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5322A - 변기 세정 장치 및 수세식 변기 - Google Patents

변기 세정 장치 및 수세식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5322A
KR20140015322A KR1020137020840A KR20137020840A KR20140015322A KR 20140015322 A KR20140015322 A KR 20140015322A KR 1020137020840 A KR1020137020840 A KR 1020137020840A KR 20137020840 A KR20137020840 A KR 20137020840A KR 20140015322 A KR20140015322 A KR 20140015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toilet
water
washing wate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키타무라
코지로 와타리
히토미 야마이
슈헤이 하이다
케이스케 사카키바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쿠시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27353A external-priority patent/JP58467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59250A external-priority patent/JP57215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08284A external-priority patent/JP586819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쿠시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쿠시루
Publication of KR20140015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3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8Siph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8Bowls with means producing a flushing water swir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0Flushing devices with pressure-operated reservoir, e.g. air cha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using flushing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discharging period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변기 세정 장치 및 수세식 변기를 제공한다.
변기 세정 장치(20)는, 세정수를 저수하는 제1 탱크(21)와, 하부 개구(22C)가 제1 탱크(21)에 연통하고, 하방 영역(22D)보다도 상방 영역(22U)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을 많게 한 제2 탱크(22)와, 제1 탱크(21)의 최고 저수위(L)보다도 높은 위치를 경유하여 제2 탱크(22)와 변기 배수로(12)를 연통하는 통기로(23)와, 제1 탱크(21)와 변발부(11)를 연통하는 급수로(24)와, 제1 탱크(21)에 저수하는 세정수를 급수로(24)를 통하여 변발부(11)에 공급을 시작할 때보다도 늦은 시기(時機)에 변기 배수로(12)측부터 제2 탱크(22)측으로 흐르는 통기로(23) 내의 기체의 유량을 최대로 하는 개폐밸브(25)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변기 세정 장치 및 수세식 변기{TOILET CLEANING DEVICE, AND FULSH TOILET}
본 발명은, 변기 세정 장치 및 수세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은 종래의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한 수세식 변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본체와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 장치가 변기 본체에 세정수를 공급하여 변기 세정을 실행한다. 변기 본체는, 변발부(便鉢部)와, 이 변발부의 하류측에 연통하는 변기 배수로를 갖고 있다. 변기 세정 장치는, 탱크(tank), 중공관, 배기통로, 및 급수로를 갖고 있다. 탱크는 변기 본체에 공급하는 세정수를 저수(貯水)한다. 중공관은, 탱크 내에 수직 방향으로 늘어나서 수납되어 있고, 하단 개구가 탱크 내에서 개구하고 있다. 배기통로는, 탱크의 최고 저수위(貯水位)보다도 높은 위치를 경유하여, 중공관의 상단부와 변기 본체의 변기 배수로를 연통하고 있다. 급수로는 탱크와 변기 본체의 변발부를 연통하고 있다.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을 실행하면, 탱크에 저수한 세정수를 급수로를 통하여 변발부에 공급하기 때문에, 탱크 내의 수위가 저하된다. 또한, 중공관 내의 수위도 탱크 내의 수위의 저하에 약간의 지연되어 저하된다. 이 때문에, 중공관은 배기 통로를 통하여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흡인한다.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을 실행하면, 변발부에 공급된 세정수가 변기 배수로 내로 유입함과 함께, 중공관이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흡인하기 때문에, 적은 세정수로 변기 배수로 내에 사이펀 작용(siphon effect)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배수로 내에 발생한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여, 변발부 내의 오물 등을 변기 본체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는 종래의 다른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한 수세식 변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본체와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 장치가 변기 본체에 세정수를 공급하여 변기 세정을 실행한다. 변기 세정 장치는, 탱크, 제트 펌프(jet pump), 용기, 및 급수로를 구비하고 있다. 탱크는 변기 본체에 공급하는 세정수를 저수한다. 제트 펌프는, 노즐(no le), 및 노즐과 간극을 띠우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 스로트(throat)를 갖고 있다. 이 제트 펌프는 탱크 내의 세정수에 수몰(收沒)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용기는, 제트 펌프를 둘러싸고, 상단이 개방하고 있다. 이 용기는 상단이 탱크 내의 세정수의 최고 수위보다도 낮은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용기는, 측면을 관통하여 마련한(貫設) 개구와, 이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덮개를 갖고 있다. 급수로는 제트 펌프와 변기 본체를 연통하고 있다.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 장치의 노즐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면, 그 세정수는 용기 내의 세정수를 인입(引入)하여 스로트 내로 유입한다. 이와 같이, 급수로를 경유하여 변기 본체에 공급할 수 있는 세정수는, 노즐로부터 분사한 세정수에 인입된 세정수가 더하여져서, 유량(단위 시간당에 이동하는 유체의 체적, 이하 같음.)을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 장치의 용기의 측면에 마련된 개구를 개폐덮개에 의해 개폐함에 의해, 변기 본체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수량을 증감할 수 있다. 즉, 용기의 개구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개구를 통하여 용기 외의 세정수가 용기 내로 유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용기 외의 세정수도 제트 펌프에 의해 인입할 수가 있어서, 급수로를 경유하여 변기 본체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용기의 개구를 개폐덮개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는, 탱크 내의 세정수의 수위가 용기의 상단과 동등하게 되면, 그 시점(時點)에서 용기 외의 세정수는 용기 내로 유입할 수가 없게 된다. 이 때문에, 탱크 내의 세정수의 수위가 용기의 상단과 동등하게 된 후는, 용기 내의 세정수만이 제트 펌프에 의해 인입되고, 급수로를 경유하여 변기 본체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의 측면에 마련한 개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변기 본체에 세정수를 공급한 때에 비하여, 개구를 개폐덮개로 폐쇄한 상태에서 변기 본체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쪽이 변기 본체에 공급할 수 있는 정수의 수량이 적어진다. 이 때문에,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세정수량이 많은 변기 세정(대세정)과 세정수량이 적은 변기 세정(소세정)을 실행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실개평5-57080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개2004-156382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수세식 변기에서는, 중공관 내의 세정수의 수위는 탱크 내의 세정수의 수위보다 약간의 높은 상태(탱크 내와 중공관 내와의 수위차가 작은 상태)를 유지하고 저하된다. 이 때문에, 중공관은 흡인을 시작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 약한 흡인력으로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흡인하는 것으로 되다. 따라서,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배수로 내의 사이펀 작용의 발생, 및 계속을 위해 중공관이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양호하게 흡인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즉, 중공관의 흡인력이 약하기 때문에, 변기 배수로 내에 사이펀 작용이 발생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변기 배수로 내에 사이펀 작용이 발생한 후, 변기 배수로 내의 부압력이 중공관의 흡인력보다도 강해지고, 기체가 변기 배수로 내로 역류하여 사이펀 작용이 조기에 종료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의 실행에 의해 변발부 내의 오물 등의 배출을 양호하게 행할 수가 없을 우려가 있다.
제1 발명 및 제2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변기 세정 장치, 및 그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한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 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수세식 변기에서는, 변발부나 변기 배수로의 형상이 다르면, 변발부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같게 하여도, 변기 배수로에서의 세정수의 유량이 다른 경우가 있다. 변기 배수로 내에서의 세정수의 유량은,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중공관이 흡인하는 흡인력과, 변발부 내의 오물 등을 배출하는 배출력에 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변기 배수로 내에서의 세정수의 유량이 많은 변기 본체에서는, 중공관이 변기 배수로 내로부터 기체를 흡인하는 흡인력이 너무 강하여, 변기 배수로 내를 흐르는 오물이 배기통로 내로 흡입될 우려가 있다. 배기통로 내로 흡입된 오물이 원인으로 배기통로가 막히면, 그 후의 변기 세정에서 변기 배수로 내에 사이펀 작용을 양호하게 발생할 수가 없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변기 배수로 내에서의 세정수의 유량이 적은 변기 본체에서는, 배기통로 내로 오물을 흡입할 우려는 없지만, 변기 배수로 내에 사이펀 작용을 양호하게 발생할 수가 없어서, 오물 등을 변기 본체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이 수세식 변기는, 변발부나 변기 배수로의 형상이 다르면, 변기 세정의 실행에 의해 변발부 내의 오물 등의 배출을 양호하게 행할 수가 없을 우려가 있다.
제3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변기 세정 장치, 및 그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한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 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수세식 변기에서는, 변기 세정 장치가 탱크 내의 세정수를 제트 펌프에 의해 인입하기 위해서는, 제트 펌프가 탱크 내의 세정수에 수몰한 상태여야 한다. 이 때문에, 탱크 내에 저류한 세정수를 유효하게 변기 세정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제트 펌프를 탱크의 저면의 부근에 배치하여야 한다.
제트 펌프를 탱크의 저면의 부근에 배치하고, 탱크를 변기 본체의 윗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한 경우, 제트 펌프와 변기 본체를 연통하는 급수로가 길어지고, 또한, 급수로의 상승 구배가 급하게 될 우려가 있다. 급수로가 길어지거나, 급수로의 상승 구배가 급하게 되거나 하면, 급수로를 통과하는 세정수의 압력 손실이 커지고, 변기 본체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에 변기 세정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제4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설치 위치의 자유도가 있고,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변기 세정 장치, 및 그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한 수세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 하고 있다.
제1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는, 변발부와, 이 변발부의 하류측에 연통하는 변기 배수로를 갖는 변기 본체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변기 세정 장치로서,
세정수를 저수하는 제1 탱크와,
하부 개구가 상기 제1 탱크에 연통하고, 하방 영역보다도 상방 영역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을 많게 한 제2 탱크와,
상기 제1 탱크의 최고 저수위보다도 높은 위치를 경유하여 상기 제2 탱크와 상기 변기 배수로를 연통하는 통기로와,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변발부를 연통하는 급수로와,
상기 제1 탱크에 저수한 세정수를 상기 급수로를 통하여 상기 변발부에 공급을 시작할 때보다도 늦은 시기(時機)에 상기 변기 배수로측부터 상기 제2 탱크측으로 흐르는 상기 통기로 내의 기체의 유량을 최대로 하는 지연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1 탱크에 저수한 세정수를 급수로를 통하여 변발부에 공급함에 의해 변기 세정을 실행한다. 이 때, 제2 탱크 내의 수위가 저하됨에 의해, 제2 탱크가 통기로를 통하여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흡인한다. 이에 의해, 적은 세정수로도 변기 배수로 내에 사이펀 작용을 발생할 수가 있어서, 변발 내의 오물 등을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지연 장치에 의해 변기 세정을 시작할 때보다도 늦은 시기에 통기로 내의 변기 배수로측부터 제2 탱크측으로 흐르는 기체의 유량이 최대가 되기 때문에, 제2 탱크 내의 수위의 저하를 늦출 수 있다. 이 때문에, 그 동안에 제1 탱크 내의 수위가 제2 탱크 내의 수위에 비하여 빨리 저하되고, 제1 탱크 내와 제2 탱크 내와의 수위차를 크게 할 수 있다. 제1 탱크 내와 제2 탱크 내와의 수위차의 대소는 제2 탱크의 흡인력의 강약에 비례한다. 이 때문에, 제2 탱크는, 강력한 흡인력을 갖을 수 있고,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단숨에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배수로 내에 사이펀 작용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2 탱크가 하방 영역보다도 상방 영역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이 많다. 이 때문에, 지연 장치에 의해 변기 배수로측부터 제2 탱크측으로 흐르는 통기로 내의 기체의 유량이 최대가 되고, 제2 탱크 내의 세정수가 제1 탱크 내로 대유량으로 유출된 상황하에서도, 제2 탱크 내의 수위는 천천히 저하된다. 이 때문에,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1 탱크 내와 제2 탱크 내와의 수위차가 급격하게 감소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2 탱크의 강한 흡인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배수로 내에 발생한 사이펀 작용에 의한 변기 배수로 내의 부압력(負壓力)보다도 제2 탱크의 흡인력이 강한 상태를 길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펀 작용의 계속중에 제2 탱크측부터 변기 배수로 내로 기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사이펀 작용을 계속시킬 수 있고, 변발 내의 오물 등을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여 변기 본체 밖으로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제2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는, 변발부와, 이 변발부의 하류측에 연통하는 변기 배수로를 갖는 변기 본체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변기 세정 장치로서,
세정수를 저수하고, 하방 영역보다도 상방 영역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을 적게 한 제1 탱크와,
하부 개구가 상기 제1 탱크에 연통하는 제2 탱크와,
상기 제1 탱크의 최고 저수위보다도 높은 위치를 경유하여 상기 제2 탱크와 상기 변기 배수로를 연통하는 통기로와,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변발부를 연통하는 급수로와,
상기 제1 탱크에 저수한 세정수를 상기 급수로를 통하여 상기 변발부에 공급을 시작할 때보다도 늦은 시기에 상기 변기 배수로측부터 상기 제2 탱크측으로 흐르는 상기 통기로 내의 기체의 유량을 최대로 하는 지연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변기 세정 장치도 제1 탱크에 저수한 세정수를 급수로를 통하여 변발부에 공급함에 의해 변기 세정을 실행한다. 이 때, 제2 탱크 내의 수위가 저하됨에 의해, 제2 탱크가 통기로를 통하여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흡인한다. 이에 의해, 적은 세정수로도 변기 배수로 내에 사이펀 작용을 발생할 수가 있어서, 변발 내의 오물 등을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지연 장치에 의해 변기 세정을 시작할 때보다도 늦은 시기에 통기로 내의 변기 배수로측부터 제2 탱크측으로 흐르는 기체의 유량이 최대가 되기 때문에, 제2 탱크 내의 수위의 저하를 늦출 수 있다. 이 때문에, 그 동안에 제1 탱크 내의 수위가 제2 탱크 내의 수위에 비하여 빨리 저하되고, 제1 탱크 내와 제2 탱크 내와의 수위차를 크게 할 수 있다. 특히,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1 탱크가 하방 영역보다도 상방 영역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이 적기 때문에, 변기 세정을 시작하면 제1 탱크 내의 수위를 급격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탱크 내와 제2 탱크 내와의 수위차가 커저서, 제2 탱크는 강력한 흡인력을 갖을 수 있기 때문에,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단숨에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배수로 내에 사이펀 작용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2 탱크가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흡인함과 함께 세정수를 제1 탱크 내로 유출시키는데, 제1 탱크의 하방 영역이 상방 영역보다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이 많기 때문, 그 세정수에 의한 제1 탱크 내의 수위 상승을 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탱크 내와 제2 탱크 내와의 수위차의 감소를 억제할 수가 있어서, 제2 탱크의 흡인력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2 탱크의 강한 흡인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배수로 내에 발생한 사이펀 작용에 의한 변기 배수로 내의 부압력보다도 제2 탱크의 흡인력이 강한 상태를 길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펀 작용의 계속중에 제2 탱크측부터 변기 배수로 내로 기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사이펀 작용을 계속시킬 수 있고, 변발 내의 오물 등을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여 변기 본체 밖으로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변발부, 및 이 변발부의 하류측에 연통하는 변기 배수로를 갖는 변기 본체와,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수세식 변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펀 작용을 확실하게 발생시키고, 또한 사이펀 작용을 계속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수세식 변기는 변발 내의 오물 등을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여 변기 본체 밖으로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제3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는, 변발부와, 이 변발부의 하류측에 연통하는 변기 배수로를 갖는 변기 본체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변기 세정 장치로서,
세정수가 유입하고, 유입한 세정수를 저수하는 제1 탱크와,
이 제1 탱크의 하부에 연통하는 제2 탱크와,
이 제2 탱크와 상기 변기 배수로를 연통한 통기로와,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변발부를 연통한 급수로와,
상기 제1 탱크로부터 상기 변발부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세정수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변기 세정 장치에서는, 세정수 제어 장치가 변발부 및 변기 배수로의 형상에 응하여 제1 탱크로부터 변발부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제어함에 의해,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즉, 변기 배수로 내에서의 세정수의 유량이 많은 경우, 변발부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적게 하면, 통기로 내로 오물이 흡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탱크가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흡인할 수가 있어서, 변기 배수로 내에 사이펀 작용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변기 배수로 내에서의 세정수의 유량이 적은 경우, 변발부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많게 하면, 변기 배수로 내에 사이펀 작용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여, 오물 등을 변기 본체 밖으로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변발부, 및 이 변발부의 하류측에 연통하는 변기 배수로를 갖는 변기 본체와, 제3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수세식 변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펀 작용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수세식 변기는 변발 내의 오물 등을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여 변기 본체 밖으로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제4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본체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변기 세정 장치로서,
