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4557A - 극판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극판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4557A
KR20140014557A KR1020120080852A KR20120080852A KR20140014557A KR 20140014557 A KR20140014557 A KR 20140014557A KR 1020120080852 A KR1020120080852 A KR 1020120080852A KR 20120080852 A KR20120080852 A KR 20120080852A KR 20140014557 A KR20140014557 A KR 20140014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arm
adsorption
uni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184B1 (ko
Inventor
김주현
한대수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0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184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의 극판 분리 장치는 운송부가 극판 공급부의 극판을 다른 장소로 운송하고 회귀하는 시간 동안 상기 극판 공급부에 적재된 극판을 서로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포함함으로써, 분리부의 구동 시간이 배터리 제조 시간을 지연시키지 않는다.

Description

극판 분리 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AND SUPPLYINGPLATES FROM A STACKED PLATE ASSEMBLY}
본 발명은 극판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로 적재된 극판을 서로 분리시키는 극판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 등 배터리의 수요가 증가하고 시점에서 배터리의 제조 설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배터리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복수의 극판이 적층되고 각 극판의 사이에 차폐막이 개재되는 형태의 배터리가 있다.
위 예의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극판과 차폐막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수단이 요구된다. 이때 극판은 극판이 복수로 적재되어 있는 극판 공급부 등으로부터 공급되어지는데 극판 공급시 극판이 서로 붙어 복수의 극판이 함께 적층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조된 배터리는 검사 과정에서 감지되고 폐기 처분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820855호에는 배터리팩의 제조공정을 자동화하는 장치가 개시되고 있으나 극판을 서로 분리시키는 구성은 개시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820855호
본 발명은 복수로 적재된 극판을 서로 분리시키는 극판 분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극판 분리 장치는 운송부가 극판 공급부의 극판을 다른 장소로 운송하고 회귀하는 시간 동안 상기 극판 공급부에 적재된 극판을 서로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극판 분리 장치는 운송부의 구동 과정에서 극판을 분리시킴으로써 분리부의 구동 시간이 배터리 제조 시간을 지연시키지 않는다.
또한, 극판을 뒤집는 것으로 극판을 분리시킴으로써 신뢰성 있게 극판을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극판 분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극판 분리 장치에서 진동 또는 에어 분사를 통해 극판을 분리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부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극판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극판 분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극판 분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극판 분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흡착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극판 분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극판 분리 장치는 극판 공급부(210)에 적재된 극판(300)을 서로 분리시키는 분리부(100)를 포함한다.
극판 공급부(210)는 극판(300)을 적재하고 운반하는 소위 캐리어일 수 있다. 극판 공급부(210)에는 같은 극성의 극판(300)이 서로 접촉되는 상태로 적재되어 있다. 양극판과 음극판이 교대로 적층되고 각 극판(300)의 사이에 차폐막이 개재되는 형태의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양극판이 적재된 극판 공급부(210)와 음극판이 적재된 극판 공급부(210)로부터 낱장의 극판(300)을 교대로 가져와야 한다.
그러나, 판 형태의 극판(300)은 서로 분리된 객체임에도 불구하고 정전 현상 또는 표면 재질에 따른 흡착력 등에 의해 서로 붙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성질은 위에서 언급한 배터리를 제조하는데 있어 큰 문제점으로 대두된다. 예를 들어 진공 흡착판을 이용하여 극판 공급부(210)에 적재된 극판(300) 중 최상층의 극판(300)만을 흡착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최상층 극판에 인접한 극판(300)이 최상층 극판에 붙어 함께 픽업될 수 있다. 이렇게 픽업된 복수의 극판(300)이 적층된 배터리는 불량품에 해당하므로 사용이 불가하다.
본 발명의 분리부(100)는 극판 공급부(210)에 설치되거나 극판 공급부(21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극판 공급부(210)에 적재된 극판(300)을 서로 분리시킨다. 이때, 분리부(100)는 적어도 최상층 극판과 최상층 극판에 인접한 하층 극판을 분리시킨다.
