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640A - 진공 차단기 - Google Patents

진공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640A
KR20140017640A KR1020137030632A KR20137030632A KR20140017640A KR 20140017640 A KR20140017640 A KR 20140017640A KR 1020137030632 A KR1020137030632 A KR 1020137030632A KR 20137030632 A KR20137030632 A KR 20137030632A KR 20140017640 A KR20140017640 A KR 20140017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acuum
phase
vacuum valv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0982B1 (ko
Inventor
게이지 고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7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3Cases; Reservoirs, tanks, piping or valves, for arc-extinguishing fluid; Accessories therefor, e.g. safety arrangements, pressure relie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07Specific housing details, e.g. sealing, soldering or brazing
    • H01H2033/6623Details relating to the encasing or the outside layers of the vacuum switch hou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2033/6665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r supporting of the individual vacuum bottles

Landscapes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3상분의 진공 밸브(2)와, 진공 밸브(2)를 각 상 개별로 수용하고 유지하는 3개의 절연 프레임(3)과, 전면측에 기구 케이스(7c)를 가지는 대차 프레임(7)을 구비하며, 진공 밸브(2)가 수용된 3개의 절연 프레임(3)을 기구 케이스(7c)의 후방에 좌우 방향으로 늘어놓아 배치하고, 하부측을 대차 프레임(7)에 고정함과 아울러, 절연 프레임(3)과 기구 케이스(7c)와의 대향부에 래치부(15)를 마련하며, 래치부(15)에 의해서 절연 프레임(3)의 상간 방향의 변위를 구속하도록 했다.

Description

진공 차단기{VACUUM BREAKER}
본 발명은, 수전(受電)·배전(配電) 설비에 사용되는 진공 밸브를 이용한 진공 차단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진공 밸브를 수용하고 유지하는 절연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진공 차단기의 차단부인 진공 밸브는, 3상분(相分)이 축 방향을 병행하게 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고, 3상 일괄로, 또는 각 상(相) 개별로 절연 프레임에 유지되며, 대차(台車) 프레임에 탑재(搭載)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진공 밸브가 3상 일괄의 절연 프레임에 유지된 종래의 진공 차단기는, 예를 들면, 대차 베이스에 3상분으로 나누어진 실(室)이 형성된 절연 프레임이 탑재되며, 각 실내에 진공 밸브가 축선이 수직을 향하게 개별로 수용되고, 진공 밸브의 상부의 고정측이 수평 방향의 상부 주회로 도체에 접속됨과 아울러 절연 프레임에 고정되며, 하부의 가동측은, 가요(可撓) 도체를 매개로 하여 하부 주회로 도체에 접속되어 수평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개별로 절연 프레임에 유지된 종래의 진공 차단기는, 예를 들면, 횡단면이 U자 모양의 절연 프레임 내에 진공 밸브가 그 축선이 수직 방향을 향하게 배치되고, 3상분이 전자(電磁) 조작부와 함께 이동 대차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진공 밸브의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에 연결되는 고정측 도체와 가동측 도체가 진공 밸브의 상하에 배치되고, U자 모양을 한 절연 프레임의 개구부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서 도출(導出)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특허공개 평 7-320610호 공보(제3 페이지, 도 1) [특허 문헌 2] 일본특허공개 2006-49247호 공보(제4 페이지, 도 1)
절연 프레임 내에 배치된 3상(相)의 진공 밸브와, 상부 및 하부의 주회로 도체는, 3상이 병행하는 전류 회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단락(短絡) 전류와 같은 대전류가 통전부(通電部)로 흐른 경우, 상간(相間) 방향으로 과대한 전자력이 발생하며, 이 전자력은 도체부를 지지하는 3상의 절연 프레임에도 작용한다.
