로 90도 이내에 위치되며, 상기 소리경로의 나머지는 상기 리시버 부재의 동일선상의 양측으로 90도 이상에 위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 부재와 상기 리시버 부재의 이격거리는 50mm 이내에 제공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리경로들은, 상기 유입부의 측면부에 관통되어, 상기 유입부 측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제1소리경로; 및 상기 제1소리경로에 이웃하며, 상기 유입부에 관통되며, 상기 유입부 측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제2소리경로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장치에는 상기 입력모듈 및 상기 송수신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이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소리경로들에 맞물려 상기 소리경로들로 소리를 유입시키는 마이크 홀부들과, 상기 리시버 부재에 맞물려 상기 리시버 부재의 소리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리시버 홀이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리전달부는 러버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는, 특히 입력과 송수신을 같이 겸용할 수 있는 입력장치에, 마이크 부재로 소리를 유입시키는 소리 경로를 적어도 두 개 이상 서로 연결 가능하게 제공함으로써, 소리가 마이크 부재로 유입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하나의 마이크 홀이 막혀 막혀진 마이크 홀과 연결되는 소리경로로 소리가 유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도, 마이크 부재로 연결되는 다른 소리 경로 및 마이크 홀을 통해 소리가 마이크 모듈로 유입될 수 있어 송신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소리경로는 리시버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거나, 리시버 부재를 기준으로 90도 근방에 설치됨으로써, 마이크 부재의 음량 조절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제2소리경로는 리시버 부재의 위치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90도 이상 벌어진 위치에 제공되어 리시버 부재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반사 입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복수개의 소리의 유입경로를 통해 하나의 소리 경로보다 많은 소리가 유입될 수 있어, 소리 적음의 문제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되는 입력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간략하게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개시되 입력장치의 하우징만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 개시된 입력장치의 결합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3에 개시된 입력장치에 제공되는 송수신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C부분 배면 확대도.
도 9는 도 8에서 장착홈에서 소리전달부가 분리된 상태를 확대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소리전달부를 절단하여 내측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보조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1이나, 2 등과 같은 서수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동일한 명칭의 대상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그 순서는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후순위의 대상에 대해 선행하는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대해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이하 설명에서, '입력장치'라는 것은 스타일러스 펜, 구체적으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펜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입력장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명칭 또한 입력장치라고 하나, '입력' 구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입력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되어 보조적인 기능을 갖는 장치를 모두 통칭하며, 그러한 보조적인 기능과 함께 송수신모듈이 함께 구비되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송수신모듈이 터치패널과의 접촉에 따라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입력모듈에 함께 제공됨으로써 입력장치라고 통칭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개시된 입력장치의 하우징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100)는 하우징(110), 입력모듈(120), 송수신모듈(130) 및 소리전달부(140)를 포함한다. 입력장치(100)의 하우징(110) 내측에는 각각 입력모듈(120) 송수신모듈(130) 및 소리전달부(140)가 실장된다. 또한, 하우징(110)은 후술하는 입력모듈(120)과 소리전달부(140) 및 송수신모듈(130)을 순서대로 내측에 수용하며, 사용자가 쥐고 사용할 수 있는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때, 입력모듈(120)과 송수신모듈(130)은 하우징(110)의 내측 전면과 후면에 각각 위치되는 구성이다. 즉, 입력모듈(120)은 터치패널(미도시)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내측 앞부분, 즉 전면에 제공되며, 송수신모듈(130)은 입력모듈(120)의 뒷부분으로 하우징(110)의 내측에 제공된다. 