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865B1 -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865B1
KR101686865B1 KR1020150023106A KR20150023106A KR101686865B1 KR 101686865 B1 KR101686865 B1 KR 101686865B1 KR 1020150023106 A KR1020150023106 A KR 1020150023106A KR 20150023106 A KR20150023106 A KR 20150023106A KR 101686865 B1 KR101686865 B1 KR 101686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electrode
electrodes
pipe
electrod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1257A (ko
Inventor
박규원
김성태
이해돈
박용석
임헌진
정일희
정재홍
Original Assignee
(주) 테크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테크로스 filed Critical (주) 테크로스
Priority to KR1020150023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865B1/ko
Publication of KR20160101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2001/46109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분해장치 모듈에 포함되는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 형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원통 형상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전극 연장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전극, 그리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통 형상의 둘레 부분이 상기 전극 연장부의 표면에 접하도록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전기를 상기 전극 연장부로 전달하는 부스 바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복수 개의 전극이 별도의 배선 구조 없이 다단 구조를 갖는 부스 바로부터 전기를 효율적으로 전달받게 되고, 이러한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를 포함하는 전기분해장치 모듈의 선박평형수 전기분해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ELECTRODE AND BUS BAR’S CONNE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해수 처리를 위한 전기분해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선박평형수(ballast water)를 외부로부터 유입받고 이를 저장하며 운항하는 선박은 선박평형수를 이용하여 선박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사용한다.
선박에 유입된 선박평형수는 살균 및 중화처리되어 배출되는데, 전기분해장치에서 선박평형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하는 처리과정에서 살균제가 생성되며, 생성된 살균제는 선박평형수에 포함된 미생물을 사멸하는 데 사용된다.
이때, 전기분해장치는 선박에 유입된 선박평형수 전체를 취하여 전기분해하는 전수 통과방식 또는 선박에 유입된 선박평형수의 일부를 취하여 전기분해하는 비전수 통과방식을 통해 선박평형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제인 하이포아염소산염(hypochlorite)를 얻는다.
전기분해장치는 전수 통과방식 또는 비전수 통과방식을 통해 선박평형수를 전기분해하기 위해, 전수 통과방식의 경우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주배관 내부에 판 형상의 전극을 삽입하여 주배관 내부에 유입되는 선박평형수를 전기분해하고, 비전수 통과방식의 경우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주배관에 연결된 분기배관의 내부에 판 형상의 전극을 삽입하여 분기배관 내부에 유입되는 선박평형수를 전기분해한다.
그러나 이때, 비전수 통과방식의 경우, 주배관의 직경에 대비해서 작은 직경을 갖는 분기배관에 판 형상의 전극을 설치하는 것이 쉽지 않고, 설치한다 하더라도 면적이 작은 전극을 설치할 수 밖에 없어 분기배관에 유입된 선박평형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제를 생성하는 데 효율이 낮았다.
또한, 이러한 비전수 통과방식을 통한 선박평형수의 전기분해 과정에서, 분기배관 내부의 전극을 튜브형 전극으로 형성하는 경우, 원통형 튜브 형상의 전극을 부스바와 연결하는 구조의 어려움으로 인해 전극을 복수 개 구비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전기분해 효율이 낮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부스 바의 구조를 다단 구조로 형성하고, 다단 구조를 갖는 부스 바의 각 단에 복수 개의 전극을 각각 연결함으로써 복수 개의 전극과 부스 바를 효율적으로 연결하여, 전극과 부스 바를 구비하는 전기분해장치의 살균제를 생성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전극, 상기 전극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전극으부터 각각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전극 연장부, 그리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 형상의 둘레 부분이 상기 전극 연장부의 표면에 접하도록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전기를 상기 전극 연장부로 전달하는 부스 바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극의 내경과 상기 부스 바의 상기 원통 형상의 직경은 서로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 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전극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두 개의 상기 부스 바로부터 서로 다른 극성의 전기를 전달받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전극이 적어도 두 개 구비될 때 상기 부스 바는,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전극 중 한 전극의 내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제1단, 그리고 상기 제1단의 상부 또는 단부에 연결되고,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전극 중 다른 한 전극의 내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제2단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한 예에서, 상기 전극이 적어도 두 개 구비될 때 상기 부스 바는,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전극 중 한 전극의 내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제3단, 그리고 상기 제3단의 상기 원통 형상의 둘레에 돌출되어 위치하며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전극 중 다른 한 전극으로부터 연장된 전극 연결부의 표면에 닿도록 위치하는 제4단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부스 바는 상기 전극의 개수 및 상기 전극의 내경에 따라, 상기 제1단 내지 상기 제3단의 직경과는 다른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단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전극 연장부와 상기 부스 바는 나사 및 볼트 결합을 통해 고정 연결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이중 또는 다중의 겹 구조로 형성된 서로 다른 전극에 각각 접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부스 바로 인해, 부스 바와 복수 개의 전극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전기분해장치에 복수 개의 전극을 구비하여 전기분해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장치의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전극 및 이를 지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부스 바 연결부 및 부스 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부스 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부스 바와 전극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부스 바와 전극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전극 및 부스 바가 설치되는 전기분해장치 모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극 및 부스 바가 설치되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장치 모듈은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 유입된 선박평형수를 전기분해하는 전기분해장치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서도 주배관에 연결된 분기배관 내부를 흐르는 선박평형수를 전기분해하는 비전수 통과방식에 사용되는 전기분해장치를 형성하는 모듈이다.
