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882A - 마늘파종기 - Google Patents

마늘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882A
KR20140013882A KR1020120128976A KR20120128976A KR20140013882A KR 20140013882 A KR20140013882 A KR 20140013882A KR 1020120128976 A KR1020120128976 A KR 1020120128976A KR 20120128976 A KR20120128976 A KR 20120128976A KR 20140013882 A KR20140013882 A KR 20140013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frame
coupled
seeding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9417B1 (ko
Inventor
하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스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스에프
Priority to CN201380008620.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114017A/zh
Priority to PCT/KR2013/003840 priority patent/WO2014017732A1/ko
Publication of KR20140013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Sow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마늘파종기는, 트랙터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견인부가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높이조절가능하게 형성되어 고랑을 파는 배토기;와, 상기 배토기 사이에 장착되어 토양을 고르는 평탄로터리;와, 내부에 마늘종자가 저장되고, 격벽에 의해 마늘파종간격에 대응하는 분할배출구가 형성되는 호퍼;와, 상기 분할배출구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회전디스크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측면에 형성되고 마늘종자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버킷과, 상기 수용홈을 개폐하는 버킷커버를 포함하는 마늘이송수단;과, 상기 분할배출구의 하측에 힌지 연결되고 진동수단이 형성되어 구간회동하는 경사형배출로와, 상기 경사형배출로와 연결되고 상기 마늘이송수단이 통과하여 상기 수용홈에 마늘종자를 수용하는 원호형배출로를 포함하는 종자배출로;와, 상기 수용홈이 개방되어 유입되는 마늘종자의 뿌리가 토양을 향하도록 교정하는 가이드호퍼;와, 상기 가이드호퍼로부터 유입되는 마늘종자를 토양에 파종하는 파종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트랙터의 구동에 의해 지면과 구름작용이 발생하는 구름바퀴;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트랙터와 연결되는 프레임의 선단부에 완충수단을 형성함으로써, 구름바퀴가 지면에 밀착되어 구름바퀴와 체인연결에 의한 회전력의 전달이 원활하며, 마늘종자의 파종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퍼에 분할배출구를 형성하고 배출로에는 회전수단을 형성함으로써, 호퍼의 배출구 측에서 마늘종자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마늘종자가 각각의 버킷에 고르게 이송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늘파종기{GARLIC PLANTER}
본 발명은 마늘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트랙터에 연결되는 견인부에 완충수단을 형성하여 굴곡지에서도 구름바퀴가 지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호퍼에서 마늘종자가 배출되는 종자배출로에 회전수단을 형성하여 마늘종자가 고르게 배출되도록 하며, 구름바퀴에 상,하 높이조정수단을 형성하여 마늘파종의 정밀도를 높이고, 이에 따라 마늘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마늘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늘파종기는 경운기나 트랙터와 같은 자체 동력에 의해 구동하며 주행성이 있는 농기계에 장착하여 주행하면서 자동으로 마늘종자를 낱개씩 분배하여 파종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마늘파종기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39899(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마늘파종장치'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바 있다. 종래기술문헌을 참조해보면, 그 구성은 후방에 마늘(1)이 수용되는 마늘수용함(110) 및 마늘수용함(110)의 하부에 보조바퀴(120)가 구비되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선단 하부에 농기계의 동력출력부(P)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축회전되어 땅을 파쇄하는 회전익(151) 및 회전익(151)의 후방에 프레임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파쇄된 흙을 정지하는 정지판(152)이 형성된 정지부(150)와, 마늘수용함(110)내의 마늘(1)을 이송하는 배종부(200)와, 배종부 (200)에 의해 이송된 마늘(1)을 농지에 파종하는 파종부(300)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마늘파종장치는 농기계의 결합부(C)와 프레임(100)의 전방이 단순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면의 굴곡에 의해 보조바퀴(120)가 지면에 밀착되지 않고 들뜨거나, 마늘(1)의 파종깊이가 일정하지 않고 지면의 경사에 따라 편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늘수용함(110)에서 회전부(200a)로 배출되는 마늘(1)이 마늘수용함(110)의 하부에 좁게 형성되는 배출로에 막히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마늘수용함(110)에서 배출되는 마늘(1)이 일측 마늘파지부재(11)로 집중적으로 유입되거나 각각의 마늘파지부재(11) 측에 불균일하게 유입되어 마늘(1)이 불균일하게 파종되고,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마늘(1)의 정체현상을 수시로 체크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마늘(1)이 파종되는 토양의 경사 또는 굴곡이 심한 경우에는 마늘(1)의 파종깊이가 일정하지 않거나, 일정구간에 걸쳐서 파종깊이가 얇게 형성되어 마늘(1)의 생육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늘이송휠(210)을 따라서 회전하는 마늘파지부재(11)가 버킷통과요부(160a)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정체된 마늘(1)의 압력에 의해 고장이 자주 발생하게 되거나, 절결편(162)의 사이로 마늘(1)이 빠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농기계의 동력출력부(P)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각각의 구성요소가 회전하게 되므로 농기계의 이동속도에 따라 마늘파종간격이 다소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트랙터와 연결되는 견인부를 회동가능하게 형성하고, 부드러운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완충수단을 형성함으로써 굴곡지에서도 구름바퀴가 항상 지면에 밀착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호퍼에서 분할배출구를 통해 종자배출로로 배출되는 마늘이 좁게 형성되는 배출구에 막히지 않고 마늘이송수단 측으로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프레임에 장착되는 구름바퀴를 상,하 높이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굴곡지형에서도 마늘의 파종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종자배출로를 통해 마늘이송수단으로 유입되는 마늘이 종자배출로와 마늘이송수단 사이의 틈새에 끼거나 유실되지 않고, 마늘이송수단으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한다.
