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282B1 -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 Google Patents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282B1
KR101106282B1 KR1020110089374A KR20110089374A KR101106282B1 KR 101106282 B1 KR101106282 B1 KR 101106282B1 KR 1020110089374 A KR1020110089374 A KR 1020110089374A KR 20110089374 A KR20110089374 A KR 20110089374A KR 101106282 B1 KR101106282 B1 KR 101106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pply terminal
hole
tube
ou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욱영전해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욱영전해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욱영전해씨스템
Priority to KR1020110089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282B1/ko
Priority to CN201280043202.3A priority patent/CN103917694B/zh
Priority to PCT/KR2012/000402 priority patent/WO201303594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60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 C25B9/65Means for supplying current; Electrode connections; Electric inter-cell conne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이 간단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하면서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안전 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하며, 특히 해수의 유동에 따른 압력손실을 저감하여 전해 성능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복수로 제공되면서 서로 간은 상하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전해조; 상하로 서로 인접한 두 전해조의 어느 한 끝단으로부터 축 방향을 향해 연장되면서 서로 연결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해수의 유동이 전해조의 축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연결관; 그리고, 상기 각 전해조의 양측 부위를 각각 클램핑하면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전해조는 양측이 개방된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면서 외관을 이루는 아웃터튜브와, 파이프 혹은, 봉의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외부케이싱 내에 구비되는 인너튜브와, 상기 아웃터튜브 및 인너튜브의 양측 끝단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아웃터튜브 및 인너튜브로 (-)전원 및 (+)전원을 각각 공급함과 더불어 외부 전원을 제공받는 단자는 상기 아웃터튜브 및 인너튜브의 원주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터미널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tubular type electrolyzer}
본 발명은 전해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전해관을 중첩시켜 구축한 전해조를 복수로 제공하여 서로 연결한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해 장치라 함은 염수를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하는 설비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은 공업용의 고농도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의 생산설비에서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발전소, 밸러스트수 관리시스템(BWMS), 해양 장치(offshore), 수처리, 폐수처리, 금속회수 등과 같이 현장에서 즉시 제조 및 활용하는 연속식 처리설비에서는 대부분 전기분해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하고 있다.
상기한 전해 장치는 전극을 평판 구조로 교차 배치하여 서로 간의 사이를 통과하는 해수를 전기분해하는 플레이트 타입 전해 장치와, 전극을 튜브(tube) 구조로 순차 배치하여 서로 간의 사이를 통과하는 해수를 전기분해하는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로 구분된다.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제10-0497996호에서는 튜블라 타입 전해조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전해 장치 중 전해조(10)는 양측이 개구된 외부케이싱(11) 내에 상기 외부케이싱(11)과 동심을 가지는 복수의 전해관(12)을 그 직경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관통 설치하고, 상기 외부케이싱(11)의 외주면 중 어느 한 부위에는 (-)전원을 제공하는 제1전원공급터미널(13a)을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각 전해관(12) 중 가장 중심 부위에 위치되는 전해관(이하, “내부 전해관”이라 함) 양 끝단에는 그 축방향을 따라 (+)전원을 제공하는 제2전원공급터미널(13b)을 각각 설치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케이싱(11)의 개구된 일측 및 타측에는 해수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캡 어셈블리(cap assembly)(20)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외부케이싱(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캡 어셈블리(이하, “제1캡 어셈블리”라 함)(21)의 둘레면에는 상기 외부케이싱(11)과 수직 방향으로 연통되면서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관(21a)이 연결되고, 상기 외부케이싱(11)의 타측에 구비되는 캡 어셈블리(이하, “제2캡 어셈블리”라 함)(22)의 둘레면에는 상기 외부케이싱(11)과 수직 방향으로 연통되면서 해수가 유출되는 유출관(22a)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각 전해관(12)의 외주면에는 코팅층(도시는 생략됨)이 도포된다. 이때 상기 코팅층은 (-)극성을 가진 금속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고 중간에 전류를 통할 수 있는 물질(예컨대, 전해액)이 있으면 (+)극성을 띄는 플레티노이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외부케이싱(11)에 구비된 제1캡 어셈블리(21)의 유입관(21a)을 통해 해수가 유입되면 상기 해수는 상기 외부케이싱(11) 내부와 각 전해관(12) 사이를 통과한다.
이의 과정에서, 상기 내부 전해관(12)의 양 끝단에 설치된 두 제2전원공급터미널(13b)을 통해 (+)전원이 인가됨과 더불어 상기 외부케이싱(11)에 설치된 제1전원공급터미널(13a)을 통해서는 (-)전원이 인가된다.
