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176B1 -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 - Google Patents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176B1
KR101490176B1 KR20130026343A KR20130026343A KR101490176B1 KR 101490176 B1 KR101490176 B1 KR 101490176B1 KR 20130026343 A KR20130026343 A KR 20130026343A KR 20130026343 A KR20130026343 A KR 20130026343A KR 101490176 B1 KR101490176 B1 KR 101490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insulating frame
frame
circuit breaker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6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1878A (ko
Inventor
양홍익
양승필
안길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26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176B1/ko
Publication of KR20140111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3Profiles for cabinet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2Details particular to three-phase circuit bre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5Constructional details of housings or casings not concerning the mounting or assembly of the different internal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73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draw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 본체가 인입/인출됨에 따라 상기 차단기 본체의 접촉자 어셈블리와 접속/분리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인입상태에서 상기 접촉자 어셈블리를 수용하며 상기 단자부와 상기 접촉자 어셈블리 주위를 절연하는 절연부싱; 및 상기 차단기 본체가 안착되고 상기 절연부싱이 고정되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싱은 둘레에 절연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을 구현하여 외함에 별도의 절연판을 설치하지 않아도 절연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A CRADLE FOR A WITHDRAWABL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절연부싱의 절연성능이 향상된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에 관한 것이다.
차단기는 전기회로에 있어서 발생 가능한 단락, 지락 등의 사고전류로부터 부하기기 및 선로를 보호하고 기타 필요한 경우 전류를 차단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차단기로는 고정형과 인출형이 있으며, 시험과 유지보수에 편리한 인출형 차단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출형 차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인출형 차단기가 인입된 상태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종래의 인출형 차단기는 인출형 차단기 본체(10), 외함(20), 인입출 장치(30)를 포함한다. 외함(20)에는 인출형 차단기 본체(10)와 인입출 장치(30)가 구비되고, 인출형 차단기 본체(10)는 인입출장치(30)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된다.
인출형 차단기 본체(10)는 본체측 단자(11), 회로개폐부(12), 회로개폐부(12)를 제어하는 제어부(13)를 포함한다. 회로개폐부(12)는 제어부(13)에 의해 회로가 개폐된다. 본체 단자(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에 접촉자(11a)가 형성되어 외함 단자(22)와 접속한다.
외함(20)은 인출형 차단기 본체(10)를 지지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21), 외함 단자(22), 절연부싱(23) 및 절연판(24)을 포함한다. 외함 단자(22)는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접속가능하고, 인출형 차단기 본체(10)의 인입, 시험 또는 인출 위치에 따라 접촉자(11a)와 접속 또는 분리되는 단자이다. 절연부싱(23)은 외함 단자(22)를 고정하고 절연을 유지한다. 절연판(24)은 절연부싱(23)과 몸체(21)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절연재질의 판이다.
인입출장치(30)는 외함(20)에 설치되고 차단기 본체(10)가 안착되어 차단기 본체(10)를 인입 또는 인출 구동하는 장치이다. 도 2는 인출형 차단기 본체(10)가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인출시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인출형 차단기 본체(10)가 움직여 본체측 단자(11)와 외함 단자(22)가 분리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접촉자(11a) 주변의 절연을 위해서는 절연을 위한 공간거리, 다시 말해 도체인 접촉자(11a)와 그라운드의 최소 공기절연거리를 확보해야하며, 이를 위해 접촉자(11a)에서 절연부싱(23)까지의 거리(L1+L2)에 추가적으로 몸체(21) 표면까지의 절연판(24)의 표면거리(L3)가 요구되었다.
또한, 절연을 위해 도체인 외함 단자(22)와 그라운드의 최소 표면 절연거리, 다시말해 연면거리를 확보해야하며, 이를 위해 절연부싱(23)에서 절연판(24)까지의 표면거리(l1+l2+l3+l4)에 추가적으로 몸체(21) 표면까지의 절연판(24)의 표면거리(l5)가 요구되었다.