세정수가 유입하고, 유입한 세정수를 저류하는 제1 탱크와,
이 제1 탱크의 하부로부터 세정수가 유입하는 유입구, 및 이 유입구보다 상방에 마련되고, 상기 변기 본체에 연통하는 유출구를 갖고 있고, 상기 변기 본체에 세정수를 공급할 때, 상기 제1 탱크로부터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 탱크 내의 세정수의 수압의 영향을 받아서, 세정수를 만수 상태로 유지하는 제3 탱크와,
이 제3 탱크 내에 상기 유출구와 간극을 띠우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유출구를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갖는 제트 펌프와,
상기 유출구와 상기 변기 본체를 연통하는 급수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1 탱크의 하부로부터 제3 탱크 내에 세정수가 유입할 수 있도록 제3 탱크의 유입구를 마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탱크 내의 세정수의 수위가 제3 탱크의 유입구보다 하방으로 저하될 때까지는, 제1 탱크로부터 유입구를 통하여 제3 탱크 내에 공기가 유입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1 탱크 내의 세정수의 수압의 영향을 받아서 제3 탱크는 세정수를 만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탱크 내의 세정수의 대부분을 제3 탱크 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3 탱크 내로 유입한 세정수를 제트 펌프에 의해 급수로를 통하여 변기 본체에 공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본체에 대유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1 탱크 및 제3 탱크에 저류한 세정수의 대부분을 이용할 수가 있어서,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트 펌프를 제3 탱크의 상부에 배치하여도, 제1 탱크 내의 세정수의 대부분이 제3 탱크 내로 유입할 때까지의 동안, 제3 탱크를 세정수로 만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동안, 제트 펌프는 제3 탱크 내의 세정수를 인입할 수가 있어서, 급수로에 세정수를 송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트 펌프를 제3 탱크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변기 세정 장치(제1 탱크 및 제3 탱크 등)를 변기 본체의 윗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한 경우에도, 급수로는 길어지지 않고, 또한, 급수로의 상승 구배가 급하게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급수로를 통과하는 세정수의 압력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본체에 대유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1 탱크 및 제3 탱크에 저류한 세정수의 대부분을 변기 본체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는, 설치 위치의 자유도가 있고,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변기 본체와, 제4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수세식 변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변기 세정 장치를 변기 본체의 윗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할 수가 있고, 변기 본체에 세정수를 양호하게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 장치의 설치 위치의 자유도가 있고,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제1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는, 제1 탱크에 저수한 세정수를 급수로를 통하여 변발부에 공급함에 의해 변기 세정을 실행한다. 이 때, 제2 탱크 내의 수위가 저하됨에 의해, 제2 탱크가 통기로를 통하여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흡인한다. 이에 의해, 적은 세정수로도 변기 배수로 내에 사이펀 작용을 발생할 수가 있어서, 변발 내의 오물 등을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지연 장치에 의해 변기 세정을 시작할 때보다도 늦은 시기에 통기로 내의 변기 배수로측부터 제2 탱크측으로 흐르는 기체의 유량이 최대가 되기 때문에, 제2 탱크 내의 수위의 저하를 늦출 수 있다. 이 때문에, 그 동안에 제1 탱크 내의 수위가 제2 탱크 내의 수위에 비하여 빨리 저하되고, 제1 탱크 내와 제2 탱크 내와의 수위차를 크게 할 수 있다. 제1 탱크 내와 제2 탱크 내와의 수위차의 대소는 제2 탱크의 흡인력의 강약에 비례한다. 이 때문에, 제2 탱크는, 강력한 흡인력을 갖을 수 있고,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단숨에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배수로 내에 사이펀 작용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2 탱크가 하방 영역보다도 상방 영역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이 많다. 이 때문에, 지연 장치에 의해 변기 배수로측부터 제2 탱크측으로 흐르는 통기로 내의 기체의 유량이 최대가 되고, 제2 탱크 내의 세정수가 제1 탱크 내로 대유량으로 유출된 상황하에서도, 제2 탱크 내의 수위는 천천히 저하된다. 이 때문에,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1 탱크 내와 제2 탱크 내와의 수위차가 급격하게 감소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2 탱크의 강한 흡인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배수로 내에 발생한 사이펀 작용에 의한 변기 배수로 내의 부압력(負壓力)보다도 제2 탱크의 흡인력이 강한 상태를 길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펀 작용의 계속중에 제2 탱크측부터 변기 배수로 내로 기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사이펀 작용을 계속시킬 수 있고, 변발 내의 오물 등을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여 변기 본체 밖으로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제2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는, 제1 탱크에 저수한 세정수를 급수로를 통하여 변발부에 공급함에 의해 변기 세정을 실행한다. 이 때, 제2 탱크 내의 수위가 저하됨에 의해, 제2 탱크가 통기로를 통하여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흡인한다. 이에 의해, 적은 세정수로도 변기 배수로 내에 사이펀 작용을 발생할 수가 있어서, 변발 내의 오물 등을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지연 장치에 의해 변기 세정을 시작할 때보다도 늦은 시기에 통기로 내의 변기 배수로측부터 제2 탱크측으로 흐르는 기체의 유량이 최대가 되기 때문에, 제2 탱크 내의 수위의 저하를 늦출 수 있다. 이 때문에, 그 동안에 제1 탱크 내의 수위가 제2 탱크 내의 수위에 비하여 빨리 저하되고, 제1 탱크 내와 제2 탱크 내와의 수위차를 크게 할 수 있다. 특히,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1 탱크가 하방 영역보다도 상방 영역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이 적기 때문에, 변기 세정을 시작하면 제1 탱크 내의 수위를 급격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탱크 내와 제2 탱크 내와의 수위차가 커저서, 제2 탱크는 강력한 흡인력을 갖을 수 있기 때문에,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단숨에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배수로 내에 사이펀 작용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2 탱크가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흡인함과 함께 세정수를 제1 탱크 내로 유출시키는데, 제1 탱크의 하방 영역이 상방 영역보다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이 많기 때문, 그 세정수에 의한 제1 탱크 내의 수위 상승을 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탱크 내와 제2 탱크 내와의 수위차의 감소를 억제할 수가 있어서, 제2 탱크의 흡인력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2 탱크의 강한 흡인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배수로 내에 발생한 사이펀 작용에 의한 변기 배수로 내의 부압력보다도 제2 탱크의 흡인력이 강한 상태를 길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펀 작용의 계속중에 제2 탱크측부터 변기 배수로 내로 기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사이펀 작용을 계속시킬 수 있고, 변발 내의 오물 등을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여 변기 본체 밖으로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변발부, 및 이 변발부의 하류측에 연통하는 변기 배수로를 갖는 변기 본체와,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수세식 변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펀 작용을 확실하게 발생시키고, 또한 사이펀 작용을 계속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수세식 변기는 변발 내의 오물 등을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여 변기 본체 밖으로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제3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는, 세정수 제어 장치가 변발부 및 변기 배수로의 형상에 응하여 제1 탱크로부터 변발부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제어함에 의해,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즉, 변기 배수로 내에서의 세정수의 유량이 많은 경우, 변발부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적게 하면, 통기로 내로 오물이 흡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탱크가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흡인할 수가 있어서, 변기 배수로 내에 사이펀 작용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변기 배수로 내에서의 세정수의 유량이 적은 경우, 변발부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많게 하면, 변기 배수로 내에 사이펀 작용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여, 오물 등을 변기 본체 밖으로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변발부, 및 이 변발부의 하류측에 연통하는 변기 배수로를 갖는 변기 본체와, 제3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수세식 변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펀 작용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수세식 변기는 변발 내의 오물 등을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여 변기 본체 밖으로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제4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는, 제1 탱크의 하부로부터 제3 탱크 내에 세정수가 유입할 수 있도록 제3 탱크의 유입구를 마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탱크 내의 세정수의 수위가 제3 탱크의 유입구보다 하방으로 저하될 때까지는, 제1 탱크로부터 유입구를 통하여 제3 탱크 내에 공기가 유입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1 탱크 내의 세정수의 수압의 영향을 받아서 제3 탱크는 세정수를 만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탱크 내의 세정수의 대부분을 제3 탱크 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3 탱크 내로 유입한 세정수를 제트 펌프에 의해 급수로를 통하여 변기 본체에 공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본체에 대유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1 탱크 및 제3 탱크에 저류한 세정수의 대부분을 이용할 수가 있어서,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트 펌프를 제3 탱크의 상부에 배치하여도, 제1 탱크 내의 세정수의 대부분이 제3 탱크 내로 유입할 때까지의 동안, 제3 탱크를 세정수로 만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동안, 제트 펌프는 제3 탱크 내의 세정수를 인입할 수가 있어서, 급수로에 세정수를 송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트 펌프를 제3 탱크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변기 세정 장치(제1 탱크 및 제3 탱크 등)를 변기 본체의 윗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한 경우에도, 급수로는 길어지지 않고, 또한, 급수로의 상승 구배가 급하게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급수로를 통과하는 세정수의 압력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본체에 대유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1 탱크 및 제3 탱크에 저류한 세정수의 대부분을 변기 본체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는, 설치 위치의 자유도가 있고,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변기 본체와, 제4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수세식 변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변기 세정 장치를 변기 본체의 윗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할 수가 있고, 변기 본체에 세정수를 양호하게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 장치의 설치 위치의 자유도가 있고,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례 1의 수세식 변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실시례 1의 수세식 변기에서, 변기 세정의 초기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은 실시례 1의 수세식 변기에서, 변기 세정의 도중으로서, 제2 탱크가 기체를 흡인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4는 실시례 1의 수세식 변기에서, 변기 세정의 도중으로서, 제2 탱크가 기체의 흡인을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실시례 1의 수세식 변기에서, 변기 세정의 도중으로서, 변기 배수로 내의 부압력이 최대가 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6은 실시례 1의 펌프의 유량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7은 실시례 2의 수세식 변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8은 실시례 2의 수세식 변기에서, 변기 세정의 초기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9는 실시례 2의 수세식 변기에서, 변기 세정의 도중으로서, 제2 탱크가 기체를 흡인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0은 실시례 2의 수세식 변기에서, 변기 세정의 도중으로서, 제2 탱크가 기체의 흡인을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1은 실시례 2의 수세식 변기에서, 변기 세정의 도중으로서, 변기 배수로 내의 부압력이 최대가 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2는 제1 탱크 또는 제2 탱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도로서, (A), (B)는 상부가 내측으로 우그러든 제1 탱크, (C)는 상부의 내측에 직방체의 별도 부품을 부착한 제1 탱크, (D)는 외각부의 상부가 하부에 비하여 수평 방향의 좌우 방향으로 확대한 제2 탱크, (E)는 외각부가 하방을 향하여 서서히 내측으로 교축된 제2 탱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지연 장치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도로서, (A)는 오리피스를 형성한 구획벽을 갖는 제2 탱크, (B)는 오리피스를 형성한 구획벽과, 그 하방에 플로트 수납한 제2 탱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수세식 변기의 다른 실시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5는 실시례 3의 수세식 변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6은 실시례 4의 수세식 변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7은 실시례 5의 수세식 변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8은 실시례 6의 수세식 변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9는 실시례 7의 수세식 변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0은 실시례 7의 수세식 변기의 변기 세정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1은 실시례 7의 수세식 변기에서, 변기 본체에 세정수의 공급을 종료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2는 실시례 7의 수세식 변기에서, 제1 탱크 및 제3 탱크에 세정수를 저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3은 실시례 8의 변기 세정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로서, (A)는 제3 탱크의 측면의 벨로우스 부분을 신장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B)는 제3 탱크의 측면의 벨로우스 부분을 줄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실시례 9의 변기 세정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로서, (A)는 측면의 세로치수가 길다란 제3 탱크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B)는 측면의 세로치수가 짧은 제3 탱크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실시례 10의 수세식 변기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1 발명 및 제2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제1 발명의 제1 탱크는 하방 영역보다도 상방 영역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1 탱크의 상방 영역이 하방 영역보다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이 적기 때문에, 변기 세정을 시작하면 제1 탱크 내의 수위를 급격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2 탱크가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흡인하는 당초부터, 제1 탱크 내와 제2 탱크 내와의 수위차(水位差)를 크게 할 수가 있어서, 제2 탱크가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강한 흡인력으로 흡인할 수 있다.
또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제2 탱크가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흡인함과 함께 세정수를 제1 탱크 내로 유출시키는데, 제1 탱크의 하방 영역이 상방 영역보다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이 많기 때문, 그 세정수에 의한 제1 탱크 내의 수위의 상승을 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탱크 내와 제2 탱크 내와의 수위차의 감소를 억제할 수가 있어서, 제2 탱크의 흡인력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하방 영역보다도 상방 영역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이 많은 제2 탱크와의 조합에 의해, 제2 탱크 내의 수위를 천천히 저하시키고, 또한 제1 탱크 내의 수위의 상승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탱크 내와 제2 탱크 내와의 수위차를 충분히 확보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제2 탱크는 상기 하부 개구가 상기 제1 탱크의 최저 저수위보다도 낮은 높이로 상기 제1 탱크에 연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탱크의 하부 개구가 항상, 제1 탱크 내에 저수하는 세정수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제1 탱크 내에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통기로를 통하여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냄새)가 제1 탱크 내로 방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지연 장치는, 상기 통기로에 마련되고, 이 통기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탱크에 저수한 세정수를 급수로를 통하여 변발부에 공급을 시작할 때보다도 늦은 시기에 개폐밸브를 개변(開弁)함에 의해 제2 탱크가 통기로를 통하여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흡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밸브의 개변을 제어함에 의해, 제2 탱크가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흡인하기 시작하는 시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배수로 내에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기 위해 변기 배수로 내의 기체를 적절하게 흡인할 수 있다.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제2 탱크는 상기 제1 탱크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탱크 내에 제2 탱크를 수납하여 고정할 뿐으로 제1 탱크와 제2 탱크와의 연통을 완료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탱크와 제2 탱크를 연결하는 부재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제1 탱크와 제2 탱크와의 연결부에서의 누수가 생길 우려를 없앨 수 있다.
