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478B1 - 진공 차단기 및 이를 사용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차단기 및 이를 사용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478B1
KR101153478B1 KR1020107020139A KR20107020139A KR101153478B1 KR 101153478 B1 KR101153478 B1 KR 101153478B1 KR 1020107020139 A KR1020107020139 A KR 1020107020139A KR 20107020139 A KR20107020139 A KR 20107020139A KR 101153478 B1 KR101153478 B1 KR 101153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insulating frame
circuit breaker
shape
vacuum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0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9883A (ko
Inventor
히로시 이소야
마사히로 아리오카
도모타카 야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9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33/6661Combination with other type of switch, e.g. for load break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2033/6665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r supporting of the individual vacuum bott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2Details particular to three-phase circuit break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Landscapes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Abstract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의 박스 바디에 수납되고, 진공 밸브를 수납하는 절연통에 있어서, 필요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면서 소형화할 수 있는 진공 차단기 및 이를 사용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를 얻는다. 내부에 접리 가능한 전극을 수납한 진공 밸브(14)와,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거의 コ자 형상인 제1 절연 프레임(11a)과,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거의 コ자 형상이고 제1 절연 프레임(11a)과 간격을 두고 각각 거의 コ자 형상의 개구측이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절연 프레임(11b)과, 제1 절연 프레임(11a)과 제2 절연 프레임(11b)으로 이루어지고, 진공 밸브(14)를 수납하고, 절연 가스가 봉입된 용기 내에 병렬로 복수 배치된 절연 케이스(10a)를 구비한 진공 차단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진공 차단기 및 이를 사용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VACUUM BREAKER AND GAS INSULATED SWITCHGEA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전력의 송배전 계통 중에 배치되어, 전력의 차단, 전기회로의 분리, 전력 설비의 안전한 점검 등을 행하는 가스 절연 개폐 장치에 사용되고, 절연 가스 중에서 사용되는 진공 차단기 및 이를 사용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진공 차단기는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의 박스 바디(box body; 21)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하가 개구(開口)한 절연통(4)의 하단(下端)을 박스 바디(21) 내의 칸막이(21a)에 장착하고, 이 절연통(4) 내에 동축으로 진공 밸브(1)가 수납되고, 진공 밸브(1)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 전극(5A)을 통하여 절연통(4)에 고정되어 있다. 이 절연통(4)을 1상분(相分)으로서 3상분이 병렬되어 있었다. 이 절연통(4)은 상간(相間) 방향이 되는 진공 밸브(1)의 양측면부에 개구부(4c, 4d) 또는 진공 밸브(1)의 상하단의 충전부만의 개구부(4e, 4f)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절연 가스 중 진공 밸브(1)의 상간이나 대지간(對地間)의 절연 특성을 상승시켰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4-184830호 공보(제2쪽, 도 2)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것 같은 종래의 진공 차단기에서는 단락(短絡) 전류 통전 시에 발생하는 전자력 등에 대항하여 진공 밸브를 지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진공 밸브를 수납하는 절연통의 상간 방향에 개구부를 마련하고 있고, 그 만큼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다. 이 때문에, 절연통을 크게 하거나 절연통의 수지 두께를 두껍게 하는 등, 기계적 강도를 올릴 필요가 있어, 진공 차단기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진공 밸브를 수납하는 절연통에 있어서, 필요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면서 소형화할 수 있는 진공 차단기 및 이를 사용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계되는 진공 차단기는, 내부에 접리(接離) 가능한 전극을 수납한 진공 밸브와;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斷面)이 거의 コ자 형상인 제1 절연 프레임과;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거의 コ자 형상이고 제1 절연 프레임과 간격을 두고 각각 거의 コ자 형상의 개구측이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절연 프레임과; 제1 절연 프레임과 제2 절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진공 밸브를 수납하고, 절연 가스가 봉입(封入)된 용기 내에 병렬로 복수 배치된 절연 케이스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접리 가능한 전극을 수납한 진공 밸브와,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거의 コ자 형상인 제1 절연 프레임과,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거의 コ자 형상이고 제1 절연 프레임과 간격을 두고 각각 거의 コ자 형상의 개구측이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절연 프레임과, 제1 절연 프레임과 제2 절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진공 밸브를 수납하고, 절연 가스가 봉입된 용기 내에 병렬로 복수 배치된 절연 케이스를 구비했으므로, 필요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면서 소형화할 수 있는 진공 차단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인 진공 차단기와 이를 수납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의한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單極部)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를 A-A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을 B-B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의한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의 절연 프레임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의한 진공 차단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의한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의한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 구성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절연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2에 의한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2에 의한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의 절연 프레임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3에 의한 진공 차단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을 C-C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4에 의한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을 D-D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를 E-E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5에 의한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을 F-F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5에 의한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실시 형태 5에 의한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 구성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 6에 의한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을 G-G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을 H-H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 7에 의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진공 차단기와 이를 수납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2를 A-A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4는 도 3을 B-B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로부터 절연 프레임만을 발췌한 사시도, 도 6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진공 차단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가스 절연 개폐 장치(51)는 베이스(52) 상에 고정된 차단기 탱크(53), 즉 용기에 모선 탱크(54)를 부싱(bushing; 55)으로 연결하고, 전체를 케이스(56)로 덮은 구조를 하고 있다.
