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5078A - 마늘 파종장치 - Google Patents

마늘 파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5078A
KR20220125078A KR1020210029043A KR20210029043A KR20220125078A KR 20220125078 A KR20220125078 A KR 20220125078A KR 1020210029043 A KR1020210029043 A KR 1020210029043A KR 20210029043 A KR20210029043 A KR 20210029043A KR 20220125078 A KR20220125078 A KR 20220125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moisturizing
sowing
fram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0618B1 (ko
Inventor
김민찬
Original Assignee
김민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찬 filed Critical 김민찬
Priority to KR1020210029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618B1/ko
Publication of KR20220125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18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of seed at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퍼, 상기 호퍼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구동원의 동력으로 상기 호퍼에 저장되어 있는 마늘을 하나씩 배출하는 적어도 마늘배출수단, 상기 마늘배출수단의 전면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차체프레임에 지지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후면에 요철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홈, 상기 홈에 각각 선단이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마늘배출수단의 아래에 각각 정위치한 상태에서 끝단은 지면에 일정깊이 삽입되어 상기 트랙터의 이동 방향으로 도랑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습프레임, 상기 보습프레임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마늘배출수단에서 배출된 마늘을 도랑으로 통과시키는 통과공으로 구성하여 마늘을 파종하는 도량형성 및 파종 유닛, 상기 상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상판의 아래에 위치하는 회전샤프트;상기 회전샤프트의 외경에 설치되며 상기 보습프레임의 사이 사이 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샤프트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원판, 상기 회전원판의 외경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 동작으로 상기 보습프레임의 사이 공간으로 침투한 흙을 후방으로 분산시키는 분산블레이드로 구성한 흙 분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한 마늘 파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늘 파종장치{The sowing seed apparatus for garlic}
본 발명은 마늘 파종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랑을 형성하는 보습프레임의 사이사이에 흙분산순단을 설치하여 고랑 형성과정에서 파해쳐진 흙을 신속하게 분산시켜 보스프레임으로 전해지는 흙의 하중을 줄이도록 한 마늘 파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마늘 파종방식은 마늘파종에 적합하도록 일궈진 논, 밭에 고랑을 내어 낱개로 선별된 마늘을 고랑에 일정간격으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흙을 덮어 파종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수작업으로 마늘을 파종하는 방법은 노동력의 손실이 많아 마늘 농사의 채산성 악화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마늘 파종시 쪼그리고 앉아 작업을 해야 하는 등 작업조건이 열악하여 농가에서 마늘 농사를 기피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늘을 수작업이 아닌 기기를 이용하여 파종할 수 있는 마늘파종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마늘파종기는 경운기나 트랙터에 마늘파종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마늘파종기를 구동하는 동력으로 경운기나 트랙터의 엔진을 이용하였다.
한편, 상기 마늘파종기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00-0127606 호(명칭: 마늘파종기)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인 마늘파종기와 같이 파종 고랑을 형성하는 쟁기날의 사이 간격을 촘촘하게 하면 마늘의 파종 효율을 높일 수는 있으나, 이렇게 쟁기날의 사이 간격이 촘촘해지면 도랑을 형성하는 동안 파헤쳐진 흙의 저항이 쟁기날로 점차적으로 강하게 전해져 트랙터를 통한 쟁기날의 이동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쟁기날로 전해지는 흙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는 쟁기날의 사이 간격을 최소 20㎝이상 거리를 둬야 흙의 저항을 덜받게되나, 이 경우에는 도랑의 사이 간격이 너무넓어 마늘의 파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져온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00-0127606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랑을 형성하는 보습프레임의 사이 사이 공간에 흙분산순단을 설치하여 보습프레임의 사이 간격을 촘촘하게 배치하더라도 흙의 저항없이 고랑을 계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 마늘 파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랑을 형성하는 보스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여 파종깊이가 다른 다양한 종류의 작물을 파종할 수 있도록 한 마늘 파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랙터의 