한편, 분리부(100)에 의한 극판(300)의 분리 시점 또한 중요하다. 분리부(100)에 의해 극판(300)이 분리되었다 하더라도 분리부(100)에 의한 분리가 해제된 후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극판(300)끼리 붙는 성질이 발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극판(300)의 분리 시점은 극판 공급부(210)에 적재된 각 극판(300)을 배터리 제조를 위해 다른 곳으로 이송할 때인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해 극판(300)과 차폐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스택부 또는 스택부의 전에 위치하여 각 극판(300)을 얼라인시키는 얼라인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함께 극판 공급부(210)로부터 스택부 또는 얼라인부로 극판(300)을 운송하는 운송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분리부(100)는 운송부(230)가 극판 공급부(210)의 극판(300)을 스택부, 얼라인부 등의 다른 장소로 운송하고 회귀하는 시간 동안 극판 공급부(210)에 적재된 극판(300)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운송부(230)가 극판(300)을 다른 장소로 운송하는 시간 t1과 운송부(230)가 다른 장소로부터 극판 공급부(210)로 돌아오는 시간 t2는 다를 수 있다. 시간 t1은 운송부(230)가 극판 공급부(210)의 극판(300)을 픽업한 시점부터 다른 장소에 언로딩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이고, 시간 t2는 운송부(230)가 다른 장소에 극판(300)을 언로딩한 시점부터 극판 공급부(210)의 극판(300)을 픽업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이다.
분리부(100)는 t1 + t2동안 극판 공급부(210)의 극판(300)을 서로 분리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분리부(100)의 구동 시간에 의해 운송부(230)의 구동 시간이 제한받지 않으므로 전체 배터리 제조 시간은 분리부(100)가 배제된 경우와 비교하여 동일하다.
분리부(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극판 공급부(210)에 적재된 극판(300)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일예로, 분리부(100)는 극판(300)을 흡착하는 흡착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분리부(100)는 흡착부(110)를 진동시키는 진동부, 극판(300)과 흡착부(110)가 흡착되는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극판(300)을 향해 에어(air)를 분사하는 분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극판(300)이 극판 공급부(210)에 지면에 수직하게 적재되어 있는 경우 흡착부(110)는 최상층 극판 ⓐ를 흡착한다. 최상층 극판 ⓐ만을 신뢰성 있게 흡착하고 흡착 과정에서 극판(300)의 훼손이 방지되도록 흡착부(110)에는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고, 흡착면의 반대면에서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진공 커넥터(111)가 형성될 수 있다. 흡착부(110)는 진공 커넥터(111)를 통해 에어를 흡입하는 것으로 극판(300)을 흡착시킬 수 있다.
또한, 흡착부(110)는 극판(300)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흡착이 이루어진 극판(300)의 훼손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도 6의 흡착부(110)는 판형 극판(300)을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 판 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극판 분리 장치에서 진동 또는 에어 분사를 통해 극판(300)을 분리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흡착부(110)를 통해 흡착부(110)에 흡착된 극판(300)을 진동시키거나 에어를 분사하면 극판(300)이 도 2와 같이 서로 분리된다. 극판(300)의 분리 과정에서 분리된 극판(300)이 극판 공급부(210) 외의 위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극판 공급부(210) 또는 분리부(100)는 분리된 극판(300)이 극판 공급부(210)로 수납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2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실험 결과 진동부, 분사부에 의하면 극판(300)의 크기, 표면 재질에 따라 극판(300)을 신뢰성 있게 분리하기 어려운 경우가 확인되었다. 특히, 이런 현상은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등 비교적 대형 극판(300)이 사용되는 경우에 빈번하게 발생된다.
극판(300)의 크기, 표면 재질과 상관없이 극판(300)을 신뢰성 있게 분리시키기 위해 분리부(100)는 극판 공급부(210)에 적재된 극판(300) 중 최상층 극판을 뒤집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부(100)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극판(300)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최상층 극판 ⓐ를 뒤집는 과정에서 수직 방향에 가까워짐에 따라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최상층 극판 ⓐ에 붙은 하층 기판이 분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이 과정에 진동 또는 에어 분사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극판(300)의 분리가 가능하다.
최상층 극판 ⓐ를 뒤집기 위해 분리부(100)는 극판(300)을 흡착하는 흡착부(110), 극판(300)이 흡착된 상태의 흡착부(110)를 반전시키는 반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반전부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반전부는 흡착부(110)의 측면에 형성된 회전축 및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회전축을 회전시키면 흡착부(110)가 회전을 통해 반전된다. 흡착부(110)의 반전을 통해 흡착부(110)에 흡착된 극판(300)도 뒤집어지게 되고 그 과정에서 극판(300)은 서로 분리된다.