한 예에서, 본 발명의 전극 및 부스 바가 설치되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장치 모듈은 선박평형수를 비전수 통과방식으로 전기분해하기 위해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주배관에 연결되는 분기배관 또는 그 분기배관에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전기분해장치 모듈의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파이프(1)의 양 단에 부스 바 연결부(110, 120)를 각각 구비하고, 부스 바 연결부(110, 120)는 각각 절연부(1100, 1200)를 구비하여 부스 바 연결부(110, 120)와 파이프(1) 사이를 절연시키고, 파이프(1)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전극(10; 10a, 10b, 10c, 10d)들과 스페이서(2a, 2b)가 위치한다.
복수 개의 전극은 설명한 것처럼 전기분해장치 모듈의 속이 빈 원통 형상, 즉 파이프 형상을 갖는 파이프(1) 내부에 위치하고, 파이프(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속이 빈 원통 형상인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이때, 복수 개의 전극(10a, 10b, 10c, 10d)의 직경은 파이프(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복수 개의 전극(10)이 파이프(1) 내부에 위치한다.
한 예에서, 복수 개의 전극(10)의 길이는 파이프(1)의 길이와 같거나 파이프(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전극(10)은 적어도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전극(10)은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어, 도 2의 (a)에서 파이프(1)와 전극(10)의 구조의 단면을 도시한 것처럼, 파이프(1)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전극(10)은 겹 구조로 형성된다.
복수 개의 전극(10)에서 인접하는 두 개의 전극(10a와 10b, 10b와 10c, 또는 10c와 10d)은 서로 다른 극성(양극 또는 음극)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전극(10)은 부스 바와 닿도록 설계되어 부스 바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으며, 전극(10)과 부스 바의 연결 구조는 뒤에서 도 5a 및 도 5b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스페이서(2a, 2b)는 복수 개의 전극(10)에서 인접하는 두 전극 사이의 간격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복수 개의 전극(10)의 단부에 걸쳐 위치하고, 파이프(1)의 직경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하며 복수 개의 전극(10)을 끼우기 위한 홈(25)을 구비한다.
이때, 스페이서(2a)에 형성된 홈(25)은 한 전극(10d)의 두께(16)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전극(10)이 스페이서(2a, 2b)의 홈(25)에 끼워지며 고정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바람직한 예로써, 두 개의 스페이서(2a, 2b)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위치하며 복수 개의 전극(10)을 고정함에 따라, 복수 개의 전극(1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두 개의 스페이서(2a, 2b)의 길이는 파이프(1)의 직경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전극(10)을 고정시키는 두 개의 스페이서(2a, 2b)와 복수 개의 전극(10)은 파이프(1) 내부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스페이서(2a, 2b)는 파이프(1)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전극(10)의 양 단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복수 개의 전극(10)을 파이프(1) 내부에 유동 없이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2a, 2b)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이러한 비전도성 물질로 코팅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전기분해장치 모듈의 파이프(1)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부스 바 연결부(110, 120)의 구조를 도 1 및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제1 부스 바 연결부(110)는 파이프(1)의 한 단부에 연결되고 인접하는 부스 바 연결부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아 부스 바(110’)로 전달한다.