다음에, 제1 발명 및 제2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한 수세식 변기를 구체화한 실시례 1 및 2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례 1>
실시례 1의 수세식 변기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본체(10)와, 변기 본체(10)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변기 세정 장치(20)를 구비하고 있다. 변기 본체(10)는, 변발부(11)와, 변발부(11)의 하류측에 연통하는 변기 배수로(12)를 구비하고 있다. 변기 본체(10)는, 변발부(11)의 하부와 변기 배수로(12)의 상류부에 의해, 세정수를 저류하는 수봉부(水封部)(13)를 형성하고 있다.
변기 세정 장치(20)는, 변기 본체(10)의 후방으로서, 대부분을 변기 본체(10)의 윗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수세식 변기는 로 실루엣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변기 세정 장치(20)는, 제1 탱크(21), 제2 탱크(22), 통기로(23), 급수로(24), 및 지연 장치인 개폐밸브(2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탱크(21)는, 상단이 상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고, 수직 방향으로 늘어난 주벽부(21A)와, 주벽부(21A)의 하단을 폐쇄하는 저벽부(21B)로 구성되어 있다. 주벽부(21A)는 하부에 관통하여 마련한 배수구(21C)를 갖고 있다. 배수구(21C)는 급수로(24)의 한쪽의 단부를 접속하고 있다. 제1 탱크(21)는, 탱크용 급수로(26)를 통하여 세정수가 유입하고, 저수할 수 있다. 탱크용 급수로(26)는 상류단을 급수원인 수도관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탱크용 급수로(26)는 하류단에 급수용 밸브(26V)를 마련하고 있다.
제2 탱크(22)는, 공동(空洞)이고, 외각부(22A)의 상단면에 통기로(23)의 한쪽의 단부가 접속한 연통구(22B)와, 하단을 하방을 향하여 개구한 하부 개구(22C)를 갖고 있다. 또한, 제2 탱크(22)는, 외각부(22A)의 상부가 하부에 비하여 수평 방향의 일방향으로 확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2 탱크(22)는 하방 영역(22D)보다도 상방 영역(22U)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이 많게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탱크(22)는, 외각부(22A)의 윗면이 제1 탱크(21)의 최고 저수위(L)와 거의 동일 높이가 되도록, 제1 탱크(21) 내에 수납되고, 고정되어 있다. 제2 탱크(22)는 하부 개구(22C)가 제1 탱크(21) 내에서 개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2 탱크(22)는, 하부 개구(22C)로부터 세정수가 유입하고, 제1 탱크(21)와 같은 수위로 세정수를 저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탱크(21) 내에 제2 탱크(22)를 수납하여 고정할 뿐으로 제1 탱크(21)와 제2 탱크(22)와의 연통을 완료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탱크(21)와 제2 탱크(22)를 연결하는 부재가 불필요하고, 제1 탱크(21)와 제2 탱크(22)와의 연결부에서의 누수가 생길 우려를 없앨 수 있다.
외각부(22A)의 상부가 하부에 비하여 수평 방향으로 확대한 제2 탱크(22)를 제1 탱크(21)의 내부에 수납하여 고정함에 의해, 제1 탱크(21)는 하방 영역(21D)보다도 상방 영역(21U)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을 적게 하고 있다.
통기로(23)는, 한쪽의 단부를 제2 탱크(22)의 연통구(22B)에 접속하고, 제1 탱크(21)의 상단 개구로부터 변기 본체(10)측으로 늘어나고, 다른 쪽의 단부를 수봉부(13)보다 하류측의 변기 배수로(12)의 상부에 접속하고 있다. 이 때문에, 통기로(23)는 제1 탱크(21)의 최고 저수위(L)보다도 높은 위치를 경유하여 제2 탱크(22)와 변기 배수로(12)를 연통하고 있다. 통기로(23)는 지연 장치인 개폐밸브(25)를 도중에 마련하고 있다. 개폐밸브(25)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의해 개폐 제어되고 있고, 통기로(23)를 개폐할 수 있다.
급수로(24)는, 한쪽의 단부를 제1 탱크(21)의 배수구(21C)에 접속하고, 다른 쪽의 단부는 변기 본체(10)의 변발부(11)의 뒷부분(後部)에 배치되고, 변기 본체(10)의 변발부(11)의 상부 주연에 따라 세정수를 토수(吐水)하도록 토수구(24A)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토수구(24A)로부터 토수된 세정수는, 변발부(11)의 표면에 따라 일방향으로 흐르고, 변발부(11) 내에 선회류를 형성할 수 있다. 급수로(24)는 제1 탱크(21)에 저수한 세정수를 변발부(11)측으로 압송하는 펌프(P)를 도중에 마련하고 있다. 이 펌프(P)는 압송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증감할 수 있는 유량 조정 기능을 갖고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수세식 변기의 변기 세정 공정을 설명한다.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 전의 대기 상태에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탱크(21)가 최고 저수위(L)까지 세정수를 저수하고 있다. 또한, 제2 탱크(22)는 제1 탱크(21) 내와 같은 수위로 세정수를 저수하고 있다. 이 대기 상태에서는, 통기로(23)에 마련한 개폐밸브(25) 및 탱크용 급수로(26)에 마련한 급수용 밸브(26V)는 폐변(閉弁)하고 있다. 변기 본체(10)는 수봉부(13)에 세정수를 저류하여 수봉을 형성하고 있다.
수세식 변기는, 도시하지 않은 변기 세정 버튼이 조작되면, 펌프(P)가 가동하고, 변기 세정을 시작한다. 펌프(P)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초기(0 내지 t1초)에서, 유량을 완만하게 증가하면서 세정수를 변발부(11)측으로 압송한다. 이에 의해, 펌프(P) 내의 공기 빼기를 행하여, 에어를 씹는 소리의 발생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제1 탱크(2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 영역(21D)보다도 상방 영역(21U)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이 적기 때문에, 제1 탱크(21) 내의 수위는 단숨에 저하되고, 제1 탱크(21) 내와 제2 탱크(22) 내와의 수위차를 형성한다. 또한, 변기 본체(10)의 변발부(11) 내의 수위가 상승한다.
t1초를 경과하면, 펌프(P)는 압송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q1(ℓ/min)까지 증가시킨다(t1초 내지 t2초). 그러면, 우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본체(10)의 수봉부(13)로부터 변기 배수로(12)의 하류측으로 일류(溢流)하는 세정수의 유량도 증가한다. 또한, 제1 탱크(21) 내의 수위는 더욱 저하되고, 제1 탱크(21) 내와 제2 탱크(22) 내와의 수위차를 더욱 크게 한다. 이에 의해, 제2 탱크(22)는 변기 배수로(12)로부터 기체를 흡인하는데 필요한 흡인력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펌프(P)가 계속 가동함에 의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본체(10)의 수봉부(13)로부터 변기 배수로(12)의 하류측으로 일류하는 세정수가 변기 배수로(12)의 하류부에서 수막을 형성하고, 변기 배수로(12)의 하류부를 봉쇄한다. 이 상태에서, 변기 세정 장치(20)는 통기로(23)에 마련한 개폐밸브(25)를 개변한다. 그러면, 통기로(23) 내를 변기 배수로(12)측부터 제2 탱크(22)측에 기체가 흐를 수 있기 때문에, 제2 탱크(22) 내의 수위의 하강에 수반하여, 제2 탱크(22)가 변기 배수로(12) 내의 기체를 흡인한다. 즉, 개폐밸브(25)는, 제1 탱크(21)에 저수한 세정수를 급수로(24)를 통하여 변발부(11)에 공급을 시작할(펌프(P)를 가동하여 변기 세정을 시작할) 때보다도 늦은 시기에 개변하고, 변기 배수로(12)측부터 제2 탱크(22)측으로 흐르는 통기로(23) 내의 기체의 유량을 최대로 하는 지연 장치이다.
또한, 이 변기 세정 장치(20)는, 개폐밸브(25)의 개변에 의해, 제2 탱크(22)가 변기 배수로(12) 내의 기체의 흡인을 시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폐밸브(25)의 개변을 제어함에 의해, 제2 탱크(22)가 변기 배수로(12) 내의 기체를 흡인하기 시작하는 시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변기 세정 장치(20)는, 변기 배수로(12) 내에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기 위해 변기 배수로(12) 내의 기체를 적절하게 흡인할 수 있다.
변기 배수로(12)의 하류부에서 형성된 수막에 의해 변기 배수로(12) 내에 폐공간을 형성하고, 이 폐공간 내의 기체를 제2 탱크(22)가 흡인한다. 이 때문에,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배수로(12) 내에서 기체를 확실하게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은 세정수로도 변기 배수로(12) 내에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지연 장치인 개폐밸브(25)가 변기 세정을 시작할 때보다도 늦은 시기에 개변함에 의해, 그 동안에 제1 탱크(21) 내의 수위가 저하되고, 제2 탱크(22) 내의 수위와 큰 수위차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탱크(21) 내와 제2 탱크(22) 내와의 수위차의 대소는 제2 탱크(22)의 흡인력의 강약에 비례하기 때문에, 제2 탱크(22)는 강력한 흡인력을 갖게 된다. 이 때문에, 제2 탱크(22)는 변기 배수로(12) 내의 기체를 단숨에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변기 세정 장치(20)는 변기 배수로(12) 내에 사이펀 작용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펌프(P)가 가동하고, 제2 탱크(22) 내의 수위의 저하와 함께, 제2 탱크(22)는 변기 배수로(12) 내에서의 기체의 흡인을 계속한다. 이 때, 제2 탱크(22) 내의 세정수가 제1 탱크(21) 내로 대유량으로 유출되게 되지만, 제2 탱크(22)가 하방 영역(22D)보다도 상방 영역(22U)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이 많기 때문, 제2 탱크(22) 내의 수위는 천천히 저하된다.
또한, 제1 탱크(21)의 하방 영역(21D)이 상방 영역(21U)보다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이 많기 때문, 제2 탱크(22)로부터 제1 탱크(21) 내로 유출된 세정수에 의한 제1 탱크(21) 내의 수위의 상승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변기 세정 장치(20)는, 제2 탱크(22) 내의 수위를 천천히 저하시키고, 또한 제1 탱크(21) 내의 수위의 상승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탱크(21) 내와 제2 탱크(22) 내와의 수위차를 충분히 확보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2 탱크(22)가 변기 배수로(12) 내의 기체를 당초부터 긴 시간, 강한 흡인력으로 흡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변기 세정 장치(20)는, 변기 배수로(12) 내에 발생한 사이펀 작용에 의한 변기 배수로(12) 내의 부압력보다도 제2 탱크(22)의 흡인력이 강한 상태를 길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펀 작용의 계속중에 제2 탱크(22)측부터 변기 배수로(12) 내로 기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변기 세정 장치(20)는, 사이펀 작용을 계속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변기 세정 장치(2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배수로(12) 내의 세정수가 개략 만수 상태이고, 변기 배수로(12) 내의 부압력이 최대인 상태에서, 제1 탱크(21) 내와 제2 탱크(22) 내의 수위차가 감소하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P)가 압송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다시 q2(ℓ/min)까지 증가한다(t2초 내지 t3초). 이에 의해, 제1 탱크(21)로부터 변발부(11) 내로 유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제2 탱크(22) 내로부터 제1 탱크(21) 내로 유출된 세정수에 의해 제1 탱크(21) 내의 수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탱크(21) 내와 제2 탱크(22) 내의 수위차의 감소를 방지한다. 이에 의해, 제2 탱크(22)의 흡인력이 변기 배수로(12) 내의 부압력보다도 약해지지 않도록 유지할 수가 있어서, 변기 배수로(12) 내의 사이펀 작용을 계속시킬 수 있고, 변발 내의 오물 등을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여 변기 본체(10) 밖으로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례 1의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t3초 내지 t4초에서, 펌프(P)가 압송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감소함에 의해, 변발부(11) 내의 세정수가 감소하고, 변발부(11) 내의 수위가 저하된다. 이에 의해, 변발부(11)측부터 변기 배수로(12) 내로 공기가 유입하고, 사이펀 작용이 종료된다.
사이펀 작용이 종료된 후, 변기 본체(10)의 수봉부(13) 내에 세정수를 저류하고, 수봉하기 위해, 세정수를 작은 유량(q3)(ℓ/min)으로 변발부(11) 내에 공급한 후, 펌프(P)를 정지하여 변기 세정을 종료한다(t4초 내지 t5초). 또한, 탱크용 급수로(26)에 마련한 급수용 밸브(26V)를 개변하고, 제1 탱크(21) 내에 세정수를 저류한다. 그 후, 제1 탱크(21) 내의 세정수의 수위가 최고 저수위(L)가 되고, 제2 탱크(22) 내의 수위가 제1 탱크(21) 내와 같은 수위가 되면, 급수용 밸브(26V)가 폐변하고, 통기로(23)에 마련한 개폐밸브(25)도 폐변한다. 이에 의해, 수세식 변기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세정 전의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제1 탱크(21) 내의 수위는, 펌프(P)가 가동하여 변기 세정이 실행됨에 의해, 저하되지만, 제2 탱크(22)의 하부 개구(22C)보다도 낮아지지 않는다. 즉, 제2 탱크(22)는 하부 개구(22C)가 제1 탱크(21)의 최저 저수위보다도 낮은 높이에서 제1 탱크(21)에 개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탱크(22)의 하부 개구(22C)가 항상, 제1 탱크(21) 내에 저수하는 세정수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제1 탱크(21) 내에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통기로(23)를 통하여 변기 배수로(12) 내의 기체(냄새)가 제1 탱크(21) 내로 방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시례 2>
실시례 2의 수세식 변기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세정 장치(30)가 제3 탱크(32)를 구비하고, 제1 탱크(31) 내에 저수하는 세정수를 제트 펌프(33)를 이용하여 변기 본체(10)에 공급하는 점에서 실시례 1과 상위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례 1과 마찬가지이고,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변기 세정 장치(30)는, 변기 본체(10)의 후방으로서, 대부분을 변기 본체(10)의 윗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수세식 변기는 로 실루엣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변기 세정 장치(30)는, 제1 탱크(21), 제2 탱크(22), 통기로(23), 급수로(24), 지연 장치인 개폐밸브(25), 제3 탱크(32), 및 제트 펌프(3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탱크(31)는, 상단이 상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고, 수직 방향으로 늘어난 주벽부(31A)와, 주벽부(31A)의 하단을 폐쇄하는 저벽부(31B)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탱크(31)는, 내부에 제2 탱크(22)와 제3 탱크(32)를 수납하여 고정하고 있다.
