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629B1 - 살균소독제 생성용 전기분해장치 - Google Patents

살균소독제 생성용 전기분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629B1
KR101970629B1 KR1020170111552A KR20170111552A KR101970629B1 KR 101970629 B1 KR101970629 B1 KR 101970629B1 KR 1020170111552 A KR1020170111552 A KR 1020170111552A KR 20170111552 A KR20170111552 A KR 20170111552A KR 101970629 B1 KR101970629 B1 KR 101970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ode
cathode
housing
generating
electroly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5209A (ko
Inventor
김진규
Original Assignee
(주)수산씨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산씨엠씨 filed Critical (주)수산씨엠씨
Priority to KR1020170111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62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5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0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2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25B1/26Chlorine;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2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25B1/26Chlorine; Compounds thereof
    • C25B1/265Chlo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3/00Diaphragms; Spac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3/00Diaphragms; Spacing elements
    • C25B13/02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소독제 생성용 전기분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짧은 시간에 살균소독제를 다량 생성할 수 있는 살균소독제 생성용 전기분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살균소독제 생성용 전기분해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애노드;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애노드와 동일한 형상 및 모양을 갖는 캐소드;를 포함하며, 상기 애노드 및 캐소드는 판재를 직각으로 연속적으로 절첩하되, 일단을 감싸는 방향으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살균소독제 생성용 전기분해장치{ELECTROLYSIS APPARATUS}
본 발명은 살균소독제 생성용 전기분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짧은 시간에 살균소독제를 다량 생성할 수 있는 살균소독제 생성용 전기분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아염소산(hypochlorous acid) 또는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등의 살균소독제(DISINFECTANT)는 물이 혼합된 전해질의 전기분해를 통해 생성하는 살균제의 일종으로 사용되며, 근래에는 병원이나 면역력이 취약한 유아들이 생활하는 실내에서 일반소비자들도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를 설명한다. 종래의 생성장치는 크게 생성부(100), 분사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생성부(100)는 전해질(E)의 전기분해에 의해 양질의 차아염소산 또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등과 같은 살균소독제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용관(110), 설치판(120), 전기분해장치(130), 가압기둥(140) 및 커버(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용관(110)은 내부에 전해질(E)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부(111)가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하부가 설치판(120) 상면과 결합하고, 상부가 본체(210)와 결합한다. 이때 수용관(110)은 외부에서 사용자가 외부에서 수용관(110) 내부에 구비되는 연장판(141)을 통해 동작확인 엘이디(322)의 조명이 투광하여 전해질(E)의 전기분해 여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의 플라스틱재질 또는 유리재질의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수용관(110) 외면에는 수용되는 전해질(E)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112)이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수용관(110)은 내부에 수용된 전해질(E)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판(120) 및 본체(210)와 결합시에 내부가 밀폐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또한 설치판(12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면에 수용관(110) 및 전기분해장치(130)가 밀폐 결합하고, 하면이 메인보드(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설치판(120)은 제1접지부(121), 제1삽입공(122), 제2삽입공(123), 순환공(124), 단자부재(125) 및 관통공(12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접지부(121)는 설치판(120) 하면에 노출 형성되며, 메인보드(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킹스테이션(311)의 제1도킹접지부(313)와 연결되어 다수의 전기분해장치(130)에 일괄적으로 전류공급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터치스위치(324)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전기분해장치(130)에 전류를 인가하여 전해질(E)의 전기분해에 의해 차아염소산 생성을 시작한다.
제1삽입공(122)은 설치판(120) 상면에 가압기둥(140) 하부가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가능하도록 내측 방향으로 홈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삽입공(122)의 지름 폭은 가압기둥(140)의 하부 지름 폭과 동일한 지름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1삽입공(122)의 지름 폭 중앙에는 관통공(126)을 포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삽입공(123)은 설치판(120) 상면에 서로 다른 지름 폭을 갖도록 다수 형성되며, 다수로 구비되는 각각의 전기분해장치(130) 하부와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한다.
아울러, 제2삽입공(123)은 가압기둥(140) 내부로 전해질(E)의 유입이 불가하도록 밀폐 결합한다.
순환공(124)은 설치판(120) 측면에서 시작하여 각각의 제2삽입공(123)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설치판(120) 상면과 이어지도록 관통형성된다. 이때 순환공(124)은 각각의 전기분해장치(130)들 사이에 형성된 간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전기분해시에 간극을 통하여 생성되는 기포(B) 및 전해질(E)이 수용관(110) 내부에서 순환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기분해시에 전해질(E)을 순환(대류)시킴으로 인하여 상기 전해질(E)의 농도차이를 원활하게 희석하여 주는 것이다.
