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746A - 파이프형 전해조 - Google Patents

파이프형 전해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746A
KR20140017746A KR1020120083992A KR20120083992A KR20140017746A KR 20140017746 A KR20140017746 A KR 20140017746A KR 1020120083992 A KR1020120083992 A KR 1020120083992A KR 20120083992 A KR20120083992 A KR 20120083992A KR 20140017746 A KR20140017746 A KR 20140017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node
cathode
electrolytic cel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6343B1 (ko
Inventor
김민수
정진이
정붕익
김정식
김민용
신현수
하창호
탁영길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주) 테크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주) 테크윈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3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343B1/ko
Publication of KR20140017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25B11/03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perforated or foraminous
    • C25B11/031Porous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70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 C25B9/73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of the filter-press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파이프형 전해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파이프형 전해조는: 양극수가 이동하고, 내,외측으로 격자 형태로 관통된 격자관통부가 형성되며, 양극터미널이 마련되는 양극파이프와, 양극파이프의 둘레에 구비되는 격막과, 격막의 둘레와 공간부를 갖도록 배치되어 공간부를 통해 음극수가 이동하며, 음극터미널이 마련되는 음극파이프와, 양극파이프의 양측에 한 쌍 구비되어 음극파이프 양단부를 고정하며, 음극수공급부 또는 음극수배출부 중에 어느 하나가 각각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형 전해조{PIPE TYPE ELECTROLYZER}
본 발명은 파이프형 전해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해 반응 중 발생한 수소배출이 용이하고,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내압성이 우수하며, 음극파이프와 양극파이프 사이에 구비된 격막으로 인해 수소가 양극에서 발생하는 산소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순도의 수소를 분리할 수 있는 파이프형 전해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수 담수화설비, 발전소 및 선박의 발라스트 탱크에는 대량의 해수가 사용된다. 특히, 발전소에서는 발전장치의 발전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증기를 복수시키기 위하여 바닷물을 냉각수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복수 장치에 사용되는 냉각수는 해저생물, 생작물 즉 해조류, 조개류 등의 알 또는 포자를 살균처리할 수 있어야만 하며, 이를 위해 종래에는 해수 전해조로써 바닷물을 전기분해한 후 이를 통해 생성된 차아염소산소다(NaOCl)를 이용하여 상기한 각종 생물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기존의 해수 전해조는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기존의 사각형 해수 전해조는 해수의 전기분해시 양극에서 생성되는 염소(Cl2)와 음극에서 생성되는 수산화나트륨(NaOH)가 반응하여 차아염소산소다를 생산하는 설비이며, 이렇게 생산된 차아염소산소다는 강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어서 해수 냉각계통에 해당생물의 부착을 억제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기존의 해수 전해조는 사각 전해조를 단독 또는 다수 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사각 전해조는 판형 또는 메쉬형 양극과 음극이 하나 이상 교대로 적층된 무 격막 방식의 전해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전극의 양단에 단자부로 연결되어 있다. 전해반응 시에는 전해조의 하부 유입부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고 전극 사이로 해수가 흘러가며 전해반응을 통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하여 상부 배출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97851호(고안의 명칭: 해수 전해용 전해조)에 제시되어 있다.