베이스(52)에는 3상의 케이블(57)이 각각 배치되고, 이 케이블(57)이 전류 검출기(62)를 통하여 각각 차단기 탱크(53)의 장착면, 즉 차단기 탱크(53)의 전측(前側)의 벽면(壁面)에 고정되어, 차단기 탱크(53) 내에 3개 병렬하여 배치된 수전 단로(受電 斷路)/접지 개폐기(60)의 일단(一端)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모선 탱크(54)와 차단기 탱크(53) 안에는 절연 가스, 예를 들어 SF6 가스가 충전되어 있다.
한편, 진공 차단기(58)의 저면(底面)에는 주회로 접속 부재를 구성하는 가동 전극측의 접속 부재(6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접속 부재(65)는 수전 단로/접지 개폐기(60)의 일단에 접속되고, 또 주회로 접속 부재를 구성하는 고정 전극측의 접속 부재(66)는 부싱(55)을 통하여 모선 탱크(54) 내의 모선 단로/접지 개폐기(59)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모선 단로/접지 개폐기(59)의 타단은 모선(64)에 접속되고, 또 수전점 보호로서 수전 접지 개폐기(61)를 통하여 피뢰기(避雷器; 63)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스 절연 개폐 장치(51)의 주회로는 케이블(57), 전류 검출기(62), 수전 단로/접지 개폐기(60), 접속 부재(65), 진공 차단기(58), 접속 부재(66), 부싱(55), 모선 단로/접지 개폐기(59), 모선(64)의 경로로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56) 내에는 진공 차단기(58)의 차단기나 수전 단로/접지 개폐기(60), 모선 단로/접지 개폐기(59), 수전 접지 개폐기(61)의 가동 전극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등 조작 기구가 격납되어 있다. 또, 진공 차단기(58)는 차단기 단극부를 3개 병렬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후는 이 진공 차단기(58)의 차단기 단극부(10a)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차단기 단극부(10a)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거의 コ자 형상이고,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절연 프레임(11a, 즉 제1 절연 프레임)과 절연 프레임(11b, 즉 제2 절연 프레임)이 상하에 간격을 두고, 거의 コ자 형상의 개구측이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절연 프레임(11a, 11b)은 일단을 차단기 탱크(53)에 고정되어 있는 플랜지(12)에 볼트(40)로 체결하고, 타단을 원반 형상의 고정측 전극(15)에 도시하지 않은 볼트로 체결하여 절연 케이스(13)를 구성하고 있다. 이 고정측 전극(15)의 동축 상에 진공 밸브(14)의 도시하지 않은 전극의 고정측이 도시하지 않은 볼트로 장착되고, 절연 케이스(13)와 동축으로 절연 케이스(13)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이 진공 밸브(14)의 전극은 접리 가능하고, 고정측에는 고정측 전극 로드(23)가 고착되고, 가동측에는 가동 전극 로드(27)가 고착되어 있고, 절연 로드(19)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절연 로드(19)와 진공 밸브(14)의 가동 전극 로드(27)에는 도시하지 않은 가요(可撓) 도체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그 주위를 도체 커버(18)로 덮고 있다. 가요 도체의 타단은 접속 도체(65)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차단기 단극부(10a)에 있어서, 통전 시의 동작에 대해 도 2 및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차단기 단극부(10a, 10b, 10c)에는 각각 전류가 통전되어 있다. 이 통전 전류에 의한 전자력에 의해 차단기 단극부(10a, 10c)는 병렬 방향의 외부로 향한 힘이, 차단기 단극부(10b)에는 병렬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힘이 작용된다. 또한, 이 전자력에 의한 힘은 통상 사용 시에도 작용하고 있지만, 단락 전류의 통전 시에는 보다 큰 힘이 작용한다.
