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554A -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 - Google Patents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554A
KR20140016554A KR1020120083264A KR20120083264A KR20140016554A KR 20140016554 A KR20140016554 A KR 20140016554A KR 1020120083264 A KR1020120083264 A KR 1020120083264A KR 20120083264 A KR20120083264 A KR 20120083264A KR 20140016554 A KR20140016554 A KR 20140016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connection
fixing
fixedly coupled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3444B1 (ko
Inventor
권민호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83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444B1/ko
Publication of KR20140016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기둥의 외측을 감싸고, 메쉬(Mesh) 형상의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진 와이어메쉬; 상기 와이어메쉬의 양 단부를 고정 결합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와이어메쉬에 열을 공급할 수 있는 히터부를 포함하는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가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진 와이어메쉬에 열을 가할 경우 수축되어 콘크리트 기둥의 외력뿐만 아니라, 내하력 및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느슨하게 이완된 상태에서 시공하므로 시공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며 시공오차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Reinforcement structures for constru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용 구조물의 내하력 및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및 토목구조물에서 기둥을 포함한 구조부재를 보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구조물 보강공법이 제안되었다. 특히,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고 있는 기둥구조물은 상기 상부구조물의 자중뿐만 아니라, 상부구조물에 가해지는 각종 활하중(교통하중 등), 지진에 의한 하중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 시공되어야 하는데 기둥의 내하력이 부족하여 기둥이 파괴될 경우, 상기 기둥 상부에 형성된 상부구조물 또한 파괴를 면치 못하므로 기둥의 내하력은 곧 기둥 상부에 형성된 상부구조물(슬래브, 교량 상판 등)의 내하력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기둥구조물은 내하력이 부족(설계시 단면부족 또는 시공 후 외부환경에 의한 기둥 콘크리트의 중성화에 따른 콘크리트 피복의 탈락으로 인해 내부철근이 부식하여 외부하중에 저항하는 내하력이 떨어지는 것)하여 발생되는 파괴 양상은 압축 파괴, 전단파괴 및 기둥의 단면적이 충분하지 않고, 기둥 길이가 긴 경우에 나타나는 좌굴현상에 의한 파괴이며, 이러한 파괴양상은 미리 감지 할 수 없는 순간적인 파괴(취성파괴)이어서 상당한 인명피해 및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문헌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28942호'에는 몸통부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반원형 제1보강판 및 제2보강판을 서로 맞대어 결속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인 보강판을 기둥구조물의 전 높이에 걸쳐 끼워 맞춤식으로 설치하고, 설치된 원통형의 보강판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원통형의 보강판을 감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한 후, 와이어메쉬를 추가로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하부로부터 거푸집과 원통형의 보강판 사이에 타설 양생시킴으로서 보강하는 "기둥구조물 보강장치를 이용한 기둥구조물 보강공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기둥구조물 보강장치를 이용한 기둥구조물 보강공법"은 제1보강판 및 제2보강판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로 일일이 결속하여 하므로, 작업자는 피로도가 증대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되며 인건비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공기가 길어지고 부품 수는 증가되어 막대한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형상기억 합금으로 만들어지는 와이어메쉬를 이용하여 보강 구조체의 내하력 및 내진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기둥의 외측을 감싸고, 메쉬(Mesh) 형상의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진 와이어메쉬; 상기 와이어메쉬의 양 단부를 고정 결합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와이어메쉬에 열을 공급할 수 있는 히터부를 포함하는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와이어메쉬의 양 단부 중 선택된 일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체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에 대응하는 상기 와이어메쉬의 타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체1체결부와 고정 결합되는 체2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와이어메쉬의 양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바와, 일단이 상기 와이어메쉬의 양 단부 중 선택된 일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바의 외측을 감은 후 상기 와이어메쉬의 타 단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와이어메쉬의 양 단부 중 선택된 일 단부와 고정 결합되는 체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 대응하는 상기 와이어메쉬의 타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체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서로 