이때, 제1 부스 바 연결부(110)는 선박평형수가 전기분해장치 모듈의 파이프(1) 내부에 유입 또는 파이프(1) 외부로 유출되도록 뚫린 형상으로 형성된 관통부(115)를 형성하고, 하나의 부스 바 연결부를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부스 바 연결부에 연결하기 위한 돌출구조인 제1 부스 바 연결부 돌출구조(111)를 구비한다.
제1 부스 바 연결부 돌출구조(111)는 전극을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인 제1 전극 연결 돌출공(112)을 구비한다.
한 예에서, 제1 부스 바 연결부 돌출구조(111)에 형성된 제1 전극 연결 돌출공(112)을 관통하는 전극은 인접하는 다른 부스 바 연결부(미도시)에 형성된 전극 연결 돌출공(미도시)과 동일한 전극으로서, 접하는 두 개의 부스 바 연결부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전극 연결 돌출공을 관통하는 하나의 전극으로 인해, 접하는 두 개의 부스 바 연결부 중 하나의 부스 바 연결부에서 다른 하나의 부스 바 연결부로 전류를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1 부스 바 연결부(110)는 파이프(1) 내부를 향하는 면에 부스 바(110')를 포함하고, 부스 바(110')는 제1단(110'a)과 제2단(110'b)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제1단(110'a)과 제2단(110'b)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갖고, 제1단(110'a)의 지름이 제2단(110'b)의 지름보다 작은 것이 좋다.
이때, 부스 바는 파이프(1)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전극(10)과 접하도록 위치하여 제1 부스 바 연결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전류를 복수 개의 전극(10)에 전달한다.
한 예에서, 부스 바(110')는 도 4의 (a)에 도시한 것처럼, 직경 A'를 갖는 원통 형상의 제1단(110'a)과, 제1단(110'a)의 하부에 위치하고 직경 B'를 갖는 원통 형상의 제2단(110'b)을 포함하는 다단 구조를 갖는다.
다른 한 예에서, 부스 바(110")는 도 4의 (b)에 도시한 것처럼, 직경 A"를 갖는 원통 형상의 제3단(110"a)과, 제3단(110"a)의 둘레에 돌출 구조로 형성된 복수 개의 제4단(110"b)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도 4의 (b)에 도시한 구조를 갖는 부스 바(110")는 도 4의 (c)에 도시한 것처럼 위 또는 아래서 바라보았을 때, 제3단(110"a)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4단(110"b)이 돌출된 구조를 갖게 된다.
이처럼, 부스 바(110', 110")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원통 또는 돌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도 2를 참고로 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겹 구조를 갖는 복수 개의 전극(10)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부스 바(110', 110")와 복수 개의 전극(10)의 연결 구조를 도 5a 및 도 5b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도 5a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 개의 전극(10a, 10b, 10c, 10d)이 겹 구조로 위치하고 스페이서(2a, 2b)로 인해 고정되는 전기분해장치 모듈의 구조에서, 복수 개의 전극(10a, 10b, 10c, 10d) 중 서로 같은 극을 갖는 두 개의 전극(10a, 10c)은 각각의 전극에서 연장되는 전극 연장부(10a', 10c')를 각각 포함하여 형성된다.
전극 연장부(10a', 10c')는 도 4의 (a)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부스 바(110')와 접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부스 바(110')로부터 전기를 전달받는다.
이때, 전극 연장부(10a', 10c')는 전극(10a, 10c)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므로, 부스 바(110')에서 인가된 극성의 전기를 인가받게 된다.
한 예에서, 부스 바(110')가 음극 부스 바인 경우, 부스 바(110')와 접하는 전극 연장부(10a', 10c')는 각각 음의 전기를 전달받고, 따라서, 전극(10a, 10c)은 음극 전류를 발생하며 파이프(1) 내부에 유입된 선박평형수를 환원시키게 된다.
그리고, 다른 한 예로써, 부스 바(110’)가 양극 부스 바인 경우, 부스 바(110')와 접하는 전극 연장부(10a', 10c')는 각각 양의 전기를 전달받고, 이에 따라, 전극(10a, 10c)은 양의 전류를 발생하며 파이프(1) 내부에 유입된 선박평형수를 전기분해하게 된다.