또, 통전 전류에 의해 통전부에서 발열하지만, 진공 밸브(14)의 단부(端部)인 실드 전극(20)과 실드(26), 또한 가요 도체에서 특히 발열량이 크다.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절연 프레임(11a, 11b)을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을 거의 コ자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차단기 단극부(10a, 10b, 10c)에 작용하는 전자력의 힘의 방향에 대해, 거의 コ자 형상의 중앙측의 긴쪽 방향이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차단기 단극부(10a, 10b, 10c)에 작용하는 전자력에 대한 기계적 강도가 높은 진공 차단기(58)를 얻을 수 있다.
또, 절연 프레임(11a, 11b)을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을 거의 コ자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원호 등과 비교하여 굽힘 모멘트에 대한 단면 계수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절연 프레임(11a, 11b)을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을 거의 コ자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거의 コ자 형상의 각부(角部)에도 절연 가스가 존재하므로, 원호 등과 비교하여 진공 밸브(14) 주위의 절연 가스 볼륨이 커진다. 따라서, 통전에 의한 발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는 진공 차단기(58)를 얻을 수 있다.
또, 절연 케이스(13)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절연 프레임(11a, 11b)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품의 공용화가 도모되어 양산 효과에 의해 비용 삭감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웃의 절연 케이스(13)와 대향한 거의 コ자 형상의 각부는, 이웃의 절연 케이스(13) 내의 진공 밸브(14)와 차단기를 수납하고 있는 차단기 탱크(53)의 내벽의 양쪽에 대해 절연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절연 케이스(13)의 내면과 진공 밸브(14)의 공간 거리가 작을수록, 등전위선이 조밀하게 되어 절연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절연 프레임(11a, 11b)을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을 거의 コ자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거의 コ자 형상인 각부의 절연 케이스(13)의 내면과 진공 밸브(14)의 공간 거리를 원통 형상보다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절연 성능이 향상된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의한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절연 프레임(32a, 32b) 각각의 내면의 진공 밸브의 중앙부(16) 부근에 돌기부(22)를 마련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절연 프레임(32a)의 내면은 경사를 가지므로, 실드 전극(20), 실드(26) 및 가요 도체에서의 통전에 의한 발열을 절연 가스의 대류(對流)에 의해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의한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 구성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절연 프레임(24a, 24b)의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거의 コ자 형상의 일부에 절결(切缺; 21)을 마련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 절결(21)이 통풍구로 되어, 통전에 의한 발열을 절연 가스의 대류에 의해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9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로부터 절연 프레임만을 발췌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실시 형태 1에서, 절연 케이스(13)는 2개의 절연 프레임(11a, 11b)을 상하에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구성했지만, 2개의 절연 프레임을 거의 コ자 형상의 대향하는 2변 부분에서 접속해도 좋다. 이 경우, 절연 케이스(33)는 도 10에 나타내는 2개의 절연 프레임(24a, 24b)이 절연 프레임 접속부(25)에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절연 프레임 접속부(25)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공 밸브의 중앙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2개의 절연 프레임(24a, 24b)을 절연 프레임 접속부(25)에서 접속하고 있으므로, 절연 케이스(33)의 비틀림 등에 대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다.