차체프레임에 설치되어, 트랙터의 이동 방향에 따라 도랑을 형성하여 마늘을 자동 파종하는 마늘 파종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에 지지되며 내부에는 일정량의 마늘이 저장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구동원의 동력으로 상기 호퍼에 저장되어 있는 마늘을 하나씩 배출하는 적어도 마늘배출수단, 상기 마늘배출수단의 전면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차체프레임에 지지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후면에 요철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홈, 상기 홈에 각각 선단이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마늘배출수단의 아래에 각각 정위치한 상태에서 끝단은 지면에 일정깊이 삽입되어 상기 트랙터의 이동 방향으로 도랑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습프레임, 상기 보습프레임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마늘배출수단에서 배출된 마늘을 도랑으로 통과시키는 통과공으로 구성하여 마늘을 파종하는 도량형성 및 파종 유닛, 상기 상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상판의 아래에 위치하는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의 외경에 설치되며 상기 보습프레임의 사이 사이 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샤프트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원판, 상기 회전원판의 외경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 동작으로 상기 보습프레임의 사이 공간으로 침투한 흙을 후방으로 분산시키는 분산블레이드로 구성한 흙 분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랙터의 차체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에 부착 고정되어 상기 유압실리더의 동력으로 상기 상판을 상, 하 이동시키는 브라켓으로 구성한 보습프레임 깊이조절수단이 더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고랑을 형성하는 보습프레임의 사이 사이 공간에 흙분산순단을 설치하여 보습프레임의 사이 공간으로 흙이 쌓이지 않도록 함으로서 보습프레임의 사이 간격을 촘촘하게 배치하더라도 흙의 저항없이 고랑을 계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작물의 파종 효율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고랑을 형성하는 보습프레임의 삽입깊이를 조절하여 파종깊이가 다른 다양한 종류의 작물을 하나의 파종장치로 파종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늘 파종장치가 설치된 트랙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마늘 파종장치의 주요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호퍼 및 마늘 배출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도 2에서 도랑형성 및 파종유닛의 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2에서 보습프레임 깊이 조절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늘 파종장치가 설치된 트랙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마늘 파종장치의 주요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늘 파종장치(100)는 농기계인 트랙터(200)에 장착되어 트랙터(2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마늘을 일정간격으로 자동으로 파종하게 된다.
트랙터(200)에는 차체프레임(210)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차체프레임(210)에는 전륜 및 후륜이 설치되고 그 전방에는 조향핸들이 장착된다.
상기 마늘 파종장치는 언급한 트랙터의 차체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호퍼(10), 마늘배출유닛(20), 고랑형성 및 파종유닛(50) 및 흙분산유닛(70)으로 구성한다.
상기 호퍼(10)는 파종을 위한 마늘을 저장하는 곳으로서 상면은 개방된 상태로 내부에는 일정량의 마늘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마늘배출유닛(20)은 상기 호퍼(10)에 저장되어 있는 마늘을 자동으로 하나씩 인출하여 고량형성 및 파종유닛(50)을 통해 바닥에 형성된 고랑으로 마늘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유닛이다.
상기 마늘배출유닛(20)은 컨베이어 방식으로서, 호퍼(10)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도록 한다.
하나의 마늘배출유닛(20) 구조를 대표하여 기술하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마늘배출유닛(20)은 중앙으로 공간(24)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호퍼(10)의 전면을 일부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플레이트(22), 상기 지지플레이트(22)의 사이 공간(24) 위, 아래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 및 피동풀리(24, 26), 상기 구동 및 피동풀리(24, 26)에 감겨지는 체인(28), 상기 체인(28)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이송브라켓(30)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24)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마늘배출유닛(20)의 체인(28)은 구동 및 피동풀리(24, 26)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이송브라켓(30)을 회전 이동시키게 되고, 이 과정에서 이송브라켓(30)은 호퍼(10)의 공간(12)에 담겨져 있는 마늘을 퍼담은 상태에서 회전 이동하며 호퍼(12)에서 빼낸 다음, 고랑형성유닛(50)을 구성하는 보습프레임(60)의 통과공(62)으로 자동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고랑형성 및 파종유닛(50)은 트랙터(200)가 이동하는 동안 지면에 고랑을 자동으로 형성시킴과 더불어 형성된 고랑으로 마늘을 투입하여 자동 파종하는 유닛이다.