종래의 해수용 사각 전해조는, 전해반응 중 발생된 수소가스의 원할한 배출이 어렵고, 전해조의 내압성이 떨어지며, 무격막 방식으로 인해 수소가 양극에서 발생되는 산소 등과 혼합되어 고순도의 수소를 포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음극파이프와 양극파이프로 이루어진 이중관 형태로 구성하여 음극수와 양극수를 분리 공급하고, 양극파이프 둘레에는 격막을 형성하여 해수 전해시 발생한 이온 물질의 이동을 제어하며, 양극와 음극에서 생성된 각각의 전해 반응액과 기체를 분리 배출하도록 하는 파이프형 전해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격막식 전해조를 이용하여 기체분리 특성을 이용하여 음극에서 생성되는 수소를 양극에서 발생되는 산소 등의 물질과의 혼합을 방지하여 고순도의 수소로 생성하여 연료전지 등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형 전해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조는, 양극수가 이동하고, 내,외측으로 격자 형태로 관통된 격자관통부가 형성되며, 양극터미널이 마련되는 양극파이프; 상기 양극파이프의 둘레에 구비되는 격막; 상기 격막의 둘레와 공간부를 갖도록 배치되어 상기 공간부를 통해 음극수가 이동하며, 음극터미널이 마련되는 음극파이프; 및 상기 양극파이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음극파이프 양단부를 고정하며, 음극수공급부 또는 음극수배출부 중에 어느 하나가 각각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자관통부는 상기 양극파이프의 설정구간에 메쉬 또는 타공망의 격자 형태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극터미널은 상기 양극파이프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양극터미널은 상기 양극파이프의 전체 둘레를 감싸면서 접촉되고, 절곡된 양단 플랜지부에 전선연결구멍을 갖는 금속판재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메쉬 또는 타공망의 상기 격자관통부는 티타늄재질로 형성되고, 표면은 불용성 양극 특성을 지니도록 백금 족 산화물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극수는 해수가 사용되고, 상기 음극수는 칼슘과 마그네슘이 희박한 염수와 같은 전해질 용액 또는 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극파이프의 양측 단에는 양극수 연결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양극수 연결수단은 소켓이며. 상기 양극파이프는 복수 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막은 세라믹, 알루미나의 무기계 멤브레인, 다공성 고분자계 멤브레인, 이온교환막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용액 상의 전해질 이온을 유통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극터미널은 상기 음극파이프의 중심부에 마련되고, 상기 음극터미널은 상기 음극파이프의 전체 둘레를 감싸면서 접촉되고, 절곡된 양단 플랜지부에 전선연결구멍을 갖는 금속판재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극수공급부 및 상기 음극수배출부에는 음극수 연결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음극수 연결수단은 소켓이며, 상기 음극파이프는 복수 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양극파이프의 양측 둘레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음극파이프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블록; 상기 음극수공급부 또는 상기 음극수배출부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블록의 양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각각 체결되는 고정너트; 및 상기 고정너트에 각각 걸려지는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너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고정블록에 가압 밀착되는 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음극파이프와 접하여 고정하는 제1접촉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접촉부는 적어도 음극파이프의 내경 이상의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양극파이프와 접하는 제2접촉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2접촉부는 수밀을 위해 상기 양극파이프의 외경에 접하도록 원통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조는, 음극파이프와 양극파이프로 이루어진 이중관 형태로 구성하여 음극수와 양극수를 분리 공급하고, 양극파이프 둘레에는 격막을 형성하여 해수 전해시 발생한 이온 물질의 이동을 제어하며, 양극와 음극에서 생성된 각각의 전해 반응액과 기체를 분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격막식 전해조를 이용하여 기체분리 특성을 이용하여 음극에서 생성되는 수소를 양극에서 발생되는 산소 등의 물질과의 혼합을 방지하여 고순도의 수소로 생성하여 연료전지 등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조 주요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조의 일측 단부를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조의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조의 일측 단부 단면도,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조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조 주요부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조의 일측 단부를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조의 주요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조의 일측 단부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조는, 양극파이프(10), 격막(20), 음극파이프(30) 및 고정부(40)를 포함한다.
양극파이프(10)는 내부를 중공을 통해 양극수가 이동하고, 내,외측으로 격자 형태로 관통된 격자관통부(14)가 형성되며, 양극터미널(12)이 마련된다.
양극파이프(10)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파이프를 사용하도록 하고, 원형 또는 다각형 파이프를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양극파이프(10)를 원형파이프로 적용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격자관통부(14)는 양극파이프(10)의 설정구간에 메쉬 또는 타공망의 격자 형태로 관통 형성된다. 격자관통부(14)는 원형파이프인 양극파이프(10)에서 중심 구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격자관통부(14)와 연결되는 양극파이프(10)의 양측구간은 원형파이프 형태로 유지된다.
격자관통부(14) 구간과 원형파이프 구간으로 이루어진 양극파이프(10)는 두개의 부재를 별도로 가공하여 접합하거나, 하나의 원형파이프에 중심 구간에 메쉬가공 또는 타공망가공을 통해 격자관통부(14)를 형성하여 양극파이프(10)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양극터미널(12)은 양극파이프(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련된다. 양극터미널(12)은 양극파이프(10)의 전체 둘레를 감싸면서 접촉되고, 절곡된 양단 플랜지부(16)에 전선연결구멍(18)을 갖는 금속판재 형태로 마련된다.