또, 2개의 절연 프레임(24a, 24b)을 절연 프레임 접속부(25)에서 접속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진공 차단기(58)의 조립 시에는 절연 프레임(24a, 24b)을 플랜지(12)에 맞닿게 하고, 볼트(40)로 절연 프레임(24a, 24b)을 플랜지(12)에 체결하는 작업에 있어서, 위치 조정이 한 번에 끝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 2개의 절연 프레임을 거의 コ자 형상의 대향하는 2변 부분의 접속은 진공 밸브의 중앙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했다. 그러나 접속부를 마련하는 위치는 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접속부를 마련하는 위치는 진공 밸브의 중앙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추가로, 또다른 위치에 접속부를 마련해도 좋다.
실시 형태 3.
도 11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진공 차단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도 11을 C-C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실시 형태 1에서, 절연 프레임(11a, 11b)은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거의 コ자 형상으로 했다. 그러나 절연 프레임(11a, 11b)이 대향하는 방향의 거의 コ자 형상의 대향하는 2변 부분의 길이를, 이웃의 절연 케이스와 대향하는 1변의 쪽이 다른 1변보다 짧게 해도 좋다. 이 경우, 절연 프레임(11a, 11b)은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웃의 절연 케이스와 대향하고 있는 1변, 즉 コ자 형상의 1변(31b, 31c, 31d, 31e, 31h, 31i, 31j, 31k)의 절연 프레임(11a, 11b)이 대향하는 방향의 길이는 다른 1변, 즉 コ자 형상의 1변(31a, 31f, 31g, 31l)보다 짧게 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절연 프레임(11a, 11b)은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거의 コ자 형상으로 했다. 그러나 절연 프레임(11a, 11b)이 대향하는 방향의 거의 コ자 형상의 대향하는 2변 부분의 길이를, 이웃의 절연 케이스와 대향하는 1변의 쪽이 다른 1변보다 짧게 하고 있으므로, 차단기의 단극부(10a, 10b, 10c) 사이의 절연 특성을 떨어트리는 일 없이 기계적 강도가 높은 진공 차단기(58)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13은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도 13을 D-D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15는 도 14를 E-E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실시 형태 1에서, 절연 프레임(11a, 11b)은 일단을 차단기 탱크(53)에 고정되어 있는 플랜지(12)에 볼트(40)로 체결했다. 이에 더하여, 절연 프레임이 대향하는 방향의 거의 コ자 형상의 대향하는 2변 부분의 길이는 플랜지(12)에 체결한 측, 즉 일단측의 쪽이 각각의 타단측보다 길게 해도 좋다. 이 경우,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프레임(32a, 32b)은 コ자 형상의 1변(31m, 31n)을 플랜지(12)에 맞닿게 하여 볼트(40)로 절연 프레임(32a, 32b)과 플랜지(12)를 체결하고 있다. 이 플랜지(12)와 체결하고 있는 측의 コ자 형상의 1변(31m, 31n)의 길이는 타단측의 コ자 형상의 1변(31o, 31p)보다 길게 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실시 형태 4에 의하면, 절연 프레임(32a, 32b)은 일단을 차단기 탱크(53)에 고정되어 있는 플랜지(12)에 볼트(40)로 체결했다. 이에 더하여, 절연 프레임이 대향하는 방향의 거의 コ자 형상의 대향하는 2변 부분의 길이는 플랜지(12)에 체결한 측, 즉 일단측의 쪽이 각각의 타단측보다 길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절연 프레임(32a, 32b)의 각각은 외팔보(cantilever) 형상이 되지만, 이 외팔보부의 コ자 형상의 단면적이 커진다. 따라서, 보다 기계적 강도가 높은 진공 차단기(58)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 16은 실시 형태 5에 있어서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은 도 16을 F-F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실시 형태 1에서, 절연 프레임(11a, 11b)은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거의 コ자 형상으로 했지만, 거의 コ자 형상의 내면을 원호 형상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절연 프레임(28a, 28b)은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거의 コ자 형상이고, 또한 거의 コ자 형상의 외면(29a, 29b)은 거의 コ자 형상이지만 거의 コ자 형상의 각부가 두껍게 되도록 거의 コ자 형상의 내면(30a, 30b)은 원호 형상으로 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실시 형태 5에 의하면, 절연 프레임(28a, 28b)은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거의 コ자 형상이고, 또한 거의 コ자 형상의 외면(29a, 29b)은 거의 コ자 형상이지만 거의 コ자 형상의 각부가 두껍게 되도록 거의 コ자 형상의 내면(30a, 30b)은 원호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거의 コ자 형상의 각부가 두껍게 되므로, 절연 프레임(28a, 28b)의 기계적 강도가 더욱 향상한다.