아울러,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는 마늘파종기의 진행속도가 일정하지 않고 가변하더라도 마늘파종기의 진행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마늘파종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트랙터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견인부가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높이조절가능하게 형성되어 고랑을 파는 배토기;와, 상기 배토기 사이에 장착되어 토양을 고르는 평탄로터리;와, 내부에 마늘종자가 저장되고, 격벽에 의해 마늘파종간격에 대응하는 분할배출구가 형성되는 호퍼;와, 상기 분할배출구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회전디스크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측면에 형성되고 마늘종자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버킷과, 상기 수용홈을 개폐하는 버킷커버를 포함하는 마늘이송수단;과, 상기 분할배출구의 하측에 힌지 연결되고 진동수단이 형성되어 구간회동하는 경사형배출로와, 상기 경사형배출로와 연결되고 상기 마늘이송수단이 통과하여 상기 수용홈에 마늘종자를 수용하는 원호형배출로를 포함하는 종자배출로;와, 상기 수용홈이 개방되어 유입되는 마늘종자의 뿌리가 토양을 향하도록 교정하는 가이드호퍼;와, 상기 가이드호퍼로부터 유입되는 마늘종자를 토양에 파종하는 파종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트랙터의 구동에 의해 지면과 구름작용이 발생하는 구름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분할배출구의 밑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회전캠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캠판의 회전에 의해 마늘종자가 상기 분할배출구에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구름바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된다.
또한, 상기 구름바퀴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프레임의 일단은 서로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프레임의 일단에 구비되는 종동축과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되고, 상기 종동축은 상기 마늘이송수단과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되며, 상기 마늘이송수단은 상기 진동수단 및 상기 파종수단과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견인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방 상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회동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의 일측을 기준으로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압축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버킷은 상기 회전디스크의 일측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버킷커버는 상기 수용홈을 개폐하는 버킷덮개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타측면과 인장스프링으로 결합되어 상기 버킷덮개와 연결되는 회전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버킷덮개는 상기 회전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기 수용홈을 개폐한다.
또한, 상기 파종호퍼의 후방에 설치되어 땅을 복토하는 진압롤러;가 더 형성되고, 상기 진압롤러는 상기 프레임의 좌,우측면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연장플레이트와, 상기 연장플레이트의 중간부에 양단이 축결합되는 구름롤러와, 상기 연장플레이트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토기는 상기 프레임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양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배토한 토양을 양측으로 분산시키는 분산날개가 형성되는 배토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평탄로터리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로터리축과, 상기 로터리축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휠과, 상기 회전휠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중간이 절곡된 파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트랙터와 연결되는 프레임의 선단부에 완충수단을 형성함으로써, 구름바퀴가 지면에 밀착되어 구름바퀴와 체인연결에 의한 회전력의 전달이 원활하며, 마늘종자의 파종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퍼에 분할배출구를 형성하고 배출로에는 회전수단을 형성함으로써, 호퍼의 배출구 측에서 마늘종자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마늘종자가 각각의 버킷에 고르게 이송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름바퀴가 상,하로 높이조절이 되어 파종되는 토양의 경사나 굴곡에 따라 파종깊이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마늘이송수단, 회전수단 및 파종수단이 구름바퀴와 체인연결되어 회전됨으로써, 트랙터의 이동속도에 관계없이 마늘파종기의 진행에 따라 마늘파종간격이 정확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전체적인 동력전달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일부 조립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일부 조립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에서 동일 명칭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전체적인 동력전달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일부 조립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일부 조립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마늘파종기(1)는 크게 프레임(100)과, 배토기(170)와, 평탄로터리(200)와, 정지판과, 호퍼(300)와, 마늘이송수단(400)과, 종자배출로(370)와, 가이드호퍼(470)와, 파종수단(500)과, 진압롤러(600)와, 구름바퀴(700)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프레임(100)은 좌,우측면패널(110)과 이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결합프레임(120)으로 구성되어 마늘파종기(1)의 각 구성들이 그 내,외부에 설치되고, 프레임(100)의 전방에 형성되어 트랙터(미도시)의 제1,2결합부(J1,J2)에 조립되는 견인부(130)와, 견인부(130)의 하측에 형성되어 트랙터(미도시)의 동력연결축(미도시)과 연결되는 스플라인축(S1)과, 구름바퀴(700)에 연결되어 마늘이송수단(400)과 파종수단(500) 및 진동수단(374)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종동축(S2)이 형성된다.
스플라인축(S1)은 프레임(100)의 전방에 형성되어 트랙터(미도시)의 동력연결축(미도시)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마늘파종기(1)는 트랙터(미도시)의 동력에 의해 평탄로터리(200)를 가동시킨다. 이를 위해, 스플라인축(S1)은 트랙터(미도시)의 후방에 형성된 동력연결축(미도시)과 유니버셜 조인트(U)로 연결된다.