이로 인해, 상기 외부케이싱(11)과 상기 각 전해관(12) 사이를 통과하는 해수는 상기 외부케이싱(11)을 따라 흐르는 (-)전원과, 상기 각 전해관(12)의 외표면을 따라 흐르는 (+)전원에 의해 전기분해되면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이 생성된다.
이후, 상기 외부케이싱(11)과 각 전해관(12) 사이를 통과한 해수는 상기 외부케이싱(11)에 구비된 제2캡 어셈블리(22)의 유출관(22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종래의 전해 장치에서는 전술된 전해조(10)가 단순히 하나만 제공되도록 구성되진 않는다.
즉, 전해 용량의 증가를 위해 복수의 전해조(10)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설비로 구축하였던 것이다.
이때, 상기 각 전해조(10)들은 어느 한 전해조(10)의 유입관(21a)과 다른 한 전해조(10)의 유출관(22a)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다른 한 전해조(10)의 유입관(21a)에는 또 다른 전해조(10)의 유출관(22a)을 서로 연결하는 등 각 전해조(10)들의 유출관(22a)과 유입관(21a)을 서로 연결하는 배치를 통해 복수의 전해조를 가지는 전해 장치가 구축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어느 한 전해조(10)를 통과하면서 일차적으로 전기분해된 해수는 다른 한 전해조(10)로 제공된 후 해당 전해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재차적으로 전기 분해되고 계속해서 또 다른 전해조로 제공된 후 해당 전해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또 다시 전기 분해가 이루어짐에 따라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성이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는 각 전해조(10)를 이루는 캡 어셈블리(20)들이 PVC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그의 파손이 쉽게 야기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전술된 캡 어셈블리(20)는 셋 이상의 구성품(예컨대, 제2전원공급터미널과의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구성품과, 유입관 혹은, 유출관이 형성된 부위를 형성하는 구성품 및 외부케이싱과의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구성품 등)들이 조립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각 구성품들 간의 조립시 정확한 위치의 일치를 이루도록 하여야만 한 설치상의 어려움과 유지 관리 작업시의 어려움이 야기되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물론, 유입관(21a)과 유출관(22a)을 서로 일치시키기 위한 작업 역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상기한 각 전해조(10) 간을 연결하는 제1캡 어셈블리(21)의 유입관(21a)과 제2캡 어셈블리(22)의 유출관(22a)은 외부케이싱(10)을 통과하는 해수의 유동방향(외부케이싱의 축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해수가 상기한 유출관(22a)으로의 유출 과정 및 유입관(21a)을 통과하여 외부케이싱(11) 내로의 유입 과정에서 큰 압력손실이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가지며, 상기한 해수의 유동시 압력손실에 의해 전해 성능이 저하되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외부케이싱(11)에는 제1전원공급터미널(13a)을 통해 (-)전원이 흐름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외부케이싱(11)은 단순히 스테인레스스틸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해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 상기 외부케이싱(11)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작업자의 감전 등과 같은 안전 사고의 우려가 존재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와 함께, 상기한 제1전원공급터미널(13a)과 제2전원공급터미널(13b)은 각각 서로 다른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각각의 개별적인 관리가 필요할 뿐 아니라 조립 구조 역시 상이하여 조립 작업의 난해함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이 간단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하면서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안전 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하며, 특히 해수의 유동에 따른 압력손실을 저감하여 전해 성능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에 따르면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복수로 제공되면서 서로 간은 상하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전해조; 상하로 서로 인접한 두 전해조의 어느 한 끝단으로부터 축 방향을 향해 연장되면서 서로 연결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해수의 유동이 전해조의 축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연결관; 그리고, 상기 각 전해조의 양측 부위를 각각 클램핑하면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전해조는 양측이 개방된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면서 외관을 이루는 아웃터튜브와, 파이프 혹은, 봉의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외부케이싱 내에 구비되는 인너튜브와, 상기 아웃터튜브 및 인너튜브의 양측 끝단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아웃터튜브 및 인너튜브로 (-)전원 및 (+)전원을 각각 공급함과 더불어 외부 전원을 제공받는 단자는 상기 아웃터튜브 및 인너튜브의 원주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터미널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부는 평판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아웃터튜브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외부 전원을 제공받는 단자가 돌출 형성된 제1전원공급터미널과, 평판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인너튜브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의 단자와는 다른 극의 외부 전원을 제공받는 단자가 돌출 형성된 제2전원공급터미널과, 상기 각 전원공급터미널 사이에 개재되면서 상기 각 전원공급터미널 간을 이격시킴과 더불어 서로 간의 통전됨이 방지되도록 차단하는 절연물질로 형성된 절연플레이트와,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 및 절연 플레이트 사이와, 상기 절연 플레이트 및 제2전원공급터미널 사이에 각각 개재되면서 서로 간의 틈새를 통한 해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기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과 제2전원공급터미널 및 절연 플레이트에는 해수가 통과되도록 통과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의 통과공은 제1전원공급터미널의 중앙측 부위를 관통시켜 형성되고, 상기 제2전원공급터미널의 중앙측 부위에는 체결공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2전원공급터미널의 통과공은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의 통과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체결공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부위를 