즉, 종래의 절연부싱(23)의 구조는 절연거리 확보를 위해 절연부싱(23)과 외함 사이에 절연판(24)과 같은 절연이 가능한 부품이 추가적으로 필요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은 절연판(24)과 같은 추가부품으로 인하여 제품의 크기가 커지고,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제조공정이 복잡하며 조립시간도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절연부싱의 절연성능이 향상된 인출형 차단기 외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단기 본체가 인입/인출됨에 따라 상기 차단기 본체의 접촉자 어셈블리와 접속/분리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를 고정하고,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인입상태에서 상기 접촉자 어셈블리를 수용하고, 상기 단자부와 상기 접촉자 어셈블리 주위를 절연하는 절연부싱;과 상기 차단기 본체가 안착되고, 상기 절연부싱이 고정되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싱은 외주에 형성된 절연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절연공간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싱은,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인입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단자부가 고정되는 제1절연프레임; 및 상기 제1절연프레임과 적어도 일부분이 이격되어 상기 제1절연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절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공간은 상기 제1절연프레임과 상기 제2절연프레임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절연부싱은, 상기 제1절연프레임 및 상기 제2절연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이격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제1절연프레임의 외주면과 상기 제2절연프레임의 내주면에 각각 접하여 상기 제1절연프레임과 상기 제2절연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분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싱은, 상기 제1절연프레임 및 상기 제2절연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절연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절연프레임은 상기 제1절연프레임의 상측 및 하측과 각각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절연프레임과 상기 제2절연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싱은 위아래로 적어도 두 개 구비되고, 위아래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공간은 적어도 일측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연공간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인접한 측이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부싱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절연공간에 의해 절연을 위한 연면거리와 공간거리가 증가하여 절연부싱의 절연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인출형 차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인출형 차단기가 인입된 상태의 부분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B-B 방향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절연부싱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절연부싱의 C-C 방향 단면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절연부싱의 D-D 방향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가 인입된 상태의 부분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일 실시예의 E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및 기능>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B-B 방향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100)은 메인프레임(110), 단자부(120) 및 절연부싱(130)을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메인프레임(110)은 인출형 차단기의 본체를 수용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이다. 이러한 메인프레임(110)은 일면에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각 통공에 단자부(120) 및 단자부(120) 주위를 절연하는 절연부싱(130)이 설치된다. 이때, 통공은 인출형 차단기 본체가 인입될 때 인출형 차단기 본체의 접촉단자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통공은 인출형 차단기 본체의 접촉단자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다만, 메인프레임(110)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출형 차단기 본체가 인입, 인출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고 인출형 차단기를 외부전원 또는 부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재가 설치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단자부(120)는 인출형 차단기 본체의 회로를 외부전원 및/또는 부하와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단자부(120)는 일측에 외부전원 및/또는 부하가 접속되는 콘센트부(121)가 형성되고, 타측에 인출형 차단기 본체에 구비되는 접촉자가 맞물리는 접속부(122)가 형성된다. 이러한 단자부(120)는 공지된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 또는 스위치기어의 단자부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단자부(120)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출형 차단기 본체와 외부전원 및/또는 부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절연부싱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절연부싱의 C-C 방향 단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절연부싱의 D-D 방향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절연부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절연부싱(130)은 메인프레임(110) 외면에 구비되어 단자부(120) 주위를 절연하고 단자부(120)를 지지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절연부싱(130)은 둘레에 복수개의 절연공간(S1, S2)이 형성되며, 일측에 단자부(120)가 설치된다. 이러한 절연부싱(130)은 제1절연프레임(131), 제2절연프레임(132), 이격부재(133), 지지부재(134) 및 플랜지부(135)를 포함한다.
제1절연프레임(131)은 인출형 차단기 본체가 인입출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대략적인 관 형상을 갖는 절연체이다. 제1절연프레임(131)은 일측이 개방되어 상술한 메인프레임(110)에 형성된 통공과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제1절연프레임(131)에 형성된 개구(131a)가 메인프레임(110)의 통공과 연통된다. 따라서, 인출형 차단기 본체가 인입될 때 개구(131a)를 통해 인출형 차단기 본체의 접촉자가 삽입되어 단자부(120)와 맞물리게 된다. 개구(131a)의 반대편에는 단자부(120)를 고정하기 위한 가로막(131b)이 형성된다. 가로막(131b)에는 단자부(120)가 삽입설치되는 삽입구(131c)와 단자부(120)를 가로막(131b)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구(131d)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단자부(120)는 볼트와 너트를 체결부재로 사용하여 가로막(131b)에 고정된다. 이때, 체결구(131d) 일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가 수용될 수 있도록 너트 외형대로 다각형상으로 형성된 내경을 갖는 너트 삽입홈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제1절연프레임(131)의 가로막(131b)측 단부에는 가림막(131e)이 더 형성된다. 가림막(131e)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절연부싱에 고정된 단자부(120)에 대해 절연을 보강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러한 가림막(131e)은 단면이 대략적인 U 형상이고, 제1절연프레임(13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싱(130)은 가림막(131e)이 인접한 절연부싱측으로 볼록하게 배치되도록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된다.