제3 탱크(32)는 제1 탱크(31) 내에서 하방을 향하여 개방한 유입구(32A)를 갖고 있다. 또한, 이 제3 탱크(32)는 상단부에 유출구(32B)를 갖고 있다. 제3 탱크(32)는 후술하는 분사 노즐(36)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분기 급수로(37)가 윗면부터 수밀상으로 삽입되어 있다. 유출구(32B)의 개구 면적은 분사 노즐(36)의 분사구(36A)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급수로(34)는 유출구(32B)와 변기 본체(10)를 연통하고 있다. 이 급수로(34)는 유출구(32B)의 개구연(開口緣)으로부터 연속하여 늘어나 있다. 이 때문에, 급수로(34)의 유로 면적은 분사 노즐(36)의 분사구(36A)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급수로(34)는, 변기 본체(10)의 후단 상부에 이르기까지 경사 상방을 향한 상승 구배를 갖고 있고, 하류단의 토수구(34A)가 변기 본체(10)의 변발부(11)의 상부 주연에 따라 세정수를 토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급수로(34)의 토수구(34A)로부터 토수된 세정수는, 변발부(11)의 표면에 따라 일방향으로 흐르고, 변발부(11) 내에 선회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탱크(32)의 유출구(32B)가 제3 탱크(32)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로(34)는 길어지지 않고, 또한, 급수로(34)는 상승 구배가 급하게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급수로(34)를 통과하는 세정수의 압력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변기 세정 장치(30)는 변기 본체(10)에 대유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제트 펌프(33)는, 제3 탱크(32) 내로서, 제3 탱크(32)의 유출구(32B)와 간극을 띠우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 분사 노즐(36)을 갖고 있다. 제트 펌프(33)는 제3 탱크(32)의 유출구(32B)와 분사 노즐(36)로 구성되어 있다. 분사 노즐(36)은, 제3 탱크(32) 내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고, 분출한 세정수가 급수로(34)에 따라 흐르도록 세정수의 분출 방향을 유출구(32B)를 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트 펌프(33)는 제3 탱크(32)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분사 노즐(36)은 탱크용 급수로(26)를 분기한 분기 급수로(37)를 통하여 세정수가 유입한다. 분기 급수로(37)는 도중에 분사 노즐용 밸브(37V)를 마련하고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수세식 변기의 변기 세정 공정을 설명한다.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 전의 대기 상태에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탱크(31)는 최고 저수위(L)까지 세정수를 저수하고 있다. 제2 탱크(22)는 제1 탱크(31)와 같은 수위로 세정수를 저수하고 있다. 제3 탱크(32)는, 급수로(34) 내까지 세정수가 유입하고, 만수 상태이다. 이 대기 상태에서는, 통기로(23)에 마련한 개폐밸브(25), 탱크용 급수로(26)에 마련한 급수용 밸브(26V), 및 분기 급수로(37)에 마련한 분사 노즐용 밸브(37V)는 폐변하고 있다. 변기 본체(10)는 수봉부(13)에 세정수를 저류하여 수봉을 형성하고 있다.
수세식 변기는, 도시하지 않은 변기 세정 버튼이 조작되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사 노즐용 밸브(37V)가 개변하고, 변기 세정을 시작한다. 즉, 분사 노즐(36)의 분사구(36A)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고, 제3 탱크(32) 내의 세정수를 인입하고, 유출구(32B) 및 급수로(34)를 통하여 변기 본체(10)의 변발부(11)에 세정수를 공급한다. 이 때, 분사 노즐(36)의 분사구(36A)로부터 분출하는 세정수의 유량의 약 3 내지 4배의 유량의 세정수를 변기 본체(10)의 변발부(11)에 공급할 수 있다.
변기 세정을 시작하면, 제1 탱크(31)는, 하방 영역(31D)보다도 상방 영역(31U)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이 적기 때문에, 제1 탱크(31) 내의 수위는 단숨에 저하되고, 제1 탱크(31) 내와 제2 탱크(22) 내와의 수위차를 형성한다. 또한, 변기 본체(10)의 변발부(11)의 수위가 상승한다.
그 후, 변기 세정을 계속하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본체(10)의 수봉부(13)로부터 변기 배수로(12)의 하류측으로 일류하는 세정수의 유량도 증가한다. 또한, 제1 탱크(31) 내의 수위는 더욱 저하되고, 제1 탱크(31) 내와 제2 탱크(22) 내와의 수위차를 더욱 크게 한다. 이에 의해, 제2 탱크(22)는 변기 배수로(12)로부터 기체를 흡인하는데 필요한 흡인력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변기 세정을 계속하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본체(10)의 수봉부(13)로부터 변기 배수로(12)의 하류측으로 일류하는 세정수가 변기 배수로(12)의 하류부에서 수막을 형성하고, 변기 배수로(12)의 하류부를 봉쇄한다. 이 상태에서, 변기 세정 장치(30)는 통기로(23)에 마련한 개폐밸브(25)를 개변한다. 그러면, 통기로(23) 내를 변기 배수로(12)측부터 제2 탱크측에 기체가 흐를 수 있기 때문에, 제2 탱크(22) 내의 수위의 하강에 수반하여, 제2 탱크(22)가 변기 배수로(12) 내의 기체를 흡인한다.
또한, 이 변기 세정 장치(30)는, 개폐밸브(25)의 개변에 의해, 제2 탱크(22)가 변기 배수로(12) 내의 기체의 흡인을 시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폐밸브(25)의 개변을 제어함에 의해, 제2 탱크(22)가 변기 배수로(12) 내의 기체를 흡인하기 시작하는 시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변기 세정 장치(30)는, 변기 배수로(12) 내에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기 위해 변기 배수로(12) 내의 기체를 적절하게 흡인할 수 있다.
변기 배수로(12)의 하류부에서 형성된 수막에 의해 변기 배수로(12) 내에 폐공간을 형성하고, 이 폐공간 내의 기체를 제2 탱크(22)가 흡인한다. 이 때문에,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배수로(12) 내에서 기체를 확실하게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은 세정수로도 변기 배수로(12) 내에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지연 장치인 개폐밸브(25)가 변기 세정을 시작할 때보다도 늦은 시기에 개변함에 의해, 그 동안에 제1 탱크(31) 내의 수위가 저하되고, 제2 탱크(22) 내의 수위와 큰 수위차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탱크(31) 내와 제2 탱크(22) 내와의 수위차의 대소는 제2 탱크(22)의 흡인력의 강약에 비례하기 때문에, 제2 탱크(22)는 강력한 흡인력을 갖게 된다. 이 때문에, 제2 탱크(22)는 변기 배수로(12) 내의 기체를 단숨에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변기 세정 장치(30)는 변기 배수로(12) 내에 사이펀 작용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더욱 변기 세정을 계속하고, 제2 탱크(22) 내의 수위의 저하와 함께, 제2 탱크(22)는 변기 배수로(12) 내에서의 기체의 흡인을 계속한다. 이 때, 제2 탱크(22) 내의 세정수가 제1 탱크(31) 내로 대유량으로 유출되게 되지만, 제2 탱크(22)가 하방 영역(22D)보다도 상방 영역(22U)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이 많기 때문, 제2 탱크 내의 수위는 천천히 저하된다.
또한, 제1 탱크(31)의 하방 영역(31D)이 상방 영역(31U)보다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이 많기 때문, 제2 탱크(22)로부터 제1 탱크(31) 내로 유출된 세정수에 의한 제1 탱크(31) 내의 수위의 상승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변기 세정 장치(30)는, 제2 탱크(22) 내의 수위를 천천히 저하시키고, 또한 제1 탱크(31) 내의 수위의 상승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탱크(31) 내와 제2 탱크(22) 내와의 수위차를 충분히 확보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2 탱크(22)가 변기 배수로(12) 내의 기체를 당초부터 긴 시간, 강한 흡인력으로 흡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변기 세정 장치(30)는, 변기 배수로(12) 내에 발생한 사이펀 작용에 의한 변기 배수로(12) 내의 부압력보다도 제2 탱크(22)의 흡인력이 강한 상태를 길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펀 작용의 계속중에 제2 탱크(22)측에서 변기 배수로(12) 내로 기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변기 세정 장치(30)는, 사이펀 작용을 계속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변기 세정 장치(30)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배수로(12) 내의 세정수가 개략 만수 상태이고, 변기 배수로(12) 내의 부압력이 최대가 되어도, 제2 탱크(22)의 흡인력의 쪽이 강하므로, 사이펀 작용의 계속중에 제2 탱크(22)측부터 변기 배수로(12) 내로 기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변기 세정 장치(30)는, 사이펀 작용을 계속시킬 수 있고, 변발 내의 오물 등을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여 변기 본체(10) 밖으로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례 2의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더욱 변기 세정을 계속하면, 제1 탱크(31) 내의 세정수의 수위가 더욱 저하되고, 제1 탱크(31) 내의 세정수의 수위가 제3 탱크(32)의 유입구(32A)보다 저하된다. 그러면, 제1 탱크(31)로부터 제3 탱크(32)의 유입구(32A)를 통하여 제3 탱크(32) 내에 공기가 유입하고, 제3 탱크(32) 내의 세정수의 수위가 단숨에 저하된다. 이 때문에, 제트 펌프(33)가 제3 탱크(32) 내에서 노출하여 버려, 제트 펌프(33)는 세정수를 인입할 수가 없게 된다. 그러면, 변발부(11) 내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감소하고, 변발부(11) 내의 수위가 저하된다. 이에 의해, 변발부(11)측부터 변기 배수로(12) 내에 공기가 유입하고, 사이펀 작용이 종료된다.
사이펀 작용이 종료된 후, 변기 본체(10)의 수봉부(13) 내에 세정수를 저류하고, 수봉하기 위해, 변발부(11) 내에 세정수를 공급한 후, 분사 노즐용 밸브(37V)를 폐변하여 변기 세정을 종료한다. 또한, 탱크용 급수로(26)에 마련한 급수용 밸브(26V)를 개변하고, 제1 탱크(31) 내에 세정수를 저류한다. 그 후, 제1 탱크(31) 내의 세정수의 수위가 최고 저수위(L)가 되고, 제2 탱크(22) 내의 수위가 제1 탱크(31) 내와 같은 수위가 되고, 제3 탱크(32) 내가 만수 상태가 되면, 급수용 밸브(26V)가 폐변하고, 통기로에 마련한 개폐밸브(25)도 폐변한다. 이에 의해, 수세식 변기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세정 전의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제2 탱크(22)의 하부 개구(22C)가 제3 탱크(32)의 유입구(32A)보다 하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2 탱크(22)는 하부 개구(22C)가 제1 탱크(31)의 최저 저수위보다도 낮은 높이로 제1 탱크(31)에 개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탱크(22)의 하부 개구(22C)가 항상, 제1 탱크(31) 내에 저수하는 세정수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제1 탱크(31) 내에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통기로(23)를 통하여 변기 배수로(12) 내의 기체(냄새)가 제1 탱크(31) 내로 방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변기 세정 장치(30)는, 제트 펌프(33)에 의해, 제3 탱크(32) 내의 세정수가 인입되고, 변기 본체(10)에 대유량의 세정수가 공급되기 시작하면 동시에, 제1 탱크(31) 내의 세정수가 제3 탱크(32)의 유입구(32A)를 통하여 제3 탱크(32) 내로 유입한다. 이 때, 제3 탱크(32) 내의 세정수는, 제1 탱크(31) 내의 세정수의 수압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제3 탱크(32) 내는 세정수로 만수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제트 펌프(33)는 제3 탱크(32) 내의 세정수에 수몰한 상태를 유지하고, 제3 탱크(32) 내의 세정수를 계속 인입할 수 있기 때문에, 변기 본체(10)에 대유량의 세정수를 계속 공급할 수 있다.
제1 발명 및 제2 발명은 상기 기술(記述)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례 1 및 2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실시례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실시례 1 및 2에서는, 외각부의 상부가 하부에 비하여 수평 방향으로 확대한 제2 탱크를 제1 탱크의 내부에 수납하여 고정함에 의해, 제1 탱크는 하방 영역보다도 상방 영역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을 적게 하였지만, 도 12(A) 및(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탱크(44)는 외각부가 상하 방향으로 변형하지 않고, 제1 탱크(41, 42)의 상부를 내측으로 우그러들게 함에 의해, 하방 영역보다도 상방 영역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을 적게 하여도 좋다. 또한, 도 1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탱크(43)의 내측의 상부에, 하방 영역보다도 상방 영역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을 적게 하기 위한 직방체의 별도 부품(43A)을 부착하여도 좋다.
(2) 실시례 1 및 2에서는, 제2 탱크는 외각부의 상부가 하부에 비하여 수평 방향의 일방향으로 확대하고 있지만, 도 12(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탱크(45)는 외각부의 상부가 하부에 비하여 수평 방향의 좌우 방향 등의 복수의 방향으로 확대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2(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탱크(46)는, 외각부가 하방을 향하여 서서히 내측에 교축됨에 의해, 하방 영역보다도 상방 영역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을 많게 하여도 좋다.
(3) 실시례 1 및 2에서는, 지연 장치로서 개폐밸브를 사용하고 있지만, 도 13(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탱크(51)에 지연 장치를 마련하여도 좋다. 즉, 도 13(A)에 도시하는 제2 탱크(51)는, 오리피스(53)를 형성한 구획벽(52)에 의해 내부를 상부 저수실(51U)와 하부 저수실(51D)로 구획하고 있다. 이 제2 탱크(51)는, 변기 세정을 시작하여 제2 탱크(51) 내의 세정수가 하부 개구(51A)로부터 제1 탱크(21) 내로 유출되면, 변기 세정 초기에서는, 오리피스(53)를 세정수가 통과한다. 이 때, 세정수는 비교적 유동 저항이 크기 때문에, 제2 탱크(51) 내의 수위는 천천히 저하된다. 제2 탱크(51) 내의 수위가 구획벽(52)보다 하방으로 내려가면, 세정수보다도 유동 저항이 작은 공기가 오리피스(53)를 통과하게 되기 때문에, 제2 탱크(51) 내의 수위는 급격하게 저하된다. 이와 같이, 이 구조에 의해, 변기 세정을 시작할 때보다도 늦은 시기에 변기 배수로측부터 제2 탱크(51)측으로 흐르는 기체의 유량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지연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3(B)에 도시하는 제2 탱크(51)는, 오리피스(53)를 형성한 구획벽(52)에 의해 내부를 상부 저수실(51U)와 하부 저수실(51D)에 구획하고, 하부 저수실(51D)에 세정수보다도 비중이 작고, 오리피스(53)를 폐쇄할 수 있는 구형상의 플로트(54)를 수납하고 있다. 이 제2 탱크(51)는, 변기 세정을 시작하여 제2 탱크(51) 내의 세정수가 하부 개구(51A)로부터 제1 탱크(21) 내로 유출되면, 변기 세정 초기에서는, 오리피스(53)를 통과하는 세정수가 플로트(54)의 저항을 받기 때문에, 제2 탱크(51) 내의 수위는 플로트(54)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더욱 천천히 저하된다. 제2 탱크(51) 내의 수위가 구획벽(52)보다 하방으로 내려가면, 플로트(54)가 하강하고 오리피스(53)를 개방하고, 세정수보다도 유동 저항이 작은 공기가 오리피스(53)를 통과하게 되기 때문에, 제2 탱크(51) 내의 수위는 급격하게 저하된다. 이와 같이, 이 구조에 의해, 변기 세정을 시작할 때보다도 늦은 시기에 변기 배수로측부터 제2 탱크(51)측으로 흐르는 기체의 유량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지연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4) 실시례 2에서는, 변기 세정 장치는 제3 탱크를 구비하고, 제3 탱크의 유출구를 향하여 세정수를 분출하는 분사 노즐을 갖는 제트 펌프를 구비하고 있지만,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세정 장치(60)는 제3 탱크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분기 급수로(37)를 제1 탱크(31)의 저벽부(31B)의 부근까지 연장시키고, 분출 노즐(61)의 분출구(61A)를 저벽부(31B)의 부근에 배치하고, 이 분출구(61A)에 대향하는 위치에 급수로(62)의 상류단 개구(62A)를 배치하고 제트 펌프를 형성하면 좋다.