부분적으로 관통시켜 형성되며, 상기 절연 플레이트의 중앙측 부위에는 관통공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절연 플레이트의 통과공은 상기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부분적으로 관통시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과 상기 아웃터튜브는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의 통과공 내주면에 상기 아웃터튜브의 외주면을 밀착 고정함으로써 서로 간이 통전 가능하도록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의 통과공은 상기 아웃터튜브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도록 계단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너튜브의 양 끝단에는 일단이 상기 인너튜브의 양 끝단을 폐쇄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의 통과공과 상기 절연 플레이트의 관통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2전원공급터미널에 통전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통전블럭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2전원공급터미널과 상기 통전블럭 간은 별도의 체결볼트를 상기 제2전원공급터미널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체결함으로써 서로 통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전원공급터미널의 체결공은 상기 통전블럭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도록 계단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전원공급터미널과 아웃터튜브는 티타늄 합금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웃터튜브의 외주면에는 절연 코팅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각 전해조들의 설치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을 향해 세워진 수직 지주대와, 상하의 양 끝단 부위는 각각 수직 지주대에 결합 고정됨과 더불어 중앙측 부위는 각 전해조의 아웃터튜브를 각각 감싸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웃터튜브 및 인너튜브 사이에는 미들튜브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인너튜브와 상기 미들튜브의 외주면은 (+)극성을 가지도록 하는 코팅층이 도포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는 각 전해조의 양 측 끝단에 터미널부를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한 터미널부의 각 단자는 해수의 통과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각 전해조 간으로 해수의 유동을 안내하는 연결관은 전해조의 축 방향으로 해수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설치함이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구조의 연결관을 적용함으로 인해 해수의 유동에 따른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각 전해조의 아웃터튜브 및 터미널부는 티타늄 합금으로 형성됨에 따라 내구성 및 내부식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고, 전해조의 각 구성 중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는 절연 코팅층이 코팅됨에 따라 누전 혹은,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각 전해조를 이루는 인너튜브 혹은, 미들튜브는 해당 전해조의 터미널부 해체를 통해 각각 개별적인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각 전해조에 대한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튜블라 타입 전해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외부 상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의 전해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의 전해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중 터미널부와 아웃터튜브와 인너튜브 및 미들튜브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8은 도 4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 및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는 크게 복수의 전해조(100)와, 연결관(200) 및 지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전해조(100)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해조(100)는 그 내부를 통과하는 해수의 전기 분해를 위한 구성이며, 지면과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되면서 복수로 제공됨과 더불어 각 전해조(100) 간은 서로 상하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전해조(100)는 아웃터튜브(110)와 인너튜브(120) 및 터미널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아웃터튜브(110)는 전해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이며, 양측이 개방된 파이프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튜브(110)의 개방된 어느 한 측으로는 해수가 유입되고, 다른 한 측으로는 해수가 유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아웃터튜브(110)가 티타늄 합금으로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는 기존의 아웃케이싱이 SUS(Steel Us Stainless)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야기된 핀홀(pin hole) 현상이 발생됨을 고려하여 상기한 핀홀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내구성과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웃터튜브(110)의 외표면에 절연 코팅층(도시는 생략됨)이 형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한 절연 코팅층은 상기 아웃터튜브(110)의 외표면을 따라 흐르는 전류로 인해 작업자의 감전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써, 예컨대,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우레탄, PE, 테프론 등으로 상기 절연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너튜브(120)는 실질적인 전해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써, 양측이 개방된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아웃터튜브(120) 내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아웃터튜브의 내주면과는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물론, 상기한 인너튜브(120)는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은 양측이 개방된 중공의 파이프 구조가 아닌 봉(plunger)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양측이 폐쇄된 파이프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인너튜브(120)가 티타늄 합금으로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 역시 전술된 아웃터튜브(110)와 같이 내구성의 향상 및 안전성의 향상을 위함이다.