상기 고랑형성 및 파종유닛(50)은 마늘배출유닛(20)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마늘배출유닛(20)에서 배출되는 마늘을 공급받음과 동시에 트랙터(200)의 이동으로 고랑을 형성시켜, 형성된 고랑으로 마늘을 자동 파종하는 유닛이다.
도 5는 도 2에서 도랑형성 및 파종유닛의 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고랑형성 및 파종유닛(50)은 평판의 상판(52)과, 상기 상판(52)의 후면에 요철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54)과 돌기(56), 상기 돌기(56)의 아래에 선단이 접촉한 상태로 볼트 결합되고 그 끝단은 바닥에 일정깊이 삽입되어 지는 보습프레임(60)을 포함한다.
상기 보습프레임(60)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데, 하나의 구조를 기술하면 상기 보습프레임(60)은 중앙으로 통과공(62)이 관통 형성되고 그 전면은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첨예부(64)를 마련한다, 상기 첨예부(64)는 보습프레임(60)의 끝단이 바닥에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트랙터(200)의 이동으로 보습프레임(60)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바닥에 고랑을 자동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고랑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파헤쳐진 흙은 첨예부(64)를 통해 양쪽으로 갈라진 상태로 각 보습프레임(60)의 사이 사이 공간(66)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상기 보습프레임(60)의 개수는 마늘배출유닛(20)의 개수에 대응하게 배치하고, 각 보습프레임(60)은 마늘배출유닛(20)의 아래에 각각 정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습프레임(60)의 사이 사이 공간(66)에는 흙 분산수단(70)이 더 포함되어 설치된다.
상기 흙 분산수단(70)은 보습프레임(60)의 사이 사이 공간(66)으로 흘러들어온 흙이 쌓이지 않도록 분산시켜 고랑 형성과정에서 흙에 의해 보습프레임이 저항을 받지 않도록 하여 고랑을 원할히 형성시킬 목적으로 제공된다. 즉, 상기 흙 분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보습프레임의 사이 간격을 좁히더라도 흙이 쌓여 저항을 받지않아 고랑의 사이 폭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많은 양의 마늘을 심을 수 있어 마늘의 파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흙 분산수단(70)은 고랑형성유닛(50)인 상판(52)의 아래에 설치되는 회전샤프트(71), 상기 회전샤프트(71)의 외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보습프레임(60)의 사이 공간(66)에 각각 위치하는 회전원판(72), 상기 회전원판(72)의 외경에 설치되는 분산블레이드(74)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샤프트(71)의 일단에는 모터(76)가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샤프트(71)를 회전 동작시킨다. 즉, 상판(52)의 일측에 모터(76)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76)의 축에는 구동풀리(78)를 결합하며, 상기 회전샤프트(71)의 일단에는 피동풀리(79)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 및 피동풀리(78, 79)를 체인(77)으로 연결하여 모터(76)의 동력이 회전샤프트(71)로 전해지도록 한다.
상기 회전샤프트(71)의 회전 동작에 따라 회전원판(72)은 회전 동작하기 시작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원판(72)의 외경에 설치되어 있는 분산블레이드(74)는 상기 회전원판(72)을 통해 회전하는 과정에서 보습프레임(60)의 사이 공간(62)으로 흘러들어온 흙을 다시 외부로 배출하여 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보습프레임(60)의 사이사이 공간(66)에는 도랑 형성과정에서 파헤쳐진 흙이 쌓이지 않고 즉각적으로 분산되어 짐으로서 오랜 작업시에도 보습프레임(60)에 흙의 저항이 전해지지 않아 도랑을 손쉽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랑형성유닛(50)의 상판 중앙에는 상기 도랑형성유닛(50)인 보습프레임(60)의 지면 삽입깊이를 조절하는 보습프레임 깊이조절수단(80)이 더 설치된다.