그리고, 스플라인축(S1)의 후방에는 스플라인축(S1)의 회전방향을 바꿔주기 위해 기어박스(140)가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기어박스(140) 내부에는 베벨기어(미도시)가 형성되어 기어박스(140)의 측면으로 평탄로터리(200)의 로터리축(210)과 평행한 제2종동축(S3)이 형성된다. 제2종동축(S3)은 평탄로터리(200)와 체인(C)연결되어 평탄로터리(20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구름바퀴(700)는 상,하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프레임(100)의 양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름바퀴(700)가 회동되어 상,하 높이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즉, 토양의 높낮이가 불규칙한 굴곡지에서 구름바퀴(700)의 높이를 조정하여 파종수단(500)의 파종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토양의 상태나 마늘종자의 크기 또는 특성에 따라서 파종깊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 결합구성으로는, 일단부가 프레임(100)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구름바퀴(700)의 구동축(73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프레임(710)과, 회동프레임(710)의 일단부에서 연장형성되어 프레임(100)의 상측으로 서로 연결되는 연장프레임(711)과, 프레임(100)과 연장프레임(711)에 양단이 결합되는 유압실린더(720)로 이루어진다.
유압실린더(720)는 트랙터(미도시)의 동력축에 연결되는 동력인출기(Power Take-Off)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유압펌프(미도시)에 유압호스(미도시)로 연결되어 구동된다. 즉, 유압펌프(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유압실린더(720)가 연장프레임(711)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회동프레임(71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구름바퀴(700)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회동프레임(710)의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일단부에는 구름바퀴(700)와 체인(C)연결되는 제1종동축(S2)이 형성된다.
제1종동축(S2)은 구름바퀴(700)에 체인(C)으로 연결되어 마늘이송수단(400)과 파종수단(500) 및 진동수단(374)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물론, 체인(C) 대신에 타이밍벨트(미도시)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마늘파종기(1)는 견인부(130)가 트랙터(미도시)의 제1,2결합부(J1,J2)에 연결되어 트랙터(미도시)에 의해 견인되고, 이에 따라 프레임(100)의 양측면에 결합된 구름바퀴(700)는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하는 구름바퀴(700)의 회전력을 마늘이송수단(400)과 파종수단(500) 및 진동수단(374)에 전달하게 되면 구름바퀴(700)의 진행거리에 비례하여 마늘이송수단(400)과 파종수단(500) 및 진동수단(374)이 작동하게 되므로 정확한 파종간격을 유지할 수 있고, 파종간격에 따라 적정한 수의 마늘종자(G)가 이송되는 것이다.
제1종동축(S2)은 구름바퀴(700)와 체인(C)으로 연결되어 구름바퀴(700)의 회전력을 전달받고, 다시 마늘이송수단(400)와 체인(C)으로 연결되어 구름바퀴(700)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그리고, 마늘이송수단(400)은 파종수단(500) 및 진동수단(374)에 체인(C)으로 연결되어 구름바퀴(700)가 지면에서 회전되면 마늘이송수단(400)와 파종수단(500) 및 진동수단(374)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배토기(170)는 프레임(100)의 양측면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71)과, 토양을 양측으로 배토하는 배토부(173)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71)은 배토부(173)를 지지하도록 프레임(100)에 결합되고, 프레임(100)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다수 개의 제1고정공(17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00)의 양측면에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진 체결부(150)를 형성하고, 체결부(150)의 내부에 지지프레임(171)이 삽입결합된다. 체결부(150)에는 다수 개의 제1고정공(172) 중 어느 하나와 고정핀(137)으로 결합되는 제2고정공(151)이 형성된다.
배토부(173)는 지지프레임(171)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배토부(173)의 양측에는 토양이 좌,우로 원활하게 배토되도록 경사면(174)이 형성되며, 상측에는 배토한 토양이 상측으로 넘어가지 않고 양측으로 분산되도록 분산날개(175)가 형성된다.
한편, 평탄로터리(200)는 프레임(10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로터리축(210)과, 로터리축(210)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휠(220)과, 회전휠(220)에 결합되는 파쇄플레이트(230)를 포함한다.
로터리축(210)은 제2종동축(S3)에 체인(C)연결되어 트랙터(미도시)의 동력연결축(미도시)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회전휠(220)은 로터리축(210)에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마늘파종간격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마늘종자(G)가 파종되는 부위마다 회전휠(220)이 형성되어 마늘종자(G)가 파종되는 토양의 흙덩이를 고르게 파손하도록 한다.
파쇄플레이트(230)는 둔각의 절곡부(231)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회전휠(2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파쇄플레이트(230)는 전,후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파쇄플레이트(230)가 작동시에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로터리축(210)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정지판(240)은 파쇄플레이트(230)에 의해 파쇄된 흙이 후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토양을 정지하도록 평탄로터리(200)의 후방에 형성된다.
견인부(130)는,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프레임(100)에 형성되는 고정브래킷(131)과, 고정브래킷(131)에 견인방향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는 회동브래킷(132)과, 고정브래킷(131)과, 회동브래킷(132)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수단(133)을 포함한다.
