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4947A - 증발 장치 - Google Patents

증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4947A
KR20140014947A KR1020120082354A KR20120082354A KR20140014947A KR 20140014947 A KR20140014947 A KR 20140014947A KR 1020120082354 A KR1020120082354 A KR 1020120082354A KR 20120082354 A KR20120082354 A KR 20120082354A KR 20140014947 A KR20140014947 A KR 20140014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ion
wire portion
hot wire
evaporation vessel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호식
공두원
유도형
정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Priority to KR1020120082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4947A/ko
Publication of KR20140014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H01L21/67103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mainly by conduc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개시된 증발 장치는, 증발 용기, 상기 증발 용기 외주에 위치되는 제 1 열선부, 및 상기 제 1 열선부로부터 연장되며 외부의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열선부로 구성되는 히팅 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열선부 및 제 2 열선부는 서로 상이한 물질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증발 장치{Evapo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기물을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 증착용 도가니형 증발 장치는 유기물 분자선 증착기에 이용되고 있다. 상기 장치들은 광소자 및 유기 디스플레이에 최적의 성능을 구현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증발 장치는, 증발 소스를 수용하는 도가니, 즉, 증발 용기 및 증발 용기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 용기를 가열하는 열선을 포함한다. 열선은 증발 용기의 외표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그 중 일부가 증발 용기 측벽 외부로 인출되어 클램프에 체결된다.
현재, 증발 용기를 가열시키는 열선은 단일 금속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예를 들어, 탄탈륨(Ta) 또는 텅스텐(W)등과 같은 도전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탄탈륨 열선은 내구성, 내식성 및 연성 특성이 우수한 반면, 가열시 아웃 개싱(out-gassing)량이 많아, 증착막의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텅스텐 열선은 아웃 개싱량은 탄탈륨에 비해 작지만, 히팅 후 경도가 낮기 때문에 파손의 위험이 높은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장비 가동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개선된 열선 구조를 갖는 증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 장치는, 증발 용기, 및 상기 증발 용기 외주에 위치되는 제 1 열선부 및 상기 제 1 열선부로부터 연장되며 외부의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열선부로 구성되는 히팅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열선부는 제 1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물질은 상기 제 1 물질과 상이한 물질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물질은 상기 제 2 물질보다 상기 증발 용기내의 증발 소스의 상태 변경 임계 온도에서 아웃 개싱량이 적은 물질이 이용될 수 있고, 상기 제 2 물질은 상기 제 1 물질보다 상기 증발 용기내의 증발 소스의 상태 변경 임계 온도에서 경도가 우수한 물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물질은 텅스텐이고, 제 2 물질은 탄탈륨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발 소스의 증발시, 아웃 개싱이 감소되어 증발 소스의 불순물 함량을 줄일 수 있고, 고열이 발생되더라도 히팅 부재와 클램프와의 연결 부위에서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장비의 가동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 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열선부 및 제 2 열선부의 연결 부분(C)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증발 장치(100)는 증발 용기(110) 및 히팅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 용기(110)는 증발 소스(120)를 수용하는 도가니(crucible)이다. 본 실시예에서 증발 용기(110)는 제 1 증발 용기(111) 및 제 2 증발 용기(115)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증발 용기(111)는 실질적으로 증발 소스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측이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2 증발 용기(115)는 상기 제 1 증발 용기(111)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제 1 증발 용기(111)의 파손시 증발 소스(120)의 유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및 제 2 증발 용기(111,115)는 내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히팅 부재(130)는 증발 용기(110)의 외벽에 위치되어, 증발 용기(110)를 가열한다. 히팅 부재(130)는 예를 들어, 열선일 수 있으며, 제 2 증발 용기(115)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히팅 부재(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열선부(130a) 및 제 2 열선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열선부(130a)는 증발 용기(110), 예를 들어, 제 2 증발 용기(115)의 외벽에 수직으로 진동하는 웨이브(wave)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열선부(130a)는 실질적으로 증발 용기(110)를 가열하는 가열부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열선부(130a)는 고온에서, 아웃 개싱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텅스텐 물질로 형성되어, 증발되는 소스 물질의 불순물 함량을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고온이라 함은 증발 용기(110)에 수용되는 증발 소스의 상태 변경 임계 온도 대역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변경 임계 온도는 증발 소스의 용융점, 기화점 또는 승화점 온도에 해당한다.
제 2 열선부(130b)는 제 1 열선부(130a)에 연결되어 하우징 부재(140) 하부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 2 열선부(130b)는 클램프(150)를 매개로 전원 공급부(160)에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하는 전달부에 해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열선부(130b)는 탄탈륨 물질로 형성된다. 탄탈륨 물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구성, 내식성 및 연성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고온 공정 후에도 일정 경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파손의 위험이 적고, 하우징 부재(140) 외측으로 노출된다고 하여도 부식 및 산화의 위험이 적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되는 제 1 열선부(130a) 및 제 2 열선부(130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들의 측벽부 일부가 상호 부착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1 열선부(130a) 및 제 2 열선부(130b)의 측벽부를 부착시키는 것은 충분한 접촉 면적을 확보하여, 접촉 저항을 줄이기 위함이다. 제 1 열선부(130a) 및 제 2 열선부(130b)의 연결은 용접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37은 제 1 열선부(130a)의 선택된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150)는 히팅 부재(130)의 제 2 열선부(130b)와 전원 공급부(160)의 연결 부재(170)간을 연결 및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가열 수단에 해당하는 제 1 열선부(130a)는 아웃 개싱량이 적은 텅스텐 물질로 형성하고, 제 2 열선부(130b)는 제 1 열선부(130b) 보다 연성 및 경도 특성이 우수한 탄탈륨 물질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증발 소스의 증발시, 아웃 개싱이 감소되어 증발 소스의 불순물 함량을 줄일 수 있고, 고열이 발생되더라도 히팅 부재와 클램프와의 연결 부위에서의 히팅 부재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장비의 가동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열선부(130a,130b)의 연결부(C)는 하우징 부재(140)와 인접하는 부분에 위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연결부(c)는 클램프(150)와 하우징 부재(140) 사이 어디에든 위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증발 용기 130 : 히팅 부재
130a : 제 1 열선부 130b : 제 2 열선부
140 : 하우징 부재 150 : 클램프
160 : 전원 공급부