이와 함께, 상기 인너튜브(120)의 외주면에는 코팅층(도시는 생략됨)이 도포된다. 이때 상기 코팅층은 (-)극성을 가진 금속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고 중간에 전류를 통할 수 있는 물질(예컨대, 전해액)이 있으면 (+)극성을 띄는 플레티노이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부(130)는 상기 아웃터튜브(110) 및 인너튜브(120)로 서로 다른 전극의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아웃터튜브(110) 및 인너튜브(120)의 양측 끝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한 터미널부(130)는 상기 아웃터튜브(110)로 (-)전극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터미널(131)과 상기 인너튜브(120)로 (+)전극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터미널(132)과, 상기 각 전원공급터미널(131,132) 간을 서로 절연시키는 절연 플레이트(133)와, 기밀을 위한 기밀부재(13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 전원공급터미널(131,132) 및 절연 플레이트(133)에는 해수의 축 방향 통과를 위한 통과공(131a,132a,133a)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131)은 평판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아웃터튜브(110)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의 통과공(131a)은 해당 제1전원공급터미널(131)의 중앙측 부위를 완전히 관통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의 경우 상기 아웃터튜브(110)는 그 외주면이 상기 통과공(131a)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서로 간이 통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통과공(131a)은 상기 아웃터튜브(110)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도록 계단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전원공급터미널(132)은 평판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인너튜브(120)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측 부위에는 체결공(132b)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그의 통과공(132a)은 상기 체결공(132b)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부위를 부분적으로 관통시켜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131)의 통과공(131a)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연 플레이트(133)는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131) 및 제2전원공급터미널(132) 사이에 각각 개재되면서 상기 각 전원공급터미널(131,132) 간을 이격시킴과 더불어 서로 간의 통전됨이 방지되도록 차단하는 절연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절연 플레이트(133)의 중앙측 부위에는 관통공(133b)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그의 통과공(133a)은 상기 관통공(133b)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부위를 부분적으로 관통시켜 상기 제2전원공급터미널(132)의 통과공(132a)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밀부재(134)는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131)과 절연 플레이트(133) 사이와 상기 절연 플레이트(133) 및 제2전원공급터미널(132) 사이에 각각 개재되면서 서로 간의 틈새를 통한 해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가스켓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131) 및 제2전원공급터미널(132)의 외주면에는 외부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단자(131c,132c)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131)의 단자(131c)는 (-)전극의 전원을 공급받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공급터미널(132)의 단자(132c)는 (+)전극의 전원을 공급받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인너튜브(120)의 양 끝단에는 상기 인너튜브(120)의 개구 부위를 폐쇄하면서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131)의 통과공(131a)과 상기 절연 플레이트(133)의 관통공(133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2전원공급터미널(132)에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전블럭(122)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2전원공급터미널(132)과 상기 통전블럭(122) 간은 체결볼트(123)로 체결된다. 상기 체결볼트(123)는 상기 제2전원공급터미널(132)의 체결공(132b)을 관통하여 상기 통전블럭(122)에 요입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전원공급터미널(132)의 체결공(132b)은 상기 통전블럭(122)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도록 계단 구조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통전블럭(122)은 상기 인너튜브(120)의 개방된 양측을 폐쇄하도록 하여 상기 인너튜브(120)의 내부로는 해수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통전블럭(122)과 상기 인너튜브(120)는 용접 혹은, 열박음 작업을 통해 서로 간을 기밀상태로 연결한다.