다음에, 제3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제3 발명의 세정수 제어 장치는 상기 급수로에 마련한 펌프를 갖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탱크의 높이가 낮아도, 제1 탱크로부터 변발부에의 세정수의 공급을 안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3 발명에서, 상기 변기 배수로로부터 상기 제2 탱크가 기체를 흡인하는 흡기 동작을 제어하는 흡기 제어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흡기 제어 장치에 의해 변기 배수로로부터 제2 탱크가 기체를 흡인하는 흡기 동작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탱크로부터 변발부에의 세정수의 공급 상태에 맞추어서 알맞는 타이밍에서 변기 배수로로부터 기체를 흡인하고, 변기 배수로 내에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변기 세정 장치는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여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제3 발명의 흡기 제어 장치는 오리피스(orifice)를 갖는 구획벽에 의해 상기 제2 탱크를 상부 저수실과 하부 저수실로 구획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탱크로부터 변발부에 세정수의 공급을 시작하면, 그 초기 단계에서는 세정수가 오리피스를 통과한다. 세정수는 액체이기 때문에, 그 유동 저항에 의해 제2 탱크 내의 수위 저하는 비교적 늦어진다. 그리고, 제2 탱크 내의 수위가 구획벽보다도 하방으로 내려가면, 세정수보다도 유동 저항이 작은 기체가 오리피스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면, 제2 탱크 내의 수위의 저하가 빨라지고, 변기 배수로로부터 흡인한 기체의 유량이 많아진다. 이에 의해, 제2 탱크가 변기 배수로로부터 기체를 단숨에 흡인하고, 변기 배수로 내에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저수실 내에 세정수에 뜸에 의해 상기 오리피스를 폐쇄할 수 있는 폐쇄 부재를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탱크로부터 변발부에 세정수의 공급을 시작하면, 그 초기 단계에서는, 폐쇄 부재가 오리피스를 폐쇄하려고 하기 때문에, 오리피스를 통과한 세정수의 유량은, 폐쇄 부재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조여진다. 그리고, 제2 탱크 내의 수위가 내려가고 폐쇄 부재가 하강을 시작한 후는, 세정수보다도 유동 저항이 작은 기체가 오리피스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면, 제2 탱크 내의 수위의 저하가 빨라진다. 폐쇄 부재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면, 변기 배수로로부터 흡인한 기체의 유량이 많아지는 타이밍을 느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변기 배수로 내에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는 타이밍을 느리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제3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한 수세식 변기를 구체화한 실시례 3 내지 6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례 3>
실시례 3의 수세식 변기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본체(10)와 변기 세정 장치(300)를 구비하고 있다. 변기 본체(10)는, 변발부(11)와, 변발부(11)의 하류측에 연통하는 변기 배수로(12)를 갖고 있다. 변발부(11)는 윗면의 개구연에 따라 형성한 림 통수로(14)를 갖고 있다. 변기 배수로(12)는 상류단이 변발부(11)의 하단부에 연통하고 있다. 변기 배수로(12)는 정부(頂部)(가장 높은 부분)으로부터 변발부(11)의 하단부까지의 영역이 수봉부(13)로 되어 있다. 변기 배수로(12)는, 수봉부(13)보다도 하류측의 위치로서, 수봉부(13)보다도 상방에 개구한 통기구(15)를 갖고 있다. 또한, 변기 배수로(12)는 통기구(15)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는 영역에 지름 치수를 조이는 조임부(16)를 갖고 있다.
변기 세정 장치(300)는, 제1 탱크(110), 급수로(114), 제2 탱크(115), 통기로(118), 세정수 제어 장치(119), 및 흡기 제어 장치(12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탱크(110)는 급수 밸브(112)를 구비한 볼 탭(111)으로부터 급수된 세정수를 저수한다. 변기 세정 장치(300)는 제1 탱크(110) 내에 저수하는 세정수를 변발부(11)에 공급한다. 제1 탱크(110)는 하단부에 형성한 배수구(113)를 갖고 있다. 배수구(113)는 급수로(114)의 상류단이 접속하고 있다. 급수로(114)는 하류단을 림 통수로(14)에 접속하고 있다. 제1 탱크(110) 내에 저수하는 세정수는 급수로(114)를 통하여 림 통수로(14)에 공급할 수 있다.
제2 탱크(115)는 상단이 폐색되어 있음과 함께 하면이 연통구(116)로서 크게 개방된 통형상(筒狀)을 하고 있다. 제2 탱크(115)는 제1 탱크(110)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2 탱크(115)는, 연통구(116)가 제1 탱크(110) 내에서의 변기 세정 전에 저수하는 세정수의 최고 저수위보다도 하방의 높이로 개구하고 있다. 제2 탱크(115)의 내부 공간(세정수를 저류하는 공간)은, 이 연통구(116)를 통하여 제1 탱크(110)의 내부 공간(세정수를 저류하는 공간)과 연통하고 있다. 제2 탱크(115)는 상단부에 형성하고, 제1 탱크(110) 내에서의 세정수의 최고 저수위보다도 높은 위치에 개구하는 흡배기구(117)를 갖고 있다. 흡배기구(117)는 통기로(118)의 한쪽의 단부가 접속하고 있다. 통기로(118)는 다른 쪽의 단부를 변기 배수로(12)의 통기구(15)에 접속하고 있다. 즉, 통기로(118)는, 제2 탱크(115)에서의 제1 탱크(110)의 최고 저수위보다도 높은 위치와, 변기 배수로(12)에서의 수봉부(13)보다도 높은 위치를 연통하고 있다.
세정수 제어 장치(119)는, 급수로(114)의 도중에 마련한 펌프(120)와 급수용 전자 개폐밸브(121)를 갖고 있다. 펌프(120)는 제1 탱크(110) 내에 저류한 세정수를 변발부(11)(림 통수로(14))측으로 압송한다. 펌프(120)는 제1 탱크(110)의 수두압(水頭壓)에 관계없이, 압송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증감할 수 있는 유량 조절 기능을 갖고 있다. 즉, 제1 탱크(110)로부터 변발부(11)측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은, 제1 탱크(110)의 수두압만에 의해 정해지는 유량보다도 작게 할 수도 있고, 크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급수용 전자 개폐밸브(121)가 개변하면, 제1 탱크(110)로부터 변발부(11)측으로의 세정수의 공급을 허용하는 상태가 되고, 급수용 전자 개폐밸브(121)를 폐변하면, 제1 탱크(110) 내로부터 변발부(11)측으로의 세정수의 공급이 정지한다.
흡기 제어 장치(122)는 통기로(118)의 도중에 마련된 통기용 전자 개폐밸브(123)를 갖고 있다. 이 통기용 전자 개폐밸브(123)가 개변하면, 변기 배수로(12)에서의 수봉부(13)보다도 하류측(상방)의 공간과, 제2 탱크(115) 내에서의 세정수보다도 상방의 공간이 연통하고, 양 공간의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통기용 전자 개폐밸브(123)가 폐변하면, 통기로(118)에서의 공기의 유동이 차단된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수세식 변기의 변기 세정 공정을 설명한다.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 전의 대기 상태에서, 급수용 전자 개폐밸브(121)가 폐변 상태가 되어 있음과 함께 펌프(120)가 정지하고 있다. 제1 탱크(110)는 최고 저수위까지 세정수를 저수하고 있다. 제2 탱크(115)는 제1 탱크(110)와 같은 수위까지 세정수를 저수하고 있다. 한편, 변기 본체(10)는 수봉부(13)에 세정수를 저류하고 수봉을 형성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변기 사용자의 수동 조작, 또는 사용자가 변발부(11)로부터 떨어진 것을 도시하지 않은 인체 검지 장치가 검지하면, 급수용 전자 개폐밸브(121)가 개변 상태로 전환되는 동시에, 펌프(120)가 기동한다. 그러면, 제1 탱크(110)로부터 변발부(11)측으로의 세정수의 공급(즉, 변기 세정)이 시작된다. 제1 탱크(110)로부터 변발부(11)측으로 압송된 세정수는, 림 통수로(14)를 통과하여 변발부(11) 내에 공급되고, 변발부(11) 내의 오물을 변기 배수로(12)측에 밀어 흘린다. 또한, 변기 배수로(12) 내로 유입한 세정수가 조임부(16)에서의 비산하여 수막을 형성한다.
또한, 제1 탱크(110) 내의 세정수가 변발부(11)측으로 유출되기 시작하는 동시에, 또는 세정수가 변발부(11)에 유출되기 시작한 후에, 통기용 전자 개폐밸브(123)가 폐변 상태로부터 개변 상태로 전환된다. 통기용 전자 개폐밸브(123)가 개변하면, 제2 탱크(115) 내의 세정수보다도 상방의 공간과, 변기 배수로(12)에서의 수봉부(13)보다도 상방(하류측)의 공간이 연통한다. 이 때문에, 제2 탱크(115) 내의 세정수의 수위가 저하됨과 함께, 변기 배수로(12)에서의 수봉부(13)보다도 하류측(상방)의 공간 내의 기체가 통기로(118)를 통하여 제2 탱크(115) 내로 흡인된다. 이에 의해, 변기 배수로(12) 내에 사이펀 작용이 발생하고, 수봉부(13) 내의 오물 등이 변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소정량의 세정수가 변발부(11)에 공급되면, 급수용 전자 개폐밸브(121)가 폐변함과 함께, 펌프(120)가 정지하고, 변발부(11)로의 세정수의 공급이 정지하고, 변기 세정이 종료된다. 제1 탱크(110)로부터 변발부(11)측으로의 세정수의 공급이 시작한 후는, 볼 탭(111)으로부터 제1 탱크(110) 내에 세정수가 계속 공급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탱크(110) 내 및 제2 탱크(115) 내의 세정수의 수위가 상승한다. 그리고, 소정의 수위에 이르면, 볼 탭(111)으로부터의 급수가 정지하고, 제1 탱크(110) 내 및 제2 탱크(115) 내가 소정의 최고 저수위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 전의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변기 세정 장치(300)는, 제1 탱크(110)로부터 변발부(11)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세정수 제어 장치(119)로서 급수로(114)에 펌프(120)를 마련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변발부(11) 및 변기 배수로(12)의 형상에 응하여, 펌프(120)가 압송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제어하고, 제1 탱크(110)로부터 변발부(11)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즉, 변기 본체(10)가, 변기 배수로(12)에서의 배수 유량이 많아지는 형상인 경우, 펌프(120)가 압송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작아지도록 설정하여 변발부(11)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적게 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통기로(118) 내에의 오물의 흡인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탱크(115)가 변기 배수로(12) 내의 기체를 확실하게 흡인할 수가 있어서, 변기 배수로(12) 내에 사이펀 작용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변기 본체(10)가, 변기 배수로(12)에서의 배수 유량이 적어지는 형상인 경우, 펌프(120)가 압송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커지도록 설정하여 변발부(11)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많게 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변기 배수로(12) 내에 사이펀 작용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수세식 변기는,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여, 오물 등을 변기 본체(10) 밖으로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이 수세식 변기는, 제1 탱크(110)의 위치가 변발부(11)와 대강 같은 높이이기 때문에, 제1 탱크(110)의 수두압에 의해 세정수의 급수 압력을 높일 수는 없다. 그러나, 펌프(120)가 압송하는 유량을 크게 설정하면, 제1 탱크(110)의 높이가 낮아도, 제1 탱크(110)로부터 변발부(11)로의 세정수의 공급을 안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배수로(12)로부터 제2 탱크(115)에의 흡기 동작을 제어하는 흡기 제어 장치(122)로서, 통기로(118)에 통기용 전자 개폐밸브(123)를 마련하고 있다. 이 통기용 전자 개폐밸브(123)의 개폐(변기 배수로(12)로부터 제2 탱크(115)에의 흡기 동작)를 급수용 전자 개폐밸브(121)의 개폐 및 펌프(120)의 구동에 응하여 제어하면, 제1 탱크(110)로부터 변발부(11)로의 세정수의 공급 상태에 맞추어서 알맞는 타이밍에서 제2 탱크(115)가 변기 배수로(12)로부터 기체를 흡인하고, 변기 배수로(12) 내에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펌프(120)가 압송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초기는 소량으로 하여 변발부(11)의 발(鉢) 세정을 행함과 함께, 조임부(16)에서 세정수의 수막을 형성한다. 그 후에, 펌프(120)가 압송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늘려서 제2 탱크(115)가 변기 배수로(12)로부터 기체를 흡인하는 흡인력을 증강한다. 이에 의해, 변기 배수로(12) 내에 강력한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고,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변기 세정의 종기에 펌프(120)의 압송 유량을 소량으로 하면, 필요 최소의 세정수로 수봉부(13)를 만수 상태에 할 수 있다.
<실시례 4>
실시례 4의 수세식 변기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세정 장치(310)의 흡기 제어 장치(124)가 실시례 3과 상위하다. 다른 구성은 실시례 3과 마찬가지이고,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흡기 제어 장치(124)는, 제2 탱크(115) 내를 상부 저수실(127)과, 상부 저수실(127)보다도 하방의 하부 저수실(128)로 구획하는 구획벽(125)을 갖고 있다. 이 구획벽(125)은 상하로 관통하는 오리피스(126)가 형성되어 있다. 구획벽(125)은 대기 상태에서의 세정수의 최고 저수위보다도 낮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상부 저수실(127)은 상단부에 흡배기구(117)를 개구하고 있다. 하부 저수실(128)은 하단부에 연통구(116)가 개구하고 있다. 또한, 통기로(118)는 통기용 전자 개폐밸브를 마련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제2 탱크(115) 내의 세정수보다도 상방의 공간과, 변기 배수로(12)에서의 수봉부(13)보다도 상방(하류측)의 공간이, 항상, 연통하고 있다.