고정브래킷(131)은 프레임(100)의 전방 상단부에 고정결합되고, 회동브래킷(13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홀(131a)과, 제1회전홀(131a)을 중심으로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회전레일홀(131b)과, 회동브래킷(132)을 고정하는 제1고정홀(131c)과, 완충수단(133)이 삽입되는 제4회전홀(136)이 형성되는 격벽(131d)과, 트랙터(T)의 제2결합부(J2)와 결합되는 제2견인홀(131e)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동브래킷(132)은 트랙터(미도시)의 제1결합부(J1)와 결합하기 위한 제1견인홀(132a)과, 고정브래킷(131)의 제1회전홀(131a)에 대응하는 제2회전홀(132b)과, 회전레일홀(131b)에 대응하는 제3회전홀(132c)과, 제1고정홀(131c)에 대응하는 제2고정홀(132d)이 형성된다.
완충수단(133)은 한 쌍의 압축스프링(134a,134b)과, 중심부재(135)로 구성된다. 중심부재(135)는 압축스프링(134a,134b)의 내부에 형성되어 압축스프링(134a, 134b)의 압축궤도를 형성한다. 즉, 중심부재(135)의 일단은 견인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회동브래킷(132)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브래킷(131)의 격벽(131d)에 형성되는 제4회전홀(136)에 삽입되어 제4회전홀(136)을 중심으로 양측에 압축스프링(134a,134b)이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브래킷(131), 회동브래킷(132) 및 완충수단(133)의 결합구성을 살펴보면, 회동브래킷(132)의 제2회전홀(132b)은 고정브래킷(131)의 제1회전홀(131a)에 고정핀(137)으로 결합되고, 회동브래킷(132)의 제3회전홀(132c)은 고정브래킷(131)의 회전레일홀(131b)에 고정핀(137)으로 결합되어 트랙터(미도시)의 제1,2결합부(J1,J2)에 결합되는 회동브래킷(132) 및 고정브래킷(131)은 제1 및 제2회전홀(132b)에 결합된 고정핀(137)을 중심으로 회동브래킷(132)의 제3회전홀(132c)에 고정된 고정핀(137)이 회전레일홀(131b)의 내부에서 회동하게 됨에 따라 서로 상대적인 회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제4회전홀(136)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압축스프링(134a, 134b)은 회동브래킷(132)의 정,역방향 회전에 의해 각각 압축되고, 따라서 회동브래킷(132)의 제3회전홀(132c)과 고정브래킷(131)의 회전레일홀(131b)에 결합된 고정핀(137)은 회전레일홀(131b) 내에서 정,역방향으로 탄력적인 회동을 하게 된다.
즉, 마늘종자(G)의 파종시에 구름바퀴(700)는 회동브래킷(132)과 고정브래킷(131)의 힌지결합구조에 의해 토양의 굴곡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게 되는데 한 쌍의 압축스프링(134a, 134b)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함으로써 유동에 의한 충격력이 흡수되고, 이에 따라 마늘종자(G)의 파종깊이가 급격하게 변화하지 않고 고른 파종깊이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마늘파종기(1)는 마늘밭에서 파종을 실행하기 전,후에 트랙터(T)로 마늘파종기(1)를 들어서 마늘밭 또는 보관창고로 견인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늘파종기(1)의 이동을 위한 견인시에는 구름바퀴(700) 및 이와 체인(C)으로 연결된 마늘이송수단(400)과 파종수단(500)이 회전동작하지 않도록 회동프레임(710)을 상향회동시켜서 구름바퀴(700)를 지면과 이격시킨 후에 견인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견인부(130)가 트랙터(미도시)의 제1,2결합부(J1,J2)와 분리되면 회전레일홀(131b)과 제3회전홀(132c)에 결합된 고정핀(137)은 제1고정홀(131c)과 제2고정홀(132d)에 결합되어 회동브래킷(132)은 고정브래킷(131)에 고정결합된다. 고정핀(137)은 볼트(B)와 너트(N)로 대체될 수 있다.
호퍼(300)는, 도 5를 참조하면, 내부에 마늘종자(G)가 저장되는 공간부(310)와, 제1 및 제2격벽(320,330)에 의해 분할되는 분할배출구(340)로 구성된다.
공간부(310)는 파종되기 위해 호퍼(300)의 상부로부터 투입되는 마늘종자(G)가 종자배출로(370)에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측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분할배출구(340)는 마늘종자(G)를 종자배출로(370)에 개별적으로 투입시키기 위해 형성되며,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격벽(320,330)에 의해 분할되어 호퍼(300)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분할배출구(340)는 마늘파종간격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마늘파종간격에 따라 마늘종자(G)를 배출한다. 그리고, 분할배출구(340)의 하부에 설치되어 분할배출구(340)에서 배출되는 마늘종자(G)를 이송하여 파종하는 버킷(430)과 가이드호퍼(470) 및 배종호퍼(300)도 분할배출구(340)와 동일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자배출로(370)는 분할배출구(340)의 밑면에 힌지 연결되는 경사형배출로(371)와, 마늘이송수단(400)이 통과하여 마늘종자(G)를 수용하는 원호형배출로(3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경사형배출로(371)는, 도 6을 참조하면, 분할배출구(340)의 밑면에 형성되어 마늘종자(G)가 마늘이송수단(400) 측으로 유입되기 위한 경사로를 형성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경사형배출로(371)의 좌,우측에는 마늘종자(G)가 경사형배출로(371)의 좌,우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제1 및 제2격벽(320,330)이 연장형성된다.