특허 문헌 1의 진공 차단기에서는, 절연 프레임을 3상 일괄로 하고 있으므로, 3상의 상호간의 강도는 그런대로 확보할 수 있지만, 진공 차단기의 차단 용량이 커지면 진공 밸브 및 주회로 도체부도 대형화하고, 그것에 따라 절연 프레임이 대형화한다. 이 때문에, 3상 일괄로 제작하려면, 금형 구조의 대형화에 의한 초기 비용 증가나, 제작할 수 있는 금형의 제작 메이커의 제약 등도 있어, 이들이 비용 상승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3상 일괄형의 절연 프레임으로 진공 차단기의 대형화를 진행시켜 가는데에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에 대해, 특허 문헌 2와 같이 절연 프레임이 3상 개별로 대차에 고정되어 있는 것에서는, 절연 프레임을 제작하는 금형이 3상 일괄형 보다 소형으로 해결되기 때문에, 제작면에서의 메리트는 크지만, 상술한 전자력에 의해 절연 프레임이 변위하는 것이 생각되어진다. 절연 프레임이 변위하면, 주회로 도체의 접촉자의 접촉부도 변위하여 통전 성능이 저하하여 아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절연 프레임이나 그것을 장착하는 대차 프레임을 대형화하여 강성 향상을 도모하거나, 접촉자부의 접촉압의 하중을 올리거나 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여, 비용 상승에 연결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3상 개별의 절연 프레임으로 한 경우에도, 상간 방향의 전자력에 대해서 기계적 강도가 뛰어난 진공 차단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진공 차단기는, 3상분(相分)의 진공 밸브와, 진공 밸브를 각 상(相) 개별로 수용하고 유지하는 3개의 절연 프레임과, 전면측(前面側)에 진공 밸브의 조작 기구부를 수용한 기구 케이스를 가지는 대차 프레임을 구비하며, 진공 밸브가 수용된 3개의 절연 프레임이 기구 케이스의 후방에 좌우 방향으로 늘어놓아서 배치되고, 하부측이 대차 프레임에 고정된 진공 차단기에 있어서, 각 절연 프레임과 기구 케이스와의 대향부에 래치부를 마련하고, 래치부에 의해서 각 절연 프레임의 상간(相間) 방향의 변위를 구속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진공 차단기에 의하면, 각 절연 프레임과 기구 케이스와의 대향부에 래치부를 마련하여 각 절연 프레임의 상간 방향의 변위를 구속하도록 했으므로, 상간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자력에 대해서 기계적 강도가 뛰어난 진공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절연 프레임을 필요 이상으로 강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량화할 수 있고, 진공 밸브의 고정측 및 가동측 도체와 부싱과의 접속부의 접촉자에 무리한 가로 방향의 힘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접촉압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차단기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진공 차단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공 차단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요부(要部)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진공 차단기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진공 차단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진공 차단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측면도, (b)는 (a)를 우측으로부터 본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공 차단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며, 스위치 기어 등의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고정 프레임에 재치(載置)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3은, 도 1 중에 일점 쇄선(鎖線)으로 나타내는 원내(圓內)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에서, 진공 차단기(1)의 차단부를 구성하는 진공 밸브(2)는, 원통형을 한 진공 용기의 내부에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모두 도시하지 않음)이 접리(接離, 접촉/분리) 가능하게 배치되어서 수용되어 있다. 3상(相)의 진공 밸브(2)는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상(相)이 개별로, 진공 밸브(2)를 둘러싸도록 마련된 절연 프레임(3) 내에 수용되어 있다. 진공 밸브(2)의 상부측으로부터, 고정 접점에 연결되는 고정측 도체(4)가, 진공 밸브(2)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출(導出)되고, 하부측으로부터는 가동 접점에 연결되는 가동측 도체(5)가 고정측 도체(4)와 동일 방향으로 도출되어 있다.
고정측 도체(4) 및 가동측 도체(5)의 각 선단측에는, 접촉자(6)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자(6)는, 예를 들면,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접촉자편이 배열되고, 그 외주에 스프링이 마련되고, 스프링에 의해서 접촉자편이 중심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의 (a)에서, 도면의 좌측이 진공 차단기(1)의 전면측(前面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면, 배면,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등의 표현은, 이 전면측을 기준으로 한다.
절연 프레임(3)은, 대차 프레임(7)에 탑재되어 있다. 대차 프레임(7)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에 차륜(7a)을 구비하고 있다. 전면측에는 페이스 플레이트(face plate, 7b)를 가지고, 그 바로 후방측은, 주로 진공 밸브(2)의 조작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되는 기구 케이스(7c)로 되어 있으며, 이들로 대차 프레임(7)이 구성되어 있다.