이때, 하나의 전극 연장부(10a)는 부스 바(110')의 제1단(110'a)의 둘레에 접하도록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전극 연장부(10c)는 부스 바(110’)의 제2단(110'b)의 둘레에 접하도록 위치하며, 각각의 전극 연장부(10a, 10c)와 부스 바(110')는 나사 및 볼트 체결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도 5a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처럼, 파이프(1)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전극(10)은 전극 연장부(10a', 10c')가 부스 바(110’)에 접하도록 위치하며, 이로 인해, 전극 연장부(10a', 10c')가 전극(10)으로부터 연장되는 구조와 다단 구조를 갖는 부스 바(110')의 구조로부터, 복수 개의 전극(10)이 부스 바(110')로부터 한 극성의 전기를 인가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전극(10)와 이에 연장된 전극 연장부 및 다단 구조의 부스 바(110') 구조로 인해, 복수 개의 전극(10)이 별도의 배선 구조 없이 부스 바(110')로부터 전기를 효율적으로 전달받게 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전극(10) 및 부스 바(110')의 연결 구조는 파이프(1)의 한 단부 외에 파이프(1)의 반대편 단부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파이프(1)의 반대편 단부에 적용하는 경우, 복수 개의 전극(10) 중 두 개의 전극(10b, 10d)를 부스 바에 연결하기 위해 부스 바를 설계하고, 이때, 부스 바의 구조는 두 개의 전극(10b, 10d)에 접하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단 구조의 부스 바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기분해장치 모듈 내부의 복수 개의 전극(10)과 부스 바(110')의 연결 구조로부터 전기분해장치 모듈은 내부에 전극을 복수 개 구비할 수 있게 되어, 이에 따라 전기분해장치 모듈에서 선박평형수의 전기분해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도 5b를 참고로 하여 복수 개의 전극(10)으로부터 연장된 전극 연장부(10a', 10c')가 도 4의 (b)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부스 바(110")에 접하는 구조를 설명하면, 하나의 전극 연장부(10a')는 부스 바(110")의 제3단(110"a)의 둘레에 접하도록 위치하고, 다른 전극 연장부(10c')는 부스 바(110")의 제4단(110"b)의 표면에 접하도록 위치한다.
이때, 부스 바(110")의 제3단(110"a)의 둘레 중 어느 한 부분에 돌출되어 위치하는 제4단(110"b)은 제4단(110"b)의 돌출 부분이 전극 연장부(10c')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돌출 위치가 설계되는 것이 좋다.
도 5b에서는 두 개의 제4단(110"b)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지만, 도시하지 않은 나머지 두 개의 제4단에 대해서도 전극 연장부(10c')가 각각 접하여 위치하며, 제3단(110"a) 또는 제4단(110"b)의 표면에 접하여 위치하는 전극 연장부(10a', 10c')는 나사 및 볼트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한 예에서, 복수 개의 전극(10)이 전극의 개수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경우, 부스 바(110', 110")는 단을 추가로 더 형성하여 복수 개의 전극(10)에 접촉하도록 부스 바(110', 110")를 설계하고, 부스 바(110', 110")와 복수 개의 전극(10)을 연결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를 도 1 내지 도 5b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처럼 형성함에 따라, 전기분해장치 모듈에 인입된 선박평형수의 전기분해 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전극(10)과 부스 바(110', 110")의 연결 구조를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5b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를 이용하는 전기분해장치 모듈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전기분해장치 모듈의 관통부(115)를 통해 파이프(1) 내부로 선박평형수가 유입된다.
파이프(1) 내부에 유입된 선박평형수는 파이프(1)의 길이방향을 따라 흐르면서 복수 개의 전극(10) 중 음극 전극의 표면에서 환원되고 복수 개의 전극(10) 중 양극 전극의 표면에서 전기분해 처리되어 파이프(1)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선박평형수의 환원반응 및 전기분해반응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를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 전기 전달 흐름을 설명하면, 부스 바 연결부(110)는 전극 연결 돌출공(112)을 관통하는 전극을 통해 인접하는 부스 바 연결부로부터 전기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전기를 부스 바(110')로 전달한다.
그런 다음, 부스 바(110')의 제2단(110'b)은 전달받은 전기를 제2단(110'b)에 접하는 전극 연장부(10c')로 전달하고, 부스 바(110')의 제1단(110'a)은 전달받은 전기를 제1단(110'a)에 접하는 전극 연장부(10a')로 전달한다.
부스 바 연결부(110)의 반대 편에 위치하는 다른 부스 바 연결부(120) 역시 전극 연결 돌출공(122)을 관통하는 전극으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아 부스 바로 전달하고, 부스 바의 각 단에 접하는 전극 연장부에 전기를 전달한다.