경사형배출로(371)의 하부에는 분할배출구(340)의 밑면에 힌지 연결되는 경사형배출로(371)의 저면과 접촉하며 회전하는 진동수단(374)으로 측면패널(110)에 캠축(376)으로 결합되는 회전캠판(375)이 설치된다. 마늘이송수단(400)과 체인(C)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캠판(375)에 의해 경사형배출로(371)의 저면이 분할배출구(340)의 하측의 힌지점(372)을 중심으로 하여 반복적으로 회동함에 따라 분할배출구(340)와 경사형배출로(371) 사이에 마늘종자(G)가 과도하게 축적되어 발생하는 분할배출구(340)의 막히는 현상이 방지되고, 마늘종자(G)가 원호형배출로(373) 측으로 고르게 공급된다.
원호형배출로(373)는 제1격벽(320)에 형성되어 경사형배출로(371)의 하단에 마늘종자(G)의 배출로가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마늘이송수단(400)의 측면에 형성된 버킷(430)과 버킷커버(440)가 내부에 형성된 배출로를 통과하여 마늘종자(G)를 수용·이송하도록 원주방향의 양단부와 마늘이송수단(400) 방향이 개방된 형태로 버킷(430)과 버킷커버(440)의 회전구간을 따라 형성된다.
마늘이송수단(400)은,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디스크축(410)이 제1종동축(S2)에 체인(C)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디스크(420)와, 회전디스크(420)의 측면에 형성되어 마늘종자(G)를 수용·이송하는 버킷(430)과, 버킷(430)을 개폐하는 버킷커버(440)를 포함한다.
회전디스크(420)는 디스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경사형배출로(371)의 일측 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원호형배출로(373)로 유입되는 마늘종자(G)의 유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버킷(430)은 원호형배출로(373)에 유입되는 마늘종자(G)를 수용하는 수용홈(431)이 회전방향 측에 형성되어 회전디스크(420)의 경사형배출로(371) 방향의 측면(이하에서는 '수용면(421)'이라고 함)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버킷커버(440)는 회전디스크(420)의 회전에 따라 버킷(430)의 수용홈(431)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이루어지며, 회전하여 수용홈(431)을 개폐하는 버킷덮개(441)와, 버킷덮개(441)와 연결봉(442)으로 연결되는 회전레버(443)와, 연결봉(442)을 회전디스크(42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블록(444)과, 연결봉(442)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프링연결편(446)과, 버킷덮개(441)의 일단부와 회전디스크(420)를 연결하는 제1인장스프링(447)으로 구성된다.
고정블록(444)은 버킷커버(440)를 회전디스크(420)에 고정하기 위해 회전디스크(420)의 수용면(421)의 반대면(이하에서는 '수용배면(422)'이라고 함)에 결합된다. 고정블록(444)의 내부에는 회전디스크(420)의 반지름 방향으로 형성되어 연결봉(442)을 수용하는 수용홀(445)이 형성된다.
연결봉(442)은 고정블록(444)의 수용홀(44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버킷덮개(441)는 회전디스크(420)의 가장자리 측으로 돌출된 연결봉(442)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수용면(421) 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수용면(421) 측으로 돌출된 버킷덮개(441)의 수용홈(431)을 개폐하는 회동동작이 회전디스크(420)의 간섭없이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발생하도록 회전디스크(420)의 가장자리에는 오목홈(423)이 형성된다.
제1인장스프링(447)은 회전디스크(420)의 일측과 연결봉(442)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프링연결편(446)을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회전레버(443)가 회전되지 않는 경우에 제1인장스프링(447)의 압축력에 의해 버킷덮개(441)가 수용홈(431)을 패쇄하도록 소정의 압축력이 잔류하는 형태로 인장되어 양측에 결합된다.
회전레버(443)는 연결봉(442)의 타단에 형성되고, 회전디스크(420)의 회전방향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돌출형성되어 회전디스크(420)의 회전에 의해 일정구간에서 간섭을 받아 회전됨으로써 버킷덮개(441)가 수용홈(431)을 개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수용배면(422) 측까지 연장형성된 제1격벽(320)에는 회전레버(443)를 간섭하여 회전시키는 가이드(321)가 회전레버(443)의 회전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돌출형성된다.
가이드(321)는 버킷(430)과 버킷커버(440)의 회전에 따라 회전레버(443)가 후술할 가이드호퍼(470)의 상부에서 개방되어 마늘종자(G)를 가이드호퍼(470)의 개구부에 정확히 낙하시키고, 개방된 버킷(430)은 마늘종자(G)가 유입되는 원호형배출로(373)에 진입하여 수용홈(431)에 다시 마늘종자(G)를 수용하고 버킷덮개(441)가 회전하여 마늘종자(G)를 파지하도록 대략 가이드호퍼(470)의 상측으로부터 경사형배출로(371)의 하단에 인접한 부분에 걸쳐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마늘이송수단(400)의 하측에는 회전디스크(420)의 회전에 따라 버킷(430)으로부터 이탈하여 낙하되는 마늘종자(G)를 모으기 위한 잔량모음통(미도시)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호퍼(470)는, 도 8a를 참조하면, 마늘이송수단(400)의 하측에 형성되어 버킷(430)으로부터 낙하되는 마늘종자(G)를 수용하고 마늘종자(G)의 뿌리가 지면을 향하도록 정렬시킨다. 그 구성으로는, 양측으로 회동하는 전,후방회동커버(471,474)와, 전방회동커버(47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편(472)과, 후방회동커버(474)와 프레임(100)에 양단이 결합되는 제2인장스프링(475)으로 이루어진다.