또한, 전술된 제1전원공급터미널(131) 및 제2전원공급터미널(132)은 티타늄 합금으로 형성하여, 부식에 대한 우려를 낮추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웃터튜브(110)와 인너튜브(120) 사이에 미들튜브(140)가 추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상기한 미들튜브(140)는 전해 면적의 증가시켜 전해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미들튜브(140)의 양 끝단은 각각 제1전원공급터미널(131)의 통과공(131a)을 관통하여 절연 플레이트(133)에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미들튜브(140)의 외주면에는 코팅층(도시는 생략됨)이 도포된다. 상기 코팅층은 인너튜브(120)의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층(도시는 생략됨)과 같이 (-)극성을 가진 금속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고 중간에 전류를 통할 수 있는 물질(예컨대, 전해액)이 있으면 (+)극성을 띄는 플레티노이드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관(2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관(200)은 상기 각 전해조(100) 간을 서로 연결하면서 해수의 유동이 전해조(100)의 축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연결관(200)이 상하로 서로 인접한 두 전해조(100)의 어느 한 끝단으로부터 축 방향을 향해 연장되면서 서로 연결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U형 파이프임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200)은 해수의 유동이 전해조(100)의 축 방향을 향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함으로써 압력손실이 최대한 저감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관(200)은 도면상 상하로 서로 인접한 두 전해조(100)의 우측 끝단 간을 그 축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결함과 더불어 해당 전해조(100)의 좌측 끝단은 또 다른 인접 전해조(100)의 좌측 끝단과 그 축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관(200)의 구조는 전해조(100)의 축 방향으로 단자(131c,132c)가 돌출되는 것이 아니라 전해조(100)의 축 방향과는 수직한 원주 방향으로 단자(131c,132c)가 돌출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결관(200)의 양 끝단에는 결합 플랜지(210)가 형성되며, 상기한 결합 플랜지(210)는 제2전원공급터미널(132)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면서 서로 볼트(211)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결합 플랜지(210)와 제2전원공급터미널(132) 사이에도 기밀부재(134)가 추가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전해조(100) 중 가장 하측에 위치되는 전해조(100)와 가장 상측에 위치되는 전해조(100)의 어느 한 끝단은 상기 연결관(200)을 연결하지 않고, 해수의 유입을 위한 유입관(도시는 생략됨) 및 해수의 유출을 위한 유출관(도시는 생략됨)이 각각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3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각 전해조(100)를 일괄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300)가 상기 각 전해조(100)들의 설치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을 향해 세워진 수직 지주대(310)와, 상하의 양 끝단 부위는 각각 수직 지주대(310)에 결합 고정됨과 더불어 중앙측 부위는 각 전해조(100)의 아웃터튜브(11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클램프(3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한다.
특히, 상기한 지지부(300)는 상기 전해조(100)들의 양 측 부위에 각각 제공되도록 하여 상기 각 전해조(100)들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에 의한 해수의 전해 과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터미널부(130)를 이루는 제1전원공급터미널(131)과 제2전원공급터미널(132)로 서로 다른 극의 전원을 각각 제공한다.
즉,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131)로는 (-)전극의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아웃터튜브(110)가 (-)전극을 이루도록 하고, 제2전원공급터미널(132)로는 (+)전극의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인너튜브(120)가 (+)전극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아웃터튜브(110)와 인너튜브(120) 사이에 위치된 미들튜브(140)의 내주면은 상기 인너튜브(120)로 인해 (-)전극을 이루는 반면, 상기 미들튜브(140)의 외주면은 상기 아웃터튜브(110)로 인해 (+)전극을 이루게 된다.
또한, 전술한 상태에서는 각 전해조(100) 중 가장 하측에 위치된 전해조(100)의 일측에 연결된 유입관(도시는 생략됨)을 통해 해당 전해조(100)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며, 상기와 같이 유입된 해수는 터미널부(130)의 각 통과공(131a,132a,133a)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인너튜브(120)와 미들튜브(140) 사이의 공간 및 미들튜브(140)와 아웃터튜브(11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전해조(100)의 타측으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유동되는 해수 중 인너튜브(120)와 미들튜브(14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동되는 해수는 상기 인너튜브(120)의 외주면이 이루는 (+)전극과 미들튜브(140)의 내주면이 이루는 (-)전극의 영향을 제공받아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며, 미들튜브(140)와 아웃터튜브(11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동되는 해수는 상기 미들튜브(140)의 외주면이 이루는 (+)전극과 아웃터튜브(110)의 내주면이 이루는 (-)전극의 영향을 제공받아 전기분해가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전해조(100)를 통과한 해수는 해당 전해조(100)의 타측에 구비된 터미널부(130)의 각 통과공(131a,132a,133a)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연결관(200)으로 유동됨과 더불어 상기 연결관(200)의 안내를 받아 그 상측에 위치된 여타 전해조(100) 내로 유입되며, 계속해서 해당 전해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재차적인 전기분해가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여타 전해조를 통과한 해수는 상기 여타 전해조의 타측을 통해 그 상측에 위치된 또 다른 전해조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해수는 각 전해조(1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되며, 이의 과정에서 전기분해가 이루어져 염소를 생성하게 된다.