특히 입력모듈(120)의 경우, 입력모듈(120)의 조작부재(121)는 하우징(110)의 일단부에서 돌출되어 휴대용 단말기(미도시)의 터치패널(미도시)과의 접촉에 따라 입력을 구현하며, 하우징(110)에서 분리되는 경우, 입력모듈(120)만으로 터치패널과 접촉할 수 있는 별개의 구성물이 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3에 개시된 입력장치의 결합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에는 후술하는 송수신모듈(130)의 마이크 부재(131)와 리시버 부재(132)에 맞물려 마이크 홀부(113)와 리시버 홀(114)이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 홀부(113) 중 제1마이크 홀(111)은 리시버 홀(114)와 동일선상에 제공되며, 제2마이크 홀(112)은 리시버 홀(114)의 동일선상을 중심으로 180도 되는 반대면에 위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제1,2마이크 홀(111, 112)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마이크 홀(111)은 리시버 홀(114)의 동일선상(리시버 홀을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가상선(E))을 기준으로 동일선상(E)의 양측의 90도 범위 이내의 하우징 위치(F)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마이크 홀(112)은 리시버 홀(114)의 동일선상(E)을 기준으로 동일선상(E)의 양측으로 90도 범위 이상의 하우징 위치(G)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겠으나, 마이크 홀부(113)는 소리경로들에 맞물리는 구성이며, 리시버 홀(114)은 리시버 부재(132)에 맞물리는 구성으로, 제1,2소리경로(142, 143)의 위치도 리시버 부재(132)의 동일선상(E)을 기준으로 상기와 동일한 위치에 제공된다. 즉, 제1소리경로(142)는 리시버 부재(132)의 동일선상(E)을 중심으로 리시버 부재(132)와 동일선상(E) 또는 동일선상의 양측으로 90도 범위 이내의 위치(F) 제공되며, 제2소리경로(143)는 리시버 부재(132)의 동일선상(E)을 중심으로 리시버 부재(132)와 동일선상(E)의 양측으로 90도 범위 이상의 위치(F)에 제공되는 구성이다. 또한, 송수신모듈(130)과 입력모듈(120)이 하우징(110)에 길이 방향으로 함께 제공됨으로써, 송수신모듈(130)은 하우징(110)의 절반 정도의 크기나 절반보다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소리경로(1142, 143)와 리시버 부재(132)까지의 이격거리(D, 이는 마이크 홀부(113)와 리시버 홀(114)의 이격거리(D)와 동일하다.)는 50mm이하로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입력장치(100)의 크기나, 입력장치(100)에 제공되는 입력모듈(120) 및 송수신모듈(130)의 크기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얼마든지 변경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7은 도 3에 개시된 입력장치에 제공되는 송수신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C 부분 배면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송수신모듈(130)은 입력모듈(120)의 후면으로 하우징(110)의 내측 후면에 실장되고, 휴대용 단말기와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가능하게 구현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송수신모듈(130)에 제공되는 마이크 부재(131)나 리시버 부재(132)의 위치에 대면되는 하우징(110) 상에는, 마이크 부재(131)로 소리를 유입시키거나 리시버 부재(132)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외부로 나올 수 있게 마이크 홀부(113)와 리시버 홀부(114)가 형성된다. 송수신모듈(130)이 하우징(110) 내측 후면으로 실장됨으로써, 마이크 홀부(113)는 입력모듈(120)과 송수신모듈(130)이 대면되는 위치 상으로 후술하는 경로부(142, 143)와 맞물리게 제공된다. 따라서, 마이크 홀부(113)의 위치를 보면, 하우징(110)의 일단과 타단 사이로 하우징(110)의 중앙 부분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마이크 홀부(113)는 후술하는 경로부(142, 143), 구체적으로 소리경로들(본 실시예에서는 제1소리경로(142)와 2소리경로(143)을 일컬음)과 연결되는 구성으로, 소리경로들의 개수와 맞물리게 하우징(110)의 외측과 내측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리시버 홀부(114)는 하우징(110)의 타단부 둘레 상에 형성되고, 송수신모듈(130) 중 리시버 부재(132)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나올 수 있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소리전달부(140)는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송수신모듈(130)의 단부, 구체적으로 송수신모듈(130)의 제공되는 마이크 부재(131)의 배면에 제공되는 장착홈(133)에 실장되어, 마이크 홀부(113)를 통해 유입되는 소리를 마이크 부재(131)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특히나, 본 실시예에서 소리전달부(140)는 송수신모듈(130), 구체적으로는 송수신모듈(130)의 마이크 부재(131)에 소리를 제공하되, 복수개의 개구(이하 '경로부(142, 143)' 라 함)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경로부(142, 143)를 통해 유입된 소리가 마이크 부재(131)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송수신모듈(130)의 일단에 제공되는 리시버 부재(132)의 동일선상(E)을 중심으로, 동일선상(E) 및 동일선상(E)의 반대면으로 각각 경로부(142, 143)가 제공됨으로써, 마이크 홀부(113)로 유입되는 소리나 리시버 부재(132)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불규칙함이나 다양한 소리의 에러 등을 방지하여 음량게인을 확보함은 물론 리시버 부재(132)에서 발생되는 음이 반사 입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추후 도 9를 참조하여 경로부의 설명 시 좀더 설명한다. 