고정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와이어메쉬의 일 단부에 배치되는 제1연결바와, 상기 제1연결바의 일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복수의 제1고정고리 및 일단이 상기 와이어메쉬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고정고리의 외측을 감은 후 다시 상기 와이어메쉬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와이어메쉬의 타 단부에 배치되는 제2연결바와, 상기 제2연결바의 일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2고정고리 및 일단이 상기 와이어메쉬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고정고리의 외측을 감은 후 다시 상기 와이어메쉬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연결바 또는 제2연결바중 선택된 하나에 고정되고 일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톱니를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톱니와 맞물림 되는 톱니를 가지고, 상기 제1연결바 또는 제2연결바중 선택된 하나에 고정되어 서로 결속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진 와이어메쉬에 열을 가할 경우 수축되어 콘크리트 기둥의 외력뿐만 아니라, 내하력 및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메쉬는 느슨하게 이완된 상태에서 시공하므로 시공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며 시공오차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가 기둥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가 기둥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가 기둥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가 기둥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10)는, 와이어메쉬(100)와, 고정수단(210) 및 히터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메쉬(100)는, 콘크리트 기둥(1)의 외측을 감싸는 것으로서, 이러한 와이어메쉬(100)는 결속력을 갖도록 복수개의 와이어(Wire)가 이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와이어는, 보강하고자 하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1)과의 부재축 방향과 경사지는 방향인 마름모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왜냐하면, 상기 와이어메쉬(100)가 상기 콘크리트 기둥(1)의 외측을 감싸는 보강 설치 시, 상기 콘크리트 기둥(1)의 부재축 방향과 경사지게 되어 전단파괴에 저항할 수 있기 위함이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와이어메쉬(100)가 상기 콘크리트 기둥(1)의 전단파괴에 저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그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어메쉬(100)는, 형상기억합금(Shape-Memory alloy)의 소재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여기서 형상기억합금이란, 니켈-티탄 합금의 소재로 형상기억을 갖는 효과가 있으며 형상기억 효과란, 고온에서 기억시킨 형상을 항상 기억하고 있어, 저온에서 아무리 심한 변형을 가해도 조금만 열을 가하면 즉시 본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는 현상이다. 이러한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와이어메쉬(100)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1)의 외측을 감싼 후 후술(後術)할 히터부(300)에 의해 수축된다.
상기 고정수단(210)은, 제1체결부(211)와 제2체결부(2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부(211)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양 단부 중 선택된 일 단부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체결부(215)는, 상기 제1체결부(211)와 동일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부(211)에 대응하여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타 단부에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체결부(211)(215)는, 상기 와이어메쉬(100)가 상기 콘크리트 기둥(1)의 외측을 감싸고 나면 서로 걸림 되도록 체결된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고정수단(200)이 서로 체결력을 갖도록 결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면 그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할 수 있다.
상기 히터부(300)는, 상기 와이어메쉬(100)에 열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히터부(300)는, 전기히터일 수 있다. 상기 전기히터(300)는,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인접한 곳에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복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메쉬(100)에 열을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와이어메쉬(100)는, 전기히터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에 의해 수축하게 된다. 한편, 상기 히터부(300)가 상기 와이어메쉬(100)에 열을 가해 수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전기히터뿐만 아니라 온풍기 또는 뜨거운 물 등 다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구조물의 보강 구조체는, 먼저 콘크리트 기둥(1)의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형상기억합금의 소재로 만들어진 와이어메쉬(100)를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메쉬(100)로 상기 콘크리트 기둥(1)의 외측을 감싼 후,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양 단부를 고정 결합한다.
한편 상기 와이어메쉬(100)는, 형상기억합금의 소재를 갖는 복수개의 와이어를 메쉬(Mesh)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제조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메쉬(100)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1)과의 부재축 방향이 경사진 즉, 마름모의 형상이 되도록 제조한다.