즉, 각 전해조(100)를 통과하는 해수는 상기 아웃터튜브(110)와 인너튜브(120) 및 미들튜브(140)가 이루는 각 전극에 의해 소듐이온(Sodium ion, Na+)과 염소이온(Chloride,Cl-)로 해리되어 염소이온은 (+)극에서 산화되어 염소로 되고, 소듐이온은 (-)극에서 환원되어 소윰이 생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와 같이 생성된 소듐은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나트륨(NaOH)과 수소로 된 후 (+)극에서 생성된 염소와 상기 수산화나트륨이 반응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이 생성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는 각 전해조(100)의 양 측 끝단에 터미널부(130)를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한 터미널부(130)의 각 단자(131c,132c)는 해수의 통과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각 전해조(100) 간으로 해수의 유동을 안내하는 연결관(200)은 전해조(100)의 축 방향으로 해수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함에 따라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각 전해조(100)의 아웃터튜브(110) 및 터미널부(130)는 티타늄 합금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는 절연 코팅층이 코팅됨에 따라 누전 혹은,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각 전해조(100)를 이루는 인너튜브(120) 혹은, 미들튜브(140)는 해당 전해조(100)의 터미널부(130) 해체를 통해 각각 개별적인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각 전해조(100)에 대한 유치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는 전술된 바와 같은 실시예의 구성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미들튜브(140)를 하나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둘 이상의 복수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미들튜브(140)의 개수는 전해 용량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로 도시된 터미널부(130)의 각 단자(131c,132c)가 향하는 돌출 방향은 외부 전원선의 연결 구조 및 각 전해조 간의 전원 연결 구조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아래 측에 위치되는 전해조의 각 단자(131c,132c)와 위 측에 위치되는 전해조(100)의 각 단자(131c,132c)를 서로 대향하도록 하여 직간접적인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는 전술된 실시예의 도면에서와 같이 각 전해조(100)가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첨부된 도 4와 같은 상태의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를 시계 방향(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시킨 상태로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혹은 기울어진 상태로도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장착 공간의 환경 등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의 설치 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해조가 설치되는 방향은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 혹은, 경사 방향까지 모두 포괄한다고 볼 수 있으며,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따른 기재에서도 설치 방향을 지칭한 것은 각 구성들 간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실질적으로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의 전체적인 설치 방향에 대한 한정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실시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전해조가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면서 서로 간은 상하 이격되는 구조뿐만 아니라, 각 전해조(100)가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면서 서로 간은 좌우 이격되는 구조도 모두 포함된다.
100. 전해조 110. 아웃터튜브
120. 인너튜브 122. 통전블럭
123. 체결볼트 130. 터미널부
131. 제1전원공급터미널 132. 제2전원공급터미널
133. 절연 플레이트 131a,132a,133a. 통과공
132b. 체결공 133b. 관통공
131c,132c. 단자 134. 기밀부재
140. 미들튜브 200. 연결관
210. 결합 플랜지 211. 볼트
300. 지지부 310. 수직 지주대
320. 클램프

Claims (11)

  1.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복수로 제공되면서 서로 간은 상하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전해조;
    상하로 서로 인접한 두 전해조의 어느 한 끝단으로부터 축 방향을 향해 연장되면서 서로 연결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해수의 유동이 전해조의 축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연결관; 그리고,
    상기 각 전해조의 양측 부위를 각각 클램핑하면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전해조는
    양측이 개방된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면서 외관을 이루는 아웃터튜브와,
    파이프 혹은, 봉의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아웃터튜브 내에 구비되는 인너튜브와,
    상기 아웃터튜브 및 인너튜브의 양측 끝단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아웃터튜브 및 인너튜브로 (-)전원 및 (+)전원을 각각 공급함과 더불어 외부 전원을 제공받는 단자는 상기 아웃터튜브 및 인너튜브의 원주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터미널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는
    평판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아웃터튜브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외부 전원을 제공받는 단자가 돌출 형성된 제1전원공급터미널과,
    평판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인너튜브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의 단자와는 다른 극의 외부 전원을 제공받는 단자가 돌출 형성된 제2전원공급터미널과,