3상분 3개의 절연 프레임(3)은, 대차 프레임(7)의 기구 케이스(7c)의 후방에, 축선을 수직 방향을 향하여, 좌우 방향으로 늘어놓아서 배치되고, 하부측이 대차 프레임(7)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배면측으로부터 보면, 도 1의 (b)와 같이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의해, 진공 차단기(1)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과 같이, 진공 밸브(2)의 고정 접점에 연결되는 상부측은, 고정측 도체(4)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고정측 도체(4)가 절연 프레임(3)에 고정됨으로써, 진공 밸브(2)가 절연 프레임(3)에 기계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진공 밸브(2)의 가동 접점측은 하부로 도출된 가동 전극봉(8)이, 가요(可撓) 도체(9)를 매개로 하여, 절연 프레임(3)에 고정된 가동측 도체(5)에 접속되어 있다. 또, 가동 전극봉(8)은, 축선 방향으로 절연 로드(10)가 연결되어 있으며, 절연 로드(10)는 링크 기구(11)를 매개로 하여 기구 케이스(7c) 내에 수용된 조작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조작 기구의 조작에 의해, 절연 로드(10)를 매개로 하여 가동 전극봉(8)이 상하 이동하고, 진공 밸브(2)의 가동 접점이 구동되어, 고정 접점에 접리(接離, 접촉/분리)함으로써, 진공 차단기(1)의 개폐가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진공 차단기(1)가 수용되는 스위치 기어 등의 케이스에는, 진공 차단기(1)를 재치(載置)하는 고정 프레임이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그 고정 프레임에 재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고정 프레임의 바닥면(12)에는, 대차 프레임(7)의 차륜(7a)을 가이드하는 레일이 마련되어 있으며, 고정 프레임의 후벽(後壁, 13)에는, 부싱(14)이 마련되어 있다. 부싱(14)의 중심 도체(14a)에, 진공 밸브(2)측의 고정측 도체(4) 및 가동측 도체(5)의 각 접촉자(6)가 감합(嵌合, 끼워 맞춤)한다. 또, 상하의 부싱(14)의 후방측은, 예를 들면, 일방이 주회로 모선(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고, 타방이 부하측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도 2에서는 접촉자(6)와 중심 도체(14a)가 접속된 접속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진공 차단기(1)의 페이스 플레이트(7b)에 마련한 핸들을 당겨 전방으로 인출함으로써, 접촉자(6)와 중심 도체(14a)와의 접속이 끊어져, 단로(斷路)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특징부인 대차 프레임(7)과 절연 프레임(3)과의 래치부(15)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의 (a)는, 도 1의 일점 쇄선(鎖線)으로 둘러싼 III부의 확대도이며, (b)는 (a)를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각 상의 절연 프레임(3)의 전면측, 즉, 대차 프레임(7)의 기구 케이스(7c)의 배면과 대향하는 측에는, 원주 모양의 돌기부(1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기구 케이스(7c)의 배면측에는,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16)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의 감합 구멍(17)이 마련되어 있다. 감합 구멍(17)은, 기구 케이스(7c)를 형성하는 박스의 천판부(天板部)를 배면측으로 연장하고, 90도 하부로 절곡한 절곡부(7d)에 마련하고 있다.
상기의, 돌기부(16)와 감합 구멍(17)으로 래치부(15)가 구성되어 있으며, 절연 프레임(3)을 대차 프레임(7)에 장착한 상태에서, 양자가 도면과 같이 감합되어 래치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절연 프레임(3)은, 하부측이 대차 프레임(7)에 고정되고 있음과 아울러, 높이 방향의 중간부 근방의 래치부(15)에서도 대차 프레임(7) 측에 래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감합 구멍(17)은, 기구 케이스(7c)의 천판을 연장한 절곡부(7d)에 마련한 것을 나타냈지만, 별도의 부재의 판에 마련하여 기구 케이스(7c)의 배면에 장착해도 좋다.