제1 탱크(110)로부터 변발부(11)로의 세정수의 공급이 시작하면, 제1 탱크(110) 내의 세정수는 기세 좋게 변발부(11)측으로 유출되고 제1 탱크(110) 중 제2 탱크(115) 이외의 영역에 저류되어 있는 세정수의 수위가 신속하게 저하된다. 한편, 제2 탱크(115) 내에서는, 공급의 초기(즉, 조임부(16)에서의 세정수가 수막을 형성할 때까지의 동안)에 오리피스(126)를 통과하는 세정수는 비교적 유동 저항이 큰 세정수(액체)임므로, 제2 탱크(115)(상부 저수실(127)) 내의 수위 저하는 비교적 느리다. 이 때문에, 제2 탱크(115)가 변기 배수로(12) 내로부터 흡인하는 기체의 유량이 적다. 흡기 제어 장치(124)는 조임부(16)에서 세정수의 수막이 형성된 시기에 제2 탱크(115) 내의 수위가 구획벽(125)보다도 하방으로 내려가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2 탱크(115) 내의 수위가 구획벽(125)보다도 하방으로 내려가면, 세정수보다도 유동 저항이 작은 기체가 오리피스(126)를 통과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2 탱크(115)(하부 저수실(128)) 내의 수위의 저하가 빨라진다. 즉, 제2 탱크(115)가 변기 배수로(12) 내로부터 흡인한 기체의 유량이 많아지고, 변기 배수로(12) 내의 기체를 단숨에 흡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변기 배수로(12) 내에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탱크(115) 내의 수위의 저하를 제1 탱크(110) 내의 수위의 저하보다도 느리게 하면, 제1 탱크(110) 내의 수위가 내려가 제1 탱크(110) 내로부터 세정수가 유출되는 유량이 적어진 때에, 제1 탱크(110) 내로부터의 유출되는 세정수의 유량보다도, 제2 탱크(115) 내로부터 제1 탱크(110) 내로 유입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많아지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제1 탱크(110) 내와 제2 탱크(115) 내의 수위차가 작아지기 때문에, 제2 탱크(115) 내의 수위의 저하 속도가 늦어지고, 제2 탱크(115)의 흡인력이 저하된다. 이에 의해, 제2 탱크(115)로부터 변기 배수로(12)측에 기체가 역류하고 사이펀 작용이 종료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수세식 변기는, 제1 탱크(110) 내로부터 변발부(11)측으로 유출된 세정수의 유량을 펌프(120)에 의해 증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탱크(110) 내와 제2 탱크(115) 내와의 수위차가 작아지는 것을 회피하고, 제2 탱크(115) 내의 수위의 저하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탱크(115)의 흡인력의 저하를 방지하고, 사이펀 작용을 계속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탱크(115) 내의 초기의 수위의 저하를 느리게 하고, 변기 세정을 시작하고 나서 제2 탱크(115)가 변기 배수로(12) 내로부터 흡인하는 기체의 유량을 많게 할 때까지의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오리피스(126)의 내경을 작게 하면 좋다. 그런데, 오리피스(126)의 내경을 작게 하면, 세정수 내의 이물이 오리피스(126)를 막리게 할 우려가 있다. 이 점, 이 수세식 변기는, 펌프(120)에 의해 상부 저수실(127) 내의 세정수를 하부 저수실(128)측으로 강제적으로 흡인하기 때문에, 오리피스(126)에서의 막힘이 발생할 우려는 없다.
<실시례 5>
실시례 5의 수세식 변기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세정 장치(320)의 흡기 제어 장치(129)가 실시례 4와 상위하다. 다른 구성은 실시례 4와 마찬가지이고,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흡기 제어 장치(129)는 제2 탱크(115)의 하부 저수실(128) 내에 오리피스(126)를 폐쇄할 수 있는 폐쇄 부재(130)를 수용하고 있다. 이 폐쇄 부재(130)는 세정수보다도 비중이 작다. 이 때문에, 폐쇄 부재(130)는 제2 탱크(115) 내의 세정수에 뜨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탱크(115) 내의 세정수의 수위가 소정 높이 이상이면, 폐쇄 부재(130)가 부력에 의해 오리피스(126)를 하측부터 폐쇄한다.
제1 탱크(110)로부터 변발부(11)에 세정수의 공급을 시작하면, 공급의 초기는, 폐쇄 부재(130)가 부력에 의해 오리피스(126)를 하측부터 폐쇄하려고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오리피스(126)를 통과하는 세정수의 유량은 폐쇄 부재(130)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조여진다. 이 때의 오리피스(126)를 통과할 때의 유량은, 폐쇄 부재(130)에 작용하는 부력의 영향을 받음과 함께, 제2 탱크(115) 내와 제1 탱크(110) 내의 세정수의 수위차에 의해 변동한다.
그리고, 제2 탱크(115) 내의 세정수의 수위가 구획벽(125)의 하면보다도 낮아지면, 세정수보다도 유동 저항이 작은 공기가 오리피스(126)를 통과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2 탱크(115) 내의 수위의 저하가 빨라지고, 변기 배수로(12) 내에 사이펀 작용을 발생할 수 있다. 이 수세식 변기는, 세정수가 오리피스(126)를 통과하고 있는 동안은 폐쇄 부재(130)에 의해 오리피스(126)의 개방도가 좁혀지기 때문에, 폐쇄 부재(130)를 마련하지 않은 것에 비하면, 변기 배수로(12) 내에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는 타이밍을 늦출 수 있다. 또한, 기체가 오리피스(126)를 통과하기 시작하기 전에 있어서, 펌프(120)가 압송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감소시키면, 제1 탱크(110) 내와 제2 탱크(115) 내의 수위차가 작아지기 때문에, 오리피스(126)를 통과한 세정수의 유량이 감소하고, 변기 배수로(12) 내의 사이펀 작용의 발생을 늦출 수도 있다.
<실시례 6>
실시례 6의 수세식 변기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세정 장치(330)의 세정수 제어 장치(131)가 실시례 3과 상위하다. 다른 구성은 실시례 3과 마찬가지이고,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수세식 변기는 제1 탱크(110)를 변발부(11)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탱크(110) 내 및 제2 탱크(115) 내의 세정수의 최고 저수위는, 변발부(11)에 비하여 충분히 높은 위치가 된다. 변기 세정 장치(330)은, 급수로(114)의 도중에 급수용 전자 개폐밸브(121)와, 급수용 전자 개폐밸브(121)보다도 하류측(변발부(11)측)에 배치한 급수용 유량 제어 밸브(132)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탱크(110)를 변발부(11)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하여 제1 탱크(110) 내의 수두압을 높게 한 형태와, 급수로(114)에 급수용 전자 개폐밸브(121)와 급수용 유량 제어 밸브(132)를 마련하는 형태에 의해, 세정수 제어 장치(131)가 구성되어 있다.
급수용 전자 개폐밸브(121)를 개변하면, 제1 탱크(110) 내의 세정수의 수두압에 의해, 제1 탱크(110)로부터 변발부(11)측으로의 세정수의 공급(즉, 변기 세정)을 시작한다. 변발부(11)에 공급된 세정수는, 변발부(11) 내의 오물을 변기 배수로(12)측으로 밀어 흘린다. 또한, 변기 배수로(12) 내로 유입한 세정수가 조임부(16)에서의 비산하여 수막을 형성한다. 또한, 변기 배수로(12)에서의 수봉부(13)보다도 하류측(상방)의 공간 내의 기체가 통기로(118)를 통하여 제2 탱크(115) 내로 흡인된다. 이에 의해, 변기 배수로(12) 내에 사이펀 작용이 발생한다. 이 때, 급수용 유량 제어 밸브(132)를 조절하여 변발부(11)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많게 하면, 변기 배수로(12) 내에 사이펀 작용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고, 오물 등을 변기 본체 밖으로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급수량 유량 제어 밸브(132)를 조절하여 변발부(11)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적게 하면, 통기로(118) 내로 오물이 흡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정수가 변발부(11)측으로 유출되기 시작하는 동시에, 또는 세정수가 변발부(11)에 유출되기 시작한 후에, 통기로(118)의 통기용 전자 개폐밸브(123)가 개변 상태로 전환된다. 이 때문에, 제2 탱크(115) 내의 세정수의 수위가 저하되는데 수반하여, 변기 배수로(12) 내의 공기가 통기로(118)를 통하여 제2 탱크(115) 내로 흡인되고, 변기 배수로(12) 내에 사이펀 작용이 발생하고, 수봉부(13) 내의 오물 등이 변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제3 발명은 상기 기술(記述)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례 3 내지 6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실시례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실시례 3 내지 6에서는, 제2 탱크를 제1 탱크의 내부에 배치하였지만, 제2 탱크는 제1 탱크의 외부에 배치하여도 좋다.
(2) 실시례 3 내지 5에서는, 제1 탱크의 위치를 변발과 거의 같은 높이에 배치하였지만, 제1 탱크를 변발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하여도 좋다.
(3) 실시례 3 내지 5에서는, 세정수 제어 장치로서 압송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조절 가능한 펌프를 이용하였지만, 펌프 대신에 유량 제어 밸브를 세정수 제어 장치로서 이용하여도 좋고, 압송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가 없는 펌프와 이 펌프의 하류측에 마련한 유량 제어 밸브에 의해 세정수 제어 장치를 구성하여도 좋다.
(4) 실시례 3, 6에서는, 변기 배수로로부터 제2 탱크에의 흡기 동작을 제어하는 흡기 제어 장치로서 통기로에 통기용 전자 개폐밸브를 마련하였지만, 통기용 전자 개폐밸브 대신에 유량 제어 밸브를 마련하여도 좋고, 통기용 전자 개폐밸브에 더하여 유량 제어 밸브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흡기 제어 장치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5) 실시례 4, 5에서, 변기 배수로로부터 제2 탱크로의 흡기 동작을 제어하는 흡기 제어 장치로서, 통기로에 전자 개폐밸브를 마련하여도 좋고, 유량 제어 밸브를 마련하여도 좋고, 전자 개폐밸브와 유량 제어 밸브를 마련하여도 좋다.
(6) 실시례 6에, 실시례 4 또는 실시례 5의 흡기 제어 장치를 적용하여도 좋다.
(7) 실시례 6에서는, 세정수 제어 장치로서, 제1 탱크를 변발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하여 제1 탱크 내의 수두압을 높게 하고, 급수로에 전자 개폐밸브와 유량 제어 밸브를 마련하고 있지만, 이에 대신하여, 실시례 3 내지 5와 같이 급수로에 펌프와 전자 개폐밸브를 마련하여도 좋다.
다음에, 제4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제4 발명의 유출구는 상기 제3 탱크의 상부에 관통하여 마련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제3 탱크 내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변기 세정 장치를 변기 본체의 윗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하여도, 제트 펌프에 의해, 대유량의 세정수를 변기 본체에 공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변기 본체와, 이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함에 의해 로 실루엣의 수세식 변기를 실현할 수 있다.
제4 발명의 노즐은, 상기 제1 탱크로부터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3 탱크 내에 공기가 유입하고, 상기 제3 탱크 내의 수위가 저하될 때까지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탱크로부터 유입구를 통하여 제3 탱크 내에 공기가 유입하면, 제3 탱크 내의 수위가 급격하게 저하되고, 제트 펌프가 제3 탱크 내의 세정수를 인입할 수가 없게 되고, 노즐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사를 정지한다. 노즐에의 세정수의 급수 압력이 변동한 경우, 분사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변동하기 때문에, 제트 펌프에 인입되는 제3 탱크 내의 세정수의 유량도 변동한다. 이와 같이, 노즐에의 세정수의 급수 압력이 변동하면, 변기 본체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변동하지만, 이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본체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수량을 개략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즉, 제3 탱크 내의 수위가 저하될 때까지 제트 펌프에 인입된 세정수의 수량은, 제3 탱크의 외측으로서 제1 탱크 내에 저류된 세정수의 수량과 동등하고, 개략 일정이다. 제트 펌프가 일정 수량의 세정수를 인입할 때, 노즐로부터 분사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적으면, 분출 시간은 길어지고, 노즐로부터 분사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많으면, 분출 시간은 짧아진다. 이와 같이, 제트 펌프가 일정 수량의 세정수를 인입하려면, 노즐로부터 분사하는 세정수의 수량도 개략 일정한 수량을 분출하게 된다. 이 때문에, 노즐로부터 분사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변동하고, 인입된 제3 탱크 내의 세정수의 유량이 변동함에 의해, 변기 본체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변동하여도, 이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본체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수량을 개략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제4 발명에서, 상기 제1 탱크로부터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3 탱크에 공기가 유입을 시작할 때의 상기 제1 탱크 내의 수위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탱크로부터 유입구를 통하여 제3 탱크에 공기가 유입을 시작할 때의 제1 탱크 내의 수위를 변경함에 의해, 변기 본체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수량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제1 탱크로부터 유입구를 통하여 제3 탱크에 공기가 유입을 시작할 때의 제1 탱크 내의 수위를 낮게 하면, 제3 탱크 내의 세정수의 수위의 저하 시기가 늦어지고, 제트 펌프가 제3 탱크 내의 세정수를 오랫동안 인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변기 세정 장치가 변기 본체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수량을 많게 할 수 있다. 한편, 제1 탱크로부터 유입구를 통하여 제3 탱크에 공기가 유입을 시작할 때의 제1 탱크 내의 수위를 높게 하면, 제3 탱크 내의 세정수의 수위의 저하 시기가 빨라지고, 제트 펌프가 제3 탱크 내의 세정수를 조기에 인입할 수가 없게 된다. 이 때문에, 변기 세정 장치가 변기 본체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수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변기 세정 장치는, 변기 본체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수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변기 세정수량이 상위한 복수종류의 변기 본체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제4 발명에서, 상기 제1 탱크의 하부와 상기 노즐을 연통하는 연통로와, 이 연통로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탱크 내에 저수하는 세정수를 상기 노즐에 송수하는 송수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노즐에 송수 장치를 사용하여 세정수를 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노즐에 안정된 고수압의 세정수를 송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트 펌프가 제3 탱크 내의 세정수를 강력하게 인입할 수가 있어서, 급수로(114)를 통하여 대유량의 세정수를 안정적으로 변기 본체에 공급할 수 있다.
다음에, 제4 발명의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한 수세식 변기를 구체화한 실시례 7 내지 10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례 7>
실시례 7의 수세식 변기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본체(10)와, 변기 본체(10)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변기 세정 장치(220)를 구비하고 있다. 변기 본체(10)는, 변발부(11)와, 변발부(11)의 하류측에 연통하는 변기 배수로(12)를 갖고 있다.
변기 세정 장치(220)는, 변기 본체(10)의 후방으로서, 변기 본체(10)의 윗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수세식 변기는 로 실루엣을 실현하고 있다. 이 변기 세정 장치(220)는, 제1 탱크(221), 제2 탱크(222), 제트 펌프(223), 및 급수로(22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탱크(221)는 급수원인 수도관에 연통한 탱크 급수로(225)를 통하여 세정수가 유입한다. 탱크 급수로(225)는 하류단에 마련된 탱크 급수용 밸브(225V)를 갖고 있다. 제1 탱크(221)는, 탱크 급수로(225)를 통하여 유입한 세정수를 저류할 수 있다.