단자부재(125)는 메인보드(320)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제1접지부(121) 및 제1도킹접지부(313)를 통해 전기분해장치(130)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단자볼트(125a) 및 단자판(125b)을 포함한다.
단자볼트(125a)는 하부가 제1접지부(121)와 접촉하고, 상부가 단자판(125b) 또는 전기분해장치(130) 하면과 면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전기분해장치(130)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기분해 가능하도록 한다.
단자판(125b)은 하부가 단자볼트(125a) 상부와 접촉하고, 상부가 각각의 제2삽입공(123) 내측에 구비되어 다수의 전기분해장치(130)이 상기 제2삽입공(123)에 삽입시에 다수의 상기 전기분해장치(130)에 일괄적으로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단자볼트(125a)를 통해 다수의 전기분해장치(130)에 각각 전류를 인가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단자볼트(125a)가 소요될 수 있으나 단자판(125b)의 사용으로 다수의 전기분해장치(130)이 제2삽입공(123)에 구비시에 적은 양의 단자볼트(125a)를 통해 일괄적으로 전류가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관통공(126)은 제1삽입공(122)과 끼움 결합하는 가압기둥(140) 내측으로 포함될 수 있도록 설치판(120) 지름 폭중앙부에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며, 제1삽입공(122)에 끼움 결합하는 가압기둥(140)을 통해 연장판(141)으로 동작확인엘이디(322)의 조명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전기분해장치(130)에 내장되는 애노드와 캐소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애노드와 캐소드로 이루어진 전극은 일 예로, 판 형상을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고, 하부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전극은 필요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그물형상의 메쉬(Mesh)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각각 내부에 중공부(S)가 형성된 원기둥형상이 서로 포개지도록 구비되어 전기분해시에 생성된 기포의 배출이 용이하다.
그런데 전기분해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전극, 즉, 애노드와 캐소드의 ㄷ대향면적이 넓으면 넓을수록 전기분해 용량이 증가하고, 그로 인해 짧은 시간내에 다량의 살균소독제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는 자체 크기의 제약이 있어 애노드와 캐소드의 대향면적을 크게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애노드와 캐스드의 형상 또는 크기가 상이하게 제작되는 경우, 이들을 각각 별도의 설비에서 제작하고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54640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애노드와 캐소드의 대향면적이 넓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살균소독제를 다량 생성할 수 있는 살균소독제 생성용 전기분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애노드와 캐소드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애노드와 캐소드를 각각 별도로 제작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제작이 매우 용이한 살균소독제 생성용 전기분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애노드와 캐소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때문에 전기분해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살균소독제 생성용 전기분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살균소독제 생성용 전기분해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애노드;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애노드와 동일한 형상 및 모양을 갖는 캐소드;를 포함하며, 상기 애노드 및 캐소드는 판재를 직각으로 연속적으로 절첩하되, 일단을 감싸는 방향으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애노드 및 캐소드는 각각 내부에 위치된 일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애노드와 캐소드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간격유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애노드 및 캐소드가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애노드와 캐소드의 대향면적이 넓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살균소독제를 다량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애노드와 캐소드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애노드와 캐소드를 각각 별도로 제작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제작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애노드와 캐소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때문에 전기분해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1 및 도 2는 기존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에 내장된 전극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요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분해장치에 대한 실시예(1)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하우징(10)과, 한 쌍의 전극(30), 즉, 애노드(31)와 캐소드(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는 도킹스테이션(20)이 구비되는데, 상기 도킹스테이션(20)은 상기 하우징(10)이 직접 안착되는 상부(22)와, 상기 도킹스테이션 상부(22)의 하부에서 지지하는 도킹스테이션 하부(21)로 구성되며, 상기 도킹스테이션(20)의 내부에는 PCB(미도시) 등이 내장된다. 또한 상기 도킹스테이션(20)은 다양한 실시 형태가 있을 수 있고, 앞서 설명한 종래의 도킹스테이션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한 쌍의 전극(3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애노드(31)와 캐소드(32)가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며 구비된다.