이러한 소리전달부(140)는 러버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소리전달부(140)는 송수신모듈(130) 및 하우징(110)에 밀착 결합되어, 소리전달부(140)로 유입된 소리 및 외부에서 발생된 노이즈, 예를 들어 마이크 부재(131)와 리시버 부재(132)가 근접하여 형성됨으로써 특히 리시버 부재(132) 등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마이크 부재(131) 측으로 유입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방지하여 음질 저하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도 8에서 장착홈에서 소리전달부가 분리된 상태를 확대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소리전달부를 절단하여 내측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소리전달부(140)에는 유입부(141)와 경로부(142, 143)가 포함된다(도 6 참조). 유입부(141)는 소리전달부(140)의 상측면을 관통하는 개구로서, 소리전달부(140)가 송수신모듈(130)의 단부에 실장되면, 마이크 부재(131)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마이크 부재(131)의 하측에 연결되어 소리를 마이크 부재(131)로 유입시키는 구성이다. 경로부(142, 143)는 소리전달부(140)의 외측과 유입부(141) 사이에 복수개 제공되어, 외측과 유입부(141)를 관통 연결하는 구성이다. 이에, 복수개의 경로부(142, 143)는 유입부(141)를 기점으로 서로 관통되어 연결되게 제공되며, 외측의 소리가 경로부(142, 143)를 통해 유입부(141)로 전달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경로부(142, 143)는 유입부(141)를 기점으로 서로 대향하여 직선으로 관통하는 두 개의 개구로서, 제1, 2소리경로(142, 143)를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경로부(142, 143)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세 개의 소리경로들이 유입부(141)로 관통 연결되는 것도 가능한 것과 같이 유입부(141)에 연결되는 소리경로들이 개수는 두 개 이상이라면 얼마든지 변형 가능한 것이다. 또한, 제1,2소리경로(142, 143)가 유입부(141)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도 6을 참조)을 예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2소리경로(142, 143)가 형성되는 경우, 제1, 2소리경로(142, 143)가 유입부(141)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세 개의 소리경로들이 제공되는 경우, 유입부(141)를 중심으로 'Y'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의 제공되는 소리경로들의 개수 등에 따라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제1소리경로(142)의 양단부는 각각 제1마이크 홀(111) 및 유입부(141)에 관통 연결되며, 제1마이크 홀(111)을 통한 외측의 소리를 유입부(141)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소리경로(142)는 리시버 부재(132)의 동일선상(E) 라인에 위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리시버 부재(132)를 입력장치(100)의 길이방향으로 하는 동일선상(E) 상에 위치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상술하였듯이 제1소리경로(142) 동일선상뿐만 아니라, 마이크 홀부(113)로 유입되는 소리나 리시버 부재(132)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불규칙함이나 다양한 소리의 에러 등을 방지하여 음량게인을 확보할 수 있도록, 리시버 부재(132)의 동일선상(E)을 중심으로 동일선상(E)의 양측으로 90도 사이의 위치(F)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소리경로(143)는 제1소리경로(142)와 이웃하게 위치되고, 유입부(141)를 기점으로 제1소리경로(142)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2소리경로(143)의 양단부는 각각 제2마이크 홀(112) 및 유입부(141)에 관통 연결되며, 제2마이크 홀(112)을 통한 외측의 소리를 유입부(141)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2소리경로(143)는 제1소리경로(142)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제2소리경로(143)는 이와 같은 위치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리시버 부재(132)에서 발생되는 음이 반사되어 마이크 부재(131), 구체적으로 제2소리경로(143)으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리시버 부재(132)의 동일선상(E)을 기준으로 동일선상(E)의 양측으로 90도 이상의 위치 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1소리경로(142)로 소리를 유입시키는 제1마이크 홀(111)이 막혀 제1소리경로(142)로 소리가 제공되지 못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제1마이크 홀(111)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거나, 송수신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장치(100)를 쥐는 경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제1마이크 홀(111)이 막히는 경우, 사용자의 목소리는 제1소리경로(142)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제1소리경로(142) 및 제1마이크 홀(111)과 다른 방향에 제공되는 제2마이크 홀(112)을 통해 제2소리경로(143)로 소리가 유입될 수 있고, 제2소리경로(143)로 유입된 소리는 유입부(141)를 통해 마이크 부재(131)로 유입됨으로써, 원할한 송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와 반대의 경우도 당연함은 물론이다.