보습프레임(60)의 삽입깊이를 조절하는 이유는 마늘 외에 다양한 작물들도 본 발명의 파종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파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작물들은 파종시 그 종류별로 파종깊이를 달리하여야 작물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보습프레임 깊이조절수단(80)은 도 7 내지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트랙터(200)의 차체프레임(210)에 고정되는 고정판(82), 상기 고정판(82)에 고정 설치되는 유압실린더(84), 상기 유압실린더(84)의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상판(52)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86), 상기 상판(52)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차체프레임(210)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레일(90)을 타고 이동하며 상기 상판(5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블럭(88)으로 구성한다.
상기 보습프레임 깊이조절수단(80)은 다른 종류의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도랑의 파종 깊이를 조절해야 할 경우에는 유압실린더(84)를 구동시키면 상기 유압실린더(84)의 로드(85)에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86)은 상판(52)을 상, 하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상판(52)의 돌기(56)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보습프레임(60)의 높이가 조절되어 짐으로서 상기 보습프레임(60)에 의해 형성되어 지는 도랑의 파종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늘 파종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먼저, 트랙터(200)의 차체프레임(210)에 파종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트랙터(200)를 구동시키면 파종장치인 보습프레임의 끝단은 지면에 일정깊이 삽입된 상태에서 트랙터(2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지면에 도랑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마늘배출유닛(20)인 구동원이 동작하며 호퍼(10)에 저장되어 있는 마늘을 하나씩 퍼올린 다음, 상기 보습프레임(60)의 통과공(62)으로 떨어뜨리기 시직하여 지면에 형성된 도랑으로 마늘을 하나씩 자동 파종하게 된다.
한편, 도랑을 형성하는 동안 파헤쳐진 흙이 보습프레임(60)의 사이 공간(66)으로 침투하면 이를 즉각적으로 분산시켜 흙에 의한 보습프레임(60)의 이동에 저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즉 트랙터의 이동으로 도랑이 형성됨과 동시에 모터(76)로 전원을 인가하면 구동 및 피동풀리(78, 79)를 통해 회전샤프트(71)가 회전하기 시작하며, 이에 따라 회전원판(72)은 각 보습프레임(60) 사이 사이 공간(66)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샤프트(71)의 구동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며 외경에 설치되어 있는 분산블레이드(74)를 통해 보습프레임(60) 사이 공간(66)으로 침투한 흙을 분산시키도록 하여 흙이 쌓여 보습프레임(60)의 이동에 저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분산된 흙은 대부분 도랑형성유닛의 후방으로 분산되어 짐으로서 분산된 흙은 다시 도랑을 자연스럽게 덮어주는 효과를 가져와 마늘이 파종된 도랑을 자동 복토시키게 된다.
한편, 다른 종류의 작물을 파종하기 위해 도랑의 파종 깊이를 조절해야할 경우에는 보습프레임 깊이조절수단(80)인 유압실린더(84)를 구동시키면 상기 유압실린더(84)의 로드(85)에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86)은 도랑형성 및 파종유닛(50)의 상판(52)을 상, 하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상판(52)의 돌기(56)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보습프레임(60)의 높이가 조절되어 짐으로서 상기 보습프레임(60)에 의해 형성되어 지는 도랑의 파종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나의 장비로 다양한 종류의 작물을 효율적으로 파종할 수 있다.