전,후방회동커버(471,474)는 상측이 각각 프레임(100)에 결합된 결합플레이트(476)에 힌지부(477)로 결합되고, 힌지부(477) 사이에는 전,후방회동커버(471,474)가 동시에 회동되도록 연동돌기(478)가 형성된다.
걸림편(472)은 회전하는 파종호퍼(540)의 상단부가 전방회동커버(471)의 하단부를 용이하게 밀 수 있도록 전방회동커버(471)의 하단에 형성된다. 파종호퍼(540)가 전방회동커버(471)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편(472)을 밀면 전방회동커버(471)가 상측에 형성된 힌지부(477)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연동돌기(478)가 동시에 회전하여 후방회동커버(474)는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가 벌어지도록 동시에 회전하는 전,후방회동커버(471,474)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마늘종자(G)는 파종호퍼(540)의 내부로 낙하하게 된다.
한편, 전방회동커버(471)의 하측에는 걸림편(472)의 내측으로 마늘종자(G)의 뾰족한 상부가 걸리는 걸림홈부(473)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마늘종자(G)의 뿌리가 상측을 향하여 가이드호퍼(470)에 수용되는 경우에는 마늘종자(G)의 뾰족한 상부가 걸림홈부(473)에 걸리게 되므로 전,후방회동커버(471,474)가 회동하게 되면 전방회동커버(471)의 회전하는 관성에 의해 마늘종자(G)가 낙하하면서 회전되어 파종호퍼(540)의 내부에 뿌리가 하측을 향하도록 수용되는 것이다.
제2인장스프링(475)은 파종호퍼(540)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후방회동커버(471,474)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후방회동커버(474)와 프레임(100)에 양측이 결합된다.
파종수단(500)은, 도 8a, 8b 및 9를 참조하면, 가이드호퍼(470)의 하측에 형성되어 가이드호퍼(470)에서 낙하·유입되는 마늘종자(G)를 토양에 파종하며, 프레임(100)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기어축(550)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기어케이스(510)와, 한 쌍의 기어케이스(510)에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호퍼축(520)과, 호퍼축(520)에 결합되는 파종호퍼(540)로 구성된다.
기어케이스(510)는 마늘이송수단(400)과 체인(C)연결되어 회전하고, 프레임(100) 내부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썬기어(Sun Gear, 511)와, 기어케이스(5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등각으로 형성되는 아우터기어(Outer Gear, 512)와, 썬기어(511)와 아우터기어(512) 사이에서 치차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아이들기어(Idle Gear, 513)로 구성된다.
썬기어(511)는 기어케이스(510)에 고정설치되어 기어케이스(510)의 회전에 따라 기어케이스(5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아이들기어(513)와 아우터기어(51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데, 썬기어(511)와 아우터기어(512)는 동일한 치차수로 형성되어 기어케이스(510)가 회전하더라도 아우터기어(512)는 상,하 방향을 유지하게 된다.
호퍼축(520)은 한 쌍의 기어케이스(510)에 서로 대응되어 형성되는 아우터기어(512)에 양단이 고정결합되어 아우터기어(512)와 같이 상,하 방향을 유지하면서 회전된다.
파종호퍼(540)는 호퍼축(520)에 고정결합되고, 가이드호퍼(470)에서 낙하되는 마늘종자(G)를 전,후방파종커버(541,544)의 하측이 벌어지면서 토양에 파종한다.
후방파종커버(544)에는 돌출형성되어 상측이 프레임(100)과 제3인장스프링(547)으로 결합되는 회동편(545)이 형성되고, 전방파종커버(541)에는 회동편(545)과 연결되는 레일편(542)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편(545)에는 돌기부(546)가 형성되어 레일편(542)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레일부(543)에 끼워지며, 이에 따라 후방파종커버(544)가 회동되면 전방파종커버(541)도 동시에 회동된다.
후방파종커버(544)는 상부가 호퍼축(520)에 고정설치되고, 중간부는 호퍼축(5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호퍼회동축(530)에 결합된다. 그리고, 호퍼축(520) 양단의 기어케이스(510)에는 일정구간에 걸쳐 돌출부(515)가 형성되는 원통레일(514)이 형성되고, 호퍼회동축(530)의 양단부에는 원통레일(514)을 따라 회전하는 롤러(53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기어케이스(510)가 회전하여 파종호퍼(540)의 하측이 토양에 홈을 형성하며 박히게 되면, 이와 동시에 원통레일(514)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롤러(531)가 돌출부(515)에 진입하게 되고, 롤러(531)와 함께 호퍼회동축(530)이 회전하여 전,후방파종커버(541,544)가 벌어지게 되며, 따라서 토양에 형성된 홈에 마늘종자(G)가 점파식으로 파종된다.
진압롤러(600)는, 도 10을 참조하면, 파종호퍼(540)의 후방에 설치되어 마늘종자(G)가 파종되어 파종홈이 형성된 토양을 복토하면서 파종홈에 흙을 덮으며, 프레임(100)의 좌,우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플레이트(610)와, 연장플레이트(610)의 중간에 양단이 축결합되는 구름롤러(620)와, 연장플레이트(610)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중간이 상향 돌출되는 연결프레임(630)과, 연결프레임(630)과 힌지 연결되여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완충스프링(640)을 포함한다.