왜냐하면, 상기 콘크리트 기둥(1)의 수직방향과 대체로 경사진 방향으로 제조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둥(1)이 전단파괴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와이어메쉬(100)는, 보강하고자 하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1)의 외측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메쉬(100)로 상기 콘크리트 기둥(1)의 외측을 감싼 후,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양 단부를 고정 결합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메쉬(100)를 상기 콘크리트 기둥(1)의 외측에 감싸 양 단을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양 단부를 체결하는 방법은, 먼저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양 단부 중 선택된 일 단부에 상기 제1체결부(211)를 고정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타 단부에 상기 제2체결부(215)를 고정 결합한다. 이러한 상기 제1 및 제2체결부(211)(215)는 "ㄷ"자의 형상으로 동일 형성되되, 서로 걸림 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엇갈리게 각각 고정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메쉬(110)가 상기 콘크리트 기둥(1)의 외측을 감싼 후 사용자는 상기 제1 및 제2체결부(211)(215)를 서로 걸림 시켜 상기 와이어메쉬(100)를 상기 콘크리트 기둥(1)에 체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메쉬(100)에 열을 공급한다. 부연하면, 상기 콘크리트 기둥(1)에 체결된 상기 와이어메쉬(100)에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히터부(300)를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메쉬(100)에 열을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와이어메쉬(110)는 상기 히터부(300)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에 의해 수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10)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진 와이어메쉬(100)에 열을 가할 경우, 수축되어 상기 콘크리트 기둥(1)의 외력뿐만 아니라, 내하력 및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와이어 메쉬(100)가 느슨하게 이완된 상태에서 시공하므로 시공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며, 시공오차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를 첨부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20)는, 고정수단(22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220)은 고정바(221)와, 복수의 연결선(22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221)는,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양 단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고정바(221)는 원형의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연결선(225)에 의해 결속된다. 특히, 상기 고정바(221)는 알루미늄의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일 뿐 다양한 소재가 가능하며 더불어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양 단부를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그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수의 연결선(225)은, 상기 와이어메쉬(100)를 상기 고정바(22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상기 연결선(225)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와이어의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양 단부 중 선택된 일 단부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선(225)의 일단은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단부 외측을 여러 번 감아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한다. 또한 상기 연결선(225)의 연장된 타단은, 상기 고정바(221)의 외측을 감은 후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선(225)의 타단은, 상기 와이어메쉬(100) 일단의 연결과 마찬가지로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단부 외측을 여러 번 감아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한다.
위와 같은, 상기 연결선(225)은 상기 와이어메쉬(10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연결선(225)이 상기 와이어메쉬(10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면 그 소재는 다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 구조물의 보강 구조체(20)는, 먼저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양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바(221)와, 복수의 연결선(225)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양 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양 단부를 고정하는 방법은, 먼저 상기 고정바(221)를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양 단부 사이에 배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연결선(225)의 일단을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양 단부 중 선택된 일 단부에 여러 번 감아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연결선(225)의 연장된 타단은 상기 고정바(221)의 외측을 감은 후 상기 와이어메쉬(110)의 타 단부를 여러 번 감아 고정 시킨다. 그러면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양 단부는 상기 고정바(221)와 함께 상기 연결선(225)에 의해 고정 결합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 (20)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1)을 감싼 와이어메쉬(100)의 양 단부를 고정바(221) 및 복수의 연결선(225)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그 체결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를 첨부도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30)는 고정수단(23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230)은 제1연결부(231)와, 제2연결부(235) 및 결합부(23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231)는,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양 단부 중 선택된 일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제1연결바(232)와, 복수의 제1고정고리(233) 및 복수의 제1연결선(234)을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바(232)는. 사각의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일단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연결바(232)는, 금속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소재가 가능하며, 또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원형 또는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고정고리(233)는,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일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1연결바(232)의 측면에 이격 고정된다. 이러한 제1고정고리(233)는 후술할 제1연결선(234)에 의해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일 단부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복수의 제1연결선(234)은, 상기 와이어메쉬(100)를 상기 제1연결바(232)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상기 제1연결선(234)은 일단이 상기 와이어메쉬(100) 단부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의 외측을 감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선(234)의 타단은, 상기 제1고정고리(233)의 외측을 감은 후 다시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일단부와 인접한 와이어의 외측을 감아 고정한다.