다음으로, 래치부(15)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공 차단기(1)가 스위치 기어 등의 케이스에 설치되어 사용될 때, 상부의 부싱(14)의 중심 도체(14a)로부터 고정측 도체(4)-진공 밸브(2)의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가요 도체(9)-가동측 도체(5)-하부의 부싱(14)의 중심 도체(14a)로 흐르는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3상의 진공 밸브(2)가 각각 독립한 절연 프레임(3)에 수용되어서 고정되어 병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지락(地絡) 등이 발생하여 큰 단락(短絡) 전류가 상기의 전류 경로에 흐르면, 그 전류에 의해 3상의 도체 사이에, 도 1의 (b)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큰 전자력이 발생한다. 고정측 도체(4) 및 가동측 도체(5)는 절연 프레임(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절연 프레임(3)의 상간 방향(전면으로부터 보아 좌우 방향)에도 그 과대한 전자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것을 방치해 두면, 진공 차단기(1)의 접촉자(6)부도 상간 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므로, 부싱(14)의 중심 도체(14a)와의 접촉이 불균일한 접촉압(接觸壓)이 되어 통전 성능이 손상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접촉부에서 아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실시 형태 1과 같이, 절연 프레임(3)측에 마련한 돌기부(16)와 대차 프레임(7)측에 마련한 감합 구멍(17)에 의한 래치부(15)를 마련한 것에 의해, 절연 프레임(3)이 상간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구속할 수 있기 때문에, 절연 프레임(3)에 필요한 기계적 강도가 유지되고, 접촉자(6)가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접촉부의 아크를 방지할 수 있다.
돌기부(16)는, 절연 프레임(3)을 몰드 성형할 때에 동시에 형성할 수 있고, 감합 구멍(17)은, 기구 케이스(7c)의 천판의 치수를 늘려 구멍을 뚫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16) 및 감합 구멍(17)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이나 다각형이라도 좋다. 또 개수도, 필요에 따라서 1개의 절연 프레임에 복수개 마련해도 좋다.
또, 돌기부를 기구 케이스(7c)측에 마련하고, 감합 구멍을 각 절연 프레임(3)에 마련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1의 진공 차단기에 의하면, 3상분의 진공 밸브와, 진공 밸브를 각 상 개별로 수용하고 유지하는 3개의 절연 프레임과, 전면측에 진공 밸브의 조작 기구부를 수용한 기구 케이스를 가지는 대차 프레임을 구비하며, 진공 밸브가 수용된 3개의 절연 프레임이 기구 케이스의 후방에 좌우 방향으로 늘어놓아서 배치되고, 하부측이 대차 프레임에 고정된 진공 차단기에 있어서, 각 절연 프레임과 기구 케이스와의 대향부에 래치부를 마련하고, 래치부에 의해서 각 절연 프레임의 상간 방향의 변위를 구속하도록 했으므로, 상간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자력에 대해서 기계적 강도가 뛰어난 진공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절연 프레임을 필요 이상으로 강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량화할 수 있다.
또, 진공 밸브의 고정측 및 가동측 도체와 부싱이 접속되는 접촉자에 무리한 가로 방향의 힘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접촉압을 작게 할 수 있고, 접촉자부의 변위를 억제하여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대차 프레임의 강성도 억누를 수 있으므로, 진공 차단기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래치부는, 기구 케이스와 대향하는 각 절연 프레임의 대향면에 마련된 돌기부와, 돌기부에 감합하도록 기구 케이스측에 마련된 감합 구멍으로 구성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래치부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진공 차단기의 평면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의 도 1과 동등한 진공 차단기를 상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므로, 도 1과 동등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실시 형태 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절연 프레임(3)과 대차 프레임(7)과의 래치부(15)는, 절연 프레임(3)측의 돌기부(16)와 대차 프레임(7)측의 감합 구멍(17)으로 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절연 프레임(3)의, 전면측, 즉 대차 프레임(7)의 기구 케이스(7c)의 배면측과 대향하는 측의 양측에, 세로 길이의 플랜지부(3a)를 형성하고, 대차 프레임(7)측은, 기구 케이스(7c)의 천판을 절연 프레임(3)측으로 신장시키고, 3개의 절연 프레임(3)의 양측의 플랜지부(3a)의 내측에 맞물리도록 한 선단 형상을 가지는 맞물림 판(18)을 마련하여, 맞물림 판(18)의 선단부를 플랜지부(3a)의 내측에 맞물리게 하여 래치부(15)로 한 것이다.