완충스프링(640)은 복토시에 토양에 굴곡진 지형을 통과하더라도 완충스프링(640)이 충격을 흡수하여 구름롤러(620)의 상,하 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연결프레임(630)과 프레임(100) 사이에 형성된다.
진압롤러(600)는 마늘파종기(1) 후방에 체인(C)을 연결하여 복토하는 복토체인(soil drag chain)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도면 및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져야 하고, 그 범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 : 마늘파종기 100: 프레임
200 : 평탄로터리 300 : 호퍼
400 : 마늘이송수단 500 : 파종수단
600 : 진압롤러 700 : 구름바퀴
110 : 측면패널 210 : 로터리축
120 : 결합프레임 220 : 회전휠
130 : 견인부 230 : 파쇄플레이트
131 : 고정브래킷 231 : 절곡부
131a : 제1회전홀 240 : 정지판
131b : 회전레일홀 310 : 공간부
131c : 제1고정홀 320 : 제1격벽
131d : 격벽 321 : 가이드
131e : 제2견인홀 330 : 제2격벽
132 : 회동브래킷 340 : 분할배출구
132a : 제1견인홀 370 : 종자배출로
132b : 제2회전홀 371 : 경사형배출로
132c : 제3회전홀 372 : 힌지점
132d : 제2고정홀 373 : 원호형배출로
133 : 완충수단 374 : 진동수단
134 : 압축스프링 375 : 회전캠판
135 : 중심부재 376 : 캠축
136 : 제4회전홀 410 : 디스크축
137 : 고정핀 420 : 회전디스크
140 : 기어박스 421 : 수용면
150 : 체결부 422 : 수용배면
151 : 제2고정공 423 : 오목홈
171 : 지지프레임 430 : 버킷
172 : 제1고정공 431 : 수용홈
173 : 배토부 440 : 버킷커버
174 : 경사면 441 : 버킷덮개
175 : 분산날개 442 : 연결봉
510 : 기어케이스 443 : 회전커버
511 : 썬기어 444 : 고정블록
512 : 아우터기어 445 : 수용홀
513 : 아이들기어 446 : 스프링연결편
514 : 원통레일 447 : 제1인장스프링
515 : 돌출부 470 : 가이드호퍼
520 : 호퍼축 471 : 전방회동커버
530 : 호퍼회동축 472 : 걸림편
531 : 롤러 473 : 걸림홈부
540 : 파종호퍼 474 : 후방회동커버
541 : 전방파종커버 475 : 제2인장스프링
542 : 레일편 476 : 결합플레이트
543 : 레일부 477 : 힌지부
544 : 후방파종커버 478 : 연동돌기
545 : 회동편 710 : 회동프레임
546 : 돌기부 711 : 연장프레임
547 : 제3인장스프링 720 : 유압실린더
610 : 연장플레이트 U : 유니버셜조인트
620 : 구름롤러 C : 체인
630 : 연결프레임 J1,J2 : 제1,2결합부
640 : 완충스프링
S1 : 스플라인축
S2 : 제1종동축
S3 : 제2종동축

Claims (9)

  1. 트랙터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견인부가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높이조절가능하게 형성되어 고랑을 파는 배토기;
    상기 배토기 사이에 장착되어 토양을 고르는 평탄로터리;
    내부에 마늘종자가 저장되고, 격벽에 의해 마늘파종간격에 대응하는 분할배출구가 형성되는 호퍼;
    상기 분할배출구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회전디스크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측면에 형성되고 마늘종자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버킷과, 상기 수용홈을 개폐하는 버킷커버를 포함하는 마늘이송수단;
    상기 분할배출구의 하측에 힌지 연결되고 진동수단이 형성되어 구간회동하는 경사형배출로와, 상기 경사형배출로와 연결되고 상기 마늘이송수단이 통과하여 상기 수용홈에 마늘종자를 수용하는 원호형배출로를 포함하는 종자배출로;
    상기 수용홈이 개방되어 유입되는 마늘종자의 뿌리가 토양을 향하도록 교정하는 가이드호퍼;
    상기 가이드호퍼로부터 유입되는 마늘종자를 토양에 파종하는 파종수단;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트랙터의 구동에 의해 지면과 구름작용이 발생하는 구름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분할배출구의 밑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회전캠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캠판의 회전에 의해 마늘종자가 상기 분할배출구에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구름바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바퀴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프레임의 일단은 서로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에 결합되며,
    상기 구름바퀴의 구동축은 상기 회동프레임에 구비되는 종동축과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되고, 상기 종동축은 상기 마늘이송수단과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되며, 상기 마늘이송수단은 상기 진동수단 및 상기 파종수단과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방 상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회동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의 일측을 기준으로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은 상기 회전디스크의 일측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버킷커버는 상기 수용홈을 개폐하는 버킷덮개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타측면과 인장스프링으로 결합되어 상기 버킷덮개와 연결되는 회전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버킷덮개는 상기 회전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기 수용홈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호퍼의 후방에 설치되어 땅을 복토하는 진압롤러;가 더 형성되고,
    상기 진압롤러는
    상기 프레임의 좌,우측면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연장플레이트와, 상기 연장플레이트의 중간부에 양단이 축결합되는 구름롤러와, 상기 연장플레이트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기는
    상기 프레임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양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배토한 토양을 양측으로 분산시키는 분산날개가 형성되는 배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로터리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로터리축과, 상기 로터리축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휠과, 상기 회전휠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중간이 절곡된 파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KR1020120128976A 2012-07-27 2012-11-14 마늘파종기 KR101419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80008620.3A CN104114017A (zh) 2012-07-27 2013-05-03 大蒜播种机