    상기 각 전원공급터미널 사이에 개재되면서 상기 각 전원공급터미널 간을 이격시킴과 더불어 서로 간의 통전됨이 방지되도록 차단하는 절연물질로 형성된 절연플레이트와,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 및 절연 플레이트 사이와, 상기 절연 플레이트 및 제2전원공급터미널 사이에 각각 개재되면서 서로 간의 틈새를 통한 해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기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과 제2전원공급터미널 및 절연 플레이트에는 해수가 통과되도록 통과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의 통과공은 제1전원공급터미널의 중앙측 부위를 관통시켜 형성되고,
    상기 제2전원공급터미널의 중앙측 부위에는 체결공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2전원공급터미널의 통과공은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의 통과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체결공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부위를 부분적으로 관통시켜 형성되며,
    상기 절연 플레이트의 중앙측 부위에는 관통공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절연 플레이트의 통과공은 상기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부분적으로 관통시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과 상기 아웃터튜브는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의 통과공 내주면에 상기 아웃터튜브의 외주면을 밀착 고정함으로써 서로 간이 통전 가능하도록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의 통과공은 상기 아웃터튜브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도록 계단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튜브의 양 끝단에는 일단이 상기 인너튜브의 양 끝단을 폐쇄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제1전원공급터미널의 통과공과 상기 절연 플레이트의 관통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2전원공급터미널에 통전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통전블럭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2전원공급터미널과 상기 통전블럭 간은 별도의 체결볼트를 상기 제2전원공급터미널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체결함으로써 서로 통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공급터미널의 체결공은 상기 통전블럭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도록 계단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원공급터미널과 아웃터튜브는 티타늄 합금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튜브의 외주면에는 절연 코팅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각 전해조들의 설치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을 향해 세워진 수직 지주대와,
    상하의 양 끝단 부위는 각각 수직 지주대에 결합 고정됨과 더불어 중앙측 부위는 각 전해조의 아웃터튜브를 각각 감싸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튜브 및 인너튜브 사이에는 미들튜브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인너튜브와 상기 미들튜브의 외주면은 (+)극성을 가지도록 하는 코팅층이 도포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KR1020110089374A 2011-09-05 2011-09-05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KR101106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374A KR101106282B1 (ko) 2011-09-05 2011-09-05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CN201280043202.3A CN103917694B (zh) 2011-09-05 2012-01-17 管型电解装置
PCT/KR2012/000402 WO2013035946A1 (ko) 2011-09-05 2012-01-17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374A KR101106282B1 (ko) 2011-09-05 2011-09-05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6282B1 true KR101106282B1 (ko) 2012-01-18

Family

ID=45614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374A KR101106282B1 (ko) 2011-09-05 2011-09-05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06282B1 (ko)
CN (1) CN103917694B (ko)
WO (1) WO2013035946A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462B1 (ko) * 1997-04-30 2005-08-09 김원규 사향을함유하지않은변방우황청심원조성물
KR101329046B1 (ko) 2012-12-13 2013-11-20 유니테크 주식회사 차아염소산 나트륨 제조용 튜브형 전해조
KR101339051B1 (ko) 2012-12-12 2013-12-09 유니테크 주식회사 튜브형 전해조의 보호 및 지지장치
KR101366343B1 (ko) 2012-07-31 2014-02-25 (주) 테크윈 파이프형 전해조
KR101382383B1 (ko) 2013-09-26 2014-04-17 주식회사 아메스 전기분해장치
KR101412721B1 (ko) 2013-05-23 2014-06-30 (주) 테크윈 전해모듈
KR101466371B1 (ko) * 2013-04-30 2014-11-27 주식회사 욱영전해씨스템 고농도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산용 나트륨 해수전해장치
KR200475903Y1 (ko) * 2013-01-02 2015-01-15 주식회사 욱영전해씨스템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KR101512824B1 (ko) * 2013-08-26 2015-04-17 주식회사 욱영전해씨스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전해조를 구비하는 터뷸러 타입의 해수전해장치
KR20150094170A (ko) * 2014-02-10 2015-08-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평형수 처리 장치
KR101611749B1 (ko) 2014-11-10 2016-04-12 (주)미라클인 물살균 및 배관청소용 전해장치
KR101618609B1 (ko) * 2014-07-29 2016-05-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해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60101257A (ko) * 2015-02-16 2016-08-25 (주) 테크로스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
KR101824477B1 (ko) * 2015-10-05 2018-0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기분해장치