제1절연프레임(131)에는 측면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측벽부재(131f)가 더 구비된다. 측벽부재(131f)는 제1절연프레임(131)의 내측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측벽부재(131f)는 일단이 가로막(131b)과 접하고 타단이 절곡되어 제1절연프레임(131)의 측벽과 접하여 제1절연프레임(131)의 측면에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측벽부재(131f)는 가로막(131b)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제1절연프레임(131)의 양측면에 각각 공간을 형성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막(131b)의 가로폭은 양단의 측벽부재(131f) 사이의 거리와 같다.
제1절연프레임(131)의 측면에 형성된 공간은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되고, 후술할 절연공간(S1, S2)과 함께 절연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제2절연프레임(132)은 제1절연프레임(131)의 외면과 이격되어 설치되어 제1절연프레임(131)과 제2절연프레임(132) 사이에 절연공간(S1, S2)을 형성하는 절연체이다. 제2절연프레임(132)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절연프레임(131)의 상부면 및 하부면과 각각 이격되고, 제1절연프레임(131)의 측면과 연결되어 설치된다. 즉, 제2절연프레임(132) 내측의 상하방향 폭은 제1절연프레임(131)의 대응하는 상하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절연프레임(132) 내측의 가로폭은 개구(131a)의 중심부 가로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2절연프레임(132)은 단면형상이 대략 사각형인 관 형상이고, 제1절연프레임(132)의 개구(131a)측에서 가로막(131b)측으로 연장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연프레임(132)은 가로막(131b) 전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절연거리 확보를 위해 필요한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격부재(133)는 제1절연프레임(131)과 제2절연프레임(132) 사이를 이격시킨다. 이격부재(1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연프레임(131) 외측면에서 제2절연프레임(132) 내측면까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절연프레임(131)과 제2절연프레임(132) 사이의 공간을 분리하고 지지한다. 또한, 이격부재(1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연프레임(131)의 외주면과 제2절연프레임(132)의 내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이격부재(133)에 의해 제1절연프레임(131)과 제2절연프레임(132) 사이에 절연공간(S1, S2)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격부재(1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연프레임(131)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공간(S1, S2)은 제1절연프레임(131), 제2절연프레임(132), 이격부재(133)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부재(133)의 맞은편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절연공간(S1, S2)은 메인프레임(110)과 인접한 측이 개방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절연을 위한 표면거리가 증가하므로 절연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지지부재(134)는 제1절연프레임(131)과 제2절연프레임(132) 사이에 구비되어 이격공간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부재(1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싱(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구체적으로 이격부재(133)측에서 가로막(131a)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34)는 제1절연프레임(131) 외측면에서 제2절연프레임(132) 내측면까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34)는 2 개가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어 제1절연프레임(131)의 상부측에 구비되고, 2 개가 상호 나란히 이격되어 제1절연프레임(131)의 하부측에 구비된다.
플랜지부(135)는 제2절연프레임(132) 일단부 외주면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플랜지부(135)는 제2절연프레임의 개구(131a)측 단부에 형성된다. 플랜지부(135)에 의해 절연부싱(130)은 메인프레임(110)에 고정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프레임(110)에는 별도의 절연부싱 고정판(111)이 결합되어 절연부싱(130)을 메인프레임(110)에 부착한다.
다만, 절연부싱(130)은 플랜지부(135)가 구비되지 않고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메인프레임(1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절연부싱(130)에 구비되는 플랜지부(135)는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판(111)으로 메인프레임(110)에 부착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연부싱(130)은 단자부(120)와 함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0)에 고정된다. 절연부싱(130)의 배열위치는 인출형 차단기 본체의 단자위치에 대응하여 결정되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위아래로 각각 하나씩 총 3열로 배열되어 6개의 절연부싱(130)이 구비된다. 이때, 위에 설치되는 절연부싱(130)에 구비되는 단자부(120)가 입력단자이면 아래에 설치되는 절연부싱(130)에 구비되는 단자부(120)는 출력단자가 된다. 위아래로 일렬로 설치되는 절연부싱(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막(131e)의 볼록한 곡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일 실시예의 E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는 외함, 진공차단기 본체(200) 및 이송장치(300)를 포함한다. 외함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100)과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진공차단기 본체(200)는 진공차단부(210), 제어부(220) 및 접촉자 어셈블리(215)를 포함한다.