도 4의 경우, 맞물림 판(18)은 기구 케이스(7c)의 천판도 겸한 것을 나타냈지만, 맞물림 판(18)을 천판과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고, 기구 케이스(7c)에 접합해도 좋다.
또, 도 4에서는, 플랜지부(3a)를 절연 프레임(3)의 폭방향 양측에 마련했지만, 플랜지부는 예를 들면 폭 방향의 중앙부에 1개소만으로 하고, 맞물림 판(18)의 선단 형상을 그것에 맞추어 형성하여 래치부로 해도 좋다.
다음으로, 래치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래치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진공 차단기의 평면 단면도이다. 앞의 도 4에 대응하는 부분이므로, 동등 부분은 동일 부호로 나타내어 설명은 생략하고, 도 4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에서는, 절연 프레임(3)에 플랜지부는 마련하지 않고,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단면을 한 각 상의 절연 프레임(3)의 폭 방향의 단부(3b)를 절연 프레임(3)측의 래치부로 하고, 기구 케이스(7c)측은, 천판을 절연 프레임(3)측으로 신장시키고, 선단부의 형상을, 각 절연 프레임(3)의 폭 방향 전체를 외측으로부터 끼우는 형상으로 한 맞물림 판(19)을 마련한 것이다. 맞물림 판(19)은, 기구 케이스(7c)의 천판과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해도 좋다.
도 4 또는 도 5와 같은 구성에 의해, 진공 밸브(2)에 단락 전류와 같은 대전류가 흘렀을 때에, 절연 프레임(3)이 상간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자(6)부가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접촉부의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래치부의 형상은, 도 4, 도 5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절연 프레임측의 형상에 맞추어, 래치시키는 부분의 형상을 적절히 결정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2의 진공 차단기에 의하면, 래치부는, 기구 케이스와 대향하는 각 절연 프레임의 대향면에 마련된 플랜지부와, 플랜지부에 맞물리는 선단 형상을 가지며 기구 케이스 측에 마련된 맞물림 판으로 구성했으므로, 단락 전류와 같은 대전류가 흘렀을 때 상간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자력에 대해서 기계적 강도가 뛰어난 진공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고, 또, 실시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래치부는, 기구 케이스와 대향하는 각 절연 프레임의 대향면의 양단부와, 양단부에 맞물리는 선단 형상을 가지며 기구 케이스측에 마련된 맞물림 판으로 구성했으므로, 절연 프레임측에 래치를 위한 특별한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진공 차단기  2 진공 밸브
3 절연 프레임 3a 플랜지부
3b 단부  4 고정측 도체
5 가동측 도체 6 접촉자
7 대차 프레임 7a 차륜
7b 페이스 플레이트  7c 기구 케이스
7d 절곡부  8 가동 전극봉
9 가요 도체  10 절연 로드
11 링크 기구  12 바닥면
13 후벽 14 부싱
14a 중심 도체 15 래치부
16 돌기부  17 감합 구멍
18, 19 맞물림 판

Claims (4)

  1. 3상분(相分)의 진공 밸브와, 상기 진공 밸브를 각 상(相) 개별로 수용하고 유지하는 3개의 절연 프레임과, 전면측(前面側)에 상기 진공 밸브의 조작 기구부를 수용한 기구 케이스를 가지는 대차(台車)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진공 밸브가 수용된 상기 3개의 절연 프레임이 상기 기구 케이스의 후방에 좌우 방향으로 늘어놓아서 배치되고, 하부측이 상기 대차 프레임에 고정된 진공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각 절연 프레임과 상기 기구 케이스와의 대향부에 래치부를 마련하고, 상기 래치부에 의해서 상기 각 절연 프레임의 상간(相間) 방향의 변위를 구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차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기구 케이스와 대향하는 상기 각 절연 프레임과의 대향면에 마련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에 감합(嵌合, 끼워 맞춤)하도록 상기 기구 케이스측에 마련된 감합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차단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기구 케이스와 대향하는 상기 각 절연 프레임의 대향면에 마련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맞물리는 선단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기구 케이스측에 마련된 맞물림 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차단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기구 케이스와 대향하는 상기 각 절연 프레임의 대향면의 양단부와, 상기 양단부에 맞물리는 선단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기구 케이스측에 마련된 맞물림 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차단기.