도 18은 실시 형태 5에 의한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절연 프레임(28a, 28b)에,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거의 コ자 형상의 각부를 절결하고, 실시 형태 1보다 반경이 큰 원형성(roundness)을 갖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거의 コ자 형상은, 차단기 단극부(10a, 10b, 10c)에 작용하는 전자력의 힘의 방향에 대해, 폭 방향이 동일하게 되는 거의 コ자 형상의 중앙의 변을 가지고, 또한 거의 コ자 형상의 각부에 실시 형태 1보다 반경이 큰 원형성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차단기 단극부(10a, 10b, 10c)에 작용하는 전자력에 대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한 채로, 절연 프레임(28a, 28b)과 진공 차단기(58)를 수납하고 있는 차단기 탱크(53)의 내면과의 공간 거리를 크게 할 수 있어서, 절연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9는 실시 형태 5에 의한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 구성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변형예에서 절연 프레임(28a, 28b)은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거의 コ자 형상을 모나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절연 프레임(28a, 28b)의 제작시에 금형(金型)으로부터의 빼기를 행하기 쉬워져, 제작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실시 형태 6.
도 20은 실시 형태 6에 있어서 진공 차단기의 차단기 단극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1은 도 20을 G-G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22는 도 21을 H-H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실시 형태 1에서, 진공 밸브(14)는 절연 케이스(13)와 동축으로 절연 케이스(13)에 수납했다. 그러나 절연 케이스(13)는 그 긴쪽 방향의 중심축이 거의 수평이 되도록 배치하고, 진공 밸브(14)의 긴쪽 방향의 중심축이 절연 케이스(13)의 긴쪽 방향의 중심축보다 아래쪽에 있도록 진공 밸브(14)를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 진공 밸브(14)의 긴쪽 방향의 중심축은 고정 전극(15)의 중심축보다 아래쪽으로 되고, 또한 하측의 절연 프레임(11b)에 접하지 않게 배치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실시 형태 6에 의하면, 절연 케이스(13)는 그 긴쪽 방향의 중심축이 거의 수평이 되도록 배치하고, 진공 밸브(14)의 긴쪽 방향의 중심축이 절연 케이스(13)의 긴쪽 방향의 중심축보다 아래쪽에 있도록 진공 밸브(14)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절연 케이스(13) 내에서의 진공 밸브(14)의 위쪽의 공간이 커져, 진공 밸브(14)의 위쪽의 절연 가스의 볼륨이 커진다. 따라서, 통전에 의한 발열을 효율적으로 방열 할 수 있는 진공 차단기(58)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7.
도 23은 실시 형태 7에 있어서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도 23에 도시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에 진공 차단기(58)를 수납하고 있다. 이 진공 차단기(58)에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6에 있어서 설명한 진공 차단기를 사용한다.
실시 형태 7에 의하면, 필요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면서 소형화할 수 있는 진공 차단기를 사용함으로써, 가스 절연 개폐 장치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의 일례이며,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7을 어떻게 조합해도 좋다.