PCT/KR2013/003840 WO2014017732A1 (ko) 2012-07-27 2013-05-03 마늘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2540 2012-07-27
KR1020120082540 2012-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882A true KR20140013882A (ko) 2014-02-05
KR101419417B1 KR101419417B1 (ko) 2014-07-14

Family

ID=50264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976A KR101419417B1 (ko) 2012-07-27 2012-11-14 마늘파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19417B1 (ko)
CN (1) CN10411401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5424A (zh) * 2017-06-29 2017-09-15 山东省玛丽亚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大蒜播种机
KR20190121028A (ko) * 2018-04-17 2019-10-2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늘 파종기
KR20220117734A (ko) * 2021-02-17 2022-08-24 라병열 마늘종구 정립 공급장치
KR20220125078A (ko) * 2021-03-04 2022-09-14 김민찬 마늘 파종장치
KR20230052802A (ko) * 2022-03-30 2023-04-20 박민규 마늘파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09250B (zh) * 2014-12-23 2015-09-30 临沂市建领模具机械有限公司 一种大蒜播种机
CN105165198B (zh) * 2015-10-29 2019-12-06 山东理工大学 一种芋头专用排种器
CN105165197B (zh) * 2015-10-29 2018-05-25 山东理工大学 一种芋头播种机
CN105706593B (zh) * 2016-02-25 2017-08-01 山东理工大学 大蒜栽植器
CN106068830B (zh) * 2016-08-15 2019-08-13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一种大蒜栽种机
CN107347319B (zh) * 2017-08-31 2023-03-28 青岛农业大学 直立播种机
KR101963194B1 (ko) 2017-12-14 2019-03-28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조파식 마늘 파종기
CN108142047B (zh) * 2018-01-30 2024-04-26 中国农业大学 斜置伸缩式精密排种器
KR102111289B1 (ko) 2018-04-17 2020-05-1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늘 배종장치
CN108605455A (zh) * 2018-05-02 2018-10-02 杭州腾略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培土功能的播种机
AU2019301271A1 (en) * 2018-07-13 2021-01-21 Simon Robert Frank CHAPLIN Seed sowing apparatus
KR102232031B1 (ko) * 2018-11-29 2021-04-15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주행본체 착탈형 마늘 파종기 지지장치
KR102345260B1 (ko) 2020-06-01 2021-12-31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자주식 마늘 파종기
KR102285596B1 (ko) 2019-07-23 2021-08-04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자주식 마늘 파종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052B1 (ko) * 1999-08-05 2001-12-22 대한민국(관리청:특허청장, 승계청:농촌진흥청장) 마늘 파종기
KR100347588B1 (ko) * 2000-08-17 2002-08-09 권삼석 마늘의 직립 파종장치
KR101082462B1 (ko) * 2008-11-10 2011-11-11 권삼석 마늘 파종기 및 이를 이용한 파종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5424A (zh) * 2017-06-29 2017-09-15 山东省玛丽亚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大蒜播种机
KR20190121028A (ko) * 2018-04-17 2019-10-2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늘 파종기
KR20220117734A (ko) * 2021-02-17 2022-08-24 라병열 마늘종구 정립 공급장치
KR20220125078A (ko) * 2021-03-04 2022-09-14 김민찬 마늘 파종장치
KR20230052802A (ko) * 2022-03-30 2023-04-20 박민규 마늘파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14017A (zh) 2014-10-22
KR101419417B1 (ko) 201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417B1 (ko) 마늘파종기
US11558996B2 (en) Planter with seed delivery apparatus
RU2489831C2 (ru) Нарезающее/задел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несения удобрений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й машины
RU2626929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дозатор семян с регулируемым устройством поштучной подачи
CA2451722C (en) Seed metering system for use in a seeding machine
KR101288409B1 (ko) 종자를 등간격으로 파종 가능하게 하는 파종장치
CN107750546A (zh) 一种播种均匀的播种机
PL212614B1 (pl) Zespól redlicy siewnika
EP2813133B1 (en) Seed sowing machine with a furrow-opening mechanism
WO2014017732A1 (ko) 마늘파종기
CN106793753B (zh) 送出装置
KR20160007470A (ko) 마늘파종기
KR102246540B1 (ko) 잔디 씨앗 파종기
US1906351A (en) Combined planter and fertilizer distributor
CN217428669U (zh) 多功能花生起垄播种施肥一体机
CN109168424B (zh) 一种防缠绕施肥拌药一体化可调节小型免耕播种机
KR20170003409U (ko) 원판형 쟁기가 부착된 파종장치
KR20010035185A (ko) 직립형 마늘 파종기
CN113692819A (zh) 高效率监控土豆播种机
KR101542327B1 (ko) 마늘 파종장치
US11395453B1 (en) Walk-behind power seeder
CN209472993U (zh) 一种防缠绕施肥拌药一体化可调节小型免耕播种机
KR200387546Y1 (ko) 곡물파종기
KR200297231Y1 (ko) 인삼 파종기
CN208285768U (zh) 一种棉花播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