100: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110: 하우징
111: 제1마이크 홀 112: 제2마이크 홀
113: 마이크 홀부 114: 리시버 홀부
120: 입력모듈 130: 송수신모듈
131: 마이크 부재 132: 리시버 부재
133: 장착홈 140: 소리전달부
141: 유입부 142, 143: 경로부
142: 제1소리경로 143: 제2소리경로

Claims (20)

  1.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송수신모듈;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송수신모듈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송수신모듈로 소리를 전달하는 소리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전달부는 상기 송수신모듈과 연결되어 소리를 제공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경로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전면부분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입력을 구현하는 입력모듈이 실장되고,
    상기 입력모듈의 후면에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 후면부분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하는 상기 송수신모듈이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경로부들과 연결되어 소리를 상기 경로부들로 유입시키는 마이크 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부는,
    상기 유입부와 관통되며 상기 유입부에 연결되는 제1소리경로; 및
    상기 제1소리경로와 이웃하며, 상기 제1소리경로와 연결됨은 물론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는 제2소리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홀부는,
    상기 제1소리경로의 단부에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소리경로와 연결되는 제1마이크 홀; 및
    상기 제1마이크 홀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2소리경로와 맞물리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마이크 홀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부재는 상기 송수신 모듈의 하단부 일면에 실장되고,
    상기 소리전달부는 상기 송수신모듈의 하단부로 상기 마이크 부재의 후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모듈의 단부에는 리시버 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리시버 부재와 맞물려 상기 리시버 부재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외부로 제공하는 리시버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리경로는 상기 리시버 부재와 동일선상 또는 상기 리시버 부재의 동일선상을 기준으로 상기 리시버 부재의 동일선상의 양측 90도 이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리경로는 상기 리시버 부재의 동일선상을 기준으로 상기 리시버 부재의 동일선상의 양측 90도 이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홀부와 상기 리시버 홀부의 이격거리는 50mm 이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전달부는 러버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13.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 내측에 제공되고, 마이크 부재 및 리시버 부재가 실장되어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구현하는 송수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 부재로 소리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경로부를 형성하는 소리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전달부는,
    상기 마이크 부재에 소리를 전달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에 연결되고, 상기 유입부로 소리를 제공하게 복수개의 소리경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경로들은 상기 유입부를 기점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경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리시버 부재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거나, 상기 리시버 부재의 동일선상을 기준으로 상기 동일선상의 양측으로 90도 이내에 위치되며,
    상기 소리경로의 나머지는 상기 리시버 부재의 동일선상의 양측으로 90도 이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부재와 상기 리시버 부재의 이격거리는 50mm 이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경로들은,
    상기 유입부의 측면부에 관통되어, 상기 유입부 측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제1소리경로; 및
    상기 제1소리경로에 이웃하며, 상기 유입부에 관통되며, 상기 유입부 측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제2소리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에는 상기 입력모듈 및 상기 송수신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이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소리경로들에 맞물려 상기 소리경로들로 소리를 유입시키는 마이크 홀부들과, 상기 리시버 부재에 맞물려 상기 리시버 부재의 소리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리시버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전달부는 러버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KR1020120085184A 2012-08-03 2012-08-03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KR102008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184A KR102008374B1 (ko) 2012-08-03 2012-08-03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CN201310334331.4A CN103581393B (zh) 2012-08-03 2013-08-02 用于便携式终端的具备无线耳机功能的输入设备