상기 제2연결부(235)는,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타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제2연결바(236)와 복수의 제2고정고리(237) 및 복수의 제2연결선(238)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연결부(235)는 상기 제1연결부(231)와 동일 형성되며, 동일한 방법에 의해 결속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결합부(239)는 상기 제1연결바(232) 및 제2연결바(233)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여 상기 와이어메쉬(100)를 상기 콘크리트 기둥(1)에 결속하는 것으로서, 몸체(241)와 체결부(242)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41)는 일 측이 밴드(Band) 형상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41)의 일단은 상기 제1연결바(232)의 일 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연장된 상기 몸체(241)의 측면에는 연장된 길이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톱니(241a)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242)는, 상기 몸체(241)에 대응하여 상기 제2연결바(236)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41)가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양 측이 개방 된다. 특히 상기 체결부(242)는, 내부 일 측면이 상기 몸체(241)의 톱니(241a)와 맞물림 되는 복수의 톱니(242a)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241)가 상기 체결부(242)에 관통할 경우, 상기 몸체(241)의 톱니(241a)는 상기 체결부(242)의 톱니(242a)와 맞물림 되어,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 구조물의 보강 구조체, 제1연결부(231)와 제2연결부(235) 및 결합부(239)에 의해 서로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양 단부를 고정 결합하는 방법은, 먼저 상기 와이어메쉬(100)의 양 단부에 결합 된 제1연결부(231) 및 제2연결부(235)를 체결한다. 즉, 상기 제1연결부(231)에 고정 결합된 몸체(241)는, 상기 제2연결부(235)에 고정된 체결부(242)를 관통시킨다. 그러면 상기 몸체(241)에 형성된 톱니(241a)가 상기 체결부(242)의 내측에 형성된 톱니(242a)와 서로 맞물림 되어 상기 와이어메쉬(100)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1)에 결속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설구조물의 보강방법(30)은,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진 와이어메쉬(100)가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231)(235)와, 결속부(239)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와이어메쉬 210, 220, 230: 고정수단
211: 제1체결부 215: 제2체결부
221: 고정바 225: 연결선
231: 제1연결부 232: 제1연결바
233: 제1고정고리 234: 제1연결선
235: 제2연결부 236: 제2연결바
237: 제2고정고리 238: 제2연결선
239: 결합부 241: 몸체
241a: 톱니 242: 체결부
242a: 톱니 300: 히터부
10, 20, 30: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

Claims (6)

  1. 콘크리트 기둥의 외측을 감싸고, 메쉬(Mesh) 형상의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진 와이어메쉬;
    상기 와이어메쉬의 양 단부를 고정 결합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와이어메쉬에 열을 공급할 수 있는 히터부를 포함하는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와이어메쉬의 양 단부 중 선택된 일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체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에 대응하는 상기 와이어메쉬의 타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체1체결부와 고정 결합되는 체2체결부를 포함하는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와이어메쉬의 양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바와,
    일단이 상기 와이어메쉬의 양 단부 중 선택된 일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바의 외측을 감은 후 상기 와이어메쉬의 타 단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선을 포함하는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와이어메쉬의 양 단부 중 선택된 일 단부와 고정 결합되는 체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 대응하는 상기 와이어메쉬의 타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체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서로 고정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와이어메쉬의 일 단부에 배치되는 제1연결바와,
    상기 제1연결바의 일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복수의 제1고정고리 및
    일단이 상기 와이어메쉬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고정고리의 외측을 감은 후 다시 상기 와이어메쉬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와이어메쉬의 타 단부에 배치되는 제2연결바와,
    상기 제2연결바의 일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2고정고리 및
    일단이 상기 와이어메쉬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고정고리의 외측을 감은 후 다시 상기 와이어메쉬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선을 포함하는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연결바 또는 제2연결바중 선택된 하나에 고정되고 일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톱니를 형성하는 몸체,상기 몸체의 톱니와 맞물림 되는 톱니를 가지고, 상기 제1연결바 또는 제2연결바중 선택된 하나에 고정되어 서로 결속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
KR1020120083264A 2012-07-30 2012-07-30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 KR101443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64A KR101443444B1 (ko) 2012-07-30 2012-07-30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64A KR101443444B1 (ko) 2012-07-30 2012-07-30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554A true KR20140016554A (ko) 2014-02-10
KR101443444B1 KR101443444B1 (ko) 2014-09-23

Family

ID=50265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264A KR101443444B1 (ko) 2012-07-30 2012-07-30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4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03179A1 (it) * 2021-02-12 2022-08-12 Maccaferri Off Spa Struttura di protezione e rete metallica di protezione per tale struttura di protezione
CN115653338A (zh) * 2022-10-14 2023-01-31 重庆科技学院 一种cfrp板材-sma丝复合材料的组合锚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10538B1 (de) * 2014-12-18 2018-09-28 Re Fer Ag Verfahren zum Erstellen von vorgespannten Bauwerken oder Bauteilen mittels Zugelementen aus Formgedächtnis-Legierungen sowie damit ausgerüstetes Bauwerk oder Bauteil.