상기 애노드(31)와 캐소드(32)는 동일한 모양 및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애노드(31)와 캐소드(32)는 판재를 직각으로 연속적으로 절첩하여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애노드(31)와 캐소드(32)는 일단을 시작점으로 하여 이를 감싸는 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속적으로 절첩하여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어느 지점에서도 교차되거나 접하지 않도록 직각으로 연속적으로 절첩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애노드(31)와 캐소드(32)는 각각 내부에 위치된 일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애노드(31)와 캐소드(32)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간격유지부재(11)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1)는 하우징(10)의 하부 또는 상부에 간격유지부재(1)를 구비한다. 상기 간격유지부재(11)는 상기 애노드(31) 및 캐소드(32)가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또한 상기 애노드(31)와 캐소드(32)에는 하부 일측에 체결부가 절곡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에는 체결공(31a,32a)이 형성된다. 나사(B)가 상기 체결공(31a,32a)을 관통하여 도킹스테이션(2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공(23)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1)는 하우징(10)의 제한된 공간내에서 애노드(31)와 캐소드(32)의 대향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짧은 시간에 살균소독제를 다량 생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실시예
10: 하우징
11: 간격유지부재
20: 도킹스테이션
21: 도킹스테이션 상부
22: 도킹스테이션 하부
23: 체결홀
30: 전극부
31: 애노드
32: 캐소드

Claims (4)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애노드;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애노드와 동일한 형상, 크기 및 모양을 갖는 캐소드;를 포함하며,
    상기 애노드 및 캐소드는 판재를 직각으로 연속적으로 절첩하되, 일단을 감싸는 방향으로 절첩되며,
    상기 애노드 및 캐소드는 각각 가장 안쪽에 위치된 제1절곡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애노드 및 캐소드는 각각 가장 바깥쪽에 위치된 제2절곡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절곡면들 사이에는 다른 절곡면들이 위치되고,
    상기 제2절곡면들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절곡면들 사이의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제 생성용 전기분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와 캐소드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간격유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제 생성용 전기분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애노드 및 캐소드가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제 생성용 전기분해장치.
KR1020170111552A 2017-09-01 2017-09-01 살균소독제 생성용 전기분해장치 KR101970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552A KR101970629B1 (ko) 2017-09-01 2017-09-01 살균소독제 생성용 전기분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552A KR101970629B1 (ko) 2017-09-01 2017-09-01 살균소독제 생성용 전기분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209A KR20190025209A (ko) 2019-03-11
KR101970629B1 true KR101970629B1 (ko) 2019-04-23

Family

ID=65758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552A KR101970629B1 (ko) 2017-09-01 2017-09-01 살균소독제 생성용 전기분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6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400B1 (ko) * 2013-11-27 2015-08-21 (주)수산씨엠씨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278Y1 (ko) * 2006-12-20 2008-08-04 강완규 전기분해 장치
KR101061227B1 (ko) * 2008-11-27 2011-08-31 최장수 수중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한 수산기 라디칼 수와 수소산소가스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400B1 (ko) * 2013-11-27 2015-08-21 (주)수산씨엠씨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209A (ko) 201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077B1 (ko) 수소수 제조용 수소 발생 유니트
CN102666400B (zh) 电解水制造装置
KR102480938B1 (ko) 전해수를 전기 화학으로 생성하는 방법
KR101150004B1 (ko) 액상 매질 플라즈마 방전 발생장치
CN101203461A (zh) 银离子水产生装置
KR20060112377A (ko) 전기 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제조 장치
CN104609509A (zh) 一种等离子体清洗装置
KR20180000827U (ko) 수소수 생성기의 전극 개량 구조
US20160002075A1 (en) Hydrogen-containing water generating device
KR101970629B1 (ko) 살균소독제 생성용 전기분해장치
KR102559708B1 (ko) 전해 장치
KR101280445B1 (ko) 물 정화를 위한 수중 방전 장치
KR20160127611A (ko) 수소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856450B1 (ko) 고순도 오존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순도 오존발생방법
KR101383816B1 (ko) 수중 전기분해에 사용되는 다접점 형성 타입의 전극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살균수 제조장치
CN212425524U (zh) 一种扩展式电化学消毒装置
KR101943068B1 (ko) 휴대용 기능수 생성기기
CN212050668U (zh) 一种挂载式电化学消毒装置
CN218620442U (zh) 一种消杀机器人的臭氧水制备装置
KR101686865B1 (ko) 전극 및 부스 바의 연결 구조
CN214880415U (zh) 一种高效电解电极
KR200167302Y1 (ko) 오존발생기
KR100758726B1 (ko) 수중방전 발생 코어와 이를 이용한 살균수 공급 장치
CN214694391U (zh) 一种次氯酸发生器的电极固定结构
CN104372372A (zh) 氧气/氢气混合气体发生器的水电解槽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