EP13179083.4A EP2693309B1 (en) 2012-08-03 2013-08-02 Input device with wireless headset function for portable terminal
US13/957,860 US9397716B2 (en) 2012-08-03 2013-08-02 Input device with wireless headset function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184A KR102008374B1 (ko) 2012-08-03 2012-08-03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997A true KR20140017997A (ko) 2014-02-12
KR102008374B1 KR102008374B1 (ko) 2019-10-23

Family

ID=4891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184A KR102008374B1 (ko) 2012-08-03 2012-08-03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97716B2 (ko)
EP (1) EP2693309B1 (ko)
KR (1) KR102008374B1 (ko)
CN (1) CN10358139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57319B2 (en) 2013-08-29 2016-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astic body of audio accessory, audio accessory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374B1 (ko) * 2012-08-03 2019-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KR102348672B1 (ko) 2015-03-20 2022-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5864A1 (en) * 1993-05-18 1994-11-23 Nec Corporation Differential microphone on a portable radio telephone
US20030002701A1 (en) * 2001-06-28 2003-01-02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Microphone arrangment in a hearing aid to be worn behind the ear
US20060034476A1 (en) * 2004-08-12 2006-02-16 Cardo Corp. Headset case arrangement for wind control
US20090251338A1 (en) * 2008-04-03 2009-10-08 Livescribe, Inc. Ink Tags In A Smart Pen Computing System
US20100142743A1 (en) * 2008-12-05 2010-06-10 Fuminori Tanaka Voice inpu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3638A (ja) * 1987-03-21 1988-09-29 Aisin Seiki Co Ltd 車載電話装置
FI103238B1 (fi) * 1997-02-21 1999-05-14 Nokia Mobile Phones Ltd Matkaviestinlaitteet
JPH11275197A (ja) 1998-03-20 1999-10-08 Nec Shizuoka Ltd 携帯音声通信機器
JP2001211089A (ja) 2000-01-26 2001-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イクロホン実装構造
JP2002135880A (ja) 2000-10-20 2002-05-10 Primo Co Ltd 一次音圧傾度型マイクロホン及び携帯端末装置
US6548895B1 (en) 2001-02-21 2003-04-15 Sandia Corporation Packaging of electro-microfluidic devices
US6933933B2 (en) * 2001-10-02 2005-08-23 Harris Corporation Pen cartridge that transmits acceleration signal for recreating handwritten signatures and communications
US20040100456A1 (en) * 2002-11-21 2004-05-27 Wang Michael Sujue Computer pen apparatus
US20050130594A1 (en) * 2003-12-16 2005-06-16 Kowalski Charles J. Walkie-talkie pen
DE102004011149B3 (de) * 2004-03-08 2005-11-10 Infineon Technologies Ag Mikropho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krophons
KR100618287B1 (ko) * 2004-08-24 2006-08-31 삼신이노텍 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펜타입의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
US20060068851A1 (en) * 2004-09-28 2006-03-30 Ashman William C Jr Accessory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1180601B (zh) * 2005-03-23 2014-09-17 高通股份有限公司 数字笔和数字笔系统
US7769408B2 (en) * 2006-06-21 2010-08-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radio terminal having speaker port selection and method
JP4387392B2 (ja) * 2006-09-15 2009-12-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シールドケースおよびこれを有するmemsマイクロホン
US20080159558A1 (en) * 2006-12-28 2008-07-03 Fortemedia, Inc. Internal microphone array or microphone module not affecting appearance of electronic device
JP5128919B2 (ja) * 2007-11-30 2013-01-23 船井電機株式会社 マイクロフォンユニット及び音声入力装置
JP5097523B2 (ja) * 2007-12-07 2012-12-12 船井電機株式会社 音声入力装置
JP2009284111A (ja) * 2008-05-20 2009-12-03 Funai Electric Advanced Applie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Inc 集積回路装置及び音声入力装置、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JP5166122B2 (ja) * 2008-05-27 2013-03-21 株式会社船井電機新応用技術研究所 音声入力装置