KR1020137030632A 2011-06-20 2011-06-20 진공 차단기 KR101510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4036 WO2012176259A1 (ja) 2011-06-20 2011-06-20 真空遮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640A true KR20140017640A (ko) 2014-02-11
KR101510982B1 KR101510982B1 (ko) 2015-04-10

Family

ID=47422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632A KR101510982B1 (ko) 2011-06-20 2011-06-20 진공 차단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150013B1 (ko)
KR (1) KR101510982B1 (ko)
CN (1) CN103563036A (ko)
DE (1) DE112011105362B4 (ko)
TW (1) TWI431654B (ko)
WO (1) WO20121762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480A (ko) * 2014-09-09 2017-02-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진공 차단기
CN106960759B (zh) * 2017-04-05 2019-03-15 平高集团有限公司 单极绝缘筒及使用该单极绝缘筒的单极灭弧室和负荷开关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04164A (ko) * 1973-02-09 1974-10-02
JPS54101476U (ko) * 1977-12-28 1979-07-17
JPS57147830A (en) * 1981-03-06 1982-09-11 Tokyo Shibaura Electric Co Vacuum breaker
JPS57147829A (en) 1981-03-06 1982-09-11 Tokyo Shibaura Electric Co Vacuum breaker
JPS60147127U (ja) * 1984-03-12 1985-09-30 株式会社明電舎 真空しや断器
JPH07320610A (ja) 1994-05-27 1995-12-08 Toshiba Corp 真空遮断器
JP2006049247A (ja) 2004-08-09 2006-02-16 Japan Ae Power Systems Corp 電磁操作形遮断器
US7910852B2 (en) * 2008-02-07 2011-03-22 Eaton Corporation Encapsulated pole unit conductor assembly for an encapsulated pole unit and medium voltage circuit interrupter including the same
KR101153478B1 (ko) * 2008-04-07 2012-06-1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진공 차단기 및 이를 사용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
CN101320653B (zh) * 2008-07-22 2010-12-01 沈阳飞驰电气设备有限公司 手车式真空断路器
JP2010288344A (ja) * 2009-06-10 2010-12-24 Japan Ae Power Systems Corp 遮断器引き出し装置
AU2010349157B2 (en) * 2010-03-25 2014-09-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acuum-circuit br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76259A1 (ja) 2012-12-27
KR101510982B1 (ko) 2015-04-10
JPWO2012176259A1 (ja) 2015-02-23
JP5150013B1 (ja) 2013-02-20
DE112011105362T5 (de) 2014-03-13
TWI431654B (zh) 2014-03-21
DE112011105362B4 (de) 2023-06-07
CN103563036A (zh) 2014-02-05
TW201301327A (zh) 201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48110B (zh) 电磁接触器
JP5183825B2 (ja) 電力開閉装置
JP4866949B2 (ja)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KR101153478B1 (ko) 진공 차단기 및 이를 사용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
KR101291835B1 (ko) 인출형 회로 차단기의 인터로크 장치 및 인출형 회로 차단기 및 배전반
US8710390B2 (en) Interlock apparatus for vacuum circuit breaker
US8779319B2 (en) Terminals for vacuum circuit breaker and vacuum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JP2011138778A (ja) 真空遮断器
CN103534779A (zh) 电磁接触器
KR20140138843A (ko) 직류 회로용 회로 차단기 및 직류 회로용 회로 차단 장치
JP2013048024A (ja) スイッチギヤ及びスイッチギヤの操作方法
JP6094028B2 (ja) 真空遮断器
KR20130000096U (ko) 회로차단기의 아크소호장치
KR20140017640A (ko) 진공 차단기
US11469056B2 (en) Gripping group of caliper-like elements for gripping moveable contacts
KR101490176B1 (ko)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
JP6621299B2 (ja) スイッチギヤ
JP5837163B2 (ja) 真空遮断器
KR101324731B1 (ko) 인출형 부하개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패널 배전반
KR101463046B1 (ko) 인출형 차단기용 크래들 터미널
KR101563588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도체 홀 커버 결합구조
KR101286291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JP6163950B2 (ja) 回路遮断器
KR101364633B1 (ko) 차단기의 절연 장치
KR20150002591U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단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