그리고 나서, 전극 연장부에 각각 전달된 전기는 전극 연장부와 연결된 전극에 각각 전달된 다음, 부스 바 연결부를 통해 인접하는 다른 전기분해장치 모듈로 전달되게 된다.
이러한 동작으로부터, 복수 개의 전극을 구비하는 전기분해장치 모듈에서 선박평형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파이프 10 : 전극
110', 110" : 부스 바

Claims (7)

  1.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적어도 두 개의 전극;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전극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전극 연장부; 및
    상기 각각의 전극 연장부와 접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전극에 전기를 전달하는 부스 바;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전극 연장부는 직경이 서로 다른 상기 부스 바에 각각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전극은 같은 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
  3. 제1항에서,
    상기 부스 바는 직경이 서로 다른 원통 형상의 2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
  4. 제3항에서,
    상기 부스 바는 직경이 작은 전극에 전기를 전달하는 제1단; 및
    상기 제1단에 연결되어 직경이 큰 전극에 전기를 전달하는 제2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부스 바는 상기 전극의 개수에 따라 직경이 다른 원통 형상의 단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
  7. 제1항에서,
    상기 전극 연장부와 상기 부스 바는 나사 및 볼트 결합을 통해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
KR1020150023106A 2015-02-16 2015-02-16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 KR101686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106A KR101686865B1 (ko) 2015-02-16 2015-02-16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106A KR101686865B1 (ko) 2015-02-16 2015-02-16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257A KR20160101257A (ko) 2016-08-25
KR101686865B1 true KR101686865B1 (ko) 2016-12-16

Family

ID=56884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106A KR101686865B1 (ko) 2015-02-16 2015-02-16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8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45464A4 (en) * 2019-10-14 2023-09-13 Elwater Ltd OY WATER PURIFICATION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7352B2 (ja) 2000-06-06 2006-03-22 株式会社オメガ 電解装置
JP2006198562A (ja) 2005-01-24 2006-08-03 Eretekkusu Engineering Kk 電極装置および電解槽
KR101106282B1 (ko) * 2011-09-05 2012-01-18 주식회사 욱영전해씨스템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472B1 (ko) * 2007-08-27 2009-09-28 바이오세인트(주)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7352B2 (ja) 2000-06-06 2006-03-22 株式会社オメガ 電解装置
JP2006198562A (ja) 2005-01-24 2006-08-03 Eretekkusu Engineering Kk 電極装置および電解槽
KR101106282B1 (ko) * 2011-09-05 2012-01-18 주식회사 욱영전해씨스템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45464A4 (en) * 2019-10-14 2023-09-13 Elwater Ltd OY WATER PURIF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257A (ko)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59425B (fi) Vertikal membranloes elektrolysanordning
US3873438A (en) Electrolytic cell assembly including bipolar concentric electrodes
KR20130023154A (ko) 연속식 전해 산화수/환원수 생성 장치
US8753490B2 (en) Electrolyzer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KR101686865B1 (ko)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
US4409086A (en) Electrolytic cell
PT2861784T (pt) Célula eletrolítica equipada com pares de elétrodos concêntricos
KR20160038298A (ko) 전기분해 수처리장치
KR101987348B1 (ko) 전해수 생성 장치용 전극 적층 구조체
KR101654695B1 (ko) 선박평형수 처리 장치
KR101187435B1 (ko) 전기분해용 다공성 전극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분해조
KR101481327B1 (ko) 복극식 전기분해 반응기
US10550485B2 (en) Pipe-type electrolysis cell
KR20160078646A (ko) 전기분해장치
KR970009865A (ko) 가스 정제방법
CA289153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salting aqueous solutions by means of electrodialysis
KR101611749B1 (ko) 물살균 및 배관청소용 전해장치
RU236761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воды или водных растворов
CN216141309U (zh) 一种金属离子消毒器
CN109122714B (zh) 高效二氧化氯消毒剂生产系统
KR101366343B1 (ko) 파이프형 전해조
KR200386869Y1 (ko) 나권형 전극을 이용한 해수 전해장치
KR101970629B1 (ko) 살균소독제 생성용 전기분해장치
JP2005161196A (ja) 電解殺菌水製造装置
KR20210084809A (ko) 충격과 와류를 이용한 전해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