JP5200737B2 (ja) * 2008-07-30 2013-06-05 船井電機株式会社 差動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
JP2010177901A (ja) * 2009-01-28 2010-08-12 Funai Electric Co Ltd 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
JP2010187076A (ja) * 2009-02-10 2010-08-26 Funai Electric Co Ltd 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
CN101895320B (zh) * 2009-05-20 2013-09-0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蓝牙设备及具有该蓝牙设备的便携式电子装置
JP2011124696A (ja) * 2009-12-09 2011-06-23 Funai Electric Co Ltd 差動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および携帯機器
KR101623214B1 (ko) * 2010-01-06 2016-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기능 펜 및 다기능 펜의 사용 방법
JP5636795B2 (ja) * 2010-08-02 2014-12-10 船井電機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
US20120288130A1 (en) * 2011-05-11 2012-11-15 Infineon Technologies Ag Microphone Arrangement
JP5799619B2 (ja) * 2011-06-24 2015-10-28 船井電機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
CN202171786U (zh) * 2011-07-04 2012-03-21 宝德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无线语音功能的触控笔
US20130106741A1 (en) * 2011-10-28 2013-05-02 Atmel Corporation Active Stylus with Tactile Input and Output
JP2013135436A (ja) * 2011-12-27 2013-07-08 Funai Electric Co Ltd マイクロホン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008374B1 (ko) * 2012-08-03 2019-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5864A1 (en) * 1993-05-18 1994-11-23 Nec Corporation Differential microphone on a portable radio telephone
US20030002701A1 (en) * 2001-06-28 2003-01-02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Microphone arrangment in a hearing aid to be worn behind the ear
US20060034476A1 (en) * 2004-08-12 2006-02-16 Cardo Corp. Headset case arrangement for wind control
US20090251338A1 (en) * 2008-04-03 2009-10-08 Livescribe, Inc. Ink Tags In A Smart Pen Computing System
US20100142743A1 (en) * 2008-12-05 2010-06-10 Fuminori Tanaka Voice input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57319B2 (en) 2013-08-29 2016-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astic body of audio accessory, audio accessory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93309B1 (en) 2018-04-11
CN103581393A (zh) 2014-02-12
CN103581393B (zh) 2018-11-02
KR102008374B1 (ko) 2019-10-23
US20140038525A1 (en) 2014-02-06
EP2693309A2 (en) 2014-02-05
EP2693309A3 (en) 2016-05-11
US9397716B2 (en) 201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2069B2 (en) Audio mixing console
KR10163646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향 기기의 소리 입·출력 홀 구조
US9917940B2 (en) USB programmable dual antenna communications headset system
US7519196B2 (en) Headset
US7974664B2 (en) Bluetooth earphone and ear-hook device thereof
US9473842B2 (en) Earset
KR10200837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KR101747968B1 (ko) 송화부용 덕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4084797B2 (ja) 携帯用端末機のサウンド出力装置
US8267598B2 (en) Point to point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for conveying signals between multiple housings of a device
US20140079240A1 (en) Bluetooth headset
TW201415910A (zh) 行動裝置
WO2020233426A1 (zh) 屏组件、中框和终端设备
US8478357B1 (en) Removable adapter with speaker and microphon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130313038A1 (en) Receiving device
US7373182B2 (en) Wireless mobile phone including a headset
KR101652677B1 (ko) 이어폰 장치
WO2021092972A1 (zh) 一种电子设备
US10887686B2 (en) Directional microphone
US11206477B2 (en) Sound transducer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KR101511125B1 (ko) 블루투스 헤드셋
CN103458078A (zh) 听筒装置
CN218998113U (zh) 终端设备保护装置
KR200230308Y1 (ko)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
KR102164886B1 (ko)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