10a, 10b, 10c 차단기 단극부,
11a, 11b, 24a, 24b, 28a, 28b, 32a, 32b 절연 프레임(제1 절연 프레임, 제2 절연 프레임),
13, 33 절연 케이스,
14 진공 밸브,
25 절연 프레임 접속부,
51 가스 절연 개폐 장치,
53 차단기 탱크(용기),
58 진공 차단기

Claims (8)

  1. 내부에 접리(接離) 가능한 전극을 수납한 진공 밸브;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斷面)이 コ자 형상인 제1 절연 프레임;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コ자 형상이고 상기 제1 절연 프레임과 간격을 두고 각각 コ자 형상의 개구측이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절연 프레임; 및
    상기 제1 절연 프레임과 상기 제2 절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공 밸브를 수납하고, 절연 가스가 봉입(封入)된 용기 내에 병렬로 복수 배치된 절연 케이스를 구비한 진공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프레임과 상기 제2 절연 프레임은, 상기 コ자 형상의 양단에 위치하여 대향하는 2변 부분이 절연 프레임 접속부에 의하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차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절연 프레임과 제2 절연 프레임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차단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절연 프레임과 제2 절연 프레임이 대향하는 방향의 コ자 형상의 대향하는 2변 부분의 길이는, 이웃의 절연 케이스와 대향하는 1변의 쪽이 다른 1변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차단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절연 프레임 및 제2 절연 프레임과 용기가 제1 절연 프레임과 제2 절연 프레임의 일단에서 접속되고, 상기 제1 절연 프레임과 상기 제2 절연 프레임이 대향하는 방향의 コ자 형상의 대향하는 2변 부분의 길이는, 각각의 일단측 쪽이 각각의 타단측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차단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コ자 형상의 내면은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차단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절연 케이스는 상기 절연 케이스의 긴쪽 방향의 중심축이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고, 진공 밸브의 긴쪽 방향의 중심축은 절연 케이스의 긴쪽 방향의 중심축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차단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진공 차단기를 구비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
  8. 삭제
KR1020107020139A 2008-04-07 2008-04-07 진공 차단기 및 이를 사용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 KR101153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56873 WO2009125467A1 (ja) 2008-04-07 2008-04-07 真空遮断器及びそれを用いたガス絶縁開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883A KR20100119883A (ko) 2010-11-11
KR101153478B1 true KR101153478B1 (ko) 2012-06-11

Family

ID=4116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139A KR101153478B1 (ko) 2008-04-07 2008-04-07 진공 차단기 및 이를 사용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37075B2 (ko)
EP (1) EP2261941B1 (ko)
JP (1) JP4962616B2 (ko)
KR (1) KR101153478B1 (ko)
CN (1) CN101981645B (ko)
HK (1) HK1152145A1 (ko)
WO (1) WO20091254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5090A1 (de) * 2010-01-15 2011-07-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80333 Schaltkammer für einen Leistungsschalter sowie Leistungsschalter mit Schaltkammer
CN102004201B (zh) * 2010-12-22 2012-08-15 江苏省电力公司无锡供电公司 电缆gis终端试验装置
WO2012176259A1 (ja) * 2011-06-20 2012-12-27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遮断器
JP6094028B2 (ja) * 2011-12-22 2017-03-15 株式会社明電舎 真空遮断器
ES2628442T3 (es) * 2012-07-02 2017-08-02 Abb Schweiz Ag Pieza polar de cortacircuitos con un protector de transferencia de calor
US9305725B2 (en) 2012-11-21 2016-04-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witching apparatus
US10978256B1 (en) 2013-03-15 2021-04-13 Innovative Switchgear IP, LLC Electrical switching device
CN103956294B (zh) * 2014-04-28 2017-02-15 宁波兴邦电器有限公司 固封绝缘户外高压开关设备
JP5921783B1 (ja) * 2015-04-02 2016-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US10153110B2 (en) * 2015-06-05 2018-12-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acuum circuit breaker
EP3136414B1 (en) * 2015-08-31 2019-06-26 ABB Schweiz AG Gas-insulated medium voltage switchgear with a circuit breaker pole part arrangement
FR3070533B1 (fr) * 2017-08-28 2019-09-13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Pole de coupure de courant
JP6608097B1 (ja) * 2019-01-31 2019-11-20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遮断器