10: 호퍼 20: 마늘배출유닛
50: 도랑형성 및 파종유닛 52: 상판
56: 돌기 60: 보습프레임
62: 통과공 66: 공간
70: 흙분산유닛 71: 회전샤프트
72: 회전원판 74: 회전블레이드
76: 모터 80: 보습프레임 깊이조절수단
84: 유압실린더 86: 브라켓
88: 블럭 90: 가이드레일

Claims (2)

  1. 트랙터(200)의 차체프레임(210)에 설치되어, 트랙터(200)의 이동 방향에 따라 도랑을 형성하여 마늘을 자동 파종하는 마늘 파종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210)에 지지되며 내부에는 일정량의 마늘이 저장되는 호퍼(10);
    상기 호퍼(10)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구동원의 동력으로 상기 호퍼(10)에 저장되어 있는 마늘을 하나씩 배출하는 적어도 마늘배출수단(20);
    상기 마늘배출수단(20)의 전면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차체프레임(210)에 지지되는 상판(52);
    상기 상판(52)의 후면에 요철 형태로 홈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56);
    상기 돌기(56)의 아래에 각각 선단이 고정되며 상기 마늘배출수단(20)의 아래에 각각 정위치한 상태에서 끝단은 지면에 일정깊이 삽입되어 상기 트랙터(200)의 이동 방향으로 도랑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습프레임(60);
    상기 보습프레임(6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마늘배출수단(20)에서 배출된 마늘을 도랑으로 통과시키는 통과공(64)으로 구성하여 마늘을 파종하는 도량형성 및 파종 유닛(50);
    상기 상판(52)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76);
    상기 모터(76)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상판(52)의 아래에 위치하는 회전샤프트(71);
    상기 회전샤프트(71)의 외경에 설치되며 상기 보습프레임(60)의 사이 사이 공간(66)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샤프트(71)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원판(72);
    상기 회전원판(72)의 외경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원판(72)의 회전 동작으로 상기 보습프레임(60)의 사이 공간(66)으로 침투한 흙을 후방으로 분산시키는 분산블레이드(75)로 구성한 흙 분산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200)의 차체프레임(21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82);
    상기 고정판(82)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84);
    상기 유압실린더(84)의 로드(85)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52)에 부착 고정되어 상기 유압실리더(84)의 동력으로 상기 상판(52)을 상, 하 이동시켜 상기 보습프레임(60)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브라켓(86)으로 구성한 보습프레임 깊이조절수단(7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파종장치.

KR1020210029043A 2021-03-04 2021-03-04 마늘 파종장치 KR102610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043A KR102610618B1 (ko) 2021-03-04 2021-03-04 마늘 파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043A KR102610618B1 (ko) 2021-03-04 2021-03-04 마늘 파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078A true KR20220125078A (ko) 2022-09-14
KR102610618B1 KR102610618B1 (ko) 2023-12-05

Family

ID=83278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043A KR102610618B1 (ko) 2021-03-04 2021-03-04 마늘 파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6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717Y1 (ko) * 1999-12-30 2000-05-15 권삼석 마늘파종기의 버킷 진동장치
KR20140013882A (ko) * 2012-07-27 2014-02-05 주식회사 케이에스에프 마늘파종기
KR20200127606A (ko) * 2019-05-03 2020-11-11 최덕규 마늘파종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717Y1 (ko) * 1999-12-30 2000-05-15 권삼석 마늘파종기의 버킷 진동장치
KR20140013882A (ko) * 2012-07-27 2014-02-05 주식회사 케이에스에프 마늘파종기
KR20200127606A (ko) * 2019-05-03 2020-11-11 최덕규 마늘파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618B1 (ko)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43642B (zh) 一种驱动圆盘玉米垄作免耕播种机
KR101963194B1 (ko) 조파식 마늘 파종기
KR100632430B1 (ko) 마늘파종기
RU190876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севной агрегат
KR100913067B1 (ko) 최소경운 직파기
CN113711734A (zh) 播种深度自适应式播种设备
KR20030071180A (ko) 직파기
JP2013039086A (ja) ゴボウ播種成型機
JPH0856427A (ja) 施肥同時播種マルチ装置
JP2013039086A5 (ko)
CN109068584B (zh) 甘蔗移植机
CN113228890A (zh) 麦茬免耕大豆双粒穴播播种机
CN117461418A (zh) 一种小麦等深匀播机及工作方法
EA009157B1 (ru) Сеялка
KR20160118446A (ko) 관리기 부착형 파종장치
JP2000354403A (ja) 乾田直播装置
KR102610618B1 (ko) 마늘 파종장치
CN216087547U (zh) 一种麦茬免耕大豆双粒穴播播种机
KR20010020775A (ko) 모내기기계 장착식 직파장치
RU2103857C1 (ru) Гребневая сеялка
RU201448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агрегат для осенней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и внесения органических удобрений
GB2573503A (en) A device for direct seeding
CN212259768U (zh) 动力免耕气吸式施肥精量播种机
KR200221942Y1 (ko) 미맥 다기능 파종기
CN208490157U (zh) 一种旋耕施肥播种复式作业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