흡착부(110)를 1회전시키는 것으로도 극판(300)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러나, 흡착부(110)를 1회전시키게 되면 운송부(230)가 픽업 대상으로 하는 최상층 극판이 흡착부(110)에 의해 가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최상층 극판을 픽업할 수 없다. 따라서, 반전부는 흡착부(110)를 반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반전부는 흡착부(110)를 반바퀴 회전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다른 예로 반전부는 아암(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부(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분리부(100)는 극판(300)을 흡착하는 흡착부(110), 흡착부(110)가 단부에 형성되고 회전 운동의 중심축(19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아암(arm)(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아암(130)은 중심축(190)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흡착부(110)에 흡착된 극판(300)를 반전시킬 수 있다.
회전 운동의 중심축(190)은 극판(300)을 반전시킬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중심축(190)은 평면상으로 극판(300)의 중심에 직교하는 가상선에 수직하도록 배치되고 있다.
또한, 분리부(100)는 흡착부(110)와 아암(13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150)는 흡착부(110)에 의한 극판(300)의 흡착시 극판(300)이 흡착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아암(130)은 도 5와 같이 구동됨으로써 흡착부(110)를 반전시키고, 이를 통해 극판(300)을 반전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극판 분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 5의 (a)와 (b)처럼 아암(130)은 회전 운동 중에 극판 공급부(210)를 향할 때 극판(300)이 흡착부(110)에 흡착되는 거리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이후 흡착부(110)가 구동하여 극판(300)을 흡착하게 된다.
아암(130)은 도 5의 (c)와 같이 극판(300)이 흡착부(110)에 흡착된 후에 단축됨으로써 회전시 극판(300)이 극판 공급부(210) 등 다른 부재에 충돌하지 않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최상층 극판에 하층 극판이 붙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분리부(100)는 아암(130)이 연장되는 시간 또는 아암(130)이 단축되는 시간 동안 아암(130)의 회전 운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아암(130)의 연장 과정 또는 단축 과정에서 극판(300)이 다른 부재에 충돌하지 않도록 한다.
이후, 아암(130)은 도 5의 (d)와 같이 회전 운동을 다시 진행하고 그 과정에서 극판(300)은 지면에 대해 90도로 세워지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 흡착부(110)에 흡착된 최상층 기판에 붙은 하층 기판은 자연스럽게 분리된다.
아암(130)의 회전 운동은 도 5의 (e)와 같이 반바퀴 회전될 때까지 지속되고, 반바퀴 회전(반전)된 후에는 운송부(230)가 극판(300)을 픽업할 때까지 정지된다. 이때 흡착부(110)는 극판(300)의 흡착을 해제함으로써 운송부(230)가 용이하게 극판(300)을 픽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극판 공급부(210)의 극판(300)은 운송부(230)에 대해 ①면이 노출된 상태였다가 반전부에 의해 ①면의 반대면인 ②면이 노출된 상태로 된다. 극판(300)의 면 방향이 중요한 경우 이를 고려하여 운송부(230)의 하류에 위치하는 적층 설비의 구성을 일부 변경할 수 있다. 물론, 극판 공급부(210)에 극판(300)을 적재할 때 반전시켜 적재함으로써 적층 설비의 구성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극판 분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극판 분리 장치는 분리부(100)를 포함하고 있다.
분리부(100)는 극판(300)을 흡착하는 흡착부(110), 흡착부(110)가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1 아암과 제2 아암을 포함한다.
흡착부(110)에서 극판이 흡착되는 흡착면의 이면에 진공 커넥터(111)가 형성되어 있어 극판은 에어 흡입 방식으로 흡착부(110)에 흡착될 수 있다.
제1 아암과 제2 아암과 각 흡착부(110)의 사이에는 탄성부(150)가 개재된다. 탄성부(150)는 스프링, 러버 등으로 구성되며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각 아암(130)은 아암(130)의 연장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다리를 통해 흡착부(110)에 연결되며 각 다리와 흡착부(110)의 사이에 탄성부(150)가 개재되고 있다. 이를 통해 흡착부(110)와 각 아암(130)을 신뢰성 있게 연결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극판(300)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아암과 제2 아암은 회전 운동의 중심축(19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제1 아암과 제2 아암은 일직선 상에 위치한다.
이때, 제1 아암이 극판 공급부(210)의 극판(300)을 흡착할 때, 제2 아암은 흡착부(110)에 의한 극판(300)의 흡착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아암(130)과 흡착부(110)을 구성하면 회전축을 1회전 시키지 않고도 운송부(230)가 극판(300)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극판 분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흡착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극판 분리 장치에서 분리부(100)는 극판을 흡착하는 흡착부(110), 흡착부(110)가 단부에 형성되고 회전 운동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아암(130)을 포함한다.