US10672573B1 (en) * 2019-06-27 2020-06-02 EMA Electromechanis, Inc. Gas insulated grounding switc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1112A (ja) * 2001-02-06 2002-08-16 Nissin Electric Co Ltd 遮断器ユニット及び遮断器ユニット用絶縁支持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915Y2 (ko) * 1971-10-15 1978-04-20
JPS522653B2 (ko) * 1971-10-25 1977-01-22
US3793494A (en) * 1972-11-15 1974-02-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Draw out type vacuum circuit breaker assembly with hinged barrier
US4351990A (en) * 1980-08-01 1982-09-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Interphase barrier for switchgear
JPS58181218A (ja) * 1982-04-19 1983-10-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複合型真空しや断器
JPS5960928A (ja) * 1982-09-30 1984-04-07 株式会社明電舎 真空しや断器
JPS59117228U (ja) * 1983-01-28 1984-08-08 株式会社東芝 絶縁母線の接続部構成
US4491704A (en) * 1983-04-25 1985-01-01 Westinghouse Electric Corp. Vacuum circuit interrupter having vacuum monitoring apparatus
JPS60258817A (ja) * 1984-06-06 1985-12-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遮断器
DD226690A1 (de) * 1984-09-24 1985-08-28 Buchwitz Otto Starkstrom Schalterpol
JP2908554B2 (ja) 1990-11-19 1999-06-21 株式会社東芝 真空遮断器
US5142110A (en) * 1991-01-23 1992-08-25 Kuehne Edward J Modified magne-blast circuit breaker and method of modification
JP2941509B2 (ja) * 1991-09-03 1999-08-25 株式会社東芝 真空遮断器
JP2500652Y2 (ja) * 1991-09-19 1996-06-12 東京電力株式会社 母線接続装置
US5852266A (en) * 1993-07-14 1998-12-22 Hitachi, Ltd. Vacuum circuit breaker as well as vacuum valve and electric contact used in same
DE4419380C1 (de) * 1994-05-30 1995-10-19 Siemens Ag Leistungsschaltermodul
US5929411A (en) * 1997-10-22 1999-07-27 Eaton Corporation Vapor shield for vacuum interrupters
FR2808117B1 (fr) * 2000-03-31 2003-01-24 Schneider Electric Ind Sa Appareillage electrique de coupure comportant une ampoule a vide et une liaison electrique flexible
FR2809861B1 (fr) * 2000-05-30 2002-07-12 Alstom Chassis pour ampoule a vide de module interrupteur de puissance
EP1326262A1 (de) * 2001-12-21 2003-07-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Polarmatur
TWI228339B (en) 2002-11-06 2005-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Metal-enclosed switchgear
JP4146249B2 (ja) 2003-01-14 2008-09-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ギ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1112A (ja) * 2001-02-06 2002-08-16 Nissin Electric Co Ltd 遮断器ユニット及び遮断器ユニット用絶縁支持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61941A1 (en) 2010-12-15
EP2261941B1 (en) 2016-05-11
US8237075B2 (en) 2012-08-07
JPWO2009125467A1 (ja) 2011-07-28
KR20100119883A (ko) 2010-11-11
CN101981645A (zh) 2011-02-23
CN101981645B (zh) 2013-12-11
JP4962616B2 (ja) 2012-06-27
HK1152145A1 (en) 2012-02-17
WO2009125467A1 (ja) 2009-10-15
EP2261941A4 (en) 2014-01-01
US20110000886A1 (en)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478B1 (ko) 진공 차단기 및 이를 사용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
KR100561113B1 (ko) 금속폐쇄형 개폐장치
KR100397393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JP4512648B2 (ja) スイッチギヤ
EP2947733B1 (en) Gas-insulated switch gear
KR100692731B1 (ko) 가스 절연 스위치 기어
WO2018229962A1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1849713B1 (ko) 버스바를 위한 금속-캡슐화, 다상의 가스-절연된 연결 해제 및 접지 스위치
JP4572145B2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JP6091729B1 (ja) 真空遮断器
JP6094028B2 (ja) 真空遮断器
KR102417925B1 (ko) 가스 절연되는 스위치기어용 회로차단기
KR20130045229A (ko) 큐비클형 가스 절연 개폐 장치
JP2005176536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6990293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用断路器極
CN214707025U (zh) 用于开关柜的套管和开关柜
JP5523903B2 (ja) ガス絶縁母線
EP1227558B1 (en) Switchgear
JP4387236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1075513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US11688566B2 (en) Switching apparatus for electric systems
WO2015019516A1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20180000846U (ko) 배전반
JP2011024339A (ja) 母線支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イッチギヤ
JPH1189020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