양극터미널(12)이 접촉되는 양극파이프(10)의 둘레면은 양극파이프의 다른 부의 외주면보다 높은 단차 및 두께를 갖도록 안착돌부(19)가 형성된다.
메쉬 또는 타공망의 격자관통부(14)는 티타늄재질로 형성되고, 표면은 불용성 양극 특성을 지니도록 백금 족 산화물이 코팅된다.
양극파이프(10)의 내부를 이동하는 양극수는 해수가 사용되고, 음극파이프(30)의 내부를 음극수는 칼슘과 마그네슘이 희박한 염수와 같은 전해질 용액 또는 해수일 수 있다.
양극파이프(10)의 양측 단에는 양극수 연결수단(60)이 구비된다. 양극수 연결수단(60)은 소켓이다. 양극수 연결수단(60)은 소켓 이외에 다른 연결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양극파이프(10)는 복수 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격막(20)은 양극파이프의 둘레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격막(20)은 세라믹, 알루미나의 무기계 멤브레인, 다공성 고분자계 멤브레인, 이온교환막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용액 상의 전해질 이온을 유통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격막(20)의 양단부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고정절연튜브(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절연튜브는 양극파이프(10) 또는 고정부(40)의 고정블록(42)에 고정되거나, 접촉되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격막(20)은 양극파이프의 둘레면에 접촉되거나 둘레면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음극파이프(30)는 격막(20)의 둘레와 공간부를 갖도록 배치되어 공간부(40)를 통해 음극수가 이동하며, 음극터미널(32)이 마련된다.
음극터미널(32)은 음극파이프(30)의 중심부에 마련된다.
음극터미널(32)은 음극파이프(30)의 전체 둘레를 감싸면서 접촉되고, 절곡된 양단 플랜지부(34)에 전선연결구멍(36)을 갖는 금속판재 형태로 마련된다.
고정부(40)는 양극파이프(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음극파이프(30) 양단부를 고정하며, 음극수공급부(50) 또는 음극수배출부(52) 중에 어느 하나가 각각 형성된다.
음극수공급부(50) 및 음극수배출부(52)에는 음극수 연결수단(70)이 구비된다. 음극수 연결수단(70)은 소켓이다. 음극수 연결수단(70)은 소켓 이외에 다른 연결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극파이프(30)는 복수 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정부(40)는 양극파이프(10)의 양측 둘레에 각각 설치되어 음극파이프(3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블록(42)과, 음극수공급부(50) 또는 음극수배출부(52)를 기준으로 고정블록(42)의 양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각각 체결되는 고정너트(44)와, 고정너트(44)에 각각 걸려지는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고정너트(44)의 체결에 의해 고정블록(42)에 가압 밀착되는 부시(46)를 포함한다.
고정블록(42)은 양극파이프(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응되게 한 쌍 구비된다.
부시(46)의 내측면과 고정블럭(42)의 외측면 사이에는 밀봉을 위한 오링(58, O-ring)이 구비될 수 있다. 오링(58)의 설치개수와 오링(58)의 설치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부시(46)에는 오링(58)을 일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음극수공급부(50)는 배출관 형태로서 우측에 구비된 고정블록(42)에 구비되고, 음극수배출부(52)는 배출관 형태로서 좌측에 구비된 고정블록(42)에 구비된다. 음극수공급부(50) 및 음극수배출부(52) 설치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다.
고정블록(42)은 음극파이프(30)와 접하여 고정하는 제1접촉부(54)를 구비하되, 제1접촉부(54)는 적어도 음극파이프(30)의 내경 이상의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고정블록(42)의 제1접촉부(54)의 내경은 음극파이프(30)의 내경과 같거나, 음극파이프(30)의 내경 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블록(42)의 제1접촉부(54)의 내경은 양극파이프(10)의 외경 또는 격막(10)의 외경과 접촉되지 않으면서 공간부(38)를 갖는 상태로 음극수가 이동하도록 이격 배치된다.
고정블록(40)은 양극파이프(10)의 양단부 둘레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좌측 고정블록과 우측 고정블록 등과 같이 한 쌍 형성된다.