흡착부(110)는 관통 홀(112)이 마련되며 아암의 축 방향상 설정 위치에 극판 공급부에 적재된 극판과 대면하여 설치되는 지지판부(115), 지지판부(115)의 관통 홀을 통해 아암의 축 방향으로 움직이고 에어를 흡입하여 극판을 흡착시키는 진공 커넥터(111)가 마련된 커넥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부(115)는 설정 위치에 고정된 요소로 아암 또는 회전축에서 연장되는 지지대(119)에 연결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지지판부(115)에 형성되는 관통 홀(112)은 커넥터부(113)를 구성하는 진공 커넥터(111)의 개수 이상이어야 하며, 그 위치도 진공 커넥터(111)에 대응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진공 커넥터(111)는 지지판부(115)의 관통 홀(112)을 관통한 상태에서 아암의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에서 지지판부(115)를 관통한 진공 커넥터(111)는 하강하여 극판 공급부의 극판을 흡착한다. 이후 극판을 흡착한 상태에서 지지판부(115)까지 상승한다. 이 상태는 앞에서 살펴본 흡착부의 모습과 유사하다. 결과적으로 커넥터부는 흡착된 극판을 지지판부까지 이동시킨다.
앞에서는 지지판부(115)와 커넥터부(113)가 일체로 형성된 흡착부를 이용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흡착부를 지지판부(115)와 커넥터부(113)로 분리하여 운용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극판을 용이하게 흡착하기 위해서이다.
극판 공급부에 적재된 극판의 상태는 흡착부에서 극판과 접촉하는 전 부위에 대해 거리가 일정하지 않다. 즉, 극판 공급부에 적재된 극판은 흡착부까지의 수직 거리가 각 부분마다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판 형상의 흡착부로 직접 극판을 흡착할 경우 흡착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커넥터부(113)에 의해 해소될 수 있다. 각 진공 커넥터(111)에 스프링 등의 완충 장치를 설치하면 커넥터부는 모든 진공 커넥터가 신뢰성 있게 극판에 접촉한 상태에서 극판을 흡착할 수 있다.
이때의 극판은 커넥터부에 점 접촉하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이 상태로 운송부(230)와 접촉하게 되면 점 접촉 부위에 강한 압력이 작용된다. 강한 압력으로 극판이 훼손될 수 있으므로 운송부와의 접촉을 면 접촉으로 하기 위해 지지판부(115)를 이용한다. 극판을 흡착한 진공 커넥터가 지지판부까지 이동하면 극판은 지지판부에 면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진공 커넥터와 극판 간의 점 접촉을 해제하거나 약화시키기 위해 극판이 지지판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진공 커넥터의 단부는 관통 홀 내부로 수납되거나 관통 홀 입구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도 8에서는 관통 홀 입구의 높이 h1보다 높은 h2에 진공 커넥터가 위치하는 상태가 개시된다. 이 상태에서 지지판부의 하면에 접촉하는 극판은 진공 커넥터와의 점 접촉이 해제되고 지지판부에 면 접촉하게 된다.
커넥터부(113)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아암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분리부 110...흡착부
111...진공 커넥터 112...관통 홀
113...커넥터부 115...지지판부
119...지지대 130...아암
150...탄성부 190...중심축
210...극판 공급부 211...가이드
230...운송부 300...극판

Claims (9)

  1. 운송부가 극판 공급부의 극판을 다른 장소로 운송하고 회귀하는 시간 동안 상기 극판 공급부에 적재된 극판을 서로 분리시키는 분리부;
    를 포함하는 극판 분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극판 공급부에 적재된 극판 중 최상층 극판을 뒤집는 극판 분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극판을 흡착하는 흡착부, 상기 극판이 흡착된 상태의 상기 흡착부를 반전시키는 반전부를 포함하는 극판 분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극판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극판 분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극판을 흡착하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가 단부에 형성되고 회전 운동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아암(arm)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는 관통 홀이 마련되며 상기 아암의 축 방향상 설정 위치에 상기 극판과 대면하여 설치되는 지지판부,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아암의 축 방향으로 움직이고 에어를 흡입하여 상기 극판을 흡착시키는 진공 커넥터가 마련된 커넥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흡착된 극판을 상기 지지판부까지 이동시키는 극판 분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극판을 흡착하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가 단부에 형성되고 회전 운동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아암(arm)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극판를 반전시키는 극판 분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회전 운동 중에 상기 극판 공급부를 향할 때 상기 극판이 상기 흡착부에 흡착되는 거리만큼 연장되고, 상기 극판이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후에는 단축되며,
    상기 분리부는 상기 아암의 연장 시간 또는 상기 아암의 단축 시간 동안 상기 아암의 회전 운동을 정지시키는 극판 분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극판을 흡착하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가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1 아암과 제2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은 회전 운동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은 일직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아암이 상기 극판 공급부의 극판을 흡착할 때, 상기 제2 아암은 상기 흡착부에 의한 상기 극판의 흡착을 해제하는 극판 분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극판을 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를 진동시키는 진동부, 상기 극판과 상기 흡착부가 흡착되는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극판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분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극판 분리 장치.