진공차단부(210)는 이상전류가 발생하거나 기타 주회로부를 개방할 필요가 있을 때 전류를 차단한다. 진공차단부(210)는 고정접촉자(211), 가동접촉자(212), 진공용기(213) 및 본체단자부(214)를 포함한다. 고정접촉자(211)는 고정된 전극이고, 가동접촉자(212)는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전극이다. 진공용기(213)는 고정접촉자(211) 및 가동접촉자(212)를 진공으로 밀폐하여 전류차단시 고정접촉자(211)와 가동접촉자(212)가 개리되면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한다. 단자부(214)는 상부단자부와 하부단자부로 나뉘며, 상부단자부는 고정접촉자(211)와 통전되고, 하부단자부는 가동접촉자(212)와 통전된다.
다만, 진공차단부(21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진공차단기에 사용되는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제어부(220)는 진공차단부(21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가동접촉자(212)에 연결되어 차단명령이 입력되면 가동접촉자(212)를 하방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부(220)는 전동 스프링 작동 방식의 링크 매커니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어부(22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동접촉자(212)를 고정접촉자(211)와 개리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접촉자 어셈블리(215)는 본체단자부(214) 끝에 본체단자부(214)와 통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접촉자 어셈블리(21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차단기 본체(200)가 인입상태에 있을 때 단자부(120)에 맞물려 단자부(120)와 본체단자부(214)를 통전시킨다. 반면, 진공차단기 본체(200)가 화살표 방향으로 인출되면 접촉자 어셈블리(215)는 단자부(120)와 분리된다. 이러한 접촉자 어셈블리(215)는 인입출가능한 진공차단기의 본체 단자에 구비되는 공지의 접촉자 어셈블리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송장치(300)는 진공차단기 본체(200)를 외함의 내부공간에서 인입 내지 인출시키는 장치이다. 도 10은 이송장치(300)에 의해 진공차단기 본체(200)가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인출시 이송장치(300)에 의해 진공차단기 본체(200)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촉자 어셈블리(215)가 단자부(120)와 분리된다. 이러한 이송장치(300)는 인출형 차단기에 구비되는 공지된 이송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인입상태에서 절연부싱에 형성된 절연공간에 따른 절연거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차단기 본체(200)가 인입된 상태에서 접촉자 어셈블리(215)에 의해 본체단자부(214)와 단자부(120)는 통전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접촉자 어셈블리(215) 최단부에서 제1절연프레임(131)까지의 거리(L1')와 제1절연프레임(131)의 두께(L2')와 절연공간에서의 거리(L3')와 제2절연프레임(132)의 두께(L4')를 모두 합한 거리가 절연을 위한 공간거리가 된다. 즉, 절연공간(S1, S2)과 제2절연프레임에 의해 절연을 위한 공간거리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단자부(120)에서 고정판(111)까지의 절연을 위한 표면거리(l1'+l2'+l3'+l4'+l5'+l6'+l7'+l8') 역시 제1절연프레임(131), 제2절연프레임(132) 및 이격부재(133)에 의해 추가적으로 증가하므로 절연을 위한 표면거리 역시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절연부싱(130)의 외주에 구비된 복수의 절연공간(S1, S2)에 의해 절연을 위한 거리가 증가하므로 절연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인출형 차단기 본체 : 10 본체측 단자 : 11
접촉자 : 11a 회로개폐부 : 12
제어부 : 13 외함 : 20
몸체 : 21 외함 단자 : 22
절연부싱 : 23 절연판 : 24
인입출장치 : 30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 : 100 메인프레임 : 110
고정판 : 111 단자부 : 120
콘센트부 : 121 접속부 : 122
절연부싱 : 130 제1절연프레임 : 131
개구 : 131a 가로막 : 131b
삽입구 : 131c 체결구 : 131d
가림막 : 131e 측벽부재 : 131f
제2절연프레임 : 132 이격부재 : 133
지지부재 : 134 플랜지부 : 135
진공차단기 본체 : 200 진공차단부 : 210
이송장치 : 300 절연공간 : S1, S2

Claims (8)

  1. 차단기 본체가 인입/인출됨에 따라 상기 차단기 본체의 접촉자 어셈블리와 접속/분리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를 고정하고,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인입상태에서 상기 접촉자 어셈블리를 수용하고, 상기 단자부와 상기 접촉자 어셈블리 주위를 절연하는 절연부싱; 및
    상기 차단기 본체가 안착되고, 상기 절연부싱이 고정되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싱은 외주에 형성된 절연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싱은,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인입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단자부가 고정되는 제1절연프레임; 및
    상기 제1절연프레임과 적어도 일부분이 이격되어 상기 제1절연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절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공간은 상기 제1절연프레임과 상기 제2절연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싱은,