WO2021074488A1 (en) * 2019-10-14 2021-04-22 Elwater Ltd Oy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KR20220049433A (ko) * 2020-10-14 2022-04-21 (주) 아큐스 차염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458A (ko) * 1996-11-05 1998-08-05 지종기 산업폐수 연속 전해 정화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497996B1 (ko) 2004-10-25 2005-07-01 주식회사 욱영전해씨스템 다수의 전해관을 구비한 전해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83091A2 (fr) * 1974-07-24 1976-03-26 Air Liquide Procede nouveau de preparation de persulfate de metaux alcalins ou d'ammonium
US7374645B2 (en) * 2006-05-25 2008-05-20 Clenox, L.L.C. Electrolysis cell assembly
KR100816098B1 (ko) * 2007-01-26 2008-03-2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파워그린 워터가스 발생장치의 전해조
CN201087218Y (zh) * 2007-08-16 2008-07-16 郑冠杰 防漏电及防内部气爆电解槽
KR100981585B1 (ko) * 2010-03-08 2010-09-10 문정아 멀티형 전해조 구조
CN102011136B (zh) * 2010-11-20 2015-08-26 陕西华秦新能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组合式电解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458A (ko) * 1996-11-05 1998-08-05 지종기 산업폐수 연속 전해 정화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497996B1 (ko) 2004-10-25 2005-07-01 주식회사 욱영전해씨스템 다수의 전해관을 구비한 전해조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462B1 (ko) * 1997-04-30 2005-08-09 김원규 사향을함유하지않은변방우황청심원조성물
KR101366343B1 (ko) 2012-07-31 2014-02-25 (주) 테크윈 파이프형 전해조
KR101339051B1 (ko) 2012-12-12 2013-12-09 유니테크 주식회사 튜브형 전해조의 보호 및 지지장치
KR101329046B1 (ko) 2012-12-13 2013-11-20 유니테크 주식회사 차아염소산 나트륨 제조용 튜브형 전해조
KR200475903Y1 (ko) * 2013-01-02 2015-01-15 주식회사 욱영전해씨스템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KR101466371B1 (ko) * 2013-04-30 2014-11-27 주식회사 욱영전해씨스템 고농도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산용 나트륨 해수전해장치
KR101412721B1 (ko) 2013-05-23 2014-06-30 (주) 테크윈 전해모듈
KR101512824B1 (ko) * 2013-08-26 2015-04-17 주식회사 욱영전해씨스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전해조를 구비하는 터뷸러 타입의 해수전해장치
KR101382383B1 (ko) 2013-09-26 2014-04-17 주식회사 아메스 전기분해장치
KR101654695B1 (ko) * 2014-02-10 2016-09-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평형수 처리 장치
KR20150094170A (ko) * 2014-02-10 2015-08-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평형수 처리 장치
KR101618609B1 (ko) * 2014-07-29 2016-05-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해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611749B1 (ko) 2014-11-10 2016-04-12 (주)미라클인 물살균 및 배관청소용 전해장치
WO2016076584A1 (ko) * 2014-11-10 2016-05-19 (주)미라클인 물살균 및 배관청소용 전해장치
KR20160101257A (ko) * 2015-02-16 2016-08-25 (주) 테크로스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
KR101686865B1 (ko) * 2015-02-16 2016-12-16 (주) 테크로스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
KR101824477B1 (ko) * 2015-10-05 2018-0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기분해장치
WO2021074488A1 (en) * 2019-10-14 2021-04-22 Elwater Ltd Oy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KR20220049433A (ko) * 2020-10-14 2022-04-21 (주) 아큐스 차염제조장치
KR102451586B1 (ko) * 2020-10-14 2022-10-06 (주)아큐스 차염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17694B (zh) 2016-12-07
CN103917694A (zh) 2014-07-09
WO2013035946A1 (ko)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6282B1 (ko)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FI60724B (fi) Elektrolysapparat foer framstaellning av klor
PL113658B1 (en) Unipolar diaphragm cell
CN202107777U (zh) 电解槽
HUT57288A (en) Frame-unit for press filter type electrilizer and press filter type monopolar electrolizer
WO2022044850A1 (ja) 電解装置
CN106148993A (zh) 一种复极盐水电解装置
KR20170018365A (ko) 전기분해 수처리장치
CN209584384U (zh) 一种新型管板式次氯酸钠电解槽
US6716325B2 (en) Electrolytic cell for hypochlorite generation
KR101481327B1 (ko) 복극식 전기분해 반응기
US10550485B2 (en) Pipe-type electrolysis cell
KR100497996B1 (ko) 다수의 전해관을 구비한 전해조
KR200475903Y1 (ko)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ES2795690T3 (es) Electrodo para un procedimiento de electrólisis
KR101070710B1 (ko) 해수 전해조
WO2016104934A1 (ko) 전해모듈
KR101329046B1 (ko) 차아염소산 나트륨 제조용 튜브형 전해조
KR20150097104A (ko) 산성수 전해조
CN214458358U (zh) 盐氯发生器电解槽
JP3965491B2 (ja) アルカリイオン水生成装置並びに酸性イオン水生成装置
US20210300798A1 (en) Hydrogen-containing water generator
CN213866483U (zh) 一种电镀池过滤设备
KR101339051B1 (ko) 튜브형 전해조의 보호 및 지지장치
JP5380327B2 (ja) 有隔膜電解槽の電解槽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