Claims (8)

  1. 증발 용기; 및
    상기 증발 용기 외주에 위치되는 제 1 열선부, 및 상기 제 1 열선부로부터 연장되며 외부의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열선부로 구성되는 히팅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열선부는 제 1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열선부는 상기 제 1 물질과 상이한 제 2 물질로 구성되는 증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질은 상기 제 2 물질보다 상기 증발 용기내의 증발 소스의 상태 변경 임계 온도 대역에서 아웃 개싱량이 적은 물질인 증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물질은 상기 제 1 물질보다 상기 증발 용기내의 증발 소스의 상기 상태 변경 임계 온도에서 경도가 우수한 물질인 증발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변경 임계 온도는 상기 증발 소스의 용융점, 기화점 또는 승화점 온도에 해당하는 증발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질은 텅스텐인 증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물질은 탄탈륨인 증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선부는 상기 제 2 열선부의 일측벽에 부착되어 상호 연결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선부 및 제 2 열선부는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증발 장치.
KR1020120082354A 2012-07-27 2012-07-27 증발 장치 KR20140014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354A KR20140014947A (ko) 2012-07-27 2012-07-27 증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354A KR20140014947A (ko) 2012-07-27 2012-07-27 증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947A true KR20140014947A (ko) 2014-02-06

Family

ID=50264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354A KR20140014947A (ko) 2012-07-27 2012-07-27 증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494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6117A (ja) * 2003-09-11 2005-03-31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基板加熱用清浄超高温ヒータ
JP2007231368A (ja) * 2006-03-01 2007-09-13 Fujifilm Corp 蒸着材料蒸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6117A (ja) * 2003-09-11 2005-03-31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基板加熱用清浄超高温ヒータ
JP2007231368A (ja) * 2006-03-01 2007-09-13 Fujifilm Corp 蒸着材料蒸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1071B2 (en) Substrate support device
KR102155735B1 (ko) 증착장치용 증착원
JP2013211138A (ja) 蒸発源、及びそれを用いた真空蒸着装置
CN102808152B (zh) 腔室装置和基片处理设备
JP2007063663A (ja) 扇形蒸着源
WO2009060739A1 (ja) 蒸着源、有機el素子の製造装置
CN101372736B (zh) 坩埚加热装置和包括该坩埚加热装置的淀积装置
KR20220050888A (ko) 전류 피드스루
KR20130073407A (ko) 외부 가열용기를 포함하는 고온 증발원
KR20140014947A (ko) 증발 장치
CN105803401B (zh) Imc蒸发舟皿组件
US9719629B2 (en) Supporting system for a heating element and heating system
KR101868463B1 (ko) 외부 가열용기를 포함하는 고온 증발원
JP5586685B2 (ja) 内部フューズシステムを具備したランプ
CN201437549U (zh) 蒸镀装置
JP2011162867A (ja) 真空蒸発装置
KR101784202B1 (ko) 콜드립을 구비하는 증발원
US8114339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utilizing carbon cord for evaporation of metals
JP6561725B2 (ja) アンテナ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
JP2012241257A (ja) 半導体装置の製造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40006434A (ko) 증발 장치
US9145620B2 (en) Single crystal pulling apparatus
RU2365842C1 (ru) Тигель для испарения алюминия в процессе молекулярно-пучковой эпитаксии
JP7381800B1 (ja) 真空蒸着装置用の蒸着源
JP3929947B2 (ja) 電子衝撃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