제2 탱크(222)는 제1 탱크(221) 내에 배치하고 있다. 이 제2 탱크(222)는 제1 탱크(221) 내의 하부의 부근에서 하방을 향하여 개방한 유입구(222A)를 갖고 있다. 또한, 이 제2 탱크(222)는 상단부에 유출구(222B)를 갖고 있다. 제2 탱크(222)는 후술하는 분사 노즐(226)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분기 급수로(227)가 윗면에서 수밀상(水密狀)으로 삽입되어 있다. 유출구(222B)의 개구 면적은 분사 노즐(226)의 분사구(226A)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급수로(224)는 유출구(222B)와 변기 본체(10)를 연통하고 있다. 이 급수로(224)는 유출구(222B)의 개구연으로부터 연속하고 늘어나여 있다. 이 때문에, 급수로(224)의 유로 면적은 분사 노즐(226)의 분사구(226A)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급수로(224)는, 변기 본체(10)의 후단 상부에 이르기까지 경사 상방을 향한 상승 구배를 갖고 있고, 하류단의 토수구(224A)가 변기 본체(10)의 변발부(11)의 상부 주연에 따라 세정수를 토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급수로(224)의 토수구(224A)로부터 토수된 세정수는, 변발부(11)의 표면에 따라 일방향 흐르고, 변발부(11) 내에 선회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탱크(222)의 유출구(222B)가 제2 탱크(222)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로(224)는 길어지지 않고, 또한, 급수로(224)는 상승 구배가 급하게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급수로(224)를 통과하는 세정수의 압력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다.
제트 펌프(223)는, 제2 탱크(222) 내로서, 제2 탱크(222)의 유출구(222B)와 간극을 띠우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 분사 노즐(226)을 갖고 있다. 제트 펌프(223)는 제2 탱크의 유출구(222B)와 분사 노즐(226)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분사 노즐(226)은, 제2 탱크(222) 내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고, 분출한 세정수가 급수로(224)에 따라 흐르도록 세정수의 분출 방향을 유출구(222B)로 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트 펌프(223)는 제2 탱크(222)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분사 노즐(226)은 탱크 급수로(225)를 분기한 분기 급수로(227)를 통하여 세정수가 유입한다. 분기 급수로(227)는 분사 노즐용 밸브(227V)를 갖고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수세식 변기의 변기 세정 공정을 설명한다.
변기 세정 전의 대기 상태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급수로(225)로부터 유입한 세정수가 제1 탱크(221) 내로 유입하고 있다. 또한, 세정수가 제1 탱크(221)의 하부로부터 제2 탱크(222)의 유입구(222A)를 통하여 제2 탱크(222) 내로도 유입하고 있다. 즉, 수세식 변기는 제1 탱크(221) 및 제2 탱크(222)에 세정수를 만수 상태로 저수하여 변기 세정 전의 대기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대기 상태에서는 탱크 급수용 밸브(225V) 및 분사 노즐용 밸브(227V)는 폐변하고 있다.
또한, 변기 세정 전의 대기 상태에서는, 제1 탱크(221)의 상방에 개구하는 개구 면적에 비하여, 급수로(224)의 하류단의 개구 면적이 작기 때문에, 제1 탱크(221) 내의 세정수의 수압에 의해, 제2 탱크(222)로부터 하류측에 연통하는 급수로(224) 내까지 세정수가 유입하고 있다. 즉, 제2 탱크(222)는 세정수로 만수 상태이고, 제2 탱크(222)의 외측의 제1 탱크(221) 내의 세정수의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까지 급수로(224) 내의 세정수의 수위가 상승하고 있다.
다음에, 변기 세정을 시작하면,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사 노즐용 밸브(227V)가 개변한다. 그러면, 분사 노즐(226)의 분사구(226A)로부터 세정수가 분사하고, 제2 탱크(222) 내의 세정수가 인입된다. 분사 노즐(226)의 분사구(226A)로부터 분사한 세정수와, 그것에 인입된 제2 탱크(222) 내의 세정수가 합류하고, 급수로(224)를 통하여 세정수가 변기 본체(10)에 공급된다. 이 때, 분사 노즐(226)의 분사구(226A)로부터 분출하는 세정수의 유량의 약 3 내지 4배의 유량의 세정수를 변기 본체(10)에 공급할 수 있다.
이 변기 세정 장치(220)는, 제트 펌프(223)를 제2 탱크(222)의 상부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급수로(224)가 길어지지 않고, 또한, 급수로(224)의 상승 구배가 급하게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급수로(224)를 통과하는 세정수의 압력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변기 세정 장치(220)는 변기 본체(10)에 대유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제트 펌프(223)에 의해, 제2 탱크(222) 내의 세정수가 인입되고, 변기 본체(10)에 대유량의 세정수가 공급되기 시작하면 동시에, 제1 탱크(221)의 하부의 세정수가 제2 탱크(222)의 유입구(222A)를 통하여 제2 탱크(222) 내로 유입한다. 이에 의해, 제1 탱크(221) 내의 세정수의 수위는 저하된다. 이 때, 제2 탱크(222) 내의 세정수는 제1 탱크(221) 내의 세정수의 수압의 영향을 받아서, 제2 탱크(222) 내가 세정수로 만수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제트 펌프(223)는 제2 탱크(222) 내의 세정수에 수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트 펌프(223)는, 제2 탱크(222) 내의 세정수를 계속 인입할 수가 있어서, 변기 본체(10)에 대유량의 세정수를 계속 공급할 수 있다.
더욱 변기 세정을 계속하면,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탱크(221) 내의 세정수의 수위가 더욱 저하되고, 제1 탱크(221) 내의 세정수의 수위가 제2 탱크(222)의 유입구(222A)보다 저하된다. 그러면, 제1 탱크(221)로부터 제2 탱크(222)의 유입구(222A)를 통하여 제2 탱크(222) 내에 공기가 유입하고, 제2 탱크(222) 내의 세정수의 수위가 단숨에 저하된다. 이 때문에, 제트 펌프(223)가 제2 탱크(222) 내에서 노출하여 버려, 제트 펌프(223)는 세정수를 인입할 수가 없게 된다.
변기 세정 장치(220)는, 제2 탱크(222) 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수위 센서(예를 들면, 플로트 센서)를 갖고 있고, 이 수위 센서가 제2 탱크(222) 내의 수위의 저하를 검지하면, 분사 노즐용 밸브(227V)를 폐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변기 본체(10)로의 세정수의 공급을 종료한다. 즉, 분사 노즐(226)은, 제1 탱크(221)로부터 유입구(222A)를 통하여 제2 탱크(222) 내에 공기가 유입하고, 제2 탱크(222) 내의 수위가 저하될 때까지 세정수를 분사하게 된다.
분사 노즐(226)에의 세정수의 급수 압력이 변동한 경우, 분사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변동하기 때문에, 제트 펌프(223)에 인입되는 제2 탱크(222) 내의 세정수의 유량도 변동하여 버린다. 이와 같이, 분사 노즐(226)에의 세정수의 급수 압력이 변동하면, 변기 본체(10)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변동하여 버리지만, 이 수세식 변기의 변기 세정 장치(220)는, 변기 본체(10)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수량을 개략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즉, 제2 탱크(222) 내의 수위가 저하될 때까지 제트 펌프(223)에 인입되는 세정수의 수량은, 제2 탱크(222)의 외측으로서 제1 탱크(221) 내에 저류된 세정수의 수량과 개략 동등하기 때문에, 개략 일정이다. 제트 펌프(223)가 일정 수량의 세정수를 인입할 때, 분사 노즐(226)의 분사구(226A)로부터 분사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적으면, 분사시간은 길어지고, 분사 노즐(226)의 분사구(226A)로부터 분사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많으면, 분출 시간은 짧아진다. 이와 같이, 제트 펌프(223)가 일정 수량의 세정수를 인입하려면, 분사 노즐(226)의 분사구(226A)로부터 분사하는 세정수의 수량도 개략 일정한 수량을 분사하게 된다. 이 때문에, 분사 노즐(226)의 분사구(226A)로부터 분사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변동하고, 인입되는 제2 탱크(222) 내의 세정수의 유량이 변동함에 의해, 변기 본체(10)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변동하여도, 변기 세정 장치(220)가 변기 본체(10)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수량을 개략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 후,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급수용 밸브(225V)를 개변하고, 탱크 급수로(225)로부터 세정수를 제1 탱크(221) 내로 유입시키고, 제1 탱크(221) 및 제2 탱크(222)에 세정수를 저류함에 의해,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세식 변기를 변기 세정 전의 대기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변기 세정 공정의 1사이클을 종료한다.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 장치(220)를 변기 본체(10)의 후방으로서, 변기 본체(10)의 윗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하고, 실루엣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수세식 변기는, 제트 펌프(223)를 제2 탱크(222)의 상부에 배치함에 의해, 급수로(224)가 길어지지 않고, 또한, 급수로(224)의 상승 구배가 굽하게 되지 않기 때문에, 급수로(224)에서의 세정수의 압력 손실을 적게 하고, 변기 본체(10)에 대유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변기 세정 장치(220)는, 제1 탱크(221) 내의 세정수의 대부분이 제2 탱크(222) 내로 유입할 때까지, 제트 펌프(223)가 제2 탱크(222) 내의 세정수를 인입할 수가 있어서, 변기 본체(10)에 대유량의 세정수를 길게 공급할 수 있다. 즉, 이 수세식 변기는, 제1 탱크(221) 및 제2 탱크(222)에 저류한 세정수의 대부분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례 7의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 장치(220)의 설치 위치의 자유도가 있고, 변기 세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례 8>
실시례 8의 수세식 변기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세정 장치(230)의 제2 탱크(231)의 측면(231B)을 벨로우스형상으로 형성함에 의해, 제1 탱크(221)로부터 유입구(231A)를 통하여 제2 탱크(231)에 공기가 유입을 시작할 때의 제1 탱크(221) 내의 수위를 변경할 수 있는 점에서, 실시례 7과 상위하다. 다른 구성은 실시례 7과 마찬가지이고,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수세식 변기의 변기 세정 장치(230)는, 제2 탱크(231)의 측면(231B)의 벨로우스 부분을 신축시킴에 의해, 제1 탱크(221)로부터 유입구(231A)를 통하여 제2 탱크(231)에 공기가 유입을 시작할 때의 제1 탱크(221) 내의 수위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변기 본체(10)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수량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2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탱크(231)의 측면(231B)의 벨로우스 부분을 늘려서, 제2 탱크(231)의 유입구(231A)를 제1 탱크(221)의 하부에 배치한다. 이에 의해, 제1 탱크(221)로부터 유입구(231A)를 통하여 제2 탱크(231)에 공기가 유입을 시작할 때의 제1 탱크(221) 내의 수위를 낮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변기 세정을 시작한 후, 제2 탱크(231) 내의 세정수의 수위의 저하 시기를 늦출 수 있기 때문에, 제트 펌프(223)가 제2 탱크(231) 내의 세정수를 오랫동안 인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변기 세정 장치(230)가 변기 본체(10)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수량을 많게 할 수 있다. 즉, 제1 탱크(221) 및 제2 탱크(231)에 저수하는 세정수 중, 유입구(231A)보다 상측으로서, 제2 탱크(231)의 외측의 제1 탱크(221) 내에 저류된 수량(도 23(A)에 도시하는 X부분)에 개략 동등한 수량을 변기 본체(10)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2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탱크(231)의 측면(231B)의 벨로우스 부분을 수축하여, 제2 탱크(231)의 유입구(231A)를 높은 위치에 배치한다. 이에 의해, 제1 탱크(221)로부터 유입구(231A)를 통하여 제2 탱크(231)에 공기가 유입을 시작할 때의 제1 탱크(221) 내의 수위를 높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변기 세정을 시작한 후, 제2 탱크(231) 내의 세정수의 수위의 저하가 이르게 되기 때문에, 제트 펌프(223)가 제2 탱크(231) 내의 세정수를 조기에 인입할 수가 없게 된다. 이 때문에, 변기 세정 장치(230)가 변기 본체(10)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수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즉, 제1 탱크(221) 및 제2 탱크(231)에 저류한 세정수 중, 유입구(231A)보다 상측으로서, 제2 탱크(231)의 외측의 제1 탱크(221) 내에 저류된 수량(도 23(B)에 도시하는 Y부분)에 개략 동등한 수량(제2 탱크(231)의 측면(231B)의 벨로우스 부분을 신장시킨 경우보다 적은 수량)을 변기 본체(10)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례 8의 수세식 변기의 변기 세정 장치(230)는, 변기 본체(10)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수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변기 세정시에 필요하게 되는 세정수의 수량이 상위한 복수종류의 변기 본체(10)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실시례 9>
실시례 9의 수세식 변기는,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의 세로치수가 상위한 복수의 제2 탱크(241, 242)를 교환할 수 있는 변기 세정 장치(240)인 점에서, 실시례 7과 상위하다. 다른 구성은 실시례 7과 마찬가지이고,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수세식 변기의 변기 세정 장치(240)는, 측면의 세로치수가 상위한 제2 탱크(241, 242)를 교환함에 의해, 제1 탱크(221)로부터 유입구(241A, 242A)를 통하여 제2 탱크(241, 242)에 공기가 유입을 시작할 때의 제1 탱크(221) 내의 수위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변기 본체(10)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수량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2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의 세로치수가 길다란 제2 탱크(241)를 제1 탱크(221) 내에 부착함에 의해, 제2 탱크(241)의 유입구(241A)를 제1 탱크(221)의 하부에 배치한다. 이에 의해, 제1 탱크(221)로부터 유입구(241A)를 통하여 제2 탱크(241)에 공기가 유입을 시작할 때의 제1 탱크(221) 내의 수위를 낮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변기 세정을 시작한 후, 제2 탱크(241) 내의 세정수의 수위의 저하 시기를 늦출 수 있기 때문에, 제트 펌프(223)가 제2 탱크(241) 내의 세정수를 오랫동안 인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변기 세정 장치(240)가 변기 본체(10)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수량을 많게 할 수 있다. 즉, 제1 탱크(221) 및 제2 탱크(241)에 저수하는 세정수 중, 유입구(241A)보다 상측으로서, 제2 탱크(241)의 외측의 제1 탱크(221) 내에 저류된 수량(도 24(A)에 도시하는 X부분)에 개략 동등한 수량을 변기 본체(10)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2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의 세로치수가 짧은 제2 탱크(242)를 제1 탱크(221) 내에 부착함에 의해, 제2 탱크(242)의 유입구(242A)를 높은 위치에 배치한다. 이에 의해, 제1 탱크(221)로부터 유입구(242A)를 통하여 제2 탱크(242)에 공기가 유입을 시작할 때의 제1 탱크(221) 내의 수위를 높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변기 세정을 시작한 후, 제2 탱크(242) 내의 세정수의 수위의 저하가 이르게 되기 때문에, 제트 펌프(223)가 제2 탱크(242) 내의 세정수를 조기에 인입할 수가 없게 된다. 이 때문에, 변기 세정 장치(240)가 변기 본체(10)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수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즉, 제1 탱크(221) 및 제2 탱크(242)에 저류한 세정수 중, 유입구(242A)보다 상측으로서, 제2 탱크(242)의 외측의 제1 탱크(221) 내에 저류된 수량(도 24(B)에 도시하는 Y부분)에 개략 동등한 수량(측면의 세로치수가 길다란 제2 탱크(241)를 마련한 경우보다 적은 수량)을 변기 본체(10)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례 9의 수세식 변기의 변기 세정 장치(240)는, 변기 본체(10)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수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변기 세정시에 필요하게 되는 세정수의 수량이 상위한 복수종류의 변기 본체(10)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실시례 10>
실시례 10의 수세식 변기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세정 장치(250)가 제1 탱크(221)의 하부와 분사 노즐(226)을 연통하는 연통로(228)와, 이 연통로(228)에 마련되고, 제1 탱크(221) 내에 저류한 세정수를 분사 노즐(226)에 송수하는 송수 장치인 펌프(P)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실시례 7과 상위하다. 다른 구성은 실시례 7과 마찬가지이고,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수세식 변기는, 변기 세정 공정에서, 변기 세정을 시작하면, 펌프(P)를 구동하여 분사 노즐(226)의 분사구(226A)로부터 제1 탱크(221)에 저류한 세정수를 분사하고, 제2 탱크(222) 내의 세정수를 인입할 수 있다. 분사 노즐(226)에 펌프(P)를 통하여 세정수를 송수하기 때문에, 분사 노즐(226)에 안정된 고수압의 세정수를 송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트 펌프(223)가 제2 탱크(222)의 세정수를 강력하게 인입하고, 급수로(224)를 통하여 대유량의 세정수를 안정적으로 변기 본체(10)에 공급할 수 있다.