KR1020120080852A 2012-07-24 2012-07-24 극판 분리 장치 KR101442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852A KR101442184B1 (ko) 2012-07-24 2012-07-24 극판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852A KR101442184B1 (ko) 2012-07-24 2012-07-24 극판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557A true KR20140014557A (ko) 2014-02-06
KR101442184B1 KR101442184B1 (ko) 2014-09-18

Family

ID=50264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852A KR101442184B1 (ko) 2012-07-24 2012-07-24 극판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1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689B1 (ko) * 2015-12-03 2016-12-28 (주)무진서비스 극판의 점착 방지 장치
KR200483989Y1 (ko) 2016-12-06 2017-07-18 세방전지(주) 스태킹용 카트리지에 이송되는 극판의 지지장치
KR102120799B1 (ko) * 2020-02-21 2020-06-17 주식회사 우원기술 이차전지용 전극판 로딩장치
KR20210123642A (ko) * 2020-04-03 2021-10-14 세방전지(주) 극판군 분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250B1 (ko) * 2019-10-16 2021-12-20 (주) 피토 2차전지 제조장치용 픽업 앤 플레이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2973B2 (ja) * 2001-06-28 2006-12-27 古河電池株式会社 極板積層体の極板分離供給装置
KR100905496B1 (ko) * 2007-07-02 2009-07-01 하아나반도체장비 주식회사 기판 픽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689B1 (ko) * 2015-12-03 2016-12-28 (주)무진서비스 극판의 점착 방지 장치
KR200483989Y1 (ko) 2016-12-06 2017-07-18 세방전지(주) 스태킹용 카트리지에 이송되는 극판의 지지장치
KR102120799B1 (ko) * 2020-02-21 2020-06-17 주식회사 우원기술 이차전지용 전극판 로딩장치
KR20210123642A (ko) * 2020-04-03 2021-10-14 세방전지(주) 극판군 분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184B1 (ko)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184B1 (ko) 극판 분리 장치
KR101662179B1 (ko)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장치
KR101768721B1 (ko) 워크 반송 방법 및 워크 반송 장치
JP5110632B2 (ja) 積層構造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TWI657901B (zh) 膜吸附機構
JP2006182560A (ja) 基板搬送装置
KR20170043997A (ko) 반도체 패키지 처리장치
CN104023481A (zh) 将元件传送至贴片机的装置和方法以及贴片机
JP2008260594A (ja) 部品搬送装置
JP6544195B2 (ja) 電極箔の搬送装置および積層型電池の製造装置
KR101805954B1 (ko) 유닛셀 공급장치
KR101097043B1 (ko) 전자부품 자동 공급장치
CN111037596A (zh) 取纸机器臂、取纸机器人及其运纸方法
JP2014186830A (ja) シートの載置方法及び積層型電池の製造方法
KR102501225B1 (ko) 유리판-간지 적층장치
KR102431793B1 (ko) 초박형 유리용 합착시트 정렬장치
JP2016173927A (ja)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KR101501638B1 (ko) 극판 유도 적층 장치
KR101457867B1 (ko) 간지 적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웨이퍼 패킹 시스템
KR101630615B1 (ko) 멀티 모듈러를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 수납장치
CN111169950B (zh) 磁性工件排布装置
KR101027918B1 (ko) 전자부품 자동 공급장치
JP5405267B2 (ja) 電子部品搬送装置
JP2016102024A (ja) 半導体チップの整列方法およびその装置
WO2024027806A1 (zh) 麻将机吸牌送牌结构及麻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