    상기 제1절연프레임 및 상기 제2절연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이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제1절연프레임의 외주면과 상기 제2절연프레임의 내주면에 각각 접하여 상기 제1절연프레임과 상기 제2절연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싱은,
    상기 제1절연프레임 및 상기 제2절연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절연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프레임은 상기 제1절연프레임의 상측 및 하측과 각각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싱은 위아래로 적어도 두 개 구비되고, 위아래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공간은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
KR20130026343A 2013-03-12 2013-03-12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 KR101490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6343A KR101490176B1 (ko) 2013-03-12 2013-03-12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6343A KR101490176B1 (ko) 2013-03-12 2013-03-12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878A KR20140111878A (ko) 2014-09-22
KR101490176B1 true KR101490176B1 (ko) 2015-02-05

Family

ID=5175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6343A KR101490176B1 (ko) 2013-03-12 2013-03-12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480Y1 (ko) * 2015-05-04 2017-01-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용 크래들
CN110010418B (zh) * 2019-04-01 2024-04-26 常熟市国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框架断路器特点的塑壳断路器
CN111341601A (zh) * 2020-03-05 2020-06-26 安徽鑫龙低压电器有限公司 一种安全可靠的小型断路器
KR102435410B1 (ko) * 2020-07-31 2022-08-24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4409A (ja) 2006-12-20 2008-07-03 Meidensha Corp 配電盤
KR100927800B1 (ko) 2009-08-26 2009-11-23 한양전공주식회사 폐쇄 배전반
KR101238695B1 (ko) 2011-11-11 2013-03-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차단기의 수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4409A (ja) 2006-12-20 2008-07-03 Meidensha Corp 配電盤
KR100927800B1 (ko) 2009-08-26 2009-11-23 한양전공주식회사 폐쇄 배전반
KR101238695B1 (ko) 2011-11-11 2013-03-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차단기의 수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878A (ko) 201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1081B2 (en) Electrical system,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shutter assembly therefor
US10218161B2 (en) Integrated compact bushing structure combining the functionality of primary contact with a current transformer primary conductor and a post insulator
KR101490176B1 (ko) 인출형 차단기용 외함
JP5693797B2 (ja) 電力開閉装置
KR101633567B1 (ko) 스위치 기어
US9270094B2 (en) Gas insulated switchgear
WO2017152667A1 (zh) 隔离接地开关机构、开关设备及其导向触头座
JP3820809B2 (ja) スイッチギヤの断路装置
JP2008283734A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およびその組立方法
KR101819063B1 (ko) 큐비클형 가스 절연 개폐 장치
CN105162025A (zh) 一种断路器气室及具有该断路器气室的双隔离馈线柜
US9305724B2 (en) Circuit breaker
JP4515966B2 (ja) 三相一括形ガス絶縁開閉装置
CN102709128A (zh) 带电流互感器的热过载继电器
KR101324731B1 (ko) 인출형 부하개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패널 배전반
JP6398651B2 (ja) スイッチギヤ
US20170256923A1 (en) High-voltage combined electrical apparatus
KR200491171Y1 (ko) 전계완화 실드
JP3203676U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JP6190442B2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KR101606073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KR20180002931U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의 변류기 외함 구조
CN106796852B (zh) 真空断路器
KR20170051655A (ko) 큐비클형 가스절연개폐장치
KR20160003085U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스페이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