제4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례 7 내지 10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실시례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실시례 7 내지 10에서는, 제1 탱크 내에 제2 탱크를 배치하고 있지만, 제1 탱크와 제2 탱크를 가까운 곳에 배치하고, 각각의 하부를 접속한 접속로를 마련하여도 좋다.
(2) 실시례 7 내지 10에서는, 제2 탱크가 급수로보다도 유로 면적을 크게 하고 있지만, 제2 탱크의 유로 면적을 급수로의 유로 면적과 같게 하여도 좋다.
(3) 실시례 7 내지 10에서는, 제2 탱크의 상단부에 유출구를 마련하고, 급수로를 연결하고 있지만, 유출구는 유입구보다 높은 위치라면 좋다.
(4) 실시례 7 내지 10에서는, 급수로를 변발부의 상부에 연통하고, 세정수를 변발부의 표면에 토수하도록 하고 있지만, 급수로의 하류단의 토수구를 변발부의 하단 또는 변기 배수로의 상류단부에 마련하고, 변기 배수로에 따라 세정수를 토수하도록 하여도 좋다.
(5) 실시례 7 내지 10에서는, 제1 탱크 내의 세정수의 수위가 제2 탱크의 유입구보다 저하되고, 제2 탱크 내의 세정수의 수위가 저하되면 분사 노즐에의 세정수의 공급을 종료하지만, 제1 탱크 내의 세정수의 수위가 제2 탱크의 유입구보다 상방인 때에, 분사 노즐에의 세정수의 공급을 종료하여도 좋다.
10 : 변기 본체
11 : 변발부
12 : 변기 배수로
13 : 수봉부
20, 30, 60 : 변기 세정 장치
21, 31 : 제1 탱크
21D : (제1 탱크의) 하방 영역
21U : (제1 탱크의) 상방 영역
22 : 제2 탱크
22C : (제2 탱크의) 하부 개구
22D : (제2 탱크의) 하방 영역
22U : (제2 탱크의) 상방 영역
23 : 통기로
24, 34 : 급수로
25 : 개폐밸브(지연 장치)
L : 최고 저수위
300, 310, 320, 330 : 변기 세정 장치
110 : 제1 탱크
115 : 제2 탱크
114 : 급수로
118 : 통기로
119, 131 : 세정수 제어 장치
120 : 펌프
122, 124, 129 : 흡기 제어 장치
125 : 구획벽
126 : 오리피스
127 : 상부 저수실
128 : 하부 저수실
130 : 폐쇄 부재
220, 230, 240, 250 : 변기 세정 장치
221 : 제1 탱크
222, 231, 241, 242 : 제2 탱크
222A, 231A, 241A, 242A : 유입구
222B : 유출구
223 : 제트 펌프 기구
224 : 급수로
226 : 분사 노즐
228 : 연통로
P : 펌프(송수 기구)

Claims (18)

  1. 변발부(便鉢部)와, 이 변발부의 하류측에 연통하는 변기 배수로를 갖는 변기 본체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변기 세정 장치로서,
    세정수를 저수하는 제1 탱크와,
    하부 개구가 상기 제1 탱크에 연통하고, 하방 영역보다도 상방 영역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을 많게 한 제2 탱크와,
    상기 제1 탱크의 최고 저수위보다도 높은 위치를 경유하여 상기 제2 탱크와 상기 변기 배수로를 연통하는 통기로와,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변발부를 연통하는 급수로와,
    상기 제1 탱크에 저수한 세정수를 상기 급수로를 통하여 상기 변발부에 공급을 시작할 때보다도 늦은 시기에 상기 변기 배수로측부터 상기 제2 탱크측으로 흐르는 상기 통기로 내의 기체의 유량을 최대로 하는 지연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는 하방 영역보다도 상방 영역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을 적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 장치.
  3. 변발부와, 이 변발부의 하류측에 연통하는 변기 배수로를 갖는 변기 본체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변기 세정 장치로서,
    세정수를 저수하고, 하방 영역보다도 상방 영역에서 단위 높이당의 저수량을 적게 한 제1 탱크와,
    하부 개구가 상기 제1 탱크에 연통한 제2 탱크와,
    상기 제1 탱크의 최고 저수위보다도 높은 위치를 경유하여 상기 제2 탱크와 상기 변기 배수로를 연통하는 통기로와,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변발부를 연통하는 급수로와,
    상기 제1 탱크에 저수한 세정수를 상기 급수로를 통하여 상기 변발부에 공급을 시작할 때보다도 늦은 시기에 상기 변기 배수로측부터 상기 제2 탱크측으로 흐르는 상기 통기로 내의 기체의 유량을 최대로 하는 지연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탱크는 상기 하부 개구가 상기 제1 탱크의 최저 저수위보다도 낮은 높이로 상기 제1 탱크에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장치는, 상기 통기로에 마련되고, 이 통기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탱크는 상기 제1 탱크 내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 장치.
  7. 변발부와, 이 변발부의 하류측에 연통하는 변기 배수로를 갖는 변기 본체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변기 세정 장치로서,
    세정수가 유입하고, 유입한 세정수를 저수하는 제1 탱크와,
    이 제1 탱크의 하부에 연통하는 제2 탱크와,
    이 제2 탱크와 상기 변기 배수로를 연통한 통기로와,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변발부를 연통한 급수로와,
    상기 제1 탱크로부터 상기 변발부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세정수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제어 장치는 상기 급수로에 마련한 펌프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배수로로부터 상기 제2 탱크가 기체를 흡인하는 흡기 동작을 제어하는 흡기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제어 장치는 오리피스를 갖는 구획벽에 의해 상기 제2 탱크를 상부 저수실과 하부 저수실로 구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저수실 내에 세정수에 뜸에 의해 상기 오리피스를 폐쇄할 수 있는 폐쇄 부재를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 장치.
  12. 변발부, 및 이 변발부의 하류측에 연통하는 변기 배수로를 갖는 변기 본체와, 제1항 또는 제7항에 기재된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
  13. 변기 본체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변기 세정 장치로서,
    세정수가 유입하고, 유입한 세정수를 저류하는 제1 탱크와,
    이 제1 탱크의 하부로부터 세정수가 유입하는 유입구, 및 이 유입구보다 상방에 마련되고, 상기 변기 본체에 연통하는 유출구를 갖고 있고, 상기 변기 본체에 세정수를 공급할 때, 상기 제1 탱크로부터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 탱크 내의 세정수의 수압의 영향을 받아서, 세정수를 만수 상태로 유지하는 제3 탱크와,
    이 제3 탱크 내에 상기 유출구와 간극을 띠우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유출구를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갖는 제트 펌프와,
    상기 유출구와 상기 변기 본체를 연통하는 급수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상기 제3 탱크의 상부에 관통하여 마련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제3 탱크 내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제1 탱크로부터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3 탱크 내에 공기가 유입하고, 상기 제3 탱크 내의 수위가 저하될 때까지 세정수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로부터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3 탱크에 공기가 유입을 시작할 때의 상기 제1 탱크 내의 수위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 장치.
  17.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의 하부와 상기 노즐을 연통하는 연통로와, 이 연통로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탱크 내에 저수하는 세정수를 상기 노즐에 송수하는 송수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 장치.
  18. 변기 본체와, 제13항 또는 제14항에 기재된 변기 세정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
KR1020137020840A 2011-02-10 2012-01-26 변기 세정 장치 및 수세식 변기 KR201400153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27353 2011-02-10
JP2011027353A JP5846740B2 (ja) 2011-02-10 2011-02-10 洗浄装置
JPJP-P-2011-159250 2011-07-20
JP2011159250A JP5721575B2 (ja) 2011-07-20 2011-07-20 便器洗浄装置及び水洗式便器
JPJP-P-2012-008284 2012-01-18
JP2012008284A JP5868191B2 (ja) 2012-01-18 2012-01-18 便器洗浄装置及び水洗式便器
PCT/JP2012/051631 WO2012108269A1 (ja) 2011-02-10 2012-01-26 便器洗浄装置及び水洗式便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322A true KR20140015322A (ko) 2014-02-06

Family

ID=4663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840A KR20140015322A (ko) 2011-02-10 2012-01-26 변기 세정 장치 및 수세식 변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291297A1 (ko)
EP (1) EP2674535A1 (ko)
KR (1) KR20140015322A (ko)
CN (1) CN103354856B (ko)
CA (1) CA2826077A1 (ko)
TW (1) TW201237238A (ko)
WO (1) WO20121082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2930A (zh) * 2014-12-05 2015-03-25 苏州沃斯麦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分隔排风式马桶
ES2812612T3 (es) * 2015-03-03 2021-03-17 Geberit Int Ag Dispositivo sanitario
KR101582074B1 (ko) * 2015-08-20 2015-12-31 신근식 절수형 양변기
CN105525662A (zh) * 2015-11-19 2016-04-27 刘光磊 气水桶
CN105544684A (zh) * 2015-11-24 2016-05-04 刘光磊 超洁马桶
CN105735438A (zh) * 2016-01-21 2016-07-06 刘光磊 注浆成型的气动虹吸马桶
CN105714907A (zh) * 2016-01-21 2016-06-29 刘光磊 具有负压虹吸气桶的马桶
CN109797820A (zh) * 2018-12-11 2019-05-24 厦门派夫特卫浴科技有限公司 基于泵装置的马桶冲刷系统
US11371228B2 (en) * 2018-12-28 2022-06-28 Kohler Co. Flushing assembly, water supply assembly, lower position water suction assembly, water tank, check valve for use in a toilet, and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toilet water consumption
EP3674491B1 (en) * 2018-12-28 2021-09-01 Shanghai Kohler Electronics, Ltd. Water supply assembly of a toilet
JP7012947B2 (ja) * 2019-09-27 2022-01-31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7015008B2 (ja) * 2019-09-27 2022-02-02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7049589B2 (ja) * 2020-02-25 2022-04-07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811A (en) * 1915-06-25 1916-03-07 John A Blichmann Apparatus for operating flush-tanks.
US1593336A (en) * 1924-12-16 1926-07-20 Heisele John Flush tank
US1618362A (en) * 1926-02-26 1927-02-22 Allman David William Siphon for flush tanks
US2177121A (en) * 1937-06-15 1939-10-24 Scott William Flushing device for water closets
JPS5693935A (en) * 1979-12-25 1981-07-29 Toto Ltd Flush toilet device
JPH0557080U (ja) 1991-12-27 1993-07-30 株式会社イナックス サイホン便器の排気機構
JP3216845B2 (ja) * 1993-08-03 2001-10-09 東陶機器株式会社 水洗式便器
US5579542A (en) * 1995-02-23 1996-12-03 Eljer Manufacturing, Inc. Toilet with water saving, vacuum-assisted flush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JP2004156382A (ja) 2002-11-08 2004-06-03 Toto Ltd 便器
WO2007015403A1 (ja) * 2005-08-01 2007-02-08 Inax Corporation 便器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CA2661847C (en) * 2006-08-31 2015-04-14 Toto Ltd. Flush toilet
JP4994089B2 (ja) * 2007-04-04 2012-08-08 株式会社Lixil 便器排水路の吸気装置
JP5013316B2 (ja) * 2007-06-28 2012-08-29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US8595868B2 (en) * 2007-09-21 2013-12-03 Lixil Corporation Air suction device for toilet drain passage
WO2009136549A1 (ja) * 2008-05-08 2009-11-12 株式会社Inax 洗浄タンク装置及び水洗式便器
JP5456274B2 (ja) * 2008-05-12 2014-03-26 株式会社Lixil 洗浄タンク装置及び水洗式便器
US8615822B2 (en) * 2009-05-31 2013-12-31 Fluidmaster, Inc. Air pressure activated toilet flushing system
US8141179B2 (en) * 2010-06-01 2012-03-27 P & C Hennessy Holdings, Inc. Water saver toilet with uniform water sp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74535A1 (en) 2013-12-18
TW201237238A (en) 2012-09-16
WO2012108269A1 (ja) 2012-08-16
CN103354856A (zh) 2013-10-16
CA2826077A1 (en) 2012-08-16
CN103354856B (zh) 2015-01-14
US20130291297A1 (en)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5322A (ko) 변기 세정 장치 및 수세식 변기
US20100132105A1 (en) Flush toilet
JP4994089B2 (ja) 便器排水路の吸気装置
KR20080106174A (ko) 변기 세정 장치
JP2008138422A (ja) 洗浄水吐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水洗便器
JP5721575B2 (ja) 便器洗浄装置及び水洗式便器
JP5868191B2 (ja) 便器洗浄装置及び水洗式便器
JP4895033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4958070B2 (ja) 水洗便器
JP5428462B2 (ja) 水洗大便器
JP5242073B2 (ja) 便器排水路の吸気装置及び吸気装置の吸気方法
JP2018003263A (ja) 水洗大便器
WO2013145999A1 (ja) 便器洗浄装置
JP2007255069A (ja) 便器設備及び便器洗浄方法
JP4941892B2 (ja) 水洗大便器
JP2018003250A (ja) 水洗大便器
JP2008274615A (ja) トイレ装置
KR101721377B1 (ko) 트랩상단부 급속충전에 의해 사이펀 작용이 촉진되는 절수형 변기
CN112575860B (zh) 冲水大便器
JP2003090074A (ja) 大便器
JP7237285B2 (ja) 水洗大便器
CN215330271U (zh) 座便冲水装置
JP5117261B2 (ja) 水洗式便器
JPH08151671A (ja) タンク一体型ワンピース便器
JP2016217101A (ja) サイホンゼット式の便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