KR102587667B1 (ko) * 2021-12-02 2023-10-10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형상기억합금 메쉬를 활용한 내진보강 방법
KR102672147B1 (ko) 2022-08-30 2024-06-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형상기억합금 스트립을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기둥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3931A (ja) * 1995-11-28 1997-06-03 Toutetsu Kogyo Kk 柱補強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高架橋
KR100731211B1 (ko) * 2005-01-19 2007-06-22 안숙희 형상기억합금 판 또는 와이어를 이용한 기둥구조물보강시스템
JP2006328852A (ja) * 2005-05-27 2006-12-07 Ps Mitsubishi Construction Co Ltd コンクリート柱状体の耐震補強方法
KR100763634B1 (ko) * 2006-06-19 2007-10-05 주식회사고려이엔시 전단보강용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구조물 전단 및 내진보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03179A1 (it) * 2021-02-12 2022-08-12 Maccaferri Off Spa Struttura di protezione e rete metallica di protezione per tale struttura di protezione
WO2022172239A1 (en) * 2021-02-12 2022-08-18 Officine Maccaferri S.P.A. Protection structure and metal protection net for such a protection structure
CN115653338A (zh) * 2022-10-14 2023-01-31 重庆科技学院 一种cfrp板材-sma丝复合材料的组合锚具
CN115653338B (zh) * 2022-10-14 2024-05-17 重庆科技学院 一种cfrp板材-sma丝复合材料的组合锚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444B1 (ko)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444B1 (ko)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
KR100864953B1 (ko) 프리캐스트 내부합성블록 세그먼트를 이용한이중단면구조의 콘크리트복합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5442421B2 (ja) ハーフプレキャスト床版及びそれを用いたスラブ構築方法
EA002344B1 (ru) Секционные арматурные хомуты и гибкие связи для конструкт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JP5959108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部材の補強方法
KR100952930B1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과 철근콘크리트 플랫 슬래브 접합부 전단보강장치
JP3463074B2 (ja) 塔構造物の構築方法及び塔構造物の構造
JP6535704B2 (ja) 柱梁架構
JP4557711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梁における開口部回りの補強構造
JP7194531B2 (ja) 免震上部基礎構造及びその作製方法、フーチング構造体、並びに免震基礎の施工方法
KR100919702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횡보강 배근 장치를 이용한 횡보강근 시공 방법
JP6871728B2 (ja) プレハブ構造
KR101377119B1 (ko) 이중강관이 구비된 콘크리트 충전 강재기둥 및 그 충전 강재기둥의 연장 연결방법
KR101176197B1 (ko) 콘크리트 거더 구조체
KR200406190Y1 (ko) 와이어를 이용한 철근의 구속구조
JP2011089700A (ja) バックステー連結機構
JP7128108B2 (ja) 連結鉄筋籠の設計方法
JP6513754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壁柱の補強構造
JP6261860B2 (ja) 鉄筋定着構造
JP2013055764A (ja) 柱体の構造及び柱体の補強方法
JP2010090547A (ja) 杭頭接合構造
KR20220036537A (ko) 합성보 및 합성보의 시공방법
KR100781675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조립철근
JP4235183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102463247B1 (ko) 형고를 최소화한 효율적 강합성 거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