고정블록(42)은 양극파이프(10)와 접하는 제2접촉부(56)를 구비하되, 제2접촉부(56)는 수밀을 위해 양극파이프(10)의 외경에 접하도록 원통관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고정블록(42)의 제1접촉부(54)의 내경은 제2접촉부(56)의 내경에 비하여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제2접촉부(56)가 양극파이프(10)의 둘레면에 고정되는 경우, 제1접촉부(54)의 내경과 격막(20) 사이에는 공간부(38)가 형성되어 음극수의 이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조의 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도 1 ,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파이프(10)의 우측으로 부터 양극수를 공급하고, 우측에 배치된 고정블록(42)의 음극수공급부(50)로 부터 음극수를 공급한다.
연이어, 양극수는 양극파이프(10)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격자관통부(14)를 통해 격막(20)에 접촉된다. 그리고, 음극수는 고정블록(42)의 내경을 통해 음극파이프(30)의 내경을 거쳐 이동하여 격막(20)과 접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양극파이프(10)의 둘레에 마련된 양극터미널(12)에 전선을 통해 양극전원(+)을 인가하고, 음극파이프(30)의 둘레에 마련된 음극터미널(32)에 전선을 통해 음극전원(-)을 인가하여 도전시키면 금속재인 양극파이프(10)와 음극파이프(30)에 통전이 이루어지면 양극수와 음극수에 전기를 인가하여 전기분해 시킨다.
이와 같이, 전기분해 작용에 의해 종래의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극파이프(10) 내부를 이동하는 해수의 염화나트륨(NaCl) 성분은 전기분해에 의해 양극에서 염소이온이 산화하여 염소(Cl2) 및 산소(O2)를 생성하고, 음극파이프(30) 내부를 이동하는 염수와 같은 전해질 용액 또는 해수는 물(H2O) 분해반응에 의해 수산화이온과 수소가스(H2)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양극파이프(10)의 내부에 형성된 산소와 음극파이프(30)의 내부에 형성된 수소가 격막(20)에 의해 분리되어 혼합이 방지된 상태로 양극파이프(10)의 배출측으로 양극수와 산소가 배출되고, 고정블록(42)의 음극수배출부(52)를 통해 음극수와 수소가 배출되는 것이다.
고정블록(42)의 음극수배출부(52)를 통해 배출된 수소는 소정 장소에 배치된 수거부에서 수집됨으로써 고순도의 수소를 포집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파이프형 전해조는 음극파이프(30)와 양극파이프(10)로 이루어진 이중관 형태로 구성하여 음극수와 양극수를 분리 공급하고, 양극파이프(10) 둘레에는 격막(20)을 형성하여 해수 전해시 발생한 이온 물질의 이동을 제어하며, 양극와 음극에서 생성된 각각의 전해 반응액과 산소 및 수소 등의 기체를 분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이프형 전해조는 격막식 전해조를 이용하여 기체분리 특성을 이용하므로 음극에서 생성되는 수소를 양극에서 발생되는 산소 등의 물질과의 혼합을 방지하여 고순도의 수소로 생성하여 연료전지 등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양극파이프 12 : 양극터미널
14 : 격자관통부 16 : 플랜지부
18 : 전선연결구멍 20 : 격막
30 : 음극파이프 32 : 음극터미널
34 : 플랜지부 36 : 전선연결구멍
40 : 고정부 42 : 고정블록
44 : 고정너트 46 : 부시
48 : 걸림턱부 50 : 음극수공급부
52 : 음극수배출부 54 : 제1접촉부
56 : 제2접촉부 60 : 양극수 연결수단
70 : 음극수 연결수단

Claims (11)

  1. 양극수가 이동하고, 내,외측으로 격자 형태로 관통된 격자관통부가 형성되며, 양극터미널이 마련되는 양극파이프;
    상기 양극파이프의 둘레에 구비되는 격막;
    상기 격막의 둘레와 공간부를 갖도록 배치되어 상기 공간부를 통해 음극수가 이동하며, 음극터미널이 마련되는 음극파이프; 및
    상기 양극파이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음극파이프 양단부를 고정하며, 음극수공급부 또는 음극수배출부 중에 어느 하나가 각각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관통부는 상기 양극파이프의 설정구간에 메쉬 또는 타공망의 격자 형태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터미널은 상기 양극파이프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양극터미널은 상기 양극파이프의 전체 둘레를 감싸면서 접촉되고, 절곡된 양단 플랜지부에 전선연결구멍을 갖는 금속판재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조.
  4. 제 2항에 있어서,
    메쉬 또는 타공망의 상기 격자관통부는 티타늄재질로 형성되고, 표면은 불용성 양극 특성을 지니도록 백금 족 산화물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수는 해수가 사용되고,
    상기 음극수는 칼슘과 마그네슘이 희박한 염수와 같은 전해질 용액 또는 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파이프의 양측 단에는 양극수 연결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양극수 연결수단은 소켓이며.
    상기 양극파이프는 복수 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은 세라믹, 알루미나의 무기계 멤브레인, 다공성 고분자계 멤브레인, 이온교환막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용액 상의 전해질 이온을 유통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터미널은 상기 음극파이프의 중심부에 마련되고,
    상기 음극터미널은 상기 음극파이프의 전체 둘레를 감싸면서 접촉되고, 절곡된 양단 플랜지부에 전선연결구멍을 갖는 금속판재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수공급부 및 상기 음극수배출부에는 음극수 연결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음극수 연결수단은 소켓이며,
    상기 음극파이프는 복수 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양극파이프의 양측 둘레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음극파이프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블록;
    상기 음극수공급부 또는 상기 음극수배출부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블록의 양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각각 체결되는 고정너트; 및
    상기 고정너트에 각각 걸려지는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너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고정블록에 가압 밀착되는 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음극파이프와 접하여 고정하는 제1접촉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접촉부는 적어도 음극파이프의 내경 이상의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양극파이프와 접하는 제2접촉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2접촉부는 수밀을 위해 상기 양극파이프의 외경에 접하도록 원통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조.
KR1020120083992A 2012-07-31 2012-07-31 파이프형 전해조 KR101366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992A KR101366343B1 (ko) 2012-07-31 2012-07-31 파이프형 전해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992A KR101366343B1 (ko) 2012-07-31 2012-07-31 파이프형 전해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746A true KR20140017746A (ko) 2014-02-12
KR101366343B1 KR101366343B1 (ko) 2014-02-25

Family

ID=50266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992A KR101366343B1 (ko) 2012-07-31 2012-07-31 파이프형 전해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3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586B1 (ko) 2014-12-23 2017-03-06 (주) 테크윈 파이프형 전해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4513Y2 (ja) * 1990-03-14 1996-10-23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隔膜電極構造
KR100497996B1 (ko) 2004-10-25 2005-07-01 주식회사 욱영전해씨스템 다수의 전해관을 구비한 전해조
US7513980B2 (en) * 2004-11-25 2009-04-07 Honda Motor Co., Ltd. Electrolytic cell for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KR101106282B1 (ko) 2011-09-05 2012-01-18 주식회사 욱영전해씨스템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343B1 (ko) 201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4534A (en) Electrolytic halogenator device
US54607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duction of ozone
US20050183949A1 (en) End cap for an electrolytic cell
US20130146473A1 (en) Dual diaphragm electrolysis cell assembly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leaning solution without any salt residues and simultaneously generating a sanitizing solu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vel of available free chlorine and pH
JPH05501737A (ja) 電気化学的二酸化塩素発生器
JPS5949318B2 (ja) 次亜ハロゲン酸アルカリ金属塩の電解製造法
KR101198630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제조용 전해조의 전극판 지지구조
US20130146474A1 (en) Mesh electrode electrolysis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anitizing solution
KR101427563B1 (ko) 해수 전해 장치
US201301464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tabilized sanitizing solution
KR101436139B1 (ko) 차아염소산용액 생성용 염수의 전기분해장치
US20170073821A1 (en) Electrolysis device
KR101366343B1 (ko) 파이프형 전해조
WO2015108115A1 (ja) イオン交換膜電解槽用陽極およびこれを用いたイオン交換膜電解槽
EP3161185B1 (en) Narrow gap, undivided electrolysis cell
CN210367935U (zh) 一种电解槽系统及其微型复极式离子膜电解槽组
KR102120149B1 (ko) 전기분해조 내에 티타늄 재질의 냉각관을 구비한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성장치
KR100523982B1 (ko) 전기화학적 살균제 발생기
JP2001073177A (ja) 電解水生成装置
KR101644275B1 (ko) 전기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KR101031906B1 (ko) 해수 전해용 모노폴라형 전해조
JP3101335B2 (ja) 次亜塩素酸塩製造用電解槽
CN216808978U (zh) 一种带有排氢装置的电解盐水电解槽
CN109122714B (zh) 高效二氧化氯消毒剂生产系统
CN211546681U (zh) 双层无隔膜式电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